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833B1 - 노화억제용 배합물 - Google Patents

노화억제용 배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833B1
KR100947833B1 KR1020070134556A KR20070134556A KR100947833B1 KR 100947833 B1 KR100947833 B1 KR 100947833B1 KR 1020070134556 A KR1020070134556 A KR 1020070134556A KR 20070134556 A KR20070134556 A KR 20070134556A KR 100947833 B1 KR100947833 B1 KR 100947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ing
sewage
extract
formulation
formul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4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6846A (ko
Inventor
홍석산
김현구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34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833B1/ko
Publication of KR20090066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22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화억제용 배합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오와 꾸지 뽕잎을 포함하는 노화억제용 배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노화억제용 배합물에 있어서, 하수오와 꾸지뽕잎을 포함하는 노화억제용 배합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노화억제용 배합물은 상기의 하수오와 꾸지뽕잎 성분 이외에 첨가제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노화억제용 배합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노화억제, 하수오, 꾸지뽕잎

Description

노화억제용 배합물{Formula for anti-aging}
본 발명은 노화억제용 배합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오와 꾸지뽕잎을 포함하는 노화억제용 배합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퇴행성 질환을 동반하는 노화(aging)가 일어난다. 이러한 노화는 피부의 탄력성 감소, 등의 구부러짐, 얼굴의 검버섯, 체력 저하 등의 외적 현상 이외에 내적인 변화로서 세포에서는 소모 색소(消耗色素)의 침착(沈着), 소지방구(小脂肪球)의 축적, 세포의 용적 감소, 핵(核)의 위축, 호르몬 분비 감소 등이 일어난다.
사람의 노화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일어나는 세포 내의 DNA 분자의 절단 증가, DNA 분자 장애의 회복능력 감퇴, DNA 유전정보의 전사와 해독의 오류, 콜라겐 등 생체내 거대분자의 다리결합(架橋結合) 증가, 면역기능의 저하 등이 노화의 원인으로 밝혀지고 있다.
상기의 노화원인 이외에도 자유기(free radicals)의 증가 또한 노화의 중요 한 원인이다.
세포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 등, 자유기를 제거하는 여러 기능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일부의 자유기는 제거되지 못하고 세포 속의 DNA(deoxyribonucleic acid), 단백질 및 지질을 파괴한다. 따라서 자유기는 노화와 관련된 질병의 중요한 원인이다.
노화현상의 마지막은 생명현상의 종료이기 때문에 노화를 억제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노화는 자연현상의 하나이기 때문에 이를 완전히 극복할 수는 없으나, 여러 가지 기능성 성분의 섭취에 의해 노화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가지 기능성 성분을 이용하여 노화의 진행을 억제하기 위한 노력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노화진행을 늦추기 위한 노화억제용 배합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오와 꾸지잎을 포함하는 노화억제용 배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노화억제용 배합물의 성분인 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는 마디풀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서, 특히 붉은 빛을 띤 갈색 덩이뿌리를 한방에서 하수오라고 하며 강장제, 강정제, 완하제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노화억제용 배합물의 성분인 꾸지뽕잎은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인 꾸지뽕나무의 잎이다. 꾸지뽕은 한국, 중국 및 일본에서 항암, 항염증, 간손상 등에 사용되는 중요한 전통 생약 중의 하나이다.
본 발명은 노화억제용 배합물, 특히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노화억제용 배합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노화억제용 배합물에 있어서, 하수오, 꾸지뽕잎을 포함하는 노화억제용 배합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노화억제용 배합물은 상기의 하수오, 꾸지뽕잎 성분 이외에 첨가제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노화억제용 배합물이다.
본 발명의 노화억제용 배합물은 노화억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노화억제용 배합물은 마우스 실험에 의한 바, 뇌 및 간의 노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노화억제용 배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노화억제용 배합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노화억제용 배합물은 하수오, 꾸지뽕잎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하수오는 노화억제용 배합물 전체 중량 대비 40∼80% 포함될 수 있고, 꾸지뽕잎은 노화억제용 배합물 전체 중량 대비 20∼60%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하수오, 꾸지뽕잎을 포함하는 노화억제용 배합물은 고상(solid phase)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상기에서 하수오, 꾸지뽕잎을 포함하는 노화억제용 배합물은 산제(powder), 환(丸)제, 캡슐(capsule)제, 펠렛(pellet)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상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상기에서 하수오, 꾸지뽕잎을 포함하는 노화억제용 배합물은, 먼저 분쇄기로 하수오, 꾸지뽕잎을 각각 분말화한 다음, 이러한 하수오 분말, 꾸지뽕잎 분말로부터 산제, 환제, 캡슐제, 펠렛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상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이때 하수오 분말 및 꾸지뽕잎 분말에 부형제를 첨가하여 하수오, 꾸지뽕잎을 포함하고 산제, 환제, 캡슐제, 펠렛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상으로 제형화된 노화억제용 배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산제, 환제, 캡슐제, 펠렛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상으로 제형화된 노화억제용 배합물을 얻기 위한 부형제는 당업자가 적의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하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하수오, 꾸지뽕잎을 포함하는 노화억제용 배합물은 액상(liquid phase)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에서 하수오, 꾸지뽕잎을 포함하는 노화억제용 배합물은 열수추출물, 유 기용매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액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에서 하수오, 꾸지뽕잎을 포함하는 노화억제용 배합물은 열수를 이용하여 하수오 열수추출물, 꾸지뽕잎 열수추출물을 얻은 후 각각의 하수오 열수추출물, 꾸지뽕잎 열수추출물을 혼합하여 액상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하수오 열수추출물은 하수오에 하수오 중량 대비 3∼10배량의 정제수가 첨가되고, 80∼10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10∼30%가 되도록 추출된 다음 추출물이 여과되고, 여과된 추출물의 농도가 10∼70브릭스(brix)가 되도록 농축되어 사용된다.
상기 꾸지뽕잎 열수추출물은 꾸지뽕잎에 꾸지뽕잎 중량 대비 3∼10배량의 정제수가 첨가되고, 80∼10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10∼30%가 되도록 추출된 다음 추출물이 여과되고, 여과된 추출물의 농도가 10∼70브릭스(brix)가 되도록 농축되어 사용된다.
상기에서 하수오, 꾸지뽕잎을 포함하는 노화억제용 배합물은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하수오 유기용매추출물, 꾸지뽕잎 유기용매추출물을 얻은 후 각각의 하수오 유기용매추출물, 꾸지뽕잎 유기용매추출물을 혼합하여 액상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에서 하수오 유기용매추출물, 꾸지뽕잎 유기용매추출물을 얻을 때 사용하는 유기용매로 탄소수가 2개 내지 7개인 알코올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하수오 유기용매추출물, 꾸지뽕잎 유기용매추출물을 얻을 때 사용하는 유기용매로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수오 유기용매추출물은 하수오에 하수오 중량 대비 3∼5배량의 에탄올이 첨가되고, 60∼70℃에서 6시간∼48시간 동안 추출된 다음 추출물이 여과되고, 여과된 추출물의 농도가 10∼80브릭스(brix)가 되도록 농축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70∼95% 농도의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꾸지뽕잎 유기용매추출물은 꾸지뽕잎에 꾸지뽕잎 중량 대비 3∼5배량의 에탄올이 첨가되고, 60∼70℃에서 6시간∼48시간 동안 추출된 다음 추출물을 여과되고, 여과된 추출물의 농도가 10∼80브릭스(brix)가 되도록 농축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70∼95% 농도의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노화억제용 배합물은 노화억제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의 하수오, 뽕잎을 포함하는 노화억제용 배합물에 첨가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노화억제용 배합물은 노화억제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의 하수오, 꾸지뽕잎을 포함하는 노화억제용 배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홍삼, 인삼, 수삼, 장뇌삼, 스쿠알렌, 아스파라긴산, 클로렐라, 루이보스티, 우롱차, 녹차, 포도껍질, 포도씨, 레즈베라트롤, 비타민 C, 비타민 B, 토코페롤, 버섯, 동충하초, 백복령, 산수유, 마늘, 검은콩, 브로콜리, 오가피, 안토시아닌, 가지, β-카로틴, 세사미놀, 세사몰, 세사몰린, 오디, 창출, 두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 0.1∼10중량부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노화억제 배합물에 있어서, 다양한 성분, 함량 등의 조건에 의한 노화억제 배합물을 조사한 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에 의한 노화억제 배합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제조예,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하수오 추출물 제조
하수오에 하수오 중량 대비 5배량의 정제수를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의 중량 대비 10%가 되도록 추출하여, 하수오 추출물을 얻은 후 이를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한 하수오 추출물을 60Brix가 되도록 농축하여 하수오 열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꾸지뽕잎 추출물 제조
꾸지뽕잎에 꾸지뽕잎 중량 대비 5배량의 정제수를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의 중량 대비 10%가 되도록 추출하여, 꾸지뽕잎 추출물을 얻은 후 이를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된 꾸지뽕잎 추출물을 60Brix가 되도록 농축하여 꾸지뽕잎 열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60Brix 하수오 추출물 50중량%과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은 60Brix 꾸지뽕잎 추출물 50중량%를 혼합하여 노화억제용 배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60Brix 하수오 추출물 40중량%과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은 60Brix 꾸지뽕잎 추출물 60중량%를 혼합하여 노화억제용 배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60Brix 하수오 추출물 60중량%과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은 60Brix 꾸지뽕잎 추출물 40중량%를 혼합하여 노화억제용 배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60Brix 하수오 추출물 80중량%과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은 60Brix 꾸지뽕잎 추출물 20중량%를 혼합하여 노화억제용 배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60Brix 하수오 추출물 50중량%과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은 60Brix 꾸지뽕잎 추출물 50중량%를 혼합하여 노화억제용 배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하수오, 꾸지뽕잎을 포함하는 노화억제용 배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첨가제로 산수유 추출물 5중량부를 첨가하여 하수오, 꾸지뽕잎 및 산수유를 포함하는 노화억제용 배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산수유 추출물은 하수오 대신 산수유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었다.
<시험예> D-galactose로 노화가 유도된 생쥐에서 시료의 노화억제 작용 시험(Biogerontol. 4, 15 (2003) 참조)
(1)실험방법
Superoxide dismutase(SOD)와 total antioxidant status(TAS) 시험 키트(test kits)는 RANDOX(영국)에서 구입하였다.
Acetylthiocholine iodide, DTNB, trichloroacetic acid(TCA), thiobarbituric acid(TBA) 및 D-galactose는 Sigma에서 구입하였다.
3월령 C57 BL/6J male mice는 충북 음성의 대한바이오링크에서 구입했다. 생쥐는 45일간 매일 : ① 0.3ml PBS as vehicle control (정상 대조군); ② D- galactose at 0.5g/kg (5% D-galactose, 노화 대조군)가 피하주사되었다. 생쥐는 시험 마지막 날 도살되었고, 피, 혈청 및 장기는 ??70℃에서 보관되었다.
제조예 1의 하수오 추출물, 제조예 2의 꾸지뽕잎 추출물 및 실시예 1의 하수오 추출물과 꾸지뽕잎 추출물이 혼합된 시료는 10시와 17시 하루 2회 경구투여되었으며, 시료의 1일 투여량은 매주 쥐의 체중을 측정하여 사람의 1일 섭취량과 사람과 쥐의 평균 대사체중(체중3/4) 비율로부터 환산되었는데(Nutr. Res. 11, 1465 (1991)), 사람의 1일 권장 섭취량은 하수오 추출물 1.8g, 꾸지뽕잎 추출물 1.5g, 하수오와 꾸지뽕잎 추출물 배합물 3.3g (김창민 등, 완역 중약대사전, 도서출판 정담 (1998)), 그리고 사람의 평균 체중은 65kg으로 계산하였다. 쥐의 체중은 매주 측정되었다.
생쥐의 적혈구의 SOD 활성은 RANSOD(RANDOX)를 이용하여 toxic superoxide radical의 dismutation를 측정하였다. 30∼60% 범위에서 자유기(radical) 억제의 표준곡선을 그렸다. 간과 뇌는 PBS로 10% 균질액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혈청의 총 산화상태(total antioxidant status)는 RANDOX kit로 측정하였다.
MDA(malondialdehyde)를 측정하기 위하여 TCA(15ml, 100%), 0.375g TBA, 25ml HCl(1N) 및 40mg BHT(butylated hydroxytoluene)/에탄올(ethanol)를 혼합하고, 100ml이 되게 재증류수(redistilled water)를 넣어 TBA 용액을 만들었다. 간과 뇌의 10% PBS 균질액을 1ml TBA 용액과 섞고, 0.5ml 시료와 50mM BHT 15㎕를 100℃에서 15분간 반응시키고 얼음물로 냉각시켰다. 3000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고 53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말론다이알데히드(malondialdehyde)를 정량하였다. 피는 그대로 사용하였다.
단백질 농도는 bovine serum albumin을 사용하여 Bradford 방법 (Bio-Rad)으로 측정하였다. 헤모글로빈(Hemoglobin) 농도는 SIGMA 525-A kit로 측정하였다.
측정치는 스튜던트 t 검정(Student's t-test) 또는 던칸 다중 범위 시험(Duncan's multiple range test)으로 분석되었다.
(2)실험결과
모든 군에서 시각적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고, 정상적 체중증가를 보였다. 혈액의 생화학적 지표로 malondialdehyde(MDA), superoxide dismutase(SOD) 및 total antioxidant status(TAS)가 측정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MDA는 지질 과산화의 지표물질이고, SOD는 활성산소를 감소시키는 효소이며, TAS는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 초기에 증가한다.
5% D-galactose로 처리된 노화 대조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혈청 MDA와 TAS가 증가했고 SOD가 감소했다 (P<0.05). MDA의 증가와 SOD의 감소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D-galactose에 의한 노화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Cell Mol Neurobiol. Aug 21 (2007) Temporal Gene Expression Profile in Hippocampus of Mice Treated with D -galactose). 하수오 추출물와 꾸지뽕잎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물의 섭취가 5% D-galactose로 유도된 혈액 생화학 지표를 개선시켰다. 하수오 추출물군에서 SOD가 정상 대조군과 같은 수준으로 개선되었으며, 꾸지뽕잎 추출물 군에서는 TAS가 정상 대조군과 같은 수준으로 감소했다. 특히 중량 기준으로 50%의 하수오 추출물과 50%의 꾸지뽕잎 추출물이 배합된 실시예군에서는 MDA, SOD 및 TAS의 모든 측정치가 정상 대조군과 같은 수준으로 개선되어 두 추출물의 배합이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생체의 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표 1. 생쥐 혈액의 MDA, SOD 및 TAS 측정치1
항목 MDA(μmol/g protein) SOD(U/mg Hb) TAS(mM)
정상 대조군 1.02±0.16a 136.81±31.83b 0.17±0.09a
노화 대조군 1.53±0.22b 71.94±18.35a 0.43±0.15b
하수오 추출물 1.26±0.21ab 114.74±16.24b 0.24±0.10ab
꾸지뽕잎 추출물 1.14±0.13a 97.34±15.44ab 0.27±0.15ab
실시예 1 1.09±0.17a 123.74±16.01b 0.20±0.07a
1평균치±SEM, 1군당 10마리. 같은 칼럼에서 서로 다른 위첨자를 갖는 값들은 유의차가 있음(P<0.05).
표 2는 하수오 추출물과 꾸지뽕잎 추출물의 배합비가 다른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의 노화억제 배합물에 대한 생쥐 뇌 조직의 MDA와 SOD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노화 대조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MDA가 증가하고 SOD가 감소했다 (P<0.05). 실시예 3의 노화억제 배합물(하수오 추출물과 꾸지뽕잎 추출물의 배합비가 60 : 40)일 때 노화억제 활성이 가장 우수하여 MDA와 SOD 모두 정상 대조군과 같은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실시예 2의 노화억제 배합물 및 실시예 4의 노화억제 배합물에서도 MDA와 SOD 수준이 개선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표 2. 하수오와 꾸지뽕잎 추출물 배합비가 뇌 조직의 MDA와 SOD에 미치는 영향1
항목 MDA(μmol/g protein) SOD(U/mg protein)
정상 대조군 10.71±1.14a 14.87±1.25b
노화 대조군 13.85±2.49b 12.76±1.89a
실시예 2 11.27±1.38ab 13.05±1.94a
실시예 3 10.89±1.26a 14.41±1.91b
실시예 4 11.61±1.34b 13.67±1.70ab
1평균치±SEM, 1군당 10마리. 같은 칼럼에서 서로 다른 위첨자를 갖는 값들은 유의차가 있음(P<0.05).
표 3은 하수오 추출물과 꾸지뽕잎 추출물 배합비가 다른 노화억제용 배합물에 대한 생쥐 간 조직의 MDA와 SOD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실시예 2의 노화억제 배합물(하수오 추출물과 꾸지뽕잎 추출물의 배합비가 60 : 40)이 노화억제 활성이 가장 우수하여 MDA가 정상 대조군과 같은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SOD는 정상 대조군보다도 다소 증가하였다. 실시예 3의 노화억제 배합물, 실시예 4의 노화억제 배합물에서도 MDA와 SOD 수준이 개선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표 3. 하수오와 꾸지뽕잎 추출물 배합비가 간 조직의 MDA와 SOD에 미치는 영향1
항목 MDA(μmol/g protein) SOD(U/mg protein)
정상 대조군 0.51±0.09a 17.84±3.25a
노화 대조군 0.68±0.13b 17.76±4.89a
40 : 60 0.59±0.12ab 17.83±3.94a
60 : 40 0.53±0.10a 19.99±2.89b
80 : 20 0.61±0.14b 17.87±3.70a
1평균치±SEM, 1군당 10마리. 같은 칼럼에서 서로 다른 위첨자를 갖는 값들은 유의차가 있음(P<0.05).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노화억제용 배합물은 그 상태 그대로 사용되어 노화억제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의 노화억제용 배합물을 식품, 화장품, 등에 이용하여 노화억제의 효과가 있는 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Claims (5)

  1. 노화억제용 배합물에 있어서,
    노화억제용 배합물 전체 중량 대비 50∼60%의 하수오, 노화억제용 배합물 전체 중량 대비 40∼50%의 꾸지뽕잎으로 이루어진 노화억제용 배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스파라긴산, 클로렐라, 루이보스티, 레즈베라트롤, 토코페롤, 안토시아닌, β-카로틴, 세사미놀, 세사몰, 세사몰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 0.1∼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억제용 배합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70134556A 2007-12-20 2007-12-20 노화억제용 배합물 KR100947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556A KR100947833B1 (ko) 2007-12-20 2007-12-20 노화억제용 배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556A KR100947833B1 (ko) 2007-12-20 2007-12-20 노화억제용 배합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846A KR20090066846A (ko) 2009-06-24
KR100947833B1 true KR100947833B1 (ko) 2010-03-18

Family

ID=40994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4556A KR100947833B1 (ko) 2007-12-20 2007-12-20 노화억제용 배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8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533A (ko) 2021-05-25 2022-12-05 제천한약영농조합법인 노화 억제용 한방차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0784A (zh) * 2012-11-22 2013-02-13 桂林医学院 穿破石总黄酮在制备保护肝脏药物中的应用
KR101449904B1 (ko) * 2014-06-17 2014-10-13 주식회사 에스에스바이오팜 갱년기 증상 개선용 건강 식품 및 그 제조방법
CN109172549B (zh) * 2018-07-18 2020-12-22 长沙珂信肿瘤医院有限公司 一种抗肿瘤活性组合物及其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2581A (ko) * 2003-06-27 2005-01-07 신준식 한방 약재를 이용한 피부노화 방지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KR20070001045A (ko) * 2006-12-12 2007-01-03 이상희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 를 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 및이를 함유한 화장료 및 비누 조성물
KR100753186B1 (ko) 2006-09-07 2007-08-30 (주)더페이스샵코리아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20070100066A (ko) * 2006-04-06 2007-10-10 주식회사 뉴트리팜 노화방지에 효능이 있는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티백형태로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2581A (ko) * 2003-06-27 2005-01-07 신준식 한방 약재를 이용한 피부노화 방지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KR20070100066A (ko) * 2006-04-06 2007-10-10 주식회사 뉴트리팜 노화방지에 효능이 있는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티백형태로 제조하는 방법
KR100753186B1 (ko) 2006-09-07 2007-08-30 (주)더페이스샵코리아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20070001045A (ko) * 2006-12-12 2007-01-03 이상희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 를 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 및이를 함유한 화장료 및 비누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533A (ko) 2021-05-25 2022-12-05 제천한약영농조합법인 노화 억제용 한방차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846A (ko) 200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433B1 (ko)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60231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57847B1 (ko) 흑노호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947833B1 (ko) 노화억제용 배합물
KR100919852B1 (ko) 해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피부염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010046523A1 (en) Ginger-based herbal composition for promoting health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0992087B1 (ko) 신갈나무잎, 차풀 및 방아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64249B1 (ko) 사상자 추출물 및 카퍼트리펩타이드-1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1360232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06298887A (ja) 活性酸素除去剤、肌の弾力保持剤、抗酸化作用補助剤
KR101345653B1 (ko) 산두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
CN113613666A (zh) 包含肉豆蔻提取物或肉豆蔻木酚素作为有效成分的用于缓解由环境污染因素引起的皮肤刺激及保护皮肤的组合物
WO2005094858A1 (ja) 抗糖尿病用組成物
KR20150145704A (ko) 단풍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3549997B2 (ja) リパーゼ阻害効果を有する食品組成物および医薬組成物
KR20130124724A (ko) 씀바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조성물
JP2013166720A (ja) キダチハマグルマ(WedeliaBiflora)抽出物、トクサバモクマオウ(CasuarinaEquisetifolia)抽出物、およびその混合物を含むグルコース取込促進剤、並びにさらにそれらにノニの抽出物を含むグルコース取込促進剤
KR101054020B1 (ko) 장수상황버섯의 동백종실유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21623B1 (ko) 포도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완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식품조성물
JP2004155961A (ja) 抗酸化剤
KR20050108746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0939658B1 (ko)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
KR102290223B1 (ko) 결명자, 복분자 및 돼지감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90033871A (ko) 피부 노화 개선 복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