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3394A - 폴딩형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폴딩형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3394A
KR20220013394A KR1020217041987A KR20217041987A KR20220013394A KR 20220013394 A KR20220013394 A KR 20220013394A KR 1020217041987 A KR1020217041987 A KR 1020217041987A KR 20217041987 A KR20217041987 A KR 20217041987A KR 20220013394 A KR20220013394 A KR 20220013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referable
layer
polarizer
polyest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1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타로 니시오
기와무 가와이
아키라 시미즈
Original Assignee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13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3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27/32
    • H01L51/5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3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산성이 뛰어나고, 반복해서 절곡(折曲)한 후에 폴딩 부분에서 표시되는 화상에 왜곡을 발생시킬 우려가 없는 폴딩형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적어도 표면 보호 필름, 편광자, 위상차층을 갖는 폴딩형 디스플레이이고, 표면 보호 필름이 하기 조건을 만족하는 두께가 10∼80㎛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폴딩형 디스플레이:
(1) 굴곡 방향의 굴절률이 1.590∼1.620
(2) 폴딩부의 방향의 굴절률이 1.670∼1.700
(3)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 1.520 이하
(4) 밀도가 1.380g/㎤ 이상
(여기에서, 굴곡 방향이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폴딩할 때의 폴딩부와 직교하는 방향을 말한다.).

Description

폴딩형 디스플레이
본 발명은 반복 폴딩해도, 필름의 변형에 의한 화상의 왜곡이 일어나기 어려운 폴딩형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 기기의 박막 경량화가 진행되어,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휴대 단말 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휴대 단말 기기에는 다양한 기능이 요구되고 있는 반면, 편리성도 요구되고 있다. 그 때문에 보급되고 있는 휴대 단말 기기는, 간단한 조작은 한 손으로 할 수 있고, 또한 의복의 포켓 등에 수납하는 것이 전제이기 때문에 6인치 정도의 작은 화면 사이즈로 할 필요가 있다.
한편, 7인치∼10인치의 화면 사이즈인 태블릿 단말에서는, 영상 콘텐츠나 음악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용도, 묘화 용도, 독서 등이 상정되어, 높은 기능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한 손으로의 조작은 할 수 없고, 휴대성도 뒤떨어져서, 편리성에 과제를 갖는다.
이들을 달성하기 위해,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컴팩트하게 하는 수법이 제안되어 있지만(특허문헌 1 참조), 베젤의 부분이 남기 때문에, 영상이 잘린 것이 되어, 시인성(視認性)의 저하가 문제가 되어 보급되고 있지 않다.
그래서 근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폴딩형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휴대 단말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식이면, 화상이 도중에 끊어지는 일 없이, 대(大)화면의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휴대 단말 기기로서 편리성 좋게 휴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종래의 폴딩 구조를 갖지 않는 디스플레이나 휴대 단말 기기에 대해서는, 그 디스플레이의 표면은 유리 등 가요성(可撓性)을 갖지 않는 소재로 보호할 수 있었지만, 폴딩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폴딩 부분을 개재하여 한면의 디스플레이로 하는 경우에는, 가요성이 있고, 또한, 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 하드 코트 필름 등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폴딩형 디스플레이에서는, 일정한 폴딩 부분에 해당하는 개소가 반복해서 절곡(折曲)되기 때문에, 당해 개소의 필름이 경시적(經時的)으로 변형되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상을 일그러지게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표면 보호 필름뿐만 아니라, 폴딩형 디스플레이에는, 편광판, 위상차판, 터치 패널 기재(基材), 유기 EL 등의 표시 셀의 기재, 배면의 보호 부재 등, 다양한 부위에 필름이 이용되며, 이들 필름에 대해서도 반복 폴딩에 대한 내구성이 요구되고 있었다.
그래서, 부분적으로 막 두께를 변경하는 수법도 제안되어 있지만(특허문헌 2 참조), 양산성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또,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곡 방향의 굴절률을 조정하는 수법도 제안되어 있지만(특허문헌 3 참조), 굴곡 방향의 굴절률을 낮춤에 따라 하드 코트 도포 시의 연필 경도가 저하되어, 디스플레이의 표면 보호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한 방향의 굴절률을 낮춰 가면 폴딩 시의 변형은 개선되어 가지만, 폴딩 방향의 1축 배향성이 높아져, 폴딩부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또는 파단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국 특개2010-228391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6-155124호 공보 국제공개 제2018/150940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의 부재가 갖는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양산성이 뛰어나고, 반복해서 절곡한 후에 폴딩 부분에서 표시되는 화상에 왜곡을 발생시킬 우려가 없는 폴딩형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적어도 표면 보호 필름, 편광자, 위상차층을 갖는 폴딩형 디스플레이이고, 표면 보호 필름이 하기 조건을 만족하는 두께가 10∼80㎛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폴딩형 디스플레이:
(1) 굴곡 방향의 굴절률이 1.590∼1.620
(2) 폴딩부의 방향의 굴절률이 1.670∼1.700
(3)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 1.520 이하
(4) 밀도가 1.380g/㎤ 이상
(여기에서, 굴곡 방향이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폴딩할 때의 폴딩부와 직교하는 방향을 말한다.).
2.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곡 방향의 탄성률이 2.7GPa 이하, 폴딩부의 방향의 탄성률이 4.5GPa 이상인 상기 제 1에 기재한 폴딩형 디스플레이.
3.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편면(片面) 상에 하드 코트층을 갖고, 하드 코트층이 적어도 폴딩형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제 1 또는 제 2에 기재한 폴딩형 디스플레이.
4. 상기의 적어도 편면 상에 하드 코트층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전(全) 광선 투과율이 85% 이상, 헤이즈가 3% 이하인 상기 제 3에 기재한 폴딩형 디스플레이.
5. 폴딩형 디스플레이의 폴딩부를 개재하여 연속한 단일의 표면 보호 필름이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 1∼제 4 중 어느 것에 기재한 폴딩형 디스플레이.
6. 상기 위상차판이, 1/4 λ판인 상기 제 1∼제 5 중 어느 것에 기재한 폴딩형 디스플레이.
7. 상기 제 6에 기재한 폴딩형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 단말 기기.
본 발명의 폴딩형 디스플레이는, 양산성을 유지하면서, 그 표면 보호 필름이, 폴딩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반복 폴딩한 후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으며, 디스플레이의 폴딩 부분에서의 화상의 왜곡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표면 보호 필름을 이용한 폴딩형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휴대 단말 기기는, 아름다운 화상을 제공하고, 기능성이 풍부하며, 휴대성 등의 편리성이 뛰어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딩형 디스플레이를 폴딩했을 때의 굴곡 반경을 나타내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딩형 디스플레이의 표면 보호 필름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곡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모식도이다.
(디스플레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디스플레이란, 표시 장치를 전반적으로 가리키는 것이며, 디스플레이의 종류로는, LCD, 유기 EL 디스플레이, 무기 EL 디스플레이, LED, FED 등이 있지만, 절곡 가능한 구조를 갖는 LCD나, 유기 EL, 무기 EL이 바람직하다. 특히 층 구성을 적게 할 수 있는 유기 EL, 무기 EL이 특히 바람직하고, 색역(色域)이 넓은 유기 EL이 더욱 바람직하다.
(폴딩형 디스플레이)
폴딩형 디스플레이는, 연속한 1장의 디스플레이가, 휴대 시에는 둘로 접기 등으로 폴딩할 수 있는 것이다. 폴딩함으로써 사이즈를 반감시켜,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폴딩형 디스플레이의 굴곡 반경은 5mm 이하가 바람직하고, 3m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굴곡 반경이 5mm 이하이면, 폴딩한 상태에서의 박형화가 가능해진다. 굴곡 반경은 작을수록 좋다고 할 수 있지만, 굴곡 반경이 작을수록 접은 자국이 나기 쉬워진다. 굴곡 반경은 0.1mm 이상이 바람직하지만, 0.5mm 이상이어도 좋고, 1mm 이상이어도 좋다. 굴곡 반경이 1mm여도, 휴대 시에는 실용적으로 충분한 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폴딩했을 때의 굴곡 반경이란, 도 1의 모식도의 부호 11의 개소를 측정하는 것으로, 폴딩했을 때의 폴딩 부분의 내측의 반경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표면 보호 필름은, 폴딩형 디스플레이의 폴딩한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되고,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또, 폴딩형 디스플레이는 셋으로 접어도, 넷으로 접어도 되고, 또한, 롤러블이라고 일컬어지는 권취(卷取)형이어도 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에서 말하는 폴딩형 디스플레이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폴딩 디스플레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적어도 편면 상에 하드 코트층을 갖는 하드 코트 필름은, 폴딩형 디스플레이의 구성 부재이면 어떤 부분에 이용되어도 된다. 이하에,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예로서, 폴딩 디스플레이의 대표적 구성과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나 상기 하드 코트 필름이 이용될 수 있는 부분을 설명한다. 또한, 이하, 상기의 디스플레이용 하드 코트 필름을 단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 필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폴딩형 유기 EL 디스플레이)
폴딩형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필수 구성으로는, 유기 EL 모듈이지만, 추가로 필요에 따라, 원 편광판, 터치 패널 모듈, 표면 보호 필름, 이면 보호 필름 등이 설치된다.
(유기 EL 모듈)
유기 EL 모듈의 일반적인 구성은, 전극/전자 수송층/발광층/홀 수송층/투명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폴딩형 디스플레이는, 표면 보호 필름이 설치되어 있다. 표면 보호 필름은, 디스플레이에 상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유기 EL 모듈이나 터치 패널 모듈의 회로가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갖는다. 표면 보호 필름은 디스플레이의 최표면에 장착된 커버 윈도우(cover window)라고 불리는 것이나, 사용자 스스로 첩합(貼合)하고, 박리를 할 수 있어, 교환 가능한 애프터(aftermarket)라고 불리는 것이 있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나 하드 코트 필름은, 이 양자로서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들 표면 보호 필름에 이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두께가 10∼80㎛이고, 하기 특성 (1)∼(4)를 만족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1) 굴곡 방향의 굴절률이 1.590∼1.620
(2) 폴딩부의 방향의 굴절률이 1.670∼1.700
(3)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 1.520 이하
(4) 밀도가 1.380g/㎤ 이상
(여기에서, 굴곡 방향이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폴딩했을 때의 폴딩부와 직교하는 방향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딩형 디스플레이는, 커버 윈도우 및 애프터의 양쪽의 표면 보호 필름이 이용되고 있을 필요는 없고, 적어도 한쪽의 표면 보호 필름만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 상기의 특정한 특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커버 윈도우 및 애프터의 표면 보호 필름 중 적어도 한쪽에 이용되고 있으면 되고, 양쪽의 표면 보호 필름에 이용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보호 필름에 이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1종류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성의 필름이어도 되고, 2종류 이상의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경우, 다층 구조 필름이어도 되며, 반복 구조의 초(超)다층 적층 필름이어도 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또는 이들 수지의 구성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역학적 성질, 내열성, 투명성, 가격 등의 점에서, 연신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폴리에스테르의 공중합체를 이용하는 경우, 폴리에스테르의 디카르복시산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아디핀산, 세바신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시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트리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등의 다관능 카르복시산을 들 수 있다. 또, 글리콜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1,4-부탄디올, 프로필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등의 지방산 글리콜; p-크실렌 글리콜 등의 방향족 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지환족 글리콜; 평균 분자량이 150∼20,000인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공중합체의 공중합 성분의 질량 비율은 20 질량% 미만이다. 20 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필름 강도, 투명성, 내열성이 유지되어 바람직하다.
또,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수지 펠릿의 극한 점도는, 0.50∼1.0dl/g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극한 점도가 0.50dl/g 이상이면, 얻어진 필름의 내충격성이 향상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디스플레이 내부 회로의 단선이 발생하기 어려워 바람직하다. 한편, 극한 점도가 1.00dl/g 이하이면, 용융 유체의 여과압(濾壓) 상승이 지나치게 커지는 일 없이, 필름 제조를 안정적으로 조업하기 쉬워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10∼80㎛인 것이 바람직하고, 25∼7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두께가 10㎛ 이상이면 연필 경도 향상 효과와 내충격성 향상 효과가 보이고, 두께가 80㎛ 이하이면 경량화에 유리한 것 외에, 가요성, 가공성이나 핸들링성 등이 뛰어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은, 평활해도 요철을 갖고 있어도 되지만, 디스플레이의 표면 커버 용도에 이용되는 점에서, 요철 유래의 광학 특성 저하는 바람직하지 않다. 헤이즈로는, 3% 이하가 바람직하고, 2%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1%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헤이즈가 3% 이하이면, 화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헤이즈의 하한은 작을수록 좋지만, 안정적인 생산의 면에서는 0.1% 이상이 바람직하고, 0.3% 이상이어도 좋다.
상기와 같이 헤이즈를 저하시킬 목적으로는 그다지 필름 표면의 요철은 크지 않은 쪽이 좋지만, 핸들링성의 관점에서 적당한 미끄러짐성을 부여하기 위해,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표층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에 입자를 배합하거나, 입자 함유의 코트층을 제막 도중에 코팅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에 입자를 배합하는 방법으로는,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임의의 단계에서 첨가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화의 단계,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 종료 후, 중축합 반응 개시 전의 단계에서, 에틸렌 글리콜 등에 분산시킨 슬러리로서 첨가하고, 중축합 반응을 진행해도 된다. 또, 벤트 부착 혼련 압출기를 이용하여, 에틸렌 글리콜 또는 물 등에 분산시킨 입자의 슬러리와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혼합하는 방법, 또는 혼련 압출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입자와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혼합하는 방법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원료의 일부가 되는 모노머액 중에 응집체 무기 입자를 균질 분산시킨 후, 여과한 것을, 에스테르화 반응 전, 에스테르화 반응 중 또는 에스테르화 반응 후의 폴리에스테르 원료의 잔부(殘部)에 첨가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의하면, 모노머액이 저점도이므로, 입자의 균질 분산이나 슬러리의 고정밀도인 여과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원료의 잔부에 첨가할 때에, 입자의 분산성이 양호하고, 새로운 응집체도 발생하기 어렵다. 이러한 관점에서, 특히, 에스테르화 반응 전의 저온 상태의 원료의 잔부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미리 입자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얻은 후, 그 펠릿과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펠릿을 혼련 압출 등 하는 방법(마스터 배치법)에 의해, 더욱 필름 표면의 돌기 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또,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전 광선 투과율의 바람직한 범위를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각종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면, 대전 방지제, UV 흡수제, 안정제를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전 광선 투과율은, 85% 이상이 바람직하고, 87%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85% 이상의 투과율이 있으면, 시인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전 광선 투과율은 높을수록 좋다고 할 수 있지만, 안정적인 생산의 면에서는 99% 이하가 바람직하고, 97% 이하여도 좋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150℃ 30분 열처리 후의 최대 열수축률은, 6%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6% 이하의 열수축률이면, HC 가공 시의 컬이나 물결 모양과 같은 평면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열수축률은 낮을수록 좋다고 할 수 있지만,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의 마이너스는 가열 후에 팽창한 것을 의미하고, -1%를 하회하는 경우도 평면 불량이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하드 코트층을 설치했을 때에, 하드 코트층에 충분한 연필 경도를 부여할 수 있다.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하드 코트층을 적층한 후, 하드 코트 필름의 연필 경도의 연필 경도 평가에 있어서, 필름이 두께 방향으로 변형되어 버리는 것이 원인으로 연필 경도가 저하되어 버리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후술의 다이나믹 초미소(超微小) 경도계에 의한 필름 두께 방향의 시험력 제하(除荷) 후의 압입(押入) 깊이를 특정의 범위로 함으로써, 하드 코트 필름의 연필 경도 평가에 있어서, 높은 경도를 달성할 수 있다. 필름 두께 방향의 시험력 제하 후의 압입 깊이는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4㎛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3㎛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시험력 제하 후의 압입 깊이(부하를 가한 최종적인 변형량)가 1.5㎛ 이하이면, 하드 코트층을 적층 후의 하드 코트 필름의 연필 경도 평가에 있어서, 필름이 두께 방향으로 변형되기 어려워 연필 경도를 높게 할 수 있다. 하드 코트 필름의 연필 경도를 높게 할 수 있으면, 디스플레이 표면에 흠집, 움푹 패인 곳이 발생되기 어려워져,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시험력 제하 후의 압입 깊이는 낮을수록 좋다고 할 수 있지만, 안정적인 생산이나 효과가 포화되어 간다는 점에서, 0.3㎛ 이상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서는, 0.5㎛ 이상이 바람직하다.
시험력 제하 후의 압입 깊이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1.520 이하로 조절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굴절률을 1.520 이하로 하는 수단으로는, 후술하지만 다른 물성, 굴곡 방향이나 폴딩 방향의 굴절률을 바람직한 범위로 제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굴곡 방향이나 폴딩 방향의 연신 배율을 높게 조절하는 것이나, 굴곡 방향이나 폴딩 방향의 연신 온도를 낮게 설정하는 것, 열고정 온도를 높게 설정하는 것 등의 조건 설정을 예시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곡 방향의 탄성률은 2.7GPa 이하가 바람직하고, 2.5GPa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3GPa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굴곡 방향의 탄성률을 저감함으로써, 하드 코트 필름 굴곡 시에 하드 코트층에 가해지는 응력을 저감할 수 있다. 굴곡 방향의 탄성률은 낮을수록 굴곡성이 좋아진다고 할 수 있지만, 디스플레이 표면의 평면성이 손상되기 때문에 1.8GPa 이상이 바람직하다. 폴딩 방향의 탄성률은 4.5GPa 이상이 바람직하고, 4.6GPa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7GPa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폴딩 방향의 탄성률을 높게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작성 시에 디스플레이 표면의 평면성을 유지할 수 있다. 폴딩 방향의 탄성률은 높을수록 바람직하지만, 제막성의 관점에서 8.0GPa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 필름의 비(非)하드 코트면에 점착제나 하드 코트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면 처리를 행할 수 있다.
표면 처리에 의한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샌드블라스트 처리, 용제 처리 등에 의한 요철화 처리나, 코로나 방전 처리, 전자선 조사 처리, 플라스마 처리, 오존·자외선 조사 처리, 화염 처리, 크롬산 처리, 열풍 처리 등의 산화 처리 등을 들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 이접착층(易接着層) 등의 접착성 향상층에 의해,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접착층으로는,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등 특별히 한정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코팅 수법, 바람직하게는 소위 인라인 코팅 처방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원료의 일부가 되는 모노머액 중에 무기 입자를 균질 분산시켜 여과한 후, 폴리에스테르 원료의 잔부에 첨가하여 폴리에스테르의 중합을 행하는 중합 공정과, 그 폴리에스테르를 필터를 개재하여 시트상(狀)으로 용융 압출하고, 이것을 냉각 후, 연신하여, 기재 필름을 형성하는 필름 형성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의 펠릿을 기재 필름의 원료로 한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단층 구성, 다층 구성 등 층 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PET의 펠릿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 건조한 후, 공지의 용융 적층용 압출기에 공급하고, 슬릿상의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캐스팅 롤 상에서 냉각 고화시켜, 미연신 필름을 형성한다. 단층의 경우는 1대의 압출기여도 되지만, 다층 구성의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2대 이상의 압출기, 2층 이상의 매니폴드 또는 합류 블록(예를 들면, 각형(角型) 합류부를 갖는 합류 블록)을 이용하여, 각 최외층을 구성하는 복수의 필름층을 적층하고, 구금(口金)으로부터 2층 이상의 시트를 압출하고, 캐스팅 롤로 냉각하여 미연신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용융 압출 시, 용융 수지가 약 280℃ 정도로 유지된 임의의 장소에서, 수지 중에 포함되는 이물을 제거하기 위해 고정밀도 여과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 수지의 고정밀도 여과에 이용되는 여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스테인리스 소결체의 여재는, Si, Ti, Sb, Ge, Cu를 주성분으로 하는 응집물 및 고융점 유기물의 제거 성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여재의 여과 입자 사이즈(초기 여과 효율 95%)는, 20㎛ 이하가 바람직하고, 특히 15㎛ 이하가 바람직하다. 여재의 여과 입자 사이즈(초기 여과 효율 95%)가 20㎛를 넘으면, 20㎛ 이상의 크기의 이물을 충분히 제거할 수 없다. 여재의 여과 입자 사이즈(초기 여과 효율 95%)가 20㎛ 이하인 여재를 이용하여 용융 수지의 고정밀도 여과를 행함으로써, 생산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지만, 조대(粗大) 입자에 의한 돌기가 적은 필름을 얻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굴곡 방향의 굴절률에 대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길이 방향(기계 흐름 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굴절률은 1.590∼1.62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91∼1.600이다. 그리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곡 방향의 굴절률이 1.590∼1.620인 것이 바람직하며, 1.591∼1.6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굴곡 방향이란, 도 2의 폴리에스테르 필름(부호 2) 상의 부호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딩형 디스플레이의 용도에 있어서 상정되는 폴딩부(부호 21)와 직교하는 방향을 가리키고 있다.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굴절률이 1.590∼1.620이면, 반복 폴딩했을 때의 변형이 적고, 폴딩형 디스플레이의 화질을 저하시킬 우려가 없어 바람직하다. 굴절률은 1.591∼1.6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물론, 그 방향은 상기의 굴곡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1.590 이상이면 후술의 굴곡 시험 후에 폴딩부 방향으로 크랙이 생길 우려가 없고, 물론 파단도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은, 연신 배율, 연신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 굴절률의 조정을 위해 연신 방향의 완화 공정, 다단 연신을 이용해도 된다. 다단 연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1단째의 연신 배율보다도 2단째 이후의 연신 배율을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길이 방향(기계 흐름 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굴절률을 상기 범위에서 제어함으로써, 보다 바람직하게는, 굴곡 방향의 굴절률을 상기 범위에서 제어함으로써, 폴딩 시에 폴딩의 내측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에 의한 피로를 저감할 수 있다. 압축 응력에 의한 피로는 주로 결정부(結晶部)에서 일어난다고 생각되고 있으며, 굴곡 방향에 결정이 적은 쪽이 피로하기 어렵다. 따라서, 굴절률을 낮춤으로써 굴곡 방향의 배향 결정량이 저감되어, 압축 피로가 억제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또, 폴딩 시에 폴딩의 외측에 가해지는 인장 응력에 의해 발생하는 크리프(creep) 현상을 굴절률의 저감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인장 응력에 의한 피로는 주로 비결정부에서 일어난다고 생각되고 있으며, 반복하여 가해지는 응력에 의한 분자쇄의 얼라인(alignment)이 발생되어 변형이 생긴다. 굴곡 방향으로 늘어서 있는 분자쇄가 적은 쪽이 얼라인에 의한 변형이 적다고 추측할 수 있다. 또, 비결정부가 적은 쪽이 인장에 의한 피로는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결정화도 즉 밀도가 높은 쪽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미연신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길이 방향(기계 흐름 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연신 배율을 1.2∼2.0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7∼2.0배가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당해 연신 방향은 상기의 굴곡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이 1.2배 이상이면 하드 코트 도공(塗工) 시 등의 후가공에서의 변형이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연신 배율이 2.0배 이하이면 필름의 두께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연신 온도로는, 75∼120℃가 바람직하고, 75∼105℃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연신 시의 가열 방법은, 열풍 가열 방식, 롤 가열 방식, 적외 가열 방식 등 종래 공지의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연신 온도를 75∼120℃로 함으로써, 상기 연신 배율에서의 연신에 의한 큰 두께 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큰 두께 불균일을 발생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가능한 한 저온에서 연신함으로써,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
(폴딩부의 방향의 굴절률에 대해서)
상기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90∼1.620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은, 1.670∼1.7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굴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폴딩부의 방향)의 굴절률이 1.670∼1.700인 것이 바람직하다. 1.670∼1.700으로 함으로써 굴곡 방향으로 폴딩했을 때의 변형을 적게 할 수 있다. 1.700 이하로 함으로써 폴딩부의 방향으로 크랙이 생기거나, 파단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670 이상으로 함으로써 굴곡 방향의 굴곡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표면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1.680∼1.695가 보다 바람직하다. 굴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연신 배율, 연신 예열 온도, 연신 온도, 다단 연신, 필름 이완을 들 수 있다. 연신 배율은 4.0∼6.0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4∼6.0이다. 또, 굴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연신 예열 온도는 70∼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굴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단 연신하는 경우, 1단째보다 2단째 이후의 연신 배율을 높게 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필름 이완은 기계 흐름 방향(길이 방향), 수직 방향(폭 방향)으로 어느 쪽에 있어서도 1∼10% 행하여도 좋다.
(두께의 방향의 굴절률에 대해서)
두께 방향의 굴절률은 1.5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520 이하로 함으로써, 굴곡 방향의 굴절률을 낮게 설계하더라도, 필름 표면의 경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 굴곡성과 표면 경도의 양립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1.520 이하로 함으로써 두께 방향의 시험력 제하 후의 압입 깊이가 저감되고, 필름 표면의 경도, 특히 하드 코트층 적층 후의 하드 코트 필름의 연필 경도를 향상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51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1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5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0 이하이다. 두께 방향의 굴절률은 낮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안정적인 생산의 면에서 1.3 이상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서는 1.4 이상이어도 좋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1.410 이상이다. 상기 범위는 굴곡 방향과 폴딩 방향으로 연신 배율을 양쪽으로 증가시켜 감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고 할 수 있지만, 굴곡 방향과 폭 방향의 굴절률을 바람직한 범위로 제어한 다음,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제막 공정의 각 공정 조건의 밸런스를 확인하면서 조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상기 범위로 제어하는 방법은, 굴곡 방향의 연신 예열 온도, 연신 온도, 연신 배율, 폴딩부의 방향의 연신 예열 온도, 연신 온도, 다단 연신, 고배율 연신, 또는 열고정의 온도 설정이 있다. 굴곡 방향의 연신 예열 온도는 70℃∼110℃가 바람직하다. 굴곡 방향의 연신 온도는 75∼120℃가 바람직하다. 굴곡 방향의 연신 배율은 1.2∼2.0배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7∼2.0배이다. 연신 온도를 낮게 하고, 저연신 배율로 연신함으로써 굴곡 방향의 굴곡성을 유지한 채로,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폴딩부 방향의 연신 예열 온도도 75℃∼110℃가 바람직하다. 연신 온도는 75∼120℃가 바람직하다. 폴딩부의 연신 배율은 4.0∼6.0배가 바람직하고, 4.4∼6.0배가 보다 바람직하다. 굴곡 방향의 굴절률을 유지 또는 저감하면서,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고배율 연신하는 방법으로서, 다단 연신을 이용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1단째의 연신 배율보다, 2단째의 연신 배율을 높게 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굴절률을 제어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결정화 공정 후에 재차 연신하는 방식을 이용해도 된다. 연신 초기부터 후반에 걸쳐 연신 속도를 빠르게 하는 가속 연신을 이용해도 된다.
열고정 온도는 180∼240℃가 바람직하다. 열고정을 행함으로써 연신 방향으로의 배향 결정화가 진행되고,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낮출 수 있다.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낮춤으로써 필름 표면의 경도가 향상되는 이유는 반드시 명확한 것은 아니지만, 분자쇄 내의 벤젠환 등의 방향족이 면(面) 방향으로 배향하여, 두께 방향으로 가해지는 응력에 의한 변형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생각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밀도에 대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밀도는 1.380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1.383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1.380g/㎤ 이상으로 함으로써 굴곡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필름 표면 경도, 특히, 하드 코트층을 적층한 후의 하드 코트 필름의 연필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밀도는 높을수록 바람직하고, 필름 중의 입자의 유무 등에 따라서도 다소 좌우되지만, 1.40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막 시의 열고정 온도를 180∼240℃로 설정함으로써 결정화를 진행시켜 밀도를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곡 방향은, 길이 방향(기계 흐름 방향)에 대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2축 연신째에서 굴곡 방향의 굴절률을 낮추기 쉬워 굴곡성을 향상시키기 쉽다. 즉, 미연신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길이 방향으로 1.2∼2.0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7∼2.0배의 연신 배율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폭 방향으로는, 4.0∼6.0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4.4∼6.0배의 연신 배율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한 양태라고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1) 굴곡 방향의 굴절률이 1.590∼1.620
(2) 폴딩부의 방향의 굴절률이 1.670∼1.700
(3)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 1.520 이하
(4) 밀도가 1.380g/㎤ 이상의 4가지 특성을 동시에 구비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 양태라고 할 수 있지만, 상술의 바람직한 제조 조건의 범위 내에서의 조합이어도, 예를 들면, 굴곡 방향의 연신 배율이 1.4배 이하, 폴딩부의 방향의 연신 배율이 4.4배 미만이고, 또한, 열고정 온도가 220℃ 이하의 조합인 것과 같은, 각각의 바람직한 제조 조건 범위 중에서 최선이라고는 할 수 없는 조건의 조합인 경우, 반드시 상기의 4가지 특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것이 얻어지는 것은 아닌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굴곡 방향의 연신 배율을 1.7배 이상으로 높이거나, 폴딩부의 방향의 연신 배율을 4.4배 이상으로 높이거나, 열고정 온도를 230℃ 정도로 높이거나, 또는 굴곡 방향 및/또는 폴딩부의 방향의 연신 온도를 낮게 하는 등, 어느 조건의 미(微)조정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상기의 4가지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제막성이나 필름 강도나 열치수 안정이나 외관 불량 등을 조정하기 위해, 연신, 완화, 열고정, 표면 처리 등 어느 제막 방식을 취해도 되지만, 필름의 굴절률과 밀도를 상기의 바람직한 범위로 제어하는 것이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한 양태라고 할 수 있다. 굴절률과 밀도를 바람직한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종래 필름보다 뛰어난 내굴곡성과 표면 경도, 특히 하드 코트층을 적층한 후의 하드 코트 필름의 높은 연필 경도가 얻어지는, 폴딩형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PET의 펠릿을 충분히 진공 건조한 후, 압출기에 공급하고, 약 280℃에서 시트상으로 용융 압출하고, 냉각 고화시켜, 미연신 PET 시트를 형성한다. 얻어진 미연신 시트를 75∼120℃로 가열한 롤로 길이 방향으로 1.2∼2.0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7∼2.0배로 연신하여, 1축 배향 PET 필름을 얻는다. 또한, 필름의 단부(端部)를 클립으로 파지(把持)하고, 75∼120℃로 가열된 열풍 존으로 유도하여, 건조 후, 폭 방향으로 4.0∼6.0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4.4∼6.0배로 연신한다. 계속해서, 180∼240℃의 열처리 존으로 유도하여, 1∼60초간의 열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 열처리 공정 중에서, 필요에 따라,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0∼10%의 이완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극한 점도는, 0.50∼1.0dl/g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극한 점도가 0.50dl/g 이상이면, 내충격성이 향상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디스플레이 내부 회로의 단선이 발생하기 어려워 바람직하다. 한편, 극한 점도가 1.00dl/g 이하이면, 용융 유체의 여과압 상승이 지나치게 커지는 일 없이, 필름 제조가 안정되어 바람직하다.
(이접착층)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하드 코트층 등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이접착층을 적층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접착층은, 이접착층 형성을 위한 도포액을 미연신 또는 세로 방향의 1축 연신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 도포한 후, 필요에 따라 열처리 건조하고, 또한 연신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한 방향으로 연신하여 얻을 수 있다. 2축 연신 후에도 열처리할 수 있다. 최종적인 이접착층의 도포량은, 0.005∼0.20g/㎡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량이 0.005g/㎡ 이상이면, 접착성이 얻어져 바람직하다. 한편, 도포량이 0.20g/㎡ 이하이면, 내블로킹성이 얻어져 바람직하다.
이접착층의 적층에 이용되는 도포액에 함유시키는 수지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등, 특별히 한정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접착층 형성용 도포액에 함유시키는 가교제로는, 멜라민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옥사졸린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각각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은 인라인 코팅의 성질상, 수계 도포액에 의해 도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의 수지나 가교제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의 수지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접착층에는 이활성(易滑性)을 부여하기 위해 입자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의 평균 입경이 2㎛를 넘으면, 입자가 이접착층으로부터 탈락하기 쉬워진다. 이접착층에 함유시키는 입자로는, 예를 들면, 산화티탄, 황산바륨, 탄산칼슘, 황산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탈크, 카올린, 클레이, 인산칼슘, 운모, 헥토라이트, 지르코니아, 산화텅스텐, 불화리튬, 불화칼슘 등의 무기 입자나, 스티렌계, 아크릴계, 멜라민계, 벤조구아나민계, 실리콘계 등의 유기 폴리머계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접착층에 첨가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첨가할 수도 있다.
또, 도포액을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상기의 도포층과 마찬가지로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버스 롤 코팅법, 그라비어 코팅법, 키스 코팅법, 롤 브러시법, 스프레이 코팅법, 에어 나이프 코팅법, 와이어 바 코팅법, 파이프 닥터법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방법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행할 수 있다.
(하드 코트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그 적어도 편면 상에 하드 코트층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의 디스플레이 표면측에 위치시켜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컬을 억제하기 위해 하드 코트층은 양면에 설치해도 된다.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는 수지로는, 아크릴계, 실록산계, 무기 하이브리드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계 등 특별히 한정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 2종류 이상의 재료를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고, 무기 필러나 유기 필러 등의 입자를 첨가할 수도 있다.
(하드 코트층의 막 두께)
하드 코트층의 막 두께로는, 1∼50㎛가 바람직하다. 1㎛ 이상이면 충분히 경화하여, 연필 경도가 높아져 바람직하다. 또 두께를 50㎛ 이하로 함으로써, 하드 코트의 경화 수축에 의한 컬을 억제하여, 필름의 핸들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포 방법)
하드 코트층의 도포 방법으로는, 메이어 바, 그라비어 코터, 다이 코터, 나이프 코터 등 특별히 한정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점도, 막 두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경화 조건)
하드 코트층의 경화 방법으로는, 자외선, 전자선 등의 에너지선이나, 열에 의한 경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름에의 대미지를 경감시키기 위해,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에 의한 경화 방법이 바람직하다.
(연필 경도)
하드 코트층의 연필 경도로는, 3H 이상이 바람직하고, 4H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3H 이상의 연필 경도가 있으면, 용이하게 흠집이 나는 경우는 없어, 시인성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하드 코트층의 연필 경도는 높은 쪽이 바람직하지만 9H 이하여도 상관없고, 8H 이하여도 상관없으며, 6H 이하여도 실용상은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의 특성)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은, 상술과 같은 표면의 연필 경도를 높여 디스플레이의 보호를 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투과율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 필름의 투과율로는, 85% 이상이 바람직하고, 88%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투과율이 87% 이상이면, 충분한 시인성이 얻어진다. 하드 코트 필름의 전 광선 투과율은, 일반적으로 높을수록 바람직하지만, 안정적인 생산의 면에서 99% 이하가 바람직하고, 97% 이하여도 좋다. 또, 하드 코트 필름의 헤이즈는, 일반적으로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3% 이하가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 필름의 헤이즈는 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헤이즈가 3% 이하이면, 화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헤이즈는 일반적으로는 낮을수록 좋지만, 안정적인 생산의 면에서 0.1% 이상이 바람직하며, 0.3% 이상이어도 좋다.
하드 코트층에는, 추가로, 다른 기능이 부가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은 일정한 연필 경도를 갖는 방현층, 방현성 반사 방지층, 반사 방지층, 저반사층, 찰상(擦傷) 방지층, 및 대전 방지층 등의 기능성이 부가된 하드 코트층도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폴딩형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하드 코트층은 시인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
본 발명의 폴딩형 디스플레이는 편광자를 갖는다. 액정 디스플레이에서는, 액정 셀의 양측에 편광자가 설치되고, EL 디스플레이 등에서는 내부 구조로부터의 반사광을 저감하기 위한 원 편광 소자(편광자와 1/4 λ층과의 적층체)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는, 편광자와 편광자를 보호하기 위한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적층 구성인 편광판으로서 이용되는 것이, 폴딩형 디스플레이 제조 시의 취급의 면에서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편광자 및 위상차층(편광자 보호 필름이나 편광자 보호 코트를 갖는 경우는 이들도 포함하여)을 일체물로서 편광 소자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할 수 있는 편광자(편광막이라고도 한다)로는 폴리비닐 알코올(PVA)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배향 필름에 요오드 등의 이색성(二色性) 색소를 흡착시킨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편광자의 제조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는, PVA계 수지의 단층체를 염색하는 공정과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단층 연신법)이 있다. 또, 연신용 수지 기재에 도공 등에 의해 PVA계 수지층을 설치하고, 이 적층체의 상태에서 연신하는 공정과 염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기재 적층 연신법)을 들 수 있다. 이 제법이면, PVA계 수지층이 얇아도, 연신용 수지 기재에 지지되어 있음으로써 연신에 의한 파단 등의 문제없이 연신하는 것이 가능해져, 보다 바람직하다.
기재 적층 연신법으로는, 고배율로 연신할 수 있어 편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붕산 수용액 중에서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이 바람직하고, 붕산 수용액 중에서 연신하기 전에 공중 보조 연신을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PVA계 수지층과 연신용 수지 기재를 적층체의 상태에서 연신한 후에, PVA계 수지층을 과잉으로 염색하고, 그 후 탈색하는 제법도 바람직하다. 이들 기술은, 국제공개 제2010/100917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2-073563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2-073563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1-2816호 공보를 참고로 할 수 있다. 이들 방법으로 작성된 편광자를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기재 적층 연신법으로 얻어진 편광자는, 편광자 보호 필름이나 위상차 필름에 전사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편광자 보호 필름을 이용하지 않고 더욱 박형으로 하는 경우에는, 화상 표시 셀이나 터치 패널, 표면 보호 필름에 전사하여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편광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2㎛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8㎛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6㎛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굴곡을 저해하는 일 없이, 바람직한 양태가 된다.
또, 액정 화합물을 이용한 편광자(액정 편광자)도 박형의 편광자인 점,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을 임의의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액정 화합물을 이용한 편광자는 편광자 보호 필름 등의 필름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과 유기계의 이색성 색소를 배향시킨 것이나 액정성의 이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코트액을 도공 후, 건조, 배향, 광 또는 열 경화시켜 편광자로 할 수 있다. 액정 편광자를 배향시키는 방법으로는, 코트액을 도공하는 필름의 표면을 러빙 처리하는 방법, 코트액을 도공 후에 편광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키면서 경화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구체예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2-308832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7-16207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5-163596호 공보, 일본국 특표2007-510946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3-114131호 공보, 국제공개 WO2005/045485호 공보, Lub et al. Recl. Trav. Chim. Pays-Bas, 115, 321-328(1996) 등으로 기재한 것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이색성 색소로는, 일본국 특개2007-126628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0-168570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3-101328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3-210624호 공보 등에 기재한 색소를 들 수 있다.
또, 액정 편광자를 설치하기 전에, 배향 제어층을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한 방법이다.
배향 제어층으로는,
·폴리비닐 알코올 및 그 유도체, 폴리이미드 및 그 유도체, 아크릴 수지, 폴리실록산 유도체 등을 도공하고 그 표면을 러빙 처리하여 배향층(러빙 배향 제어층)으로 하는 방법,
·신나모일기 및 칼콘기 등의 광 반응성기를 갖는 폴리머 또는 모노머와 용제를 포함하는 도공액을 기재 필름에 도포하고, 편광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배향 경화시켜 배향층(광 배향 제어층)으로 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광 배향 제어층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6-285197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7-76839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7-138138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7-94071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7-121721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7-140465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7-156439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7-133184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9-109831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2-229039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2-265541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2-317013호 공보, 일본국 특표2003-520878호 공보, 일본국 특표2004-529220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3-33248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5-7702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5-129210호 공보 등에 기재한 배향 제어층을 들 수 있다.
액정 편광자는 편광자 보호 필름이나 위상차 필름 등에 도공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이형성(離型性) 기재에 상기의 방법에 준하여 액정 편광자를 설치하고, 이것을 전사하여 설치해도 된다. 또, 편광자 보호 필름을 이용하지 않고 더욱 박형으로 하는 경우에는, 화상 표시 셀이나 터치 패널, 표면 보호 필름에 전사하여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들 액정 편광자의 두께로는, 0.1∼7㎛가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서는 0.3∼5㎛가 바람직하며, 특히 0.5∼3㎛가 바람직하다.
(위상차층)
본 발명의 폴딩형 디스플레이는 편광자와 화상 표시 셀의 사이에 위상차층(위상차 필름이라고도 한다)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상차층은, 화상 표시 셀이 액정 셀인 경우에는, 경사로부터의 광에서는, 셀의 액정 화합물에 의한 경사로부터의 광의 위상차의 어긋남을 보정하여 색채 전이(color shift)를 저감시키는 광학 보상의 역할을 갖는다.
또, 화상 표시 셀이 EL 셀 등인 경우라면, 원 편광판의 1/4 λ층으로서의 역할을 갖는다.
위상차층은, 고분자 필름을 연신시켜 얻어지는 것(위상차 필름)이나 액정 화합물을 배향, 고정화시킨 것(액정 위상차층)을 단층 또는 조합한 복수층의 위상차층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고분자 필름을 연신함으로써 배향시켜 제작되는 위상차층으로는, 폴리시클로올레핀(COP) 필름이나 폴리카보네이트(PC) 필름, 폴리프로필렌(PP) 필름, 아크릴 수지(Ac) 필름,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필름을 연신하는 방법으로는,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연신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합한 상기 연신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세로 1축 연신, 가로 1축 연신, 종횡 동시 2축 연신, 종횡 축차(逐次) 2축 연신 등을 들 수 있다. 연신하는 수단으로는, 롤 연신기, 텐터 연신기 등등의, 임의의 적절한 연신기가 이용될 수 있다. 연신에 있어서는 고분자 필름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이상 융점 이하, 바람직하게는, 유리 전이 온도 +10∼80℃의 범위로 가열해 행하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개시 전에 고분자 필름이 연신 가능한 온도가 되도록 예비 가열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연신 공정에 있어서 온도는 연속적으로 변화시켜도 된다. 공정은 1회여도 2회 이상으로 분할해도 된다. 연신 방향은 필름 폭 방향(TD 방향)이나 경사 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이 좋다.
경사 연신은, 미연신 수지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송출하면서, 폭 방향에 대해 상기 특정한 범위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연신하는 경사 연신 처리를 연속적으로 행한다. 이것에 의해, 필름의 폭 방향과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배향 각 θ)가 상기 특정의 범위가 되는 장척(長尺) 위상차막을 얻을 수 있다.
위상차층은 액정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위상차층(액정 위상차층)인 것도 바람직하다.
액정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봉상(棒狀)의 액정 화합물, 폴리머상의 액정 화합물, 반응성의 관능기를 갖는 액정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액정 화합물로는, 배향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는 면에서, 이중 결합 등의 중합성기를 갖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액정 화합물로는, 봉상 액정 화합물,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봉상 액정 화합물의 예로는, 일본국 특개2002-030042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4-204190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5-263789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7-119415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7-186430호 공보, 및 일본국 특개평11-513360호 공보에 기재된 중합성기를 갖는 봉상 액정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봉상 액정 화합물로는,
CH2=CHCOO-(CH2)m-O-Ph1-COO-Ph2-OCO-Ph1-O-(CH2)n-OCO-CH=CH2
CH2=CHCOO-(CH2)m-O-Ph1-COO-NPh-OCO-Ph1-O-(CH2)n-OCO-CH=CH2
CH2=CHCOO-(CH2)m-O-Ph1-COO-Ph2-OCH3
CH2=CHCOO-(CH2)m-O-Ph1-COO-Ph1-Ph1-CH2CH(CH3)C2H5
(식 중,
m 및 n은 2∼6의 정수이고,
Ph1 및 Ph2는 1,4-페닐렌기(Ph2는 2번 위치에 메틸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됨)이며,
NPh는 2,6-나프틸렌기임)를 들 수 있다.
이들 봉상 액정 화합물은, BASF사 제조로 LC242 등으로서 시판되고 있으며, 그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봉상 액정 화합물은 복수 종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로는, 벤젠 유도체, 트룩센 유도체, 시클로헥산 유도체, 아자크라운계, 페닐 아세틸렌계 매크로사이클 등을 들 수 있다.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은, 일본국 특개2001-155866호 공보에도 다양한 것이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액정 위상차층을 설치하는 방법은, 위상차층용 조성물(도료)을 편광자 상에 도공하는 방법이어도 되고, 이형성 기재 상의 위상차층(위상차층 전사용 적층체)을 편광자에 전사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또, COP 필름이나 PC 필름, PP 필름, Ac 필름, TAC 필름 등의 필름(기재 필름)에 도공이나 전사해도 된다.
또, 기재 적층 연신법으로 기재 상의 편광자에 위상차층을 설치하거나, 이형성 기재 상의 액정 편광자에 위상차층을 설치하거나 하고, 이것을 기재 필름에 전사해도 된다.
위상차층용 조성물은, 용제, 중합 개시제, 증감제, 중합 금지제, 레벨링제, 중합성 비액정 화합물, 가교제 등을 포함해도 된다.
위상차층의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키는 방법으로는, 상술한 액층 편광자의 배향과 마찬가지의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즉, 위상차층용 조성물을 도공하여 편광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법, 편광자나 이형성 기재나 기재 필름 등을 러빙 처리하는 방법, 배향 제어층을 설치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위상차층은 복수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하나의 이형성 기재 상에 복수의 위상차층을 갖는 적층체를 이용하여, 복수의 위상차층을 전사해도 된다. 또, 하나의 이형성 기재 상에 하나의 위상차층을 갖는 적층체를 복수 이용하여, 위상차층을 하나씩 전사해도 된다. 도공 방법과 전사 방법을 조합해도 된다.
또, COP 필름이나 PC 필름, PP 필름, Ac 필름, TAC 필름 등의 위상차 필름에 액정 위상차층을 도공이나 전사해도 된다.
(원 편광 소자용 1/4 λ층)
원 편광판에 있어서의 위상차층은 1/4 λ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1/4 λ층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1/4 λ층)
1/4 λ층은, 편광자를 통과한 직선 편광을 원 편광으로 변환하고, EL 셀 내의 배선, 유리 기판 터치 패널 등으로 반사된 원 편광을 입사한 직선 편광과는 90도 어긋난 직선 편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1/4 λ층은 단층의 1/4 λ층이어도 되고, 1/4 λ층과 1/2 λ층의 복합 1/4 λ층이어도 된다. 1/4 λ층에는, C 플레이트층 등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1/4 λ층이라고 하는 경우, 단층의 1/4 λ층뿐만 아니라 복합 1/4 λ나 추가로 C 플레이트층 등의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1/4 λ의 위상차를 부여할 수 있는 층의 총칭이다.
1/4 λ층의 면내 리타데이션은 100∼180nm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150nm이다. 1/2 λ층의 면내 리타데이션은 200∼360nm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40∼300nm이다.
(1/4 λ층의 지상축의 각도)
단층의 1/4 λ층을 이용하는 경우, 1/4 λ층의 배향축(지상축)과 편광자의 투과축이 이루는 각도는 35∼55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도∼50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42∼48도이다.
1/4 λ층과 1/2 λ층을 조합한 복합 1/4 λ층의 경우, 각 위상차층의 배향축(지상축)은, 양층에서 1/4 λ의 위상차가 되는 것과 같은 각도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1/2 λ층의 배향축(지상축)과 편광자의 투과축이 이루는 각도(θ)는 5∼20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도∼17도이다. 1/2 λ층의 배향축(지상축)과 1/4 λ층의 배향축(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는, 2θ+45도±10도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θ+45도±5도의 범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θ+45도±3도의 범위이다.
1/4 λ층의 예로는, 일본국 특개2008-149577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2-303722호 공보, 국제공개 WO2006/100830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5-64418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8-10086호 공보 등을 참고로 할 수 있다.
또한, 비스듬하게 본 경우의 착색의 변화 등을 저감하기 위해, 1/4 λ층의 위에 C 플레이트층을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본 발명에 이용할 위상차층의 두께 각각의 단독으로,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9㎛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8㎛이다. 또, 액정 위상차층이면, 위상차층의 두께는 1∼5㎛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4㎛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굴곡을 저해하는 일 없이, 바람직한 양태가 된다.
(편광자 보호 필름)
본 발명의 폴딩형 디스플레이에서는, 편광자에 편광자 보호 필름이 적층되어 이용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는, COP 필름이나 PC 필름, PP 필름, Ac 필름, TAC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필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TAC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폴딩 내구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편광자 보호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6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이고, 적절히, 안티 글레어층이나 반사 방지층 등의 표면 처리층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이면, 굴곡을 저해하는 일 없이, 바람직한 양태가 된다.
편광자 보호 필름은 편광자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또 편측뿐이어도 된다. 편광자의 편측에만 편광자 보호 필름이 설치되는 경우는, 반대면에는 위상차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고분자 필름의 위상차층을 이용하여 편광자 보호층의 기능을 갖게 해도 된다.
바람직한 구체적 구성으로는, 하기의 구성을 들 수 있다.
(1a) 편광자 보호 필름/편광자/위상차 필름
(1b) 편광자 보호 필름/편광자/액정 위상차층/위상차 필름
(1c) 편광자 보호 필름/편광자/액정 위상차층/(위상차층의) 기재 필름
(편광자 보호 코트)
편광자 보호 필름 대신에 편광자에 보호 코트(편광자 보호 코트)를 행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편광자 보호 코트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아크릴, 아미노 수지 등, 필름의 코트제로서 이용되는 것을 적합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편광자 보호 필름 대신에 편광자 보호 코트로 함으로써 더욱 박형화가 가능해진다. 편광자 보호 코트는 직접 도공될 뿐만 아니라, 전사에 의해 설치되어도 되고, 편광자나 위상차층이 액정 화합물을 전사하는 것인 경우는, 이형성 기재 상에 보호 코트층과 편광자나 위상차층을 설치하여 일체로서 전사해도 된다.
편광자 보호 코트의 두께는 1∼3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20㎛, 더욱 바람직하게는 5∼10㎛이다.
편광자의 양면이 보호 코트여도 되고, 편광자의 편면이 편광자 보호 필름이고 타면이 편광자 보호 코트여도 되며, 편광자의 양면이 편광자 보호 코트여도 된다. 바람직한 구체적 구성으로는, 하기의 구성을 들 수 있다.
(2a) 편광자 보호 필름/편광자/편광자 보호 코트/위상차 필름
(2b) 편광자 보호 필름/편광자/편광자 보호 코트/액정 위상차층/위상차 필름
(2c) 편광자 보호 필름/편광자/편광자 보호 코트/액정 위상차층/(위상차층의) 기재 필름
(3a) 편광자 보호 코트/편광자/위상차 필름
(3b) 편광자 보호 코트/편광자/액정 위상차층/위상차 필름
(3c) 편광자 보호 코트/편광자/액정 위상차층/(위상차층의) 기재 필름
(4a) 편광자 보호 코트/편광자/편광자 보호 코트/위상차 필름
(4b) 편광자 보호 코트/편광자/편광자 보호 코트/액정 위상차층/위상차 필름
(4c) 편광자 보호 코트/편광자/편광자 보호 코트/액정 위상차층/(위상차층의) 기재 필름
또한, 상기의 구체적 적층 구성의 예 1∼4의 c에서 (위상차층의) 기재 필름 대신에 위상차층의 위에 보호 코트(위상차층 보호 코트)를 설치해도 된다. 위상차층 보호 코트의 소재나 설치 방법은 편광자 보호 코트와 마찬가지이다.
상기의 구체적 구성예에서, 각 층의 사이는 액정 편광자나 액정 위상차층을 직접 도공하는 경우 이외에는 접착제층이나 점착제층이 존재하지만, 여기에서는 생략하고 있다.
(편광 소자의 적층)
상기의 편광 소자는, 본 발명의 폴딩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다른 부재(화상 표시 셀, 터치 패널, 표면 보호 필름 등)와 점착층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편광자의 다른 부재면의 편광자 보호 코트나 위상차층 보호 코트를 설치하지 않고, 편광자나 액정 위상차층 상에 직접 점착제를 설치하여 첩합해도 된다.
(점착층)
점착층의 재료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비닐 알킬 에테르계 점착제, 폴리비닐 알코올계 점착제,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점착제,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점착제, 셀룰로오스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투명성, 내후성, 내열성 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층은 편광 소자에 도공에 의해 설치하는 방법, 시판의 광학 점착제 시트를 사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대해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 실시한 표면 보호 필름의 특성치의 평가 방법을 하기에 나타낸다.
(1) 극한 점도
필름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분쇄하여 건조한 후,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60/40(질량비)의 혼합 용매에 용해했다. 이 용액에 원심분리 처리를 실시하여 무기 입자를 제거한 후에, 우베로데(Ubbelohde) 점도계를 이용하여, 30℃에서 0.4(g/dl)의 농도인 용액의 유하(流下) 시간 및 용매만의 유하 시간을 측정하고, 그들의 시간 비율로부터, Huggins의 식을 이용하여, Huggins의 정수가 0.38이라고 가정해 극한 점도를 산출했다.
(2) 폴리에스테르 필름 샘플의 내굴곡성(굴곡 반경 1.5mm)
폭 방향 20mm×흐름 방향 110mm 크기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샘플을 준비한다. 무부하 U자 신축 시험기(유아사 시스템 기기사 제조, DLDMLH-FS)를 이용하고, 굴곡 반경 1.5mm로 설정하여, 1회/초의 속도로, 20만회 굴곡시켰다. 그때, 샘플은 장변측 양단부 10mm의 위치를 고정하여, 굴곡하는 부위는 20mm×90mm로 했다. 여기에서, 도 1은, 폴딩형 디스플레이를 폴딩했을 때의 굴곡 반경을 나타내기 위한 모식도이며, 그 폴딩한 양태의 내측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고려하여, 도 1의 부호 11의 개소를 1.5mm로 설정한 것으로 하여 모델적으로 굴곡 시험을 하고 있다. 굴곡 처리 종료 후, 샘플의 굴곡 내측을 아래로 하여 평면에 두고, 육안에 의한 관찰을 행했다.
○: 샘플에 크랙 및 변형을 확인할 수 없다.
×: 샘플에 크랙 또는 접은 자국이 있고, 수평으로 두었을 때, 들뜸(浮上) 최대 높이가 5mm 이상.
(3) 폴리에스테르 필름 샘플의 내굴곡성(굴곡 반경 0.5mm)
상기 굴곡 시험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굴곡 반경 0.5mm로 설정하여 1회/초의 속도로 20만회 굴곡시켰다. 여기에서, 도 1은, 폴딩형 디스플레이를 폴딩했을 때의 굴곡 반경을 나타내기 위한 모식도이며, 그 폴딩한 양태의 내측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고려하여, 도 1의 부호 11의 개소를 0.5mm로 설정한 것으로 하여 모델적으로 굴곡 시험을 하고 있다. 굴곡부의 외측의 필름 표면을 디지털 마이크로스코프(HIROX사 제조 RH8800)의 700배로 관찰하여, 주름(크랙)의 유무를 관찰했다. 상기의 굴곡 반경 1.5mm의 내굴곡성 육안 테스트와는 별도로, 굴곡 반경을 0.5mm로 작게 한 본 테스트를 행함으로써, 하드 코트층이나 다른 부재가 적층 또는 첩착된, 폴딩형 디스플레이의 실제의 사용 상태에 가까운 상태에서 평가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상기 굴곡 반경 1.5mm에 의한 육안 관찰과는 별도로, 육안으로는 검출하기 어려운 미세한 결점인, 파단하기 쉽거나 또는 크랙이 생기기 쉬운 결점을 검출하기 위한 테스트이다.
○: 굴곡 외측의 필름 표면에 결함이 없다.
×: 파단했거나, 또는 굴곡 외측의 필름 표면에 주름(크랙)을 확인할 수 있다.
(4) 하드 코트 필름 샘플의 내굴곡성(굴곡 반경 3.0mm)
상기 굴곡 시험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굴곡 반경 3.0mm로 설정하여 1회/초의 속도로 하드 코트 필름을 20만회 굴곡시켰다. 하드 코트층이 한쪽뿐인 경우는, 하드 코트층을 내측으로 한 시험과, 하드 코트층을 외측으로 한 시험을 각각 행하였다.
○: 하드 코트층에 균열이 없으며, 하드 코트 필름에 변형을 확인할 수 없다.
×: 파단했거나, 또는 하드 코트층에 균열을 확인할 수 있거나, 또는 하드 코트 필름에 변형이 확인할 수 있다.
(5) 굴절률
JIS K 7142:2008 「플라스틱의 굴절률 측정 방법(A법)」에 준거하고, 아베 굴절률계(아타고사 제조, NAR-4T, 측정 파장 589nm)를 이용하여, 길이 방향의 굴절률, 폭 방향의 굴절률,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구했다.
(6) 연필 경도
하드 코트 필름의 연필 경도를 샘플로 하고, JIS K 5600-5-4:1999에 준거하여, 하중 750g, 속도 1.0mm/s로 측정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3H 이상을 합격으로 했다.
(7) 전 광선 투과율, 헤이즈
헤이즈 미터(닛폰 덴쇼쿠 고교사 제조, NDH5000)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8) 밀도
JIS K 7112:1999 준거의 방법(밀도 구배관법)에 따라 밀도를 측정했다(단위: g/㎤).
(9) 시험력 제하 후의 압입 깊이
시료를 약 2 평방(角)cm로 절취하고, 마이크로 커버글라스 18×18mm(마츠나미 가라스사 제조) 상에, 측정면의 반대면을 접착제(세메다인(등록상표) 하이 슈퍼 30)로 고정했다. 첩착 고정 후, 12시간 이상 실온에서 방치하고, 그 후, 다이나믹 초미소 경도계 「DUH-211」(시마즈 세이사쿠쇼 제조)을 이용하여, 다음의 조건으로, 시험력 제하 후의 압입 깊이(㎛)를 측정했다.
≪측정 조건≫
시험 모드: 부하-제하 시험
사용 압자: 능간각(稜間角) 115도, 삼각뿔 압자
압자 탄성률: 1.140×106N/㎟
압자 푸아송비: 0.07
시험력: 50mN
부하 속도: 4.44mN/sec
부하 유지 시간: 2sec
제하 유지 시간: 0sec
(10) 최대 열수축률
시료 필름을 세로 10mm×가로 250mm로 커트하고, 장변을 측정하고 싶은 방향에 맞춰, 200mm 간격으로 표시를 하고, 5g의 일정 장력하에서 표시의 간격 A를 측정했다. 계속해서, 시료 필름을 무하중으로 150℃의 분위기의 오븐 중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오븐으로부터 취출하여 실온까지 냉각했다. 그 후, 5g의 일정 장력하에서 표시의 간격 B를 구하고, 하기 식에 의해 열수축률(%)을 구했다. 또한, 상기 열수축률은 시료 필름의 폭 방향으로 3 등분한 위치에서 측정하고, 3점의 평균치를 열수축률(%)로 한다.
열수축률(%)=[(A-B)×100]/A
굴곡 방향과 폴딩 방향의 쌍방향에 대해서 각각 별개로 시료 필름의 세로, 가로가 다르도록 커트하여 측정하고, 측정치가 큰 방향의 데이터를 최대 열수축률(%)로 한다.
(11) 인장 탄성률(영률(단위: GPa))
JIS K7127에 준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곡 방향 및 폴딩 방향의 인장 탄성률을 23℃에서 측정했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펠릿 (a)의 조제)
에스테르화 반응 장치로서, 교반 장치, 분축기, 원료 주입구 및 생성물 취출구를 갖는 3단의 완전 혼합조로 이루어지는 연속 에스테르화 반응 장치를 이용하고, TPA를 2톤/hr로 하고, EG를 TPA 1몰에 대해 2몰로 하고, 삼산화 안티몬을 생성 PET에 대해 Sb 원자가 160ppm이 되는 양으로 하고, 이들의 슬러리를 에스테르화 반응 장치의 제 1 에스테르화 반응관(缶)에 연속 공급하여, 상압에서 평균 체류 시간 4시간으로, 255℃에서 반응시켰다. 이어서, 상기 제 1 에스테르화 반응관 내의 반응 생성물을 연속적으로 계외(系外)로 취출하여 제 2 에스테르화 반응관에 공급하고, 제 2 에스테르화 반응관 내에 제 1 에스테르화 반응관으로부터 증류하여 제거(留去)되는 EG를 생성 폴리머(생성 PET)에 대해 8 질량% 공급하고, 또한, 생성 PET에 대해 Mg 원자가 65ppm이 되는 양의 초산(酢酸)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EG 용액과, 생성 PET에 대해 P 원자가 20ppm이 되는 양의 TMPA를 포함하는 EG 용액을 첨가하여, 상압에서 평균 체류 시간 1.5시간으로, 260℃에서 반응시켰다. 이어서, 상기 제 2 에스테르화 반응관 내의 반응 생성물을 연속적으로 계외로 취출하여 제 3 에스테르화 반응관에 공급하고, 또한 생성 PET에 대해 P 원자가 20ppm이 되는 양의 TMPA를 포함하는 EG 용액을 첨가하여, 상압에서 평균 체류 시간 0.5시간으로, 260℃에서 반응시켰다. 상기 제 3 에스테르화 반응관 내에서 생성한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을 3단의 연속 중축합 반응 장치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중축합을 행하고, 또한, 스테인리스 소결체의 여재(공칭 여과 정밀도 5㎛ 입자 90% 커트)로 여과하여, 극한 점도 0.62dl/g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펠릿 (a)를 얻었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펠릿 (b)의 조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펠릿 (a)의 제조 공정에 대해서, 제 3 에스테르화 반응의 체류 시간을 조절한 것 외에는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극한 점도를 0.580dl/g으로 조정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펠릿 (b)를 얻었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펠릿 (c)의 조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펠릿 (a)를, 회전형 진공 중합 장치를 이용하고, 0.5mmHg의 감압하, 220℃에서 시간을 변경해 고상 중합을 행하여, 극한 점도 0.75dl/g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펠릿 (c)를 작성했다.
(우레탄 수지의 중합)
교반기, 딤로드 냉각기(Dimroth condenser), 질소 도입관, 실리카겔 건조관, 및 온도계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1,3-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시클로헥산 72.96 질량부, 디메틸올 프로피온산 12.60 질량부, 네오펜틸 글리콜 11.74 질량부, 수 평균 분자량 2000의 폴리카보네이트 디올 112.70 질량부, 및 용제로서 아세토니트릴 85.00 질량부, N-메틸피롤리돈 5.00 질량부를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하, 75℃에 있어서 3시간 교반하여, 반응액이 소정의 아민 당량에 도달한 것을 확인했다. 다음으로, 이 반응 액을 40℃로까지 강온(降溫)한 후, 트리에틸 아민 9.03 질량부를 첨가하여,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D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고속 교반 가능한 호모 디스퍼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물 450g을 첨가하고, 25℃로 조정하고, 2000min-1로 교반 혼합하면서,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프리폴리머를 첨가하여 수분산했다. 그 후, 감압 하에서, 아세토니트릴 및 물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고형분 35 질량%의 수용성 폴리우레탄 수지 (A)를 조제했다.
(수용성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의 중합)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환류 냉각기, 적하 깔때기, 및 교반기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200 질량부, 카르보디이미드화 촉매인 3-메틸-1-페닐-2-포스포렌-1-옥시드 4 질량부를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하, 180℃에 있어서 10시간 교반하여,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이소포론 카르보디이미드(중합도=5)를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카르보디이미드 111.2g,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분자량 400) 80g을 100℃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이것에 물을 50℃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고형분 40 질량%의 황색 투명한 수용성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B)를 얻었다.
(이접착층 형성용 도포액의 조제)
하기의 도제(塗劑)를 혼합하여, 도포액을 작성했다.
물 16.97 질량부
이소프로판올 21.96 질량부
폴리우레탄 수지(A) 3.27 질량부
수용성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B) 1.22 질량부
입자 0.51 질량부
(평균 입경 40nm의 실리카졸, 고형분 농도 40 질량%)
계면활성제 0.05 질량부
(실리콘계, 고형분 농도 100 질량%)
(하드 코트 도포액 a의 조제)
하드 코트 재료(JSR사 제조, 오프스타(등록상표) Z7503, 농도 75%) 100 질량부에, 레벨링제(빅케미 재팬사 제조, BYK307, 농도 100%) 0.1 질량부를 첨가하고, 메틸 에틸 케톤으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 40 질량%의 하드 코트 도포액 a를 조제했다.
(하드 코트 도포액 b의 조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 가가쿠 고교사 제조, A-TMM-3, 고형분 농도 100%) 95 질량부, 광중합 개시제(BASF 재팬사 제조, 이르가큐어(등록상표) 907, 고형분 농도 100%) 5 질량부, 레벨링제(빅케미 재팬사 제조, BYK307, 고형분 농도 100%) 0.1 질량부를 혼합하고, 톨루엔/MEK=1/1의 용매로 희석하여, 농도 40 질량%의 하드 코트 도포액 b를 조제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펠릿 (a)를 압출기에 공급하고, 285℃에서 융해했다. 이 폴리머를, 스테인리스 소결체의 여재(공칭 여과 정밀도 10㎛ 입자 95% 커트)로 여과하고, 구금로부터 시트상으로 하여 압출한 후, 정전 인가(印加) 캐스트법을 이용해 표면 온도 30℃의 캐스팅 드럼에 접촉시켜서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필름을 제작했다. 이 미연신 필름을 가열 롤을 이용하여 75℃로 균일 가열하고, 비접촉 히터로 85℃로 가열하여 1.4배의 롤 연신(세로 연신)을 행하였다. 얻어진 1축 연신 필름에 상기의 이접착층 형성용 도포액을 롤 코트법으로 양면에 도포한 후, 80℃에서 20초간 건조했다. 또한, 최종(2축 연신 후) 건조 후의 도포량이 0.06g/㎡가 되도록 조정했다. 그 후, 텐터로 유도하여 105℃에서 예열 후, 95℃에서 4.0배로 가로 연신하고, 폭 고정하여 230℃에서 5초간의 열고정을 실시하고, 또한 180℃에서 폭 방향으로 4% 완화시킴으로써, 두께 50㎛ 폴리에스테르 필름 1을 얻었다. 제작한 필름의 한쪽의 면에 메이어 바를 이용하여, 하드 코트 도포액 a를 건조 후의 막 두께가 5㎛가 되도록 도포하고, 80℃에서 1분간 건조시킨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적산 광량 200mJ/㎠),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1, 2에 나타낸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2∼3)
표 1에 기재한 길이 방향의 연신 배율로 변경한 것 외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4)
폭 방향의 연신 배율을 4.4배로, 열고정 온도를 220℃로 변경한 것 외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5∼6)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의 연신 배율로 변경한 것 외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4와 마찬가지로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7)
폭 방향의 연신 배율을 5.5배로, 열고정 온도를 190℃로 변경한 것 외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8∼9)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의 연신 배율로 변경한 것 외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7과 마찬가지로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10)
폴리에스테르 필름 5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신한 후에 100℃에서 10%의 이완 열처리를 실시한 것 외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5와 마찬가지로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11)
폴리에스테르 필름 5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열고정 후에 200℃에서 클립을 개방하고, 길이 방향, 폭 방향으로 이완 열처리한 것 외에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길이 방향은 이완율이 3%가 되도록 텐터 속도와 권취 롤 속도를 조정했다. 폭 방향의 이완은 프리 상태로 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12)
길이 방향 연신 시의 온도를 75℃로 변경하고, 열고정 온도를 220℃로 변경한 것 외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13)
길이 방향 연신 시의 온도를 75℃로 변경하고, 연신 배율 1.2배로 변경하여 연신한 후, 폭 방향으로 연신 배율 5.0배로 변경하여 연신한 것 외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14)
폴리에스테르 필름 3의 길이 방향의 연신을 2단 연신으로 하고, 그 1단째의 연신 배율을 1.2배로 하고, 2단째의 연신 배율을 1.67배로 한 것 외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3과 마찬가지로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토탈에서의 길이 방향의 연신 배율은 약 2.0배이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15)
폭 방향 연신 시의 예열 온도를 95℃로 변경하고, 열고정 온도를 190℃로 변경한 것 외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5와 마찬가지로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16)
폴리에스테르 필름 2의 폭 방향의 연신을 2단 연신으로 하고, 그 1단째의 연신 배율을 1.5배로 하고, 2단째의 연신 배율을 4.0배로 하고, 열고정 온도를 190℃로 변경한 것 외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2와 마찬가지로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토탈의 폭 방향의 연신 배율은 6.0배이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17∼18)
표 2에 기재한 바와 같이 두께를 변경한 것 외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2와 마찬가지로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19)
폴리에스테르 필름 1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폭 방향의 이완 열처리를 행하지 않은 것 외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20)
폴리에스테르 필름 1과 마찬가지로 미연신 필름을 작성 후, 미연신 필름을 텐터 내 75℃에서 예열하고, 85℃에서 1.4배로 가로 연신했다. 얻어진 1축 연신 필름에 상기의 이접착층 형성용 도포액을 롤 코트법으로 양면에 도포한 후, 80℃에서 20초간 건조했다. 또한, 최종(2축 연신 후) 건조 후의 도포량이 0.06g/㎡가 되도록 조정했다. 가열 롤을 이용하여 105℃로 균일 가열하고, 비접촉 히터로 95℃로 가열하여 4.0배로 롤 연신(세로 연신)을 행하였다. 폭 고정하고 230℃에서 5초간의 열고정을 실시하여, 두께 50㎛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21)
길이 방향의 연신을 행하지 않고, 폭 방향만 연신하여 가로 1축 연신으로 한 것 외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22)
길이 방향의 연신을 행하지 않고, 폭 방향만 연신하여 가로 1축 연신으로 한 것 외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7과 마찬가지로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23∼27)
열고정 온도를 220℃로 변경하고, 표 1, 2 기재의 PET 펠릿, 두께로 한 것 외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3∼7은,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 1보다도 열고정 온도가 낮고, 길이 방향, 폭 방향의 연신 배율이 바람직한 조건 범위 중에서는 최선이라고는 할 수 없는 각 조건 수준의 조합이며, 표 2에 기재한 바와 같이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 증가하고, 시험력 제하 후의 압입 깊이가 크며, 하드 코트층 적층 후의 연필 경도가 각 실시예와 비교하여 작아졌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28)
길이 방향의 연신 배율을 2.7배로 변경하고, 열고정 온도를 220℃로 변경한 것 외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29)
길이 방향의 연신 배율을 3.4배로 변경한 것 외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30)
열고정 온도를 100℃로 변경한 것 외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4와 마찬가지로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31)
길이 방향의 연신 온도를 130℃로 변경한 것 외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3과 마찬가지로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32)
폭 방향 예열 온도를 120℃로 변경한 것 외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33)
폴리에스테르 필름 1과 마찬가지로 두께 50㎛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얻은 후, 하드 코트 도포액 b를 도포한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실시예, 비교예)
(표면 보호 필름, 편광자, 위상차층을 갖는 폴딩형 디스플레이의 작성 및 평가)
상기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하여, 편광자, 위상차층을 갖는 폴딩형 디스플레이의 모델을 작성했다.
(원 편광판 A의 작성)
두께 20㎛인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필름의 편면을 비누화 처리하고, 비누화 처리면에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PVA 편광자 전사용 적층체의 편광자면과 첩합한 후, 열가소성 수지 기재를 박리했다.
박리면(편광자면)에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해 1/4 λ판의 위상차층면과 첩합하여 원 편광판 A를 얻었다.
또한, PVA 편광자 전사용 적층체 및 위상차판은 이하와 같이 하여 작성했다.
(PVA 편광자 전사용 적층체의 작성)
열가소성 수지 기재로서 극한 점도 0.62dl/d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압출기로 용융·혼련 후, 냉각 롤 상에 시트상으로 압출, 두께 100㎛의 미연신 필름을 작성했다. 이 미연신 필름의 편면에, 중합도 2400, 비누화도 99.9 몰%의 폴리비닐 알코올의 수용액을 도포 및 건조하여, PVA층을 형성했다.
얻어진 적층체를, 120℃에서 주속(周速)이 다른 롤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2배로 연신하여 권취했다. 다음으로, 얻어진 적층체를 4%의 붕산 수용액으로 30초간의 처리를 행한 후, 요오드(0.2%)와 요오드화 칼륨(1%)의 혼합 수용액에 60초간 침지하여 염색하고, 계속해서, 요오드화 칼륨(3%)과 붕산(3%)의 혼합 수용액으로 30초간 처리했다.
또한, 이 적층체를 72℃의 붕산(4%)과 요오드화 칼륨(5%) 혼합 수용액 중에서 길이 방향으로 1축 연신을 행하고, 계속해서, 4% 요오드화 칼륨 수용액으로 세정, 에어 나이프로 수용액을 제거한 후에 80℃의 오븐에서 건조하고, 양단부를 슬릿하여 권취해, 폭 50cm, 길이 1000m의 PVA 편광자 전사용 적층체를 얻었다. 합계의 연신 배율은 6.5배이고, 편광자의 두께는 5㎛였다. 또한, 두께는 기재 적층 편광자를 에폭시 수지에 포매(包埋)하여 절편을 잘라내고,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판독했다.
(1/4 λ판의 작성)
두께 20㎛인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필름의 편면을 비누화 처리하고, 비누화 처리면에 배향 제어층용 도료 조성물을 도포, 100℃에서 건조시켜, 두께 0.5㎛의 배향 제어층을 설치했다. 또한 배향 제어층을 나일론제의 기모 직물이 감겨진 러빙 롤로 처리했다. 러빙 방향은 필름의 흐름 방향에 대해 45도가 되도록 행하였다.
계속해서, 러빙 처리를 실시한 면에 위상차층용 조성물 도료를 도포 후, 110℃에서 3분간 가열하여 용제를 증발시키는 동시에, 액정성 화합물을 배향시켰다. 계속해서, 110℃의 환경하에서 자외선을 30초간 조사하여, TAC 필름에 1/4 λ층을 갖는 PVA 편광자 전사용 적층체를 얻었다.
(배향 제어층용 도포액)
·하기 변성 폴리비닐 알코올 10 질량부
·물 371 질량부
·메탄올 119 질량부
·글루타르알데히드 0.5 질량부
[화학식 1]
Figure pct00003
(위상차층용 조성물 도료)
LC242(BASF사 제조) 95 질량부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5 질량부
이르가큐어 379 3 질량부
계면활성제 0.1 질량부
메틸 에틸 케톤 250 질량부
(원 편광판 B의 작성)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을, 속도비가 다른 롤 사이에 있어서, 30℃, 0.3% 농도의 요오드 용액 중에서 1분간 염색하면서, 3배까지 연신했다. 그 후, 60℃, 4% 농도의 붕산, 10% 농도의 요오드화 칼륨을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 0.5분간 침지하면서 종합 연신 배율을 6배까지 연신했다. 이어서, 30℃, 1.5% 농도의 요오드화 칼륨을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 10초간 침지함으로써 세정한 후, 50℃에서 4분간 건조를 행하여, 두께 10㎛의 편광자를 얻었다. 얻어진 편광자의 편면에, 비누화 처리한 두께 20㎛의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TAC 필름을 다른쪽의 면에 상기 1/4 λ판의 위상차층면과 첩합하여 원 편광판 B를 얻었다. 첩합은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했다.
(원 편광판 C의 작성)
두께 20㎛인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필름의 편면을 비누화 처리하고, 비누화 처리면에 상기 배향 제어층용 도료 조성물을 도포, 100℃에서 건조시켜, 두께 0.5㎛의 배향 제어층을 설치했다. 또한 배향 제어층을 나일론제의 기모 직물이 감겨진 러빙 롤로 처리했다. 러빙 방향은 필름의 흐름 방향에 대해 평행이 되도록 행하였다.
계속해서, 러빙 처리를 실시한 면에 하기 액정 편광막용 도료를 도포하고, 110℃에서 3분간 건조하여, 두께 2㎛의 막을 형성하고, 계속해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TAC 필름 상에 액정 화합물의 편광자를 갖는 편광판을 얻었다.
(액정 편광막용 도료)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합성)
일본국 특표2007-510946호 공보의 [0134] 단락의 기재, 및 Lub et al. Recl. Trav. Chim. Pays-Bas, 115, 321-328(1996)을 참고하여, 하기 화합물 (a), (b)를 합성했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4
[화학식 3]
Figure pct00005
일본국 특개소63-301850호 공보의 실시예 1을 참고로 하여, 하기 색소 (c)를 합성했다.
[화학식 4]
Figure pct00006
일본국 특공평5-49710호 공보의 실시예 2를 참고로 하여 하기 색소 (d)를 합성했다.
[화학식 5]
Figure pct00007
일본국 특공소63-1357호 공보의 일반식 (1)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참고로 하여 하기 색소 (e)를 합성했다.
[화학식 6]
Figure pct00008
(도료의 작성)
(a) 75 질량부, (b) 25 질량부, (c) 2.5 질량부, (d) 2.5 질량부, (e) 2.5 질량부, IRGACURE(R) 369E(BASF사 제조) 6 질량부, 오르토 크실렌 250 질량부를 혼합, 용해시켰다.
얻어진 편광판의 편광자면과 상기 1/4 λ판의 위상차층면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해 첩합하여 원 편광판 C를 얻었다.
(원 편광판 D의 작성)
상기 1/4 λ판의 위상차층면과 상기 PVA 편광자 전사용 적층체의 편광자면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첩합했다. 그 후, PVA 편광자 전사용 적층체의 열가소성 기재를 박리하여, 원 편광판 D를 얻었다.
(원 편광판 E의 작성)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A4100)의 비(非)이접착면에 하기 보호 코트 조성물을 도포, 건조 후 자외선을 조사했다. 추가로 이 보호 코트면에 1/4 λ층의 작성과 마찬가지로 하여, 배향 제어층, 1/4 λ층을 설치했다. 계속해서, 1/4 λ층 상에 배향 제어층을 설치하고, 이 배향 제어층 상에 원 편광판 C의 작성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편광자를 설치했다.
(보호 코트층용 조성물)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AH-600(쿄에이샤 가가쿠 제조) 25 질량부
중합 개시제 이르가큐어 184(치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 1.25 질량부
이소프로필 알코올 75 질량부
(표면 보호 필름과 원 편광판의 적층체의 작성)
표면 보호 필름(하드 코트 필름)과 원 편광판의 편광자측면을 광학용의 기재레스(substrate-free) 점착제 시트(두께 25㎛)를 이용하여 첩합했다.
(폴딩형 디스플레이 모델의 작성)
또한, 상기 적층체의 원 편광판의 위상차층측면에 터치 패널을 상정한 폴리에스테르 필름(표면 보호 필름을 전용), 유기 EL 셀을 상정한 두께 50㎛의 유피렉스(등록상표)S 2장, 이면 보호 필름(표면 보호 필름을 전용)을 적층했다. 적층에 이용한 터치 패널을 상정한 표면 보호 필름 및 이면 보호 필름은 원 편광판과 적층한 표면 보호 필름과 동일한 것을 이용하고, 필름의 지상축은 평행이 되도록 했다.
또한, 원 편광판 A에서는 편광자측면은 PVA 편광자 전사용 적층체의 편광자를 첩합한 TAC 필름면이며, 위상차층측면은 1/4 λ판의 TAC 필름면이다.
원 편광판 B의 편광자측면은 PVA 편광자를 첩합한 TAC 필름면이며, 위상차층측면은 1/4 λ판의 TAC 필름면이다.
원 편광판 C의 편광자측면은 액정 편광자를 설치한 TAC 필름면이며, 위상차층측면은 1/4 λ판의 TAC 필름면이다.
원 편광판 D의 편광자측면은 편광자면이며, 위상차층측면은 1/4 λ판의 TAC 필름면이다. 원 편광판 D에서는 표면 보호 필름에 첩합하기 직전에 PVA 편광자 전사용 적층체의 열가소성 수지 기재를 박리했다.
원 편광판 E의 편광자측면은 편광자면이며, 위상차층측면은 보호 코트면이다. 원 편광판 E에서는 표면 보호 필름에 첩합하기 직전에 PVA 편광자 전사용 적층체의 열가소성 수지 기재를 박리하고, 그 후,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A4100)을 박리했다.
(표면 보호 필름과 원 편광판의 적층체의 내굴곡성 평가)
하드 코트 필름의 샘플 평가와 마찬가지로 하여, 표면 보호 필름과 원 편광판의 적층체에 대해 굴곡 반경 3.0mm의 내굴곡성을 평가했다. 평가에 있어서는 하드 코트를 굴곡의 내측으로 했다.
(폴딩형 디스플레이 모델의 굴곡성 평가)
얻어진 폴딩형 디스플레이의 모델을 굴곡 반경 3.0mm로 하고, 상기 적층체의 내굴곡성과 마찬가지로 20만회의 내굴곡성 시험을 행하였다. 표면 보호 필름 1∼20을 이용한 실시예 1∼20의 것은, 모두 접은 자국, 크랙 등은 인지되지 않아 뛰어난 내굴곡성을 나타냈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pct00009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폴딩형 디스플레이용 하드 코트 필름을 이용한 폴딩형 디스플레이는, 양산성을 유지하면서, 폴딩형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위치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나 하드 코트 필름이 반복 폴딩된 후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폴딩 부분에서의 화상의 왜곡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없다. 특히 본 발명의 폴딩형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휴대 단말 기기 또는 화상 표시 장치는, 아름다운 화상을 제공하고, 기능성이 풍부하며, 휴대성 등의 편리성이 뛰어난 것이다.
1: 폴딩형 디스플레이
11: 굴곡 반경
2: 폴딩형 디스플레이의 표면 보호 필름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21: 폴딩부
22: 굴곡 방향(폴딩부와 직교하는 방향)

Claims (7)

  1. 적어도 표면 보호 필름, 편광자, 위상차층을 갖는 폴딩형 디스플레이이고, 표면 보호 필름이 하기 조건을 만족하는 두께가 10∼80㎛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폴딩형 디스플레이:
    (1) 굴곡 방향의 굴절률이 1.590∼1.620
    (2) 폴딩부의 방향의 굴절률이 1.670∼1.700
    (3)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 1.520 이하
    (4) 밀도가 1.380g/㎤ 이상
    (여기에서, 굴곡 방향이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폴딩할 때의 폴딩부와 직교하는 방향을 말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곡 방향의 탄성률이 2.7GPa 이하, 폴딩부의 방향의 탄성률이 4.5GPa 이상인 폴딩형 디스플레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편면(片面) 상에 하드 코트층을 갖고, 하드 코트층이 적어도 폴딩형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위치하고 있는 폴딩형 디스플레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의 적어도 편면 상에 하드 코트층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전(全) 광선 투과율이 85% 이상, 헤이즈가 3% 이하인 폴딩형 디스플레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딩형 디스플레이의 폴딩부를 개재하여 연속한 단일의 표면 보호 필름이 배치되어 있는 폴딩형 디스플레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판이, 1/4 λ판인 폴딩형 디스플레이.
  7. 제 6 항에 기재한 폴딩형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 단말 기기.
KR1020217041987A 2019-05-30 2020-05-15 폴딩형 디스플레이 KR202200133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01025 2019-05-30
JP2019101025 2019-05-30
PCT/JP2020/019485 WO2020241313A1 (ja) 2019-05-30 2020-05-15 折りたたみ型ディスプレ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394A true KR20220013394A (ko) 2022-02-04

Family

ID=73553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1987A KR20220013394A (ko) 2019-05-30 2020-05-15 폴딩형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236468A1 (ko)
EP (1) EP3978967A4 (ko)
JP (1) JP6940004B2 (ko)
KR (1) KR20220013394A (ko)
CN (1) CN113874767A (ko)
TW (1) TW202101031A (ko)
WO (1) WO20202413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2120A1 (ja) 2019-02-08 2020-08-13 東洋紡株式会社 折りたたみ型ディスプレイ及び携帯端末機器
KR20210125514A (ko) 2019-02-08 2021-10-18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그 용도
CN113874191B (zh) 2019-05-28 2024-03-12 东洋纺株式会社 聚酯薄膜及其用途
KR20220016132A (ko) 2019-05-28 2022-02-08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에스테르 필름, 적층 필름 및 그 용도
US11939499B2 (en) 2019-05-28 2024-03-26 Toyobo Co., Ltd. Multilayer film and use of same
KR20210056468A (ko) * 2019-11-08 2021-05-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센싱 유닛과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95748B1 (ko) * 2021-02-17 2022-05-10 (주)유티아이 롤러블, 슬라이더블 및 스트레쳐블 커버 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WO2024058059A1 (ja) * 2022-09-16 2024-03-21 東洋紡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とその用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8391A (ja) 2009-03-27 2010-10-14 Lintec Corp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加工方法、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保護フィルム
JP2016155124A (ja) 2015-02-25 2016-09-01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Dongwoo Fine−Chem Co., Ltd. 折り畳みハード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8150940A1 (ja) 2017-02-20 2018-08-23 東洋紡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とその用途

Family Cites Families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4984A (en) 1980-01-24 1981-08-21 Nippon Kanko Shikiso Kenkyusho:Kk Bichromic pigment for yellow liquid crystal
JPS6097323A (ja) * 1983-11-01 1985-05-31 Toray Ind Inc 液晶表示用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0228568A (ja) 1984-04-26 1985-11-13 Casio Comput Co Ltd 液晶用二色性染料
JPS63301850A (ja) 1988-01-13 1988-12-08 Nippon Kanko Shikiso Kenkyusho:Kk アゾ化合物からなる液晶用二色性色素
DE4408171A1 (de) 1994-03-11 1995-09-14 Basf Ag Neue polymerisierbare flüssigkristalline Verbindungen
JP2001155866A (ja) 1999-11-24 2001-06-08 Fuji Photo Film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トディスプレイ
KR100663661B1 (ko) 2000-01-24 2007-01-03 롤리크 아게 측쇄 광가교결합성 그룹을 함유하는 광활성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산 또는 폴리아미드 산 에스테르,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배향층, 광학 소자 및 광학 또는 전자 광학 장치
DE10016524A1 (de) 2000-04-03 2001-10-04 Basf Ag Polymerisierbare Flüssigkristalle
JP4900632B2 (ja) 2000-08-30 2012-03-21 Dic株式会社 光配向膜用材料、光配向膜及びその製造方法
JP4534107B2 (ja) 2001-01-30 2010-09-01 Dic株式会社 光配向材料及びこれを用いた光配向膜の製造方法
EP1229066A1 (en) 2001-02-05 2002-08-07 Rolic AG Photoactive polymer
JP4803412B2 (ja) 2001-03-14 2011-10-26 Dic株式会社 マレイミド誘導体を含有する光配向材料及び光配向膜の製造方法
JP2002303722A (ja) 2001-04-04 2002-10-18 Fuji Photo Film Co Ltd 光学補償シート
JP4058481B2 (ja) 2001-04-12 2008-03-12 日東電工株式会社 重合性液晶化合物および光学フィルム
JP2003114325A (ja) * 2001-10-03 2003-04-18 Nitto Denko Corp 積層1/4波長板、円偏光板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JP4507490B2 (ja) 2002-12-26 2010-07-21 チッソ株式会社 光重合性液晶組成物および液晶フィルム
JP2004299101A (ja) * 2003-03-28 2004-10-28 Toray Ind Inc 表面保護用透明積層フィルム
US7763330B2 (en) 2003-11-06 2010-07-27 Sumitomo Chemical Co., Ltd. Dichroic guest-host polarizer comprising an oriented polymer film
JP4721721B2 (ja) 2004-02-18 2011-07-13 株式会社Adeka 重合性化合物及び該化合物を含有する重合性液晶組成物
JP4888690B2 (ja) 2004-12-27 2012-02-29 Dic株式会社 光配向膜の製造方法
US20090068472A1 (en) 2005-03-23 2009-03-12 Nitto Denko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an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optical film obtained by the production method
JP5200325B2 (ja) 2005-04-04 2013-06-05 三菱化学株式会社 湿式成膜法により形成された異方性色素膜及び偏光素子
JP4946151B2 (ja) 2005-06-10 2012-06-06 Jnc株式会社 重合性液晶組成物
JP2007076839A (ja) 2005-09-15 2007-03-29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661502B2 (ja) 2005-09-29 2011-03-30 Dic株式会社 光配向膜用組成物および光配向膜の製造方法
JP5186734B2 (ja) 2005-10-18 2013-04-24 Dic株式会社 アゾ化合物、光配向膜用組成物、光配向膜及び液晶表示素子
JP5145660B2 (ja) 2005-10-18 2013-02-20 Dic株式会社 光配向膜用組成物、光配向膜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光学異方体、光学素子、その製造方法
JP4816003B2 (ja) 2005-10-28 2011-11-16 Dic株式会社 光配向膜用組成物、光配向膜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光学異方体、光学素子、その製造方法
JP2007119415A (ja) 2005-10-31 2007-05-17 Adeka Corp 縮合環を有する重合性液晶化合物並びに該重合性液晶化合物の単独重合物及び共重合物
JP4935982B2 (ja) 2005-11-10 2012-05-23 Dic株式会社 光配向膜用組成物、光学異方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33184A (ja) 2005-11-10 2007-05-31 Nippon Kayaku Co Ltd 新規偏光素子用光配向膜
JP4545095B2 (ja) 2006-01-11 2010-09-15 株式会社Adeka 新規重合性化合物
JP2008149577A (ja) 2006-12-18 2008-07-03 Kaneka Corp シート、積層体、偏光板、液晶表示装置、更にはその製造方法
JP5076810B2 (ja) 2007-10-31 2012-11-21 Dic株式会社 光配向膜用組成物、光配向膜、及び光学異方体
JP5678429B2 (ja) 2008-12-25 2015-03-04 三菱化学株式会社 異方性膜用アゾ化合物、該化合物を含有する組成物、異方性膜及び偏光素子
WO2010100917A1 (ja) 2009-03-05 2010-09-10 日東電工株式会社 薄型高機能偏光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44848B2 (ja) 2009-05-01 2013-07-2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の製造方法
JP4691205B1 (ja) 2010-09-03 2011-06-01 日東電工株式会社 薄型高機能偏光膜を含む光学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TW201311743A (zh) 2011-07-07 2013-03-16 Sumitomo Chemical Co 光反應性液晶配向劑、與液晶配向元件及其製造方法
TWI564598B (zh) 2011-10-12 2017-01-01 Sumitomo Chemical Co A polarizing film,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the like
JP2013114131A (ja) 2011-11-30 2013-06-10 Dainippon Printing Co Ltd 位相差層形成用の重合性液晶組成物、パターン位相差フィルム及びパターン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3100042A1 (ja) * 2011-12-28 2013-07-04 東洋紡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2129135B1 (ko) 2012-02-28 2020-07-0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막, 원편광판 및 이들의 제조 방법
JP2014065887A (ja) * 2012-09-10 2014-04-17 Toyobo Co Ltd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502006B2 (ja) 2013-06-25 2019-04-17 日産化学株式会社 横電界駆動型液晶表示素子用液晶配向膜を有する基板の製造方法
JP5768853B2 (ja) 2013-09-24 2015-08-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
JP2015129210A (ja) 2014-01-06 2015-07-16 大阪有機化学工業株式会社 ブロックカルボン酸型光配向材料
JP6086884B2 (ja) 2014-01-28 2017-03-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重合性化合物、ポリマー、重合性組成物、フィルム、および投映像表示用ハーフミラー
KR102256084B1 (ko) * 2014-08-04 2021-05-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9161B1 (ko) * 2014-09-03 2016-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18010086A (ja) 2016-07-12 2018-01-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転写フィルムの製造方法、転写フィルム、転写フィルムロール、及び、硬化性樹脂組成物
KR20180034056A (ko) * 2016-09-27 2018-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윈도우 및 표시 장치
JP7021887B2 (ja) * 2016-09-30 2022-02-17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8072663A (ja) * 2016-11-01 2018-05-10 東洋紡株式会社 折りたたみ型ディスプレイ及び携帯端末機器
US10303218B2 (en) * 2017-02-01 2019-05-28 Apple Inc. Foldable cover and display for an electronic device
JP6669097B2 (ja) * 2017-02-14 2020-03-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給電制御装置
WO2018159285A1 (ja) * 2017-03-02 2018-09-07 東洋紡株式会社 折りたたみ型ディスプレイの表面保護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とその用途
KR20210125514A (ko) * 2019-02-08 2021-10-18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그 용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8391A (ja) 2009-03-27 2010-10-14 Lintec Corp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加工方法、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保護フィルム
JP2016155124A (ja) 2015-02-25 2016-09-01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Dongwoo Fine−Chem Co., Ltd. 折り畳みハード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8150940A1 (ja) 2017-02-20 2018-08-23 東洋紡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とその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40004B2 (ja) 2021-09-22
TW202101031A (zh) 2021-01-01
CN113874767A (zh) 2021-12-31
WO2020241313A1 (ja) 2020-12-03
EP3978967A1 (en) 2022-04-06
JPWO2020241313A1 (ja) 2021-09-13
US20220236468A1 (en) 2022-07-28
EP3978967A4 (en) 202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13394A (ko) 폴딩형 디스플레이
TWI830866B (zh) 折疊式顯示器及攜帶式終端機
KR20210125514A (ko)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그 용도
US11899167B2 (en) Polyester film, laminated film, and use thereof
JPWO2018150940A1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とその用途
CN113874212B (zh) 层叠薄膜及其用途
KR20220011703A (ko) 폴딩형 디스플레이용 편광판
CN113874191B (zh) 聚酯薄膜及其用途
WO2021215349A1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とその用途
KR20220152257A (ko)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그 용도
CN114096596B (zh) 折叠型显示器用硬涂薄膜和其用途
JP2020196255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とその用途
JP7480581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とその用途
CN114127829B (zh) 折叠型显示器用硬涂薄膜和其用途
JP2023032119A (ja) 折りたたみ型ディスプレイ
WO2024058058A1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とその用途
JP2020185789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とその用途
JP2023061931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とその用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