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742B1 - 연산호류 추출물 및 그것의 용도 - Google Patents

연산호류 추출물 및 그것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742B1
KR101136742B1 KR1020090072754A KR20090072754A KR101136742B1 KR 101136742 B1 KR101136742 B1 KR 101136742B1 KR 1020090072754 A KR1020090072754 A KR 1020090072754A KR 20090072754 A KR20090072754 A KR 20090072754A KR 101136742 B1 KR101136742 B1 KR 101136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present
activity
inflamma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5171A (ko
Inventor
현창구
윤원종
김민진
이종락
문지영
이욱재
김사흥
김용태
김학철
Original Assignee
(주) 인더씨 코리아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인더씨 코리아,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주) 인더씨 코리아
Priority to KR1020090072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742B1/ko
Publication of KR20110015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4Cnidaria, e.g. sea anemones, corals, coral animals or jellyfi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산호류 추출물 및 그것의 용도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 항염 활성 및 미백 활성을 가지는 연산호류 추출물 및 그것의 항산화제, 항염증제 및 미백제로서의 용도를 개시한다.
항산화, 항염, 미백, 연산호류

Description

연산호류 추출물 및 그것의 용도{Extract of Soft Corals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연산호류 추출물 및 그것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 항염 활성 및 미백 활성을 가지는 연산호류 추출물 및 그것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산호충류는 연산호류와 부채산호류로 나누어 볼 있는데, 이 중 연산호류는 산호충 강(class Anthozoa)에 속하는 팔방산호 아강(subclass Octocorallia) 중에서 해세 목(order Alcyonacea)을 지칭하는 것으로, 국내에는 큰수지맨드라미(Dendronephtya gigantea), 분홍바다맨드라미(Alcyonium gracillimum) 등 약 18여종이 알려져 있다.
연산호류들은 뼈대가 없어 물렁물렁한 몸체에 8개의 촉수를 단위로 하는 수많은 폴립들이 서로 붙어 자라는 것이 특징이다.
연산호류의 대표적인 군락지는 서귀포시 연안 지역이며, 이 지역은 2004년 12월 문화재청에 의해서 천연기념물 제442호로 지정된다 바 있다.
산호는 과거 보석이나 장신구로 상품화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관광자원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또 산호 추출물의 항암, 항균 활성 등이 보고되면서 약물 개발과 산호의 골격을 이용한 인공뼈 개발 등 의학 분야에 중요한 소재로도 주목받고 있다.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 항염 활성 및 미백 활성을 가지는 연산호류 추출물 및 그것의 황산화, 항염 및 미백의 성분으로서의 용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연산호류에 속하는 산호충류 중 분홍바다맨드라미 및 큰수지맨드라미를 80% 에탄올로 추출한 후, 분말 형태의 그 추출물을 증류수와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고 얻은 에틸아세테이트증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항염증 활성 및 미백 활성을 살펴봤는데, 분홍바다맨드라미 에틸아세테이트층 분획물과 큰수지맨드라미 에틸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위 활성들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 항염증 활성 및 미백 활성을 가지는 분홍바다맨드라미 추출물 또는 큰수지맨드라미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분홍바다맨드라미 추출물 또는 큰수지맨드라미 추출물은 분홍바다맨드라미 또는 큰수지맨드라미를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분말상의 추출물을 얻고 그 추출물을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얻어진 에틸아세테이트층 분획물을 말한다. 여기서 분획물은 에틸아세테이트층 분획물 자체, 용매가 일부 제거된 농축된 형태, 또는 분말상의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아래의 실험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항산화 활성을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또는 슈퍼옥사이드 소거 활성을 통하여 살펴봤고, 항염증 활성은 NO 생성 억제 활성을 통하여 살펴봤으며, 미백 활성은 멜라닌 합성 저해 활성을 통해 살펴봤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또는 슈퍼옥사이드 소거 활성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항염증 활성은 NO 생성 억제 활성으로 이해될 수 있고, 미백 활성은 멜라닌 합성 저해 활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의 분홍바다맨드라미 추출물 또는 큰수지맨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항산화"는 활성산소종(일중항산소(singlet oxygen), 초과산화이온(superoxide anion), 수산화자유기,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등)이 일으키는 질병의 병리적 증상의 개선, 치료 및 그러한 병리적 증상의 발병 억제/지연을 의미한다. 활성산소종이 일으키는 질병으로서는 동맥경화, 중풍, 심근 경색, 기미, 주근깨, 잔주름, 암, 백혈병, 교원병(collagen disease)(膠原病, 피부, 관절, 혈관 등 신체의 결합조직에 이상이 생기는 모든 질병), 남성의 생식 기능 저하, 뇌졸증, 심근경색, 당뇨병성 혈관장애, 고지혈증, 급성염증, 류마티스 질환, 알콜성 간염 등을 들 수 있다(Harrison et al, Am J Cardiol, 2003. 2; 91(3A): 7A-11A; Behrend et al, Biochem Soc Trans, 2003. 12; 31: 1441-1444; Agarwal et al, Fertil Steril, 2003. 4; 79(4): 829-843; (Orr, W. C. and Sohal, R.S., Science , 1994, 263, 1128-1130; Sohal, R. S. et al ., J. Biol. Chem ., 1995, 270, 15671-15674).
또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의 분홍바다맨드라미 추출물 또는 큰수지맨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래의 실시예는 분홍바다맨드라미 추출물 또는 큰수지맨드라미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 억제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LPS(lipopolysaccharide), IL-1β, TNF-α, IL-6, IL-8, IL-12과 같은 여러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발현된 iNOS는 L-아르기닌(L-arginine)으로부터 NO를 생성하는데, 이 NO는 염증반응 등에 관여하다고 알려져 있다(1.Rockey DC, Chung JJ, McKee CM, Noble PW. 1998. Stimulat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 rat liver by hyaluronan fragments. Hepatology. 27: 86~92; Nunokawa Y, Ishida N. and Tanaka S. 1993. Cloning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 rat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Biochem. Biophys. Res. Commun. 191: 89~94; Lyons CR, Orloff GJ, and Cunningham JM. 1992. Molecular cloning and functional expression of an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from a murine macrophage cellline. J. Biol. Chem. 267: 6370~6374.). 또한 염증 반응과 관련된 조직 손상에서 NO와 iNOS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음이 보고 되어 있다(Weisz A, Cicatiello L, Esumi H. 1996. Regulation of the mouse inducible-type nitric oxide synthase gene promoter by interferon-γ, bacterial lipopolysaccharide and NG-monomethyl-L-arginine. Biochem. J. 316: 209~215).
따라서 NO 생성 억제 활성을 가지는 분홍바다맨드라미 추출물 또는 큰수지맨드라미 추출물은 항염증제로서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항염증"은 염증성 질환의 개선 활성으로서 정의되며, 여기서 "개선"이란 염증성 질환이 가지는 병리적 증상의 개선, 치료 및 그러한 병리적 증상의 발병 억제/지연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 본 명세서에서, "염증성 질환"이란 외부의 물리?화학적 자극 또는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각종 알레르기 유발 물질 등 외부 감염원의 감염에 대한 국부적 또는 전신적 생체 방어 반응으로 특정되는 어떠한 상태로서 정의될 있다. 이러한 반응은 각종 염증 매개 인자와 면역세포와 관련된 효소(예컨대 iNOS, COX-2 등) 활성화, 염증 매개 물질의 분비(예컨대, NO, TNF-α, IL-6, IL-1β, PGE2의 분비), 체액 침윤, 세포 이동, 조직 파괴 등의 일련의 복합적인 생리적 반응을 수반하며, 홍반, 통증, 부종, 발열, 신체의 특정 기능의 저하 또는 상실 등의 증상에 의해 외적으로 나타난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급성, 만성, 궤양성, 알레르기성 또는 괴사성을 띨 수 있으므로, 어떠한 질환이 상기와 같은 염증성 질환의 정의에 포함되는 한 그것이 급성이든지, 만성이든지, 궤양성이든지, 알레르기성이든지 또는 괴사성이든지를 불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염증성 질환에는 천식, 알레르기성 및 비-알레르기성 비염, 만성 및 급성 비염, 만성 및 급성 위염 또는 장염, 궤양성 위염, 급성 및 만성 신장염, 급성 및 만성 간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섬유증, 과 민성 대장 증후군, 염증성 통증, 편두퐁, 두통, 허리 통증, 섬유 근육통, 근막 질환, 바이러스 감염(예컨대, C형 감염), 박테리아 감염, 곰팡이 감염, 화상, 외과적 또는 치과적 수술에 의한 상처, 프로스타글라딘 E 과다 증후군,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통풍, 관절염, 류머티즘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호지킨병, 췌장염, 결막염, 홍채염, 공막염, 포도막염, 피부염, 습진, 다발성 경화증 등이 포함될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의 분홍바다맨드라미 추출물 또는 큰수지맨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미나 주근깨 등의 과색소침착증에는 멜라닌 세포가 관여한다. 멜라닌 세포는 멜라닌이라는 검은 멜라닌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체인 페놀계 고분자 물질을 분비한다. 멜라닌은 자외선을 차단하여 진피 이하의 피부 기관을 보호해주는 동시에 피부 생체 내에 생겨난 자유 라디칼 등에 의한 피부내 단백질과 유전자들의 손상을 보호해주는 유용한 역할을 하지만, 멜라닌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생기게 되면 기미나 주근깨, 검버섯 등과 같은 과색소침착증을 유발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피부 미백"은 멜라닌의 증가에 따른 기미, 주근깨, 검버섯 등 과색소침착증의 개선, 치료 및 그러한 증상의 발병 억제/지연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항산화용 조성물, 항염증제 조성물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로 약칭함)은 그 유효성분인 전술한 바의 분홍바다맨드라미 추출물 또는 큰수지맨드라미 추출물을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치료를 의도하 는 질환의 개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15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그 적용 대상인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사람에게서, 의도한 질환의 개선, 치료, 또는 이러한 병리적 증상의 발병 억제/지연을 유도할 수 있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전술한 바의 분홍바다맨드라미 추출물 또는 큰수지맨드라미 추출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을 포함하여, 경구용 제형(정제, 현탁액, 과립, 에멀젼, 캡슐, 시럽 등), 비경구형 제형(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국소형 제형(용액, 크림, 연고, 겔, 로션, 패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가능한 이상의 독성(충분히 낮은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 의미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전분(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등), 셀룰로오스, 그것의 유도체(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 맥아, 젤라틴, 탈크, 고체 윤활제(예컨대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 황산 칼슘, 식물성 기름(예컨대 땅 콩 기름, 면실유, 참기름, 올리브유 등), 폴리올(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알긴산, 유화제(예컨대 TWEENS), 습윤제(예컨대 라우릴 황산 나트륨), 착색제, 풍미제, 정제화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보존제, 물, 식염수, 인산염 완충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당한 것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형제도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수성 현탁제로 제조될 경우에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현탁제나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주사액으로 제조되는 경우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링거액, 등장 염화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껌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 보조식품, 특수 영양 보충용 식품, 기능성 음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유효성분인 꽃송이버섯 추출물이 포함되는 것 이외에,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감미제, 사과, 레몬, 감귤 등의 과일이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등의 차류에서 얻어진 풍미제, 카테킨,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등의 생리활성 성분,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등의 미네랄 등이 또한 첨가될 수 있으며, 여타의 식품 첨가물이 첨가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 특히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화장품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품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 그 화장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마스크, 팩 또는 분말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란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 불안정성 또는 자극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본 발명의 화장품의 제조되는 전술한 바의 형태에 따라 또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이나 손)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특히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 비누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비누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에,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비누 기재에 그 유효성분인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화장품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 그 화장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마스크, 팩 또는 분말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란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 불안정성 또는 자극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본 발명의 화장품의 제조되는 전술한 바의 형태에 따라 또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이나 손)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특히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 비누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비누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에,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비누 기재에 분홍바다맨드라미 추출물 또는 큰수지맨드라미 추출물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첨가제로서 피부 보습제, 유화제, 경수연화제 등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비누 기재로서는 야자유, 팜유, 대두유, 파마자유, 올리브유, 팜핵류 등의 식물유지 또는 우지, 돈지, 양지, 어유 등의 동물유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피부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에리트리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글리콜,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실리콘 유도체, 알로에베라, 솔비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화제로서는 천연오일, 왁스 지방알콜, 탄화수소류, 천연식물 추출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경수연화제로서는 테트라소듐 이디티에이 등이 사용될 수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또한 첨가제로서 항균제, 분산제, 거품억제제, 용매, 물때 방지제, 부식 방지제, 향료, 색소, 금속 이온봉쇄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에 있어서, 비누 기재나 첨가제는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비누 기재는 일반적으로 비누 조성 물의 전체의 함량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99.9 중량 % 내지 50 중량 %로 첨가될 수 있으며, 첨가제는 1 중량 % 내지 20 중량 %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비누 기재로서는 야자유, 팜유, 대두유, 파마자유, 올리브유, 팜핵류 등의 식물유지 또는 우지, 돈지, 양지, 어유 등의 동물유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피부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에리트리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글리콜,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실리콘 유도체, 알로에베라, 솔비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화제로서는 천연오일, 왁스 지방알콜, 탄화수소류, 천연식물 추출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경수연화제로서는 테트라소듐 이디티에이 등이 사용될 수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또한 첨가제로서 항균제, 분산제, 거품억제제, 용매, 물때 방지제, 부식 방지제, 향료, 색소, 금속 이온봉쇄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항산화 활성, 항염 활성 및 미백 활성을 가지는 연산호류 추출물 특히 분홍바다맨드라미와 큰수지맨드라미 추출물 및 그것의 항산화제, 항염증제 및 미백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연산호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 큰수지맨드라미 추출물의 제조
동결건조 한 큰수지맨드라미 생체시료 400g을 80% 에탄올 용매 5L에 3번 용출하고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29g의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이 에탄올 추출물 5g을 증류수 1L에 녹인 후 에틸아세테이트 1L에 용출하여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회수하여 감암농축하고, 재차 동결건조 후 0.27g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확보하였다.
<실시예 2> 분홍바다맨드라미 추출물의 제조
동결건조 한 분홍바다맨드라미 생체시료 400g을 80% 에탄올 용매 5L에 3번 용출하고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54g의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이 에탄올 추출물 5g을 증류수 1L에 녹인 후 에틸아세테이트 1L에 용출하여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회수하여 감암농축하고, 재차 동결건조 후 0.77g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확보하였다.
<실험예> 항산화 활성, 항염증 활성 및 미백 활성 실험
<실험예 1> 항산화 활성 실험
<실험예 1-1>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 의한 항산화활성 검색
항산화활성은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을 이용하여 시료의 라디 칼 소거효과 (radical scavenging effect)를 측정하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DPPH 약 2 ㎎을 에탄올 15 ㎖에 녹여 DPPH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 12 ㎖에 DMSO 6.25 ㎖를 첨가한 후, 517 ㎚의 파장에서 대조군의 UV-Vis. 흡광도가 0.94-0.97이 되도록 ethanol로 희석하여 10초간 진탕 시켰다. 그리고, 용매 1 ㎖에 분말로 추출된 시료(<실시예 2>의 추출물) 1 ㎎을 섞은 후 충분히 녹이고, 준비된 DPPH 450 ㎕에 시료용액 50 ㎕를 넣어 섞은 후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하였다가 517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를 참조하여 보면, 분홍바다맨드라미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2> Superoxide 소거 활성 검색
Superoxide의 양은 nitroblue tetrazolium (NBT) 환원방법에 의해 550nm에서 측정하였다. 반응액은 다양한 농도의 각 시료(<실시예 1>의 추출물)와 0.5 mM xanthine, 1 mM EDTA, 0.5 mM NBT를 200 mM phosphate buffer (pH 7.5) 100 ul에 준비하였고, 50 mU/ml xanthine oxidase를 첨가하여 Superoxide 활성을 유도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는데, <도 1>는 큰수지맨드라미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슈퍼옥사이드 소거 활성을 가짐을 보여준다.
<실험예 2> 항염증 활성 실험
<실험예 2-1> 세포 배양
마우스 멜라노마 세포인 B16F10 세포와 대식세포 RAW264.3 세포는 penicillin-streptomycin 100 units/mL과 10% fetal bovine serum (FBS)이 함유된 DMEM 배지 (GIBCO, Grand Island, NY, USA)를 사용하여 37℃, 5%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으며, 4일(B16F10) 또는 2-3일(RAW264.3)에 한 번씩 계대배양을 시행하였다.
<실험예 2-2> Nitric oxide (NO) 측정
RAW 264.7 세포 (1.5×105 cells/㎖)를 18시간 전 배양 후 상기 각 실시예의 시료(12.5㎍/㎖, 25㎍/㎖, 50㎍/㎖)와 양성대조군의 시료(2-amino, 20uM)와 LPS (1 ㎍/㎖)를 동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고, 생성된 NO는 Griess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 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 - 의 형태로 측정하였다. 세포배양 상층액 100 ㎕와 Griess시약 [1% (w/v) sulfanilamide, 0.1% (w/v) naphtylethylenediamine in 2.5% (v/v) phosphoric acid]을 동량 혼합하여 10분간 실온암소에서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농도 곡선은 sodium nitrite (NaNO2)를 serial dilution하여 얻었다 (10-100 μM).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의 추출물은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이 억제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미백 활성 실험(멜라닌 합성 저해율 측정)
B16F10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2.0×104 cells/mL로 조절한 후 6 well plate에 접종하고, 18시간 전 배양 후 상기 각 실시예의 시료(분홍바다맨드라미 추출물은 1.25㎍/㎖, 2.5㎍/㎖, 5.0㎍/㎖, 농도로 처리하고, 큰수 지맨드라미 추출물은 12.5㎍/㎖, 25㎍/㎖, 50㎍/㎖ 농도로 처리함)와 양성대조군의 시료(melasolv, 40 μM) 멜라닌 형성 자극제인α-MSH (50 nM)를 동시에 처리하여 3일간 배양하였다. 3일 후 Plate의 배지를 제거 후 PBS를 이용하여 2번 세척하였다. 세척된 세포를 수확하여 1 N NaOH를 첨가하여 세포를 완전히 녹인 후 405 nm에서 ELISA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의 추출물은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의 생성을 저해하였다.
도 1은 큰수지맨드라미 추출물의 슈퍼옥사이드 소거 활성과 분홍바다맨드라미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큰수지맨드라미 추출물과 분홍바다맨드라미 추출물의 NO 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는 큰수지맨드라미 추출물과 분홍바다맨드라미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저해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분홍바다맨드라미(Alcyonium gracillim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약학적 조성물.
  6.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분홍바다맨드라미(Alcyonium gracillim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7.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분홍바다맨드라미 추출물(Alcyonium gracillimum)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비누 조성물.
  8.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큰수지맨드라미(Dendronephtya gigante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약학적 조성물.
  9.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큰수지맨드라미(Dendronephtya gigante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KR1020090072754A 2009-08-07 2009-08-07 연산호류 추출물 및 그것의 용도 KR101136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754A KR101136742B1 (ko) 2009-08-07 2009-08-07 연산호류 추출물 및 그것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754A KR101136742B1 (ko) 2009-08-07 2009-08-07 연산호류 추출물 및 그것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171A KR20110015171A (ko) 2011-02-15
KR101136742B1 true KR101136742B1 (ko) 2012-04-19

Family

ID=43774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754A KR101136742B1 (ko) 2009-08-07 2009-08-07 연산호류 추출물 및 그것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7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4831A (ko) 2015-01-30 2016-08-10 안용석 연산호의 효소적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190138468A (ko) 2018-06-05 2019-12-13 (주)청룡수산 초음파 추출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큰수지맨드라미 수용성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230137185A (ko) 2022-03-21 2023-10-04 (주)청룡수산 소라 내장의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186B1 (ko) * 2012-08-13 2014-06-27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곤봉바다맨드라미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쥐치 양식 사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말쥐치의 양식방법
KR101993667B1 (ko) * 2016-12-19 2019-06-27 (주)청룡수산 알로에 베라 및 큰수지맨드라미추출물 함유 보습 개선용 유중수 타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06131B1 (ko) * 2017-11-10 2020-04-28 (주)청룡수산 연산호 큰수지맨드라미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28(3), 2005, pp.290-293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28(3), 2005, pp.290-293*
Tetrahedron, 51(9), 1995.02., pp.2497-2506 *
Tetrahedron, 51(9), 1995.02., pp.2497-2506*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4831A (ko) 2015-01-30 2016-08-10 안용석 연산호의 효소적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190138468A (ko) 2018-06-05 2019-12-13 (주)청룡수산 초음파 추출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큰수지맨드라미 수용성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230137185A (ko) 2022-03-21 2023-10-04 (주)청룡수산 소라 내장의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171A (ko) 201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427B1 (ko)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갖는 녹차씨 오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JP2012184270A (ja) 皮膚外用剤
JPWO2004085429A1 (ja) I型コラーゲン及び/又はエラスチン産生促進用組成物
CN103989589A (zh) 含有香豆雌酚或包含香豆雌酚的豆提取物的、用于皮肤护理的化妆品组合物
KR101136742B1 (ko) 연산호류 추출물 및 그것의 용도
KR10108673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947638B1 (ko) 용암해수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54773B1 (ko) 낙엽송 부산물로부터 다량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정제 방법 및 이 유효성분을 함유한 조성물
KR100715485B1 (ko) 피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수련 뿌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63547B1 (ko) 녹차씨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23749B1 (ko) 율초 또는 붉가시나무 잎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0888753B1 (ko)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20077357A (ko) 곽향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제 조성물 및 항산화제 조성물
KR20180090123A (ko) 리퀴댐버릭 락톤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4961B1 (ko)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819670B1 (ko)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83896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042690B1 (ko) 참나도히초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614467B1 (ko)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등대풀, 목단피, 알로에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014960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0720655B1 (ko) 항산화 및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yk 생약 조성물
KR100614465B1 (ko) 유근피, 백합, 반하, 백급 및 백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 탄력 증진 및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45085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20170076351A (ko) 브루세인 디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EP3871657A1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skin b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