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728Y1 - 확장이 가능한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확장이 가능한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728Y1
KR200497728Y1 KR2020210003341U KR20210003341U KR200497728Y1 KR 200497728 Y1 KR200497728 Y1 KR 200497728Y1 KR 2020210003341 U KR2020210003341 U KR 2020210003341U KR 20210003341 U KR20210003341 U KR 20210003341U KR 200497728 Y1 KR200497728 Y1 KR 2004977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vertical
body portion
oral cavity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947U (ko
Inventor
국윤아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210003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728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9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9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7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7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6Extra-oral force transmitting means, i.e. means worn externally of the mouth and placing a member in the mouth under ten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확장이 가능한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악골이나 치아의 위치 이상을 치료하기 위한 교정기구로서 거리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확장기구를 이용함으로써 교정력을 부여하여 환자의 상태에 맞추어서 원하는 방향과 형상으로 거리를 변경하여 상악을 벌려줌으로써 윗턱 자체의 힘을 이용하여 윗치아를 교정할 수 있고 교정력의 적용부위가 조절이 가능한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유(U)자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가 분리되는 가로몸체(14)를 구비한 제1 몸체부(102) 및 가로몸체(26)를 구비한 제2 몸체부(10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몸체부(102)와 제2 몸체부(104)를 연결하되, 상기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를 좌우로 벌려서 구강 내의 미니 임플란트 식립 및 치료자의 구강내의 상태에 따라 좌우로 벌리거나 좁혀서 거리 간격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거리조절장치(1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윗치아에 직접적으로 힘을 가하지 않고 윗턱 자체에 힘을 가하여 잡아당기도록 변형이 가능하고 구강구조와 크기가 다양한 환자들에게 맞춤형 구조로 좌우 간격을 조절하고 상악을 벌리고 확장하면서 변경함으로써 교정이 간단하고 우수한 교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구강 내에 점막을 절개할 필요가 없고 시술이 간편하며 치아 고정 도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비용이 절감되며 환자의 신뢰감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확장이 가능한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Appliance for Protraction of maxillary bone expandable}
본 고안은 확장이 가능한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악골이나 치아의 위치 이상을 치료하기 위한 교정기구로서 거리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확장기구를 이용함으로써 교정력을 부여하여 환자의 상태에 맞추어서 원하는 방향과 형상으로 거리를 변경하여 상악을 벌려줌으로써 윗턱 자체의 힘을 이용하여 윗치아를 교정할 수 있고 교정력의 적용부위가 조절이 가능한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치료에 있어서 상악,하악 대구치는 가장 많이 상실되는 치아이며 대합치가 상실되면 치아는 정출되어 치과치료를 어렵게 한다.
특히 대구치의 교정을 위하여 구강 내에 고정원을 고정시키고, 고정원을 이용하여 대구치를 교정하게 된다.
이때 사용하는 구강 내 고정원으로 교정용 미니 임플란트가 주로 이용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0807290호에는 이러한 미니 임플란트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미니 임플란트는 치조골의 양쪽에 박혀 있으며 탄성체가 대구치와 미니 임플란트에 연결되어 대구치에 외력을 가하게 된다. 이 경우에 견고한 고정을 위해 미니 임플란트 치아와 일직선 아래에 치조골 부분에 위치시켜야 하며, 따라서 시술시 치아 뿌리를 손상시킬 수 있으며 미니 임플란트의 정확한 위치조절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미니 임플란트를 통해 턱뼈를 조절하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더욱 강한 힘을 전달할 수 있는 교정용 플레이트를 주로 관골하방 부위 골에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플레이트의 구강 내 고정을 위해 점막을 절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국내등록특허 제10-1314571호(치열교정용 지지부재)를 제시한 바 있고, 상기 기술은 도1과 같이 양 종단부에 복수개의 후크부(6)를 각각 구비하는 몸체부(1) 및 상기 몸체부(1)의 중앙부에서 방사형으로 각각 연장되며, 종단부에 관통홀(5)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5)을 통과하는 고정 스크류에 의하여 천정 점막에 고정되는 복수의 레그부(2)를 포함하고, 상기 각 레그부(2)는 제2 중심선(V)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고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후크부(6)는 외측방향으로 구부러진 고리모양을 갖고 종단부가 윗치아에 걸쳐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은 후크부(6)의 위치가 고정적이기 때문에 환자마다 다른 구강의 구조와 크기에 따라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교정기간동안 변화하는 치열의 구조에 따라 후크부(6)의 모양을 성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복수개의 후크부(6) 중에서 사용하지 않는 부분은 절단하여 제거하고 사용하였지만 종단부의 길이를 환장의 구강 구조와 크기에 따라 정확하게 맞추어 사용하기가 어려웠고 후크부(6)의 방향대로 고무줄을 걸었을 경우에 잇몸을 누르는 불편함이 있어서 사용자의 신뢰를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14571호 (2017.01.24.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05317호(2009. 10.07 공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환자의 구강구조와 크기에 따라 맞춤형으로 거리조절이 가능하며 견고하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확장이 가능한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기존의 후크를 없애고 스크류의 미니 임플란트를 상악골 전방으로 식립이 가능하고, 환자의 다양한 구강구조와 크기에 따라 형상의 변경하여 수평방향과 상하 방향 등 여러 방향으로 위치를 설정하며 교정기간 동안 가변 성형하면서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쐐기부가 구비된 확장이 가능한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제공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유(U)자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가 분리되는 가로몸체(14)를 구비한 제1 몸체부(102) 및 가로몸체(26)를 구비한 제2 몸체부(10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몸체부(102)와 제2 몸체부(104)를 연결하되, 상기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를 좌우로 벌려서 구강 내의 미니 임플란트 식립 및 치료자의 구강내의 상태에 따라 좌우로 벌리거나 좁혀서 거리 간격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거리조절장치(1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몸체부(102)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우측 세로몸체(10)와;
상기 우측 세로몸체(10)의 일끝단 하부에 형성되어 절곡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몸체팁부(12)와;
상기 우측 세로몸체(10)의 상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가로몸체(14)와;
상기 가로몸체(14)의 일단에서 우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레그부(105)를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몸체부(104)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좌측 세로몸체(22)와;
상기 좌측 세로몸체(22)의 일끝단 하부에 형성되어 절곡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몸체팁부(24)와;
상기 좌측 세로몸체(22)의 상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가로몸체(26)와;
상기 가로몸체(26)의 일단에서 좌상방 및 좌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레그부(10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리조절장치(108)는,
상기 제1 몸체부(102)의 가로몸체(14)에 세로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우측 확장몸체(38)와;
상기 제2 몸체부(104)의 가로몸체(26)에 세로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우측 확장몸체(38)의 좌측부에 위치하며 평행하게 설치되는 좌측 확장몸체(48)와;
상기 우측 확장몸체(38)와 상기 좌측 확장몸체(48)를 가로방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좌측 확장몸체(48)를 슬라이딩 이동시켜서 상기 제1 몸체부(102)와 제2 몸체부(104)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윗치아에 직접적으로 힘을 가하지 않고 윗턱 자체에 힘을 가하여 잡아당기도록 변형이 가능하고 구강구조와 크기가 다양한 환자들에게 맞춤형 구조로 좌우 간격을 조절하고 상악을 벌리고 확장하면서 변경함으로써 교정이 간단하고 우수한 교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구강 내에 점막을 절개할 필요가 없고 시술이 간편하며 치아 고정 도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비용이 절감되며 환자의 신뢰감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치열교정용 지지부재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확장이 가능한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2의 저면도
도 4는 도2의 평면도
도 5는 도2의 측면도
도 6은 도2의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확장이 가능한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이하의 본 고안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으로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하기에 실시예로서 기술되는 구성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고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하기 위한 것이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고안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며, 어떤 경우에는 고안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두며, 이는 본 고안의 구성간의 상호작용하는 권리범위 내에 있다 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확장이 가능한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확장이 가능한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2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2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2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도2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고안의 확장이 가능한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확장이 가능한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를 설명하여 보면,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확장이 가능한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100)는, 제1 몸체부(102)와, 제2 몸체부(104)와, 상기 제1 몸체부(102)와 제2 몸체부(104)의 중간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몸체부(102)와 제 2몸체부(104)를 고정하며 상기 제1 몸체부(102)와 제2 몸체부(104)의 간격을 조절하는 거리조절장치(108)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몸체부(102)와 제2 몸체부(104)는 유(U)자 형성이 되도록 연결 설치되어 있고, 각각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몸체부(102)의 하단부에는 레그부(105)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부(104)의 하단부에는 레그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그부(105)는 상기 제1 몸체부(102)의 하단부에서 일측방향- 바람직하게는 아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레그부(106)는 상기 제2 몸체부(104)의 하단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 몸체부(102)와 제2 몸체부(104)의 하단부는 거리조절장치(108)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 몸체부(102)와 제2 몸체부(104)의 하부에는 레그부(105)와 레그부(106)가 역브이(V)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레그부(105)는 우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레그부(106)는 좌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역브이(V)자 형상이 되어 상기 레그부(105)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동시에 상기 레그부(106)는 상하 대칭으로 이루어진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도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몸체부(102)는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우측 세로몸체(10)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 세로몸체(10)의 하단부에는 몸체팁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 세로몸체(10)의 상단부에는 좌측방향으로 절곡되어 가로몸체(14)가 형성되며 상기 가로몸체(14)에 연장되어 우상향하는 방향으로 레그부(10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그부(105)는 상기 가로몸체(14)에 연장되어서 우상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다리(16)와, 상기 고정다리(16)의 단부에 형성된 원형의 고정부(18)와, 상기 고정부(18)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관통홀(20)을 포함한다.
상기 관통홀(20)에는 미니스크류가 체결 고정되고 상기 미니스크류는 관통홀(20)을 통과하여 상악부, 즉 입천정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몸체부(102)의 끝단부에 형성된 몸체팁부(12)는 윗치아에 걸쳐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8)의 일면,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관통홀(20)에 미니 임플란트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기울기가 형성되는 테이퍼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입천정과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입천정의 점막과 접촉시 염증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2 몸체부(104)는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좌측 세로몸체(22)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 세로몸체(22)의 하단부에는 몸체팁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 세로몸체(22)의 상단부에는 우측방향으로 절곡되어 가로몸체(26)가 형성되며 상기 가로몸체(26)에 연장되어 좌하향하는 방향으로 레그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그부(106)는 상기 가로몸체(26)에 연장되어서 좌하향으로 형성되는 하부 고정다리(28)와, 상기 하부 고정다리(28)의 끝단부에 형성된 원형의 고정부(30)와, 상기 고정부(3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관통홀(32)을 포함한다.
상기 레그부(106)는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바, 상기 레그부(106)의 우측 끝단부에 연장되어서 좌상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고정다리(34)와, 상기 상부 고정다리(28)의 끝단부에 형성된 원형의 고정부(36)와, 상기 고정부(36)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관통홀(32)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레그부(106)는 상하 대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우측방향의 화살형태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레그부(105)와 레그부(106)에 형성된 관통홀(20)과 관통홀(32)에는 미니스크류(미도시함)가 체결 고정되고 상기 미니스크류는 관통홀(20)(32)을 통과하여 상악부, 즉 입천정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몸체부(102)의 끝단부에 형성된 몸체팁부(12)와 상기 제2 몸체부(104)의 끝단부에 형성된 몸체팁부(24)는 윗치아에 걸쳐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팁부(12,24)는 유연하게 절곡이 이루어지는 재료로서 상하좌우방향으로 절곡이 가능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팁부(12,24)의 두께는 0.5 - 0.8mm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몸체부(102)와 제2 몸체부(104)는 상기 중앙 수직기준선(V)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서 형성되고 좌측 및 우측부는 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몸체부(102)와 제2 몸체부(104)의 끝단부에 형성된 몸체팁부(12,24)는 아래방향, 측면방향, 상방향으로 다양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환자의 치아상태와 입의 크기 등에 따라 맞추어서 형상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1 몸체부(102)와 제2 몸체부(104)는 좌우로 분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몸체부(102)와 제2 몸체부(104)가 좌우로 벌어지면서 거리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전술된 거리조절장치(108)에 의해 연결 설치되고 상기 거리조절장치(108)의 조절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몸체부(102)의 가로몸체(14)의 좌측 끝단부는 우상향하는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전면부(15)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부(104)의 가로몸체(26)의 우측 끝단부는 화살모양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전면부(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부(15) 및 전면부(33)에는 상기 거리조절장치(108)를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 볼트 등의 고정수단(도면부호 미도시됨)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상기 제1 몸체부(102)와 제2 몸체부(104)는 좌우측 제1 및 제2 몸체부 중 어느 하나를 고정하고 어느 하나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거리조절장치(108)를 도4 내지 도6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직사각형상의 우측 확장몸체(38)가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우측 확장몸체(38)의 상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공(40)이 형성되고 상기 우측 확장몸체(38)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공(40)과 대칭하는 위치에 결합공(4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40)과 결합공(41)의 중간부분에는 스크류공(42)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공(42)은 암나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우측 확장몸체(38)는 미도시된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제1 몸체부(102) 가로몸체(14)의 끝단부에 형성된 전면부(15)에 고정 설치된다.
계속해서, 직사각형상의 좌측 확장몸체(48)가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좌측 확장몸체(48)의 상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공(50)이 형성되고 상기 좌측 확장몸체(48)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공(50)과 대칭하는 위치에 결합공(5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50)과 결합공(51)의 중간부분에는 스크류공(52)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공(52)은 암나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좌측 확장몸체(48)는 미도시된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제2 몸체부(104) 가로몸체(26)의 끝단부에 형성된 전면부(33)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우측 확장몸체(48)와 상기 좌측 확장몸체(48)는 동일 수평선상과,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수평과 균형을 잡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우측 확장몸체(38)와 좌측 확장몸체(48)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공(40,50)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부 안내바(44)가 좌우를 연결하도록 결합 설치되고, 상기 하부에 형성된 결합공(41,51)에는 하부 안내바(45)가 좌우를 연결하도록 결합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 확장몸체(38)와 좌측 확장몸체(48)의 중간부에 형성된 스크류공(42,52)는 수나사가 형성된 어드저스트 스크류(46)가 체결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어드저스트 스크류(46)를 회전시키면 상기 우측 확장몸체(38) 또는 좌측 확장몸체(48)가 이동되면서 거리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우측 확장몸체(38)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좌측 확장몸체(48)가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좌측 확장몸체(48)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우측 확장몸체(38)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우측 확장몸체(38) 또는 좌측 확장몸체(48)를 고정하는 것은 치료자의 구강 상태에 따라 좌우측 확장몸체를 모두 고정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어느 한측부의 확장몸체만을 고정하고 이동시키면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제1 몸체부(102) 또는 제2 몸체부(104)를 연결하고 있는 거리조절장치(108)의 우측 확장몸체(38)을 고정하여 상기 좌측 확장몸체(48)를 이동시키거나 상기 좌측 확장몸체(48)를 고정한 후, 상기 우측 확장몸체(38)를 이동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악골 확장장치(100)는,
상기 제1 몸체부(102)와 제2 몸체부(104)가 서로 중앙에서 접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다수의 레그부(105,106)가 중앙부에 밀집되어 형성되는바, 상기 레그부(105)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가로몸체(14,26)의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고 중앙 수평 기준선(H)으로부터 45도 각도로 우상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그부(106)는 중앙 수평 기준선(H)의 좌측 상방으로 45도 경사져서 형성되는 상부 레그부와 상기 수평 기준선(H)의 좌측 하방으로 45도 각도로 형성되어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 하부 레그부를 구비한다.
상기 각각의 고정다리(16,28,34)의 각각의 일끝단부에 형성된 고정부(18,30,36)에는 스크류를 이용한 미니 임플란트가 식립된다.
상기 고정부(18,30,36)에 식립된 미니 임플란트는 상기 관통홀(20,32)을 관통하여 입천정 점막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는 입 천정에 상기 레그부(105,106)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몸체팁부(12,214)의 일끝단부가 윗치아에 걸쳐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몸체부(102)의 우측 세로몸체(10)는 상기 수직 기준선(V)으로부터 우측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부(104)의 좌측 세로몸체(22)는 수직 기준선(V)으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양측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벌어져서 상악 구조에 맞춰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소정의 각도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02,104)의 중심이 입 천정의 중앙에 위치하고 각각의 몸체팁부(12,24)가 대칭적으로 형성된 양 송곳니에 걸쳐지는 범위 안에서 결정되는 각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소구치와 제2 소구치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의 각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의 좌우측 세로몸체(10,22)는 중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면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중앙의 가로몸체(14,26)에서 연장되는 부분의 폭은 1.5 - 2.0mm이고, 상기 세로몸체(10,22)의 양 끝단의 폭은 0.5-1.0mm로 형성될 수 있고 중심에서 돌출되는 부분의 폭은 1-1.5mm로 형성되고 상기 세로몸체(10,22)의 끝단부는 0.5-0.8mm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좌우측 세로몸체(10,22)는 구강 내 또는 구강 외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몸체팁부(12,24)를 아치형상으로 구부리거나 후술되는 쐐기부(110)를 절곡하거나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몸체팁부(12,24)는 아치형상으로 절곡되고, 대칭적으로 형성된 송곳니에 걸쳐지고 아치형상으로 절곡된 몸체팁부(12,24)에는 교정력을 가하기 위한 교정부재(미도시됨)의 일측단부를 연결한다.
상기 교정부재(미도시됨)의 일측단부가 상기 몸체팁부(12,24)에 연결되면 상기 교정부재(미도시됨)의 타측부는 하악, 상악 또는 악골의 외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고정원에 연결하여 고정된다.
상기 교정부재는 고무줄이나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체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아치형상으로 절곡된 몸체팁부(12,24)에 걸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된 고무재 또는 실리콘재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악의 전방에서 더 앞쪽 방향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거리조절장치(108)를 이용하여 좌우방향으로 제1 몸체부(102) 또는 제2 몸체부(104)를 벌려주거나 거리를 좁혀줌으로써 윗턱이 안면 외부로 잡아당겨져서 불량치아의 원인이 되는 위턱에 포함된 위턱뼈가 교정되어 궁극적으로 윗치아가 정상적인 치아의 형태로 교정될 수 있다.
상기 상악골 확장장치(100)는 인체에 무해하고 강성 및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금, 은, 스테인레스 합금재를 사용하며 두께는 0.7 - 1.0mm 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확장장치(100)의 두께가 1.0mm보다 클 경우에는 구강내에 구강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0.7mm 보다 작은 경우에는 지지력이 약해서 외부에 연결 설치되어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내의 기술적 변경은 본 고안의 범위내에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우측 세로몸체 12 : 몸체팁부
14 : 가로몸체 16 : 고정다리
18 : 고정부 20 : 관통홀
22 : 좌측 세로몸체 24 : 몸체팁부
26 : 가로몸체 28 : 하부 고정다리
30 : 좌측 하부 고정부 32 : 관통홀
34 : 상부 고정다리 36 : 좌측 상부 고정부
38 : 우측 확장몸체 40 : 결합공
42 : 스크류공 44 : 상부 안내바
46 : 어드저스트 스크류 48 : 좌측 확장몸체
50 : 결합공 52 : 스크류공
100 : 상악골 견인장치
102 : 제1 몸체부 104 : 제2 몸체부
105,106 : 레그부 108 : 거리조절장치
110 : 쐐기부

Claims (4)

  1. 유(U)자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가 분리되는 가로몸체(14)를 구비한 제1 몸체부(102) 및 가로몸체(26)를 구비한 제2 몸체부(10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몸체부(102)와 제2 몸체부(104)를 연결하되, 상기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를 좌우로 벌려서 구강 내의 미니 임플란트 식립 및 치료자의 구강내의 상태에 따라 좌우로 벌리거나 좁혀서 거리 간격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거리조절장치(108)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부(102)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우측 세로몸체(10)와;
    상기 우측 세로몸체(10)의 일끝단 하부에 형성되어 절곡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몸체팁부(12)와;
    상기 우측 세로몸체(10)의 상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가로몸체(14)와;
    상기 가로몸체(14)의 일단에서 우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레그부(105)를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부(104)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좌측 세로몸체(22)와;
    상기 좌측 세로몸체(22)의 일끝단 하부에 형성되어 절곡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몸체팁부(24)와;
    상기 좌측 세로몸체(22)의 상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가로몸체(26)와;
    상기 가로몸체(26)의 일단에서 좌상방 및 좌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레그부(106)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조절장치(108)는,
    상기 제1 몸체부(102)의 가로몸체(14)에 세로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우측 확장몸체(38)와;
    상기 제2 몸체부(104)의 가로몸체(26)에 세로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우측 확장몸체(38)의 좌측부에 위치하며 평행하게 설치되는 좌측 확장몸체(48)와;
    상기 우측 확장몸체(38)와 상기 좌측 확장몸체(48)를 가로방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좌측 확장몸체(48)를 슬라이딩 이동시켜서 상기 제1 몸체부(102)와 제2 몸체부(104)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가능한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210003341U 2021-11-02 2021-11-02 확장이 가능한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 KR2004977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341U KR200497728Y1 (ko) 2021-11-02 2021-11-02 확장이 가능한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341U KR200497728Y1 (ko) 2021-11-02 2021-11-02 확장이 가능한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947U KR20230000947U (ko) 2023-05-09
KR200497728Y1 true KR200497728Y1 (ko) 2024-02-06

Family

ID=86317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341U KR200497728Y1 (ko) 2021-11-02 2021-11-02 확장이 가능한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72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598B1 (ko) * 2014-11-03 2015-01-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
KR101671730B1 (ko) 2015-09-01 2016-11-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악골 확장시술용 구개 확장장치 및 이를 위한 골정착 브라켓
KR101864311B1 (ko) 2016-11-16 2018-06-05 김병국 Iii 급 부정교합 교정 장치
KR102087256B1 (ko) 2019-10-10 2020-03-10 임영일 설치가 용이한 치아교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5317A (ko) 2008-04-02 2009-10-07 주식회사 한힘테크놀러지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스컴배출장치
KR101314571B1 (ko) 2012-08-06 2013-10-0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열 교정용 지지 부재
KR20180132320A (ko) * 2017-06-02 2018-12-12 임용택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598B1 (ko) * 2014-11-03 2015-01-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
KR101671730B1 (ko) 2015-09-01 2016-11-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악골 확장시술용 구개 확장장치 및 이를 위한 골정착 브라켓
KR101864311B1 (ko) 2016-11-16 2018-06-05 김병국 Iii 급 부정교합 교정 장치
KR102087256B1 (ko) 2019-10-10 2020-03-10 임영일 설치가 용이한 치아교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947U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4527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ruxism and occlusal forces
US4571178A (en) Forward-backward molar controlling and positioning dental appliance
ES2409280T3 (es) Dispositivo para avance mandibular
US20130112210A1 (en) Oral Sleep Apnea Device
US6361315B1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herbst therapy and arch development
US20090032030A1 (en) Apparatus for treatment of sleep apnea
KR101726590B1 (ko) 상악 치열 교정장치
US11273010B2 (en) Orofacial apparatuses and methods
BR0213090B1 (pt) aparelho ortodÈntico respeitando a distáncia do segmento canino-molar.
KR20140020317A (ko) 기능적인 악안면 치과교정 장치
US4815968A (en) Orthodontic appliance
JPS6384548A (ja) 歯列弓拡張用歯列矯正装置
JP2018531059A (ja) 歯−頭蓋骨−顔面機器のための歯列矯正用弾性調整装置
JP2018531059A6 (ja) 歯−頭蓋骨−顔面機器のための歯列矯正用弾性調整装置
TWM615022U (zh) 齒列矯正牙套
US202002611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ruxism and occlusal forces
US6244862B1 (en) Orthodontic appliance
CN108371561B (zh) 一种扩弓式咬合垫
US6976838B1 (en) Newly developed face bow and protraction headgear in correction of anterior openbite class III patients
US7121824B2 (en) Protraction headgear
KR200497728Y1 (ko) 확장이 가능한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
US7159591B2 (en) Kussick mandibular advancement appliance
KR20030047634A (ko) 다수의 훅을 이용한 치열 고정 장치
US20170290727A1 (en) Cervical trac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2649595B1 (ko) 상악골 확장 기능을 포함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