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957B1 - 히페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히페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957B1
KR100862957B1 KR1020070032676A KR20070032676A KR100862957B1 KR 100862957 B1 KR100862957 B1 KR 100862957B1 KR 1020070032676 A KR1020070032676 A KR 1020070032676A KR 20070032676 A KR20070032676 A KR 20070032676A KR 100862957 B1 KR100862957 B1 KR 100862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hyperin
taxifolin
sk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덕훈
정은선
이종성
Original Assignee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2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9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페린(hyper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유효성분인 히페린은 주름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고 콜라게네이즈 활성을 효율적으로 억제하며, 피부주름의 형성의 방지 및 형성된 주름의 제거작용을 하여 피부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탁시폴린을 더 포함하는 복합 유효성분의 효과는 히페린 또는 탁시폴린 단독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 그 정도가 상승적으로 증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제로 인간 개체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매우 우수한 피부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 부작용이 없어 화장료, 약제학적 및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히페린, 탁시폴린, 콜라겐, 콜라게네이즈, 피부주름

Description

히페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Improving Skin Wrinkle Comprising Hyperin as an Active Ingredient}
도 1은 히페린 및 탁시폴린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콜라겐 생합성의 증가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히페린 및 탁시폴린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콜라게네이즈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히페린(hyperin)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부주름을 개선시키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주름은 피부의 노화로 생기며 노화된 피부란 노화의 과정과 연관된 자연적 변화의 총체이다. 피부노화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며 피부표면 전체에서 나이 와 관련된 피부 기능, 구조 모양의 변화를 나타내는 생리적 노화와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로 구분된다.
피부에 노화가 진행되면 진피의 변화가 현저한데 70세 이후 나타나는 진피위축은 대표적인 노화현상이다. 진피의 변화는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숫자와 그들의 합성 능력의 감소로 인하여 세포외 기질 중 큰 분자량을 가진 물질들이 변화로 발생된다. 그 구체적인 변화는 콜라겐 다발의 분리, 점다당질 합성감소, 콜라겐과 탄력섬유(elastin)수와 직경 감소, 콜라겐과 탄력섬유 분쇄 또는 혈관의 팽창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수분 함유량, 콜라겐 함유량 및 외부 환경에 대한 면역 작용 능력 등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들 중 주름의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콜라겐의 생성량과 콜라겐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콜라겐 분해 효소인 콜라게네이즈의 발현량과 활성이다. 콜라게네이즈는 자외선, 열 또는 산화 스트레스 등의 외부요인이나 피부노화와 같은 내부요인에 의해 발현과 활성이 증가하여 콜라겐을 분해하여 피부노화를 촉진한다.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수명이 연장되면서 미적인 차원뿐만 아니라 생활의 질 문제에 있어서도 피부노화를 개선할 수 있는 물질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안전성과 안정성이 높으며, 피부 관련 효능이 우수한 화장료를 찾기 위하여 천연식물을 대상으로 유효물질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히페린 단독 또는 히페린 및 탁시폴린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면 효능과 안전성이 우수한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히페린(hyper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안전성과 안정성이 높으며, 피부 관련 효능이 우수한 화장료를 찾기 위하여 천연식물을 대상으로 유효물질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히페린 단독 또는 히페린 및 탁시폴린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면 효능과 안전성이 우수한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탁시폴린(taxifolin)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히페린은 산사나무, 삼백초, 섬기린초, 여뀌, 물레나무 또는 호두나무 등 매우 다양한 자연원(natural source)으로부터 분리되는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히페린은 퀘르시틴-3-갈락토시드(quercetin-3-galactoside)를 의미하며, IUPAC 명은 2-(3,4-디하이드록시페닐-5,7-디하이드록시-3-[(2S,3R,4S,5R,6R)-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옥산-2-일]옥시-크로멘-4-온(2-(3,4-dihydroxyphenyl)-5,7- dihydroxy-3-[(2S,3R,4S,5R,6R)-3,4,5-trihydroxy-6-(hydroxymethyl)oxan-2-yl] oxy-chromen-4-one)이다. 히페린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며, 항진균효과와 함께 항염효과, 심혈근허혈 보호효과, 뇌경색 보호효과 또는 알츠하이머 개선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igure 112007025725293-pat00001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또 다른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탁시폴린은 엉겅퀴(Silybum marianum L. Gaertner), 유칼립투스(Eucalyptus globulus),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소나무껍질(pine bark) 등에서 추출되는 플라보노이드 물질로서, 항산화효과, 항암효과, 활성산소로부터 세포보호효과 또는 항염증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탁시폴린은 디하이드로퀘르세틴(dihydroquercetin)으로 불리기도 하며, IUPAC 명은 2-(3,4-디하이드록시페닐)-3,6,7-트리하이드록시-크로만-4-온(2-(3,4-dihydroxyphenyl)-3,6,7-trihydroxy-chroman-4-one)이다. 탁시폴린은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진다.
Figure 112007025725293-pat00002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히페린은 산사나무, 삼백초, 섬기린초, 여뀌, 물레나무 또는 호두나무로부터 추출해 낼 수 있고, 탁시폴린은 엉겅퀴, 유칼립투스, 가래나무 또는 소나무껍질로부터 추출해 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의 히페린 및 탁시폴린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또는 (g) 1,3-부틸렌글리콜을 추출 용매로 하여 수득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히페린 및 탁시폴린을 얻기 위하여, 상기의 추출용매 처리 이후에 추가적인 정제 과정을 거쳐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히페린 및 탁시폴린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히페린 및 탁시폴린은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인공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한 물질 즉, 히페린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 물질의 존재에 의해 우수한 피부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고, 이에 상기한 탁시폴린을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 두 물질의 존재에 의해 피부주름이 상승적으로(synergic) 개선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과, 즉 히페린 단독 유효성분에 의해 우수한 피부주름 개선과 히페린 및 탁시폴린 복합 유효성분에 의해 상승적인 아토피 증상 개선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입증된다. 상세하게는, 히페린 단독 유효성분과 히페린 및 탁시폴린 복합 유효성분은 주름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고 콜라게네이즈 활성을 효율적으로 억제하며, 피부주름의 형성의 방지 및 형성된 주름의 제거작용을 하여 피부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히페린 및 탁시폴린 복합 유효성분의 효과는 히페린 또는 탁시폴린 단독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 그 정도가 상승적으로 증가된다. 또한, 하기의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히페린 단독 유효성분과 히페린 및 탁시폴린 복합 유효성분은 피부 부작용이 거의 없는 안전한 성분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용도인 주름 개선은 통상적인 피부 보호 용도(주름의 예방, 주름의 제거, 피부 노화 억제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히페린 단독 유효성분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0.0001-2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10.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1-5.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3.0 중량%이다. 히페린의 단독 유효성분의 중량이 0.0001 중량% 미만일 때는 그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고, 2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고, 함량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매우 미약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히페린 및 탁시폴린의 복합 유효성분은 0.5:1-1.5:1의 중량비로 조성물에 포함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7:1-1.3:1,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8:1-1.2:1, 가장 바람직하게는 1:1의 중량비로 조성물에 포함된다. 상기 히페린:탁시폴린의 중량비가 0.5:1-1.5:1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두 유효성분에 의해 달성되는 피부주름 개선 효능의 상승적인 증가 패턴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히페린 및 탁시폴린의 복합 유효성분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0001 내지 2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3 중량%이다. 히페린 및 탁시폴린의 복합 유효성분의 중량이 0.0001 중량% 미만일 때는 그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고, 2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고, 함량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매우 미약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히페린 단독 유효성분과 히페린 및 탁시폴린 복합 유효성분 이외에, 그 작용(피부주름 개선 효능)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도에서 당업계에 공지된 추가의 피부주름 개선 물질을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히페린 및 탁시폴린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 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히페린 및 탁시폴린 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히페린 및 탁시폴린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의 피부의 주름을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은 히페린 단독 유효성분과 히페린 및 탁시폴린 복합 유효성분을 포함한다.
(ⅱ) 유효성분인 히페린은 주름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콜라겐 합성을 증 가시키고 콜라게네이즈 활성을 효율적으로 억제하며, 피부주름의 형성의 방지 및 형성된 주름의 제거작용을 하여 피부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탁시폴린을 더 포함하는 복합 유효성분의 효과는 히페린 또는 탁시폴린 단독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 그 정도가 상승적으로 증가된다.
(ⅲ)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제로 인간 개체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매우 우수한 피부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ⅳ) 또한, 피부 부작용이 없어 화장료, 약제학적 및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히페린과 탁시폴린 조성물에 의한 상승적 콜라겐 합성 증가 측정
주름개선효과는 통상 콜라겐 생합성능과 콜라게네이즈 분해 억제능 및 사람에 대한 임상시험으로서 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 (주)태평양)를 DMEM 배지가 들어 있는 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접종시키고(2 X 105 세포/웰), 5% 농도의 CO2 배양기에 37℃로 24시간 동안 배양 하였다. 24시간 후, 각 웰에서 배지를 제거하고 농도별로 시료를 처리한 다음 24시간 동안 다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세포배지를 수집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콜라겐 합성량은 콜라겐 측정 키트(Procollagen Type I C-peptide EIA kit (MK101), 다카라, 교토, 일본)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procollagen) 타입 I C-펩타이드(Type I C-peptide: PICP)의 양을 측정하였다. 자세한 시험방법은 (주)다카라의 키트 설명서에 따라 수행하였다.
비율 농도(%) 인시던스 (Incidence(%)) 콜라겐합성증가율(%)
히페린 : 탁시폴린 히페린 탁시폴린
0.5 : 0.5 0.75 0.75 142 42
0.5 : 1.0 0.5 1.0 126 26
1.0 : 0.5 1.0 0.5 123 23
0.5 : 1.5 0.375 1.125 125 25
1.5 : 0.5 1.125 0.375 124 24
히페린 단독 1.5 0 119 19
탁시폴린 단독 0 1.5 115 15
대조군 0 0 100 -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탁시폴린 단독을 처리했을 때보다 히페린 단독을 처리한 경우 콜라겐 합성율이 더 증가하였고, 히페린과 탁시폴린 둘 모두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처리하였을 때, 콜라겐 합성이 상승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히페린과 탁시폴린의 중량 비율이 1:1이 될 경우, 가장 높은 콜라겐 합성 증가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히페린과 탁시폴린 조성물에 의한 상승적 콜라게네이즈 억제효과 측정
사람의 정상 섬유 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 (주)태평양)를 DMEM 배지가 들어 있는 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접종시키고(2 X 105 세포/웰), 5% 농도의 CO2 배양기에 37℃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각 웰에서 배지를 제거하고, 콜라게네이즈 활성을 유도하는 물질인 포르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phorbol myristate acetate)(PMA)(Sigma)와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한 다음, 24시간 동안 다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세포배지를 수집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콜라게네이즈의 활성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콜라게네이즈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였다. 전체적인 시험은 판매회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실시하였다. 타입 I 콜라게나제 어세이 키트 (Amersham Biosciences, RPN2629)를 이용하였으며, ELISA 판독기(Bio-Tek ELx808™ Series Ultra Microplate Reader, 영국)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표준치는 평균± 표준편차의 형태로 표시하였고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로 유의성을 검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율 농도(%) 인시던스 (Incidence(%)) 콜라게네이즈 억제율(%)
히페린 : 탁시폴린 히페린 탁시폴린
0.5 : 0.5 0.75 0.75 53 47
0.5 : 1.0 0.5 1.0 82 18
1.0 : 0.5 1.0 0.5 85 15
0.5 : 1,5 0.375 1.125 72 28
1.5 : 0.5 1.125 0.375 82 18
히페린 단독 1.5 0 87 12
탁시폴린 단독 0 1.5 91 9
대조군 0 0 100 -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콜라게네이즈의 활성이 히페린과 탁시폴린 함유 조성물에 의해 억제됨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효과는 히페린 단독 및 탁시폴린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보다 우수한 효능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히페린과 탁시폴린의 중량 비율이 1:1이 될 경우, 가장 높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히페린과 탁시폴린의 혼합 조성물이 콜라겐을 분해하는 콜라게네이즈를 억제함에 있어서 상승적 효능을 보임을 제시한다.
실시예 3: 히페린과 탁시폴린 조성물 함유한 화장료의 주름개선 효과 측정
히페린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화장료의 주름 개선효과를 임상 시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제조예 A(히페린 0.5% + 탁시폴린 0.5% 함유한 영양 크림), 비교 제조예 1(정제수를 함유한 영양 크림), 비교제조예 2(히페린 1% 함유한 영양크림) 및 비교 제조예 3(탁시폴린 1% 함유한 영양크림)에서 제조한 영양 크림을 사용하였다.
주름개선 효과는 피부탄력 변화의 측정을 통해 평가하였다. 피부탄력의 측정은 온도 24 내지 26℃, 습도 38 내지 40%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조건에서 건강한 여성 30명(25 내지 35세)을 대상으로 제조예 A와 비교 제조예 3종류의 영양 크림을 각각 피검자의 얼굴에 1일 2회씩 3개월 동안 사용하게 한 후, Cutometer SEM 474(Courage+Khazaka, Cologne, 독일)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졌으며, 판정기준은 피부탄력이 없는 경우를 0, 많은 경우를 5로 하여 상대적인 값을 비교하였다. 시험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비교 제조예 1 (정제수를 함유한 영양 크림) 비교 제조예 2 (히페린 1% 함유) 비교 제조예 3 (탁시폴린 1% 함유) 제조예 A (히페린 0.5% + 탁시폴린 0.5% 함유)
피부탄력도 2.8 3.4 3.2 3.8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히페린만을 함유한 크림(비교 제조예 2)이 탁시폴린만을 함유한 크림(비교 제조예 3)에 비해 우수한 피부탄력도 개선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고, 히페린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크림이 히페린 단독 또는 탁시폴린 단독을 함유한 크림(비교 제조예)에 비해 우수한 피부탄력도 개선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p<0.001).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히페린 단독 또는 탁시폴린 단독을 처리했을 때보다 히페린과 탁시폴린을 동시에 처리했을 경우, 주름 개선에 대한 우수한 상승작용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제조예 : 히페린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A. 히페린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크림
히페린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영양 크림의 조성은 하기 표 4와 같다. 수상인 정제수, 트리에탄올 아민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70℃로 가열하고 용해시키고, 여기에 유상인 지방산, 유성성분, 유화제 및 방부제를 70℃로 가열하여 용해한 액을 첨가하여 유화시켰다. 유화가 완료된 후 상기 용액을 45℃로 냉각시키고 히페린과 탁시폴린 및 향을 첨가하고 분산시킨 다음 30℃로 냉각하였다.
히페린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영양크림의 성분 및 함량
성분 함량(중량%)
히페린(hyperin) 0.50
탁시폴린(taxifolin) 0.50
호호바 오일 5.0
유동 파라핀 7.0
세틸아릴 알코올 2.0
폴리글리세릴-3 메칠 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 2.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
스쿠알란 3.0
프로필렌글리콜 4.0
글리세린 5.0
트리에탄올 아민 0.3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0.3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2
방부제, 향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B. 히페린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화장수
a) 유연 화장수
히페린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유연 화장수의 조성은 하기 표 5와 같다. 수성 성분에 정제수를 가하고 실온에서 용해시켜 수상을 제조하였다. 히페린, 탁시폴린, 유성성분, 유화제, 방부제 및 향을 실온에서 용해시킨 후, 수상에 첨가하여 혼합하고 여과하였다.
히페린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유연 화장수의 성분 및 함량
성분 함량(중량%)
히페린(hyperin) 0.50
탁시폴린(taxifolin) 0.50
EDTA 0.05
피이지 1500 4.00
카보머 0.16
1,3 부틸렌 글라이콜 3.00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0.45
트리에탄올아민 0.12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b) 수렴 화장수
히페린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수렴 화장수의 조성은 하기 표 6과 같다. 수성 성분에 정제수를 가하고 실온에서 용해시켜 수상을 제조하였다. 히페린, 탁시폴린, 유상성분, 유화제, 방부제 및 향에 에탄올을 가하여 실온에서 용해시켜 알코올 상을 제조한 다음 수상에 첨가하여 혼합하고 여과하였다.
히페린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수렴화장수의 성분 및 함량
성분 함량(중량%)
히페린(hyperin) 0.50
탁시폴린(taxifolin) 0.50
글리세린 2.00
1,3 부틸렌글라이콜 3.00
EDTA 0.05
에탄올 7.00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0.4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C. 로션
히페린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로션의 조성은 하기 표 7과 같다. 수상인 정제수, 트리에탄올 아민 및 부틸렌 글라이콜을 70℃로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여기에 유상인 지방산, 유성성분, 유화제 및 방부제를 70℃로 가열하여 용해한 액을 첨가하여 유화시켰다. 유화가 완료된 후 친수성 증점제인 산탄검 2% 용액을 첨가하여 전체에 대해 0.05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상기 용액을 45℃로 냉각시킨 후, 히페린, 탁시폴린, 향 및 색소를 첨가하고 혼합한 다음 30℃로 냉각하였다.
히페린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로션의 성분 및 함량
성분 함량 (중량%)
히페린(hyperin) 0.50
탁시폴린(taxifolin) 0.50
글리세린 3.00
카보머 0.10
산탄검 0.05
1,3 부틸렌 글라이콜 3.00
폴리글리세린-3 메칠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1.50
글리세린 스테아레이트 0.50
세테아릴 알코올 0.30
호호바 오일 3.00
유동 파라핀 2.00
스쿠알란 3.00
디메치콘 0.5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20
트리에탄올아민 0.1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D. 겔
히페린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겔의 조성은 하기 표 8과 같다.
히페린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젤의 성분 및 조성
성분 함량(중량 %)
히페린(hyperin) 0.50
탁시폴린(taxifolin) 0.50
EDTA 0.02
1,3 부틸렌 글라이콜 4.00
카보머 0.60
글리세린 5.00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5
트리에탄올 아민 0.50
트리클로산 0.20
에탄올 5.00
폴리옥시 에틸렌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4.0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미량
합계 100
E. 에센스
히페린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에센스의 조성은 하기 표 9와 같다. 정제수에 점증제를 천천히 교반하면서 가하여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수상 성분들을 혼합하여 수상을 제조하였다. 유화제, 피부 유연제, 향 및 방부제에 에탄올을 가하여 용해시켰다. 수상에 알코올 상을 교반하면서 가하고 알칼리제를 첨가하였다. 최종적으로 히페린, 탁시폴린 및 색소를 첨가하였다.
히페린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에센스의 성분 및 함량
성분 함량 (중량%)
히페린(hyperin) 0.50
탁시폴린(taxifolin) 0.50
EDTA 0.05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0.30
글리세린 5.00
1,3 부틸렌 글라이콜 4.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0.5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30
호호바 오일 0.50
마카데미아 넛 오일 0.5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50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 톨루엔 0.05
디메치콘 3.00
폴리아크릴아마이드/C13-14 이소파라핀/라우레쓰-7 1.50
글리세릴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프로필렌 글라이콜 5.00
에탄올 3.0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비교 제조예 : 정제수를 함유한 크림
상기 제조예에서 히페린과 탁시폴린 대신에 정제수, 히페린 단독 또는 탁시폴린 단독으로 대체한 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비교제조예 1 비교제조예 2 비교제조예 3
함량 (중량 %) 함량 (중량 %) 함량 (중량 %)
히페린(hyperin) 0.0 1.0 0.0
탁시폴린(taxifolin) 0.0 0.0 1.0
호호바 오일 5.0 5.0 5.0
유동 파라핀 7.0 7.0 7.0
세틸아릴 알코올 2.0 2.0 2.0
폴리글리세릴-3 메칠 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2.0 2.0 2.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 0.5 0.5
스쿠알란 3.0 3.0 3.0
프로필렌 글리콜 4.0 4.0 4.0
글리세린 5.0 5.0 5.0
트리 에탄올 아민 0.3 0.3 0.3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0.3 0.3 0.3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2 0.2 0.2
방부제, 향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실시예 4: 히페린과 탁시폴린 조성물의 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 확인 실험
히페린과 탁시폴린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인체피부에 안전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안전성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피부누적자극시험을 실시하였다.
스쿠알렌을 베이스로 히페린과 탁시폴린 함유 조성물을 각각 1%, 5% 및 10%를 첨가한 제형을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건강한 3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윗팔뚝 부위에 격일로 총 9회의 24시간 누적 첩포를 시행하여 히페린과 탁시폴린이 피부에 자극을 주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였다.
첩포 방법은 핀 챔버(Finn chamber, Epitest Ltd, 핀란드)를 이용하였다. 챔버에 상기 각 피부외용제를 15 ㎕씩 적하한 후 첩포를 실시하였다. 매회 피부에 나타난 반응의 정도를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점수화 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1에 정리되어 있다.
평균반응도=[(반응지수 x 반응도)/(총 피검자수 x 최고점수(4점))] x 100 ] ÷ 검사횟수(9회)
반응도에서 ± 는 1점, +는 2점 및 ++는 4점의 점수를 부여하며, 평균 반응도가 3 미만일 때 안전한 조성물로 판정된다.
시험물질 반응이 나타난 피검자 수 평균반응도
1주 2주 3주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7차 8차 9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조군 (스쿠알렌) 2 - - 0 - - - - - - - - - - - - - - - - - - - - - - - 0.18
히페린과 탁시폴린 함유 조성물(1%) [시험군 1] 2 - - 0 - - - - - - - - - - - - - - - - - - - - - - - 0.18
히페린과 탁시폴린 함유 조성물(5%) [시험군 2] 2 - - 0 - - - - - - - - - - - - - - - - - - - - - - - 0.18
히페린과 탁시폴린 함유 조성물(10%) [시험군 3] 2 - - 0 - - - - - - - - - - - - - - - - - - - - - - - 0.18
히페린(0.5%)+탁시폴린(0.5%)[시험군 4] 2 - - 0 - - - - - - - - - - - - - - - - - - - - - - - 0.18
히페린(2.5%)+탁시폴린(2.5%)[시험군 5] 2 - - 0 - - - - - - - - - - - - - - - - - - - - - - - 0.18
히페린(5.0%)+탁시폴린(5.0%)[시험군 6] 2 - - 0 - - - - - - - - - - - - - - - - - - - - - - - 0.18
피검인원 30 30 30 30 30 30 30 30 30 -
상기 표 11에서 시험군 1 내지 6 모두 ± , + 및 ++에 해당하는 사람의 수가 각각 2명, 0명 및 0명이고, 평균 반응도는 0.18이었다. 그러므로 평균반응도가 3 미만의 반응도를 나타내므로, 히페린과 탁시폴린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뚜렷한 누적자극 양상을 나타내지 않는 인체 피부에 안전한 물질로 판정되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유효성분인 히페린은 주름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고 콜라게네이즈 활성을 효율적으로 억제하며, 피부주름의 형성의 방지 및 형성된 주름의 제거작용을 하여 피부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탁시폴린을 더 포함하는 복합 유효성분의 효과는 히페린 또는 탁시폴린 단독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 그 정도가 상승적으로 증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제로 인간 개체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매우 우수한 피부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 부작용이 없어 화장료, 약제학적 및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히페린(hyperin) 및 탁시폴린(taxifolin)을 유효성분으로 구성하고, 상기 히페린 및 탁시폴린은 1:1의 중량비로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페린 및 탁시폴린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2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70032676A 2007-04-03 2007-04-03 히페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0862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676A KR100862957B1 (ko) 2007-04-03 2007-04-03 히페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676A KR100862957B1 (ko) 2007-04-03 2007-04-03 히페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2957B1 true KR100862957B1 (ko) 2008-10-13

Family

ID=40153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676A KR100862957B1 (ko) 2007-04-03 2007-04-03 히페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9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179A (ko) 2001-06-18 2002-12-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노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60082790A (ko) * 2003-06-20 2006-07-19 코그니스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ω-치환된 C6-C22 지방산을 갖는 플라보노이드의에스테르
KR100613825B1 (ko) * 1998-05-15 2006-08-17 꼴레띠까 플라보노이드 제제 및 화장품에서의 탁월한 그 용도
KR20070001045A (ko) 2006-12-12 2007-01-03 이상희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 를 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 및이를 함유한 화장료 및 비누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825B1 (ko) * 1998-05-15 2006-08-17 꼴레띠까 플라보노이드 제제 및 화장품에서의 탁월한 그 용도
KR20020096179A (ko) 2001-06-18 2002-12-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노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60082790A (ko) * 2003-06-20 2006-07-19 코그니스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ω-치환된 C6-C22 지방산을 갖는 플라보노이드의에스테르
KR20070001045A (ko) 2006-12-12 2007-01-03 이상희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 를 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 및이를 함유한 화장료 및 비누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2007 30:290-29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381B1 (ko) 제비집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개선용 조성물
KR100862968B1 (ko) 마트린 또는 옥시마트린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제
KR100873946B1 (ko) 알파-피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제
KR100846125B1 (ko) 피페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0893162B1 (ko) 카바크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제
KR100863618B1 (ko) 프로토카테큐익 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개선용 조성물
KR100921251B1 (ko) 프로토카테큐익 산을 포함하는 탈모억제제
KR20090044719A (ko) 시트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60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862957B1 (ko) 히페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0878586B1 (ko) 시트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개선용 조성물
KR100902768B1 (ko) 델피니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제
KR100959545B1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901661B1 (ko) 악티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0917281B1 (ko) 사랑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개선제
KR102563204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7338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20034298A (ko) 개우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902769B1 (ko) 이소람네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개선제
KR101022258B1 (ko) 속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096206B1 (ko) 개우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83289B1 (ko) 물푸레나무 유래 신규 쿠마린계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62967B1 (ko) 마트린 또는 옥시마트린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080077945A (ko) 카바크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56320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