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4381A - 자가 사용에 적합한 형태의 교정용 와이어 커터 - Google Patents

자가 사용에 적합한 형태의 교정용 와이어 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4381A
KR20230134381A KR1020220031692A KR20220031692A KR20230134381A KR 20230134381 A KR20230134381 A KR 20230134381A KR 1020220031692 A KR1020220031692 A KR 1020220031692A KR 20220031692 A KR20220031692 A KR 20220031692A KR 20230134381 A KR20230134381 A KR 20230134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orming part
extending
hinge portion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아름
Original Assignee
박아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아름 filed Critical 박아름
Priority to KR1020220031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4381A/ko
Publication of KR20230134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438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61C7/026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for twisting orthodontic ligatur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61C7/04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plier-type, e.g. pin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7/00Hand cutting tools, i.e. with the cutting action actuated by muscle power with two jaws which come into abutting contact
    • B26B17/02Hand cutting tools, i.e. with the cutting action actuated by muscle power with two jaws which come into abutting contact with jaws operated indirectly by the handles, e.g. through cams or toggle le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교차해서 회동가능하게 동작하는 한 쌍의 작동간; 및 상기 한 쌍의 작동간에 설치되며 와이어를 아치형으로 절곡시킬 수 있는 호 형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호 형성부는, 호 형성부의 몸체를 이루는 원판 본체;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상기 원판 본체의 외주둘레에서 내측으로 일정깊이 요입된 형상의 가이드부; 및 와이어를 걸어 고정하도록 상기 원판 본체의 외주둘레에 설치되는 걸쇠;를 포함하며, 작동간을 전후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교정용 와이어 밴딩 플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가 사용에 적합한 형태의 교정용 와이어 커터 {Straightening wire cutter suitable for orthodontic}
본 발명은 다기능 교정용 와이어 밴딩 플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정장치의 클래스프를 다양한 형태로 절곡시킬 수 있는 다기능 교정용 와이어 밴딩 플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부정 교합은 외적으로 심미성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사람의 저작기능을 현저하게 저하시켜 장기의 기능 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한다.
이러한 부정 교합을 바로잡기 위하여 외과적 시술이 행해짐과 더불어 구강내에는 치열을 이동시키는 교정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교장장치는 치열을 바로잡고자 하는 사람(환자)의 치아에 부착되는 브라켓에 의해 구강내에서 완전히 고정되는 고정성 교정장치와 환자의 구강내에서 선택적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제작되는 가철성 교정장치로 분류된다.
상기 고정성 교정장치의 경우, 환자의 치아 순면(labial surface) 또는 설면(lingual surface)에 부착된 브라켓에 걸리는 클래스프에 의해 유지력을 얻으며, 가철성 교정장치의 경우, 치아의 해부학적인 특징으로 인한 언더컷에 클래스프가 걸리도록 하여 구강 내에서 유지력을 얻게 된다.
상기 클래스프의 탄성력에 의해 야기된 복원력이 치아를 누름, 당김 및 비틀림과 같은 외부력으로 작용하여 개개의 치아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교장장치의 클래스프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냉간가공된 선형(Line form)의 치과용 와이어를 교정장치가 적용될 환자의 구강환경에 맞도록 절곡시켜 제작하게 된다. 사람의 구강환경, 예컨대 악골의 크기, 치열의 만곡도, 치아의 형태와 크기는 사람마다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교정장치를 장착시킬 환자의 구강환경에 맞도록 클래스프를 절곡하여야 한다.
또한, 클래스프의 종류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한 절곡방향과 형상으로 와이어를 절곡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플라이어는 그 형상이 단일화되어 있어, 다양한 형태의 클래스프를 제작할 경우 그 형상 및 기능이 다른 복수의 플라이어를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복수의 플라이어를 구비하지 못할 경우에는 원하는 클래스프의 형상으로 와이어를 절곡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다양한 기능을 갖는 플라이어들을 다수 구비하였다 하더라도, 클래스프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손으로 파지한 플라이어를 매번 교체하는 과정이 불가피하므로 이는 효과적인 교정장치의 제작 작업에 있어 장애요인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교정장치를 제작하기 위해 클래스프를 절곡할 때 와이어를 다양한 곡면으로 절곡시킬 수 있고, 한 개의 플라이어를 통해 다양한 절곡 포인트로 구성되는 클래스프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다기능 교정용 와이어 밴딩 플라이어를 제공하는데 그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서로 교차해서 회동가능하게 동작하는 한 쌍의 작동간; 및 상기 한 쌍의 작동간의 경로상에 설치되며 와이어를 아치형으로 절곡시킬 수 있는 호 형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호 형성부는,호 형성부의 몸체를 이루는 원판 본체;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상기 원판 본체의 외주둘레에서 내측으로 일정깊이 요입된 형상의 가이드부; 및 와이어를 걸어 고정하도록 상기 원판 본체의 외주둘레에 설치되는 걸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하나의 플라이어를 통해 다양한 절곡포인트를 구현함으로써 매번 플라이어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생략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클래스프를 필요로 하는 교정장치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둘째, 형상 및 기능이 다른 복수의 플라이어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플라이어 구매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셋째, 호 형성부를 통해 선형의 와이어를 클래스프가 적용될 환자의 아치형 치열과 일치하게 되는 호형상의 와이어로 단번에 절곡시킬 수 있으므로, 환자의 순면과 설면을 감싸는 말발굽 형상의 아치형 클래스프를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한 쌍의 작동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선형의 와이어를 135°,'U'자, 'V'자, 'M'자 등의 다양한 곡률로 절곡시킬 수 있어 교정장치의 제작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와이어 커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어(1)는 구강내에 장착되는 교정장치 중 치과용 와이어로 제작되는 교정장치의 제작시에 사용되는 작업도구로써 상기 교정장치에는 구강 내에서 교정장치가 유지되도록 환자의 치아를 파지하는 클래스프가 부설된다. 즉,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클래스프를 제작하기 위해 와이어를 다양한 형태로 절곡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특징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서로 교차해서 회동가능하게 동작하는 한쌍의 작동간(10)과 상기 한 쌍의 작동간(10)의 경로상에 설치되며 와이어를 아치형으로 절곡시킬 수 있는 호 형성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작동간(10)은 힌지대(300)에 의해 서로 회동가능하게 접속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작동간(10)이 교차하는 교차점에 힌지대(300)가 설치되서 상기 힌지대(300)를 회전축으로 하여 한 쌍의 작동간(10)이 동작한다. 이때, 한 쌍의 작동간(10)이 서로 접하여 회동될 수 있는 구성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두며, 한 쌍의 작동간(1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어(1)는 한 쌍의 작동간(10) 타측을 잡고 내측으로 압력을 가하면 상기 압력이 한쌍의 작동간(10) 일측을 서로 맞물리도록 하는 압축력으로 작용하게 되고 맞물려지는 한 쌍의 작동간(10) 사이에 와이어를 개재시켜 고정한 후 다양한 곡률로 와이어를 절곡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사람의 치열을 수평면에서 관찰하면 말굽형과 같은 아치형을 띄는데 환자의 아치형 치열에 맞도록 와이어를 절곡시키기 위해서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선형의 와이어를 소정간격 반복 이동시키면서 미세하게 절곡하여 말굽과 같은 아치형으로 형성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작업으로 교정장치를 제작할 경우 클래스프를 제작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극히 떨어지게 된다. 이때, 선형의 와이어를 호 형성부(400)를 통해 아치형의 와이어로 간편하게 절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호 형성부(400)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이 일정반경 절취된 형상으로, 크게 원판 본체(410), 가이드부(420) 및 걸쇠(430)로 구성된다.
이때, 원판 본체(410)는 호 형성부(400)의 몸체를 이루며, 일정한 두께를 같은 원형의 판재로 선형의 와이어가 원판 본체(410)의 외주둘레를 따라 절곡되면서 아치형의 클래스프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가이드부(420)는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상기 원판 본체(410)의 외주둘레에서 내측으로 일정깊이 요입된 홈의 형상으로 원판 본체(410)의 외주둘레를 따라 와이어를 절곡시킬 때 가이드부(420)가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와이어의 절곡시에 가이드부(420)에 삽입된 와이어가 원판 본체(410)의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작용한다. 즉, 가이드부(420)는 아치형으로 절곡되는 와이어가 하나의 평면상에서 일정하게 아치형을 그릴 수 있도록 가이드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걸쇠(430)는 갈고리의 형상으로 와이어를 걸어 고정하도록 원판 본체(410)의 외주둘레에 설치된다. 즉, 걸쇠(430)는 호 형성부(400)에 의해 아치형으로 절곡되는 선형의 와이어의 일측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으로 작용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호 형성부(400)의 적용예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선형의 와이어를 걸쇠(430)의 걸림홈(431)에 삽입시킨 후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와이어를 1차절곡(1SB) 시킨다. 1차절곡(1SB)이 완료된 와이어의 일측이 걸쇠(430)에 견고하게 고정이 되면 와이어를 원판 본체(410)의 외주둘레를 도 4b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원의 형상으로 한번에 절곡시킨다. 이때는 와이어의 타측을 손가락으로 파지한 후 가이드부(420)에 와이어가 삽입되서 가이드될 수 있도록 와이어를 끌어올린다. 원판 본체(410)의 외주둘레를 따라 대략 원호의 형상으로 2차절곡(2SB)된 와이어는 도 4c의 형상처럼 탄성복원력에 화살표방향으로 일정량 복원된다. 상기 과정을 거친 선형의 와이어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환자의 아치형 치열과 일치하게 되는 아치형의 와이어로 절곡될 수 있고, 환자의 순면과 설면을 감싸는 말발굽 형상의 아치형 클래스프를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한 쌍의 작동간(10)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겠다. 먼저, 한 쌍의 작동간(10)은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회동가능하게 접속되는 제1 작동간(100)과 제2 작동간(200)으로 구분되며, 이때, 제1 작동간(100)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제1 파지편(110)과 상기 제1 파지편(110)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 힌지부(120)와 상기 제1 힌지부(120)의 일측으로 연장되며 와이어를 파지할 수 있는 제1 절곡편(130)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1 작동간(100)과 제2 작동간(200)은 각각 일체형으로 사출성형됨이 바람직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작동간(100)에서 제1 힌지부(120)를 기준으로 타측은 제1 파지편(110)이, 일측은 제1절곡편(130)이 위치한 것으로 설명하겠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작동간(100)의 제1 절곡편(130)은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1 커터(131), 제1 루프형성부(132), 제1 만곡형성부(133) 및 경사형성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 커터(131)는 제1 힌지부(120)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후술되는 제2 커터(231)와의 맞물림을 통해 와이어를 절단할 수 있도록 칼날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제1 루프형성부(132)는 제1 커터(131)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후술되는 제2 루프형성부(232)와의 맞물림을 통해 와이어를 'U'자 형상으로 절곡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루프형성부(132)와 제2 루프형성부(232)에는 각각 루프돌기(132-1)와 루프홈(232-1)이 형성되고 제1 루프형성부(132)와 제2 루프형성부(232) 사이에 와이어를 개재시킨 후 서로 맞물리면 선형의 와이어 경로상에 'U'자 형상의 루프를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제1 만곡형성부(133)는 제1 루프형성부(132)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후술되는 제2 만곡형성부(233)와 서로 맞물려 와이어를 파지한 후 비틀림 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아울러, 제1 만곡형성부(133)의 횡단면은 대략 등각사다리꼴의 횡단면을 갖도록 구성되고 제1 만곡형성부(133)의 아랫변이 와이어를 파지할 수 있는 부분으로 작용되는 한편, 상기 아랫변에는 와이어의 파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널링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경사형성부(134)는 와이어를 135°로 절곡하도록 상기 제1 만곡형성부(133)의 경로상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사형성부(134)는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루프형성부(132)와 제1 만곡형성부(133)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을 향해 45°로 기울어진 경사면(134-1)이 형성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도면부호 θ1이 이루는 각은 45°이며 이에 따라, θ2가 이루는 각은 135°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 경사형성부(134)의 작용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경사형성부(134)에 형성된 경사면(134-1)을 타고 선형의 와이어가 절곡될 수 있도록 제1, 2 절곡편(130,230) 사이에 와이어를 개재시켜 맞물린 후 화살표 방향으로 와이어의 타측을 밀어주면 와이어가 경사면(134-1)을 따라 절곡되면서 경로상에 135°로 절곡된 절곡포인트가 형성된다. 따라서 한번의 동작으로 정확한 135°의 스텝으로 구현된 절곡포인트를 구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1,2 파지편(110, 210)을 맞물릴 때 내측으로 개재시킨 선형의 와이어의 경로상에 'M'자형의 절곡포인트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1,2 파지편(110, 210)의 상, 하측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돌기와 홈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지편(110)의 상측면에는 'M'자형의 연속돌기(111)가 형성되고 제2 파지편(210)의 하면에는 상기 연속돌기(111)에 대응되는 'M'자형의 연속홈(211)이 형성된다.
따라서, 연속돌기(111)와 연속홈(211) 사이에 선형의 와이어를 개재시킨 후 제1, 2 파지편(110, 210)에 압축력을 가하면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선형의 와이어 경로상에 'M'자형의 절곡포인트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서로 교차해서 회동가능하게 동작하는 한 쌍의 작동간; 및
    상기 한 쌍의 작동간에 설치되며 와이어를 아치형으로 절곡시킬 수 있는 호 형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호 형성부는,
    호 형성부의 몸체를 이루는 원판 본체;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상기 원판 본체의 외주둘레에서 내측으로 일정깊이 요입된 형상의 가이드부; 및
    와이어를 걸어 고정하도록 상기 원판 본체의 외주둘레에 설치되는 걸쇠;를 포함하며,
    작동간을 전후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교정용 와이어 밴딩 플라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작동간은 서로 회동가능하게 접속되는 제1 작동간과 제2 작동간으로 구분되며,
    제1 작동간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제1 파지편, 상기 제1 파지편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 힌지부 및 상기 제1 힌지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며 와이어를 파지할 수 있는 제1 절곡편을 포함하며,
    제2 작동간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제2 파지편, 상기 제2 파지편의 일측으로 연장되며 제1 힌지부와 접속하는 제2 힌지부 및 상기 제2 힌지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절곡편과 맞물려 와이어를 파지하는 제2 절곡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절곡편은,
    상기 제1 힌지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와이어를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제1 커터;
    상기 제1 커터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와이어를 'U'자 형상으로 절곡하는 제1 루프형성부; 및
    상기 제1 루프형성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와이어를 파지한 후 비틀림 하중을 가할 수 있는 제1 만곡형성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절곡편은,
    상기 제2 힌지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제1 커터와 맞물려 와이어를 절단하는 제2 커터;
    상기 제2 커터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제1 루프형성부와 맞물려 와이어를 'U'자 형상으로 절곡하는 제2 루프형성부; 및
    상기 제2 루프형성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제1 만곡형성부와 맞물리는 제2 만곡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교정용 와이어 밴딩 플라이어.
KR1020220031692A 2022-03-14 2022-03-14 자가 사용에 적합한 형태의 교정용 와이어 커터 KR20230134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692A KR20230134381A (ko) 2022-03-14 2022-03-14 자가 사용에 적합한 형태의 교정용 와이어 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692A KR20230134381A (ko) 2022-03-14 2022-03-14 자가 사용에 적합한 형태의 교정용 와이어 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381A true KR20230134381A (ko) 2023-09-21

Family

ID=88189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692A KR20230134381A (ko) 2022-03-14 2022-03-14 자가 사용에 적합한 형태의 교정용 와이어 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43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72787A (en) Orthodontic bracket
US4209906A (en) Orthodontic appliance (bracket and lock pin)
JP5444219B2 (ja) 口腔内咬合矯正装置用の歯科矯正アタッチメントモジュール
EP0225794B1 (en) Orthodontic apparatus
US20210401548A1 (en) Orthodontic appliance with non-sliding archform
JP2004526536A (ja) 歯列矯正装置から歯列矯正アーチワイヤを解放する方法および器具
US20040209219A1 (en) Orthodontic wire ligating member
US20230072074A1 (en) Orthodontic appliance with non-sliding archform
US4043364A (en) Plier set for making torquing bends in orthodontic arch wires
EP1247497B1 (en) Orthodontic treatment pliers
US6984126B1 (en) Orthodontic crimping pliers
KR20230134381A (ko) 자가 사용에 적합한 형태의 교정용 와이어 커터
JP4530636B2 (ja) スナップ様式を利用して不正咬合の歯列を矯正す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システム
EP3973913B1 (en) Orthodontic device
JP6305666B1 (ja) 歯列矯正用アーチワイヤ、歯列矯正用アーチワイヤの製造方法、及び歯列矯正用アーチワイヤの取付方法
EP1468657A2 (en) Orthodontic brack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94270B1 (ko) 치열 교정용 와이어 스텝 플라이어
KR101899723B1 (ko) 다기능 교정용 와이어 밴딩 플라이어
KR200458224Y1 (ko) 벤드백 플라이어
JP3155882U (ja) 歯科矯正装置用取付けジグ
KR200497960Y1 (ko) 치아 유지장치를 제작하기 위한 플라이어 및 장치
KR102080210B1 (ko)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KR20240040400A (ko) 치과용 보철물의 다지형 교정공구
KR100829550B1 (ko) 치과용 보철물의 다지형 교정공구
JPH08150155A (ja) 歯列矯正用キッ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