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003B1 - 입체 형상 전자제품 케이스의 전사방식 문양표현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입체 형상 전자제품 케이스의 전사방식 문양표현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003B1
KR100873003B1 KR1020080073430A KR20080073430A KR100873003B1 KR 100873003 B1 KR100873003 B1 KR 100873003B1 KR 1020080073430 A KR1020080073430 A KR 1020080073430A KR 20080073430 A KR20080073430 A KR 20080073430A KR 100873003 B1 KR100873003 B1 KR 100873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ransfer paper
transfer
plat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리즘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리즘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리즘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80073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0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003B1/ko
Priority to PCT/KR2009/001432 priority patent/WO201001388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Dry transfer
    • B44C1/1712Decalcomanias applied under heat and pressure, e.g. provided with a heat activable adhesive
    • B44C1/1716Decalcomanias provided with a particular decorative layer, e.g. specially adapted to allow the formation of a metallic or dyestuff layer on a substrate unsuitable for direct de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Dry transfer
    • B44C1/1712Decalcomanias applied under heat and pressure, e.g. provided with a heat activable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4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7/00Designs imitating three-dimensional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형상을 갖는 전자 제품의 케이스 외면에 열승화전사 또는 열전사 방식으로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의 요지로는, 대상물인 케이스(99)의 내부 저면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된 돌출부(11)를 가지는 하부형(10)을 준비하는 공정과; 압박부(21)를 갖는 상부형(20)을 구비하고 상기 압박부(21)의 내면에 일정한 두께로 부착되어 전사지(40)에 밀착될 때 수축되면서 압박을 가하도록 하는 탄성소재(30)를 고정하는 공정과, 하부형(10)의 상면에 케이스(99)를 안착시킨 다음 전사용지(40)를 케이스(99)의 상면에 안착시켜 상부형(20)이 하강하여 밀착될 때까지 전사용지(40)를 고정시켜 주는 공정과, 상부형(20)을 하강시켜 탄성소재가 전사용지를 압박함과 동시에 상부형(20)이 고정되는 열판(60)의 히터(61)로 인하여 열을 가하여 주는 공정,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제품, 케이스, 문양표현, 열승화전사, 전사용지

Description

입체 형상 전자제품 케이스의 전사방식 문양표현 방법 및 장치{Transcription type pattern represent method and device for electronic products case of three dimensions}
본 발명은 입체 형상을 갖는 전자 제품의 케이스 외면에 열승화전사 또는 열전사 방식으로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핸드폰이나 MP3, 전자수첩, 계산기, 휴대용 게임기 등과 같은 소형 전자제품은 물론 대형 전자제품의 외관이 되는 케이스는 통상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된 케이스가 구성되는데, 이러한 케이스 그 자체의 디자인을 변화시키거나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케이스 자체를 사출, 다이캐스팅 등의 방법으로 성형시에 그 자체의 전체적인 형상을 디자인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고, 그에 더하여 케이스의 표면에 입체적인 요철로 문양을 표현하는 방법과 자체의 색상을 다양화하는 방법 등이 있는데, 그 외에는 디자인을 향상시킬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지 않고 있어서 전자제품의 디자인을 향상시키는데 한계에 도달하였다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전자제품의 케이스에 문양을 표현하는 것은 쉽지 않은 공정인데, 수작업으로 문양을 표현하는 경우에는 다양하고 독창적인 문양을 표현할 수는 있겠지만, 엄청난 시간의 소요로 인하여 비용의 상승과 균일성이 없다는 문제가 발생될 것이고, 평면형이 아닌 3차원 적인 케이스 형태의 특성상 일반적인 인쇄 등의 방식으로는 전체적인 문양을 표현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다.
한편, 종래에도 열승화 전사방식의 문양을 표현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문양을 가할 소재가 평면인 경우에 적합하도록 개발되고 진보되어 있어서,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케이스와 같이 입체적인 형상의 케이스 외면에 문양을 균일하고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은 쉽지 않은 방법이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과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입체적인 형상을 갖는 케이스의 표면에 열승화 전사 또는 열전사 방식으로 문양을 균일하고 선명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전자제품의 케이스 디자인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문양을 표시할 케이스의 형상을 감안하여 케이스가 안착된 상태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도록 하는 하부형과, 이러한 하부형에 문양을 형성할 케이스를 안착시킨 다음 그 상부에 얹는 전사지로서 유연성을 가지고 전사잉크가 스며들지 않도록 된 구성을 갖는 전사지와, 상부에서 하강하면서 전사지를 케이스 표면에 압착시키면서 열을 가하는 상부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고, 이러한 하부형을 상부형의 아래로 이송시키는 수단과 상부형을 승강시키면서 열을 가하는 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에 더하여 케이스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하부형을 구비하는 공정과, 전사지를 구비하는 공정과, 케이스의 상면에 균일하게 밀착되면서 전사지에 압착력을 가하는 상부형을 구비하는 공정과, 하부형에 케이스를 고정시키는 공정과, 전사용지를 케이스의 위에 얹어 고정시키는 공정과, 상부형을 하강시켜 압착과 동시에 열을 가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표면이 평면이 아니고 3차원의 입체 형상을 갖는 전자제품의 케이스에 정확하고 균일하면서 안정적으로 착상되는 전사문양을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전자제품의 디자인이 종래의 문양과는 차별되는 새로운 문양을 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문양은 뛰어난 장점을 갖는 열승화 전사 또는 열전사 방식의 문양에 의해 형성되므로 일반적인 문양 형성에 비하여 내구성이 매우 뛰어나고 수명이 영구적인 전사문양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결국, 이로 인하여 전자제품의 디자인이 크게 향상되고 전자제품의 가치를 향상시키게 되는 등 우수한 효과를 갖는 발명이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시장치의 정면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우측면 예시도,
도 3은 도 1의 A에서 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베이스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형 및 하형의 전사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a, 6b, 6c는 도 5의 작동과정 순서도,
도 7a, 7b, 7c는 전사가 이루어지는 과정의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사장치의 다른 실시 예시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평면도,
도 11은 도 9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문양을 표현할 대상물인 케이스(99)를 준비하여 이를 고정할 하부형(10)을 준비하는데, 이러한 하부형(10)에는 케이스(99)의 문양을 표시할 외면이 상부로 위치한 상태에서 내면에 삽입되는 돌출부(11) 형성하는데, 돌출부(11)는 케이스(99)가 안착된 상태에서 전후 좌우의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하고 문양이 형성될 부분은 상부에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밀려들어가지 않을 정도로 최대한 케이스(99)의 내부 저면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가 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하부형(10)을 만드는 수단으로는 금속을 가공하여 케이스(99)의 내부 저면과 일치하는 형태가 되도록 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고 또는 케이스(99)를 뒤집은 상태에서 실리콘을 용해하여 붓고 굳힘으로써 내부 저면과 동일한 형태의 하부형(10)을 만들 수도 있다.
상기 금속을 가공하여 하부형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제조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지만 전사작업시 케이스(99)를 견고하게 받쳐줄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되고, 실리콘으로 하부형(10)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견고성이 부족하지만 제조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케이스(10)의 외면을 위에서 아래로 하강하면서 눌러주는 상부형(20) 을 구비하는데, 상부형(20)은 케이스(99)의 상부 외면을 눌러주는 압박부(21)를 갖는데, 이러한 압박부(21)는 케이스(99)의 외부면과 동일한 형태이면서 그 크기가 케이스(99)보다 균일한 크기로 좀 더 크게 형성하여 상부형(20)이 하부형에 밀착되었을 때 케이스(99)의 외면에 직접 밀착되지 않고 균일한 간격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압박부(21)의 내면에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고무 등의 재질과 같이 탄성을 갖는 탄성소재(30)를 고정하여 탄성소재(30)가 케이스(99)의 외면을 균일한 힘으로 압박하고 열판(60)의 온도 또한 균일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소재(30)는 압박부(21)의 내면에 부착되어 자유상태에서 케이스(99)의 외면보다 작도록 구성하여 케이스(99) 위의 전사지(40)에 밀착될 때 수축되면서 압박을 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부형(20) 역시 상기 하부형(10)과 같이 금속을 가공하여 제조할 수도 있으나, 도 8과 같이 케이스(99)를 안착시킨 다음 그 위에 경사구멍(23)으로 연결되는 내부 공간부(24)를 갖는 상부형(20')을 만든 다음 경사구멍(23)을 통하여 실리콘 액을 붇고 굳히면 실리콘이 케이스(99) 외면과 같은 형으로 굳어 상부형(20')이 완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하부형(10)의 상면에 케이스(99)를 안착시켜 움직이지 않도록 한 다음, 케이스(99)의 상면에 전사용지(40)를 안착시켜주는데, 전사용지(40)는 유연성이 좋은 수지재질의 얇은 필름형이거나 종이 또는 직물재질을 사용함으로써 굴 곡지고 입체적인 케이스(99)의 표면에 잘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전사용지(40)에는 전사잉크(41)가 문양형태로 인쇄되어 있는데, 이러한 전사잉크(41)가 전사용지(40) 자체의 두께에 스며들지 않도록 코팅층(42)을 먼저 형성한 후, 그 위에 전사잉크(41)를 인쇄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전사용지(40)를 케이스(99)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전사용지(4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형(10)이 안착되는 베이스(50)의 하부형(10) 바로 옆 위치에 공기흡입구멍(51)을 구성하여 상부형(20)이 하강하여 밀착될 때까지 전사용지(40)를 고정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케이스(99)를 고정시키고 전사용지(4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부형(20)을 하강시키는 작동을 통하여 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상부형(20)이 고정되는 열판(60)에는 히터(61)를 내장하여 열을 가하여 줌으로서 상부형(20)과 탄성소재(30)를 통하여 그 열이 전사용지(40)와 케이스(99)에 전달이 되고 따라서 전사가 더욱 신속하고 명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열을 가하는 주는 수단은 상기와 같이 상부형(20)과 아울러 하부형에서도 열을 가하여 케이스(99)를 가열하여 줄 경우 더욱 원활한 전사가 가능해 지는데, 이때는 상부형(20)에 열을 가하기 위하여 열판(60)을 설치하는 것과 같이 하부형(10)을 설치하는 베이스(50)에 히터를 설치하거나 또는 히터가 설치된 별도의 열판을 구성하여 주는 것으로 간단하게 열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전사가 완료되면 상부형(20)을 상승시키고 하부형(10)으로부터 전사용지(40)를 제거하고 케이스(99)를 인출한 후 냉각시킴으로써 문양형성을 위한 공정이 마무리되는 것이다.
이하는 상기와 같은 방법의 공정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에 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문양표현 장치는 케이스(99)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하부형을 고정하는 베이스(50)가 마련되고 이러한 베이스(50)는 각 하나씩의 하부형(10)을 안착시키도록 낱개로 구분되어 이동판(55)에 설치되는데, 이동판(55)과 베이스(50)의 사이에는 스프링(52)을 설치하여 탄성을 갖도록 하면서 베이스(50)의 가장자리에는 공기흡입구멍(51)을 다수 형성한 후 공기흡입관(51')을 연결하여 진공흡입에 의해 전사용지(40)가 밀착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판(55)의 저면에는 직선이동 가이드장치(56)를 구성하고 모터(57)에 의해 회전하는 나사축(58)을 연결하여 이동판(55) 전체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이동판(55)과 베이스(50)가 전진한 상태의 위치 상부에는 상부형(20)을 승강시키는 장치가 구성되는데, 상부형(20)을 고정시키는 열판(60)이 전진상태의 베이스(50)와 같은 위치이면서 같은 숫자로 연속 설치되고 각 열판(60)과 열판(60) 사이에는 약간의 공간을 형성하여 열팽창에 대비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열판(60) 은 승강판(65)의 하단에 설치하며 승강판(65)은 실린더(66)에 의해 승강토록 하면서 직선이동가이드(67)에 의해 가이드 되도록 설치한 것이다.
상기 상부형(20)과 하부형(1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부형(10)은 케이스(99)의 내부 저면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된 돌출부(11)를 가지고 있고, 상부형(20)은 압박부(21)를 갖되, 압박부(21)는 케이스(99)의 외부면과 동일한 형태이면서 그 크기가 케이스(99)보다 균일한 크기로 좀 더 크게 형성하여 상부형(20)이 하부형에 밀착되었을 때 케이스(99)의 외면에 직접 밀착되지 않고 균일한 간격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압박부(21)의 내면에 일정한 두께로 부착되어 자유상태에서 케이스(99)의 외면보다 작도록 구성하여 케이스(99) 위의 전사지(40)에 밀착될 때 수축되면서 압박을 가하도록 하는 탄성소재(30)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다른 실시 예시도인데, 지지대(100)의 상부에서 원형의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이 동시에 일정한 간격으로 간헐회전 하도록 모터(101)의 위에 설치되고, 하부판(120)의 상면에는 하부형(121)이 설치되는 베이스(122)가 고정되고 원주를 일정한 등분으로 분할한 간격으로 설치하였다.
베이스(122) 바로 위의 상부판(110) 각 위치에는 실린더(111)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판(112)을 설치한 후 승강판(112)의 저면에 상부형(113)을 고정하는 열판(114)을 설치한 것이며, 하부판(110)과 상부판(120) 사이의 중간위치에는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로터리 조인트(102)가 설치되고 상부판(110)의 상면에는 회전이 이루어지는 도중에 열판(114)에 전기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브러시장치(103)가 설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한 작용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문양 표현의 대상이 되는 케이스(99)를 이용하여 돌출부(11)를 갖는 하부형(10)을 만든 후 전사장치의 이동판(55)에 구비된 각각의 베이스(50)에 안착시키고, 상부형(20)을 구비한 후 열판(60)의 하단에 고정시키며, 상부형(20)의 내부에는 탄성소재(30)를 안착시킨 다음 전사작업을 시작한다.
먼저, 케이스(99)를 하부형(10)의 돌출부(11)에 완전히 안착시킨 다음 그 위에 전사용지(40)를 안착시킨다.
이때 전사용지(40)의 문양형으로 인쇄된 전사잉크(41)가 인쇄된 부분이 케이스(99)를 향하도록 뒤집어 안착시켜야 함은 당연하고, 공기흡입장치(미 도시됨)의 작동으로 하부형이 안착되는 베이스(10)의 하부형(10)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공기흡입구멍(51)을 통해 진공을 발생시켜 전사용지(40)를 흡입토록 함으로써 상부형(20)이 하강하여 완전한 압박이 이루어질 때까지 전사용지(40)가 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전사용지(40)는 유연성이 좋은 수지재질의 얇은 필름형이거나 직물 또는 종이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굴곡진 케이스(99)의 표면에 잘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하부형이 안착된 베이스(50)는 이동판(55)에 고정되어 있고 이동판(55)의 저 면에 구성된 직선이동가이드장치(56)에 의해 하부형(10)이 상부형(20)의 아래로 이동되도록 한 다음 상부형(40)이 하강하는데, 케이스(99)의 외면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하여 케이스(99)에 밀착될 때 수축되면서 압박을 가하도록 하며, 균일한 두께로 구성된 탄성소재(30)가 전사용지(40)를 감싸면서 케이스(99)의 상부 외면을 균일한 힘으로 눌러 주므로 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특히 열판(60)의 열이 상부형(20)을 통하고 탄성소재(30)를 통하여 전사용지(40)와 케이스(99)에 전달이 되므로 두께가 균일한 탄성소재(30)에 의해 균일한 열이 전사용지(40)와 케이스(99)에 전달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균일한 열전달 작용이 전사를 균일하게 하고 품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전사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열이 전사용지(40)와 케이스(99)에 전달이 되면 전사용지(40)에 고착화되어 있던 전사잉크(41)가 열에 의해 승화(열전사인 경우)되면서 케이스(99)의 표면에 옮겨져 전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필요한 시간 동안 상부형(20)이 전사용지(40)를 압박하여 전사가 이루어지도록 한 다음 실린더(66)의 작동으로 상부형(20)이 상승하고 전사용지(40)를 제거한 다음 케이스(99)를 하부형(10)으로부터 제거하면 전사공정이 마무리된다.
상기 전사가 이루어진 과정에서 다수 개의 상부형(20)이 승강판(65)에 의해 동시에 승강하면서 전사작용을 하게 되므로 그에 대응되는 하부형(10) 역시 같은 위치에 다수 개가 연속으로 설치되는데, 이로 인하여 여러 개의 상부형(20)과 하부형(10)이 동시에 균일한 힘으로 압박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동시에 상부 형(20)에 열을 가하는 열판(60)은 열에 의한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한데,
하부형(10)을 설치하는 베이스(50)의 저면에는 스프링(52)이 설치되어 쿳션을 갖게 함으로써 상부형(20)이 하강할 때 미세한 경사를 갖고 하강하더라도 각 상하부형(20) 간의 압박의 정도 차이를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부형(20)이 고정되는 열판(60)은 각각의 상부형에 열을 가할 수 있도록 하면서 구분되어 구성되고 인근한 열판과(60)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팽창과 수축에 대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분 발명에 대한 다른 실시 예시인 도 9 내지 도 11에 의하면 원주를 균일한 각도로 분할한 다수개의 상부형(113)과 하부형(121)이 설치된 형태이므로 일정한 위치에서 하부형(121)에 케이스(99)와 전사지(40)를 안착시키는 작업을 하여 주고 간헐적인 회전을 하면서 한바퀴 가량 회전한 위치에서 탈거를 하여주면 전사작업이 완료되는 형태의 작업을 하게 되는 것으로서, 작업인력을 줄여주고 작업자가 시간 낭비를 막으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시장치의 정면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우측면 예시도
도 3은 도 1의 A에서 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베이스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형 및 하형의 전사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a, 6b, 6c는 도 5의 작동과정 순서도
도 7a, 7b, 7c는 전사가 이루어지는 과정의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상형을 제조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사장치의 다른 실시 예시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평면도
도 11은 도 9의 부분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부형 11: 돌출부
20: 상부형 21: 압박부
30: 탄성소재 40: 전사용지
41: 전사잉크 42: 코팅부
50: 베이스 51: 공기흡입구멍
52: 스프링 55: 이동판
56: 직선이동가이드장치 57: 모터
60: 열판 61: 히터
65: 승강판 66: 실린더
99: 케이스

Claims (6)

  1. 대상물인 케이스(99)의 문양을 표시할 외면이 상부로 위치한 상태에서 케이스(99)의 내부 저면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된 돌출부(11)를 가지는 하부형(10)을 준비하는 공정과;
    압박부(21)를 갖는 상부형(20)을 구비하되, 압박부(21)는 케이스(99)의 외부면과 동일한 형태이면서 그 크기가 케이스(99)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상부형(20)이 하부형에 밀착되었을 때 케이스(99)의 외면에 직접 밀착되지 않고 균일한 간격의 공간이 형성되는 상부형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압박부(21)의 내면에 일정한 두께로 부착되어 자유상태에서 케이스(99)의 외면보다 작도록 구성하여 케이스(99) 위의 전사지(40)에 밀착될 때 수축되면서 압박을 가하도록 하는 탄성소재(30)를 고정하는 공정과,
    하부형(10)의 상면에 케이스(99)를 안착시켜 움직이지 않도록 한 다음, 케이스(99)의 전사용지(40)를 안착시키되,
    전사용지(40)를 케이스(99)의 상면에 안착시킨 다음 하부형(10)이 안착되는 베이스(50)에 구성된 공기흡입구멍(51)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부형(20)이 하강하여 밀착될 때까지 전사용지(40)를 고정시켜 주는 공정과,
    상부형(20)을 하강시켜 탄성소재가 전사용지를 압박함과 동시에 상부형(20)이 고정되는 열판(60)의 히터(61)로 인하여 열을 가하여 주는 공정,
    으로 이루어지는 입체 형상 전자제품 케이스의 전사방식 문양표현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전사용지는 상면에 필름형이거나 종이 또는 직물재질로 구성되고, 표면에 전사잉크(41)가 전사용지(40) 자체의 두께에 스며들지 않도록 코팅층(42)을 먼저 형성한 후, 그 위에 전사잉크(41)를 인쇄한 전사용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 전자제품 케이스의 전사방식 문양표현 방법.
  3. 케이스(99)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하부형을 고정하는 베이스(50)가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50)가 전진한 상태의 위치 상부에 상부형(20)을 승강시키는 장치를 구비하되, 상부형(20)을 고정시키는 열판(60)을 베이스(50)와 같은 위치이면서 베이스(50)와 같은 숫자로 연속 설치하고,
    이러한 열판(60)은 승강판(65)의 하단에 설치하며 승강판(65)은 실린더(66)에 의해 승강토록 하면서 직선이동가이드(67)에 의해 가이드 되도록 설치하며,
    상부형(20)을 고정시키는 열판(60)이 전진상태의 베이스(50)와 같은 위치이면서 같은 숫자로 연속 설치되고 각 열판(60)과 열판(60) 사이에는 공간을 형성하여 열팽창에 대비하도록 하였으며,
    베이스(50)는 각 하나씩의 하부형(10)을 안착시키도록 낱개로 구분되어 이동판(55)에 설치되고, 이동판(55)과 베이스(50)의 사이에는 스프링(52)을 설치하여 탄성을 갖도록 하면서 베이스(50)의 가장자리에는 공기흡입구멍(51)을 다수 형성한 후 공기흡입관(51')을 연결하여 진공흡입장치에 의해 전사용지(40)가 밀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 전자제품 케이스의 전사방식 문양표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하부형(10)은 케이스(99)의 내부 저면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된 돌출부(11)를 가지고,
    상부형(20)은 압박부(21)를 갖되, 압박부(21)는 케이스(99)의 외부면과 동일한 형태이면서 그 크기가 케이스(99)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상부형(20)이 하부형에 밀착되었을 때 케이스(99)의 외면에 직접 밀착되지 않고 균일한 간격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압박부(21)의 내면에 일정한 두께로 부착되어 자유상태에서 케이스(99)의 외면보다 작도록 구성하여 케이스(99) 위의 전사지(40)에 밀착될 때 수축되면서 압박을 가하도록 하는 탄성소재(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 전자제품 케이스의 전사방식 문양표현 장치.
  5. 지지대(100)의 상부에서 원형의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이 동시에 일정한 간격으로 간헐회전 하도록 모터(101)의 위에 설치되고, 하부판(120)의 상면에는 하부형(121)이 설치되는 베이스(122)가 고정되고 원주를 일정한 등분으로 분할한 간격으로 설치하며,
    베이스(122) 바로 위의 상부판(110) 각 위치에는 실린더(111)에 의해 승강하 는 승강판(112)을 설치한 후 승강판(112)의 저면에 상부형(113)을 고정하는 열판(114)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 전자제품 케이스의 전사방식 문양표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하부판(110)과 상부판(120) 사이의 중간위치에는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로터리 조인트(102)가 설치되고 상부판(110)의 상면에는 회전이 이루어지는 도중에 열판(114)에 전기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브러시장치(103)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 전자제품 케이스의 전사방식 문양표현 장치.
KR1020080073430A 2008-07-28 2008-07-28 입체 형상 전자제품 케이스의 전사방식 문양표현 방법 및장치 KR100873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430A KR100873003B1 (ko) 2008-07-28 2008-07-28 입체 형상 전자제품 케이스의 전사방식 문양표현 방법 및장치
PCT/KR2009/001432 WO2010013880A1 (ko) 2008-07-28 2009-03-20 입체 형상 전자제품 케이스의 전사방식 문양표현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430A KR100873003B1 (ko) 2008-07-28 2008-07-28 입체 형상 전자제품 케이스의 전사방식 문양표현 방법 및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3003B1 true KR100873003B1 (ko) 2008-12-09

Family

ID=40372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430A KR100873003B1 (ko) 2008-07-28 2008-07-28 입체 형상 전자제품 케이스의 전사방식 문양표현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73003B1 (ko)
WO (1) WO201001388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265B1 (ko) * 2009-04-23 2011-10-11 주식회사 프리즘테크놀로지 입체 형상 전자제품 케이스의 전사장치
KR101109933B1 (ko) 2009-12-31 2012-02-16 주식회사 프리즘테크놀로지 입체 형상 전자제품 케이스의 전사방식 문양표현 방법
KR101256977B1 (ko) * 2011-04-22 2013-04-19 서영도 성형물 전사인쇄방법
KR102122477B1 (ko) * 2019-12-03 2020-06-12 (주)성원코스메틱 안경케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884A (ko) * 1999-08-17 1999-11-05 전영철 열전사용 승화전사지 밀착장치
KR20000061767A (ko) * 1999-03-30 2000-10-25 정영민 실사출력을 이용한 전사 인쇄 방법
KR20010037019A (ko) * 1999-10-13 2001-05-07 박예순 석재 표면의 문양 형성용 인쇄 잉크, 석재 표면의 문양 형성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석재
KR100433495B1 (ko) 2003-05-06 2004-06-01 신우하이테크(주) 실사 출력을 이용한 다중 인쇄층 구조와 인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76170B1 (en) * 1988-12-28 1994-08-10 Michiharu Tohdo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al printing suitable for large printing are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767A (ko) * 1999-03-30 2000-10-25 정영민 실사출력을 이용한 전사 인쇄 방법
KR19990078884A (ko) * 1999-08-17 1999-11-05 전영철 열전사용 승화전사지 밀착장치
KR20010037019A (ko) * 1999-10-13 2001-05-07 박예순 석재 표면의 문양 형성용 인쇄 잉크, 석재 표면의 문양 형성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석재
KR100433495B1 (ko) 2003-05-06 2004-06-01 신우하이테크(주) 실사 출력을 이용한 다중 인쇄층 구조와 인쇄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265B1 (ko) * 2009-04-23 2011-10-11 주식회사 프리즘테크놀로지 입체 형상 전자제품 케이스의 전사장치
KR101109933B1 (ko) 2009-12-31 2012-02-16 주식회사 프리즘테크놀로지 입체 형상 전자제품 케이스의 전사방식 문양표현 방법
KR101256977B1 (ko) * 2011-04-22 2013-04-19 서영도 성형물 전사인쇄방법
KR102122477B1 (ko) * 2019-12-03 2020-06-12 (주)성원코스메틱 안경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13880A1 (ko) 201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3003B1 (ko) 입체 형상 전자제품 케이스의 전사방식 문양표현 방법 및장치
JP5270683B2 (ja) 熱転写印刷
US20120013041A1 (en) Method of forming shell of electrical device
KR100666463B1 (ko) 인조손톱 제조방법
CN101715394B (zh) 将图像从热再转印薄板热转印到物品上的设备和方法
EP1862853A3 (en) Pattern forming method and pattern forming apparatus
KR101072265B1 (ko) 입체 형상 전자제품 케이스의 전사장치
EP2158092B1 (en) Thermal transfer printing
KR101291608B1 (ko) 인조네일 제조방법 및 인조네일
KR101673222B1 (ko) 패드 인쇄장치
RU2375173C2 (ru) Способ и пресс для одновременного формования и отделки керам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KR20170034579A (ko) 프레스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
JPS633818Y2 (ko)
KR101767044B1 (ko) 미세 형압 장치
CN110381434B (zh) 一种扬声器网罩的制造方法
CN114147914A (zh) 一种注塑成型品的制造方法
KR101741066B1 (ko) 경계부 강조형 곡면 형압 장치
KR100625200B1 (ko) 인조손톱의 제조방법
KR101402955B1 (ko) 입체무늬 성형용 금형장치
KR101394310B1 (ko) 미용콘택트렌즈 상부몰드 고정 장치
JP4370212B2 (ja) 突部付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シート成形金型
JP2011115955A (ja) 複合品の製造方法
KR101336152B1 (ko) 3차원 전사장치
KR101423043B1 (ko) 곡률 형상 유리판의 인쇄 장치 및 방법
KR101635531B1 (ko)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튼홈 인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