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228A - 브로콜리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 Google Patents

브로콜리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228A
KR20220019228A KR1020210104134A KR20210104134A KR20220019228A KR 20220019228 A KR20220019228 A KR 20220019228A KR 1020210104134 A KR1020210104134 A KR 1020210104134A KR 20210104134 A KR20210104134 A KR 20210104134A KR 20220019228 A KR20220019228 A KR 20220019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ccoli
exosomes
skin
cosmetic
l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5288B1 (ko
Inventor
조용우
최지숙
최영찬
조승희
민소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소스템텍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소스템텍,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소스템텍
Publication of KR20220019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로콜리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기능성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브로콜리 엑소좀은 이중지질막 구조로서 피부 세포에 흡수되며, 흡수된 엑소좀은 피부 세포 내에서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다양한 항산화 신호기전을 자극하여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고, 콜라겐 및 히알루론산 합성을 촉진하므로 피부 노화 방지,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및 피부 세포 재생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브로콜리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Anti-aging, antioxidant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broccoli exosome as an active ingredient, and functional cosmetic comprising the same}
본 출원은 2020년 08월 07일 출원된 대한민국출원 제10-2020-0099518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해당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출원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항노화, 항산화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피부 노화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는데, 특히 자외선과 호흡을 통해 생성되는 활성산소는 피부노화에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꼽힌다. 활성산소는 정상적인 대사과정에서 생성이 되며, 질병상태나 신체 스트레스가 높은 경우 과잉으로 발생한다. 또한 자외선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도 활성산소가 생성된다. 활성산소는 피부 세포 및 조직 손상을 주도한다. 정상의 경우 비정상적인, 노화된 세포를 사멸하여 균형을 만들지만 과하게 발생될 경우 피부 항산화 방어망을 파괴하고 지질 과산화, 단백질 산화, 세포간질 성분을 파괴, 콜라겐과 엘라스틴 등 피부 단백질을 파괴하며, 그 결과 탄력감소, 주름, 색소 침착 등 피부 노화로 이어진다.
진피층의 결합조직을 포함하는 피부 단백질은 피부의 탄력과 보습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세포 구성과 생성에 필수적인 단백질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최근 단백질 섭취와 피부 수분의 증가에 양의 상관관계를 입증하는 연구 결과 있으며,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양질의 단백질 섭취가 피부건강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유추할 수 있다. 그러나, 식품을 통한 단백질 섭취가 피부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수준에 불과하다.
항산화, 항노화 등의 특정 약리 작용을 가진 식물 추출물은 국내에 약 500여종 이상이 알려져 있지만, 대부분 피부에 미치는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상태이며, 식물추출물 안에는 수많은 성분들이 다양한 비율로 존 재하고 있기 때문에 어떤 효과를 가진 유효물질을 찾는 것은 어려운 과정이다. 또한 식물 성분 중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물질이 하나의 성분으로써 단독으로 작용할 수도 있지만 여러 성분들의 상호작용을 통해서만 그 효과가 나타날 수도 있다. 더욱이 기존 다양한 식물 추출물은 피부 장벽 통과가 어려워 단지 이를 피부에 바르는 것만으로는 효과가 제한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9946호
본 발명은 브로콜리로부터 분리·정제한 엑소좀의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효능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기능을 갖는 브로콜리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화장품 원료로서 사용하여 제조한, 피부 보호,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 등의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브로콜리 엑소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대상체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브로콜리 엑소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항산화를 위한 화장품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브로콜리 엑소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및 피부 세포 재생을 위한 화장품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의 구현예들을 제공하는 데 있다.
구현예 1. 브로콜리 엑소좀을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 브로콜리 엑소좀을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분리된(isolated) 브로콜리 엑소좀을 대상체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피부 항산화, 피부 미백,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세포 재생, 보습, 피부 장벽 개선 또는 피부 항염증 방법; 브로콜리 엑소좀을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분리된(isolated) 브로콜리 엑소좀의, 피부 노화 방지, 피부 항산화, 피부 미백,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세포 재생, 보습, 피부 장벽 개선 또는 피부 항염증을 위한 용도 또는 화장품(cosmetic) 용도; 또는 피부 노화 방지, 피부 항산화, 피부 미백,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세포 재생, 보습, 피부 장벽 개선 또는 피부 항염증용 화장품 제조를 위한 브로콜리 엑소좀을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분리된(isolated) 브로콜리 엑소좀의 응용.
구현예 2. 구현예 1에 있어서, 상기 브로콜리 엑소좀은 브로콜리 꽃, 브로콜리 줄기 및 브로콜리 새싹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으로부터 유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방법; 용도; 또는 응용.
구현예 3. 선행하는 구현예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브로콜리 엑소좀은 조성물 1 mL의 단위부피 당 106 개 내지 1013 개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방법; 용도; 또는 응용.
구현예 4. 선행하는 구현예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수용액, 현탁액, 유화액, 크림, 동결 용액, 분무건조 분말 및 동결건조 분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방법; 용도; 또는 응용.
구현예 5. 선행하는 구현예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브로콜리 엑소좀은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방법; 용도; 또는 응용.
구현예 6. 선행하는 구현예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노화 또는 항산화 용도를 갖는 것인 조성물; 방법; 용도; 또는 응용.
구현예 7. 선행하는 구현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구현예 8. 선행하는 구현예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미스트, 세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유연수, 유액,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파우더,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세안제, 트리트먼트, 미용액, 미용팩, 연고제, 겔제, 리니멘트제, 액제, 패치, 분무제, 입욕제, 선스크린제, 선오일 및 헤어제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것인 화장품.
구현예 9. 선행하는 구현예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피부 노화 방지,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피부 세포 재생, 보습, 피부 장벽 개선 및 항염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효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구현예 10. 브로콜리를 파쇄하는 단계; 원심분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접선흐름여과(tangential-flow filtration, TFF)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행하는 구현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브로콜리 엑소좀"이란 브로콜리에서 추출된 50 ~ 300 nm 정도의 크기, 바람직하게는 50 ~ 200 nm의 크기를 갖는 엑소좀 혹은 엑소좀을 포함한 세포외 소포체를 통칭한다. 브로콜리 엑소좀은 이중지질막으로 이루어진 형태의 50 내지 200 nm의 균일한 크기의 입자를 형성하고 있다.
기존 다양한 식물 추출물이 항노화 및 항산화 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수용성 추출물 형태로는 피부 장벽 통과가 어렵고, 또한 추출과정 중 유효성분이 추출 용매에 노출되어 쉽게 파괴되므로 화장품 원료에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에 엑소좀은 이중지질막으로 이루어진 나노 입자로서 receptor-mediated endocytosis 및 membrane fusion에 의해 피부 세포로 흡수되며, 또한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성분들이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아 쉽게 변질되지 않고 생물학적 활성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어 화장품 산업에 상업적으로 이용하기에 대단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 브로콜리 엑소좀은 브로콜리 새싹을 포함하여 원료 물질인 브로콜리에서 유래한 항노화 및 항산화 성분에 의해 피부 노화, 색소 침착 및 염증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항노화 및/또는 항산화 용도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폴리페놀 및 항산화 효소 촉진제 등이 함유된 브로콜리 엑소좀은 피부 세포에 축적된 활성산소를 억제하여 피부 재생, 주름 개선, 미백 및 염증 완화 등의 효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원료 식물인 브로콜리는 배추속의 한 종류인 브라시카 올레라케아(Brassica Oleracea L.)를 포함한다. 원료 식물 부위로는 브로콜리 전체 또는 꽃, 줄기, 새싹 등을 포함하는 1개 이상의 부위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에서 추출한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은 조성물 1 mL의 단위부피 당 1 × 106 내지 1 × 1013 개, 바람직하게는 1 × 107 내지 1 × 1013 개 입자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은 자체적으로 Superoxide dismutase(SOD)와 유사한 항노화 및 항산화 기능을 갖으며, 이는 세포외부에 존재하는 활성산소와 세포내부에 축적된 활성산소의 분해를 촉진시키며, 콜라겐 생성 촉진,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 및 멜라닌 합성 억제, 염증 물질 생성 억제 등의 효능을 나타낸다.
또한 양질의 단백질 공급은 피부 수분 증가와 피부 건강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본 발명의 브로콜리 엑소좀은 단백질을 10 내지 1,000 μg/mL,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μg/mL의 고농도로 함유하여 피부에 식물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액, 현탁액, 유화액, 크림, 동결 용액, 분무건조 분말 및 동결건조 분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화장품은 일반 피부 화장품 제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성분,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필요한 만큼 적용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은 미스트, 세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유연수, 유액,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파우더,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세안제, 트리트먼트, 미용액, 미용팩, 연고제, 겔제, 리니멘트제, 액제, 패치, 분무제, 입욕제, 선스크린제, 선오일 및 헤어제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각 제형에 적합하고 당업계에 주지된 각종의 통상적인 담체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화장품은 피부 노화 방지,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및 피부 세포 재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효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상기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브로콜리와 브로콜리 새싹을 파쇄하는 단계; 원심분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접선흐름여과(tangential-flow filtration, TFF)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원료 식물을 파쇄하는 과정은 원료 식물과 버퍼 용액을 무게비로 1:1 내지 1:10 범위로 섞은 혼합물을 기계적 분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는 10 내지 1,000 rpm의 속도로 회전하는 칼날에 의해 기계적으로 식물 혼합물을 분쇄하는 것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원심분리 방법은 저속 원심분리(low-speed centrifugation), 고속 원심분리(high-speed centrifugation), 초원심분리(ultracentrifugation)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초원심분리(ultracentrifugation)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저속 원심분리는 6,000 rpm (6,000 xg) 이하의 속도를 낼 수 있고 주로 세포나 핵 등과 같이 쉽게 침전되는 시료의 원심 분리에 이용되고, 고속 원심분리는 최고속도가 20,000-25,000 rpm (60,000 xg) 정도이며, 초원심분리는 최고속도가 40,000-80,000 rpm (600,000 xg) 정도인 원심분리법을 의미한다.
상기 접선흐름여과법(tangential-flow filtration, TFF)은 용액이 여과 막의 직각 방향으로 흘러가며, 용액 내에 존재하는 작은 크기의 불순물을 걸러내고 큰 크기의 엑소좀을 분리하는 여과 방식이다. 종래 여과 방식보다 여과필터의 기공에 엑소좀의 흡착 혹은 막 기공의 막힘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공정 스케일업(process scale-up) 및 cGMP(cosmetic good manufacturing procedure) 공정 응용에 용이하다. 상기 접선흐름여과는 한외여과를 수행할 수 있는 중공 섬유(Hollow fiber) TFF 및 막(membrane) TFF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컷오프(Molecular weight cutoff; MWCO)가 100,000 Da 내지 500,000 Da인 TFF 필터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은 기계적인 분쇄, 단계적인 초원심분리 및 접선유동여과(tangential flow filtration, TFF)법을 통해 브로콜리 및 브로콜리 새싹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이들 엑소좀은 항노화 및 항산화 기능을 갖는 폴리페놀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브로콜리 엑소좀은 이중지질막 구조로서 피부 세포에 흡수되며, 흡수된 브로콜리 엑소좀의 폴리페놀 성분은 피부 세포 내에서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항산화 신호기전을 자극하여 미백, 주름개선, 피부노화 방지, 피부 장벽 개선, 염증 완화, 피부세포 활성화 등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 용도를 갖는다. 또한, 브로콜리 엑소좀의 우수한 안정성은 수용액, 동결액 및 동결건조 파우더 등 다양한 형태로 기능성 화장품에 활용 가능하다.
도 1은 식물 엑소좀의 분리 방법에 대한 공정 모식도이다.
도 2는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의 형태분석(TEM) 결과이다.
도 3은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의 특성분석(NTA 및 protein assay) 결과이다.
도 4는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의 폴리페놀 함량 및 구리환원능력 분석 결과이다.
도 5는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의 멜라닌 형성 억제능 평가 결과이다.
도 6은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의 a-MSH에 의해 멜라닌 생성 촉진된 세포 모델에서의 멜라닌 형성 억제능 평가 결과이다.
도 7은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의 콜라겐 생성능 평가 결과이다.
도 8은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의 히알루론산 생성능 평가 결과이다.
도 9는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의 NO 생성 억제능 평가 결과이다.
도 10은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의 인간섬유아세포(HDF), B16F10 Melanoma, 마우스 대식세포(RAW 264.7)에 대한 세포 독성 평가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식물 엑소좀 분리
원료 식물로서, 브로콜리와 브로콜리 새싹, 알로에 베라 껍질 및 시금치를 이용하여 이들로부터 초원심분리와 접선유동여과(TFF) 방법을 이용하여 식물 엑소좀을 분리하였다. 구체적으로 깨끗이 세척 및 분쇄한 식물 원료를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buffered saline, PBS)와 1:1(w/w) 내지 1:10(w/w)의 무게비를 맞추어 블랜더에 넣은 후 분쇄하였다. 1,000 ×g로 10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수거하고, 상층액은 2000 ×g 20분, 3,000 ×g 30분, 그리고 10,000 ×g로 60분 동안 순차적으로 원심분리하였다. 이후 상층액은 4℃에서 100,000 ×g로 70분 동안 초원심분리하였고, 이 과정을 통해 액포(vacuole)를 제거하였다. 최종적으로 상층액은 버리고 남은 pellet을 현탁시킨 후 TFF 시스템을 통해 엑소좀을 분리하였다. 구체적으로, TFF 시스템 내 100 내지 500 kDa의 molecular cut off를 갖는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하였으며, 필터의 기공보다 작은 기타 불순물 입자들을 제거하고 엑소좀을 함유한 용액을 농축하였다. 분리된 엑소좀은 사용하기 전까지 -70 ℃ 이하 냉동보관 하였다(도 1).
<실시예 2> 엑소좀 단백질 함량 평가
상기 분리한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 알로에 엑소좀 및 시금치 엑소좀에 포함되어 있는 단백질 함량을 Thermo Scientific 사의 Micro BCATM Protein Assay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는 분리 직후의 것과 -70 ℃에서 한달 보관 후 해동한 엑소좀 시료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피펫을 이용하여 각 표준 및 시료 1.0mL를 테스트 튜브에 넣고, WR 1.0mL를 각 튜브에 첨가한 후 혼합하였다. 튜브를 덮고 37℃에서 30분 동안 수조에서 인큐베이션 한 후 실온으로 쿨링을 수행하였다. 분광 광도계를 562nm로 설정한 상태에서 증류수로 채워진 큐벳에서 기기를 영점 조정하고, 10분 내에 시료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단백질 농도 대 단백질 표준을 측정하여 각 표준에 대한 평균 블랭크 보정된 562nm 판독 값을 플로팅하여 표준 곡선을 준비하였다. 상기 표준 곡선을 이용하여 시료의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 단백질 함량
제1차 측정
(엑소좀 분리 직후)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 983.32 μg/mL
알로에 엑소좀 299.19 μg/mL
시금치 엑소좀 542.74 μg/mL
제2차 측정
(해동 후)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 102.59 μg/mL
알로에 엑소좀 50.21 μg/mL
시금치 엑소좀 52.35 μg/mL
실험결과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은 해동 후에도 1 mL의 단위부피당 100 μg/mL 이상의 단백질을 함유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단백질 함유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된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을 사용하여 추가의 특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시예 3>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의 특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된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은 다음의 방법을 통하여 추가의 엑소좀 특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엑소좀의 모양은 주사전자현미경(TEM)을 통해 200 nm 이하 구형의 미세구조를 확인하였다(scale bar 50 nm)(도 2). 미세입자 크기는 나노입자추적분석(NTA)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50 내지 300 nm의 크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나노입자추적분석(NTA)을 통해 1 mL의 단위부피당 1 × 108 내지 1 × 1013의 엑소좀 농도를 확인하였다(도 3). 엑소좀 내 단백질 함량은 Thermo Scientific 사의 Micro BCATM Protein Assay Kit를 이용하여 추가로 수회 측정하였으며, 1 mL의 단위부피당 10 내지 1,000 μg/mL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3).
<실시예 4>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의 폴리페놀 함량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된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은 다음의 방법을 통하여 엑소좀 내 폴리페놀 함량을 평가하였다. BioVision사의 Phenolic Compounds Assay Kit를 이용하여 브로콜리 엑소좀 내 폴리페놀을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측정방법은 Kit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하였다. 108개의 브로콜리 엑소좀 내부에 50 내지 500 pmol의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4).
<실시예 5>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의 항산화능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된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은 다음의 방법을 통하여 엑소좀 내 폴리페놀 함량을 평가하였다. CELL BIOLABS inc.사의 OxiSelectTM Total Antioxidant Capacity (TAC) Assay Kit를 이용하여 브로콜리 엑소좀의 항산화 능력을 평가하였으며, 측정방법은 Kit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하였다. 평가 결과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은 1 mL의 단위부피당 10 내지 100 μM의 Cu(II) 이온을 Cu(I) 이온으로 환원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하였다(도 4).
<실시예 6>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의 in vitro 미백 효능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된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의 항산화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대표적으로 엑소좀의 미백 효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5 × 103 내지 1 × 104 개의 피부 melanoma (B16F10) 세포에 브로콜리 엑소좀을 포함한 세포배양액을 처리하였으며, 3 일 동안 배양 후 세포내부 및 외부에 축적된 멜라닌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세포내부에 축적된 멜라닌은 세포를 lysis buffer를 이용하여 파괴한 후, 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475 nm에서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외부에 축적된 멜라닌은 3일 동안 배양한 세포배양액을 수거한 후, 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 아무런 처리하지 않은 세포배양액(GM)을 사용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미백 효능 평가에 널리 활용되는 0.5 mM 알부틴(Arbutin)을 사용하였다.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은 5 x 107 이상의 용량에서 세포외 및 세포내 멜라닌 형성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5 x 108 개수를 처리했을 때 멜라닌 형성 억제에 유의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p < 0.05) (도 5).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된 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의 미백 효능은 피부 melanoma (B16F10) 세포에 100 nM의 α-MSH를 처리하여 멜라닌 합성 분비를 촉진시킨 모델을 이용하여 추가로 평가를 진행하였다. α-MSH와 브로콜리 엑소좀을 포함한 세포배양액을 처리한 후 3일 동안 배양하고, 세포내부에 축적된 멜라닌과 세포외부로 분비된 멜라닌의 총 함량을 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단백질 함량 측정은 Bradford 방법에 따라 정량한 후, 멜라닌 양은 단백질 당 멜라닌 양으로 환산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 엑소좀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배양배지를 사용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미백 효능 평가에 널리 활용되는 0.36 mM 알부틴(Arbutin)을 사용하였다.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은 2×107 이상의 용량에서 총 멜라닌 형성을 억제하였다(p < 0.05) (도 6).
<실시예 7>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의 in vitro 콜라겐 생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된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의 콜라겐 생성에 대한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s, HDFs)에 엑소좀을 처리하여 세포내 콜라겐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HDFs 세포에 브로콜리 엑소좀을 포함한 세포배양액을 처리하였으며, 2 일 동안 배양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으로 Procollagen의 양을 측정하였다. Procollagen의 양은 Procollagen Type I C-Peptide (PIP) ELISA Kit을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배양액(GM)을 사용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콜라겐 생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TGF-β1을 사용하였다.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은 1.3×106 내지 1×107의 농도에서 음성대조군에 비해 세포내 콜라겐 생성을 증가시키는데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p < 0.05) (도 7). 이는 양성대조군인 TGF-β1과 유사한 효능을 가진다.
<실시예 8>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의 in vitro 히알루론산 생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된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의 히알루론산 생성에 대한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인체 피부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s, HDFs)에 엑소좀을 처리하여 세포내 히알루론산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HDFs 세포에 브로콜리 엑소좀을 포함한 세포배양액을 처리하였으며, 2 일 동안 배양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으로 히알루론산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히알루론산의 생성량은 Human Hyaluronic Acid (HA) ELISA Kit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배양액(GM)을 사용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히알루론산 생성을 유도하는 Retinoic acid를 사용하였다.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은 2.5×106 내지 1×107의 농도에서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내 히알루론산 생성을 증가시키는데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p < 0.05) (도 8). 이는 양성대조군인 Retinoic acid와 유사한 효능을 가진다.
<실시예 9>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의 in vitro Nitric Oxide 생성 억제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된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의 Nitric Oxide (NO) 생성 억제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마우스 대식세포(RAW 264.7 cells)에 엑소좀을 처리하여 NO 생성을 억제하는지 확인하였다. 1.8 × 105 개의 RAW 264.7 세포를 20시간 배양 후 Lipopolysaccharide (LPS) 1μg/mL 와 브로콜리 엑소좀을 포함한 새로운 세포배양액으로 교환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양액과 NO detection 시약을 10분간 반응시킨 후 540 nm에서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O 생성량은 총 단백질량으로 보정하여 평가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는 염증억제작용이 있는 dexamethasone 7.8 μg/mL을 이용하였다.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은 2×107 이상에서 NO 생성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p < 0.05) (도 9). 바람직하게, 2 내지 4×107 개의 엑소좀에서 세포의 NO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이는 양성대조군인 dexamethasone과 유사한 효능을 가진다.
<실시예 10>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의 세포 독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된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엑소좀 처리 후 인간세포 2종 및 마우스 대식세포의 세포 생존율을 MTT assay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인간 섬유아세포를 5×104 cells/well 농도로 접종하여 24시간 배양한 뒤, 농도별로 브로콜리 엑소좀을 처리 후 추가로 24시간 배양하였다. B16F10 melanoma 세포를 1.5×104 cells/well 농도로 접종하여 24시간 배양한 뒤, 농도별로 브로콜리 엑소좀을 처리 후 72시간 배양하였다. 마우스 대식세포(RAW 264.7) 1.8×105 cells/well 농도로 접종하여 20시간 배양한 뒤, 농도별로 브로콜리 엑소좀을 처리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각각의 well에 MTT 시약을 세포배양배지의 0.05% 농도로 처리한 후, 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제거 후, DMSO를 1 mL/well로 접종한 후 10분간 교반시켜 준 후, DMSO 용액을 회수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엑소좀 미처리 군과 비교하여 백분율로 표기하였다 (도 10). 실험결과 브로콜리/브로콜리 새싹 엑소좀은 모든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10)

  1. 브로콜리 엑소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콜리 엑소좀은 브로콜리 꽃, 브로콜리 줄기 및 브로콜리 새싹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으로부터 유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콜리 엑소좀은 조성물 1 mL의 단위부피 당 106 개 내지 1013 개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수용액, 현탁액, 유화액, 크림, 동결 용액, 분무건조 분말 및 동결건조 분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콜리 엑소좀은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노화 또는 항산화 용도를 갖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미스트, 세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유연수, 유액,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파우더,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세안제, 트리트먼트, 미용액, 미용팩, 연고제, 겔제, 리니멘트제, 액제, 패치, 분무제, 입욕제, 선스크린제, 선오일 및 헤어제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것인 화장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피부 노화 방지,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피부 세포 재생, 보습, 피부 장벽 개선 및 항염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효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10. 브로콜리를 파쇄하는 단계;
    원심분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접선흐름여과(tangential-flow filtration, TFF)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10104134A 2020-08-07 2021-08-06 브로콜리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KR1026252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99518 2020-08-07
KR1020200099518 2020-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228A true KR20220019228A (ko) 2022-02-16
KR102625288B1 KR102625288B1 (ko) 2024-01-16

Family

ID=80118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134A KR102625288B1 (ko) 2020-08-07 2021-08-06 브로콜리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24224A1 (ko)
EP (1) EP4193986A1 (ko)
JP (1) JP2023549283A (ko)
KR (1) KR102625288B1 (ko)
CN (1) CN116209426A (ko)
WO (1) WO202203112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6207A (ko) 2022-07-28 2024-02-06 주식회사 셀투인 클로렐라 배양액 유래의 엑소좀 및 이의 용도
KR102646353B1 (ko) * 2022-12-26 2024-03-11 (주) 옵트바이오 플라보노이드 함유 식물 추출물 유래 세포외 소포체 및 이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946B1 (ko) 2012-08-14 2014-08-18 주식회사 오감바이오 브로콜리 추출수를 함유하는 천연비누 및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9138487B2 (en) * 2011-05-23 2015-09-22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ificas (Csic) Process of preparation and uses of plasma membrane vesicles extracted from plants enriched in membrane transport proteins
KR20160086253A (ko) * 2015-01-08 2016-07-19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줄기세포로부터 추출된 엑소좀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주름개선 또는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3826A (ko) * 2015-01-30 2016-08-09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의 생장 또는 형태를 조절하는 단백질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 생장 또는 형태 조절 방법
JP2018518192A (ja) * 2015-05-04 2018-07-12 浙江海正薬業股▲ふん▼有限公司Zhejiang Hisun Pharmaceutical CO.,LTD. ブロッコリータンパク質のペプチドを調製する方法、それによって調製されたブロッコリータンパク質のペプチド、および、その使用
KR102125567B1 (ko) * 2019-07-02 2020-06-2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식물 엑소좀의 대량 생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0380A (ko) * 2006-12-27 2008-07-0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20170114773A (ko) * 2016-04-06 2017-10-16 (주)씨피바이오 브로콜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또는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EP3730239B1 (en) 2017-12-22 2024-01-17 Citizen Watch Co., Ltd. Tool holding device and machine too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8487B2 (en) * 2011-05-23 2015-09-22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ificas (Csic) Process of preparation and uses of plasma membrane vesicles extracted from plants enriched in membrane transport proteins
KR101429946B1 (ko) 2012-08-14 2014-08-18 주식회사 오감바이오 브로콜리 추출수를 함유하는 천연비누 및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86253A (ko) * 2015-01-08 2016-07-19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줄기세포로부터 추출된 엑소좀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주름개선 또는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3826A (ko) * 2015-01-30 2016-08-09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의 생장 또는 형태를 조절하는 단백질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 생장 또는 형태 조절 방법
JP2018518192A (ja) * 2015-05-04 2018-07-12 浙江海正薬業股▲ふん▼有限公司Zhejiang Hisun Pharmaceutical CO.,LTD. ブロッコリータンパク質のペプチドを調製する方法、それによって調製されたブロッコリータンパク質のペプチド、および、その使用
KR102125567B1 (ko) * 2019-07-02 2020-06-2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식물 엑소좀의 대량 생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6207A (ko) 2022-07-28 2024-02-06 주식회사 셀투인 클로렐라 배양액 유래의 엑소좀 및 이의 용도
KR102646353B1 (ko) * 2022-12-26 2024-03-11 (주) 옵트바이오 플라보노이드 함유 식물 추출물 유래 세포외 소포체 및 이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1124A1 (ko) 2022-02-10
JP2023549283A (ja) 2023-11-22
US20240024224A1 (en) 2024-01-25
EP4193986A1 (en) 2023-06-14
KR102625288B1 (ko) 2024-01-16
CN116209426A (zh) 202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5811B1 (ko) 분산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병풀 유래 엑소좀의 정제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29247B1 (ko) 분산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쇠비름 유래 엑소좀의 정제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25288B1 (ko) 브로콜리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KR102391636B1 (ko) 황금, 약모밀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및 모발 상태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4425163B2 (ja) 抗老化化粧料
CN110944720A (zh) 红毛丹提取物的新的美容化妆用途
KR102401083B1 (ko)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KR20120058737A (ko) 홍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19829A (ko) 로즈마리, 감국, 목련꽃, 호장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 항산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25628B1 (ko)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JP2001163754A (ja) 老化防止剤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KR102413200B1 (ko) 로즈마리, 연꽃잎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74558B1 (ko) 진세노사이드 Rd, Rb2와 죽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TWI801655B (zh) 用於改善皮膚透明度及暗沉之組成物
KR100882744B1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450862B1 (ko) 천궁, 작약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6123A (ko) 은이버섯, 바다포도, 천화분, 백차, 연자육, 에버라스팅, 나노화백금으로 구성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23372A (ko) 여우구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23528B1 (ko) 자몽, 동백꽃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8925A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50893B1 (ko) 수국 잎 유래 엑소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249340A1 (ko) 고순도의 인삼 엑소좀 조성물 및 이의 기능성 화장품 용도
KR102671107B1 (ko) 대마 엑소좀 추출물 및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71105B1 (ko) 대마 엑소좀 추출물 및 식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