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495A -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9495A
KR20220009495A KR1020227000667A KR20227000667A KR20220009495A KR 20220009495 A KR20220009495 A KR 20220009495A KR 1020227000667 A KR1020227000667 A KR 1020227000667A KR 20227000667 A KR20227000667 A KR 20227000667A KR 20220009495 A KR20220009495 A KR 20220009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fu
heat
conveyer
filter cloth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0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2545B1 (ko
Inventor
도이치로 다카이
도루 아와즈
다쿠 기타우라
도시아키 신데
모토나리 아마노
요시히로 모리타
심페이 니시무라
요시히토 아사미
유타카 다네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타카이세이사쿠쇼
하우스 푸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타카이세이사쿠쇼, 하우스 푸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타카이세이사쿠쇼
Priority to KR1020237003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0025A/ko
Publication of KR20220009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30Removing undesirable substances, e.g. bitter substances
    • A23L11/31Removing undesirable substances, e.g. bitter substances by heating without chemical treatment, e.g. steam treatment, cook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40Pulse curds
    • A23L11/45Soy bean curds, e.g. tofu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1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loose unpacked materials
    • A23L3/1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loose unpacked materials while they are progressively transported through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100)는, 외측을 주회하는 무단상의 거름천 벨트(13, 17)와 내측을 주회하는 무단상의 반송 컨베이어(15, 19)가 상하에 각 한쌍 설치되어, 두유 응고물(T)을 상하의 거름천 벨트(13, 17) 및 반송 컨베이어(15, 19)에 의해 끼워 지지하면서 압착 성형한다. 거름천 벨트(13, 17)의 주회 궤도 중, 두유 응고물(T)이 끼워 지지되는 반송로(11)의 종단부에서 반송로(11)의 시단부까지의 영역에 해당되는 리턴 공정의 소정 범위를 가열하여 살균하는 가열부(51, 5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Device for continuous molding of soybean curd}
본 발명은,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전적인 두부의 제조에 있어서는, 목제의 형틀상자에 굳히지 않은 두유 응고물을 담고, 무명 천을 개재하여 두유 응고물을 압착함으로써 두부를 성형하고 있었다. 목제 형틀상자는 위생적으로는 문제가 있었지만, 보온성이 좋아, 성형 중의 방열이 적기 때문에, 탄력이 있고 맛있는 두부(무명 두부)가 제조 가능하였다. 그러나, 근대적인 두부 제조 설비에 있어서는, 위생적인 요구로부터 스테인리스 강이나 알루미늄제 등의 박판(薄板)으로 이루어지는 형틀상자의 사용이 주류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플레이트 컨베이어식 등의 연속 성형 장치가 이용되고(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참조), 무명 천으로서의 수지제 모노필라멘트 실로 이루어지는 거름천 벨트가 각각의 컨베이어들과 병주(倂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컨베이어의 금속제 플레이트로부터의 압력이 거름천 벨트를 개재하여 두유 응고물에 부여되고, 압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 두부 제조 중의 두유는 60℃ 이상으로 가열되기 때문에 균 수가 적지만, 두유 응고 후에 상온까지 식혀진 두부는 균의 온상이 되기 쉽다. 그 때문에, 두부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등의 기기를 살균하여, 두부 표면에의 균의 부착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런 종류의 컨베이어 등의 기기를 살균하는 기술은, 종래부터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일본국 특개 2005-261369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5215941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3652740호 공보
특허문헌 3의 살균 기술은, 냉각 수조에의 반송(搬送) 공정 전체를 살균하는 것이며, 특히 두부 표면의 살균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두부류의 취급은, 통상, 10℃ 이하의 요(要)냉장으로 유통되고, 제조 후, 길어도 4∼5일간 내에 소비되고 있었다. 그 때문에, 컨베이어 등의 기기에의 절대적인 살균 처리는 불필요했다. 그런데 최근에는, 긴 유통 기간을 필요로 하는 지역에 두부류를 제공하는 것이나,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 등에 따라서 장기 보존이 가능하도록, 두부류의 유통 기간을 연장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예를 들면, 약 5℃의 냉장 상태에서 60일 이상의 보존을 보증시키는 요망도 있다. 유통 기간을 연장하려면, 보다 높은 레벨의 살균 처리를 시행하여, 컨베이어 등의 기기에 부착되어 있는 생균 수를 대폭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긴요해진다. 특히, 균의 온상이 되기 쉬운 거름천 벨트에 균이 잔존하고 있으면 두부 제품에 균이 부착되고, 제품 보존 중에 균이 증식하여 상품 가치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장기 보존하는 경우에는, 특허문헌 3의 살균 처리로는 불충분하며, 보다 완전한 세정, 살균 처리가 필요 불가결해진다.
또, 최근의 플레이트 컨베이어식 등의 연속 성형 장치는, 생력화(省力化), 경제성, 경량화가 우선되어, 생산 효율이 높아지고 있다. 그 결과, 두부류의 품질은 이전보다도 경시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얇은 금속판은, 쉽게 달구어지고 쉽게 식어, 두부류의 보온성이 저하한다. 방열에 의해 두부류의 온도가 내려가면, 두부류는 유화(柔化)하여 결착력이 약해져, 무명 천에 두부류가 부착하는 「천 부착」 현상이 일어나기 쉬워진다. 이 「천 부착」 현상을 피하기 위해, 두부류의 응고 온도를 과잉하게 고온으로 하는 것이나, 응고제를 조금 과잉하게 첨가하는 것이 보통 행해지고 있다. 그 결과, 두부류의 탄력이나 풍미의 저하를 초래하여, 제품 품질을 저하시키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연속 성형 장치의 거름천 벨트나 반송 컨베이어에 부착한 균을 확실하게 세정, 살균하여, 두부류의 제품 품질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장기에 걸쳐 두부류를 보존할 수 있는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 두부류가 거름천 벨트에 부착하는 「천 부착」 현상을 회피하여, 고품질의 두부류를 제조할 수 있는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외측을 주회(周回)하는 무단상(無端狀)의 거름천 벨트와 내측을 주회하는 무단상의 반송 컨베이어가 상하에 각 한 쌍 설치되어, 두유 응고물을 상하의 상기 거름천 벨트 및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끼워 지지하면서 반송하여 압착 성형하는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로서,
상기 거름천 벨트의 주회 궤도 중, 상기 두유 응고물이 끼워 지지되는 반송로의 종단부에서 상기 반송로의 시단부(始端部)까지의 영역에 해당하는 리턴 공정의 소정 범위 내를 가열하여 살균하는 가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2) 외측을 주회하는 무단상의 거름천 벨트와 내측을 주회하는 무단상의 반송 컨베이어가 상하에 각 한 쌍 설치되어, 두유 응고물을 상하의 상기 거름천 벨트 및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끼워 지지하면서 반송하여 압착 성형하는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로서,
상기 거름천 벨트 및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주회 궤도 중, 상기 두유 응고물이 끼워 지지되는 반송로의 종단부에서 상기 반송로의 시단부까지의 영역에 해당하는 리턴 공정 및 상기 반송로의 시단부에서 상기 반송로의 종단부까지의 영역에 해당하는 이송 공정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의 소정 범위 내를 가열하여 살균하는 가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3) 상기 각각의 가열부는, 가열된 증기를 분사하는 증기 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4) 상기 가열부는, 상기 소정 범위를 둘러싸는 칸막이 부재 또는 부재들을 갖고, 상기 칸막이 부재 또는 부재들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5)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상기 소정 범위의 분위기 온도는, 60℃ 이상, 10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6) 상기 거름천 벨트 및 상기 반송 컨베이어는, 상기 소정 범위를 통과할 때의 1회당 통과 시간이 1초 이상, 3600초 이하가 되는 주회 속도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에 기재된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7) 상기 해당 거름천 벨트의 리턴 공정 내에, 상기 해당 거름천 벨트의 주회 방향 하류측을 향해, 상기 거름천 벨트들 중 해당 거름천 벨트를 알칼리액에 의해 세정하는 알칼리 세정부와, 상기 해당 거름천 벨트를 산액에 의해 세정하는 산 세정부와, 상기 가열부가 이 순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8) 상기 해당 반송 컨베이어의 리턴 공정 내에, 상기 해당 반송 컨베이어의 주회 방향 하류측을 향해, 상기 반송 컨베이어들 중 해당 반송 컨베이어를 알칼리액에 의해 세정하는 알칼리 세정부와, 상기 해당 반송 컨베이어를 산액에 의해 세정하는 산 세정부와, 상기 가열부가 이 순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9) 상기 알칼리 세정부의 상기 주회 방향 상류측, 상기 알칼리 세정부와 상기 산 세정부와의 사이 및, 상기 산 세정부와 상기 가열부와의 사이의 위치 중 적어도 어느 쪽에, 상기 거름천 벨트들 중 해당 거름천 벨트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수세 세정부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 또는 (8)에 기재된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10) 상기 수세 세정부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들 중 해당 반송 컨베이어에 세정수를 고압 펌프에 의해 분사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9)에 기재된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11) 상기 알칼리액은 농도 0.5% 이상, 농도 10% 이하의 알칼리액이고,
상기 산액은 농도 0.1% 이상이고, 농도 10% 이하의 산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7)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12) 상기 각각의 반송 컨베이어는 평강(平鋼), 형강(形鋼), 및 강관(鋼管) 중 적어도 어느 것으로 형성된 다수의 플레이트 부재를, 무단상으로 연결한 플레이트 컨베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13)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 부재는, 중공 공간을 갖는 중공 구조이며, 상기 중공 공간에 단열 보온재, 또는 축열재 중 적어도 어느 것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에 기재된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14)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 부재는, 중공 공간을 갖는 중공 구조이며, 상기 중공 공간은, 감압 상태로 밀봉된 단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에 기재된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속 성형 장치의 거름천 벨트나 반송 컨베이어에 부착한 균을 확실히 세정, 살균하여, 제품 품질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두부류를 장기에 걸쳐 보존할 수 있다. 또, 두부류가 거름천 벨트에 부착하는 「천 부착」 현상을 회피하여, 성형 시의 보온성을 높여 고품질의 두부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3은 각 반송 컨베이어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반송 컨베이어의 진행 방향을 따라 취한 단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2 구성예의 성형 장치를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서 절단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6a는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중공 구조의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중공 구조의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7c는 중공 구조의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7d는 중공 구조의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7e는 중공 구조의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7f는 중공 구조의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7g는 중공 구조의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7h는 중공 구조의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단열 보온재 또는 축열재를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8b는 단열 보온재 또는 축열재를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8c는 단열 보온재 또는 축열재를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8d는 단열 보온재 또는 축열재를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8e는 단열 보온재 또는 축열재를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8f는 단열 보온재 또는 축열재를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8g는 단열 보온재 또는 축열재를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8h는 단열 보온재 또는 축열재를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8i는 단열 보온재 또는 축열재를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8j는 단열 보온재 또는 축열재를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8k는 단열 보온재 또는 축열재를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8l은 단열 보온재 또는 축열재를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8m은 단열 보온재 또는 축열재를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8n은 단열 보온재 또는 축열재를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8o는 단열 보온재 또는 축열재를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단열 보온재와 축열재를 함께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9b는 단열 보온재와 축열재를 함께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9c는 단열 보온재와 축열재를 함께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9d는 단열 보온재와 축열재를 함께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9e는 단열 보온재와 축열재를 함께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9f는 단열 보온재와 축열재를 함께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9g는 단열 보온재와 축열재를 함께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9h는 단열 보온재와 축열재를 함께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9i는 단열 보온재와 축열재를 함께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9j는 단열 보온재와 축열재를 함께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9k는 단열 보온재와 축열재를 함께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9l은 단열 보온재와 축열재를 함께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9m은 단열 보온재와 축열재를 함께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9n은 단열 보온재와 축열재를 함께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9o는 단열 보온재와 축열재를 함께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3 구성예의 성형 장치를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서 절단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 4 구성예의 성형 장치를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서 절단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 5 구성예의 성형 장치를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서 절단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 6 구성예의 성형 장치를 반송 방향을 따른 면에서 절단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 7 구성예의 성형 장치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서 절단한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이다.
도 15a는 제 8 구성예의 성형 장치의 모식적인 일부 측면도이다.
도 15b는 제 1 변형예의 성형 장치의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이다.
도 15c는 제 2 변형예의 성형 장치의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이다.
도 15d는 제 3 변형예의 성형 장치의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이다.
도 15e는 제 4 변형예의 성형 장치의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이다.
도 16a는 제 9 구성예의 성형 장치의 모식적인 일부 측면도이다.
도 16b는 변형예의 성형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구성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본 구성의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이하, 성형 장치(100)라고 약칭함)(100)는, 두부 생지인 두유 응고물(T)의 반송로(11)의 위쪽에, 외측을 주회하는 무단상의 거름천 벨트(13)와, 내측을 주회하는 무단상의 반송 컨베이어(15)(거름천/컨베이어 한 쌍)가 설치되고, 반송로(11)의 아래쪽에, 외측을 주회하는 무단상의 거름천 벨트(17)와, 내측을 주회하는 무단상의 반송 컨베이어(19)(거름천/컨베이어 한 쌍)가 한 쌍 설치된다.
(상하) 한 쌍의 무단상의 거름천 벨트(13, 17)(도 1 중, 실선으로 나타냄) 및 각각의 무단상 거름천 벨트(13, 17)의 내측을 동조하여 마찬가지로 주회하는 (상하) 한 쌍의 무단상의 반송 컨베이어(15, 19)(도 1 중, 점선으로 나타냄)는, 피반송물인 두유 응고물(T)을 상하 방향으로 끼워 반송 방향(P)을 따라 반송한다. 반송로(11)의 상하 방향의 간격은, 두유 응고물(T)의 두께보다도 좁거나 동등한 간격이고, 두유 응고물(T)은, 반송 컨베이어(15, 19)에 의해 압착되면서, 반송 방향(P)을 따라 반송된다. 두유 응고물(T)은, 반송로(11)를 주행함에 따라 압착되어, 수분(「유청」, 「맑은 물」 또는 「뜨거운 물」)이 배출됨으로써, 두유 응고물이 압밀되어 성형된 두부류가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두부류란, 연두부, 무명 두부(부드러운 무명 두부부터 매우 딱딱한 무명 두부, 단단한 두부(hard tofu), 건두부(豆干;dougan) 등을 포함함), 소프트 무명 두부, 튀긴(두껍게 썰어 튀긴) 두부 생지, 연두부를 튀긴 생지, 얇게 썰어 튀긴 두부나 두껍게 썰어 튀긴 두부, 조미한 초밥용 유부 등의 유부 생지, 간모도키(두부에 야채 등을 섞어 튀긴 것)용 생지나 이들 두부나 생지의 2차 가공품(냉동 가공이나 동결 건조 가공도 포함함)을 의미한다. 또한, 연두부를 제조하는 경우는, 연·무명 겸용의 응고 성형기 라인의 성형 장치에 있어서, 반송로(11)의 위쪽의 컨베이어를 부상시켜, 푸딩상(狀) 두유 응고물에 닿지 않게 또는 강하게 압착하지 않고 통과시켜, 숙성하는 것으로 한다(특허문헌 2 참조).
위쪽의 반송 컨베이어(15)는, 반송 롤러(23)에 의해 구동되어, 반송로(11)의 위쪽을 주회한다. 위쪽의 거름천 벨트(13)는, 고무제 롤러에 천을 휘감은 거름천 벨트 구동 롤러(24)에 의해 구동되고, 반송로(11)의 위쪽을 주회한다. 또, 아래쪽의 반송 컨베이어(19)는, 반송 롤러(27)에 의해 구동되고, 반송로(11)의 아래쪽을 주회한다. 아래쪽의 거름천 벨트(17)는, 거름천 벨트 구동 롤러(28)에 의해 구동되고, 반송로(11)의 아래쪽을 주회한다. 거름천 벨트(13, 17) 및 반송 컨베이어(15, 19)의 각각의 주회 궤도를 따라, 복수의 종동(從動) 롤러(29)가 배치된다. 거름천 벨트(13, 17) 및 반송 컨베이어(15, 19)에 대하여, 반송 방향 한쪽의 반송 롤러(예를 들면 반송 롤러(23, 27))만이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서로 동기하여 구동되고, 다른쪽에 대해서는 반송 롤러(예를 들면, 반송 롤러(21, 25))가 종동하여, 두부 응고물(T)의 반송 동작이 이루어진다.
각각의 거름천 벨트(13, 17)는, 예를 들면 식품용 불소 수지나 폴리에스테르 수지(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아라미드 섬유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실(모노필라멘트나 멀티필라멘트, 선 지름 0.1∼1.0mm)을, 평직, 능직 등으로 짠 거름천으로 만들어진, 무단상 벨트이다. 거름천은, 기계적인 텐션에 견딜 수 있는 인장 강도와 비교적 유연성이 있어, 오목한 형상으로 굴곡하기 쉬운 성상을 갖는다. 또한, 각 거름천 벨트의 재질 등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상세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특허 제4004413호를 참조하길 바란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컨베이어(19)는, 기대(基臺)(31)에 세워설치된 복수의 지지 레일(33)에 의해 주회(반송) 방향(즉, 도 2의 지면 수직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기대(31)의 위쪽에는, 도시하지 않은 승강 기구에 의해 상하동 가능하게 지지된 승강부(35)가 배치된다. 승강부(35)에는, 복수의 지지 레일(37)이 수하(垂下)하여 설치되고, 반송 컨베이어(15)를 아래쪽의 두유 응고물(T)을 향해 균일하게 누른다.
도 3은 각각의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진행 방향을 따라 취한 단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반송 컨베이어(15, 19)는, 캐터필러(등록상표)식 컨베이어로서, 다수의 평판상의 플레이트 부재인 캐터필러 플레이트(38)와, 캐터필러 플레이트(38)의 진행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된 체인(39)을 갖는다.
캐터필러 플레이트(38)는, 진행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거의 틈새없이 배치되어도 되고, 진행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도 된다. 또, 캐터필러 플레이트(38)는, 배수 기구를 구비하여, 수분이 흘러나오기 쉬운 구조여도 된다.
각 체인(39)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부재(41)를 통해 캐터필러 플레이트(38)에 부착된다. 이 체인(39)을,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반송 롤러(23, 27)(도 1 참조)와, 종동하는 롤러(21, 25)(도 1 참조)를 개재하여 (주회) 구동시킴으로써, 캐터필러 플레이트(38)가 주회 궤도를 따라 이동한다. 각 반송 컨베이어(15, 19)는, 동일한 주회 속도로 구동된다. 거름천 벨트(13, 17)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거름천 벨트 구동 롤러(24, 28)가 구동되고, 캐터필러 플레이트(38)와 동일한 주회 속도로 (주회) 구동된다.
(도 1에 나타내는) 거름천 벨트(13)와 반송 컨베이어(15) 및 거름천 벨트(17)와 반송 컨베이어(19)의 각 주회 궤도 중, 반송로(11)가 되는 영역, 즉, 반송 롤러 22와 24의 사이, 및 반송 롤러 26과 28의 사이가 각각 거름천 벨트(13, 17)의 이송 공정에 해당하는 영역이다. 반송 롤러 21과 23의 사이 및 반송 롤러 25와 27의 사이의 영역이 각각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이송 공정에 해당하는 영역이다. 이 이송 공정에 해당하는 영역에서는, 반송로(11)를 따라 거름천 벨트(13, 17)와 반송 컨베이어(15, 19)가 직선상으로 배치된다. 반송로(11) 상의 두유 응고물(T)은, 거름천 벨트(13, 17)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끼워 지지하면서 반송되어, 압착 성형된다.
상기 각각의 주회 궤도 중, 두유 응고물(T)이 끼워 지지되는 반송로(11)의 종단부에서 반송로(11)의 시단부까지의 영역이 넓은 의미의 리턴 공정이다. 즉, 넓은 의미의 리턴 공정에는, 이송 공정의 양단에서의 회전 공정(direction change process)이 포함된다. 회전 공정은, 거름천 벨트(13, 17) 및 반송 컨베이어(15, 19)가 반송로(11)의 하류측의 종단부에서 두유 응고물(T)로부터 떨어져 진행 방향을 크게 회전시키는 주회 궤도의 영역 및, 거름천 벨트(13, 17) 및 반송 컨베이어(15, 19)가 반송로(11)의 상류측의 시단부 근방에서 진행 방향을 크게 회전시킨 후에 두유 응고물(T)에 근접하기 직전까지의 주회 궤도의 영역에 해당한다. 단,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리턴 공정과 회전 공정(들)을 아울러 표기하여 설명하고 있는 경우에는, 리턴 공정은, 넓은 의미의 리턴 공정으로부터 회전 공정을 제외한 나머지의 영역에 해당하는 공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성형 장치(100)의 이송 공정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두유 응고물(T)이 거름천 벨트(13, 17)를 개재하여 반송 컨베이어(15, 19)에 끼워져 압착된다. 이것에 의해, 두유 응고물(T)은, 거름천 벨트(13, 17)를 통해 반송 컨베이어(15, 19)로부터의 가압력을 받아 유청 등의 수분을 배출한다. 그리고, 거름천 벨트(13, 17)와 반송 컨베이어(15, 19)는, 반송 롤러(23, 27이나 24, 28)를 통과하여, 두유 응고물(T)로부터 이격한 후에 리턴 공정에 있어서, 세정 처리와 살균 처리가 이루어진다. 그 후, 반송 롤러(21, 25나 22, 26)의 위치까지 재차 되돌려진다.
다음으로, 성형 장치(100)의 리턴 공정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성형 장치(100)는, 거름천 벨트(13) 및 반송 컨베이어(15)의 주회 궤도에 있어서의 리턴 공정의 영역에, 거름천 벨트(13) 및 반송 컨베이어(15)의 주회 방향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 알칼리 세정부로서의 알칼리 세정조(43)와, 산 세정부로서의 산 세정조(47)와, 가열부로서의 증기 살균조(51)가 이 순서로 배치된다. 또, 거름천 벨트(17) 및 반송 컨베이어(19)의 주회 궤도에 있어서의 리턴 공정의 영역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주회 방향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 알칼리 세정조(45)와, 산 세정조(49)와, 증기 살균조(53)가 이 순서로 배치된다.
또한, 거름천 벨트(13) 및 반송 컨베이어(15)의 주회 궤도에 있어서의 알칼리 세정조(43)의 주회 방향 상류측에는, 수세 세정부(55)가 배치된다. 또, 알칼리 세정조(43)와 산 세정조(47)와의 사이에는, 수세 세정부(59)가 배치되고, 산 세정조(47)와 증기 살균조(51)와의 사이에는, 수세 세정부(63)가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거름천 벨트(17) 및 반송 컨베이어(19)의 주회 궤도에 있어서의 알칼리 세정조(45)의 주회 방향 상류측에는, 수세 세정부(57)가 배치된다. 또, 알칼리 세정조(45)와 산 세정조(49)와의 사이에는, 수세 세정부(61)가 배치되고, 산 세정조(49)와 증기 살균조(53)와의 사이에는, 수세 세정부(65)가 배치된다.
알칼리 세정조(43, 45)에서는, 거름천 벨트(13) 및 반송 컨베이어(15)를 알칼리액에 침지시킨다. 산 세정조(47, 49)에서는, 거름천 벨트(13) 및 반송 컨베이어(15)를 산액에 침지시킨다. 도시예에서는, 알칼리 세정조(43)와 산 세정조(47)는, 거름천 벨트(13)와 반송 컨베이어(15)를 공통으로 침지시키고, 알칼리 세정조(45)와 산 세정조(49)는, 거름천 벨트(17)와 반송 컨베이어(19)를 공통으로 침지시키고 있지만, 거름천 벨트(13) 및 반송 컨베이어(15), 거름천 벨트(17) 및 반송 컨베이어(19) 각각을 별개의 알칼리 세정조 및 산 세정조에 침지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생산 중에는 각 알칼리 세정조나 각 산 세정조에는 약액을 넣지 않고, 60∼100℃의 뜨거운 물을 넣어 열탕 세정·살균을 행하거나, 또는, 각 세정조에 뜨거운 물도 넣지 않고 각 조에 설치된 증기 공급 수단에 의해 60∼105℃의 증기 가열을 행하는 증기 살균조로서 사용해도 된다.
알칼리 세정조(43, 45)에 저류되는 알칼리액으로는, 농도 0.5% 이상(바람직하게는 1%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 이상), 10% 이하, pH 9 이상(바람직하게는 pH 11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pH 13 이상)인, 60∼100℃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수산화나트륨 외에도,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규산나트륨, 인산나트륨 등의 용액(0.5∼10%, pH 9∼14, 40∼100℃의 조건)이 사용 가능하다. 즉, 알칼리액으로는, 농도 0.5% 이상(바람직하게는 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고, 농도 10% 이하(바람직하게는 5% 이하)의 알칼리액이 사용 가능하다. 알칼리액을 상기 농도 범위로 하는 것은 농도 0.5% 미만의 경우에는 세정 효과가 낮고, 농도 10%를 넘는 경우는, 농도 증가에 따른 세정 효과의 양화(良化)가 특별히 인지되지 않고, 패킹 등의 수지나 고무 등의 열화가 일어나기 쉬워, 취급 작업이 번잡해지기 때문이다.
산 세정조(47, 49)에 저류되는 산액으로는, 농도 0.1% 이상(바람직하게는 0.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 이상), 10% 이하이고, pH 5 이하(바람직하게는 pH 3 이하)의 구연산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구연산 외에도, 염산, 옥살산, 사과산, 주석산, 글루콘산, 포름산, 인산, 질산(硝酸), 술팜산 등의 용액(0.1∼10%, pH 1∼5, 40∼100℃의 조건)이 사용 가능하다. 즉, 산액으로는, 농도 0.1% 이상, 10% 이하(바람직하게는 5% 이하)의 산액이 사용 가능하다. 산액을 상기 농도 범위로 하는 것은, 농도 0.1% 미만의 경우에는 세정 효과가 낮고, 농도 10%를 넘는 경우는, 농도 증가에 따른 세정 효과의 양화가 특별히 인지되지 않고, 스테인리스 강 등의 부재의 부식의 우려가 있어, 취급 작업이 번잡해지기 때문이다.
수세 세정부(55, 57, 59, 61, 63, 65)에서 사용되는 세정수로는, 맑은 물(수돗물, 제균 필터를 통한 무균수 등) 외, 오존수, 차아염소산 소다액, 차아염소산수 등의 살균 작용이 있는 중성 약액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수세 세정부(55, 57)는, 두부 찌꺼기를 확실히 제거하는 것이 필수이며, 그 때문에, 고압 펌프에 의한 강력한 수류에 의해 제거하는 방식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세 세정부(59, 61, 63, 65)는, 각각 적절히 저압수에 의한 살수여도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적절히 생략해도 된다. 알칼리액은, 하류의 산 세정조에서 중화할 수 있다. 또, 산액은, 하류의 증기 살균조에서 증기 분사와 함께 그 증기 응축수(비말)나, 증기 살균조 내에 설치한 열탕수 공급 수단에 의한 열탕을 이용하는 헹굼 효과에 의해 제거하도록 해도 되고, 산성 조건에 의해 가열살균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상승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각각의 증기 살균조(51, 53)는, 증기 노즐(71)과, 칸막이 부재(73)를 갖는다. 각 증기 노즐(71)은,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0.5∼2.0MPa의 수증기를 감압하여 얻는 0.05∼0.4MPa의 수증기를, 조정 밸브를 통해 증기 살균조(51, 53) 내에 균등하게 분출한다. 분출하는 수증기는 90℃ 이상, 105℃ 이하의 거의 대기 개방된 증기로서, 대기압 내지는 대기압보다 조금 높은 편의 증기압이고, 절대 압력으로 0.10∼0.12MPa, 게이지 압력으로 0.00∼0.02MPa가 된다. 증기 살균조(51)의 증기 노즐(71)은, 1개 또는 복수개가 거름천 벨트(13) 및 반송 컨베이어(15)의 주회 궤도를 따라 배치되고, 증기 살균조(53)의 증기 노즐(71)은, 1개 또는 복수개가 거름천 벨트(17) 및 반송 컨베이어(19)의 주회 궤도를 따라 배치된다.
칸막이 부재(73)는, 각각의 증기 살균조(51, 53)의 출입구에 설치한 포렴이나, 조 주위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증기 살균조(51)의 칸막이 부재(73)는, 거름천 벨트(13) 및 반송 컨베이어(15)의 주회 궤도 상의 소정 범위를 둘러싸고 배치되고, 증기 살균조(53)의 칸막이 부재(73)는, 거름천 벨트(17) 및 반송 컨베이어(19)의 주회 궤도 상의 소정 범위를 둘러싸고 배치된다. 칸막이 부재(73)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은, 이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증기 노즐(71)이, 가열된 증기를 분사함으로써, 적어도 60℃ 이상(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고, 105℃ 이하(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의 균일한 분위기 온도로 설정된다. 특히 유통 기간의 장기 보증을 실현하는 데 있어서는, 90∼105℃의 분위기 온도나 90∼100℃의 두유 응고물 품온(品溫)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각각 증기 살균조(51, 53)의 출입구에는, 상기의 포렴 이외에, 수봉식(水封式) 시일 등의 증기 누출 방지 수단을 구비해도 되어, 기밀성을 높이며, 칸막이 부재(73)로 둘러싸인 각 증기 살균조(51, 53) 내를 조금 유압 상태(positive pressure state)(대기압보다 조금 높은 기압)로 하여, 100℃ 이상, 105℃ 이하의 분위기 온도를 유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각각의 증기 살균조(51, 53)에 있어서는, 증기 노즐(71)로부터 거름천 벨트(13) 및 반송 컨베이어(15) 또는 거름천 벨트(17) 및 반송 컨베이어(19)를 향해 각각 증기가 분사된다. 또, 칸막이 부재(73)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 공간에는, 증기 노즐(71)로부터 분사된 증기가 충만한다. 이것에 의해, 내부 공간 내 전체가 상기의 분위기 온도로 온도가 상승하여, 거름천 벨트(13, 17) 및 반송 컨베이어(15, 19)가 고효율로 가열살균된다.
<두부류의 압착 성형 및 세정, 살균 처리>
상기 구성의 성형 장치(100)는, 다음의 순서로 두유 응고물(T)을 압착 성형한다. 즉, 반송로(11)의 위쪽 및 아래쪽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거름천 벨트(13, 17) 사이(및 반송 컨베이어(15, 19) 사이)에, 두유 응고물(T)이 공급된다. 이 두유 응고물(T)은, (도시하지 않은) 특정 장치에 의해 제조된, 두유에 간수 등의 응고제가 첨가되고, 시트상으로 연속적으로 응고·성형·숙성된 것이다.
두유 응고물(T)은, 반송로(11)의 위쪽 및 아래쪽의 거름천 벨트(13, 17) 사이(및 반송 컨베이어(15, 19) 사이)를 통과한다. 그때, 두유 응고물(T)은, 위쪽 및 아래쪽의 반송 컨베이어(15, 19)에 의해 거름천 벨트(13, 17)를 개재하여 가압되어, 압착 성형된 두부류가 된다. 상기 처리를 연속적으로 행함으로써, 예를 들면, (성형 후의 치수의) 높이(두께)가 1∼150mm, 폭 300∼3000mm인 유부 생지, 무명 두부, 소프트 무명 두부, 또는 연두부 튀김 생지 등의 시트상의 두부류를, 효율 좋게 양산 가능하게 된다.
두유 응고물(T)을 압착 성형한 후의 거름천 벨트(13, 17) 및 반송 컨베이어(15, 19)는, 주회 궤도 부분에 해당하는 리턴 공정에 있어서, 수세 세정부(55, 57)에 반송된다. 이하, 반송로(11)의 위쪽의 거름천 벨트(13) 및 반송 컨베이어(15)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세 세정부(55)에 있어서는, 고압의 세정수를, 거름천 벨트(13)와 반송 컨베이어(15)에 스프레이 분사한다. 이것에 의해, 거름천 벨트(13)나 반송 컨베이어(15)의 표면에 부착한 두유 응고물(T)의 잔사나 배출된 유청 등이 세정된다. 또한, 수세 세정부(55)는, 거름천 벨트(13)의 뒤쪽(裏側)(즉, 두부 비접촉측)에서 고압의 세정수를 스프레이 분사하여, 거름천 벨트(13)의 앞쪽(表側)에 두부 찌꺼기를 떨어뜨리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앞쪽(즉, 두부 접촉측)에서 스프레이 분사하여 두부 찌꺼기를 부서트려 뒤쪽에 떨어뜨려도 되고, 또한, 먼저 뒤쪽에, 다음에 앞쪽에서 스프레이 분사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고압 세정된 후의 거름천 벨트(13) 및 반송 컨베이어(15)는, 알칼리 세정조(43)에 반송된다. 알칼리 세정조(43)는, 반송되는 거름천 벨트(13) 및 반송 컨베이어(15)를, 저류된 알칼리액 중에 침지시킴으로써, 기름이나 단백질 등의 유기물을 분해하여 세정한다. 이것에 의해, 거름천 벨트(13)나 반송 컨베이어(15)에 부착한 두유 응고물(T)의 미세한 잔사가, 알칼리액에 의해 제거된다. 알칼리액 내에의 침지 시간은, 1초 이상(바람직하게는 60초 이상)이고, 3600초 이하(바람직하게는 600초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칼리 세정조(43)에 침지된 거름천 벨트(13) 및 반송 컨베이어(15)는, 알칼리액으로부터 끌어 올려져, 수세 세정부(59)에 반송된다. 수세 세정부(59)에서는, 상술과 마찬가지로 세정수를 거름천 벨트(13) 및 반송 컨베이어(15)에 스프레이 분사하여, 거름천 벨트(13) 및 반송 컨베이어(15)의 알칼리액을 씻어낸다.
수세 세정부(59)를 통과한 거름천 벨트(13) 및 반송 컨베이어(15)는, 산 세정조(47)에 반송된다. 산 세정조(47)는, 반송되는 거름천 벨트(13) 및 반송 컨베이어(15)를, 저류된 산액 중에 침지시킴으로써, 미량으로 잔류할 수 있는 알칼리 분을 중화함과 동시에, 탄산칼슘 등의 무기염(스케일)을 용해하여 세정한다. 산액 내에의 침지 시간은, 1초 이상(바람직하게는 60초 이상)이고, 3600초 이하(바람직하게는 600초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 세정조(47)에 침지된 거름천 벨트(13) 및 반송 컨베이어(15)는, 산액으로부터 끌어 올려져, 수세 세정부(63)에 반송된다. 수세 세정부(63)에서는, 상술과 마찬가지로 세정수를 거름천 벨트(13) 및 반송 컨베이어(15)에 스프레이 분사하여, 거름천 벨트(13) 및 반송 컨베이어(15)의 산액을 씻어낸다.
수세 세정부(63)를 통과한 거름천 벨트(13) 및 반송 컨베이어(15)는, 증기 살균조(51)에 반송된다. 증기 살균조(51)는, 증기 노즐(71)로부터 분사되는 고온의 상압 증기를, 반송되는 거름천 벨트(13) 및 반송 컨베이어(15)에 분사한다. 이 증기 살균조(51)를 거름천 벨트(13) 및 반송 컨베이어(15)가 통과할 때의 1회당 통과 시간(체류 시간)은, 1초 이상(바람직하게는 5초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초 이상이고, 3600초 이하(바람직하게는 600초 이하)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증기 살균조(51)에 있어서는, 60℃ 이상, 105℃ 이하의 분위기 온도에서, 1초 이상의 체류 시간으로 가열함으로써, 필요시 되는 살균 작용이 얻어진다. 또, 체류 시간을 10초 이상으로 하면, 보다 현저한 살균 작용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체류 시간이 3600초를 넘는 경우, 살균 효과가 높아지기 어려우며, 두부의 풍미 등의 품질 저하를 초래하고, 연속 성형 장치의 기장이나 설치 스페이스의 제약이 있는 점에서, 오히려 비효율적인 처리가 된다.
상기한 침지 시간, 통과 시간은, 거름천 벨트(13) 및 반송 컨베이어(15)의 주회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또, 각 리턴부의 주회 궤도를 복수의 종동 롤러(29)에 의해 다수 되접고, 밀어내는 등에 의해, 상기의 침지 시간이나 통과 시간이 길어지도록 미리 설계해도 된다. 상기 침지 시간, 통과 시간의 조정을 위한 구동 방식이나 조절, 제어 방법은, 적절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반송로(11)의 위쪽의 거름천 벨트(13) 및 반송 컨베이어(15)의 동작이지만, 반송로(11)의 아래쪽의 거름천 벨트(17) 및 반송 컨베이어(19)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마찬가지의 세정, 살균 처리가 시행된다. 즉, 거름천 벨트(17) 및 반송 컨베이어(19)는, 그 리턴 공정에 있어서, 수세 세정부(57), 알칼리 세정조(45), 수세 세정부(61), 산 세정조(49), 수세 세정부(65), 증기 살균조(53)를 이 순서로 통과하여, 세정, 살균 처리가 시행된다. 그 후, 거름천 벨트(17) 및 반송 컨베이어(19)는 다시 이송 공정으로 되돌려진다.
본 구성의 성형 장치(100)는, 거름천 벨트(13, 17) 및 반송 컨베이어(15, 19)로부터 두유 응고물(T)이 떨어진 후의 리턴 공정에 있어서, (1) 수세 세정, (2) 알칼리 세정, (3) 수세 세정, (4) 산 세정, (5) 수세 세정, 및 (6) 증기 살균의 공정을 이 순서로 실시한다. 이것에 의해, 거름천 벨트(13, 17)나 반송 컨베이어(15, 19)에 부착한 두유 응고물(T)의 단백질 더러움(protein dirt)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특히 거름천 벨트(13, 17)는 두유 응고물(T)의 잔사나 균 등이 부착하기 쉬운 천 성상을 갖지만, 상기의 세정, 살균 처리에 의해, 확실히 불요물이 제거될 수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증기 살균의 상류에서 알칼리 세정과 산 세정을 시행함으로써, 가령 산 세정 후에 생균이 잔존했다고 해도, 생균의 활력을 충분히 약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증기 살균에 의한 살균 효과가 높아져, 보다 완전한 살균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알칼리 세정과 산 세정은 세정 순서를 바꾸어도 된다. 또, 조건에 따라 산 세정을 생략해도 된다.
이와 같이, 거름천 벨트(13, 17)나 반송 컨베이어(15, 19)에 부착하는 영양 균체, 내열성 아포균 등의 균체를, 종래보다도 확실히 제거, 살균할 수 있기 때문에, 성형 후의 두부류의 초기 균수를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두부류의 보존 중에 있어서의 미생물(균)의 증식을, 장기에 걸쳐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두부류의 장기 보존이 가능해져, 유통기한의 연장이 가능해진다.
또, 반송 컨베이어(15, 19) 및 거름천 벨트(13, 17)는, 증기 살균조(51, 53)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되기 때문에, 이송 공정에 있어서의 두유 응고물(T)과의 접촉 시에, 두유 응고물(T)의 가열 효과 또는 보온 효과가 얻어진다. 이 가열 효과나 보온 효과에 의해, 두유 응고물(T)의 온도 저하에 기인하는 유화가 방지되어, 두부(생지)의 결착성이 향상한다. 그 결과, 위측이나 아래측의 거름천 벨트에 두부류가 부착하는 「천 부착」의 발생 가능성을 대폭으로 경감할 수 있다.
종래의 성형 장치의 경우, 압착하여 반송될 때의 두부류의 방열이 현저하고, 그 때문에, 천 부착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 응고제량을 조금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완성되는 두부류는, 이수(離水)하기 쉬워 맛이 날아가고, 퍼석함이나 거칠함 등의 식감이 나오기 쉬웠다. 그러나, 본 구성의 성형 장치(100)의 경우, 첨가하는 응고제 양을 조금 과도하게 할 필요가 없고, 적량까지 줄일 수 있어, 옛부터의 풍미나 식감에 가까워지도록 두부류의 품질 향상이 도모되고, 경제성도 향상한다. 또한, 응고 숙성 시간이나 압착 성형 시간이 단축되어, 두부류의 연속 제조 라인의 기장이 짧아져,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구성>
다음으로, 상기의 반송 컨베이어(15, 19)의 구성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반송 컨베이어(15, 19)를 구성하는 캐터필러 플레이트(38)는, 그 진행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늘고 긴 형상이며, 유연한 거름천 벨트(13, 17)를 지지한다. 이 때문에, 캐터필러 플레이트(38)의 두유 응고물(T)을 향하는 대향면은 평탄면으로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각 캐터필러 플레이트(38)는, 그 단면(斷面)의 외주면의 한 변에, 적어도 직선부를 갖는 부재가 이용된다. 즉, 캐터필러 플레이트(38)는, 적어도 두유 응고물(T)을 향하는 대향면이 평탄면인 부재로서, 최소한 외주면의 어느 한 면이 평탄면을 나타내는 부재이면 된다. 이것에 의해, 두유 응고물(T)에의 전열 면적을 넓게 하여, 두부류의 가열 효율이나 보온 효율이 높아진다.
본 구성의 캐터필러 플레이트(38)는, 두께가 두꺼운 평형강(flat steel bar) 등의 형강 등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박형의 캐터필러 플레이트보다도 단열 보온성이나 축열성이 향상되어, 가열에 의해 보유할 수 있는 열량이 많아진다. 따라서, 두유 응고물(T)을, 거름천 벨트(13, 17)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전열시킬 수 있어, 적어도 방열에 의한 두부류의 온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캐터필러 플레이트(38)는, 알루미늄, 철, 강, 티탄 등의, 표면이 평활하고 높은 굽힘 강성을 갖는 금속제 판재이면 된다. 특히, 열전도율이 낮은(<20W/mK) 스테인리스 강재(예를 들면, SUS304(열전도율: 약 15W/mK))가 캐터필러 플레이트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캐터필러 플레이트(38)가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이면, 가열된 두유 응고물(T)의 캐터필러 플레이트(38)로의 열 전달률이 낮고, 그 결과, 두유 응고물(T)을 두부 성형에 있어서의 규정된 온도 범위로 유지하기 쉬워진다.
캐터필러 플레이트(38)는, 금속 이외에도, 세라믹, 수지(폴리프로필렌, 불소 수지, PEEK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류), FRP(유리섬유 함유 수지나 탄소섬유 함유 PEEK 등의 보강 심재 함유 수지류), 천연 또는 합성 석재, 천연 또는 합성 목재 등의 원하는 레벨의 내열성과 강성이 있는 부재가 사용 가능하다. 어느 쪽이든, 예를 들면, 미국에서는 FDA(미국식품의약품국,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등의 인증을 받은 재료, 일본에서는 식품위생법의 규격 시험 등에 적합한 재료이면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수지류의 열전도율은, 탄소강(약 47W/mK) 등과 비교하여 충분히 낮고, 상온에서 대체로 0.2W/mK 전후이다. 그래서, 비교적 유연한 수지류여도, 강도가 높은 재료(금속)를 조합하여 복합재로 하면, 캐터필러 플레이트(38)에 적용할 수 있다.
캐터필러 플레이트(38)의 두께는 4∼200mm의 범위가 된다. 특히 중량과 강도를 고려하면, 두께 10∼25mm의 범위에서, 두께가 두꺼운 평강 또는 각강(角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축열재로서의 보유 열량을 고려하면, 각 캐터필러 플레이트(38)의 두께는 5∼50mm의 범위가 좋다. 또, 각 캐터필러 플레이트(38)의 진행 방향을 따른 폭은 10∼100mm의 범위이고, 진행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는 300∼3000mm의 범위이다. 특히 바람직한 치수는, 폭 20∼80mm, 길이 1000∼2000mm, 높이(두께) 10∼100mm이다.
각 캐터필러 플레이트(38)는, 두께가 두꺼울수록, 또, 중량이 있을수록 보유 열량이 많아지고 축열성이 높아진다. 각 캐터필러 플레이트(38)는, 가열된 두유 응고물(T)의 열량을 받아 승온하기 때문에, 축열성이 높을수록, 캐터필러 플레이트(38)에 의해 끼워 지지하는 두유 응고물(T)에의 가열 효과나 보온 효과가 높아진다.
각 캐터필러 플레이트(38)의 표면(뒤쪽면만 또는 전체면)에는, 슬라이딩성이나 평활성이나 내마모성을 높이는 연마 가공(버프 연마, 전해 연마 등), 경질 크롬·질화 크롬·질화 티탄·세라믹 등을 이용한 표면 경화·평활화 처리(세라믹 용사(溶射) 등), 불소 수지나 각종 수지에 의한 표면 처리(수지 코팅 등)나 이들을 복합한 가공 등을 시행해도 된다.
반송 컨베이어(15, 19)는, 두유 응고물(T)에 접하는 각각의 거름천 벨트(13, 17)를, 거름천 벨트(13, 17)의 뒤쪽에서 평탄면으로 지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이면, 어떤 형태여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강성이 있는 거의 평판의 플레이트 부재가 체인 등의 연결 수단에 의해 다수가 서로 연결된 캐터필러식 컨베이어이면 된다. 그 밖에도, 예를 들면, 에이프런 컨베이어, 슬랫 컨베이어, 톱 플레이트 컨베이어, 톱 체인 컨베이어, 플랫 톱 체인 컨베이어 등의 다수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엔드리스형 컨베이어여도 된다.
캐터필러식 컨베이어나 톱 체인 컨베이어는, 평판과 1∼수개의 체인이 일체가 되고, 평판과 평판이 체인으로 연결되어 굴곡이 자유롭게 구성된다. 반송로의 상류 및 하류에는 스프로킷이 배치되고, 이 스프로킷에 상기 체인이 서로 맞물려진다. 컨베이어는, 이 체인을 구동함으로써 반송 구동된다. 한편, 플레이트 컨베이어, 에이프런 컨베이어, 슬랫 컨베이어는, 주회하는 체인에 각 평판의 양단부가 고정된 방식으로, 다수의 평판이 서로 연결된다. 이 체인을 반송로의 상류 및 하류에 배치된 각각의 스프로킷에 서로 맞물리게 하여 구동시킴으로써, 컨베이어가 반송 구동된다.
어느 경우도, 컨베이어 구동용 모터는, 인버터나 감속기 등의 회전수 조절 기기를 통해 컨베이어의 이송 공정 전단(상류측에 위치)의 회전축에 부착된다. 이 구동용 모터에 상기의 스프로킷이 부착되어 구동부가 구성된다. 또, 컨베이어의 이송 공정 후단의 회전축에도 스프로킷이 부착되어 종동부가 구성된다.
<거름천 벨트와 반송 컨베이어의 다른 구성예>
다음으로, 거름천 벨트와 반송 컨베이어의 다른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는, 대응하는 부재 또는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 설명을 간단화 또는 생략한다.
(제 2 구성예)
도 5는 제 2 구성예의 성형 장치를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서 절단한 일부 단면도이다. 본 구성의 성형 장치(100A)는, 상술의 제 1 구성예의 반송 컨베이어(15, 19)에 있어서의 캐터필러 플레이트(38) 대신에, 강제의 각(角)파이프 등의 중공 공간을 갖는 중공 구조의 캐터필러 플레이트(38A)를 이용하고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구성예의 성형 장치(100)와 마찬가지이다.
각파이프 등의 단면 중공의 강관재는, 일반적인 강관이며 비교적 염가에 입수 가능하다. 또, 특히 각파이프는 다른 형강보다도 표면 형상의 요철이 적어, 세정하기 쉬운데다가, 높은 강성을 가지면서 경량화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우수하다. 강관재는, 높이가 5mm 이상(바람직하게는 높이 10mm 이상)이고, 100mm까지가 사용 가능하다. 각 캐터필러 플레이트(38A)를 상측에서 본 단변(진행 방향을 따르는 변)은 20∼150mm, 장변(진행 방향에 직교하는 변)은 500∼2500mm가 바람직하다. 각 캐터필러 플레이트(38A)는, 예를 들면, 단면의 한 변이 10∼100mm의 범위에서, 단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각형 강관의 두께를, 1∼10mm의 범위에서 각각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각 캐터필러 플레이트(38A)는, 중량과 강도, 중량과 열전도율의 관계에서, 2∼8mm의 두께의 각파이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 캐터필러 플레이트(38A)는, 리턴 공정에 있어서 가열되는 구간이, 짧은 구간인 경우나, 반송로(11)의 입구측의 두유 응고물(T)에 근접하기 직전의 상류에 위치하는 구간인 경우는, 비열이 낮은 편이며, 두께가 얇은 편인 금속제 부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하는 구간이 길면, 비열은 높은 편이며 두께가 두꺼운 금속제나 금속과 동등 이상의 강성을 갖는 고강성 수지제 부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얇은 편인 판재는, 방열성이 높아(식기 쉬움), 두유 응고물(T)에 근접한 후, 열 이동의 정상 상태로 빨리 안정된다. 또, 두께가 두꺼운 부재는, 보유하는 열용량이 크기 때문에, 두유 응고물(T)에 근접한 후, 열 이동의 정상 상태로 안정되는 것이 늦기 때문에, 두유 응고물(T)의 방열을 억제할 수 있다.
캐터필러 플레이트(38A)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공 공간에 단열 보온재(H)나 축열재(F)가 조립되어 있어도 된다. 단열 보온재(H)와 축열재(F)는, 중공 공간 내에 어느 한 쪽만, 또는 양쪽이 혼재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중공 공간 내에, 단열 보온재(H)로서 열전도율이 낮은 공기만이 밀봉되어 있는 구조여도 된다.
이들 단열 보온재(H) 및/또는 축열재(F)는, 중공 구조체의 중공 공간에 대략 상자형으로 배치하는 것이나, 재료를 충전하는 이외에도,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공 공간 내에 미리 원통상이나 각통상, 단책상(短冊狀) 등으로 된 유닛 단위의 다른 구조로 배치해도 된다. 그 경우, 단열 보온재(H)나 축열재(F)의 교환이 용이해진다.
단열 보온재(H)는, 공기 이외에도, 시판의 진공 단열재(열전도율: 0.0012∼0.005W/mK)나 발포 수지 성형품 등의 단열 보온 재료, 또는, 발포 수지(입상 발포 우레탄 수지, 입상 발포스티롤 수지, 발포 실리콘 수지)나 발포 고무 등의 단열성 부재, 또는, 목재 칩이나 건조 비지 등의 유기성 건조물과 같은 단열 원료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단열 보온재(H)는, 단열 보온 재료를 중공 공간에 배치한 형태, 발포 수지류를 중공 공간 내에서 발포시켜 성형시킨 형태, 단열 원료인 유체, 분체, 액체 중 어느 것을 중공 공간 내에 충전시킨 형태, 중공 공간을 탈기, 감압, 진공으로 하여 밀봉한 진공 단열 등의 단열 영역을 포함한 형태 등, 어느 것이어도 된다.
중공 공간을 (공기가 옅은) 감압 상태 또는 공기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진공 상태로 밀봉한 구조에 있어서는, 중공 공간 내의 공기의 대류가 일어나기 어렵다. 또, 방열의 정도가 낮다는 부가적인 효과와 더불어, 단열 보온성이 한층 높아진다. 따라서, 이 구조에서는 고효율로, 또한 비교적 염가로 두유 응고물(T)의 방열을 억제할 수 있으며, 두부류의 품질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감압 상태나 진공 상태의 압력은, 절대 압력으로서 0∼0.1MPa(상대 압력으로 -0.1∼0MPa)이고, 대기압 이하이면 된다. 또 예를 들면, 시판 가전(냉장고)용 등으로 개발된 진공 단열 소재 등의 감압 또는 진공 부재를 중공 공간에 넣은 구조여도 된다. 중공 공간을 감압·진공으로 하는 방법과 중공 공간의 밀봉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중공 공간에 설치하는 단열 보온재(H)는, 공기 이외의 가스로서, 탄산 가스, 에탄 가스, 에틸렌 가스나, 질소 가스, 아르곤 가스, 크립톤 가스, 크세논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 등, 열전도성이 낮은 가스 등을 사용 가능하다. 공기의 열전도율이 0.0241W/mK, 아르곤 가스의 열전도율이 0.0168W/mK인 것에 대하여, 크립톤 가스의 열전도율은 0.0087W/mK, 크세논 가스의 열전도율은 0.0052W/mK이다. 그 때문에, 크립톤 가스나 크세논 가스를 단열 보온재(H)로서 사용하면, 단열 보온 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다.
축열재(F)로서, 상 변화에 의한 잠열 축열재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예를 들면, 시판품으로는 「팻서모(PATTHERMO): 등록상표」(다마이 가세이 제조)가 50℃까지의 범위에서 사용 가능하다. 또, 융점 50℃∼120℃의 (바람직하게는 60℃∼105℃에 응고점 또는 융점을 갖는) 당 알코올, 무기염 수화물, 유기산염 수화물 등이어도 된다.
축열재(F)로서, 상 변화형 축열재나 현열형 축열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 기름(특히 고형지방이나 경화유 등), 무기물(모래, 알루미나, 산화 마그네슘, 세라믹 비드(가루) 등)이나, 유기물(수지 비드, 규조토 등의 유기성 잠열형 축열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60℃∼105℃의 융점 또는 응고점을 갖는 물질을 사용 가능하다. 또한, 60℃∼105℃의 범위에서는, 대기압하의 물도 현열형 축열재에 포함된다. 축열재(F)는, 캐터필러 플레이트(38A)가 무거워져, (기계적 강도는 증가하나) 너무 중후한 기계가 되지 않는 범위, 또는 고가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된다.
각 캐터필러 플레이트(38A)는, 그 중공 공간의 내면에, 방사열을 막는 동박이나 알루미늄박이나 수지 라이닝 등을 입힘으로써, 방사열이나 열전도율을 한층 낮출 수 있다. 또, 단열 보온재(H)나 축열재(F)를 캐터필러 플레이트(38A)의 부재 주위 표면(들)(표면, 이면, 측면(들), 내면(들) 등)에 첩합(貼合)시키거나, 함침시키거나 하는 등, 적절히 다양하게 조합함으로써, 복합적으로 단열 보온 기능이나 축열 기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각 캐터필러 플레이트(38A)의 부재 표면에, 수지 코팅 등의 열 전달률을 작게 억제하는 처리를 시행함으로써, 방열 억제 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단열 보온재(H)나 축열재(F)는, 교환 가능하게 착탈을 자유롭게 해도 되고, 그들의 조합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잠열형 축열재로는, 예를 들면 다음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즉, 50℃∼120℃의 범위에서(바람직하게는 60∼105℃의 범위에서) 융점 또는 응고점을 갖는 트레이톨(융점 90℃), 에리트리톨(융점 90℃), 자일리톨(융점 94℃), 소르비톨(융점 106℃) 등의 폴리올이나 당 알코올이나, 초산(酢酸)나트륨 삼수화물(융점 58℃), 인산삼나트륨 십이수화물(융점 75℃), 사붕산나트륨 십수화물(융점 75℃), 수산화바륨 팔수화물(융점 78℃), 염화크롬(Ⅲ) 육수화물(융점 83℃), 염화코발트(Ⅱ) 육수화물(융점 86℃), 질산(硝酸)마그네슘 육수화물(융점 89℃), 황산알루미늄칼륨 십이수화물(융점 93℃), 염화마그네슘 육수화물(융점 117℃) 등의 무기염 수화물 등의 상 전이형 축열재나, 물이나 유지, 지방산(스테아린산), 유기산, 파라핀 등의 액체나 점성 액체나 젤리 또는 겔상물(한천·카라기난이나 커들란겔)이나 곤약만난이나 펙틴·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등, 건조 비지 등의 유기 재료, 철분 등의 금속 분말이나 모래나 알루미나, 세라믹, 콘크리트 등의 광물성 분말이나 식염이나 황산칼슘 등의 무기염 등의 분말 등, 현열형 축열 재료나, 그 외 축열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중공 공간에 충전할 수 있는 재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7a∼도 7h는, 중공 공간을 갖는 중공 구조의 캐터필러 플레이트(38A)의 단면도이다. 캐터필러 플레이트(38A)는, 상술한 강관(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강관)(111)으로 이루어지는 도 7a에 나타내는 단면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b에 나타내는 홈형강(channel steel)(C형강)(113)과 평강(115)을 조합하여 중공 공간(117)을 구획하는 형태, 도 7c에 나타내는 2개의 산형강(angle steel)(L형강)(119)을 조합하여 중공 공간(117)을 구획하는 형태여도 된다. 또한, 도 7d에 나타내는 삼각형 강관(121), 도 7e에 나타내는 육각형 강관(123), 도 7f에 나타내는 팔각형 강관(125), 도 7g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직사각형의 한 변이 반원 형태로 된 이형 강관(어묵형 강관)(127), 도 7h에 나타내는 사다리꼴 강관(129)이어도 된다.
도 7a∼도 7h의 도면 중 각각의 하측의 면은, 모두 평탄하며, 거름천 벨트(13, 17)를 개재하여 두유 응고물(T)에 근접하는 평면부(130)가 된다. 도면 7a∼7h 중 하측의 평면부(130) 이외의 면은, 곡선상, 직선상의 면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예 외에도, 캐터필러 플레이트(38A)에 사용 가능한 강관으로는, 모퉁이가 둥그스름한 사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사각에 가까운 사다리꼴, 마름모형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에, 단면이 H형, I형, T형, Z형 등의 형강이나, 단면이 오각형 등인 다각형 강관을 이용한 형태여도 된다.
또, 캐터필러 플레이트(38A)는, 각파이프(rectangular pipe) 이외의, 앵글강(angle pipe), 부등변 앵글강(scalene angle steel), 채널강(C강), 조이스트(joist)강, 에이치강(H강), 립 홈형강(lip channel steel)이나 플랫바(평강) 등의 형강을 적절히 조합하여, 단면 사각형의 대략 각파이프상 또는 단면 대략 L자상 등으로 구성하여 내부에 중공 공간을 설치한 형태여도 된다.
도 8a∼도 8o는, 단열 보온재(H) 또는 축열재(F)를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38A)의 단면도이다. 도 8a∼도 8c, 도 8e∼도 8i는, 도 7a∼도 7h에 나타내는 각 캐터필러 플레이트(38A)의 중공 공간에, 단열 보온재(H) 또는 축열재(F)를 집어 넣은 형태이다.
도 8d는, 도 8c에 나타내는 구성으로부터 앵글강(119)을 1개만으로 한 구조이다. 도 8j는, 홈형강(C형강)(113)의 홈 내측에 단열 보온재(H) 또는 축열재(F)를 집어 넣은 형태이다. 도 8k는, 도 8j의 홈형강(113)보다도 홈 깊이가 얕은 홈형강(114A)을 이용하여 단열 보온재(H) 또는 축열재(F)를 적층한 구조이다. 도 8l은, 도 8j의 홈형강(113)보다 홈 깊이가 깊은 홈형강(114B)을 이용한 구조이다.
도 8m은, H형강(131)의 한 쌍의 내부 공간에, 단열 보온재(H) 또는 축열재(F)를 집어 넣은 구조이다. 도 8n은, H형강(131)의 한 쌍의 내부 공간에 축열재(F)를 집어 넣고, H형강(131)의 한쪽 다리의 표면(도면 중 상면)에 단열 보온재(H) 또는 축열재(F)를 적층한 형태이다. 또, 도 8o는, 평강(133)의 한쪽 면에 단열 보온재(H) 또는 축열재(F)를 적층한 형태이다.
도 9a∼도 9o는, 단열 보온재(H)와 축열재(F)를 함께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38A)의 단면도이다. 도 9a∼도 9o는, 각각 도 8a∼도 8o에 대응하고 있으며, 단열 보온재(H)나 축열재(F)가 적층하여 배치된 구조이다.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관(111)의 중공 공간에는, 평면부(130)측에서 축열재(F)와 단열 보온재(H)가 이 순서로 적층된다. 다른 도 9b∼도 9o에 대해서도 도시된 다른 구조의 각각에, 평면부(130)측에서 축열재(F)와 단열 보온재(H)가 이 순서로 적층된다.
도 9d, 도 9e, 도 9h, 도 9m의 구조에 대해서는, 국소적으로 평면부(130)에 단열 보온재(H)가 접속된 형태이다. 이들 구조에서는, 단열 보온재(H)가 축열재(F)를 덮어 형성된 것이다.
도 9a∼도 9o에 나타내는 각 구조에 있어서는, 도면 중 하측의 평면부(130)를 통하여 축열재(F)에 전열되고, 도면 중 상측의 단열 보온재(H)에 의해 방열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축열재(F)에 축열된 열은, 두유 응고물(T)을 지향하여 이동하여, 두유 응고물(T) 이외에는 방열하기 어려워진다.
통상의 두부, 유부 등의 제조에 있어서는, 두유(60∼95℃)에 응고제 액을 넣고 응고 교반하여 숙성한 후, 응고물을 부수어, 이것에 의해 얻어진 두유 응고물(T)을 성형 장치(100)에 이재(移載)(담아 넣음)한다. 이 두유 응고물(T)이 자연 탈수, 압착 탈수되어, 성형 장치(100A)의 반송로(11)의 출구에 도달하면, 연속한 시트상의 두부류, 예를 들면 무명 두부(생지)가 얻어진다. 응고 전의 두유 온도를 초기 온도라고 하면, 종래는, 응고 공정, 성형 공정을 거쳐, 성형 장치(100)의 출구에 생지가 도달할 때에는, 생지의 품온은 초기 온도에서 크게 저하되어 있었다. 이 온도차 ΔT는, 마이너스 15∼20℃이거나 그 이상이 보통이었다.
그러나, 본 구성에 의하면, 단열 보온재(H)나 축열재(F)를 구비한 캐터필러 플레이트(38A)에 의해, 성형 장치(100A)의 반송로(11)의 입구에 있어서의 품온(응고기 출구의 두유 응고물 온도)과, 반송로(11)의 출구에 있어서의 품온(출구에 있어서의 두부류의 온도)과의 온도차 ΔT를, 마이너스 10℃ 이내, 바람직하게는 마이너스 5℃ 이내로 할 수 있다.
성형 장치(100A)의 반송로(11)의 출구에 있어서의 두부류의 품온을, 적어도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은, 두부류의 물성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성형 장치(100A)의 출구에 있어서의 시트상 두부의 품온(상하의 표면 온도나 심온(芯溫))이, 성형 장치(100A)에 두유 응고물을 담아 넣을 때의 온도(응고 숙성 후부터 부서트림·레벨링 장치에 의한 처리 전후의 두유 응고물의 품온)에 대하여 저하하는 품온의 온도차 ΔT를, 마이너스 15℃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ΔT를 마이너스 10℃ 이내로 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ΔT를 마이너스 5℃ 이하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성형 장치(100A)의 반송로(11)의 출구에 있어서의 두부 온도가 60∼80℃로 유지될 수 있다.
본 구성의 성형 장치(100A)에 의하면, 적극적으로 가열 장치(상세는 후술)를 이용함으로써 두부 품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두부류의 품온을 60∼100℃, 바람직하게는 70∼95℃의 범위에서 소정 시간 가열함으로써, 두부류의 물성이나 풍미를 향상하는 효과와, 두부류의 주변 환경에서 세균 오염이나 세균 증식을 억제하여 위생적 환경을 정비하고, 나아가서는 아포(spores) 이외의 영양 세포인 세균(내열성이 낮은 세균)의 살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단, 지나치게 두부류를 고온으로 너무 가열하면 구멍(holes)의 발생이나, 이수(syneresis)가 되기 쉬워 표면이 거칠어지는 것과 같이, 과도한 가열은 두부류의 품질을 해칠 우려가 있으므로, 직접 두부 품온을 가열하는 것보다도, 반송 컨베이어(15, 19)를 둘러싸는 분위기의 온도를 60∼105℃, 바람직하게는 70∼95℃의 범위에서 가열,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시간은, 두부류가 반송로(11)를 통과하는 성형 시간과 거의 같거나 그 이하로 설정하고, 적어도 소정의 품온 유지나 살균 효과가 얻어지도록, 1∼3600초간, 바람직하게는 3∼1200초간으로 설정한다.
상기의 가열 장치는,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이송 공정에 적절히 배치할 수 있지만, 상술한 리턴 공정에 있어서의 증기 살균조(51, 53)(도 1 참조)를, 가열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즉, 증기 살균조(51, 53)는, 고온의 증기에 의한 살균 처리에 의해 반송 컨베이어(15, 19)를 가열하여, 두유 응고물(T)의 반송로(11)에 도달할 때의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온도를, 상기한 온도 범위로 상승, 또는 유지시킨다. 증기 살균조(51, 53)는, 리턴 공정의 최종 부분에 가깝게 배치되기 때문에, 증기 살균조(51, 53)에서 가열된 반송 컨베이어(15, 19)는, 온도가 크게 저하하기 전에 이송 공정의 반송로(11)에 도달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열되어 축열한 반송 컨베이어(15, 19)를 통해, 두유 응고물(T)이 가열 또는 보온된다. 각 캐터필러 플레이트(38A)는, 단열 보온재(H) 및/또는 축열재(F)의 보유 열량을 반송 중의 두유 응고물(T)에 전열시켜, 두유 응고물(T)을 승온시킬 수 있다. 또는, 그들의 단열 보온성에 의해, 방열에 의한 두유 응고물(T)의 온도 저하를 늦추는 것이나 온도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또, 거름천 벨트(13, 17) 및 반송 컨베이어(15, 19)를, 그들의 주회 궤도에 있어서의 리턴 공정의 영역에서 세정 및 가열할 수 있다. 이들의 효과에 의해, 종래보다도 세균 오염·증식을 방지하면서 살균도 가능하고, 대두 단백질의 결착이나 겔화가 촉진되어, 두부류의 탄력이 증가하고, 응고 온도나 응고제량을 적정하게 할 수 있다. 또, 두부류가 미세한 조직이 되고, 이수가 억제되어, 맛의 유출도 방지된다. 그 결과, 탄력이 있고, 보다 고품질인 두부류의 위생적인 양산이 가능해져, 옛부터의 수제작에 가까운 맛있는 무명 두부나, 결이 곱고 겉이 부드러운 유부 등의 두부류를 제조할 수 있다.
또, 고온의 가열 매체에 두부류를 직접 접촉시키면, 두부류의 표면만 단백질의 열 변성이 과잉하게 되어, 이수하여 맛이 떨어지거나 물러지거나 하는 등의 두부류의 품질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도 있다. 대조적으로, 본 구성에 따르면, 반송 컨베이어(15, 19)가 거름천 벨트(13, 17)를 개재하여 두부류를 가열하기 때문에, 상기의 품질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또, 「천 부착」 현상도 억제할 수 있으며, 성형 장치(100A)의 장치 전체 길이를 짧게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코스트의 저감이나 설치 스페이스의 축소를 도모할 수 있다.
성형 장치(100A)는, 상기의 가열 장치로서 증기 살균조(51, 53)를 사용하는 구성 외에도, 증기 살균조(51, 53)와는 별도로 가열 장치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가열 장치는, 거름천 벨트(13, 17) 및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주회 궤도의 이송 공정, 리턴 공정, 회전 공정 중 어느 한 공정, 그들의 복수 공정, 또는 각 공정의 일부분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가열 장치는, 필요 최소한의 소정 범위를 가열하는 구성 외에, 전체를 가열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여기에서, 두부류의 보온이란, 반송로(11)에서 반송하는 두부류를 둘러싸는 그 근방을 바람직하게는 항상 60℃∼105℃로(바람직하게는 단시간이라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60℃∼105℃의 범위에서 같은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나, 승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방열에 의해 온도가 조금 저하해도, 60℃의 하한 온도 미만이 되지 않도록 보온 또는 가열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령 온도가 내려가도, 일시적이며, 성형 장치(100A)에 의한 두부류의 전 가공 시간(반송로(11)의 통과 시간)의 대략 50% 이상(바람직하게는 70% 이상)에서 60∼105℃의 분위기 온도로 두부 품온을 60∼100℃로 유지할 수 있으면, 상업적으로는 충분히 허용할 수 있는 범위이다.
증기 살균조(51, 53)와는 별도로 설치하는 각각의 가열 장치로는, 대기압하에서 60∼105℃의 증기를 직접 분사하여 가열하는 스팀 가열 장치, 60∼100℃로 조정된 열탕조의 열탕을 스프레이하여 가열하는 열탕 스프레이식 가열 장치, 60∼200℃로 조정(예를 들면 수증기와의 열 교환)된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 분사식 가열 장치, 60∼300℃의 건열·열풍 발생 장치(송풍 팬과 니크롬선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즈 히터(sheathed heater), 적외선 히터, 축열 히터, 히트 펌프와 같은 히터와 송풍 팬으로 이루어지는 히터), 스팀 간접 히터 등을 구비한 열풍 히터, 과가열 수증기 히터 등의 열기 가열 장치 등을 이용 가능하다. 또 다른 가열 장치는, 60∼100℃의 열탕을 공급하고 샤워(살포, 살수)하여 흘려 보내는(그 배수를 회수하여, 재가열하고 순환 공급하는) 열탕 살포 가열 장치나, 중탕과 같은 열탕으로부터 재증발시킨 수증기를 이용하는 중탕 가열 장치의 형태여도 된다. 또, 상기의 각 가열 장치를 적절히 조합하여 병용해도 된다.
증기, 열탕, 열풍을 분사하는 노즐은, 고정식, 가동식, 또는 회전식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각 가열 장치는 열탕(60∼100℃)을 상시 저류하는 열탕조를 이용하는 열탕조 가열 가열식이어도 된다. 거름천 벨트(13, 17)나 반송 컨베이어(15, 19)는 열탕 내에 잠기게 된다.
증기 분사식, 열탕 살포식, 열풍 분사식의 가열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거름천 벨트(13, 17)나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주회 궤도를 굴곡시키지 않고 플랫한 주회 궤도인 채로 설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열탕조 가열식과 비교하여,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고, 배수량이나 응축수량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 열탕조 내의 더러움이 제품에 이물 형태로 혼입하는 리스크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가열 장치는, 온도 조절 기능이나 온도 기록 기능 등의 제어 장치나 계측·기록 장치 등을 구비하여, 원하는 온도로 제어된다.
고온의 두유 응고물의 보유 열량을, 반송 컨베이어(15, 19)에 전열·축열시키는 장치도 가열 장치의 하나이다. 예를 들면, 두유 응고물의 온도가 대체로 70∼95℃인 경우는, 가열 장치를 이용하지 않아도, 반송 컨베이어의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단열 보온 기능이나 축열 기능에 의해 두유 응고물 자신의 보유 열량을 놓치지 않고, 즉, 방열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경우라도, 종래 방식보다도 두부의 결착을 촉진하여 탄력성을 향상시키며, 두부류의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또, 두유 응고물을 성형 장치(100A)의 반송로에 받아 들이기 직전까지의, 즉, 초기 단계만, 가열 장치를 보조적으로 이용하는 것이라도 좋다. 반대로, 두유 응고물의 온도가 60∼70℃의 경우에는, 그 후의 공정에서 방열에 의한 냉각에 의해 두유 응고물의 온도가 60℃를 밑돌 우려가 있기 때문에, 가열 장치를 보조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송 컨베이어(15, 19)나 거름천 벨트(13, 17)의 세정, 살균 처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두부류의 생산 중에 행하지만, 생산 종료 후의 세정 시나 생산 개시 전의 데칠 시(워밍업) 등의 비생산 시에 있어서, 상기한 가열 장치를 병용하여 세정, 살균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가열 장치의 노즐이나 배관 등을, 세정액을 스프레이하는 세정 노즐이나 세정용 배관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가열 장치의 배치 영역 이외의 반송 컨베이어(15, 19)에 있어서의 각 부는, 커버 등으로 덮지 않고 일부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육안 확인이나 장치의 구석구석의 점검을 행하기 쉬워진다.
(제 3 구성예)
도 10은 제 3 구성예의 성형 장치를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서 절단한 일부 단면도이다. 본 구성의 성형 장치(100B)는, 상술의 제 2 구성예의 반송 컨베이어(15, 19)에 더하여, 보조 컨베이어(141, 143)를 구비하고, 거름천 벨트(17)를 광폭으로 하고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 2 구성예의 성형 장치(100A)와 마찬가지이다.
본 구성의 보조 컨베이어(141, 143)는,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주회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한 쌍의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양측에 배치되고, 각각이 반송 컨베이어(15, 19)와 동기하여 독립 구동된다. 거름천 벨트(17)는, 그 양단부가 보조 컨베이어(141, 143)의 상부에 각각 닿는 형태의 단면 오목상으로 형성된다.
본 구성의 성형 장치(100B)에 의하면, 두유 응고물(T)을 위측, 아래측, 좌우의 측방측의 4방향으로부터 둘러쌈으로써, 각 방향으로부터의 자연 방열에 의한 냉각을 억제하여, 두유 응고물(T)의 보온성을 높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두부의 결착을 촉진하여 탄력성을 향상시켜, 거름천 벨트(13, 17)에 두부류가 부착하는 「천 부착」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구성의 성형 장치(100B)에 의하면, 두께가 큰 두유 응고물(T)이어도 안정된 반송을 실시할 수 있어, 고품질의 두부류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두부류의 성형 치수의 높이가 10∼150mm인 비교적 두꺼운 두부류를 성형하는 경우여도, 보조 컨베이어(141, 143)가 측방을 지지함으로써, 형태가 무너지지 않아, 안정된 압착 성형이 가능해진다.
(제 4 구성예)
도 11은 제 4 구성예의 성형 장치를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서 절단한 일부 단면도이다. 본 구성의 성형 장치(100C)는, 상술의 제 3 구성예의 보조 컨베이어(141, 143)에 대응하는 거름천 벨트(145, 147)를 구비한다. 거름천 벨트(145)의 주회 궤도는, 보조 컨베이어(141)의 외측(측방)에 배치되고, 거름천 벨트(147)의 주회 궤도는, 보조 컨베이어(143)의 외측(측방)에 배치된다. 반송 컨베이어(19)와 나란하게 배치된 거름천 벨트(17)는, 그 양단이 보조 컨베이어(141, 143) 및 거름천 벨트(145, 147)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그 외의 구성은 제 3 구성예의 성형 장치(100B)와 마찬가지이다.
본 구성의 성형 장치(100C)에 의하면, 두유 응고물(T)이 4 방향으로부터, 각각 개별적으로 거름천 벨트를 개재하여 반송 컨베이어(15, 19) 및 보조 컨베이어(141, 143)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 때문에, 상술과 마찬가지로 자연 방열에 의한 냉각을 억제하고, 보온성을 높여, 효율 좋게 가열할 수 있다. 또, 두께가 큰 두유 응고물(T)이어도 안정된 반송을 행할 수 있고, 두부의 결착을 촉진하고 탄력성을 향상시키며, 「천 부착」 현상도 억제할 수 있다.
(제 5 구성예)
도 12는 제 5 구성예의 성형 장치를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서 절단한 일부 단면도이다. 본 구성의 성형 장치(100D)는, 상술한 제 4 구성예의 성형 장치(100C)에 있어서의 거름천 벨트(145, 147)를 구비하지 않으며, 보조 컨베이어(141, 143)가 반송 컨베이어(19)와 일체로 구성된다. 즉, 본 구성에서, 아래측의 반송 컨베이어(149)는, 그 양단이 되접혀 수직으로 설치된 측벽부를 가진 단면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된다. 아래측의 거름천 벨트(17)는, 단면 오목상으로 형성되고, 그 양단부가 각각 반송 컨베이어(149)의 측벽부의 상단까지 닿는 형태로 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 4 구성예의 성형 장치(100C)와 마찬가지이다.
본 구성의 성형 장치(100D)는, 아래측의 반송 컨베이어(149)에 있어서의 각 캐터필러 플레이트의 양단이 측벽으로서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아래측의 반송 컨베이어(149)가 이송 공정에 있어서 오목상으로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성형 장치(100D)는, (아래측과 위측에) 한 쌍의 반송 컨베이어(15, 149)를 구비하는 것만으로 좋고, 독립한 (좌우의) 측방측의 보조 컨베이어는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장치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반송 컨베이어(15, 149)에 의해, 두유 응고물(T)을 4 방향으로부터 둘러쌈으로써, 간단한 구조이면서, 상술과 마찬가지로 자연 방열에 의한 냉각을 억제하고, 보온성을 높여, 효율 좋게 가열할 수 있다. 또, 두께가 큰 두유 응고물(T)이어도, 안정된 반송을 행할 수 있고, 두부의 결착을 촉진하고 탄력성을 향상시키며, 「천 부착」 현상도 억제할 수 있다.
(제 6 구성예)
다음으로, 반송 컨베이어(15, 19)에 대면하여 설치한 가열 장치의 외측에, 이 가열 장치를 덮는 부분 커버를 구비한 제 6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13은 제 6 구성예의 성형 장치를 반송 방향을 따른 면에서 절단한 일부 단면도이다. 본 구성의 성형 장치(100E)는, 반송 컨베이어(15)의 이송 공정에 있어서의 두유 응고물(T)의 반송로(11)와는 반대측에, 반송 컨베이어(15)로부터 이격하여 부분 커버(E)가 배치된다. 또, 부분 커버(E)와 반송 컨베이어(15)와의 사이에는, 1개 또는 복수의 가열 장치(G)가 배치된다. 즉, 부분 커버(E)는, 그 내측에 배치된 가열 장치(G)들로부터의 열에너지가, 반송 컨베이어(15)에 효율 좋게 전달되도록, 반송 컨베이어(15)의 소정 범위를 덮어 배치된다.
반송 컨베이어(19)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1개 또는 복수의 가열 장치(G)와 부분 커버(E)가 배치된다. 각각의 반송 컨베이어(15, 19)의 각 캐터필러 플레이트는, 도 2에 나타내는 제 1 구성예와 같은 평판상의 캐터필러 플레이트(38)여도 되고, 도 5에 나타내는 제 2 구성예와 같은 중공 공간을 갖는 중공 구조의 캐터필러 플레이트(38A)여도 된다. 각각의 가열 장치(G)로서, 상술한 각종 구성의 가열 장치를 이용 가능하다.
본 구성의 성형 장치(100E)에 의하면,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주회 궤도를 둘러싸는 부분 커버(E)가 설치되고, 이 부분 커버(E) 내가, 증기나 열풍의 비산식이나 온수 살포(스프레이)식 등의 가열 장치(G)에 의해 가열된다. 이 때문에, 가열 장치(G)로부터의 열에너지가 헛되이 방산되는 일 없이, 가열 장치(G)가 설치된 범위 내를 효율 좋게 가열할 수 있다. 본 구성에 의해, 두부류의 심온이나 표면 온도 또는, 반송 컨베이어(15, 19)나 그 주변을, 부분 커버(E) 내에서 영역을 60℃∼105℃로 유지할 수 있어, 두부류의 물성을 향상할 수 있고, 세균 2차 오염·증식을 방지하면서 살균할 수 있다. 부분 커버(E)는,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주회 궤도 또는 그 주변에 있어서의, 필요 최소한의 범위를 둘러싸고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가열 장치(G)로부터의 공급 열량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필요한 가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 부분 커버(E)와 가열 장치(G)는,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이송 공정, 리턴 공정, 회전 공정 등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고, 적절히 각 영역의 복수 개소에 배치해도 된다. 부분 커버(E)는, 반송 컨베이어(15, 19)를 국소적으로 덮는 경우, 덮인 영역에 대하여 정확한 온도 제어를 기민하게 행하고, 최소한의 열량으로 높은 응답성으로 가열 처리를 시행할 수 있다. 또,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일부를 덮는 부분 커버(E) 대신에, 반송 컨베이어(15, 19) 전체를 덮는 커버로 해도 된다.
또한, 성형 장치(100E)는, 열 매체(증기 응축수나 수증기나 열기 등)를 부분 커버(E)의 밖으로 배수하는 배수 장치나, 배기하는 배기 장치를 추가로 설치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반송 컨베이어(15, 19)를, 장시간 원활하게 연속 운전할 수 있다. 또, 부분 커버(E)의 외측의 분위기를 보조적으로 가열하는 보조 가열부를 설치함으로써, 원하는 가열 목표 온도에 재빨리 도달시키는 구성으로도 할 수 있다.
부분 커버(E)는, 가열 장치(G)를 효율 좋게 사용하는 것, 외기에의 방열이나 가열 매체의 방출 로스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스테인리스 강판이나 수지 판(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PMMA),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염화 비닐 수지(PVC), 폴리프로필렌 수지(PP) 등의 투명성이 있는 판재)로 이루어지는 커버나 단열재 부착 커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분 커버(E)는,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주회 궤도나, 그 근방의 이송 공정, 리턴 공정, 회전 공정 중 적어도 어느 한 공정의, 일부분 또는 대부분의 영역에 설치할 수 있다. 또, 부분 커버(E)는,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소정의 범위를 터널상으로 둘러싸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이송 공정에 있어서는, 반송 컨베이어(15, 19) 및 반송되는 두유 응고물(T)을, 가능한 한 최소한의 범위를 둘러싸도록 국소적으로 설치하면 된다.
또, 각각의 부분 커버(E)의 내측에, 세정액 등을 분사하는 자동 세정용 노즐을 설치해도 된다. 그 경우, 부분 커버(E)에 의해 세정액의 살포 범위가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되어, 효율 좋게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세정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그 자동 세정용 노즐은,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세정용으로 설치되는 증기나 열탕이나 열풍을 분사하는 노즐과 겸용하면, 보다 저코스트인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부분 커버(E)는, 부분적으로 개폐 가능한 창 등을 설치해도 된다. 그 경우, 세정 후의 육안 확인이나 장치의 구석구석의 점검을 실시하기 쉬워진다. 이 부분 커버(E)는, 반송 컨베이어(15, 19)의 반송로(11)의 입구와 출구, 개구나 틈새 등에 가열 매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시일 부재(포렴상이나 밀폐할 수 있는 수지·고무제 부재)나 수봉식 시일 수단 등을 적절히 구비해도 된다.
상기와 같이, 부분 커버(E)는,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주회 통로나, 반송되는 두유 응고물(T)이나, 그들의 근방을,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 덮는 커버이면 된다. 가열 장치(G)(들)나 세정 장치로 각 부분 커버(E)의 내측을 가열 또는 세정하는 경우는, 부분 커버(E) 내의 용적이 작은 편이 가열 에너지(러닝 코스트)를 억제하여, 온도 상승 부족이나 온도 불균일을 줄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필요 최소한의 영역이나, 두유 응고물(T)이나 두부류의 근방 또는 근접하는 부분만을 중점적으로 집중 관리할 수 있다. 또, 중점적으로 세정하는 개소를 세부(細部)로 좁힐 수도 있어, 위생 관리 상도 바람직하다. 또한, 반송로(11)의 아래측에 배치되는 커버는, 가열 매체의 받침 접시나 저류조를 겸해도 된다.
그런데, 성형 장치에서 발생하는 「천 부착」 문제는, 특히 하측의 거름천 벨트(17)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유부의 성형 장치에서 발생하는 「천 부착」 문제는, 특히 상측의 거름천 벨트(13)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알려져 있다. 무명 두부 등의 성형기에서는 하측의 거름천 벨트(17)의 쪽에서 발생하기 쉽다. 그래서, 이 「천 부착」 문제를 보다 확실하게 해소시키기 위해서는, 반송로의 아래측 또는 위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의 반송 컨베이어만이라도 부분 커버(E)를 설치하고, 추가로 그들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G)를 설치하면 된다. 그리고 또한, 각 캐터필러 플레이트에 단열 보온재(H) 및/또는 축열재(F)를 설치하면 된다.
(제 7 구성예)
도 14는 제 7 구성예의 성형 장치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서 절단한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이다. 본 구성의 성형 장치(100F)는, 도 11에 나타내는 성형 장치(100C)에 부분 커버(E)와 가열 장치(G)를 추가한 구성이며, 그 외의 구성은 성형 장치(100C)와 마찬가지이다.
본 구성의 성형 장치(100F)는, 이송 공정의 반송 컨베이어(15a, 19a) 및 거름천 벨트(13A, 17A)와, 이송 공정의 보조 컨베이어(141A, 143A) 및 거름천 벨트(145A, 147A)를 둘러싸는 부분 커버(E)를 구비한다. 부분 커버(E)의 외측에는, 리턴 공정의 반송 컨베이어(15B, 19B) 및 거름천 벨트(13B, 17B)와, 리턴 공정의 보조 컨베이어(141B, 143B) 및 거름천 벨트(145B, 147B)가 배치된다.
부분 커버(E)의 내측에는, 복수의 가열 장치(G)가 배치된다. 가열 장치(G)는, 부분 커버(E)와 반송 컨베이어(15A, 19A)와의 사이 및, 부분 커버(E)와 보조 컨베이어(141A, 143A)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들 반송 컨베이어(15, 19), 보조 컨베이어(141, 143)는, 각각 체인(39)에 의해 구동되어, 두유 응고물(T)을 반송한다.
부분 커버(E)가, 반송 컨베이어(15, 19), 보조 컨베이어(141, 143), 거름천 벨트(13, 17, 145, 147)의 이송 공정에 대응하는 소정 범위를 덮음으로써, 부분 커버(E) 내를 효율 좋게 가열할 수 있어, 부분 커버(E) 내의 분위기 온도를 일정하게 제어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반송 컨베이어(15, 19), 보조 컨베이어(141, 143)에 포함되는 단열 보온재나 축열재를 가열하면서 두유 응고물(T)을 반송할 수 있어, 두유 응고물(T)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식감이나 맛이 좋은 고품질의 두부류를 위생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제 8 구성예)
도 15a는 제 8 구성예의 성형 장치의 모식적인 일부 측면도이다. 본 구성의 성형 장치(100G)는,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이송 공정에 해당하는 영역을 각각 덮는 부분 커버(E)와, 부분 커버(E)의 내측에 배치된 증기 분사식이나 열풍 분사식이나 온수 살포(스프레이)식 등의 가열 장치(G)를 구비한다. 도시예의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주회 궤도는, 도 1에 나타내는 증기 살균조(51, 53), 알칼리 세정조(43, 45), 산 세정조(47, 49) 또는 수세 세정부(55, 57, 59, 61)를 통과하지 않는 궤도이지만, 도 1에 나타내는 세정, 살균용의 상기 각 부위에 대응하는 반송 영역에, 부분 커버(E)와 가열 장치(G)를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구성의 부분 커버(E)와 가열 장치(G)는,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주회 궤도에 인접하여 각각 배치된다. 부분 커버(E)는, 가열 장치(G)의 반송로(11)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된다. 반송 컨베이어(15, 19)는, 두유 응고물(T)의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하여 도시하지 않은 가압 수단(스프링이나 에어 실린더 등)에 의해 가압력이 커지도록, 또, 두유 응고물(T)의 압밀에 따라서 상호의 접근 거리가 작아지도록 배치된다. 도시예에서는, 반송 컨베이어(15)가 반송 컨베이어(19)에 대하여 경사진 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반송 컨베이어(19)가 반송 컨베이어(15)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도 된다. 본 구성의 성형 장치(100G)에 의하면, (도시하지 않은) 두유 응고물(T)이 반송 컨베이어(15, 19)에 의해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반송됨에 따라, 두유 응고물(T)이 두께 방향으로 강하게 압착되어, 보다 확실히 유청 등이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두유 응고물(T)을 보다 농후한 두부류로 성형할 수 있다.
부분 커버(E)는, 측면에서 봤을때 터널상을 나타내고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소정 범위를 덮는다. 그 때문에, 가열 장치(G)로부터의 열량은, 해당하는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소정 범위 내에 고효율로 전달된다. 반송 컨베이어(15, 19)의 가열 영역은,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이송 공정의 영역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15b에 제 1 변형예의 성형 장치의 모식적인 일부 측면도를 나타낸다. 이 성형 장치(100H)에 있어서는, 각각의 반송 컨베이어(15, 19)의 리턴 공정에 있어서의 표리 양측에 부분 커버(Ea, Eb)가 각각 배치된다. 또, 각각의 부분 커버(Ea, Eb) 내에 가열 장치(G)가 배치된다. 부분 커버(Ea, Eb)와 가열 장치(G)의 세트가 리턴 공정에 배치됨으로써, 각 캐터필러 플레이트(38A)가 열용량이 큰 축열재(F)를 구비하는 경우라도, 반송 컨베이어(15, 19)가 이송 공정으로 되돌아오기까지의 사이에 필요 충분한 가열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도 15c에 제 2 변형예의 성형 장치의 모식적인 일부 측면도를 나타낸다. 이 성형 장치(100I)에 있어서는, 반송 컨베이어(15, 19)의 리턴 공정의 영역 전체가, 부분 커버(E)에 의해 각각 덮인다. 가열 장치(G)는, 각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주회 궤도 내와, 반송 컨베이어(15, 19)의 리턴 공정의 영역과 해당 부분 커버(E)와의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각 반송 컨베이어(15, 19)의 리턴 공정의 영역 전체가 부분 커버(E)에 의해 덮임으로써,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전체가 효율 좋게 가열된다. 이것에 의해, 반송 컨베이어(15, 19)를 균일하게 온도 제어할 수 있어, 가열 불균일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도 15d에 제 3 변형예의 성형 장치의 모식적인 일부 측면도를 나타낸다. 이 성형 장치(100J)에 있어서는, 반송 컨베이어(15, 19)의 리턴 공정의 하류측의 일부와 회전 공정의 영역이, 부분 커버(E)에 의해 각각 덮인다. 가열 장치(G)는, 각 부분 커버(E)와 관련된 반송 컨베이어(15, 19)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본 구성에서는, 각 반송 컨베이어(15, 19)의 리턴 공정에 있어서의, 이송 공정에 도달하기 직전의 영역에 인접하여, 부분 커버(E)와 가열 장치(G)가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캐터필러 플레이트(38A)를, 이송 공정에 도달하기 직전에 가열할 수 있어, 캐터필러 플레이트(38A)의 주회 궤도 이동 중의 방열에 의한 가열 로스가 적어진다. 따라서, 필요 최소한의 가열 에너지로 가열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도 15e에 제 4 변형예의 성형 장치의 모식적인 일부 측면도를 나타낸다. 이 성형 장치(100K)에 있어서는, 각 반송 컨베이어(15, 19)의 리턴 공정의 일부의 영역으로서, 이송 공정에 들어가는 하류측의 위치에 인접하여, 부분 커버(Ea, Eb)와 가열 장치(G)가 배치된다. 부분 커버(Ea, Eb)와 가열 장치(G)는, 반송 컨베이어(15, 19)의 표리 양측에 각각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반송 컨베이어(15, 19)의 표리 양측의 같은 영역을 동시에 가열한다. 이것에 의해, 리턴 공정의 하류측에서 집중적으로 가열 처리를 행할 수 있어, 가열을 위한 스페이스를 콤팩트하게 정리할 수 있다.
(제 9 구성예)
도 16a는 제 9 구성예의 성형 장치의 모식적인 일부 측면도이다. 본 구성의 성형 장치(100L)는, 각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이송 공정, 리턴 공정, 회전 공정의 거의 전부가, 부분 커버(Ea, Eb, Ec)에 의해 덮여 있다. 부분 커버(Ea)는, 각 반송 컨베이어(15, 19)의 리턴 공정과 회전 공정의 거의 전부를 덮고, 반송로(11)와는 반대측에 배치된다. 부분 커버(Eb, Ec)는,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주회 궤도 내에 각각 배치된다. 부분 커버(Eb)는 반송 컨베이어(15, 19)의 리턴 공정을 덮고, 부분 커버(Ec)는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이송 공정을 덮어 배치된다.
가열 장치(G)는, 반송 컨베이어(15, 19)의 리턴 공정의 영역과 대응하는 각 부분 커버(Ea)의 사이와, 반송 컨베이어(15, 19)의 이송 공정의 영역과 대응하는 각 부분 커버(Ec)와의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그리고, 성형 장치(100L)의 장치 전체를 덮는 전체 커버(Ez)가 추가로 배치된다.
본 구성의 성형 장치(100L)는, 이들 부분 커버(Ea, Eb, Ec)와, 그 외측에 배치된 전체 커버(Ez)에 의해, 이중(다중) 커버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전체 커버(Ez)는, 점검 등의 관리면에서, 거의 전면에서 투명도가 높은 전체 커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전체 커버(Ez)의 재질로는, 내열성은 요구되지 않으며, 투명성이 있는 수지제 판재(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염화 비닐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전체 커버(Ez)에, 배기 설비, 흡기 설비, 배수 설비 등을 적절하게 설치함으로써, 성형 장치(100L) 내의 작업 환경에 가열 장치로부터의 열풍, 증기, 온수 등의 가열 매체가 방산하는 것이 억제되어, 작업 환경이 고온 다습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체 커버(Ez)를 부분 커버(Ea, Eb, Ec)와 병용함으로써, 액적 낙하나 이물 혼입 등에 의한 두부류의 품질 저하를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두부류의 제조 공정이, 환경 온도에 좌우되지 않고, 기계의 초기 온도의 영향도 적어져, 두부류의 품온 변동에의 영향을 경감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위치 센서나 에어 실린더 등의 부품류를, 가열되는 부분 커버(Ea, Eb, Ec)의 내측에 설치한 경우, 높은 내열성이나 고도의 방수성이 요구되어, 장치 코스트가 증가한다. 한편, 본 구성에 있어서는, 전체 커버(Ez)의 내측에 이러한 부품류를 설치하면, 특별히 내열성이나 방수성이 요구되지 않고, 종래대로의 표준적인 부품이나 비교적 염가인 부품을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구성에 의하면 각종의 부품류를 장치 내에 추가 설치해도, 장치 코스트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6b에 변형예의 성형 장치의 모식적인 일부 측면도를 나타낸다. 이 성형 장치(100M)는, 성형 장치(100M)의 전체를 덮는 전체 커버(Ez)와, 이 전체 커버(Ez) 내에 배치된 가열 장치(G)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부분 커버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다른 구성은 도 16a에 나타내는 성형 장치(100L)와 마찬가지이다.
본 구성에 의하면, 반송 컨베이어(15, 19)가 전체 커버(Ez)로 덮이기 때문에, 부분 커버가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두부류의 방열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 캐터필러 플레이트(38A)가 단열 보온 기능 및/또는 축열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방열 억제 효과가 상승적으로 높아져, 보온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가열 장치(G)로부터의 가열 에너지가, 전체 커버(Ez) 내에서 체류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가열 장치(G)의 소비 에너지를 저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형태의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것이나, 명세서의 기재, 그리고 주지의 기술에 근거하여, 당업자가 변경, 응용하는 것도 본 발명이 예정하는 바이며, 보호를 요구하는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상기의 성형 장치(100)가 행하는 거름천 벨트의 세정, 살균 처리와 등가인 처리를, 요소 테스트기를 이용하여 검증했다. 이하에 그 내용과 결과를 설명한다.
본 검증의 세정, 살균 조건은, 유통 기간(4.4℃, 65일)을 보증할 수 있는 높은 위생성을 성형 장치에 갖게 하기 위해, 과거에 두부 제품으로부터 분리된 아포균 중에서 가장 내열성이 강한 것(D100℃=4.57분)과 동등 이상의 아포균과 더욱 내열성이 강한 세레우스균을 이용하여, 식균(植菌), 세정·살균 테스트를 실시했다. 또한, 상기한 D치란, 미생물의 내열성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소정의 온도에서 균 수를 1/10로 하는 시간(분)을 나타낸다.
<준비물>
·성형 장치의 거름천 벨트의 샘플 천
  재질: 폴리프로필렌제 거름천
사이즈: 10cm×10cm
·보일링 살균된 시판의 무명 두부
·알칼리 세정조
  알칼리액: 수산화나트륨 용액 농도 2% pH 13.2 온도 90℃
·산 세정조
  산액: 구연산 용액 농도 1% pH 2.4 온도 90℃
·고압 세정 장치
  수압: 1MPa
  분사 조건: 노즐을, 폭 70cm의 범위를 4초로 왕복하는 속도로 이동시키면서 분사한다.
·증기 살균 장치(배치 솥(batch caldron))
  증기 살균 온도: 100℃
<식균하는 균종>
·아포균 믹스: 100℃, 20분 이상의 높은 내열성을 갖는 것
  균 농도: 1.0×107(개/g) 이상,
균액량 20.8(g)
·세레우스균(B. cereus 아포): 100℃, 30분 이상의 높은 내열성을 갖는 것
  균 농도: 1.0×107(개/g) 이상,
균액량 18.3(g)
<검증 방법>
이하의 공정 1∼6을 실시하여, 각 세트의 세정, 살균 조건에 의한 일반 생균 수를 측정했다.
(공정 1)
냉동 균액을 실온에서 해동한다. 아포균 믹스는, 영양 균체를 살균하여 아포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100℃, 10분간 자비(煮沸)한다. 세레우스균은 이미 아포만으로 되어 있으므로, 그대로 사용한다.
(공정 2)
시판의 무명 두부 300g과 아포균 믹스액 20.8g(시험구 1)을 계량하고, 믹서로 페이스트(응고 상태의 최악 조건을 상정)가 될 때까지 교반한다. 시판의 무명 두부 300g과 세레우스균 균액 18.3g(시험구 2)를 계량하고, 믹서로 페이스트(응고 상태의 최악 조건을 상정)가 될 때까지 교반한다.
(공정 3)
공정 2에서 얻어진 페이스트를 거름천 벨트의 샘플 천에 주걱(spatula)으로 도포(10cm×10cm당 약 3g 도포)하고, 20분간 방치한다.
(공정 4)
세정 전 샘플을, 무균 봉투에 넣어 분위기 온도 4℃의 환경하에서 보관한다.
(공정 5)
세정 후 샘플을, 하기의 표 1에 나타내는 조건 1-1∼3-2에서 St.1에서 St.6의 순서로 세정, 살균하고, 무균 봉투에 넣어 분위기 온도 4℃의 환경하에서 보관한다. 또한, 각각의 알칼리 세정 및 산 세정은, 증기 인젝션으로 가열할 수 있는 탱크를 사용하여, 샘플 천을 소정 시간 침지한다. 또한, 증기 살균조는, 익히지 않은 갈아불린 콩의 가열용 쿠커(cooker for heating raw ground macerated soybean)를 사용하여, 쿠커 내에 증기를 인젝션하면서 샘플 천을 쿠커 안에 세트한다. 그 후, 쿠커에 뚜껑을 덮어, 쿠커 내를 밀폐하여 살균한다.
[표 1]
Figure pat00001
(공정 6)
보관한 세정 전 샘플과 세정 후 샘플을 개봉하여, 각각의 일반 생균 수를 측정한다. 일반 생균 수는, 샘플 천에 멸균 완료의 인산 완충액 100g을 첨가하고 균을 추출하여, 추출된 균 수를 측정하여 구한다.
<결과>
상기의 각 공정을 실시한 결과를 하기의 표 2, 표 3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pat00002
[표 3]
Figure pat00003
일반 생균 수는, 각각의 실험예 1, 10에 있어서는, 상당수의 일반 생균이 인지되었다. 한편, 알칼리 세정, 산 세정, 증기 살균 전부를 실시하는 시험구 1(아포균 믹스)의 실험예 3∼5, 7, 9는 모두 음성이 되었다. 또, 일반 생균 수는 (세레우스균의) 실험예 11∼18에서, 모두 음성이 되었다.
금회 검증한 결과, 두부 제품으로부터 과거에 분리된 아포균 중에서 가장 내열성이 강한 것(D100℃=4.57분)보다도 동등 이상 강한 아포균으로 샘플 천이 오염된 경우라도, 고압 세정, 알칼리 세정, 산 세정, 증기 살균을 조합하여 실시하면, 음성을 달성 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해졌다. 또한, 성형 장치의 러닝 코스트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알칼리 세정 시간은 111초로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13, 17 : 거름천 벨트
15, 19 : 반송 컨베이어
38, 38A : 캐터필러 플레이트
43, 45 : 알칼리 세정조
47, 49 : 산 세정조
51, 53 : 증기 살균조
55, 57, 59, 61, 63, 65 : 수세 세정부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100I, 100J, 100K, 100L, 100M : 성형 장치(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149 : 반송 컨베이어
H : 단열 보온재
F : 축열재
G : 가열 장치
T : 두유 응고물

Claims (8)

  1. 외측을 주회(周回)하는 무단상(無端狀)의 거름천 벨트와 내측을 주회하는 무단상의 반송 컨베이어가 상하에 각 한 쌍 설치되어, 두유 응고물을 상하의 상기 거름천 벨트 및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끼워 지지하면서 반송하여 압착 성형하는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로서,
    상기 거름천 벨트 및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주회 궤도 중, 상기 두유 응고물이 끼워 지지되는 반송로의 시단부에서 상기 반송로의 종단부까지의 이송 공정에 있어서, 상기 이송 공정 내의 상기 거름천 벨트 및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소정 범위를 각각 가열하여 보온 또는 살균하는 가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가열된 증기를 분사하는 증기 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소정 범위를 둘러싸는 칸막이 부재를 갖고, 상기 칸막이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상기 소정 범위의 분위기 온도는, 60℃ 이상, 10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천 벨트 및 상기 반송 컨베이어는, 상기 소정 범위를 통과할 때의 1회당 통과 시간이 1초 이상, 3600초 이하가 되는 주회 속도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컨베이어는 평강, 형강, 강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다수의 플레이트 부재를, 무단상으로 연결한 플레이트 컨베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는, 중공 공간을 갖는 중공 구조이며, 상기 중공 공간에 단열 보온재, 축열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는, 중공 공간을 갖는 중공 구조이며, 상기 중공 공간은, 감압 상태로 밀봉된 단열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KR1020227000667A 2015-09-30 2015-09-30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KR102512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03610A KR20230020025A (ko) 2015-09-30 2015-09-30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7012216A KR102350445B1 (ko) 2015-09-30 2015-09-30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PCT/JP2015/077883 WO2017056280A1 (ja) 2015-09-30 2015-09-30 豆腐類の連続成型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216A Division KR102350445B1 (ko) 2015-09-30 2015-09-30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3610A Division KR20230020025A (ko) 2015-09-30 2015-09-30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495A true KR20220009495A (ko) 2022-01-24
KR102512545B1 KR102512545B1 (ko) 2023-03-21

Family

ID=5842315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3610A KR20230020025A (ko) 2015-09-30 2015-09-30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KR1020187012216A KR102350445B1 (ko) 2015-09-30 2015-09-30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KR1020227000667A KR102512545B1 (ko) 2015-09-30 2015-09-30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3610A KR20230020025A (ko) 2015-09-30 2015-09-30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KR1020187012216A KR102350445B1 (ko) 2015-09-30 2015-09-30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93470B2 (ko)
EP (1) EP3357350B1 (ko)
JP (1) JP6672324B2 (ko)
KR (3) KR20230020025A (ko)
CN (1) CN108135233A (ko)
WO (1) WO20170562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89403A (zh) * 2015-11-13 2017-05-24 鸿星企业有限公司 一种设置有降温槽的腐皮自动生产机
CN109677964A (zh) * 2018-12-03 2019-04-26 浙江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机器摆放纱布的方法
JP7262279B2 (ja) * 2019-04-02 2023-04-21 アスク・サンシ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空調ダクトおよび空調ダクトの施工方法
JP2020184895A (ja) * 2019-05-10 2020-11-19 株式会社高井製作所 豆腐の搬送装置
JP6842784B1 (ja) 2020-01-08 2021-03-17 株式会社優食 食品製造装置
KR102505542B1 (ko) 2020-12-11 2023-03-02 최대익 두부 압착포의 제조방법
CN113303441B (zh) * 2021-05-11 2022-04-12 祖名豆制品股份有限公司 老豆腐动态压制成型装置
KR102482004B1 (ko) * 2021-08-31 2022-12-26 권혁주 콩가공식품의 생산방법
US20230117987A1 (en) * 2021-10-20 2023-04-20 Takai Tofu & Soymilk Equipment Co. Tofu conveying machine
CN113974192A (zh) * 2021-10-30 2022-01-28 湖南省湘当当食品有限责任公司 一种卤香干生产加工用挤压装置
CN114413376B (zh) * 2021-12-29 2023-09-01 江西迅特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带负压控制装置的解剖屋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941B2 (ko) 1971-10-05 1977-05-06
JPS63190213U (ko) * 1987-05-27 1988-12-07
JPH05317232A (ja) * 1991-04-24 1993-12-03 Ishino Seisakusho:Kk 焦げが付いている金網の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JP3652740B2 (ja) 1995-08-09 2005-05-25 株式会社高井製作所 豆腐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5226932A (ja) * 2004-02-13 2005-08-25 House Foods Corp ベルトクーラー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5261369A (ja) 2004-03-19 2005-09-29 Takai Seisakusho:Kk 豆腐類の自動成型装置
JP2011234657A (ja) * 2010-05-07 2011-11-24 Takai Seisakusho:Kk 豆腐類の連続式凝固装置
JP2013138624A (ja) * 2011-12-28 2013-07-18 Takai Seisakusho:Kk 豆腐類の連続式凝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8193B2 (ja) * 2000-05-12 2004-09-22 株式会社高井製作所 豆腐製造用コンベヤ
JP4512663B1 (ja) * 2009-05-01 2010-07-28 株式会社高井製作所 豆腐類の連続式凝固装置
JP5215941B2 (ja) 2009-05-29 2013-06-19 株式会社高井製作所 豆腐類の自動成型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941B2 (ko) 1971-10-05 1977-05-06
JPS63190213U (ko) * 1987-05-27 1988-12-07
JPH05317232A (ja) * 1991-04-24 1993-12-03 Ishino Seisakusho:Kk 焦げが付いている金網の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JP3652740B2 (ja) 1995-08-09 2005-05-25 株式会社高井製作所 豆腐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5226932A (ja) * 2004-02-13 2005-08-25 House Foods Corp ベルトクーラー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5261369A (ja) 2004-03-19 2005-09-29 Takai Seisakusho:Kk 豆腐類の自動成型装置
JP2011234657A (ja) * 2010-05-07 2011-11-24 Takai Seisakusho:Kk 豆腐類の連続式凝固装置
JP2013138624A (ja) * 2011-12-28 2013-07-18 Takai Seisakusho:Kk 豆腐類の連続式凝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57350A1 (en) 2018-08-08
KR102512545B1 (ko) 2023-03-21
EP3357350A4 (en) 2019-05-22
KR20180054861A (ko) 2018-05-24
KR102350445B1 (ko) 2022-01-13
JP6672324B2 (ja) 2020-03-25
US10993470B2 (en) 2021-05-04
JPWO2017056280A1 (ja) 2018-07-19
EP3357350C0 (en) 2023-06-21
EP3357350B1 (en) 2023-06-21
CN108135233A (zh) 2018-06-08
US20180303150A1 (en) 2018-10-25
WO2017056280A1 (ja) 2017-04-06
KR20230020025A (ko)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0445B1 (ko)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
JP6889888B2 (ja) 豆腐類の連続成型装置
CN105357978A (zh) 连续低温食物巴氏灭菌系统和方法
CN102669302B (zh) 豆皮机
CN207784193U (zh) 食品微波杀菌装置
CN209882970U (zh) 一种罐头食品节能杀菌锅
CN205482050U (zh) 隧道式风冷浸没两用液氮速冻机
CN208387746U (zh) 一种用于制备酱烤鸭的原料解冻装置
CN105918918A (zh) 一种花猪香肠的制作工艺
JP6423189B2 (ja) 豆腐類の連続成型装置
CN204426607U (zh) 喷淋式杀菌机
CN106305967A (zh) 一种鱿鱼解冻装置与方法
CN213604123U (zh) 冻干果蔬原料加工用蒸汽杀菌装置
JP2013208058A (ja) 連続加熱方法および前記方法を用いた密封食品の製造装置
CN112849571B (zh) 一种罐装饮料杀菌设备及罐装饮料生产工艺
CN205518742U (zh) 一种制雪机清洗装置
JP2018198593A (ja) 豆腐の凝固装置
CN204393228U (zh) 一种调理肉原料解冻架
CN202999241U (zh) 一种果茶果酱杀菌机
JP3438164B2 (ja) 食品の急速凍結方法と装置
CN206165664U (zh) 一种微波解冻装置
CN106178009A (zh) 一种连续式水浴灭菌锅
CN205233369U (zh) 一种喷淋式杀菌机
CN109198670A (zh) 防冻式水果清洗装置
CN220831844U (zh) 一种一拖二式喷淋水浴杀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