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590B1 - 밸런스기능이 강화된 대형리프트 - Google Patents

밸런스기능이 강화된 대형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590B1
KR102361590B1 KR1020210112269A KR20210112269A KR102361590B1 KR 102361590 B1 KR102361590 B1 KR 102361590B1 KR 1020210112269 A KR1020210112269 A KR 1020210112269A KR 20210112269 A KR20210112269 A KR 20210112269A KR 102361590 B1 KR102361590 B1 KR 102361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posts
post
elevator
proxim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삼락
Original Assignee
대일리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일리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일리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2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5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각 지점의 승강작동을 연동하여 트럭이나 버스와 같은 대형의 차량 등을 탑재한 상태에서도 안정적인 균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밸런스기능이 강화된 대형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 높이로 직립되도록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일측에 상하로 배열되는 스토퍼공(24)이 형성된 복수개의 포스트(20)와; 상기 포스트(20) 상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탑재물(V)을 안착시킨 상태로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대(30)와; 상기 각 포스트(20) 또는 승강대(3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대(30)를 작동시키도록 된 승강구동수단(35)과; 상기 각 포스트(20)에 대응되도록 상기 승강대(30) 상에 복수개가 설치되되, 상기 포스트(20)의 스토퍼공(24) 상에 걸리도록 출몰되는 래치(52)를 포함한 안전걸림장치(50)와; 상기 각 안전걸림장치(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52)의 작동과정에서의 근접 또는 접촉상태를 감지하도록 된 복수개의 근접센서(61)와; 상기 각 근접센서(61)에 의해 각 래치(52)의 작동이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됨을 감지할 때에 상기 승강대(30)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21)를 포함하는 밸런스기능이 강화된 대형리프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밸런스기능이 강화된 대형리프트{Big size lift strengthened balance function}
본 발명은 밸런스기능이 강화된 대형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각 지점의 승강작동을 연동하여 트럭이나 버스와 같은 대형의 차량 등을 탑재한 상태에서도 안정적인 균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밸런스기능이 강화된 대형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덤프트럭이나 탱크로리 또는 버스와 같은 대형의 탑재물을 들어려 작업하도록 된 대형리프트는 대개 4개의 포스트에 의해 차량 등이 탑재되는 승강대를 지지하도록 된 4주식으로 구비된 것으로, 대개 승강대의 각 코너측에 포스트를 따라 안내되는 가이더가 장착되어 유압장치의 유압작동에 의해 승강대가 상하로 작동되는 것이다.
이러한 승강대의 승강작동에 있어서, 승강대의 상승은 유압장치를 가동시켜 승강대를 유압에 의해 지지하고, 승강대의 하강은 유압장치를 작동정지시켜 승강대 상에 탑재된 대형차량의 자중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때에 포스트와 승강대의 가이더 상에는 승강대의 급격한 하강과 그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장치가 설치되게 된다.
이 안전장치는 대개 포스트 상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스토퍼공에 걸리거나 걸림해제되도록 출몰되는 래치와 이 래치를 전자적으로 자동 제어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러한 안전장치는 각 포스트 상에 개별적으로 장착되어 전자적인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다.
하지만, 현장에서의 상황은 장치의 모든 작동이 항상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돌발상황이 발생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각 안전장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솔레노이드밸브가 오작동되거나 각 포스트 중에서 어느 하나에 이물질 등이 끼임으로 인해 래치의 작동이 정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승강대의 수평상태가 어긋나 탑재물이 기울어지거나 이로 인한 하중이 편심되게 쏠리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며, 승강대의 수평상태가 어긋나게 되면 탑재물의 안착상태가 불안정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고장 등의 우려가 크고, 특히 탑재물의 크기가 큰 대형차량의 경우에는 그 무게와 사이즈로 인해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요소가 내재된 것이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6369호(2006. 01. 10)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각 지점의 승강작동을 연동하여 트럭이나 버스와 같은 대형의 차량 등을 탑재한 상태에서도 안정적인 균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장치의 작동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전도 등에 따른 안전상의 위험과 손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밸런스기능이 강화된 대형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일정 높이로 직립되도록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일측에 상하로 배열되는 스토퍼공(24)이 형성된 복수개의 포스트(20)와;
상기 포스트(20) 상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탑재물(V)을 안착시킨 상태로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대(30)와;
상기 각 포스트(20) 또는 승강대(3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대(30)를 작동시키도록 된 승강구동수단(35)과;
상기 각 포스트(20)에 대응되도록 상기 승강대(30) 상에 복수개가 설치되되, 상기 포스트(20)의 스토퍼공(24) 상에 걸리도록 출몰되는 래치(52)를 포함한 안전걸림장치(50)와;
상기 각 안전걸림장치(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52)의 작동과정에서의 근접 또는 접촉상태를 감지하도록 된 복수개의 근접센서(61)와;
상기 각 근접센서(61)에 의해 각 래치(52)의 작동이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됨을 감지할 때에 상기 승강대(30)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기능이 강화된 대형리프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포스트(20)나 승강대(30) 상에는 상기 스토퍼공(24)을 통해 빛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발광부(71)와 수광부(72)로 구성된 복수개의 광센서(7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러(21)는 상기 승강대(30) 자체의 편심상태나 상기 근접센서(61) 자체의 비정상 작동에 따른 상기 각 근접센서(61)의 감지시간 오차를 상기 각 광센서(70)에 의한 신호를 이용하여 보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기능이 강화된 대형리프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근접센서(61)는 상기 안전걸림장치(50) 상에 결합되는 센서마운트(60) 상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마운트(60)나 근접센서(61)는 조임수단(62)에 의해 상기 래치(52)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기능이 강화된 대형리프트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로 구비된 각 포스트(20)에 걸리도록 된 안전걸림장치(60) 상에 래치(52)의 작동을 감지하도록 복수개의 근접센서(61)가 설치되고, 각 근접센서(61)의 작동이 모두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때에 승강대(30)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각 안전걸림장치(50)의 오작동이나 이물질의 끼임 등에 의해 일부 장치가 비정상적으로 작동됨으로 인한 승강대(30)의 편심발생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이에 의해 장치의 고장이나 탑재물(V)의 전도 및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된 근접센서(61)에 더하여 빛을 송수신하는 구조의 광센서(70)가 구비됨에 따라, 승강대(30)의 크기에 따른 자체적인 편심발생이나 근접센서(61) 자체의 비정상작동 등에 의해 각 포스트(20)로부터의 감지시점의 시간적인 오차 등을 보정하여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고, 센서마운트(60) 상에 근접센서(61)를 설치하여 래치(52)와의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센서의 감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구성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덤프트럭이나 탱크로리 또는 대형버스와 같은 탑재물(V)을 안정적으로 승강시켜 유지보수 작업이 가능하도록 된 대형리프트(10)로, 일정 높이로 직립되는 복수개의 포스트(20)를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되고, 이 포스트 상에 설치된 승강대(30)에 전술된 대형차량과 같은 탑재물(V)을 탑재하여 일정 높이로 리프팅시킨 상태로 차량점검이나 교체 등의 작업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스트(20)는 통상의 4주식 리프트와 같이 4개를 사각형을 이루는 코너지점에 위치한 상태로 지면에 고정 설치하는데, 이 포스트(20) 중의 하나에는 장치의 작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21)가 박스형태로 장착되고, 각 포스트(20)의 일면에는 상기 승강대(30)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22)이 상하로 연장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22) 상에 상하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스토퍼공(24)이 형성된 가이드바(23)를 장착하여 후술되는 안전걸림장치(50)의 래치가 걸리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대(30)는 상기 포스트(20) 상에 수평방향으로 위치되어 대형차량과 같은 탑재물(V)이 안착되는데, 이는 탑재물(V)이 안착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받침패널(31)과 이 받침패널(31)을 지지하도록 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32)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 지지프레임(32)의 각 단부에는 상기 포스트(20)의 가이드홈(22) 상에 결합되는 가이더(40)가 장착된 것이며, 상기 받침패널(31) 사이에는 보조잭(33,34)이 더 결합되어 유지보수 작업시에 승강대(30) 상에서 탑재물(V)을 별도로 더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도 3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대(30)는 유압실린더(36)와 이에 연결되는 와이어(37) 등으로 구성된 승강구동수단(35)에 의해 포스트(20)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되는데, 이 승강구동수단(35)은 유압실린더(36)의 신축작동에 의해 와이어(37)를 당기거나 밀어 승강대(30)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된 것으로, 상기 유압실린더(36)는 받침패널(31)을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로드 상에 와이어(37)가 연결되고, 이 와이어(37)의 텐션유지 등을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32)이나 가이더(40) 측에 풀리(38) 등이 장착된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더(40) 상에는 전술된 바와 같은 승강구동수단(35)에 의해 승강대(30)를 상승시켜 작업을 마친 후에, 승강대(30)를 하강시킬 때에 추락이나 전도 등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안전걸림장치(50)와 이 안전걸림장치(50)의 작동을 감지하도록 된 센서장치 등이 설치되는데, 이를 도 4 내지 도 6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걸림장치(50)는 가이더(40) 상에 장착 가능하도록 된 일정 크기의 케이스(51)가 구비되고, 이 케이스(51) 상에 출몰 가능하게 래치(52)가 설치되며, 상기 래치(52)를 전자적인 제어에 의해 작동시키도록 된 솔레노이드밸브(53)가 구비되는데, 이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3)의 온작동에 의해 래치(52)를 당기고, 솔레노이드밸브(53)의 오프작동에 의해 래치(52)가 돌출되는 작동구조로, 이러한 안전걸림장치(50)는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제20-0269056호) 등에 이미 공지된 기술이다.
이러한 안전걸림장치(50)는 각 포스트(20) 상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걸림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각 안전걸림장치(50) 상에는 근접센서(61)가 내장 설치된 센서마운트(60)가 장착되는데, 이 근접센서(61)는 복수개의 안전걸림장치(50)가 상호 연동된 상태로 작동되어 승강대(30)의 일측이 처지거나 승강대(30)의 처짐에 따른 탑재물(V)의 전도 등을 방지하도록 승강대(30)의 수평방향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구성에 따른 세부적인 작동상태 등을 도 5를 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걸림장치(50)는 승강대(30)의 하강과정에서 승강구동수단(35)의 유압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탑재물(V)의 하중을 지탱하여 급격한 낙하와 그에 따른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래치(52)가 출몰하면서 단계적으로 포스트(20)의 스토퍼공(24) 상에 걸리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4개의 포스트(20) 상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각 안전걸림장치(50)가 항상 일정하게 정상작동되는 것이 아니라 안전걸림장치(50) 자체의 솔레노이드밸브(53)나 래치(52)의 오작동 또는 각 포스트(20) 상에 이물질의 끼임 등과 같은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되어 장치의 비정상적인 작동상태가 유발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4개의 각 안전걸림장치(50) 상에 구비된 4개의 래치(52)가 정상적으로 작동됨을 근접센서(61)에 의해 감지하여 승강대(30)의 하강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동구조를 갖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근접센서(61)는 상기 래치(52)의 작동과정에서 근접 또는 접촉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각 근접센서(61)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따라 도 1이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컨트롤러(21)에 의해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예를 들어 작업자가 승강대(30)의 하강작동을 조작하면 안전걸림장치(50)의 솔레노이드밸브(53)가 작동되어 래치(52)를 당기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래치(52)가 스토퍼공(24)으로부터 퇴피됨에 따라 걸림상태가 해제되며, 이때에 근접센서(61)에 의해 래치(52)의 작동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근접센서(61)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컨트롤러(21)에 전송되어 승강대(30)의 하강작동을 행하도록 제어되는데, 상기 컨트롤러(21)에서는 각 안전걸림장치(50) 상에 설치된 4개의 근접센서(61)에서 모두 동일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승강대(30)의 하강작동이 가능하도록 제어되고, 4개의 근접센서(61)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승강대(3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센서마운트(60) 자체나 이 센서마운트(60)에 내장되는 근접센서(61)는 상기 래치(52)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체결되는 조임수단(62)이 결합되며, 이러한 조임수단(62)에 의한 근접센서(61)의 거리조절 구조는 래치(52)와의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최적의 감도를 유지하도록 설치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안전걸림장치(50)의 래치(52) 중의 하나가 오작동된 상태로 승강대(30)가 하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승강대(30)의 편심을 방지하여 안전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데, 대형차량을 탑재하는 큰 사이즈의 대형리프트(10)의 경우에는 승강대(30) 자체의 크기나 무게의 편중 등에 의해 승강대(30) 자체가 미묘하게 휜 상태가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다른 각 포스트(20) 측으로부터 근접센서(61)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 차이 등에 의한 오류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은 시간오차를 포함하여 근접센서(61) 자체의 비정상 작동에 따른 감지시간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광센서(70)가 장착될 수 있는데, 이를 도 6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센서(70)는 빛을 송수신하도록 된 발광부(71)와 수광부(72)로 이루어져 상기 스토퍼공(24)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감지작동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러한 광센서(70)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가이더(40) 상에 상하로 개방된 관통공(41)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바(23)가 통과되도록 하고, 이 관통공(41) 상에 상호 대면되는 브라켓(42,43)을 설치하여 가이드바(40)의 내외에 상기 발광부(71)와 수광부(72)를 위치시키게 되며, 상기 발광부(71)와 수광부(72)는 각각 복수개의 LED가 장착되어 다수의 펄스신호 데이터를 생성함에 따라 감도를 높이거나 컨트롤러(21)에 의한 보정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광센서(70)에 의해서는, 상기 스토퍼공(24)을 통해 빛이 통과되는 과정에서 상기 발광부(71)와 수광부(72)에 의해 빛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컨트롤러(21)에 전송하게 되고, 상기 컨트롤러(21)에서는 각 광센서(70)에 의한 신호데이터에 의해 근접센서(61)의 감지시간 오차를 보정하여 대형의 승강대(30)가 갖는 자체의 편심이나 탑재물(V)의 탑재상태에서 편심을 보상하거나 솔레노이드밸브(53)나 래치(52)의 비정상 또는 지연작동에 따른 오류를 보상하여 안정적인 장치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데, 이는 각 포스트(20) 측에 위치되는 근접센서(61)의 작동이 미세하게 시간차이를 두고 작동되는 경우에 컨트롤러(21)에 의해 장치를 정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각 근접센서(61)의 작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여유있게 설정하여 장치의 실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호는 지면에 설치되어 차량이 승강대(30) 상으로 안정적으로 오르내리도록 된 진입판(25)을 나타낸 것이며, 다른 부호는 상기 근접센서(61)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장공(63)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대형리프트 20: 포스트
21: 컨트롤러 22: 가이드홈
23: 가이드바 24: 스토퍼공
30: 승강대 31: 받침패널
32: 지지프레임 35: 승강구동수단
36: 유압실린더 37: 와이어
38: 풀리 40: 가이더
50: 안전걸림장치 52: 래치
53: 솔레노이드밸브 60: 센서마운트
61: 근접센서 62: 조임수단
70: 광센서 71: 발광부
72: 수광부 V: 탑재물

Claims (3)

  1. 일정 높이로 직립되도록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일측에 상하로 배열되는 스토퍼공(24)이 형성된 복수개의 포스트(20)와;
    상기 포스트(20) 상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탑재물(V)을 안착시킨 상태로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대(30)와;
    상기 각 포스트(20) 또는 승강대(3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대(30)를 작동시키도록 된 승강구동수단(35)과;
    상기 각 포스트(20)에 대응되도록 상기 승강대(30) 상에 복수개가 설치되되, 상기 포스트(20)의 스토퍼공(24) 상에 걸리도록 출몰되는 래치(52)를 포함한 안전걸림장치(50)와;
    상기 각 안전걸림장치(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52)의 작동과정에서의 근접 또는 접촉상태를 감지하도록 된 복수개의 근접센서(61)와;
    상기 각 근접센서(61)에 의해 각 래치(52)의 작동이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됨을 감지할 때에 상기 승강대(30)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21)를 포함하며;
    상기 근접센서(61)는 상기 안전걸림장치(50) 상에 결합되는 센서마운트(60) 상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마운트(60)나 근접센서(61)는 조임수단(62)에 의해 상기 래치(52)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기능이 강화된 대형리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20)나 승강대(30) 상에는 상기 스토퍼공(24)을 통해 빛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발광부(71)와 수광부(72)로 구성된 복수개의 광센서(7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러(21)는 상기 승강대(30) 자체의 편심상태나 상기 근접센서(61) 자체의 비정상 작동에 따른 상기 각 근접센서(61)의 감지시간 오차를 상기 각 광센서(70)에 의한 신호를 이용하여 보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기능이 강화된 대형리프트.
  3. 삭제
KR1020210112269A 2021-08-25 2021-08-25 밸런스기능이 강화된 대형리프트 KR102361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269A KR102361590B1 (ko) 2021-08-25 2021-08-25 밸런스기능이 강화된 대형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269A KR102361590B1 (ko) 2021-08-25 2021-08-25 밸런스기능이 강화된 대형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590B1 true KR102361590B1 (ko) 2022-02-14

Family

ID=80254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269A KR102361590B1 (ko) 2021-08-25 2021-08-25 밸런스기능이 강화된 대형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5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242B1 (ko) * 2023-01-16 2023-11-23 황영학 자동 밸런싱 기능을 갖는 차량 리프트 및 차량 리프팅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056Y1 (ko) * 2001-12-07 2002-03-20 (주)성실기계 차량용 리프트의 안전장치
KR200406369Y1 (ko) 2005-10-17 2006-01-20 헤스본주식회사 차량용 리프트의 다용도 스토퍼
KR100719128B1 (ko) * 2005-12-30 2007-05-17 (주)성실기계 이주식 리프트
KR20160104178A (ko) * 2015-02-25 2016-09-05 주식회사 파워렉스코리아 4주식 리프트용 안전 록킹장치
KR20210007552A (ko) * 2019-07-12 2021-01-20 이진현 안전 기능이 향상된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056Y1 (ko) * 2001-12-07 2002-03-20 (주)성실기계 차량용 리프트의 안전장치
KR200406369Y1 (ko) 2005-10-17 2006-01-20 헤스본주식회사 차량용 리프트의 다용도 스토퍼
KR100719128B1 (ko) * 2005-12-30 2007-05-17 (주)성실기계 이주식 리프트
KR20160104178A (ko) * 2015-02-25 2016-09-05 주식회사 파워렉스코리아 4주식 리프트용 안전 록킹장치
KR20210007552A (ko) * 2019-07-12 2021-01-20 이진현 안전 기능이 향상된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242B1 (ko) * 2023-01-16 2023-11-23 황영학 자동 밸런싱 기능을 갖는 차량 리프트 및 차량 리프팅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0826A (en) Cargo loading vehicles
KR102361590B1 (ko) 밸런스기능이 강화된 대형리프트
JP4459636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2008174369A (ja) 搬送用走行体の上下経路切換装置
KR102182983B1 (ko) 화물용 및 고하중용 초대형 승강기의 안티크리핑 장치
US20200347622A1 (en) Hoist platform system for multi-floor building construction
KR101969843B1 (ko)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
JP2008254825A (ja) 車両用リフト装置
KR101007540B1 (ko) 건설공사용 리프트의 비상안전장치
KR101457439B1 (ko)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
KR101763879B1 (ko) 차량용 리프트 장치
KR102299046B1 (ko)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
CN110487235A (zh) 一种隐秘式、定位高度的拉线传感器的安装结构
JPH06271245A (ja) 工事用昇降装置の搬器
KR102377763B1 (ko) 덤프트럭의 안전장치
KR100838228B1 (ko)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JP5969861B2 (ja) 昇降体着床検知制御装置とそ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設備
KR20180017373A (ko) 중량물 운반용 공압식 리프트 장치
KR200299792Y1 (ko) 자동차용 리프트
KR102300106B1 (ko) 체인 구동소음이 저감된 특장차용 리프트 게이트
JP3838306B2 (ja) 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装置
JPS6225597B2 (ko)
KR100846224B1 (ko) 시설물 점검용 차량
JP2870614B2 (ja) 物品昇降装置
KR102606614B1 (ko) 승강식 윙바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