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670B1 - 삼작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삼작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670B1
KR101191670B1 KR1020120056948A KR20120056948A KR101191670B1 KR 101191670 B1 KR101191670 B1 KR 101191670B1 KR 1020120056948 A KR1020120056948 A KR 1020120056948A KR 20120056948 A KR20120056948 A KR 20120056948A KR 101191670 B1 KR101191670 B1 KR 101191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aid
pattern
white
black
c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민
Original Assignee
이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민 filed Critical 이승민
Priority to KR1020120056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6Inlaying with ornamental structures, e.g. niello work, tarsia work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토질 기재의 도자기 성형기물의 외면에 빗살 상감 문양을 조각한 후,이 상감 문양에 백 상감분을 덧칠하여 입사한 다음 백 상감 문양 부분을 칼로 긁어내고, 다시 빗살 상감 문양을 조각한 다음 흑 상감분을 덧칠하여 입사한 다음 빗살 상감 문양을 조각한 성형기물을 소성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작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흑 상감분인 흑백토(黑白土)의 흑색 선각 빗살 문양의 바탕에 성형기물 기재의 점토 혼합물 색상의 선각 빗살 문양과, 백 상감분인 백토의 백색 선각 빗살 문양의 3 색상 선각 빗살 문양이 입체적으로 연출됨으로써 삼작 상감 도자기의 예술감을 최대한 승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장점이다.

Description

삼작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three color damascene work ceramics}
본 발명은 점토질 기재의 도자기 성형기물의 외면에 빗살 상감 문양을 조각한 후,이 상감 문양에 백 상감분을 덧칠하여 입사한 다음 백 상감 문양 부분을 칼로 긁어내고, 다시 빗살 상감 문양을 조각한 다음 흑 상감분을 덧칠하여 입사한 다음 빗살 상감 문양을 조각한 성형기물을 소성하여 도자기를 제조함으로써, 흑 상감 빗살 문양 사이로 백 상감 빗살 문양이 입체적으로 우러나와 예술감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작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감기법은 도자기를 꾸미는 기법의 하나로 자기가 마르지 않았을 때 문양을 음각(陰刻)하고, 그 부분에 백토(白土), 또는 자토(裏土)를 메꾸고 예번(豫燔)한 다음 다시 청자유(靑瓷釉)를 바르고 본번(本燔)하는 자기(瓷器) 장식기법으로 12세기 전반부터 고려청자에 상감기법이 사용되었다.
최근 이러한 상감기법을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은 고려시대의 상감청자를 재현하는 수준에 지나지 않으며, 새로운 상감기법이 제대로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상감기법을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에 대한 특허로서, 특허문헌 1에 문양동판을 한지 위에 놓고 상감재료를 문양구멍에 매입하여 한지에 상감문양을 형뜨기하고 한지의 상감 문양을 성형된 반제품 표면에 착접하여 물붓으로 늘려준 후 한지만을 떼어내어 상감문양이 제품표면에 착접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 도자기문양의 양각상감 성형방법과, 특허문헌 2에 생활 도자기로서 표면장식 전사지를 반제품 기물 표면에 부착해 전사기법에 의한 상감청자효과를 내는 청자 위생 도기의 제조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들의 경우에는 한지 또는 전사지를 성형기물에 부착시켜 상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자연스럽게 형성시킨 상감 문양이라기보다는 기계적으로 형성시킨 상감 문양으로, 상감 문양의 고유한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992-0009737호(도자기문양의 양각상감 성형방법) 특허문헌 2 :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0758931호(전사기법에 의한 상감청자효과를 내는 청자 위생도기 제조방법)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은 점토질 기재의 도자기 성형기물의 외면에 빗살 상감 문양을 조각한 후,이 상감 문양에 백 상감분을 덧칠하여 입사한 다음 백 상감 문양 부분을 칼로 긁어내고, 다시 빗살 상감 문양을 조각한 다음 흑 상감분을 덧칠하여 입사한 다음 빗살 상감 문양을 조각한 성형기물을 소성하여 도자기를 제조함으로써, 흑 상감분인 흑백토(黑白土)의 흑색 선각 빗살 문양의 바탕에 성형기물 기재의 점토 혼합물 색상의 선각 빗살 문양과, 백 상감분인 백토의 백색 선각 빗살 문양의 3 색상 선각 빗살 문양이 입체적으로 연출됨으로써 삼작 상감 도자기의 예술감을 최대한 승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작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토련한 점토 혼합물을 사용하여 도자기 형상의 성형기물을 성형하는 성형기물 제작 단계(S100)와,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성형기물의 외부 면에 상감 문양을 조각하는 1차 문양 형성 단계(S200)와,
1차 문양이 형성된 성형기물의 외부 면에 백 상감분을 덧칠하여 입사하는 1차 덧칠 단계(S300)와,
1차 덧칠된 성형기물을 1.0~1.5 시간 건조시킨 후, 백 상감 부분을 칼로 긁어내고 다시 상감 문양을 조각하는 2차 문양 형성 단계(S400)와,
2차 문양이 형성된 성형기물의 외부 면에 흑 상감분을 덧칠하여 입사하는 2차 덧칠 단계(S500)와,
2차 덧칠된 성형기물을 1.0~1.5 시간 건조시킨 후, 흑 상감 부분을 칼로 긁어내어 외부 면을 고르는 표면처리 단계(S600)와,
표면처리한 성형기물을 700~900℃에서 8~10 시간 동안 소성하는 초벌구이 단계(S700) 및,
초벌구이한 성형기물의 외부 면에 유약을 시유한 다음 1,230~1,250℃에서 10~12 시간 동안 소성하는 재벌구이 단계(S800),
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작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상기에서 점토 혼합물은 분청토와 백토를 65~75 부피% 대 25~35 부피%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표면처리 단계(S600)에서 흑 상감 부분을 칼로 긁어내어 외부 면을 고르면 흑상감 색상 바탕의 문양 사이로 성형기물 기재 색상 문양과 백상감 색상 문양이 선각 빗살 문양으로 드러나며,
상기 백 상감분은 백토이고, 흑 상감분은 흑백토(자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흑 상감분인 흑백토(黑白土)의 흑색 선각 빗살 문양의 바탕에 성형기물 기재의 점토 혼합물 색상의 선각 빗살 문양과, 백 상감분인 백토의 백색 선각 빗살 문양의 3 색상 선각 빗살 문양이 입체적으로 연출됨으로써 삼작 상감 도자기의 예술적 가치를 최대한 승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장점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작 상감 도자기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분청토와 백토의 혼합 질점토을 사용하여 도자기 성형기물을 제작한 상태를 찍은 사진.
도 3은 도 2의 성형기물의 외면에 선각 빗살 상감 문양을 조각한 상태를 찍은 사진.
도 4는 도 3의 성형물의 외부 면에 백 상감분을 덧칠하여 입사한 상태를 찍은 사진.
도 5는 도 4의 성형기물을 건조시킨 후 백 상감 부분을 칼로 긁어내고, 다시 선각 빗살 상감 문양을 조각한 상태를 찍은 사진.
도 6은 도 5의 성형기물에 흑 상감분을 덧칠하여 입사한 상태를 찍은 사진.
도 7은 도 6의 성형기물을 건조시킨 후 흑 상감 부분을 칼로 긁어낸 상태를 찍은 사진.
도 8은 도 7의 성형기물을 건조시킨 후 1, 2차 소성을 거친 상태를 찍은 사진.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삼작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 설명하되,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삼작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질점토 도자기 성형기물의 외면에 빗살 상감 문양을 조각한 후,이 상감 문양에 백 상감분을 덧칠하여 입사한 다음 백 상감 문양 부분을 칼로 긁어내고, 다시 빗살 상감 문양을 조각한 다음 흑 상감분을 덧칠하여 입사한 다음 빗살 상감 문양을 조각한 성형기물을 소성하여 도자기를 제조함으로써, 흑 상감 빗살 문양 사이로 백 상감 빗살 문양이 우러나와 예술 감이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삼작 상감 도자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삼작 상감 도자기는 선각 빗살 상감 문양이 조각된 점토 혼합물 기재의 성형기물과,
상기 성형기물의 외부 면에 백상감 문양이 형성된 백상감 문양층과,
상기 백상감 문양층의 외부 면에 흑상감 문양이 형성된 흑상감 문양층,
을 포함하고,
상기 흑상감 색상 바탕의 문양 사이로 성형기물 기재 색상 문양과 백상감 색상 문양이 드러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삼작 상감 도자기의 '삼작(三作)'이라 함은 도자기의 표면에서 성형기물 기재의 점토 색상과 백상감의 백토 색상과 흑상감의 흑백토(자토)의 색상과 같이 도자기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3 색상이 조화롭게 변색되어 외부로 연출되는 기법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점토은 토련한 분청토와 백토를 65~75 부피% 대 25~35 부피%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여 도자기 형상의 성형기물을 제작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분청토(粉靑土)는 청자토에 비해 철분의 양이 많고, 입자도 상대적으로 거친 점토로서, 소성시 1,230~1,250℃에서 산화 및 환원 작용을 하여 갈색을 나타내는 점토이다. 본 발명에서 분청토의 혼합량이 65 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소성 후 분청토의 색상인 갈색의 빛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분청토의 혼합량이 7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백토의 혼합량에 비해 분청토의 적정 혼합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지게 되어 백토의 백색 색상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리고 백토(白土)는 백선토(白善土) 또는 백악(百惡)이라 하며, 백자 도자기의 원료로서 백자용 점토 또는 고령토를 지칭하며, 순백색이며, 약간의 회색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높은 온도로 소성시키면 흰색이 되는 점토이다. 본 발명에서 백토의 혼합량이 25 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소성 후 백토의 색상인 백색의 빛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백토의 혼합량이 3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분청토의 혼합량에 비해 백토의 적정 혼합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지게 되어 분청토의 갈색 색상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백토는 구체적으로는 하동백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백상감 문양과 흑상감 문양은 각각 선각 빗살 문양으로 형성시킨다. 본 발명에서 '선각(線刻) 빗살 문양'이라 함은 도자기 형성의 성형기물에 빗살 문양을 선처럼 파서 새긴 무늬를 의미한다.
따라서, 백상감 문양층의 표면에 성형기물 기재의 점토 색상이 나타나며, 이 외부에 흑 상감분을 덧칠한 다음 선각 빗살 문양을 형성시키면, 흑 상감분인 흑백토(黑白土)의 흑색 선각 빗살 문양의 바탕에 성형기물 기재의 점토 혼합물 색상의 선각 빗살 문양과, 백 상감분인 백토의 백색 선각 빗살 문양의 3 색상 선각 빗살 문양이 입체적으로 연출된다.
이하, 상기에서 설명한 바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삼작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을 도 1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삼작 상감 도자기는 토련한 점토을 혼합하여 도자기 형상의 성형기물을 성형하는 성형기물 제작 단계(S100)와,
상기 성형기물의 외부 면에 상감 문양을 조각하는 1차 문양 형성 단계(S200)와,
1차 문양이 형성된 성형기물의 외부 면에 백 상감분을 덧칠하여 입사하는 1차 덧칠 단계(S300)와,
1차 덧칠된 성형기물을 1.0~1.5 시간 건조시킨 후, 백 상감 부분을 칼로 긁어내고 다시 상감 문양을 조각하는 2차 문양 형성 단계(S400)와,
2차 문양이 형성된 성형기물의 외부 면에 흑 상감분을 덧칠하여 입사하는 2차 덧칠 단계(S500)와,
2차 덧칠된 성형기물을 1.0~1.5 시간 건조시킨 후, 흑 상감 부분을 칼로 긁어내어 외부 면을 고르는 표면처리 단계(S600)와,
표면처리한 성형기물을 700~900℃에서 8~10 시간 동안 소성하는 초벌구이 단계(S700) 및,
초벌구이한 성형기물의 외부 면에 유약을 시유한 다음 1,230~1,250℃에서 10~12 시간 동안 소성하는 재벌구이 단계(S800),
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삼작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을 하기의 실시 예를 통해 첨부된 도면인 도 2 내지 도 8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 예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 도자기 형상의 성형기물 제작
도 2에 게재된 사진의 형상과 같이, 토련한 분청토와 하동백토를 65~75 부피% 대 25~35 부피%를 혼합한 점토 혼합물을 사용하여 도자기 형상으로 성형기물을 제작한 다음 성형기물 바닥 면의 굽을 고르게 깍아낸다.
이때 상기 점토 혼합물은 물과 적절히 혼합하여 물레성형이 용이하도록 잘 반죽한다.
2. 1차 문양 형성
도 3에 게재된 사진의 형상과 같이, 성형기물에 칼질을 하여 선각 빗살 상감 문양이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조각한다.
3. 1차 덧칠
도 4에 게재된 사진의 형상과 같이, 선각 빗살 상감 문양을 형성한 조각 부분에 백 상감분을 붓으로 칠하여 입사하여, 문양 조각 부분을 메운다. 이 단계에서 사용하는 백 상감분은 백토를 사용한다.
4. 2차 문양 형성
도 5에 게재된 사진의 형상과 같이, 선각 빗살 상감 문양을 형성한 조각 부분에 백 상감분을 메운 뒤 약 1.0~1.5 시간 건조시킨 후, 백 상감 부분을 칼로 긁어내고 다시 빗살 상감 문양을 조각하여 2차 문양을 형성시킨다. 이 단계에서 성형기물의 건조시간이 1.0 시간 미만이 될 경우에는 칼로 긁어쓸때 문양이 지워질 우려가 있고, 성형기물의 건조시간이 1.5 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칼로 긁어쓸때 문양이 잘나타나지 않을 우려가 있다.
5. 2차 덧칠
도 6에 게재된 사진의 형상과 같이, 2차 문양이 형성된 성형기물의 외부 면에 흑 상감분을 전체적으로 2차 덧칠한다. 이 단계에서 사용하는 흑 상감분은 짙은 흑색깔을 띄는 흑백토(자토, 爪土)를 사용한다.
6. 표면처리
도 7에 게재된 사진의 형상과 같이, 성형기물에 흑 상감분을 덧칠한 다음 약 1.0~1.5 시간 건조시킨 후, 흑 상감 부분을 칼로 긁어내어 외부 면을 고르게 표면처리한다. 이 단계에서 성형기물의 건조시간이 1.0 시간 미만이 될 경우에는 칼로 긁어쓸때 문양이 지워질할 우려가 있고, 성형기물의 건조시간이 1.5 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칼로 긁어쓸때 문양이 잘나타나지 않을 우려가 있다.
7. 초벌구이
도 8에 게재된 사진의 형상과 같이, 표면처리한 성형기물을 700~900℃에서 8~10 시간 동안 초벌구이로 1차 소성시킨다. 이 단계에서 성형기물의 소성온도 및 소성시간이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 미만이 될 경우에는 유약 시유를 할때 기물이 부서질 우려가 있고, 성형기물의 소성온도 및 소성시간이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유약 시유 할때 유약의 시유가 잘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8. 재벌구이
1차 소성한 성형기물에 유약을 시유한 다음 1,230~1,250℃에서 10~12 시간 동안 재벌구이로 2차 소성시켜 삼작 상감 도자기를 제조한다. 이 단계에서 성형기물의 소성온도 및 소성시간이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 미만이 될 경우에는 유약이 잘녹지 않아 문양이 나타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성형기물의 소성온도 및 소성시간이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기물 표면이 온도가 높아 부푸는 우려가 있다.
상기의 실시 예와 같은 단계를 거쳐 제조한 삼작 상감 도자기는 도 8에 게재된 사진의 형상과 같이 흑 상감분인 흑백토(黑白土)의 흑색 선각 빗살 문양의 바탕에 성형기물 기재의 점토 혼합물 색상의 선각 빗살 문양과, 백 상감분인 백토의 백색 선각 빗살 문양의 3 색상 선각 빗살 문양이 입체적으로 연출됨으로써 삼작 상감 도자기의 예술감을 최대한 승화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삼작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토련한 점토 혼합물을 사용하여 도자기 형상의 성형기물을 성형하는 성형기물 제작 단계(S100)와,
    상기 성형기물의 외부 면에 상감 문양을 조각하는 1차 문양 형성 단계(S200)와,
    1차 문양이 형성된 성형기물의 외부 면에 백 상감분을 덧칠하여 입사하는 1차 덧칠 단계(S300)와,
    1차 덧칠된 성형기물을 1.0~1.5 시간 건조시킨 후, 백 상감 부분을 칼로 긁어내고 다시 상감 문양을 조각하는 2차 문양 형성 단계(S400)와,
    2차 문양이 형성된 성형기물의 외부 면에 흑 상감분을 덧칠하여 입사하는 2차 덧칠 단계(S500)와,
    2차 덧칠된 성형기물을 1.0~1.5 시간 건조시킨 후, 흑 상감 부분을 칼로 긁어내어 외부 면을 고르는 표면처리 단계(S600)와,
    표면처리한 성형기물을 700~900℃에서 8~10 시간 동안 소성하는 초벌구이 단계(S700) 및,
    초벌구이한 성형기물의 외부 면에 유약을 시유한 다음 1,230~1,250℃에서 10~12 시간 동안 소성하는 재벌구이 단계(S800),
    를 거쳐 제조되되,
    상기 점토 혼합물은 분청토와 백토를 65~75 부피% 대 25~35 부피%를 혼합한 혼합물로서,
    상기 백 상감분은 백토이고, 흑 상감분은 흑백토(자토)이며,
    상기 표면처리 단계(S600)에서 흑 상감 부분을 칼로 긁어내어 외부 면을 고르면 흑상감 색상 바탕의 문양 사이로 성형기물 기재 색상 문양과 백상감 색상 문양이 선각 빗살 문양으로 드러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작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0056948A 2012-05-29 2012-05-29 삼작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1191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948A KR101191670B1 (ko) 2012-05-29 2012-05-29 삼작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948A KR101191670B1 (ko) 2012-05-29 2012-05-29 삼작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1670B1 true KR101191670B1 (ko) 2012-10-19

Family

ID=47288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948A KR101191670B1 (ko) 2012-05-29 2012-05-29 삼작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6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568A (ko) * 2018-10-10 2020-04-20 유미숙 분청혼합소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0498A (ja) 2000-11-27 2002-06-04 Isao Nogami 象嵌手法による絵陶器
KR100342996B1 (ko) 2001-03-02 2002-07-05 이학천 다중분장칠에 의한 자기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0498A (ja) 2000-11-27 2002-06-04 Isao Nogami 象嵌手法による絵陶器
KR100342996B1 (ko) 2001-03-02 2002-07-05 이학천 다중분장칠에 의한 자기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568A (ko) * 2018-10-10 2020-04-20 유미숙 분청혼합소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8096B1 (ko) 2018-10-10 2021-01-27 유미숙 분청혼합소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88777B (zh) 一种陶瓷雕刻工艺
CN103833423A (zh) 一种陶瓷砖制备方法及其产品
KR100774295B1 (ko)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 방법
CN101054043B (zh) 一种立体瓷板画的制作工艺
CN108117413A (zh) 陶瓷砖的制造方法及一种陶瓷砖
CN104591786A (zh) 一种具有渗透层的陶瓷薄板的制造方法
CN104591805B (zh) 一种防污效果好的陶瓷薄板的制造方法
KR101138140B1 (ko) 도자기의 페인팅 방법
CN103497007A (zh) 一种带有散布型闪粉的瓷砖及其制造方法
KR101191670B1 (ko) 삼작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
CN103922781B (zh) 一种金属与青瓷结合烧制的工艺
CN1865026A (zh) 一种在陶瓷制品上形成浮雕图案效果的制作方法
KR101275216B1 (ko) 입체문양이 표현된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1308525B1 (ko) 다양한 색상이 표출되는 도자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도자기
KR101191672B1 (ko) 삼작 선각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1569971B1 (ko) 도자기의 표면 장식방법
CN103497005B (zh) 一种带有凝聚型闪粉的瓷砖及其制造方法
KR100751255B1 (ko) 칠기 도자기에 나뭇잎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KR100584036B1 (ko) 금분을 이용한 분청사기의 제조방법
KR100342996B1 (ko) 다중분장칠에 의한 자기 제조방법
CN104609895A (zh) 一种具有立体装饰效果的陶瓷薄板的制造方法
KR100927053B1 (ko) 수금 빗살무늬의 청자 도자기의 제조방법
KR20180064946A (ko) 유약 조성물 및 제조 방법
KR20100048839A (ko)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용 프레스 금형
KR100476114B1 (ko) 하얀 도자기 표면에 사쿠라 꽃, 단풍잎 같은 다양한 붉은 반점을 갖는 도자기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