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2277B1 - 흑삼꽃봉오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흑삼꽃봉오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2277B1
KR101082277B1 KR1020060113816A KR20060113816A KR101082277B1 KR 101082277 B1 KR101082277 B1 KR 101082277B1 KR 1020060113816 A KR1020060113816 A KR 1020060113816A KR 20060113816 A KR20060113816 A KR 20060113816A KR 101082277 B1 KR101082277 B1 KR 101082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extract
acid
black ginseng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4959A (ko
Inventor
송규용
박용진
김상겸
명창선
김의검
이지현
강철우
최용석
조수현
Original Assignee
박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진 filed Critical 박용진
Priority to KR1020060113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277B1/ko
Publication of KR20080044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4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7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drying, e.g. sun-drying or wil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의 꽃봉오리를 이용하여 제조한 흑인삼꽃봉오리 및 이 제조방법으로부터 수득한 흑인삼꽃봉오리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흑인삼꽃봉오리의 추출물은 뛰어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므로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흑인삼꽃봉오리, 대량생산, 구증구폭, 항산화, 산화적 스트레스, 피부외용약학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흑삼꽃봉오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flower bud of black ginseng showing anti-oxidative activity}
도 1은 흑인삼꽃봉오리 증숙시 사용한 옹기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삼의 꽃봉오리를 이용하여 흑인삼꽃봉오리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으로부터 수득한 흑인삼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수행된 인삼에 관한 연구의 대부분은 인삼근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므로 인삼엽이나 꽃봉오리의 대부분을 폐기하고 있는 실정이였다.
또한, 인삼엽에는 인삼뿌리에 비해서 사포닌 함량이 3-5배 정도 많다고 알려져 있지만 인삼의 꽃봉오리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삼의 꽃봉오리를 이용하여 의약품, 건강기능성식품, 식 품첨가물 및 화장품 등과 같이 경제성 있는 원료로 개발하고자, 인삼의 꽃봉오리로부터 구증구폭의 방법 및 이 방법에 비하여 시간이 단축되며, 대량생산이 가능한 신규한 흑인삼꽃봉오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35억 달러 세계 인삼시장을 잡기 위하여 국내 바이오 벤처기업들이 연간 35억 달러에 달하는 세계 인삼 관련 신 물질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지금까지 인삼을 기능성식품으로 표준화 해 세계 시장에서 성과를 올리고 있는 기업은 스위스 베링거잉겔하임 산하의 “파머톤사" 뿐이며 국내에서도 인삼에 대한 국가차원의 연구와 벤처업계의 상품화가 속속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홍삼은 약 1,000년 전부터 제조된 역사적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중국 송나라의 서긍이 저술한 고려도경에 홍삼에 대한 기록이 있음), 한의학적 전통제약기술인 수치법에 의해 가공제조된 수치생약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생약의 수치목적은 1) 독성 등 부작용의 경감, 2) 생약 성능의 개변과 약효의 증강, 3) 보관이나 저장성의 향상, 4) 맛과 냄새 교정 및 부색 등으로 알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홍삼은 적정한 열처리 공정을 거치는 동안 2차적 성분변환이 일어나 수삼(fresh ginseng)이나 백삼에 존재하지 않는 홍삼 특유의 새로운 약효성분들이 생성되기도 하고, 어떤 활성성분은 함량 증가가 일어난다. 이렇듯 인삼의 가공방법에 따라 인삼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성분이 생성되며 인삼에 비해서 항암작용을 비롯한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해서 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가공 인삼을 개발 할 수 있다(Okamura N. et al., Biol . Pharm. Bull., 17(2), p270, 1994).
중국의 경우 백삼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홍삼에 소량 존재하는 인삼 사 포닌인 Rg3를 대량 생산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Shenyi' 라는 상품명으로 항암치료를 위해 사용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기능성 인삼의 대표 제품은 지난 98년 바이오벤처기업 진생사이언스가 개발한 ‘선삼’으로써 지난 2001년 선삼정으로 개발돼 국내 건강기능성식품 시장에 본격 알려진 이후 국내는 물론 전 세계적인 발명품으로도 인정받으며 기능성 인삼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 한 상태이다(Keum YS et al., Antioxidant and anti-tumor promoting activities of the methanol extract of heat-processed ginseng, Cancer Lett., 150(1), pp41-48, 2000).
이 밖에도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바이오벤처기업 비티진이 공동 개발한 ‘황삼EX’, ㈜남일농장 인삼영농조합이 바이오벤처기업인 ㈜그린바이오와 손잡고 제품화한 ‘팽화홍삼’, 남양알로에에서 분사한 ㈜유니젠은 최근 미국 UPI사와 공동으로 개발한 `바이오맥스', (주)CJ의 ‘식스플러스’, (주)일동제약의 ‘황삼’ 과 같은 여러 종류의 가공인삼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인삼의 활성성분 함량을 더욱 높이기 위한 노력의 결과로써 증숙법의 하나인 한약재의 가공방법 중 물과 불을 함께 사용하는 것으로 가장 대표적인 방법인 구증구폭의 원리를 이용한 흑삼이 개발된 바 있으며(한국공개특허공보 특 2003-0005089; 흑삼과 흑미삼의 제조방법), 본 연구실에서는 이 방법에 비해서 시간적으로 단축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표준화된 흑삼의 제조방법(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6-0044066; 신규한 흑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흑인삼엽의 제조방법(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6-76232; 신규제조방법으로 제조 된 흑인삼엽 및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대해서 특허를 출원한 바 있다.
이와 같이, 인삼의 프리미엄화 시대를 맞이하여 본 발명자는 지금까지의 인삼 및 가공인삼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 뿌리에 국한되어 있는 한계점을 벗어나고자, 인삼의 꽃봉오리를 이용하여 흑인삼꽃봉오리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이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흑인삼꽃봉오리가 기존의 홍삼보다 4-5배 더 강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삼의 꽃봉오리를 이용하여 흑인삼꽃봉오리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흑인삼꽃봉오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삼의 꽃봉오리를 건조, 증숙, 가열 및 건조하는 공정을 통한 구증구폭을 특징으로 하는 흑인삼꽃봉오리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흑인삼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삼의 꽃봉오리를 건조, 증숙, 가열 및 건조하는 공정을 통한 고온고압을 특징으로 하는 흑인삼꽃봉오리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흑인삼꽃봉오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흑인삼꽃봉오리 및 이의 추출물은 하기와 같은 공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 2 내지 7 년근,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6년근 인삼의 꽃봉오리를 세척 후, 2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5℃의 온도에서 12 내지 36시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8시간 건조하는 1차 건조공정; 분쇄기로 분쇄한 건조 인삼꽃봉오리를 증숙기에 넣어 예열시간을 제외하고 6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105℃의 온도에서 3 내지 9시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시간 동안 증숙하는 1차 증숙공정; 4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6 내지 18시간,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5시간 동안 건조하는 2차 건조공정; 상기 1차 증숙단계와 2차 건조단계를 9회 반복하는 증숙 및 건조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이 14% 이하인 흑인삼꽃봉오리(이하, BGF 1이라 한다.)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 2 내지 7 년근,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6년근 인삼의 꽃봉오리를 세척 후, 2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5℃의 온도에서 12 내 지 36시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8시간 건조하는 1차 건조공정; 95 내지 155℃,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45℃의 온도에서 3 내지 9시간, 바람직하게는 4 내지 7시간 동안 증숙하는 1차 증숙공정; 4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8 내지 16시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4시간 동안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14% 이내로 건조하는 2차 건조공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이 단축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고온고압을 이용한 흑인삼꽃봉오리(이하, BGF 2라 한다.)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BGF 1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BGF 1를 분쇄한 후, BGF 1의 약 1 내지 7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배 질량의 물을 가하여, 실온에서 3 내지 7시간 방치한 후, 메탄올을 0.5 내지 2ℓ를 가하여, 3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였다. 추출한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여과한 다음,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메탄올을 제거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BGF 1의 추출물(이하, BGFE 1이라 한다.)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BGFE-1에 물을 넣어 현탁시킨 후, 에테르를 가하여 비극성 물질을 제거하고, 남아있는 수층에 수포화 부탄올을 가하여 인삼에 존재하는 사포닌을 4회 추출한 후, 부탄올을 감압농축기로 제거하여 인삼사포닌이 다량 함유된 본 발명의 부탄올 가용추출물(이하, BGFBE-1이라 한다.)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BGF 2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BGF 2를 분쇄한 후, BGF 2의 약 3 내지 7배, 바 람직하게는 4 내지 6배 질량의 물을 가하여, 실온에서 3 내지 7시간 방치한 후, 메탄올을 0.5 내지 2ℓ를 가하여, 3시간 씩 3회 환류 추출하였다. 추출한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여과한 다음,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메탄올을 제거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BGF 2의 추출물(이하, BGFE 2라 한다.)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BGFE-2에 물을 넣어 현탁시킨 후, 에테르를 가하여 비극성 물질을 제거하고, 남아있는 수층에 수포화 부탄올을 가하여 인삼에 존재하는 사포닌을 4회 추출한 후, 부탄올을 감압농축기로 제거하여 인삼사포닌이 다량 함유된 본 발명의 부탄올 가용 추출물(이하, BGFBE-2이라 한다.)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흑인삼꽃봉오리는 생약 분쇄기를 이용하여 미세분말, 바람직하게는 약 50~200㎛ 크기의 분말로 분쇄하여 각종제제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흑인삼꽃봉오리는 인삼뿌리에 비해서 약 3-5 배 더 많은 약 12-16% 의 사포닌 함량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 사포닌 성분 중 Rg5 는 항암 효과, 항당뇨 효과 등을, Rg3는 항스트레스 효과, 간보호 효과, 항산화 효과 등의 다양한 약리 활성을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흑인삼꽃봉오리는 위와 같은 다양한 생리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인삼꽃봉오리 추출물은 강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며, 홍삼 및 흑삼추출물에 비하여 더욱 강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방법으로부터 제조되는 흑인삼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방법으로부터 제조되는 흑인삼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질환은 피부 노화, 주름살, 기미, 주근깨, 피부염, 여드름 등의 피부 질환을 포함한다.
상기 흑인삼꽃봉오리 추출물은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흑인삼꽃봉오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은 항산화 효과를 갖는 피부외용제로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형태의 약학조성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흑인삼꽃봉오리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를 갖는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화장수, 스킨,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팩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 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 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 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 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 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 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 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 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 중량 백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 중량 백분율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흑인삼엽 및 이의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 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실시예 1. 홍삼 추출물의 제조
금산에서 구입한 홍삼 20g을 취해 분쇄한 후, 100㎖의 물을 넣고 실온에서 5시간 방치한 뒤, 메탄올 1ℓ를 가하여 3시간 씩 3회 환류 추출하여, 추출한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메탄올을 제거하고 홍삼 추출물 8.1g을 수득하였다.
홍삼 추출물 8.1g에 물 200㎖을 넣어 현탁시킨 후, 에테르 200㎖을 가하여 비극성 물질을 제거하였다. 남아있는 수층에 수포화 부탄올 200㎖을 가하여 인삼에 존재하는 사포닌을 추출한 후, 부탄올을 감압농축기로 제거하여 인삼 사포닌이 다량 함유된 부탄올 추출물 1.3g(이하, RGRE-1이라 한다.)를 얻었다. 이 RGRE-1를 하기 실험예 1의 항산화 실험의 비교 시료로 사용하였다.
비교실시예 2. 인삼 꽃봉오리 추출물의 제조
금산에서 재배한 5년근 인삼의 꽃봉오리 500g을 채취하여 초음파세척기로 15분간 3회 세척한 뒤, 50℃에서 18시간 건조하여 315g을 얻었다.
수득한 건조 인삼꽃봉오리 중 50g을 취해 분쇄기로 분쇄한 후, 100㎖의 물을 넣고 실온에서 5시간 방치한 뒤, 80% 에탄올(20% 물) 1ℓ를 가하여 3시간 씩 3회 환류 추출하여, 추출한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에탄올을 제거하여 인삼꽃봉오리 추출물 19.59g을 수득하였다.
상기 인삼꽃봉오리 추출물 19.59g에 물 500㎖을 넣어 현탁시킨 후, 에테르 500㎖를 가하여 비극성 물질을 제거하였다. 남아있는 수층에 수포화 부탄올 500㎖를 가하여 인삼에 존재하는 사포닌을 4회 추출한 후, 부탄올을 감압농축기로 제거하여 인삼 사포닌이 다량 함유된 부탄올 추출물(이하, GFE 1이라 한다.) 8.86g를 최종적으로 얻었다. 이 인삼꽃봉오리 GFE 1을 하기 실험예 1의 비교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 흑인삼꽃봉오리의 제조
1-1. 구증구폭에 의한 방법
금산에서 재배한 5년근 인삼꽃봉오리 500g을 구입한 후, 초음파 세척기에 넣고 15분간 총 3회 반복해서 세척한 뒤, 50℃에서 18시간 1차 건조하여 315g을 얻었다.
수득한 건조 인삼꽃봉오리 50g을 취해 증숙기로 사용한 옹기(도 1 참조)에 넣고 예열시간을 제외하고 95℃에서 6시간 1차 증숙하였다. 예열시간은 옹기에서 수증기가 새어 나오는 데까지의 시간으로 통상 30여분 소요되었다.
열선이 내장된 건조기의 내부온도를 60℃로 유지시킨 후, 팬을 돌리면서 골고루 인삼꽃봉오리를 12시간 동안 2차 건조시켰다.
이와 같은 증숙 및 건조과정을 9회 반복하여 녹색의 인삼꽃봉오리가 흑색으로 변한 수분함량이 14% 이하의 BGF 1 50g을 제조하였다.
1-2. 고온 및 고압에 의한 방법
금산에서 재배한 5년근 인삼꽃봉오리 500g을 구입한 후, 초음파 세척기에 넣고 3분간 총 3회 반복해서 세척하였다. 세척된 인삼꽃봉오리를 50℃에서 18시간 1차 건조하여 315g을 얻었다.
1차 건조한 인삼꽃봉오리 중 50g을 취해 증숙기에서 115-135℃에서 6시간 동안 증숙한 후, 열선이 내장된 건조기의 내부온도를 60℃로 건조기에서 12시간 동안 건조시켜 수분함량이 14% 이하인 본 발명의 BGF 2 50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흑인삼꽃봉오리 추출물의 제조
상기의 실시예 1-1 및 1-2의 구증구폭 및 고온고압의 두 가지 방법으로 제조된 흑인삼꽃봉오리인 BGF 1 및 BGF 2를 각각 50g씩 취해 분쇄기로 분쇄한 후, 100㎖의 물을 넣고 실온에서 5시간 방치한 뒤, 80% 에탄올(20% 물) 1ℓ를 가하여 3시간 씩 3회 환류 추출하여, 추출한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에탄올을 제거하고 흑인삼꽃봉오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BGFE 1; 18.27g, BGFE 2; 18.81g).
이 흑인삼꽃봉오리 추출물에 물 500㎖를 넣어 현탁시킨 후, 에테르 500㎖를 가하여 비극성 물질을 제거하였다. 남아있는 수층에 수포화 부탄올 500㎖를 가하여 인삼에 존재하는 사포닌을 4회 추출한 후, 부탄올을 감압농축기로 제거하여 인삼 사포닌이 다량 함유된 부탄올 추출물(조 사포닌 추출물)을 얻었다(구증구폭방법; 8.05g, 이하, BGFBE 1이라 한다. / 고온고압방법; 8.23g, 이하, BGFBE 2라 한다.).
상기 BGFBE 1 및 BGFBE 2를 하기 실시예 3의 사포닌 성분 분석, 하기 실험예 1의 항산화실험 및 하기 실험예 2의 급성독성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흑인삼꽃봉오리 사포닌 성분 분석
흑인삼꽃봉오리 추출물에 존재하는 인삼사포닌의 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상기한 실시예 2에서 얻은 흑인삼꽃봉오리 부탄올 추출물(BGFBE 1 및BGFBE 2) 20㎎을 메탄올 1㎖에 녹인 후, 0.45㎛ 필터로 여과한 여액을 하기 표 1의 HPLC 분석 조건에서 성분을 분석하였다.
그 성분을 분석한 결과, 흑인삼꽃봉오리 1g당 Rb1이 0.2-0.6mg, Rb2가 1.5- 3.2mg, Rc가 6.7-7.6mg, Rd가 7.2-8.1mg, Re+Rg1이 0.5-0.9mg, Rk1+Rg5가 98-114mg, Rg3(S)+Rg3(R)가 16-28mg 및 Rh2가 17-25 mg으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증숙에 의해서 특이적으로 많이 생성되는 Rg5는 항불안효과(Cha HY et al., Biol Pharm Bull., 28(9), pp1621-5, 2006), 뇌기능개선효과(Kang JS et al., Arch Pharm Res., 28(3), pp335-342, 2005), 항당뇨효과(Kordella T et al., Diabetes Forecast, 57(1), pRG5-8, 2004), C형 간염억제효과(Neuberger J et al.,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of London and the British Society of Gastroenterology., 49, Suppl. 1:I1-21, 2001) 등, Rg3는 항스트레스효과(Chung BC et al., Pharmacol Res., 54(1), pp46-9, 2006), 항암효과(Huang C. et al., Sichuan Da Xue Xue Bao Yi Xue Ban, 37(1), pp60-2, 2006), 간보호효과(Kim DH et al., Biol Pharm Bull., 28(10), pp1992-4, 2005), 항산화효과(Sun YX et al., J Agric Food Chem ., 51(9), pp2555-8, 2003), 신생혈관억제효과(Qui H et al., Zhonghua Wai Ke Za Zhi , 40(8), pp606-8, 2002), 혈관이완작용(Schini-Kerth VB et al., Eur . J. Pharmacol ., 367(1), pp51-7, 1999) 및 혈소판응집억제작용(Lee HK et al., Biol . Pharm . Bull., 21(1), pp79-80, 1998)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어 이러한 사포닌이 다량 함유하는 흑인삼꽃봉오리는 위와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기대할 수 있다.
컬럼: Shiseido C18 column (5㎛, 1504.6mm)
유량(Flow rate) 1㎖/min
디텍터(Detector) ELSD-LT detector
용매(Solvent) A; CH3CN:H2O:5%CH3COOH = 15:80:5, B; CH3CN:H2O = 80:20
0분(0%B), 0-10분(30% B), 10-25분(50% B), 25-40(100% B), 40-50분(100% B), 50-55분(0% B), 55-58분(0% B)
온도 40도
실험예 1. 항산화 실험
흑인삼꽃봉오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TOSC(Total Oxyradical Scavenging Capacity) 분석(assay)법을 이용하여 비교실시예 1의 인삼꽃봉오리 추출물 및 실시예 2의 흑인삼꽃봉오리 추출물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라디칼 소거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TOSC 분석(assay)은 윈스턴 등(Winston et al., Free Radic Biol Med ., Feb, 24(3), pp480-493, 1998)에 의해 제안되고 같은 저자들에 의해 수정된 방법(Regoli and Winston, Toxicol Appl Pharmacol ., Apr 15, 156(2), pp96-105, 1999)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퍼옥실 라디칼(Peroxyl radical)은 ABAP(2,2'-azobisamidinopropane)를 35℃에서 자유라디칼반응(thermal homolysis)시켜 발생시켰고(Winston et al., Free Radic Biol Med ., Feb, 24(3), pp480-493, 1998), 하이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은 철(Fe)과 아스코르브산염(ascorbate)을 이용한 펜톤 반응(Fenton reaction; Winston and Cederbaum, Alcholol Clin Exp Res., 9(2), pp95-102, 1985)으로, 과산화질산염(peroxynitrite)은 SIN-1의 자연 분해(spontaneous decomposition)를 통해 발생시켰다. 발생한 각각의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은 KMBA(α-keto-γ-methiolbutyric acid)와 반응하여 에틸렌 가스(ethylene gas)를 발생하며 이 반응은 일정 범위 내에서는 온도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Winston et al., Free Radic Biol Med., 24(3), pp480-493, 1998; Regoli and Winston, Toxicol Appl Pharmacol ., 156(2), pp96-105, 1999).
반응은 최종 용량(volume) 1 ml의 반응액을 고무로 된 셉텀(rubber septum)으로 밀폐된 10 ml 용기에 넣어 진행시켰다. 에틸렌 가스(Ethylene gas) 생성 검출은 반응용기의 헤드 스페이스(head space) 내부 공기를 일정 용량(volume) 취하여 포로팩 N 컬럼(Poropack N column)과 FID(flame ionization detector)를 장착한 GC(gas chromatography)로 분석하여 실시하였다.
그 실험결과, AUC(area under the kinetic curve)는 상기 실험측정치로부터 구한 그래프를 적분(integration)하여 얻었고, TOSC값은 하기 수학식 1을 통하여 산출하였다(표 2 및 표 3 참조).
TOSC = 100 - (∫SA/∫CA × 100)
∫SA = 시료 반응의 곡선으로부터 적분한 범위
(integrated area from the curve of the sample reaction)
∫CA = 대조군 반응의 곡선으로부터 적분한 범위
(integrated area from the curve of the control reaction)
옥시라디칼 소거능(oxyradical scavenging capacity)을 전혀 갖지 못하는 시료의 경우에는 ∫SA/∫CA = 1 이 되며, TOSC = 0 의 값을 갖는다. 반대로 ∫SA → 0 일때는, TOSC 값은 100 에 접근한다. TOSC 값은 대조군에서의 값과 비교하게 되므로 이론적으로 기기의 감도나 사용시약, 기타 반응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에틸렌 가스(Ethylene gas)의 검출을 위해 포로팩 N 컬럼(Poropack N column)과 FID(flame ionizing detector)를 장착한 GC를 오븐(oven) 60℃, 인젝터(injector) 180℃ 및 디텍터(detector) 180℃로 고정하고, 이동상으로는 헬륨을 30ml/분의 속도로 컬럼으로 주입하였다. 바이알(Vial)의 에틸렌 가스(ethylene gas) 정량을 위해 헤드-스페이스 법(head-space technique)을 이용하여 바이알 안의 공기를 가스 밀폐된(gas-tight) 주사기로 150 μl 취하여 가스 밀폐된(gas-tight) 주사기로 취하여 인젝터(injector)에 주입하여 실험하였다.

퍼옥실라디칼에 대한 총 옥시라디칼 소거능 {Total oxy-radical scavenging capacity (TOSC) value against peroxyl radiacls}
시 료
(Antioxidant)
농도에 따른 TOSC 값 특정 TOSC 값 (TOSC/mg)
RGRE 1 농 도 (mg/ml) 0.0125 0.025 0.05 0.1 423±88
TOSC 값 3.69 31.27 38.87 41.3
GFE 1 농 도 (mg/ml) 0.0125 0.025 0.05 0.1 1002±98
TOSC value 10.3 24.8 55.3 58.3
BGFBE 1 농 도
(mM)
0.0125 0.025 0.05 0.1 2134±450
TOSC 값 36.2 49 58.0 61.5
BGFBE 2 농 도
(mg/ml)
0.0125 0.025 0.05 0.1 2279±501
TOSC 값 38.1 56.0 60.0 68.4
글루타치온 (GSH) 농 도
(mg/ml)
0.0125 0.025 0.05 0.1 940±19
TOSC 값 12.4 22.8 47.3 56.4

과산화질염에 대한 총 옥시라디칼 소거능 {Total oxy-radical scavenging capacity (TOSC) value against peroxynitrite}
시 료
(Antioxidant)
농도에 따른 TOSC 특정 TOSC 값 (TOSC/mg)
RGRE 1 농 도
(mg/ml)
0.0125 0.025 0.05 0.1 232±24
TOSC 값 17.0 31.27 38.87 41.3
GFE 1 농 도
(mg/ml)
0.0125 0.025 0.05 0.1 451±211
TOSC 값 17.0 21.4 45.8 44.8
BGFBE 1 농 도
(mM)
0.0125 0.025 0.05 0.1 934±386
TOSC 값 19.4 38.2 41.6 49.6
BGFBE 2 농 도
(mg/ml)
0.0125 0.025 0.05 0.1 1002±227
TOSC 값 21.8 44.8 47.6 52.8
글루타치온 (GSH) 농 도
(mg/ml)
0.0125 0.025 0.05 0.1 347±3
TOSC 값 4.2 8.5 17.4 34.3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6-68199 (신규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신규흑삼 및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및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6-76232 (신규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인삼엽 및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흑삼 및 흑인삼엽 추출물은 0.2mg/ml 농도 이하에서 퍼옥실 라디칼(peroxyl radicals) 및 과산화질산염(peroxynitrite)에 대해 모두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을 보고한 바 있다.
특히, 과산화질산염(peroxynitrite)에 대한 소거능(scavenging)은 흑삼 추출물이 홍삼 추출물에 비하여 약 1.7배의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흑인삼엽 추출물이 홍삼 추출물에 비하여 약 4-5배 높은 활성을 보였다.
본 실험의 결과, 상기 표 2 및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삼꽃봉오리 추출물인 GFE 1은 퍼옥실 라디칼(peroxyl radicals) 및 과산화질산염(peroxynitrite)에 대해 모두 기존에 알려진 홍삼 추출물에 비해서 2배 이상의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 인삼꽃봉오리를 구증구폭 및 고온고압방법에 의해서 증숙한 흑인삼꽃봉오리(BGFBE 1 및 BGFBE 2)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인삼꽃봉오리(GFE 1)에 비해서 2배 이상 강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표 2 및 표 3 참조).
이러한 결과로부터 흑인삼꽃봉오리 추출물(BGFBE 1 및 BGFBE 2)이 사람의 체내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GSH에 비해서도 강한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급성독성실험
대한실험동물센터에서 공급받은 6 주령의 특정병원체부재(specific pathogen-free, 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각 그룹 당 2마리씩의 동물에 상기 실시예 2의 흑인삼꽃봉오리 추출물들(BGFBE 1 및 BGFBE 2)을 1g/㎏의 용량으로 1회 경구투여 하였다. 실험 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및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강장기와 흉강 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실험결과, 실험 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이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및 부검 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본 발명의 추출물은 랫트에서 각각 1g/㎏까지도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경구투여 최소치사량(LD50)은 1g/㎏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본 발명의 흑인삼꽃봉오리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친수성 연고제의 제조
원 료 중량%
흑인삼꽃봉오리 추출물 9.00
백색 바세린 36.00
스테아릴 알콜 31.00
에칠(또는 메칠)p-옥시벤조에이트 미량
프로필렌 글리콜 19.00
라우릴 황산 나트륨 2.40
프로필 p-옥시벤조에이트 미량
100.00
제제예 2. 유연화장수( 스킨 )의 제조
원 료 중량%
흑인삼꽃봉오리 추출물 2.0
1,3-부틸렌글리콜 2.00
글리세린 3.00
올레일알코올 2.00
폴리솔베이트 20 1.00
에탄올 6.00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100.00
제제예 3. 밀크로션의 제조
원 료 중량%
흑인삼꽃봉오리 추출물 5.0
1,3-부틸렌글리콜 4.00
글리세린 3.00
올레일알코올 0.05
폴리솔베이트 20 1.00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100.00
제제예 4. 영양 크림의 제조
원 료 중량%
흑인삼꽃봉오리 추출물 2.0
바세린 5.00
유동파라핀 30.00
밀납 3.00
폴리솔베이트 60 1.0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0
1,3-부틸렌글리콜 5.00
글리세린 5.00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100.00
제제예 5. 맛사지 크림의 제조
원 료 중량%
흑인삼꽃봉오리 추출물 7.0
글리세린 5.00
트리에탄올아민 0.5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1.00
유동파라핀 5.00
스쿠알란 5.00
마카다미아너트 오일 15.00
폴리솔베이트 60 1.0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0
카르복실비닐포리머 0.20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100.0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인삼꽃봉오리를 이용하여 흑인삼꽃봉오리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흑인삼꽃봉오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 으로, 본 조성물은 강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므로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3 내지 6년근 인삼의 꽃봉오리를 세척 후, 35 내지 55℃의 온도에서 20 내지 28시간 건조하는 1차 건조공정; 증숙기에 넣어 85 내지 105℃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동안 증숙하는 1차 증숙공정;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9 내지 15시간 동안 건조히는 2차 건조공정; 상기 1차 증숙단계와 2차 건조단계를 9회 반복하는 증숙 및 건조단계; 또는 3 내지 6년근 인삼의 꽃봉오리를 세척 후, 35 내지 55℃의 온도에서 20 내지 28시간 건조하는 1차 건조공정; 110 내지 145℃의 온도에서 4 내지 7시간 동안 증숙하는 1차 증숙공정;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10 내지 14시간 동안 건조하는 2차 건조공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이 14% 이하인 흑인삼꽃봉오리를 수득하고; 이를 분쇄하여 흑인삼꽃봉오리 질량의 4 내지 6배의 물을 가하여 3 내지 7시간동안 방치하고,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얻어진 흑인삼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미 또는 주근깨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113816A 2006-11-17 2006-11-17 흑삼꽃봉오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082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816A KR101082277B1 (ko) 2006-11-17 2006-11-17 흑삼꽃봉오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816A KR101082277B1 (ko) 2006-11-17 2006-11-17 흑삼꽃봉오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959A KR20080044959A (ko) 2008-05-22
KR101082277B1 true KR101082277B1 (ko) 2011-11-09

Family

ID=39662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816A KR101082277B1 (ko) 2006-11-17 2006-11-17 흑삼꽃봉오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22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629A (ko) 2017-04-11 2018-10-19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1212A2 (ko) * 2008-06-13 2009-12-17 (주)아모레퍼시픽 인삼꽃 또는 인삼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3479538B (zh) 2008-06-13 2015-11-18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含有人参的花或人参的种子提取物的皮肤外用剂组合物
KR101601022B1 (ko) * 2008-11-26 2016-03-08 (주)아모레퍼시픽 인삼꽃 정유를 함유하는 피부용 외용제 조성물
JP2010155787A (ja) * 2008-12-26 2010-07-15 Maruzen Pharmaceut Co Ltd 抗炎症剤、抗老化剤、抗肥満剤、及び育毛剤、並びに、化粧料、及び美容用飲食品
KR102287389B1 (ko) * 2019-07-06 2021-08-06 재단법인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인삼 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249B1 (ko) 2006-08-11 2008-11-11 박용진 신규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인삼엽 및 이의 추출물을함유하는 항노화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249B1 (ko) 2006-08-11 2008-11-11 박용진 신규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인삼엽 및 이의 추출물을함유하는 항노화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olecular and Cellular Biochemistry Vol.203:1-10 (200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629A (ko) 2017-04-11 2018-10-19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959A (ko) 200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944B1 (ko) 해죽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4367A (ko) 금화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82277B1 (ko) 흑삼꽃봉오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0776346B1 (ko) 한련초, 숙지황, 하수오 및 반하 혼합 생약 추출물을함유하는 항비듬, 항염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0708236B1 (ko) 피부 수렴효과를 갖는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127279B1 (ko) 신규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인삼엽 및 이의 추출물을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0696294B1 (ko)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녹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0844990B1 (ko) 신규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신규흑삼 및 이의 추출물을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090097483A (ko) 독성을 경감시킨 반묘 함유 복합 생약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의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100865071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070041927A (ko) 항산화, 항암,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도화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KR100888753B1 (ko)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535875B1 (ko)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110067529A (ko) 신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71924B1 (ko) 개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러지 완화용 피부 외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58379B1 (ko)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이용하여 주름조개풀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0713030B1 (ko) 항균활성을 갖는 작두콩 추출물의 정제방법
KR10082983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210063048A (ko) 아롱 부챗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의학적 조성물
KR20210123548A (ko)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조성물
KR102213858B1 (ko) 익모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815873B1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가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28984A (ko)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JP2022124741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