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873B1 - 항산화 효과를 갖는 가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 효과를 갖는 가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873B1
KR100815873B1 KR1020070037669A KR20070037669A KR100815873B1 KR 100815873 B1 KR100815873 B1 KR 100815873B1 KR 1020070037669 A KR1020070037669 A KR 1020070037669A KR 20070037669 A KR20070037669 A KR 20070037669A KR 100815873 B1 KR100815873 B1 KR 100815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cid
leather
hwe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우
이양숙
최진범
전호성
Original Assignee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37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8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 효과를 갖는 가죽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가죽나무 추출물은 높은 폴리페놀 함량, 우수한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능, 아질산염 소거능, 크산틴 산화효소 저해능 및 티로시나아제 저해능을 지니므로, 상기 조성물은 피부노화방지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가죽나무 추출물, 항산화 효과

Description

항산화 효과를 갖는 가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Ailanthus altissima having antioxidative effect}
도 1은 가죽나무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가죽나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낸 도이며,
도 3은 가죽나무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능을 나타낸 도이고,
도 4는 PH 1.2의 조건에서 가죽나무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낸 도이며,
도 5는 PH 3.0의 조건에서 가죽나무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낸 도이고,
도 6은 PH 6.0의 조건에서 가죽나무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낸 도이며,
도 7은 가죽나무 추출물의 크산틴 산화효소(xanthine oxidase) 저해능을 나타낸 도이고,
도 8은 가죽나무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저해능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가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화와 성인병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생체 내에서 과도하게 생성된 활성산소(reactive oxygen)를 소거시킴으로써 질병을 예방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활성산소는 호기성 생물체에서 생명 유지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산소가 전자수용체로서 에너지 공급을 위해 생화학적 반응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그러나 대사과정의 불균형과 화학물질, 공해 등과 같은 물리화학적 요인으로 인해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2O2), 수퍼옥사이드 이온(superoxide anion, O2 -), 산소유리기(singlet oxygen, 1O2),하이드록시 라디칼(hydroxy radical, _OH) 등과 같은 반응성이 높은 활성산소(reactive oxygen)로 전환된다. 이 활성산소들은 강한 산화력으로 치명적인 산소독성을 일으켜 세포막 파괴, 효소 불활성화, 지질산화, DNA 변성, 세포노화 등을 초래함으로써 암을 비롯한 뇌질환, 뇌졸중, 동맥경화, 염증 및 자가면역 질환 등의 심각한 생리적 장애를 일으킨다(Hammond et al., J. Physion . Pharmacol. 63, pp173-187, 1985).
현재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물질에 대한 질병의 치료 가능성과 유용한 물질을 탐색하고 이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천연물(tocopherol, carotenoid, catechins, flavonoids) 및 butylated hydroxyanisol(BHA), butylated hydroxytoluene(BHT) 등의 합성물로부터 항산화제를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동양의학에서 주로 이용되던 한방 생약재에서 유용한 항산화 물질 및 생리활성 물질 개발도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Nam and Kang, J. Food Sci . Technol ., 36, pp338-338, 2000). 생리활성물질은 매우 적은 양으로도 현저한 활성을 나타내는 고부가가치 물질로서 많은 종류가 유용하게 쓰이고 있으며, 새로운 물질들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Kang, S. S., et al., Natural product science. Seoul Univ . Publishers, p71, 1988). 천연물에 존재하는 생리활성 물질의 대부분은 페놀성 화합물이며, 다양한 구조와 분자량을 가진 2차 대사산물 중 하나이다. 이들 페놀성 화합물들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류가 주를 이루고 단순한 페놀(phenol)류, 페놀산(phenolic acid), 페닐프로파노이드(phenylprophanoid)류 등이 있으며, 항균, 항알레르기, 항산화, 항암, 충치예방, 심장질환 및 당뇨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Azuma et al., J. Agric . Food Chem ., 47, pp3963-3966, 1999). 또한 페놀성 항산화제는 연쇄반응 과정에서 알킬 라디칼(alkyl radical)이나 알킬페록시 라디칼(alkylperoxy radical)에 수소를 공여하여 라디칼(radical)을 제거시킴으로써 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abuza, CRC Rev . Food Technol ., 2, p335, 1973).
현재까지 알려진 천연 항산화 물질로는 토코페롤(tocopherol)류, 플라보노이드(flavonoid)류, 고시폴(gossypol), 세사몰(sesamol), 오리자놀(oryzanol) 및 비타민 C 등을 들 수 있다(Pszcczola DE, Food Tech., 55, pp51-59, 2001). 이 중 토코페롤(tocopherol)과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이 천연 항산화제로 선호되고 있는데, 그중 토코페롤은 안전성이 높으나 단독으로는 산화반응 저지 능력이 낮으며(Halliwell et al., FASEB J., 2, pp2867-2870, 1988)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본 실험의 재료인 가죽나무(Ailanthus altissima)는 소태나무과(Simarou ba ceae)의 낙엽성 교목으로써 가중나무라고도 불리우며, 전국 각지에 야생하고 목재용이나 가로수, 관상용으로 심는다(Kim, T. W. The woody plants of korea in color 4 th. Kyo-Hak Publishing Co, p485-486, 1996). 일반적으로 가죽나무와 참죽나무 명칭이 혼동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른 봄에 잎의 어린순을 부각이나 산채나물 등 요리의 재료로 이용하며 가죽나무라 일컫는 식물은 멀구슬나무과(Meliaceae)의 참죽나무(Cedrela sinensis A.)이며(Kim, T. W. The woody plants of korea in color 4 th. Kyo-Hak Publishing Co, p485-486, 1996; 최영전, 산나물 재배와 이용법. 오성출판사, 서울, p206, 1992)본 실험재료인 가죽나무와는 구별되는 식물이다. 가죽나무의 잎은 저엽(樗葉)이라 하며 열매는 봉안초(鳳眼草), 뿌리나 줄기의 조피를 제거하여 건조한 것을 저피(樗皮) 또는 저근백피(樗根白皮)라고 하여 한방생약재로 사용한다(구본홍, 동의보감 한글완역본(허준 저, 1456), 대중서관, p555, 1994). 가죽나무의 한방학적 효능으로는 맛은 쓰고 떫으며 성질은 서늘 하고 독은 없어 열을 내리고 습을 제거하며, 설사와 출혈을 멈추게 하여 이질, 혈변 등의 지사, 지혈제로 사용하며 산후출혈, 장출혈, 위궤양 등의 치료에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구본홍. 동의보감 한글완역본(허준 저, 1456), 대중서관, p555, 1994). 또한 가죽나무의 뿌리인 저근백피는 수렴작용, 항균항바이러스, 소염, 살충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eong, Y. M., et al., Korean J. Ori . Physiol , Pathol., 17, pp914-922, 2003).
가죽나무에는 5,7-디하이드록시크롬-7-네오헤스페리도시드, 나린진 등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과 3,4,5-트리메톡시페놀, p-코메릭 산, 바닐린, 바닐산 등의 페놀성 물질, 메로신, 탄닌 프로바펜, 아일란톤 등을 함유하며, 김 등(Kim, K. W., et al., J. Life Sci., 15, pp715-725, 2005)은 강한 항균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또한 간기능 향상, 급성 림프성 백혈병에 대한 항암활성, 세포주기 조절 등의 활성을 나타내며, 창 등(Chang, Y. S., et al., Kor. J. Pharmacogn ., 34, pp28-32, 2003)은 오코틸론 성분이 70.76%의 바이러스의 세포융합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고와 청 등(Ko, Y. S. and Chung, B. S., Kor . Life Sci., 2, pp129-137, 1970)은 향료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해 가죽나무 종자유의 성분 및 성상에 대해 연구 보고한 바 있다.
한방 생약자원은 관련 질환의 총체적 치료 또는 예방용도로 처방, 이용되어 왔으나 유효성분이나 독성 및 그 효능에 대하여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이용되고 있어 상대적으로 그 활용도가 낮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한방생약재를 일상생활에 다양한 방법으로 섭취해 온 민간요법 등이 있기 때문에 한약재를 이용하여 항산화 기능을 가진 노화방지 및 미백용 화장료의 개발 및 상품화가 용이할 것으로 본다. 그러므로 이의 적절한 사용을 위하여 유용한 성분 및 효능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며, 한방자원과 천연물 및 그 부산물에 함유된 활성물질을 포함한 기능성 물질을 탐색개발하는 것은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과 국민보건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측면에서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가죽나무 추출물이 높은 폴리페놀 함량, 우수한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능, 아질산염 소거능, 크산틴 산화효소 저해능 및 티로시나아제 저해능을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폴리페놀 함량, 우수한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능, 아질산염 소거능, 크산틴 산화효소 저해능 및 티로시나아제 저해능을 가지는 가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가죽나무 추출물은 가죽나무의 줄기, 종자, 잎 또는 뿌리, 바람직하게는 뿌리, 줄기 또는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 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프로필렌글리콜, 초산에틸, 부틸렌글리콜, 에테르 또는 클로로포름,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에탄올의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60 내지 80% 에탄올에 가용한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화관련 질환은 비만증, 고혈압, 당뇨병, 동맥경화증, 간질환, 폐질환, 갑상선 기능항진증, 갑상선 기능저하증, 만성피로증후군, 심장병, 고지혈증, 중풍, 신장질환, 통풍, 암, 노화 및 신경퇴행성 질환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비만증, 당뇨병, 동맥경화증, 고지혈증, 신장질환 및 통풍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죽나무 추출물은, 음건한 가죽나무의 뿌리, 줄기 또는 잎을 잘게 마쇄하여 그 중량의 약 1 내지 40배,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30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에탄올 및 메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60 내지 80%의 에탄올로 약 1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5시간 동안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추출 등의 추출방법, 바람직하게는 환류냉각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액을 감압 여과하여 얻은 추출물을 약 4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70℃에서 감압 농축한 후, 증류수를 가해 현탁하여 진공 동결건조, 열풍건조 또는 분사방식에 의한 건조,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하여 본 발명의 가죽나무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의 제조공정으로 얻어진 가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가죽나무는 오랫동안 생약 및 식용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재로서 이들로부터 추출된 본 발명의 추출물들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으며, 피부 자극 시험에서 무자극 시료임이 입증되었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피부노화방지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 %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죽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노화방지 또는 미백 효과를 위한 화장품, 세안제 및 샴푸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샴푸, 린스,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 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1-α-토코페롤, d-α-토코페롤, d-δ-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α-토코페롤, 니코틴산dl-α-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트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 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 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α-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POP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α-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 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카본블랙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β-알라닌칼슘, N-라우로일-β-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ε-라우로일-L-리진, Nε-팔미토일리진, Nα-파리토일올니틴, Nα-라우로일아르기닌, Nα-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α-아미노카프릴산, α-아미노라우린산 등의 α-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친산페닐, 살리친산옥틸, 살리친산벤질, 살리친산부틸페닐, 살리친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중량 %,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3 중량 %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가죽나무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구체예로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세안크림, 세안폼, 클렌징크림, 클렌징밀크, 클렌징로션, 마사지크림, 콜드크림, 모이스처크림, 팩, 에프터세이빙크림, 썬텐방지크림, 썬텐용 오일, 바디샴푸, 헤어샴푸, 헤어린스,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시료의 준비
본 발명에 사용한 가죽나무를 2006년 7월경 경남 남해군 설천면 남양리 야산에서 채집, 동정한 다음, 줄기와 잎은 따로 분리하여 증류수로 세척하고 음건한 후 사용하였고, 뿌리는 2006년 7월경 대구 약령시장의 한약재료상(대구 한남약업사)에서 판매되는 저근백피를 구입하여 가죽나무의 줄기, 잎 및 뿌리를 준비하였다.
참고예 2. 통계처리
하기 실험예는 독립적으로 3회 이상 반복 실시한 실험결과를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실험군간의 유의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SPSS 12.0을 이용하여 아노바 테스트(ANOVA test)를 실시한 후 유의성이 있는 경우, p<0.05수준에서 던칸의 다중 범위 검증법(Duncan's multiple range test)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 가죽나무 뿌리의 물 추출물( WE -1)제조
환류냉각관을 부착시킨 둥근 플라스크에 상기 참고예 1에서 제조된 100 g의 뿌리시료에 증류수 1 L를 넣고 80℃의 수욕조 상에서 3 시간씩, 3회 반복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회전감압농축기 (rotatory vacuum evapora tor ; Eyela 400 series, Japan)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FD 5510 SPT, Ilshin Korea)하여 13.77 g의 분말로 제조하였고(이하, WE-1이라 명명함),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가죽나무 뿌리의 70 % 에탄올 추출물( EE -1) 제조
환류냉각관을 부착시킨 둥근 플라스크에 상기 참고예 1에서 제조된 100 g의 뿌리 시료에 70% 에탄올 1 L를 넣고 60℃의 수욕조 상에서 3 시간씩, 3회 반복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회전감압농축기 (rotatory vacuum evaporator ; Eyela 400 series, Japan)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FD 5510 SPT, Ilshin Korea)하여 13.38 g의 분말로 제조하였고(이하, EE-1이라 명명함),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가죽나무 뿌리의 열수 추출물( HWE -1) 제조
환류냉각관을 부착시킨 둥근 플라스크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100 g의 종자시료에 증류수 3L를 넣고 압력추출기로 110 ℃, 1.5 기압 하에서 3시간동안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회전감압농축기 (rotatory vacuum evaporator ; Eyela 400 series, Japan)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FD 5510 SPT, Ilshin Korea)하여 19.94 g의 분말로 제조하였고(이하, HWE-1이라 명명함),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4. 가죽나무 줄기의 물 추출물( WE -2)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뿌리시료를 줄기시료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가죽나무 줄기의 물 추출물 3.80 g을 제조하였고(이하, WE-2라 명명함),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5. 가죽나무 줄기의 70 % 에탄올 추출물( EE -2)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뿌리시료를 줄기시료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가죽나무 줄기의 70% 에탄올 추출물 3.37 g을 제조하였고(이하, EE-2라 명명함),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6. 가죽나무 줄기의 열수 추출물( HWE -2) 제조
상기 실시예 3의 뿌리시료를 줄기시료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가죽나무 줄기의 열수 추출물 4.69 g을 제조하였고(이하, HWE-2라 명명함),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7. 가죽나무 잎의 물 추출물( WE -3)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뿌리시료를 잎시료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가죽나무 잎의 물 추출물 12.50 g을 제조하였고(이하, WE-3이라 명명함),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8. 가죽나무 잎의 70 % 에탄올 추출물( EE -3)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뿌리시료를 잎시료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가죽나무 잎의 70% 에탄올 추출물 18.75 g을 제조하였고(이하, EE-3이라 명명함),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9. 가죽나무 잎의 열수 추출물( HWE -3) 제조
상기 실시예 3의 뿌리시료를 잎시료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가죽나무 잎의 열수 추출물 31.33 g을 제조하였고(이하, HWE-3이라 명명함),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폴리페놀 함량 측정
가죽나무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기존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AOAC;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45, pp21-22, 2005).
상기 실시예 1 내지 9에서 제조한 가죽나무 각 추출물(WE-1, EE-1, HWE-1, WE-2, EE-2, HWE-2, WE-3, EE-3, HWE-3)을 1 mg/mL의 농도로 2차 증류수에 희석한 후 폴린-시오칼투스 페놀 시약(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 0.2 mL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3분간 실온에서 방치한 다음, 탄산나트륨(Sodium carbonate, Na2CO3) 포화용액 0.4 mL를 가하여 혼합하였다. 여기에 증류수를 1.4 mL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UV/VIS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7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화합물의 최종농도가 0, 37.5, 75, 150, 300 ug/mL가 되도록 탄난산(tannic acid)을 취하여 위에서 측정한 흡광도의 표준곡선으로부터 폴린-데니스(AOAC;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45, pp21-22, 2005)법으로 가죽나무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을 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추출물 총 폴리페놀(mg/g) 추출물 총 폴리페놀(mg/g) 추출물 총 폴리페놀(mg/g)
WE-1 60.14±1.54 WE-2 68.12±0.92 WE-3 80.40±1.06
EE-1 50.67±1.10 EE-2 62.86±1.33 EE-3 78.56±1.75
HWE-1 52.16±1.32 HWE-2 87.51±2.24 HWE-3 64.26±1.47
실험 결과,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HWE-2가 87.51 mg/g으로 가장 많은 폴리페놀을 함유하였으며 WE-3과 EE-3은 각각 80.40 mg/g, 78.56 mg/g으로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뿌리 추출물(WE-1, EE-1, HWE-1)은 52.16 내지 60.14 mg/g으로 9가지 추출물 중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가죽나무의 뿌리, 줄기 및 잎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주요물질로 알려진 폴리페놀을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천연 항산화제로서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가죽나무의 뿌리보다 줄기와 잎이 더 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전자공여능 측정
가죽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생리활성 물질이 환원되어 자색으로 탈색되는 정도에 따라 항산화 활성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를 이용하여 블로이스(Blois, M. 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 Nature, 181, pp1199-1200, 1958)의 방법에 따라 가죽나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해 보았다. 0.1, 0.3, 0.5 또는 1.0 mg/mL 농도의 상기 실시예 1 내지 9에서 제조한 가죽나무 각 추출물(WE-1, EE-1, HWE-1, WE-2, EE-2, HWE-2, WE-3, EE-3, HWE-3) 2 mL에 99% 에탄올에 녹아있는 0.2mM의 DPPH용액을 1 mL 가한 뒤, 혼합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시료 첨가 전후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어 전자공여능을 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농도(mg/mL) 0.1 0.3 0.5 1.0
WE-1 33.49 ± 1.76 62.77±3.65 77.33±0.46 74.83±0.40
EE-1 24.71±1.41 48.21±1.50 66.25±0.95 64.04±1.82
HWE-1 51.61±2.17 80.29±0.51 90.42±0.96 91.25±0.25
WE-2 48.04±2.79 68.86±0.33 69.91±0.25 70.01±0.79
EE-2 46.43±1.76 61.45±0.74 62.78±0.26 63.27±0.37
HWE-2 50.39±3.25 60.86±0.55 63.33±0.67 67.03±0.96
WE-3 27.14±0.76 28.29±0.29 28.38±0.82 29.24±0.17
EE-3 6.92±1.38 10.49±1.44 11.07±1.73 17.47±1.71
HWE-3 39.90±3.00 46.17±1.09 47.64±0.26 47.94±0.13
실험 결과,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 mg/mL의 농도에서 HWE-1이 91.25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뿌리 > 줄기 > 잎의 순으로 전자공여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열수 추출물이 물과 에탄올 추출물과 비교하여 보다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가죽나무의 뿌리, 줄기 및 잎 추출물은 전자공여능이 매우 높은 한방생약자원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SOD 유사활성능 측정
가죽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산화방지 및 노화억제 작용과 관계가 있는 SOD 유사활성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마크런드(Marklund and Marklund, Eur . J. Biochem ., 47, pp468-474, 1975)의 방법에 따라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2O2)로 전환시키는 반응을 촉매하는 산화효소인 피로갈롤(pyrogallol)의 생성량을 측정하여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0.1, 0.3, 0.5 또는 1.0 mg/mL 농도의 상기 실시예 1 내지 9에서 제조한 가죽나무 각 추출물(WE-1, EE-1, HWE-1, WE-2, EE-2, HWE-2, WE-3, EE-3, HWE-3) 0.2 mL에 pH 8.5로 보정한 트리스 염산 버퍼(tris-HCl buffer, 50 mM tris [hydroxymethyl] amino-methane + 10 mM EDTA) 2.6 mL와 7.2mM 피로갈롤(pyrogallol) 0.2 mL를 첨가하여 25℃에서 10분간 반응 후, 1 N 염산(HCl) 0.1 mL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반응액 중 산화된 피로갈롤(pyrogallol)의 양은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가죽나무 추출물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농도(mg/mL) 0.1 0.3 0.5 1.0
WE-1 1.12±0.56 1.30±0.58 2.14±0.85 3.82±0.58
EE-1 1.21±0.91 2.62±1.06 4.73±0.76 10.07±1.52
HWE-1 8.84±0.91 10.94±0.61 12.54±1.02 14.31±0.39
WE-2 0 0 0 0
EE-2 1.36±0.04 4.69±0.43 6.67±1.92 7.66±1.54
HWE-2 5.52±0.97 6.24±0.00 7.84±0.21 10.78±0.85
WE-3 3.21±1.45 5.89±0.47 15.93±1.81 26.77±2.45
EE-3 45.22±1.10 47.79±1.84 49.14±1.49 50.00±0.97
HWE-3 7.81±0.37 18.34±1.50 27.51±0.00 49.07±0.74
실험결과,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 mg/mL의 농도에서 EE-3 (50.00%) > HWE-3(49.07%) > WE-3(26.77%) > HWE-1(14.31%) > HWE-2(10.78%) > EE-1(10.07%) > EE-2(7.66%) > WE-1(3.82%) > WE-2(0%) 순으로 그 효과가 나타났고, 잎이 뿌리 및 줄기와 비교하여 가장 높은 SOD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시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SOD 유사활성능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가죽나무 추출물은 높은 SOD 활성능을 가짐으로서 산화방지 및 노화 억제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가죽나무 추출물이 발암성 물질인 니트로사민(nitrosamine)을 쉽게 생성하는 아질산염(NaNO2)을 제거함으로써 항산화작용에 관여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카토(Kato et al., Agric. Biol. Chem., 51, pp1333-1338, 1987)등의 방법에 따라 pH에 따른 아질산염(NaNO2) 제거 작용을 측정하였다.
1 mM의 아질산염(NaNO2) 용액 2 mL에 0.1, 0.3, 0.5 또는 1.0 mg/mL 농도의 상기 실시예 1 내지 9에서 제조한 가죽나무 각 추출물(WE-1, EE-1, HWE-1, WE-2, EE-2, HWE-2, WE-3, EE-3, HWE-3)을 첨가하고, 여기에 0.1 N 염산(HCI, pH 1.2)과 0.2M 구연산 버퍼(citrate buffer)를 사용하여 반응용액의 pH를 각각 1.2, 3.0 또는 6.0으로 조정한 후, 반응용액의 부피를 10 mL로 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각각 1 mL씩 취하였다. 여기에 2% 아세트산(acetic acid) 5 mL를 첨가하고, 그라이스 시약(griess reagent, A:B=1:1, A; 1% sulfanilic acid in 30% acetic acid, B; 1% naphthylamine in 30% acetic acid) 0.4 mL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실온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시킨 시료를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대조군은 그라이스 시약(griess reagent) 대신 증류수 0.4 mL를 가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가죽나무 추출물의 첨가군과 무첨가군 사이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 내지 표 6 및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었다.
농도(mg/mL) (PH 1.2) 0.1 0.3 0.5 1.0
WE-1 20.64±2.75 21.69±2.43 28.04±0.92 33.33±0.00
EE-1 6.31±1.41 11.95±0.42 26.43±1.09 45.77±0.90
HWE-1 4.28±0.93 15.49±1.43 24.13±0.87 45.97±0.87
WE-2 10.61±0.65 16.61±1.39 35.79±0.48 55.17±0.78
EE-2 15.18±1.34 16.17±2.64 33.18±0.79 56.25±0.24
HWE-2 14.43±0.92 19.32±0.24 36.39±1.12 54.07±0.99
WE-3 46.89±0.49 65.83±0.22 93.64±0.19 95.18±0.00
EE-3 55.64±0.11 75.22±0.11 97.66±0.11 98.58±0.18
HWE-3 15.00±0.00 48.95±0.28 74.26±0.19 93.33±0.00
농도(mg/mL) (pH 3.0) 0.1 0.3 0.5 1.0
WE-1 4.17±0.00 11.11±2.41 15.28±2.41 29.17±0.00
EE-1 0.21±0.18 1.17±0.46 3.20±1.42 4.58±0.88
HWE-1 5.60±1.00 10.54±1.34 11.59±1.02 17.94±0.38
WE-2 2.12±0.37 5.42±0.23 22.21±0.73 33.04±0.31
EE-2 9.15±0.92 12.44±1.41 22.51±0.37 34.41±0.43
HWE-2 12.70±0.43 16.69±0.36 24.58±0.36 34.34±0.14
WE-3 37.40±0.86 50.88±1.59 80.10±0.11 89.19±0.11
EE-3 41.05±0.10 56.13 ±0.37 92.99±0.20 98.94±0.78
HWE-3 9.67±0.83 37.77±0.54 58.23±0.40 85.40±0.42
농도(mg/mL) (pH 6.0) 0.1 0.3 0.5 1.0
WE-1 0 0 0 0
EE-1 0 0 0 0
HWE-1 0 0 0 5.24±0.65
WE-2 0.67±0.35 1.38±0.08 1.79±0.16 2.54±0.13
EE-2 0 0 1.09±0.17 2.01±0.17
HWE-2 0.67±0.35 1.38±0.08 1.78±0.15 2.54±1.33
WE-3 0 0 0 1.78±1.41
EE-3 1.09±0.89 1.03±0.25 2.72±0.76 4.41±0.57
HWE-3 0 0 0 1.05±0.09
실험 결과, 상기 표 4 내지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pH 1.2에서는 EE-3이 98.58%로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효과가 나타났고, pH 3.0에서도 EE-3이 98.94%로 가장 높은 소거효과를 나타내었으며, pH 6.0에서는 HWE-1이 5.24%로 가장 높은 소거효과를 나타내었고, 대체적으로 pH 농도가 낮을수록, 시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잎 > 줄기 > 뿌리의 순으로 아질산염 소거효과가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한방생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가죽나무의 뿌리(저근피)와 줄기 그리고 잎 추출물은 아질산염 소거효과가 우수하며, 아질산 및 아민이 함유된 제품과 같이 섭취하거나 가공 시 니트로사민(nitrosamine) 생성 억제 및 항산화 작용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크산틴 산화효소 저해능 측정
크산틴 산화효소는 크산틴(xanthine)을 생체 내에서 퓨린(purine) 대사에 관여하여 통풍과 신장질환의 원인이 되는 요산(uric acid)으로 산화시키며(Kramer and Curhan,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s, 40, pp37-42, 2002), 가죽나무 추출물이 이러한 크산틴 산화효소를 억제하는데 관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스트리프와 코르테(Stirpe, Corte, Biol . Chem ., 244, pp3855-3861, 1969)의 방법에 따라 크산틴 산화효소 저해 활성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0.1, 0.5, 1.0 또는 2.0 mg/mL의 농도로 희석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9에서 제조한 가죽나무 추출물(WE-1, EE-1, HWE-1, WE-2, EE-2, HWE-2, WE-3, EE-3, HWE-3) 0.1 mL에 0.1M 인산칼륨 버퍼(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5) 0.6 mL와 크산틴(xanthine) 2mM을 녹인 기질액 0.2 mL를 첨가하였다. 여기에 크산틴 산화효소(0.2 U/mL) 0.1 mL를 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1 N 염산(HCl) 1 mL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후, 반응액 중에 생성된 요산(uric acid)을 흡광도 292nm에서 측정하였다. 가죽나무 추출물에 대한 크산틴 산화효소 저해 활성도는 시료용액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을 백분율(%)로 나타내어 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7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농도(mg/mL) 0.1 0.5 1.0 2.0
WE-1 44.24±1.05 91.52±1.05 93.94±1.05 97.58±2.10
EE-1 41.95±1.99 81.61±3.59 91.95±0.99 95.40±1.99
HWE-1 32.05±1.11 86.54±0.00 96.80±1.38 97.44±1.28
WE-2 40.60±0.00 89.60±2.33 93.62±3.08 98.32±1.16
EE-2 32.98±2.13 87.23±2.13 90.07±2.46 93.62±3.69
HWE-2 49.52±0.00 84.47±1.94 87.70±2.97 97.41±1.12
WE-3 74.25±2.32 90.30±1.16 92.64±1.16 94.65±1.16
EE-3 75.71±0.98 89.27±2.59 93.22±1.70 94.62±0.00
HWE-3 78.25±3.53 89.27±3.05 90.11±2.59 92.09±1.96
실험 결과,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2.0 mg/mL의 농도에서 가죽나무의 모든 추출물이 90% 이상의 매우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이중에서도 특히 WE-2가 98.32%로 가장 높은 크산틴 산화효소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가죽나무 추출물은 크산틴이 요산으로 산화되는 것을 막아 통풍과 신장 질환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항산화제로서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티로시나아제 저해능 측정
티로시나아제로 인한 멜라닌(melanin)의 합성은 기미, 주근깨, 검버섯 등을 형성하고 피부노화 촉진 및 피부암을 유발하며 채소, 과일 생선 등의 갈변화로 품질을 저하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Sanchez-Ferrer et al., Biochem . biophys . Acta ., 1247, pp1-11, 1995), 가죽나무 추출물이 티로시나아제를 억제하는데 관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야기(Yagi et al., Planta Medica 53, pp517-519, 1987)등의 방법에 따라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저해 활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0.175M 인산나트륨 버퍼(sodium phosphate buffer, pH 6.8) 0.5 mL에 10 mM L-DOPA를 녹인 기질액 0.2 mL와 0.1, 0.5, 1.0 또는 2.0 mg/mL의 농도로 희석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한 가죽나무 각 추출물(E-1, EE-1, HWE-1, WE-2, EE-2, HWE-2, WE-3, EE-3, HWE-3) 0.1 mL를 혼합한 용액에 머시룸 티로시나아제(mushroom tyrosinase, 110 U/mL) 0.2 mL를 첨가하여 25℃에서 2분간 반응시킨 후, 생성된 DOPA 크롬(chrome)을 흡광도 475 nm에서 측정하였다. 가죽나무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저해 활성도는 시료용액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을 백분율(%)로 나타내어 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8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농도(mg/mL) 0.1 0.5 1.0 2.0
WE-1 2.84±1.77 4.97±1.88 6.62±0.54 7.09±0.36
EE-1 57.70±0.35 60.32±0.20 61.34±0.51 62.01±0.51
HWE-1 63.97±0.15 64.80±0.55 66.46±0.20 67.38±0.76
WE-2 1.41±1.27 3.26±1.30 4.45±1.36 5.21±0.65
EE-2 2.10±0.92 2.55±0.62 3.70±0.86 4.05±1.05
HWE-2 4.27±1.29 5.87±0.81 6.45±1.09 7.73±1.29
WE-3 9.31±0.84 12.99±0.70 14.72±2.09 16.33±1.27
EE-3 2.87±0.45 3.67±0.30 6.74±1.69 11.94±1.34
HWE-3 9.09±1.15 11.36±0.86 12.88±0.67 15.04±1.90
실험 결과, 상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2.0 mg/mL의 농도에서 EE-1과 HWE-1이 각각 67.38%, 62.01%로 가장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HWE-1은 0.1 mg/mL의 농도에서도 63.97%로 높은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가죽나무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를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미백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7. 가죽나무 추출물의 피부 자극성 시험
가죽나무 추출물의 피부 자극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1999-61호 "의약품의 독성 시험 기준"에 따라 본 연구소 내부적으로 뉴질랜드 화이트(New Zealand White) 수컷 토끼를 대상으로 피부자극시험을 실시하였다. 관찰은 첩포 24시간 후 첩포 부위에 대한 홍반, 가피형성, 부종형성 등의 피부자극 반응을 관찰하였다.
가죽나무 추출물을 토끼의 피부에 적용한 결과, 가죽나무 추출물에 따른 일반증상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사망동물도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홍반, 가피 형성 등을 관찰한 결과 6마리 2마리에서 가벼운 홍조가 발견되었으나, 자극성을 평가한 결과 자극 지수가 약한 자극성 물질로 분류되어 자극성이 거의 없는 물질로 평가되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에 상기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유연 화장수( 스킨 )
정제수에 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폴리옥시에틸렌(60) 경화피마자유, 베타인,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및 방부제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용해시킨 다음, 에탄올에 향료를 넣어 용해시킨 혼합물을 첨가하였다. 여기에 가죽나무 추출물을 가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 숙성시켜 가죽나무 추출물 함유 유연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9에 각 성분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원료 제형예 1 함량(w/w %)
실시예1의 WE-1 50.0
부틸렌 글리콜 7.0
글리세린 5.0
폴리옥시에틸렌(60) 경화 피마자유 0.2
에탄올 5.0
베타인 2.0
구연산 0.02
구연산 나트륨 0.06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로션( 에멀젼 )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가죽나무 추출물, 부티렌 글리콜, 글리세린,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아르기닌, 방부제 및 정제수를 70 내지 75℃에서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여기에 75 내지 80℃에서 교반하여 가열시킨 스쿠알란, 부틸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포리소르베이트 6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및 스테아릴글리세레티네이트 혼합물을 가하여 유화시킨 후, 교반하면서 45℃정도로 냉각되면 향료를 첨가하여 교반한 다음, 30℃까지 냉각한 후 숙성시켜 가죽나무 추출물 함유 로션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0에 각 성분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원료 제형예 2 함량(w/w %)
실시예5의 EE-2 40.0
부틸렌글리콜 8.0
글리세린 5.0
스쿠알란 10.0
부틸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5.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1.5
폴리소르베이트 60 1.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스테아릴글리시레티네이트 0.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아르기닌 0.1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에센스
시토 시테롤,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세라마이드, 세테아레스-4 및 콜레스테롤을 교반하여 혼합한 다음, 가죽나무 추출물, 디세틸포스페이트, 농글리세린 및 정제수 혼합 용액을 첨가하여 유화시킨 후, 교반하면서 45℃로 냉각되면 향료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30℃까지 냉각시켜 숙성시켰다. 여기에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산탄검 및 방부제를 첨가하여 안정화시킨 후 숙성시켜 가죽나무 추출물 함유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1에 각 성분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원료 제형예 3 함량(w/w %)
실시예 3의 HWE-1 10.0
시토 스테롤 1.70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0
세라마이드 0.7
세테아레스-4 1.2
콜레스테롤 1.5
디세틸포스페이트 0.4
농글리세린 5.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산탄검 0.2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4. 세안제(클렌징 폼)
정제수에 N-아실글루타민산 나트륨, 글리세린, PEG-400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가죽나무 추출물을 소량씩 가하고 EDTA-4Na를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80℃에서 가열하여 용해시켰다. 여기에 80℃에서 가열한 POE(15)올레일알코올 에테르, 라우린 유도체 및 메틸 파라벤 혼합용액을 첨가하여 교반한 다음, 향료를 가하여 서서히 냉각하여 가죽나무 추출물 함유 세안제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2에 각 성분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원료 제형예 4 함량(w/w %)
실시예9의 HWE-3 20.0
N-아실글루타민산 나트륨 20.0
글리세린 10.0
PEG-400 15.0
프로필렌 글리콜 10.0
POE(15)올레일알코올 에테르 3.0
라우린 유도체 2.0
메틸 파라벤 0.2
EDTA-4Na 0.03
향료 0.2
정제수 잔량
제형예 5. 샴푸
정제수에 글리세린 및 EDTA-4Na을 가하여 80 ℃에서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TEA 라우릴 설페이트, 소듐 라우릴에테르 설페이트, 라우릴 아미도프로필 베타인 및 라울릴산 디에탄올 아미드를 가하여 교반하였다. 여기에 구연산을 넣어 50 ℃에서 중화시킨 다음, 45 ℃에서 가죽나무 추출물 및 아연(Zinc) 피리티온을 가하고 교반하여 가죽나무 추출물 함유 샴푸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3에 각 성분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원료 제형예 5 함량(w/w %)
실시예 4의 WE-2 20.0
TEA 라우릴 설페이트 20.0
소듐 라우릴에테르 설페이트 30.0
라우릴 아미도프로필 베타인 2.0
라우릴산 디에탄올 아미드 3.0
글리세린 3.0
EDTA-2Na 0.05
메틸 파라벤 0.2
구연산 0.03
아연 피리티온 0.02
향료 0.2
정제수 잔량
본 발명의 가죽나무 추출물은 높은 폴리페놀 함량, 우수한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능, 아질산염 소거능, 크산틴 산화효소 저해능 및 티로시나아제 저해능을 지니므로, 피부노화방지 및 미백용 화장료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4)

  1. 가죽나무(Ailanthus altissim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가죽나무의 뿌리, 줄기 또는 잎으로부터 추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 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프로필렌글리콜, 초산에틸, 부틸렌글리콜, 에테르 또는 클로로포름으로부터 선택된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인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스킨), 크림, 에멀젼 (로션), 에센스, 영양수, 세정액, 팩, 미용액, 스프레이 및 파운데이션의 제형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070037669A 2007-04-18 2007-04-18 항산화 효과를 갖는 가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15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669A KR100815873B1 (ko) 2007-04-18 2007-04-18 항산화 효과를 갖는 가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669A KR100815873B1 (ko) 2007-04-18 2007-04-18 항산화 효과를 갖는 가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5873B1 true KR100815873B1 (ko) 2008-03-28

Family

ID=39411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669A KR100815873B1 (ko) 2007-04-18 2007-04-18 항산화 효과를 갖는 가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58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3738A1 (ko) * 2011-01-03 2012-07-12 (주)아모레퍼시픽 항산화용 및 황사에 의한 피부 유해영향 완화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2575A (ja) * 1999-06-21 2001-01-09 Sunstar Inc メラニン産生促進剤
KR20060130830A (ko) * 2005-06-08 2006-12-2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죽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2575A (ja) * 1999-06-21 2001-01-09 Sunstar Inc メラニン産生促進剤
KR20060130830A (ko) * 2005-06-08 2006-12-2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죽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3738A1 (ko) * 2011-01-03 2012-07-12 (주)아모레퍼시픽 항산화용 및 황사에 의한 피부 유해영향 완화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6102A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복합 천연 방부제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110108686A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식품,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1944B1 (ko) 해죽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29045B1 (ko)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63547B1 (ko) 녹차씨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73411B1 (ko) 항산화, 항암 및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nh 생약 조성물
KR101406110B1 (ko) 흑생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미백 개선용 조성물
KR101082277B1 (ko) 흑삼꽃봉오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996732B1 (ko)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발효한 오메기주의 농축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주름개선, 탄력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2002316937A (ja) 植物抽出物含有抗アレルギー剤
KR20070041927A (ko) 항산화, 항암,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도화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KR20090097483A (ko) 독성을 경감시킨 반묘 함유 복합 생약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의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127279B1 (ko) 신규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인삼엽 및 이의 추출물을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0535875B1 (ko)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549661B1 (ko)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지니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15873B1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가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05584A (ko) 꼬리진달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개선 및 항산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98603A (ko) 미생물 발효물이 함유된 보습력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KR100844990B1 (ko) 신규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신규흑삼 및 이의 추출물을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0702891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싸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0745A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순비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67765B1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하고초 pse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2983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536224B1 (ko)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