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172B1 -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172B1
KR101801172B1 KR1020150058127A KR20150058127A KR101801172B1 KR 101801172 B1 KR101801172 B1 KR 101801172B1 KR 1020150058127 A KR1020150058127 A KR 1020150058127A KR 20150058127 A KR20150058127 A KR 20150058127A KR 101801172 B1 KR101801172 B1 KR 101801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eladon
clay
parts
glaz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8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6704A (ko
Inventor
김진량
Original Assignee
김진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량 filed Critical 김진량
Priority to KR1020150058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172B1/ko
Publication of KR20160126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5Coating or impregnation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86Glazes; Cold glaz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10Burned or pyrolised refuse
    • C04B18/101Burned rice husks or other burned vegetabl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의 표면에 흑점을 형성시켜 심미감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나무재, 참나무재, 잡목재를 혼합한 재 및 장석과 굴 껍질 분말 및 사양토, 점토, 카올린을 혼합하여 제조한 유약을 사용하여 종래에는 없는 문양의 자기로서, 청자의 전통적인 색상 표면에 흑점을 형성시켜 심미감을 향상시킨 청자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찻잔, 주전자 등과 같은 다기(茶器) 뿐만 아니라 접시, 그릇 등과 같은 식기류, 제례용기 등과 같은 다양한 기물에 적용하여 자기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glaze composition for celadon expressing black spot}
본 발명은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기의 표면에 흑점을 형성시켜 심미감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청자는 철분이 조금 섞인 백토로 만든 성형기물의 표면에 철분이 소량 함유된 장석질 유약을 입혀 1,250∼1,300℃ 정도에서 환원염으로 구워낸 일종의 자기로서, 이때 사용하는 유약은 초록이 섞인 푸른색으로 비취색과 흡사하고 투명에 가까우며 태토(胎土)의 색은 흐린 회색이기 때문에 청자의 색은 회색이 바탕이 된 녹청색이 된다.
이와 같은 청자는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 일본 등지에서 전통적인 오랜 방법에 의해 그동안 제조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청자에 다양한 문양을 새겨 심미감을 향상키기 위한 새로운 방법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도자기 제조에 대한 새로운 기술들을 살펴보면, 특허문헌 1에 알칼리성 잿물이 제거된 솔방울재 3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로서, 상기 유약 조성물이 장석 15~25 중량%, 규석 0.1~0.5 중량%, 석회석 20~39 중량%, 물토 30~45 중량%, 카올린 0.2~1 중량%, 와목 2~7 중량%, 황토 10~20 중량%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유약 조성물이 이오장석 15~25 중량%, 청주석회석 20~40 중량%, 서산물토 30~45 중량%, 와목점토 2~7 중량%, 황토 1~1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이 알려져 있으며, 상기 유약 조성물을 사용하여 작은 결정체로 알알이 퍼져 뭉쳐 자연스러운 문양을 기면의 표면에 형성되게 제조한 녹청자가 도 1에 게재된 사진에 나타난 형상과 같다.
그리고 특허문헌 2에 유약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건조물을 기준으로 장석 15-25중량부, 소금 5-15중량부, 잿물이 제거된 뽕나무 재 25-35중량부, 발효 및 건조된 뽕나무 잎 35-45중량부로 구성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이 알려져 있으며, 상기 유약 조성물을 사용하여 좁쌀 크기의 밝은 색 결정체가 표면에 형성되도록 제조한 도자기가 도 2에 게재된 사진에 나타난 형상과 같다.
또한 특허문헌 3에 발효된 솔잎 분말 분쇄물 30~50 중량%, 발효된 옻나무 잎사귀 분말 분쇄물 20~40 중량%, 발효되지 아니한 옻나무 껍질 건조 분말 분쇄물 5~15 중량%, 장석 15~25 중량%로 구성되는 흑색 결정체를 형성하는 도자기용 유약조성물이 알려져 있으며, 상기 유약 조성물을 사용하여 흑색 또는 짙은 회색 바탕에 흑색의 결정체가 표면에 형성되도록 제조한 도자기가 도 3에 게재된 사진에 나타난 형상과 같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3에 알려진 바와 같은 도자기와는 상이한 심미감을 갖도록 청자의 표면에 흑점을 형성시켜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275348호(2013년 06월 10일 등록)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청자의 제조방법 특허문헌 2 :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0759053호(2007년 09월 10일 등록) 결정체를 형성시키는 유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특허문헌 3 :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43721호(2011년 06월 16일 10일 등록) 흑색 결정체를 형성하는 도자기용 유약조성물
본 발명은 소나무재, 참나무재, 잡목재를 혼합한 재 및 장석과 굴 껍질 분말 및 사양토, 점토, 카올린을 혼합하여 제조한 유약을 사용하여 종래에는 없는 문양의 자기로서, 자기의 표면에 흑점을 형성시켜 심미감을 향상시킨 청자의 제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재 25~35 중량%, 장석 30~50 중량%, 조개 껍질 분말 20~25 중량%, 사양토 2~5 중량%, 점토 2~3 중량% 및 카올린 1~2 중량%를 혼합하는 혼합물 제조단계;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5~15 중량부를 혼합하는 유약 제조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서 상기 재는 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나무재 60~70 중량부, 참나무재 20~25 중량부 및 잡목재 10~15 중량부이고, 상기 조개 껍질 분말은 굴 껍질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잡목재는 느티나무재, 단풍나무재, 밤나무재, 싸리나무재, 볏짚재, 억새풀재 중에서 1종 또는 1종이상 선택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은 소나무재, 참나무재, 잡목재를 혼합한 재 및 장석과 굴 껍질 분말 및 사양토, 점토, 카올린을 혼합하여 제조한 유약을 사용하여 종래에는 없는 문양의 자기로서, 청자의 전통적인 색상 표면에 흑점을 형성시켜 심미감을 향상시킨 청자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찻잔, 주전자 등과 같은 다기(茶器) 뿐만 아니라 접시, 그릇 등과 같은 식기류, 제례용기 등과 같은 다양한 기물에 적용하여 자기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작은 결정체로 알알이 퍼져 뭉쳐 자연스러운 문양을 기면의 표면에 형성되게 제조한 녹청자를 찍은 사진.
도 2는 종래의 좁쌀 크기의 밝은 색 결정체가 표면에 형성되도록 제조한 도자기를 찍은 사진.
도 3은 종래의 흑색 또는 짙은 회색 바탕에 흑색의 결정체가 표면에 형성되도록 제조한 도자기를 찍은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에 따른 표면에 흑점을 형성시킨 청자를 찍은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2에 따른 표면에 흑점을 형성시킨 청자를 찍은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대비되는 비교예 1에 따른 흑점을 형성시킨 청자를 찍은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대비되는 비교예 2에 따른 흑점을 형성시킨 청자를 찍은 사진.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 설명하되,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은 재 25~35 중량%, 장석 30~50 중량%, 조개 껍질 분말 20~25 중량%, 사양토 2~5 중량%, 점토 2~3 중량% 및 카올린 1~2 중량%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는 청자의 제조를 위해 장작가마 내에서 성형기물(成形器物)의 소성시 유약이 융용되면서 성형기물의 표면을 옛부터 전래되는 청자색으로 유리질화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재는 유약 조성물에 25~35 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혼합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청자 표면에 흑점 문양과 청자 색상이 충분하게 발현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재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혼합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청자 표면에 유약 조성물이 벗겨지거나 말리는 현상에 의해 유면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성형기물(成形器物)'이라 함은 토련한 점토 혼합물 등을 사용하여 물레질을 하여 찻잔, 주전자 등과 같은 형태로 성형한 성형물로서, 장작가마 내에서 소성시키기 전의 성형물을 의미하며, '유면(釉面)'이라 함은 성형기물(成形器物)에 유약 조성물을 도포하여 소성하면 성형기물인 도자기의 표면에 형성되는 유리질층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재는 재를 물에 담그고 1~2일이 경과한 다음 물을 제거하고, 다시 재를 물에 담그고 1~2일이 경과한 다음 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 실시한 다음 60~100 목의 체에 거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60~80 목의 체에 거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재는 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나무재 60~70 중량부, 참나무재 20~25 중량부 및 잡목재 10~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소나무재는 청자의 표면에 형성된 유면이 밝은 색상과 높은 투명도를 갖고, 균열이 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소나무재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미만이 될 경우에는 청자 표면에 형성된 유면의 색상이 어두워지거나 투명도가 낮아지며, 균열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소나무재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혼합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청자 표면에 형성된 유면의 균열이 과하게 형성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참나무재는 청자의 표면에 형성된 유면이 부드럽고, 균열을 최소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참나무재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미만이 될 경우에는 소나무재에 의해 청자 표면에 형성되는 유면의 균열을 제대로 제어하지 못할 우려가 있고, 참나무재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혼합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청자 표면에 형성된 유면의 균열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잡목재는 청자의 표면에 형성된 유면의 기포 생성을 억제시키는 작용을 한다. 잡목재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미만이 될 경우에는 청자 표면에 형성되는 유면에 기포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잡목재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혼합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소나무재 및 참나무재의 혼합량이 적어짐에 따라 청자 표면에 형성된 유면의 균열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상기 잡목재는 느티나무재, 단풍나무재, 밤나무재, 싸리나무재, 볏짚재 또는 억새풀재 중에서 1종 또는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재는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소나무재, 참나무재 및 잡목재를 적절히 혼합하여 유약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상기 유약을 사용하여 청자의 제조시 청자의 표면에 흑점을 형성시켜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장석은 도자기의 성형기물 원료인 점토에 함유된 알루미나 성분과 작용하여 성형기물의 점토에 융착하는 융제작용을 한다. 장석의 혼합량은 30~50 중량%가 바람직하다. 장석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혼합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성형기물의 표면에 유면이 제대로 융착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장석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혼합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청자의 유약의 색깔이 탁해지고 광택이 줄어들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조개 껍질 분말은 900~1,100℃에서 소성시킨 조개 껍질을 분쇄한 것으로, 청자 유면에 광택과 유연성을 부여하는 작용을 한다. 조개 껍질 분말의 혼합량은 20~25 중량%가 바람직하다. 조개 껍질 분말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혼합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청자의 유면에 광택과 유연성이 제대로 부여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조개 껍질 분말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혼합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청자의 소성시 적색 등의 반점이 형성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조개 껍질 분말은 구체적으로 굴 껍질 분말이 바람직하며, 굴 껍질 분말은 청자 유면에 광택과 유연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좋아 청자의 심미감을 더욱 돋우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사양토([沙壤土)는 화강암이 풍화되어 생성된 모래에 진흙이 비교적 적게 섞인 보드라운 흙으로 사토(모래흙)와 양토(참흙)의 중간쯤 되는 토양이다. 보통 '모래 참흙'이라고도 하며, '마사토' 또는 '화강토'라고도 불리운다. 사양토에 함유된 철 성분이 소성시 산화되어 유면에 흑점을 형성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사양토는 구체적으로 양산 통도사 부근에 산재한 사양토, 즉 '통도토'를 사용한다.
사양토의 혼합량은 2~5 중량%가 바람직하다. 사양토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혼합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청자의 유면에 흑점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사양토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혼합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청자의 유면에 흑점이 다량 형성되어 심미감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점토는 진하고 부드러운 재질로서, 유약의 슬립 점도를 조절하고, 유약이 도자기의 표면에 잘 점착되게 하고 가소성을 부여하는 작용을 하므로 도자기의 소지 원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다른 흙과 섞어 사용하면 좋은 발색을 얻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토는 경남 산청 지방의 점토인 '산청토'를 사용한다.
점토의 혼합량은 2~3 중량%가 바람직하다. 점토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혼합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유약의 습립 점도가 낮아 작업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고, 점토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혼합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소성시 자기의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카올린(kaolin)은 고령토, 하동백토라도고 하며, 장석과 석회석을 응집시키며, 투명유에 사용되어 얼룩을 방지하고, 색상이 잘 표현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화학적 성분은 Al2Si2O5(OH)4에 납석이 포함된다. 촉감은 미끌미끌하며 고온에 잘 견뎌 도자기 및 점토 등의 재료가 된다. 이 성분이 많을수록 고온에 견디는 도자기의 재료가 된다. 흡수성이 높기 때문에 달라붙는 성질이 있고, 특유의 냄새를 가진다.
카올린의 혼합량은 1~2 중량%가 바람직하다. 카올린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혼합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청자의 소성시 유면의 내성이 저하되어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카올린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혼합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유약에 의한 광택 및 색상 효과가 크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자용 유약 조성물은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5~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물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 기물에 유약의 시유 작업시 작업효율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장석, 조개 껍질 분말, 사양토, 점토, 카올린은 물에 풀어서 40~80목 크기의 체를 이용하여 한 번 걸러준 후, 체를 통과한 물에 가라앉은 고운 재 및 장석, 조개 껍질 분말, 사양토, 점토, 카올린을 채취하여 사용하며, 구체적으로는 60~80 목의 체에 거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의 구성 성분에 대하여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유약 조성물을 사용하여 청자를 제조할 경우 종래에는 없는 문양의 자기로서, 청자의 전통적인 색상 표면에 흑점을 형성시켜 심미감을 향상시킨 청자의 제조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자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청자용 유약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재 25~35 중량%, 장석 30~50 중량%, 조개 껍질 분말 20~25 중량%, 사양토 2~5 중량%, 점토 2~3 중량% 및 카올린 1~2 중량%를 혼합하는 혼합물 제조단계;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5~15 중량부를 혼합하는 유약 제조단계;를 거쳐 제조되어진다.
상기 혼합물 제조단계는 재 25~35 중량%, 장석 30~50 중량%, 조개 껍질 분말 20~25 중량%, 사양토 2~5 중량%, 점토 2~3 중량% 및 카올린 1~2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혼합물의 구성성분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유약 제조단계는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5~15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로서, 물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 기물에 유약의 시유 작업시 작업효율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아래의 실시 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 예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
(유약 조성물 1)
재 35 중량%, 장석 30 중량%, 조개 껍질 분말 25 중량%, 사양토(통도 사양토) 5 중량%, 점토(산청토) 3 중량% 및 카올린 2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5 중량부를 혼합하여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유약 조성물 1에서 사용한 재는 소나무재 60 중량부, 참나무재 25 중량부 및 잡목재인 싸리나무재 15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본 유약 조성물 1에서 사용한 재는 60 목 크기의 체를 이용하여 잿물이 빠지도록 5회 거른 것을 사용하였고, 장석, 굴 껍질 분말, 사양토, 점토, 카올린은 물에 풀어서 80 목 크기의 체를 이용하여 한 번 걸러준 후, 체를 통과한 물에 가라앉은 고운 재 및 장석, 조개 껍질 분말, 사양토, 점토, 카올린을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굴 껍질 분말은 900℃에서 소성시켜 분쇄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약 조성물 2)
재 25 중량%, 장석 50 중량%, 조개 껍질 분말 20 중량%, 사양토(통도 사양토) 2 중량%, 점토(산청토) 2 중량% 및 카올린 1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유약 조성물 2에서 사용한 재는 소나무재 70 중량부, 참나무재 20 중량부 및 잡목재인 밤나무재 10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본 유약 조성물 2에서 사용한 재는 60 목 크기의 체를 이용하여 잿물이 빠지도록 5회 거른 것을 사용하였고, 장석, 굴 껍질 분말, 사양토, 점토, 카올린은 물에 풀어서 80 목 크기의 체를 이용하여 한 번 걸러준 후, 체를 통과한 물에 가라앉은 고운 재 및 장석, 조개 껍질 분말, 사양토, 점토, 카올린을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굴 껍질 분말은 900℃에서 소성시켜 분쇄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약 조성물 3)
재 30 중량%, 장석 30 중량%, 조개 껍질 분말 30 중량%, 사양토(통도 사양토) 1 중량%, 점토(산청토) 4 중량% 및 카올린 5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5 중량부를 혼합하여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유약 조성물 3에서 사용한 재는 소나무재 70 중량부, 참나무재 30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본 유약 조성물 3에서 사용한 재는 60 목 크기의 체를 이용하여 잿물이 빠지도록 5회 거른 것을 사용하였고, 장석, 굴 껍질 분말, 사양토, 점토, 카올린은 물에 풀어서 80 목 크기의 체를 이용하여 한 번 걸러준 후, 체를 통과한 물에 가라앉은 고운 재 및 장석, 조개 껍질 분말, 사양토, 점토, 카올린을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굴 껍질 분말은 900℃에서 소성시켜 분쇄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약 조성물 4)
재 40 중량%, 장석 45 중량%, 조개 껍질 분말 10 중량%, 사양토(통도 사양토) 2 중량%, 점토(산청토) 2 중량% 및 카올린 1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유약 조성물 4에서 사용한 재는 소나무재 50 중량부, 참나무재 50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본 유약 조성물 4에서 사용한 재는 60 목 크기의 체를 이용하여 잿물이 빠지도록 5회 거른 것을 사용하였고, 장석, 굴 껍질 분말, 사양토, 점토, 카올린은 물에 풀어서 80 목 크기의 체를 이용하여 한 번 걸러준 후, 체를 통과한 물에 가라앉은 고운 재 및 장석, 조개 껍질 분말, 사양토, 점토, 카올린을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굴 껍질 분말은 900℃에서 소성시켜 분쇄한 것을 사용하였다.
2.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의 제조
(실시예 1)
찬 그릇 형상의 성형기물을 가마에 넣고 1,250℃의 온도로 12시간 소성하고 실온에서 12시간 서냉시키는 1차 소성 후, 성형기물의 표면에 유약 조성물 1을 건조 후의 두께가 약 1.0mm가 되도록 도포하고 도자기를 1,240℃로 12시간을 소성하여 실온에서 24시간의 냉각시간을 갖는 2차 소성하여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유약 조성물 2를 성형기물의 표면에 도포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소성하여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유약 조성물 3을 성형기물의 표면에 도포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소성하여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유약 조성물 4를 성형기물의 표면에 도포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소성하여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를 제조하였다.
3.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의 평가
상기 1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기 2의 방법에 의해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 표면의 흑점 문양, 색상에 대한 심미감을 관능법에 의해 평가한 결과는 아래 [표 1]의 내용과 같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1 2
흑점 문양 4.8 4.7 3.3 3.5
색상 4.5 4.7 3.5 3.7
(평가방법)
성인 남녀 각 10명씩을 선발하여 청자 표면의 흑점 문양과 색상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합산한 값을 20으로 나눈 정수값으로 평가함
흑점 문양(기준 : 자연스런 선명한 문양) : 양호 5, 보통 3, 불량 1
색상(기준 :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색상) : 양호 5, 보통 3, 불량 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약 조성물 1 및 2를 사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1 및 2의 청자는 도 4 및 도 5에 게재된 사진의 형상과 같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사진의 형상과 같이 비교예 1, 2의 청자에 비해 청자 표면의 흑점 문양 및 색상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의 청자는 도 4 및 도 5에 게재된 사진의 형상과 같이 청자 표면의 흑점 문양 및 색상이 우수한 심미감을 나타내는데 반해, 특허문헌 1 내지 3의 자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사진의 형상과 같이 실시예 1 및 2의 청자와는 전혀 상이한 심미감을 갖는 외관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실시예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을 이용하여 청자의 제조시에는 종래의 자기와는 달리 청자 표면의 흑점 문양 및 색상이 우수하여 심미감이 한층 더 돋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재 25~35 중량%, 장석 30~50 중량%, 조개 껍질 분말 20~25 중량%, 사양토 2~5 중량%, 점토 2~3 중량% 및 카올린 1~2 중량%를 혼합하는 혼합물 제조단계;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5~15 중량부를 혼합하는 유약 제조단계;
    를 거쳐 제조하되,
    상기 재는 물에 담그고 1~2일이 경과한 다음 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 실시한 다음 60~100 목의 체에 거른 재로서, 상기 재는 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나무재 60~70 중량부, 참나무재 20~25 중량부 및 잡목재 10~15 중량부이며,
    상기 조개 껍질 분말은 900~1,100℃에서 소성시킨 조개 껍질을 분쇄한 것이며,
    상기 장석, 조개 껍질 분말, 사양토, 점토, 카올린은 물에 풀어서 60~80목 크기의 체를 이용하여 한 번 걸러준 후, 체를 통과한 물에 가라앉은 고운 재 및 장석, 조개 껍질 분말, 사양토, 점토, 카올린을 채취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삭제
KR1020150058127A 2015-04-24 2015-04-24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801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127A KR101801172B1 (ko) 2015-04-24 2015-04-24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127A KR101801172B1 (ko) 2015-04-24 2015-04-24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704A KR20160126704A (ko) 2016-11-02
KR101801172B1 true KR101801172B1 (ko) 2017-11-24

Family

ID=57518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127A KR101801172B1 (ko) 2015-04-24 2015-04-24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1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329B1 (ko) * 2018-03-12 2019-11-01 박병호 밤 껍질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439953B (zh) * 2018-05-10 2020-09-01 福建省开河窑建盏文化发展有限公司 传统黑釉银油滴建盏的烧制方法
KR102138703B1 (ko) * 2018-10-16 2020-07-28 김진욱 찔레꽃나무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8702B1 (ko) * 2018-10-16 2020-08-11 김진욱 산딸기나무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9041B1 (ko) * 2018-11-26 2020-11-16 유용철 밤송이 재를 포함하는 유약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 방법
CN111943723B (zh) * 2020-07-30 2022-06-21 佛山欧神诺陶瓷有限公司 绸缎质感的陶瓷釉料、制备方法及使用其的陶瓷岩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931B1 (ko) * 2012-09-21 2013-07-01 (주)에릭스 하면, 측면 및 내면의 세가지 부위별 색상이 다른 요변 도자기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요변 도자기 및 이를 이용한 결착식 밀폐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053B1 (ko) 2006-03-29 2007-09-14 신규식 결정체를 형성시키는 유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43721B1 (ko) 2008-12-30 2011-06-22 신규식 흑색 결정체를 형성하는 도자기용 유약조성물
KR101275348B1 (ko) 2011-09-26 2013-06-17 김갑용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청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931B1 (ko) * 2012-09-21 2013-07-01 (주)에릭스 하면, 측면 및 내면의 세가지 부위별 색상이 다른 요변 도자기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요변 도자기 및 이를 이용한 결착식 밀폐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704A (ko)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172B1 (ko)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384251B1 (ko) 콩깍지 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
CN104030733B (zh) 宋官月白哥窑瓷器及其制备方法
CN103288422B (zh) 一种紫泥陶茶具的制备方法
CN106673437B (zh) 一种高硬度开片釉瓷器的制备方法
KR101285122B1 (ko) 대나무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08350B1 (ko) 지렁이 분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24594B1 (ko) 표피문양이 형성된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CN104844153A (zh) 抗热震性良好的耐热养生坭兴陶泥料及用其制成耐热养生壶的方法
CN104860651A (zh) 生态养生坭兴陶泥料及用其制作生态养生水杯的工艺
KR102196349B1 (ko) 낙엽재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CN107986747B (zh) 无釉装饰的自然裂纹陶瓷制品及其制作工艺
CN104829213A (zh) 一种以大球泥为主要原料的瓷器配方
KR102016467B1 (ko) 땅콩껍질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95106A (ko) 비산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61546A (ko) 누에 분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45174B1 (ko) 고풍스러운 느낌을 주는 점토벽돌과 점토바닥벽돌 및 그 제조방법
CN110790509A (zh) 一种网格纹釉及其制备方法
KR101374850B1 (ko) 다공성 소지를 이용한 연리문 도자기 제조방법
KR20070024444A (ko) 백색 내열 유약조성물
KR102382086B1 (ko)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73791B1 (ko) 화산암재를 이용한 도자기 소지 조성물
KR20120034263A (ko) 도자기 표면장식의 심미성 향상을 위한 흑화장토
KR101749624B1 (ko) 황토가 함유된 식기용 경질도자기 소지 제조방법
KR101106364B1 (ko) 뚝배기용 소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뚝배기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