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388B1 - 마스크프레임 및 마스크조립체 - Google Patents

마스크프레임 및 마스크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388B1
KR102191388B1 KR1020180067705A KR20180067705A KR102191388B1 KR 102191388 B1 KR102191388 B1 KR 102191388B1 KR 1020180067705 A KR1020180067705 A KR 1020180067705A KR 20180067705 A KR20180067705 A KR 20180067705A KR 102191388 B1 KR102191388 B1 KR 102191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sk
straight
curved
upper stra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0768A (ko
Inventor
조생현
김민종
Original Assignee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180067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388B1/ko
Priority to PCT/US2019/036614 priority patent/WO2019241294A1/en
Priority to CN201980039085.5A priority patent/CN112272874A/zh
Priority to TW108120185A priority patent/TW202015271A/zh
Publication of KR20190140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6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4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 C23C14/042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using mas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2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3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 H01L21/0334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 H01L21/033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involved to create the mask, e.g. lift-off masks, sidewalls, or to modify the mask, e.g. pre-treatment, post-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마스크프레임 및 마스크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마스크프레임은, 마스크시트가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마스크프레임으로서, 좌측에 구비되는 좌측프레임과, 우측에 구비되는 우측프레임과, 좌측프레임의 상단부분과 우측프레임의 상단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상측프레임과, 좌측프레임의 하단부분과 우측프레임의 하단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하측프레임을 포함하고, 상측프레임은, 좌우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를 이루는 상부직선프레임; 및 마스크시트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부직선프레임과 이격되고, 좌우대칭이며 상측으로 볼록하게 굽은 상부곡선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크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고, 마스크시트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마스크조립체의 위치를 수평과 수직으로 전환함에 있어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프레임 및 마스크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마스크프레임 및 마스크조립체{Mask Frame and Mask Assembly}
본 발명은 마스크프레임 및 마스크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패턴 또는 모양을 가지는 양극, 음극, 유기막 또는 픽셀 등이 기판상에 형성되도록 하는 마스크시트를 고정하는 마스크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기판처리장치는, 반도체 제조용 웨이퍼, LCD 제조용 기판, OLED 제조용 기판 등을 제조하기 위하여 증착공정, 식각공정 등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기판처리의 종류, 조건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기판처리장치 중 증착기는, 기판의 표면에 CVD, PVD, 증발증착 등을 이용하여 박막을 형성하는 장치를 말하고,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제조용 기판의 경우 증착물질을 증착함에 있어서, 유기물, 무기물, 금속 등을 증발시켜 기판 표면에 박막을 형성하는 공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증착물질을 증발시켜 박막을 형성하는 증착기는 증착용 기판이 로딩되는 증착챔버와, 증착챔버 내부에 설치되어 기판에 대하여 증착물질을 증발하도록 증착물질을 가열하여 증발시키는 소스를 포함하여, 이에 따라 증착물질이 증발되어 기판표면에 박막을 형성하는 기판처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이러한 기판처리에서는, 증착 영역만 노출되도록 이루어지는 마스크를 기판 상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소정의 패턴 또는 모양을 가지는 양극, 음극, 유기막, 픽셀 등이 기판상에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마스크는 통상, 사각틀 형태의 마스크 프레임에 결합되어 사용되는데, 마스크는 이동 및 사용과정에서 마스크의 처짐이 발생될 수 있고, 특히, 기판 및 마스크가 대형화됨에 따라 마스크의 처짐방지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000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33234호(등록일: 2018.02.22) (0002)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95354호(등록일: 2013.08.05)
본 발명의 목적은, 마스크프레임 및 마스크시트의 변형과, 마스크시트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프레임 및 마스크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마스크시트가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마스크프레임으로서, 좌측에 구비되는 좌측프레임과, 우측에 구비되는 우측프레임과, 상기 좌측프레임의 상단부분과 상기 우측프레임의 상단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상측프레임과, 상기 좌측프레임의 하단부분과 상기 우측프레임의 하단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하측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프레임은, 좌우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를 이루는 상부직선프레임; 및 상기 마스크시트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직선프레임과 이격되고, 좌우대칭이며 상측으로 볼록하게 굽은 상부곡선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프레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프레임에서, 상기 상부곡선프레임은 상기 상부직선프레임보다 위쪽, 아래쪽, 앞쪽 또는 뒤쪽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프레임에서, 상기 상측프레임은, 좌우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를 이루고 상기 상부직선프레임 및 상부곡선프레임과 이격되되, 상기 상부곡선프레임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직선프레임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상부직선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프레임에서, 상기 상부곡선프레임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하되, 원형파이프 또는 다각형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단면이 ㄱ자(L자), ㄷ자(U자), H자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프레임에서, 상기 상부곡선프레임은 티타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좌측프레임, 우측프레임 및 상부직선프레임과 이종의 소재 또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프레임, 우측프레임 및 상부직선프레임은 Fe-Ni 합금,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서로 동종의 소재 또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프레임에서, 상기 상부곡선프레임은,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층; 및 상기 내부층을 둘러싸며 상기 내부층과 결합되는 외부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층은 상기 좌측프레임, 우측프레임 및 상부직선프레임과 이종의 소재 또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층은 상기 좌측프레임, 우측프레임 및 상부직선프레임과 동종의 소재 또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프레임에서, 상기 상부곡선프레임에는, 상기 마스크시트를 고정결합시키는 고정스크류가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프레임은 좌우 및 상하대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좌우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 개의 마스크시트; 및 상기 마스크시트가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마스크프레임으로서, 좌측에 구비되는 좌측프레임과, 우측에 구비되는 우측프레임과, 상기 좌측프레임의 상단부분과 상기 우측프레임의 상단부분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마스크시트의 상측이 결합되는 상측프레임과, 상기 좌측프레임의 하단부분과 상기 우측프레임의 하단부분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마스크시트의 하측이 결합되는 하측프레임을 포함하는 마스크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프레임은, 좌우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를 이루는 상부직선프레임; 및 상기 마스크시트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직선프레임과 이격되고, 좌우대칭이며 상측으로 볼록하게 굽은 상부곡선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시트는 상기 상부곡선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조립체에서, 상기 상부곡선프레임은 상기 상부직선프레임보다 위쪽, 아래쪽, 앞쪽 또는 뒤쪽에 위치하고, 상기 상측프레임은, 좌우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를 이루고 상기 상부직선프레임 및 상부곡선프레임과 이격되되, 상기 상부곡선프레임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직선프레임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상부직선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조립체에서, 상기 상부곡선프레임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하되, 원형파이프 또는 다각형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단면이 ㄱ자(L자), ㄷ자(U자), H자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조립체에서, 상기 상부곡선프레임은 티타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좌측프레임, 우측프레임 및 상부직선프레임과 이종의 소재 또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프레임, 우측프레임 및 상부직선프레임은 Fe-Ni 합금,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서로 동종의 소재 또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크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고, 마스크시트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마스크조립체의 위치를 수평과 수직으로 전환함에 있어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프레임 및 마스크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조립체 및 마스크프레임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조립체 및 마스크프레임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마스크프레임의 일부 구성 및 이에 작용하는 하중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크프레임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프레임의 여러 단면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프레임의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조립체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조립체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2개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조립체(1) 및 마스크프레임(100)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2개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조립체(1) 및 마스크프레임(100)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마스크프레임(100)의 일부 구성 및 이에 작용하는 하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크프레임(100)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프레임(100)의 여러 단면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프레임(100) 및 마스크조립체(1)의 기술적 특징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마스크프레임(100), 마스크시트(200, 200a, 200b) 및 마스크조립체(1)가 개략적이고 일부가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프레임(100), 마스크조립체(1)는,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 것으로서, 형상, 모양, 규격 등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패널 등의 제조공정에서 피처리물인 웨이퍼 또는 기판의 고정 및 이동이 이루어지고, 대면적의 기판, 특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패널을 이루는 대면적 기판의 고정 및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이송장치는, 피처리물인 기판에 대하여, 에칭, CVD, 스퍼터링, 이온 주입, 에싱 및/또는 증발증착 등의 가공과정인 기판처리공정 또는 그러한 공정의 준비과정에서 기판을 고정 및 이송하도록 이루어지고, 기판이송장치의 일측에 본 발명의 마스크조립체(1)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공정을 위한 기판처리장치는 마스크조립체(1)를 고정 및 이송시키는 마스크이송장치, 상술한 기판 이송장치, 프로세스 챔버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기판이송장치는 기판과 함께 프로세스 챔버 내외부로, 또는 프로세스 챔버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고, 이때 기판은 수평상태 또한 수직상태로 놓여 이동할 수 있다.
마스크 이송장치는 마스크조립체(1)와 함께 프로세스 챔버 내외부로, 또는 프로세스 챔버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고, 이때 마스크조립체(1)는 수평상태 또한 수직상태로 놓여 이동할 수 있고, 수평상태와 수직상태가 서로 전환될 수 있다. 프로세스 챔버 내부에서 기판이 수평상태일 때 마스크조립체(1) 또한 수평상태이고, 기판이 수직상태일 때 마스크조립체(1) 또한 수직상태임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마스크조립체(1)를 기준으로 상하방향(Y와 평행), 좌우방향(X와 평행)을 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마스크조립체(1)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방향을 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는 마스크조립체(1) 및 마스크프레임(100)의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조립체(1) 및 마스크프레임(100)이 반드시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마스크조립체(1)에는 소정의 패턴 또는 모양을 이루는 관통구멍(210)이 구비되고, 마스크조립체(1)는 프로세스 챔버 내에서 일측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고, 기판 앞에 위치할 수 있다. 프로세스 챔버 내에서 증발된 증착물질이 이러한 관통구멍(210)을 통과한 후 기판에 안착됨으로써 기판 상에 소정의 패턴 또는 모양을 가지는 양극, 음극, 유기막 또는 픽셀 등이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조립체(1)는 마스크프레임(100) 및 마스크시트(200, 200a, 20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마스크시트(200, 200a, 200b)는 상기 관통구멍(210)이 형성되는 구성이며, 얇은 금속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금속성의 박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스크시트(200, 200a, 200b)의 두께는 수㎜에서 수십㎜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수십㎛에서 수백㎛로 이루어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20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18㎛의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스크시트(200, 200a, 200b)의 관통구멍(210)은,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그 크기 및 모양 등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도 2(a) 및 (b) 참조)
마스크시트(200)는 통상의 FMM(Fine Metal Mask)로 이루어질 수 있고, 마스크시트(200a)는 일측 방향으로 긴 스트립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1(a) 및 (b) 참조) 이때 다수 개의 마스크시트(200a)는 병렬로 배열되고 양측 단부(상하측 단부)가 마스크프레임(100)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마스크시트(200)는 통상의 CMM(Common Metal Mask)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스크시트(200b)는 통상의 오픈마스크(Open Mask)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2 (a) 및 (b) 참조) 이때 마스크시트(200b)의 4개의 테두리 부분은 좌측프레임(110), 우측프레임(120), 상측프레임(130) 및 하측프레임(140) 각각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마스크프레임(100)은 마스크시트(200, 200a, 200b)보다 강도 또는 강성이 큰 소재로 이루어진다. 마스크프레임(100)은 인바(invar, Fe-Ni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인바(invar)'는 구체적으로 Invar36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스테인리스강'은 SUS4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스크프레임(100)은 좌측프레임(110), 우측프레임(120), 상측프레임(130) 및 하측프레임(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틀 형태로 이루어진다.
좌측프레임(110)은 마스크프레임(100)의 좌측을 이루며 상하방향(Y)으로 길게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직선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좌측프레임(110)은 상하방향(Y)을 따라 그 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원형기둥, 다각형기둥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좌측프레임(110)은 원형파이프, 다각형파이프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단면이 ㄱ자(L자), ㄷ자(U자), H자 등의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좌측프레임(110)의 단면 형상은, 프레임의 중량을 감소시키면서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우측프레임(120)은 마스크프레임(100)의 우측을 이루며 상하방향(Y)으로 길게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직선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우측프레임(120)은 상하방향(Y)을 따라 그 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원형기둥, 다각형기둥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우측프레임(120)은 원형파이프, 다각형파이프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단면이 ㄱ자(L자), ㄷ자(U자), H자 등의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우측프레임(120)의 단면 형상은, 프레임의 중량을 감소시키면서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좌측프레임(110)과 우측프레임(120)은 서로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모양, 크기 및 재질 등이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측프레임(130)은 좌측프레임(110)과 우측프레임(120)의 각각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고, 좌측프레임(110) 및 우측프레임(120)에 고정된다.
상측프레임(130)은 상부직선프레임(131)과 상부곡선프레임(1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직선프레임(131)은 좌측프레임(110)과 우측프레임(120)을 서로 연결하고 좌우방향(X)을 따라 직선 형태를 이룬다. 상부직선프레임(131)은 좌우방향(X)을 따라 그 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원형기둥, 다각형기둥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부직선프레임(131)은 원형파이프, 다각형파이프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단면이 ㄱ자(L자), ㄷ자(U자), H자 등의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부직선프레임(131)의 단면 형상은, 프레임의 중량을 감소시키면서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상부직선프레임(131)은 좌측프레임(110) 및 우측프레임(120)과 동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Fe-Ni 합금, 스테인리스강 등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측프레임(130)이 좌측프레임(110) 및 우측프레임(120)과 안정적이고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부곡선프레임(132)은 상부직선프레임(131)과 이격되어, 상부곡선프레임(132)과 상부직선프레임(131) 사이에는 공간이 마련된다. 상부곡선프레임(132)은 좌측프레임(110)과 우측프레임(120)을 서로 연결하되, 상부직선프레임(131)과 같이 직선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곡선형태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부곡선프레임(132)은 상측(Y)을 향하여 볼록하게 굽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부곡선프레임(132)은, 그 전체길이에 걸쳐 곡률이 일정하거나 곡률이 연속적으로 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곡선프레임(132)의 길이(L2)는 상부직선프레임(131)의 길이(L1)보다 길게 이루어진다.
상부곡선프레임(132)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그 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원형기둥, 다각형기둥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부곡선프레임(132)은 원형파이프, 다각형파이프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단면이 ㄱ자(L자), ㄷ자(U자), H자 등의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부곡선프레임(132)의 단면 형상은, 프레임의 중량을 감소시키면서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상부곡선프레임(132)은,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층(132a)과, 내부층(132a)을 둘러싸며 내부층(132a)과 결합되는 외부층(132b)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프레임(100)에서 상부곡선프레임(132)은 좌측프레임(110) 및 우측프레임(120)과 동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프레임(100)에서 상부곡선프레임(132)은 좌측프레임(110) 및 우측프레임(120)과 이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좌측프레임(110) 및 우측프레임(120)이 인바(Fe-Ni 합금),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때, 상부곡선프레임(132)은 티타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측프레임(130)의 전체 무게를 줄이면서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부곡선프레임(132)은 용접에 의해 좌측프레임(110) 및 우측프레임(1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부곡선프레임(132)이 내부층(132a)과 외부층(132b)으로 구분될 때, 내부층(132a)은 좌측프레임(110), 우측프레임(120) 및 상부직선프레임(131)과 이종의 소재 또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부층(132b)은 좌측프레임(110), 우측프레임(120) 및 상부직선프레임(131)과 동종의 소재 또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좌측프레임(110) 및 우측프레임(120)이 Fe-Ni 합금,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때, 외부층(132b)은 좌측프레임(110) 및 우측프레임(120)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내부층(132a)은 티타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측프레임(130)의 전체 무게를 줄이면서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상부곡선프레임(132)은 외부층(132b)을 통하여 좌측프레임(110) 및 우측프레임(120)과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마스크프레임(100)의 용이하고 안정적인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상부곡선프레임(132)은 상부직선프레임(131)보다 아래쪽(도 4(a) 참조), 앞쪽(도 4(b) 참조), 뒤쪽(도 4(c) 참조) 또는 위쪽(도 4(d) 참조)에 위치할 수 있다.
하측프레임(140)은 좌측프레임(110)과 우측프레임(120)의 각각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고, 좌측프레임(110) 및 우측프레임(120)에 고정된다.
하측프레임(140)은, 좌측프레임(110) 및 우측프레임(120)과 같이 하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도 1(a) 참조), 상측프레임(130)과 같이 2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1(b) 참조)
하측프레임(140)이 하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하측프레임(140)은 좌측프레임(110)과 우측프레임(120)을 서로 연결하고 좌우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를 이룬다. 하측프레임(140)은 좌우방향을 따라 그 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원형기둥, 다각형기둥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측프레임(140)은 원형파이프, 다각형파이프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단면이 ㄱ자(L자), ㄷ자(U자), H자 등의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하측프레임(140)의 단면 형상은, 프레임의 중량을 감소시키면서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하측프레임(140)은 좌측프레임(110), 우측프레임(120) 및 상측프레임(130)과 동일한 소재 및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측프레임(140)이 2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하측프레임(140)은 하부직선프레임(141)과 하부곡선프레임(1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직선프레임(141)은 좌측프레임(110)과 우측프레임(120)을 서로 연결하고 좌우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를 이룬다. 하부직선프레임(141)은 좌우방향을 따라 그 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원형기둥, 다각형기둥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부직선프레임(141)은 원형파이프, 다각형파이프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단면이 ㄱ자(L자), ㄷ자(U자), H자 등의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하부직선프레임(141)의 단면 형상은, 프레임의 중량을 감소시키면서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하부직선프레임(141)은 상부직선프레임(131)과 동일한 소재 및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곡선프레임(142)은 하부직선프레임(141)과 이격되고, 좌측프레임(110)과 우측프레임(120)을 서로 연결하되, 하부직선프레임(141)과 같이 직선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곡선형태로 이루어진다. 특히 하부곡선프레임(142)은 하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굽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부곡선프레임(142)의 길이는 하부직선프레임(141)의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진다.
하부곡선프레임(142)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그 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원형기둥, 다각형기둥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부곡선프레임(142)은 원형파이프, 다각형파이프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단면이 ㄱ자(L자), ㄷ자(U자), H자 등의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하부곡선프레임(142)의 단면 형상은, 프레임의 중량을 감소시키면서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하부곡선프레임(142)은 하부직선프레임(141)보다 위쪽, 아래쪽, 앞쪽 또는 뒤쪽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곡선프레임(142)은 상부곡선프레임(132)과 동일한 구조, 소재 및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프레임(100)은 상하 및 좌우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측프레임(130)과 하측프레임(140)은 서로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조립체(1)에서 마스크시트(200, 200a, 200b)가 마스크프레임(100)에 결합될 때, 마스크시트(200, 200a, 200b)는 충분히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결합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마스크시트(200, 200a, 200b)는 마스크프레임(100)에 결합됨에 있어서 용접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고, 볼트, 리벳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조립체(1)에서 마스크시트(200, 200a, 200b)가 상측프레임(130)에 고정될 때, 마스크시트(200, 200a, 200b)의 상단 부분은 상측프레임(130) 중 상부곡선프레임(132)에 결합되고 상부직선프레임(131)에는 결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조립체(1)에서 마스크시트(200, 200a, 200b)의 하단 부분은 하측프레임(140)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조립체(1)에서 마스크시트(200, 200a, 200b)가 하측프레임(140)에 고정되고, 하측프레임(140)이 하부직선프레임(141)과 하부곡선프레임(1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때, 마스크시트(200, 200a, 200b)의 하단 부분은 하측프레임(140) 중 하부곡선프레임(142)에 결합되고 하부직선프레임(141)에는 결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크시트(200a)가 상하방향으로 긴 스트립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마스크시트(200a)가 좌우방향으로 반복하여 배열될 때, 마스크시트(200a)의 상단은 상부곡선프레임(132)에 고정결합된다.
마스크시트(200a)가 결합되는 지점에서 마스크시트(200a)에 의해 상부곡선프레임(132)에는 하측 방향으로 하중(F1)이 작용할 수 있으며, 상부곡선프레임(132)의 길이 전체에 걸쳐 하측 방향으로 하중(F1)이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하중(F1)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경우 상부곡선프레임(132)의 변형발생이 고려될 수 있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a)와 비교할 때, 상부직선프레임(131)의 중간 부분과 상부곡선프레임(132)의 중간 부분의 간격이 벌어지는 형태의 변형발생이 고려될 수 있다. 이처럼, 만일 상부곡선프레임(132)의 변형이 발생하면 마스크프레임(100)의 변형뿐 아니라 마스크시트(200a)의 처짐 등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프레임(100)에서는, 상부곡선프레임(132)이 상측으로 볼록한 곡선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부곡선프레임(132)에 작용하는 하중은 상부곡선프레임(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달되므로, 상부곡선프레임(132)의 특정 부분, 예컨대 중간 부분의 변형(국부적인 변형)이 방지될 수 있으며, 마스크프레임(100)의 전체적인 변형 및 마스크시트(200a)의 처짐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부곡선프레임(132)의 길이 전체에 걸쳐 하측 방향으로 하중(F1)이 작용하는 경우, 상부곡선프레임(132)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압축력이 작용할 수 있고, 상부곡선프레임(132)은 그 길이방향에서 좌측프레임(110) 및 우측프레임(120)을 밀면서 좌측프레임(110) 및 우측프레임(120)에 각각 하중(F2)을 가하게 된다. 즉, 좌측프레임(110)와 우측프레임(120)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중(F2)을 받게 된다.
그러나 상부곡선프레임(132)과 인접하여 상부직선프레임(131)이 좌측프레임(110)과 우측프레임(120)을 연결하고 있으므로, 상부직선프레임(13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인장력이 작용하면서, 좌측프레임(110)과 우측프레임(120)을 당기게 되며 좌측프레임(110)과 우측프레임(120)에 각각 하중(F3)을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좌측프레임(110)과 우측프레임(120)의 변형, 또한 상부곡선프레임(132)의 변형을 방지하게 되며, 전체적으로 마스크프레임(100)의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프레임(100)이 상하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하측프레임(140)에서도 상측프레임(130)과 동일하게 변형이 방지될 수 있으며, 마스크프레임(100)의 안정적인 형상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프레임(100)의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프레임(100) 및 마스크조립체(1)에서, 상측프레임(130)은 상부직선보조프레임(13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측프레임(130)은 상부직선프레임(131), 상부곡선프레임(132) 및 상부직선보조프레임(1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부직선프레임(131) 및 상부곡선프레임(132)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조립체(1)에서 마스크시트(200, 200a, 200b)가 상측프레임(130)에 고정될 때, 마스크시트(200, 200a, 200b)의 상단 부분은 상측프레임(130) 중 상부곡선프레임(132)에 결합되고 상부직선프레임(131) 및 상부직선보조프레임(133)에는 결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직선보조프레임(133)은, 좌우방향(X)을 따라 직선 형태를 이루고 상부직선프레임(131) 및 상부곡선프레임(132)과 이격되되, 상부곡선프레임(132)을 중심으로 상부직선프레임(131)의 반대쪽에 위치한다.
상부직선보조프레임(133)은 좌측프레임(110)과 우측프레임(120)을 서로 연결하고 좌우방향(X)을 따라 직선 형태를 이룬다. 상부직선보조프레임(133)은 좌우방향(X)을 따라 그 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원형기둥, 다각형기둥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부직선프레임(131)은 원형파이프, 다각형파이프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단면이 ㄱ자(L자), ㄷ자(U자), H자 등의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부직선보조프레임(133)의 단면 형상은, 프레임의 중량을 감소시키면서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상부직선보조프레임(133)은 좌측프레임(110) 및 우측프레임(120)과 동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Fe-Ni 합금,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측프레임(130)이 좌측프레임(110) 및 우측프레임(120)과 안정적이고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부곡선프레임(132)과 인접하여 상부직선프레임(131) 및 상부직선보조프레임(133)이 좌측프레임(110)과 우측프레임(120)을 연결하고 있으므로, 상부직선프레임(131) 및 상부직선보조프레임(133)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인장력이 작용하면서, 좌측프레임(110)과 우측프레임(120)의 변형, 또한 상부곡선프레임(132)의 변형을 방지하게 되며, 전체적으로 마스크프레임(100)의 변형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조립체(1)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조립체(1)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프레임(100) 및 마스크조립체(1)는 고정스크류(300a, 300b)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스크류(300a, 300b)는 통상의 볼트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프레임(100) 및 마스크조립체(1)에서, 상부곡선프레임(132)에는 마스크시트(200, 200a, 200b)를 고정결합시키는 고정스크류(300a, 300b)가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형성될 수 있다.
고정스크류(300a)는 마스크시트(200, 200a, 200b)의 제1 체결구멍(220)을 관통한 후 마스크프레임(100)(특히, 상부곡선프레임(132))의 제2 체결구멍(135)에 체결되면서, 마스크시트(200, 200a, 200b)를 마스크프레임(100) 상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프레임(100) 및 마스크조립체(1)는 고정스크류(300b) 및 연결브라켓(4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고정스크류(300b)는 통상의 볼트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브라켓(400)은 마스크시트(200, 200a)의 단부에 고정되고, 고정스크류(300b)와 함께 마스크시트(200, 200a)와 마스크프레임(100)(특히, 상부곡선프레임(132))의 결합을 매개한다.
연결브라켓(400)은 상부곡선프레임(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단면이 ㄷ자(U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내부에 상부곡선프레임(132)이 수용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연결브라켓(400)의 고정부(410)는 편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마스크시트(200, 200a)의 단부에 고정된다. 연결브라켓(400)의 고정부(410)와 마스크시트(200, 200a)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연결브라켓(400)의 고정부(410)는 전후방향(Z)을 기준으로 마스크시트(200, 200a)와 상부곡선프레임(132)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를 이루며, 상부곡선프레임(132)에 밀착될 수 있다.
연결브라켓(400)의 절곡부(420)는 고정부(410)에서 직각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
고정스크류(300b)는 연결브라켓(400)의 절곡부(420)를 관통한 후 상부곡선프레임(132)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고정스크류(300b)가 상부곡선프레임(132)에 나사결합되는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도 9(a)의 상태에서 도 9(b)의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상부곡선프레임(132)을 상대로 마스크시트(200, 200a)의 상단 부분을 위쪽(Y)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마스크시트(200, 200a)가 충분히 인장된 상태에서 마스크프레임(10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마스크시트(200, 200a)의 처짐 등을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프레임(100) 및 마스크조립체(1)는 상하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술한 고정스크류(300a, 300b) 및 연결브라켓(400)은 상하대칭된 형태로 하부곡선프레임(142) 상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프레임(100) 및 마스크조립체(1)에 의하면, 마스크프레임(100)의 변형을 방지하고, 마스크시트(200, 200a, 200b)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마스크조립체(1)의 위치를 수평과 수직으로 전환함에 있어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프레임(10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마스크조립체 100 : 마스크프레임
110 : 좌측프레임 120 : 우측프레임
130 : 상측프레임 131 : 상부직선프레임
132 : 상부곡선프레임 132a : 내부층
132b : 외부층 133 : 상부직선보조프레임
140 : 하측프레임 141 : 하부직선프레임
142 : 하부곡선프레임
200, 200a, 200b : 마스크시트 210 : 관통구멍
300a, 300b : 고정스크류 400 : 연결브라켓

Claims (12)

  1. 마스크시트가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마스크프레임으로서, 좌측에 구비되는 좌측프레임과, 우측에 구비되는 우측프레임과, 상기 좌측프레임의 상단부분과 상기 우측프레임의 상단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상측프레임과, 상기 좌측프레임의 하단부분과 상기 우측프레임의 하단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하측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프레임은,
    좌우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를 이루는 상부직선프레임; 및
    상기 마스크시트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직선프레임과 이격되고, 좌우대칭이며 상측으로 볼록하게 굽은 상부곡선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곡선프레임은 상기 상부직선프레임보다 위쪽, 아래쪽, 앞쪽 또는 뒤쪽에 위치하고,
    상기 상측프레임은,
    좌우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를 이루고 상기 상부직선프레임 및 상부곡선프레임과 이격되되, 상기 상부곡선프레임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직선프레임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상부직선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곡선프레임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하되, 원형파이프 또는 다각형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단면이 ㄱ자(L자), ㄷ자(U자), H자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곡선프레임은 티타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좌측프레임, 우측프레임 및 상부직선프레임과 이종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프레임, 우측프레임 및 상부직선프레임은 Fe-Ni 합금,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서로 동종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곡선프레임은,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층; 및
    상기 내부층을 둘러싸며 상기 내부층과 결합되는 외부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층은 상기 좌측프레임, 우측프레임 및 상부직선프레임과 이종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층은 상기 좌측프레임, 우측프레임 및 상부직선프레임과 동종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곡선프레임에는, 상기 마스크시트를 고정결합시키는 고정스크류가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프레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우 및 상하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프레임.
  7. 좌우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 개의 마스크시트; 및
    상기 마스크시트가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마스크프레임으로서, 좌측에 구비되는 좌측프레임과, 우측에 구비되는 우측프레임과, 상기 좌측프레임의 상단부분과 상기 우측프레임의 상단부분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마스크시트의 상측이 결합되는 상측프레임과, 상기 좌측프레임의 하단부분과 상기 우측프레임의 하단부분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마스크시트의 하측이 결합되는 하측프레임을 포함하는 마스크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프레임은,
    좌우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를 이루는 상부직선프레임; 및
    상기 마스크시트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직선프레임과 이격되고, 좌우대칭이며 상측으로 볼록하게 굽은 상부곡선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시트는 상기 상부곡선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곡선프레임은 상기 상부직선프레임보다 위쪽, 아래쪽, 앞쪽 또는 뒤쪽에 위치하고,
    상기 상측프레임은,
    좌우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를 이루고 상기 상부직선프레임 및 상부곡선프레임과 이격되되, 상기 상부곡선프레임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직선프레임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상부직선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곡선프레임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하되, 원형파이프 또는 다각형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단면이 ㄱ자(L자), ㄷ자(U자), H자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조립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곡선프레임은 티타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좌측프레임, 우측프레임 및 상부직선프레임과 이종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프레임, 우측프레임 및 상부직선프레임은 Fe-Ni 합금,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서로 동종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조립체.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067705A 2018-06-12 2018-06-12 마스크프레임 및 마스크조립체 KR102191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705A KR102191388B1 (ko) 2018-06-12 2018-06-12 마스크프레임 및 마스크조립체
PCT/US2019/036614 WO2019241294A1 (en) 2018-06-12 2019-06-11 Mask frame and mask assembly
CN201980039085.5A CN112272874A (zh) 2018-06-12 2019-06-11 掩模框架及掩模组件
TW108120185A TW202015271A (zh) 2018-06-12 2019-06-11 遮罩框架及遮罩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705A KR102191388B1 (ko) 2018-06-12 2018-06-12 마스크프레임 및 마스크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768A KR20190140768A (ko) 2019-12-20
KR102191388B1 true KR102191388B1 (ko) 2020-12-15

Family

ID=68843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705A KR102191388B1 (ko) 2018-06-12 2018-06-12 마스크프레임 및 마스크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191388B1 (ko)
CN (1) CN112272874A (ko)
TW (1) TW202015271A (ko)
WO (1) WO20192412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809A (ko) 2020-12-21 2022-06-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스크 프레임 및 마스크 프레임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534B1 (ko) * 2001-12-05 2005-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자 발광 소자의 박막 증착용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US6955726B2 (en) * 2002-06-03 2005-10-18 Samsung Sdi Co., Ltd. Mask and mask frame assembly for evaporation
KR100708654B1 (ko) * 2004-11-18 2007-04-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마스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603403B1 (ko) * 2004-11-25 2006-07-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20070087968A (ko) * 2006-02-24 2007-08-29 강준모 프레임 휨 교정이 가능한 펠리클
KR101319320B1 (ko) * 2006-12-28 2013-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섀도우 마스크
KR101833234B1 (ko) 2011-06-21 2018-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증착용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KR101295354B1 (ko) 2011-08-19 2013-08-12 (주)한 송 white OLED용 TV 제작 공정중의 white OLED 패널 제작을 위한 유기증착 및 봉지용 마스크프레임어셈블리,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103207518A (zh) * 2012-01-16 2013-07-17 昆山允升吉光电科技有限公司 防止下垂的掩模框架及防止下垂的掩模组件
CN103379945B (zh) * 2012-04-05 2016-10-12 应用材料公司 翻边式遮蔽框
KR101897209B1 (ko) * 2012-08-03 2018-09-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조립체
KR20160000069A (ko) * 2014-06-23 2016-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102401484B1 (ko) * 2015-08-31 2022-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스크 조립체,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411540B1 (ko) * 2015-11-06 2022-06-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그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527224B1 (ko) * 2016-03-31 2023-05-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102532305B1 (ko) * 2016-06-15 2023-05-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632617B1 (ko) * 2016-08-08 2024-0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스크 조립체,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및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768A (ko) 2019-12-20
WO2019241294A1 (en) 2019-12-19
TW202015271A (zh) 2020-04-16
CN112272874A (zh) 202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88479A1 (en) Full-size mask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29995B1 (ko) 재료 증착 장치에서 기판을 홀딩하는 장치
KR101730498B1 (ko) 유기층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US20160043319A1 (en) Actively-aligned fine metal mask
US20100192856A1 (en) Mask assembly and deposition and apparatus for a flat panel display using the same
US20220181595A1 (en) Hybrid stick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mask assembly including hybrid stick mask,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same
KR102019490B1 (ko) 프로세싱 챔버에서 기판을 마스킹하기 위한 마스크 어레인지먼트, 기판 상에 층을 증착하기 위한 장치, 및 프로세싱 챔버에서 기판을 마스킹하기 위한 마스크 어레인지먼트를 정렬하기 위한 방법
KR102245762B1 (ko) 홀더, 홀더를 갖는 캐리어, 및 기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
KR20070082317A (ko)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CN112126893B (zh) 掩膜板,掩膜板组件及其制造方法
WO2014155939A1 (en) Mask frame unit, mask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US9500962B2 (en) Mask clamp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ask
KR102191388B1 (ko) 마스크프레임 및 마스크조립체
JP4795842B2 (ja) 蒸着用治具
KR100700839B1 (ko) 수직증착용 섀도우마스크 패턴 제조방법
KR102080297B1 (ko) 마스크프레임 및 마스크조립체
KR20190140771A (ko) 마스크프레임 및 마스크조립체
CN111500981B (zh) 掩膜版
US8778115B2 (en) Mask, method of manufacturing mask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ask
US11217749B2 (en) Fine shadow mask assembly for an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 and fine shadow mask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US8123863B2 (en) Evaporation apparatus
CN114959566A (zh) 掩膜板及其制作方法、掩膜组件、显示基板的制作方法
DE102016111013B4 (de) Ventilanordnung, Vakuumkammeranordnung und Verfahren
KR102466835B1 (ko) 풀 사이즈 마스크 조립체와 그 제조방법
WO2020018682A1 (en) Mask frame and mask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