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628B1 -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5628B1
KR100825628B1 KR1020060128355A KR20060128355A KR100825628B1 KR 100825628 B1 KR100825628 B1 KR 100825628B1 KR 1020060128355 A KR1020060128355 A KR 1020060128355A KR 20060128355 A KR20060128355 A KR 20060128355A KR 100825628 B1 KR100825628 B1 KR 100825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weight
present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1045A (ko
Inventor
이상희
Original Assignee
이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희 filed Critical 이상희
Priority to KR1020060128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5628B1/ko
Publication of KR20070001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탁시폴린(taxifolin)과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를 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탁시폴린(taxifolin)과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을 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를, 크림, 로션,에센스, 스킨, 미용비누등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등에 포함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현저히 뛰어난 피부 흡수력을 가짐으로서 피부 내 콜라겐 생합성능 및 티로시나제 저해, 항산화효과를 발휘하여 피부 항노화, 미백 및 아토피케어용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포화 레시친, 스쿠알란, 탁시플린, 꾸지뽕, 디부틸 하이드록시 톨루엔, 글리세린,

Description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탁시폴린의 구조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시킨 나노 리포좀의 구조도임
도 3은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의 입자분포를 Malvern,Zetasizer 1000HS를 이용해서 측정한결과와 입자크기를 동결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찍은 사진임.
본 발명은 탁시폴린(taxifolin)과,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추출물을 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을 - 꾸지뽕나무는 뽕나무과에 딸린 낙엽활목 소교목 또는 관목으로서 학명은 Maclura tricuspidata CARR.이며 굿가시나무, 활뽕나무, 저실, 야매자, 황상등의 이름으로도 불리우며,꾸지뽕나무(뿌리,줄기,잎,열매 포함)에는 모린(morin), 캠페롤-7글루코사이드(kaempferol-7-Glucoside), 포풀린(populnin), 스타키드린(stachydrine) 및 프롤린(praline), 글루타믹산(glutamic acid), 아르기닌, 아스파라긴산, 비타민B복합체, 플라보노이드, 리놀레인산, 루틴, 아데닌등의 유효한 영양 및 미용성분등을 함유하고 있어 약재로서 사용하고 있음을 동의보감,약성강,본초강목등에서 예로부터 널리 알려져 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꾸지뽕 추출물로는 꾸지뽕을 물에 깨끗이 잘 씻은 후 완전 건조 시킨 시료를 꾸지뽕 무게와 동량의 정제수를 첨가한 다음 10∼200Mesh 크기로 분쇄기로 분쇄한 다음에 꾸지뽕 분쇄액을 원심분리기에서 250xg에서 30분간 원심분리 한 뒤 상층액을 모아서 여과포로 여과한 후 추출물로 이용하였다.- 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를 크림, 로션,에센스, 스킨 등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등에 포함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현저히 뛰어난 피부 흡수력을 가짐으로서 피부 내 활성산소 억제 작용,콜라겐 생합성능 및 티로시나제 저해, 항산화효과를 발휘하여 피부 항노화, 미백 및 아토피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 화장료 조성물은 생리 활성상 피부에 적용하는 제품을 말하고 있고 피부는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사실 피부는 그 생리 구조상 각질층, 표피층, 진피층 등으로 세분화 되며 외부의 자극이나 자외선 등으로부터 우리 신체를 보호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화장료로서 일반 보습 제품과 달리 주름 제거 제품이나 미백 제품등 기능성 제품 같은 경우는 반드시 피부 속 진피에서 그 효과가 발휘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많은 연구자들이 그 활성물질의 효과 뿐만 아니라 피부 경피 흡수를 고려하여 리포좀, 캡슐, 패치 기술 등을 많이 제시 하고 있으며 이에 본 연구자는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을 혼합 사용하므로서 각각 사용했을 때보다 강력한 항산화력을 발휘하며 미백 작용으로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가 우수하고, 콜라겐나제 저해 효과가 뛰어남을 설명하고 또한 본 연구자들은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의 상기 효과에 대하여만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피부에 적용하는 화장료 로서 나노 리포좀을 만들어 피부 흡수를 뛰어나게 함으로서 실지 피부 속에서 그 효과를 얻는 것을 설명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생채 내에서 산화와 관련된 현상으로 인식되고 있는 노화의 원인 중의 하나로 산소와 유래되는 superoxide anion radical, hydroxy radical, singlet oxygen 및 과산화수소의 활성산소의 역할이 대두되어 이들의 제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그에 대응하는 기술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활성산소는 강한 산화력이 있어 세포막 분해, 단백질 분해, 지방산화, DNA파괴, 등 생체 내에서 심각한 생리적인 장애를 유발한다. 이러한 활성산소와 free radical 생성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항산화제는 토코페롤류, 플라보노이드류, BHT, BHA 등이 많이 있으며 이들은 각각 화장료 로서 피부 에서 효과적 임을 보여 주고 있으나 많은 연구결과들이 사실 피부에 사용하는 화장료 로서 생각해 보아야 하는 피부 흡수에 대한 설명등은 없다.
또한 화장료로서 피부 미백 효과를 발휘 하기 위해서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미리 예방 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통상 진피속의 멜라노사이트 내에서 일어나는 멜라닌 생합성 과정중의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를 발휘하는 많은 연구가 있으며 대표적으로 알부틴, 코직산, 비타민C 및 많은 티로시나제를 억제해주는 식물 추출물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또한 많은 연구결과들이 피부 흡수에 대하여는 설명하고 있지는 않다.
관련 기술로서 일본 특허 JP2134309 에서는 플라보노이드로서 탁시폴린, 카테킨,에피카테킨을 함유하는 프로시아니딘으로서 피부 미백 화장료가 있으나 발명에서 언급 하는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를 발휘 할려면 통상 진피속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까지 유효성분이 흡수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뚜렷한 기술적 언급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자가 위에서 언급한 화장료서 피부속 진피에서의 효과를 기대하는 피부 흡수를 언급하고 있지 않아서 그 미용 효과가 의문시 되고 있다
또다른 특허 JP 9176008 에서는 탁시폴린을 포함한 플라보노이드로서 화장료 조성물로서 주름 개선에 효과적임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또한 피부 속으로 흡수되어 콜라겐의 생합성을 촉진하여야 하나 마찬가지로 뚜렷한 피부 흡수에 대한 기술적 언급이 어디에도 제시되지 않고 있다.
또다른 특허 JP 7304636 에서는 탁시폴린을 포함하는 프라바논,프라본,프라보놀에서 유래하는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기술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는 모발 손상을 방지하고 모발의 탄력을 증진시키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탁시폴린을 응용한 많은 특허는 보고 되고 있으나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하여 보다 상승적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이 두 성분을 나노 리포좀화시켜 피부 흡수를 촉진케해 실지 피부 화장료 로서 그 효과를 나타내는 기술은 현재까지 보고 되지 않고 있다.
한편, 피부에 활성성분을 효과적으로 흡수시키기 위해서는, 활성성분을 직경 10∼200nm 수준의 나노입자(nanoparticles)에 담아 이를 담체화하고, 이 나노입자를 화장료 중의 유효성분으로 함으로써 피부 침투력을 촉진시키는 기술이 경피 흡수 시스템으로서 최근 각광받고 있다.
나노입자는 활성성분의 조성에 따라 리포좀(liposome) 또는 나노에멀젼(nanoemulsion)의 형태로 제조된다. 리포좀은 내부에는 친수성의 공간이 있으며 외부에는 닫힌 이중의 지질막을 가지고 있는 미세 소포체로서, 중앙의 친수성 공간에 수용성 성분을 내포시키며, 외부의 지질 이중막에는 지용성 성분을 붙이거나 양전하 및 음전하 물질을 결합시킬 수 있다. 나노에멀젼은 단분자층으로 형성되는 소낭으로서, 안정성, 유동학적 특성, 균일성, 높은 계면 면적 등에 있어서 일반 에멀젼과는 다른 물리화학적 특성을 가지며, 내부에 활성성분을 내포하여 효과적으로 활성성분을 피부에 침투시킬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과 그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뛰어난 항산화 효과와 미백효과, 아토피효과를 보유함과 동시에 뛰어난 피부 흡수력을 가진 화장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오랜 연구 끝에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을 혼합 사용하는 경우에 이들 2 성분의 상승적 효과에 의해 가장 우수한 항산화,항노화효과와 미백효과가 얻어진다는 사실을 도출 하였으며,또한 이들 2 성분을 효과적으로 나노 리포좀화 함으로써, 콜라겐 생합성능 및 피부 흡수력을 동시에 갖춘 가장 효과적인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 2 성분을 함유하여 우수한 항산화효과 및 미백효과, 항노화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뛰어난 피부 흡수력을 갖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항노화 물질인 탁시폴린 과 꾸지뽕 추출물을 효과적으로 혼합 사용하므로써 현저한 상승 효과를 구현하였고, 또한 이들 성분을 나노 리포좀화 함으로써 실제 피부 침투 효과를 극대화 시켰으며, 피부 항노화 효과와 항산화,미백 효과등이 매우 우수한 화장료를 제조함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를 크림, 로션, 에센스, 스킨 등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중에 포함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현저히 뛰어난 피부 내 항산화 효과, 미백,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나노 리포좀 입자는 포화 레시친 1.0 내지 5.0 중량%, 에탄올 1.0 내지 10.0 중량 %, 스쿠알란 1.0 내지 10.0 중량%, 탁시폴린 0.05% 내지 1.0% 중량%, 꾸지뽕 추출물 0.1% 내지 10% 중량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0.1 내지 0.5 중량%, 글리세린 10.0 내지 50.0 중량% 및 정제수(잔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M/F 리포좀 입자는 화장료 조성물 중에 1 ∼ 20.0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탁시폴린 및 꾸지뽕 추출물을 혼합 사용함으로써 피부 내 항산화 효과 의 현저한 상승 효과를 이루었고, 또한 상기 2 성분과 포화 레시친, 에탄올 등을 적절한 조성으로 혼합하여 나노 리포좀입자로 만들어 안정화시킴으로써 탁시폴린 및 꾸지뽕 추출물의 피부 흡수력 향상 효과를 이루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나노 리포좀 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주름 생성 억제력이 우수하고 피부 미백효과가 뛰어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나노 리포좀 의 제조방법
먼저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포화 레시친 1.0 내지 5.0 중량%, 에탄올 1 내지 10.0 중량%, 스쿠알란 1.0 내지 10.0 중량%, 탁시폴린 0.1 내지 1.0 중량%, 꾸지뽕추출물 0.1% 내지 10.0 %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BHT) 0.1 내지 0.5 중량%, 글리세린 10.0 내지 50.0 중량%를 첨가하고 전체 중량이 100 중량%가 되도록 정제수를 첨가하여 교반 하에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Micro Fluidizer(고압 미세 균질기)를 600∼1,200bar의 압력하에서 3∼5회 통과시킨 후 탈포하여 탁시폴린 과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 리포좀 입자를 얻었다.
[표 1]
나노 리포좀 의 조성
Figure 112006509972136-pat00001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나노 리포좀 입자의 입자 모양을 동결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것으로서 Mean Size=26.25nm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조성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 은 그 구조상 친수성 성분과 친유성 성분을 모두 함유할 수 있으며 활성성분을 효과적으로 피부에 전달하기에 적합한 형태이다.
실험예 1∼4 : 항산화 효과 실험
주름방지 효과를 간접 비교할 수 있는 항산화 효과 실험을 실시 하였다
실험을 위해 탁시폴린 과 꾸지뽕 추출물 을 함량별로 달리하여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을 함유한 화장료를 실험예 1에서 4 까지 제조 하였다. 이들의 항산화력을 실험하기 위해 각각의 크림 8 그람을 80% 에탄올에 40 그람 첨가한다 .
삭제
15분 간격으로 vortexing 하면서 1시간 동안 추출한다.
원심분리기에서 10000 rpm 으로 5분간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취한다.
여기에 메탄올을 이용하여 10배 희석 한다
희석후 침전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10,000 rpm에서 3분간 원심분리 한다. 원심분리후 아래와 같이 96well 에 분주한다.
Figure 112006509972136-pat00002
이를 20분간 실온에서 반응 시키고 517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scavenging activity(%) 를 계산한다
Figure 112007509297889-pat00027
[표 2]
각 실험군의 항산화력 억제력(%)
Figure 112006509972136-pat00004
상기 실험 결과에서, 탁시폴린 과 꾸지뽕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의 항산화력 보다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의 항산화력이 현저히 뛰어남을 알수 있었다.
즉, 실험예 1,2의 결과와 실험예 3,4의 결과를 비교하면, 탁시폴린 과 꾸지 뽕 추출물을 혼합 사용하는 경우 미량으로도 그효과가 상기 2 성분중 하나를 하나를 단독 사용하는 경우보다 현저히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5 : 경피흡수 효과 실험
[표 3]
비교예 및 실험예 5의 제형의 조성
Figure 112007509297889-pat00019
상기 표 3과 같은 조성으로 제조한 비교예의 제형과 실험예 5의 제형을 이용하여 경피 흡수시험을 실시하였다. 경피 흡수는 헤어리스 기니피그 피부를 대상으로 평방 1cm2 면적으로 구획한 후 각 시료를 0.5그람씩 평량하여 오염되지 않게 처리하고 30분 후 테이프 스트리핑 방법으로 5회에 걸쳐 실험하였다. 피부 표면의 탁시폴린을 기준하여 농도는 HPLC로 용매 처리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피부 표면의 탁시폴린 함량(%)
Figure 112007509297889-pat00020
실험 결과, 비교예의 제형에서는 탁시폴린이 피부 표면에 주로 존재하고 있어 피부 침투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고, 실험예 5의 제형에서는 피부 속으로 대부분 침투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탁시폴린 과 꾸지뽕 추출물을 와 포화 레시친, 에탄올 등을 적절한 조성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 입자에 의해 피부 흡수력이 현저히 상승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 나노 리포좀 입자를 함유한 크림 제조
[표 5]
크림 제형의 조성
Figure 112007509297889-pat00021
상기 표 5의 성분 중 오일에 용해되는 성분을 유상 성분으로 하고 정제수에 용해되는 성분을 수상 성분으로 하여 일정 온도(70 내지 75 ℃)에서 충분히 균일 용해하고 일반 호모믹서로 균질 혼합하는 유화공정을 실시하였다. 유화된 혼합물을 냉각한 후에 약 40 ℃에서 향료와 나노 리포좀 입자를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 혼합한 후 냉각, 탈포시켜서 화장료로서 크림 제형을 제조하였다.
삭제
실시예 3 : 나노 리포좀 입자를 함유한 로션 제조
[표 6]
로션 제형의 조성
Figure 112007509297889-pat00022
상기 표 6의 성분 중 오일에 용해되는 성분을 유상 성분으로 하고 정제수에 용해되는 성분을 수상 성분으로 하여 일정 온도(70 내지 75 ℃)에서 충분히 균일 용해하고 일반 호모믹서로 균질 혼합하는 유화공정을 실시하였다. 유화된 혼합물을 냉각한 후에 약 40 ℃에서 향료와 나노 리포좀 입자를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 혼합한 후 냉각, 탈포시켜서 화장료로서 로션을 제조하였다.
삭제
실시예 4 : 나노 리포좀 입자 입자를 함유한 에센스 제조
[표 7]
에센스 제형의 조성
Figure 112007509297889-pat00023
상기 표 7의 성분을 정제수에 차례대로 투입, 교반하고 나노 리포좀 입자를 첨가하여 현탁액 상태의 화장료로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 나노 리포좀 입자를 함유한 스킨 제조
[표 8]
스킨 제형의 조성
Figure 112007509297889-pat00024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나노 리포좀 입자를 1.0 내지 50.0 중량%를 취하여 정제수 40 내지 99 중량%에 첨가하여 균일 혼합함으로써 현탁액 상태의 스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 나노 리포좀 입자를 함유한 미용비누 제조
[표 9]
비누 제형의 조성
Figure 112007509297889-pat00025
상기 표 9의 성분을 유상과 수상을 45도씨에서 교반하고, 나노 리포좀 입자를 첨가하여 냉각,숙성후 미용비누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6~9 :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 실험
미백 방지 효과를 간접 비교할 수 있는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을 위해 탁시폴린 과 꾸지뽕 추출물 을 함량별로 달리하여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을 함유한 화장료를 실험예 6에서 9 까지 제조 하였다. 이들의 티로시나제 저해력을 실험하기 위해 각각의 크림 8 그람을 80% 에탄올에 40 그람 첨가한다 .
15분 간격으로 vortexing 하면서 1시간 동안 추출한다.
원심분리기에서 10000 rpm 으로 5분간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취한다.
실리지 필터(0.45um)을 이용하여 여과한다.
40 C에서 진공 농축기를 사용하여 무게가 25 % 가 될때까지 농축한다.
80% 에탄올로 추출한 각각의 시료를 68mM phosphate Buffer 로 약 3.3배 희석한다 (컨트롤 역시 80% 에탄올로 잡고 실험한다)
(300 ul샘플 + 700 Buffer) 희석후 침전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10,0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다. 원심분리후 아래와 같이 96well 에 분주한다.
Figure 112007509297889-pat00026
이를 37 C 에서 20분간 반응 시킨후 37 C로 세팅된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초간 혼합 시키고 492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티로시나제 저해력(%) 를 계산한다
Figure 112006509972136-pat00013
[표 2]
각 실험군의 티로시나제 저해력 (%)
Figure 112006509972136-pat00014
상기 실험 결과에서, 탁시폴린 과 꾸지뽕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의 티로시나제 저해력 보다 혼합하여 용할 경우의 티로시나제 저해력이 현저히 뛰어남 을 알수 있었다.
즉, 실험예 6,7의 결과와 실험예 8,9의 결과를 비교하면, 탁시폴린 과 꾸지뽕 추출물을 혼합 사용하는 경우 미량으로도 그효과가 상기 2 성분중 하나를 하나를 단독 사용하는 경우보다 현저히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10~13: 콜라겐 합성 효과 실험
주름방지 효과를 간접 비교할 수 있는 콜라겐 생합성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은 실지 세포독성 실험을 해서 세포에 독성이 없는 농도 범위에서 선택적으로 실시하였다.
섬유아세포의 분리 및 배양을 위해 신생아 포피 절제술에서 얻어진 피부를 수술용 가위로 지방층을 제거한 다음 2-4mm 크기의 피부 절편을 만들었다. 여기에 타입 I 콜라게나제 용액을 가하여 37℃에서 12시간 방치한 후 콜라게나제 용액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진피로부터 표피를 제거한 후 진피를 수술용 칼로 잘게 썬 후 배지를 부어 섬유아세포를 배양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3-7 번 계대 배양한 섬유아세포를 사용하였다.
인체 섬유 아세포의 기본 배양액은 글루타민(0.48 mg/ml), 페니실린(100 IU/ml), 스트렙토마이신(50 ㎍/ml)과 56℃에서 30분간 보체를 불활성 시킨 FBS(fetal bivine serum)가 10% 비율로 첨가된 GibcoBRL(미국)의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를 사용하였다. 6-웰 멀티 챔버 플레이트(6-well multi chamber plate)에 각 웰(well) 당 5×105 개의 섬유아세포를 배양하였다. 세포가 약 79~80%까지 충분히 배양될 때까지 키웠다. 각 세포(cell)에 탁시폴린은 DMSO(Dimethyl sulfoxide)로 처리하여 농도를 맞추고, Ectoin은 증류수로 처리하여 농도를 맞췄다. 각각의 실험 조건은 농도별로 달리하여 각 세포에 처리한 후 2일간 인큐베이션시킨 다음, 2일 후 세포 배지(cell media)와 세포(cell)를 각각 따로 모아 냉장 보관하였다.
세포 추출물(cell extract)은 PBS를 소량 넣은 다음 세포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긁어냈다. 1N NaOH를 100 ㎕ 와 증류수 400㎕ 에 넣어 하루동안 방치하고, 단백질 분석(protein assay)을 실시하였다. 배지(Media)는 콜라겐 분석(collagen assay)을 실시하는데 가용성 콜라겐(soluble collagen)에 특이적으로 결합(binding)할 수 있는 염료(dye)로서 Sircol Collagen assay kit(bio color사)를 사용하였다.
우선 0.5M 초산 또는 초산염의 버퍼 용액 100 ㎕ 를 이용하여 공실험을 행한 다음, 표준 콜라겐과 amicon사의 centricon 10을 사용하여 배지(media)를 농축시킨 각 실험 시료를 넣고, 각 튜브에 1.0 ml sircol dye reagent를 첨가하여 30분간 혼합하고, 5000g 이상에서 10분간 원심분리 시켜 상등액을 제거하고, 여기에 1.0 ml Sircol Alkali Reagent를 첨가하여 가볍게 혼합한 후 540nm에서 측정하였다.
다시 프로틴 양으로 콜라겐 분석(collagen assay) 값을 보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DMEM 배지만 처리한 것을 대조군으로 잡고 이 대조군에 비해 콜라겐 생성량이 증가된 비율을 평가하였다.
[표 3]
각 실험군의 콜라겐 생합성율(%)
Figure 112006509972136-pat00015
상기 실험 결과에서,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의 콜라겐 생합성율보다,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의 콜라겐 생합성율이 현저히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실험예 10,11의 결과와 실험예 12,13의 결과를 비교하면,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을 혼합 사용하는 경우, 미량으로도 그 효과가 상기 2 성분 중 하나를 단독 사용하는 경우보다 현저히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을 혼합 사용함으로써 피부 내 항산화력 효과와 콜라겐 생합성능,티로시나제 저하력등의 현저한 상승 효과를 이루었고, 또한 상기 2 성분과 포화 레시친, 에탄올 등을 적절한 조성으로 혼합하여 나노 리포좀 입자로만들어 안정화시킴으로써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의 피부 흡수력 향상 효과를 이루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나노 리포좀 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주름 생성 억제력이 우수하고 피부 미백효과가 뛰어난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는 화장품 제조 및 미용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포화 레시친 1.0 내지 5.0 중량%, 에탄올 1.0 내지 10.0 중량 %, 스쿠알란 1.0 내지 10.0 중량%, 탁시폴린 0.01 % 내지 10.0 중량%, 꾸지뽕 추출물 0.01 중량% 내지 10.0 중량%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0.1 내지 0.5 중량%, 글리세린 10.0 내지 50.0 중량% 및 정제수 잔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리포좀 입자.
  2. 제 1항의 나노 리포좀 입자를 1.0 ∼ 20.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의 나노 리포좀 입자로서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을 포함 하여 나노 리포좀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와 미백 효과,주름개선효과를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128355A 2006-12-12 2006-12-12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0825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355A KR100825628B1 (ko) 2006-12-12 2006-12-12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355A KR100825628B1 (ko) 2006-12-12 2006-12-12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045A KR20070001045A (ko) 2007-01-03
KR100825628B1 true KR100825628B1 (ko) 2008-04-25

Family

ID=37868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355A KR100825628B1 (ko) 2006-12-12 2006-12-12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56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170A (ko) 2015-07-16 2017-01-25 신명철 그래핀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43738A (ko) 2017-10-19 2019-04-29 주식회사 삼성인터네셔널 기미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957B1 (ko) 2007-04-03 2008-10-13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히페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0904370B1 (ko) * 2007-10-15 2009-06-23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47833B1 (ko) * 2007-12-20 2010-03-18 한국식품연구원 노화억제용 배합물
KR100868197B1 (ko) * 2008-03-26 2008-11-10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발아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
KR101130550B1 (ko) * 2009-10-29 2012-03-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투과성 펩타이드 표면 결합 나노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아토피 조성물
KR101273435B1 (ko) * 2010-12-02 2013-06-28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함유하는 항균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458B1 (ko) * 2004-08-06 2004-12-13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다중층 리포좀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458B1 (ko) * 2004-08-06 2004-12-13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다중층 리포좀 및 그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꾸지뽕나무 분리 화합물, 한국농화학회지, 제37권, 제2호(1994년), pp.105~109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170A (ko) 2015-07-16 2017-01-25 신명철 그래핀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43738A (ko) 2017-10-19 2019-04-29 주식회사 삼성인터네셔널 기미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045A (ko) 200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628B1 (ko)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0879900B1 (ko) 멍석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74558B1 (ko) 진세노사이드 Rd, Rb2와 죽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25288B1 (ko) 브로콜리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KR100860605B1 (ko)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5580B1 (ko) 마테 추출물 및 트라넥삼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60604B1 (ko)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17129B1 (ko) 구주소나무 솔방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35356B1 (ko)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CA3081726A1 (en) Composition for skin anti-inflammation and skin moisturizing comprising artemisia extract extracted with skin cosmetic solution as a solvent
KR100753437B1 (ko) 홍삼 조사포닌과 감초,비오틴(Biotin),쿠퍼 펩타이드(Copper peptide), 사이토카인(Cytokines)을 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 및 이를 함유한 헤어 케어용 화장료
KR102016062B1 (ko) 미백개선과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배 캘러스와 유자 캘러스 소재
KR100544159B1 (ko) 아스코르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와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프롤린을 함유한 나노 에멀젼 및 이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55132B1 (ko) 레몬머틀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137328A (ko) 병아리꽃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0530669B1 (ko) 락테이트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20190137327A (ko)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0744947B1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7193B1 (ko) 금잔화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4107269A (ja) 蛋白質のカルボニル化抑制剤、皮膚外用剤及び方法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KR102657397B1 (ko) 다분자 콜라겐과 카카두 플럼 추출물을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는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622180B1 (ko) 천연 루시놀을 이용한 미백 효과를 갖는 화장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555418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j2k-351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된 천심련 및 바위손의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JPH11171722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