WO2016027949A1 - 턱관절 교정 장치 및 윙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턱관절 교정 장치 및 윙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27949A1
WO2016027949A1 PCT/KR2015/001340 KR2015001340W WO2016027949A1 WO 2016027949 A1 WO2016027949 A1 WO 2016027949A1 KR 2015001340 W KR2015001340 W KR 2015001340W WO 2016027949 A1 WO2016027949 A1 WO 201602794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ing
spacer
jaw
user
maxill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134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심소희
Original Assignee
심소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소희 filed Critical 심소희
Publication of WO201602794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2794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aw joint correcting device for correcting a jaw of a person with a malocclusion in the jaw joint and a wing spacer used therein.
  • Imbalance of the jaw joint may be caused by not only congenital factors but also acquired factors such as external shock or chewing of food on one side, cracking, and stress, and may also be caused by daily operation of swallowing saliva.
  • the conventional orthodontic device uses a method of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teeth by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teeth with metal screws, respectively.
  • this method as the metal screws are placed in a humid environment in the oral cavity, not only the corrosion of the metal screws is prone to occur, but also the threads are easily collapsed due to corrosion.
  • the user once wearing the orthodontic device, the user can not open his mouth, such as inhibiting the activity of the wearer's body caused user inconvenience.
  • 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216029 (2012.12.20)
  • Jaw joint correction device and wing spac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correcting malocclusion by fixed support while moving the jaw of the malocclusion patient back and forth.
  • the jaw joint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ing spacer used therein is to remove the cause of the occurrence of snoring and the resulting sleep disturbance through the mandible anterior correction.
  • the upper jaw can be coupled to the upper jaw joint including a maxillary wing on both sides of the jaw joint;
  • a lower jaw coupled portion which can be coupled to the lower needle and includes a lower wing at both ends of the jaw joint;
  • a wing spacer configured to contact the upper wing and the lower wing to support the upper wing and the lower wing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lower jaw of the user is moved and maintained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lips.
  • the wing spacer may be formed of a nonmetallic material.
  • the upper wing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wing spacer.
  • the lower wing can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wing spacer at two or more surfaces.
  • the wing spacer may comprise one or more fixtures for securing to the lower wing.
  • the fixing part may include a first fixing part for restraining the movement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lip side direction and the lip side direction of the mandrel coupling part and a second fixing part restraining the movement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ip side direction of the mandrel coupling part. It may include.
  • the first fixing part may include a wing portion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ip side direction of the user from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rib and the first extension rib is formed extending in the user's lips side direction from the wing spacer. have.
  • the second fixing part includes a first hook which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oral cavity direction of the user at the end of the second extension rib and the second extension rib which is formed extending in the lower side of the oral cavity, and fixed to the lower wing Can be.
  • portions of the wing spacers which respectively contact the upper wing and the lower wing are spaced apar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ip side direction, and the wing spacers are the upper wing and the upper wing when the user's lower jaw is moved and maintained in the lip side direction of the user.
  • It further includes a mandrel coupling support surface which is formed in a flat shape in the lip direction and supported by the mandible wing so as to prevent rotation of the wing spacer caused by spaced apart portions of the wing spacers respectively contacting the mandible wings. can do.
  • the maxillary wing may contact the maxillary engaging portion supporting surface provided in the oral cavity inner direction of the wing spacer, and the maxillary engaging portion supporting surface may include a flat surface having an acut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up and down direction in the oral cavity.
  • the wing spacer may further include an oral inner surface contact surface provided in the oral inner surface direction, the oral inner surface contact surface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ral inner surface.
  • the wing spacer may further include a third fixing part coupled to the upper wing to prevent the wing spacer from being separated.
  • the wing spacer may include a wing spacer groove formed in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upper wing.
  • the wing spacer includes a maxillary wing formed at both ends of the jaw joint of the maxillary coupling portion that can be coupled to the upper needle, and a mandibular wing formed at both ends of the jaw joint of the mandible coupling portion that can be coupled to the lower needle.
  • Each of the upper wing and the lower wing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user's mandible is moved and maintained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lips.
  • the wing spacer may be formed of a nonmetallic material.
  • the jaw joint can be corrected through the forward fixation of the mandible jaw. Furthermore, the jaw joint malocclusion, which causes sleep disorders such as snoring, can be corrected.
  • the support between the maxillary coupling portion and the mandibular coupling portion is supported by the wing spacer, so that spaced support of the maxillary coupling portion and the mandibular coupling portion can be more effectively achieved.
  •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maxillary coupling portion and the mandibular coupling portion can be per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reby reducing user inconvenience.
  • FIG. 1 is a view showing a jaw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llustrates a wing spac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llustrates a wing spac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showing a wing spac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llustrates a wing spac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and 2 is a view showing a jaw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jaw joint corrector includes a maxillary coupling portion 10, a mandibular coupling portion 20, and a wing spacer 30.
  • the upper coupling part 10 is used by being coupled to the upper teeth, and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shape of the upper teeth of the user.
  •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pper needle may be formed of a soft synthetic resin or a plastic material.
  • the maxillary coupling portion 10 may further include a maxillary wing 12.
  • the maxillary wing 12 may be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maxillary engaging portion 10, specifically, on the molar side close to the jaw joint.
  • the upper wing 12 is brought into surface contact or linear contact with the wing spacer 30, and the supporting force is maintained through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wing spacer 30, so that the upper coupling part 10 and the lower coupling part 20 are provided. Can be spaced apart.
  • the maxillary wing 12 may be form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mouth of the user at the maxillary coupling portion 10.
  • the maxillary wing 12 may have a curved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user's mouth.
  • the shape of the curved surface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oral cavity, thereby reducing the irritation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ser's mouth when the jaw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mouth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oreign body feeling of the user.
  • the part where the upper wing 12 is in contact with the wing spacer 30 may have a generally planar shape.
  • the portion where the maxillary wing 12 faces (ie, contacts) the wing spacer 30 may be a flat surface having an acut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up-down direction (ie,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tooth) in the oral cavity.
  • the term “flat” means not only a shape of a surface without bending, but also includes a concept having a generally shape of a surface including a convex or concave shape.
  • the “acute angle” of the part where the upper wing 12 faces the wing spacer 30 may be an angle that is closer to the front (lip side direction) toward the upper coupling part 10 side.
  • the “acute angle” may not only be a fixed angle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10 degrees to 30 degrees), but also may be an angle that changes while going from the lower coupling part 20 to the maxillary coupling part 10 side.
  • the portion where the maxillary wing 12 faces the wing spacer 30 may be a flat portion having a curved shape).
  • the lower coupling part 20 is used by being coupled to the lower teeth, and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shape of the lower teeth of the user.
  • the maxillary coupling portion 10 may be form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 the lower coupling portion 20 the lower teeth contact the surface may be formed of a soft synthetic resin or plastic material.
  • the lower coupling portion 20 may further include a lower wing 22.
  • the lower wing 22 may be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lower coupling portion 20, specifically, the molar side close to the jaw joint.
  • the lower wing 22 is in surface contact or line contact with the wing spacer 30 (in the present embodiment, mainly the case of surface contact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the supporting force is passed through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wing spacer 30.
  • the upper coupling part 10 and the lower coupling part 20 can be supported to be spaced apart.
  • the lower coupling portion 20 is to be moved and maintained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lips, the jaw joint can be corrected.
  • the lower wing 22 and the wing spacer 30 may be in contact with a portion generally in the form of a surface, the contact surface may be three surfaces.
  • the surface where the lower wing 22 and the wing spacer 30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not limited to three.
  • the third surface instead of forming the third surface, only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may be formed to contact the two surfaces.
  • any one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the second surface, and the third surface may be formed in a step shape or the like to be in contact with four or more surfaces. However, below, the case where it contacts with three surfaces is mainly demonstrated.
  • the three surfaces where the lower wing 22 and the wing spacer 3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re parallel to the lip side (second side) at the jaw joint side (second side), and the lower side (oral lower jaw side) at an angle with the second side. It may be a surface (first surface) extending to the side and the surface (third surface) extending to the rear side (back, that is, the back of the mouth) at an angle with the first surface.
  • the first side, the second side, and the third side may be layered like a staircase.
  • the first of the three surfaces that the lower wing 22 is facing (ie contacting) the wing spacer 30, that is, the middle surface connecting two surfaces at both ends is the vertical direction (ie , Protruding direction of the tooth).
  • the second and third surfaces of the three surfaces where the lower wing 22 faces (i.e., contacts with) the wing spacer 30, i.e., the two surfaces at both ends are vertically in the oral cavity (i.e., Flat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rotruding teeth).
  • the term “flat” means not only a shape of a surface without bending, but also includes a concept having a generally shape of a surface including a convex or concave shape.
  • the “acute angle” of the portion of the lower wing 22 facing the wing spacer 30 may be an angle toward the front (lip side direction) toward the lower coupling portion 20 side.
  • acute angle may not only be a fixed angle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10 degrees to 30 degrees), but also may be an angle changed from the maxillary coupling portion 10 to the lower coupling portion 20 side.
  • the portion where the lower wing 22 faces the wing spacer 30 may be a flat portion having a curved shape).
  • the degree of separation of the upper wing 12 and the lower wing 22, that is, the separation distance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a dimension of the wing spacer 30.
  • the lower coupling part 20 is moved relative to the upper coupling part 10 and is maintained in the lip side direction, so that the moving distance can be adjusted.
  • the wing spacer 30 according to the degree of malocclusion of the user.
  • By providing a wing spacer for each dimension it is of course possible to simply select the wing spacer that is suitable for the degree of malocclusion of the user to be used.
  • These dimensional wing spacers may be manufactured or sold in sets, or may be standardized for each dimension and manufactured or sold separately. In this case, the number is given by the dimensions of the wing spacer may be imprinted or displayed on the wing spacer, it may be displayed in the forming step during the manufacturing of the wing spacer.
  • the lower wing 22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mouth outside the lower coupling portion 20.
  • the lower wing 22 may have a curved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user's mouth.
  • the shape of the curved surface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ral cavity, whereby, when the jaw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oral cavity of the user, the stimulus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ral cavity of the user. It can reduce, thereby reducing the user's sense of foreign body.
  • the wing spacer 30 may be formed of a non-metallic material, thereby preventing corrosion or the like in a moist environment in the oral cavity.
  • the non-metallic material may be a material such as a resin or a ceramic, and in particular, a nonmetallic material, for example, a polycarbonate series, which is harmless to a human body, may be used. Through the use of this nonmetallic material, it can be used in a harmless environment for a long time without replacing the wing spacer 30.
  • the wing spacer 30 may support the upper wing 12 of the upper coupling portion 10 and the lower wing 22 of the lower coupling portion 2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lower jaw of the user is moved and maintained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lips can correct the user's jaw joint.
  • the wing spacer 30 may include a first fixing part 32 and a second fixing part 36, a mandible engaging part supporting surface 38 and a second fixing part, and a maxillary engaging part supporting surface 40. It may include.
  • the first fixing part 32 and the second fixing part 36 may allow the wing spacer 30 to be fixed to the lower wing 22.
  • the first fixing part 32 is for restraining the movem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ip side direction of the lower coupling part 22, and the first extension rib extending from the wing spacer 30 toward the lip side direction of the user.
  • At the end of the 32b and the first extension rib 32b may include a wing portion 32a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user's lips.
  • the lower wing 22 of the lower coupling portion 2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tension rib 32b and the wing portion 32a so that the first extension rib 32b and the wing portion 32a can be fixed. It may include a groove (not shown).
  • the groove formed in the lower wing 22 may be formed in the first surface of the lower wing 22, for example,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first extension rib 32b and the wing portion 32a.
  • the first extension rib 32b and the wing portion 32a may include both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and fixed.
  • the second fixing part 36 is for restraining the movement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ip side direction of the mandrel coupling part 22, and the second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wing spacer 30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mouth of the user.
  • a rib 36b may be included, and a first hook 36a protruding inward to the mouth of the user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extension rib 36b.
  • the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second extension rib 36b in the lower wing 22 of the lower coupling portion 20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econd extension rib 36b of the second fixing part 36. may be formed.
  • the second extension rib 36b and the first hook 36a are guided and slide into the inside of the guide groove at the same time, and then slide, and then the first hook 36a is lower (or lower) of the lower wing 22. It protrudes and can be fixed by being caught by the lower sid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wing 22.
  • the first hook (36a)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oral cavity, when removing the jaw joint correction device in the future, the first hook (36a) can be pushed slightly toward the outside of the user's mouth to facilitate separation. have.
  • the first hook 36a is only one example included in the second fixing part 36, and other devices may be used.
  • the hooks are respectively installed so as to be spaced apart in the user's jaw inward and outward directions, and the spaced hooks may be caught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wing 22, and at the same time, the separation of the hooks is reduced to an external force.
  • the second extension ribs split into two (2) branches and each hook is installed at each split end, reducing the separation of these hooks so that each hook is inward of the lower wing 22
  • the wing spacer 30 can be formed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lower wing 22.
  • the mandibular coupling part supporting surfaces 38 and the second face are three pieces that meet the mandibular wing 22 when supporting the maxillary coupling part 10 and the mandibular coupling part 20 so as to be spaced apart using the wing spacer 30.
  • the face meets the top face in the lower tooth protruding direction. Portions of the wing spacer 22 in contact with the upper wing 12 and the lower wing 22 may be spaced apar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ip side direction.
  • the mandrel coupling portion 20 is opposite to the user's lips by the return force of the user's mandible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position before the force is applied).
  • the force to return to the generated, the maxillary coupling portion 10 is to generate a force to advance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lips.
  • the wing spacer 30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that tries to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user's lips.
  • the lower coupling portion support surface 38 may support the rotational force to prevent the wing spacer 30 from rotating.
  • the maxillary engagement portion support surface 40 is inclined at the same inclination as the inclination of the acute angle of the maxillary wing 12, so that it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maxillary wing 12.
  • the outer surface (face facing the oral cavity surface) of the wing spacer 30 which is connected to the maxillary coupling support surface 40 is a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ser's mouth when the user wears a jaw joint corrector. As the width becomes narrower, it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 the shape of the curved surface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ral cavity, whereby, when the jaw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oral cavity of the user, the stimulus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ral cavity of the user. It can reduce, thereby reducing the user's sense of foreign body.
  • Jaw joint correction device because the jaw joint is fixed through the forward fixation of the mandible jaw, can prevent the airway narrowing during sleep, such as snoring, sleep apnea during sleep Can solve the obstacle.
  • FIG 3 is a view showing a wing spacer 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ing spacer 3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fixing part 42.
  • the third fixing part 42 may allow the wing spacer 30 to be fixed to the upper wing 12 and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 the third fixing part 42 extends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user's mouth on the upper side of the wing spacer 30, extends after bending at an angl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lips side, and the upper wing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wing 12. It may have a shape bent in the direction of (12).
  • the third fixing part 42 includes a third extension rib 42b and a third extension rib which exte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fixing part 36 of the wing spacer 30 (that is, the oral upper side direction).
  • the second hook 42a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42b in the direction of the mouth of the user, and fixed to the maxillary wing 12.
  • the upper wing 12 is provided with a groove so that the second hook 42 of the third fixing part 42 can operate.
  • the method of fixing the third fixing part 42 to the upper wing 12 may be any method as long as it is a method of inserting and fixing the second hook 42a.
  • the portion of the third extension rib 42b which extends from the wing spacer 30 and immediately before being fol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user's lips is It may be inserted into a groove (not shown) formed in the upper wing 12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ird extension rib 42b.
  • FIG 4 is a view showing the wing spacer 1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ing spacer 130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132, a second fixing part 136, and a maxillary coupling support surface 140.
  • the first fixing part 132 extends in the wing spacer 130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lips an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lips at the ends of the first extension rib 132b and the first extension rib 132b. It may include a wing portion (132a) extending to.
  • the lower wing 22 of the lower coupling portion 2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tension rib 132b and the wing 132a so that the first extension rib 132b and the wing 132a can be fixed.
  • Grooves may be formed.
  • it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first extension rib 132b and the wing 132a, or may include both a shape in which the first extension rib 132b and the wing 132a are inserted and fixed.
  • the first fixing part may be slid or inserted to be fixed by further extending the first fixing part 132 instead of the lower coupling part supporting surface 38 in the embodiment.
  • the lower coupling portion 20 receives the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lips to correct the jaw joint
  • the mandrel coupling portion 20 generates a force to return to the opposite side of the user's lips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position before the force is applied)
  • the maxillary coupling portion 10 moves toward the user's lips side. There is a force to move forward.
  • the wing spacer 130 is subjected to a force rot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user's lips. At this time, the wing spacer 130 is inclined by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wing 22, and all the surfaces are in contact with the lower wing 22, thereby the wing spacer 130 may be supported without rotation.
  • the second fixing part 136 and the maxillary engaging portion support surface 140 have the same role and structure as the above embodiment.
  • FIG 5 is a view showing the wing spacer 2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ing spacer 230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232, a second fixing part 236, a mandible coupling support surface 238, and a maxillary coupling support surface 240. It may further include a spacer groove 244.
  • the wing spacer groove 244 may have a concave shape that enters the user's lips side on the maxillary coupling support surface 240,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axillary wing 12 of the maxillary coupling portion 10. have. That is, even if the upper wing 12 rotates slightly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FIG. 5 with respect to the upper coupling part support surface 240, it may be stably support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wing spacer groove 244.
  •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wing spacer 230 and the maxillary engaging portion 10 can be partially possible (about 5 to 15 degrees), so that the user The jaw can move partly while wearing the jaw correction device.
  • the rotation of the maxillary coupling portion 10 and the mandibular coupling portion 20 becomes somewhat possible, thereby providing a user's convenience. You can increase it.
  • the first fixing part 232, the second fixing part 236, the mandibular coupling part supporting surface 238, and the upper coupling part supporting surface 240 which are not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re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 Have the same role and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턱관절 교정 장치 및 윙 스페이서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 장치는, 윗니들에 결합될 수 있고, 턱관절측 양단부에 상악 윙을 포함하는 상악 결합부; 아랫니들에 결합될 수 있고, 턱관절측 양단부에 하악 윙을 포함하는 하악 결합부; 및 사용자의 하악이 사용자의 입술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유지되도록, 상악 윙과 하악 윙에 각각 접촉하여 상악 윙과 하악 윙이 서로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윙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악턱의 전진 고정을 통해 턱관절 부정교합을 교정할 수 있다. 나아가, 금속재료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구강 내의 습한 환경에서 부식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턱관절 교정 장치 및 윙 스페이서
본 발명은 턱관절에 부정교합이 있는 사람의 턱을 교정하기 위한 턱관절 교정 장치 및 그에 이용되는 윙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턱관절의 불균형은 선천적인 요인 뿐만 아니라, 외적 충격이나 음식물을 한 편으로만 씹는 편작, 이갈이, 스트레스 등의 후천적인 요인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침을 삼키는 일상적인 동작에 의하여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선천적 또는 후천적인 요인에 의한 턱관절 부정교합이 있는 경우, 외관상의 문제뿐만 아니라, 코골이 등과 같은 수면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아울러, 턱관절 부정교합을 치료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방치하면 부정교합으로 인한 치아 손상이 생기고, 간헐적인 편두통 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최근 들어, 외모에 대한 관심 및 턱관절 부정교합에 의한 각종 장애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턱관절의 중요성은 점점 더 크게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인식에 따라 턱관절 부정교합을 교정하기 위한 연구와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및 노력의 일환으로, 턱관절 교정 패드나 마우스 피스, 교정용 장치 등 다수의 턱관절 보호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교정용 장치는, 상악 결합부와 하악 결합부를 금속 나사로 연결하여 윗니 및 아랫니에 각각 결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금속 나사가 구강 내의 습한 환경에 놓이게 되면서, 금속 나사의 부식이 발생하기 쉬울 뿐 아니라, 부식 등으로 인해 나사산이 무너지기 쉬웠다. 또한, 일단 교정용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동안에는 입을 벌릴 수 없는 등 착용자의 인체의 활동을 저해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유발하였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16029호(2012.12.2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 장치 및 윙 스페이서는 부정교합된 환자의 턱을 전후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고정 지지함으로써 부정교합을 교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 장치 및 그에 이용되는 윙 스페이서는 하악턱 전방 교정을 통해 코골이 및 그에 따른 수면 장애의 발생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교정장치는, 윗니들에 결합될 수 있고, 턱관절측 양단부에 상악 윙을 포함하는 상악 결합부; 아랫니들에 결합될 수 있고, 턱관절측 양단부에 하악 윙을 포함하는 하악 결합부; 및 사용자의 하악이 사용자의 입술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유지되도록, 상악 윙과 하악 윙에 각각 접촉하여 상악 윙과 하악 윙이 서로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윙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윙 스페이서는 비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악 윙은, 윙 스페이서와 면접촉할 수 있다.
또한, 하악 윙은, 윙 스페이서와 2개 이상의 면에서 면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윙 스페이서는 하악 윙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1개 이상의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고정부는, 하악 결합부의 입술측 방향 및 입술측 방향에 반대인 방향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 1고정부 및 하악 결합부의 입술측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 2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부는, 윙 스페이서에서 사용자의 입술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연장리브와 제 1연장리브의 끝단에서 사용자의 입술측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는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고정부는, 구강 하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연장리브와 제 2연장리브의 끝단에 사용자의 구강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후크를 포함하며, 하악 윙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악 윙 및 하악 윙과 각각 접촉하는 윙 스페이서의 부분은 입술측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윙 스페이서는 사용자의 하악이 사용자의 입술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유지될 때, 상악 윙 및 하악 윙과 각각 접촉하는 윙 스페이서의 부분이 이격되어 있음으로써 발생하는 윙 스페이서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입술측 방향으로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악 윙에 의해 지지되는 하악 결합부 지지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악 윙은 윙 스페이서의 구강 내측 방향에 마련되는 상악 결합부 지지면에 접촉하고, 상악 결합부 지지면은 구강 내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예각의 기울기를 갖는 평평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윙 스페이서는 구강 내면 방향에 마련되는 구강 내면 접촉면을 더 포함하고, 구강 내면 접촉면은, 구강 내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윙 스페이서는, 상악 윙과 결합되어 윙 스페이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 3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윙 스페이서는, 상악 윙과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윙 스페이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윙 스페이서는, 윗니들에 결합될 수 있는 상악 결합부의 턱관절측 양단부에 형성되는 상악 윙과, 아랫니들에 결합될 수 있는 하악 결합부의 턱관절측 양단부에 형성되는 하악 윙에 각각 접촉하여 상악 윙과 하악 윙이 서로 이격되도록 지지하여, 사용자의 하악이 사용자의 입술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윙 스페이서는 비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악 결합부와 하악 결합부를 지지하면서 이격거리를 유지하는 윙 스페이서를 포함함으로써, 하악턱의 전진 고정을 통해 턱관절 부정교합을 교정할 수 있다. 나아가, 코골이 등의 수면 장애의 원인이 되는 턱관절 부정교합을 교정할 수 있다.
더불어, 금속재료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구강 내의 습한 환경에서 부식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뿐만 아니라, 상악 결합부와 하악 결합부 사이가 윙 스페이서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악 결합부와 하악 결합부의 이격 지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나아가, 소정 범위 내에서 상악 결합부 내지 하악 결합부 사이의 상대적 이동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윙 스페이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윙 스페이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윙 스페이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윙 스페이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턱관절 교정장치 및 윙 스페이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장치 및 윙 스페이서의 각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턱관절 교정장치 또는 윙 스페이서에 포함되는 구성의 위치 또는 상호 관계 등을 설명하기 위한 방향을 특정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장치 및 윙 스페이서가 구강 내에 위치되어 사용될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턱관절 교정장치는 상악 결합부(10), 하악 결합부(20) 및 윙 스페이서(30)를 포함한다.
상악 결합부(10)는 윗니들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윗니들의 배치형상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윗니들과 접촉하는 면은 연질의 합성수지나 소성재료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악 결합부(10)는 상악 윙(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악 윙(12)은 상악 결합부(10)의 양 측단, 구체적으로 턱관절에 가까운 어금니 쪽에 형성될 수 있다. 상악 윙(12)는 윙 스페이서(30)와 면접촉 또는 선접촉하게 되며, 윙 스페이서(30)와 접촉하는 부분을 경유하여 지지력이 유지됨으로써, 상악 결합부(10)와 하악 결합부(20)가 이격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악 윙(12)은 상악 결합부(10)에서 사용자의 구강 외측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악 윙(12)은 사용자의 구강 외측 면이 곡선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곡선면의 형상은, 구강 내면의 곡선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장치가 사용자의 구강 내에 위치할 때, 사용자 구강 내의 내면에 자극을 줄일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의 이물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악 윙(12)이 윙 스페이서(30)와 접촉하게 되는 부분은 대체적으로 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악 윙(12)이 윙 스페이서(30)와 대면하는(즉, 접촉하는) 부분은 구강 내의 상하 방향(즉, 치아의 돌출 방향)에 대하여 예각의 기울기를 갖는 평평한 면일 수 있다. 여기서, “평평”이란 굴곡이 없는 면의 형태를 의미할 뿐만 아니라, 볼록 또는 오목한 형상을 포함하여 대체적으로 면의 형태를 갖는 개념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 때, 상악 윙(12)이 윙 스페이서(30)와 대면하는 부분이 갖는 상기 “예각”은, 상악 결합부(10) 측으로 갈수록 전방(입술측 방향) 쪽으로 가까워지도록 되는 각도일 수 있다. 물론, “예각”은 기 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10도 ~ 30도)로 고정된 각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악 결합부(20)에서 상악 결합부(10) 측으로 가면서 변경되는 각도일 수도 있다(이 경우, 상악 윙(12)이 윙 스페이서(30)와 대면하는 부분은 곡선 형태를 갖는 평평한 부분이 될 수 있다).
하악 결합부(20)는 아랫니들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아랫니들의 배치형상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악 결합부(10)와 상하로 대칭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하악 결합부(20)도 상악 결합부(10)와 마찬가지로, 아랫니들이 접촉하는 면은 연질의 합성수지나 소성재료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악 결합부(20)는 하악 윙(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악 윙(22)은 하악 결합부(20)의 양 측단, 구체적으로 턱관절에 가까운 어금니 쪽에 형성될 수 있다. 하악 윙(22)은 윙 스페이서(30)와 면접촉 또는 선접촉(본 실시예에서는 주로 면접촉하는 경우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하게 되며, 윙 스페이서(30)와 접촉하는 부분을 경유하여 지지력이 유지됨으로써, 상악 결합부(10)와 하악 결합부(20)가 이격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악 결합부(10)와 하악 결합부(20)의 이격 지지 시, 하악 결합부(20)가 사용자의 입술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유지되도록 하여, 턱관절을 교정할 수 있다.
또한, 하악 윙(22)과 윙 스페이서(30)는 접촉하게 되는 부분은 대체적으로 면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접촉하게 되는 면은 3개의 면일 수 있다. 여기서, 하악 윙(22)과 윙 스페이서(30)이 서로 접촉하게 되는 면은 3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면을 형성하지 않고, 제 1 면 및 제 2 면만을 형성하여 2개의 면으로 접촉하게 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제 1 면, 제 2 면, 제 3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을 계단 형 등으로 형성하여 4개 이상의 면으로 접촉하게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3개의 면으로 접촉하는 경우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하악 윙(22)과 윙 스페이서(30)가 접촉하게 되는 3개의 면은, 턱관절 측에서 입술측의 방향과 나란한 면(제 2 면), 제 2 면과 각을 이루며 하측(구강 하악 측)으로 연장되는 면(제 1 면), 및 제 1 면과 각을 이루며 후측(뒤쪽, 즉 구강 뒤쪽)으로 연장되는 면(제 3 면)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면, 제 2 면, 및 제 3 면은 계단과 같이 층을 이루고 있을 수 있다. 이 때, 하악 윙(22)이 윙 스페이서(30)와 대면하는(즉, 접촉하는) 3개의 면 중 제 1 면, 즉, 양 끝의 두 개의 면을 이어주는 가운데 면은 구강 내의 상하 방향(즉, 치아의 돌출 방향)에 대하여 예각의 기울기를 갖는 평평한 면일 수 있다. 또한, 하악 윙(22)이 윙 스페이서(30)와 대면하는(즉, 접촉하는) 3개의 면 중 제 2 면 및 제 3 면, 즉, 양 끝의 두 개의 면은 구강 내의 상하 방향(즉, 치아의 돌출 방향)에 수직인 평평한 면일 수 있다. 여기서, “평평”이란 굴곡이 없는 면의 형태를 의미할 뿐만 아니라, 볼록 또는 오목한 형상을 포함하여 대체적으로 면의 형태를 갖는 개념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 때, 하악 윙(22)이 윙 스페이서(30)와 대면하는 부분이 갖는 상기 “예각”은, 하악 결합부(20) 측으로 갈수록 전방(입술측 방향) 쪽으로 가까워지도록 되는 각도일 수 있다. 물론, “예각”은 기 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10도 ~ 30도)로 고정된 각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악 결합부(10)에서 하악 결합부(20) 측으로 가면서 변경되는 각도일 수도 있다(이 경우, 하악 윙(22)이 윙 스페이서(30)와 대면하는 부분은 곡선 형태를 갖는 평평한 부분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윙 스페이서(30)의 치수(dimension)를 조절하여 상악 윙(12)과 하악 윙(22)의 이격되는 정도, 즉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상악 결합부(10)에 대하여 하악 결합부(20)가 입술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유지됨에 있어서, 이동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되는 거리의 조절에 따라 사용자의 부정교합 정도에 맞는 윙 스페이서(30)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 뿐만 아니라, 각 치수별 윙 스페이서를 마련하여, 사용자의 부정교합 정도에 맞는 윙 스페이서를 단순히 선택하여 사용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치수별 윙 스페이서는 세트로 제작 내지 판매될 수도 있으며, 치수별로 표준화되어 별도로 제작 내지 판매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윙 스페이서의 치수별로 번호가 부여되어 윙 스페이서에 각인 내지 표시될 수 있으며, 윙 스페이서의 제작 시 성형 단계에서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하악 윙(22)은 하악 결합부(20)에서 사용자의 구강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악 윙(22)은 사용자의 구강 외측 면이 곡선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곡선면의 형상은, 구강 내면의 곡선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장치가 사용자의 구강 내에 위치할 때, 사용자 구강 내의 내면에 자극을 줄일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의 이물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윙 스페이서(30)는 비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구강 내의 습한 환경에서 부식 등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비금속 재료란, 수지, 세라믹 등의 재료일 수 있으며, 특히 인체에 무해한 비금속 재료,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계열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비금속 재료의 사용을 통해, 윙 스페이서(30)의 교체 없이 장시간 무해한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윙 스페이서(30)는 상악 결합부(10)의 상악 윙(12)과 하악 결합부(20)의 하악 윙(22)을 서로 이격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하악이 사용자의 입술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유지됨으로써 사용자의 턱관절을 교정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윙 스페이서(30)는 제 1고정부(32)와 제 2고정부(36), 하악 결합부 지지면(38, 제 2 면) 및 상악 결합부 지지면(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고정부(32) 및 제 2고정부(36)는 윙 스페이서(30)가 하악 윙(22)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 1고정부(32)는 하악 결합부(22)의 입술측 방향에 반대인 방향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것으로, 윙 스페이서(30)에서 사용자의 입술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연장리브(32b)와 제 1연장리브(32b)의 끝단에서 사용자의 입술측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는 날개부(32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악 결합부(20)의 하악 윙(22)은 제 1연장리브(32b) 및 날개부(32a)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제 1연장리브(32b) 및 날개부(32a)와 대응하는 모양으로 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악 윙(22)에 형성되는 상기 홈은 상기 하악 윙(22)의 제 1 면 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 1연장리브(32b) 및 날개부(32a)와 같은 모양이거나, 제 1연장리브(32b) 및 날개부(32a)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모양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악 결합부(10)와 하악 결합부(20)를 윙 스페이서(30)를 이용해 이격되도록 지지할 때, 윙 스페이서(30)의 제 1고정부(32)는 하악 윙(22)의 홈에 슬라이드 되거나,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 2고정부(36)는 하악 결합부(22)의 입술측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것으로, 윙 스페이서(30)에서 사용자의 구강 하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연장리브(36b)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연장리브(36b)의 끝단에 사용자의 구강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후크(36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악 결합부(20)의 하악 윙(22)에는 제 2고정부(36)의 제 2연장리브(36b)의 연장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제 2연장리브(36b)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연장리브(36b) 및 제 1 후크(36a)는 이러한 상기 가이드 홈의 내부로 동시에 진입하여 가이드 되며 슬라이드 된 후, 제 1후크(36a)가 하악 윙(22)의 하측(구강 하측)으로 돌출되어 하악 윙(22)의 하측면(바닥면)에 걸림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후크(36a)를 사용자의 구강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하여, 추후 턱관절 교정장치의 분리 시, 제 1후크(36a)를 사용자의 구강 외측 방향으로 살짝 밀어주어 분리가 쉽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후크(36a)는 제 2고정부(36)에 포함되는 일 예시일 뿐 다른 장치가 사용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후크가 사용자의 턱 내측 방향과 외측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각각 설치되고, 상기 이격된 후크가 각각 하악 윙(22)의 하측면에 걸릴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후크의 이격을 외력으로 줄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예를 들어, 제 2연장리브가 두(2) 갈래로 갈라지고 각 갈라지는 끝단에 후크를 각각 설치한 경우), 이러한 후크의 이격을 줄어 각 후크가 하악 윙(22)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됨으로써, 윙 스페이서(30)가 하악 윙(2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악 결합부 지지면(38, 제 2 면)은, 상악 결합부(10)와 하악 결합부(20)를 윙 스페이서(30)를 이용해 이격되도록 지지할 때, 하악 윙(22)과 만나는 3개의 면 중, 사용자의 하측 치아돌출 방향에서 가장 윗면과 만나는 면이다. 상악 윙(12) 및 하악 윙(22)과 각각 접촉하는 윙 스페이서(22)의 부분은 입술측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하악이 사용자의 입술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유지될 때, 사용자 하악의 복귀력에 의해 하악 결합부(20)는 사용자의 입술측 반대방향(즉, 힘을 받기 전에 있던 위치의 방향)으로 돌아가려는 힘이 발생하게 되고, 상악 결합부(10)는 사용자의 입술측 방향으로 전진하려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힘의 발생에 의해 윙 스페이서(30)는 사용자의 입술측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회전력이 발생되게 된다. 이때, 하악 결합부 지지면(38)은 이러한 회전력을 지지하여 윙 스페이서(3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악 결합부 지지면(40)은, 상악 윙(12)이 갖는 예각의 기울기와 같은 기울기로 기울어져 있어, 상악 윙(12)과 대응하여 접촉하게 될 수 있다. 상악 결합부 지지면(40)과 연결되는 윙 스페이서(30)의 외측면(구강 내면과 대면하는 면)은 사용자가 턱관절 교정장치를 착용했을 때, 사용자 구강의 내주면과 맞닿는 부분으로, 측면부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입 내주면 형상에 따라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곡선면의 형상은, 구강 내면의 곡선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장치가 사용자의 구강 내에 위치할 때, 사용자 구강 내의 내면에 자극을 줄일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의 이물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코골이 등과 같은 수면장애는 수면 중에 공기가 폐로 들어가는 기도가 좁아져서 나타나게 되는데, 기도가 좁아지는 원인은 하악턱이 뒤로 밀려서 목젖과 혀가 후두에 닿기 때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 장치는, 하악턱의 전진 고정을 통해 턱관절 부정교합을 교정하기 때문에, 수면 중에 기도가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코골이, 수면중 무호흡 등과 같은 수면장애를 해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윙 스페이서(3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윙 스페이서(30)는 제 3고정부(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고정부(42)는 윙 스페이서(30)가 상악 윙(12)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고, 유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3고정부(42)는, 윙 스페이서(30)의 상측면에서 사용자의 구강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입술측 반대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꺽인 후 연장되며, 상악 윙(12)의 상측에서 상악 윙(12)의 방향으로 꺽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3고정부(42)는, 윙 스페이서(30)의 제 2고정부(36)와 반대방향(즉, 구강 상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3연장리브(42b) 및 제 3연장리브(42b)의 끝단에서 사용자의 구강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악 윙(12)에 고정하기 위한 제 2후크(42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악 윙(12)은 제 3고정부(42)의 제 2후크(42)가 작동할 수 있도록 홈이 설치된다.
여기서, 제 3고정부(42)를 상악 윙(12)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제 2후크(42a)를 비롯하여,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방법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제 3고정부(42)를 상악 윙(12)과 삽입되어 연결될 때, 윙 스페이서(30)에서 연장되어 사용자의 입술측 반대방향으로 꺽이기 직전의 제 3연장리브(42b)의 부분은 제 3연장리브(42b)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악 윙(12)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윙 스페이서(13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윙 스페이서(130)는 제 1고정부(132), 제 2고정부(136) 및 상악 결합부 지지면(140)을 포함한다.
제 1고정부(132)는 윙 스페이서(130)에서 사용자의 입술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연장리브(132b)와 제 1연장리브(132b)의 끝단에서 사용자의 입술측 방향에 소정 각도로 연장되는 날개부(132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악 결합부(20)의 하악 윙(22)은 제 1연장리브(132b) 및 날개부(132a)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제 1연장리브(132b) 및 날개부(132a)와 대응하는 모양으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연장리브(132b) 및 날개부(132a)와 같은 모양이거나, 제 1연장리브(132b) 및 날개부(132a)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모양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악 결합부(10)와 하악 결합부(20)를 윙 스페이서(130)를 이용해 이격되도록 지지할 때, 윙 스페이서(130)의 제 1고정부(132)는 하악 윙(22)의 홈에 슬라이드 되거나,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 1고정부는, 상기 일 실시예에서의 하악 결합부 지지면(38) 대신, 제 1고정부(132)를 더 연장하여 슬라이드 되거나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악 결합부(10)와 하악 결합부(20)를 윙 스페이서(130)를 이용해 이격되도록 지지할 때, 하악 결합부(20)가 사용자의 입술측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하여 턱관절을 교정할 때, 하악 결합부(20)는 사용자의 입술측 반대방향(즉, 힘을 받기 전에 있던 위치의 방향)으로 돌아가려는 힘이 발생하게 되고, 상악 결합부(10)는 사용자의 입술측 방향으로 전진하려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힘의 발생에 의해 윙 스페이서(130)는 사용자의 입술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받게 된다. 이때, 윙 스페이서(130)는 하악 윙(22)의 기울기만큼 기울어져, 하악 윙(22)에 모든 면이 접촉되고, 이로 인해 윙 스페이서(130)는 회전하지 않고 지지될 수 있다.
그 외에 제 2고정부(136) 및 상악 결합부 지지면(140)은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한 역할을 및 구조를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윙 스페이서(23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윙 스페이서(230)는 제 1고정부(232), 제 2고정부(236), 하악 결합부 지지면(238) 및 상악 결합부 지지면(240)을 포함하고, 윙 스페이서 홈(2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윙 스페이서 홈(244)은 상악 결합부 지지면(240)에 사용자의 입술측 방향으로 들어간 오목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악 결합부(10)의 상악 윙(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악 결합부 지지면(240)에 대하여 상악 윙(12)이 도 5의 상하 방향으로 다소 회전하더라도, 윙 스페이서 홈(244)의 내면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윙 스페이서 홈(244)에 의한 상악 윙(12)의 지지에 의해, 윙 스페이서(230)와 상악 결합부(10)의 상대적인 회전이 일부 가능(약 5도 ~ 15도 정도)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턱관절 교정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중에도 턱을 일부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상악 결합부와 하악 결합부의 상대적인 이동이 허용되지 않는 종래의 방식과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상악 결합부(10)와 하악 결합부(20)의 회전을 다소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제 1고정부(232), 제 2고정부(236), 하악 결합부 지지면(238) 및 상악 결합부 지지면(240)은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한 역할을 및 구조를 갖는다.
[부호의 설명]
10 : 상악 결합부
12 : 상악 윙
20 : 하악 결합부
22 : 하악 윙
30 : 윙 스페이서
32, 132, 232 : 제 1고정부
32a, 132a, 232a : 날개부
32b, 132b, 232b : 제 1연장리브
36, 136, 236 : 제 2고정부
36a, 136a, 236a : 제 1후크
36b. 136b, 236b : 제 2연장리브
38, 238 : 하악 결합부 지지면
40, 140, 240 : 상악 결합부 지지면
42 : 제 3고정부
42a : 제 2후크
42b : 제 3연장리브
244 : 윙 스페이스 홈

Claims (14)

  1. 윗니들에 결합될 수 있고, 턱관절측 양단부에 상악 윙을 포함하는 상악 결합부;
    아랫니들에 결합될 수 있고, 턱관절측 양단부에 하악 윙을 포함하는 하악 결합부; 및
    사용자의 하악이 사용자의 입술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유지되도록, 상기 상악 윙과 상기 하악 윙에 각각 접촉하여 상기 상악 윙과 상기 하악 윙이 서로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윙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악 윙은, 상기 윙 스페이서와 2개 이상의 면에서 면접촉하는, 턱관절 교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윙 스페이서는, 비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턱관절 교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악 윙은, 상기 윙 스페이서와 면접촉하는, 턱관절 교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윙 스페이서는, 상기 윙 스페이서가 상기 하악 윙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1개 이상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턱관절 교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악 결합부의 입술측 방향 및 상기 입술측 방향에 반대인 방향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 1고정부 및 상기 하악 결합부의 상기 입술측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 2고정부를 포함하는, 턱관절 교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윙 스페이서에서 사용자의 입술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연장리브와 상기 제 1연장리브의 끝단에서 사용자의 입술측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턱관절 교정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2고정부는, 구강 하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연장리브와 제 2연장리브의 끝단에 사용자의 구강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하악 윙에 삽입 고정될 수 있는, 턱관절 교정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악 윙 및 상기 하악 윙과 각각 접촉하는 상기 윙 스페이서의 부분은 상기 입술측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윙 스페이서는, 사용자의 하악이 사용자의 입술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유지될 때, 상기 상악 윙 및 상기 하악 윙과 각각 접촉하는 상기 윙 스페이서의 부분이 이격되어 있음으로써 발생하는 상기 윙 스페이서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입술측 방향으로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악 윙에 의해 지지되는 하악 결합부 지지면을 더 포함하는, 턱관절 교정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악 윙은 상기 윙 스페이서의 구강 내측 방향에 마련되는 상악 결합부 지지면에 접촉하고, 상기 상악 결합부 지지면은 구강 내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예각의 기울기를 갖는 평평한 면인, 턱관절 교정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윙 스페이서는 구강 내면 방향에 마련되는 구강 내면 접촉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강 내면 접촉면은, 구강 내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턱관절 교정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윙 스페이서는, 상기 상악 윙과 결합되어 상기 윙 스페이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 3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턱관절 교정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윙 스페이서는, 상기 상악 윙과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윙 스페이서 홈을 포함하는, 턱관절 교정장치.
  13. 윗니들에 결합될 수 있는 상악 결합부의 턱관절측 양단부에 형성되는 상악 윙과, 아랫니들에 결합될 수 있는 하악 결합부의 턱관절측 양단부에 형성되는 하악 윙에 각각 접촉하여 상기 상악 윙과 상기 하악 윙이 서로 이격되도록 지지하여,
    사용자의 하악이 사용자의 입술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하악 윙과 2개 이상의 면에서 면접촉하는 윙 스페이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윙 스페이서는 비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윙 스페이서.
PCT/KR2015/001340 2014-08-21 2015-02-10 턱관절 교정 장치 및 윙 스페이서 WO201602794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695A KR101481801B1 (ko) 2014-08-21 2014-08-21 턱관절 교정 장치 및 윙 스페이서
KR10-2014-0108695 2014-08-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7949A1 true WO2016027949A1 (ko) 2016-02-25

Family

ID=52588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1340 WO2016027949A1 (ko) 2014-08-21 2015-02-10 턱관절 교정 장치 및 윙 스페이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81801B1 (ko)
WO (1) WO201602794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81862A (zh) * 2022-10-10 2022-11-04 四川大学 一种隐形矫治器的调整垫及制造该调整垫的制备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146B1 (ko) 2015-03-17 2015-11-06 이성완 저작근 운동 기구
CN106073912B (zh) * 2015-04-27 2019-06-25 洪澄祥 咀嚼式齿列矫正装置
KR101590813B1 (ko) 2015-09-01 2016-02-02 심윤섭 코골이 수면 무호흡 치료 가능한 교체 타입 조절자를 갖는 턱 관절 교정장치
CN115317160B (zh) * 2022-10-11 2022-12-09 四川大学 一种隐形矫治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4166A (ko) * 2008-12-04 2010-06-14 정진우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
KR20120033386A (ko) * 2010-09-30 2012-04-09 조아라 코골이 방지 및 턱관절 교정 장치
KR20130029183A (ko) * 2011-09-14 2013-03-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기구
KR20130005255U (ko) * 2012-02-28 2013-09-05 대경 이 코골이 방지장치
KR20130107811A (ko) * 2012-03-23 2013-10-02 한승찬 하악 전진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4166A (ko) * 2008-12-04 2010-06-14 정진우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
KR20120033386A (ko) * 2010-09-30 2012-04-09 조아라 코골이 방지 및 턱관절 교정 장치
KR20130029183A (ko) * 2011-09-14 2013-03-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기구
KR20130005255U (ko) * 2012-02-28 2013-09-05 대경 이 코골이 방지장치
KR20130107811A (ko) * 2012-03-23 2013-10-02 한승찬 하악 전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81862A (zh) * 2022-10-10 2022-11-04 四川大学 一种隐形矫治器的调整垫及制造该调整垫的制备装置
CN115281862B (zh) * 2022-10-10 2022-12-06 四川大学 一种隐形矫治器的调整垫及制造该调整垫的制备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801B1 (ko) 201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27949A1 (ko) 턱관절 교정 장치 및 윙 스페이서
WO2014116044A1 (en) Oral appliance
WO2014025163A1 (ko) 코골이 방지장치
CN108882990B (zh) 牙套
WO2017069599A1 (ko) 하악치아 고정형 구강장치
WO2018117582A1 (ko) 상악 치열 교정장치
WO2019035516A1 (ko) 수면시 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
WO2017105117A2 (ko) 투명교정시스템
WO2013025037A2 (ko) 투명 교정기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투명 교정기용 견인 장치 그리고 투명 교정기 견인 장치용 보조 기구
WO2017082668A1 (ko) 치아 교정장치
WO2022030994A1 (ko) 악정형 기능을 겸비한 치아 교정장치
WO2016122013A1 (ko)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 및 그것의 제작 방법
WO2005027806A1 (ja) いびき及び睡眠時無呼吸症候群治療装置
WO2019132239A1 (ko) 기도확장장치
WO2020032479A1 (ko) 턱 각도 지지용 보조기 및 이를 포함한 턱 각도 교정 장치
KR102066677B1 (ko)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
WO2018097396A2 (ko) 턱관절 안정장치
WO2019112105A1 (ko) 구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211460598U (zh) 一种新型口腔正畸矫正器
WO2018044023A1 (ko)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
KR20170034671A (ko)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WO2018030763A1 (ko) 턱관절 장애 균형 장치
WO2022240006A1 (ko) 수면장애 완화용 구강장치
WO2012093761A1 (ko)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 두개골 봉합부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두개골 봉합부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
WO2020122565A1 (ko) 접착식 리테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334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334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