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442A - 도자기용 양각부조, 이를 가지는 도자기 및 이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자기용 양각부조, 이를 가지는 도자기 및 이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442A
KR20190009442A KR1020170084611A KR20170084611A KR20190009442A KR 20190009442 A KR20190009442 A KR 20190009442A KR 1020170084611 A KR1020170084611 A KR 1020170084611A KR 20170084611 A KR20170084611 A KR 20170084611A KR 20190009442 A KR20190009442 A KR 20190009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cs
mold
embossed
relief
embossed relie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인세라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인세라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인세라믹
Priority to KR1020170084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9442A/ko
Publication of KR20190009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4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4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 B28B7/0076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with surfaces for moulding letters or m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28B7/0014Fastening means for mould parts, e.g. for attaching mould walls on mould tables; Mould clamps
    • B28B7/0023Fastening means for mould parts, e.g. for attaching mould walls on mould tables; Mould clamps us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4Moulds, cores, or mandrels of special material, e.g. destructible materials
    • B28B7/348Moulds, cores, or mandrels of special material, e.g. destructible materials of plastic material or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자기의 표면에 부착되는 양각부조로서, 도자기의 표면에 형성시키고자 하는 양각 문양을 가지는 원형틀을 제작하고, 상기 원형틀을 이용하여 상기 양각 문양이 반전된 음각 문양의 음각부를 가지는 실리콘재질의 성형틀을 제작하며, 상기 성형틀의 음각부에 도자기 재료를 채워서 성형되는 성형물을 상기 성형틀로부터 탈형시켜서 형성되는 도자기용 양각부조, 이를 가지는 도자기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규모이거나 정교하면서도 복잡한 양각부조라고 하더라도 1회 성형으로 양각부조 전체 성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경제성과 생산성 향상에 크기 기여할 수 있으며, 별도의 탈형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원활하면서도 원형 유지가 뛰어난 탈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양각부조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고, 탈형제와 같은 이물질 사용의 억제로 인한 높은 수준의 안전성 및 품질을 가진 도자기의 생산을 가능하도록 하며, 양각부조가 도자기 본체와는 별개로 제작됨으로써 양각부조의 품질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도자기 본체와는 별개로 양각부조의 다양한 색상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다양한 디자인의 구현과 함께 뛰어난 장식미를 가진 도자기의 생산을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도자기용 양각부조, 이를 가지는 도자기 및 이들의 제조방법{Embossed relief for ceramics, ceramics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도자기용 양각부조, 이를 가지는 도자기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규모이거나 정교하면서도 복잡한 양각부조라고 하더라도 1회 성형으로 양각부조 전체 성형이 가능하도록 하고, 양각부조가 도자기 본체와는 별개로 제작됨으로써 양각부조의 품질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도자기 본체와는 별개로 양각부조의 다양한 색상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자기용 양각부조, 이를 가지는 도자기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자기는 고령토, 점토, 사토 및 황토를 섞어서 반죽한 뒤, 이 반죽물을 수작업 또는 형틀을 이용하여 성형하고, 도자기 표면에 무늬모양을 성형한 후 성형물을 800℃ ∼ 950℃의 온도로 초벌구이하며, 초벌구이를 실시한 성형물을 유약으로 표면에 도포 처리하여 건조한 후에 다시 1,150℃ ∼ 1,300℃의 온도로 재벌구이를 실시하여 완성된다.
이러한 도자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도자기 표면에 음각 무늬 또는 음각 문자를 형성하는 것은 용이하나, 도자기 표면에 양각 문양과 양각 문자를 형성하기 위해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상당한 기간의 숙련과정이 필요하다.
종래 도자기의 양각 형성방법의 일례로서, 성형틀을 이용한 양각 형성 방법으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12387호의 "입체문양이 표현된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이는 점토를 포함한 원료의 배합, 숙성 등의 작업을 하는 제토단계와, 코일성형기, 물레성형기, 성형틀을 사용하여 기물을 만들어내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된 기물의 표면에 음각으로 새긴 내부문양의 홈에 백토나 자토를 메워주는 상감단계와, 상기 상감처리된 내부문양 위로 다시 제토를 바른 후 제토가 마르기 전에 외부문양을 새겨 외부문양 이외의 부분을 긁어 다듬어서 내부문양이 외부로 표출되도록 하는 문양 표출단계와, 상기 문양이 표출된 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건조된 기물을 800℃~1000℃에서 초벌구이를 하는 1차 소성단계와, 1차 소성으로 초벌구이된 기물 표면을 유약으로 처리하는 시유단계와, 유약처리된 기물을 섭씨 1200℃~1400℃ 정도에서 재벌구이하는 2차 소성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일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도자기 본체와 양각을 동시 성형시키는 성형틀의 사용으로 인해, 도자기 본체의 표면에 정교하면서 섬세한 양각을 형성하기 어렵다.
둘째, 성형틀에 의한 도자기 본체와 양각의 일체 형성으로 인해, 양각과 도자기 본체가 동일한 색상을 가지게 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 구현에 어려움이 따른다.
셋째, 양각을 도자기 본체와는 다른 색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색조 전사지를 사용하는 경우, 전사지와 인체 또는 음식물과의 접촉에 의해 유해성을 야기할 우려가 있고, 전사지의 접촉에 의한 손상에 의해 품질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넷째, 성형틀에 의해 도자기 본체와 양각을 동시에 성형함으로써, 양각에 대한 품질 관리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종래 도자기의 양각 형성방법의 다른 예로서, 양각부조를 성형하여 부착하는 방법으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774295호의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 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이는 분청토, 백자토, 청자토 등을 이용하여 반죽공정, 성형공정, 건조공정 한 다음 문양을 형성하여 초벌구이 공정, 유약도포 공정, 건조공정, 재벌구이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방법에 있어서, 도자기를 성형할 수 있도록 흙 재료를 선별하여 반죽하고, 반죽된 흙으로 일정한 형상을 갖는 도자기를 성형한 후 8∼24시간 건조하는 공정과; 상기 건조된 도자기 표면에 상감문양을 성형하기 위해 문양을 갖는 금형의 문양부에 탈형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탈형제가 도포된 금형의 문양부에 준비된 도자기 재료의 반죽된 흙을 넣고 다짐한 후 이탈시켜 상감의 양각문양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금형으로부터 이탈된 양각문양의 접촉면에 물을 바른 후 도자기 표면에 접착하고 접착된 테두리를 칼로 다듬어 양각문양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표면에 양각문양이 형성된 도자기를 응달에서 3∼7일간 건조하는 공정과; 상기 건조된 도자기를 12시간 동안 900℃로 가열한 후 1일간 식히는 초벌구이공정과; 상기 초벌구이 된 도자기에 유약을 도포·건조한 후 12시간 동안 1235∼1240℃로 불을 가열한 후 연속하여 14시간 동안 1200∼1220℃로 불을 가열시켜 재벌구이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다른 예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제시된 금형 구조만으로는 규모가 크거나 정교하면서도 복잡한 양각 성형을 어렵게 하여, 이의 구현을 위해서는 많은 수의 금형을 이용하여 여러 횟수에 걸쳐서 양각 성형 및 부착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르고, 이로 인해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증가하여, 비경제적이며, 생산성이 저하된다.
둘째, 탈형제를 사용하지만, 실제 금형으로부터 양각을 탈형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탈형과정에서 양각의 변형을 초래하여 품질 저하를 가져온다.
셋째, 탈형제의 사용으로 인해, 도자기 성분에 이물질 투입으로 인해 도자기의 순도와 안전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대규모이거나 정교하면서도 복잡한 양각부조라고 하더라도, 1회 성형으로 양각부조 전체 성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단축시키고, 이로 인해 경제성과 생산성 향상에 크기 기여한다.
둘째, 본 발명은 별도의 탈형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원활하면서도 원형 유지가 뛰어난 탈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양각부조의 품질 향상에 기여하고, 탈형제 등과 같은 이물질 사용의 억제로 인한 높은 수준의 안전성 및 품질을 가진 도자기의 생산을 가능하도록 한다.
셋째, 양각부조가 도자기 본체와는 별개로 제작됨으로써 양각부조의 품질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도자기 본체와는 별개로 양각부조의 다양한 색상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다양한 디자인의 구현과 함께 뛰어난 장식미를 가진 도자기의 생산을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자기의 표면에 부착되는 양각부조로서, 상기 도자기의 표면에 형성시키고자 하는 양각 문양을 가지는 원형틀을 제작하고, 상기 원형틀을 이용하여 상기 양각 문양이 반전된 음각 문양의 음각부를 가지는 실리콘재질의 성형틀을 제작하며, 상기 성형틀의 음각부에 도자기 재료를 채워서 성형되는 성형물을 상기 성형틀로부터 탈형시켜서 형성되는, 도자기용 양각부조가 제공된다.
상기 성형물은, 상기 음각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성형틀을 뒤집은 다음, 상기 음각부에 진공 흡입력을 가하여 상기 음각부로부터 탈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성형물은, 상기 성형틀로부터 탈형 후 수분이 함유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진공 포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도자기 본체에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도자기용 양각부조를 부착한 상태에서, 유약의 도포, 건조 및 소성에 의해 형성되는, 양각부조를 가지는 도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도자기의 표면에 부착되는 양각부조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도자기의 표면에 형성시키고자 하는 양각 문양을 가지도록 원형틀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원형틀에 실리콘을 채워서 경화 및 탈형에 의해 상기 양각 문양이 반전된 음각 문양의 음각부를 가지는 성형틀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성형틀의 음각부에 도자기 재료를 채워서 상기 음각부에 상응하는 형상의 성형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물을 상기 성형틀로부터 탈형시켜서 양각부조를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양각부조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원형틀을 제작하는 단계는, 아크릴 재료의 CNC 가공에 의해 상기 원형틀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성형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성형틀이 형태를 유지하도록 포함되는 성형틀모듈을 압착장치에 로딩시킨 다음, 상기 도자기 재료를 상기 음각부에 투입후, 상기 압착장치의 동작에 의해 상기 음각부 내에 상기 도자기 재료가 압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성형물을 탈형시키는 단계는, 상기 음각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성형틀을 뒤집은 다음, 상기 음각부에 진공 흡입력을 가하여 상기 음각부로부터 탈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성형물을 탈형시키는 단계는, 진공탈형기의 탈형테이블에 형성되는 흡입구 상에 메쉬를 설치한 다음, 상기 성형틀을 상기 메쉬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서 진공으로 흡입하여 상기 음각부 내의 성형물이 흡입력에 의해 상기 메쉬에 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성형틀을 상기 메쉬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성형물의 탈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성형틀로부터 탈형에 의해 형성된 양각부조를 수분이 함유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진공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도자기의 제조방법으로서, 도자기 본체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도자기 본체에서 정해진 위치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도자기용 양각부조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양각부조를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양각부조를 포함하는 상기 도자기 본체의 표면에 유약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유약이 도포된 도자기 본체를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도자기 본체를 소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각부조를 가지는 도자기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용 양각부조, 이를 가지는 도자기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대규모이거나 정교하면서도 복잡한 양각부조라고 하더라도 1회 성형으로 양각부조 전체 성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경제성과 생산성 향상에 크기 기여할 수 있으며, 별도의 탈형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원활하면서도 원형 유지가 뛰어난 탈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양각부조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고, 탈형제와 같은 이물질 사용의 억제로 인한 높은 수준의 안전성 및 품질을 가진 도자기의 생산을 가능하도록 하며, 양각부조가 도자기 본체와는 별개로 제작됨으로써 양각부조의 품질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도자기 본체와는 별개로 양각부조의 다양한 색상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다양한 디자인의 구현과 함께 뛰어난 장식미를 가진 도자기의 생산을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도자기용 양각부조의 제조에 사용되는 원형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도자기용 양각부조의 제조에 사용되는 성형틀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도자기용 양각부조의 제조에 사용되는 압착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도자기용 양각부조의 제조에 사용되는 진공탈형기의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양각부조를 가지는 도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양각부조를 가지는 도자기의 요부를 도시한 도시한 단면도(a)와 종래 성형틀로 양각을 일체로 형성하는 도자기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b)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들에 따른 양각부조를 가지는 도자기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에 의하여 여러 가지의 실시례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례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어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실시례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 내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도자기용 양각부조의 제조에 사용되는 원형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도자기용 양각부조의 제조에 사용되는 성형틀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도자기용 양각부조(10)는 도자기의 표면에 부착되는 양각부조로서, 도자기(1; 도 7에 도시)의 표면에 형성시키고자 하는 양각 문양을 가지는 원형틀(Original form mold; 100)을 제작하고, 원형틀(100)을 이용하여 양각 문양이 반전된 음각 문양의 음각부(211)를 가지는 실리콘재질의 성형틀(210)을 제작하며, 성형틀(210)의 음각부(211)에 도자기 재료, 예컨대 점토를 채워서 성형되는 성형물을 성형틀(210)로부터 탈형시켜서 형성된다. 여기서, 점토는 순수 점토만을 의미하는 것은 물론, 고령토, 사토 및 황토 등과 같은 다양한 도자기 재료가 포함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원형틀(100)은 예컨대 아크릴 재료를 CNC 가공에 의해 원하는 양각 문양의 양각부(130)를 형성하도록 제작될 수 있는데, 일례로, 아크릴 재질의 플레이트(110) 상에 도자기에서 양각 문양이 형성되도록 하는 표면의 곡률 내지 형태에 상응하는 곡률 내지 형태를 가진 표면구현부(120)를 형성하고, 이러한 표면구현부(120)에 양각부(1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성형틀(210)의 성형을 위한 성형공간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성형틀(210)은 일례로 원형틀(100)에서 양각부(130)를 포함하는 성형공간 내에 실리콘을 부어서 양각부(130)에 상응하는 반전의 음각부(211)를 형성하게 되는데, 실리콘 재질의 특성으로 인해 어느 정도 신축성 내지 유연성을 가지므로, 음각부(211) 내에 채워진 도자기 재료의 압착에 의해 성형된 성형물을 탈형시키는데 유리하도록 한다. 한편, 성형틀(210)은 압착시 정해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220) 상에 설치되되, 베이스(220)와의 사이에 마련되는 지지부(230)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성형틀(210)과 이의 설치 및 지지를 가능하도록 하는 베이스(220) 및 지지부(230)를 성형틀모듈(200)이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30)는 성형틀(210)의 음각부(211)가 압착력에 의해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변형을 유발하지 않도록 성형틀(210)의 음각부(211) 반대측을 다수의 점 지지 또는 전면적인 지지를 수행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성형틀(210)의 음각부(211)에는 도자기 재료(11; 도 3에 도시)가 압착장치(300; 도 3에 도시)에 의한 압착에 의해 채워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압착장치(300)는 성형틀모듈(200)이 로딩되어 안착되기 위한 안착대(310)와, 안착대(310)의 상측에 이격되도록 고정되는 고정대(320)와, 고정대(320)와 안착대(310) 사이에 위치하여 고정대(320)로부터 승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동대(330)와, 가동대(33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대(310)는 성형틀모듈(200)의 안착 위치를 결정하도록 미도시된 안착홈이나 안착돌기가 상면에 마련될 수 있고, 레그(311)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정해진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고정대(320)는 압착장치(300)의 프레임본체나 외측 구조물에 고정됨으로써 가동대(330) 및 승강구동부(340)를 지지할 수 있다. 가동대(330)는 다수의 슬라이더(331)에 의해 고정대(320)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슬라이더(331) 끝단에 마련되는 스토퍼(332)에 의해 고정대(320)로부터 이탈이 억제될 수 있다. 가동대(330)는 하방의 성형틀모듈(200)을 압착시 음각부(211) 내에 도자기 재료(11)가 압착에 의해 채워질 경우, 원하는 형상의 양각부조(10; 도 6에 도시)가 형태적으로 완성될 수 있도록 이에 적합한 돌기 또는 홈 등의 저면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승강구동부(340)는 일례로 유압 내지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작동로드(341)가 가동대(330)에 연결됨으로써 구동시 작동로드(341)와 함께 가동대(330)를 승강시킴으로써 안착대(310) 상에 안착된 성형틀모듈(200)의 음각부(211)에 투입된 도자기 재료(11)가 압착에 의해 음각부(211)에 채워지도록 한다.
성형물은 음각부(211)가 하방을 향하도록 성형틀(210)을 뒤집은 다음, 음각부(211)에 진공 흡입력을 가하여 음각부(211)로부터 탈형되도록 할 수 있는데, 여기서 음각부(211)에 진공 흡입력을 가하기 위하여, 진공탈형기(400;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진공탈형기(400)는 성형틀모듈(200)이 뒤집혀서 놓여지기 위한 장소가 탈형테이블(410)의 상면에 마련되고, 탈형테이블(410) 상면에 진공펌프의 동작에 의해 진공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흡입구(420)가 형성되며, 흡입구(420) 상에 메쉬(430)가 설치됨으로써 메쉬(430) 상에 안착된 성형틀모듈(200)로부터 진공흡입력에 의해 탈형되는 성형물, 즉 양각부조(10)가 메쉬(430) 상에 놓여짐으로써 진공흡입구(420)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성형물은 성형틀(210)로부터 탈형 후 수분이 함유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진공 포장될 수 있다. 즉 성형물은 성형틀(210)로부터 탈형된 직후, 진공포장기에 공급 내지 이송되어 포장필름에 의해 진공 포장되는데, 이로 인해, 수분이 적절히 함유된 상태를 장시간 유지하게 되고, 진공 포장으로부터 해체시 도자기 본체(20; 도 7에 도시)에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자기용 양각부조에 해당하는 성형물을 장시간 보존하여, 별도의 제품으로 판매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한 양각부조의 제작 및 도자기의 제작에 대한 분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양각 문양 도자기의 양산 효율 향상과 대량 생산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양각부조를 가지는 도자기(1)는 도자기 본체(20)에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용 양각부조(10)를 부착한 상태에서, 유약의 도포, 건조 및 소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유약의 도포, 건조 및 소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양각부조를 가지는 도자기의 제조방법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자기 본체(20)는 저장물의 수용을 위한 용기 본체는 물론, 본 실시례에서처럼 용기 본체(40)의 상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뚜껑 등과 같이, 용기 본체(40)에 설치되는 부수적인 부재일 수도 있으며, 이 밖에도 도 9에서와 같이, 접시나 수저 등의 다양한 도자기 소품이나 구성물이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도자기용 양각부조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도자기용 양각부조와의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서와 같이, 먼저, 도자기의 표면에 형성시키고자 하는 양각 문양을 가지도록 원형틀(100)을 제작한다. 이러한 원형틀(100)을 제작하는 단계는 예컨대, 아크릴 재료 플레이트(110) 상에 CNC 가공으로 도자기 본체(20; 도 7 참조)에서 대응되는 표면 형상을 구현한 표면구현부(120)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러한 표면구현부(120)에 양각부조(10; 도 6 참조)와 동일한 형상의 양각부(130)를 형성하도록 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원형틀(100; 도 1 참조)의 제작을 마치면, 원형틀(100)에 실리콘을 채워서 경화 및 탈형에 의해 양각 문양이 반전된 음각 문양의 음각부(211)를 가지는 성형틀(210)을 제작한다. 이때, 재질적인 특성으로 인해 유연성을 가진 성형틀(210)의 설치 및 지지를 위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성형틀(210)이 베이스(220) 및 지지부(230)에 의해 지지 및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성형틀(210)의 제작을 마치면, 성형틀(210)의 음각부(211; 도 2에 도시)에 도자기 재료(11), 예컨대 점토를 채워서 음각부(211)에 상응하는 형상의 성형물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성형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성형틀(210)이 형태를 유지하도록 포함되는 성형틀모듈(200)을 앞서 설명한 압착장치(300)에 로딩시킨 다음, 도자기 재료(11)인 점토를 음각부(211; 도 2에 도시)에 투입후, 압착장치(300)의 동작에 의해 음각부(211) 내에 도자기 재료(11)가 압착되어 채워지도록 할 수 있다. 음각부(211)에 투입되는 도자기 재료(11)의 양은 제조하고자 하는 양각부조(10; 도 6에 도시)의 질량 및 부피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성형틀(210)의 음각부(211; 도 2에 도시)에 성형물의 형성을 마치면, 성형물을 성형틀(210)로부터 탈형시켜서 양각부조(10; 도 6 참조)를 형성하도록 한다. 성형물을 탈형시키는 단계는 음각부(211)가 하방을 향하도록 성형틀(210)을 뒤집은 다음, 음각부(211)에 진공 흡입력을 가하여 음각부(211)로부터 성형물이 탈형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앞서 설명한 진공탈형기(400)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성형물을 탈형시키는 단계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진공탈형기(400)의 탈형테이블(410)에 형성되는 흡입구(420) 상에 메쉬(430)를 설치한 다음, 성형틀(210)을 메쉬(430) 상에 위치시키고, 흡입구(420)를 통해서 진공으로 흡입하여 성형틀(210)의 음각부(211) 내의 성형물이 흡입력에 의해 메쉬(430)에 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6에서와 같이, 성형틀(210)을 메쉬(430)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성형물의 탈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진공탈형기(400)에 사용되는 성형틀(210)의 의미는 단독으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 성형틀모듈(200)에 포함되어 사용되는 것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탈형테이블(410)은 흡입구(420)의 직상방에 대한 흡입력의 제공뿐만 아니라, 흡입구(420)의 직상방 외에 해당하는 주변에 대해서도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성형틀(210)로부터 탈형된 성형물은 불필요한 부분, 특히 양각 문양에 포함되지 않는 가장자리 돌기 부분을 나이프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제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양각부조(10)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성형틀(210)로부터 성형물이 탈형되어 양각부조(10)를 형성하게 되면, 이러한 탈형에 의해 형성되는 양각부조(10)가 수분이 함유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진공포장기에 의해 포장필름으로 진공 포장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양각부조(10)만의 별도 판매를 가능하도록 하며, 장기 보존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양각부조를 가지는 도자기의 제조방법은, 먼저, 도자기 본체(20)를 제작한다. 도자기 본체(20)는 공지된 다양한 도자기 성형 과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도자기 본체(20)의 제작을 마치면, 도자기 본체(20)에서 정해진 위치에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도자기용 양각부조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양각부조(10)를 부착시킨다. 양각부조(10)는 도자기 본체(20)에 물이나 유약 또는 그 밖의 다양한 접착을 가능하도록 물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소성을 고려하여 고온에서도 접착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도자기 본체(20)에 양각부조(10)의 부착을 마치면, 양각부조(10)를 포함하는 도자기 본체(20)의 표면에 유약(30; 도 8에 도시)을 도포한다.
양각부조(10)를 포함한 도자기 본체(20)의 표면에 대한 유약(30)의 도포를 마치면, 유약이 도포된 도자기 본체(20)를 건조시키도록 한다.
건조를 마치면, 건조된 도자기 본체(20)를 소성시키게 된다. 소성은 800∼950℃ 정도의 비교적 낮은 온도로 소성하는 초벌구이와, 1,100∼1,350℃ 정도의 비교적 높은 온도로 소성하는 재벌구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자기 본체(20)의 두께나 크기에 따라 초벌구이가 생략될 수 있는데, 이러한 초벌구이는 필요에 따라 유약(30; 도 8에 도시)의 도포 이전 단계에서 실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도자기용 양각부조, 이를 가지는 도자기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대규모이거나 정교하면서도 복잡한 양각부조(10)라고 하더라도 1회 성형으로 양각부조(10) 전체 성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경제성과 생산성 향상에 크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탈형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원활하면서도 원형 유지가 뛰어난 탈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양각부조(10)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고, 이물질 사용의 억제로 인한 높은 수준의 안전성 및 품질을 가진 도자기(1)의 생산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양각부조(10)가 도자기 본체(20)와는 별개로 제작됨으로써 양각부조(10)의 품질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도 8의 (b)에서와 같이, 종래 성형틀로 도자기 본체(2a)에 양각(2b)을 일체로 형성한 후 유약(2c)의 도포, 건조 및 소성에 의해 형성되는 도자기(2)와는 달리, 도 8의 (a)에서와 같이, 도자기 본체(20)와는 별개로 양각부조(10)의 다양한 색상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다양한 디자인의 구현과 함께 뛰어난 장식미를 가진 도자기(1)의 생산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양각부조 11 : 도자기 재료
20 : 도자기 본체 30 : 유약
40 : 용기 본체 100 : 원형틀
110 : 플레이트 120 : 표면구현부
130 : 양각부 200 : 성형틀모듈
210 : 성형틀 211 : 음각부
220 : 베이스 230 : 지지부
300 : 압착장치 310 : 안착대
311 : 레그 320 : 고정대
330 : 가동대 331 : 슬라이더
332 : 스토퍼 340 : 승강구동부
341 : 작동로드 400 : 진공탈형기
410 : 탈형테이블 411 : 지지대
420 : 흡입구 430 : 메쉬

Claims (11)

  1. 도자기의 표면에 부착되는 양각부조로서,
    상기 도자기의 표면에 형성시키고자 하는 양각 문양을 가지는 원형틀을 제작하고, 상기 원형틀을 이용하여 상기 양각 문양이 반전된 음각 문양의 음각부를 가지는 실리콘재질의 성형틀을 제작하며, 상기 성형틀의 음각부에 도자기 재료를 채워서 성형되는 성형물을 상기 성형틀로부터 탈형시켜서 형성되는, 도자기용 양각부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물은,
    상기 음각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성형틀을 뒤집은 다음, 상기 음각부에 진공 흡입력을 가하여 상기 음각부로부터 탈형되도록 하는, 도자기용 양각부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물은,
    상기 성형틀로부터 탈형 후 수분이 함유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진공 포장되는, 도자기용 양각부조.
  4. 도자기 본체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자기용 양각부조를 부착한 상태에서, 유약의 도포, 건조 및 소성에 의해 형성되는, 양각부조를 가지는 도자기.
  5. 도자기의 표면에 부착되는 양각부조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도자기의 표면에 형성시키고자 하는 양각 문양을 가지도록 원형틀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원형틀에 실리콘을 채워서 경화 및 탈형에 의해 상기 양각 문양이 반전된 음각 문양의 음각부를 가지는 성형틀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성형틀의 음각부에 도자기 재료를 채워서 상기 음각부에 상응하는 형상의 성형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물을 상기 성형틀로부터 탈형시켜서 양각부조를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양각부조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원형틀을 제작하는 단계는,
    아크릴 재료의 CNC 가공에 의해 상기 원형틀을 제작하는, 도자기용 양각부조의 제조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성형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성형틀이 형태를 유지하도록 포함되는 성형틀모듈을 압착장치에 로딩시킨 다음, 상기 도자기 재료를 상기 음각부에 투입후, 상기 압착장치의 동작에 의해 상기 음각부 내에 상기 도자기 재료가 압착되도록 하는, 도자기용 양각부조의 제조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성형물을 탈형시키는 단계는,
    상기 음각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성형틀을 뒤집은 다음, 상기 음각부에 진공 흡입력을 가하여 상기 음각부로부터 상기 성형물이 탈형되도록 하는, 도자기용 양각부조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성형물을 탈형시키는 단계는,
    진공탈형기의 탈형테이블에 형성되는 흡입구 상에 메쉬를 설치한 다음, 상기 성형틀을 상기 메쉬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서 진공으로 흡입하여 상기 음각부 내의 성형물이 흡입력에 의해 상기 메쉬에 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성형틀을 상기 메쉬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성형물의 탈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자기용 양각부조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로부터 탈형에 의해 형성된 양각부조를 수분이 함유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진공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자기용 양각부조의 제조방법.
  11. 도자기의 제조방법으로서,
    도자기 본체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도자기 본체에서 정해진 위치에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자기용 양각부조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양각부조를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양각부조를 포함하는 상기 도자기 본체의 표면에 유약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유약이 도포된 도자기 본체를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도자기 본체를 소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각부조를 가지는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20170084611A 2017-07-04 2017-07-04 도자기용 양각부조, 이를 가지는 도자기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190009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611A KR20190009442A (ko) 2017-07-04 2017-07-04 도자기용 양각부조, 이를 가지는 도자기 및 이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611A KR20190009442A (ko) 2017-07-04 2017-07-04 도자기용 양각부조, 이를 가지는 도자기 및 이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442A true KR20190009442A (ko) 2019-01-29

Family

ID=65322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611A KR20190009442A (ko) 2017-07-04 2017-07-04 도자기용 양각부조, 이를 가지는 도자기 및 이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944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3618A (zh) * 2019-07-19 2019-10-01 龙泉玉德青瓷有限公司 哥窑弟窑组合的龙泉陶瓷的加工方法
CN110434978A (zh) * 2019-07-19 2019-11-12 陈成清 哥窑弟窑上下组合的龙泉陶瓷的加工方法
CN110668826A (zh) * 2019-09-30 2020-01-10 江西中材新材料有限公司 一种带浮雕效果的发泡陶瓷及制备方法
KR20220152347A (ko) 2021-05-08 2022-11-15 조민경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고정용 꽃꽂이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3618A (zh) * 2019-07-19 2019-10-01 龙泉玉德青瓷有限公司 哥窑弟窑组合的龙泉陶瓷的加工方法
CN110434978A (zh) * 2019-07-19 2019-11-12 陈成清 哥窑弟窑上下组合的龙泉陶瓷的加工方法
CN110668826A (zh) * 2019-09-30 2020-01-10 江西中材新材料有限公司 一种带浮雕效果的发泡陶瓷及制备方法
CN110668826B (zh) * 2019-09-30 2022-08-12 江西中材新材料有限公司 一种带浮雕效果的发泡陶瓷及制备方法
KR20220152347A (ko) 2021-05-08 2022-11-15 조민경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고정용 꽃꽂이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9442A (ko) 도자기용 양각부조, 이를 가지는 도자기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0774295B1 (ko)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 방법
US19800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vering articles with sheet material
EP1781454B1 (en) Method and press for simultaneously forming and decorating ceramic articles
DE60206327D1 (de) Verfahren zum Füllen der Fliesenpressformen, Ausführungsmittel dafür und so hergestellte Fliesen
DE60222501D1 (de) Verfahren zum Füllen der Fliesenpressformen,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des Verfahrens und so hergestellte Fliesen
KR100873003B1 (ko) 입체 형상 전자제품 케이스의 전사방식 문양표현 방법 및장치
KR20100048839A (ko)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용 프레스 금형
CN107263798A (zh) 一种3d薄片的注射成型方法
CN207310193U (zh) 用于陶瓷制品立体无釉纹路装饰的印模装置
KR200207189Y1 (ko) 통기성이 양호한 도자기 용기 성형용 금형장치
CN107756607A (zh) 具有立体无釉装饰纹路的陶瓷制品及制备工艺和印模
KR101302745B1 (ko) 보강재가 삽입된 실리콘패드와 실리콘용기의 제조방법
KR100469071B1 (ko) 도자물의 성형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09465444B (zh) 基于粉末注射成型工艺制造回转类零件的烧结工具及方法
RU2289938C1 (ru) Способ формования шоколадных изделий,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формы и форма
CN215281575U (zh) 一种砂轮毛坯制造模具
CN219515102U (zh) 一种糕点模具
KR200175072Y1 (ko) 전주용 근가 성형장치
KR100293123B1 (ko) 도자기류제조방법
JPH0653106U (ja) タイルの成形型
KR20120036235A (ko) 점토 용기를 생산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5041014A (ja) シボを有する熱硬化性樹脂成型品の製造方法
EP3983189B1 (en) Mould and method for making shower trays with a non-planar cross-section
CN209920149U (zh) 一种大尺寸异型陶瓷制品的成型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