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255U - 코골이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코골이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255U
KR20130005255U KR2020120001508U KR20120001508U KR20130005255U KR 20130005255 U KR20130005255 U KR 20130005255U KR 2020120001508 U KR2020120001508 U KR 2020120001508U KR 20120001508 U KR20120001508 U KR 20120001508U KR 20130005255 U KR20130005255 U KR 201300052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groove
prevention device
pair
snor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5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1274Y1 (ko
Inventor
대경 이
Original Assignee
대경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경 이 filed Critical 대경 이
Priority to KR20201200015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274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2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2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2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2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61B2017/248Operations for treatment of snoring, e.g. uvulopalatoplas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코골이 방지장치는, 윗니와 아랫니와 각각 장착되는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과, 상기 슬라이드홈의 상측 또는 하측을 외부로 개방시키는 개방슬릿을 구비하되, 상기 개방슬릿이 상호 마주보도록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블록; 상기 한 쌍의 고정블록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에 각각 안착되며 상기 슬라이드홈 길이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되 상기 개방슬릿 통과는 불가한 한 쌍의 슬라이딩블록과,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블록을 연결하는 링크로 구성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코골이 방지장치는, 착용 상태에서 상악과 하악 간의 연결방향이 여러 방향으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어 착용감이 우수하며,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고, 사용 중 상해를 입을 우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코골이 방지장치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SNORING}
본 고안은 수면 중 코를 고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착용 상태에서도 상악과 하악을 여러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면서도 구성이 간단한 코골이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골이(snoring)는 수면 시에 근육들이 이완되어 구강이 좁아지고 이 부분으로 공기가 통과할 때 연구개, 목젓 및 주위의 점막 등이 진동되고, 이러한 진동에 의해 소리가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 코골이는 종래의 경우 단지 나쁜 잠버릇 정도로 간주되어 왔으며, 동침자의 수면을 방해하는 것 이외에 별다른 의학적 의미가 없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근래에는 코골이와 이에 따른 수면무호흡증후군이 중요한 증상으로써 여러 가지 신체적 장애와 심리적 장애를 동반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짐에 따라 이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되고 있다.
코골이에 대한 치료법으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소개된 바 있으며, 크게 내과적 치료, 외과적 치료, 지속적 양압공급장치의 사용, 구강장치의 사용 등으로 대별된다. 이들 중에서 착용하기 용이하고, 치료과정에 고통을 수반하지 않으며, 부작용 및 후유증이 적고 비용이 저렴한 구강장치에 의한 치료방법에 관한 연구가 최근에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코골이를 치료하기 위한 구강장치로는, 하나의 몸체에 윗니와 아랫니가 각각 장착되어 착용 시 하악(下顎)이 상악(上顎)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수면 중 기도를 확보시키는 제품과, 윗니가 장착되는 상부몸체와 아랫니가 장착되는 하부몸체가 독립적으로 제작되되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힌지결합되어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품이 제안된 바 있다.
이때 일체형 제품은 하악과 상악이 완전히 고정되므로 턱관절의 통증을 유발시킨다는 문제점이 있고, 분리형 제품은 하악과 상악이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만 가능할 뿐 상악과 하악이 좌우로 움직이는 등의 다양한 동작이 제한되므로 착용감이 나쁘다는 단점이 있다. 물론, 상이한 방향의 힌지축을 복수 개 구비하는 다절링크를 이용하여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연결하면, 상악과 하악을 여러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구조가 복잡해져서 제조비용이 상승될 뿐만 아니라 제작 및 조립이 어려워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코골이 방지용 구강장치에 적용되는 링크는, 양 끝단이 일반적으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에 힌지결합되므로 링크 파손 시 힌지축까지 모두 분리시켰다가 다시 재조립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고, 링크가 힌지결합되는 부위가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의 측면에 장착되므로 입을 벌리고 다무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볼 안쪽 살이 링크와 접촉되어 상처가 발생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착용 상태에서도 상악과 하악을 여러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착용감이 우수하며,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고, 사용 중 상해의 우려가 없는 코골이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코골이 방지장치는, 윗니와 아랫니와 각각 장착되는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슬라이드홈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을 외부로 개방시키는 개방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블록; 상기 한 쌍의 고정블록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에 각각 안착되며 상기 슬라이드홈 길이방향으로의 슬라이딩 가능한 한 쌍의 슬라이딩블록과,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블록을 연결하는 링크로 구성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고정블록은, 상기 상부몸체의 저면과 상기 하부몸체의 상면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딩블록은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슬라이딩블록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홈의 길이방향 타측 끝단에는 반구 형상의 오목홈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슬라이딩블록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홈의 길이방향 일측을 측방으로 개방시키는 측방개구부와, 상기 링크는 지날 수 있고 슬라이딩블록은 통과 불가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홈의 길이방향 타측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개방시키는 간섭회피개구부를 구비한다.
상기 측방개구부를 막도록 상기 슬라이드홈에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블록은 상기 간섭회피개구부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체결볼트와 이격된다.
상기 간섭회피개구부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몸체에 결합되는 고정블록의 간섭회피개구부는 상기 슬라이드홈을 후방으로 개방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에 결합되는 고정블록의 간섭회피개구부는 상기 슬라이드홈을 전방으로 개방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블록은, 응고성 접착물질에 전체 또는 일부가 묻히는 구조로 상기 상부몸체 또는 하부몸체에 결합된다.
본 고안에 의한 코골이 방지장치는, 착용 상태에서 상악과 하악 간의 연결방향이 여러 방향으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어 착용감이 우수하며,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고, 각 부품들이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바 부품 교체 등의 유지 보수 작업이 간편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코골이 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코골이 방지장치에 포함되는 고정블록과 연결유닛 간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코골이 방지장치에 포함되는 고정유닛의 평면도, 측면도,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코골이 방지장치에 포함되는 고정블록과 연결유닛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코골이 방지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코골이 방지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코골이 방지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코골이 방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코골이 방지장치에 포함되는 고정블록과 연결유닛 간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코골이 방지장치에 포함되는 고정유닛의 평면도, 측면도,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코골이 방지장치는, 윗니가 장착되는 상부몸체(110)와 아랫니가 장착되는 하부몸체(120)가 각각 독립적으로 제작되며, 상기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가 별도의 구성요소로 연결되는 분리형 타입의 제품으로서, 입을 벌렸다 다무는 동작뿐만 아니라 아래턱을 좌우로 움직이는 동작까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착용감을 극대화시켰다는 점에 있어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이 가능할 수 있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코골이 방지장치는, 접착성레진 등과 같은 응고성 접착물질(130)에 의해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 각각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블록(200)과, 상부몸체(110)에 결합된 고정블록(200)과 하부몸체에 결합된 고정블록(200)에 길이방향 양단이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연결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블록(200)의 모서리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면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블록(200)은 응고성 접착물질(130)에 묻히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응고성 접착물질(130)은 일정 시간이 경과되거나 광선을 쪼여 광중합이 되기 이전까지는 유동성을 가지므로, 제작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블록(200)의 모서리 부위를 응고성 접착물질(130)에 묻히게 할 수 있다. 물론, 상부몸체(110)나 하부몸체(120)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고정블록(200)을 식립함으로써, 상기 고정블록(200)이 응고성 접착물질(130) 없이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응고성 접착물질(130)은, 인체에 무해하며 고정블록(200)을 상부몸체(110) 및 하부몸체(120)에 결합시킬 수 있는 물질이라면 어떠한 물질로도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포함되는 고정블록(200)은 상부몸체(110)나 하부몸체(120)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몸체(110)의 저면 및 하부몸체(120)의 상면에 결합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고정블록(200)이 상부몸체(110)의 저면과 하부몸체(120)의 상면에 결합되면, 사용자가 입을 벌리거나 다무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볼 안쪽 살이 고정블록(200)과의 접촉되지 아니하므로, 상기 고정블록(200)에 의한 상해가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 쌍의 고정블록(200)에는 일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좌우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슬라이드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210)을 외부로 개방시키는 개방슬릿(216)이 형성된다. 또한, 연결유닛(300)은, 한 쌍의 고정블록(200)에 형성된 슬라이드홈(210)에 각각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홈(210) 길이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은 가능하지만 개방슬릿(216)을 통과하지는 못하는 규격의 한 쌍의 슬라이딩블록(310)과,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블록(310)을 연결하는 링크(320)로 구성된다. 상기 링크(320)의 길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개방슬릿(216)은 고정블록(200)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블록(200)은 개방슬릿(216)이 상호 마주보도록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에 각각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결유닛(300)은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하나의 평면상에서 2차원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고정블록(200)에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3차원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고정블록(200)에 결합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슬라이딩블록(310)은 슬라이드홈(21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고정블록(200)에 삽입되되, 볼조인트 구조와 같이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바, 상기 연결유닛(300)은 슬라이딩블록(310)을 중심으로 전후,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 가능하게 된다.
한편, 슬라이딩블록(310)이 모서리를 갖는 다면체 구조로 제작되면, 슬라이딩블록(310)이 슬라이드홈(210) 상에서 회전될 때 모서리가 슬라이드홈(210)의 내주면에 압착되어 원활한 회전이 불가하게 되므로, 상기 링크(320)의 양단에 구비되는 슬라이딩블록(310)은 구(球) 형상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가 좌우 균형을 맞추어가며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블록(200)은 몸체(110, 120)의 좌우측에 한 쌍씩 즉, 상부몸체(110)의 좌우측과 상기 하부몸체(120)의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슬라이딩블록(310)이 고정블록(200)에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블록(200)에는 슬라이딩블록(310)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홈(210)의 길이방향 일측을 측방향으로 개방시키는 측방개구부(212)가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블록(3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개구부(212)를 통해 슬라이드홈(210)으로 인입된다. 또한, 슬라이드홈(210)으로 인입된 슬라이딩블록(310)이 측방개구부(212)를 통해 빠지지 아니하도록, 측방개구부(212) 측의 슬라이드홈(210)에 나사결합 구조로 체결됨으로써 측방개구부(212)를 막는 체결볼트(40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볼트(400)가 슬라이드홈(210)에 나사결합 구조로 체결되기 위해서는, 상기 슬라이드홈(210)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슬라이드홈(210)의 내주면에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나사산(220)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며, 체결볼트(400)의 헤드부는 슬라이드홈(210)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슬라이드홈(210)에 체결볼트(400)가 체결되더라도 상기 체결볼트(400)에 의해 슬라이딩블록(310)의 움직임이 방해받지 아니하도록, 슬라이드홈(210)의 타측 끝단에 위치된 슬라이딩블록(310)과 체결볼트(400)의 끝단 사이에는 기준 크기 이상 이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볼트(400)가 슬라이드홈(210)에 나사결합 됨으로써 측방개구부(212)를 막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측방개구부(212)를 막는 구성요소는 단순히 측방개구부(212)에 압입됨으로써 측방개구부(212)를 막는 압입핀 등 다양한 구조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측방개구부(212)를 별도의 구성요소로 막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응고성 접착물질(130)이 고정블록(200)의 측방개구부(212)를 막도록 형성되는 경우, 상기 체결볼트(400)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분리형 타입의 코골이 방지장치를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연결유닛(300)이 파손되는 경우가 많은데, 본 고안에 의한 코골이 방지장치와 같이 슬라이딩블록(310)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슬라이드홈(210)에 삽입됨으로써 연결유닛(300)이 고정블록(20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겨 연결유닛(300) 파손 시 연결유닛(300)의 교체가 매우 용이하므로 제품의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코골이 방지장치를 조립할 때에는 고정블록(200)을 상부몸체(110) 및 하부몸체(120)에 먼저 결합시키고, 연결유닛(300)의 양단에 마련된 슬라이딩블록(310)을 상호 쌍을 이루는 고정블록(200)에 삽입시킨 후 체결볼트(400)를 체결하게 되는데, 상기 측방개구부(212)가 상부몸체(110) 및 하부몸체(120)의 안쪽을 향하도록 장착되면 연결유닛(300) 삽입 및 체결볼트(400) 체결작업을 할 때 작업공간이 충분하게 확보되지 아니하여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고정블록(200)들은 측방개구부(212)가 상부몸체(110) 및 하부몸체(120)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라이딩블록(310)이 슬라이드홈(210) 내에서 슬라이드홈(210)의 길이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좌우방향)으로만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드홈(210)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전후방향)으로도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블록(200)에는 슬라이드홈(210)의 길이방향 타측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개방시키는 간섭회피개구부(21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간섭회피개구부(214)는 링크(320)는 지날 수 있지만 슬라이딩블록(310)은 지날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되어, 슬라이딩블록(310)이 간섭회피개구부(214)를 통해 탈거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한다.
또한, 슬라이딩블록(310)이 슬라이드홈(210)의 길이방향 타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블록(310)을 중심으로 연결유닛(300)이 회동될 때 상기 슬라이딩블록(310)이 슬라이드홈(210)의 타측단 내주면에 압착되지 아니하도록 즉, 슬라이딩블록(310)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홈(210)의 길이방향 타측 끝단에는 반구 형상의 오목홈(218)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홈(210)의 길이방향 타측에 간섭회피개구부(214)와 반구 형상의 오목홈(218)이 형성되면, 연결유닛(300)은 슬라이드홈(210) 중 간섭회피개구부(214)가 형성된 지점에 위치되었을 때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으므로, 연결유닛(300)이 고정블록(200)에 장착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연결유닛(300)의 슬라이딩블록(310)은 슬라이드홈(210) 중 간섭회피개구부(214)가 형성된 지점에 항상 위치된 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홈(210)의 길이방향 타측에 간섭회피개구부(214)와 반구 형상의 오목홈(218)이 모두 형성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간섭회피개구부(214)와 반구 형상의 오목홈(218) 중 어느 하나만이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슬라이딩블록(310)이 슬라이드홈(210)의 타측에 위치되어야 연결유닛(300)의 회동이 원활해진다. 따라서 슬라이드홈(210)의 길이방향 타측에 간섭회피개구부(214)와 반구 형상의 오목홈(218) 중 어느 하나만이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슬라이딩블록(310)은 슬라이드홈(210)의 길이방향 타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코골이 방지장치에 포함되는 고정블록(200)과 연결유닛(3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코골이 방지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코골이 방지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코골이 방지장치는 연결유닛(300)이 고정블록(200)에 결합되었을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홈(210)에 삽입된 고정블록(200)(도 6에서는 하측 고정블록(200))을 중심으로 연결유닛(300)이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회동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유닛(300)이 전방(간섭회피개구부(214)가 형성된 방향)으로 완전히 눕혀진 상태로 슬라이드홈(210)에 삽입된 고정블록(200)(도 6에서는 하측 고정블록(200))을 중심으로 좌우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고정블록(200)을 연결하는 연결유닛(300)이 전후 방향으로만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기울어질 수 있게 되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 간의 상대위치가 전후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도 변경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코골이 방지장치는, 사용자가 상부몸체(110)를 윗니에 장착하고 하부몸체(120)를 아랫니에 장착한 상태에서 입을 다물었다 벌렸다 하는 동작도 할 수 있고(도 8 및 도 9 참조), 하악을 좌우로 움직이는 동작까지 원활하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매우 만족스러운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본 고안에 의한 코골이 방지장치는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의 하악 이동 자유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향의 대각선 방향으로까지 하악 이동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 의한 코골이 방지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아래턱을 대각선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돌리는 동작까지 가능해지므로 매우 높은 착용감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간섭회피개구부(214)의 폭이 너무 넓으면 슬라이딩블록(310)이 빠질 우려가 있고, 간섭회피개구부(214)의 폭이 너무 좁으면 링크(320)가 간섭회피개구부(214)에 삽입된 상태(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연결유닛(300)이 좌우로 기울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간섭회피개구부(214)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코골이 방지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입을 다무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몸체(110)는 하부몸체(120)와 가까워지면서 앞으로 이동하게 되고 연결유닛(300)은 수평방향으로 눕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유닛(300)이 눕혀지게 되면 링크(320)의 상측은 상측 고정블록(200)의 후방측벽과 간섭되고 링크(320)의 하측은 하측 고정블록(200)의 전방측벽과 간섭되므로, 상측 고정블록(200)의 간섭회피개구부(214)는 후방측벽에 형성되고 하측 고정블록(200)의 간섭회피개구부(214)는 전방측벽에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몸체(110)에 결합되는 고정블록(200)의 간섭회피개구부(214)는 슬라이드홈(210)을 후방으로 개방시키도록 형성되고, 하부몸체(120)에 결합되는 고정블록(200)의 간섭회피개구부(214)는 슬라이드홈(210)을 전방으로 개방시키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하부몸체(120)에 결합된 고정블록(200)(하측 고정블록)이 상부몸체(110)에 결합된 고정블록(200)(상측 고정블록)보다 전방에 위치하면, 상측 고정블록(200)의 간섭회피개구부(214)는 전방측벽에 형성되고 하측 고정블록(200)의 간섭회피개구부(214)는 후방측벽에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하측 고정블록(200)이 상측 고정블록(200)보다 전방에 위치되면 입을 크게 벌렸을 때 하부몸체(120)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즉, 하악이 기도 측으로 이동되어 코골이 방지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고정블록(200)은 하측 고정블록(200)보다 전방에 위치되며, 상측 고정블록(200)의 간섭회피개구부(214)는 후방측벽에 형성되고 하측 고정블록(200)의 간섭회피개구부(214)는 전방측벽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유닛(300)의 기울기가 낮아지는 경우 상기 연결유닛(300)(더 명확하게는 링크(320))이 상부몸체(110)나 하부몸체(120)에 간섭되어 일정 각도 이상 기울기나 낮아지지 아니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연결유닛(300)의 기울기가 일정 각도 이상 낮아지지 아니한다는 것은 사용자가 일정 수준 이상 입을 다물 수 없는 것을 뜻하므로, 착용감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코골이 방지장치에 포함되는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는, 상기 간섭회피개구부(214)와 대응되는 지점에 간섭회피홈(13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도 1 참조). 이때, 상기 간섭회피홈(132)은 링크(320)의 형상이나 링크(320)가 최대로 기울어질 수 있는 각도 등에 따라 다양한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간섭회피홈(132)의 규격 및 형상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상부몸체 120 : 하부몸체
132 : 간섭회피홈 200 : 고정블록
210 : 슬라이드홈 212 : 측방개구부
214 : 간섭회피개구부 216 : 개방슬릿
218 : 오목홈 220 : 암나사산
300 : 연결유닛 310 : 슬라이딩블록
320 : 링크 400 : 체결볼트

Claims (9)

  1. 윗니와 아랫니와 각각 장착되는 상부몸체(110) 및 하부몸체(120);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슬라이드홈(210)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210)을 외부로 개방시키는 개방슬릿(216)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블록(200);
    상기 한 쌍의 고정블록(200)에 형성된 슬라이드홈(210)에 각각 안착되며 상기 슬라이드홈(210) 길이방향으로의 슬라이딩 가능한 한 쌍의 슬라이딩블록(310)과,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블록(310)을 연결하는 링크(320)로 구성되는 연결유닛(3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블록(200)은, 상기 상부몸체(110)의 저면과 상기 하부몸체(120)의 상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블록(310)은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유닛(300)은 상기 슬라이딩블록(310)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210)의 길이방향 타측 끝단에는 반구 형상의 오목홈(21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200)은, 상기 슬라이딩블록(310)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홈(210)의 길이방향 일측을 측방으로 개방시키는 측방개구부(212)와, 상기 링크(320)는 지날 수 있고 슬라이딩블록(310)은 통과 불가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홈(210)의 길이방향 타측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개방시키는 간섭회피개구부(2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개구부(212)를 막도록 상기 슬라이드홈(210)에 체결되는 체결볼트(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블록(310)은 상기 간섭회피개구부(214)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체결볼트(400)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회피개구부(214)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110)에 결합되는 고정블록(200)의 간섭회피개구부(214)는 상기 슬라이드홈(210)을 후방으로 개방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120)에 결합되는 고정블록(200)의 간섭회피개구부(214)는 상기 슬라이드홈(210)을 전방으로 개방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200)은, 응고성 접착물질(130)에 전체 또는 일부가 묻히는 구조로 상기 상부몸체(110) 또는 하부몸체(12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KR2020120001508U 2012-02-28 2012-02-28 코골이 방지장치 KR2004712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508U KR200471274Y1 (ko) 2012-02-28 2012-02-28 코골이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508U KR200471274Y1 (ko) 2012-02-28 2012-02-28 코골이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255U true KR20130005255U (ko) 2013-09-05
KR200471274Y1 KR200471274Y1 (ko) 2014-02-12

Family

ID=51419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508U KR200471274Y1 (ko) 2012-02-28 2012-02-28 코골이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27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801B1 (ko) * 2014-08-21 2015-01-12 심소희 턱관절 교정 장치 및 윙 스페이서
KR101485555B1 (ko) * 2013-11-12 2015-01-23 이성완 턱관절 교정장치
KR101722640B1 (ko) * 2015-10-13 2017-04-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하악 전진 장치
KR102239516B1 (ko) * 2020-06-12 2021-04-12 손정환 이갈이 및 입벌림 방지 마우스피스
US20210378788A1 (en) * 2018-10-15 2021-12-09 Oniris Device for the relative positioning of the upper and lower jaws of a subjec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9265A (en) 1995-06-23 2000-08-29 Frantz; Don E. Elastic mandibular advancement appliance
KR100715760B1 (ko) 2005-08-10 2007-05-08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코골이 완화용구
KR101073746B1 (ko) * 2009-03-18 2011-10-13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래턱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코골이 완화용구
KR101184474B1 (ko) 2010-07-27 2012-09-1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코골이 완화용구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555B1 (ko) * 2013-11-12 2015-01-23 이성완 턱관절 교정장치
WO2015072738A1 (ko) * 2013-11-12 2015-05-21 이성완 턱관절 교정장치
CN105555223A (zh) * 2013-11-12 2016-05-04 李成完 用于颞颌关节的矫形器具
US9820830B2 (en) 2013-11-12 2017-11-21 Hi-Feel World Co., Ltd Orthopedic appliance for temporomandibular joint
KR101481801B1 (ko) * 2014-08-21 2015-01-12 심소희 턱관절 교정 장치 및 윙 스페이서
WO2016027949A1 (ko) * 2014-08-21 2016-02-25 심소희 턱관절 교정 장치 및 윙 스페이서
KR101722640B1 (ko) * 2015-10-13 2017-04-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하악 전진 장치
WO2017065410A1 (ko) * 2015-10-13 2017-04-20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악 전진 장치
US11246744B2 (en) 2015-10-13 2022-02-15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Device for moving lower jaw forward
US20210378788A1 (en) * 2018-10-15 2021-12-09 Oniris Device for the relative positioning of the upper and lower jaws of a subject
KR102239516B1 (ko) * 2020-06-12 2021-04-12 손정환 이갈이 및 입벌림 방지 마우스피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274Y1 (ko)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274Y1 (ko) 코골이 방지장치
JP6506751B2 (ja) ブラキシズムの治療のための歯科用装置
JP5913747B2 (ja) いびき防止装置
US9339410B2 (en) Oral motion preservation device
US20190183670A1 (en) Mouthpiece
CA2899055C (en) Oral appliance
US20070224567A1 (en) Dental orthotic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07072806A (zh) 用于在正畸治疗中使用的睡眠呼吸暂停症口腔矫治器
US20170304107A1 (en) Oral appliance fixed to lower teeth
KR102281196B1 (ko) 부비동 관찰을 위하여 근적외선 광원을 이용하는 마우스피스
KR20170030015A (ko)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
KR102058104B1 (ko) 하악의 유동성과 치아의 고정성을 개선한 구강 장치
KR101481801B1 (ko) 턱관절 교정 장치 및 윙 스페이서
KR101301525B1 (ko) 하악과 턱관절의 소범위 운동을 허용하는 상하악일체형 하악전진코골이방지 구강장치
KR100489439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장치
KR101074536B1 (ko) 하악 전진장치
KR101744000B1 (ko) 치아 교정장치
CN205698148U (zh) 一种防磨牙的新型牙套
KR20180025676A (ko)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 기구
KR102527236B1 (ko) 머리 착용식 베개
CN201894681U (zh) 咬合器
US20150038849A1 (en) Methods for Reducing One or More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KR101206751B1 (ko) 좌우균형 자동조절 및 견인정도 조절이 가능한 하악 견인장치
KR102285057B1 (ko)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US20160074207A1 (en) Oral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