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529B1 - 항알러지 활성을 나타내는 왕겨초 증류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알러지 활성을 나타내는 왕겨초 증류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529B1
KR100931529B1 KR1020080092196A KR20080092196A KR100931529B1 KR 100931529 B1 KR100931529 B1 KR 100931529B1 KR 1020080092196 A KR1020080092196 A KR 1020080092196A KR 20080092196 A KR20080092196 A KR 20080092196A KR 100931529 B1 KR100931529 B1 KR 100931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illate
acid
lotion
dwc
cha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용교
이일규
김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Priority to KR1020080092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왕겨 증류액인 왕겨초 증류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왕겨초 증류액은 DNCB(Dinitrochlorobenzene)에 의해 유발된 접촉성 피부염 알러지 질환 동물모델에서 알러지 반응의 주된 항체인 IgE의 생성을 환부조직에서 억제하고, 간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며, 알러지 유발로 인한 상피, 진피 및 피부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킴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조성물은 항알러지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왕겨초 증류액, DNCB(Dinitrochlorobenzene), 항알러지, 접촉성 피부염,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항알러지 활성을 나타내는 왕겨초 증류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distillate of rice husk showing anti-allergy activities}
본 발명은 항알러지 활성을 나타내는 왕겨초 증류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최병휘 외4, 알레르기, 4, pp2-48, 2001
[문헌 2] Wuthrich B., Int . Arch . Allergy Appl . immunol ., 90, pp3-10, 1989
[문헌 3] Miller JS. et al, Curr . Opin . Immunol ., 1, pp637-642, 1989
[문헌 4] Nakagawa et al., J. Invest . Dermatol ., 57, pp369-377, 1971
[문헌 5] Oka et al., Dermatologica., 172, pp12-17, 1986
[문헌 6] Friedmann, Adv . Dermatol ., 5, pp175-195, 1990
[문헌 7] Upadhye and Maibach, Contact Dermatitis, 27, pp281-286, 1992
[문헌 8] Bronaugh et al., Food Chem Toxicol ., 32, pp113-117, 1994
[문헌 9] Kolde, Exp . Dermatol ., 3, pp269-275, 1994
[문헌 10] Jet et al., Vet Pathol ., 36, pp42-50, 1999
[문헌 11] 최병휘 외4, 알레르기, 4, pp2-48, 2001
[문헌 12] 한국보건공정서연구회, 2004년 고시
[문헌 13] 강대갑, 농산물활용 신기능 천연물 소재탐색 및 이용기술, 벼의 규소체를 이용한 세라믹 원료 및 공업재료 개발, 한국원자력연구소
[문헌 14] Pokharel et al.,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 5, pp173-180, 2008
[문헌 15] Yamazaki et al., Ind Health., 43, pp308-319, 2005
[문헌 16] Arts et al., Food Chem . Toxicol., 34, pp55-62, 1996
[문헌 17] Lee et al., J. Toxicol . Pub . Health., 22, pp117-126, 2006
[문헌 18] Lee et al., Lab . Anim . Res ., 521, pp299-305, 2005
[문헌 19] Shiohara et al., J. Dermatol . Sci ,. 36, pp1-9, 2004
알러지(Allergy)란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면역기능에 이상이 있어 무해한 항원, 즉 알레르겐(allergen)이라 불리는 외부 물질과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하는 과민한 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에 대한 질환으로는 과민증(anaphylaxis), 알러지성 비염(allergic rhinitis), 천식(asthma),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곤충 알러지, 식품 알러지, 약품 알러지 및 두드러기(urticaria)등이 있다(최병휘 외4, 알레르기, 4, pp2-48, 2001; Wuthrich B., Int. Arch. Allergy Appl. immunol ., 90, pp3-10, 1989).
알러지(Allergy)가 발생하는 데에는 유전학적 소인, 환경적 요인, 약리학적 이상, 면역학적 요인 등과 같이 여러 가지 인자간의 상호작용이 관여하게 되며, 이러한 생체의 면역기능 중 과민반응(hypersensitivity reaction)은 4가지의 유형으로 구분된다. 제1형 과민반응은 알레르겐(allergen)의 반복노출에 따라 과잉으로 생성된 IgE(immunoglobulin E)가 비만세포(mast cell)에 결합함으로써 일어나는 현상으로 히스타민(histamin) 등을 함유한 과립이 유리되면서 전신성 아나필락틱 쇼크(anaphylatic shock) 또는 국소성 가려움증 및 염증을 일으키게 되는데 대표적인 질환으로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과 천식(asthma)을 들 수 있다. 제2형 과민반응은 항체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의 정상세포에 결합함에 따라 Null (K) cells 등이 세포를 파괴함으로서 혈구감소증을 유발하는 현상으로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에 의한 용혈성 빈혈(hemolytic anemia), 아미노피린 (aminopyrine)에 의한 백혈구 감소(leukopenia), 퀴니딘(quinidine)에 의한 혈소판 감소(thrombocytopenia) 등이 대표적이다. 제3형 과민반응은 항원-항체 복합체가 조직 중에 집착함으로서 PMN(polymorphonuclear) cells이 조직을 손상시키는 질환으로, 전신성홍반성루푸스(systemic lupuserythomatosis)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제4형 과민반응은 지연형 과민반응으로, 감작된 T cells이 기억 세포(memory cells)로 분화하여 이후에 재감작 될 때 피부염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접촉성 피부염(contact dermatitis)이라고 하며, 넓은 의미로는 접촉성 과민반응(contact hypersensitivity)의 범주에 속해 있다 (Miller JS. et al, Curr . Opin . Immunol ., 1, pp637-642, 1989).
접촉성 피부염은 외부 물질과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염으로 습진의 일종이다. 접촉성 피부염은 발생하는 기전에 따라 자극성 접촉 피부염과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이 있으며, 한 가지 물질이 이러한 두 가지 반응을 동시에 일으킬 수 있다.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은‘특정’물질에 알레르기 체질을 가진(감작된) 경우에 그 원인 물질과 접촉했을 때 나타나는 증상으로, 어떤 특정 물질에 접촉하였을 때 감작된 반응이 일어나는 경우, 그 물질에 재접촉시 피부염이 발생하는 것을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감작은 한번의 노출로도 일어나 피부염이 발생하기도 하지만, 대체로 수개월 이상 장기간 피부에 노출되어야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사람의 경우는 대체로 감작된 물질에 재노출 후 12시간에서 72시간 정도에 나타나는 피부반응으로 대체로 그 원인 물질을 찾아내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은 생활 주변에 사용하는 물질들에 함유되어 있는 다양한 유기화합물, 금속들, 옻나무 등의 식물, 부제, 화장품, 향료, 합성 수지 등 다양하다. 이 중 가장 흔하게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은 금속이며, 이러한 금속 알레르기의 원인은 대부분 니켈로, 니켈에 의한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은 인구의 7~10%가 가지고 있다. 또한 염색약이나 고무에 의한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도 흔히 발생하며, 옻나무에 의한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도 흔히 발생한다.
접촉성 피부염의 또 다른 자극성 접촉 피부염은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과는 달리 일정한 농도의 자극을 주면 모든 경우에 피부염을 일으키는 원인 물질에 의해 발생되는 피부염이다, 즉, 일정한 농도 이상의 자극제로 자극을 받으면 모든 사람에게서 발생될 수 있다. 자극제의 자극 정도가 큰 경우에는 한두 번의 접촉으로도 화학물질에 의해 화상을 입거나 피부에 붉은 반점이 생기고 붓고 물집이 생길 수 있으며, 약한 자극 물질에 의해 반복해서 계속적으로 피부가 자극을 받을 경우에는 가렵고 피부각질이 두꺼워지게 된다. 따라서, 발생 빈도가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에 비해 훨씬 높은 편이다.
자극성 접촉 피부염의 원인은 강산, 강알칼리, 물세제, 만성적으로 방출되는 진물, 기저귀, 직업적으로 사용하는 물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원인에 따른 피부발진의 유형을 보면, 강산이나 강알칼리와 접촉 발생하는 화학적 화상, 주부나 식당과 같은 곳에서 일하는 종업원의 경우 물, 세제, 비누 등에 반복해서 장기간 접 촉되어 흔히 생기는 주부 습진, 기저귀를 차는 어린이의 사타구니에 습기와 마찰에 의해 유발되는 기저귀 피부염, 각종 사업장에서 화학물질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직업성 피부염 등이 자극성 접촉 피부염에 속한다.
접촉성 피부염은 접촉 물질에 따라서는 일광 접촉성 피부염, 수은 접촉성 피부염 또는 금속 접촉성 피부연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식물성으로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키는 물질은 와루시 오일(망고에서 추출됨), 알로에, 키위, 샐러리, 레몬 등이 있으나 봄철에는 산행 후 옻에 접촉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식품에 의한 접촉성 피부염은 접촉 부위에 수포를 동반하는 홍반성 병변이 일자로 관찰되는 것이 특징이다.
금속 접촉성 피부염은 시계나 장식품 등의 도금이 땀에 의해 용출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섬유 염색제의 재료로 사용되는 금속이나 고무의 가류에 사용되는 금속 또는 시멘트에 혼합되는 금속인 니켈크롬 등과 해독제로 사용되는 유기 수은, 태메오살, 가죽 가동에 사용되는 중크롬산 칼리 등이 포함된다.
DNCB (Dinitrochlorobenzene)는 지연형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물질로 DNCB의 반복 노출시 CD4+ 및 CD8+ T 세포 매개성 염증세포의 침윤에 의한 피부 부종과 피부 조직의 비후가 초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DNCB 유발 접촉성 피부염 동물모델은 현재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동물 모델 중 하나이다 (Nakagawa et al., J. Invest . Dermatol ., 57, pp369-377, 1971; Oka et al., Dermatologica., 172, pp12-17, 1986; Friedmann, Adv Dermatol ., 5, pp175-195, 1990; Upadhye and Maibach, Contact Dermatitis, 27, pp281-286, 1992; Bronaugh et al., Food Chem . Toxicol ., 32, pp113-117, 1994; Kolde, Exp . Dermatol ., 3, pp269-275, 1994). 조직학적으로 현저한 염증세포 침윤을 동반한 피부 조직의 비후가 관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et et al., Vet . Pathol ., 36, pp42-50, 1999).
알레르겐이 IgE에 의해 인식되면 랑겔한스세포 (Langerhans cell) 표면 IgE부착 Fc수용체에 유착되어 T림프구에 항원을 전달함으로써 T림프구가 활성화되게 된다. 이때 자가펩타이드나 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의 초항원(superantigen)에 의해서도 T림프구가 활성화될 수 있다. 다른 피부질환과 달리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병변에 침윤되는 염증세포는 주로 Th2세포로서 IL-4, IL-5 등의 사이토카인을 생성하여 혈중 IgE의 상승을 촉진하고 호산구의 증가를 유도하며, cAMP 포스포디에스터라아제(phosphodiesterase)가 상승되어 있는 아토피 피부염의 비정상적인 단구에 의해 프로스타글란딘(PGE)의 생성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Th1 림프구의 침윤이 억제된다. 또한 Th1 림프구는 아토피 피부염에서 쉽게 활성화되는 비장세포로부터 유리된 TNF(tumor necrosis factor)에 의해서도 억제된다. 결국 아토피 피부염에서 Th1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매개성 면역의 저하를 초래한다. 각종 사이토카인(cytokines)은 혈관 내피세포를 활성화하여 여러 세포유착분자의 발현을 유도하거나 증가시켜 기억 T림프구의 복귀를 촉진시킴으로서 습진성 병변을 유발한다(최병휘 외4, 알레르기, 4, pp2-48, 2001).
최근 도시인들은 생활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집안의 카펫에서 서식하는 진드기, 습도 저하에 따라 증가하는 먼지, 애완견의 털, 꽃가루, 새로운 과일 및 음식 등 다양한 알레르겐(allergens)에 노출될 기회가 점차 커지고 있다. 이중 제1형 과민반응인 천식과 아토피 피부염은 최근 크게 증가하여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많은 연구자들이 천연물로부터 면역과민반응을 완화시켜 줄 수 있는 물질의 탐색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또한, 천연물로부터의 새로운 기능성 물질의 탐색은 기능성식품 및 기능성화장품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기준과 허가절차에 대한 식품의약품안전청의 고시가 제정되면서 가속화되고 있으며(한국보건공정서연구회, 2004년 고시), 이러한 사회적 현상을 반영하여 최근 고도의 산업화 사회에서 천연물의 과학화를 통한 보다 효과적인 신약의 개발은 국가경쟁력 확보에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됨에 따라 다양한 천연물 유래 생약이 기존의 질병치료나 보약으로써의 한방처방에서 벗어나 각종 식품 감미료, 향료, 건강기능성 식품, 기능성 화장품, 천연 살충제 등의 원료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 체계적인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왕겨는 벼의 껍질로, 쌀 가공과정에서 생겨나는 가장 많은 양의 부산물로서 벼 중량의 20%를 차지한다. 국내 왕겨 생산량은 ‘07년 벼 총생산량인 5,961,693톤을 기준할 때, 약 20% 정도인 연간 약 120만톤의 왕겨가 생산이 되고 있다. 종래에는 소규모 미곡가공공장에서 생산되어 활용방법에 제한을 받았으나 현재는 대규모 도정공장이 2010년까지 설치될 계획으로 미곡 부산물 왕겨는 미곡 주산단지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생산이 된다. 이러한 왕겨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왕겨는 에너지원으로서 적당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현재 폐기물로 분류되 고 있다. 왕겨는 내외피가 규소로 치밀하게 피복되어 있으므로 부식이나 소화 효율이 낮기 때문에 퇴비나 가축의 사료로도 부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왕겨의 주요 구성성분은 가용 탄수화물이 27~30%, 조섬유질 35~46%, 조회분 13~21%, 조단백 2~3% 그리고 조지방 0.3~0.8% 들어 있으며, 조회분의 주성분은 규소로 알려져 있다(강대갑, 농산물활용 신기능 천연물 소재탐색 및 이용기술, 벼의 규소체를 이용한 세라믹 원료 및 공업재료 개발, 한국원자력연구소).
상기와 같은 특징을 지닌 왕겨는 현대에 들어서면서 왕겨는 쓰임새도 없고 마땅한 처리방법도 없어 폐기물로 분류되어 있어, 왕겨의 합리적인 이용 및 폐기물을 이용하여 가치 있는 것으로 만드는 것이 중대한 일 중의 하나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 왕겨를 재료로 하여 왕겨초 증류액을 제조한 후에 이 왕겨초 증류액이 DNCB에 의해 유발되는 접촉성 피부염 알러지 질환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환부조직에서 알레르기 반응의 주된 항체인 IgE의 생성을 억제하고, 진피, 상피 및 피부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킴을 확인함으로써, 항알러지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알러지 활성을 나타내는 왕겨초 증류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왕겨초 증류액은 탄화기(DCH-600, 대원GSI)를 사용하여 제조한 것으로, 왕겨초 증류액은 탄화기(DCH-600, 대원GSI)를 사용하여 제조한 것 으로, 왕겨를 200℃ ~ 800℃, 바람직하게는 300℃ ~ 600℃에서, 10분 내지 200분, 바람직하게는 40분 내지 120분 동안 탄화 처리하는 제 1단계; 상기 탄화 처리 중에 배출되는 연기를 응축시켜 조왕겨초 증류액을 얻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의 조왕겨초 증류액을 감압하여 20℃ ~ 90℃, 바람직하게는 40℃ ~ 70℃의 저온에서 증류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왕겨초 증류액을 수득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왕겨초 증류액의 유기물질 조성은 보통 페놀성분 분획이 20 ~ 80%, 바람직하게는 40 ~ 70%, 산성성분 분획이 5 ~ 45%, 바람직하게는 15 ~ 35%, 염기성 분획이 0.01 ~ 20%, 바람직하게는 0.5 ~ 10%, 중성성분 분획이 1 ~ 40%, 바람직하게는 10 ~ 30%의 범위로서, 상기의 유기물질 조성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왕겨초 증류액은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왕겨초 증류액은 탄화기(DCH-600, 대원GSI)를 사용하여 제조한 것으로, 왕겨를 200℃ ~ 800℃, 바람직하게는 300℃ ~ 600℃에서, 10분 내지 200분, 바람직하게는 40분 내지 120분 동안 탄화 처리하는 제 1단계; 상기 탄화 처리 중에 배출되는 연기를 응축시켜 조왕겨초 증류액을 얻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의 조왕겨초 증류액을 감압하여 20℃ ~ 90℃, 바람직하게는 40℃ ~ 70℃의 저온에서 증류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왕겨초 증류액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왕겨초 증류액의 항알러지 활성 효과가 탁월하여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001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7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왕겨초 증류액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의 항알러지 효과를 위한 화장품, 세안제 및 샴푸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들어, 각종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 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 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 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 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 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 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 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 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탈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 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중량%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왕겨초 증류액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왕겨초 증류액은 DCNB에 의해 유발된 접촉성 피부염 알러지 질환 동물모델의 환부조직에서 알러지 반응의 주된 항체인 IgE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이고, DNCB에 의해 증가된 상피 및 진피, 피부 전체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서, 항알러지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참고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참고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왕겨초 증류액의 제조
선산 미곡종합처리장(RPC)으로부터 제공받은 왕겨 400kg을 탄화기(DCH-600, 대원GSI)를 사용하여 직화식 탄화법에 의하여 왕겨초 증류액을 수득한 것으로, 왕겨를 300℃ ~ 600℃에서, 40분 내지 120분 동안 탄화 처리하는 제 1단계; 상기 탄화처리 중에 배출되는 연기를 응축시켜 조왕겨초 증류액을 얻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의 조왕겨초 증류액(80kg,20%)을 정제를 위해 감압하여 40℃ ~ 70℃의 저온에서 정제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왕겨초 증류액(이하, “DWC"라 함)을 50k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왕겨초 증류액( DWC )의 시료 제조(1)
왕겨초 증류액(DWC)을 식염수를 사용하여 1ml/9ml로 1/10 농도로 희석하여 만든 시료를 "DWC-1"이라 명명하고, 1ml/49ml로 1/50 농도로 희석하여 만든 시료를 “DWC-2”라 명명하고, 1ml/99ml로 1/100 농도로 희석하여 만든 시료를 “DWC-3”이라 명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대조군은 식염수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왕겨초 증류액( DWC )의 시료 제조(2); 제조예( CR )의 제조
왕겨초 증류액(DWC)을 포함하는 제품크림을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왕겨초 증류액을 함유하지 않은 크림인 제조예-1(이하 "CR-1"이라 명명함)과 왕겨초 증류액을 함유한 크림인 제조예-2(이하 "CR-2"이라 명명함)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3-1. CR -1의 제조
순서 원료 함량(g)
1 정제수 적량
2 글리세린 2.0중량부
3 1.3-부틸렌글리콜 2.0중량부
4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3.0중량부
5 β글루칸 2.0중량부
6 디메치콘 1.5중량부
7 레시틴 1.0중량부
8 스쿠알란 20.0중량부
9 스테아릭산 4.0중량부
10 세탄올 3.0중량부
11 항산화제 1.0중량부
1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중량부
13 트리에탄올아민 0.2중량부
14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적량
3-2. CR -2의 제조
순서 원료 함량(g)
1 정제수 적량
2 글리세린 2.0중량부
3 1.3-부틸렌글리콜 2.0중량부
4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3.0중량부
5 β글루칸 2.0중량부
6 디메치콘 1.5중량부
7 레시틴 1.0중량부
8 스쿠알란 20.0중량부
9 스테아릭산 4.0중량부
10 세탄올 3.0중량부
11 항산화제 1.0중량부
1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중량부
13 트리에탄올아민 0.2중량부
14 왕겨초 0.5중량부
15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적량
실시예 4. 왕겨초 증류액의 구성물질 분석결과
왕겨초 증류액은 왕겨를 탄화하여 그 증류액을 수득한 것으로, 이미 목판을 탄화하여 만든 시중 목초액과 동일한 원리로 만들어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왕겨초 증류액(DWC) 및 시중 목초액의 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왕겨초 증류액(DWC)과 시중 목초액의 물질 분석은 GC (HP 5890 Ⅱ,Hewlett-Packard(Calo Alto California U.S.A, 칼럼 (5%-Phenyl) Methylpolysiloxane 코팅, 한국식품연구원) 분석법을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실험결과, 하기 표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왕겨초 증류액과 시판 목초액에서 확인된 성분들의 함량을 비교분석한 결과,
산류로서 11종의 성분이 확인되었으며 양적으로는 아세트 산 (acetic acid), 프로피온 산(propionic acid) 및 이소 부틸르 산(iso-butyric acid)와 같은 휘발성 유기산이 많이 검출되었다. 휘발성 유기산은 목초액 pH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성분들로서 이들의 함량이나 조성비는 시료에 따라 많은 차이를 나타내는데, 시판 목초액의 경우 아세트 산(acetic acid)의 함량이 프로피온 산(propionic acid)의 함량보다 높았으나, 왕겨초 증류액의 경우는 아세트 산(acetic acid)보다는 프로피온 산(propionic acid)의 함량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사용 재료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알데히드 및 케톤류로서는 12개 성분이 확인되었다. 알데히드 및 케톤류 역시 전반적으로 시판 목초액보다는 왕겨초 증류액에서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왕겨초 증류액에서는 간접탄화식보다 직화식 탄화과정에서 얻어지는 왕겨초 증류액에서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퓨란 및 파이란류로서는 13개 성분이 확인되었으며, 이 성분들은 당류나 셀룰로즈(cellulose)를 고온에서 가열할 때 생성되는 대표적인 성분들로서 구수한 냄새와 당취 및 카라멜 냄새를 지니고 있어 식품 첨가제로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성분들이다.
페놀류는 11개 성분이 확인되었으며, 페놀류 역시 시판 목초액보다는 왕겨초 증류액에서 전반적으로 함량이 높았으며, 간접탄화식보다 직화식 탄화에 의해 얻어진 증류액에서 함량이 높았다.
따라서 실험은 왕겨를 직화식 탄화에 의하여 얻어진 왕겨초 증류액을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이 분석 결과로서, 왕겨를 탄화하여 제조한 왕겨초 증류액과 일반 목재를 탄화하여 제조한 목초액을 비교해보면, 그 재료가 다를 뿐 아니라, 유사한 구성성분일지라도 각 성분들의 함량은 차이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제조회사 원료 응축물 수율(%) 비 고
왕겨초 증류액 대원GSI 왕 겨 10.8 직화식탄화응축물
왕 겨 7.5 간접탄화식응축물
목 초 액 A사 참나무 2.52 직화식탄화응축물
목 초 액 B사 참나무 1.90 직화식탄화응축물
목 초 액 C사 소나무 2.70 직화식탄화응축물
화합물 (mg/kg) 왕겨초 증류액 목초액
직화탄화 간접탄화 직화탄화
Acetic acid 2067.4 1300.3 919.3
Propionic acid 2960.8 1852.8 271.3
iso-Butyric acid 1803.3 1031.9 764.1
n-Butyric acid 340.0 220.7 653.6
Benzoic acid 131.8 45.5 6.0
Cyclohexanone 364.2 215.8 126.7
1-Hydroxy-2-propanone 4921.0 2907.7 193.5
2,5-Dimethyl-2-cyclopentenone 22.3 15.4 13.2
2-Cyclopenten-1-one 1782.0 961.9 560.0
2-Methyl-2-cyclopenten-1-one 571.2 312.8 411.9
1-Hydroxy-2-butanone 2509.0 1317.9 469.5
2,3-Dimethyl-2-cyclopenten-1-one 2325.9 1300.1 910.3
3-Methyl-2-cyclopenten-1-one 1475.3 1028.0 1107.0
3-Methyl-2-cyclopenten-1-one 244.2 1351.2 381.7
2,3-Dimethyl-2-cyclopenten-1-one 223.2 106.7 53.1
3,4-Dimethyl-2,5-furandione 1390.1 576.5 30.9
3,4-Dimethylbenzaldehyde 51.85 20.8 -
Dihydropyran-3(4H)-one 147.3 60.1 22.4
2-Furfural 4936.3 3423.8 1475.0
1-(2-Furanyl)ethanone 350.5 129.5 82.4
Dihydro-4,5-dimethyl-2H-pyranone 100.1 51.5 95.9
Dihydro-5-methyl-2(3H)-furanone 1350.7 791.1 499.1
Dihydro-2(3H)-furanone 214.3 152.7 -
Furfuryl alcohol 871.2 197.4 70.3
3-Methyl-2(5H)-furanone 531.5 292.4 118.0
3,5-Dimethylcyclopentenone 214.2 112.5 109.5
2-Hydroxy-3-methylcyclopentenone 4909.2 3249.9 591.8
Ethylcyclopentenone 743.2 395.5 152.8
5-Methyl-2(5H)-furanone 600.2 289.3 139.3
4-Hydroxy-2-methyl-4H-pyran-4-one 30.9 16.05 27.2
2-Methoxyphenol(guaiacol) 4086.3 2699.7 2042.4
2-Methoxy-4-methyl phenol 2072.2 1391.4 1023.7
Phenol 6834.0 4554.3 2687.6
4-Ethyl guaiacol 499.2 349.7 407.9
4-Methyl phenol 1709.7 1169.3 631.7
3-Methyl phenol 803.4 421.9 236.3
3-Ethyl phenol 626.5 261.8 167.6
2,6-Dimethoxy phenol(syringol) 1568.1 560.6 692.2
2,3,6-Trimethyl phenol 373.9 115.7 30.4
2-Methoxy-4-methyl phenol 661.2 226.6 8.1
4-Propyl syringol 352.8 136.2 57.1
Vanillin 340.5 193.7 7.6
Acetovanillone 160.1 74.9 -
2,5-Dimethyl toluene 311.3 180.4 68.1
Naphthalene 338.9 16.7 21.7
3,4-Dimethoxy toluene 189.2 107.0 33.6
1,4-Dimethoxy benzene(veratrole) 127.9 63.8 36.3
2-Acetyl pyrrole 51.5 28.3 -
참고예 1. 실험동물 준비
6주령 된 NC/Nga 마우스와 ICR 마우스를 중앙실험동물(주)에서 공급받아 약 1주간 실험실 순화과정을 거친 후 사용하였다. 마우스용 케이지 (220 x 200 x 145 mm)에 2마리씩 수용하였다. 동물실험실의 환경은 온도 21 ~ 25℃, 상대습도 45 ~ 65%, 환기횟수 12 회/시간, 조명주기 12시간, 조도 150 - 300 lux로 조절되었다. 실험동물용 pellet형 고형사료인 Purina Rat Chow를 Nestle Purina PetCare Korea Ltd. (Seoul, Korea)로부터 공급받아 급여하였으며, 음수는 멸균정제수를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참고예 2. 왕겨초 증류액 시료 처치 및 검체 처리
2.1 왕겨초 증류액 시료( DWC -1, DWC -2, DWC -3) 처치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수득한 왕겨초 증류액 시료(DWC-1, DWC-2, DWC-3)에 의한 알러지 반응 억제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문헌에 따라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Pokharel et al.,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 5, pp173-180, 2008).
참고예 1의 방법으로 사육한 NC/Nga 마우스와 대조군인 ICR 마우스를 제모제(민감성피부용 veet)를 충분히 사용하여 등 부위를 넓게 제모하고 24시간 후 올리브 오일과 아세톤을 3:1로 배합한 용액에 1%의 농도로 조제한 DNCB 150 ul를 취하여 4일 동안 매일 동일한 시간에 도포하여 피부염을 유발하였다. 이후 DNCB는 0.2%로 농도를 조정하여 150 ul 씩 취하여, 왕겨초 증류액(DWC-1, DWC-2, DWC-3) 혹은 식염수(대조군)와 동시에 10주 동안 격일로 동일한 시간에 도포하였다. 10주 후, 실험 24시간 전부터 절식시키고 가벼운 에테르 마취상태에서 복개 후 심장에서 혈액을 채취하고, 간과 피부조직을 적출하여 중량을 측정한 후 냉동 보관하였다. 적출한 피부조직은 중량의 20배의 용액(PBS + 0.1% Tween20)을 넣고 2분 동안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를 사용한 후 원심분리(12,000g, 10분)하여 상등액을 얻었다. 채취한 혈액은 원심분리(3,000g, 20분)하여 혈청을 얻었다.
실험군 처치내용
ICR - 정상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음
ICR - DNCB 처치 DNCB 처치
NC/Nga - 정상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음
NC/Nga - DNCB 처치 DNCB 처치
NC/Nga - 식염수 처치 DNCB 처치+식염수처치
NC/Nga - DWC-1 처치 DNCB 처치+DWC-1처치
NC/Nga - DWC-2 처치 DNCB 처치+DWC-2처치
NC/Nga - DWC-3 처치 DNCB 처치+DWC-3처치
2.2 제조크림( CR -1, CR -2) 처치
상기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제조된 왕겨초 증류액을 함유하지 않은 제조크림(CR-1)과 왕겨초 증류액을 함유한 제조크림(CR-2)에 의한 알러지 반응 억제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상기 참고예 2-1에 기재된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되, 제품크림인 CR-1과 CR-2를 실험동물에 처치하여 수행하였다.
실험군 처치내용
ICR - 정상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음
ICR - DNCB 처치 DNCB 처리
NC/Nga - 정상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음
NC/Nga - DNCB 처치 DNCB 처치
NC/Nga - vehicle 처치 DNCB 처치+vehicle(식염수)처치
NC/Nga - CR-1 처치 DNCB 처치+CR-1처치
NC/Nga - CR-2 처치 DNCB 처치+CR-2처치
참고예 3. 통계학적 분석
각각의 실험결과에 대한 분산의 동질성을 비교하기 위해 Levene's test를 실시하고, 분산이 동질성을 갖는 경우 일원배치분산분석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를 실시하여 유의성이 관찰되면 대조군과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시험군을 알아내기 위해 Dunnett t-test를 실시하여 유의차가 5% 미만 (p<0.05)일 때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실험예 1. Immunoglobulin E 억제효과 측정
상기 참고예 2-1의 방법으로 수득한 피부조직과 혈액으로부터 얻은 각각의 샘플을 Mouse IgE ELISA KIT(ALPHA DIAHNOSTIC, USA)를 사용하여, 혈청 및 피부조직에서 염증반응의 매개자인 IgE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항-마우스 IgE 마이크로 웰 스트립 플에이트에 샘플(sample)을 100ul 넣은 후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4회 세척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항-마우스 IgE-HRP conjugate를 100ul 씩 넣은 후 30분간 방치하고 5회 세척하였다. 100ul TMB 기질을 각각의 웰에 넣은 후 15분 동안 감광시킨 후 100ul의 정지 용액을 넣고 ELISA(Model MCC/340, Huntsvill, AL, USA) 450nm로 측정하였다.
그 실험결과, 도 1 및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환부조직(도 1) 및 혈청(도 2) 모두에서 ICR 마우스에 비해 NC/Nga 마우스에서 유의성 있는 IgE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환부조직(도 1)에서 DNCB 처치에 의해 증가된 IgE가 왕겨초 증류액(DWC-1, DWC-2 및 DWC-3)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하는 염증 완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혈청(도 2)에서는 DNCB 처치에 의해 증가된 IgE에 있어 왕겨초 증류액(DWC-1, DWC-2 및 DWC-3)에 의한 억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예 2. 간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관찰
상기 참고예 2-1로부터 수득된 간의 일부를 샘플링하여 10% 중성포르말린에 고정시킨 다음 탈수 및 파라핀 포매를 실시하고, 3 ~ 4um의 longitudinal 절편을 제작하여 헤마톡실린-에오신(hematoxylin-eosin) 염색을 실시하고, 광학현미경 시야에서 자동영상분석장치(DMI-300 Image Processing; DMI, Korea)를 이용하여 이상 소견을 나타내는 간의 빈도를 군당 관찰하였다.
DNCB의 장기 경구투여에 의해 간의 소엽 중심성 괴사가 유발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Yamazaki et al., Ind . Health., 43, pp308-319, 2005), 국소적인 도포에 의해서는 경미한 간 중량의 증가만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rts et al., Food Chem. Toxicol., 34, pp55-62, 1996).
한편 본원에서는 간 실질세포의 괴사를 동반한 국소성 염증세포 침윤 소견이 정상 NC/Nga 마우스군, DWC-1, DWC-2 및 DWC-3 처치군에서 각각 20.00%, 33.33% 및 16.67% 로 관찰되었으나, 산발적으로 관찰된 이외에 별다른 이상 소견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러한 간 실질세포의 괴사를 동반한 국소성 염증세포 침윤 소견은 정상 마우스에서 드물게 관찰되는 대표적인 우발적 조직소견 중 하나로 알려져 있어 (Lee et al., J. Toxicol Pub . Health., 22, pp117-126, 2006; Lee et al., Lab Anim Res ., 521, pp299-305, 2005), 간에서 DNCB의 도포에 의해 조직병리학적 변화는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왕겨초 증류액(DWC)의 처치에 의해서도 간 독성은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도 3 및 표 5 참조)
실험군 간의 조직병리학적인 변화 관찰
정상 염증세포의 침윤
ICR-정상 3/3 (100.00%) 0/3 (0.00%)
ICR-DNCB 3/3 (100.00%) 0/3 (0.00%)
NC/Nga-정상 4/5 (80.00%) 1/5 (20.00%)
NC/Nga-DNCB 5/5 (100.00%) 0/5 (0.00%)
NC/Nga-식염수 4/6 (100.00%) 0/5 (0.00%)
NC/Nga DWC-1 5/6 (83.33%) 2/6 (33.33%)
NC/Nga DWC-2 5/6 (83.33%) 1/6 (16.67%)
NC/Nga DWC-3 6/6 (100.00%) 0/6 (0.00%)
실험예 3. 피부조직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관찰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수득한 왕겨초 증류액(DWC-1, DWC-2, DWC-3)을 처치한 실험동물로부터 참고예 2-1의 방법으로 얻은 피부조직의 일부를 샘플링하여 10% 중성포르말린에 고정시킨 다음 탈수 및 파라핀 포매를 실시하고, 3 ~ 4um의 longitudinal 절편을 제작하여 헤마톡실린-에오신(hematoxylin-eosin) 염색을 실시하고, 상피에서 진피에 이르는 피부 전체의 두께, 피부 중 상피(Epidermis) 및 진피(Dermis)의 두께(um)를 100배 현미경 시야에서 자동영상분석장치(DMI-300 Image Processing; DMI, Korea)를 이용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DNCB는 지연형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물질로 본 실험에서는 염증세포의 침윤은 비교적 약하게 일어난 반면 현저한 상피층 (epidermis)의 비후로 인한 피부 두께의 증가를 보였다.
한편 NC/Nga 마우스는 자발적인 피부염 유발 동물로 잘 알려져 있으며 (Shiohara et al., J. Dermatol . Sci ., 36, pp1-9, 2004), 본 결과에서도 정상 NC/Nga 마우스의 피부 상피 두께가 ICR 마우스에 비해 증가된 상태로 관찰되었으며, DNCB 처치에 의해 동일 주령의 ICR 마우스에 비해 더 현저한 피부 두께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ICR 마우스는 DNCB 처치에 의해 상피, 진피 및 피부 전체 두께가 각각 88.12, 12.78 및 23.74% 증가된 반면, NC/Nga 마우스에서는 각각 289.19, 47.96 및 31.24%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로서, 대조군 처치는 DNCB 유발 접촉성 피부염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DWC-1 처치가 대조군 처치군에 비해 상피, 진피 및 피부 전체 두께가 각각 -43.65, -22.17 및 -19.07%의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DWC-2 처치에 의해 각각 -50.55, -25.91 및 -20.40%의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DWC-3 처치에 의해 각각 -55.99, -25.59 및 -23.29%의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도 4, 표 6 참조). 따라서 왕겨초 증류액의 DWC-1, DWC-2, DWC-3에서 모두 DNCB에 의해 유발된 접촉성 피부염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군 두께
상피 진피 총 피부
ICR-정상 43.98 ± 6.15 1034.09 ± 145.33 1130.88 ± 119.57
ICR-DNCB 82.74 ± 4.45A 1166.23 ± 111.20 1399.33 ± 185.85
NC/Nga-정상 67.41 ± 13.42A 829.83 ± 279.84 1095.06 ± 158.22
NC/Nga-DNCB 262.31 ± 90.32BC 1227.78 ± 223.34C 1473.18 ± 80.55C
NC/Nga-식염수 251.67 ± 49.92C 1331.15 ± 313.87C 1468.85 ± 290.27C
NC/Nga DWC-1 141.81 ± 48.75DE 1036.09 ± 256.89F 1188.70 ± 285.57F
NC/Nga DWC-2 124.45 ± 40.61DE 986.21 ± 223.28E 1169.21 ± 231.63F
NC/Nga DWC-3 110.77 ± 35.92DE 990.46 ± 129.79E 1126.83 ± 138.28E
A:ICR-정상과 비교하여 p<0.05; B:ICR-DNCB과 비교하여 p<0.05; C:NC/Nga-정상과 비교하여 p<0.01; D:NC/Nga-정상과 비교하여 p<0.05; E:NC/Nga-식염수와 비교하여 p<0.01; F:NC/Nga-식염수와 비교하여 p<0.05.
실험예 4. CR -1, CR -2의 Immunoglobulin E 억제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제조된 왕겨초 증류액을 함유하지 않은 제품크림(CR-1)과 왕겨초 증류액을 함유한 제조크림(CR-2)을 처치한 실험동물로부터 상기 참고예 2-2의 방법으로 수득한 피부조직과 혈액에서 염증반응의 매개자인 IgE를 Mouse IgE ELISA KIT(ALPHA DIAHNOSTIC,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항-마우스 IgE 마이크로 웰 스트립 플에이트에 샘플(sample)을 100ul 넣은 후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4회 세척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항-마우스 IgE-HRP conjugate를 100ul 씩 넣은 후 30분간 방치하고 5회 세척하였다. 100ul TMB 기질을 각각의 웰에 넣은 후 15분 동안 감광시킨 후 100ul의 정지 용액을 넣고 ELISA(Model MCC/340, Huntsvill, AL, USA) 450nm로 측정하였다.
그 실험결과, 도 5 및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환부조직(도 5) 및 혈청(도 6) 모두에서 ICR 마우스에 비해 NC/Nga 마우스에서 유의성 있는 IgE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혈청(도 6)과 환부조직(도 5)에서 DNCB에 의해 증가된 IgE가 제품크림(CR-1, CR-2) 처치에 의한 유의한 감소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예 5. 간에서 CR -1, CR -2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관찰
상기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제조된 왕겨초 증류액을 함유하지 않은 제품크림(CR-1)과 왕겨초 증류액을 함유한 제조크림(CR-2)을 참고예 2-2의 방법으로 처치한 실험동물의 간의 일부를 샘플링하여 10% 중성포르말린에 고정시킨 다음 탈수 및 파라핀 포매를 실시하고, 3 ~ 4um의 longitudinal 절편을 제작하여 헤마톡실린-에오신(hematoxylin-eosin) 염색을 실시하고, 광학현미경 시야에서 자동영상분석장치(DMI-300 Image Processing; DMI, Korea)를 이용하여 이상 소견을 나타내는 간의 빈도를 군당 관찰하였다.
본원에서는 간 실질세포의 괴사를 동반한 국소성 염증세포 침윤 소견이 정상 NC/Nga 마우스군, 제품크림-1(CR-1) 및 제품크림-2(CR-2) 군에서 각각 20.00% 또는 16.67% 로 관찰되었으나, 산발적으로 관찰된 이외에 별다른 이상 소견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러한 국소성 염증세포 침윤 소견은 정상 마우스에서 드물게 관찰되는 우발적 소견 중 하나로 알려져 있어(Lee et al., J. Toxicol . Pub . Health., 22, pp117-126, 2006; Lee et al., Lab . Anim . Res ., 521, pp299-305, 2005), DNCB의 도포에 의해 간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는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CR-1, CR-2 처치에 의해서도 간 독성은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도 7 및 표 7 참조)
실험군 간의 조직병리학적인 변화 관찰
정상 염증세포의 침윤
ICR-정상 3/3 (100.00%) 0/3 (0.00%)
ICR-DNCB 3/3 (100.00%) 0/3 (0.00%)
NC/Nga-정상 4/5 (80.00%) 1/5 (20.00%)
NC/Nga-DNCB 5/5 (100.00%) 0/5 (0.00%)
NC/Nga-식염수 5/5 (100.00%) 0/5 (0.00%)
NC/Nga CR-1 4/5 (80.00%) 1/5 (33.33%)
NC/Nga CR-2 5/6 (83.33%) 1/6 (0.00%)
실험예 6. 피부조직에서 CR -1, CR -2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관찰
상기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제조된 왕겨초 증류액을 함유하지 않은 제품크림(CR-1)과 왕겨초 증류액을 함유한 제조크림(CR-2)을 처치한 실험동물로부터 상기 참고예 2-2의 방법으로 수득한 피부조직의 일부를 샘플링하여 10% 중성포르말린에 고정시킨 다음 탈수 및 파라핀 포매를 실시하고, 3 ~ 4um의 longitudinal 절편을 제작하여 헤마톡실린-에오신(hematoxylin-eosin) 염색을 실시하고, 상피에서 진피에 이르는 피부 전체의 두께, 피부 중 상피(Epidermis) 및 진피(Dermis)의 두께(um)를 100배 현미경 시야에서 자동영상분석장치(DMI-300 Image Processing; DMI, Korea)를 이용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DNCB는 지연형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물질로 본 실험에서는 염증세포의 침윤은 비교적 약하게 일어난 반면 현저한 상피층 (epidermis)의 비후로 인한 피부 두께의 증가를 나타냈다.
한편 NC/Nga 마우스는 자발적인 피부염 유발 동물로 잘 알려져 있으며 (Shiohara et al., J. Dermatol . Sci., 36, pp1-9, 2004), 본 실험에서도 정상 NC/Nga 마우스의 피부상피 두께가 ICR 마우스에 비해 증가된 상태로 관찰되었으며, DNCB 처리에 의해 동일 주령의 ICR 마우스에 비해 더 현저한 피부 두께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ICR 마우스는 DNCB 처치에 의해 상피, 진피 및 피부 전체 두께가 각각 88.12, 12.78 및 23.74% 증가된 반면, NC/Nga 마우스에서는 각각 289.19, 47.96 및 31.24%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대조군 처치는 DNCB 유발 접촉성 피부염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CR-1 처치가 대조군 처치에 비해 상피, 진피 및 피부 전체 두께가 각각 -53.00, -18.39 및 -13.66%의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CR-2 처치에 의해 각각 -58.13, -23.99 및 -18.19%의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도 8, 표 8 참조). 따라서 왕겨초 증류액을 함유한 제조크림인 CR-2가 DNCB 유발 접촉성 피부염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군 두께
상피 진피 총 피부
ICR-정상 (3) 43.98 ± 6.15 1034.09 ± 145.33 1130.88 ± 119.57
ICR-DNCB (3) 82.74 ± 4.45A 1166.23 ± 111.20 1399.33 ± 185.85
NC/Nga-정상 (5) 67.41 ± 13.42A 829.83 ± 279.84 1095.06 ± 158.22
NC/Nga-DNCB (5) 262.31 ± 90.32BC 1227.78 ± 223.34C 1473.18 ± 80.55C
NC/Nga-식염수 (5) 251.67 ± 49.92C 1331.15 ± 313.87C 1468.85 ± 290.27C
NC/Nga CR-1 (5) 118.28 ± 21.03CD 1086.41 ± 202.51 1268.26 ± 242.76
NC/Nga CR-2 (6) 105.38 ± 14.17CD 1011.82 ± 226.25E 1201.73 ± 194.74E
A:ICR-정상과 비교하여 p<0.05; B:ICR-DNCB과 비교하여 p<0.05; C:NC/Nga-정상과 비교하여 p<0.01; D:NC/Nga-정상과 비교하여 p<0.05; E:NC/Nga-식염수와 비교하여 p<0.01.
이러한 결과로 보아 왕겨초 증류액(DWC)을 함유하는 시료(DWC-1, DWC-2, DWC-3) 및 제조크림(CR-2)이 알러지 반응의 주된 항체인 IgE의 생성을 환부조직에서 억제하고, 간의 조직병리학적인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며, 알러지 유발로 인한 상피, 진피 및 피부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상기의 왕겨초 증류액(DWC)이 알러지 치료제 및 예방물질로서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형예로서 크림, 맛사지크림, 로션, 스킨로션, 에센스, 팩, 클렌징폼의 제형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크림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번호 원료명 중량 %
1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1.0
2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0
3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5
4 마이크로 스탈린 납 2.0
5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6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7 밀납 2.0
8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2.0
9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 1.0
10 트리 (카프릴, 카프린산) 글리세린 5.0
11 액상 리놀린 5.0
12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8.0
13 스쿠알란 8.0
14 농글리세린 5.0
15 1,3-부틸렌글리콜 5.0
16 알란토인 0.1
17 왕겨초 증류액(DWC-3) 10.0
18 향료 미량
19 황색4호 미량
20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맛사지크림 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용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번호 원료명 중량 %
1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2.0
2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5
3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5
4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5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6 바셀린 3.5
7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3.5
8 세스퀴올레인산 소르비탄 1.8
9 유동 파라핀 35.0
10 트리 (카프릴, 카프린산) 글리세린 3.0
11 옥틸도데칸올 5.0
12 스쿠알렌 2.0
13 농글리세린 5.0
14 왕겨초 증류액(DWC-3) 5.0
15 히아루로닉애씨드추출물 1.0
16 향료 미량
17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로션 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혼합 유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번호 원료명 중량 %
1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2.0
2 스테아린산 1.0
3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0
4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0
5 바셀린 1.0
6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1.5
7 세스퀴올레인산 소르비탄 1.0
8 유동 파라핀 5.0
9 스쿠알렌 5.0
10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2
11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12 농글리세린 5.0
13 왕겨초 증류액(DWC-3) 15.0
14 트리에탄올아민 0.5
1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6 향료 미량
17 정제수 잔량
제형예 4. 스킨로션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번호 원료명 중량 %
1 글리세린 2.0
2 1,3-부틸렌글리콜 2.0
3 구연산 0.01
4 에탄올 15.0
5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6 왕겨초 증류액(DWC-3) 25.0
7 향료 미량
8 위치하젤추출물 1.0
9 정제수 잔량
제형예 5. 에센스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번호 원료명 중량 %
1 농글리세린 15.0
2 1,3-부틸렌글리콜 5.0
3 알란토인 0.1
4 에탄올 7.0
5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5
6 트리에탄올아민 0.15
7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8 초산토코페롤 0.5
9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5
10 왕겨초 증류액(DWC-3) 30.0
11 향료 미량
12 정제수 잔량
제형예 6. 팩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번호 원료명 중량 %
1 폴리비닐알코올 15.0
2 카르복시메틸셀룰로이스나트륨 0.3
3 농글리세린 3.0
4 알란토인 0.1
5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0.01
6 폴리에틸렌글리콜 1.0
7 에탄올 6.0
8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5
9 타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05
10 디엘판테놀 0.1
11 폴리옥시에틸렌(12)노닐페닐에테르 0.5
12 왕겨초 증류액(DWC-3) 45.0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제형예 7. 클렌징폼 조성물
수상과 오일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 검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번호 원료명 중량 %
1 스테아린산 6.5
2 미리스틴산 28.0
3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3.0
4 프로필렌 글리콜 5.0
5 농글리세린 10.0
6 수산화나트륨 7.0
7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1
8 태반 추출물 0.5
9 왕겨초 증류액(DWC-3) 15.0
10 향료 미량
11 정제수 잔량
도 1은 DNCB 유발 접촉성 피부염 알러지 질환 모델의 피부에서 IgE 생성에 미치는 왕겨초 증류액(DWC-1, DWC-2, DWC-3)의 효과를 측정한 도이고,
도 2는 DNCB 유발 접촉성 피부염 알러지 질환 모델의 혈청에서 IgE 생성에 미치는 왕겨초 증류액(DWC-1, DWC-2, DWC-3)의 효과를 측정한 도이고,
도 3은 접촉성 피부염 유발물질인 DNCB 및 왕겨초 증류액(DWC-1, DWC-2, DWC-3)의 처리에 의한 간의 조직병리학적인 변화를 관찰한 도이며(a: ICR-normal, b: ICR-DNCB, c 및 d: NC/Nga-normal, e: NC/Nga-DNCB, f: vehicle(NC/Nga-식염수), g 및 h: DWC-1, i 및 j: DWC-2, k: DWC-3),
도 4는 접촉성 피부염 유발물질인 DNCB 및 왕겨초 증류액(DWC-1, DWC-2, DWC-3)의 처리에 의한 피부조직의 두께의 변화를 측정한 도이며(a: ICR-normal, b: ICR-DNCB, c: NC/Nga-normal, d: NC/Nga-DNCB, e: vehicle(NC/Nga-식염수), f: DWC-1, g: DWC-2, h: DWC-3),
도 5는 DNCB 유발 접촉성 피부염 알러지 질환 모델의 피부에서 IgE 생성에 미치는 제품크림(CR-1, CR-2)의 효과를 측정한 도이고,
도 6은 DNCB 유발 접촉성 피부염 알러지 질환 모델의 혈청에서 IgE 생성에 미치는 제품크림(CR-1, CR-2)의 효과를 측정한 도이고,
도 7은 접촉성 피부염 유발물질인 DNCB 및 제품크림(CR-1, CR-2)의 처리에 의한 간의 조직병리학적인 변화를 관찰한 도이며(a: ICR-normal, b: ICR-DNCB, c 및 d: NC/Nga-normal, e: NC/Nga-DNCB, f: vehicle(NC/Nga-식염수), g 및 h: CR-1, i and j: CR-2),
도 8는 접촉성 피부염 유발물질인 DNCB 및 제품크림(CR-1, CR-2)의 처리에 의한 피부조직의 두께의 변화를 측정한 도(a: ICR-normal, b: ICR-DNCB, c: NC/Nga-normal, d: NC/Nga-DNCB, e: vehicle(NC/Nga-식염수), f: CR-1, g: CR-2)이다.

Claims (7)

  1. 탄화기(DCH-600, 대원GSI)를 사용하여 왕겨를 200℃ ~ 800℃에서, 10분 내지 200분 동안 탄화 처리하는 제 1단계; 상기 탄화 처리 중에 배출되는 연기를 응축시켜 조왕겨초 증류액을 얻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의 조왕겨초 증류액을 감압하여 20℃ ~ 90℃의 저온에서 증류하는 제 3단계의 제조방법으로 수득한 항알러지 활성을 갖는 왕겨초 증류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92196A 2008-09-19 2008-09-19 항알러지 활성을 나타내는 왕겨초 증류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31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196A KR100931529B1 (ko) 2008-09-19 2008-09-19 항알러지 활성을 나타내는 왕겨초 증류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196A KR100931529B1 (ko) 2008-09-19 2008-09-19 항알러지 활성을 나타내는 왕겨초 증류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1529B1 true KR100931529B1 (ko) 2009-12-14

Family

ID=41684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196A KR100931529B1 (ko) 2008-09-19 2008-09-19 항알러지 활성을 나타내는 왕겨초 증류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5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4172A1 (en) * 2010-12-02 2012-06-07 Daewon Global System Integration Co., Ltd. Composition comprising a purified distillate of rice husk showing anti-bacterial and anti-wrinkle activit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6888A (ja) 2005-07-21 2005-11-04 Nisshin Oillio Group Ltd 化粧料
US20060002954A1 (en) 2004-04-21 2006-01-05 Aol Corporation Composition trapping radicals in organism
KR20060081389A (ko) * 2006-06-22 2006-07-12 권대웅 광촉매와 은나노졸 및 죽초액을 하이브리드한 항알레르기성항균물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2954A1 (en) 2004-04-21 2006-01-05 Aol Corporation Composition trapping radicals in organism
JP2005306888A (ja) 2005-07-21 2005-11-04 Nisshin Oillio Group Ltd 化粧料
KR20060081389A (ko) * 2006-06-22 2006-07-12 권대웅 광촉매와 은나노졸 및 죽초액을 하이브리드한 항알레르기성항균물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농업기계학회지, 28(5), 389-394*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4172A1 (en) * 2010-12-02 2012-06-07 Daewon Global System Integration Co., Ltd. Composition comprising a purified distillate of rice husk showing anti-bacterial and anti-wrinkle activity
KR101273435B1 (ko) 2010-12-02 2013-06-28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함유하는 항균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7875B1 (en) Inhibitors of lipoxygenase
KR100755427B1 (ko)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갖는 녹차씨 오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116852B1 (ko)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o-메틸호노키올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주름 개선용조성물
KR101015702B1 (ko)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피부자극 개선 및 완화용조성물
KR102121944B1 (ko) 해죽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9796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gst)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또는 비알러지성 피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126470B1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1998A (ko) 초유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JP2022542329A (ja) 強化された抗炎症有効性を有する皮膚局所用組成物
JP2003194809A (ja) 幹細胞因子の産生・放出の抑制による掻痒、肌荒れ、敏感肌及び美白用薬剤
KR100794360B1 (ko) 항염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문주란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4773B1 (ko) 낙엽송 부산물로부터 다량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정제 방법 및 이 유효성분을 함유한 조성물
KR101263547B1 (ko) 녹차씨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36742B1 (ko) 연산호류 추출물 및 그것의 용도
KR100769302B1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상처치유및 피부 소양증 치료및 개선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31529B1 (ko) 항알러지 활성을 나타내는 왕겨초 증류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85121B1 (ko) 발효 밤송이 추출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용 조성물
KR100755425B1 (ko) 항염 및 항자극 활성을 갖는 노르베르게닌을 함유하는피부외용 조성물
KR20090095039A (ko) 소리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알러지 화장료 조성물
JP2003012532A (ja)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ヘキソサミニダーゼ遊離阻害剤、サイクリックamp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阻害剤及び肌荒れ改善化粧料
KR20150050631A (ko)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0919580B1 (ko) 왕겨탄 미세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7431953B2 (en) Skin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containing Purpuricenus temminckii frass as the active ingredient
KR20180031937A (ko) 항염효과를 갖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6723979B2 (ja) しわ改善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