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2320A -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 - Google Patents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32320A KR20180132320A KR1020170069098A KR20170069098A KR20180132320A KR 20180132320 A KR20180132320 A KR 20180132320A KR 1020170069098 A KR1020170069098 A KR 1020170069098A KR 20170069098 A KR20170069098 A KR 20170069098A KR 20180132320 A KR20180132320 A KR 201801323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teeth
- tooth
- rotation
- maxilla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0—Devices having means to apply outwardly directed force, e.g. expan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04—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with means for distracting or compressing the bone or bo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는 안면골 확장이 용이하도록 입 천장에 확장장치를 고정시켜 입 천장 내에 위치한 상악골을 좌우측으로 확장시키며, 한 쌍의 가이드바를 구비하여 한 쌍의 본체부가 좌우측으로 균등하게 이동되도록 하고, 치아연결암과 간격조절부재와 가이드바의 정렬로 입 천장에 고정시 사용자가 거부감을 갖지 않도록 하기 위한 상악골 안면골 확장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이 용이하도록 입 천장에 확장장치를 고정시킨 후 확장장치를 통해 팔라탈 슈처라인을 벌림으로 상악골과 안면골을 확장하는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에 대한 것이다.
상악골과 안면골에는 많은 슈처라인들이 존재하고, 슈처라인 중 입 천장 부위에 있는 슈처라인을 팔라탈 슈처라인이라 한다.
상기 팔라탈 슈처라인을 벌리게 되면 상악골과 안면골에 있는 다른 슈처라인들도 벌려지게 되어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이 가능해진다.
상악골과 안면골을 확장하는 이유는 치과적 교정의 효과를 얻기 위함인데 예를 들어 부정교합이나 함몰된 안면부를 돌출시키는 미용적 효과를 얻기 위함인 것이다.
교정 치료(Orthodontic)란 단순히 비뚤어진 치아를 가지런히 하는 것을 포함, 성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골격적 부조화를 바로잡아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건강한 구강 조직 및 아름다운 얼굴 모습을 만들어주는 시술을 의미한다.
특히, 아래위 치아의 맞물림에 대한 이상이나 안면 골격구조(턱뼈의 골격구조)에 대한 이상이 너무나 심해 치아의 이동만으로는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는데, 얼굴의 골격 자체의 이상을 수술로 바로잡아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얼굴을 만드는 시술이 악교정 수술(Jaw Correction Surgery, Maxillofacial Surgery)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악교정 수술은 치아에 점진적인 힘을 가하여 치열을 고르게 하는 시술만으로는 얼굴모양의 개선과 치아기능의 개선이 불완전할 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악골의 성장이 종료된 성인의 경우는 단순한 치아 이동만으로는 부정교합의 치료나 골격개선이 어려운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상술한 악교정 수술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악골을 절골(Bone Cutting)하여 악골을 교정하는 수술은 환자에게 신체적 고통과 비용적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있기에, 악골을 절골하는 수술방식 이외에 악골에 교정력을 가하여 골격을 점진적으로 개선하는 시술이 적용되기도 한다.
악골에 교정력을 가하는 시술의 일 예로서 상악골 확장술(Palatal Expansion Therapy)이 있으며, 상기 상악골 확장술은 상악골을 양측 즉 좌우로 벌려서 상악골의 폭을 넓히는 시술을 말한다.
상기 상악골 확장술을 위하여 근래에는 구강내 장치와 구강외 장치 등 다양한 치과용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구강외 장치는 생활에 큰 불편함을 주고 시각적인 혐오감을 주기 때문에 최근에는 상기 구강내 확장장치를 설치하여 상악골 확장을 하는 추세이다.
또한, 상악골 확장을 위해 사용되는 구강내 확장장치는 나사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확장장치를 구강내 입 천장에 고정 설치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확장장치에는 고정수단을 수용하는 결합홀이 구성된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는 현재 입천장에 설치된 확장장치의 입천장에 대한 강한 고정력을 위해 직경이 큰 나사등의 고정수단의 교체가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확장장치는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나사등과 같은 고정수단의 직경은 확장장치의 고정홀에 맞는 사이즈를 갖게 되어 큰 직경을 갖는 고정수단의 교체는 현재 입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확장장치를 새로운 확장장치로의 교체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미 입 천장체 설치된 확장장치를 고정수단의 교체 때문에 다른 확장장치로 교체하는 것는 비용 상승과 재 설치라는 불편함이 존재해 왔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 천장에 고정되는 확장장치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다른 직경을 갖는 고정수단을 사용하더라도 확장장치의 교체 없이 직경이 다른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확장장치를 입 천장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간격조절부에 형성되는 회전홈의 직경과 개수를 조절하여 상악골의 확장시술 시 좀 더 강한 힘으로 상악골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미세한 확장 시술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치아연결암을 간격조절부재와 가이드바의 정렬 위치보다 상단에 배치하여 입 천장에 설치되는 확장장치를 구강 전면부에 가까이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확장시술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10)는,
상악골을 좌우측으로 밀어 확장시키기 위해 입 천장 일측에 설치되어 좌우측으로 이격되는 제1,2본체부(110,1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제1,2본체부(110,120)가 상호 좌우측으로 이격됨에 따라 발생하는 이격되는 힘을 치아에 전달해 상악골 확장을 보조적으로 돕고, 본체부(100)에 의한 상악골 확장시 안정된 확장을 위해 일측이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치아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치아연결암(200)과;
간격조절부(400)의 구동시 상기 제1,2본체부(110,120)가 좌우측으로 균등하게 이격 되도록 상기 본체부(100)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제1,2본체부(110,120)의 이격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바(300)와;
상기 제1,2본체부(110,120)를 상호 좌우측으로 이격시켜 제1,2본체부(110,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본체부(100)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간격조절부(400)와;
상기 본체부(100)를 입 천장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고정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입 천장에 고정되는 확장장치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다른 직경을 갖는 고정수단을 사용하더라도 확장장치의 교체 없이 직경이 다른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확장장치를 입 천장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간격조절부에 형성되는 회전홈의 직경과 개수를 조절하여 상악골의 확장시술 시 좀 더 강한 힘으로 상악골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미세한 확장 시술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치아연결암을 간격조절부재와 가이드바의 정렬 위치보다 상단에 배치하여 입 천장에 설치되는 확장장치를 구강 전면부에 가까이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1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10)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10)에 대한 본체부(100)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10)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10)에 대한 간격조절부(400)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10)에 대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7,8,9는 본 발명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10)의 실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10)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10)에 대한 본체부(100)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10)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10)에 대한 간격조절부(400)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10)에 대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7,8,9는 본 발명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10)의 실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10)는,
팔라탈 슈처라인을 좌우측으로 밀어 확장시키기 위해 입 천장 일측에 설치되어 좌우측으로 이격되는 제1,2본체부(110,1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제1,2본체부(110,120)가 상호 좌우측으로 이격됨에 따라 발생하는 이격되는 힘을 치아에 전달해 상악골 확장을 보조적으로 돕고, 본체부(100)에 의한 상악골 확장시 안정된 확장을 위해 일측이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치아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치아연결암(200)과;
간격조절부(400)의 구동시 상기 제1,2본체부(110,120)가 좌우측으로 균등하게 이격 되도록 상기 본체부(100)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제1,2본체부(110,120)의 이격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바(300)와;
상기 제1,2본체부(110,120)를 상호 좌우측으로 이격시켜 제1,2본체부(110,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본체부(100)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간격조절부(400)와;
상기 본체부(100)를 입 천장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고정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동일한 형상의 제1,2본체부(110,120)로 구성되고, 제1,2본체부(110,120)는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한 쌍을 이루며, 상기 제1,2본체부(110,120)는 간격조절부(400)의 구동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입 천장의 팔라탈 슈처라인을 벌려 결과적으로 상악골과 안면골을 확장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00)는 입 천장에 고정되며 상호 좌우측으로 이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2본체부(110,120)와;
상기 제1,2본체부(110,120)를 입 천장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500)이 삽입 수용되도록 상기 고정단(130)에 관통 형성되는 고정홀(131)과;
고정단(130) 일측에 형성되며, 고정수단(500)의 직경이 고정홀(131)의 직경보다 큰 경우 상기 고정홀(13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고정수단(500)을 수용하기 위해 고정홀(131)이 일정 텐션을 갖으며 벌어지도록 하는 유격홈(132)과;
복수의 치아연결암(200) 일측을 본체부(100)에 연결하기 위해 제1,2본체부(110,1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스크류홀(160)보다 높은 위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암삽입홈(140)과;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가 좌우측으로 상호 이격시 원활한 이동을 위해 한 쌍의 가이드바(300)가 관통 수용될 수 있도록 제1,2본체부(110,1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스크류홀(160)보다 낮은 위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홀(150)과;
간격조절부(400)가 관통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되는 스크류홀(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본체부(110,120)는 동일한 형상의 부재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상호 좌우측으로 이격 되도록 입 천장에 각각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본체부(110,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부(400)의 작동시 서로 반대방향인 좌우측으로 이동하여 팔라탈 슈처라인을 벌려 상악골과 안면골을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악골과 안면골에는 많은 슈처라인들이 존재하고, 특히 상악골 중 입 천장 부위에 있는 슈처라인을 팔라탈 슈처라인이라 한다.
상기 제1,2본체부(110,120)는 팔라탈 슈처라인을 중심으로 팔라탈 슈처라인 양측에 위치되도록 고정수단(500)을 통해 입 천장에 고정 설치된다.
팔라탈 슈처라인을 중심으로 양측에 고정 설치된 제1,2본체부(110,120)가 간격조절부(400)의 작동을 통해 서로 반대방향인 좌우측으로 이격 되면 상기 팔라탈 슈처라인은 벌려지게 되고 그 결과 다른 안면골에 있는 슈처라인도 벌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팔라탈 슈처라인이 벌어지게 되면 상악골과 안며골에 있는 다른 슈처라인들이 벌어지게 되어 상악골과 안면골이 확장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2본체부(110,120)의 상호 이격되는 힘은 팔라탈 슈처라인을 벌려 결과적으로 상악골과 안면골을 확장하기 위한 주된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고정단(130)은 입 천장과 면접촉 하여 확장장치가 입 천장에 대해 고정력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확장장치를 입 천장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131)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고정단(130)에는 고정홀(13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131)에는 고정수단(500)이 삽입되어 입 천장에 제1,2본체부(110,120)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단(130)은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 각각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형성되며,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 양측에 형성되는 고정단(130)은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홀(131)은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를 입 천장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500)이 관통 수용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수단(500)은 고정홀(131)에 관통 삽입된 후 입 천장에 고정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홀(131)은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를 입 천장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500)이 관통되도록 하는 일정 직경을 갖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격홈(132)은 고정홀(131)에 관통 삽입되는 고정수단(500)의 직경이 고정홀(131)의 직경보다 큰 경우, 직경이 큰 고정수단(500)이 고정홀(131)에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홀(131)의 직경보다 큰 고정수단(500)이 관통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유격홈(132)은 직경이 큰 고정수단이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텐션을 갖으면서 벌어져 고정홀(131)보다 직경이 큰 고정수단(500)이 원활하게 고정홀(131)에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암삽입홈(140)은 제1본체부(110) 일측과 제2본체부(120) 일측에 형성되어 복수의 치아연결암(200)의 일측들을 삽입 수용하기 위한 홈으로, 제1,2본체부(110,1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스크류홀(160)보다 높은 위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암삽입홈(140)을 제1,2본체부(110,1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스크류홀(16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복수의 암삽입홈(140)에 일측이 삽입되는 복수의 치아연결암(200)들이 가이드홀(150)이나 스크류홀(160)에 관통 삽입되는 가이드바(300)나 간격조절부(400) 보다 높은 상측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복수의 치아연결암(200)들을 가이드바(300)나 간격조절부(400) 보다 높은 상측에 설치하게 되면 복수의 치아연결암(200)들이 가이드바(300)나 간격조절부(400)와 동일한 높이로 일렬 설치되는 경우보다 본체부(100)의 넓이를 축소해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인 확장장치의 전체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어 입 천장에 설치되는 확장장치를 구강 전면부에 가까이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을 위한 확장장치의 조절시 시술자가 용이하게 시술에 임할 수 있게 때문이다.
즉, 상기 설명한 복수의 치아연결암(200)들의 설치 위치에 대한 특징은 복수의 치아연결암(200)과 가이드바(300)와 간격조절부(400)가 같은 높이의 일렬 배치된 종래의 확장장치의 길이 제한성에 의해 입 천장에 설치되는 확장장치를 구강 전면부에 가까이 설치할 수 없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기술적 특징인 것이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홀(150)은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가 상호 이격시 이격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바(300)가 관통 삽입되기 위한 홀로서, 제1,2본체부(110,1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스크류홀(160)보다 낮은 위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가이드바(300) 일측이 제1본체부(110)에 형성된 가이드홀(150)에 관통 삽입되고, 가이드바(300) 타측이 제2본체부(120)에 형성된 가이드홀(150)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2본체부(110,120)는 원활하게 상호 이격 되도록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홀(160)은 간격조절부(400)가 관통 수용될 수 있도록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 각각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홀로서, 간격조절부(400)와 스크류홀(160)은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간격조절부(400)의 회전시 스크류홀(160)에 형성된 나사산과 간격조절부(400)에 형성되는 나사산의 기계적 결합 메카니즘에 의해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가 각각 상호 이격되도록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2본체부(110,120)는 복수의 치아연결암(200)이 가이드바(300)와 간격조절부(400) 상측에 설치될 수 있도록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의 중앙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복수의 암삽입홈(140)이 형성되는 돌출단(1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단(170)은 복수의 치아연결암(200) 일측이 삽입 수용되는 암삽입홈(140)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 각각의 중앙부 상측으로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돌출단(170)은 제1,2본체부(110,120)에 형성되는 가이드홀(150)과 스크류홀(160)보다 높은 위치에 암삽입홈(140)이 형설 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수단인 것이다.
상기 돌출단(170)에 암삽입홈(140)이 형성됨으로 암삽입홈(140)과 가이드홀(150)과 스크류홀(16) 이 3단 홀구조로 본체부(100)를 구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본체부(100)의 넓이를 좁게 설계할 수 있어 본 발명의 확장장치를 구강 전면부에 가까이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상악골 확장을 위한 확장장치의 조절시 시술자가 용이하게 시술에 임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이드홀(150)과 스크류홀(160)과 암삽입홈(140)이 본체부(100)에 배치되는 구조는 본체부(100) 중앙에 스크류홀(160)이 형성되고, 스크류홀(160)보다 낮은 위치에 복수의 가이드홀(150)이 형성되고, 스크류홀(160)보다 높은 위치에 복수의 암삽입홈(14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홀(150)과 스크류홀(160)과 암삽입홈(140)이 본체부(100)에 배치 형성되면, 가이드홀(150)과 스크류홀(160)과 암삽입홈(140)이 본체부(100)에 동일 높이로 일렬 배치되는 경우보다 본체부(100)의 넓이를 좁게 설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수의 치아연결암(200)들은 일측이 제1,2본체부(110,120)에 연결되고, 타측은 치아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 상태에서 1,2본체부(110,120)의 상호 이격에 의한 이격힘이 치아연결암(200)에 의해 치아에 전달된다.
치아에 치아연결암(200)을 연결하는 이유는 2가지 측면을 위함이다.
첫번째 측면은,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을 위한 보조적 힘을 치아에 전달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악골고 안면골 확장은 팔라탈 슈처라인을 중심으로 양측에 고정 설치된 1,2본체부(110,120)의 상호 이격에 의해서 주되게 이루어지며, 치아연결암은 1,2본체부(110,120)의 상호 이격힘을 치아에 전달해 치아와 연결되어 있는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을 보조적으로 돕는 것이다.
즉, 치아는 상악골과 안면골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1,2본체부(110,120)의 상호 이격힘이 치아연결암에 의해 치아에 전달되면 치아가 좌우측으로 밀려지게 되고 치아와 연결되어 있는 상악골과 안면골도 좌우측으로 확장되는 것이다.
두번째 측면은 상악골 확장시 안정된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을 위함이다. 만일 치아연결암이 치아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1,2본체부(110,120)에 의해 상악골과 안면골이 확장되면 확장 방향이 불규칙해져 원하는 모양의 확장을 얻을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치아연결암이 치아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악골과 안면골의 확장이 이루어지면 치아는 상악골과 안면골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원하는 모양의 확장과 안정된 확장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10)는,
상기 제1,2본체부(110,120)의 이격힘을 치아에 전달하기 위한 치아연결부재(210)를 더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치아연결암(200)의 일측은 본체부(100)에 연결되고, 타측은 치아 대신 치아연결부재(210)에 연결되며,
상기 치아연결부재(210)는 치아에 걸려지거나 씌어짐으로 제1,2본체부(110,120)의 이격힘을 치아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치아연결부재(210)에는 치아연결암(200) 일측이 연결되어 있어 치아연결부재(210)가 치아에 걸려지거나 씌어짐으로 치아에 연결되면 제1,2본체부(110,120)의 이격시 이격힘이 양쪽 치아에 전달되고 이로 인해 안정된 상악골 확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치아연결부재(210)의 형상은 입 천장 형상에 대응되는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치아연결부재(210)의 일측(치아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치아걸쇄부(211)가 형성되어 상기 치아걸쇄부(211)가 치아에 걸어짐으로 치아연결부재(210)가 치아에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의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10)는,
상기 제1,2본체부(110,120)의 이격힘을 치아에 전달하기 위한 치아연결부재(210)와 치아걸쇄부(211)를 더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치아연결암(200)의 일측은 본체부(100)에 연결되고, 상기 치아연결암(200)의 타측은 치아 대신 치아연결부재(210)에 연결되며,
상기 치아연결부재(210)의 일측에는 치아연결암(200)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치아걸쇄부(211)가 형성되며,
상기 치아걸쇄부(211)는 치아에 걸려짐으로 제1,2본체부(110,120)의 이격힘을 치아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치아연결부재(210)의 형상은 입 천장 형상에 대응되는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치아연결부재(210)의 실시예는 치아연결부재(210)가 직접 치아에 걸어지거나 씌어지는 실시예인 반면, 도 9에 도시된 치아연결부재(210)의 실시예는 치아연결부재(210)에 형성되는 치아걸쇄부(211)가 치아에 걸어지는 실시예인 것이다.
도 1 내지 도 2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이드바(300)는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홀(150)에 관통 수용되어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가 간격조절부(400)에 의한 간격 조절시 상호 이격되거나 상호 가까워지도록 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의 이격 안내를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간격조절부(400)의 회전조작부(420)상에 형성된 회전홈(430)에 회전조작핀을 삽입하여 회전조작부(420)를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회전된 각도에 대응된 거리만큼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는 상호 이격되는데, 이때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는 상기 가이드바(300)에 의해 안내되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간격조절부(400)는 간격조절부(400)의 회전에 의해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가 상호 이격되도록 제1,2본체부(110,120)에 형성된 스크류홀(160)에 관통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간격조절부(400)는,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에 형성된 스크류홀(16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 결합되는 스크류(410)와;
회전조작핀을 이용해 상기 스크류(410)를 스크류홀(160) 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스크류(410) 중앙에 형성되는 회전조작부(42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조작부(420) 외주면 둘레에는 스크류(4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조작핀을 삽입할 수 있는 복수의 회전홈(4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410)는 간격조절부(400)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에 각각 형성되는 스크류홀(160)에 각각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조절부(400) 양측으로 형성되는 스크류(410)는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410)의 회전시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 는 상호 이격되거나 상호 가까워지도록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조작부(420)는 스크류(4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양측으로 형성되는 스크류(410) 중앙에 형성되는 것으로, 회전조작부(420)의 회전으로 스크류(410)가 회전되고, 이로 인해 제1,2본체부(110,120)가 상호 이격되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조작부(420)는 회전조작핀(미도시)을 이용하여 회전시키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조작핀을 회전조작부(420)에 형성되는 회전홈(430)에 삽입시켜 회전조작부(420)를 회전시키면 제1,2본체부(110,120)는 회전조작부(4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호 다른 방향으로 이격 이동되거나 또는 중앙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홈(430)은 회전조작부(420) 외주면 둘레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으로, 회전조작핀(미도시)을 회전홈(430)에 삽입시켜 회전조작부(420)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조작부(420)는 원통형 모양이거나 다각형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조작부(420)의 직경은 회전조작부의 회전시 입 천장등에 의한 마찰에 의해 회전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조작부(420)의 직경은 제1,2본체부(110,120)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조작부(420)의 직경이 제1,2본체부(110,120)의 두께보다 많이 클 경우 입 천장에 간섭받아 상기 회전조작부(420)의 회전의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며, 회전조작부(420)의 직경이 제1,2본체부(110,120)의 두께보다 월등히 작을 경우 회전조작부(420)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회전홈(430)의 형성 개수에 제한이 따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회전조작부(420)의 직경은 2mm ~ 7mm 사이의 직경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회전조작부(420)의 두께가 너무 작게 되면 회전조작부(420)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회전홈(430)의 형성 크기에 제한이 따르게 된다.
만약, 회전조작부(420)의 두께가 얇아 회전홈의 크기가 작게 형성되면 회전홈(430)에 삽입되는 회전조작핀도 가는 회전조작핀을 사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회전조작부(420)를 회전시킬 회전조작힘이 작을 수밖에 없다.
회전조작힘이 작게 되면 제1,2본체부(110,120)를 이격시킬 힘이 작게 되고 이로 인해 상악골과 안면골을 확장시킬 충분한 힘, 즉 팔라탈 슈처라인을 벌릴 충분한 힘이 전달되지 못하게 되어 충분한 상악골과 안면골의 확장이 이루어 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충분한 회전조작힘을 2mm ~ 7mm 사이의 직경을 갖는 회전조작부(420)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직경을 갖는 회전조작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회전홈(430)의 직경은 일정 크기 이상(1mm ~ 2mm)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회전조작부(420)의 두께는 2mm ~ 4mm가 되어야 하며, 3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께가 2mm ~ 4mm로 형성되는 회전조작부(420)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회전홈(430)의 직경은 1mm ~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조작부(420)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회전홈(430)의 갯수는 5 ~ 8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홈(430)의 형성 개수에 따라 제1,2본체부(110,120)의 미세 이격 조절이 가능해진다.
너무 적은 숫자로 회전홈이 형성되면 미세 이격조절이 불가능해 지게 되는데, 상악골 확장을 위한 시술시 한 번에 너무 많이 이격시키게 되면 상악골 확장 부작용이 발생하게 되어 일회 시술시 확장해야 할 상악골 확장 거리에는 제한 거리가 있다.
또한, 너무 적은 숫자로 회전홈이 형성되면 상악골 확장을 위한 시술시 시술자가 회전조작부(42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작에 불편함이 초래된다.
상악골 확장 시술은 좁은 구강내에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너무 적은 숫자로 회전홈이 형성되면 회전조작부(42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작(하나의 회전홈에 회전조작핀을 삽입시켜 회전조작부를 회전시킨 후 다음 회전홈에 회전조작핀을 삽입시키는 동작)에 제약에 받게 된다.
그러나 충분한 숫자의 회전홈을 형성하게 되면 좁은 구강내에서 회전조작부(420)를 회전시키기 위한 시술자의 동작이 편하지게 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회전조작부(420)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회전홈(430)의 갯수는 5 ~ 8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500)은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를 입 천장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제1,2본체부(110,120) 각각의 고정단(130)에 형성된 고정홀(131)에 고정수단(500)이 관통된 후 입 천장에 고정수단(500)이 나사방식으로 결합됨으로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가 입 천장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500)의 직경은 고정홀(131)의 직경과 동일하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강한 고정력을 위해 현재의 고정수단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정수단(500)을 교체 사용할 필요가 생기게 되는데, 이 경우 새로운 고정수단(종전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정수단)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고정수단의 직경에 맞는 고정홀이 형성된 새로운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를 사용하게 되어야 하며, 이는 현재 입천장에 설치된 확장장치의 교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강한 고정력을 위해 고정홀(13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정수단(500)을 사용하는 경우란, 팔라탈 슈처라인을 중심으로 양측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된 제1,2본체부(110,120)를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을 위해 좌우측으로 이격시키는 경우 상악골과 안면골은 확장에 대해 저항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악골과 안면골 저항력에 의해 고정수단이 휘거나 심한 경우 부러지는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의 경우 현재의 직경을 갖는 고정수단으로는 충분한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이 곤란하기 때문에 충분한 확장력을 상악골과 안면골에 제공하기 위해 현재의 고정수단보다 직경이 큰 직경을 갖는 고정수단을 사용해야 하는 것이다.
즉, 현재 설치된 확장장치 고정수단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정수단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로 구성된 확장장치(새로운 고정수단의 직경에 맞는 고정홀을 갖는 확장장치)를 입 천장에 새로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유격홈(132) 부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 텐션을 갖으면서 벌어질 수 있는 유격홈(132)에 의해 고정홀(131)에 관통 삽입되는 고정수단(500)의 직경이 고정홀(131)의 직경보다 큰 경우라도 상기 유격홈(132)의 벌어짐 동작에 의해 큰 직경의 고정수단(500)을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새로운 확장장치의 교체 설치 없이 다른 직경을 갖는 고정수단을 기존 설치된 확장장치에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확장장치
100 : 본체부 110 : 제1본체부
120 : 제2본체부 130 : 고정단
131 : 고정홀 132 : 유격홈
140 : 암삽입홈 150 : 가이드홀
160 : 스크류홀 170 : 돌출단
200 : 치아연결암 210 : 치아연결부재
300 : 가이드바
400 : 간격조절부 410 : 스크류
420 : 회전조작부 430 : 회전홈
500 : 고정수단
100 : 본체부 110 : 제1본체부
120 : 제2본체부 130 : 고정단
131 : 고정홀 132 : 유격홈
140 : 암삽입홈 150 : 가이드홀
160 : 스크류홀 170 : 돌출단
200 : 치아연결암 210 : 치아연결부재
300 : 가이드바
400 : 간격조절부 410 : 스크류
420 : 회전조작부 430 : 회전홈
500 : 고정수단
Claims (11)
-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10)는,
팔라탈 슈처라인을 좌우측으로 밀어 확장시키기 위해 입 천장 일측에 설치되어 좌우측으로 이격되는 제1,2본체부(110,1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제1,2본체부(110,120)가 상호 좌우측으로 이격됨에 따라 발생하는 이격되는 힘을 치아에 전달해 상악골 확장을 보조적으로 돕고, 본체부(100)에 의한 상악골 확장시 안정된 확장을 위해 일측이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치아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치아연결암(200)과;
간격조절부(400)의 구동시 상기 제1,2본체부(110,120)가 좌우측으로 균등하게 이격 되도록 상기 본체부(100)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제1,2본체부(110,120)의 이격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바(300)와;
상기 제1,2본체부(110,120)를 상호 좌우측으로 이격시켜 제1,2본체부(110,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본체부(100)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간격조절부(400)와;
상기 본체부(100)를 입 천장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고정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입 천장에 고정되며 상호 좌우측으로 이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2본체부(110,120)와;
상기 제1,2본체부(110,120)를 입 천장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500)이 삽입 수용되도록 상기 고정단(130)에 관통 형성되는 고정홀(131)과;
고정단(130) 일측에 형성되며, 고정수단(500)의 직경이 고정홀(131)의 직경보다 큰 경우 상기 고정홀(13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고정수단(500)을 수용하기 위해 고정홀(131)이 일정 텐션을 갖으며 벌어지도록 하는 유격홈(132)과;
복수의 치아연결암(200) 일측을 본체부(100)에 연결하기 위해 제1,2본체부(110,1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스크류홀(160)보다 높은 위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암삽입홈(140)과;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가 좌우측으로 상호 이격시 원활한 이동을 위해 한 쌍의 가이드바(300)가 관통 수용될 수 있도록 제1,2본체부(110,1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스크류홀(160)보다 낮은 위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홀(150)과;
간격조절부(400)가 관통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되는 스크류홀(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본체부(110,120)는,
복수의 치아연결암(200)이 가이드바(300)와 간격조절부(400) 상측에 설치될 수 있도록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의 중앙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복수의 암삽입홈(140)이 형성되는 돌출단(1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10)는,
상기 제1,2본체부(110,120)의 이격힘을 치아에 전달하기 위한 치아연결부재(210)를 더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치아연결암(200)의 일측은 본체부(100)에 연결되고, 상기 치아연결암(200)의 타측은 치아 대신 치아연결부재(210)에 연결되며,
상기 치아연결부재(210)는 치아에 걸려지거나 씌어짐으로 제1,2본체부(110,120)의 이격힘을 치아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10)는,
상기 제1,2본체부(110,120)의 이격힘을 치아에 전달하기 위한 치아연결부재(210)와 치아걸쇄부(211)를 더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치아연결암(200)의 일측은 본체부(100)에 연결되고, 상기 치아연결암(200)의 타측은 치아 대신 치아연결부재(210)에 연결되며,
상기 치아연결부재(210)의 일측에는 치아연결암(200)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치아걸쇄부(211)가 형성되며,
상기 치아걸쇄부(211)는 치아에 걸려짐으로 제1,2본체부(110,120)의 이격힘을 치아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400)는,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에 형성된 스크류홀(16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 결합되는 스크류(410)와;
회전조작핀을 이용해 상기 스크류(410)를 스크류홀(160) 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스크류(410) 중앙에 형성되는 회전조작부(42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조작부(420) 외주면 둘레에는 스크류(4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조작핀을 삽입할 수 있는 복수의 회전홈(4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작부(420)는 원기둥 모양 또는 다각기둥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전홈(430)의 갯수는 5 ~ 8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홈(430)의 직경은 1mm ~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작부(420)의 직경은 2mm ~ 7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작부(420)의 두께는 2mm ~ 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9098A KR20180132320A (ko) | 2017-06-02 | 2017-06-02 |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9098A KR20180132320A (ko) | 2017-06-02 | 2017-06-02 |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2320A true KR20180132320A (ko) | 2018-12-12 |
Family
ID=64670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9098A KR20180132320A (ko) | 2017-06-02 | 2017-06-02 |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132320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7256B1 (ko) * | 2019-10-10 | 2020-03-10 | 임영일 | 설치가 용이한 치아교정 장치 |
KR102226747B1 (ko) * | 2019-09-03 | 2021-03-10 | 이요섭 | 악궁 확장장치 |
WO2021075614A1 (ko) * | 2019-10-18 | 2021-04-22 | 이요섭 | 구개 확장장치 |
EP3818958A1 (en) * | 2019-11-11 | 2021-05-12 | Biomaterials Korea Inc. | Exchangable or replaceable maxillary skeletal expander |
KR20230000947U (ko) * | 2021-11-02 | 2023-05-09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확장이 가능한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 |
-
2017
- 2017-06-02 KR KR1020170069098A patent/KR2018013232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6747B1 (ko) * | 2019-09-03 | 2021-03-10 | 이요섭 | 악궁 확장장치 |
KR102087256B1 (ko) * | 2019-10-10 | 2020-03-10 | 임영일 | 설치가 용이한 치아교정 장치 |
WO2021075614A1 (ko) * | 2019-10-18 | 2021-04-22 | 이요섭 | 구개 확장장치 |
EP3818958A1 (en) * | 2019-11-11 | 2021-05-12 | Biomaterials Korea Inc. | Exchangable or replaceable maxillary skeletal expander |
KR20210056757A (ko) * | 2019-11-11 | 2021-05-20 | 주식회사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 교체형 악궁 확장 장치 |
US11648092B2 (en) | 2019-11-11 | 2023-05-16 | Biomaterials Korea Inc. | Exchangeable or replaceable maxillary skeletal expander |
KR20230000947U (ko) * | 2021-11-02 | 2023-05-09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확장이 가능한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132320A (ko) | 상악골과 안면골 확장장치 | |
EP1250100B1 (en) | Apparatus for intraoral distraction osteotomy to widen the upper jaw | |
CA2483583C (en) | Compact maxillary distractor | |
US6592366B2 (en) | Apparatus for palatal expansion | |
US6972020B1 (en) | Multi-directional internal distraction osteogenesis device | |
US6869283B2 (en) | Implant hole guide | |
RU2435546C2 (ru) |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экспандер для расширения верхней челюсти и перемещающий аппарат | |
US3977082A (en) | Palatal expander | |
US20130101952A1 (en) | Orthodontic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malocclusions | |
US6322566B1 (en) | Intraoral distractor for callus distraction in the lower jaw | |
JPS626456B2 (ko) | ||
KR102226747B1 (ko) | 악궁 확장장치 | |
JP2019503747A (ja) | 口蓋拡張装置 | |
KR20220160513A (ko) | 구개 확장장치 | |
RU2553493C2 (ru) | Эргономичны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атравматического удаления зуба | |
US6626667B2 (en) | Implant guide arrangement | |
EP1322243B1 (en) | Maxillary distractor | |
US5133659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a palatal expander | |
KR102276447B1 (ko) | 교체형 악궁 확장 장치 | |
KR100484610B1 (ko) | 치아교정용 앵커식립장치 | |
KR20200103004A (ko) | 개선된 상악골 확장기 및 전인장치 | |
KR100541066B1 (ko) | 치과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토오크 드라이버 | |
JPH119613A (ja) | 下顎脱臼用装置 | |
EP1274355B1 (en) | Apparatus for intraoral distraction osteotomy to widen the lower jaw | |
JP2001112786A (ja) | 印象採得用トレ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