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096B1 - 분청혼합소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분청혼합소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096B1
KR102208096B1 KR1020180120649A KR20180120649A KR102208096B1 KR 102208096 B1 KR102208096 B1 KR 102208096B1 KR 1020180120649 A KR1020180120649 A KR 1020180120649A KR 20180120649 A KR20180120649 A KR 20180120649A KR 102208096 B1 KR102208096 B1 KR 102208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oxide
paper
composition
clean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0568A (ko
Inventor
유미숙
Original Assignee
유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미숙 filed Critical 유미숙
Priority to KR1020180120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096B1/ko
Publication of KR20200040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Abstract

본 발명은, 분청소지, 백자소지, 및 산청소지를 포함하는 분청혼합소지로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분청소지 55중량%, 백자소지 15 내지 35중량%, 및 산청소지 10 내지 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청혼합소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분청혼합소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Buncheong Ceramic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분청혼합소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도자기 소지는 장석과 규석을 원재료로 포함하여 고령토 등과의 일정한 조성비를 구성하여 이용해 왔다. 도자기 소지는 전통적으로 크게 백자토, 분청토 및 청자토 등으로 나눌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조합토, 산청토, 옹기토 및 자기토 등도 널리 사용된다.
이 들 도자기 소지 중 분청토는 분청사기를 만드는 흙이라 할 수 있다. 분청사기는 회색 또는 회흑색의 태토위에 백토로 표면을 분장한 조선 초기의 도자기이다. 분장회청사기의 준말인데, 이 분장기법은 무늬를 나타내기도 하고 그릇 표면을 백토로 씌워 백자로 이행되는 과정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러한 분청사기는 고려 말 청자로부터 변모, 발전하였고 15, 6세기 약 200여 년이라는 오랜 시간동안 제작되었다.
다만, 분청사기의 원재료인 종래의 분청토는 강도가 약하여 재벌 소성한 후에도 작품이 잘 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분청소지는 소성 시 짙은 갈색을 띠어, 전반적으로 우아하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기에는 어려워 제작하였을 때 작품의 색깔로는 잘 어울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고급스러운 자연미를 살릴 수 있는 분청소지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를 거듭하였고, 그 결과 분청소지에 백자소지 및 산청소지를 혼합하여 높은 강도를 가지고 작품과 잘 어울리는 색깔을 띠는 혼합소지를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종래기술 천연 청자기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도자기(특허 제 0885391호)는 산청토, 분청토 및 청자토 등을 포함하는 소지를 사용하긴 했으나, 그 각 혼합비율에 따른 소지의 강도나 색깔과 관련하여 진보된 내용은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높은 강도를 가지며 고급스러운 자연미를 살릴 수 있는 색깔을 띠는 분청혼합소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분청소지, 백자소지, 및 산청소지를 포함하는 분청혼합소지로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분청소지 55중량%, 백자소지 15 내지 35중량%, 및 산청소지 10 내지 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청혼합소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백자소지는 25 내지 35중량%이고, 상기 산청소지는 10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청혼합소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백자소지는 35중량%이고, 상기 산청소지는 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청혼합소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청혼합소지 조성물을 이용한 폭 4.96 내지 5.47mm, 길이 50mm, 및 높이 4.54 내지 4.87mm의 시편 6개의 꺾임강도는 438 내지 630 kgf/cm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청혼합소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6개의 시편의 꺾임강도의 평균값은 510kgf/cm2 이고, 표준편차를 고려한 꺾임강도의 보정값은 536kgf/cm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청혼합소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백자소지는 상기 백자소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산화규소(SiO2) 67.72중량%, 산화알루미늄(Al2O3) 22.52중량%, 산화철(Fe2O3) 0.28중량%, 산화마그네슘(MgO) 0.61중량%, 산화나트륨(Na2O) 1.01중량% 및 산화칼륨(K2O) 1.97 중량%를 포함하는 분청혼합소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청소지는, 상기 산청소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산화규소(SiO2) 47.46중량%, 산화알루미늄(Al2O3) 30.28중량%, 산화철(Fe2O3) 2.24중량%, 산화마그네슘(MgO) 0.69중량%, 산화칼슘(CaO) 5.34중량%, 산화나트륨(Na2O) 1.96중량% 및 산화칼륨(K2O) 0.6 중량%를 포함하는 분청혼합소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해결수단은 아래에서 이어지는 설명에서 일부 설명될 것이고, 그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지득될 수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청혼합소지 조성물은 강도가 높아 잘 깨지지 않으며 작품과 잘 어울리는 색깔을 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도자기 시험편과 종래의 분청소지 시험편의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분청소지의 두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다. 종래의 분청소지는 강도가 약해서 잘 깨지고 소성하였을 때 짙은 갈색으로 작품과는 잘 어울리지 않는 색깔을 띠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분청소지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분청소지에 백자소지를 혼합하고, 소지의 색상을 조절하기 위하여 산청소지를 혼합한 분청혼합소지를 제조하되, 각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총 6종류의 시험편을 만들어 각 시험편의 꺾임강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혼합비율에 따라 소지의 강도 및 색깔이 변화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각 소지의 혼합비율을 달리한 총 6종류의 혼합 조성물
아래의 표 1은 분청소지, 백자소지 및 산청토지의 혼합비율을 달리한 총 6종류의 혼합 조성물의 조성비율이다.
분청소지 백자소지 산청소지
1 100 0 0
2 55 15 30
3 55 20 25
4 55 25 20
5 55 30 15
6 55 35 10
위의 표1과 같이 1번 혼합소지 조성물은 분청소지만을 포함한다. 이는 종래의 분청소지조성물을 이용한 것이다. 2번 내지 6번의 조성물이 본 발명에 따른 분청혼합소지에 관한 것이다. 분청소지의 함량비율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5중량%로 고정하고, 백자소지와 산청소지의 혼합비율을 조절해가며 실험을 진행하였다.
소지의 꺾임강도 측정실험
아래의 표 2는 위의 1번 내지 6번의 조성물을 이용해 각 조성물 별로 각각 6개의 시험편을 만들어 꺾임강도를 측정한 실험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여기서, 실험 조건은 소지가 가소성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진행하였다. 가소성을 유지하는 범위는, 소지를 이용한 시험편을 제작한 후 시험편이 굳어서 더 이상 외력을 가하여도 그 형상을 변화시킬 수 없는 상태가 되기 전을 의미할 수 있다. 소성 온도는 1250℃에서 진행하였고, 각 시험편은 모두 초벌구이를 하여 제작하였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 초벌구이 후 재벌구이까지 진행할 수 있다.
폭 mm 두께(높이) mm 길이 mm 하중 kgf 강도 kgf/cm2
강도 평균
1 1 5.20 4.89 48.5 14.02 507 492
2 5.00 4.78 48.6 12.77 503
3 4.92 4.88 50.0 12.70 488
4 4.60 5.02 51.0 11.67 453
5 5.32 4.83 49.2 11.37 412
6 5.04 4.88 50.1 15.67 588
폭 mm 두께(높이) mm 길이 mm 하중 kgf 강도 kgf/cm2
강도 평균
2 1 4.72 4.27 50.6 9.07 471 455
2 5.51 4.47 51.0 10.63 434
3 4.91 4.86 49.5 12.03 467
4 5.37 4.86 49.2 13.56 481
5 5.12 4.68 50.8 9.61 386
6 5.28 4.77 50.0 13.05 489
폭 mm 두께(높이) mm 길이 mm 하중 kgf 강도 kgf/cm2
강도 평균
3 1 5.14 4.89 48.7 12.35 452 455
2 5.10 4.82 51.5 11.34 431
3 4.80 4.96 50.6 12.12 462
4 4.87 4.60 50.3 10.38 453
5 5.34 4.80 51.2 13.36 514
6 4.84 4.76 47.9 10.19 418
폭 mm 두께(높이) mm 길이 mm 하중 kgf 강도 kgf/cm2
강도 평균
4 1 5.09 4.78 50.2 11.05 428 504
2 5.29 4.66 50.4 12.51 490
3 4.88 4.52 51.0 11.44 516
4 4.96 4.93 47.7 14.88 555
5 5.11 4.79 48.8 13.78 529
6 5.11 4.76 49.9 13.00 505
폭 mm 두께(높이) mm 길이 mm 하중 kgf 강도 kgf/cm2
강도 평균
5 1 5.06 4.73 51.0 10.90 433 492
2 4.86 4.76 50.7 11.77 481
3 4.94 4.87 50.0 13.82 531
4 5.35 4.40 49.8 13.54 588
5 4.67 4.41 49.8 9.69 480
6 5.30 4.47 50.1 10.28 437
폭 mm 두께(높이) mm 길이 mm 하중 kgf 강도 kgf/cm2
강도 평균
6 1 5.09 4.87 50.2 13.61 507 510
2 5.19 4.70 51.4 11.16 438
3 5.13 4.76 48.0 16.28 630
4 5.47 4.58 49.3 12.17 477
5 4.96 4.54 50.7 11.12 489
6 5.20 4.77 50.0 13.56 516
위의 표 2 내지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1번부터 6번까지의 각 조성물을 이용한 시편을 각각 6개씩 일정 범위 내의 폭, 두께, 길이 및 하중을 갖도록 제작하여 꺾임강도를 측정하고, 그 꺾임강도의 평균값을 도출하였다.
위의 표 2 내지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6종류의 조성물의 꺾임강도의 보정값은, 표 5에 기재된 4번 조성물부터 그 수치가 519 kgf/cm2 로 월등하게 높아지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즉, 4번 내지 6번 조성물의 경우 기존에 비해 꺾임강도가 월등히 증대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분청소지 55중량%, 백자소지 25 내지 35중량%, 산청소지 10중량% 내지 20중량%의 경우에 그 꺾임강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특징을 보이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가장 높은 꺾임강도를 가지는 시험편은 6번 조성물로 제작된 것이다. 위의 표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6번 조성물의 꺾임강도의 평균값과 보정값이 제일 높게 도출되었다. 6번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분청소지 55중량%, 백자소지 35중량% 및 산청소지 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인 분청소지, 백자소지, 산청소지의 중량비율은 11:7:2이다.
6번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한 6개의 시험편은 폭 4.96 내지 5.47mm, 길이 50mm, 높이 4.54 내지 4.87mm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6번 조성물을 기초로 제작된 6개의 시험편의 꺾임강도는 438 내지 630 kgf/cm2 일 수 있다. 또한, 이들 6개의 시험편의 꺾임강도의 평균값은 510 kgf/cm2, 표준편차를 고려한 보정값은 536 kgf/cm2 로 도출된다.
소지의 색깔 비교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위의 표 1의 6종류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만든 시험편의 사진이다. 다만, 각 조성물 당 제일 번호가 앞선 두 개의 시험편(예를 들어 1-1, 1-2)만을 배열하여 사진을 촬영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각 시험편은 모두 반으로 쪼개진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꺾임강도를 측정하는 실험 과정에서 쪼개진 것이다.
1번부터 6번 조성물의 색깔을 비교해보면, 1번의 경우 분청소지만을 포함하는 시험편으로, 갈색에 가깝고 노란 빛깔을 포함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다만, 백자소지의 함량비율이 높아지고 산청소지의 함량비율이 낮아지는 6번으로 갈수록 점점 갈색과 노란빛깔이 사라지고 밝은 회색, 푸른 회색을 띠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6번의 경우 다른 1번 내지 5번 조성물과 비교했을 때 더 밝은 회청색으로 발현된다. 즉, 6번 조성물의 시험편의 색깔은 작품과 잘 어울리는 고급스러운 자연미를 발현하는 회청색임을 파악할 수 있다.
백자소지 및 산청소지 성분분석
본 발명에 따른 분청혼합소지에 포함되는 백자소지 및 산청소지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아래의 표 8에 나타내었다. 단위는 중량%(w t%)이다.
SiO2 Al2O3 Fe2O3 MgO CaO Na2O K2O CuO Pm2O3
백자소지 67.72 22.52 0.28 0.61 - 1.01 1.97 2.45 3.44
산청소지 47.46 30.28 2.24 0.69 5.34 1.96 0.6 6.10 5.33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분청소지, 백자소지, 및 산청소지를 포함하는 분청혼합소지로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분청소지 55중량%, 상기 백자소지는 35중량%, 상기 산청소지는 10중량%이고,
    상기 백자소지는,
    상기 백자소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산화규소(SiO2) 67.72중량%, 산화알루미늄(Al2O3) 22.52중량%, 산화철(Fe2O3) 0.28중량%, 산화마그네슘(MgO) 0.61중량%, 산화나트륨(Na2O) 1.01중량% 및 산화칼륨(K2O) 1.97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산청소지는,
    상기 산청소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산화규소(SiO2) 47.46중량%, 산화알루미늄(Al2O3) 30.28중량%, 산화철(Fe2O3) 2.24중량%, 산화마그네슘(MgO) 0.69중량%, 산화칼슘(CaO) 5.34중량%, 산화나트륨(Na2O) 1.96중량% 및 산화칼륨(K2O) 0.6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분청혼합소지 조성물을 이용한 폭 4.96 내지 5.47mm, 길이 48 내지 51.4mm, 및 높이 4.54 내지 4.87mm이고, 1250℃에서 초벌구이된 시편 6개의 꺾임강도 평균값은 510kgf/cm2 이고,
    회청색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분청혼합소지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120649A 2018-10-10 2018-10-10 분청혼합소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8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649A KR102208096B1 (ko) 2018-10-10 2018-10-10 분청혼합소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649A KR102208096B1 (ko) 2018-10-10 2018-10-10 분청혼합소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568A KR20200040568A (ko) 2020-04-20
KR102208096B1 true KR102208096B1 (ko) 2021-01-27

Family

ID=70467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649A KR102208096B1 (ko) 2018-10-10 2018-10-10 분청혼합소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0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029B1 (ko) * 2008-08-19 2008-12-09 이장수 천연 소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도자기
KR101191670B1 (ko) 2012-05-29 2012-10-19 이승민 삼작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1325509B1 (ko) * 2012-11-20 2013-11-07 김은경 고가소성과 고강도를 나타내는 도자기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954B1 (ko) * 2008-02-15 2009-10-01 주식회사 동양이앤피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내장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029B1 (ko) * 2008-08-19 2008-12-09 이장수 천연 소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도자기
KR101191670B1 (ko) 2012-05-29 2012-10-19 이승민 삼작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1325509B1 (ko) * 2012-11-20 2013-11-07 김은경 고가소성과 고강도를 나타내는 도자기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568A (ko) 202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122B1 (ko) 대나무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98651B1 (ko) 차 잎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4120733A (en) Lead-free glaze for alumina bodies
KR100944035B1 (ko) 천연 무공해 유약을 이용하여 제조된 점토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28374A (ko) 낙엽재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US2871132A (en) Glazing composition for structural clay product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KR102003245B1 (ko) 시래기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6467B1 (ko) 땅콩껍질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8266B1 (ko) 누에 분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8096B1 (ko) 분청혼합소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142583B2 (ja) 来待虹彩瓦用釉薬
KR20180040782A (ko) 담뱃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투명 유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039329B1 (ko) 밤 껍질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77457B1 (ko) 메밀 알갱이형 결정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KR20190107343A (ko) 낙엽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9041B1 (ko) 밤송이 재를 포함하는 유약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 방법
KR102138703B1 (ko) 찔레꽃나무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6228B1 (ko) 곱돌 분말을 포함하는 백자 소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82645B1 (ko) 메밀 껍질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8702B1 (ko) 산딸기나무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70874A (ko) 자두씨 재를 포함하는 유약을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 방법
KR101315127B1 (ko) 황금색 유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16470B1 (ko) 옥수수껍질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8265B1 (ko) 티알라이트계 갈색 안료 및 이의 제조방법
US1749642A (en) Manufacture of ceramic w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