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2970A -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2970A
KR20220012970A KR1020220006803A KR20220006803A KR20220012970A KR 20220012970 A KR20220012970 A KR 20220012970A KR 1020220006803 A KR1020220006803 A KR 1020220006803A KR 20220006803 A KR20220006803 A KR 20220006803A KR 20220012970 A KR20220012970 A KR 20220012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film
frame
frame assembly
mask frame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7233B1 (ko
Inventor
안성국
남기현
김혜동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6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233B1/ko
Publication of KR20220012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970A/ko
Priority to KR1020230054120A priority patent/KR102572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0011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4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 C23C14/042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using mask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50Substrat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32B37/025Transfe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0Removing layers, or parts of layers, mechanically or chemically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04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 C23C16/042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using mask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50Mask blanks not covered by G03F1/20 - G03F1/34; Preparation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60Substrat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62Pellicles, e.g. pellicle assemblies, e.g. having membrane on support frame; Preparation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62Pellicles, e.g. pellicle assemblies, e.g. having membrane on support frame; Preparation thereof
    • G03F1/64Pellicles, e.g. pellicle assemblies, e.g. having membrane on support fram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frames, e.g. structure or material, including bonding mean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68Preparation processes not covered by groups G03F1/20 - G03F1/50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68Preparation processes not covered by groups G03F1/20 - G03F1/50
    • G03F1/82Auxiliary processes, e.g. cleaning or inspecting
    • G03F1/84Inspecting
    • G03F1/86Inspecting by charged particle beam [CPB]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10K71/16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using selective deposition, e.g. using a mask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개구부와 상기 각 개구부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슬릿을 갖는 패턴부 및 상기 패턴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각 개구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프레임 부분에 안착하여 고정되며, 상기 패턴부와 상기 패턴부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은 일체로 형성된 고분자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고분자필름은 폴리이미드,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아릴 에티르 케톤, 리퀴드 크리스탈 폴리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과 상기 고분자필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프레임과 상기 고분자필름을 점착시키는 점착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점착층은 실리콘일 수 있다.

Description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Mask frame assembl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기판상에 증착 물질을 증착하기 위한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야각이 넓고 컨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응답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대향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발광층 및 이를 포함하는 중간층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전극들 및 중간층은 여러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중 한 방법이 독립 증착 방식이다. 독립 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유기층 등이 형성될 기판 면에, 형성될 유기층 등의 패턴과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파인 메탈 마스크(fine metal mask: FMM)를 밀착시키고 유기층 등의 재료를 증착하여 소정 패턴의 유기층을 형성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개구부와 상기 각 개구부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슬릿을 갖는 패턴부 및 상기 패턴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각 개구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프레임 부분에 안착하여 고정되며, 상기 패턴부와 상기 패턴부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은 일체로 형성된 고분자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고분자필름은 폴리이미드,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아릴 에티르 케톤, 리퀴드 크리스탈 폴리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과 상기 고분자필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프레임과 상기 고분자필름을 점착시키는 점착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점착층은 실리콘인,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패턴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는 초정밀 증착 패터닝이 가능하고, 아울러 기판이나 마스크 처짐에 의한 증착막 두께 왜곡 현상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a는 글라스 상에 고분자용액을 코팅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고분자용액을 건조 및 경화하여 고분자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c는 고분자필름에 프레임을 결합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d는 글라스를 고분자필름에서 탈착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e는 고분자필름에 슬릿을 가공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각종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된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10)는 프레임(100)과 고분자필름(200)을 구비한다.
도 1에 나타난 프레임(100)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사각 형상으로 하나 이상의 개구부(110)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일 실시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원형 또는 육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분자필름(200)은 프레임(100)의 개구부(110)에 대응하는 패턴부(210a)를 가지며, 패턴부(210a)에는 증착 공정 시 증착물을 통과시키는 복수개의 슬릿(210b)이 형성되어 있다. 각 패턴부(210a) 사이에 배치되는 고분자필름(200) 부분은 각 개구부(110) 사이에 배치된 프레임(100) 부분에 안착할 수 있다.
고분자필름(200)은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 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polyether etherketone, PEEK) 또는 리퀴드 크리스탈 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와 같은 고분자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재료들은 고성능 플라스틱으로써, 내열성이 뛰어나며 저온에서 고온까지 특성의 변화가 적고, 내화학성과 내마모성도 강해 열악한 환경에서 안정적인 성능 유지가 가능한 물질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고분자필름(200)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폴리이미드는 3ppm/℃ 이하의 열팽창계수(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CTE)를 갖는데, 이는 500℃ 이상의 온도에서도 정밀한 증착 공정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고분자필름(200)은 고분자용액(200a)을 글라스(50)(도 5a 내지 도 5d 참조) 상에 얇게 도포하여 건조 및 경화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일반적인 증착 공정에서, 이러한 고분자필름(200)은 디스플레이 기판(미도시)을 가운데 두고 정전척(미도시)에 의해 당겨짐으로써 디스플레이 기판에 밀착하게 된다.
이때, 고분자필름(200)의 두께는 10~50μm가 적당하다. 만약 고분자필름(200)의 두께가 필요 이상으로 지나치게 얇으면, 정전척에 의해 디스플레이 기판과 밀착될 때 고분자필름(200)이 찢어지거나 형태가 변형될 수도 있다. 반대로, 고분자필름(200)의 두께가 필요이상으로 지나치게 두꺼우면, 고분자필름(200) 자체의 무게로 인해 디스플레이 기판과 완전히 밀착하지 못하게 되며, 이는 증착 시 고분자필름(200)의 슬릿(210b)이 정의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까지 증착물질이 도달하는 섀도우(shadow) 현상과, 증착막 두께 왜곡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고분자필름(200)은 증착 공정을 수행하는데 적절한 두께로 형성되어야 하며, 즉 상술한 바와 같이 10~50μm의 두께로 고분자필름(200)을 제작하게 되면 파손이나 변형 또는 처짐 현상 없이 대면적의 기판에도 초정밀한 증착 패터닝이 가능하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10)를 구성하는 프레임(100)과 고분자필름(200)의 결합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10)는 프레임(100)의 개구부(110)와 고분자필름(200)의 패턴부(210a)가 대응되도록 정렬된다. 프레임(100)과 고분자필름(200)은 여러가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도 2에 나타난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10)는 고분자필름(200)이 건조 및 경화되는 동안 프레임(100)을 고분자필름(200)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10)는 프레임(100)과 고분자필름(200) 사이에 점착층(300)을 더 구비하여, 프레임(100)과 고분자필름(200)을 점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점착층(300)의 재료로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반복적으로 유기물 증착 공정을 수행하다 보면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10) 상에 유기물이 누적되어 잔류하게 된다. 이렇게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10) 상에 유기물이 누적된 채 계속해서 유기물 증착 공정을 수행하면, 상술한 섀도우 현상이나 증착막 두께 왜곡현상이 일어난다. 이때, 실리콘으로 프레임(100)과 고분자필름(200)을 결합하게 되면 프레임(100)과 고분자필름(200)의 탈부착이 용이해지므로 프레임(100)으로부터 고분자필름(200)을 신속하게 탈부착함으로써 효율적인 유기물 증착 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4 및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10)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5a는 글라스 상에 고분자용액을 코팅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고분자용액을 건조 및 경화하여 고분자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c는 고분자필름에 프레임을 결합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d는 글라스를 고분자필름에서 탈착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e는 고분자필름에 슬릿을 가공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10)의 제조방법은 글라스(50) 상에 고분자용액(200a)을 코팅하는 단계(S401)와, 고분자용액(200a)을 건조 및 경화하는 단계(S402)와, 고분자필름(200) 상에 프레임(100)을 결합하는 단계(S403)와, 글라스(50)를 탈착하는 단계(S404)와, 고분자필름(200)의 패턴부(210a)에 복수개의 슬릿(210b)을 가공하는 단계(S405)를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용액(200a)을 코팅하는 단계(S401)에서, 고분자용액(200a)의 재료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이미드,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아릴 에테를 케톤 또는 리퀴드 크리스탈 폴리머와 같은 고분자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글라스(50)에 고분자용액(200a)을 코팅한 뒤(S401)(도 5a참조), 고분자용액(200a)을 건조 및 경화(S402)하면 고분자필름(200)이 글라스(50) 상에 형성된다(도 5b 참조).
글라스(50) 상에 형성된 고분자필름(200)에 프레임(100)을 결합하는 단계(S403)는 바람직하게는 두 가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먼저, 프레임(100)은 고분자용액(200a)이 완전하게 건조되기 이전에 프레임(100)을 고분자용액(200a)에 결합시킬 수 있는데, 도 5c는 이러한 방식으로 프레임(100)과 고분자필름(200)이 결합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와는 다르게, 프레임(100) 상에 도포된 고분자용액(200a)이 완전히 건조 및 경화되어 고분자필름(200)이 된 이후,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분자필름(200) 상에 점착층(300)을 도포하고, 다시 점착층(300)에 프레임(100)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프레임(100)과 고분자필름(200)을 결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착층(300)의 재료로는 실리콘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가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렇게 프레임(100)과 고분자필름(200)이 서로 결합한 뒤에는, 글라스(50)를 탈착하여 고분자필름(200)의 패턴부(210a)에 슬릿(210b)을 형성할 준비를 한다(S404).
마지막으로, 글라스(50)가 탈착되고 나면, 고분자필름(200) 상에 슬릿(210b)을 형성하게 된다(S405). 이때, 고분자필름(200)의 슬릿(210b)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레이저로 패터닝 하는 방법이나 노광(light exposure) 방식으로 슬릿(210b)을 형성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200a: 고분자용액
100: 프레임 210a: 패턴부
110: 개구부 210b: 슬릿
200: 고분자필름 300: 점착층

Claims (3)

  1. 복수개의 개구부와 상기 각 개구부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을 갖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슬릿을 갖는 패턴부 및 상기 패턴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각 개구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프레임 부분에 안착하여 고정되며, 상기 패턴부와 상기 패턴부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은 일체로 형성된 고분자필름; 을 구비하고,
    상기 고분자필름은 폴리이미드,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아릴 에티르 케톤, 리퀴드 크리스탈 폴리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과 상기 고분자필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프레임과 상기 고분자필름을 점착시키는 점착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점착층은 실리콘인,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패턴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KR1020220006803A 2014-06-23 2022-01-17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KR102527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803A KR102527233B1 (ko) 2014-06-23 2022-01-17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KR1020230054120A KR102572717B1 (ko) 2014-06-23 2023-04-25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631A KR20160000069A (ko) 2014-06-23 2014-06-23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1020210125016A KR102354388B1 (ko) 2014-06-23 2021-09-17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제조방법
KR1020220006803A KR102527233B1 (ko) 2014-06-23 2022-01-17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016A Division KR102354388B1 (ko) 2014-06-23 2021-09-17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120A Division KR102572717B1 (ko) 2014-06-23 2023-04-25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970A true KR20220012970A (ko) 2022-02-04
KR102527233B1 KR102527233B1 (ko) 2023-05-02

Family

ID=5486912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631A KR20160000069A (ko) 2014-06-23 2014-06-23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1020210125016A KR102354388B1 (ko) 2014-06-23 2021-09-17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제조방법
KR1020220006803A KR102527233B1 (ko) 2014-06-23 2022-01-17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KR1020230054120A KR102572717B1 (ko) 2014-06-23 2023-04-25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631A KR20160000069A (ko) 2014-06-23 2014-06-23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1020210125016A KR102354388B1 (ko) 2014-06-23 2021-09-17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120A KR102572717B1 (ko) 2014-06-23 2023-04-25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982333B2 (ko)
KR (4) KR2016000006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9819A (zh) 2016-07-22 2016-10-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掩膜板及其制作方法
CN113737128A (zh) * 2017-01-31 2021-12-03 堺显示器制品株式会社 蒸镀掩模、蒸镀掩模及有机半导体元件的制造方法
KR102191388B1 (ko) * 2018-06-12 2020-12-15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마스크프레임 및 마스크조립체
CN108761998A (zh) * 2018-06-20 2018-11-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掩膜版张网框架及掩膜版张网工艺
KR20210091382A (ko) * 2020-01-13 2021-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스크, 이의 제조 방법, 및 표시 패널 제조 방법
JP7120262B2 (ja) * 2020-02-06 2022-08-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蒸着マスク準備体の製造方法、フレーム付き蒸着マスク準備体の製造方法、及びフレーム付き蒸着マスク準備体
KR20210113526A (ko) 2020-03-06 2021-09-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스크의 제조 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20113588A (ko) * 2021-02-05 2022-08-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스크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580B1 (ko) * 2003-03-27 2005-1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증착 마스크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3177694A (ja) * 2012-01-12 2013-09-09 Dainippon Printing Co Ltd 多面付け蒸着マスク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り得られる多面付け蒸着マスク並びに有機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KR20140063805A (ko) * 2011-09-16 2014-05-27 브이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증착 마스크, 증착 마스크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패턴 형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282B1 (ko) 2001-09-28 200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마스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소패터닝방법
JP4072422B2 (ja) * 2002-11-22 2008-04-09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蒸着用マスク構造体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el素子の製造方法
JP4173722B2 (ja) * 2002-11-29 2008-10-29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蒸着マスク、これを利用した有機el素子の製造方法及び有機el素子
KR100561705B1 (ko) 2004-06-18 2006-03-15 전자부품연구원 니켈 전주도금법을 이용한 금속마스크 제작방법 및 이를이용한 금속 마스크
JP2006152339A (ja) 2004-11-26 2006-06-15 Canon Inc 蒸着用マスク構造体の製造方法
KR100982021B1 (ko) * 2008-07-22 2010-09-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분할 마스크 조립체
KR20100026655A (ko) 2008-09-01 2010-03-1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박막 증착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제조방법
KR20120014732A (ko) 2010-08-10 2012-02-20 에프엔에스테크 주식회사 플렉시블 마스크를 이용한 oled 증착 방법
KR101759347B1 (ko) * 2010-12-14 2017-08-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증착용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742816B1 (ko) * 2010-12-20 2017-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240955B1 (ko) 2010-12-27 2013-03-11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고온에서의 열적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 필름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소자용 기판
WO2012126016A2 (en) 2011-03-17 2012-09-20 Kateeva,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depositing one or more organic materials on a substrate
KR101837624B1 (ko) * 2011-05-06 2018-03-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증착용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931770B1 (ko) 2011-11-30 2018-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스크 조립체 및 유기 발광 표시장치
JP5895539B2 (ja) * 2012-01-12 2016-03-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蒸着マスク
KR101361898B1 (ko) * 2012-01-17 2014-02-14 주식회사 야스 필름 밴드 마스크
TWI580712B (zh) 2012-06-08 2017-05-01 東麗 杜邦股份有限公司 聚亞醯胺膜
KR102002494B1 (ko) * 2012-11-30 2019-07-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증착용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580B1 (ko) * 2003-03-27 2005-1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증착 마스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63805A (ko) * 2011-09-16 2014-05-27 브이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증착 마스크, 증착 마스크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패턴 형성 방법
JP2013177694A (ja) * 2012-01-12 2013-09-09 Dainippon Printing Co Ltd 多面付け蒸着マスク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り得られる多面付け蒸着マスク並びに有機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45199A1 (en) 2018-08-30
KR20230064597A (ko) 2023-05-10
US20150368785A1 (en) 2015-12-24
KR102354388B1 (ko) 2022-01-24
US9982333B2 (en) 2018-05-29
KR102527233B1 (ko) 2023-05-02
KR20210120944A (ko) 2021-10-07
KR102572717B1 (ko) 2023-08-31
KR20160000069A (ko) 2016-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4388B1 (ko)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제조방법
JP5555226B2 (ja) 半導体加工中のフレキシブル基板のwarpおよびbowを減少させるアセンブリおよび方法
JP5583140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アセンブリを準備する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より準備されたフレキシブル基板アセンブリ
US10151041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metal mask and mask for deposition using said method
US7635608B2 (en) Method of fabricating organic electronic device
TWI627058B (zh) 玻璃結構以及製造與處理玻璃結構之方法
US10930528B2 (en) Method for transferring micro device
Kim et al. Inorganic Polymer Micropillar‐Based Solution Shearing of Large‐Area Organic Semiconductor Thin Films with Pillar‐Size‐Dependent Crystal Size
KR20160039277A (ko) 기판들을 위한 유지 배열, 및 이를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60117800A (ko) 표시 기판의 제조 방법
WO2018112991A1 (zh) 制作oled时用于承载oled的承载基板及其制作方法
TWI389348B (zh) 光電組件之製造方法及光電組件
WO2016180079A1 (zh)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102334577B1 (ko) 소자 전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패널 제조방법
US20150243925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evice
KR20190034524A (ko) 기판을 홀딩하기 위한 홀딩 어레인지먼트, 홀딩 어레인지먼트를 포함하는 캐리어, 캐리어를 이용하는 프로세싱 시스템, 기판을 홀딩하기 위한 방법, 및 기판을 홀딩 어레인지먼트로부터 릴리스하기 위한 방법
JP7110189B2 (ja) 電子素子の遅延ビア形成
US20150118412A1 (en) Device and method to form protective coating
JP5932919B2 (ja) 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003974B1 (ko) 유기반도체의 용액공정에 적용되는 선택적 박막 형성 방법, 이에 사용되는 도포방지 필름 및 용액공정을 적용한 oled 조명의 제조방법
JP2007508683A (ja) マスクを通した積層
JP2011203608A (ja) パターン形成体の製造方法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KR20200065073A (ko) Tft 기판의 제조 방법 및 tft 기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