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699A -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크게 하는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및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크게 하는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및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699A
KR20220011699A KR1020217041849A KR20217041849A KR20220011699A KR 20220011699 A KR20220011699 A KR 20220011699A KR 1020217041849 A KR1020217041849 A KR 1020217041849A KR 20217041849 A KR20217041849 A KR 20217041849A KR 20220011699 A KR20220011699 A KR 20220011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gent
partial composition
protease
ferrocyanide
aminoantipy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1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2712B1 (ko
Inventor
아키코 혼죠
유키 우에다
쇼타 곤노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11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26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oxidoreduct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34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hydrolase
    • C12Q1/37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hydrolase involving peptidase or protein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326/00Chromogens for determinations of oxidoreductase enzymes
    • C12Q2326/90Developer
    • C12Q2326/964-Amino-antipyri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90Enzymes; Proenzymes
    • G01N2333/902Oxidoreductases (1.)
    • G01N2333/906Oxidoreductases (1.) acting on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as donors (1.4, 1.5, 1.7)
    • G01N2333/90605Oxidoreductases (1.) acting on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as donors (1.4, 1.5, 1.7) acting on the CH-NH2 group of donors (1.4)
    • G01N2333/90633Oxidoreductases (1.) acting on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as donors (1.4, 1.5, 1.7) acting on the CH-NH2 group of donors (1.4) with oxygen as acceptor (1.4.3) in general
    • G01N2333/90638Oxidoreductases (1.) acting on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as donors (1.4, 1.5, 1.7) acting on the CH-NH2 group of donors (1.4) with oxygen as acceptor (1.4.3) in general with a definite EC number (1.4.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440/00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PTMs] in 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2440/38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PTMs] in 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addition of carbohydrates, e.g. glycosylation, glyc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Abstract

적어도 트린더 시약, 4-아미노안티피린, 프로테아제,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으로서, 적어도 트린더 시약이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고, 적어도 4-아미노안티피린이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혼합한 경우의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안정화제이고, 산화 환원 전위가,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에 있어서의 산화 환원 전위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Description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크게 하는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및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본 발명은 임상 검사약에 관한 것으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및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의 진단 및 관리를 행하는 데 있어서, 당화 단백질의 측정은 중요하며, 과거 약 1∼2개월의 평균 혈당치를 반영하는 당화 헤모글로빈(HbA1c 등), 과거 약 2주간의 평균 혈당치를 반영하는 당화 알부민(GA), 및 혈청 중의 당화 단백질의 총칭인 프룩토사민(FRA) 등이 일상적으로 측정되고 있다.
정밀도가 높고, 저렴하며, 간편하게 당화 단백질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효소법을 들 수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 2, 3은, 당화 단백질에 프로테아제를 작용시켜, 발생한 당화 아미노산 또는 당화 펩티드에 작용하는 케토아민 옥시다제를 이용하여 과산화수소를 발생시키고, 또한 페록시다제, 트린더 시약, 4-아미노안티피린을 이용하여 비색 정량함으로써 혈청 중의 당화 단백질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4는, 당화 단백질에 프로테아제를 작용시켜, 발생한 당화 아미노산 또는 당화 펩티드에 작용하는 케토아민 옥시다제를 이용했을 때의 산소의 소비량을 발색 반응 또는 산소 전극으로 측정함으로써 혈청 중의 당화 단백질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5, 6은, 당화 헤모글로빈이나 당화 알부민에 프로테아제를 작용시켜, 발생한 당화 아미노산 또는 당화 펩티드에 작용하는 케토아민 옥시다제를 이용하여 과산화수소를 발생시키고, 또한 페록시다제, 트린더 시약, 및 4-아미노안티피린을 이용하여 비색 정량함으로써 당화 헤모글로빈이나 당화 알부민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이들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에는, 시약의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프로테아제 안정화제가 포함되어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6은, 디메틸술폭시드, 알코올, 수용성 칼슘염, 식염, 제4급 암모늄염, 또는 제4급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 활성제를 프로테아제 안정화제로서 개시하고 있다. 또한, 측정 시약에 관한 언급은 없으나, 특허문헌 7은, 프로테아제 저해제로서 붕산, 보론산, 페닐보론산을 함유함으로써 액체 세제 중의 프로테아제의 저장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고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8은, 유중수(油中水) 에멀젼 중의 효소로서의 프로테아제를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폴리올이 유효한 것을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9, 10은, 액체 세제 조성물 중의 펩티드알데히드, 칼슘 이온, 붕소 조성물, 폴리올, 및 염산벤즈아미딘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로서 이용될 수 있다고 기재하고 있다.
한편, 트린더 시약, 및 4-아미노안티피린 등의 색소를 사용하여 과산화수소를 비색 정량하는 시약에 있어서, 시약 중이나 검체 중의 측정 성분 이외의 성분에 의해, 트린더 시약과 4-아미노안티피린이 비특이적으로 축합 발색하는 경우가 있고, 시약 블랭크라고 불리고 있다. 이 시약 블랭크가 크면, 검체 중의 측정 성분(시그널)에 대한 시약 블랭크(노이즈)의 비율이 커져 측정 오차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시약 블랭크는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특허문헌 11은,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에 있어서, 프로테아제 함유 시약에 카탈라제를 공존시켜, 시약 중의 과산화물을 소거함으로써 시약 블랭크를 억제하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12에서는, 페로시안화물과 트린더 시약 등의 수소 공여체를 포함하는 시약에, 양성(兩性) 계면 활성제를 배합함으로써 시약 블랭크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6-4684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5-192193호 공보 특허문헌 3: 국제 공개 제96/34977호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2-195900호 공보 특허문헌 5: 국제 공개 제1997/13872호 특허문헌 6: 국제 공개 제2002/061119호 특허문헌 7: 국제 공개 제1996/041859호 특허문헌 8: 국제 공개 제1995/028092호 특허문헌 9: 국제 공개 제98/13462호 특허문헌 10: 국제 공개 제98/13459호 특허문헌 1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49063호 공보 특허문헌 12: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0711호 공보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시약 블랭크 억제 방법이 제안되어 있으나, 트린더 시약, 4-아미노안티피린, 프로테아제,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에 있어서, 시약 블랭크를 충분히 억제하는 방법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시약 블랭크를 억제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및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일부로 한다.
본 발명자들의 지견에 의하면, 빌리루빈 등의 환원성 물질에 의한 측정 오차를 방지할 목적으로 페로시안화물을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에 포함시키면, 시약 중의 페로시안화물이 보존 중에 페리시안화물로 산화되어, 시약 블랭크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트린더 시약, 4-아미노안티피린, 프로테아제,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는 시약에 있어서,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페로시안화물이 혼합한 경우에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이용함으로써, 시약 블랭크를 현저히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1] 적어도 트린더 시약, 4-아미노안티피린, 프로테아제,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으로서,
적어도 상기 트린더 시약이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고,
적어도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이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며,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혼합한 경우의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안정화제이고,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에 있어서의 산화 환원 전위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2]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더 포함하는, [1]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3]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더 포함하는, [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4]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를 더 포함하는, [1] 내지 [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5]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는, [1] 내지 [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6]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더 포함하는, [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7]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를 더 포함하는, [1] 내지 [3] 및 [6]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8]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는, [6] 또는 [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9]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한쪽이, 상기 프로테아제,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더 포함하는, [1]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10]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더 포함하는, [1]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11]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혼합한 경우의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1] 내지 [10]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12]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1] 내지 [5] 및 [9]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13]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1], [2], [6] 내지 [10]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14]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킬레이트제를 더 포함하는, [1] 내지 [1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15] 상기 킬레이트제가,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글리콜에테르디아민사아세트산, N-(2-히드록시에틸)이미노이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스(메틸포스폰산), 니트릴로삼아세트산, 트랜스-1,2-디아미노시클로헥산-N,N,N,N-사아세트산, 이미노디아세트산, 디에틸렌트리아민-N,N,N',N",N"-오아세트산, 1,3-디아미노-2-프로판올-N,N,N',N'-사아세트산, 글루콘산, 말산, 숙신산, 시트르산, 살리실산, 타르타르산,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글리신, N,N-비스(2-히드록시에틸)글리신,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4]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16] 상기 킬레이트제가 시트르산 또는 그의 염인, [14]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17]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5 μmol/L 이상 1000 mmol/L 이하인, [14] 내지 [16]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18]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10 μmol/L 이상인, [1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19]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50 μmol/L 이상인, [1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20]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100 mmol/L 이하인, [1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21]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25 mmol/L 이하인, [1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22] 적어도 트린더 시약, 4-아미노안티피린, 프로테아제,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으로서,
적어도 상기 트린더 시약이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고,
적어도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이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며,
적어도 상기 페로시안화물이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혼합한 경우의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이며,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에 있어서의 산화 환원 전위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23]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더 포함하는, [2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24]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더 포함하는, [23]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25]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를 더 포함하는, [22] 내지 [2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26]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더 포함하는, [23]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27]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를 더 포함하는, [22] 내지 [24], 및 [26]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28]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더 포함하는, [23]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29]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혼합한 경우의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22] 내지 [28]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30]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과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혼합한 경우의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22], [23] 및 [26]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31]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과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혼합한 경우의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22] 내지 [25]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32]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22], [23] 및 [28]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33]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또는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킬레이트제를 더 포함하는, [22] 내지 [32]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34] 상기 킬레이트제가,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글리콜에테르디아민사아세트산, N-(2-히드록시에틸)이미노이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스(메틸포스폰산), 니트릴로삼아세트산, 트랜스-1,2-디아미노시클로헥산-N,N,N,N-사아세트산, 이미노디아세트산, 디에틸렌트리아민-N,N,N',N",N"-오아세트산, 1,3-디아미노-2-프로판올-N,N,N',N'-사아세트산, 글루콘산, 말산, 숙신산, 시트르산, 살리실산, 타르타르산,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글리신, N,N-비스(2-히드록시에틸)글리신,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33]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35] 상기 킬레이트제가 시트르산 또는 그의 염인, [33]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36]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5 μmol/L 이상 1000 mmol/L 이하인, [33] 내지 [35]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37]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10 μmol/L 이상인, [36]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38]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50 μmol/L 이상인, [36]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39]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100 mmol/L 이하인, [36]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40]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25 mmol/L 이하인, [36]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41]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가,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2-아미노에탄술폰산과, 염화나트륨을 더 포함하는, [1] 내지 [40]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42]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은/염화은 전극을 참조 전극으로서 이용하여 측정된 산화 환원 전위인, [1] 내지 [41]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43]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0.058 V보다 크고 0.400 V 이하인, [1] 내지 [42]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44]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0.070 V 이상인, [43]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45]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0.084 V 이상인, [43]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46]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0.112 V 이상인, [43]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47]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0.300 V 이하인, [43]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48]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0.250 V 이하인, [43]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49]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0.235 V 이하인, [43]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50]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및 카르복시페닐보론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내지 [49]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51]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프로필렌글리콜인, [1] 내지 [49]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52] 상기 카르복시페닐보론산이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인, [50]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53]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프로필렌글리콜이며,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7.5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1] 내지 [51]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54]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20 wt/vol% 이상인, [53]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55]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25 wt/vol% 이상인, [53]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56]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62.5 wt/vol% 이하인, [53]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57]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60 wt/vol% 이하인, [53]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58]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프로필렌글리콜이며,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7.5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22] 내지 [40]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59]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20 wt/vol% 이상인, [58]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60]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25 wt/vol% 이상인, [58]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61]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62.5 wt/vol% 이하인, [58]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62]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60 wt/vol% 이하인, [58]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63]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트리메틸렌글리콜이며,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0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1] 내지 [50]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64]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2.5 wt/vol% 이상인, [63]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65]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5 wt/vol% 이상인, [63]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66]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5 wt/vol% 이하인, [63]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67]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0 wt/vol% 이하인, [63]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68]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트리메틸렌글리콜이며,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0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22] 내지 [40]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69]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2.5 wt/vol% 이상인, [68]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70]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5 wt/vol% 이상인, [68]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71]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5 wt/vol% 이하인, [68]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72]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0 wt/vol% 이하인, [68]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73]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에틸렌글리콜이며,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0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1] 내지 [50]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74]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2.5 wt/vol% 이상인, [73]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75]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5 wt/vol% 이상인, [73]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76]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5 wt/vol% 이하인, [73]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77]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0 wt/vol% 이하인, [73]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78]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에틸렌글리콜이며,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0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22] 내지 [40]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79]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2.5 wt/vol% 이상인, [78]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80]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5 wt/vol% 이상인, [78]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81]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5 wt/vol% 이하인, [78]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82]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0 wt/vol% 이하인, [78]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83]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이며,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0.2 wt/vol% 이상 10 wt/vol% 이하인, [1] 내지 [50] 및 [52]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84]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0.45 wt/vol% 이상인, [83]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85]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0.5 wt/vol% 이상인, [83]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86]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7.5 wt/vol% 이하인, [83]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87]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5 wt/vol% 이하인, [83]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88]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이며,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0.2 wt/vol% 이상 10 wt/vol% 이하인, [22] 내지 [40]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89]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0.45 wt/vol% 이상인, [88]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90]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0.5 wt/vol% 이상인, [88]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91]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7.5 wt/vol% 이하인, [88]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92]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5 wt/vol% 이하인, [88]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93]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액상인, [1] 내지 [92]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94]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액상인, [22] 내지 [40]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95] 상기 페로시안화물이 페로시안화칼륨인, [1] 내지 [9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96] 상기 트린더 시약이 N,N-비스(4-술포부틸)-3-메틸아닐린인, [1] 내지 [95]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97] 상기 당화 단백질이 당화 알부민인, [1] 내지 [96]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98] 2℃ 이상 10℃ 이하에서 보존되는, [1] 내지 [97]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99]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디메틸술폭시드를 제외하는, [1] 내지 [98]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100]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한쪽이, 페록시다제를 더 포함하는, [1] 내지 [99]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101]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으로서,
검체에, 트린더 시약, 4-아미노안티피린, 프로테아제,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페로시안화물을 접촉시키는 것과,
검체 중에 존재하는 당화 단백질에 의존하는 발색을 검출하는 것
을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접촉시키는 것 전에, 상기 트린더 시약이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며,
적어도 상기 접촉시키는 것 전에,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이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고,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한쪽이,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한쪽이,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혼합한 경우의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안정화제이며,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에 있어서의 산화 환원 전위인,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02]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101]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03]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를 포함하는, [101] 또는 [10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04]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101]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05]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를 포함하는, [101], [102] 및 [10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06]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한쪽이, 상기 프로테아제,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는, [101]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07]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는, [101]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08]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혼합한 경우의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101] 내지 [107]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09]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101] 내지 [103] 및 [106]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10]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101], [104], [106] 및 [107]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11]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킬레이트제를 더 포함하는, [101] 내지 [110]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12] 상기 킬레이트제가,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글리콜에테르디아민사아세트산, N-(2-히드록시에틸)이미노이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스(메틸포스폰산), 니트릴로삼아세트산, 트랜스-1,2-디아미노시클로헥산-N,N,N,N-사아세트산, 이미노디아세트산, 디에틸렌트리아민-N,N,N',N",N"-오아세트산, 1,3-디아미노-2-프로판올-N,N,N',N'-사아세트산, 글루콘산, 말산, 숙신산, 시트르산, 살리실산, 타르타르산,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글리신, N,N-비스(2-히드록시에틸)글리신,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11]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13] 상기 킬레이트제가 시트르산 또는 그의 염인, [111]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14]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5 μmol/L 이상 1000 mmol/L 이하인, [111] 내지 [11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15]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10 μmol/L 이상인, [114]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16]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50 μmol/L 이상인, [114]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17]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100 mmol/L 이하인, [114]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18]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25 mmol/L 이하인, [114]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19]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으로서,
검체에, 트린더 시약, 4-아미노안티피린, 프로테아제,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페로시안화물을 접촉시키는 것과,
검체 중에 존재하는 당화 단백질에 의존하는 발색을 검출하는 것
을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접촉시키는 것 전에, 상기 트린더 시약이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며,
적어도 상기 접촉시키는 것 전에,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이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고,
적어도 상기 접촉시키는 것 전에, 상기 페로시안화물이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며,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혼합한 경우의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안정화제이며,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에 있어서의 산화 환원 전위인,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20]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11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21]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를 포함하는, [119] 또는 [120]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22]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11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23]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를 포함하는, [119], [120] 및 [122]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24]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11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25]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혼합한 경우의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119] 내지 [12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26]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과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혼합한 경우의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119] 또는 [12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27]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과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혼합한 경우의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119] 내지 [121]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28]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119] 또는 [124]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29]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또는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킬레이트제를 더 포함하는, [119] 내지 [128]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30] 상기 킬레이트제가,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글리콜에테르디아민사아세트산, N-(2-히드록시에틸)이미노이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스(메틸포스폰산), 니트릴로삼아세트산, 트랜스-1,2-디아미노시클로헥산-N,N,N,N-사아세트산, 이미노디아세트산, 디에틸렌트리아민-N,N,N',N",N"-오아세트산, 1,3-디아미노-2-프로판올-N,N,N',N'-사아세트산, 글루콘산, 말산, 숙신산, 시트르산, 살리실산, 타르타르산,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글리신, N,N-비스(2-히드록시에틸)글리신,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2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31] 상기 킬레이트제가 시트르산 또는 그의 염인, [12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32]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5 μmol/L 이상 1000 mmol/L 이하인, [129] 내지 [131]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33]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10 μmol/L 이상인, [13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34]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50 μmol/L 이상인, [13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35]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100 mmol/L 이하인, [13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36]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25 mmol/L 이하인, [13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37]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가,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2-아미노에탄술폰산과, 염화나트륨을 더 포함하는, [101] 내지 [136]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38]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은/염화은 전극을 참조 전극으로서 이용하여 측정된 산화 환원 전위인, [101] 내지 [137]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39]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0.058 V보다 크고 0.400 V 이하인, [101] 내지 [138]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40]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0.070 V 이상인, [13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41]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0.084 V 이상인, [13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42]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0.112 V 이상인, [13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43]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0.300 V 이하인, [13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44]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0.250 V 이하인, [13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45]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0.235 V 이하인, [13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46]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및 카르복시페닐보론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01] 내지 [145]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47]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프로필렌글리콜인, [101] 내지 [145]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48] 상기 카르복시페닐보론산이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인, [146]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49]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프로필렌글리콜이며,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7.5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101] 내지 [147]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50]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20 wt/vol% 이상인, [14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51]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25 wt/vol% 이상인, [14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52]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62.5 wt/vol% 이하인, [14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53]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60 wt/vol% 이하인, [14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54]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프로필렌글리콜이며,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7.5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119] 내지 [136]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55]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20 wt/vol% 이상인, [154]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56]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25 wt/vol% 이상인, [154]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57]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62.5 wt/vol% 이하인, [154]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58]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60 wt/vol% 이하인, [154]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59]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트리메틸렌글리콜이며,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0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101] 내지 [146]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60]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2.5 wt/vol% 이상인, [15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61]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5 wt/vol% 이상인, [15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62]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5 wt/vol% 이하인, [15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63]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0 wt/vol% 이하인, [15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64]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트리메틸렌글리콜이며,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0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119] 내지 [136]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65]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2.5 wt/vol% 이상인, [164]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66]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5 wt/vol% 이상인, [164]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67]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5 wt/vol% 이하인, [164]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68]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0 wt/vol% 이하인, [164]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69]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에틸렌글리콜이며,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0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101] 내지 [146]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70]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2.5 wt/vol% 이상인, [16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71]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5 wt/vol% 이상인, [16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72]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5 wt/vol% 이하인, [16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73]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0 wt/vol% 이하인, [16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74]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에틸렌글리콜이며,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0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119] 내지 [136]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75]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2.5 wt/vol% 이상인, [174]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76]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5 wt/vol% 이상인, [174]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77]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5 wt/vol% 이하인, [174]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78]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0 wt/vol% 이하인, [174]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79]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이며,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0.2 wt/vol% 이상 10 wt/vol% 이하인, [101] 내지 [146] 및 [148]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80]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0.45 wt/vol% 이상인, [17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81]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0.5 wt/vol% 이상인, [17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82]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7.5 wt/vol% 이하인, [17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83]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5 wt/vol% 이하인, [17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84]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이며,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0.2 wt/vol% 이상 10 wt/vol% 이하인, [119] 내지 [136]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85]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0.45 wt/vol% 이상인, [184]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86]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0.5 wt/vol% 이상인, [184]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87]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7.5 wt/vol% 이하인, [184]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88]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5 wt/vol% 이하인, [184]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89]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액상인, [101] 내지 [188]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90]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액상인, [119] 내지 [136]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91] 상기 페로시안화물이 페로시안화칼륨인, [101] 내지 [190]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92] 상기 트린더 시약이 N,N-비스(4-술포부틸)-3-메틸아닐린인, [101] 내지 [191]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93] 상기 당화 단백질이 당화 알부민인, [101] 내지 [192]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94]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2℃ 이상 10℃ 이하에서 보존되는, [101] 내지 [19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95]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2℃ 이상 10℃ 이하에서 보존되는, [101] 내지 [19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96]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2℃ 이상 10℃ 이하에서 보존되는, [119] 내지 [136]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97]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디메틸술폭시드를 제외하는, [101] 내지 [196]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98]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한쪽이, 페록시다제를 더 포함하는, [101] 내지 [197]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199]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으로서,
적어도 트린더 시약을 포함하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는 것과,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을 보존하는 것과,
적어도 4-아미노안티피린을 포함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는 것과,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보존하는 것
을 포함하고,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한쪽이,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한쪽이, 페로시안화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혼합한 경우의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안정화제이며,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에 있어서의 산화 환원 전위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00]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19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01]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를 포함하는, [199] 또는 [200]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02]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19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03]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를 포함하는, [199], [200], 및 [202]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04]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한쪽이, 상기 프로테아제,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는, [19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05]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는, [19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06]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혼합한 경우의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199] 내지 [205]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07]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199] 내지 [201] 및 [20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08]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199], [202], [204] 및 [205]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09]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킬레이트제를 더 포함하는, [199] 내지 [208]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10] 상기 킬레이트제가,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글리콜에테르디아민사아세트산, N-(2-히드록시에틸)이미노이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스(메틸포스폰산), 니트릴로삼아세트산, 트랜스-1,2-디아미노시클로헥산-N,N,N,N-사아세트산, 이미노디아세트산, 디에틸렌트리아민-N,N,N',N",N"-오아세트산, 1,3-디아미노-2-프로판올-N,N,N',N'-사아세트산, 글루콘산, 말산, 숙신산, 시트르산, 살리실산, 타르타르산,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글리신, N,N-비스(2-히드록시에틸)글리신,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20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11] 상기 킬레이트제가 시트르산 또는 그의 염인, [209]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12]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5 μmol/L 이상 1000 mmol/L 이하인, [209] 내지 [211]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13]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10 μmol/L 이상인, [21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14]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50 μmol/L 이상인, [21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15]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100 mmol/L 이하인, [21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16]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25 mmol/L 이하인, [21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17]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으로서,
적어도 트린더 시약을 포함하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는 것과,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을 보존하는 것과,
적어도 4-아미노안티피린을 포함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는 것과,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보존하는 것과,
적어도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는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는 것과,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보존하는 것
을 포함하고,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하나가,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혼합한 경우의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안정화제이고,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에 있어서의 산화 환원 전위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18]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21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19]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를 포함하는, [217] 또는 [218]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20]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21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21]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를 포함하는, [217], [218], 및 [220]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22]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21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23]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혼합한 경우의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217] 내지 [222]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24]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과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혼합한 경우의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217] 내지 [219]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25]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과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혼합한 경우의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217] 또는 [220]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26]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217] 또는 [22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27]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또는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킬레이트제를 더 포함하는, [217] 내지 [226]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28] 상기 킬레이트제가,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글리콜에테르디아민사아세트산, N-(2-히드록시에틸)이미노이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스(메틸포스폰산), 니트릴로삼아세트산, 트랜스-1,2-디아미노시클로헥산-N,N,N,N-사아세트산, 이미노디아세트산, 디에틸렌트리아민-N,N,N',N",N"-오아세트산, 1,3-디아미노-2-프로판올-N,N,N',N'-사아세트산, 글루콘산, 말산, 숙신산, 시트르산, 살리실산, 타르타르산,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글리신, N,N-비스(2-히드록시에틸)글리신,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22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29] 상기 킬레이트제가 시트르산 또는 그의 염인, [22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30]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5 μmol/L 이상 1000 mmol/L 이하인, [227] 내지 [229]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31]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10 μmol/L 이상인, [230]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32]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50 μmol/L 이상인, [230]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33]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100 mmol/L 이하인, [230]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34]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25 mmol/L 이하인, [230]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35]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가,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2-아미노에탄술폰산과, 염화나트륨을 더 포함하는, [199] 내지 [23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36]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은/염화은 전극을 참조 전극으로서 이용하여 측정된 산화 환원 전위인, [199] 내지 [235]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37]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0.058 V보다 크고 0.400 V 이하인, [199] 내지 [236]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38]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0.070 V 이상인, [23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39]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0.084 V 이상인, [23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40]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0.112 V 이상인, [23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41]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0.300 V 이하인, [23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42]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0.250 V 이하인, [23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43]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0.235 V 이하인, [23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44]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및 카르복시페닐보론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99] 내지 [24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45]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프로필렌글리콜인, [199] 내지 [24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46] 상기 카르복시페닐보론산이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인, [244]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47]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프로필렌글리콜이며,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7.5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199] 내지 [245]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48]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20 wt/vol% 이상인, [24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49]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25 wt/vol% 이상인, [24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50]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62.5 wt/vol% 이하인, [24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51]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60 wt/vol% 이하인, [24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52]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프로필렌글리콜이며,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7.5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217] 내지 [23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53]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20 wt/vol% 이상인, [25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54]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25 wt/vol% 이상인, [25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55]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62.5 wt/vol% 이하인, [25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56]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60 wt/vol% 이하인, [25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57]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트리메틸렌글리콜이며,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0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199] 내지 [24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58]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2.5 wt/vol% 이상인, [25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59]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5 wt/vol% 이상인, [25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60]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5 wt/vol% 이하인, [25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61]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0 wt/vol% 이하인, [25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62]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트리메틸렌글리콜이며,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0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217] 내지 [23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63]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2.5 wt/vol% 이상인, [26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64]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5 wt/vol% 이상인, [26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65]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5 wt/vol% 이하인, [26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66]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0 wt/vol% 이하인, [26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67]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에틸렌글리콜이며,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0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199] 내지 [24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68]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2.5 wt/vol% 이상인, [26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69]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5 wt/vol% 이상인, [26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70]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5 wt/vol% 이하인, [26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71]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0 wt/vol% 이하인, [26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72]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에틸렌글리콜이며,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0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217] 내지 [23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73]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2.5 wt/vol% 이상인, [27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74]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5 wt/vol% 이상인, [27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75]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5 wt/vol% 이하인, [27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76]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0 wt/vol% 이하인, [27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77]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이며,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0.2 wt/vol% 이상 10 wt/vol% 이하인, [199] 내지 [244] 및 [246]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78]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0.45 wt/vol% 이상인, [27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79]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0.5 wt/vol% 이상인, [27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80]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7.5 wt/vol% 이하인, [27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81]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5 wt/vol% 이하인, [27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82]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이며,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0.2 wt/vol% 이상 10 wt/vol% 이하인, [217] 내지 [23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83]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0.45 wt/vol% 이상인, [28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84]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0.5 wt/vol% 이상인, [28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85]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7.5 wt/vol% 이하인, [28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86]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5 wt/vol% 이하인, [28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87]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액상인, [199] 내지 [286]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88]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액상인, [217] 내지 [23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89] 상기 페로시안화물이 페로시안화칼륨인, [199] 내지 [288]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90] 상기 트린더 시약이 N,N-비스(4-술포부틸)-3-메틸아닐린인, [199] 내지 [289]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91] 상기 당화 단백질이 당화 알부민인, [199] 내지 [290]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92]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2℃ 이상 10℃ 이하에서 보존되는, [199] 내지 [291]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93]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2℃ 이상 10℃ 이하에서 보존되는, [199] 내지 [292]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94]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2℃ 이상 10℃ 이하에서 보존되는, [217] 내지 [23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95]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디메틸술폭시드를 제외하는, [199] 내지 [29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96]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한쪽이, 페록시다제를 더 포함하는, [199] 내지 [295]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297]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으로서,
적어도 트린더 시약을 포함하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는 것과,
적어도 4-아미노안티피린을 포함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는 것
을 포함하고,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한쪽에,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시키며,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한쪽에, 페로시안화물을 포함시키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혼합한 경우의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안정화제이며,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에 있어서의 산화 환원 전위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298]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시키는, [29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299]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에,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를 포함시키는, [297] 또는 [298]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00]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에,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시키는, [29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01]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를 포함시키는, [297], [298], 및 [300]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02]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한쪽에, 상기 프로테아제,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시키는, [29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03]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에, 상기 프로테아제,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시키는, [29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04]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혼합한 경우의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297] 내지 [30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05]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시키고,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297] 내지 [299] 및 [302]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06]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에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시키고,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297], [300], [302] 및 [30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07]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에, 킬레이트제를 더 포함시키는, [297] 내지 [306]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08] 상기 킬레이트제가,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글리콜에테르디아민사아세트산, N-(2-히드록시에틸)이미노이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스(메틸포스폰산), 니트릴로삼아세트산, 트랜스-1,2-디아미노시클로헥산-N,N,N,N-사아세트산, 이미노디아세트산, 디에틸렌트리아민-N,N,N',N",N"-오아세트산, 1,3-디아미노-2-프로판올-N,N,N',N'-사아세트산, 글루콘산, 말산, 숙신산, 시트르산, 살리실산, 타르타르산,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글리신, N,N-비스(2-히드록시에틸)글리신,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30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09] 상기 킬레이트제가 시트르산 또는 그의 염인, [307]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10]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5 μmol/L 이상 1000 mmol/L 이하인, [307] 내지 [309]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11]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10 μmol/L 이상인, [310]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12]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50 μmol/L 이상인, [310]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13]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100 mmol/L 이하인, [310]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14]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25 mmol/L 이하인, [310]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15]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으로서,
적어도 트린더 시약을 포함하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는 것과,
적어도 4-아미노안티피린을 포함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는 것과,
적어도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는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는 것
을 포함하고,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하나에,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시키며,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혼합한 경우의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안정화제이고,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에 있어서의 산화 환원 전위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16]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시키는, [315]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17]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에,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를 포함시키는, [315] 또는 [316]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18]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에,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시키는, [315]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19]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를 포함시키는, [315], [316], 및 [318]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20]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시키는, [315]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21]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혼합한 경우의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315] 내지 [320]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22]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과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혼합한 경우의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315] 내지 [317]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23]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과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혼합한 경우의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315] 및 [318]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24]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315] 및 [320]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25]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또는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킬레이트제를 더 포함시키는, [315] 내지 [32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26] 상기 킬레이트제가,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글리콜에테르디아민사아세트산, N-(2-히드록시에틸)이미노이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스(메틸포스폰산), 니트릴로삼아세트산, 트랜스-1,2-디아미노시클로헥산-N,N,N,N-사아세트산, 이미노디아세트산, 디에틸렌트리아민-N,N,N',N",N"-오아세트산, 1,3-디아미노-2-프로판올-N,N,N',N'-사아세트산, 글루콘산, 말산, 숙신산, 시트르산, 살리실산, 타르타르산,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글리신, N,N-비스(2-히드록시에틸)글리신,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325]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27] 상기 킬레이트제가 시트르산 또는 그의 염인, [325]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28]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5 μmol/L 이상 1000 mmol/L 이하인, [325] 내지 [327]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29]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10 μmol/L 이상인, [328]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30]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50 μmol/L 이상인, [328]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31]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100 mmol/L 이하인, [328]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32] 상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25 mmol/L 이하인, [328]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33]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가,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2-아미노에탄술폰산과, 염화나트륨을 더 포함하는, [297] 내지 [332]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34]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은/염화은 전극을 참조 전극으로서 이용하여 측정된 산화 환원 전위인, [297] 내지 [33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35]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0.058 V보다 크고 0.400 V 이하인, [297] 내지 [33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36]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0.070 V 이상인, [335]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37]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0.084 V 이상인, [335]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38]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0.112 V 이상인, [335]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39]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0.300 V 이하인, [335]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40]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0.250 V 이하인, [335]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41]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0.235 V 이하인, [335]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42]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및 카르복시페닐보론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297] 내지 [341]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43]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프로필렌글리콜인, [297] 내지 [341]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44] 상기 카르복시페닐보론산이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인, [342]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45]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프로필렌글리콜이며,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7.5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297] 내지 [34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46]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20 wt/vol% 이상인, [345]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47]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25 wt/vol% 이상인, [345]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48]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62.5 wt/vol% 이하인, [345]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49]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60 wt/vol% 이하인, [345]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50]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프로필렌글리콜이며,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7.5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315] 내지 [332]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51]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20 wt/vol% 이상인, [350]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52]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25 wt/vol% 이상인, [350]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53]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62.5 wt/vol% 이하인, [350]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54]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60 wt/vol% 이하인, [350]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55]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트리메틸렌글리콜이며,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0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297] 내지 [342]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56]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2.5 wt/vol% 이상인, [355]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57]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5 wt/vol% 이상인, [355]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58]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5 wt/vol% 이하인, [355]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59]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0 wt/vol% 이하인, [355]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60]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트리메틸렌글리콜이며,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0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315] 내지 [332]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61]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2.5 wt/vol% 이상인, [360]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62]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5 wt/vol% 이상인, [360]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63]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5 wt/vol% 이하인, [360]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64]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0 wt/vol% 이하인, [360]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65]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에틸렌글리콜이며,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0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297] 내지 [342]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66]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2.5 wt/vol% 이상인, [365]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67]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5 wt/vol% 이상인, [365]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68]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5 wt/vol% 이하인, [365]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69]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0 wt/vol% 이하인, [365]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70]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에틸렌글리콜이며,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0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315] 내지 [332]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71]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2.5 wt/vol% 이상인, [370]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72]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5 wt/vol% 이상인, [370]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73]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5 wt/vol% 이하인, [370]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74]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70 wt/vol% 이하인, [370]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75]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이며,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0.2 wt/vol% 이상 10 wt/vol% 이하인, [297] 내지 [342] 및 [34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76]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0.45 wt/vol% 이상인, [375]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77]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0.5 wt/vol% 이상인, [375]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78]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7.5 wt/vol% 이하인, [375]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79]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5 wt/vol% 이하인, [375]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80]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이며,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0.2 wt/vol% 이상 10 wt/vol% 이하인, [315] 내지 [332]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81]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0.45 wt/vol% 이상인, [380]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82]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0.5 wt/vol% 이상인, [380]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83]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7.5 wt/vol% 이하인, [380]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84]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5 wt/vol% 이하인, [380]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85]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액상인, [297] 내지 [38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86]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액상인, [315] 내지 [332]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87] 상기 페로시안화물이 페로시안화칼륨인, [297] 내지 [386]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88] 상기 트린더 시약이 N,N-비스(4-술포부틸)-3-메틸아닐린인, [297] 내지 [387]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89] 상기 당화 단백질이 당화 알부민인, [297] 내지 [388]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90]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2℃ 이상 10℃ 이하에서 보존되는, [297] 내지 [389]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91]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2℃ 이상 10℃ 이하에서 보존되는, [297] 내지 [390]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92]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2℃ 이상 10℃ 이하에서 보존되는, [315] 내지 [332]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93]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디메틸술폭시드를 제외하는, [297] 내지 [392]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94]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한쪽이, 페록시다제를 더 포함하는, [297] 내지 [39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95]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5℃에서 28일 보존한 후의 측정 감도에 대한,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5℃에서 1년 보존한 후의 측정 감도의 비율이 80% 이상 110% 이하인, [297] 내지 [39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396]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5℃에서 28일 보존한 후의 측정 감도에 대한,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5℃에서 1년 보존한 후의 측정 감도의 비율이 80% 이상 110% 이하인, [315] 내지 [332]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시약 블랭크 상승을 억제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및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실시예 2에 따른 부분 조성물을 14일 보존한 후의 시약 블랭크와,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4에 따른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pH,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에 첨가된 킬레이트제와, 시약 블랭크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7에 따른 부분 조성물을 1년 보존한 후의 시약 블랭크와,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9에 따른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pH,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에 첨가된 킬레이트제와, 시약 블랭크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이하에 있어서, 「실시형태」라고 한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장치나 방법을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구성 부재의 조합 등을 하기의 것에 특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은, 적어도 트린더 시약, 4-아미노안티피린, 프로테아제,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적어도 트린더 시약이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며, 적어도 4-아미노안티피린이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고, 안정화제가, 상기 안정화제와 혼합한 경우의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안정화제로서, 산화 환원 전위가, 안정화제 및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에 있어서의 산화 환원 전위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 시약이란, 측정 대상을 측정하는 시약이고, 예컨대 부분 조성물의 집합체이다. 시약은, 그것만으로 측정 대상을 검출 가능하다. 부분 조성물이란, 시약의 일부를 구성하는 조성물이다. 부분 조성물은, 그것만으로는 측정 대상을 측정할 수 없다.
페로시안화물은,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혹은, 페로시안화물은,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과는 상이한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실시형태에 따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은, 키트의 형태로 보존, 유통 및 사용되어도 좋다. 키트의 형태로서는, 예컨대 2시약계 키트, 3시약계 키트 등을 들 수 있다. 예컨대 2시약계 키트의 경우, 페로시안화물은,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된다. 예컨대 3시약계 키트의 경우, 페로시안화물은,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과는 상이한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된다. 트린더 시약과, 4-아미노안티피린과, 페로시안화물을 따로 보존하는 형태인 3시약계 키트는, 2시약계 키트보다 감도 저하가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검체 감도 잔존율이 높은 경향이 있다. 단, 실시형태에 따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이 2시약계인 것도 무방하다.
당화 단백질은, 예컨대 당화 알부민(GA), 당화 헤모글로빈(HbA1c 등)이다.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은,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 페로시안화물, 프로테아제,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페록시다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은,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 페로시안화물, 및 페록시다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프로테아제 및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은, 페로시안화물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 또는 페록시다제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은,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 페로시안화물, 프로테아제,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페록시다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는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은,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 페로시안화물, 및 페록시다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프로테아제 및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은, 페로시안화물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 또는 페록시다제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실시형태에 따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과, 측정 대상의 검체(샘플 검체)에 포함되는 글루코스가 결합한 단백질(당화 단백질)을 접촉시키면, 당화 단백질이 프로테아제에 의해 당화 아미노산 혹은 당화 펩티드로 분해된다. 당화 아미노산 혹은 당화 펩티드는,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에 의해 아미노산 혹은 펩티드와 글루코손으로 분해된다. 또한, 이때,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에 의해, 물과 산소가 반응하여, 과산화수소가 발생한다. 트린더 시약과, 4-아미노안티피린은, 과산화수소 및 페록시다제의 존재하, 산화 축합 반응하여 정색(呈色)한다. 예컨대 트린더 시약으로서, N,N-비스(4-술포부틸)-3-메틸아닐린(TODB)을 이용한 경우, 청자색으로 정색하는 발색 반응이 발생한다. 청자색의 정색은, 파장 546 ㎚에 있어서의 흡광도의 측정에 의해 검출된다. 파장 546 ㎚에 있어서의 흡광도에 기초하여, 검체에 포함되는 당화 단백질의 농도가 정량된다.
실시형태에 따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에 있어서, 페로시안화물이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실시형태에 따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통상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는, 샘플 검체에 최초로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을 첨가하여, 수분, 예컨대 5분 내지 10분 정도, 샘플 검체와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의 혼합물을 방치하고, 그 후, 상기 혼합물에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첨가하여, 발색의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당화 단백질을 측정할 수 있다. 단, 경우에 따라서는, 샘플 검체에 첨가할 때에,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동시에 첨가 혼합해도 좋고,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미리 혼합하여 즉시 사용해도 좋으며, 우선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샘플 검체에 첨가하고, 그 후,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을 첨가해도 좋다.
실시형태에 따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에 있어서, 페로시안화물이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 예컨대, 미리,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과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혼합되어,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준비된다. 그 경우, 샘플 검체에 최초로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을 첨가하여, 수분, 예컨대 5분 내지 10분 정도, 샘플 검체와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의 혼합물을 방치하고, 그 후, 상기 혼합물에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첨가하여, 발색의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당화 단백질을 측정할 수 있다. 단, 경우에 따라서는, 샘플 검체에 첨가할 때에,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과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동시에 첨가 혼합해도 좋고,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과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미리 혼합하여 즉시 사용해도 좋으며, 우선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샘플 검체에 첨가하고, 그 후,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을 첨가해도 좋다. 또는, 미리,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과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혼합되어, 트린더 시약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준비해도 좋다. 그 경우, 샘플 검체에 최초로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첨가하여, 수분, 예컨대 5분 내지 10분 정도, 샘플 검체와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의 혼합물을 방치하고, 그 후, 상기 혼합물에 트린더 시약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첨가하여, 발색의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당화 단백질을 측정할 수 있다. 단, 경우에 따라서는, 샘플 검체에 첨가할 때에,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과 트린더 시약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동시에 첨가 혼합해도 좋고,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과 트린더 시약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미리 혼합하여 즉시 사용해도 좋으며, 우선 트린더 시약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샘플 검체에 첨가하고, 그 후,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첨가해도 좋다. 또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미리 혼합하여, 트린더 시약 및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로 해도 좋다. 그 경우, 우선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과 샘플 검체를 혼합하여, 수분, 예컨대 5분 내지 10분 정도, 샘플 검체와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의 혼합물을 방치하고, 그 후, 트린더 시약 및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혼합해도 좋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샘플 검체에 첨가할 때에,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과 트린더 시약 및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동시에 첨가 혼합해도 좋고,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과 트린더 시약 및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미리 혼합하여 첨가해도 좋으며, 우선 트린더 시약 및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샘플 검체와 혼합하고 나서,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첨가해도 좋다. 혹은, 샘플 검체와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과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동시에 첨가 혼합해도 좋고,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과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미리 혼합하여, 샘플 검체에 첨가해도 좋다.
당화 단백질을 정량하기 위해서는, 통상, 당화 단백질 농도가 기지인 하나 이상의 검량용 물질(캘리브레이터)을 측정하여, 캘리브레이션을 행하는 경우가 많다. 캘리브레이터의 제작 방법이나 캘리브레이션 방법으로서는 공지 정보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실시할 수 있으나, 예컨대, 국제 공개 제2001/094618호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61383호 공보 등의 기재를 참고로 적절히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시약 보존 중의 감도 저하에 의한 측정값의 변동을 보정하기 위해서, 예컨대 1개월에 1회 등 정기적으로 캘리브레이션을 행하는 것이 통상이다. 한편, 감도 저하가 억제된 시약이면, 첫회만 캘리브레이션을 행하면, 그 후의 측정에서는 캘리브레이션을 행하지 않아도 장기에 걸쳐 안정된 측정값을 얻을 수 있어, 논캘리브레이션 측정이 가능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프로테아제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프로테아제는, 당화 단백질을 분해하여 당화 아미노산 또는 당화 펩티드를 유효하게 생성하는 것이면 된다. 프로테아제는, 예컨대, 엔도펩티다제이다. 엔도펩티다제의 예로서는, 세린 엔도펩티다제를 들 수 있다. 프로테아제는, 바실루스(Bacillus)속,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속, 트리티라키움(Tritirachium)속, 및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속 등의 미생물 유래 프로테아제 및 그 유전자 재조합형 프로테아제를 들 수 있다. 바실루스속 유래 프로테아제의 예로서는, 알칼라제, 뉴트라제, 에스페라제, 사비나제(이상, 노보자임스사 제조), 비오프라제(Bioprase) OP, 비오프라제 SP-20FG, 비오프라제 30L, 비오프라제 30G, 비오프라제 AL-15FG, 비오프라제 APL-30, 프로테아제 CL-15(이상, 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프로틴 SD PC-10CF, 서모아제 PC-10F, 프로틴 SD-AY10, 프로틴 SD-NY10(이상, 아마노 엔자임사 제조), Multifect PR6L, Optimase PR40L, Optimase PR40X, Optimase PR40E(이상, 다니스코 재팬사 제조), 오리엔타제(Orientase) 22BF, 누크레이신(Nucleisin), 오리엔타제 10NL, 오리엔타제 90N(이상, 에이치비아이사 제조), 아로아제(AROASE) AP-10, 아로아제 NP-10, 아로아제 XA-10(이상, 야쿠르트 야쿠힌 고교사 제조), 서브틸리신, 세균 프로테이나제 타입 XXIV, 프로테아제 바실루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타입 VIII, 프로테아제 바실루스 폴리믹사(Bacillus polymyxa) 유래 타입 IX, 서몰리신 게오바실루스 스테아로테르모필루스(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유래 타입 X, 프로테아제 바실루스 포르믹사 유래 타입 XV, 프로테아제 바실루스 sp. 유래 타입 XXVII, 프로테아제 바실루스 리체니포르미스 유래 타입 XXXI(이상, 시그마사 제조), 서몰리신(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디스파제 I, 디스파제 II(이상, 고도 슈세이사 제조), Neutral Proteinase(TOYOBO USA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스트렙토마이세스속 유래 프로테아제의 예로서는, 프로나제, 프로테아제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Streptomyces griseus) 유래 타입 XIV(이상, 시그마사 제조), Alkalophilic proteinase(TOYOBO USA사 제조), 데나자임(DENAZYME) PMC SOFTER(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트리티라키움속 유래 프로테아제의 예로서는, 프로테이나제 K(시그마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아스페르길루스속 유래 프로테아제의 예로서는, 프로테아제 P 「아마노」 3SD, 프로테아제 A 「아마노」 SD, 프로테아제 M 「아마노」 SD(이상, 아마노 엔자임사 제조), 스미자임(Sumizyme) MP, 스미자임 LPL-G, 스미자임 LP50D, 스미자임 AP(이상, 신니혼 가가쿠 고교사 제조), 오리엔타제 OP, 오리엔타제 AY(이상, 에이치비아이사 제조), 프로테아제 아스페르길루스 사이토이(Aspergillus saitoi) 유래 타입 XIII, 프로테아제 아스페르길루스 소자에(Aspergillus sojae) 유래 타입 XIX, 프로테아제 아스페르길루스 멜레우스(Aspergillus melleus) 유래 타입 XXIII, 프로테아제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이상, 시그마사 제조), 데나자임 AP, 데나프신(Denapsin) 2P(이상, 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판티다제(PANCIDASE) NP-2, 판티다제 MP, 판티다제 P(이상, 야쿠르트 야쿠힌 고교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알칼라제, 비오프라제 SP-20FG, 프로틴 SD-AY10, Multifect PR6L, Optimase PR40L, 아로아제 XA-10, 서브틸리신, 프로나제, 프로테이나제 K, PR "Amano" K가 적합하다.
또한 다른 관점에서 프로테아제로서는, 예컨대, 효소 번호가 EC:3.4, 또는 EC:3.4.21의 프로테아제를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또한 EC:3.4.21.62의 프로테아제도 더욱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는,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페로시안화물을 혼합한 경우의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한다. 또한, 상기 산화 환원 전위는,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에 있어서 측정되는 산화 환원 전위이다. 상기 반응계는,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2-아미노에탄술폰산과, 염화나트륨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산화 환원 전위는, 은/염화은 전극을 참조 전극으로서 이용하여 측정되어도 좋다. 산화 환원 전위를 측정하는 반응계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에서 후술한다.
산화 환원 전위의 하한은, 예컨대 0.058 V보다 크고, 0.070 V 이상, 0.084 V 이상, 혹은 0.112 V 이상이어도 좋다. 산화 환원 전위의 상한은, 예컨대 0.400 V 이하, 0.300 V 이하, 0.250 V 이하, 혹은 0.235 V 이하여도 좋다.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예로서는, 예컨대,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및 카르복시페닐보론산,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예로서는,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을 들 수 있다. 안정화제는, 유효 농도, 용해도, 및 비용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글리콜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는, 디메틸술폭시드를 포함하지 않는다.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페로시안화물을 혼합한 경우의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지 않는 안정화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에서 제외된다.
페로시안화물은,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페로시안화물은, 검체에 포함되는 빌리루빈이 당화 단백질의 측정에 영향을 주는 것을 억제한다. 페로시안화물의 예로서는 페로시안 이온을 함유하는 어느 화합물이어도 좋고, 예컨대 페로시안화칼륨(Fe(CN)6K4) 및 페로시안화나트륨(Fe(CN)6Na4)을 들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에 있어서, 페로시안화물이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프로테아제 및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는, 예컨대,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한쪽에 포함된다. 혹은, 프로테아제,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페로시안화물은, 예컨대,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한쪽에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테아제,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페로시안화물은,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된다.
실시형태에 따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에 있어서, 페로시안화물이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프로테아제 및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는, 예컨대,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다. 예컨대, 프로테아제 및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된다. 혹은, 프로테아제 및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는,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된다. 또한 혹은, 프로테아제 및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는,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된다.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로서는 인간 단백질 유래의 당화 아미노산 혹은 당화 펩티드에 유효하게 작용하는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이면 되고, 그 예로서는, 지베렐라(Gibberella)속,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속, 칸디다(Candida)속, 페니실륨(Penicillium)속, 푸사리움(Fusarium)속, 아크레모늄(Acremonium)속, 데바리오마이세스(Debaryomyces)속, 및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속 유래의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 및 그 유전자 재조합형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 변이체 등을 들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케토아민 옥시다제(KAOD, 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Clinica Chimica Acta, 2002년, 324, p.61-71에 기재), 변이형 KAOD(KAOD-V, 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특허문헌 1에 기재), 및 FAOD-E(기꼬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는 트린더 시약의 예로서는, 구체적으로는 N-(3-술포프로필)아닐린(HALPS), N-에틸-N-(3-술포프로필)-3-메틸아닐린(TOPS), N-에틸-N-(2-히드록시-3-술포프로필)-3,5-디메틸아닐린(MAOS), N-(3-술포프로필)-3,5-디메톡시아닐린(HDAPS), N-(2-히드록시-3-술포프로필)-3,5-디메톡시아닐린(HDAOS), N-에틸-N-(3-술포프로필)-3,5-디메톡시아닐린(DAPS), N-에틸-N-(2-히드록시-3-술포프로필)-3,5-디메톡시아닐린(DAOS), N-에틸-N-(3-술포프로필)아닐린(ALPS), N-에틸-N-(3-술포프로필)-3-메톡시아닐린(ADPS), N-에틸-N-(2-히드록시-3-술포프로필)-3-메톡시아닐린(ADOS), N-에틸-N-(2-히드록시-3-술포프로필)-3-메틸아닐린(TOOS), N,N-비스(4-술포부틸)-3-메틸아닐린(TODB), 및 3-히드록시-2,4,6-트리요오도벤조산(HTIB), 및 이들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TOPS, ALPS, TOOS, 및 TODB가 적합하다.
TOPS를 이용한 경우의 발색 파장은 550 ㎚이다. ALPS를 이용한 경우의 발색 파장은 561 ㎚이다. TOOS를 이용한 경우의 발색 파장은 555 ㎚이다. TODB를 이용한 경우의 발색 파장은 550 ㎚이다. 단, 흡광도를 측정하는 장치가 측정하는 파장은, 발색 파장과 엄밀히 일치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예컨대, 파장 546 ㎚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측정하는 장치로, TOPS, ALPS, TOOS, 및 TODB의 각각을 이용한 경우의 발색 반응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트린더 시약과 4-아미노안티피린을 동일 시약 중에 포함시키면, 자연스럽게 산화 축합 반응하여 보존 중에 정색하기 때문에, 트린더 시약은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함유되고, 4-아미노안티피린은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에 함유된다.
종래, 측정 시약이나 검체 등에서 유래하는 과산화물에 의해 비특이적인 발색 반응이 일어나고, 이 흡광도가 측정 정밀도를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들 비특이적인 발색을 시약 블랭크라고 한다. 이에 대해,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페록시다제는, 트린더 시약과 4-아미노안티피린의 산화 축합 반응을 촉진하고, 과산화수소를 소거하여, 시약 블랭크를 저감하는 기능을 갖는다. 페록시다제는 어느 것의 유래의 것도 사용할 수 있고, 그 예로서는, 서양 고추냉이 유래 등의 식물 유래의 페록시다제, 및 세균 유래, 곰팡이 유래 등의 미생물 유래의 페록시다제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겨자무 과산화효소(Peroxidase from horseradish)(Sigma사 제조), 페록시다제, 서양 고추냉이 유래(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PO "AMANO" 3(아마노 엔자임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적어도 한쪽은, 킬레이트제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킬레이트제의 염을 사용하면, pH 변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킬레이트제의 예로서는,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글리콜에테르디아민사아세트산, N-(2-히드록시에틸)이미노이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스(메틸포스폰산), 니트릴로삼아세트산, 트랜스-1,2-디아미노시클로헥산-N,N,N,N-사아세트산, 이미노디아세트산, 디에틸렌트리아민-N,N,N',N",N"-오아세트산, 1,3-디아미노-2-프로판올-N,N,N',N'-사아세트산, 글루콘산, 말산, 숙신산, 시트르산, 살리실산, 타르타르산,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글리신, N,N-비스(2-히드록시에틸)글리신, 및 이들의 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킬레이트제는, 예컨대, 시트르산 및 그의 염이다.
킬레이트제의 염으로서는, 염을 형성하는 것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산 부가염 또는 염기 부가염의 어느 것이어도 좋으며, 쌍성 이온의 형태를 취하고 있어도 좋다. 염기 부가염으로서는, 예컨대,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알루미늄 등의 무기 염기와의 염기 부가염, 혹은 메틸아민, 2-아미노에탄올, 아르기닌, 리신, 혹은 오르니틴 등의 유기 염기와의 염기 부가염 등이 포함된다. 이들 중 무기 염기와의 염기 부가염이 적합하다. 또한, 대표적인 염기 부가염으로서는, 나트륨염이 예시된다.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의 각각은, 용매로서, 물 및 유기 용매 등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유기 용매의 예로서는, 알코올계 용매(탄소수 1∼18의 알코올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메탄올, 부탄올, 에틸렌글리콜, 및 글리세린 등), 케톤계 용매(아세톤, 및 메틸에틸케톤 등), 및 에테르계 용매 등(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 및 테트라히드로푸란으로 대표되는 환상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의 각각은, 완충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완충제의 예로서는,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2-아미노에탄술폰산(TES), 3-[4-(2-히드록시에틸)-1-피페라지닐]프로판술폰산(EPPS), 2-[4-(2-히드록시에틸)-1-피페라지닐]에탄술폰산(HEPES), 2-히드록시-3-[4-(2-히드록시에틸)-1-피페라지닐]프로판술폰산(HEPPSO), N-(2-아세트아미드)-2-아미노에탄술폰산(ACES), N-(2-아세트아미드)이미노디아세트산(ADA), N,N-비스(2-히드록시에틸)-2-아미노에탄술폰산(BES), N,N-비스(2-히드록시에틸)글리신(Bicine), 비스(2-히드록시에틸)이미노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탄(Bis-Tris), N-시클로헥실-3-아미노프로판술폰산(CAPS), N-시클로헥실-2-히드록시-3-아미노프로판술폰산(CAPSO), N-시클로헥실-2-아미노에탄술폰산(CHES), 3-[N,N-비스(2-히드록시에틸)아미노]-2-히드록시프로판술폰산(DIPSO), 2-모르폴리노에탄술폰산(MES), 3-모르폴리노프로판술폰산(MOPS), 2-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판술폰산(MOPSO), 피페라진-1,4-비스(2-에탄술폰산)(PIPES), 피페라진-1,4-비스(2-히드록시-3-프로판술폰산)(POPSO),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3-아미노프로판술폰산(TAPS), 2-히드록시-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3-아미노프로판술폰산(TAPSO),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글리신(Tricine), 및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Tris) 등을 이용한 완충제, 또는 붕산, 암모니아, 글리신, 탄산, 아세트산, 인산, 디에탄올아민, p-페놀술폰산, 2-아미노-2-메틸프로판-1,3-디올, 카코딜산, 말레산, 베로날 및 3,3-디메틸글루타르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의 각각은, 그 외의 첨가물로서 방부제, 효소의 안정화제, 계면 활성제, 및 그 외의 효소 등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방부제의 예로서는, 아지드화나트륨, 및 프로클린(ProClin) 등을 들 수 있다. 효소의 안정화제로서는, 보존 중에 효소를 안정화시키는 안정화제이면 어느 것이나 이용 가능하지만, 예컨대, 시클로덱스트린, 수크로스, 만노스, 프룩토스, 락토스, 갈락토스 및 트레할로스 등의 당, 소르비톨, 만니톨 등의 당알코올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어느 것을 이용해도 좋고, 예컨대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예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양성 계면 활성제의 예로서는, 알킬베타인, 아세트산베타인, 술포베타인, 및 알킬아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의 효소로서는, 예컨대 아스코르브산 옥시다제, 빌리루빈 옥시다제, 카탈라제 등을 들 수 있고, 이것은 검체 중에 포함되는 아스코르브산이나 빌리루빈, 또는 내재성의 과산화물이 측정값에 영향을 주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4-아미노안티피린의 농도는, 발생한 과산화수소와 반응하기에 충분한 농도이면 되고, 하한으로서는, 0.01 mmol/L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mmol/L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mmol/L 이상이 예시된다. 또한, 상한으로서는, 비용의 관점에서, 100 mmol/L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mmol/L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mmol/L 이하가 예시된다.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프로테아제의 농도는, 적당한 시간 내에 당화 단백질을 분해할 수 있는 농도이면 되고, 하한으로서는, 100 U/mL 이상, 바람직하게는 1 kU/mL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kU/mL 이상이 예시된다. 또한, 상한으로서는, 비용의 관점에서, 1000 kU/mL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 kU/mL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kU/mL 이하가 예시된다.
실시형태에 따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에 있어서의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는,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에 있어서,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페로시안화물을 혼합한 경우의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할 수 있는 농도이다.
예컨대, 실시형태에 따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에 있어서,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는 경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에 있어서,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페로시안화물을 혼합한 경우의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할 수 있는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와 동일하게 되도록 조정된다.
예컨대,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는 경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에 있어서,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페로시안화물을 혼합한 경우의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할 수 있는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와 동일하게 되도록 조정된다.
예컨대,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는 경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혼합했을 때의 농도가,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에 있어서,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페로시안화물을 혼합한 경우의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할 수 있는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와 동일하게 되도록 조정된다.
예컨대,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는 경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과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을 혼합했을 때의 농도가,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에 있어서,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페로시안화물을 혼합한 경우의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할 수 있는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와 동일하게 되도록 조정된다.
예컨대,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페로시안화물이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프로테아제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어느 한쪽과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혼합했을 때의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에 있어서,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페로시안화물을 혼합한 경우의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할 수 있는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와 동일하게 되도록 조정된다.
예컨대,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페로시안화물과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경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에 있어서,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페로시안화물을 혼합한 경우의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할 수 있는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와 동일하게 되도록 조정된다.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프로필렌글리콜인 경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의 하한은, 예컨대 7.5 wt/vol% 이상, 10 wt/vol% 이상, 15 wt/vol% 이상, 20 wt/vol% 이상, 22.5 wt/vol% 이상, 25 wt/vol% 이상, 27.5 wt/vol% 이상, 30 wt/vol% 이상, 35 wt/vol% 이상, 혹은 37.5 wt/vol% 이상이다. 또한,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의 상한은, 예컨대 80 wt/vol% 이하, 62.5 wt/vol% 이하, 60 wt/vol% 이하, 57.5 wt/vol% 이하, 55 wt/vol% 이하, 52.5 wt/vol% 이하, 혹은 50 wt/vol% 이하이다.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트리메틸렌글리콜인 경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의 하한은, 예컨대 40 wt/vol% 이상, 42.5 wt/vol% 이상, 45 wt/vol% 이상, 47.5 wt/vol% 이상, 50 wt/vol% 이상, 52.5 wt/vol% 이상, 55 wt/vol% 이상, 57.5 wt/vol% 이상, 60 wt/vol% 이상, 혹은 62.5 wt/vol% 이상이다.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의 상한은, 예컨대 80 wt/vol% 이하, 75 wt/vol% 이하, 혹은 70 wt/vol% 이하이다.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에틸렌글리콜인 경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에틸렌글리콜의 농도의 하한은, 예컨대 40 wt/vol% 이상, 42.5 wt/vol% 이상, 45 wt/vol% 이상, 47.5 wt/vol% 이상, 50 wt/vol% 이상, 52.5 wt/vol% 이상, 55 wt/vol% 이상, 57.5 wt/vol% 이상, 60 wt/vol% 이상, 혹은 62.5 wt/vol% 이상이다.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에틸렌글리콜의 농도의 상한은, 예컨대 80 wt/vol% 이하, 75 wt/vol% 이하, 혹은 70 wt/vol% 이하이다.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인 경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의 하한은, 예컨대 0.2 wt/vol% 이상, 0.45 wt/vol% 이상, 0.5 wt/vol% 이상, 0.55 wt/vol% 이상, 0.6 wt/vol% 이상, 0.75 wt/vol% 이상이다.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의 상한은, 예컨대 10 wt/vol% 이하, 7.5 wt/vol% 이하, 5 wt/vol% 이하이다.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프로필렌글리콜인 경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의 하한은, 예컨대 7.5 wt/vol% 이상, 10 wt/vol% 이상, 15 wt/vol% 이상, 20 wt/vol% 이상, 22.5 wt/vol% 이상, 25 wt/vol% 이상, 27.5 wt/vol% 이상, 30 wt/vol% 이상, 35 wt/vol% 이상, 혹은 37.5 wt/vol% 이상이다. 또한,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의 상한은, 예컨대 80 wt/vol% 이하, 62.5 wt/vol% 이하, 60 wt/vol% 이하, 57.5 wt/vol% 이하, 55 wt/vol% 이하, 52.5 wt/vol% 이하, 혹은 50 wt/vol% 이하이다.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트리메틸렌글리콜인 경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의 하한은, 예컨대 40 wt/vol% 이상, 42.5 wt/vol% 이상, 45 wt/vol% 이상, 47.5 wt/vol% 이상, 50 wt/vol% 이상, 52.5 wt/vol% 이상, 55 wt/vol% 이상, 57.5 wt/vol% 이상, 60 wt/vol% 이상, 혹은 62.5 wt/vol% 이상이다.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의 상한은, 예컨대 80 wt/vol% 이하, 75 wt/vol% 이하, 혹은 70 wt/vol% 이하이다.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에틸렌글리콜인 경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에틸렌글리콜의 농도의 하한은, 예컨대 40 wt/vol% 이상, 42.5 wt/vol% 이상, 45 wt/vol% 이상, 47.5 wt/vol% 이상, 50 wt/vol% 이상, 52.5 wt/vol% 이상, 55 wt/vol% 이상, 57.5 wt/vol% 이상, 60 wt/vol% 이상, 혹은 62.5 wt/vol% 이상이다.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에틸렌글리콜의 농도의 상한은, 예컨대 80 wt/vol% 이하, 75 wt/vol% 이하, 혹은 70 wt/vol% 이하이다.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인 경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의 하한은, 예컨대 0.2 wt/vol% 이상, 0.45 wt/vol% 이상, 0.5 wt/vol% 이상, 0.55 wt/vol% 이상, 0.6 wt/vol% 이상, 혹은 0.75 wt/vol% 이상이다.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의 상한은, 예컨대 10 wt/vol% 이하, 7.5 wt/vol% 이하, 혹은 5 wt/vol% 이하이다.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페로시안화물의 농도는, 검체에 포함되는 빌리루빈이 당화 단백질의 측정에 주는 영향을 억제하기에 충분한 농도이면 되고, 하한으로서는, 0.001 mmol/L 이상, 바람직하게는 0.01 mmol/L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mmol/L 이상이 예시된다. 또한, 비용의 관점에서, 상한으로서는, 10 mmol/L 이하, 바람직하게는 1 mmol/L 이하, 0.9 mmol/L 이하, 0.8 mmol/L 이하, 0.7 mmol/L 이하, 0.6 mmol/L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mmol/L 이하가 예시된다.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혹은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의 농도는, 발생한 당화 아미노산과 반응하기에 충분한 농도이면 되고, 하한으로서는, 0.1 U/mL 이상, 바람직하게는 1 U/mL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U/mL 이상이 예시된다. 또한, 비용의 관점에서, 상한으로서는, 1000 U/mL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 U/mL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U/mL 이하가 예시된다.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트린더 시약의 농도는, 발생한 과산화수소와 반응하기에 충분한 농도이면 되고, 하한으로서는, 0.01 mmol/L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mmol/L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mmol/L 이상이 예시된다. 또한, 상한으로서는, 비용의 관점에서, 100 mmol/L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mmol/L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mmol/L 이하가 예시된다.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혹은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페록시다제의 농도는, 발생한 과산화수소와 반응하기에 충분한 농도이면 되고, 하한으로서는, 0.01 U/mL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U/mL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 U/mL 이상이 예시된다. 또한, 비용의 관점에서, 상한으로서는, 500 U/mL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U/mL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U/mL 이하가 예시된다.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킬레이트제의 농도의 하한으로서는, 5 μmol/L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μmol/L 이상, 50 μmol/L 이상, 75 μmol/L 이상, 1 mmol/L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 mmol/L 이상이 예시된다. 또한, 예컨대,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킬레이트제의 농도의 상한으로서는, 1000 mmol/L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mmol/L 이하, 25 mmol/L 이하, 15 mmol/L 이하, 10 mmol/L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mmol/L 이하가 예시된다.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은 액상이어도 좋고,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과 혼합될 때까지 보존되어도 좋다.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 함유물은 혼합되어 있다.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은 액상이어도 좋고,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과 혼합될 때까지 보존되어도 좋다.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 함유물은 혼합되어 있다.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과,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은, 각각, 별개로 포장되어도 좋다.
실시형태에 따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이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은 액상이어도 좋고,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과 혼합될 때까지 보존되어도 좋다.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 함유물은 혼합되어 있다.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과,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은, 각각, 별개로 포장되어도 좋다.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또는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의 pH의 하한은, 예컨대 5 이상, 5.5 이상, 6 이상, 6.5 이상, 혹은 7 이상이다.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또는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의 pH는, 예컨대 7보다 커도 좋다.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또는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의 pH의 상한은, 예컨대 10 이하, 9.5 이하, 혹은 9 이하이다.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은, 보존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실시형태에 따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은,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에 걸쳐 보존 안정성이 양호하다. 그 때문에, 장기에 걸쳐, 당화 단백질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에 따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은, 예컨대, 유통에 요하는 실용적인 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실시형태에 따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은, 적어도 1개월간, 보존 가능하다. 실시형태에 따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기간의 하한으로서는, 1일 이상, 1개월 이상, 6개월 혹은 1년 이상이 예시된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기간의 상한으로서는, 5년 이하, 2년 이하, 1년 6개월 이하, 1년 3개월 이하, 6개월 이하, 혹은 7일 이하가 예시된다.
실시형태에 따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온도의 하한으로서는, 2℃ 이상, 4℃ 이상, 혹은 5℃ 이상이 예시된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온도의 상한으로서는, 10℃ 이하, 8℃ 이하, 혹은 5℃ 이하가 예시된다.
실시형태에 따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에 있어서, 페로시안화물이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5℃에서 14일 보존된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과, 30℃에서 14일 보존된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의 당화 단백질의 측정 감도에 대한, 5℃에서 28일 보존된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과, 30℃에서 28일 보존된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의 당화 단백질의 측정 감도의 비를, 감도 잔존율이라고 한다. 감도 잔존율의 하한으로서는, 80% 이상, 85% 이상, 88% 이상, 90% 이상, 91% 이상, 92% 이상, 93% 이상, 94% 이상, 혹은 95% 이상이 예시된다. 상한으로서는, 120% 이하, 110% 이하, 혹은 105% 이하가 예시된다.
실시형태에 따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에 있어서, 페로시안화물이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5℃에서 14일 보존된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과, 30℃에서 14일 보존된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의 당화 단백질의 측정 감도에 대한, 5℃에서 28일 보존된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과, 30℃에서 28일 보존된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의 당화 단백질의 측정 감도의 비를, 감도 잔존율이라고 한다. 감도 잔존율의 하한으로서는, 80% 이상, 85% 이상, 88% 이상, 90% 이상, 91% 이상, 92% 이상, 93% 이상, 94% 이상, 혹은 95% 이상이 예시된다. 상한으로서는, 120% 이하, 110% 이하, 혹은 105% 이하가 예시된다.
실시형태에 따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에 있어서, 페로시안화물이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5℃에서 14일 보존된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과, 30℃에서 14일 보존된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의 당화 단백질의 측정 감도에 대한, 5℃에서 28일 보존된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과, 30℃에서 28일 보존된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의 당화 단백질의 측정 감도의 비를, 감도 잔존율이라고 한다. 감도 잔존율의 하한으로서는, 80% 이상, 85% 이상, 88% 이상, 90% 이상, 91% 이상, 92% 이상, 93% 이상, 94% 이상, 혹은 95% 이상이 예시된다. 상한으로서는, 120% 이하, 110% 이하, 혹은 105% 이하가 예시된다.
실시형태에 따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에 있어서, 페로시안화물이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5℃에서 14일 보존된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과, 30℃에서 14일 보존된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의 당화 단백질의 측정 감도에 대한, 5℃에서 28일 보존된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과, 30℃에서 28일 보존된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의 당화 단백질의 측정 감도의 비를, 감도 잔존율이라고 한다. 감도 잔존율의 하한으로서는, 80% 이상, 85% 이상, 88% 이상, 90% 이상, 91% 이상, 92% 이상, 93% 이상, 94% 이상, 혹은 95% 이상이 예시된다. 상한으로서는, 120% 이하, 110% 이하, 혹은 105% 이하가 예시된다.
실시형태에 따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에 있어서, 페로시안화물이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5℃에서 14일 보존된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과, 30℃에서 14일 보존된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의 당화 단백질의 측정 감도에 대한, 5℃에서 28일 보존된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과, 30℃에서 28일 보존된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의 당화 단백질의 측정 감도의 비를, 감도 잔존율이라고 한다. 감도 잔존율의 하한으로서는, 80% 이상, 85% 이상, 88% 이상, 90% 이상, 91% 이상, 92% 이상, 93% 이상, 94% 이상, 혹은 95% 이상이 예시된다. 상한으로서는, 120% 이하, 110% 이하, 혹은 105% 이하가 예시된다.
실시형태에 따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에 있어서,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이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구비하는 경우, 5℃에서 28일 보존된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의 당화 단백질의 측정 감도에 대한, 5℃에서 1년 보존된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의 당화 단백질의 측정 감도의 비를, 장기의 감도 잔존율이라고 한다. 혹은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이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구비하는 경우, 5℃에서 28일 보존된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과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의 당화 단백질의 측정 감도에 대한, 5℃에서 1년 보존된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과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의 당화 단백질의 측정 감도의 비를, 장기의 감도 잔존율이라고 한다. 장기의 감도 잔존율의 하한으로서는, 80% 이상, 85% 이상, 88% 이상, 90% 이상, 91% 이상, 92% 이상, 93% 이상, 94% 이상, 혹은 95% 이상이 예시된다. 상한으로서는, 120% 이하, 110% 이하, 혹은 105% 이하가 예시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물론이다.
실시예에 있어서의 흡광도의 측정에는, 7170형 히타치 자동 분석 장치(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즈사 제조)를 이용하였다. 장치에 있어서, 주파장을 546 ㎚, 부파장을 700 ㎚로 설정하였다. 검체의 흡광도 Abs는, 파장 546 ㎚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Abs546, 파장 700 ㎚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Abs700으로 하여, 하기 (1)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Abs=Abs546-Abs700 (1)
[참고예 1: 시약 블랭크의 발생 메커니즘]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6으로 조정하여,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2-아미노에탄술폰산(도진 가가쿠사 제조)
2 mmol/L N,N-비스(4-술포부틸)-3-메틸아닐린, 이나트륨염(도진 가가쿠사 제조)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5로 조정하여,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20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5 mmol/L 4-아미노안티피린(아크텍사 제조)
후술하는 농도의 안정화제
후술하는 농도의 페로시안화물 또는 페로시안화물과 페리시안화물의 혼합물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에 첨가한 안정화제)
30 wt/vol% 디메틸술폭시드(나카라이 테스크사 제조)
30 wt/vol% 에탄올(간토 가가쿠사 제조)
30 wt/vol% 에틸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30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에 첨가한 페로시안화물 또는 페로시안화물과 페리시안화물의 혼합물)
0.1 mmol/L 페로시안화칼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0.09 mmol/L 페로시안화칼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및 0.01 mmol/L 페리시안화칼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0.07 mmol/L 페로시안화칼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및 0.03 mmol/L 페리시안화칼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샘플)
이하의 샘플을 준비하였다.
정제수
(측정 순서)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180 μL에 정제수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에,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더 반응시켰다.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1로부터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과 정제수의 혼합액에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2까지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흡광도 변화 AC는 하기 (2)식으로 주어진다.
AC=(Abs2)-(Abs1)×180/225 (2)
여기서 180이란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액량을, 225란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과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총 액량을 의미한다.
샘플로서 정제수를 이용했을 때의 흡광도 변화를 시약 블랭크 Acb로 하여,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페리시안화물이 첨가됨으로써, 시약 블랭크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페리시안화물이 시약 블랭크의 발생에 기여하는 것이 시사되었다. 또한, 안정화제에 디메틸술폭시드를 첨가한 경우에는 페로시안화물이어도 1 mAbs 이상의 시약 블랭크가 발생하고 있어, 디메틸술폭시드가 페로시안화물을 시약 블랭크의 원인이 되는 페리시안화물로 변화시키고 있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참고예 2: 시약 배치를 변경했을 때의 시약 블랭크]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6으로 조정하여,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2-아미노에탄술폰산(도진 가가쿠사 제조)
2 mmol/L N,N-비스(4-술포부틸)-3-메틸아닐린, 이나트륨염(도진 가가쿠사 제조)
(트린더 시약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6으로 조정하여, 트린더 시약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2-아미노에탄술폰산(도진 가가쿠사 제조)
2 mmol/L N,N-비스(4-술포부틸)-3-메틸아닐린, 이나트륨염(도진 가가쿠사 제조)
0.025 mmol/L 페로시안화칼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6으로 조정하여,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2-아미노에탄술폰산(도진 가가쿠사 제조)
1.25 mmol/L 4-아미노안티피린(아크텍사 제조)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6으로 조정하여,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2-아미노에탄술폰산(도진 가가쿠사 제조)
1.25 mmol/L 4-아미노안티피린(아크텍사 제조)
0.025 mmol/L 페로시안화칼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5로 조정하여,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을 조제하였다.
20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5 mmol/L 4-아미노안티피린(아크텍사 제조)
0.1 mmol/L 페로시안화칼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후술하는 농도의 안정화제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에 첨가한 안정화제)
30 wt/vol% 디메틸술폭시드(나카라이 테스크사 제조)
30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5로 조정하여,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을 조제하였다.
20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5 mmol/L 4-아미노안티피린(아크텍사 제조)
후술하는 농도의 안정화제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에 첨가한 안정화제)
30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트린더 시약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5로 조정하여, 트린더 시약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을 조제하였다.
20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8 mmol/L N,N-비스(4-술포부틸)-3-메틸아닐린, 이나트륨염(도진 가가쿠사 제조)
0.1 mmol/L 페로시안화칼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후술하는 농도의 안정화제
(트린더 시약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에 첨가한 안정화제)
30 wt/vol% 디메틸술폭시드(나카라이 테스크사 제조)
30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5로 조정하여,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을 조제하였다.
20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8 mmol/L N,N-비스(4-술포부틸)-3-메틸아닐린, 이나트륨염(도진 가가쿠사 제조)
후술하는 농도의 안정화제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에 첨가한 안정화제)
30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샘플)
이하의 샘플을 준비하였다.
정제수
(측정 순서)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 180 μL에 정제수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에,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더 반응시켰다.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1로부터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과 정제수의 혼합액에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을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2까지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흡광도 변화 AC는 하기 (3)식으로 주어진다.
AC=(Abs2)-(Abs1)×180/225 (3)
여기서 180이란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의 액량을, 225란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과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의 총 액량을 의미한다.
트린더 시약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 180 μL에 정제수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에,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더 반응시켰다. 트린더 시약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1로부터 트린더 시약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과 정제수의 혼합액에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을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2까지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흡광도 변화 AC는 하기 (4)식으로 주어진다.
AC=(Abs2)-(Abs1)×180/225 (4)
여기서 180이란 트린더 시약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의 액량을, 225란 트린더 시약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의 총 액량을 의미한다.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 180 μL에 정제수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에, 트린더 시약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더 반응시켰다.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1로부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과 정제수의 혼합액에 트린더 시약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을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2까지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흡광도 변화 AC는 하기 (5)식으로 주어진다.
AC=(Abs2)-(Abs1)×180/225 (5)
여기서 180이란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의 액량을, 225란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과 트린더 시약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의 총 액량을 의미한다.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 180 μL에 정제수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에,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더 반응시켰다.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1로부터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과 정제수의 혼합액에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을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2까지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흡광도 변화 AC는 하기 (6)식으로 주어진다.
AC=(Abs2)-(Abs1)×180/225 (6)
여기서 180이란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의 액량을, 225란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과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의 총 액량을 의미한다.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 180 μL에 정제수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에,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더 반응시켰다.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1로부터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과 정제수의 혼합액에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을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2까지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흡광도 변화 AC는 하기 (7)식으로 주어진다.
AC=(Abs2)-(Abs1)×180/225 (7)
여기서 180이란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의 액량을, 225란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과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의 총 액량을 의미한다.
트린더 시약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 180 μL에 정제수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에,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더 반응시켰다. 트린더 시약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1로부터 트린더 시약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과 정제수의 혼합액에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을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2까지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흡광도 변화 AC는 하기 (8)식으로 주어진다.
AC=(Abs2)-(Abs1)×180/225 (8)
여기서 180이란 트린더 시약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의 액량을, 225란 트린더 시약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의 총 액량을 의미한다.
샘플로서 정제수를 이용했을 때의 흡광도 변화를 시약 블랭크 Acb로 하여,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pct00002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과 1번째로 반응시키는 액상 부분 조성물이 트린더 시약을 포함하는 경우와, 샘플과 1번째로 반응시키는 액상 부분 조성물이 4-아미노안티피린을 포함하는 경우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안정화제로서 디메틸술폭시드를 이용하는 것이, 안정화제로서 프로필렌글리콜을 이용하는 것보다 시약 블랭크가 커졌다. 또한, 시약 블랭크의 억제 효과는, 시약의 첨가 순서나 페로시안화물과의 조합 방법에는 크게 의존하지 않는 것이 명백해졌다.
[실시예 1: 안정화제 존재하의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 측정]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조성물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5로 조정하여,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2-아미노에탄술폰산(도진 가가쿠사 제조)
1 mmol/L 페로시안화칼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150 mmol/L 염화나트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후술하는 농도의 안정화제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조성물에 첨가한 안정화제)
6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7.5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10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30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37.5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40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50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62.5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30 wt/vol% 트리메틸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37.5 wt/vol% 트리메틸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50 wt/vol% 트리메틸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62.5 wt/vol% 트리메틸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30 wt/vol% 에틸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37.5 wt/vol% 에틸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50 wt/vol% 에틸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62.5 wt/vol% 에틸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37.5 wt/vol% 에탄올(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37.5 wt/vol% 1-프로판올(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37.5 wt/vol% 글리세린(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0.6 wt/vol% 2-카르복시페닐보론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75 wt/vol% 2-카르복시페닐보론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1 wt/vol% 2-카르복시페닐보론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1 wt/vol%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1 wt/vol% 벤질트리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1 wt/vol% 벤질트리부틸암모늄클로라이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1 wt/vol% 염화칼슘(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1 wt/vol% 붕산(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150 mmol/L 염화나트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상기한 150 mmol/L 염화나트륨과 합쳐 합계 300 mmol/L 염화나트륨)
30 wt/vol% 디메틸술폭시드(나카라이 테스크사 제조)
37.5 wt/vol% 디메틸술폭시드(나카라이 테스크사 제조)
50 wt/vol% 디메틸술폭시드(나카라이 테스크사 제조)
62.5 wt/vol% 디메틸술폭시드(나카라이 테스크사 제조)
(측정 순서)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조성물 10 mL를 볼타메트리용 셀(BAS사)에 첨가하고, 하기 전극과 장치를 사용하여, 사이클릭 볼타메트리를 행하였다.
작용극: GCE 유리형 카본 전극 외경 6 ㎜×내경 3 ㎜(BAS사)
대극: Pt 카운터 전극 23 ㎝(코일형) 길이 23 ㎝×전극부 직경 0.5 ㎜(BAS사)
참조 전극: RE-1B 수계 참조 전극(Ag/AgCl)(BAS사)
장치: AUTOMATIC POLARIZATION SYSTEM HZ-7000(호쿠토 덴코사)
사이클릭 볼타메트리 측정 시에는, 작용극에 인가하는 전위를 시간에 대해 변화시켰다. 소인(掃引) 속도는 0.1 V/초로 설정하였다. 초기 전위를 자연 전위로 하여, 제1 설정 전위까지 전위를 플러스측으로 소인하였다. 계속해서, 제1 설정 전위로부터 제2 설정 전위까지 전극 전위를 마이너스측으로 되접어 꺾는 소인을 행하였다. 또한 제2 설정 전위로부터 제1 설정 전위까지 전극 전위를 플러스측으로 되접어 꺾는 소인을 행하였다. 제1 설정 전위 및 제2 설정 전위는, 0.5 V 및 -0.5 V였다. 또한, 사이클릭 볼타메트리 측정은 25℃에서 실시하였다.
산화 환원 전위(E'0)는, 산화 전류가 피크를 나타낼 때의 전위값(Eox)과 환원 전류가 피크를 나타낼 때의 전위값(Ered)의 평균값[(Ered+Eox)/2]으로서 산출되었다. 측정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1]
Figure pct00003
[표 3-2]
Figure pct00004
표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안정화제의 종류나 농도에 의해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가 변동하고, 디메틸술폭시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및 에틸렌글리콜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산화 환원 전위를 저하시키는 것이 판명되었다. 한편,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에서는 산화 환원 전위는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특히 디메틸술폭시드는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및 에틸렌글리콜과 비교하여 현저히 산화 환원 전위를 저하시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일반적으로 산화 환원 전위가 저하되면 산화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페로시안화물을 특정한 안정화제와 혼합함으로써 페리시안화물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것이 시사되었다.
[실시예 2: 프로테아제 안정화제의 종류에 의한 시약 블랭크의 변화와 검체 감도 안정성]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6으로 조정하여,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2-아미노에탄술폰산(도진 가가쿠사 제조)
0.05 wt/vol% 아지드화나트륨(머크사 제조)
1 mmol/L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나트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6 wt/vol% D(-)-소르비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2 mmol/L N,N-비스(4-술포부틸)-3-메틸아닐린, 이나트륨염(도진 가가쿠사 제조)
10 U/mL 페록시다제(아마노 엔자임사 제조)
30 U/mL 케토아민 옥시다제(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2시약계: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5로 조정하여,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20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5 mmol/L 4-아미노안티피린(아크텍사 제조)
0.1 mmol/L 페로시안화칼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500 U/mL 카탈라제(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40 kU/mL 당화 알부민용 프로테아제(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일본 특허 제4565807호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얻었다.)
후술하는 농도의 안정화제
(2시약계: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에 함유시킨 안정화제)
30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37.5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50 wt/vol% 트리메틸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62.5 wt/vol% 트리메틸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50 wt/vol% 에틸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62.5 wt/vol% 에틸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0.6 wt/vol% 2-카르복시페닐보론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75 wt/vol% 2-카르복시페닐보론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30 wt/vol% 디메틸술폭시드(나카라이 테스크사 제조)
37.5 wt/vol% 디메틸술폭시드(나카라이 테스크사 제조)
(3시약계: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5로 조정하여,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을 조제하였다.
25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6.25 mmol/L 4-아미노안티피린(아크텍사 제조)
625 U/mL 카탈라제(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50 kU/mL 당화 알부민용 프로테아제(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일본 특허 제4565807호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얻었다.)
후술하는 농도의 안정화제
(3시약계: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에 함유시킨 안정화제)
37.5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50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62.5 wt/vol% 트리메틸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62.5 wt/vol% 에틸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0.75 wt/vol% 2-카르복시페닐보론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37.5 wt/vol% 디메틸술폭시드(나카라이 테스크사 제조)
(3시약계: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0으로 조정하여,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0.5 mmol/L 페로시안화칼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3시약계: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0으로 조정하여,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25 mmol/L 4-아미노안티피린(아크텍사 제조)
(3시약계: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5로 조정하여,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을 조제하였다.
25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0.125 mmol/L 페로시안화칼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625 U/mL 카탈라제(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50 kU/mL 당화 알부민용 프로테아제(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일본 특허 제4565807호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얻었다.)
후술하는 농도의 안정화제
(3시약계: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에 함유시킨 안정화제)
37.5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37.5 wt/vol% 디메틸술폭시드(나카라이 테스크사 제조)
(샘플 검체)
이하의 샘플 검체를 준비하였다.
관리 혈청 L(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관리 혈청 H(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시약 보존)
조제한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5℃에서 14일 또는 28일 보존하였다. 또한,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과,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30℃에서 14일 또는 28일 보존하였다.
(측정 준비)
3시약계의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과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을 용량비 4:1로 혼합하여, 측정에 사용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을 조제하였다.
3시약계의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과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을 용량비 1:4로 혼합하여, 측정에 사용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을 조제하였다.
(측정 순서)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180 μL에 샘플 검체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에,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더 반응시켰다.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에 샘플 검체를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1로부터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과 샘플 검체의 혼합액에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2까지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흡광도 변화 AC는 하기 (9)식으로 주어진다.
AC=(Abs2)-(Abs1)×180/225 (9)
여기서 180이란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액량을, 225란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과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총 액량을 의미한다.
샘플 검체를 이용하여 측정된 흡광도 변화 Acs, 샘플 검체 대신에 정제수를 이용하여 측정된 흡광도 변화를 시약 블랭크 Acb로 하여, 하기 (10)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 검체를 이용하여 측정된 흡광도 변화 Acs로부터 시약 블랭크의 흡광도 변화 Acb를 뺀 값을 감도 ΔAbs로서 산출하였다.
ΔAbs=Acs-Acb (10)
부분 조성물을 14일 보존한 후의 감도를 ΔAbs14, 부분 조성물을 28일 보존한 후의 감도를 ΔAbs28로 하여, 하기 (11)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도 잔존율을 ΔAbs14와 ΔAbs28의 비율로서 산출하였다. 부분 조성물을 14일 보존한 후의 시약 블랭크 Acb의 결과와 아울러, 감도 잔존율을 표 4에 나타낸다.
감도 잔존율(%)=ΔAbs28÷ΔAbs14×100 (11)
또한, 부분 조성물을 14일 보존한 후의 시약 블랭크와,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의 관계를 표 5와 도 1에 나타낸다.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는, 안정화제와 페로시안화물을 혼합한 경우의 농도에 있어서의 산화 환원 전위값을 사용하였다. 예컨대, 안정화제와 페로시안화물이 동일한 부분 조성물에 함유되는 경우(2시약계의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및 3시약계의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에서는, 부분 조성물 중의 안정화제 농도에 있어서의 산화 환원 전위값을 사용하였다. 또한, 안정화제와 페로시안화물이 다른 부분 조성물에 함유되는 경우(3시약계의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과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에서는,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과,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을 혼합했을 때의 안정화제 농도에 있어서의 산화 환원 전위값을 사용하였다.
[표 4-1]
Figure pct00005
[표 4-2]
Figure pct00006
[표 4-3]
Figure pct00007
[표 4-4]
Figure pct00008
[표 5-1]
Figure pct00009
[표 5-2]
Figure pct00010
[표 5-3]
Figure pct00011
표 4, 표 5, 및 도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2시약계, 3시약계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시약 블랭크를 억제하는 효과는, 페로시안화물과 혼합되었을 때에,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0.058 V)보다 큰 산화 환원 전위를 부여하는 안정화제에서 현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느 안정화제에 있어서도, 2시약계로부터 3시약계로 함으로써 검체 감도 잔존율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정화제 농도가 높을수록 검체 감도 안정화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킬레이트제 첨가의 효과]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6으로 조정하여,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2-아미노에탄술폰산(도진 가가쿠사 제조)
0.05 wt/vol% 아지드화나트륨(머크사 제조)
1 mmol/L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나트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6 wt/vol% D(-)-소르비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2 mmol/L N,N-비스(4-술포부틸)-3-메틸아닐린, 이나트륨염(도진 가가쿠사 제조)
10 U/mL 페록시다제(아마노 엔자임사 제조)
30 U/mL 케토아민 옥시다제(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2시약계: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5로 조정하여, 안정화제로서 프로필렌글리콜을 함유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로서,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는 부분 조성물과,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지 않는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20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5 mmol/L 4-아미노안티피린(아크텍사 제조)
0.1 mmol/L 페로시안화칼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500 U/mL 카탈라제(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40 kU/mL 당화 알부민용 프로테아제(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일본 특허 제4565807호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얻었다.)
1 mmol/L 시트르산삼나트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후술하는 농도의 안정화제
(2시약계: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에 함유시킨 안정화제)
30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37.5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3시약계: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5로 조정하여,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로서,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는 부분 조성물과,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지 않는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25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6.25 mmol/L 4-아미노안티피린(아크텍사 제조)
625 U/mL 카탈라제(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50 kU/mL 당화 알부민용 프로테아제(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일본 특허 제4565807호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얻었다.)
1.25 mmol/L 시트르산삼나트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후술하는 농도의 안정화제
(3시약계: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에 함유시킨 안정화제)
37.5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62.5 wt/vol% 트리메틸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62.5 wt/vol% 에틸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0.75 wt/vol% 2-카르복시페닐보론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3시약계: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0으로 조정한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로서,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는 부분 조성물과,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지 않는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0.5 mmol/L 페로시안화칼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5 mmol/L 시트르산삼나트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3시약계: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0으로 조정한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을 함유하는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25 mmol/L 4-아미노안티피린(아크텍사 제조)
(3시약계: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5로 조정하여, 안정화제로서 프로필렌글리콜을 함유하는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로서,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는 부분 조성물과,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지 않는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25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0.125 mmol/L 페로시안화칼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625 U/mL 카탈라제(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50 kU/mL 당화 알부민용 프로테아제(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일본 특허 제4565807호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얻었다.)
1.25 mmol/L 시트르산삼나트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37.5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샘플 검체)
이하의 샘플 검체를 준비하였다.
관리 혈청 L(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관리 혈청 H(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시약 보존)
조제한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5℃에서 14일 또는 28일 보존하였다. 또한,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과,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30℃에서 14일 또는 28일 보존하였다.
(측정 준비)
3시약계의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과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을 용량비 4:1로 혼합하여, 측정에 사용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을 조제하였다.
3시약계의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과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을 용량비 1:4로 혼합하여, 측정에 사용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을 조제하였다.
(측정 순서)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180 μL에 샘플 검체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에,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더 반응시켰다.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에 샘플 검체를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1로부터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과 샘플 검체의 혼합액에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2까지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흡광도 변화 AC는 하기 (12)식으로 주어진다.
AC=(Abs2)-(Abs1)×180/225 (12)
여기서 180이란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액량을, 225란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과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총 액량을 의미한다.
샘플 검체를 이용하여 측정된 흡광도 변화 Acs, 샘플 검체 대신에 정제수를 이용하여 측정된 흡광도 변화를 시약 블랭크 Acb로 하여, 하기 (13)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 검체를 이용하여 측정된 흡광도 변화 Acs로부터 시약 블랭크의 흡광도 변화 Acb를 뺀 값을 감도 ΔAbs로서 산출하였다.
ΔAbs=Acs-Acb (13)
부분 조성물을 14일 보존한 후의 감도를 ΔAbs14, 부분 조성물을 28일 보존한 후의 감도를 ΔAbs28로 하여, 하기 (14)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도 잔존율을 ΔAbs14와 ΔAbs28의 비율로서 산출하였다. 부분 조성물을 14일 보존한 후의 시약 블랭크 Acb의 결과와 아울러, 감도 잔존율을 표 6에 나타낸다.
감도 잔존율(%)=ΔAbs28÷ΔAbs14×100 (14)
[표 6-1]
Figure pct00012
[표 6-2]
Figure pct00013
[표 6-3]
Figure pct00014
[표 6-4]
Figure pct00015
표 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페로시안화물과 혼합되었을 때에, 0.058 V보다 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부여하는 안정화제를 이용하면, 킬레이트제(시트르산삼나트륨)를 첨가하고 있지 않은 경우의 시약 블랭크와, 킬레이트제(시트르산삼나트륨)를 첨가한 경우의 시약 블랭크는, 거의 동일하였다.
[실시예 4: pH 및 킬레이트제 종류의 효과]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6으로 조정하여,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2-아미노에탄술폰산(도진 가가쿠사 제조)
0.05 wt/vol% 아지드화나트륨(머크사 제조)
1 mmol/L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나트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6 wt/vol% D(-)-소르비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2 mmol/L N,N-비스(4-술포부틸)-3-메틸아닐린, 이나트륨염(도진 가가쿠사 제조)
10 U/mL 페록시다제(아마노 엔자임사 제조)
30 U/mL 케토아민 옥시다제(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3시약계: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5로 조정하여, 안정화제로서 프로필렌글리콜을 함유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25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6.25 mmol/L 4-아미노안티피린(아크텍사 제조)
625 U/mL 카탈라제(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50 kU/mL 당화 알부민용 프로테아제(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일본 특허 제4565807호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얻었다.)
50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3시약계: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를 조정하여, 상이한 pH의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0.5 mmol/L 페로시안화칼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후술하는 농도의 pH로 조정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의 pH)
pH 6.5
pH 7.0
pH 7.5
pH 8.0
(3시약계: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0으로 조정하여, 킬레이트제를 함유하는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0.5 mmol/L 페로시안화칼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후술하는 농도의 킬레이트제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에 함유시킨 킬레이트제)
5 mmol/L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나트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약칭 EDTA)
5 mmol/L 글리콜에테르디아민사아세트산(도진 가가쿠사 제조, 약칭 EGTA)
5 mmol/L N-(2-히드록시에틸)이미노이아세트산(도진 가가쿠사 제조, 약칭 HIDA)
5 mmol/L 니트릴로트리스(메틸포스폰산), 삼나트륨염(도진 가가쿠사 제조, 약칭 NTPO)
5 mmol/L 니트릴로삼아세트산(도진 가가쿠사 제조, 약칭 NTA)
5 mmol/L 트랜스-1,2-디아미노시클로헥산-N,N,N,N-사아세트산, 1수화물(도진 가가쿠사 제조, 약칭 CyDTA)
5 mmol/L 이미노디아세트산(도진 가가쿠사 제조, 약칭 IDA)
5 mmol/L 디에틸렌트리아민-N,N,N',N",N"-오아세트산(도진 가가쿠사 제조, 약칭 DTPA)
5 mmol/L 1,3-디아미노-2-프로판올-N,N,N',N'-사아세트산(도진 가가쿠사 제조, 약칭 DPTA-OH)
5 mmol/L 글루콘산나트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5 mmol/L L(-)-말산나트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5 mmol/L 숙신산(간토 가가쿠사 제조)
5 mmol/L 시트르산삼나트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5 mmol/L 살리실산(나카라이 테스크사 제조)
5 mmol/L (+)-타르타르산칼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5 mmol/L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글리신(도진 가가쿠사 제조, 약칭 Tricine)
5 mmol/L N,N-비스(2-히드록시에틸)글리신(도진 가가쿠사 제조, 약칭 Bicine)
(샘플)
이하의 샘플 검체를 준비하였다.
관리 혈청 L(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관리 혈청 H(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시약 보존)
조제한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5℃에서 14일 또는 28일 보존하였다. 또한,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과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1) 및 (2)를 30℃에서 14일 또는 28일 보존하였다.
(측정 준비)
3시약계의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과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1) 또는 (2)를 용량비 4:1로 혼합하여, 측정에 사용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측정 순서)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180 μL에 샘플 검체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에,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더 반응시켰다.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에 샘플 검체를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1로부터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과 샘플 검체의 혼합액에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2까지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흡광도 변화 AC는 하기 (15)식으로 주어진다.
AC=(Abs2)-(Abs1)×180/225 (15)
여기서 180이란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액량을, 225란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과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총 액량을 의미한다.
샘플 검체를 이용하여 측정된 흡광도 변화 Acs, 샘플 검체 대신에 정제수를 이용하여 측정된 흡광도 변화를 시약 블랭크 Acb로 하여, 하기 (16)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 검체를 이용하여 측정된 흡광도 변화 Acs로부터 시약 블랭크의 흡광도 변화 Acb를 뺀 값을 감도 ΔAbs로서 산출하였다.
ΔAbs=Acs-Acb (16)
부분 조성물을 14일 보존한 후의 감도를 ΔAbs14, 부분 조성물을 28일 보존한 후의 감도를 ΔAbs28로 하여, 하기 (17)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도 잔존율을 ΔAbs14와 ΔAbs28의 비율로서 산출하였다. 부분 조성물을 14일 보존한 후의 시약 블랭크 Acb의 결과와 아울러, 감도 잔존율을 표 7 및 도 2에 나타낸다.
감도 잔존율(%)=ΔAbs28÷ΔAbs14×100 (17)
[표 7-1]
Figure pct00016
[표 7-2]
Figure pct00017
표 7 및 도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pH를 변화시켜도, 시약 블랭크의 변화는 작았다. 또한,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에 첨가된 킬레이트제의 종류를 변화시켜도, 시약 블랭크의 변화는 작았다.
[실시예 5: pH의 효과]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6으로 조정하여,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2-아미노에탄술폰산(도진 가가쿠사 제조)
0.05 wt/vol% 아지드화나트륨(머크사 제조)
1 mmol/L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나트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6 wt/vol% D(-)-소르비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2 mmol/L N,N-비스(4-술포부틸)-3-메틸아닐린, 이나트륨염(도진 가가쿠사 제조)
10 U/mL 페록시다제(아마노 엔자임사 제조)
30 U/mL 케토아민 옥시다제(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3시약계: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5로 조정하여,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로서,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는 부분 조성물과,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지 않는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25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6.25 mmol/L 4-아미노안티피린(아크텍사 제조)
625 U/mL 카탈라제(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50 kU/mL 당화 알부민용 프로테아제(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일본 특허 제4565807호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얻었다.)
1.25 mmol/L 시트르산삼나트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후술하는 농도의 안정화제
(3시약계: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에 함유시킨 안정화제)
37.5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62.5 wt/vol% 트리메틸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62.5 wt/vol% 에틸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0.75 wt/vol% 2-카르복시페닐보론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3시약계: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pH 7.0 또는 pH 8.0으로 조정하여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또한, pH 8.0의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로서,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는 부분 조성물과,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지 않는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0.5 mmol/L 페로시안화칼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5 mmol/L 시트르산삼나트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3시약계: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0 또는 pH 8.0으로 조정하여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또한, pH 8.0으로 조정한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로서,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는 부분 조성물과,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지 않는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25 mmol/L 4-아미노안티피린(아크텍사 제조)
25 mmol/L 시트르산삼나트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pH 8.0으로 조정한 경우에만 첨가하였다.)
(3시약계: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5로 조정하여, 안정화제로서 프로필렌글리콜을 함유한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로서,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는 부분 조성물과,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지 않는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25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0.125 mmol/L 페로시안화칼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625 U/mL 카탈라제(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50 kU/mL 당화 알부민용 프로테아제(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일본 특허 제4565807호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얻었다.)
1.25 mmol/L 시트르산삼나트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37.5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샘플 검체)
이하의 샘플 검체를 준비하였다.
관리 혈청 L(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관리 혈청 H(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시약 보존)
조제한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5℃에서 14일 또는 28일 보존하였다. 또한,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과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30℃에서 14일 또는 28일 보존하였다.
(측정 준비)
3시약계의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과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을 용량비 4:1로 혼합하여, 측정에 사용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을 조제하였다.
3시약계의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과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을 용량비 1:4로 혼합하여, 측정에 사용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을 조제하였다.
(측정 순서)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180 μL에 샘플 검체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에,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더 반응시켰다.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에 샘플 검체를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1로부터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과 샘플 검체의 혼합액에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2까지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흡광도 변화 AC는 하기 (18)식으로 주어진다.
AC=(Abs2)-(Abs1)×180/225 (18)
여기서 180이란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액량을, 225란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과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총 액량을 의미한다.
샘플 검체를 이용하여 측정된 흡광도 변화 Acs, 샘플 검체 대신에 정제수를 이용하여 측정된 흡광도 변화를 시약 블랭크 Acb로 하여, 하기 (19)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 검체를 이용하여 측정된 흡광도 변화 Acs로부터 시약 블랭크의 흡광도 변화 Acb를 뺀 값을 감도 ΔAbs로서 산출하였다.
ΔAbs=Acs-Acb (19)
부분 조성물을 14일 보존한 후의 감도를 ΔAbs14, 부분 조성물을 28일 보존한 후의 감도를 ΔAbs28로 하여, 하기 (20)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도 잔존율을 ΔAbs14와 ΔAbs28의 비율로서 산출하였다. 부분 조성물을 14일 보존한 후의 시약 블랭크 Acb의 결과와 아울러, 감도 잔존율을 표 8에 나타낸다.
감도 잔존율(%)=ΔAbs28÷ΔAbs14×100 (20)
[표 8-1]
Figure pct00018
[표 8-2]
Figure pct00019
[표 8-3]
Figure pct00020
[표 8-4]
Figure pct00021
[표 8-5]
Figure pct00022
표 8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페로시안화물과 혼합되었을 때에, 0.058 V보다 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부여하는 안정화제를 이용하면, pH를 7보다 크게 해도, 시약 블랭크의 변화는 작았다. 또한, 페로시안화물과 혼합되었을 때에, 0.058 V보다 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부여하는 안정화제를 이용하면, 킬레이트제를 첨가해도, 시약 블랭크의 변화는 작았다.
[실시예 6: 시약 배치의 변경]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0으로 조정하여,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50 mmol/L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0.05 wt/vol% 아지드화나트륨(머크사 제조)
8 mmol/L 4-아미노안티피린(아크텍사 제조)
10 kU/mL 당화 알부민용 프로테아제(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일본 특허 제4565807호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얻었다.)
10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트린더 시약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5로 조정하여, 트린더 시약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50 mmol/L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5 wt/vol% D(-)-소르비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0.05 wt/vol% 아지드화나트륨(머크사 제조)
10 mmol/L TOOS(도진 가가쿠사 제조)
5 U/mL 페록시다제(아마노 엔자임사 제조)
20 U/mL 케토아민 옥시다제(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0.08 mmol/L 페로시안화칼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샘플 검체)
이하의 샘플 검체를 준비하였다.
관리 혈청 H(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시약 보존)
조제한 트린더 시약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30℃에서 14일 또는 28일 보존하고,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5℃에서 14일 또는 28일 보존하였다.
(측정 순서)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180 μL에 샘플 검체 6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에, 트린더 시약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60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더 반응시켰다.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에 샘플 검체를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1로부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과 샘플 검체의 혼합액에 트린더 시약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2까지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흡광도 변화 AC는 하기 (21)식으로 주어진다.
AC=(Abs2)-(Abs1)×180/240 (21)
여기서 180이란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액량을, 240이란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과 트린더 시약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총 액량을 의미한다.
샘플 검체를 이용하여 측정된 흡광도 변화 Acs, 샘플 검체 대신에 정제수를 이용하여 측정된 흡광도 변화를 시약 블랭크 Acb로 하여, 하기 (22)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 검체를 이용하여 측정된 흡광도 변화 Acs로부터 시약 블랭크의 흡광도 변화 Acb를 뺀 값을 감도 ΔAbs로서 산출하였다.
ΔAbs=Acs-Acb (22)
부분 조성물을 14일 보존한 후의 감도를 ΔAbs14, 부분 조성물을 28일 보존한 후의 감도를 ΔAbs28로 하여, 하기 (23)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도 잔존율을 ΔAbs14와 ΔAbs28의 비율로서 산출하였다. 부분 조성물을 14일 보존한 후의 시약 블랭크 Acb의 결과와 아울러, 감도 잔존율을 표 9에 나타낸다.
감도 잔존율(%)=ΔAbs28÷ΔAbs14×100 (23)
[표 9]
Figure pct00023
표 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페로시안화물과 혼합되었을 때에, 0.058 V보다 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부여하는 농도의 안정화제를 이용하면, 시약 블랭크가 낮은 것이 명백해졌다.
[실시예 7: 프로테아제 안정화제의 종류에 의한 시약 블랭크의 변화와 검체 감도 안정성의 장기 안정성의 검증]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6으로 조정하여,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2-아미노에탄술폰산(도진 가가쿠사 제조)
0.05 wt/vol% 아지드화나트륨(머크사 제조)
1 mmol/L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나트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6 wt/vol% D(-)-소르비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2 mmol/L N,N-비스(4-술포부틸)-3-메틸아닐린, 이나트륨염(도진 가가쿠사 제조)
10 U/mL 페록시다제(아마노 엔자임사 제조)
30 U/mL 케토아민 옥시다제(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2시약계: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5로 조정하여,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20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5 mmol/L 4-아미노안티피린(아크텍사 제조)
0.1 mmol/L 페로시안화칼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500 U/mL 카탈라제(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40 kU/mL 당화 알부민용 프로테아제(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일본 특허 제4565807호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얻었다.)
후술하는 농도의 안정화제
(2시약계: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에 함유시킨 안정화제)
30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37.5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50 wt/vol% 트리메틸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62.5 wt/vol% 트리메틸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50 wt/vol% 에틸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62.5 wt/vol% 에틸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0.6 wt/vol% 2-카르복시페닐보론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75 wt/vol% 2-카르복시페닐보론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30 wt/vol% 디메틸술폭시드(나카라이 테스크사 제조)
37.5 wt/vol% 디메틸술폭시드(나카라이 테스크사 제조)
(3시약계: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5로 조정하여,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을 조제하였다.
25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6.25 mmol/L 4-아미노안티피린(아크텍사 제조)
625 U/mL 카탈라제(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50 kU/mL 당화 알부민용 프로테아제(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일본 특허 제4565807호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얻었다.)
후술하는 농도의 안정화제
(3시약계: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에 함유시킨 안정화제)
37.5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50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62.5 wt/vol% 트리메틸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62.5 wt/vol% 에틸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0.75 wt/vol% 2-카르복시페닐보론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37.5 wt/vol% 디메틸술폭시드(나카라이 테스크사 제조)
(3시약계: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0으로 조정하여,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0.5 mmol/L 페로시안화칼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3시약계: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0으로 조정하여,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25 mmol/L 4-아미노안티피린(아크텍사 제조)
(3시약계: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5로 조정하여,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을 조제하였다.
25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0.125 mmol/L 페로시안화칼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625 U/mL 카탈라제(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50 kU/mL 당화 알부민용 프로테아제(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일본 특허 제4565807호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얻었다.)
후술하는 농도의 안정화제
(3시약계: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에 함유시킨 안정화제)
37.5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37.5 wt/vol% 디메틸술폭시드(나카라이 테스크사 제조)
(샘플 검체)
이하의 샘플 검체를 준비하였다.
관리 혈청 L(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관리 혈청 H(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시약 보존)
조제한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5℃에서 28일 또는 1년 보존하였다.
(측정 준비)
3시약계의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과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을 용량비 4:1로 혼합하여, 측정에 사용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을 조제하였다.
3시약계의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과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을 용량비 1:4로 혼합하여, 측정에 사용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을 조제하였다.
(측정 순서)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180 μL에 샘플 검체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에,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더 반응시켰다.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에 샘플 검체를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1로부터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과 샘플 검체의 혼합액에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2까지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흡광도 변화 AC는 하기 (24)식으로 주어진다.
AC=(Abs2)-(Abs1)×180/225 (24)
여기서 180이란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액량을, 225란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과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총 액량을 의미한다.
샘플 검체를 이용하여 측정된 흡광도 변화 Acs, 샘플 검체 대신에 정제수를 이용하여 측정된 흡광도 변화를 시약 블랭크 Acb로 하여, 하기 (25)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 검체를 이용하여 측정된 흡광도 변화 Acs로부터 시약 블랭크의 흡광도 변화 Acb를 뺀 값을 감도 ΔAbs로서 산출하였다.
ΔAbs=Acs-Acb (25)
부분 조성물을 28일 보존한 후의 감도를 ΔAbs28, 부분 조성물을 1년 보존한 후의 감도를 ΔAbs365로 하여, 하기 (26)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기의 감도 잔존율을 ΔAbs28과 ΔAbs365의 비율로서 산출하였다. 부분 조성물을 1년 보존한 후의 시약 블랭크의 결과와 아울러, 장기의 감도 잔존율을 표 10에 나타낸다.
장기의 감도 잔존율(%)=ΔAbs365÷ΔAbs28×100 (26)
또한, 부분 조성물을 1년 보존한 후의 시약 블랭크와,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의 관계를 표 11과 도 3에 나타낸다.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는, 안정화제와 페로시안화물을 혼합한 경우의 농도에 있어서의 산화 환원 전위값을 사용하였다. 예컨대, 안정화제와 페로시안화물이 동일한 부분 조성물에 함유되는 경우(2시약계의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및 3시약계의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에서는, 부분 조성물 중의 안정화제 농도에 있어서의 산화 환원 전위값을 사용하였다. 또한, 안정화제와 페로시안화물이 다른 부분 조성물에 함유되는 경우(3시약계의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과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에서는,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과,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을 혼합했을 때의 안정화제 농도에 있어서의 산화 환원 전위값을 사용하였다.
[표 10-1]
Figure pct00024
[표 10-2]
Figure pct00025
[표 10-3]
Figure pct00026
[표 10-4]
Figure pct00027
[표 10-5]
Figure pct00028
[표 11-1]
Figure pct00029
[표 11-2]
Figure pct00030
[표 11-3]
Figure pct00031
장기 보존한 시약도 실시예 2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즉 표 10, 표 11, 및 도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2시약계, 3시약계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시약 블랭크를 억제하는 효과는, 페로시안화물과 혼합되었을 때에,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안정화제로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느 안정화제에 있어서도, 2시약계로부터 3시약계로 함으로써 검체 감도 잔존율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화제로서 디메틸술폭시드를 사용한 2시약계는, 감도 잔존율이 80% 이하까지 저하되었다. 따라서 감도 잔존율의 관점에서도 안정화제로서 디메틸술폭시드 이외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8: 킬레이트제 첨가의 효과의 장기 안정성의 검증]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6으로 조정하여,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2-아미노에탄술폰산(도진 가가쿠사 제조)
0.05 wt/vol% 아지드화나트륨(머크사 제조)
1 mmol/L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나트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6 wt/vol% D(-)-소르비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2 mmol/L N,N-비스(4-술포부틸)-3-메틸아닐린, 이나트륨염(도진 가가쿠사 제조)
10 U/mL 페록시다제(아마노 엔자임사 제조)
30 U/mL 케토아민 옥시다제(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2시약계: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5로 조정하여, 안정화제로서 프로필렌글리콜을 함유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로서,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는 부분 조성물과,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지 않는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20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5 mmol/L 4-아미노안티피린(아크텍사 제조)
0.1 mmol/L 페로시안화칼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500 U/mL 카탈라제(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40 kU/mL 당화 알부민용 프로테아제(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일본 특허 제4565807호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얻었다.)
1 mmol/L 시트르산삼나트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후술하는 농도의 안정화제
(2시약계: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에 함유시킨 안정화제)
30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37.5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3시약계: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5로 조정하여,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로서,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는 부분 조성물과,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지 않는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25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6.25 mmol/L 4-아미노안티피린(아크텍사 제조)
625 U/mL 카탈라제(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50 kU/mL 당화 알부민용 프로테아제(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일본 특허 제4565807호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얻었다.)
1.25 mmol/L 시트르산삼나트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후술하는 농도의 안정화제
(3시약계: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에 함유시킨 안정화제)
37.5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62.5 wt/vol% 트리메틸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62.5 wt/vol% 에틸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0.75 wt/vol% 2-카르복시페닐보론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3시약계: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0으로 조정한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로서,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는 부분 조성물과,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지 않는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0.5 mmol/L 페로시안화칼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5 mmol/L 시트르산삼나트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3시약계: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0으로 조정한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을 함유하는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25 mmol/L 4-아미노안티피린(아크텍사 제조)
(3시약계: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5로 조정하여, 안정화제로서 프로필렌글리콜을 함유하는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로서,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는 부분 조성물과,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지 않는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25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0.125 mmol/L 페로시안화칼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625 U/mL 카탈라제(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50 kU/mL 당화 알부민용 프로테아제(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일본 특허 제4565807호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얻었다.)
1.25 mmol/L 시트르산삼나트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37.5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샘플 검체)
이하의 샘플 검체를 준비하였다.
관리 혈청 L(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관리 혈청 H(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시약 보존)
조제한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5℃에서 28일 또는 1년 보존하였다.
(측정 준비)
3시약계의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과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을 용량비 4:1로 혼합하여, 측정에 사용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을 조제하였다.
3시약계의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과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을 용량비 1:4로 혼합하여, 측정에 사용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을 조제하였다.
(측정 순서)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180 μL에 샘플 검체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에,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더 반응시켰다.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에 샘플 검체를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1로부터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과 샘플 검체의 혼합액에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2까지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흡광도 변화 AC는 하기 (27)식으로 주어진다.
AC=(Abs2)-(Abs1)×180/225 (27)
여기서 180이란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액량을, 225란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과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총 액량을 의미한다.
샘플 검체를 이용하여 측정된 흡광도 변화 Acs, 샘플 검체 대신에 정제수를 이용하여 측정된 흡광도 변화를 시약 블랭크 Acb로 하여, 하기 (28)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 검체를 이용하여 측정된 흡광도 변화 Acs로부터 시약 블랭크의 흡광도 변화 Acb를 뺀 값을 감도 ΔAbs로서 산출하였다.
ΔAbs=Acs-Acb (28)
부분 조성물을 28일 보존한 후의 감도를 ΔAbs28, 부분 조성물을 1년 보존한 후의 감도를 ΔAbs365로 하여, 하기 (29)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기의 감도 잔존율을 ΔAbs28과 ΔAbs365의 비율로서 산출하였다. 부분 조성물을 1년 보존한 후의 시약 블랭크의 결과와 아울러, 장기의 감도 잔존율을 표 12에 나타낸다.
장기의 감도 잔존율(%)=ΔAbs365÷ΔAbs28×100 (29)
[표 12-1]
Figure pct00032
[표 12-2]
Figure pct00033
[표 12-3]
Figure pct00034
[표 12-4]
Figure pct00035
표 1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페로시안화물과 혼합되었을 때에, 0.058 V보다 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부여하는 안정화제를 이용하면, 킬레이트제(시트르산삼나트륨)를 첨가하고 있지 않은 경우의 시약 블랭크와, 킬레이트제(시트르산삼나트륨)를 첨가한 경우의 시약 블랭크는, 거의 동일하였다.
[실시예 9: pH 및 킬레이트제 종류의 효과의 장기 안정성의 검증]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6으로 조정하여,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2-아미노에탄술폰산(도진 가가쿠사 제조)
0.05 wt/vol% 아지드화나트륨(머크사 제조)
1 mmol/L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나트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6 wt/vol% D(-)-소르비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2 mmol/L N,N-비스(4-술포부틸)-3-메틸아닐린, 이나트륨염(도진 가가쿠사 제조)
10 U/mL 페록시다제(아마노 엔자임사 제조)
30 U/mL 케토아민 옥시다제(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3시약계: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5로 조정하여, 안정화제로서 프로필렌글리콜을 함유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25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6.25 mmol/L 4-아미노안티피린(아크텍사 제조)
625 U/mL 카탈라제(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50 kU/mL 당화 알부민용 프로테아제(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일본 특허 제4565807호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얻었다.)
50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3시약계: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를 조정하여, 상이한 pH의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0.5 mmol/L 페로시안화칼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후술하는 농도의 pH로 조정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의 pH)
pH 6.5
pH 7.0
pH 7.5
pH 8.0
(3시약계: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0으로 조정하여, 킬레이트제를 함유하는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0.5 mmol/L 페로시안화칼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후술하는 농도의 킬레이트제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에 함유시킨 킬레이트제)
5 mmol/L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나트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약칭 EDTA)
5 mmol/L 글리콜에테르디아민사아세트산(도진 가가쿠사 제조, 약칭 EGTA)
5 mmol/L N-(2-히드록시에틸)이미노이아세트산(도진 가가쿠사 제조, 약칭 HIDA)
5 mmol/L 니트릴로트리스(메틸포스폰산), 삼나트륨염(도진 가가쿠사 제조, 약칭 NTPO)
5 mmol/L 니트릴로삼아세트산(도진 가가쿠사 제조, 약칭 NTA)
5 mmol/L 트랜스-1,2-디아미노시클로헥산-N,N,N,N-사아세트산, 1수화물(도진 가가쿠사 제조, 약칭 CyDTA)
5 mmol/L 이미노디아세트산(도진 가가쿠사 제조, 약칭 IDA)
5 mmol/L 디에틸렌트리아민-N,N,N',N",N"-오아세트산(도진 가가쿠사 제조, 약칭 DTPA)
5 mmol/L 1,3-디아미노-2-프로판올-N,N,N',N'-사아세트산(도진 가가쿠사 제조, 약칭 DPTA-OH)
5 mmol/L 글루콘산나트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5 mmol/L L(-)-말산나트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5 mmol/L 숙신산(간토 가가쿠사 제조)
5 mmol/L 시트르산삼나트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5 mmol/L 살리실산(나카라이 테스크사 제조)
5 mmol/L (+)-타르타르산칼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5 mmol/L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글리신(도진 가가쿠사 제조, 약칭 Tricine)
5 mmol/L N,N-비스(2-히드록시에틸)글리신(도진 가가쿠사 제조, 약칭 Bicine)
(샘플)
이하의 샘플 검체를 준비하였다.
관리 혈청 L(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관리 혈청 H(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시약 보존)
조제한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1) 및 (2)를 5℃에서 28일 또는 1년 보존하였다.
(측정 준비)
3시약계의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과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1) 또는 (2)를 용량비 4:1로 혼합하여, 측정에 사용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측정 순서)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180 μL에 샘플 검체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에,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더 반응시켰다.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에 샘플 검체를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1로부터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과 샘플 검체의 혼합액에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2까지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흡광도 변화 AC는 하기 (30)식으로 주어진다.
AC=(Abs2)-(Abs1)×180/225 (30)
여기서 180이란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액량을, 225란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과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총 액량을 의미한다.
샘플 검체를 이용하여 측정된 흡광도 변화 Acs, 샘플 검체 대신에 정제수를 이용하여 측정된 흡광도 변화를 시약 블랭크 Acb로 하여, 하기 (31)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 검체를 이용하여 측정된 흡광도 변화 Acs로부터 시약 블랭크의 흡광도 변화 Acb를 뺀 값을 감도 ΔAbs로서 산출하였다.
ΔAbs=Acs-Acb (31)
부분 조성물을 28일 보존한 후의 감도를 ΔAbs28, 부분 조성물을 1년 보존한 후의 감도를 ΔAbs365로 하여, 하기 (32)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기의 감도 잔존율을 ΔAbs28과 ΔAbs365의 비율로서 산출하였다. 부분 조성물을 1년 보존한 후의 시약 블랭크의 결과와 아울러, 장기의 감도 잔존율을 표 13과 도 4에 나타낸다.
장기의 감도 잔존율(%)=ΔAbs365÷ΔAbs28×100 (32)
[표 13-1]
Figure pct00036
[표 13-2]
Figure pct00037
표 13 및 도 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pH를 변화시켜도, 시약 블랭크의 변화는 작았다. 또한,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에 첨가된 킬레이트제의 종류를 변화시켜도, 시약 블랭크의 변화는 작았다.
[실시예 10: pH의 효과의 장기 안정성의 검증]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6으로 조정하여,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2-아미노에탄술폰산(도진 가가쿠사 제조)
0.05 wt/vol% 아지드화나트륨(머크사 제조)
1 mmol/L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나트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6 wt/vol% D(-)-소르비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2 mmol/L N,N-비스(4-술포부틸)-3-메틸아닐린, 이나트륨염(도진 가가쿠사 제조)
10 U/mL 페록시다제(아마노 엔자임사 제조)
30 U/mL 케토아민 옥시다제(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3시약계: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5로 조정하여,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로서,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는 부분 조성물과,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지 않는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25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6.25 mmol/L 4-아미노안티피린(아크텍사 제조)
625 U/mL 카탈라제(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50 kU/mL 당화 알부민용 프로테아제(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일본 특허 제4565807호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얻었다.)
1.25 mmol/L 시트르산삼나트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후술하는 농도의 안정화제
(3시약계: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에 함유시킨 안정화제)
37.5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62.5 wt/vol% 트리메틸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62.5 wt/vol% 에틸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0.75 wt/vol% 2-카르복시페닐보론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3시약계: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pH 7.0 또는 pH 8.0으로 조정하여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또한, pH 8.0의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로서,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는 부분 조성물과,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지 않는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0.5 mmol/L 페로시안화칼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5 mmol/L 시트르산삼나트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3시약계: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0 또는 pH 8.0으로 조정하여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또한, pH 8.0으로 조정한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로서,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는 부분 조성물과,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지 않는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10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25 mmol/L 4-아미노안티피린(아크텍사 제조)
25 mmol/L 시트르산삼나트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pH 8.0으로 조정한 경우에만 첨가하였다.)
(3시약계: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의 조제)
하기의 시약 성분을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7.5로 조정하여, 안정화제로서 프로필렌글리콜을 함유한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로서,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는 부분 조성물과, 시트르산삼나트륨을 함유하지 않는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250 mmol/L 3,3-디메틸글루타르산(도쿄 가세이사 제조)
0.05 wt/vol% ProClin300(Sigma-Aldrich사 제조)
0.125 mmol/L 페로시안화칼륨(고쿠산 가가쿠사 제조)
625 U/mL 카탈라제(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50 kU/mL 당화 알부민용 프로테아제(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일본 특허 제4565807호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얻었다.)
1.25 mmol/L 시트르산삼나트륨(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37.5 wt/vol% 프로필렌글리콜(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 제조)
(샘플 검체)
이하의 샘플 검체를 준비하였다.
관리 혈청 L(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관리 혈청 H(아사히 가세이 파마사 제조)
(시약 보존)
조제한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5℃에서 28일 또는 1년 보존하였다.
(측정 준비)
3시약계의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과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을 용량비 4:1로 혼합하여, 측정에 사용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1)을 조제하였다.
3시약계의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과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을 용량비 1:4로 혼합하여, 측정에 사용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2)을 조제하였다.
(측정 순서)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180 μL에 샘플 검체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에,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 45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더 반응시켰다.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에 샘플 검체를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1로부터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과 샘플 검체의 혼합액에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을 첨가하여 5분 후의 흡광도 Abs2까지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흡광도 변화 AC는 하기 (33)식으로 주어진다.
AC=(Abs2)-(Abs1)×180/225 (33)
여기서 180이란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액량을, 225란 트린더 시약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과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액상 부분 조성물의 총 액량을 의미한다.
샘플 검체를 이용하여 측정된 흡광도 변화 Acs, 샘플 검체 대신에 정제수를 이용하여 측정된 흡광도 변화를 시약 블랭크 Acb로 하여, 하기 (34)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 검체를 이용하여 측정된 흡광도 변화 Acs로부터 시약 블랭크의 흡광도 변화 Acb를 뺀 값을 감도 ΔAbs로서 산출하였다.
ΔAbs=Acs-Acb (34)
부분 조성물을 28일 보존한 후의 감도를 ΔAbs28, 부분 조성물을 1년 보존한 후의 감도를 ΔAbs365로 하여, 하기 (35)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기의 감도 잔존율을 ΔAbs28과 ΔAbs365의 비율로서 산출하였다. 부분 조성물을 1년 보존한 후의 시약 블랭크의 결과와 아울러, 장기의 감도 잔존율을 표 14에 나타낸다.
장기의 감도 잔존율(%)=ΔAbs365÷ΔAbs28×100 (35)
[표 14-1]
Figure pct00038
[표 14-2]
Figure pct00039
[표 14-3]
Figure pct00040
[표 14-4]
Figure pct00041
[표 14-5]
Figure pct00042
표 1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페로시안화물과 혼합되었을 때에, 0.058 V보다 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부여하는 안정화제를 이용하면, pH를 7보다 크게 해도, 시약 블랭크의 변화는 작았다. 또한, 페로시안화물과 혼합되었을 때에, 0.058 V보다 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부여하는 안정화제를 이용하면, 킬레이트제를 첨가해도, 시약 블랭크의 변화는 작았다.

Claims (41)

  1. 적어도 트린더 시약, 4-아미노안티피린, 프로테아제,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으로서,
    적어도 상기 트린더 시약이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고,
    적어도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이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며,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혼합한 경우의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안정화제이고,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에 있어서의 산화 환원 전위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한쪽이,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더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더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를 더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더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6.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를 더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한쪽이, 상기 프로테아제,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더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더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혼합한 경우의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11. 적어도 트린더 시약, 4-아미노안티피린, 프로테아제,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으로서,
    적어도 상기 트린더 시약이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고,
    적어도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이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며,
    적어도 상기 페로시안화물이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혼합한 경우의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이며,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에 있어서의 산화 환원 전위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한쪽이,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더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더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를 더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더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16. 제11항 내지 제13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당화 아미노산 옥시다제를 더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더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18.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혼합한 경우의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19. 제11항, 제12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과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혼합한 경우의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20.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과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혼합한 경우의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21. 제11항, 제12항 및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의 농도가,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농도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0.058 V보다 크고 0.400 V 이하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및 카르복시페닐보론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24. 제1항 내지 제16항, 제19항 및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프로필렌글리콜이며,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7.5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25. 제11항, 제12항, 제17항 및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프로필렌글리콜이며,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가 7.5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26. 제1항 내지 제16항, 제19항 및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트리메틸렌글리콜이며,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0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27. 제11항, 제12항, 제17항 및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트리메틸렌글리콜이며,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0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28. 제1항 내지 제16항, 제19항 및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에틸렌글리콜이며,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0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29. 제11항, 제12항, 제17항 및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에틸렌글리콜이며,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40 wt/vol% 이상 80 wt/vol% 이하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30. 제1항 내지 제16항, 제19항 및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이며,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또는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0.2 wt/vol% 이상 10 wt/vol% 이하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31. 제11항, 제12항, 제17항 및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이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이며,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2-카르복시페닐보론산의 농도가 0.2 wt/vol% 이상 10 wt/vol% 이하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 단백질이 당화 알부민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33.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 이상 10℃ 이하에서 보존되는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디메틸술폭시드를 제외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35.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한쪽이, 페록시다제를 더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36.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으로서,
    검체에, 트린더 시약, 4-아미노안티피린, 프로테아제,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페로시안화물을 접촉시키는 것과,
    검체 중에 존재하는 당화 단백질에 의존하는 발색을 검출하는 것
    을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접촉시키는 것 전에, 상기 트린더 시약이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며,
    적어도 상기 접촉시키는 것 전에,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이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고,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한쪽이,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한쪽이,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혼합한 경우의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안정화제이며,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에 있어서의 산화 환원 전위인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37.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으로서,
    검체에, 트린더 시약, 4-아미노안티피린, 프로테아제,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페로시안화물을 접촉시키는 것과,
    검체 중에 존재하는 당화 단백질에 의존하는 발색을 검출하는 것
    을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접촉시키는 것 전에, 상기 트린더 시약이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며,
    적어도 상기 접촉시키는 것 전에,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이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고,
    적어도 상기 접촉시키는 것 전에, 상기 페로시안화물이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에 포함되며,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프로테아제 및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혼합한 경우의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안정화제이며,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에 있어서의 산화 환원 전위인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38.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으로서,
    적어도 트린더 시약을 포함하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는 것과,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을 보존하는 것과,
    적어도 4-아미노안티피린을 포함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는 것과,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보존하는 것
    을 포함하고,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한쪽이, 프로테아제 및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한쪽이, 페로시안화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혼합한 경우의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안정화제이며,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에 있어서의 산화 환원 전위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39.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으로서,
    적어도 트린더 시약을 포함하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는 것과,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을 보존하는 것과,
    적어도 4-아미노안티피린을 포함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는 것과,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보존하는 것과,
    적어도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는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는 것과,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보존하는 것
    을 포함하고,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하나가, 프로테아제 및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혼합한 경우의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안정화제이고,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에 있어서의 산화 환원 전위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40.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으로서,
    적어도 트린더 시약을 포함하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는 것과,
    적어도 4-아미노안티피린을 포함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는 것
    을 포함하고,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한쪽에, 프로테아제 및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시키며,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한쪽에, 페로시안화물을 포함시키고,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혼합한 경우의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안정화제이며,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에 있어서의 산화 환원 전위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41.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으로서,
    적어도 트린더 시약을 포함하는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는 것과,
    적어도 4-아미노안티피린을 포함하는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는 것과,
    적어도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는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을 조제하는 것
    을 포함하고,
    상기 트린더 시약 함유 부분 조성물, 상기 4-아미노안티피린 함유 부분 조성물,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 함유 부분 조성물 중 어느 하나에, 프로테아제 및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시키며,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가, 이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와 혼합한 경우의 상기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0.058 V보다 크게 하는 안정화제이고,
    상기 산화 환원 전위가, 상기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 및 상기 페로시안화물을 포함하고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계에 있어서의 산화 환원 전위인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KR1020217041849A 2019-07-01 2020-06-30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크게 하는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및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KR1026527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22997 2019-07-01
JPJP-P-2019-122997 2019-07-01
JPJP-P-2019-122875 2019-07-01
JP2019122875 2019-07-01
PCT/JP2020/025738 WO2021002371A1 (ja) 2019-07-01 2020-06-30 フェロシアン化物の酸化還元電位を大きくするプロテアーゼの安定化剤を含む糖化タンパク質測定試薬、糖化タンパク質の測定方法、糖化タンパク質測定試薬の保存方法、及び糖化タンパク質測定試薬の安定化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699A true KR20220011699A (ko) 2022-01-28
KR102652712B1 KR102652712B1 (ko) 2024-03-28

Family

ID=74100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1849A KR102652712B1 (ko) 2019-07-01 2020-06-30 페로시안화물의 산화 환원 전위를 크게 하는 프로테아제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 당화 단백질의 측정 방법,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보존 방법, 및 당화 단백질 측정 시약의 안정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57334A1 (ko)
EP (1) EP3995586A4 (ko)
JP (2) JP7492513B2 (ko)
KR (1) KR102652712B1 (ko)
CN (1) CN114158267A (ko)
WO (1) WO20210023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13650A (zh) * 2020-06-29 2020-09-29 江南大学 一种低致敏性蛋清粉的制备方法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95900A (ja) 1989-01-25 1990-08-02 Sanyo Chem Ind Ltd 糖化蛋白の測定法および測定試薬
JPH05192193A (ja) 1991-07-29 1993-08-03 Genzyme Ltd 非酵素的グリコシル化タンパク質の検定法
JPH0646846A (ja) 1992-06-05 1994-02-22 Nakano Vinegar Co Ltd フルクトシルアミンデグリカーゼ、その製造法及び該酵素を用いたアマドリ化合物の定量方法
WO1995028092A1 (en) 1994-04-18 1995-10-26 Gist-Brocades B.V. Stable water-in-oil emulsions
WO1996034977A1 (en) 1995-05-05 1996-11-07 Genzyme Limited Determination of glycated proteins
WO1996041859A1 (en) 1995-06-13 1996-12-27 Novo Nordisk A/S 4-substituted-phenyl-boronic acids as enzyme stabilizers
WO1997013872A1 (fr) 1995-10-12 1997-04-17 Kyoto Daiichi Kagaku Co., Ltd. Procede pour doser les composes d'amadori
WO1998013462A1 (en) 1996-09-24 1998-04-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detergents containing proteolytic enzyme, peptide aldehyde and a source of boric acid
WO1998013459A1 (en) 1996-09-24 1998-04-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detergents containing proteolytic enzyme, peptide aldehyde and calcium ions
WO2002061119A1 (fr) 2001-01-31 2002-08-08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Compositions pour analyse de glycoproteines
JP2004049063A (ja) 2002-07-18 2004-02-19 Asahi Kasei Pharma Kk プロテアーゼ含有試薬を用いた定量方法および定量試薬
JP2006010711A (ja) 2005-09-22 2006-01-12 Denka Seiken Co Ltd 試薬組成物の安定化方法及び安定化された試薬組成物
US20070224685A1 (en) * 2004-08-05 2007-09-27 Asahi Kasei Pharma Corporation Reagent Containing Protease Reaction Promoter and/or Colorant Stabilizer
CN104152431A (zh) * 2014-08-08 2014-11-19 宁夏夏盛实业集团有限公司 一种碱性蛋白酶稳定剂及其应用
CN109239059A (zh) * 2018-08-30 2019-01-18 中拓生物有限公司 一种糖化血清蛋白测定试剂盒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94618A1 (fr) 2000-06-07 2001-12-13 Bml, Inc. Procede de detection d'albumine saccharifiee
JP3797603B2 (ja) * 2002-01-31 2006-07-19 デンカ生研株式会社 試薬組成物の安定化方法
JP4565807B2 (ja) 2003-01-22 2010-10-20 旭化成ファーマ株式会社 糖化タンパク質測定用プロテアーゼ
JP2005261383A (ja) * 2004-03-22 2005-09-29 Asahi Kasei Pharma Kk 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US20090209447A1 (en) * 2008-02-15 2009-08-20 Michelle Meek Cleaning compositions
CN104164473A (zh) * 2013-05-16 2014-11-26 北京豪迈生物工程有限公司 糖化白蛋白酶法检测试剂盒及其检测方法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95900A (ja) 1989-01-25 1990-08-02 Sanyo Chem Ind Ltd 糖化蛋白の測定法および測定試薬
JPH05192193A (ja) 1991-07-29 1993-08-03 Genzyme Ltd 非酵素的グリコシル化タンパク質の検定法
JPH0646846A (ja) 1992-06-05 1994-02-22 Nakano Vinegar Co Ltd フルクトシルアミンデグリカーゼ、その製造法及び該酵素を用いたアマドリ化合物の定量方法
WO1995028092A1 (en) 1994-04-18 1995-10-26 Gist-Brocades B.V. Stable water-in-oil emulsions
WO1996034977A1 (en) 1995-05-05 1996-11-07 Genzyme Limited Determination of glycated proteins
JPH11504808A (ja) * 1995-05-05 1999-05-11 ジェンザイム・リミテッド 糖化タンパク質の測定
WO1996041859A1 (en) 1995-06-13 1996-12-27 Novo Nordisk A/S 4-substituted-phenyl-boronic acids as enzyme stabilizers
WO1997013872A1 (fr) 1995-10-12 1997-04-17 Kyoto Daiichi Kagaku Co., Ltd. Procede pour doser les composes d'amadori
WO1998013459A1 (en) 1996-09-24 1998-04-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detergents containing proteolytic enzyme, peptide aldehyde and calcium ions
WO1998013462A1 (en) 1996-09-24 1998-04-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detergents containing proteolytic enzyme, peptide aldehyde and a source of boric acid
WO2002061119A1 (fr) 2001-01-31 2002-08-08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Compositions pour analyse de glycoproteines
JP2004049063A (ja) 2002-07-18 2004-02-19 Asahi Kasei Pharma Kk プロテアーゼ含有試薬を用いた定量方法および定量試薬
US20070224685A1 (en) * 2004-08-05 2007-09-27 Asahi Kasei Pharma Corporation Reagent Containing Protease Reaction Promoter and/or Colorant Stabilizer
JP2006010711A (ja) 2005-09-22 2006-01-12 Denka Seiken Co Ltd 試薬組成物の安定化方法及び安定化された試薬組成物
CN104152431A (zh) * 2014-08-08 2014-11-19 宁夏夏盛实业集团有限公司 一种碱性蛋白酶稳定剂及其应用
CN109239059A (zh) * 2018-08-30 2019-01-18 中拓生物有限公司 一种糖化血清蛋白测定试剂盒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95586A4 (en) 2023-06-21
US20220357334A1 (en) 2022-11-10
JP7492513B2 (ja) 2024-05-29
CN114158267A (zh) 2022-03-08
JP2023166000A (ja) 2023-11-17
JPWO2021002371A1 (ko) 2021-01-07
EP3995586A1 (en) 2022-05-11
KR102652712B1 (ko) 2024-03-28
WO2021002371A1 (ja)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0423B2 (en) Reagent containing protease reaction promoter and/or colorant stabilizer
Bull et al. Steady-state kinetic studies of superoxide dismutases: properties of the iron containing protein from Escherichia coli
JP4929181B2 (ja) アルブミン変性剤
US10093959B2 (en) Enzymatic determination of HBA1c
JP7056577B2 (ja) ヘモグロビンの糖化率測定方法
CN105203472A (zh) 一种稳定的游离脂肪酸测定试剂盒
JP2023166000A (ja) フェロシアン化物の酸化還元電位を大きくするプロテアーゼの安定化剤を含む糖化タンパク質測定試薬、糖化タンパク質の測定方法、糖化タンパク質測定試薬の保存方法、及び糖化タンパク質測定試薬の安定化方法
JP7328808B2 (ja) ジメチルスルホキシドを含む糖化タンパク質測定試薬、糖化タンパク質の測定方法、糖化タンパク質測定試薬の保存方法、及び糖化タンパク質測定試薬の安定化方法
US7485436B2 (en) Method of stabilizing oxidation color former
JP4639287B2 (ja) 酵素的測定試薬の安定化方法
JP2021007341A (ja) カタラーゼ及びキレート剤を含有する糖化タンパク質測定試薬用の4−アミノアンチピリン含有部分組成物、糖化タンパク質測定試薬、糖化タンパク質の測定方法、糖化タンパク質測定試薬用の4−アミノアンチピリン含有部分組成物の安定化方法、及び糖化タンパク質測定試薬用の4−アミノアンチピリン含有部分組成物の保存方法
JP2021007389A (ja) 安定化剤を含有する糖化タンパク質測定試薬用の4−アミノアンチピリン含有部分組成物、糖化タンパク質測定試薬、糖化タンパク質の測定方法、糖化タンパク質測定試薬用の4−アミノアンチピリン含有部分組成物の安定化方法、及び糖化タンパク質測定試薬用の4−アミノアンチピリン含有部分組成物の保存方法
JP2005110507A (ja) 試薬の安定化方法
JP2021096236A (ja) 2,5−ジヒドロキシベンゼンスルホン酸又はその塩の阻害剤、及び2,5−ジヒドロキシベンゼンスルホン酸又はその塩による測定への影響を抑制する測定用試薬組成物
JP2001299385A (ja) キレート物質を含む測定試薬
EP2857503B1 (en) Method for stabilizing ascorbic acid oxidase
JP2019176802A (ja) ロイコ型色素の安定化方法
JP2019198321A (ja) 生体成分測定試薬キットの感度低下抑制方法
JP4577873B2 (ja) 試薬の安定性を改善する方法
JP4039664B2 (ja) 安定なケトアミンオキシダーゼ含有試薬
JP5326331B2 (ja) チラミンオキシダーゼの安定化方法およびその組成物
JP6672581B2 (ja) サルコシンオキシダーゼの安定化方法
KR20050052376A (ko) 콜레스테롤 탈수소효소의 안정화 방법, 콜레스테롤탈수소효소 함유 조성물 및 콜레스테롤 측정 시약
JP2009247258A (ja) チラミンオキシダーゼの安定化方法およびその組成物
JP2009247256A (ja) チラミンオキシダーゼの安定化方法およびその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