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8136A - 덤프트럭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덤프트럭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8136A
KR20220008136A KR1020200086363A KR20200086363A KR20220008136A KR 20220008136 A KR20220008136 A KR 20220008136A KR 1020200086363 A KR1020200086363 A KR 1020200086363A KR 20200086363 A KR20200086363 A KR 20200086363A KR 20220008136 A KR20220008136 A KR 20220008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box
vehicle body
driver
dump truck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7763B1 (ko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서강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강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강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6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763B1/ko
Publication of KR20220008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75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 B60J1/2077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for wind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덤프트럭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재함에 적재된 적재물을 배출하기 위해 적재함을 차체에 대해 기울여지도록 상방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된 덤프트럭의 차체의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차단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된 시야차단부와, 적재함이 차체로부터 설정된 제1기준높이 이상으로 승강된 것으로 판단되면 운전자의 전방시야가 차단되게 시야차단부를 제어하고, 차체로부터 승강된 적재함이 차체에 대해 설정된 제2기준 높이 이하로 하강된 것으로 판단되면 운전석의 전방시야가 개방되게 시야차단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구비한다. 이러한 덤프트럭의 안전장치에 의하면, 적재함이 차체로부터 상승된 상태에서의 주행을 억제하도록 지원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덤프트럭의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for dump truck}
본 발명은 덤프트럭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적재함이 자체로부터 상승한 상태에서는 안전을 위해 주행을 억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덤프트럭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덤프트럭은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된 적재함의 후방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재함과 차체 사이에 설치된 덤프용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적재함을 경사지게 작동함으로서 적재물을 배출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덤프트럭의 적재함은 적재물의 투입이 가능하게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되어 있어 도로 주행중에 적재물이 낙하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러한 적재함으로부터 적재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적재함에 덮개를 적용한 덮개장치가 국내 등록특허 제10-2075795호 등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한편, 덤프트럭의 적재함에 적재된 적재물을 비우기 위해 적재함이 경사지게 작동시킨 상태에서 부주의로 적재함을 하강하지 않고 그대로 주행하는 경우 지하차도 또는 다리와 같이 통과 높이가 제한되는 구조물을 통과해야하는 경우 통과 제한 높이를 초과하여 상승된 적재함이 통과과정에서 구조물과 충돌될 수 있고,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적재함이 적재물을 비우기 위해 경사지게 상승된 상태에서는 안전을 위해 주행을 억제할 수 있게 지원하는 덤프트럭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덤프트럭의 안전장치는 적재함에 적재된 적재물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적재함을 차체에 대해 기울여지도록 상방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된 덤프트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차단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된 시야차단부와; 상기 적재함이 상기 차체로부터 설정된 제1기준높이 이상으로 승강된 것으로 판단되면 운전자의 전방시야가 차단되게 상기 시야차단부를 제어하고, 상기 차체로부터 승강된 적재함이 상기 차체에 대해 설정된 제2기준 높이 이하로 하강된 것으로 판단되면 운전석의 전방시야가 개방되게 상기 시야차단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시야차단부는 차체에 고정되며 하방이 열린 하우징 내에 내장되되 상기 운전석에 대향되는 전면유리 부분을 승하강에 의해 운전자에게 개방 또는 차폐하는 스크린과;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린이 감기거나 풀리게 결합된 감개와; 상기 감개를 상기 제어유니트에 제어되어 정역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크린의 수평방향을 따르는 폭은 60 내지 150cm이고, 수직방향을 따라 펼쳐지는 길이는 40 내지 100cm로 적용한다.
또한, 상기 제1기준높이는 지면으로부터 상기 적재함의 상단까지의 높이가 4.2 내지 4.5가 되는 범위 내에서 적용되고, 상기 제2기준높이는 상기 제1기준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차체로부터 상기 적재함의 수직상으로의 승강높이를 검출하는 적재함 승하강 검출부와; 상기 적재함 승하강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승높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야차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덤프트럭의 안전장치에 의하면, 적재함이 차체로부터 상승된 상태에서의 주행을 억제하도록 지원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적용된 덤프트럭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적재함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안전장치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전동 스크린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덤프트럭의 안전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적용된 덤프트럭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적재함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안정장치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덤프트럭의 안전장치(100)는 전동스크린(110)과, 제어유니트(150)를 구비한다.
덤프트럭(10)은 적재함(30)에 적재된 적재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적재함(30)을 차체(20)에 대해 기울여지도록 상방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실린더(40)가 장착된 통상의 구조로 되어 있다.
전동 스크린(110)은 시야 차단부로서 적용된 것으로 덤프트럭(10)의 운전석(50)에 착석한 운전자의 전면유리(60)를 통한 전방 시야를 차단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스크린(112)을 승하강 시킬 수 있게 운전석(50) 상부의 차체(20)에 설치되어 있고,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동 스크린(110)은 하우징(111), 스크린(112), 감개(114) 및 모터(116a)를 구비한다.
하우징(111)은 하방이 열린 내부공간(111a)을 갖게 형성되어 있고, 덤프트럭(10)의 차체(20)인 운전석(50)이 마련된 운전실의 천정에 브라켓(미도시)을 통해 고정되게 장착된다.
스크린(112)은 하우징(111) 내에 내장되되 운전석(50)에 대향되는 전면유리(60) 부분을 승하강에 의해 운전자에게 개방 또는 차폐할 수 있게 불투명소재의 시트와 시트의 종단에 구김을 방지하고 자중에 의한 펼침성을 높이기 위한 무게바가 결합된 것이 적용되어 있다.
여기서 스크린(112)은 하방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운전자의 전방시야를 충분히 가려 정상적인 운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을 따르는 폭은 60 내지 150cm이고, 수직방향을 따라 펼쳐지는 길이는 40 내지 100cm인 것을 적용한다.
감개(114)는 하우징(111)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스크린(112)이 감기거나 풀리는 것을 지원할 수 있도록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모터(116a)는 스크린(112)을 승하강 시키는 스크린 구동부(116)로서 적용된 것으로 감개(114)를 제어유니트(150)에 제어되어 정역 회전시킨다.
전동스크린(110)은 도시된 구조와 다른 방식으로 스크린(112)을 승하강 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유니트(150)는 적재함(30)이 차체(20)로부터 설정된 제1기준높이 이상으로 승강된 것으로 판단되면 운전자의 전방시야가 차단되게 전동스크린(110)을 제어하고, 차체(20)로부터 승강된 적재함(30)이 차체(20)에 대해 설정된 제2기준 높이 이하로 하강된 것으로 판단되면 운전석(50)의 전방시야가 개방되게 전동스크린(110)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1기준높이는 도로상의 통상적인 통과 허용높이를 고려하여 지면으로부터 적재함(30)의 상단까지의 높이가 4.2 내지 4.5가 되는 범위 내에서 적용되고, 제2기준높이는 제1기준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제1 및 제2기준높이는 4. 2미터 미만으로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유니트(150)는 적재함 승하강 검출부(152)와 제어부(154)를 구비한다.
적재함 승하강 검출부(152)는 차체(20)로부터 적재함(30)의 수직상으로의 상승높이를 검출하여 제어부(154)에 제공한다.
도시된 예에서 적재함 승하강 검출부(152)는 적재함(30)의 저면과 대향되는 차체(20) 상에 설치되어 적해함(30)을 향해 광을 출사하는 광원(152a)고, 광원(152a)에서 출사되어 적재함(30)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는 광검출기(152b)가 적용되어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4)는 광원(152a)에서 광이 출사되게 제어하고, 광검출기(152b)에서 적재함(30)으로부터 반사된 광이 수신된 신호가 수신될때 까지의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적재함(30)의 상승높이를 산출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4)는 적재함 상승검출부(152)에서 검출된 적재함(30)의 상승 높이정보를 이용하여 상승하고 있는지 또는 하강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승시 제1기준높이 이상으로 승강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동스크린(110)의 스크린(112)이 하방으로 내려오게 스크린 구동부(116)로 적용된 모터(116a)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4)는 적재함 상승검출부(152)에서 검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차체(20)로부터 승강되었던 적재함(30)이 차체(20)에 대해 설정된 제2기준 높이 이하로 하강된 것으로 판단되면 운전석(50)의 전방시야가 개방되게 전동스크린(110)의 스크린이 상승하여 감기게 모터(116a)를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54)는 적재함(30)을 상승 또는 하강을 지시하는 조작부(156)의 조작신호에 따라 실린더(40)의 로드가 진퇴되게 구동하는 적재함 승하강 구동부(160)를 제어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여기서, 적재함 승하강 구동부(160)는 제어부(154)에 제어되어 실린더(160)에 공급되는 유체를 제어한다.
이 경우, 제어부(154)는 적재함 승하강 구동부(160)의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실린더(40)의 로드가 연장 또는 축소되는 지에 대한 적재함(30)의 상승 또는 하강을 판단할 수 있고 유체 공급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적재함(30)의 상승높이 또는 하강높이를 산출하여 전동 스크린(110)의 구동시기를 결정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와 다르게 적재함 승하강 검출부(152)는 실린더(40)의 로드의 인출길이를 검출하는 센서를 적용하는 방식 등 다른 방식으로 적재함(30)의 승하강 정보 및 승강높이를 산출하도록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덤프트럭의 안전장치에 의하면, 적재함(30)이 차체(20)로부터 상승된 상태에서는 전방시야를 차단하게 스크린을 하강시켜 정상적인 운전조작이 어렵게 함으로써 주행을 억제하도록 지원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전동스크린 150: 제어유니트

Claims (5)

  1. 적재함에 적재된 적재물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적재함을 차체에 대해 기울여지도록 상방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된 덤프트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차단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된 시야차단부와;
    상기 적재함이 상기 차체로부터 설정된 제1기준높이 이상으로 승강된 것으로 판단되면 운전자의 전방시야가 차단되게 상기 시야차단부를 제어하고, 상기 차체로부터 승강된 적재함이 상기 차체에 대해 설정된 제2기준 높이 이하로 하강된 것으로 판단되면 운전석의 전방시야가 개방되게 상기 시야차단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의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차단부는
    차체에 고정되며 하방이 열린 하우징 내에 내장되되 상기 운전석에 대향되는 전면유리 부분을 승하강에 의해 운전자에게 개방 또는 차폐하는 스크린과;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린이 감기거나 풀리게 결합된 감개와;
    상기 감개를 상기 제어유니트에 제어되어 정역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의 안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수평방향을 따르는 폭은 60 내지 150cm이고, 수직방향을 따라 펼쳐지는 길이는 40 내지 10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의 안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높이는 지면으로부터 상기 적재함의 상단까지의 높이가 4.2 내지 4.5가 되는 범위 내에서 적용되고, 상기 제2기준높이는 상기 제1기준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의 안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차체로부터 상기 적재함의 수직상으로의 승강높이를 검출하는 적재함 승하강 검출부와;
    상기 적재함 승하강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승높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야차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의 안전장치.
KR1020200086363A 2020-07-13 2020-07-13 덤프트럭의 안전장치 KR102377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363A KR102377763B1 (ko) 2020-07-13 2020-07-13 덤프트럭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363A KR102377763B1 (ko) 2020-07-13 2020-07-13 덤프트럭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136A true KR20220008136A (ko) 2022-01-20
KR102377763B1 KR102377763B1 (ko) 2022-03-23

Family

ID=80052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363A KR102377763B1 (ko) 2020-07-13 2020-07-13 덤프트럭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7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7391A (ko) 2022-02-24 2023-09-01 양칠송 차량형 중장비용 안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8752U (ko) * 1981-02-24 1982-08-30
KR20110071951A (ko) * 2009-12-22 2011-06-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장비 작업조건에 따른 운전실 햇빛 가리개 자동위치 조절장치
KR101205112B1 (ko) * 2012-07-23 2012-11-26 박상훈 덤프트럭용 적재함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8752U (ko) * 1981-02-24 1982-08-30
KR20110071951A (ko) * 2009-12-22 2011-06-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장비 작업조건에 따른 운전실 햇빛 가리개 자동위치 조절장치
KR101205112B1 (ko) * 2012-07-23 2012-11-26 박상훈 덤프트럭용 적재함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7391A (ko) 2022-02-24 2023-09-01 양칠송 차량형 중장비용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763B1 (ko)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4589B1 (en) Forklift truck with controlled mast tilt
CN107161916B (zh) 一种前移式叉车的自动调平装置和方法
KR102377763B1 (ko) 덤프트럭의 안전장치
US5632593A (en) Vehicle lift with tapered contact sensor
JPH07242398A (ja) 荷役車両の安定度報知装置
JP4480420B2 (ja) 安全装置付荷受台昇降装置
JPH0885378A (ja) 拡幅車体
KR102361590B1 (ko) 밸런스기능이 강화된 대형리프트
JP4090580B2 (ja) 荷受台昇降装置
KR102301226B1 (ko) 화물차량용 적재함 도어 리프팅장치
JP4428499B2 (ja) コンテナ荷役車両
JPH0215869Y2 (ko)
KR101982793B1 (ko) 지게차의 캐리지 램프 작동 조절장치
KR102606614B1 (ko) 승강식 윙바디
JP3062365B2 (ja) 作業車
KR0128512Y1 (ko) 지게차의 전복방지 안전장치
JP2006023497A (ja) 表示装置
JP4209738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CN112978620B (zh) 一种电动高起升搬运车及其工作方法
JPS62280200A (ja) 無人フオ−クリフトの負荷検出装置
JP2728340B2 (ja) 立体駐車装置の昇降パレット制御装置
JPH08158690A (ja) 機械式駐車設備及びその格納制御方法
JP2024067784A (ja) 荷台高さ調整装置
JP2023173924A (ja) 荷役車両
JP2021178693A (ja) ラムを備えたフォークリ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