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457B1 - 메밀 알갱이형 결정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메밀 알갱이형 결정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457B1
KR102377457B1 KR1020210120050A KR20210120050A KR102377457B1 KR 102377457 B1 KR102377457 B1 KR 102377457B1 KR 1020210120050 A KR1020210120050 A KR 1020210120050A KR 20210120050 A KR20210120050 A KR 20210120050A KR 102377457 B1 KR102377457 B1 KR 102377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hours
firing step
cryst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재성
Original Assignee
피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재성 filed Critical 피재성
Priority to KR1020210120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4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00Ingredients generally applicable to manufacture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 C03C1/02Pretreated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04B33/34Burning methods combined with glaz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여장석 39 내지 41.5중량%, 백운석 18중량%, 석회석 13.2중량%, 와목점토 3.6중량%, 부여규석 13.6중량%, 산화철 8 내지 9.5중량%, 산화티탄 2 내지 3중량%를 포함하여 도자기 표면에 메밀 알갱이 형상을 가지는 결정을 발생시키는 메밀 알갱이형 결정 유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메밀 알갱이형 결정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Buckwheat grain type crystal glaze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ceramic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메밀 알갱이형 결정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유약이란, 도자기의 표면에 점착되는 얇은 유리층으로서 도자기의 흡수성을 저하시키고 심미감을 표출시키며 도자기를 튼튼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유약은 도자기나 옹기류 등의 표면에 칠해지고 열처리 융착되어 그 표면에 광택 또는 무광택의 표면층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제제로서 투수성을 없애고 미적 효과를 증가시키며 도자기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자기에 표면에 칠해져서 소성에 의해 광택을 띄게 하는 유약은 통상 장석, 규석, 고령토, 석회석, 활석, 형석, 골분을 주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유약은 위와 같이 도자기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역할 뿐만 아니라 색이나 결정 등이 표면에 표현되도록 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장식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소성 시 단색을 내는 유약이 존재하는 반면에 단색 바탕에 결정이 생기도록 하여 마치 도자기 표면에 꽃이 핀 듯한 느낌을 주는 유약도 존재한다. 이를 결정유라고 하며 결정을 피게 하는 특정 성분이 포함된 유약을 의미한다. 도자기 표면에 피는 결정의 크기에 의하여 도자기의 심미감이 달라질 수 있어, 종래에는 결정의 크기 조절을 위하여 크기를 결정하는 요인인 결정을 피게 하는 특정 성분의 양을 조절하여 사용하였다. 이 특정 성분이 상당히 고가이기도 하며, 성분 함량만 조절한다고 해서 결정의 크기나 개수를 작가의 의도에 맞도록 조절할 수는 없는 단점이 있었다.
종래기술인 등록특허 제 10-1043721호의 흑색 결정체를 형성하는 도자기용 유약조성물은 흑색 결정체를 나타내도록 하는 여러 성분이 개시되어 있긴 하나, 구체적으로 결정의 크기나 개수를 조절하는 내용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자는 보다 경제적이고 고급스러운 자연미를 살릴 수 있는 도자기용 결정 유약 및 결정의 크기나 개수 조절이 용이한 도자기용 결정 유약 제조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를 거듭하였고, 그 결과 결정을 피게 하는 특정 성분의 양을 유지한 채 발효시간과 소성의 횟수 변화를 주는 경우, 기존 유약에 비하여 경제적이며 결정의 크기와 개수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어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결정의 크기나 개수의 조절이 가능하여 작가의 의도에 맞는 심미감을 나타내는 도자기를 제조할 수 있는 결정 유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여장석 39 내지 41.5중량%, 백운석 18중량%, 석회석 13.2중량%, 와목점토 3.6중량%, 부여규석 13.6중량%, 산화철 8 내지 9.5중량%, 산화티탄 2 내지 3중량%를 포함하여 도자기 표면에 메밀 알갱이 형상을 가지는 결정을 발생시키는 메밀 알갱이형 결정 유약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해결수단은 아래에서 이어지는 설명에서 일부 설명될 것이고, 그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지득될 수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메밀 알갱이형 결정 유약 조성물은 결정의 크기나 개수의 조절이 가능하여 작가의 의도에 맞는 심미감을 나타내고 보다 자연스럽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낼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정 유약에 의해 제조된 도자기 샘플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정 유약 제1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결정(A)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위의 도 2의 결정(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정 유약 제2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결정(B)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위의 도 4의 결정(B)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결정 유약 제2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결정(C)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위의 도 6의 결정(C)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결정 유약 조성물을 이용하여 도 1의 도자기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의 플로우차트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결정 유약 제1조성물을 도포하여 소성하는 제1소성단계의 플로우차트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결정 유약 제2조성물을 도포하여 소성하는 제2소성단계의 플로우차트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결정 유약 제3조성물을 도포하여 소성하는 제3소성단계의 플로우차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정 유약에 의해 제조된 도자기 샘플의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결정 유약 조성물을 이용하여 도 1의 도자기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의 플로우차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결정 유약을 적용하여 제조한 도자기는 그 표면에 다수의 황색 결정을 포함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 황색 결정은 메밀과 닮았다고 하여 '메밀 알갱이형 결정'으로 불린다. 이러한 황색 알갱이를 나타나게 하는 특정 성분은 산화 티탄(TiO2)이다. 산화 티탄 외에 다른 성분 중에도 황색 결정을 피게 할 수 있는 것이 존재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 따른 결정 유약 조성물은 이 산화 티탄(TiO2)을 결정을 피게 하는 특정 성분으로 사용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도 1과 같은 도자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제1 소성단계(S100), 제2 소성단계(S200) 및 제3 소성단계(S300)의 총 세 차례의 소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들 순서는 서로 간 치환될 수 있다.
제1 소성단계(S100) 내지 제3 소성단계(S300)는 각각 제1 조성물 내지 제3 조성물의 유약을 도자기 초벌기물에 도포한 후 소성하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정 유약 조성물은 그 성분은 동일한데 숙성시간과 숙성절차에 의하여 소성 시 각각 다른 크기의 결정과 개수를 나타내는 제1 조성물 내지 제3 조성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정 유약 조성물은 아래의 표 1과 같은 성분비를 가질 수 있다.
(단위: wt%)
부여장석 백운석 석회석 와목점토 부여규석 산화철
(Fe2O3)
산화티탄
(TiO2)
기타
41.5 18 13.2 3.6 13.6 8 2 0.1
40 18 13.2 3.6 13.6 9 2.5 0.1
39 18 13.2 3.6 13.6 9.5 3 0.1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구체적인 성분과 각 성분의 함량비율은 아래와 같다.
시험예: 부여장석 성분 분석
아래의 표 2는 XRF로 분석한 부여장석의 성분분석 결과표이다.
성분 SiO2 Al2O3 Fe2O3 CaO Na2O K2O Rb2O SnO2 MnO 기타
단위:wt% 75.55 15.12 0.08 0.37 4.73 4.0 0.04 0.03 0.01 0.07
시험예: 백운석 성분 분석
아래의 표 3은 XRF로 분석한 백운석의 성분분석 결과표이다.
성분 CaO MgO SiO2 Al2O3 Fe2O3 K2O Cl SO3 MnO 기타
단위:wt% 55.82 39.95 2.12 1.3 0.32 0.20 0.09 0.085 0.02 0.095
시험예: 석회석 성분 분석
아래의 표 4는 XRF로 분석한 석회석의 성분분석 결과표이다.
성분 CaO SiO2 MgO Al2O3 Fe2O3 K2O SO3 Na2O SrO 기타
단위:wt% 75.09 15.38 4.7 2.7 0.85 0.66 0.23 0.13 0.07 0.19
시험예: 와목점토 성분 분석
아래의 표 5는 XRF로 분석한 와목점토의 성분분석 결과표이다.
성분 SiO2 Al2O3 Fe2O3 TiO2 MgO K2O Na2O CaO 기타
단위:wt% 55.43 41.32 1.26 0.7 0.3 0.57 0.06 0.2 0.16
시험예: 부여규석 성분 분석
아래의 표 6은 XRF로 분석한 부여규석의 성분분석 결과표이다.
성분 SiO2 Al2O3 SnO2 CaO 기타
단위:wt% 99.72 0.13 0.04 0.02 0.09
각 성분 분석결과의 기타 성분은 그 성분 함량이 작아 유약의 특징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요소를 '기타'라는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은 것이다.
위의 성분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약 조성물은 그 숙성시간에 따라 소성 시 도자기 표면에 나타내는 결정의 크기와 개수가 다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숙성시간이 제일 짧은 제1 조성물의 경우 결정의 크기가 작고 개수가 비교적 적다. 반면에 숙성시간이 제일 긴 제3 조성물의 경우 결정의 크기가 서로 겹칠만큼 크고 비교적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다양한 크기의 결정이 핀 도자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이를 활용하여 종래에 비하여 독특한 심미감을 가지는 도자기를 제조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각 조성물의 숙성시간과 이를 적용 시 나타나는 표현예에 대하여 서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정 유약 제1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결정(A)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위의 도 2의 결정(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결정 유약 제1조성물을 도포하여 소성하는 제1소성단계의 플로우차트다.
제1조성물을 초벌 소성된 도자기 기물에 도포하여 소성하는 경우 도 2에 표시된 A부분과 같은 제1결정이 도자기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A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그 결정의 크기가 비교적 작고 개수가 적은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소성단계(S100)는 위의 표 1에 개시된 유약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을 습식혼합한 후 혼합된 지 72시간(3일)미만의 숙성기간을 거친 제1조성물을 초벌기물에 도포하는 제1조성물 도포단계(S110) 및 제1조성물이 도포된 기물을 1230-1250℃에서 산화 또는 환원 소성하여 제1결정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1재벌 소성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재벌 소성단계(S120)는 7-8시간 수행될 수 있다.
유약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이 혼합된 후 시간이 지날수록, 즉 숙성기간이 길수록 각 혼합된 요소들 간 융합과 조화가 잘 이루어져 결정을 피게 하는 특정 성분인 산화티탄이 다른 구성요소들에 방해받지 않고 소성 시 결정을 비교적 크게 형성하고 결정으로 발현되는 개수가 더 많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정 유약 제2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결정(B)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위의 도 4의 결정(B)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결정 유약 제2조성물을 도포하여 소성하는 제2소성단계의 플로우차트다.
제2조성물을 초벌 소성된 도자기 기물에 도포하여 소성하는 경우 도 4에 표시된 B부분과 같은 제2결정이 도자기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B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그 결정의 크기가 A에 비하여 크고 개수가 많은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소성단계(S200)는 위의 표 1에 개시된 유약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을 습식혼합한 후 혼합된 지 312시간(13일) 이상의 숙성기간을 거친 제2조성물을 초벌기물에 도포하는 제2조성물 도포단계(S210) 및 제2조성물이 도포된 기물을 1240-1260℃에서 산화 또는 환원 소성하여 제2결정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2재벌 소성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재벌 소성단계(S220)는 8-9시간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결정 유약 제2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결정(C)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위의 도 6의 결정(C)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결정 유약 제3조성물을 도포하여 소성하는 제3소성단계의 플로우차트다.
제3조성물을 초벌 소성된 도자기 기물에 도포하여 소성하는 경우 도 6에 표시된 C부분과 같은 제3결정이 도자기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C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그 결정의 크기가 A와 B에 비하여 크고 개수가 많은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3소성단계(S300)는 위의 표 1에 개시된 유약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을 습식혼합한 후 혼합된 지 552시간(23일) 이상의 숙성기간을 거친 것으로 13일 내지 23일의 열흘의 기간 동안 하루에 1시간씩 200-300℃의 온도로 가열하는 과정을 거친 제3조성물을 초벌기물에 도포하는 제3조성물 도포단계(S310) 및 제3조성물이 도포된 기물을 1250-1270℃에서 산화 또는 환원 소성하여 제3결정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3재벌 소성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재벌 소성단계(S320)는 9-10시간 수행될 수 있다.
13일 내지 23일의 열흘의 기간 동안 하루에 1시간씩 200-300℃의 온도로 가열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포함된 성분 중 녹는점이 다른 구성요소에 비하여 낮은 요소들(불순물)이 걸러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결정을 피게 하는 특정 성분이 더 잘 발현되도록 도울 수 있다.
제2소성단계(S200)는 제1소성단계(S100)에 비하여 숙성기간이 길고 소성온도가 10℃높으며 소성시간이 1시간 길다. 제3소성단계(S300)는 제2소성단계(S200)에 비하여 역시 숙성시간이 길고 소성온도가 10℃높으며 소성시간 1시간 길 뿐만 아니라 불순물을 거르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종전 단계에 비하여 소성온도와 소성시간을 증가시키거나 불순물을 거르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이유는 결정의 크기를 더 크게 하고 발현되는 개수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세 종류의 결정을 피게 하는 제1 내지 제3 조성물을 이용하여 각각 소성을 총 3회 수행하여 다양한 크기의 결정을 피게 하고 각 결정들이 발현되는 개수가 상이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독특하고 조화로운 심미감이 느껴지는 도자기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부여장석 39 내지 41.5중량%, 백운석 18중량%, 석회석 13.2중량%, 와목점토 3.6중량%, 부여규석 13.6중량%, 산화철 8 내지 9.5중량%, 산화티탄 2 내지 3중량%를 포함하여 도자기 표면에 메밀 알갱이 형상을 가지는 결정을 발생시키는
    메밀 알갱이형 결정 유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약 조성물은 숙성절차가 각기 다른 제1 내지 제3 조성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을 습식혼합한 후 72시간 미만인 것이고,
    상기 제2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을 습식혼합한 후 312시간 이상인 것이며,
    상기 제3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을 습식혼합한 후 552시간 이상인 것으로서 혼합 후 312시간 되는 시점부터 552시간이 되기까지의 기간 동안 24시간마다 1시간씩 200 내지 300℃로 가열하는 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 알갱이형 결정 유약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조성물은,
    이들을 기물에 차례로 적용 및 소성하면 도자기 표면에 다양한 크기의 결정을 발생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 알갱이형 결정 유약 조성물.
  4. 제1 조성물을 도자기 초벌기물에 도포한 후 환원소성하는 제1 소성단계;
    상기 제1 소성단계 수행 이후 제2 조성물을 기물에 도포한 후 환원소성하는 제2 소성단계; 및
    상기 제2 소성단계 수행 이후 제3 조성물을 기물에 도포한 후 환원소성하는 제3 소성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성물은 부여장석 39 내지 41.5중량%, 백운석 18중량%, 석회석 13.2중량%, 와목점토 3.6중량%, 부여규석 13.6중량%, 산화철 8 내지 9.5중량%, 산화티탄 2 내지 3중량%를 포함하여 이들을 습식혼합한 후 72시간 미만인 것이고,
    상기 제2 조성물은 부여장석 39 내지 41.5중량%, 백운석 18중량%, 석회석 13.2중량%, 와목점토 3.6중량%, 부여규석 13.6중량%, 산화철 8 내지 9.5중량%, 산화티탄 2 내지 3중량%를 포함하여 이들을 습식혼합한 후 312시간 이상인 것이고,
    상기 제3 조성물은 부여장석 39 내지 41.5중량%, 백운석 18중량%, 석회석 13.2중량%, 와목점토 3.6중량%, 부여규석 13.6중량%, 산화철 8 내지 9.5중량%, 산화티탄 2 내지 3중량%를 포함하여 이들을 습식혼합한 후 552시간 이상인 것으로서 혼합 후 312시간 되는 시점부터 552시간이 되기까지의 기간 동안 24시간마다 1시간씩 200 내지 300℃로 가열하는 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 알갱이형 결정 유약 조성물을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성단계는,
    상기 제1 조성물이 도포된 초벌기물을 1230 내지 1250℃에서 소성하여 제1 결정을 도자기 표면에 발생시키는 제1 재벌 소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소성단계는,
    상기 제2 조성물이 도포된 기물을 1240 내지 1260℃에서 소성하여 제2 결정을 도자기 표면에 발생시키는 제2 재벌 소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소성단계는,
    상기 제3 조성물이 도포된 기물을 1250 내지 1270℃에서 소성하여 제3 결정을 도자기 표면에 발생시키는 제3 재벌 소성단계
    를 포함하는 메밀 알갱이형 결정 유약 조성물을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20210120050A 2021-09-08 2021-09-08 메밀 알갱이형 결정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2377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050A KR102377457B1 (ko) 2021-09-08 2021-09-08 메밀 알갱이형 결정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050A KR102377457B1 (ko) 2021-09-08 2021-09-08 메밀 알갱이형 결정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457B1 true KR102377457B1 (ko) 2022-03-21

Family

ID=80937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050A KR102377457B1 (ko) 2021-09-08 2021-09-08 메밀 알갱이형 결정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4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628B1 (ko) * 2022-10-05 2023-03-24 변현란 십전대보탕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759B1 (ko) * 2012-09-26 2013-07-26 이장수 철(Fe)을 함유하는 결정유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도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759B1 (ko) * 2012-09-26 2013-07-26 이장수 철(Fe)을 함유하는 결정유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도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628B1 (ko) * 2022-10-05 2023-03-24 변현란 십전대보탕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32861B (zh) 一种金属光泽釉的制备方法
KR101285122B1 (ko) 대나무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555790B (zh) 一种16度哑光大理石瓷砖的生产工艺
CN105330158A (zh) 一种深色陶瓷的釉料及其制备方法
KR101208350B1 (ko) 지렁이 분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77457B1 (ko) 메밀 알갱이형 결정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KR20190056122A (ko) 차 잎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007381A (zh) 一种单层窑变色釉及其制备方法
KR102196349B1 (ko) 낙엽재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CN103224331A (zh) 一种一次烧金棕色熔块干粒及其制备方法
CN112374762A (zh) 一种钧瓷用月白釉及其制备方法
US7037868B2 (en) Transparent tile glaze
US2871132A (en) Glazing composition for structural clay product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KR102314418B1 (ko) 토마토 줄기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07343A (ko) 낙엽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94246B1 (ko) 광택투명 및 유백색 항균 유약 및 이를 이용하는 도자기의 제조 방법
KR20120061546A (ko) 누에 분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265863A (zh) 一种具有铁红金圈釉层的青瓷及其制备方法
KR20190012692A (ko) 유약 및 컬러유약 및 이를 이용한 아트타일의 제조 방법
KR102039329B1 (ko) 밤 껍질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142583B2 (ja) 来待虹彩瓦用釉薬
KR102082647B1 (ko) 도토리 껍질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80991B1 (ko) 페라이트 슬러지와 정수 슬러지를 활용한 어두운 색상 도자기용 소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82645B1 (ko) 메밀 껍질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8703B1 (ko) 찔레꽃나무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