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531B1 -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튼홈 인쇄방법 - Google Patents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튼홈 인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531B1
KR101635531B1 KR1020140068573A KR20140068573A KR101635531B1 KR 101635531 B1 KR101635531 B1 KR 101635531B1 KR 1020140068573 A KR1020140068573 A KR 1020140068573A KR 20140068573 A KR20140068573 A KR 20140068573A KR 101635531 B1 KR101635531 B1 KR 101635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ink
resin plate
button groove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8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0152A (ko
Inventor
최미영
Original Assignee
최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미영 filed Critical 최미영
Priority to KR1020140068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531B1/ko
Publication of KR20150140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02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with one or more flat stamping surfaces having fixed im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3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curved surfaces of essentially spherical, or part-spherical, articles
    • B41F17/34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curved surfaces of essentially spherical, or part-spherical, articles on articles with surface irregularities, e.g. fruits,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튼홈 인쇄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전자기기에 이용되는 버튼들이 형성되는 금속판의 버튼홈들 각각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경우, 각각의 버튼홈들에 형성되는 인쇄층이 균일한 인쇄 두께를 형성하도록 하여 버튼과 탄성고무와의 접착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튼홈 인쇄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는 금속판이 가공되어 복수 개의 버튼이 배열되어 구성되되 상기 복수 개의 버튼 각각에 버튼홈이 형성되는 금속판의 버튼홈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을 안착시키되, 상기 버튼홈이 상부를 향하도록 구성되는 안착대; 상기 안착대에 안착된 금속판 가운데 상기 복수 개의 버튼홈 각각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실리콘패드; 상기 실리콘패드가 결합되는 지그체; 상기 안착대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와 대응하는 영역에 에칭영역이 형성되는 수지판; 상기 수지판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배치되며, 잉크를 수용하여 상기 에칭영역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수용체; 상기 지그체와 결합되며 상기 실리콘패드를 이송시키고, 상기 잉크수용체를 상기 수지판에 밀착된 상태로 이송시키는 이송형 가압장치; 상기 이송형 가압장치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구동신호를 입력하는 구동스위치; 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스위치가 구동되어 구동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형 가압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잉크수용체를 상기 수지판의 상부면상에서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에칭영역에 잉크에 묻도록 하고, 상기 이송형 가압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실리콘패드가 결합된 지그체를 이동시켜 상기 돌출부가 잉크가 묻은 상기 에칭영역에 접촉되도록 하며, 잉크가 묻은 돌출부를 이동시켜 상기 돌출부가 상기 버튼홈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버튼홈에 인쇄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튼홈 인쇄방법{SOFT MOLD DEVICE FOR PRINTING BUTTON OF GROOVE AND BUTTON OF GROOVE PRIN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튼홈 인쇄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홈버튼이나 사이드버튼과 같이 내측에 홈이 형성되는 영역에 인쇄를 시행하여 버튼의 홈에 합성고무와 같은 탄성부재가 용이하게 접착되도록 부착면을 형성할 수 있는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튼홈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장치에는 홈버튼이나 사이드버튼 및 전원버튼과 같은 버튼들이 구비되어 있다.
이들 버튼들의 구조를 살펴보면, 각각의 버튼들의 구조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이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성된 상태에서 돌출된 방향의 대향하는 부위에 버튼홈이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이 경우, 버튼홈에는 탄성고무가 삽입되어 버튼홈들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경우 탄성고무의 복원력에 최초 위치로 복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 경우, 버튼홈에 삽입되는 탄성고무는 버튼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버튼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버튼홈의 내측에 접착된다.
여기서, 최근에 이용되는 버튼은 대부분이 금속재질로 제작되는데, 이때, 탄성고무를 버튼홈에 삽입한 상태에서 접착을 하는 경우, 버튼홈의 금속면과 탄성고무들의 특성으로 인하여 접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일정시간 이용시에 탄성고무가 버튼홈에서 분리되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현업에서는 버튼을 양산시 금속판을 가공하여 복수 개의 버튼이 배열되도록 형성한 상태에서, 복수 개의 버튼들 각각의 버튼홈 내측면에 인쇄를 시행하여 탄성고무의 접착시에 탄성고무가 버튼으로부터 잘 분리되지 않는 작업을 시행하게 된다.
이 경우, 버튼홈의 내측면에 인쇄되는 인쇄층은 도막층이라고 불리우며, 이 경우, 인쇄층을 형성하는 인쇄작업은 연성 실리콘 패드에 인쇄층을 형성할 잉크를 묻힌 상태에서, 실리콘 패드를 복수 개의 버튼홈에 가압하는데, 이때, 실리콘 패드의 특정 부위들은 압박되어 복수 개의 버튼홈에 강제적으로 삽입됨으로써, 버튼홈의 내측면에 인쇄층(도막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실리콘 패드를 이용하는 인쇄장치의 선행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3398호를 참조하여 보면, 종래 실리콘패드는 가압되는 부위가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강한 가압력에 의해 실리콘패드의 특정 영역이 인쇄될 홈 형역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실리콘 패드를 이용한 인쇄장치는 복수 개의 버튼홈에 인쇄층을 일괄적으로 인쇄하는데 있어, 실리콘 패드의 볼록한 영역 이외에 나머지 영역에서의 인쇄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실리콘패드가 밀착되는 영역이 버튼홈의 전체에 균일하게 밀착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밀착되어 인쇄층이 특정 위치에만 많이 묻어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종래 실리콘패드를 이용하여 버튼의 내측홈을 인쇄하는 작업은 인쇄층의 균일성이 떨어져 탄성패드와의 조립간 오차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유발시키고 있기 때문에, 제품 출하시에 버튼 고장으로 인한 많은 A/S가 요청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3398호(2006. 12. 22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전자기기에 이용되는 버튼들이 형성되는 금속판의 버튼홈들 각각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경우, 각각의 버튼홈들에 형성되는 인쇄층이 균일한 인쇄 두께를 형성하도록 하여 버튼과 탄성고무와의 접착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튼홈 인쇄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는 금속판이 가공되어 복수 개의 버튼이 배열되어 구성되되 상기 복수 개의 버튼 각각에 버튼홈이 형성되는 금속판의 버튼홈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을 안착시키되, 상기 버튼홈이 상부를 향하도록 구성되는 안착대; 상기 안착대에 안착된 금속판 가운데 상기 복수 개의 버튼홈 각각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실리콘패드; 상기 실리콘패드가 결합되는 지그체; 상기 안착대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와 대응하는 영역에 에칭영역이 형성되는 수지판; 상기 수지판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배치되며, 잉크를 수용하여 상기 에칭영역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수용체; 상기 지그체와 결합되며 상기 실리콘패드를 이송시키고, 상기 잉크수용체를 상기 수지판에 밀착된 상태로 이송시키는 이송형 가압장치; 상기 이송형 가압장치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구동신호를 입력하는 구동스위치; 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스위치가 구동되어 구동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형 가압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잉크수용체를 상기 수지판의 상부면상에서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에칭영역에 잉크에 묻도록 하고, 상기 이송형 가압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실리콘패드가 결합된 지그체를 이동시켜 상기 돌출부가 잉크가 묻은 상기 에칭영역에 접촉되도록 하며, 잉크가 묻은 돌출부를 이동시켜 상기 돌출부가 상기 버튼홈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버튼홈에 인쇄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잉크수용체는, 잉크를 수용하며 상기 에칭영역에 밀착되는 발포체; 및, 상기 발포체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구성되되 상기 수지판에 밀착되는 밀착편;을 포함하며, 상기 발포체는 상기 수지판의 상부에 밀착되어 구동하는 경우, 상기 수지판과 밀착된 영역 전체에 잉크가 묻도록 하고, 상기 밀착편은 상기 수지판 상의 잉크를 걷어내어 상기 에칭영역에만 잉크가 잔존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를 이용한 버튼홈 인쇄방법은 금속판이 가공되어 복수 개의 버튼이 배열되어 구성되되 상기 복수 개의 버튼 각각에 버튼홈이 형성되는 금속판을 준비하는 금속판준비단계; 상기 금속판에 구성되는 복수 개의 버튼의 버튼홈 각각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실리콘패드를 성형하는 실리콘패드성형단계; 및, 상기 금속판의 버튼홈이 상부를 향하도록 한 상태로 지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실리콘패드의 돌출부에 잉크를 묻힌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복수 개의 금속판 버튼홈에 삽입되도록 하여 인쇄층을 형성하는 인쇄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인쇄단계는, 상기 금속판의 버튼홈이 상부를 향하도록 한 상태로 지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실리콘패드가 수직이동시에 상기 버튼홈에 삽입되도록 이송형 가압장치에 장착하는 인쇄장치 셋팅단계; 상기 실리콘패드의 돌출부에 대응하는 에칭영역이 형성되는 수지판을 제작하여 상기 금속판과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수지판 제조 및 설치단계; 상기 수지판의 에칭영역에 잉크를 묻히는 수지판잉크공급단계; 상기 이송형 가압장치에 의해 상기 실리콘패드의 돌출부가 상기 수지판의 에칭영역에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실리콘패드를 이송시켜 상기 돌출부에만 잉크가 묻도록 하는 잉크묻힘단계; 및, 잉크가 묻은 실리콘패드의 돌출부가 상기 버튼홈의 수직한 상부 공간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실리콘패드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실리콘패드를 수직이동시켜 상기 돌출부가 상기 버튼홈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버튼홈의 내측면에 인쇄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버튼홈 인쇄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판 제조 및 설치단계는, 상기 금속판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버튼홈에 대응하는 통과홀이 형성되는 필름을 제작하는 필름제조단계; 상기 필름을 수지판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통과홀에 에칭액을 도포하여 상기 에칭영역을 형성하는 수지판에칭단계; 및, 상기 금속판과 이격되도록 에칭영역이 형성된 수지판을 설치하는 수지판설치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돌출부에만 잉크가 묻도록 한 상태에서, 돌출부를 버튼홈에 삽입하여 인쇄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인쇄층이 균일한 인쇄 두께를 형성하여 탄성고무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인쇄가 불균일하게 되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금속판을 상부면 사시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리콘패드를 저면 사시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지판의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잉크수용체가 수지판에 밀착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리콘패드가 이송형 가압장치에 의해 이송된 상태의 정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리콘패드가 버튼홈을 가압하는 상태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를 이용한 버튼홈 인쇄방법의 순서도.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수지판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튼홈 인쇄방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금속판을 상부면 사시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리콘패드를 저면 사시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지판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잉크수용체가 수지판에 밀착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리콘패드가 이송형 가압장치에 의해 이송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리콘패드가 버튼홈을 가압하는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를 이용한 버튼홈 인쇄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수지판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전자기기에 이용되는 버튼(1b)의 내측 버튼홈(1c)에 인쇄층(1d)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로써, 이 경우, 금속판(1a)은 복수 개의 버튼(1b)이 판금이나 절삭가공에 의해 형성되며, 각각의 버튼(1b)은 금속판(1a)에서 분리된 후, 재가공을 통해 버튼(1b)으로 이용된다. 여기서, 버튼(1b)의 내측 각각에는 버튼홈(1c)이 구성되며, 이는 배경기술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탄성고무가 용이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를 이용하여 인쇄층(1d)이 형성된다.
그에 따라 인쇄층(1d)을 형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대(10), 실리콘패드(20), 지그체(30), 수지판(40), 잉크수용체(50), 이송형 가압장치(60), 제어부(70) 및, 구동스위치(80)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대(10)는 복수 개의 버튼(1b)이 구성되는 금속판(1a)을 안착시키되, 버튼홈(1c)이 상부를 향하도록 금속판(1a)을 안착시키게 된다. 이 경우, 안착대(10)는 금속판(1a)의 외곽 모양과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에 금속판(1a)이 안착되도록 하여 금속판(1a)의 버튼홈(1c) 각각에 인쇄층(1d)을 형성하는 작업을 시행하는 경우에, 금속판(1a)이 유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패드(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통체형상으로 형성되되,안착대(10)에 안착된 금속판(1a) 가운데 복수 개의 버튼홈(1c) 각각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21)가 사각 통체의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실리콘패드(20)는 돌출부(21)에 잉크가 묻은 상태로 버튼홈(1c)에 밀착되어 버튼홈(1c)에 인쇄층(1d)을 형성하는 역할을 구현하게 된다. 여기서, 돌출부(21)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돌출부(21)의 형상은 버튼홈(1c)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지그체(30)는 실리콘패드(20)와 결합되어 실리콘패드(20)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후술하는 이송형 가압장치(60)와 결합되어 이송형 가압장치(60)의 구동시에 실리콘패드(2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 경우, 지그체(30)와 실리콘패드(20)의 결합은 접착 및 체결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지판(40)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안착대(10)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부면에 돌출부(21)와 대응하는 영역에 에칭영역(41)이 형성된다. 여기서, 에칭영역(41)은 수지판(40)을 에칭하여 수지판(40)에 미세하게 요철부를 형성한 영역이다. 이러한 수지판(40)은 에칭영역(41)에 잉크를 묻힌 상태에서, 돌출부(21)의 접촉시에 돌출부(21)에 잉크가 묻도록 하는데, 잉크가 돌출부(21)에 부분 요철 형태로 묻도록 함으로써, 돌출부(21)를 이용한 인쇄시에 균일한 두께로 인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잉크수용체(50)는 수지판(40)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배치되며, 잉크를 수용하여 에칭영역(41)에 잉크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잉크수용체(50)는 후술하는 이송형 가압장치(60)의 축(67)과 연결됨으로써, 이송형 가압장치(60)와 연동하여 움직임에 관한 구동이 제어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잉크수용체(50)는 발포체(51) 및 밀착편(52)을 포함한다. 여기서, 발포체(51)는 스펀지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잉크를 흡수하여 잉크를 수용하며, 수지판(40)에 밀착되어 에칭영역(41)을 포함한 수지판(40) 전체의 영역에 잉크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밀착편(52)은 발포체(51)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구성되되, 끝단이 칼날과 같이 날카롭게 구성되어 수지판(40)에 밀착된다. 이러한 잉크수용체(50)는 수지판(40)의 잉크를 공급시에, 후술하는 이송형 가압장치(60)의 구동에 의해 수지판(40)의 상부공간 상에서 이동하게 되며, 이 경우, 잉크를 함유한 발포체(51)는 일정구간을 이동하면서 수지판(40)의 상부공간상의 전체에 잉크가 묻도록 하고, 이때, 밀착편(52)은 수지판(40)과 밀착되어 수지판(40) 상의 잉크를 걷어내게 된다. 이때, 수지판(40)에 형성되는 에칭영역(41)에는 수지판(40)의 상부면보다 낮은 공간의 요철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수지판(40) 전체 영역 가운데 에칭영역(41)에만 잉크가 잔존하게 된다.
상기 이송형 가압장치(60)는 지그체(30)와 결합되며 실리콘패드(20)를 도 1의 도면을 기준으로 상하방향과 좌우방향 각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공압 엑츄에이터, 리니어모터, 모터구동형 볼스크류 및, 링크와 같은 장치들이 서로 간에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지그체(30)뿐만 아니라, 잉크수용체(50)와도 결합되어 잉크수용체(50)를 상하방향과 좌우방향 각각으로 이송시켜 잉크수용체(50)를 수지판(40)에 밀착된 상태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70)는 PLC컨트롤러와 같은 제어기로써, 이송형 가압장치(60)와 연동하여 이송형 가압장치(6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되며, 제어부(70)의 구동 알고리즘은 이하의 인쇄 방법에 대한 기술적 특징과 함께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구동스위치(80)는 제어부(70)에 구동신호를 입력하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의 구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작업자는 금속판(1a)을 안착대(10)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구동스위치(80)를 누르게 되면, 구동스위치(80)는 구동신호를 제어부(70)에 입력하게 되고, 제어부(70)는 이송형 가압장치(60)를 제어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수용체(50)를 수지판(40)의 상부면상에서 일정 구간 구동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발포체(51)에 함유된 잉크는 밀착되어 이동하는 구간 전체에 도포되고, 이때, 밀착편(52)은 수지판(40)의 잉크를 걷어내어 에칭영역(41)에만 잉크가 잔존하도록 하게 된다.
다음, 제어부(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형 가압장치(60)를 제어하여 실리콘패드(20)가 결합된 지그체(30)를 이동시켜 돌출부(21)가 잉크가 묻은 에칭영역(41)에 접촉되도록 하게 된다.
다음, 제어부(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가 묻은 돌출부(21)를 이동시켜 돌출부(21)가 버튼홈(1c)에 삽입되도록 하여 버튼홈(1c)에 인쇄층(1d)이 형성되도록 한 후, 실리콘패드(20)를 최초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는 버튼홈(1c)에 밀착되는 돌출부(21)를 형성하고, 돌출부(21)에만 잉크를 묻혀 버튼홈(1c)에 인쇄층(1d)을 형성하기 때문에, 인쇄층(1d)이 균일한 인쇄 두께를 형성하여 탄성고무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인쇄가 불균일하게 되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를 이용한 버튼홈 인쇄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를 이용한 버튼홈 인쇄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를 이용한 버튼홈 인쇄방법은 금속판준비단계(S10), 실리콘패드성형단계(S20) 및, 인쇄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판준비단계(S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1a)이 가공되어 복수 개의 버튼(1b)이 배열되어 구성되되 복수 개의 버튼(1b) 각각에 버튼홈(1c)이 형성되는 금속판(1a)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실리콘패드성형단계(S20)는 금속판(1a)에 구성되는 복수 개의 버튼(1b)의 버튼홈(1c) 각각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21)를 구비하는 실리콘패드(20)를 성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실리콘패드(20)의 성형은 금속판(1a)들에 형성되는 버튼홈(1c)과 대응하도록 금형을 가공한 후, 해당 금형에 실리콘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한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실리콘패드(20)의 성형방법을 상기한 방식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실리콘패드(20)의 성형방법은 실리콘패드(20)를 절삭하여 성형하는 방법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인쇄단계(S30)는, 인쇄장치 셋팅단계(S31), 수지판 제조 및 설치단계(S32), 수지판잉크공급단계(S33), 잉크묻힘단계(S34), 버튼홈 인쇄단계(S35)를 포함한다.
상기 인쇄장치 셋팅단계(S31)는 금속판(1a)의 버튼홈(1c)이 상부를 향하도록 한 상태로 안착대(10)의 홈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실리콘패드(20)가 수직이동시에 버튼홈(1c)에 삽입되도록 실리콘패드(20)를 이송형 가압장치(60)에 장착하는 단계이다.
상기 수지판 제조 및 설치단계(S32)는 실리콘패드(20)의 돌출부(21)에 대응하는 에칭영역(41)이 형성되는 수지판(40)을 제작하여 상기 금속판(1a)과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단계로써, 필름제조단계, 수지판에칭단계 및, 수지판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름제조단계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1a)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버튼홈(1c)에 대응하는 통과홀(43c)이 형성되는 필름(43)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상기 수지판에칭단계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43)을 수지판(4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통과홀(43c)에 에칭액을 도포하여 수지판(40)에 에칭영역(41)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수지판설치단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1a)과 이격되도록 에칭영역(41)이 형성된 수지판(40)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수지판잉크공급단계(S3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수용체(50)를 이용하여 수지판(40)의 에칭영역(41)에 잉크를 묻히는 단계로써, 발포체(51)와 밀착편(52)을 이용하여 에칭영역(41)에 잉크를 묻히게 된다.
상기 잉크묻힘단계(S3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형 가압장치(60)에 의해 실리콘패드(20)의 돌출부(21)가 잉크묻힘용필름의 에칭영역(41)에 접촉되도록 실리콘패드(20)를 이송시켜 돌출부(21)에만 잉크가 묻히도록 하는 단계이다.
상기 버튼홈 인쇄단계(S3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가 묻은 실리콘패드(20)의 돌출부(21)가 버튼홈(1c)의 수직한 상부 공간상에 위치하도록 실리콘패드(20)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실리콘패드(20)를 수직이동시켜 돌출부(21)가 버튼홈(1c)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버튼홈(1c)의 내측면에 인쇄층(1d)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를 이용한 버튼홈 인쇄방법은 돌출부(21)에만 잉크가 묻도록 한 상태에서, 돌출부(21)를 버튼홈(1c)에 삽입하여 인쇄층(1d)을 형성하기 때문에, 인쇄층(1d)이 균일한 인쇄 두께를 형성하여 탄성고무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인쇄가 불균일하게 되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a ; 금속판 1b ; 버튼
1c ; 버튼홈 1d ; 인쇄층
10 ; 안착대 20 ; 실리콘패드
21 ; 돌출부 30 ; 지그체
40 ; 수지판 41 ; 에칭영역
43 ; 필름 50 ; 잉크수용체
60 ; 이송형 가압장치 70 ; 제어부
80 ; 구동스위치

Claims (5)

  1. 금속판(1a)이 가공되어 복수 개의 버튼(1b)이 배열되어 구성되되 상기 복수 개의 버튼(1b) 각각에 버튼홈(1c)이 형성되는 금속판(1a)의 버튼홈(1c)에 인쇄층(1d)을 형성하는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1a)을 안착시키되, 상기 버튼홈(1c)이 상부를 향하도록 구성되는 안착대(10);
    상기 안착대(10)에 안착된 금속판(1a) 가운데 상기 복수 개의 버튼홈(1c) 각각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21)가 형성되는 실리콘패드(20);
    상기 실리콘패드(20)가 결합되는 지그체(30);
    상기 안착대(10)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21)와 대응하는 영역에 에칭영역(41)이 형성되는 수지판(40);
    상기 수지판(40)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배치되며, 잉크를 수용하여 상기 에칭영역(41)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수용체(50);
    상기 지그체(30)와 결합되며 상기 실리콘패드(20)를 이송시키고, 상기 잉크수용체(50)를 상기 수지판(40)에 밀착된 상태로 이송시키는 이송형 가압장치(60);
    상기 이송형 가압장치(60)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 및,
    상기 제어부(70)에 구동신호를 입력하는 구동스위치(80); 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스위치(80)가 구동되어 구동신호가 상기 제어부(70)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이송형 가압장치(60)를 제어하여 상기 잉크수용체(50)를 상기 수지판(40)의 상부면상에서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에칭영역(41)에 잉크에 묻도록 하고, 상기 이송형 가압장치(60)를 제어하여 상기 실리콘패드(20)가 결합된 지그체(30)를 이동시켜 상기 돌출부(21)가 잉크가 묻은 상기 에칭영역(41)에 접촉되도록 하며, 잉크가 묻은 돌출부(21)를 이동시켜 상기 돌출부(21)가 상기 버튼홈(1c)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버튼홈(1c)에 인쇄층(1d)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수용체(50)는,
    잉크를 수용하며 상기 에칭영역(41)에 밀착되는 발포체(51); 및,
    상기 발포체(51)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구성되되 상기 수지판(40)에 밀착되는 밀착편(52);을 포함하며,
    상기 발포체(51)는 상기 수지판(40)의 상부에 밀착되어 구동하는 경우, 상기 수지판(40)과 밀착된 영역 전체에 잉크가 묻도록 하고, 상기 밀착편(52)은 상기 수지판(40) 상의 잉크를 걷어내어 상기 에칭영역(41)에만 잉크가 잔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
  3. 금속판(1a)이 가공되어 복수 개의 버튼(1b)이 배열되어 구성되되 상기 복수 개의 버튼(1b) 각각에 버튼홈(1c)이 형성되는 금속판(1a)을 준비하는 금속판준비단계(S10);
    상기 금속판(1a)에 구성되는 복수 개의 버튼(1b)의 버튼홈(1c) 각각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21)를 구비하는 실리콘패드(20)를 성형하는 실리콘패드성형단계(S20); 및
    상기 금속판(1a)의 버튼홈(1c)이 상부를 향하도록 한 상태로 지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실리콘패드(20)의 돌출부(21)에 잉크를 묻힌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21)가 상기 복수 개의 금속판(1a) 버튼홈(1c)에 삽입되도록 하여 인쇄층(1d)을 형성하는 인쇄단계(S30);
    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단계(S30)는,
    상기 금속판(1a)의 버튼홈(1c)이 상부를 향하도록 한 상태로 지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실리콘패드(20)가 수직이동시에 상기 버튼홈(1c)에 삽입되도록 이송형 가압장치(60)에 장착하는 인쇄장치 셋팅단계(S31);
    상기 실리콘패드(20)의 돌출부(21)에 대응하는 에칭영역(41)이 형성되는 수지판(40)을 제작하여 상기 금속판(1a)과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수지판 제조 및 설치단계(S32);
    상기 수지판(40)의 에칭영역(41)에 잉크를 묻히는 수지판잉크공급단계(S33);
    상기 이송형 가압장치(60)에 의해 상기 실리콘패드(20)의 돌출부(21)가 상기 수지판(40)의 에칭영역(41)에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실리콘패드(20)를 이송시켜 상기 돌출부(21)에만 잉크가 묻도록 하는 잉크묻힘단계(S34); 및
    잉크가 묻은 실리콘패드(20)의 돌출부(21)가 상기 버튼홈(1c)의 수직한 상부 공간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실리콘패드(20)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실리콘패드(20)를 수직이동시켜 상기 돌출부(21)가 상기 버튼홈(1c)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버튼홈(1c)의 내측면에 인쇄층(1d)이 형성되도록 하는 버튼홈 인쇄단계(S35);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를 이용한 버튼홈 인쇄방법.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판 제조 및 설치단계(S32)는,
    상기 금속판(1a)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버튼홈(1c)에 대응하는 통과홀이 형성되는 필름을 제작하는 필름제조단계;
    상기 필름을 수지판(4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통과홀에 에칭액을 도포하여 상기 에칭영역(41)을 형성하는 수지판(40)에칭단계; 및,
    상기 금속판(1a)과 이격되도록 에칭영역(41)이 형성된 수지판(40)을 설치하는 수지판(40)설치단계; 를 포함하는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를 이용한 버튼홈 인쇄방법.
KR1020140068573A 2014-06-05 2014-06-05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튼홈 인쇄방법 KR101635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573A KR101635531B1 (ko) 2014-06-05 2014-06-05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튼홈 인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573A KR101635531B1 (ko) 2014-06-05 2014-06-05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튼홈 인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152A KR20150140152A (ko) 2015-12-15
KR101635531B1 true KR101635531B1 (ko) 2016-07-01

Family

ID=55021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573A KR101635531B1 (ko) 2014-06-05 2014-06-05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튼홈 인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5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679B1 (ko) * 2021-03-02 2021-07-16 유정정공 주식회사 마스크 스템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398B1 (ko) 2006-01-26 2007-01-02 주식회사 대영테크 다층의 경도를 갖는 인쇄장치용 인쇄패드 및 그 제작방법
JP2008307764A (ja) * 2007-06-14 2008-12-25 Sony Corp 凸版印刷方法及び凸版印刷装置
JP5517292B2 (ja) 2010-02-03 2014-06-1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パッド及びパッド印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232B1 (ko) * 2007-05-03 2009-02-05 한국기계연구원 패드 프린팅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398B1 (ko) 2006-01-26 2007-01-02 주식회사 대영테크 다층의 경도를 갖는 인쇄장치용 인쇄패드 및 그 제작방법
JP2008307764A (ja) * 2007-06-14 2008-12-25 Sony Corp 凸版印刷方法及び凸版印刷装置
JP5517292B2 (ja) 2010-02-03 2014-06-1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パッド及びパッド印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152A (ko) 2015-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93024B2 (en) Device for attaching protection film of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ttaching protection film using same
JP4491049B1 (ja) 熱板加熱による熱成形装置および熱成形方法
JP4861749B2 (ja) モールド装置およびモールド品の製造方法
WO2006049782A3 (en) Automated fabric layup system and method
KR101635531B1 (ko) 버튼홈 인쇄용 연성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튼홈 인쇄방법
US20170057152A1 (en) Thermoforming apparatus
JP6937451B1 (ja) モータコア製造方法及びモータコア製造装置
JP7319537B2 (ja) 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1401293B1 (ko) 연성회로기판용 지그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장치
KR101056976B1 (ko) 가동 접점 부착 시트 및 스위치 장치
KR100873003B1 (ko) 입체 형상 전자제품 케이스의 전사방식 문양표현 방법 및장치
US20220203583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n edgefold
KR101604734B1 (ko) 열 접착방식 엠보싱 패치의 제조방법
TW202139804A (zh) 印刷基板的製造方法
JP4324800B2 (ja) 基板支持具
CN111113904A (zh) Acf贴附治具及方法
CN112786461A (zh) 树脂保护部件形成装置
KR101813896B1 (ko) 임프린트 장치
JP6336510B2 (ja) 加圧方法および加圧装置
JP6181807B1 (ja) 加圧装置および加圧方法
KR101128357B1 (ko) 키패드의 가압돌기 형성방법
KR102617073B1 (ko) Imd 필름 포밍 장치
KR100574796B1 (ko) 자동차용 내장재의 성형방법및 성형장치
KR101256977B1 (ko) 성형물 전사인쇄방법
KR101113059B1 (ko) 사출금형 및 사출성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