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197B1 - 발아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 - Google Patents

발아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197B1
KR100868197B1 KR1020080027769A KR20080027769A KR100868197B1 KR 100868197 B1 KR100868197 B1 KR 100868197B1 KR 1020080027769 A KR1020080027769 A KR 1020080027769A KR 20080027769 A KR20080027769 A KR 20080027769A KR 100868197 B1 KR100868197 B1 KR 100868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rown rice
nanoliposome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장호
백남용
김동호
고재건
김동현
이호준
전용석
박은경
박상희
이광옥
김명화
임남훈
이영희
김진아
Original Assignee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아데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아데나 filed Critical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7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1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2Vegetable products, e.g. soya meal, wood flour, saw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4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combined with or containing other obj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1Soften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40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11D7/44Vegetable produ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아현미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및 섬유용 액상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및 섬유용 액상세제 조성물은 섬유의 세탁 과정 중에 발아현미추출물이 섬유에 효과적으로 부착되어, 세탁 후 리포좀의 유효성분이 서서히 지속적으로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민감한 피부에 대한 자극을 최소화하는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발아현미, 리포좀, 섬유유연제, 섬유용 액상세제

Description

발아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A nanoliposome comprising extract of germinated-brown rice}
본 발명은 발아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의 세탁은 음이온-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혼합물 계통의 세제로 세탁 후 유연처리 방법으로 섬유의 세탁과정 중 마지막 헹굼시에 액체 또는 분말상태의 섬유유연제를 투입하거나, 섬유건조기내에 부직포, 쉬트(Sheet) 등으로 제형화된 섬유유연제를 투입하여 유연효과를 부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세제와 섬유유연제는 세제의 뛰어난 세탁효과와 섬유유연제의 유연성능의 우수함, 좋은 향취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알레르기 및 발진 등 민감한 피부에서 부작용을 나타낼 수 도 있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부 보호 효과를 가진 성분에 의한 안전한 섬유용 세제와 섬유유연제를 안정적으로 섬유에 부착시켜 지속적으로 피부를 보호해 줄 수 있는 성분이 필요하다.
한편, 발아현미는 왕겨를 벗겨낸 현미를 적정한 수분·온도·산소를 공급해 0.5mm~1mm 정도 싹을 틔운 것을 말한다. 발아현미는 씨앗 상태와는 달리 비타민· 아미노산·효소·SOD(superoxide dismutase) 등 몸에 유용한 성분들을 많이 함유하며, 이런 성분들은 몸의 자연치유력을 높이고 성인병을 예방하며 몸의 독소를 씻어내는 해독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발아현미추출물을 이용함으로써, 민감한 피부에 대한 자극을 최소화하는 나노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및 섬유용 액상세제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섬유용 세제 또는 섬유유연제에 적용이 용이하고 알레르기 등의 민감성 피부의 자극 유발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발아현미추출물함유 나노리포좀 및 이를 함유하고 있는 섬유용 세제 및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아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은 총중량에 대하여 발아현미 추출물 0.05 내지 10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은 발아현미 추출물, 리포좀의 바이레이어(bilayer) 형성제, 지질용해제, 유화보조제, 산화방지제, 유화안정제, 리포좀구조안정제 및 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아현미추출물은 피부보호 성분이며, 리포좀의 바이레이어 형성제는 리포좀의 바이레이어를 형성시켜주기 위한 성분이며, 지질용해제는 지질 성분을 용해시키기 위한 용매이며, 유화보조제는 유화를 돕는 성분이며, 산화방지제는 산화를 막아주는 성분이며, 유화안정제는 안정적인 유화상태를 만들어 주는 성분으로 폴리올계열을 사용할 수 있고, 리포좀구조안정제는 리포좀의 바이레이어구조의 결합력을 강화시켜주기 위한 안정제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은 총중량에 대하여 발아현미 추출물 0.05 내지 10중 량%, 리포좀의 바이레이어 형성제 1.0 내지 5.0 중량%, 지질용해제 1.0 내지 10.0중량 %, 유화보조제 1.0 내지 10.0 중량%, 산화방지제 0.1 내지 0.5 중량%, 유화안정제 10.0 내지 50.0 중량%, 리포좀구조안정제 1.0 내지 10.0 중량% 및 물(잔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물의 함량은 나노리포좀 총중량에 대하여 4.5 내지 85.85중량%일 수 있으며, 상기 물은 정제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좀의 바이레이어형성제는 포화 레시친 및 불포화 레시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지질용해제는 에탄올 및 테트라히드록시프로필에틸렌디아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유화보조제는 스쿠알란, 디메치콘, 파라핀오일,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산화방지제는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및 부틸히드록시아니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유화안정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라이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소르비탄의 지방산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리포좀구조안정제는 디이에이 세틸 포스페이트, 세틸포스페이트, 디세틸포스페이트, 및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은 발아현미추출물, 포화레시친, 에탄올, 스쿠알란,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글리세린, 디이에이세틸포스페이트 및 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에 포함되는 발아현미 추출물은 당업계에 알려진 다양 한 용매를 통하여 추출될 수 있다. 바람직한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 함수 에탄올이다(본 발명에서, 70중량% 함수 알코올은 알코올이 30중량%이고, 물이 70중량% 함유된 용매를 의미한다). 또한 시중에서 판매되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에 포함되는 불포화레시친은 포스파티틸콜린 함량이 90~95중량%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테트라히드록시프로필에틸렌디아민은 니트로소아민 생성이 적으므로,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언급된 성분들을 혼합교반기에 넣고 실온에서 교반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섬유용 액상세제 및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섬유용 액상세제 및 섬유유연제 조성물에서, 발아현미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건조중량에 대하여 다양하게 함유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발아현미 추출물의 함량은 섬유용 액상세제 또는 섬유유연제 조성물 총 건조중량에 대해 0.001∼5중량%이다.
본 발명의 섬유용 액상세제 또는 섬유유연제 조성물 중, 나노리포좀 입자가 섬유용 액상세제 또는 섬유유연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20.0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용 액상세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 이외에 섬유용 액상세제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톡시화 라우릴 알코올, 테트라칼륨 피로포스페이트 카프릴-카프르 에톡시, 인산 에스테르, 데칸산(95%), 에톡시화 스테아릴 아민, 방향제, 염료, 방부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 이외에 섬유유연제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스테르형 4급 암모늄염, POE(30) 경화 피마자유, 에틸렌 글리콜, 기타 첨가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섬유 유연제 조성물은 양이온성 유연성분 및 나노리포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양이온성 유연성분 및 나노리포좀을 유화하기 위하여 적절한 유화제가 함유될 수 있다.
이러한 유화제로 비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탄소수 10 내지 20의 폴리옥시에틸렌(2 내지 200 몰) 알킬 또는 알케닐에스테르 및 하이드록시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알킬에스테르 및 이의 에틸렌옥사이드(15 내지 40 몰) 부가물, 폴리옥시에틸렌(1 내지 30 몰) 알킬 또는 알케닐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1 내지 50 몰) 알킬 또는 알케닐아민, 또는 글리세릴 모노알킬 및 알케닐에스테르 등이 있다.
또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탄소수 8 내지 22의 알킬디메틸베타인, 알킬디메틸하이드록시에틸 또는 알킬디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 베타인이나 레시틴 등이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양이온성 유연성분의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4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양이온성 유연성분의 유화제는 비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때 양이온성 유연성분의 함량대비 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제품의 경시 유화 안정성이 불량해지며, 4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제품의 안정성 뿐만 아니라 양이온성 유연성분의 의류 흡착을 오히려 방해하여 유연효과를 저해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섬유 유연제 조성물은 유기 또는 무기 분산 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미만의 저급알코올 또는 글리콜류, 탄소수 14 이상의 고급알코올류 및 요소 등의 유기화합물과 염화마그네슘,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질산나트륨 등의 무기 화합물 등을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세틸알코올, 테아릴알코올, 염화마그네슘,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및 질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 유연제 조성물은 별도의 향료, 방부제, 살균제, 형광증백제, 색소, 산화방지제, 소포제 등의 첨가제를 제품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당량 첨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내에서 각각 0.001~3 중량%의 소량으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용 액상세제 및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피부자극 완화효과가 우수하므로, 저자극 섬유용 액상세제 및 섬유유연제 조성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은 발아현미 추출물의 안정성, 효능을 극대화시키고 항 염 효과 및 민감성 피부 자극 완화 효과가 우수하므로, 저자극 섬유용 액상세제 및 섬유유연제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나노리포좀의 제조
포화 레시친 2중량%, 에탄올 1중량%, 디이에이 세틸 포스페이트 3.0중량%, 발아현미추출물(AT GABA EXTRACT, 주식회사 아데나, 대한민국) 1중량%,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BHT)(BAYER) 0.1 중량%, 글리세린(Uniqema) 10.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Daicel) 10.0 중량%, 프로필렌 글라이콜(Dow Corning) 10.0 중량%,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Patech) 0.5 중량 %를 첨가하고 전체 중량이 100 중량%가 되도록 정제수를 첨가하여 40~60℃에서 5분간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Micro Fluidizer(고압 미세 균질기, Hangzhou Gosun Biotechnologies Co.Ltd, 제조국: 중국)를 40~60℃, 600∼1,200bar의 압력하에서 3~5회 통과시킨 후 탈포하여 나노리포좀 입자를 얻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포좀 구조는 저온(0~4℃)에서 리포좀 구조를 고정화 시킨 후 투사 전자 현미경(CEM 902, Germany)을 통해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냈으며, 리포좀의 평균 크기는 100~200 nm 범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1).
실시예 2. 섬유용 액상세제 제조
발아현미 추출 성분 함유 나노리포좀을 함유한 섬유용 액상세제를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실시예1에서 제조한 발아현미 추출 성분 함유 나노리포좀 1.0
2 에톡시화 라우릴 알코올 14.00
3 테트라칼륨 피로포스페이트 카프릴-카프르 에톡시 8.00
4 인산 에스테르 4.00
5 데칸산(95%) 2.60
6 에톡시화 스테아릴 아민 1.10
7 방향제 0.40
8 염료 0.01
9 방부제 0.05
10 물(정제수) 100중량%가 되는 총분량
위의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에톡시화 라우릴 알코올을 적합한 혼합 용기 속에서 약 60℃까지 가온하고 여기에 데칸산과 에톡시화 스테아릴 아민을 가한다. 실온에서 (20 내지 25℃) 고체인 후자의 두 성분을 첨가하기에 앞서 예비용융시킨다. 알코올을 60℃까지 가온함으로써 이들 성분이 쉽게 혼합된다.
필요한 정제수와 수산화나트륨(95%)을 별도의 용기 속에서 혼합한다. 수산화나트륨의 양은 완성품의 pH를 기준으로 하여 미리 산정하고 용액을 약 30℃에서 유지시킨다. 이후, 인산에스테르를 수산화나트륨용액에 가하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용해시킨다. 에톡시화 라우릴 알코올, 데칸산 및 에톡시화 스테아릴 아민으로 이루어진 제조액을 위의 용액에 가한다.
과립형의 테트라칼륨 피로포스페이트를 사용하여 50%(w/w) 농도까지 별도의 용기속에서 예비혼합한다. 이후, 이를 위에서 언급한 물질들이 포함된 용기에 가한다. 이어서, 잔액수에 방향제, 염료 및 방부제를 가하여 섬유용액상세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3 . 섬유유연제 제조
발아현미 추출 성분 함유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섬유유연제를 하기 표2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실시예1에서 제조한 발아현미 추출 성분 함유 나노리포좀 1.0
2 에스테르형 4급 암모늄염 5.00
3 POE(30) 경화 피마자유 0.10
4 에틸렌 글리콜 0.05
5 기타 첨가제 3.00
6 물(정제수) 100중량%가 되는 총분량
상기 표2에서 POE는 폴리옥시에틸렌 부가형을 표시한 것이다.
위의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정제수에 POE(30)경화 피마자유를 투입하고 기타 수용성 첨가제(색소, pH조정제)를 투입하여 완전히 혼합될 때까지 교반하여 수상(水相)을 제조한다. 에스테르형 4급 암모늄염에 가용화제를 투입하고 기타 유용성첨가제(향료)를 투입하여 완전히 혼합될 때까지 교반하여 유상(油相)을 제조한 후 수상과 유상을 일정혼합비로 섞어 균일하게 혼합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 2에 기재된 함량으로 다음의 단계를 거쳐 섬유유연제를 제조하였다.
1. 수상(水相)을 제조한다.
1) 정제수를 투입한다.
2) 발아현미추출물 함유 나노리포좀을 투입한다.
3) POE(30) 경화 피마자유를 투입한다.
4) 에틸렌 글리콜, 기타 수용성첨가제(색소, pH조정제)를 투입한다.
5) 완전히 혼합될때까지 교반한다(수상완료).
2. 유상(油相)을 제조한다.
1) 에스테르형 4급암모늄염인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을 투입한다.
2) 기타 유용성첨가제(향)를 투입한다.
3) 완전히 혼합될때까지 교반한다(유상완료).
3. 상기 수상과 유상을 섞어 균일하게 혼합시킨다.
비교예 1. 섬유용 액상세제 제조
발아현미 추출 성분 함유 나노리포좀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함량과 방법으로 섬유용 액상세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섬유유연제 제조
발아현미 추출 성분 함유 나노리포좀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한 함량과 방법으로 섬유유연제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 피부자극 시험
피부자극에 과민반응을 보인 적이 없으며, 현재 피부병 내지 피부 알러지 증상이 없는 건강한 성인 남녀 실험자 10명의 팔 하박부에 폐쇄 첩포하여 48시간 경과 후 피부 자극 유무를 판정하였다. 피부반응은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C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의 규정에 따라 판정하였고, 시험물질은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섬유용 액상세제 및 섬유유연제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평균값으로 나타냈으며, 일 예를 도 2에 사진으로 나타내었다.
번호 구분 피부자극도(48시간)
1 비교예 1 3
2 비교예 2 3
3 실시예 2 0
4 실시예 3 0
(판정기준 0: 자극 없음 1: 최소 자극 2: 약한 자극(홍반) 3: 심한 자극(홍반, 부종))
표 3과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의 발아현미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을 사용한 실시예 2의 섬유용 액상세제 및 실시예 3의 섬유유연제 모두 피부 자극완화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발아현미추출물에 통상의 섬유용 액상세제 및 섬유유연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피부자극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리포좀 구조를 고정화 시킨 후 투사 전자 현미경(CEM 902, Germany)을 통해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실험예 피부자극시험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Claims (2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발아현미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섬유용 액상세제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나노리포좀 입자가 섬유용 액상세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20.0중량%인 섬유용 액상세제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나노리포좀은 총 액상세제 조성물 총 건조중량에 대해 발아현미 추출물을 0.001~ 5중량% 함유하는 섬유용 액상세제 조성물.
  10. 발아현미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나노리포좀 입자가 섬유유연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20.0중량%인 섬유유연제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유화제로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유화제는 양이온성 유연성분의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40 중량부인 섬유유연제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나노리포좀은 총 섬유유연제 조성물 총 건조중량에 대해 발아현미 추출물을 0.001~ 5중량% 함유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
  15.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은 총중량에 대하여 발아현미 추출물 0.05 내지 10중량%를 함유하는 나노리포좀인 섬유용 액상세제 조성물.
  16.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은 발아현미 추출물, 리포좀의 바이레이어 형성제, 지질용해제, 유화보조제, 산화방지제, 유화안정제, 리포좀구조안정제, 및 물로 이루어진 나노리포좀인 섬유용 액상세제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은 총중량에 대하여 발아현미 추출물 0.05 내지 10중량%, 리포좀의 바이레이어 형성제 1.0 내지 5.0 중량%, 지질용해제 1.0 내지 10.0중량 %, 유화보조제 1.0 내지 10.0 중량%, 산화방지제 0.1 내지 0.5 중량%, 유화안정제 10.0 내지 50.0 중량%, 리포좀구조안정제 1.0 내지 10.0 중량%, 및 물(잔량)로 이루어진 나노리포좀인 섬유용 액상세제 조성물.
  18. 제16항에 있어서, 리포좀의 바이레이어형성제는 포화 레시친 및 불포화 레시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지질용해제는 에탄올 및 테트라히드록시프로필에틸렌디아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유화보조제는 스쿠알란, 디메치콘, 파라핀오일,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산화방지제는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및 부틸히드록시아니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유화안정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라이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소르비탄의 지방산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리포좀구조안정제는 디이에이 세틸 포스페이트, 세틸포스페이트, 디세틸포스페이트, 및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섬유용 액상세제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은 발아현미추출물, 포화레시친, 에탄올, 스쿠알란,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글리세린, 디이에이세틸포스페이트, 및 물로 이루어진 나노리포좀인 섬유용 액상세제 조성물.
  20.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은 총중량에 대하여 발아현미 추출물 0.05 내지 10중량%를 함유하는 나노리포좀인 섬유유연제 조성물.
  21.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은 발아현미 추출물, 리포좀의 바이레이어 형성제, 지질용해제, 유화보조제, 산화방지제, 유화안정제, 리포좀구조안정제, 및 물로 이루어진 나노리포좀인 섬유유연제 조성물.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은 총중량에 대하여 발아현미 추출물 0.05 내지 10중량%, 리포좀의 바이레이어 형성제 1.0 내지 5.0 중량%, 지질용해제 1.0 내지 10.0중량 %, 유화보조제 1.0 내지 10.0 중량%, 산화방지제 0.1 내지 0.5 중량%, 유화안정제 10.0 내지 50.0 중량%, 리포좀구조안정제 1.0 내지 10.0 중량%, 및 물(잔량)로 이루어진 나노리포좀인 섬유유연제 조성물.
  23. 제21항에 있어서, 리포좀의 바이레이어형성제는 포화 레시친 및 불포화 레시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지질용해제는 에탄올 및 테트라히드록시프로필에틸렌디아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유화보조제는 스쿠알란, 디메치콘, 파라핀오일,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산화방지제는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및 부틸히드록시아니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유화안정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라이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소르비탄의 지방산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리포좀구조안정제는 디이에이 세틸 포스페이트, 세틸포스페이트, 디세틸포스페이트, 및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섬유유연제 조성물.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은 발아현미추출물, 포화레시친, 에탄올, 스쿠알란,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글리세린, 디이에이세틸포스페이트, 및 물로 이루어진 나노리포좀인 섬유유연제 조성물.
KR1020080027769A 2008-03-26 2008-03-26 발아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 KR100868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769A KR100868197B1 (ko) 2008-03-26 2008-03-26 발아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769A KR100868197B1 (ko) 2008-03-26 2008-03-26 발아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8197B1 true KR100868197B1 (ko) 2008-11-10

Family

ID=40284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769A KR100868197B1 (ko) 2008-03-26 2008-03-26 발아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1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060B1 (ko) 2018-04-27 2019-07-10 김윤 세제용 리포좀의 제조방법
JP2019119850A (ja) * 2017-12-28 2019-07-22 学校法人神奈川大学 繊維用洗剤、ソイルリリース剤及び繊維の洗浄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6287A (ja) 2001-03-02 2002-09-11 Fancl Corp 玄米粉末を含有する粉末状または顆粒状の洗浄剤組成物
KR20040101588A (ko) * 2003-05-23 2004-12-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104807A (ko) * 2005-03-31 2006-10-09 애경산업(주) 발아현미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070001045A (ko) * 2006-12-12 2007-01-03 이상희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 를 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 및이를 함유한 화장료 및 비누 조성물
KR20070017563A (ko) * 2007-01-17 2007-02-12 (주)미시앙 홍삼 조사포닌과 감초,비오틴(Biotin),쿠퍼펩타이드(Copper peptide), 사이토카인(Cytokines)을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 와 이를 함유한 화장료 와 비누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6287A (ja) 2001-03-02 2002-09-11 Fancl Corp 玄米粉末を含有する粉末状または顆粒状の洗浄剤組成物
KR20040101588A (ko) * 2003-05-23 2004-12-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104807A (ko) * 2005-03-31 2006-10-09 애경산업(주) 발아현미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070001045A (ko) * 2006-12-12 2007-01-03 이상희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 를 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 및이를 함유한 화장료 및 비누 조성물
KR20070017563A (ko) * 2007-01-17 2007-02-12 (주)미시앙 홍삼 조사포닌과 감초,비오틴(Biotin),쿠퍼펩타이드(Copper peptide), 사이토카인(Cytokines)을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 와 이를 함유한 화장료 와 비누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19850A (ja) * 2017-12-28 2019-07-22 学校法人神奈川大学 繊維用洗剤、ソイルリリース剤及び繊維の洗浄方法
KR101999060B1 (ko) 2018-04-27 2019-07-10 김윤 세제용 리포좀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31624B2 (ja) オレアノール酸が捕集された化粧料用ナノリポソームの製造方法
JP2006525225A (ja) フレグランスおよびアロマの目標とする放出のための組成
EP0265702A2 (en)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jelly-like cosmetic composition
CA2426852C (en) Formulation containing phosphate derivatives of electron transfer agents
JP2000511523A (ja) 窒素含有錯化剤の、皮膚及び紡織繊維材の脱臭及び抗菌処理のための用途
JP5148127B2 (ja) ナノエマルジョ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含む化粧用および皮膚用組成物
JP2000229832A (ja) 皮膚外用剤
CN104203202B (zh) 包含植物卵磷脂的发用化妆品组合物
JP2001081024A (ja) 乳白状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81475B1 (ko) 난용성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68197B1 (ko) 발아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
JP2000016917A (ja) 美白化粧料
KR101761005B1 (ko) 법제 유황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항염 및 면역 증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54749B1 (ko) 유성성분을 함유한 안정화된 나노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투명 화장료 조성물
JP2013010737A (ja) リン脂質含有組成物
JP3799276B2 (ja) ゲル組成物および乳化組成物
JPH05155738A (ja) 養毛料
JP5856761B2 (ja) 皮膚外用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200518B1 (ko)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1795A (ko) 난용성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3712673B2 (ja) ゲル組成物および水中油(o/w)型組成物
KR100808825B1 (ko) 판테테인 술폰산 소구체를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297560B1 (ko) 메칠하이드로제네이티드로지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3995127A1 (en) Solubilizer free from ethoxylated emulsifiers
JP2001031554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