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435B1 -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함유하는 항균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함유하는 항균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3435B1
KR101273435B1 KR1020100122255A KR20100122255A KR101273435B1 KR 101273435 B1 KR101273435 B1 KR 101273435B1 KR 1020100122255 A KR1020100122255 A KR 1020100122255A KR 20100122255 A KR20100122255 A KR 20100122255A KR 101273435 B1 KR101273435 B1 KR 101273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ff
herb
purified liquid
distilled
disti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0650A (ko
Inventor
서용교
한길환
변준석
황재규
김숙경
이상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Priority to KR1020100122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435B1/ko
Priority to PCT/KR2011/002024 priority patent/WO2012074172A1/en
Publication of KR20120060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5Perilla (beefsteak 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2Chaenomeles, e.g. flowering qui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왕겨초 증류 정제액은 황산화 활성 억제 및 Collagenase 및 Elastase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바 항노화,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함유하는 항균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a purified distillate of rice husk showing anti-bacterial and anti-wrinkle activity}
본 발명은 항노화,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강대갑, 농산물활용 신기능 천연물 소재탐색 및 이용기술, 벼의 규소체를 이용한 세라믹 원료 및 공업재료 개발, 한국원자력연구소
[문헌 2] 이계원 외1명, 한국약제학회, 제 8권 2호 2008: 87~93.
[문헌 3] 정일선,외3명, 생명과학회지 제17권 제 1호, 2007: 105~109.
[문헌 4] 지흥숙, 중앙대학교 학위논문(석사):2005.
[문헌 5] 김성필외 1명, J.Appl. biol. Chem, 52(4):174~179
[문헌 6] 이경민외 2명, 한국생물공학회지,19(5), 2004:381~384.
[문헌 7] 김종수, 경북대학위논문: 2007.
[문헌 8] 최승현, 조선대학교학위논문: 2003.
[문헌 9] 조광연, 한국화학연구원 연구보고서, 2001
[문헌 10] 한국특허 등록 제 10-931529호
왕겨는 벼의 껍질로, 쌀 가공과정에서 생겨나는 가장 많은 양의 부산물로서 벼 중량의 20%를 차지한다. 국내 왕겨 생산량은 07년 벼 총생산량인 5,961,693톤을 기준할 때, 약 20% 정도인 연간 약 120만톤의 왕겨가 생산이 되고 있다. 종래에는 소규모 미곡가공공장에서 생산되어 활용방법에 제한을 받았으나 현재는 대규모 도정공장이 2010년까지 설치될 계획으로 미곡 부산물 왕겨는 미곡 주산단지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생산이 된다. 이러한 왕겨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왕겨는 에너지원으로서 적당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현재 폐기물로 분류되고 있다. 왕겨는 내외피가 규소로 치밀하게 피복되어 있으므로 부식이나 소화 효율이 낮기 때문에 퇴비나 가축의 사료로도 부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왕겨의 주요 구성성분은 가용 탄수화물이 27~30%, 조섬유질 35~46%, 조회분 13~21%, 조단백 2~3% 그리고 조지방 0.3~0.8% 들어 있으며, 조회분의 주성분은 규소로 알려져 있다(강대갑, 농산물활용 신기능 천연물 소재탐색 및 이용기술, 벼의 규소체를 이용한 세라믹 원료 및 공업재료 개발, 한국원자력연구소).
상기와 같은 특징을 지닌 왕겨는 현대에 들어서면서 왕겨는 쓰임새도 없고 마땅한 처리방법도 없어 폐기물로 분류되어 있어, 왕겨의 합리적인 이용 및 폐기물을 이용하여 가치 있는 것으로 만드는 것이 중대한 일 중의 하나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 왕겨를 재료로 하여 왕겨초 증류액을 제조하여 이의 항알레르기 활성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을 특허 등록한 바 있으며(한국특허 등록 제 10-931529호), 상기 왕겨초 증류액을 추가로 정제하여 이들의 항노화, 항산화 및 항균효과를 이용한 새로운 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 왕겨를 재료로 하여 왕겨초 증류액을 추가로 정제한 증류 정제액을 제조한 후에 이 왕겨초 증류액의 Collagenase 저해활성, Elastase 저해활성 등의 항노화작용과 전자공여 활성 측정, SOD-like 활성 측정 및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등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노화,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노화,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왕겨초 증류정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왕겨초 증류 정제액은 “1차 증류 정제액”,“2차 증류 정제액” 또는 “3차 증류 정제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왕겨초 증류 정제액은 “2차 증류 정제액” 또는 “3차 증류 정제액”은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왕겨초 증류 정제액”은 왕겨를 200℃ ~ 800℃, 바람직하게는 300℃ ~ 600℃에서, 10분 내지 200분, 바람직하게는 40분 내지 120분 동안 탄화기, 바람직하게는 대원GSI사 탄화기 제품(DCH-600)을 사용하여 탄화 처리하고 상기 탄화 처리 중에 배출되는 연기를 응축시켜 조왕겨초 증류액을 얻은 후, 상기의 조왕겨초 증류액을 감압하여 20℃ ~ 90℃, 바람직하게는 40℃ ~ 70℃의 저온에서 증류하여 왕겨초 1차 증류 정제액을 수득하는 제 1단계; 상기 왕겨초 1차 증류 정제액에 활성탄 1% 내지 3%를 첨가한 뒤, 가열 및 교반하여 필터프레스 여과 후 왕겨초 2차 증류 정제액을 수득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에서 얻은 왕겨초 2차 증류 정제액에 산화물, 바람직하게는 과산화수소 등과 같은 산화물을 1% 내지 5%(v/v)를 첨가한 뒤, 가열 및 교반하여 왕겨초 3차 증류 정제액을 수득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통하여 수득된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항노화,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왕겨초 증류 한방 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노화,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왕겨초 증류 한방 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왕겨초 증류 한방 초액”은 본원에서 정의된 “왕겨초 제 1차 증류 정제액”, “왕겨초 제 2차 증류 정제액”,또는 “왕겨초 제 3차 증류 정제액”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왕겨초 증류 정제액, 바람직하게는 왕겨초 제 3차 증류 정제액에 자소엽, 쑥, 구지뽕 및 모과 추출액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한방 추출액, 바람직하게는 자소엽 및 쑥 초액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한방 추출액, 보다 바람직하게는 왕겨초 증류 정제액 또는 한방 추출액이 1:0.001-0.5(v/w), 바람직하게는 1:0.001-0.1(v/w), 한방초액 중 자소엽 또는 쑥 초액은 1:0.001-0.5(v/w), 바람직하게는 1:0.001-0.1(v/w) 배합비로 배합시켜 얻은 왕겨초 증류 한방 초액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본원에서 정의되는 왕겨초 증류 정제액은 왕겨를 200℃ ~ 800℃, 바람직하게는 300℃ ~ 600℃에서, 10분 내지 200분, 바람직하게는 40분 내지 120분 동안 탄화기, 바람직하게는 대원GSI사 탄화기 제품(DCH-600)을 사용하여 탄화 처리하고 상기 탄화 처리 중에 배출되는 연기를 응축시켜 조왕겨초 증류액을 얻은 후, 상기의 조왕겨초 증류액을 감압하여 20℃ ~ 90℃, 바람직하게는 40℃ ~ 70℃의 저온에서 증류하여 왕겨초 1차 증류 정제액을 수득하는 제 1단계; 상기 왕겨초 증류 정제액에 활성탄 1% 내지 3%를 첨가한 뒤, 가열 및 교반하여 필터프레스 여과 후 왕겨초 2차 증류 정제액을 수득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에서 얻은 왕겨초 2차 증류 정제액에 산화물, 바람직하게는 과산화수소를 1% 내지 5%(v/v)를 첨가한 뒤, 가열 및 교반하여 왕겨초 3차 증류 정제액을 수득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제조공정으로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수득가능하다.
또한 필요시 추가적으로 상기 제 1단계, 제 2단계 또는 제 3단계에서 수득한 증류 정제액에 자소엽, 쑥, 구지뽕 및 모과 추출액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한방 추출액, 바람직하게는 자소엽 및 쑥 초액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한방 추출액, 왕겨초 증류 정제액 또는 한방 추출액이 1:0.001-0.5(v/w), 바람직하게는 1:0.001-0.1(v/w)의 배합비로 배합되고, 한방초액 중 자소엽 또는 쑥 초액은 1:0.001-0.5(v/w), 바람직하게는 1:0.001-0.1(v/w)로 첨가하는 단계를 통하여 본 발명의 왕겨초 증류 한방 초액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수득되는 왕겨초 증류 정제액 및 왕겨초 증류 한방 초액들을 대상으로 한 항산화 활성 검정 및 Collagenase 및 Elastase 활성 억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의 제공에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수득한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노화,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조성물을 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피부 외용제 제형으로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형태의 약학조성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100㎎/㎏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피부에 대한 약효를 위하여 화장품, 세안제 및 샴푸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001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7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 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 dl-알파 토코페롤 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렌산에틸, 리놀렌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탈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푸말산, 푸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에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중량%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왕겨초 증류액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왕겨초 3차 증류 정제액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 억제 및 Collagenase 및 Elastase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바, 항노화,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공법별 왕겨초 증류 정제액 및 왕겨초 증류 한방 초액의 생산공정도를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피부 노화 예방을 위한 왕겨초 증류 정제액의 DPPH radical 저해 활성을 나타낸 도이고,
도 3은 초액 4종을 이용한 FRAP 항산화 활성 측정을 나타낸 도이며,
도 4는 초액 4종을 이용한 DPPH 항산화 활성 측정을 나타낸 도이고,
도 5는 피부 노화의 예방을 위한 왕겨초 증류 정제액의 SOD-like 활성을 나타낸 도이고,
도 6은 피부 노화의 예방을 위한 왕겨초 증류 정제액의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을 나타낸 도이고,
도 7은 피부 노화의 예방을 위한 왕겨초 증류 정제액의 Collagenase 저해 활성을 나타낸 도이며,
도 8은 피부 노화의 예방을 위한 왕겨초 증류 정제액의 Elastase 저해 활성을 나타낸 도이며,
도 9는 아토피 피부염에서 감염율이 높은 균주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Paper disk법에 의한 항균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왕겨초 증류 정제액의 공법별 제조
본원에서 정의되는 왕겨초 증류 정제액은 탄화기(DCH-600, 대원GSI)를 사용하여 제조한 것으로, 왕겨(국내산)를 탄화 처리 중에 배출되는 연기를 응축시켜 조왕겨초 증류 정제액(이하, “RH”이라 함) 1000ℓ를 얻은 후, 상기의 조 왕겨초 증류액을 감압하여 50℃의 저온에서 증류하여 왕겨초 1차 증류 정제액(이하, “RH-1”라 함) 900ℓ를 수득하여 활성탄 1% 내지 3%를 첨가한 뒤, 가열 및 교반하여 필터프레스로 여과 후 왕겨초 2차 증류 정제액(이하, “RH-2”라 함) 850ℓ를 수득하여 산화물 1% 내지 5%를 첨가한 뒤, 가열 및 교반하여 왕겨초 3차 증류 정제액(이하, “RH-3”라 함) 700ℓ를 수득하였다(도 1 참조).
실시예 2. 왕겨초 증류 한방 초액의 제조
자소엽(국내산) 5g과 쑥(국내산) 5g을 세척 및 건조하여 세절한 뒤,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각각 100㎖를 첨가하여 8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자소엽 왕겨초액 추출물(이하,“JSY-RH”라 함) 90㎖, 쑥 물 추출물(이하,“SS-WA”라 함) 90㎖ 을 수득하였다(도 1 참조).
실험예 1. 항산화 활성 검정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시료의 항산화 활성 검정을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1-1. DPPH radical 소거 활성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는 자체가 매우 안정한 free radical로서 517nm에서 특징적인 광흡수를 나타내는 보라색 화합물이다. DPPH는 알코올 등의 유기용매에서 매우 안전하며 항산화 기작 중 proton-radical scavenger에 의하여 탈색되기 때문에 항산화 활성을 육안으로도 쉽게 관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유리 라디칼을 소거할 수 있는 시료의 활성 검정은 비교적 간단하고 신속하여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DPPH 라디칼 소거 활성법을 사용하였다. 즉, 시료 200μL와 DPPH를 에탄올에 100μM의 농도로 녹인 DPPH 용액 800μL를 넣고 혼합하여 실온에서 암실에 30분간 방치한 다음 UV spectrophotometer(UV-1800, Shimadzu CO., Kyoto, Japan)로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DPPH radical 소거활성 비율 (% inhibition)은 다음의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계산을 하였다.
Figure 112010079606306-pat00001
양성 대조군으로는 항산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BHA (Butylated hydroxyanisole)를 이용하여 왕겨초 증류 정제액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왕겨초 증류 정제액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DPPH radical 소거작용을 나타냈고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비슷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왕겨초 증류 정제액 자체가 항산화 작용이 높고 피부에서 흔히 일어나는 활성산소에 대한 노화를 방지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도 2 참조).
1-2.Ferric ion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FRAP assay는 Benzie 등의 방법을 변용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C2H3NaO2와 acetic acid (C2H4O2)를 이용하여 acetate buffer (pH 3.6, 23mM)를 만든다. 이후 40mM HCl과 TPTZ(2,4,6-tripyridyl-s-triazine)를 이용하여 10mM TPTZ solution을 만들었다. 실험을 위한 반응용액 (cocktail solution)은 acetate buffer (pH 3.6, 23mM), 10mM의 TPTZ(2,4,6-tripyridyl-s-triazine) 및 20mM의 FeCl3 · 6H2O를 10 : 1 : 1의 비율로 섞어 만든 후, 실험 전까지 37℃를 유지하여 사용하였다. Cubit cell에 시료용액을 각각 30μL 넣은 후 cocktail solution 1mL를 혼합하였다. 암실에서 30분 방치 한 후 Victor3 1420 multiabel counter(PerkinElmer Inc., Boston, MA, USA)로 593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환원력은 매 실험 시에 측정한 ferrous sulphate의 농도에 따른 흡광도의 단순회귀식에서 구한 ferrous sulphate equivalent value (μM)로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 결과, 왕겨초 증류 정제액은 DPPH 실험에서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다른 시료에 비해 활성이 낮게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소엽초액, 쑥초액은 왕겨초 증류 정제액에 비해 상대적으로 활성이 매우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3종의 초액 모두 DPPH와 마찬가지로 비슷한 높은 활성 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도 3 참조).
1-3. DPPH 항산화 활성 검증
초액 4종 (왕겨초 증류 정제액, 왕겨초 증류 한방 초액, 쑥초액, 자소엽초액)을 이용하여 DPPH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 활성능은 전자공유능으로 시료의 특성에 따라 전자를 공유해 주는 정도에 따라 활성을 알아 볼 수 있다.
각 시료의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에 대한 전자공여 효과로써 시료의 환원력을 측정 하였다. 즉 각 추출물을 농도 별로 제조한 시료 1ml에 0.4mM DPPH 용액 0.5ml를 가하고, 10초간 vortex mixing 후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이 반응액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 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 왕겨초 증류 정제액은 DPPH 항산화 활성능이 다른 3종의 시료에 비해 가장 낮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왕겨초 증류 정제액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이는 것에 비해 정제과정을 거친 왕겨초 증류 정제액은 활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시료의 농도에 따라 활성의 증가를 알 수 있었는데, 1~10μl/well의 농도에 따라 약 2~18%의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왕겨초 증류 한방 초액은 시료의 농도 1~3μl/well의 농도에 따른 활성은 1μl/well 처리한 경우 24%, 3μl/well을 처리한 경우 71%, 10μl/well을 처리한 경우 82%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쑥초액은 왕겨초 증류 한방 초액과 마찬가지로 농도에 따라 활성이 증가함을 나타내었으며, 1μl/well일 경우 27%, 3μl/well에서는 61%, 10μl/well에서는 82%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자소엽초액은 1μl/well일 경우 20%, 3μl/well에서는 64%, 10μl/well에서는 79%의 활성을 나타내었다(도 4 참조).
1-4. SOD - like 활성 측정
각 시료 0.2mL에 pH 8.5로 보정한 Tris-HCl buffer (50mM tris[hydroxymethyl] aminomethane + 10mM EDTA) 3ml와 7.2mM pyrogallol 0.2ml를 가하고 25℃에서 10분간 방치 후 1N HCl 1ml로 반응을 정지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 결과, 왕겨초 증류 정제액은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SOD 유사활성 소거작용을 나타내었고, 100mg/ml에서는 100%에 가까운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도 5 참조).
1-5.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측정
시료용액 0.1ml와 pH 7.5의 0.1M potassium phosphate buffer 0.6ml에 2mM xanthine을 녹인 기질액 0.2ml를 첨가하고 0.2unit/ml xanthine oxidase 0.1ml를 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1N HCl 1ml를 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킨 다음, 반응액 중에 생성된 uric acid를 29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Xanthin oxidase 저해 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 결과, Xanthine oxidase는 xanthine을 기질로 하여 uric acid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superoxide radical을 생성하는 효소이다. Xanthine/xanthine oxidase의 효소에 의한 superoxide 음이온 저해작용은 superoxide 음이온 소거작용과 xanthine oxidase 효소 저해에 의해 나타난다. 양성 대조군으로 BHA를 이용하여 왕겨초 증류 정제액의 superoxide radical 소거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왕겨초 증류 정제액은 농도 의존적으로 superoxide radical 소거작용을 나타냈으며,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비슷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우수한 superoxide radical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도 6 참조).
실험예 2. 피부 항노화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시료의 피부 항노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 문헌의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이계원 외1명, 한국약제학회, 제 8권 2호 2008: 87~93. ; 정일선,외3명, 생명과학회지 제17권 제 1호, 2007: 105~109. ; 지흥숙, 중앙대학교 학위논문(석사):2005. ; 김성필외 1명, J.Appl. biol. Chem, 52(4):174~179).
2-1. Collagenase 저해활성 측정
피부 노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collagenase 저해활성 측정은 아래와 같이 측정하였다. 즉 반응구는 0.1M Tris-HCI buffer (pH 7.5)에 4mM CaCl2를 첨가하여, 4-phenylazobenzyloxycarbonyl-Pro-Leu-Gly-Pro-Arg (0.3mg/ml)를 녹인 기질액 0.25ml 및 시료용액 0.1ml의 혼합액에 collagenase (0.2mg/ml) 0.15m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한 후 6% citric acid 0.5ml을 넣어 반응을 정지시킨 후, ethylacetate 1.5ml을 첨가하여 상등액을 3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ollagenase 저해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 결과, 왕겨초 증류 정제액은 50mg/ml 농도에서 40~50%의 collagenase 저해 활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100mg/ml 농도에서는 100%의 높은 collagenase 저해 활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대조군으로 사용된 녹차 추출물 유래의 단일 물질인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에 가까운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왕겨초 증류 정제액의 collagenase의 저해율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왕겨초 증류 정제액은 농도 의존적으로 collagenase의 저해율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collagen의 분해를 막아 피부의 주름을 개선할 것으로 사료된다(도 7 참조).
2-2. Elastase 저해 활성 측정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porcine pancreas elastase 저해 활성 측정은 기질로서 N-succinyl-(L-Ala)3-p-nitoanilide를 사용하여 37℃에서 30분간 p-nitoanilide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각 시험용액을 일정 농도가 되도록 조제하여 0.1ml씩 시험관에 취하고 50mM Tris-HCl buffer (pH 8.6)에 녹인 elastase, pancreatic solution, Type I : From Porcine Pancreas (0.6units/ml)용액 0.05ml을 가한 후 기질로 50mM Tris-HCl buffer (pH 8.6)에 녹인 N-succinyl-(L-Ala)3-p-nitoanilide(1mg/ml)을 0.1ml 첨가하여 30분간 반응시켜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Elastase 저해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이용한 elastase 저해 활성 측정결과, 100mg/ml의 농도에서 쑥초액은 75%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고, 왕겨초 2차 증류 정제액은 50%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elastase저해 활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낮은 농도에서는 저해 활성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농도 의존적인 저해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100mg/ml의 농도에서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이상의 결과에서 자소엽초액에서 elastase 저해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도 8 참조).
실험예 3. 항균에 대한 data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시료의 항균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 문헌의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이경민외 2명, 한국생물공학회지,19(5), 2004:381~384. ; 김종수, 경북대학위논문: 2007. ; 최승현, 조선대학교학위논문:2003. ; 조광연, 한국화학연구원 연구보고서, 2001).
Staphylococcus aureus, 균주를 사용하여 실험개시 2일 전에 액상배지에 접종하여 37℃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1/100로 희석한 다음 0.5μl를 취하여 LB agar 성장배지에 도포하였다. 시료를 40μl씩 8mm paper dish 위에 가하고 준비된 agar plate에 올려놓고 2일간 배양하여 paper disk 주변에 생긴 균의 성장억제 영역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도 9 참조 ; 표 1 참조)
균주 시료 Clear zone(mm)


Staphylococcus aureus
C. 물 0
1. 초액 2
2. 왕겨초 2차 증류 정제액 5
3. 왕겨초 3차 증류 정제액 5
4. 자소엽왕겨초액 3
5. 쑥왕겨초액 6
그 결과 왕겨초 증류 정제액의 2차, 3차 증류 정제액의 항균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쑥왕겨초액의 경우 항균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자소엽왕겨초액의 경우 항균성 낮게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제의 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조예 1. 유연 화장수( 스킨 )의 제조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연 화장수(스킨)의 제조예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10079606306-pat00002

제조예 2. 영양화장수(로션)의 제조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화장수(로션)의 제조예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10079606306-pat00003

제조예 3. 영양크림의 제조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제조예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112010079606306-pat00004

제조예 4. 에센스의 제조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의 제조 예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112010079606306-pat00005

제조예 5. 유화형 파운데이션의 제조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화형 파운데이션의 제조예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112010079606306-pat00006

제조예 6. 친수성 연고제의 제조
[표 6]
Figure 112010079606306-pat00007

Claims (12)

  1. 왕겨를 200℃ ~ 800℃에서, 10분 내지 200분 동안 탄화기를 사용하여 탄화 처리하고 상기 탄화 처리 중에 배출되는 연기를 응축시켜 조왕겨초 증류액을 얻은 후, 상기의 조왕겨초 증류액을 감압하여 20℃ ~ 90℃의 저온에서 증류하여 왕겨초 1차 증류 정제액을 수득하는 제 1단계; 상기 왕겨초 1차 증류 정제액에 활성탄 1% 내지 3%를 첨가한 뒤, 가열 및 교반하여 필터프레스 여과 후 왕겨초 2차 증류 정제액을 수득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에서 얻은 왕겨초 2차 증류 정제액에 산화물을 첨가한 뒤, 가열 및 교반하여 왕겨초 3차 증류 정제액을 수득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통하여 수득된 제 1차, 제 2차 또는 제 3차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의 왕겨초 제 1차 증류 정제액, 왕겨초 제 2차 증류 정제액 또는 왕겨초 제 3차 증류 정제액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왕겨초 증류 정제액에 자소엽, 쑥, 구지뽕 및 모과 추출액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한방 추출액을 증류시켜 얻는 왕겨초 증류 한방 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왕겨를 200℃ ~ 800℃에서, 10분 내지 200분 동안 탄화기를 사용하여 탄화 처리하고 상기 탄화 처리 중에 배출되는 연기를 응축시켜 조왕겨초 증류액을 얻은 후, 상기의 조왕겨초 증류액을 감압하여 20℃ ~ 90℃의 저온에서 증류하여 왕겨초 1차 증류 정제액을 수득하는 제 1단계; 상기 왕겨초 1차 증류 정제액에 활성탄 1% 내지 3%를 첨가한 뒤, 가열 및 교반하여 필터프레스 여과 후 왕겨초 2차 증류 정제액을 수득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에서 얻은 왕겨초 2차 증류 정제액에 산화물을 첨가한 뒤, 가열 및 교반하여 왕겨초 3차 증류 정제액을 수득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통하여 수득된 제 1차, 제 2차 또는 제 3차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8. 삭제
  9. 제 1항의 왕겨초 제 1차 증류 정제액, 왕겨초 제 2차 증류 정제액 또는 왕겨초 제 3차 증류 정제액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왕겨초 증류 정제액에 자소엽, 쑥, 구지뽕 및 모과 추출액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한방 추출액을 증류시켜 얻는 왕겨초 증류 한방 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약학 조성물.
  10. 삭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또는 파스타제인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12. 삭제
KR1020100122255A 2010-12-02 2010-12-02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함유하는 항균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273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255A KR101273435B1 (ko) 2010-12-02 2010-12-02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함유하는 항균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PCT/KR2011/002024 WO2012074172A1 (en) 2010-12-02 2011-03-24 Composition comprising a purified distillate of rice husk showing anti-bacterial and anti-wrinkle activ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255A KR101273435B1 (ko) 2010-12-02 2010-12-02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함유하는 항균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650A KR20120060650A (ko) 2012-06-12
KR101273435B1 true KR101273435B1 (ko) 2013-06-28

Family

ID=46172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255A KR101273435B1 (ko) 2010-12-02 2010-12-02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함유하는 항균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73435B1 (ko)
WO (1) WO20120741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45163A (zh) * 2017-09-08 2017-12-08 常州可赛成功塑胶材料有限公司 一种抑菌活性炭的制备方法
CN107519094A (zh) * 2017-09-19 2017-12-29 江苏科力特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专用活性炭制备的润肤露
KR102393432B1 (ko) * 2019-07-16 2022-05-02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한나눔 원적외선 방사 액상 조성물 제조방법
KR102576256B1 (ko) * 2021-01-08 2023-09-11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은 무기항균제 함유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1045A (ko) * 2006-12-12 2007-01-03 이상희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 를 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 및이를 함유한 화장료 및 비누 조성물
KR100931529B1 (ko) 2008-09-19 2009-12-14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항알러지 활성을 나타내는 왕겨초 증류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67773A (ko) * 2008-12-12 2010-06-22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38516B1 (ko) 2010-10-08 2011-06-01 (재)남해마늘연구소 마늘과 쑥을 이용한 항균, 미백,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개선용 화장수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1045A (ko) * 2006-12-12 2007-01-03 이상희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 를 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 및이를 함유한 화장료 및 비누 조성물
KR100931529B1 (ko) 2008-09-19 2009-12-14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항알러지 활성을 나타내는 왕겨초 증류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67773A (ko) * 2008-12-12 2010-06-22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38516B1 (ko) 2010-10-08 2011-06-01 (재)남해마늘연구소 마늘과 쑥을 이용한 항균, 미백,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개선용 화장수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74172A1 (en) 2012-06-07
KR20120060650A (ko)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7970B1 (ko) 발아 새싹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13892B1 (ko) 단삼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에 유용한 유효 성분인 탄시논 i 및 탄시논 iia을 다향 함유한 정제물을 생산하는 제조방법
KR101800161B1 (ko)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가지는 밀종자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1754463B1 (ko) 사초과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11240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skb1192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광보호 효능이 있는 조성물 및 그 제품
KR20180128340A (ko) 해죽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15047A (ko)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73435B1 (ko)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함유하는 항균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40076240A (ko) 발효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6732B1 (ko)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발효한 오메기주의 농축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주름개선, 탄력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65127B1 (ko) 뱀독에서 분리한 신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685121B1 (ko) 발효 밤송이 추출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용 조성물
KR101916953B1 (ko) 피부 미백 기능성을 가진 얌빈 추출물
KR20160105584A (ko) 꼬리진달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개선 및 항산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49082A (ko) 발효 밤송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균 조성물
KR101541842B1 (ko) 발효 밤송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또는 항염용 조성물
KR20210063048A (ko) 아롱 부챗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의학적 조성물
KR101873244B1 (ko) 발아 오미자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염 조성물
KR101887140B1 (ko) 열에 의한 피부 노화 예방용 조성물
KR20130073040A (ko) 지칭개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헤미스텝신(Hemistepsin) A 또는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40110565A (ko) 율피 추출물 또는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73104B1 (ko) 꽃매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0815873B1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가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73111B1 (ko) 신규한 레반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150128374A (ko)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노화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