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2950A - 철근 조인트 및 철근 조립체, 및 프리캐스트 철근 콘크리트체 - Google Patents

철근 조인트 및 철근 조립체, 및 프리캐스트 철근 콘크리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2950A
KR20220012950A KR1020217043431A KR20217043431A KR20220012950A KR 20220012950 A KR20220012950 A KR 20220012950A KR 1020217043431 A KR1020217043431 A KR 1020217043431A KR 20217043431 A KR20217043431 A KR 20217043431A KR 20220012950 A KR20220012950 A KR 20220012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reinforcing bar
cylindrical body
reba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3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라 후쿠다
고조 와키야마
게이지 히라이
Original Assignee
아키라 후쿠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키라 후쿠다 filed Critical 아키라 후쿠다
Publication of KR20220012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9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043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E04B1/4121Elements with sockets with internal threads or non-adjustable captive n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2001/4192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attached to concrete reinforcing elements, e.g. rods or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길이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철근(1, 1)의 단부(端部)를 서로 접속하는 철근 조인트(B)로서, 내면에 암나사부(14)가 형성된 통형체(10)와, 일단부에 조인트 수나사부(13)를 가지는 조인트 부재(11, 11)와, 대향하는 한 쌍의 조인트 부재(11, 11)끼리를 길이 방향 및 그 직교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접속하는 접속 부재(19)를 구비하고, 통형체(10)의 일단부에 한쪽의 철근(1)의 단부의 철근 수나사부(15)가 나사 결합되고, 타단부에 조인트 부재(11)의 단부의 조인트 수나사부(13)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Description

철근 조인트 및 철근 조립체, 및 프리캐스트 철근 콘크리트체
본 발명은, 빔이나 기둥과 같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공법에 최적인 철근 조인트 및 철근 조립체, 및 프리캐스트 철근 콘크리트체에 관한 것이다.
주지(周知)하고 있는 바와 같이, 빔이나 기둥과 같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철근 조인트로서는, 크게 나누어 하기 4종류가 있다. 즉, 중첩 조인트, 가스 압접(壓接) 조인트, 용접 조인트 및 기계식 조인트이다. 특히, 기계식 조인트는 커플러를 철근 단부에 씌우고, 철근의 마디와 커플러의 맞물림이나 나사에 의한 접합을 이용하여 철근을 일체화하는 공법으로서 알려져 있다. 이 기계식 조인트의 장점으로서는, 시공 시에 철근이 축소되지 않는 것, 부재끝에서 전수(全數) 조인트가 가능한 것, 작업원에 특별한 자격이 불필요한 것, 날씨 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4종류의 철근 조인트 이외에, 고가인 그라우트(grout)재(모르타르, 시멘트 밀크나 합성 수지 등)를 사용하여 철근끼리를 접합하는 방식도 채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제2008-63730호 공보
그러나, 이 그라우트식 조인트의 경우, 철근군으로서의 위치 정밀도의 확보가 어렵고, 또한 그라우트재의 주입 후, 그라우트재가 경화되어 소정의 강도에 도달할 때까지에 상당한 시간을 요한다. 따라서, 그라우트재가 경화할 때까지는 다음 공정으로 진행할 수 없어, 비용면 및 공사기간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본 발명은, 비용 상승이나 공사기간의 지연을 초래하지 않고, 빔이나 기둥과 같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공법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철근 조인트 및 철근 조립체, 및 프리캐스트 철근 콘크리트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조인트는, 길이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철근의 단부를 서로 접속하는 철근 조인트로서, 내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통형체와, 일단부에 조인트 수나사부를 가지는 조인트 부재와, 대향하는 한 쌍의 조인트 부재끼리를 길이 방향 및 그 직교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접속하는 접속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통형체의 일단부에 한쪽의 상기 철근의 단부에 형성된 철근 수나사부가 나사 결합되고, 타단부에 상기 조인트 부재의 일단부의 상기 조인트 수나사부가 나사 결합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철근 조인트끼리를 통형체 내에서 접합하는데 있어서, 모르타르와 같은 고가이며 경화에 며칠 걸리는 그라우트재를 사용하지 않고, 나사 연결만으로 완료되기 때문에, 시공 비용의 저렴화와, 시공의 공사기간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대향하는 한 쌍의 조인트 부재끼리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는, 이들 한 쌍의 조인트 부재끼리를 길이 방향 및 그 직교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접속한다. 따라서, 한 쌍의 조인트 부재끼리에 다소의 심(芯) 어긋남, 즉 한 쌍의 철근에 다소의 심 어긋남 또는 길이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있더라도, 이 어긋남을 흡수하여 한 쌍의 조인트 부재끼리, 즉 한 쌍의 철근끼리를 접속할 수 있고, 철근군으로서의 위치 정밀도의 확보가 용이하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철근끼리의 접속에 일정한 허용 범위가 있어도 시공의 공사기간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부재는 본체부와 상기 조인트 수나사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조인트 부재의 본체부끼리가 길이 방향으로 대향한 상태로 상기 접속 부재와 상기 조인트 부재가 체결 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공장 내에서의 철근 조립뿐만 아니라, 공사 현장에서의 철근 조립에서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행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속 부재의 사이에 상기 조인트 부재의 본체부가 개재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접속 부재에 의해 조인트 부재의 본체부가 샌드위치 구조로 견고하게 유지되므로, 한 쌍의 철근끼리의 접합의 신뢰성도 향상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조립체는, 복수 개의 철근이 평행하게 배근(配筋)되어, 등자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철근에 형성된 철근 수나사부에, 내면에 암나사부를 가지는 통형체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철근 수나사부가 상기 암나사부의 축 방향 내측 부분에 침입하고, 상기 암나사부의 축 방향 외측 부분이 철근 조립체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철근의 단부에 통형체의 암나사부가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 노출된 암나사부에 조인트 부재를 나사 결합됨으로써, 조인트 부재를 용이하게 철근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철근 조인트에 의한 철근끼리의 연결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철근 콘크리트체는, 철근 조인트에서의 상기 통형체와 상기 철근이 콘크리트에 매립되고, 상기 통형체의 암나사부가 상기 콘크리트의 단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빔이나 기둥이 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철근 콘크리트체를 공장 내에서 제작하고, 이것을 공사 현장에서 접합하는 데 있어서, 콘크리트의 단면으로부터 각각 노출되는 통형체의 외단면의 암나사부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프리캐스트 철근 콘크리트체를 철근 조인트로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다. 따라서, 공사 현장에서의 시공성이 각별히 향상한다. 특허청구범위 및/또는 명세서 및/또는 도면에 개시된 적어도 2개의 구성의 어떤 조합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특히, 청구의 범위의 각 청구항의 2개 이상의 어떤 조합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시형태 및 도면은 단지 도시 및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정하기 위해 사용되어야 할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진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복수의 도면에서의 동일한 부품 번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철근 조인트 및 철근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동(同) 실시형태의 철근의 단부의 철근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철근 조인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동일하게 철근 조인트의 조인트 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철근의 수나사부의 단면과 거푸집의 다른 장착 구조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철근 조인트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동 철근 조인트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심 어긋남 및 철근끼리를 접속하는 경우, 철근 조인트를 접속 부재를 제거한 상태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철근 조인트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철근 조립체가 거푸집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철근 조립체의 구조에 대하여>
도 1은, 우측에 위치하는 빔이나 기둥이 될 수 있는 철근 조립체(A)와, 좌측에 위치하는 빔이나 기둥이 될 수 있는 다른 쪽의 철근 조립체(A)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철근 조립체(A)가 빔이 될 수 있을 경우를 나타낸다. 그리고, 좌우의 철근 조립체(A, A)는, 동일 개수의 주근(主筋)(철근)(1)과 동일 또는 상이한 개수의 등자(2)를 사용한 동일 조립체이다.
도 1에 있어서, 철근 조립체(A)는 주근이 되는 복수의 철근(1)이, 도 1의 상하 방향 및 지면(紙面)의 표리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좌우 방향(이 예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이들 철근(1)에 대하여 전단(剪斷) 보강근이 되는 등자(2)가 복수, 권취되어 있다. 철근(1)은, 외주(外周)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와, 일정 간격을 두고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디부를 포함하는 돌조(突條)가 형성된 이형(異形) 철근이지만, 통상의 환봉(丸棒)이라도 된다.
철근(1)의 단부에는 수나사부(15)가 예를 들면, 전조(轉造)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15)는 철근(1)과 별체로 형성하고, 철근(1)의 단면에 용접으로 접합되어도 된다. 이 수나사부(15)에, 내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통형체(10)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 통형체(10)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거푸집(7)의 외측으로부터 삽입한 장착 나사체(6)를 나사 삽입함으로써, 철근 조립체(A)가 거푸집(7)에 장착되어 있다. 좌측에 위치하는 철근 조립체(A)도 동일한 구조이다.
각 철근 조립체(A)는, 공장에서 거푸집(7)을 장착한 상태로 거푸집(7) 내에 생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빔이나 기둥과 같은 프리캐스트 철근 콘크리트체(P)(이하, 간단히 PC 콘크리트체(P)라고 함)를 작성한다. 다만, 거푸집(7)이 부가된 철근 조립체(A)를 공사 현장에 반송(搬送)하여, 공사 현장에서 거푸집(7) 내에 생콘크리트를 타설해도 된다. 또한, 철근(1), 등자(2), 통형체(10), 거푸집(7)을 따로따로 공사 현장에 반송하고, 공사 현장에서 거푸집(7)이 부가된 철근 조립체(A)를 작성한 후, 거푸집(7) 내에 생콘크리트를 타설해도 된다.
이어서, 나사체(6)를 빼서 거푸집(7)을 제거하고, 철근 조인트(B)에 의해 좌우의 PC 콘크리트체(P)의 철근(1, 1)끼리를 접속한다. 이 예에서는, PC 콘크리트체(P)가 빔인 경우를 상정하고 있지만, PC 콘크리트체(P)가 기둥인 경우에는, 상하 한 쌍의 PC 콘크리트체(P)의 철근(1, 1)끼리를 접속한다.
<철근 조인트의 구조에 대하여>
도 2에 의해 철근 조인트(B)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의 분해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철근 조인트(B)는, 전술한 내면에 암나사부(14)가 형성된 커플러가 되는 통형체(10)와, 일단부에 조인트 수나사부(13)를 가지는 조인트 부재(11)와, 대향하는 한 쌍의 조인트 부재(11, 11)끼리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19)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 부재(19)는, 상하 한 쌍으로 조인트 부재(11)를 샌드위치 구조로 협지하고, 길이 방향(축 방향)(X) 및 그 직교 방향(Y)으로 변위 가능하게 유지한다. 조인트 부재(11)와 철근(1)에서, 그 길이 방향(X)은 공통인, 길이 방향(X)에 직교하고, 또한 조인트 부재(11)의 본체부(12)의 주면(主面)과 평행, 즉 관통공(17)과 직교하는 방향을 Y로 하고, 양 방향(X, Y)에 직교하는 방향을 Z로 한다. 통형체(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체(P)에 매설되어 있다.
여기서, 통형체(10)는 외형이 횡단면 6각형이며, 그 내면에 철근(1)의 단부의 노출된 철근 수나사부(15)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14)가 형성되어 있다. 통형체(10)는, 외형이 횡단면 원형 또는 다각형이라도 된다. 철근 수나사부(15)는, 통형체(10)의 암나사부(14)의 일부분인 축 방향 내측 부분에만 나사 결합된다. 조인트 부재(1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평한 형상의 본체부(12)와, 그 선단(先端)의 통형체(10)의 암나사부(14)에 나사 결합되는 조인트 수나사부(13)를 구비한다.
본체부(12)에는 3개의 관통공(17)이 소정 간격(예를 들면, 60mm)으로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17)의 수는, 이 예에서는 3개로 하였으나, 2개라도 되고 4개 이상이라도 된다. 또한, 이 관통공(17)은, 후술하는 강력 볼트 또는 초강력 볼트(이하, 간단히 「볼트」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25의 외경보다 몇mm 큰 내경을 가지는 유감공(遊嵌孔)(과대 구멍)으로 되어 있고, 그 양단의 에지부에 환형의 돌기 또는 모따기로 이루어지는 마찰 조정부(17a)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큰 힘으로 볼트(25)를 체결했을 때, 돌기가 압쇄되거나, 또는 모따기의 오목부에 접속 부재(19)의 일부분이 들어가고, 마찰력이 증가하여, 힘의 전달 효력이 높아진다.
도 2의 통형체(10) 및 조인트 부재(11)는 동일 구조의 것이 길이 방향(이 경우에, 빔용의 철근을 상정하고 있으므로 수평 방향)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각 조인트 부재(11)의 조인트 수나사부(13)가 대응하는 통형체(10)의 암나사부(14)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PC 콘크리트체(P, P)끼리를 연결하는 데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에는, 조인트 부재(11)를 나중에 PC 콘크리트체(P)의 통형체(10)에 장착해도 된다. 조인트 부재(11, 11)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S)(70mm 정도)이 존재한다. 조인트 부재(11)를 회전시켜 통형체(10)로의 나사 삽입량을 증감시킴으로써 간극(S)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철근(1, 1) 사이의 이격 치수의 오차를 흡수한다.
도 4는, 도 1에서의 거푸집(7)에 철근(1)을 장착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푸집용의 수나사체(16)의 외단면에 미리 나사공(20)이 형성되어 있다. 거푸집용 수나사체(16)가, 장착 나사체(6)에 의해 거푸집(7)에 장착되어 있다. 이 거푸집용 수나사체(16)에 통형체(10)가 나사 결합되고, 이 통형체(10)의 내면의 암나사부(14)에 철근(1)의 철근 수나사부(15)를 나사 결합하고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록 너트(30)로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거푸집(7) 내에 생콘크리트를 타설면(35)까지 타설하고, 거푸집(7)을 제거하여 PC 콘크리트체(P)를 얻는다. 철근(1, 1)끼리의 접속에 있어서는 거푸집용 수나사체(16)를 공구로 제거하여, 통형체(10)의 내면의 암나사부(14)를 PC 콘크리트체(P)의 단면으로부터 외부에 노출시킨다. 이 노출된 암나사부(14)에 도 2의 조인트 부재(11)의 조인트 수나사부(13)를 나사 결합한다. 그리고, 거푸집(7)의 외측에, 철근의 위치결정용의 철 프레임(9)이 장착 나사체(6)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거푸집(7)에 철근(1)을 장착하는 변형예로서, 거푸집용 나사체(16)를 생략하고,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 나사체(6)를 길게 하고, 철근(1)의 단면에 설치한 나사공(20A)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통형체(10)가 부가된 철근(1)을 거푸집(7)에 장착할 수도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거푸집(7)을 제거하면 통형체(10)의 암나사부(14)가 PC 콘크리트체(P)의 단면으로부터 외부에 노출한다.
이들 조인트 부재(11, 11)의 본체부(12, 12)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리면으로부터 한 쌍의 접속 부재(19, 19)가 닿아서, 샌드위치 구조로 유지된다. 접속 부재(19)는 평판으로 이루어지고, 조인트 부재(11)의 관통공(17)에 대응하는 위치에 6개의 연결공(27)이 설치되어 있다. 한쪽의 접속 부재(19)의 연결공(27)으로부터 체결 부재의 일례인 볼트(25)를 삽통한다. 볼트(25)는, 조인트 부재(11)의 관통공(17)을 관통하여 반대측의 접속 부재(19)의 연결공(27)으로부터 선단부가 돌출한다. 이 체결 부재(볼트)(25)의 선단부를 너트(30)로 체결한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체결 부재는 볼트(25)와 너트(30)로 이루어진다.
연결공(27)도 체결 부재(25)의 외경보다 몇 mm 큰 내경을 가지는 과대 구멍이다. 볼트의 접합 설계 시행 가이드북에 의하면, 직경 24mm와 27mm의 볼트의 경우, 각각 +6mm까지, +8mm까지의 내경을 가지는 과대 구멍이 허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과대 구멍(17, 27)과 볼트(25) 사이에, 통상의 나사 연결의 경우보다 큰 간극이 존재하고 있고, 이 간극만큼 조인트 부재(11, 11)끼리를 접속 부재(19)에 의해, 길이 방향(X) 및 그 직교 방향(Y)으로 변위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PC 콘크리트체(P, P)끼리가 철근 조인트(B)에 의해 연결된다.
<철근 조인트에 의한 연결 작업에 대하여>
빔이나 기둥의 배근이 되는 양쪽 철근(1, 1)을 철근 조인트(B)로 연결하는 데 있어서, 먼저, 도 2의 통형체(10)의 암나사부(14)에 조인트 부재(11)의 조인트 수나사부(13)를 틀어박는다. 이 때, 필요에 따라 통형체(10)의 양단에, 도 5에 나타낸 록 너트(31) 및 워셔(32)를 장착한다. 이로써, 통형체(10)의 암나사부(14)의 축 방향 내측 부분에 철근 수나사부(15)가 침입한 상태에서, 다른 부분인 축 방향 외측 부분에 조인트 수나사부(13)가 나사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형의 접속 부재(19, 19)에 의해 조인트 부재(11, 11)를 샌드위치형으로 협지하는 구조로 유지한다. 또한, 6개의 볼트(25)를 접속 부재(19)의 연결공(27)과 조인트 부재(11)의 연결공(17)에 삽통하고, 볼트 선단부에, 필요에 따라 워셔(32)를 개재하고 너트(30)를 나사 결합하여 체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연결된 PC 콘크리트체(P, P) 사이의 간극은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메워진다. 따라서, 철근 조인트(B)는 콘크리트에 매설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작용·효과에 대하여>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조인트(B)는, 모르타르와 같은 고가이며 경화에 며칠의 시간이 걸리는 그라우트재를 사용하지 않고, 나사 연결만으로 완성되므로, 시공 비용의 저렴화와, 시공의 공사기간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대향하는 한 쌍의 조인트 부재(11)는 본체부(12)와 조인트 수나사부(13)를 가지고, 한 쌍의 조인트 부재(11)의 본체부(12, 12)끼리가 길이 방향으로 대향한 상태로 접속 부재(19)와 조인트 부재(11)가 체결 부재(25, 3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연결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따라서, 공장 내에서의 철근 조립뿐만 아니라, 공사 현장에서의 철근 조립도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행해진다.
도 6에서는 조인트 부재(11, 11)끼리가 동심(同芯)이지만,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조인트 부재(11)의 길이 방향의 축심(X1)과 다른 쪽의 조인트 부재(11)의 축심(X2) 사이에 심 어긋남(C1)이 있거나, 축 방향의 위치 어긋남, 즉 간극(S)의 크기의 변동이 있거나 해도 된다. 그러한 경우라도, 조인트 부재(11)의 관통공(17)과 접속 부재(19)의 연결공(27)이 과대 구멍이므로, 그만큼 철근(1, 1)의 어긋남을 흡수하여 원활하게 접속된다.
볼트(25)의 체결 작업을 원활하게 행하기 위하여, 조인트 부재(11)의 본체부(12)의 방향을 체결 작업성이 양호한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 도 5에 나타낸 Z 방향으로 심 어긋남이 생겨서 본체부(12)와 접속 부재(19)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간극에는 덧댐판을 삽입 해도 되지만, 덧댐판없이도, 조인트 부재(11, 11) 사이에는 길이 방향(X)의 간극(S)이 있기 때문에, 볼트(25)를 강하게 체결하는 것에 의해, 조인트 부재(11)와 접속 부재(19)가 경사지도록 변형시켜, 양자 간의 Z방향의 간극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한 쌍의 접속 부재(19, 19) 사이에 조인트 부재(11)의 본체부(12)를 개재시킨 구조로 하였으므로, 한 쌍의 접속 부재(19, 19)에 의해 조인트 부재(11)의 본체부(12)가 샌드위치 구조로 견고하게 유지되므로, 한 쌍의 철근(1, 1)끼리의 접합의 신뢰성도 향상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조립체(A)는, 복수 개의 철근(1)이 평행하게 배근되고, 등자(2)로 결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철근 조립체(A)에 있어서, 철근(1)에 형성된 철근 수나사부(15)에, 내면에 암나사부(14)를 가지는 통형체(10)가 나사 결합되고, 철근 수나사부(15)가 암나사부(14)의 축 방향 내측 부분에 침입하고, 암나사부(14)의 축 방향 외측 부분이 철근 조립체(A)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이 노출된 암나사부(14)에 조인트 부재(11)의 조인트 수나사부(13)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조인트 부재(11)를 용이하게 철근(1)에 연결할 수 있다. 그 결과, 철근 조인트(B)에 의한 철근(1, 1)끼리의 연결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로써, 빔이나 기둥과 같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공장 내에서 양산하는 경우라도, 공사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라도, 작업 효율이 향상한다.
다음으로, 도 8에 의해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철근 조인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2 실시형태는 도 5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의 구성과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며, 철근 조인트(B)의 통형체(10)가 PC 콘크리트체(P)에 메워넣어지지 않고 있는 점에서만 상이하다. 철근(1)의 단부의 수나사부(15)가 PC 콘크리트체(P)로부터 돌출하고 있고, 이 돌출하는 수나사부(15)에 통형체(10)가 공사 현장에서 나사 결합된다. 통형체(10)로의 조인트 부재(11)의 접속 구조, 조인트 부재(11)와 접속 부재(19)의 연결 구조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추가, 변경 또는 삭제가 가능하다. 따라서, 그와 같은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A…철근 조립체
B…철근 조인트
P…빔이나 기둥과 같은 PC 콘크리트체
1…철근
2…등자
6…볼트(체결 부재)
7…거푸집
10…통형체
11…조인트 부재
12…본체부
13…조인트 수나사부
14…암나사부
15…철근 수나사부
17…관통공
17a…마찰 조정부
19…접속 부재
20…나사공
27…연결공
30…너트(체결 부재)

Claims (5)

  1. 길이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철근의 단부(端部)를 서로 접속하는 철근 조인트로서,
    내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통형체;
    일단부에 조인트 수나사부를 가지는 조인트 부재; 및
    대향하는 한 쌍의 조인트 부재끼리를 길이 방향 및 그 직교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접속하는 접속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통형체의 일단부에 한쪽의 상기 철근의 단부에 형성된 철근 수나사부가 나사 결합되고, 타단부에 상기 조인트 부재의 일단부의 상기 조인트 수나사부가 나사 결합되는,
    철근 조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부재는 본체부와 상기 조인트 수나사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조인트 부재의 본체부끼리가 길이 방향으로 대향한 상태로 상기 접속 부재와 상기 조인트 부재가 체결 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철근 조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속 부재 사이에 상기 조인트 부재의 본체부가 개재되어 있는, 철근 조인트.
  4. 복수 개의 철근이 평행하게 배근(配筋)되고, 등자(stirrup)로 결합된 철근 조립체로서
    상기 철근의 단부에 형성된 수사나부에, 내면에 암나사부를 가지는 통형체가 나사 결합되고, 상기 철근 수나사부가 상기 암나사부에 축 방향 내측 부분에 침입하고, 상기 암나사부의 축 방향 외측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철근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철근 조인트에 있어서, 철근 조인트에서의 상기 통형체와 상기 철근이 콘크리트에 매립되고, 상기 통형체의 외단면(外端面)의 암나사부가 상기 콘크리트의 단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철근 콘크리트체.
KR1020217043431A 2019-07-24 2019-07-24 철근 조인트 및 철근 조립체, 및 프리캐스트 철근 콘크리트체 KR202200129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9/029052 WO2021014616A1 (ja) 2019-07-24 2019-07-24 鉄筋継手および鉄筋組立体、並びに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950A true KR20220012950A (ko) 2022-02-04

Family

ID=74192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3431A KR20220012950A (ko) 2019-07-24 2019-07-24 철근 조인트 및 철근 조립체, 및 프리캐스트 철근 콘크리트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27838A1 (ko)
KR (1) KR20220012950A (ko)
CN (1) CN114144558A (ko)
WO (1) WO20210146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2768B1 (en) * 2022-10-19 2024-04-09 North China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Fabricated concrete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3730A (ja) 2006-09-04 2008-03-21 Godo Steel Ltd 鉄筋継手用ハーフスリーブ、該ハーフスリーブを使用した継手および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成形品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194B2 (ja) * 1989-05-20 1995-03-01 積水ハウス株式会社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用具
FR2668558B1 (fr) * 1990-10-29 1993-08-13 Arteon Marcel Dispositif de liaison pour reunir bout a bout deux barres.
JPH05156721A (ja) * 1991-08-05 1993-06-22 Nippon Splice Sleeve Kk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板部材接合法
US5669196A (en) * 1996-02-13 1997-09-23 Dahl; Kjell L. Eye bolt reinforcement steel coupler
JP2002138493A (ja) * 2000-11-01 2002-05-14 Ikeda Hiromi 建築用コンクリート基礎の連結構造
KR101595101B1 (ko) * 2015-08-12 2016-02-18 한상도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철근연결방법
CN106677434B (zh) * 2017-01-13 2018-03-09 沈阳建筑大学 分离式冷挤压钢筋套筒
JP2019082027A (ja) * 2017-10-30 2019-05-30 章 福田 鉄筋継手・鉄筋組立体・および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3730A (ja) 2006-09-04 2008-03-21 Godo Steel Ltd 鉄筋継手用ハーフスリーブ、該ハーフスリーブを使用した継手および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成形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144558A (zh) 2022-03-04
US20220127838A1 (en) 2022-04-28
WO2021014616A1 (ja)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635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의 나사형 철근 연결용 커플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 연결 방법
JP7243007B2 (ja) 木質梁接合構造
KR101123347B1 (ko) 철근 결속장치
KR20220012950A (ko) 철근 조인트 및 철근 조립체, 및 프리캐스트 철근 콘크리트체
JP2009114755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部材の接合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部材の接合方法
JPH10140670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トブロック間の鉄筋接続構造及び鉄筋接続方法
WO2019194189A1 (ja) 雄ねじ部の不完全ねじ部を活用した継手
JP6921413B2 (ja) 鉄筋継手および鉄筋組立体、並びに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体
JP6076871B2 (ja) ねじ節鉄筋の連結構造
KR101496413B1 (ko) 강관 연결 구조체
JP7261658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TWI787516B (zh) 活用外螺紋部之不完整螺紋部的接頭
KR20030089754A (ko) 일축 및 다축 연결이 가능한 죠인트 및 이를 이용한구조물 시공방법
JP2004238869A (ja) 鉄筋継手金具と鉄筋の接続方法
JP2012046925A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構造及びその接合方法
JPH0213630A (ja) ねじ付き棒状体と長ナットの継手構造
JP6535515B2 (ja) 杭頭接合構造
KR20220152441A (ko) 철근 연결용 클램프
JPH11201117A (ja) 部材連結装置
JP3068610U (ja) 鉄筋の打継ぎジョイント構造
JP6024983B2 (ja) 柱同士の接合構造及び柱同士の接合方法
JPH07173884A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接続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製品の接続具
JP3745523B2 (ja) 鋼製または合成セグメントの連結構造
JP2008063845A (ja)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梁部材同士の接合方法及び接合構造
KR20170098608A (ko) 압박플레이트가 구비된 철근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