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101B1 -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철근연결방법 - Google Patents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철근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101B1
KR101595101B1 KR1020150114108A KR20150114108A KR101595101B1 KR 101595101 B1 KR101595101 B1 KR 101595101B1 KR 1020150114108 A KR1020150114108 A KR 1020150114108A KR 20150114108 A KR20150114108 A KR 20150114108A KR 101595101 B1 KR101595101 B1 KR 101595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inforcing bar
support cylinder
concrete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4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도
변동곤
Original Assignee
한상도
변동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도, 변동곤 filed Critical 한상도
Priority to KR1020150114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101B1/ko
Priority to PCT/KR2015/008716 priority patent/WO201702656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은 2개의 철근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철근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는 제1 철근(1)의 선단부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블록(10)과, 상기 제1 고정블록(10)에 고정결합되는 지지통체(20)와, 상기 지지통체(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철근(2)의 선단부가 고정결합되는 회전블록(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철근(1)과 제2 철근(2)은 상기 고정블록(10)과 회전블록(30)에 편심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철근(1,2)이 일직선상에 위치되지 않을 경우, 고정블록(10)과 회전블록(30)을 회전시킴으로써, 일직선상에 위치되지 않은 2개의 철근(1,2)을 간편하면서 견고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철근연결방법{steel reinforcement eccentricity connector for precast concrete block or concrete and the method of connecting steel reinforcement}
본 발명은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은 2개의 철근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철근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사형장에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들 때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철근을 배근한 후,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경화시켜 시공하였다.
이때, 상기 철근은 일정한 길이로 제작됨으로, 길이가 긴 철근이 필요할 때는 등록특허 10-0411242호나, 공개특허 10-2002-0081966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나타난 철근연결구를 이용하여 철근을 상호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으로 구조물을 제작할 경우, 시간이 많이 소요됨으로, 최근에는, 공장에서 형틀의 내부에 철근을 배근한 후 형틀의 콘크리트를 주입 및 경화시켜 제작한 PC블록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벽체나 슬라브를 시공하는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PC블록을 이용할 경우, 철근의 배근이나 콘크리트의 타설 및 경화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음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축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제작된 PC블록은 양측에 철근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철근을 상호 용접결합함으로서, 여러개의 PC블록이 상호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현장에서 PC블록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철근을 상호 용접결합할 경우,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용접기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철근연결구를 이용하여 각각의 PC블록의 둘레면으로 돌출된 철근을 상호 연결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철근연결구는 상기 철근이 상호 일직선상에 배치되었을 때만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PC블록의 양측으로 연장된 철근은 PC블록의 제조공정상 정확하게 위치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따라서, 2개의 PC블록의 측면으로 연장된 철근을 상호 연결할 때, 각 PC블록의 측면으로 연장된 철근이 일직선상에 위치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종래의 철근연결구를 이용하여 PC블록의 철근을 상호 연결하는 것이 매우 제한적이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전술한 PC블록의 철근을 연결할 때 뿐 아니라, 외부에서 미리 조립된 상태로 거푸집의 내부에 설치되는 철근구조물을, 상기 철근연결구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할 때도 동일하게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은 2개의 철근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철근연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 철근(1,2)을 상호 연결하는 철근연결구로서, 상기 제1 철근(1)의 선단부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블록(10)과, 상기 제1 고정블록(10)에 고정결합되는 지지통체(20)와, 상기 지지통체(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철근(2)의 선단부가 고정결합되는 회전블록(3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철근(1)과 제2 철근(2)은 상기 고정블록(10)과 회전블록(30)에 편심을 이루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철근(1,2)의 선단부에는 수나사(1a,2a)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블록(10)에는 둘레면에 수나사(11a)가 형성된 원형의 결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10)에는 상기 제1 철근(1)의 선단부가 나사결합되는 결합공(12)이 상기 결합부(11)와 편심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통체(2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상기 회전블록(30)이 삽입되는 관체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통체(20)의 기단부와 선단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블록(30)이 걸리는 걸림턱(22)과 상기 결합부(11)의 외측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21)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회전블록(3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외경이 상기 지지통체(20)의 내경에 대응되는 원형단관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철근(2)의 선단부가 나사결합되는 결합공(31)이 편심을 이루면서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철근(2)의 선단부에 형성된 수나사(2a) 및 회전블록(30)의 결합공(31)에 형성된 암나사(31a)와, 상기 결합부(11)에 형성된 수나사(11a) 및 지지통체(20)의 암나사(21)는 나사선의 방향이 서로 반대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블록(30)의 외주면에는 상기 지지통체(2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마찰부재(3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를 이용하여 2개의 철근을 상호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철근(1)의 선단부에 상기 고정블록(10)을 나사결합하여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통체(20)의 내부에 삽입된 회전블록(30)에 제2 철근(2)의 선단부를 나사결합하여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철근(1,2)의 선단부가 상호 근접되도록 한 후 상기 지지통체(20)를 회전시켜 지지통체(20)가 상기 고정블록(10)의 결합부(11)에 나사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는 제1 철근(1)의 선단부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블록(10)과, 상기 제1 고정블록(10)에 고정결합되는 지지통체(20)와, 상기 지지통체(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철근(2)의 선단부가 고정결합되는 회전블록(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철근(1)과 제2 철근(2)은 상기 고정블록(10)과 회전블록(30)에 편심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철근(1,2)이 일직선상에 위치되지 않을 경우, 고정블록(10)과 회전블록(30)을 회전시킴으로써, 일직선상에 위치되지 않은 2개의 철근(1,2)을 간편하면서 견고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및 도 5 본 발명에 따른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를 이용하여 철근을 연결하는 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의 제2 실시예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의 제2 실시예를 이용하여 철근을 연결하는 방법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를 도시한 것으로, PC블록의 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된 제1 및 제2 철근(1,2)을 상호 연결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는 상기 제1 철근(1)의 선단부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블록(10)과, 상기 제1 고정블록(10)에 고정결합되는 지지통체(20)와, 상기 지지통체(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철근(2)의 선단부가 고정결합되는 회전블록(30)으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및 제2 철근(1,2)의 선단부에는 수나사(1a,2a)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블록(1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육각봉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선단부에는 둘레면에 수나사(11a)가 형성된 원형의 결합부(11)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블록(10)에는 상기 제1 철근(1)의 선단부가 나사결합되는 결합공(12)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공(12)은 상기 결합부(11)와 편심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공(12)은 중심축이 상기 결합부(11)의 중심축과 일정간격 옵셋을 이루도록 상기 고정블록(10)에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제1 철근(1)의 수나사(1a)에 대응되는 암나사(12a)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통체(2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상기 회전블록(30)이 삽입되는 관체형상으로 구성되다.
이때, 상기 지지통체(20)는 내경이 상기 지지통체(20)의 결합부(11)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며 선단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부(11)의 수나사(11a)에 대응되는 암나사(21)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통체(20)의 선단부를 상기 결합부(11)에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통체(20)의 기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블록(30)이 걸리는 걸림턱(22)이 링형태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블록(30)은 외경이 상기 지지통체(20)의 내경에 대응되는 원형단관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통체(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블록(30)에는 상기 제2 철근(2)의 선단부가 나사결합되는 결합공(31)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공(31)은 상기 회전블록(30)에 편심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공(31)은 중심축이 상기 회전블록(30)의 중심축과 일정간격 옵셋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제2 철근(2)의 수나사(2a)에 대응되는 암나사(31a)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철근(1)의 선단부에 상기 고정블록(10)을 나사결합하여 고정하고, 상기 지지통체(20)의 내부에 삽입된 회전블록(30)에 제2 철근(2)의 선단부를 나사결합한 후, 상기 제1 및 제2 철근(1,2)의 선단부가 상호 근접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통체(20)를 회전시켜 조이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통체(20)가 상기 고정블록(10)의 결합부(11)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1 철근(1)과 제2 철근(2)이 상호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블록(10)과 회전블록(30)에 형성된 결합공(12,31)은 고정블록(10) 및 회전블록(30)에 편심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 상기 제1 및 제2 철근(1,2)이 일직선상에 위치되지 않을 경우,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블록(10)과 회전블록(30)을 회전시키면, 상기 결합공(12,31)의 간격이 변동됨으로, 결합공(12,31)의 간격을 상기 제1 및 제2 철근(1,2)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는 제1 철근(1)의 선단부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블록(10)과, 상기 제1 고정블록(10)에 고정결합되는 지지통체(20)와, 상기 지지통체(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철근(2)의 선단부가 고정결합되는 회전블록(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철근(1)과 제2 철근(2)은 상기 고정블록(10)과 회전블록(30)에 편심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 철근(1,2)의 선단부에는 수나사(1a,2a)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블록(10)에는 둘레면에 수나사(11a)가 형성된 원형의 결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10)에는 상기 제1 철근(1)의 선단부가 나사결합되는 결합공(12)이 상기 결합부(11)와 편심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통체(2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상기 회전블록(30)이 삽입되는 관체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통체(20)의 기단부와 선단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블록(30)이 걸리는 걸림턱(22)과 상기 결합부(11)의 외측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21)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회전블록(3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외경이 상기 지지통체(20)의 내경에 대응되는 원형단관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철근(2)의 선단부가 나사결합되는 결합공(31)이 편심을 이루면서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블록(10)과 회전블록(30)을 회전시켜 상기 결합공(12,31)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철근(1,2)이 일직선상에 위치되지 않을 경우, 상기 고정블록(10)과 회전블록(30)을 회전시켜 상기 결합공(12,31)의 간격을 제1 및 제2 철근(1,2)의 간격에 맞도록 조절함으로써, 일직선상에 위치되지 않은 2개의 철근(1,2)을 간편하면서 견고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는 PC블록의 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된 제1 및 제2 철근(1,2)을 상호 연결하는데 적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는 모든 종류의 철근을 상호 연결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2 철근(2)의 선단부에 형성된 수나사(2a) 및 회전블록(30)의 결합공(31)에 형성된 암나사(31a)와, 상기 결합부(11)에 형성된 수나사(11a) 및 지지통체(20)의 암나사(21)는 나사선의 방향이 서로 반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철근(2)의 선단부에 형성된 수나사(2a) 및 회전블록(30)의 결합공(31)에 형성된 암나사(31a)는 우나사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블록(30)을 우측,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블록(30)이 상기 제2 철근(2)의 선단부로 전진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1)에 형성된 수나사(11a) 및 지지통체(20)의 암나사(21)는 좌나사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통체(20)를 좌측,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지지통체(20)가 상기 고정블록(10)의 결합부(11)에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블록(30)의 외주면에는 상기 지지통체(2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마찰부재(32)가 구비된다.
상기 마찰부재(32)는 마찰력이 높은 고무재질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통체(20)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블록(30)에 상기 제2 철근(2)을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통체(20)를 회전시키면 상기 마찰부재(32)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에 의해 상기 회전블록(30)이 회전되면서 상기 제2 철근(2)의 수나사(2a)를 따라 전후진된다.
따라서,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철근(1,2)을 상호 연결할 때, 작업자가 실수로 상기 회전블록(30)을 과도하게 조이더라도 손쉽게 상기 제1 및 제2 철근(1,2)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철근(1,2)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블록(30)이 제2 철근(2)의 수나사(2a)의 중간부에 위치되도록 조여져야 한다.
이때, 작업자의 실수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블록(30)이 제2 철근(2)의 수나사(2a)의 내측으로 과도하게 조여질 경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블록(30)에 걸려 지지통체(20)가 상기 고정블록(10)의 결합부(11)에 결합되지 못한다.
이러한 경우,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지지통체(20)를 우측,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마찰부재(32)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회전블록(30)이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2 철근(2)의 수나사(2a)를 따라 전진된다.
이때, 상기 지지통체(20)에 형성된 암나사(21)는 좌나사임으로, 지지통체(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지지통체(20)가 상기 고정블록(10)의 결합부(11)에 결합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회전블록(30)이 충분히 전진된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지지통체(20)를 좌측,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지지통체(20)가 상기 고정부에 나사결합되어 제1 및 제2 철근(1,2)이 상호 연결된다.
이때, 상기 지지통체(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회전블록(30)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철근(2)쪽으로 후퇴될 수 있으나, 상기 지지통체(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지지통체(20)가 제1 철근(1)쪽으로 전진되면서 고정블록(10)에 나사결합됨으로, 상기 마찰부재(32)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회전블록(30)을 제1 철근(1)쪽으로 밀어내는 힘이 발생되어, 상기 회전블록30)이 제2 철근(2)쪽으로 후퇴되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통체(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는 회전블록(30)은 회전되지 않고 상기 지지통체(20)만 회전되면서 상기 결합부(11)에 결합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회전블록(30)을 과도하게 많이 조이더라도, 상기 지지통체(20)를 회전시켜 손쉽게 회전블록(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10. 고정블록 20. 지지통체
30. 회전블록

Claims (4)

  1.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수나사(1a,2a)가 형성된 제1 및 제2 철근(1,2)을 상호 연결하는 철근연결구로서,
    상기 제1 철근(1)의 선단부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블록(10)과,
    상기 제1 고정블록(10)에 고정결합되는 지지통체(20)와,
    상기 지지통체(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철근(2)의 선단부가 고정결합되는 회전블록(30)을 포함하는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블록(10)에는 둘레면에 수나사(11a)가 형성된 원형의 결합부(11)가 형성되고, 제1 철근(1)의 선단부가 나사결합되는 결합공(12)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결합공(12)은 중심축이 상기 결합부(11)의 중심축과 일정간격 옵셋을 이루도록 상기 고정블록(10)에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제1 철근(1)의 수나사(1a)에 대응되는 암나사(12a)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블록(30)에는 상기 제2 철근(2)의 선단부가 나사결합되는 결합공(31)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결합공(31)은 중심축이 상기 회전블록(30)의 중심축과 일정간격 옵셋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제2 철근(2)의 수나사(2a)에 대응되는 암나사(31a)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통체(2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상기 회전블록(30)이 삽입되는 관체형상으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통체(20)의 기단부와 선단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블록(30)이 걸리는 걸림턱(22)과 상기 결합부(11)의 외측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21)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 철근(2)의 선단부에 형성된 수나사(2a) 및 회전블록(30)의 결합공(31)에 형성된 암나사(31a)와, 상기 결합부(11)에 형성된 수나사(11a) 및 지지통체(20)의 암나사(21)는 나사선의 방향이 서로 반대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블록(30)의 외주면에는 상기 지지통체(2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마찰부재(3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114108A 2015-08-12 2015-08-12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철근연결방법 KR101595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108A KR101595101B1 (ko) 2015-08-12 2015-08-12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철근연결방법
PCT/KR2015/008716 WO2017026563A1 (ko) 2015-08-12 2015-08-20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철근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108A KR101595101B1 (ko) 2015-08-12 2015-08-12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철근연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5101B1 true KR101595101B1 (ko) 2016-02-18

Family

ID=55458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108A KR101595101B1 (ko) 2015-08-12 2015-08-12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철근연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95101B1 (ko)
WO (1) WO201702656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1199A (zh) * 2016-05-18 2016-09-28 蒋文 可调节钢筋直螺纹连接套筒及钢筋直螺纹连接方法
KR102141602B1 (ko) * 2020-02-06 2020-08-05 대림산업 주식회사 철근 기계식 이음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3480B (zh) * 2016-09-28 2019-03-01 蒋文 可焊接可调节连接钢筋和型钢的套筒装置及连接方法
KR20220012950A (ko) * 2019-07-24 2022-02-04 아키라 후쿠다 철근 조인트 및 철근 조립체, 및 프리캐스트 철근 콘크리트체
CN112575967A (zh) * 2020-12-29 2021-03-30 浙江省建筑科学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新型灌浆套筒组件及预制构件钢筋连接结构
CN115288368A (zh) * 2022-08-31 2022-11-04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混合结构钢筋连接节点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5844A (ko) * 2005-09-05 2007-03-08 김용근 나사형 슬리브에 의한 철근 연결구
KR100923565B1 (ko) * 2009-03-24 2009-10-27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연결기 및 연결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933B1 (ko) * 2004-08-24 2007-03-27 유재천 철근 이음장치
KR100984243B1 (ko) * 2010-06-15 2010-10-04 김용근 타원형 회전 쐐기를 적용한 철근 연결구
JP5704903B2 (ja) * 2010-11-26 2015-04-22 東京鐵鋼株式会社 鉄筋連結用シール部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5844A (ko) * 2005-09-05 2007-03-08 김용근 나사형 슬리브에 의한 철근 연결구
KR101014543B1 (ko) * 2005-09-05 2011-02-14 김용근 나사형 슬리브에 의한 철근 연결구
KR100923565B1 (ko) * 2009-03-24 2009-10-27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연결기 및 연결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1199A (zh) * 2016-05-18 2016-09-28 蒋文 可调节钢筋直螺纹连接套筒及钢筋直螺纹连接方法
KR102141602B1 (ko) * 2020-02-06 2020-08-05 대림산업 주식회사 철근 기계식 이음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26563A1 (ko)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101B1 (ko)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철근연결방법
KR101606579B1 (ko) Pc블록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철근연결방법
KR20190067964A (ko) 구조용 커플러
TWM500127U (zh) 鋼筋續接器
KR20160052407A (ko) 철근연결구
KR101606576B1 (ko) Pc블록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철근연결방법
KR20170059840A (ko) 결합성을 향상시킨 철근 연결용 커플러
EP2186944B1 (en) Locking assurance construction
KR101123347B1 (ko) 철근 결속장치
KR101650946B1 (ko) 나선철근용 철근정착장치
KR101498662B1 (ko) 철근 이음새 커플링
JP4619276B2 (ja) セグメントの連結装置
KR101797000B1 (ko) 철근체결장치
KR20210152146A (ko)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20000066222A (ko) 철근 연결구
CN214995268U (zh) 一种钢筋机械连接机构
KR20130056134A (ko)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프리 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체
KR101807825B1 (ko) 철근 커플러
KR20170104016A (ko) 철근연결구
JP5836865B2 (ja) 鋼管杭と杭頭との継手構造、及び、この継手構造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基礎の施工方法
CN211775136U (zh) 一种提高连接强度的拼接式灌浆套筒
JP2003064777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連結金具
KR20220014700A (ko) Phc 파일용 연결구, phc 파일용 연결구가 구비된 phc 파일 및 이의 제작 방법
KR20210075660A (ko) 내진용 철근 커플러
CN214461834U (zh) 结构改进的钢筋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