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4295B1 -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 방법 - Google Patents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295B1
KR100774295B1 KR1020060047272A KR20060047272A KR100774295B1 KR 100774295 B1 KR100774295 B1 KR 100774295B1 KR 1020060047272 A KR1020060047272 A KR 1020060047272A KR 20060047272 A KR20060047272 A KR 20060047272A KR 100774295 B1 KR100774295 B1 KR 100774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porcelain
embossed
mold
po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안
Original Assignee
장영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안 filed Critical 장영안
Priority to KR1020060047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B28B11/0863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for profiling, e.g. making groo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0Drying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04B33/34Burning methods combined with glaz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자기의 표면에 무늬, 모양, 그림, 글씨등의 양각문양(상감, 백상감)을 형성하는 도자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자기를 성형할 수 있도록 흙 재료를 선별하여 반죽하고, 반죽된 흙으로 일정한 형상을 갖는 도자기를 성형한 후 8∼24시간 건조하는 공정과; 상기 건조된 도자기 표면에 형성되는 문양을 갖는 금형의 문양부에 탈형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탈형제가 도포 된 금형의 문양부에 준비된 도자기 재료의 반죽된 백자토을 넣고 다짐한 후 이탈시켜 상감 또는 백상감의 양각문양을 형성하는 공정과; 금형으로부터 이탈된 양각문양의 접촉 면에 물을 바른 후 도자기 표면에 접착하고 접착된 테두리를 칼로 다듬어 양각문양을 형성하는 공정과; 표면에 양각문양이 형성된 도자기를 응달에서 3∼7일간 건조하는 공정과; 건조된 도자기를 12시간 동안 900℃로 가열한 후 1일간 건조하는 초벌구이공정과; 초벌구이 된 도자기에 유약을 도포·건조한 후 12시간 동안 1235∼1240℃로 가열한 후 연속하여 14시간 동안 1200∼1220℃로 가열시켜 재벌구이하는 공정으로써, 본 발명은 도자기 표면에 설치되는 양각문양을 정교하고 세밀하게 형성하여 도자기의 품질을 향상 시키고, 표면에 조각하는 문양을 금형으로 성형하여 부착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더욱 향상된 예술작품을 만들 수 있도록 한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자기, 양각문양, 금형, 탈형제, 상감, 백상감

Description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 방법{A method of raised pattern forming for pottery}
도 1은 본 발명의 도자기 표면에 양각문양을 성형하는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금형을 이용하여 양각문양을 성형하는 예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실시된 도자기의 양각문양을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도자기 11:양각문양
12:금형 13:문양부
본 발명은 도자기의 표면에 무늬, 모양, 그림, 글씨등의 양각문양(상감, 백상감)을 형성하는 도자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자기를 성형한 후 표면에 문양 및 문자를 성형시 금형을 이용하여 양각문양 또는 양각문자를 형성하여 간단 용이하게 도자기 표면에 부착시켜 상감문양을 갖는 도자기를 성형함과 동시에 고품질의 도자기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도자기의 양각문양 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도자기 제작방법은 고령토, 점토, 사토 및 황토를 섞어서 반죽한 뒤, 이 반죽물을 수작업 또는 형틀을 이용하여 성형하고, 도자기 표면에 무늬모양을 성형한 후 성형물을 800℃ ∼ 950℃의 온도로 초벌구이하며, 초벌구이를 실시한 성형물을 유약으로 표면에 도포 처리하여 건조한 후에 다시 1150℃ ∼ 1300℃의 온도로 재벌구이를 실시하여 완성된 도자기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기존의 도자기 제조방법은 도자기 표면에 음각무늬 또는 음각 문자를 형성하는 것은 용이하나, 도자기 표면에 양각문양과 양각 문자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과 많은 노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상당한 기간의 숙련과정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원 출원인이 선 출원등록한 제10-0381916호를 살펴보면, 도자기의 표면에 양각문양 및 양각문자를 형성하는 도자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흙으로 성형 된 도자기를 표면이 촉촉한 정도가 되도록 2∼8시간 동안 음지에서 건조하는 준비공정과, 석고로 도자기 표면에 형성하고자 하는 문양이나 문자를 음각으로 성형하여 형틀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석고 형틀에 도자기 재료와 동일한 반죽 흙을 채우는 공정과, 상기 성형하여 준비된 도자기 표면의 무늬 및 문자를 형성하고자하는 위치에 흙물을 칠한 후 반죽 흙이 채워진 면이 접촉되도록 석고형틀을 대응시켜 문양 및 문자를 도자기 표면에 양각으로 형성하여 그 작업공정을 간단 용이토록 하고 고품질의 도자기를 대량생산할 수 있도록 된 도자기의 양각문양 및 문자 성형 방법을 제공한바 있다.
그러나 선 출원등록한 제10-0381916호는 양각문양의 형틀이 석고형틀로 이루어져 있는 관계로 문양의 선과 홈 부분에 세밀함과 정밀함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동일한 문양의 크기를 소형부터 대형까지 각각의 형틀을 만들어 사용해야 함으로써 석고형틀을 관리 취급하기에 매우 불편하고 부주의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도자기 외면에 형성되는 문양을 만들 수 있는 갖는 금형을 제작하여 도자기 성형시 표면에 형성할 양각문양을 금형으로 제작하여 접착방식으로 부착함으로 도자기의 양각문양을 간단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과, 도자기 표면에 설치되는 양각문양을 정교하고 세밀하게 형성하여 도자기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목적과, 표면에 조각하는 문양을 금형으로 성형하여 부착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더욱 향상된 예술작품을 만들 수 있도록 함으로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통상의 방법으로 도자기를 성형하여 응달에서 촉촉하도록 건조한 후 건조된 도자기 표면에 금형으로 형성한 양각문양을 부착시켜 완전히 굳도록 건조하며, 건조된 도자기에 유약을 도포하여 초벌구이와 재벌구이를 하여 도자기를 완성함으로써, 상감 또는 백상감 문양을 갖는 고품질의 도자기를 간단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청토, 백자토, 청자토 등을 이용하여 반죽공정, 성형공정, 건조공정 한 다음 문양을 형성하여 초벌구이 공정, 유약도포 공정, 건조공정, 재벌구이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도자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도자기를 성형할 수 있도록 흙 재료를 선별하여 반죽하고, 반죽된 흙으로 일정한 형상을 갖는 도자기를 성형한 8∼24시간 건조하는 공정과;
상기 건조된 도자기 표면에 형성되는 문양을 갖는 금형의 문양부에 탈형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탈형제가 도포된 금형의 문양부에 도자기 재료로 준비하여 반죽 된 백자토을 넣고 다짐한 후 이탈시켜 상감 또는 백상감의 양각문양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금형으로부터 이탈된 양각문양의 접촉면에 물을 바른 후 도자기 표면에 접착하고 접착된 테두리를 칼로 다듬어 양각문양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표면에 양각문양이 형성된 도자기를 응달에서 3∼7일간 건조하는 공정과;
상기 건조된 도자기를 12시간 동안 900℃로 가열한 후 1일간 서서히 식히는 초벌구이공정과;
상기 초벌구이 된 도자기에 유약을 도포·건조한 후 12시간동안 1235∼1240℃로 가열한 후 연속하여 14시간 동안 1200∼1220℃로 가열시켜 재벌구이하는 공정으로 도자기의 양각문양 성형 방법이 이루어진다.
상기 양각문양(11)은 금형(12)을 이용하여 하나의 금형에 작은 양각문양 부터 큰 양각문양까지 문양부(13)가 형성되어 다양한 규격의 양각문양(11)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탈형제는 콩기름, 들기름, 식용유, 세제액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도자기 성형방법에 대한 공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공정 : 기본 도자기 성형
본 발명에서 도자기(10)를 성형함에 있어서 도자기의 재료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분청토, 백자토, 청자토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 고령토, 점토, 백토 등 모든 도자기 재료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도자기 제작과정에 적용할 수 있으나, 특히 청자와 같은 고급도자기에 적용하는 것이며, 또한 표면에 형성되는 상감 또는 백상감의 양각문양(11)을 간단 용이하게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청자, 백자, 분청사기를 성형할 수 있는 도자기의 재료를 선택하여 도자기(10)를 성형할 수 있도록 반죽된 흙을 준비한다.
상기와 같이 반죽이 준비되면 통상의 도자기 제조방법과 같이 물레에 올려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거나 또는 성형 틀에 넣고 만들고자하는 도자기를 성형한 후 공기유통이 잘 이루어지는 응달에서 8∼24시간 동안 건조한다.
상기 성형된 도자기의 건조 시간은 성형되는 도자기의 크기에 따라서 최소 8시간에서 최대 24시간까지로 건조시간을 한정하였으나, 도자기의 두께와 크기에 따라서 건조시간은 단축되거나, 더 늘어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도자기 제조방법은 먼저 도자기를 성형한 다음 그 표면에 상감 또는 백상감의 양각문양이 접착방식으로 형성되므로 작은 크기의 도자기라 하더라도 상감 또는 백상감 부분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8시간 정도 응달에서 건조하게되며, 큰 도자기의 경우는 재료인 흙의 양이 많은 관계로 건조하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응달에서 24시간 건조하게 됨으로써, 건조시간은 8∼24시간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공정 : 금형 준비 및 양각문양 성형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먼저 만들고자하는 상감 또는 백상감의 양각문양(11)을 갖는 문양부(13)를 금형(12)에 형성하되, 금형에는 작은 크기에서 큰 양각문양까지 여러 가지 규격이 구비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설멸한 양각문양(11)의 크기는 제조하는 도자기의 크기에 따라서 양각문양의 크기 역시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여러 가지 다양한 크기를 말하는 것이다.
도자기에 상감 또는 백상감을 형성시 도자기 표면에 동일한 크기의 양각 문양만 붙이는 것이 아니라 표면에 형성되는 그림과 도자기의 형상에 따라서 원근감을 주어야 함으로 도자기 몸체 부분의 표면에는 상부에서 하부, 하부에서 상부 또는 중앙에서 상 하부로 점점 작아지거나 커지는 양각문양을 붙이게 됨으로써 여러 가지 규격의 양각 문양이 필요하다. 상기 금형은 주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금형의 문양부(13)에 양각문양을 형성하기 위해 콩기름, 들기름, 식용유, 세제액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탈형제를 도포하다.
상기와 같이 금형의 문양부(13)에 탈형제를 도포한 후에는 백자토를 채운 후 다짐한 다음 탈형시키면 양각 문양이 이루어진다.
이때 양각문양은 금형의 문양부에 형성된 정교한 문양이 그대로 표출되어 탈형된다.
제3공정 : 도자기 표면에 상감 형성
상기와 같이 금형이 준비되고, 도자기가 만들어져 작업할 수 있을 정도로 촉촉하게 건조되면 도자기 표면에 양각 문양을 형성하여 상감 또는 백상감이 되도록한다.
이때 본 발명은 건조된 도자기에 상감을 형성시 일측에 금형을 준비하여 문양부에 붓 등으로 탈형제를 바른 다음 원하는 크기의 문양부에 백자토를 채운 후 다짐한 다음 손에 물을 묻혀 양각문양(기물)을 들어올리면 파손 없이 문양부(13)에서 양각문양을 탈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금형으로부터 탈형 된 양각문양의 배면, 즉, 도자기 표면과 접촉되는 면에 물을 바른 후 도자기 표면에 붙이면 양각문양이 견고하게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도자기 표면에 양각문양이 접착되면 칼로 양각문양 테두리부분을 손질하여 깨끗하고 매끄럽게 마무리 작업을 한다.
본 발명에서 양각문양을 도자기 표면에 물로 접착시 도자기의 건조 상태는 완전히 건조된 상태가 아니라 촉촉하게 수분이 함유된 상태이므로 양각문양 접촉부에 물을 바른 후 도자기 표면에 붙이면 일체형으로 제작한 것과 같이 견고하게 부착된다. 상기 촉촉한 상태란 도자기의 건조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서 사람의 손으로 만지면 수분은 만져지지 않고 흙이 젖어있는 상태를 말한다.
제4공정 : 양각 문양이 형성된 도자기 건조
상기 제3공정에서 도자기 표면에 양각문양을 붙인 다음에는 응달에서 3∼7일간 건조시킨다.
상기 건조시에는 수분의 급격한 증발을 막기 위해 직물포 등으로 도자기 상부를 덮은 후 응달에서 건조한다.
본 공정에서 실시되는 건조기간은 도자기의 크기와 사용한 흙의 양에 따라서 건조시간이 달라지나 통상적으로 작은 크기의 도자기는 3일 정도 건조시키면 완전히 건조되고, 도자기의 크기가 큰 것일 경우에는 7 일정도 건조시키면 완전하게 건조된다.
제5공정 : 초벌구이
상기 제4공정에서 표면에 양각문양이 형성되어 완전하게 건조된 도자기의 수량이 한 개의 가마 물량이 되면 초벌구이를 한다.
상기 초벌구이는 12시간 불을 지피되 900℃가 될 때까지 12시간 서서히 온도를 올려 900℃에 이르도록 한 후 불을 중지한 후 1일간 서서히 식힌다.
초벌구이공정에서 양각문양이 형성된 도자기를 가마에서 구울 때 불을 갑작 스럽게 올리면 도자기가 터지거나 양각 문양에 변형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불은 서서히 온도가 올라갈 수 있도록 하며, 온도의 측정은 도자기 굽는 사람이 불꽃의 색깔을 보고 측정할 수 있다.
제 6공정 : 재벌구이
상기 초벌구이에서 도자기를 12시간 동안 서서히 900℃로 가열한 후 1일간 서서히 식힌 다음 도자기의 상태를 살펴본 후 선정하여 통상의 유약을 도포하여 응달에서 건조한 다음 재벌구이를 실시하게 된다.
상기 초벌구이 된 도자기에 유약을 도포·건조한 후 1235∼1240℃로 12시간 동안 불을 지피고 연속하여 1200∼1220℃로 14시간 동안 가열시켜 재벌구이 공정을 실시한다.
본 재벌구이 공정에서 가마에서 12시간 동안 1235∼1240℃로 불을 가열한 다음 연속하여 1200∼1220℃로 14시간 동안 가열시키는 것은 상감청자 제작방법으로서 도자기 표면에 유약이 산화하면서 특유의 색상으로 만들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재벌구이시 도자기가 구워지는 시간 동안 불을 땐 다음에는 불구멍을 막은 후 서서히 가마를 식혀 완전히 식은 다음 가마를 개봉하여 도자기를 꺼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재벌구이가 끝난 도자기는 가마에서 꺼내 검사하여 선별하면 도작이 제조가 끝나게 된다.
본 발명은 도자기 표면에 양각문양을 형성하되 그 문양을 형성함에 있어서 금형(12)을 이용함으로써 도자기(10) 제작시 양각문양(11)과 양각문자를 간단 용이하게 만들어 도자기 표면에 붙여 완성함으로 도자기 제작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보다 정교하고 섬세한 무늬 모양의 양각문양을 갖는 도자기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문양 및 문자 형성시 사용되는 금형은 주물이나 비철금속 어느 것이나 관계없으나 반드시 금속재질의 금형을 이용해야 무늬 모양이 정밀하고 섬세하게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면에 상감 또는 백상감으로 이루어진 양각문양을 갖는 도자기를 보다 쉽고, 예술적이며, 고품질의 도자기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도자기 표면에 형성되는 양각문양을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하는 방법은 지금까지 전무후무한 방법으로서 도자기 제작 발전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자기 성형시 도자기의 표면에 형성되는 양각의 문양과 양각의 문자를 금형을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도자기의 상감 문양 제작이 간단 용이할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할 수 있게 된 동시에 섬세하고 정교한 문양을 갖는 고품질의 도자기와 작품성이 뛰어난 도자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분청토, 백자토, 청자토 등을 이용하여 반죽공정, 성형공정, 건조공정 한 다음 문양을 형성하여 초벌구이 공정, 유약도포 공정, 건조공정, 재벌구이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방법에 있어서,
    도자기를 성형할 수 있도록 흙 재료를 선별하여 반죽하고, 반죽된 흙으로 일정한 형상을 갖는 도자기를 성형한 후 8∼24시간 건조하는 공정과;
    상기 건조된 도자기 표면에 상감문양을 성형하기 위해 문양을 갖는 금형의 문양부에 탈형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탈형제가 도포 된 금형의 문양부에 준비된 도자기 재료의 반죽된 흙을 넣고 다짐한 후 이탈시켜 상감의 양각문양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금형으로부터 이탈된 양각문양의 접촉면에 물을 바른 후 도자기 표면에 접착하고 접착된 테두리를 칼로 다듬어 양각문양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표면에 양각문양이 형성된 도자기를 응달에서 3∼7일간 건조하는 공정과;
    상기 건조된 도자기를 12시간 동안 900℃로 가열한 후 1일간 식히는 초벌구이공정과;
    상기 초벌구이 된 도자기에 유약을 도포·건조한 후 12시간 동안 1235∼1240℃로 불을 가열한 후 연속하여 14시간 동안 1200∼1220℃로 불을 가열시켜 재벌구이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의 양각문양 성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금형을 이용하여 양각문양을 형성하는 공정은, 하나의 금형(12) 일면에 문양부(13)가 음각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규격의 양각문양(11)을 성형하여 도자기(10) 표면에 상감문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양각문양을 형성하는 공정중 탈형제는, 콩기름, 들기름, 식용유, 세제액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금형의 문양부에 도포시켜 양각문양이 용이하게 탈형 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 방법.
KR1020060047272A 2006-05-25 2006-05-25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 방법 KR100774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272A KR100774295B1 (ko) 2006-05-25 2006-05-25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272A KR100774295B1 (ko) 2006-05-25 2006-05-25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4295B1 true KR100774295B1 (ko) 2007-11-08

Family

ID=39061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272A KR100774295B1 (ko) 2006-05-25 2006-05-25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29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555B1 (ko) * 2007-11-16 2009-01-30 장인우 장식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0969267B1 (ko) 2009-07-23 2010-07-09 김복한 투각 도자기 제조방법
KR101275216B1 (ko) 2011-07-25 2013-06-17 윤윤섭 입체문양이 표현된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
CN105135940A (zh) * 2015-07-17 2015-12-09 朱建林 一种刀剑的外观装具制作工艺
KR102060578B1 (ko) 2019-03-28 2019-12-30 박광천 도자기의 표면에 양각 문양을 도시하는 방법
WO2020196969A1 (ko) * 2019-03-28 2020-10-01 박광천 도자기의 표면에 원형 그림을 도시하는 방법
KR20200143823A (ko) * 2019-06-17 2020-12-28 이희복 빗살무늬 도자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42524A (ko) * 2020-09-28 2022-04-05 이희복 벽돌무늬 도자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82854A (ko) * 2021-12-02 2023-06-09 이윤정 도자기 문양 형성 시스템 및 도자기 문양 형성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41A (ja) * 1994-04-13 1996-01-09 Sohachi Kosugi 凹凸模様物品及びその作成方法
KR20020092500A (ko) * 2001-06-04 2002-12-12 정세복 도자기의 입체무늬 형성용 입체부착부재의 조성물
KR100381916B1 (en) 2002-10-25 2003-04-26 Young An Jang Method for forming embossed pattern and letter of pottery
KR20030077760A (ko) * 2002-03-27 2003-10-04 최미국 폐지를 이용한 장식용품의 제조방법 및 그 장식용품
KR20060013010A (ko) * 2004-08-05 2006-02-09 김선식 도자기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41A (ja) * 1994-04-13 1996-01-09 Sohachi Kosugi 凹凸模様物品及びその作成方法
KR20020092500A (ko) * 2001-06-04 2002-12-12 정세복 도자기의 입체무늬 형성용 입체부착부재의 조성물
KR20030077760A (ko) * 2002-03-27 2003-10-04 최미국 폐지를 이용한 장식용품의 제조방법 및 그 장식용품
KR100381916B1 (en) 2002-10-25 2003-04-26 Young An Jang Method for forming embossed pattern and letter of pottery
KR20060013010A (ko) * 2004-08-05 2006-02-09 김선식 도자기 제조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555B1 (ko) * 2007-11-16 2009-01-30 장인우 장식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0969267B1 (ko) 2009-07-23 2010-07-09 김복한 투각 도자기 제조방법
KR101275216B1 (ko) 2011-07-25 2013-06-17 윤윤섭 입체문양이 표현된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
CN105135940A (zh) * 2015-07-17 2015-12-09 朱建林 一种刀剑的外观装具制作工艺
KR102060578B1 (ko) 2019-03-28 2019-12-30 박광천 도자기의 표면에 양각 문양을 도시하는 방법
WO2020196970A1 (ko) * 2019-03-28 2020-10-01 박광천 도자기의 표면에 양각 문양을 도시하는 방법
WO2020196969A1 (ko) * 2019-03-28 2020-10-01 박광천 도자기의 표면에 원형 그림을 도시하는 방법
KR20200143823A (ko) * 2019-06-17 2020-12-28 이희복 빗살무늬 도자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2294531B1 (ko) * 2019-06-17 2021-08-26 이희복 빗살무늬 도자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42524A (ko) * 2020-09-28 2022-04-05 이희복 벽돌무늬 도자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93055A (ko) * 2020-09-28 2022-07-05 이희복 도자기 표면의 벽돌무늬 형성 작업을 간소화한 벽돌무늬 도자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2429107B1 (ko) 2020-09-28 2022-08-04 이희복 도자기 표면의 벽돌무늬 형성 작업을 간소화한 벽돌무늬 도자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2429106B1 (ko) 2020-09-28 2022-08-04 이희복 벽돌무늬 도자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82854A (ko) * 2021-12-02 2023-06-09 이윤정 도자기 문양 형성 시스템 및 도자기 문양 형성방법
KR102645866B1 (ko) 2021-12-02 2024-03-07 이윤정 도자기 문양 형성 시스템 및 도자기 문양 형성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4295B1 (ko)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 방법
CN101088777B (zh) 一种陶瓷雕刻工艺
CN102616075A (zh) 金属彩塑、彩绘工艺品的制作方法
KR20190009442A (ko) 도자기용 양각부조, 이를 가지는 도자기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110310B1 (ko) 자개 문양이 형성된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도자기
US20100032086A1 (en) Decoration Method of Ceramics
KR100908305B1 (ko) 결정유 도자기 제조방법
CN105541407A (zh) 一种陶泥与瓷泥相结合的青瓷釉呈色制作工艺
KR101204686B1 (ko) 칠보장식을 갖는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칠보장식 도자기
CN103271597B (zh) 一种大规格陶瓷寄花和彩绘装饰的镜框生产方法
KR101275216B1 (ko) 입체문양이 표현된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0887734B1 (ko) 3중 투각 도자기 제조방법
KR20100048839A (ko)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용 프레스 금형
KR100574846B1 (ko) 도자기 제조방법
KR20020092500A (ko) 도자기의 입체무늬 형성용 입체부착부재의 조성물
KR100751255B1 (ko) 칠기 도자기에 나뭇잎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KR100584036B1 (ko) 금분을 이용한 분청사기의 제조방법
KR101186722B1 (ko) 도자기 캔버스 제조방법 및 도자기 캔버스
KR101191670B1 (ko) 삼작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1818648B1 (ko) 표면에 삼베의 결이 구현된 도자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도자기
US2334307A (en) Process of manufacturing decorated chinaware and pottery
KR20170101068A (ko) 다양한 패턴이 형성된 도금 도자기 제조방법
KR200246373Y1 (ko) 도자기
CN110053134A (zh) 陶瓷工艺品的制作方法
KR20120092959A (ko) 자연물 형태와 질감을 갖는 소형 도자조형물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