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2357A - 비드-에이펙스들과 스페이서들을 갖는 복수의 적층체를 취급하기 위한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드-에이펙스들과 스페이서들을 갖는 복수의 적층체를 취급하기 위한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2357A
KR20220012357A KR1020217042699A KR20217042699A KR20220012357A KR 20220012357 A KR20220012357 A KR 20220012357A KR 1020217042699 A KR1020217042699 A KR 1020217042699A KR 20217042699 A KR20217042699 A KR 20217042699A KR 20220012357 A KR20220012357 A KR 20220012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gripper
bead
carrier
spac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2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8726B1 (ko
Inventor
카임페 토이니스 비옐
안토니우스 빌리브로어두스 요셉 스타우트
Original Assignee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filed Critical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220012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16Handling tyres or parts thereof, e.g. supplying, storing, conve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52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multiple gripper units or multiple end eff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7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means, e.g. Pelletier elements, for freezing a fluid interface between the gripping head and an object to be grip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48Bead-rings or bead-cores; Treatment thereof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05De-stacking of articles by using insertions or spacers between the stack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16Handling tyres or parts thereof, e.g. supplying, storing, conveying
    • B29D2030/0044Handling tyre beads, e.g., storing, transporting, transferring and supplying to the toroidal support or to the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Tyre Moulding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들을 취급하기 위한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 캐리어는, 비드-에이펙스들의 적층체로서, 적층 방향으로 적층되며 그리고 비드-에이펙스들(B)을 분리하는 스페이서들(S)과 교호반복되는 것인, 비드-에이펙스들의 적층체를 지지하고,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은, 캐리어들을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 및 복수의 비드-에이펙스 중 하나를 타이어 구축 기계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스테이션을 포함하며,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은,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A1, A2, A3) 중 하나 내의 캐리어들 중 하나로부터 스페이서들 중 하나 이상을 들어올리기 위한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들어올린 스페이서를 이송 스테이션(T)으로 운반하기 위한, 스페이서 그리퍼(3)를 추가로 포함하고,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은, 스페이서 그리퍼를 지지하기 위한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91)를 포함하며,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는, 이송 스테이션으로부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 중 어느 하나로 이동 가능한 것인, 캐리어들을 취급하기 위한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드-에이펙스들과 스페이서들을 갖는 복수의 적층체를 취급하기 위한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비드-에이펙스들(bead-apex)과 스페이서들을 갖는 복수의 적층체를 취급하기 위한,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JP 2016-108139 A에는 운송 방향을 따라 직렬로 배열되는 복수의 운반체를 구비한 이송 설비가 개시되어 있다. 운반체에는, 접착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비드(bead) 부재 및 비드 부재 사이의 복수의 카트리지가 교대로 로딩된다. 운반체는, 연결 수단에 의해 운송 방향으로 상호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호 연결된 운반체는, 트랙을 따라 제1 운송 기구에 의해 하나의 그룹으로서 끌어 당겨져 연속체의 처음 3개의 운반체가 각각, 언로딩 섹션, 카트리지 회수 섹션 및 연결 해제 섹션을 통해 순차적으로 전진될 수 있다. 언로딩 섹션에서는, 상부 카트리지가 그 위에 지지되는 비드 부재와 함께, 언로딩 장치에 의해 맞물린다. 이후, 맞물린 카트리지와 비드 부재는, 분리되며 그리고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회수 섹션에서 운반체 상에 수집된다. 상기 운반체는, 이송 설비의 이전 언로딩 사이클 동안 비어 있는 운반체이다. 운반체가 비어 있는 카트리지들로 채워지고 나면, 운반체는, 상기 채워진 운반체 및 상호 연결된 운반체들의 연속체 사이의 연결이 종료되는, 연결 해제 섹션으로 전진된다. 이후, 상기 분리된 운반체는, 제2 운송 기구에 의해 트랙을 벗어나며, 그리고 재사용을 위해 제3 운송 기구에 의해 복귀된다.
EP 2 328 745 B1에는 다수의 비드를 수직으로 적층하면서 그 사이에 스페이서(spacer)를 배치하기 위한 비드 저장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비드 저장 유닛은, 각각의 컨베이어 상에 비드 적층체를 공급하기 위한 3개의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컨베이어는, 직경이 상이한 비드 적층체를 공급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장치는, 고정된 베이스 상에 배치된 이동 가능한 로봇 아암을 추가로 포함하며, 로봇 아암은 상기 컨베이어들 중 어느 하나 상에 지지되는 특정 직경의 비드를 비드 로딩기로 이송하기 위해, 고정된 베이스로부터 3개의 컨베이어 각각에 도달할 수 있다. 적층체들은, 작업자에 의해 또는 자동으로 이동되는, 이동식 유닛에 의해 컨베이어 상으로 로딩된다.
JP 2016-108139 A의 공지된 이송 설비의 순차적 구성에 의하면 동일한 크기의 비드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공지된 이송 설비는,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전형적으로 하나의 타이어 크기만을 생산하는 전통적인 타이어 구축 기계와 조합하여서는 우수하게 작동한다. 그러나, 현대의 타이어 제조에서는, 더 높은 유연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타이어 구축 기계는, 타이어 사양을 더 자주 전환시킬 수도 있어, 연속적인 언로딩 과정 동안 상이한 비드 크기로의 전환을 필요로 한다. 공지된 이송 설비는, 언로딩 과정 동안 다른 비드 크기로 전환할 수 있는 유연성이 부족하다.
EP 2 328 745 B1에서는, 3개의 상이한 비드 직경을 위한 3개의 컨베이어를 제공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그러나, 각각의 비드 직경이 그 자체 공급 라인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3개 이상의 비드 직경, 즉, 6개 이상의 상이한 비드 직경까지 유연성을 증가시켜야 하는 경우, 비드 저장 유닛의 설치 면적, 복잡성 및 비용이 이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더욱이, 고정된 베이스에 대한 로봇 아암의 범위가 제한되며 그리고 로봇 아암은 모든 공급 라인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의 유연성이 증가될 수 있는, 비드-에이펙스들과 스페이서들을 갖는 복수의 적층체를 취급하기 위한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수의 캐리어를 취급하기 위한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으로서, 각각의 캐리어는, 비드-에이펙스들의 적층체로서, 적층 방향으로 적층되며 그리고 상기 적층 방향으로 비드-에이펙스들을 서로 분리하는 스페이서들과 교호반복되는 것인, 비드-에이펙스들의 적층체를 지지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은, 캐리어들을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 및 복수의 비드-에이펙스 중 하나를 타이어 구축 기계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스테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 중 하나 내의 캐리어들 중 하나로부터 스페이서들 중 하나 이상을 들어올리기 위한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들어올린 스페이서를 상기 이송 스테이션으로 운반하기 위한 스페이서 그리퍼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은,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를 지지하기 위한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는, 상기 이송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 중 어느 하나로 이동 가능한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을 제공한다.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는, 이동식이며, 그리고 그에 따라, 이송 스테이션에서의 타이어 구축 기계로의 상기 비드-에이펙스들의 이송과 독립적으로,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 중 어느 하나를 방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저장 스테이션들의 개수는, 원칙적으로 무제한이며, 그리고 그에 따라, 더 큰 비드-에이펙스 직경 변화를 수용하여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의 유연성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다. 스페이서 그리퍼는, 타이어 구축 기계의 요구에 기초하여 언제든지 상기 저장 스테이션들 중의 임의의 것을 선택적으로 방문할 수 있다. 더욱이, 스페이서 그리퍼는, 하나 이상의 이전에 들어올린 스페이서로부터의 비드-에이펙스들이 이송 스테이션에서 타이어 구축 기계로 이송되는 동안, 저장 스테이션들 중 개개의 하나 내의 적층체로부터, 그 위에 지지되는 비드-에이펙스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들어올리고 운반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의 사이클 시간 중의 저장 스테이션들 내외로 이동하는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의 영향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에 대한 스페이서 그리퍼의 이동 범위는,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 그리퍼는, 덜 복잡하며 및/또는 비용이 적게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은, 캐리어들 중 하나를 상기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내에 로딩하기 위한 로딩 스테이션 및, 상기 로딩 스테이션 내의 상기 하나의 캐리어를 맞물기 위한 그리고 상기 하나의 맞물린 캐리어를 상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키기 위한, 캐리어 그리퍼를 추가로 포함한다. 그러므로,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내로의 캐리어들의 로딩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동화될 수 있다. 따라서, 캐리어들을 그들의 개개의 저장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에 들어갈 필요가 없다. 작업자의 접근은, 로딩 스테이션으로 제한될 수 있다.
추가의 일 실시예에서, 캐리어 그리퍼는,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는, 상기 로딩 스테이션 및 상기 이송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저장 스테이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 가능하다. 그러므로, 캐리어 그리퍼와 스페이서 그리퍼는, 저장 스테이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되기 위해 별도의 베이스들을 필요하지 않아, 이에 의해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의 복잡성을 더욱 감소시키도록 한다. 대신에, 이들은, 동일한 공통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것은,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의 기초 구조가 공통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의 단일 이동 경로만 고려하면 된다는, 부가적인 이점을 갖는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은, 주된 방향으로 일렬로 위치된다. 보다 특히, 이송 스테이션 및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은, 주된 방향으로 일렬로 위치된다. 다시 말해,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은, 상기 주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저장 스테이션은, 상기 주된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또는 수직 방향으로 개별적으로 접근 가능할 수 있다. 더욱이,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 및/또는 캐리어 그리퍼 베이스는, 상기 저장 스테이션들 중 어느 하나를 방문하기 위해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 전방에서 및/또는 이를 따라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는, 주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그러므로,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는,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에 평행하게, 즉,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이 일렬로 또는 나란히 배치되는 방향에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더욱이, 주된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또는 수직 방향으로의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와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 사이의 거리 또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은, 주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중의 적어도 하나를 따라 이동 가능하다. 하나 이상의 레일은,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을 따르는 및/또는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에 대해 상대적인,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의 정확한 이동을 신뢰성 있게 촉진할 수 있다.
대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은, 상기 캐리어 그리퍼를 지지하기 위한 캐리어 그리퍼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 및 상기 캐리어 그리퍼 베이스는, 개별적으로, 상기 이송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저장 스테이션들 중 어느 하나로 그리고 상기 로딩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저장 스테이션들 중 어느 하나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캐리어 그리퍼는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 내외로 캐리어들을 로딩 및 언로딩할 수 있는 반면, 스페이서 그리퍼는 저장 스테이션들 중의 개개의 하나 내의 적층체로부터 이송 스테이션으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독립적으로 및/또는 동시에, 들어올리고 운반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의 생산성은, 증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은, 주된 방향으로 일렬로 위치되며,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는, 상기 이송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의 제1 측면에서 상기 저장 스테이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 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캐리어 그리퍼 베이스는, 상기 로딩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측의 상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의 제2 측면에서 상기 저장 스테이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 가능하다. 그러므로,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와 캐리어 그리퍼 베이스의 이동 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추가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캐리어 그리퍼 베이스는, 주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그러므로, 캐리어 그리퍼 베이스는,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에 평행하게, 즉,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이 일렬로 또는 나란히 배치되는 방향에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더욱이, 주된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또는 수직 방향으로의 캐리어 그리퍼 베이스와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 사이의 거리 또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추가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은, 주된 방향으로 일렬로 위치되며, 상기 캐리어 그리퍼는, 상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 중 개개의 하나 내외로 상기 캐리어들 중의 개개의 하나를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해, 주된 방향에 대해 횡방향 또는 수직 방향인 저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캐리어 그리퍼는, 복수의 저장 위치의 다른 캐리어들과 충돌하지 않고 상기 하나의 캐리어를 복수의 저장 위치 중 어느 하나로 이송하기 위해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의 옆의 또는 전방의 위치에서 캐리어들 중 하나를 맞물고 운반할 수 있다. 캐리어 그리퍼가 로딩될 저장 스테이션의 전방에 위치되는 경우, 그 위에 지지되는 하나의 캐리어를 갖는 캐리어 그리퍼는, 로딩될 저장 스테이션 내에 상기 하나의 캐리어를 배치하기 위해, 상기 주된 방향으로부터 분기되는 저장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전 실시예에 기초하면, 각각의 저장 스테이션은, 캐리어들 중의 개개의 하나를 위한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그리퍼는, 개개의 지지대 위의 리프팅 레벨 및 개개의 지지대 아래의 릴리즈 레벨에서 저장 방향으로 각각의 저장 스테이션 안으로 이동 가능하고 밖으로 후퇴 가능하며, 상기 캐리어 그리퍼는, 리프팅 레벨과 릴리즈 레벨 사이에서 개개의 지지대를 통해 주된 방향 및 저장 방향에 수직인 높이 방향으로 추가로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를 개개의 하나의 저장 스테이션 내에 로딩할 때, 캐리어 그리퍼는, 지지대 위의 위치로 리프팅 레벨에서 저장 스테이션으로 이동될 수 있다. 후속하여, 캐리어 그리퍼는, 리프팅 레벨로부터 지지대 아래의 릴리즈 레벨을 향해 하강되어, 이 과정에서 캐리어를 지지대 위에 배치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캐리어 그리퍼는, 캐리어 아래로부터 릴리즈 레벨로 낙하하여 개개의 저장 스테이션 밖으로 이동한다. 개개의 저장 스테이션으로부터 캐리어를 언로딩하는 경우, 위의 단계가 역순으로 수행된다.
추가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는, 팔레트들(pallets)이며, 상기 캐리어 그리퍼는, 상기 팔레트 중 하나를 맞물고 운반하기 위한 포크(fork)를 포함한다. 포크들은, 상기 팔레트 중 하나를 신뢰성 있게 맞물고 운반할 수 있다. 더욱이, 포크들은, 로딩 스테이션에서 주된 방향으로 상기 하나의 팔레트와 맞물릴 수 있는 한편, 이들은 또한, 저장 스테이션들 중 하나에서 리프팅 레벨로부터 릴리즈 레벨로 이동할 때, 팔레트로부터 낙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스페이서는, 중앙 개구를 구비하고, 비드-에이펙스들의 적층체들 중의 개개의 하나의 스페이서들의 상기 중앙 개구들은, 중앙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적층 방향으로 정렬되며,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는, 그리퍼 헤드 및, 상기 개개의 적층체의 스페이서들 중 하나를 맞물도록 상기 개개의 적층체의 중앙 공간에 도달하기 위해 상기 그리퍼 헤드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스페이서들은, 상기 중앙 공간 내부로부터 맞물릴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는, 상기 개개의 적층체의 중앙 공간 내로, 상기 개개의 적층체의 상부로부터의 상기 개개의 적층체의 적어도 제2 스페이서까지 도달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는, 상기 개개의 적층체의 상부에 있는 스페이서와 동시에 상기 개개의 적층체로부터 상기 제2 스페이서를 들어올리기 위해, 상기 제2 스페이서를 맞물기 위한 맞물림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타이어 구축 기계는 전형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2개의 비드-에이펙스를 필요로 한다. 종래 기술의 통상적인 로봇 아암은, 한 번에 하나의 스페이서와 맞물리도록 배열되어 왔다. 그러므로, 공지된 로봇 아암은, 타이어 구축 기계로 2개의 비드-에이펙스를 전달하기 위해, 저장 스테이션으로 두 번 이동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그리퍼는, 방문할 저장 스테이션에 따라 저장 스테이션과 이송 스테이션 사이에서 비교적 긴 거리를 이동해야만 한다. 따라서, 비드-에이펙스가 그 위에 지지되는 2개의 스페이서를 동시에 들어올리고 이들을 이송 스테이션으로 전달하여, 귀중한 시간을 절약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제2 실시예에서, 각각의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는, 상기 개개의 적층체의 상부에 있는 제1 스페이서와 접촉하기 위한 상기 그리퍼 헤드로부터 제1 거리에 있는 제1 요소 및 상기 개개의 적층체의 상부로부터의 제2 스페이서를 맞물기 위한 상기 그리퍼 헤드로부터 제1 거리보다 더 큰 제2 거리에 있는 제2 요소를 포함한다. 제1 요소는, 제2 스페이서 및/또는 전체적으로 적층체에 대해 적층체의 상부에서 제1 스페이서를 정렬할 수 있는 반면, 제2 요소는, 적층체의 상부로부터의 제2 스페이서를 맞물게 된다.
제3 실시예에서, 상기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은, 상기 개개의 적층체의 스페이서에 대한 적층 방향에서의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 및, 상기 검출기와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가 적층 방향으로 상기 개개의 적층체의 상부로부터의 상기 제2 스페이서에 배치될 때, 상기 개개의 적층체의 상부로부터의 제2 스페이서를 맞물기 위해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램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스페이서 그리퍼는, 적층체의 상부로부터의 제2 스페이서를 맞물기 위해, 검출기에 기초하여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적층체 상부로부터 2개의 스페이서를 동시에 들어올리는 것이, 자동화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 각각의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는, 스페이서들 중 하나 이상 및/또는 전체적으로 적층체를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에 대해 중심에 배치하기 위해 적층체의 중앙 공간 내로 삽입 가능한 센터링 롤러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적층체가 스페이서 그리퍼에 대해 약간 오프셋되거나 경사지는 경우, 센터링 롤러는, 상기 적층체로부터 스페이서를 집어 올리는 동안 스페이서 그리퍼에 대해 전체적으로 적층체를 중심에 배치할 수 있다.
스페이서 그리퍼의 앞서 언급한 4개의 실시예가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특히, 스페이서 그리퍼가 개개의 적층체의 상부로부터의 제2 스페이서를 맞물 수 있으며 그리고 2개의 스페이서를 동시에 들어올릴 수 있다는 특징 및/또는 스페이서 또는 적층체가 전체적으로 센터링 롤러에 의해 중심에 배치된다는 특징이 또한, 통상의 비드-에이펙스 취급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설명에 기술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징을 포함하는 스페이서 그리퍼 자체는, 분할 특허 출원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는, 상기 이송 스테이션 내에 상기 하나 이상의 들어올린 스페이서를 릴리즈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은, 상기 이송 스테이션 내의 상기 릴리즈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로부터 상기 타이어 구축 기계로 하나 이상의 비드-에이펙스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유닛을 추가로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스페이서 그리퍼는, 하나 이상의 들어올린 스페이서 상에 지지되는 비드-에이펙스들을 타이어 구축 기계로 직접적으로 이송하지 않는다. 대신에, 스페이서 그리퍼는, 하나 이상의 들어올린 스페이서를 이송 스테이션으로 공급하며, 이송 스테이션으로부터 이송 유닛이, 상기 하나 이상의 들어올린 스페이서 상에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비드-에이펙스를 타이어 구축 기계로 이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 유닛은, 하나 이상의 비드-에이펙스를 맞물기 위한 그리고 이것을 상기 이송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타이어 구축 기계로 운반하기 위한 조작기, 및 상기 조작기를 지지하기 위한 조작기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기 베이스는, 상기 이송 스테이션에 대해 고정된다. 조작기는, 비드-에이펙스들을 타이어 구축 기계로 정확하게 이송하기 위해, 조작기 베이스에 대하여 정확하게 및/또는 비교적 작은 공차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스페이서 그리퍼의 정확도는, 덜 중요하다. 다시 말해, 스페이서 그리퍼는, 상대적으로 부정확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기는, 로봇 아암 및 상기 로봇 아암에 의해 지지되는 비드-에이펙스 그리퍼를 포함한다. 로봇 아암은, 이송 스테이션 및/또는 타이어 구축 기계에서 하나 이상의 릴리즈된 스페이서에 대해 비드-에이펙스 그리퍼를 정확하게 배치하기 위해 복수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로봇 아암은, 3 이상의 자유도, 바람직하게는 6 자유도를 갖는다.
추가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 스테이션은,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로부터의 상기 하나 이상의 릴리즈된 스페이서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섹션 및, 상기 이송 유닛이 자체 위에 지지되는 개개의 비드-에이펙스를 타이어 구축 기계로 이송하였을 때 비워지는, 상기 릴리즈된 스페이서들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섹션을 갖는, 플랫폼을 포함한다. 2개의 섹션을 갖는 플랫폼을 구비함으로써, 비어 있는 스페이서들은, 제1 섹션 내의 비어 있는 스페이서 아래의 임의의 스페이서를 노출시키기 위해, 제1 섹션으로부터 제2 섹션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것은, 스페이서 그리퍼가 자체 상에 지지되는 비드-에이펙스들을 갖는 2개의 스페이서를 이송 스테이션으로 동시에 공급하는, 이전에 논의된 실시예에서 특히 유리하다. 그러한 경우에, 제1 스페이서는, 상기 제2 스페이서 상의 비드-에이펙스에 접근하기 위해 아래에 있는 제2 스페이서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캐리어는, 캐리어 베이스 및 상기 캐리어 베이스와 일체화되거나 상기 캐리어 베이스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스페이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는, 상기 스페이서 부재를 맞물고 운반함으로써 개개의 캐리어를 맞물고 운반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1 섹션은, 상기 캐리어들 중의 개개의 하나를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캐리어는, 상기 스페이서 부재로부터 멀어지게 지향하는 상기 캐리어 베이스의 측부에서 상기 캐리어 베이스에 연결되는 복수의 휠을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은, 상기 제1 섹션에, 지지 표면 및, 상기 복수의 휠을 상기 지지 표면 아래에 수용하기 위한 상기 지지 표면 내의 리세스들을 구비한다. 캐리어 베이스 상에 스페이서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캐리어 베이스는 또한, 그 위에 지지되는 비드-에이펙스들을 갖는 캐리어를 제1 섹션에 배치함으로써 언로딩될 수 있는, 비드-에이펙스를 운반할 수 있다. 비어 있는 캐리어는, 이후 비어 있는 스페이서들을 수집하기 위해 용도 변경될 수 있다.
추가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은, 캐리어들을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버퍼 스테이션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버퍼 스테이션들 중의 개개의 하나와 상기 플랫폼의 제1 섹션 사이에서 캐리어를 이송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는, 제1 섹션에서, 이송된 캐리어를 맞물도록 배열된다. 버퍼 스테이션들은, 상기 비어 있는 캐리어들 중 하나를 제1 섹션을 통해 저장 스테이션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전용 스페이서 수집 스테이션으로 이송함으로써, 즉 비어 있는 스페이서를 수집하기 위해,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으로 다시 도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비어 있는 캐리어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는, 높이 방향으로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페이서 그리퍼는, 적층체 높이에 따라, 저장 스테이션들 중의 개개의 하나에서 적층체 바로 위에, 상기 적층체의 다음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맞물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 스테이션은,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로부터의 상기 하나 이상의 릴리즈된 스페이서를 수용하기 위한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은, 상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에 대해 상승되며,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는, 상기 플랫폼 위의 이송 레벨까지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플랫폼은, 이송 유닛 및/또는 타이어 구축 기계가 상기 상승된 레벨에서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승될 수 있을 것이다. 스페이서 그리퍼는, 이송 스테이션 내에 하나 이상의 들어올린 스페이서를 릴리즈하기 위해 적어도 상기 상승된 레벨까지 도달할 수 있어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는, 3 이하의 자유도로 이동 가능하다. 그러므로, 스페이서 그리퍼는, 통상적인 로봇 아암보다 상당히 덜 복잡하며 및/또는 비용이 덜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은, 적어도 4개의 저장 스테이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개의 저장 스테이션,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개의 저장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저장 스테이션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의 유연성은 더 커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은, 비어 있는 스페이서들의 적층체들을 수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수집 스테이션을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수집 스테이션은, 상기 이송 스테이션과 상기 이송 스테이션에 가장 가까운 상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 중의 저장 스테이션의 사이에 위치된다. 스페이서 수집 스테이션은, 이송 스테이션에서 비워진 스페이서들을 수집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스페이서 수집 스테이션을 이송 스테이션에 가능한 한 가깝게 배치함으로써, 비어 있는 스페이서들은, 스페이서 수집 스테이션으로 비교적 빠르게 이송될 수 있다. 이것은, 스페이서 그리퍼가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때, 특히 유리하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으로 복수의 캐리어를 취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 중 개개의 하나 내의 캐리어들 중 하나로부터 스페이서들 중 하나 이상을 들어올리기 위해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들어올린 스페이서를 이송 스테이션으로 운반하기 위해, 스페이서 그리퍼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복수의 캐리어를 취급하는 단계 동안의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의 실제 구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방법 및 그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술적 이점을 갖는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 이송 스테이션 내에서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들어올린 스페이서를 릴리즈하는 단계; 및 - 복수의 비드-에이펙스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이송 스테이션 내의 상기 하나 이상의 릴리즈된 스페이서로부터 타이어 구축 기계로 이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추가의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 복수의 비드-에이펙스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이송 스테이션 내의 하나 이상의 이전에 릴리즈된 스페이서로부터 타이어 구축 기계로 이송하는 단계가 발생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 중 개개의 하나 내의 캐리어들 중 하나로부터의 스페이서들 중 추가의 하나 이상을 맞물기 위해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들어올린 스페이서를 이송 스테이션으로 운반하기 위해, 스페이서 그리퍼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는, 상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 중 개개의 하나 내의 캐리어들 중 하나로부터의 스페이서들 중 2개를 동시에 들어올리며, 방법은, - 상부 위치에 2개의 동시에 들어올린 스페이서 중 제1 스페이서 그리고 하부 위치에 2개의 동시에 들어올린 스페이서 중 제2 스페이서를 갖도록, 이송 스테이션 내에서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로부터 2개의 동시에 들어올린 스페이서를 릴리즈하는 단계; - 상기 제1 스페이서로부터 비드-에이펙스들 중의 개개의 하나를 분리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스페이서를 상기 제2 스페이서의 일 측부에 배치하는 단계; 및 - 상기 제2 스페이서로부터 비드-에이펙스들 중의 개개의 하나를 분리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스페이서를 상기 제1 스페이서의 상부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추가의 일 실시예에서,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은, 비어 있는 스페이서들의 적층체들을 수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수집 스테이션을 추가로 포함하며, 방법은, - 상기 이송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스페이서 및 상기 제2 스페이서를 수집하기 위해 그리고 상기 제1 스페이서 및 상기 제2 스페이서를 스페이서 수집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스페이서 그리퍼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방법은, 비어 있는 스페이서들의 적층체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수집 스테이션 내에 비어 있는 캐리어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의 일 실시예에서,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은, 로딩 스테이션 및 캐리어 그리퍼를 추가로 포함하며, 방법은, - 상기 로딩 스테이션에 캐리어를 수용하는 단계; - 상기 로딩 스테이션 내의 캐리어를 맞물기 위해 그리고 맞물린 캐리어를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캐리어 그리퍼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추가의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 상기 스페이서 수집 스테이션 내의 비어 있는 스페이서들의 적층체를 맞물기 위해 그리고 상기 비어 있는 스페이서들의 맞물린 적층체를 상기 로딩 스테이션으로 운반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그리퍼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의 추가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 스테이션은,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릴리즈된 스페이서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섹션 및, 자체 상에 지지되는 개개의 비드-에이펙스가 타이어 구축 기계로 이송될 때 비워지는, 릴리즈된 스페이서들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섹션을 갖는,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섹션은 추가로, 캐리어들 중의 개개의 하나를 수용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은, 캐리어들을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버퍼 스테이션을 추가로 포함하고, 방법은, - 상기 버퍼 스테이션들 중의 개개의 하나와 상기 플랫폼의 제1 섹션 사이로 캐리어들 중 하나를 이송하는 단계; 및 - 상기 제1 섹션에서 이송된 캐리어를 맞물기 위해 스페이서 그리퍼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 및 도시되는 다양한 양태들 및 특징들은, 가능한 한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개별적인 양태들, 특히, 첨부된 종속항들에 설명되는 양태들 및 특징들은, 분할 특허 출원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식적인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3 내지 도 6은 복수의 캐리어를 취급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들 동안의 도 1에 따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7 내지 도 18은 복수의 캐리어를 취급하기 위한 방법의 추가의 단계들 동안의 도 2에 따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안적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20은 도 1 내지 도 19에 따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페이서 그리퍼의 단면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21 및 도 22는 2개의 스페이서를 동시에 들어올리는 2개의 단계 동안의 도 20에 따른 스페이서 그리퍼의 단면 평면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캐리어(9)를 취급하기 위한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1)을 도시한다. 각각의 캐리어(9)는, 비드-에이펙스들의 적층체로서, 적층 방향(V)으로 적층되며 그리고 상기 적층 방향(V)으로 비드-에이펙스들(B)을 서로 분리하는 스페이서들(S)과 교호반복되는 것인, 비드-에이펙스들(B)의 적층체를 지지하도록 배열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비드-에이펙스들(B)은, 적층 방향(V)으로 스페이서들(S) 상에 지지된다. 상기 적층 방향(V)은, 바람직하게는, 수직이거나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이다.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1)은, 타이어 제조를 위한 생산 라인에서, 타이어 구축 기계(TBM)의 상류에 위치한다. TBM은, 비드-에이펙스들(B)의 유연한 공급, 즉, 사양, 재료, 형상, 크기 및/또는 직경이 쉽게 전환될 수 있는 비드-에이펙스들(B)의 공급을 필요로 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캐리어(9)들은 각각, 이후에 더 상세히 설명될 방식으로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1)을 통해 맞물리고 운반될 수 있는, 베이스(91), 특히, 팔레트(90)를 포함한다. 베이스(91) 상에서, 캐리어(9)는, 상기 캐리어 베이스(91)와 일체화되거나 상기 캐리어 베이스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스페이서 부재(92)와 함께 제공된다. 캐리어(9)는, 휠들(93)을 포함하거나 또는 휠들(93) 상에 배치되고, 따라서, 캐리어는, 즉 캐리어(9)의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1) 내로의 수동 로딩을 위해, 공장 바닥 위에서 구름 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휠들(93)은, 스페이서 부재(92)로부터 멀어지게 지향하는 캐리어 베이스(91)의 측부에서 캐리어 베이스(91)에 연결된다.
도 2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스페이서(S)는, 중앙 개구(71)를 갖는 스페이서 몸체(70)를 포함한다. 스페이서 몸체(70)는, 상기 중앙 개구(71)의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비드-에이펙스들(B) 중 하나를 위한 원추형 지지 표면을 형성한다. 비드-에이펙스들(B)로 이루어진 적층체들 중의 개개의 하나의 스페이서들(S)의 중앙 개구들(71)은, 중앙 공간(E)을 형성하기 위해 적층 방향(V)으로 정렬된다. 캐리어(9)의 베이스(91)에 있는 스페이서 부재(92)는, 상기 캐리어(9)의 상부에 적층되는 스페이서(S)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그러므로, 캐리어(9)의 베이스(91)에 있는 스페이서 부재(92)는, 비드-에이펙스들(B) 중 제1 비드-에이펙스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스페이서(S)로서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스페이서들(S) 중의 나머지는, 스페이서 부재(92)의 상부에 적층될 수 있으며, 각각의 스페이서(S)는, 그 자체의 비드-에이펙스(B)를 지지한다.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1)은, 캐리어들(9)을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A1 내지 A8)을 포함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1)은, 8개의 저장 스테이션(A1 내지 A8)을 구비한다. 그러나, 저장 스테이션의 개수가 상이할 수도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1)은, 캐리어들(9) 중 하나를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1, 101) 내로 로딩하기 위한 로딩 스테이션(L) 및 복수의 비드-에이펙스(B) 중 하나를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1)을 벗어나 타이어 구축 기계(TBM)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스테이션(T)을 추가로 포함한다.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A1 내지 A8)은, 주된 방향(M)으로 일렬로 또는 직렬로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이송 스테이션(T) 또한, 상기 주된 방향(M)으로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A1 내지 A8)과 일렬로 또는 직렬로 위치된다.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1)은, 캐리어들(9)을 취급하기 위한 캐리어 그리퍼(2), 개별 스페이서(S) 또는 2개 한 세트의 스페이서(S)를 취급하기 위한 스페이서 그리퍼(3), 및 개별 비드-에이펙스(B)를 취급하기 위한 이송 유닛(6)을 추가로 포함한다.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1)의 전술한 부분들은 각각,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캐리어 그리퍼(2)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딩 스테이션(L)에서 상기 하나의 캐리어(9)를 맞물도록,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나의 맞물린 캐리어(9)를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A1 내지 A8)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된다. 캐리어 그리퍼(2)는,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A1 내지 A8)을 따라 주된 방향(M)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캐리어 그리퍼(2)는, 캐리어들(9) 중 하나의 베이스(91), 특히 팔레트(90)를 맞물기 위한 포크(21) 및 캐리어 그리퍼(2)를 위한 베이스(5)에 대해 포크(21)를 지지하고 이동시키기 위한 포크 장착부(20)를 포함한다.
스페이서 그리퍼(3)는, 그리퍼 헤드(30) 및 상기 그리퍼 헤드(30)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31)를 포함한다.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들(31)은, 상기 개개의 적층체로부터의 스페이서들(S) 중의 하나를 맞물기 위해, 들어올리기 위해 및/또는 운반하기 위해, 개개의 적층체의 중앙 공간(E) 내에 도달하도록 배열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31)는, 적층체의 상부로부터의 제2 스페이서(S2)를 맞물도록 배열되어, 이에 의해 상기 적층체로부터 적층체의 상부에 있는 상기 제2 스페이서(S2) 및 제1 스페이서(S1)를 동시에 들어올리도록 한다. 이러한 작동은, 타이어 구축 기계(TBM)가 전형적으로 각각의 타이어 성형 사이클에 대해 동일한 사양의 2개의 비드-에이펙스(B)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편리하다. 캐리어 그리퍼(2)와 마찬가지로, 스페이서 그리퍼(3)는,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A1 내지 A8) 및 이송 스테이션(T)을 따라 주된 방향(M)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 그리퍼(3)는, 이송 유닛(6)에 의한 타이어 구축 기계(TBM)로의 후속 이송을 위해, 이송 스테이션(T) 내에 하나 이상의 들어올린 스페이서(S1, S2)를 배치 및/또는 릴리즈하도록 배열된다. 스페이서 그리퍼(3)는, 스페이서들(S)이 적층체로부터 들어올려짐에 따른 적층체 높이의 감소를 뒤따르도록, 주된 방향(M)에 대해 수직이며 및/또는 적층 방향(V)에 평행한 높이 방향(H)으로 추가로 이동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 그리퍼(3)는, 3 이하의 자유도, 이 경우에는 단지 2 자유도로, 이동 가능하다.
일단 적층체가 고갈되면 그리고 캐리어(9)만이 저장 스테이션들(A1 내지 A8) 중 하나 내에 남게 되면, 스페이서 그리퍼(3)는, 스페이서들(S) 중 어느 하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스페이서 부재(92)를 맞물게 됨으로써 상기 하나의 캐리어(9)를 맞물고, 들어올리고 및/또는 운반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상기 스페이서 부재(92)가 또한, 이송 스테이션(T)으로 이송되어야 하는 비드-에이펙스(B)를 지지할 때 또는 비어 있는 캐리어(9)가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1)으로부터 언로딩되어야 하거나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1)의 버퍼 위치(F1 내지 F6)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어야 할 때, 특히 편리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1)은, 스페이서 그리퍼(3)를, 즉 공장 바닥에 대해, 지지하기 위한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5)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5)는, 이송 스테이션(T)으로부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A1 내지 A8) 중 어느 하나로 그리고 로딩 스테이션(L)으로부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A1 내지 A8) 중 어느 하나로 이동 가능하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캐리어 그리퍼(2)는, 동일한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5)에 의해 지지된다. 다시 말해,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5)는, 캐리어 그리퍼(2)와 스페이서 그리퍼(3) 양자 모두를 위한 공통 그리퍼 베이스이다. 그러므로, 캐리어 그리퍼(2) 및 스페이서 그리퍼(3)는 양자 모두, 저장 스테이션들(A1 내지 A8) 중 어느 하나로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스페이서 그리퍼(3)는, 높이 방향(H)으로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5)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 그리퍼(3)는,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5)로부터 주된 방향(M)에 수직인 저장 방향(D)으로, 그리퍼 헤드(30)가 캐리어들(9)의 위에 위치되거나 또는 캐리어들과 일렬로 위치되는 위치로, 돌출한다. 그러므로, 그리퍼 헤드(30)는, 적층체 내의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S)를 맞물기 위해 각각의 저장 스테이션(A1 내지 A8) 내외로 이동할 필요가 없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1)은, 주된 방향(M)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10)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하나 이상의 가이드(10)는, 하나 이상의 레일이다. 하나 이상의 가이드(10)는, 공장 바닥 상에 또는 높은 레벨에, 즉 머리 위에,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가이드(10)는, 그리퍼들(2, 3)에 의해 이동되는 경로의 일 측부에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5)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10) 중의 적어도 하나를 따라 이동 가능하다. 그러므로,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5)는,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A1 내지 A8)이 나란히 배치되는 방향에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다.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5)는 대안적으로, 주된 방향(M)에 평행한 선형 가이드 경로를 따라 전자적으로 안내되는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이 경우, 물리적 가이드들은 필요하지 않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그리퍼(2)는, 저장 방향(D)으로 각각의 하나의 저장 스테이션(A1 내지 A8) 내외로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5)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도 2 및 도 7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그리퍼(2)는, 주된 방향(M) 및 저장 방향(D)에 수직인 높이 방향(H)으로 리프팅 레벨(H1)과 릴리즈 레벨(H2)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도 2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저장 스테이션(A1 내지 A8)은, 개개의 하나의 캐리어(9)를 위한 지지대(12)를 포함한다. 캐리어 그리퍼(2)는, 지지대(12) 위의 리프팅 레벨(H1) 및 개개의 지지대(12) 아래의 릴리즈 레벨(H2)에서 저장 방향(D)으로 각각의 저장 스테이션(A1 내지 A8) 안으로 이동 가능하며 밖으로 후퇴 가능하다. 캐리어들(9) 중 하나를 저장 스테이션들(A1 내지 A8) 안으로 로딩할 때, 캐리어 그리퍼(2)는, 상기 하나의 저장 스테이션(A1 내지 A8)의 지지대(12) 위로 캐리어(9)를 운반하기 위해 리프팅 레벨(H1)로 상승된다. 후속하여, 캐리어 그리퍼(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즈 레벨로 하강되어 지지대(12)를 통해 상기 지지대(12) 아래의 레벨로 낙하한다. 이것은, 캐리어(9)를 캐리어 그리퍼(2)로부터 릴리즈하며 그리고 캐리어 그리퍼(2)가 저장 방향(D)으로 저장 스테이션(A1 내지 A8) 밖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저장 스테이션들(A1 내지 A8) 중 하나로부터 캐리어들(9) 중 하나를 언로딩하기 위해, 상기 단계들이,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다.
로딩 스테이션(L)이,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1) 밖으로 비어 있는 캐리어(9)를 언로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대안적으로, 별도의 언로딩 스테이션이, 즉 로딩 스테이션(L)과 저장 스테이션들 중의 제1 저장 스테이션(A1) 사이의 위치에 제공될 수 있고, 따라서 언로딩이 로딩 스테이션(L)에서의 새로운 캐리어(9)의 배치와 간섭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스테이션(T)은, 제1 섹션(16) 및 제2 섹션(17)을 갖는 플랫폼(15)을 포함한다. 제1 섹션(16) 및 제2 섹션(17)은 각각,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S)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표면(18)을 형성한다. 특히, 제1 섹션(16)은, 스페이서 그리퍼(3)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릴리즈된 스페이서(S1, S2)를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제1 섹션은 또한, 예를 들어, 적층체가 고갈될 때 그리고, 스페이서 부재(92) 및 그 위에 지지되는 비드-에이펙스(B)와 함께, 캐리어(9)가 스페이서 그리퍼(3)에 의해 들어올려져 이송 스테이션(T)으로 운반될 때, 캐리어(9)를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섹션(16)은, 지지 표면(18)의 아래에 상기 복수의 휠(93)을 수용하기 위해 지지 표면(18) 내에 리세스들(19)을 갖도록 제공된다. 플랫폼(15)은,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A1 내지 A8)에 대해, 즉 테이블처럼 상승된다. 즉, 플랫폼(15)은, 저장 스테이션들(A1 내지 A8)의 지지대(12)에 대해 높이 방향(H)으로 오프셋된 높이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플랫폼(15) 위에 또는 머리 위에 배치되는 이송 유닛(6)은, 플랫폼(15)에 쉽게 도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페이서 그리퍼는, 상기 플랫폼(15) 상에 스페이서들(S)을 내려놓기 위해 플랫폼(15) 위의 이송 레벨(H3)까지 높이 방향(H)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송 유닛(6)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섹션(17)에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S1, S2) 중 하나 상에 지지되는 비드-에이펙스들(B) 중 하나를 맞물도록 그리고 상기 맞물린 비드-에이펙스(B)를 타이어 구축 기계(TBM)로 이송하도록 배열된다. 그 결과, 하나의 스페이서(S1, S2)는, 비워진다. 이송 유닛(6)은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의 제2 섹션(17)에 상기 비어 있는 스페이서(S1, S2)를 배치하도록 배열된다. 각각의 비드-에이펙스(B)는, 이송 유닛(6)의 구성에 따라, 제1 섹션(16)으로부터 제2 섹션(17)으로 개개의 스페이서(S)를 이송하기 전에, 이송 동안에 또는 이송 이후에, 비드-에이펙스가 그 위에 지지되는 것인, 스페이서(S)로부터 분리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유닛(6)은, 하나 이상의 비드-에이펙스(B)를 맞물기 위한 그리고 이를 이송 스테이션(T)으로부터 타이어 구축 기계(TBM)로 운반하기 위한 조작기(61), 및 상기 조작기(61)를 지지하기 위한 조작기 베이스(60)를 포함한다. 조작기 베이스(60)는, 이송 스테이션(T)에 대해 고정된다. 그러므로, 조작기(60)에 대한 조작기(61)의 이동 범위는, 제한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조작기(61)는, 로봇 아암(62) 및 상기 로봇 아암(62)에 의해 지지되는 비드-에이펙스 그리퍼(63)를 포함한다. 상기 로봇 아암(62)은 전형적으로, 6 자유도를 갖는다. 상기 비드-에이펙스 그리퍼(63)는, EP 2 328 745 B1에 개시된 비드-에이펙스 그리퍼와 유사한 통상적인 구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 비드-에이펙스 그리퍼(63)는, EP 2 328 745 B1에 공지된 방식으로, 개별적으로, 스페이서들(S) 중 하나를 픽업하기 위해, 그리고 상기 하나의 스페이서(S)로부터 비드-에이펙스(B)를 픽업 및 분리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한 스페이서 맞물림 턱들(jaws)(64) 및 비드-맞물림 턱들(65)을 구비한다.
도 18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1)은, 비어 있는 캐리어(9)를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버퍼 스테이션(F1 내지 F6)을, 이 예에서는 6개의 버퍼 스테이션(F1 내지 F6)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버퍼 스테이션(F1 내지 F6)은, 스페이서 그리퍼(3)가 도달하지는 못하는 이송 유닛(6)의 범위 내에 놓인다. 이송 유닛(6)은, 플랫폼(15)의 제1 섹션(16)으로부터 버퍼 스테이션(F1 내지 F6) 중 어느 하나로 비어 있는 캐리어(9)를 이송할 수 있을 것이다. 동일한 이송 유닛(6)이, 개개의 하나의 버퍼 스테이션(F1 내지 F6)으로부터 플랫폼(15)의 제1 섹션(16)으로 캐리어(9)를 이송하도록 배열된다. 후속하여, 스페이서 그리퍼(3)는, 제1 섹션(16)에서, 이송된 캐리어(9)를 맞물도록 배열된다. 그런 다음, 맞물린 이송된 캐리어(9)는, 비어 있는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A1 내지 A8) 중 어느 하나로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1)은, 비어 있는 스페이서들(S)의 적층체들을 수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수집 스테이션(C)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스페이서 수집 스테이션(C)은,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A1)과 별도의 스테이션일 수도 있으며, 또는 저장 스테이션(A1 내지 A8) 중 하나가 공정 도중에 임의의 지점에서 스페이서 수집 스테이션(C)으로 지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페이서 수집 스테이션(C)은, 저장 스테이션들(A1 내지 A8)과 다르지 않으며, 및/또는 저장 스테이션들(A1 내지 A8) 중 하나, 특히, 이송 스테이션(T) 이전의 마지막 저장 스테이션(A8)이다. 그러므로, 스페이서 수집 스테이션(C)은, 이송 스테이션(T)과 상기 이송 스테이션(T)에 가장 가까운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 중의 저장 스테이션(A7)의 사이에 위치된다. 스페이서 수집 스테이션(C)은, 이송 스테이션(T)에서 타이어 구축 기계(TBM)로 비드-에이펙스(B)가 이송되는 동안 비워진, 비어 있는 스페이서(S)를 수집하도록 배열된다. 이를 위해,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 스테이션(C)에서, 비어 있는 캐리어(9)는, 그 위에 비어 있는 스페이서(S)를 수용 및/또는 적층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후속하여, 비어 있는 스페이서(S)를 갖는 캐리어(9)는,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1)으로부터의 언로딩을 위해 로딩 스테이션(L)으로 이동되도록, 캐리어 그리퍼(2)에 의해 맞물리게 된다.
전술한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1)을 사용하여 복수의 캐리어(9)를 취급하기 위한 방법이,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간략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채워진 캐리어들(9), 즉, 스페이서들(S)과 교호반복되는 비드-에이펙스들(B)의 적층체들을 갖는 캐리어들(9)이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1) 내에 로딩되는 상황을 보여준다. 상기 채워진 캐리어들(9) 중 하나가, 로딩 스테이션(L)에 배치된다. 채워진 캐리어들(9)을 로딩 스테이션(L)을 통해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1)에 로딩하는 대신, 채워진 캐리어들(9)은 또한, 직접 저장 스테이션들(A1 내지 A8)에, 즉, 상기 저장 스테이션들(A1 내지 A8)의 후방을 통해, 로딩될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도 3은 캐리어 그리퍼(2)가 채워진 캐리어들(9)을 맞물기 위해 로딩 스테이션(L)으로 주된 방향(M)으로 이동된 상황을 보여준다. 도 4는, 채워진 캐리어들(9)이, 저장 방향(D)으로, 로딩될 저장 스테이션(A4)과 정렬되는 위치로, 캐리어 그리퍼(2)가 주된 방향(M)으로 이동된 상황을 보여준다. 아직 그렇게 하지 않았다면, 캐리어 그리퍼(2)는, 개개의 저장 스테이션(A4)의 지지대(12) 위의 레벨로 채워진 캐리어(9)를 들어올리기 위해,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레벨까지 상승된다. 도 5는, 캐리어 그리퍼(2)가 그 위에 지지되는 채워진 캐리어(9)를 개개의 저장 스테이션(A4) 내에 로딩하기 위해, 개개의 저장 스테이션(A4)으로 저장 방향(D)으로 이동되는 상황을 보여준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캐리어 그리퍼(2)는, 후속하여, 채워진 캐리어(9)를 릴리즈하기 위해,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즈 레벨(H)로 하강된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의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상이한 사양, 즉, 상이한 직경의 비드-에이펙스들(B)의 적층체들을 갖는 여러 개의 캐리어(9)가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1) 내에 로딩되는 상황을 보여준다. 스페이서 그리퍼(3)는 이때, 그의 그리퍼 헤드(30)가 높이 방향(H) 및/또는 적층 방향(V)으로 캐리어들(9) 중 하나 상의 적층체와 정렬되는 위치로, 주된 방향(M)으로 이동된다. 도 7은, 스페이서 그리퍼(3)가, 상기 적층체로부터 스페이서들(S1, S2) 중 하나 이상을 픽업 및/또는 들어올리기 위해, 적층체를 향해 높이 방향(H) 및/또는 적층 방향(V)으로 이동된 상황을 보여준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페이서 그리퍼(3)는, 적층체로부터 2개의 스페이서(S1, S2)를 동시에 들어올린다.
도 8은, 스페이서 그리퍼(3)가, 플랫폼(15) 상에, 특히 그의 제1 섹션(16)에서, 하나 이상의 들어올린 스페이서(S1, S2)를 릴리즈 및/또는 내려놓기 위해, 주된 방향(M)으로 이송 스테이션(T) 내로 이동되는 상황을 보여준다. 도 9는, 스페이서 그리퍼(3)가, 주된 방향(M)으로 이송 스테이션(T)을 벗어나 이동되거나 제거된 상황을 보여준다. 동시에 또는 그 직후에, 이송 유닛(6)은,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S1, S2) 중 하나, 이 경우, 상부 위치의 제1 스페이서(S1)를 맞물도록 이동되었다. 도 10은, 이송 유닛(6)이 이동된 그리고 상기 맞물린 제1 스페이서(S1)를 플랫폼(15)의 제2 섹션(17)에 배치한 상황을 보여준다. 상기 제1 스페이서(S1) 상에 지지되는 비드-에이펙스(B1)는, 상기 제1 스페이서(S1)가 제1 섹션(16)으로부터 제2 섹션(17)으로 이동하는 동안 또는 상기 제1 스페이서(S1)를 제2 섹션(17)에 배치한 후에, 제1 스페이서(S1)로부터 분리된다. 그런 다음, 분리된 비드-에이펙스(B1)는, 타이어 구축 기계(TBM)로, 즉, 상기 타이어 구축 기계(TBM)의 공지된 비드 로딩기(bead-loader)로 이송되는 한편, 비어 있는 제1 스페이서(S1)는 제2 섹션(17)의 뒤에 남게 된다.
도 12, 도 13 및 도 14는, 어떻게 도 9, 도 10 및 도 11의 전술한 단계들이 하부 위치의 제2 스페이서(S2) 및 그 위에 지지되는 제2 비드-에이펙스(B2)에 대해 반복되는지를 보여준다. 제2 스페이서(S2)는, 제2 섹션(17)에서 제1 스페이서(S1)의 상부에 배치된다.
도 9 내지 도 14의 이송 단계들 동안, 스페이서 그리퍼(3)는, 다음 이송 사이클을 위한 추가의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S3, S4)를 픽업하기 위해 저장 스테이션들(A1 내지 A8) 중 어느 하나로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특히, 도 14에서, 추가의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S3, S4)는, 플랫폼(15)의 제1 섹션(16)에 스페이서 그리퍼(3)에 의해 미리 배치되는 반면,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이송 사이클로부터의 비어 있는 스페이서들(S1, S2)은, 이송 스테이션(T) 밖으로 스페이서 수집 스테이션(C)으로 이동될 준비가 되어 있다. 도 17은, 여러 번의 이송 사이클이 발생한, 여러 적층체들이 높이가 감소된 것을 반영한, 상황을 보여준다. 스페이서 수집 스테이션(C)의 캐리어(9)는, 비어 있는 스페이서들(S)로 채워져 있으며, 이때, 이것은, 비어 있는 스페이서들(S)의 상기 적층체와 함께 로딩 스테이션(L)으로 이동된 캐리어 그리퍼(3)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도 19는, 이전에 논의된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1)과 비교하여, 스페이서 그리퍼(103) 및 캐리어 그리퍼(102)를 각각 개별적으로 및/또는 독립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105) 및 캐리어 그리퍼 베이스(106)를 포함하는 점만이 상이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안적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101)을 도시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예의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105) 및 캐리어 그리퍼 베이스(106)는, 이송 스테이션(T)으로부터 저장 스테이션들(A1 내지 A8) 중 어느 하나로 그리고 로딩 스테이션(L)으로부터 저장 스테이션들(A1 내지 A8) 중 어느 하나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보다 특히, 그리퍼 베이스들(105, 106)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105)는, 이송 스테이션(T)으로부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A1 내지 A8)의 제1 측부에서 저장 스테이션들(A1 내지 A8) 중 어느 하나로 이동 가능하며, 캐리어 그리퍼 베이스(106)는, 로딩 스테이션(L)으로부터 제1 측부의 반대측의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A1 내지 A8)의 제2 측부에서 저장 스테이션들(A1 내지 A8) 중 어느 하나로 이동 가능하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가이드(110, 111)는,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A1 내지 A8)의 제1 측부에 있는 제1 가이드 또는 레일(110) 및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A1 내지 A8)의 제2 측부에 있는 제2 가이드 또는 레일(111)을 포함한다. 제1 가이드(110)는, 이송 스테이션(T)으로부터 저장 스테이션들(A1 내지 A8) 중 임의의 것까지 연장되면 된다. 제2 가이드(111)는, 로딩 스테이션(L)으로부터 저장 스테이션들(A1 내지 A8) 중 임의의 것까지 연장되면 된다.
도 20, 도 21 및 도 22는,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3)가 2개의 스페이서(S1, S2)를 동시에 픽업하고, 맞물고 및/또는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스페이서 그리퍼(3)의 가능한 구성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31)는, 개개의 적층체의 중앙 공간(E)에서 개개의 적층체의 상부로부터의 개개의 적층체의 제2 스페이서(S2)에 또는 적어도 제2 스페이서(S2)에 도달하도록 배열된다. 복수의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31)는, 후속하여,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스페이서(S2)를 개개의 적층체의 상부에 있는 스페이서(S1)와 동시에 개개의 적층체로부터 들어올리도록 상기 제2 스페이서(S2)를 맞물기 위해, 맞물림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개개의 적층체의 상부에 있는 스페이서(S1) 자체는, 맞물릴 필요가 없다. 이것은, 상기 제2 스페이서(S2) 상에 지지되기 때문에, 제2 스페이서(S2)와 함께 들어올려질 뿐이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31)는, 개개의 적층체의 상부에 있는 제1 스페이서(S1)와 접촉하기 위한 그리퍼 헤드(30)로부터 제1 거리(X1)에 있는 제1 요소(32) 및 개개의 적층체의 상부로부터의 제2 스페이서(S2)를 맞물기 위한 그리퍼 헤드로부터 제1 거리(X1)보다 더 큰 제2 거리(X2)에 있는 제2 요소(33)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요소(32)는, 스페이서 그리퍼(3)를 적층체의 중앙 공간(E) 내에 삽입하는 동안, 적층체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제1 스페이서(S1)를 정렬하기 위해, 또는 제2 스페이서(S2)에 대해 제1 스페이서(S1)를 정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스페이서 그리퍼(3)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동화된 일 실시예에서,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1)은, 적층 방향(V) 및/또는 높이 방향(H)으로 개개의 적층체의 스페이서들(S)에 대한 복수의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31)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81)를 포함한다.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1)은, 검출기(81) 및 스페이서 그리퍼(3)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어 유닛(82)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제어 유닛(82)은, 복수의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31)가 적층 방향(V)으로 및/또는 높이 방향(H)으로 개개의 적층체의 상부로부터의 상기 제2 스페이서(S2)에 위치되면, 개개의 적층체의 상부로부터의 제2 스페이서(S)를 맞물기 위해 복수의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31)를 제어하도록, 배열, 구성, 적응 및/또는 프로그램된다.
동일한 원리가 또한, 적층체로부터 2개 이상의 스페이서를 동시에 들어올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스페이서 그리퍼(3)는, 캐리어들(9) 중 하나로부터 이송 스테이션(T)으로 전체 스페이서 적층체를 들어올려 운반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현실적으로, 스페이서 그리퍼(3)는, 동시에 최대 4개의 스페이서를 들어올릴 것이다. 그러나, 요구되는 경우, 동일한 스페이서 그리퍼(3)가 적층체로부터 하나의 스페이서만을 들어올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0,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페이서들(S1, S2)의 특정 설계를 위해, 특정한 설계 특성을 고려하기 위한 스페이서 그리퍼(3)의 특수한 구성이 제안된다. 특히, 각각의 스페이서(S1, S2)는, 내측 에지(73)에서 끝나는 원주 방향 벽(72)을 형성하는 스페이서 몸체(70)를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내측 에지(73)는, 상기 스페이서(S1, S2)의 중앙 개구(71)의 내부 반경(R1)을 한정한다. 스페이서 몸체(70)는,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들(31) 중 하나를 수용하기 위해 적층 방향(V)으로 내측 에지(73)의 위의 상기 원주 방향 벽(72) 내에 맞물림 리세스들(74)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맞물림 리세스들(74)은, 내부 반경(R1)보다 큰 맞물림 반경(R2)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제2 스페이서(S2)의 맞물림 리세스들(74)은, 제1 스페이서(S1)의 내측 에지(73) 후방에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내부 반경(R1) 내부에서 중앙 개구(71)를 통과할 수 있도록 그리고 이어서 제2 스페이서(S2)의 맞물림 리세스들(74)을 맞물도록, 제1 스페이서(S1)의 내측 에지(73) 아래로 이동 및/또는 후크 결합할 수 있는,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31)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각각의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31)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 위치에서, 적층체의 상부에 있는 스페이서(S1)의 내측 에지(73)의 주위에 후크 결합하도록 배열되는, 제1 후크 부분(34) 및 맞물림 위치에서, 적층체의 상부로부터의 제2 스페이서(S2)의 맞물림 리세스들(74)과 맞물리도록 배열되는, 제2 후크 부분(35)을 갖는, 후크를 포함한다.
후크 부분(35)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31)가 맞물림 위치에 도달하기 이전에, 접촉 없이 제1 스페이서(S1)의 내측 에지(73)의 주위로 연장되도록 배열되는, 내부 윤곽(36)을 특징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0 내지 도 22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특정 예에서, 각각의 스페이서(S1, S2)는, 원주 방향 벽(72)에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리브(75)를 포함한다. 스페이서 그리퍼 부재(31)의 제1 요소(32)는, 상기 리브들(75) 위에서 구름 운동하는 센터링 롤러(37)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이 과정에서 적층체의 상부에 제1 스페이서(S1)를 정렬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층체는, 전체적으로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31)는, 제2 스페이서(S2)를 아래의 임의의 추가의 스페이서(S)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 부분(38)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분리기 부분(38)은, 화살표로 도 2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2개의 스페이서(S1, S2)가 적층체로부터 들어올려지는 동안, 추가의 스페이서(S)를 적층 방향(V)으로 하방으로 밀어내는 위치로 기울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분리기 부분(38)은, 분리기 부분(38)이 제 위치로 기울어짐에 따라 추가의 스페이서(S)의 위로 구름 운동하는, 분리기 롤러(39)를 갖도록 제공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황에서, 스페이서 그리퍼(3)는, 이미 적층체의 바닥에 도달하였다. 제2 스페이서(S2)는 실제로, 캐리어 베이스(90), 즉, 팔레트(91) 상의 스페이서 부재(92)이다. 캐리어 베이스(90)는, 맞물림 위치에서 분리기 부분(38)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들(93)을 갖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상기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예시하기 위해 포함된 것이며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논의로부터, 본 발명의 범위에 여전히 포함되는 다수의 변형예가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1: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10: 가이드
12: 지지대 15: 플랫폼
16: 제1 섹션 17: 제2 섹션
18: 지지 표면 19: 리세스들
2: 캐리어 그리퍼 20: 포크 장착부
21: 포크 3: 스페이서 그리퍼
30: 그리퍼 헤드 31: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
32: 제1 요소 33: 제2 요소
34: 제1 후크 부분 35: 제2 후크 부분
36: 내부 윤곽 37: 센터링 롤러
38: 분리기 부분 39: 분리기 롤러
5: 공통 그리퍼 베이스, 스페이서/캐리어 그리퍼 베이스
6: 이송 유닛 60: 조작기 베이스
61: 조작기 62: 로봇 아암
63: 비드-에이펙스 그리퍼 64: 스페이서 맞물림 턱
65: 비드 맞물림 턱 70: 스페이서 몸체
71: 중앙 개구 72: 원주 방향 벽
73: 내측 에지 74: 맞물림 리세스
75: 리브 81: 검출기
82: 제어 유닛 9: 캐리어
90: 팔레트 91: 베이스
92: 스페이서 부재 93: 휠
94: 리세스
101: 대안의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102: 캐리어 그리퍼 103: 스페이서 그리퍼
105: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 106: 캐리어 그리퍼 베이스
110: 제1 가이드 111: 제2 가이드
A1 내지 A8: 저장 스테이션 B: 비드-에이펙스
B1: 제1 비드-에이펙스 B2: 제2 비드 에이펙스
C: 스페이서 수집 스테이션 D: 저장 방향
E: 중앙 공간 F1-F6: 버퍼 스테이션
H: 높이 방향 H1: 리프팅 레벨
H2: 릴리즈 레벨 H3: 이송 레벨
L: 로딩 스테이션 M: 주된 방향
R1: 내부 반경 R2: 맞물림 반경
S: 스페이서 S1: 제1 스페이서
S2: 제2 스페이서 S3: 제3 스페이서
S4: 제4 스페이서 T: 이송 스테이션
TBM: 타이어 구축 기계 X1: 제1 거리
X2: 제2 거리 V: 적층 방향

Claims (40)

  1. 복수의 캐리어를 취급하기 위한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으로서,
    각각의 캐리어는, 비드-에이펙스들의 적층체로서, 적층 방향으로 적층되며 그리고 상기 적층 방향으로 비드-에이펙스들을 서로 분리하는 스페이서들과 교호반복되는 것인, 비드-에이펙스들의 적층체를 지지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은, 캐리어들을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 및 복수의 비드-에이펙스 중 하나를 타이어 구축 기계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스테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 중 하나 내의 캐리어들 중 하나로부터 스페이서들 중 하나 이상을 들어올리기 위한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들어올린 스페이서를 상기 이송 스테이션으로 운반하기 위한 스페이서 그리퍼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은,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를 지지하기 위한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는, 상기 이송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 중 어느 하나로 이동 가능한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은, 캐리어들 중 하나를 상기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내에 로딩하기 위한 로딩 스테이션 및, 상기 로딩 스테이션 내의 상기 하나의 캐리어를 맞물기 위한 그리고 상기 하나의 맞물린 캐리어를 상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키기 위한, 캐리어 그리퍼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그리퍼는,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는, 상기 로딩 스테이션 및 상기 이송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저장 스테이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 가능한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은, 주된 방향으로 일렬로 위치되는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스테이션 및 상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은, 주된 방향으로 일렬로 위치되는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는, 주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은, 주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중의 적어도 하나를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은, 상기 캐리어 그리퍼를 지지하기 위한 캐리어 그리퍼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 및 상기 캐리어 그리퍼 베이스는, 개별적으로, 상기 이송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저장 스테이션들 중 어느 하나로 그리고 상기 로딩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저장 스테이션들 중 어느 하나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은, 주된 방향으로 일렬로 위치되며,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는, 상기 이송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의 제1 측면에서 상기 저장 스테이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 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캐리어 그리퍼 베이스는, 상기 로딩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측의 상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의 제2 측면에서 상기 저장 스테이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 가능한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그리퍼 베이스는, 주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은, 주된 방향으로 일렬로 위치되며, 상기 캐리어 그리퍼는, 상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 중 개개의 하나 내외로 상기 캐리어들 중의 개개의 하나를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해, 주된 방향에 대해 횡방향 또는 수직 방향인 저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저장 스테이션은, 상기 캐리어들 중의 개개의 하나를 위한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 그리퍼는, 개개의 지지대 위의 리프팅 레벨 및 개개의 지지대 아래의 릴리즈 레벨에서 저장 방향으로 각각의 저장 스테이션 안으로 이동 가능하고 밖으로 후퇴 가능하며, 상기 캐리어 그리퍼는, 리프팅 레벨과 릴리즈 레벨 사이에서 개개의 지지대를 통해 주된 방향 및 저장 방향에 수직인 높이 방향으로 추가로 이동 가능한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캐리어는, 팔레트(pallet)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 그리퍼는, 상기 팔레트 중 하나를 맞물고 운반하기 위한 포크(fork)를 포함하는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스페이서는, 중앙 개구를 구비하고, 비드-에이펙스들의 적층체들 중의 개개의 하나의 스페이서들의 상기 중앙 개구들은, 중앙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적층 방향으로 정렬되며,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는, 그리퍼 헤드 및, 상기 개개의 적층체의 스페이서들 중 하나를 맞물도록 상기 개개의 적층체의 중앙 공간에 도달하기 위해 상기 그리퍼 헤드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는, 상기 개개의 적층체의 상기 중앙 공간 내로, 상기 개개의 적층체의 상부로부터 상기 개개의 적층체의 적어도 제2 스페이서까지 도달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는, 상기 개개의 적층체의 상부에 있는 스페이서와 동시에 상기 개개의 적층체로부터 상기 제2 스페이서를 들어올리기 위해, 상기 제2 스페이서를 맞물기 위한 맞물림 위치로 이동 가능한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각각의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는, 상기 개개의 적층체의 상부에 있는 제1 스페이서와 접촉하기 위한 상기 그리퍼 헤드로부터 제1 거리에 있는 제1 요소 및 상기 개개의 적층체의 상부로부터의 제2 스페이서를 맞물기 위한 상기 그리퍼 헤드로부터 제1 거리보다 더 큰 제2 거리에 있는 제2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은, 상기 개개의 적층체의 스페이서들에 대한 적층 방향에서의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 및, 상기 검출기와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가 적층 방향으로 상기 개개의 적층체의 상부로부터의 상기 제2 스페이서에 배치될 때, 상기 개개의 적층체의 상부로부터의 제2 스페이서를 맞물기 위해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램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스페이서 맞물림 부재는, 스페이서들 중 하나 이상 및/또는 전체적으로 적층체를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에 대해 중심에 배치하기 위해 적층체의 중앙 공간 내로 삽입 가능한 센터링 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는, 상기 이송 스테이션 내에 상기 하나 이상의 들어올린 스페이서를 릴리즈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은, 상기 이송 스테이션 내의 상기 릴리즈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로부터 상기 타이어 구축 기계로 하나 이상의 비드-에이펙스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하나 이상의 비드-에이펙스를 맞물기 위한 그리고 이것을 상기 이송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타이어 구축 기계로 운반하기 위한 이송하기 위한 조작기, 및 상기 조작기를 지지하기 위한 조작기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기 베이스는, 상기 이송 스테이션에 대해 고정되는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는, 로봇 아암 및 상기 로봇 아암에 의해 지지되는 비드-에이펙스 그리퍼를 포함하는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스테이션은,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로부터의 상기 하나 이상의 릴리즈된 스페이서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섹션 및, 상기 이송 유닛이 자체 위에 지지되는 개개의 비드-에이펙스를 상기 타이어 구축 기계로 이송하였을 때 비워지는, 상기 릴리즈된 스페이서들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섹션을 갖는,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각각의 캐리어는, 캐리어 베이스 및 상기 캐리어 베이스와 일체화되거나 상기 캐리어 베이스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스페이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는, 상기 스페이서 부재를 맞물고 운반함으로써 개개의 캐리어를 맞물고 운반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1 섹션은, 상기 캐리어들 중의 개개의 하나를 수용하도록 배열되는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각각의 캐리어는, 상기 스페이서 부재로부터 멀어지게 지향하는 상기 캐리어 베이스의 측부에서 상기 캐리어 베이스에 연결되는 복수의 휠을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은, 상기 제1 섹션에, 지지 표면 및, 상기 복수의 휠을 상기 지지 표면 아래에 수용하기 위한 상기 지지 표면 내의 리세스들을 구비하는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은, 캐리어들을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버퍼 스테이션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버퍼 스테이션들 중의 개개의 하나와 상기 플랫폼의 제1 섹션 사이에서 캐리어를 이송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는, 제1 섹션에서, 이송된 캐리어를 맞물도록 배열되는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는, 높이 방향으로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 베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한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스테이션은,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로부터의 상기 하나 이상의 릴리즈된 스페이서를 수용하기 위한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은, 상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에 대해 상승되며,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는, 상기 플랫폼 위의 이송 레벨까지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는, 3 이하의 자유도로, 바람직하게는 2 자유도로 이동 가능한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은, 적어도 4개의 저장 스테이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개의 저장 스테이션,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개의 저장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은, 비어 있는 스페이서들의 적층체들을 수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수집 스테이션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수집 스테이션은, 상기 이송 스테이션과 상기 이송 스테이션에 가장 가까운 상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 중의 저장 스테이션 사이에 위치되는 것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으로 복수의 캐리어를 취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 중 개개의 하나 내의 캐리어들 중 하나로부터 스페이서들 중 하나 이상을 들어올리기 위해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들어올린 스페이서를 이송 스테이션으로 운반하기 위해, 스페이서 그리퍼를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 이송 스테이션 내에서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들어올린 스페이서를 릴리즈하는 단계; 및
    - 복수의 비드-에이펙스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이송 스테이션 내의 상기 하나 이상의 릴리즈된 스페이서로부터 타이어 구축 기계로 이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 복수의 비드-에이펙스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이송 스테이션 내의 하나 이상의 이전에 릴리즈된 스페이서로부터 타이어 구축 기계로 이송하는 단계가 발생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 중 개개의 하나 내의 캐리어들 중 하나로부터의 스페이서들 중 추가의 하나 이상을 맞물기 위해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들어올린 스페이서를 이송 스테이션으로 운반하기 위해, 스페이서 그리퍼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35. 제32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는, 상기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 중 개개의 하나 내의 캐리어들 중 하나로부터의 스페이서들 중 2개를 동시에 들어올리며,
    - 상부 위치에 2개의 동시에 들어올린 스페이서 중 제1 스페이서 그리고 하부 위치에 2개의 동시에 들어올린 스페이서 중 제2 스페이서를 갖도록, 이송 스테이션 내에서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로부터 2개의 동시에 들어올린 스페이서를 릴리즈하는 단계;
    - 상기 제1 스페이서로부터 비드-에이펙스들 중의 개개의 하나를 분리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스페이서를 상기 제2 스페이서의 일 측부에 배치하는 단계; 및
    - 상기 제2 스페이서로부터 비드-에이펙스들 중의 개개의 하나를 분리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스페이서를 상기 제1 스페이서의 상부에 배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은, 비어 있는 스페이서들의 적층체들을 수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수집 스테이션을 추가로 포함하며,
    - 상기 이송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스페이서 및 상기 제2 스페이서를 수집하기 위해 그리고 상기 제1 스페이서 및 상기 제2 스페이서를 스페이서 수집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스페이서 그리퍼를 사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비어 있는 스페이서들의 적층체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수집 스테이션 내에 비어 있는 캐리어를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8. 제32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은, 로딩 스테이션 및 캐리어 그리퍼를 추가로 포함하며,
    - 상기 로딩 스테이션에 캐리어를 수용하는 단계;
    - 상기 로딩 스테이션 내의 캐리어를 맞물기 위해 그리고 맞물린 캐리어를 복수의 저장 스테이션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캐리어 그리퍼를 사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 상기 스페이서 수집 스테이션 내의 비어 있는 스페이서들의 적층체를 맞물기 위해 그리고 상기 비어 있는 스페이서들의 맞물린 적층체를 상기 로딩 스테이션으로 운반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그리퍼를 사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40. 제32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스테이션은, 상기 스페이서 그리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릴리즈된 스페이서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섹션 및, 자체 상에 지지되는 개개의 비드-에이펙스가 타이어 구축 기계로 이송될 때 비워지는, 릴리즈된 스페이서들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섹션을 갖는,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섹션은 추가로, 캐리어들 중의 개개의 하나를 수용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은, 캐리어들을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버퍼 스테이션을 추가로 포함하고,
    - 상기 버퍼 스테이션들 중의 개개의 하나와 상기 플랫폼의 제1 섹션 사이로 캐리어들 중 하나를 이송하는 단계; 및
    - 상기 제1 섹션에서 이송된 캐리어를 맞물기 위해 스페이서 그리퍼를 사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KR1020217042699A 2019-05-28 2020-04-02 비드-에이펙스들과 스페이서들을 갖는 복수의 적층체를 취급하기 위한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및 방법 KR102508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23215A NL2023215B1 (en) 2019-05-28 2019-05-28 Bead-apex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a plurality of stacks with bead-apexes and spacers
NL2023215 2019-05-28
PCT/NL2020/050224 WO2020242294A1 (en) 2019-05-28 2020-04-02 Bead-apex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a plurality of stacks with bead-apexes and spac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357A true KR20220012357A (ko) 2022-02-03
KR102508726B1 KR102508726B1 (ko) 2023-03-09

Family

ID=66776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2699A KR102508726B1 (ko) 2019-05-28 2020-04-02 비드-에이펙스들과 스페이서들을 갖는 복수의 적층체를 취급하기 위한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11633929B2 (ko)
EP (1) EP3976363B1 (ko)
JP (1) JP7050156B2 (ko)
KR (1) KR102508726B1 (ko)
CN (4) CN216782718U (ko)
BR (1) BR112021023702A2 (ko)
ES (1) ES2961909T3 (ko)
HU (1) HUE063234T2 (ko)
MX (1) MX2021013206A (ko)
NL (1) NL2023215B1 (ko)
PL (1) PL3976363T3 (ko)
RS (1) RS64847B1 (ko)
TW (1) TW202045343A (ko)
WO (1) WO20202422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952B1 (ko) * 2019-02-19 2024-01-30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반송 시스템
NL2023215B1 (en) 2019-05-28 2020-12-07 Vmi Holland Bv Bead-apex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a plurality of stacks with bead-apexes and spacers
CN112830261B (zh) * 2021-01-05 2023-07-04 晋江市骏陶陶瓷实业有限公司 一种间歇式瓷砖保护垫铺设设备
KR20230111239A (ko) 2021-01-21 2023-07-25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타이어 반송 장치
SK500272021A3 (sk) * 2021-05-10 2022-12-07 Mesnac European Research and Technical Centre s. r. o. Spôsob prenášania ojadrovaných pätkových lán a separátorov, zariadenie na vykonávanie tohto spôsobu a separátor na použitie v tomto spôsobe
DE102022211141A1 (de) * 2022-10-20 2024-04-25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m automatisierten Trennen von Separatoren und Apexkernen für Luftreifen voneinand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1336A (ja) * 1989-09-21 1991-05-13 Bridgestone Corp フィーラー付きビード用収納ホルダーおよびフィラー付きビードとフィラー付きビード用収納ホルダーとの取出し装置
JPH06199422A (ja) * 1992-12-29 1994-07-19 Bridgestone Corp フィラー付きビードとその収納ホルダーとの取出し装置
JP2012500139A (ja) * 2008-08-21 2012-01-05 ヴェーエムイー ホーランド ベー. ヴェー. タイヤビードとそれに用いられるスペーサとを移送および配置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16108139A (ja) * 2014-12-10 2016-06-2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搬送設備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5830A (ja) * 1982-12-23 1984-07-04 Bridgestone Corp 環状部材取出供給装置
JPH07227850A (ja) * 1994-02-15 1995-08-29 Kobe Steel Ltd タイヤ加硫機工場におけるグリーンタイヤ搬送システム
JP3883427B2 (ja) * 2001-12-11 2007-02-2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フィラー付きビードの製造処理方法および製造処理設備
JP4393736B2 (ja) 2001-12-26 2010-01-06 不二精工株式会社 タイヤ成形におけるビードの供給装置、ビード供給用台車及びビード供給方法
JP4256281B2 (ja) 2004-02-24 2009-04-2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ビード部材供給装置
JP4716384B2 (ja) 2005-12-07 2011-07-06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成型工程におけるビード供給装置
DE102008037611A1 (de) 2008-11-28 2010-06-02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automatischen Entnahme von mit Kernreitern versehenen Reifenkernen aus einer Konfektionsmaschine
CN103476576B (zh) 2011-04-28 2016-11-09 倍耐力轮胎股份公司 用于构造用于车辆车轮的轮胎的处理和设备
ITMI20122179A1 (it) * 2012-12-19 2014-06-20 Pirelli Metodo per verificare la corretta formazione dei talloni in un processo e in un impianto per confezionare pneumatici per ruote di veicoli.
CN106827603B (zh) * 2017-01-13 2019-01-11 大楚神驰车轮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轮生产用钢圈自动抓取装置
NL2023215B1 (en) 2019-05-28 2020-12-07 Vmi Holland Bv Bead-apex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a plurality of stacks with bead-apexes and spac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1336A (ja) * 1989-09-21 1991-05-13 Bridgestone Corp フィーラー付きビード用収納ホルダーおよびフィラー付きビードとフィラー付きビード用収納ホルダーとの取出し装置
JPH06199422A (ja) * 1992-12-29 1994-07-19 Bridgestone Corp フィラー付きビードとその収納ホルダーとの取出し装置
JP2012500139A (ja) * 2008-08-21 2012-01-05 ヴェーエムイー ホーランド ベー. ヴェー. タイヤビードとそれに用いられるスペーサとを移送および配置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16108139A (ja) * 2014-12-10 2016-06-2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搬送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76363C0 (en) 2023-09-06
JP7050156B2 (ja) 2022-04-07
ES2961909T3 (es) 2024-03-14
EP3976363A1 (en) 2022-04-06
HUE063234T2 (hu) 2024-01-28
CN112009002A (zh) 2020-12-01
EP3976363B1 (en) 2023-09-06
MX2021013206A (es) 2022-01-24
US11633929B2 (en) 2023-04-25
RS64847B1 (sr) 2023-12-29
KR102508726B1 (ko) 2023-03-09
CN213383105U (zh) 2021-06-08
US20220234317A1 (en) 2022-07-28
WO2020242294A1 (en) 2020-12-03
PL3976363T3 (pl) 2024-03-18
JP2021529102A (ja) 2021-10-28
CN216885313U (zh) 2022-07-05
BR112021023702A2 (pt) 2022-01-04
TW202045343A (zh) 2020-12-16
CN112009002B (zh) 2023-05-09
US20230226786A1 (en) 2023-07-20
CN216782718U (zh) 2022-06-21
NL2023215B1 (en) 202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8726B1 (ko) 비드-에이펙스들과 스페이서들을 갖는 복수의 적층체를 취급하기 위한 비드-에이펙스 저장 시스템 및 방법
US4541762A (en) Apparatus for loading and/or unloading machine tools or the like
CA2192893C (en) System for loading or unloading of parts onto or from trays
US9760086B2 (en) Method for storing and/or order-picking product units
US201000922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art loads
CN111606021B (zh) 一种上下料装置
US10988311B2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storage units
CN212502857U (zh) 一种玻璃自动下料机
EP3401253A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unstacking a pallet on which at least two stacks of blanks are arranged
CN218370397U (zh) 上下料机构及外观检测装置
KR101905488B1 (ko) 팔레트 보관 및 공급 장치
BR122023026437A2 (pt) Sistema de armazenamento de enchimentos de talão e garra espaçadora
CN111301978A (zh) 自动装料系统
CN214114132U (zh) 一种产品检测收料设备
CN211970786U (zh) 自动装料系统
CN116692498B (zh) 一种全自动低位卸瓶方法及卸瓶系统
JP7073398B2 (ja) タイヤ構成要素を容器からサービサ(servicer)に移送するための移送デバイスおよび方法
JP5258122B2 (ja) 荷運搬具供給排出装置
JPH10203611A (ja) 収納箱の搬送装置
EP1477440A1 (en) Universal stacker
EP3710389A1 (en) Transfer station of loading platforms and related logistics system
CN114671208A (zh) 一种电池串料盒流转装置
EP4077180A1 (en) Equipment for the logistics of slab-shaped articles
JPH09110111A (ja) 自動立体倉庫および空パレット連続回収方法
CN116812442A (zh) 一种电机铁芯的骨架自动上料设备及上料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