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474A - 도자기의 주름문양 성형 방법 - Google Patents

도자기의 주름문양 성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474A
KR20220015474A KR1020220006995A KR20220006995A KR20220015474A KR 20220015474 A KR20220015474 A KR 20220015474A KR 1020220006995 A KR1020220006995 A KR 1020220006995A KR 20220006995 A KR20220006995 A KR 20220006995A KR 20220015474 A KR20220015474 A KR 20220015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nkle
forming
ceramics
wrinkled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0104B1 (ko
Inventor
진은택
Original Assignee
진은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은택 filed Critical 진은택
Priority to KR1020220006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0104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0699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0104B1/ko
Publication of KR20220015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B28B11/081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for roughening, profiling, corrugating
    • B28B11/0836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for roughening, profiling, corrugating for pottery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2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urning or jiggering in moulds or moulding surfaces on rotatabl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01Applying decorations on shaped articles, e.g. by pa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03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the shaping of preshaped articles, e.g. by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3Setting, e.g. drying, dehydrating or firing ceramic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04B33/34Burning methods combined with gl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자기의 주름문양 성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자기 표면에 미려하면서 입체적인 주름 문양이 나타내어질 수 있도록 하여 도자기의 외관을 향상시킴과 함께 보다 생명력 있는 느낌을 제공하게 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점토가 포함된 소지를 성형하여 원하는 형상의 도자기 본체를 성형하는 도자기 본체 성형단계와;(ST 1) 주름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주름 기물을 성형 제작하는 주름 기물 성형단계와;(ST 2) 상기 제작된 주름 기물을 도자기 본체 표면에 부착시키는 주름 기물 부착단계와;(ST 3) 상기 주름 기물이 부착된 도자기를 5~10일 동안 건조하는 건조단계와;(ST 4) 상기 주름 기물 표면에 유약을 시유하는 유약 시유단계와;(ST 5) 상기 건조가 이루어진 도자기를 1200~1300℃의 온도로 고온 소성하는 소성단계;(ST 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자기의 주름문양 성형 방법{How to form a wrinkle pattern on ceramics}
본 발명은 도자기의 주름문양 성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자기의 표면에 미려하면서도 입체적인 주름문양이 나타내어질 수 있도록 하는 주름문양 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자기는 점토의 종류, 성형과정, 소성과정 및 소성온도, 유약의 종류 또는 장식기법, 산지명칭, 용도 등에 의하여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도자기 제조방법은 점토를 포함한 원료의 배합, 숙성 등의 작업을 하는 제토단계와, 코일성형기 또는 물레성형기를 사용하여 기물을 만들어내는 성형단계와, 성형된 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건조된 기물을 800℃ 정도에서 초벌구이를 하는 1차 소성단계와, 1차 소성으로 초벌구이된 기물 표면을 유약으로 처리하는 시유단계와, 유약처리된 기물을 섭씨 1300 ℃ 정도에서 재벌구이하는 2차 소성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도자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나타내기 위한 기법으로 도자기 표면에 다양한 문양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도자기 성형단계 직후 또는 건조단계 중에 기물 표면에 다양한 문양을 조각하거나 상감의 방법으로 형성시키는 방법, 1차 소성단계 후 기물 표면에 안료를 사용하여 문양을 그리거나, 또는 2차 소성단계 후 전사지를 부착하거나 문양을 그린 후 또 다시 3차로 소성하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는 단순히 도자기 표면에 평면적인 문양이 나타내어지게 되는 것으로 도자기 외관의 다양화 및 입체적인 표현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308525호(2013.09.09.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692879호(2016.12.29.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도자기 표면에 미려하면서 입체적인 주름 문양이 나타내어질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도자기의 외관을 향상시킴과 함게 보다 자연스러운 표현이 나타내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성형 방법은, 점토가 포함된 소지를 성형하여 원하는 형상의 도자기 본체를 성형하는 도자기 본체 성형단계와; 주름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주름 기물을 성형 제작하는 주름 기물 성형단계와; 상기 제작된 주름 기물을 도자기 본체 표면에 부착시키는 주름 기물 부착단계와; 상기 주름 기물이 부착된 도자기를 5~10일 동안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도자기를 700~900℃온도로 소성하는 1차 소성단계와; 상기 주름 기물 표면에 유약을 시유하는 유약 시유단계와; 상기 건조가 이루어진 도자기를 1200~1300℃의 온도로 고온 소성하는 2차 소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름 기물 성형단계에서는 소지를 물래성형하여 중앙에 일정 깊이의 홈을 형성한 후, 둘레를 이루는 측벽부위를 3~5개 부위에서 내측으로 가압하여 붕괴 변형에 따른 주름 형상을 이루도록 하고, 줄을 이용하여 주름 형상 부위를 소지로 부터 분리시키는 절단작업을 통한 주름 기물의 성형 제작이 반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자기 표면에 미려하면서 입체적인 주름 문양이 나타내어질 수 있게 되어 도자기의 외관을 향상시킴과 함께 보다 생명력 있는 느낌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물레 성형 후 측면이 자연스럽게 붕괴되면서 획일적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변형된 주름 기물의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천의 주름, 수면의 파문, 세포 등을 연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주름기물의 부착으로 인해 도자기의 내구성이 증대되어 외부 충격으로 인한 파손 발생이 방지되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자기 제조과정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주름기물 성형 제작을 위한 물레 성형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주름기물 성형을 위한 붕괴 변형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주름기물 절단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성형 제작 완성된 주름기물.
도 6은 본 발명에서 도자기 표면에 주름기물 부착 과정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주름기물의 부착력 향상을 위한 흙물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주름 문양 도자기 외관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형사의 주름 문양 도자기 외관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자기의 주름문양 성형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자기 본체 성형단계>(ST 1)
도자기 본체(10)의 성형을 위해서는 먼저 도자기를 만들기 위한 재료인 점토가 포함된 흙(재료)을 반죽하여 토련기에 흙을 넣고 토련을 실시하며, 토련된 소지재료를 물레성형하여 원하는 도자기 형상으로 성형 후 건조시키는 통상의 과정을 거쳐 도자기 본체(10)의 제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주름 기물 성형단계>(ST 2)
한편, 본 발명에서의 주름 기물(20) 성형 제작을 위해서는 상기 도자기 재료인 반죽 및 토련된 소지 재료를 이용하게 된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소지 재료를 물래 성형하여 사발 형상을 형성시킨 후, 둘레를 이루는 측벽부위를 3~5개 부위에서 내측으로 밀어서 붕괴 변형에 따른 도 3에서와 같이 내측으로 접혀지면서 주름 형상을 이루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주름 형상의 성형이 이루어진 상단 부위를 도 4에서와 같이 줄을 이용하여 소지로 부터 분리시키는 절단작업을 통한 주름 기물(20)의 성형 제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도 5에서와 같이 다수의 주름 기물(20)을 준비할 수 있게 된다.
<주름 기물 부착단계>(ST 3)
상기 제작된 주름기물(20)은 1~2일 동안 반건조를 실시한 후, 별도로 건조가 이루어진 도자기 본체(10) 표면에 부착시키는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특히, 이때 주름기물(20)의 부착효율 향상을 위해서 규산소다가 혼합된 흙물(슬립)을 사용하게 되는데, 도 7에서와 같이 주름기물(20) 부착 부위에 흙물(21)을 도포하여 주름기물(20)의 안정적인 부착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주름기물(20)이 도자기 전체 외벽면을 감싸는 형태로 부착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흙물(21)의 제조과정에서는 셀룰로오스, 페각 미분말, 산화칼슘 및 산화레늄을 추가로 첨가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때에는 점토 75~90중량%, 규산소다 2~15중량%, 셀룰로오스 1~5중량%, 페각 미분말 1~3중량%, 산화칼슘 0.5~3중량%, 산화레늄 0.1~2중량%의 비율로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혼합 조성의 흙물을 사용하게 되면, 셀룰로오스의 작용으로 인해 점착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페각 미분말은 주름기물(20) 접착부위의 내구성 향상에 따른 크랙 발생을 방지하고, 산화칼슘은 규산소다 성분의 촉매 작용을 통한 화학적 안정성을 유지시키며, 산화레늄은 도자기 건조 과정에서 흙물 도포부위의 변색 발생을 방지하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건조단계>(ST 4)
이후, 상기 주름 기물(20)이 부착된 도자기를 5~10일 동안 건조하는 통상의 작업을 실시한다.
<1차 소성단계>(ST 5)
상기 건조가 이루어진 도자기를 소성로에서 800℃의 온도로 5~10시간 동안 소성하는 1차 소성작업을 실시한다.
<유약 시유단계>(ST 6)
이와 같이 1차 소성이 이루어진 도자기는 주름 기물(20) 표면에 유약을 도포하는 통상적인 시유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유약은 흑색과 백색을 기본으로 하되 다양한 색상을 조함하여 활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2차 소성단계>(ST 7)
상기 유약 시유가 이루어진 도자기를 1,250℃의 온도로 10~12시간 동안 고온 소성하는 과정을 통해 도자기의 제작이 완성되는데, 소성 방법으로는 산화와 환원 소성을 중심으로 가스 가마와 장작 가마 소성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가스 가마와 장작 가마를 결합한 방식을 사용하여 전체적인 작품의 색조는 조화로우면서도 미묘한 차이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완성된 본 발명의 도자기는 표면에 부착된 주름기물(20)로 인해 미려하면서 입체적인 주름 문양이 나타내어질 수 있게 되어 도자기의 외관을 향상시킴과 함께 보는이로 하여금 보다 생명력, 자유분방함, 역동성을 느낄 수 있게 된다.
특히, 물레 성형 후 측면이 자연스럽게 붕괴되면서 획일적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변형된 주름 기물의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천의 주름, 수면의 파문, 세포 등을 연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주름 도자기 성형과정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특정한 형상의 도자기 형태가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도 9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도자기의 성형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도자기 본체 20 : 주름 기물
21 : 흙물(슬립)

Claims (4)

  1. 점토가 포함된 소지를 성형하여 원하는 형상의 도자기 본체를 성형하는 도자기 본체 성형단계와;(ST 1)
    주름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주름 기물을 성형 제작하는 주름 기물 성형단계와;(ST 2)
    상기 제작된 주름 기물을 도자기 본체 표면에 부착시키는 주름 기물 부착단계와;(ST 3)
    상기 주름 기물이 부착된 도자기를 5~10일 동안 건조하는 건조단계와;(ST 4)
    상기 건조된도자기를 700~900℃의 온도로 소성하는 1차 소성단계와;(ST 5)
    상기 주름 기물 표면에 유약을 시유하는 유약 시유단계와;(ST 6)
    상기 유약 시유가 이루어진 도자기를 1200~1300℃의 온도로 고온 소성하는 2차 소성단계;(ST 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의 주름문양 성형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름 기물 성형단계(ST 2)에서는 소지를 물래 성형하여 사발 형상을 형성시킨 후, 둘레를 이루는 측벽부위를 3~5개 부위에서 내측으로 가압하여 붕괴 변형에 따른 주름 형상을 이루도록 하고, 줄을 이용하여 주름 형상 부위를 소지로 부터 분리시키는 절단작업을 통한 주름 기물의 성형 제작이 반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의 주름문양 성형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름 기물 부착단계(ST 3)에서는 주름기물 부착 부위에 규산소다가 혼합된 흙물을 도포하여 부착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의 주름문양 성형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흙물에는 셀룰로오스, 페각 미분말, 산화칼슘 및 산화레늄 성분이 추가로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의 주름문양 성형 방법.
KR1020220006995A 2022-01-18 도자기의 주름문양 성형 방법 KR102670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995A KR102670104B1 (ko) 2022-01-18 도자기의 주름문양 성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995A KR102670104B1 (ko) 2022-01-18 도자기의 주름문양 성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474A true KR20220015474A (ko) 2022-02-08
KR102670104B1 KR102670104B1 (ko) 2024-05-27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525B1 (ko) 2011-11-25 2013-10-04 김성태 다양한 색상이 표출되는 도자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도자기
KR101692879B1 (ko) 2015-08-26 2017-01-05 신왕건 백회령유 도자기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525B1 (ko) 2011-11-25 2013-10-04 김성태 다양한 색상이 표출되는 도자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도자기
KR101692879B1 (ko) 2015-08-26 2017-01-05 신왕건 백회령유 도자기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88777B (zh) 一种陶瓷雕刻工艺
CN105924230B (zh) 黑金花釉料及具有黑金花釉陶瓷的制作方法
KR101466965B1 (ko) 소성 발색 도자 소지 제조 방법
KR100945787B1 (ko) 갯벌흙을 이용한 유약 및 이를 이용한 흑색, 황색 반점을 갖는 도자기 제조방법
CN105000866A (zh) 用污泥渣制造的表面有镜面效果的釉面砖及其制备方法
CN102557599A (zh) 一种新型牡丹瓷的制作工艺
CN106219976B (zh) 一种综合装饰金属质陶瓷砖及其制造方法
KR101801172B1 (ko)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14149246B (zh) 一种带有化妆土装饰的陶瓷的生产方法
CN102515733B (zh) 一种粉彩牡丹瓷的制作工艺
JP2007022882A (ja) 釉薬、それを使用した焼物の製法及び焼物
KR100908305B1 (ko) 결정유 도자기 제조방법
KR20220015474A (ko) 도자기의 주름문양 성형 방법
KR101374850B1 (ko) 다공성 소지를 이용한 연리문 도자기 제조방법
KR20160080343A (ko) 진사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사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2670104B1 (ko) 도자기의 주름문양 성형 방법
KR20130012387A (ko) 입체문양이 표현된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0867934B1 (ko) 여러 형태의 자수 문양 옷감을 이용한 전통자수 자기 인형제작방법
CN110790509A (zh) 一种网格纹釉及其制备方法
KR20240054506A (ko) 도자기의 주름문양 성형 방법
CN106045578A (zh) 再生废瓷堆线艺术陶瓷及其的制作方法
KR100508854B1 (ko) 도자기의 제조방법
CN111454047A (zh) 釉下五彩刻瓷的制备方法
KR101191670B1 (ko) 삼작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
CN109970432A (zh) 一种坭兴陶的粉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