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178A - 4주식 리프트용 안전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4주식 리프트용 안전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4178A
KR20160104178A KR1020150026685A KR20150026685A KR20160104178A KR 20160104178 A KR20160104178 A KR 20160104178A KR 1020150026685 A KR1020150026685 A KR 1020150026685A KR 20150026685 A KR20150026685 A KR 20150026685A KR 20160104178 A KR20160104178 A KR 20160104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air
locking
pulley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재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워렉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워렉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워렉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026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4178A/ko
Publication of KR20160104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1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걸림홈(3)이 형성된 4개의 지주(1): 지주(1)들 사이에 설치된 한 쌍의 탑재대(4); 이 탑재대(4)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바(5); 이 수평바(5)의 단부에 구비된 브래킷(6); 및 상기 각 지주(1)의 상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실린더에 연결된 와이어(8);를 포함하는 4주식 리프트에서, 상기 브래킷(6)에 설치되어 탑재대(4)의 급강하를 방지하는 안전 록킹장치로서, 선단에 롤러(21)가 장착되고 기단이 회동축(15a)에 의해 브래킷(6)에 결합된 롤러장착부(11)와, 상기 회동축(15a)을 중심으로 대향연장되어 지주(1)의 걸림홈(3)에 삽입되는 록킹바(14)와, 상기 회동축(15a)에서 편심되도록 롤러장착부(11)의 기단에서 돌출된 편심세그먼트(12a,12b)를 포함하는 급강하차단부재(10); 및 상기 롤러(21)가 와이어(8)를 풀리(7)쪽으로 가압하도록 롤러장착부(11)를 탄성가압하는 탄성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주식 리프트용 안전 록킹장치이다.

Description

4주식 리프트용 안전 록킹장치{A safety locking apparatus for four post lift}
본 발명은 4주식 리프트용 안전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4주식 리프트에서 와이어가 이완되거나 끊어짐에 의해 탑재대가 급강하되는 것을 막는 4주식 리프트용 안전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바퀴나 각종 오일 교환 또는 차량 하부의 각 부품을 정비할 때에는 차량 전체를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까지 들어올린 다음 작업한다. 이때, 차량용 리프트를 이용하여 차량을 들어 올리는데, 4개의 지주 사이에 한 쌍의 탑재대가 설치된 4주식 리프트나 X자형 링크 상단에 탑재대가 설치된 씨저형 리프트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4주식 리프트는 씨저형 리프트에 비해 차량 전후의 중량이 달라서 탑재대에 중량이 불균등하게 분배되어 기울어지는 현상이 방지되고, 작업자가 탑재대 하측을 통해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편리하므로 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4주식 리프트는 한 쌍의 탑재대의 단부를 수평바가 각각 연결하고, 이 수평바의 양단에 풀리가 구비된 브래킷이 장착되며, 각 지주마다 와이어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풀리를 경유하여 실린더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가 당겨지거나 풀리면서 탑재대가 승강된다.
그런데 4주식 리프트는 실린더의 급속한 유압감소로 인한 와이어의 이완이나 또는 장기간 사용시 와이어에 걸리는 하중으로 인해 와이어의 끊어짐 현상이 발생할 경우, 탑재대가 급속히 하강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차량이 탑재된 상태에서 급강하되면 차량이 파손되어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작업인부가 상해를 입는 등 인명피해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4주식 리프트에 안전장치를 설치하는데, 이와 같은 안전장치는 지주의 일측면에 상하로 형성된 걸림홈에 걸려지는 록킹바를 중앙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브래킷에 설치하며, 록킹바의 타측에 구비된 롤러가 와이어를 지주 반대쪽으로 탄성가압하도록 스프링을 구비함으로써, 와이어가 끊어지면 록킹바가 스프링에 의해 회동되어 록킹바의 일측이 걸림홈에 걸려져서 탑재대가 급강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하지만, 탑재대가 급강하되면서 록킹바가 걸림홈에 걸려지므로 록킹바에 큰 충격하중이 가해져서 록킹바가 파손될 수 있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안전장치만 믿고 있던 작업자가 록킹바의 파손으로 인해 상해를 입을 수 있어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상존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713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4주식 리프트에서 와이어가 이완되거나 끊어질 때 탑재대의 급강하를 차단하여 안전성이 향상되고 록킹바에 가해지는 충격하중을 줄여 내구성이 향상되는 4주식 리프트용 안전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일측면에 복수개의 걸림홈(3)이 상하로 이격 형성된 4개의 지주(1): 상기 지주(1)들의 내측에 이격 설치되어 대상물이 올려지는 한 쌍의 탑재대(4); 상기 탑재대(4)를 서로 연결하며 양단부가 각각 상기 지주(1)의 일측면에 위치되는 한 쌍의 수평바(5); 상기 각 수평바(5)의 단부에 구비되며 그 내부에 풀리(7)가 수용된 브래킷(6); 및 상기 각 지주(1)의 상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브래킷(6)의 풀리(7)를 경유하여 타단부가 실린더에 연결된 와이어(8);를 포함하는 4주식 리프트에서, 상기 브래킷(6)에 설치되되 지주(1)의 일측면과 풀리(7) 사이에 설치되어 와이어(8)의 이완 또는 끊어짐에 따른 탑재대(4)의 급강하를 방지하는 안전 록킹장치로서, 선단에 상기 와이어(8)를 중심으로 풀리(7)와 대향배치도록 롤러(21)가 장착되고 기단이 회동축(15a)에 의해 브래킷(6)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롤러장착부(11)와, 상기 회동축(15a)을 중심으로 대향되게 일체로 연장되며 지주(1)의 걸림홈(3)에 삽입되도록 회동되는 록킹바(14)와, 상기 회동축(15a)에서 편심되도록 롤러장착부(11)의 기단에서 돌출되며 상기 록킹바(14)의 회동에 따라 지주(1)의 일측면에 편심가압되는 편심세그먼트(12a,12b)를 포함하는 급강하차단부재(10); 및 및 상기 롤러(21)가 와이어(8)를 풀리(7)쪽으로 가압하도록 롤러장착부(11)를 탄성가압하는 탄성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8)가 이완되거나 끊어지면 상기 롤러장착부(11)가 탄성체(20)의 가압에 의해 회동축(15a)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록킹바(14)가 지주(1)의 걸림홈(3)에 삽입되기만 하고 걸림홈(3) 하단벽(3a)에 걸려지기 전에 편심세그먼트(12a,12b)가 지주(1)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걸림홈(3)에 삽입된 록킹바(14)의 하단이 걸림홈(3)의 하단벽(3a)에 급강하하여 충돌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주식 리프트용 안전 록킹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급강하차단부재(10)의 롤러장착부(11)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수용판(11a,11b)으로 이루어지고, 이 한 쌍의 수용판(11a,11b)을 일체로 관통하며 내부에 상기 회동축(15a)이 삽입되는 관체(15)가 더 구비되며, 상기 편심세그먼트(12a,12b)는 상기 관체(15) 둘레부에서 편심되게 일체로 돌출되되 상기 각 수용판(11a,11b)의 기단부가 확장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주식 리프트용 안전 록킹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8)가 이완되거나 끊어질 때, 안전 록킹장치의 록킹바(14)가 지주(1)의 걸림홈(3)에 삽입되나 걸림홈(3)의 하단벽(3a)에 걸려지기 전에 편심세그먼트(12a,12b)가 지주(1)의 일측면에 편심가압됨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탑재대(4)가 급강하되는 중에 록킹바(14)가 걸림홈(3)에 삽입되어 하단벽(3a)에 걸려질 경우, 록킹바(14)에 큰 충격하중이 작용하게 되므로 록킹바(14)가 파손될 수 있어 내구성이 저하된다. 특히, 대형차와 같이 무게가 많이 나가는 대상물이 탑재된 경우에는 록킹바(14)에 더욱 큰 충격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상기의 문제는 더욱 증대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록킹바(14)가 걸림홈(3)의 하단벽(3a)에 걸려지기 전에 편심세그먼트(12a,12b)가 지주(1)의 일측면에 편심가압되어 급강하되던 탑재대(4)가 일시적으로 멈춘 상태에서 탑재된 대상물의 무게로 인해 편심세그먼트(12a,12b)가 약간 슬립되면 록킹바(14)가 천천히 하강되어 걸림홈(3)의 하단벽에 천천히 걸려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편심세그먼트(12a,12b)에 우선적으로 충격하중이 작용하고 그 후에 록킹바(14)에 충격하중이 가해지므로, 록킹바(14)에는 종래에 비해 충격하중이 덜 가해지게 되어 파손우려가 줄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편심세그먼트(12a,12b)를 롤러장착부(11)의 한 쌍의 수용판(11a,11b)의 기단부에서 회동축(15a)에 편심되게 일체로 확장되므로, 별도의 조립공정이 요구되지 않아서 제작이 용이하고, 편심세그먼트(12a,12b)가 회동축(15a)에서 비틀리거나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어 탑재대(4)의 급강하를 보다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4주식 리프트용 안전 록킹장치의 일실시예가 설치된 리프트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안전 록킹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
도 3 및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안전 록킹장치의 급강하차단부재를 보인 도면
도 5 및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작동상태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주식 리프트용 안전 록킹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주식 리프트용 안전 록킹장치는 탑재대(4)를 승강시키는 와이어(8)의 이완 또는 끊어짐에 의해 탑재대(4)가 급강하되는 것을 차단하여 탑재된 차량의 파손 및 작업자 등의 상해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록킹장치의 파손을 방지한다.
우선, 상기 록킹장치가 설치되는 4주식 리프트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일측면에 상하로 길이가 긴 복수개의 걸림홈(3)이 상하로 이격 형성된 4개의 지주(1)가 일측면을 마주보도록 2개씩 짝을 이뤄 직사각형의 꼭지점에 위치되도록 이격 설치된다. 이때, 도 2와 같이 걸림홈(3)이 형성된 레일(2)이 지주(1)의 일측면에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다. 그리고 서로 이격된 지주(1)들에 의해 형성된 내측공간에 대상물이 올려지는 한 쌍의 탑재대(4)가 이격 설치된다. 또한 한 쌍의 탑재대(4)를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바(5)의 양단부가 각각 마주보는 한 쌍의 지주(1)의 일측면에 위치되고, 각 수평바(5)의 단부에는 도 2에서와 같이 내부에 풀리(7)가 수용된 브래킷(6)이 설치된다. 또한 와이어(8)의 일단부가 각 지주(1)의 상부에 연결되고 도 2에서와 같이 브래킷(6)의 풀리(7)를 경유하여 타단부가 도시안된 실린더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가 와이어(8)를 당기거나 느슨하게 함으로써 탑재대(4)가 승강된다. 일측 지주(1)에는 제어장치(9)가 구비된다.
상기 록킹장치는 이와 같은 구조의 4주식 리프트의 브래킷(6)에 설치되는데, 급강하차단부재(10) 및 탄성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급강하차단부재(10)는 도 2에서와 같이 브래킷(6)에 장착되는데 풀리(7)와 지주(1)의 일측면 사이에 장착되며,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롤러장착부(11), 록킹바(14), 관체(15) 및 한 쌍의 편심세그먼트(12a,12b)가 일체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롤러장착부(11)는 한 쌍의 수용판(11a,11b)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롤러(21)가 장착된다. 이때, 롤러(21)의 축은 풀리(7)의 축과 평행하며, 롤러(21)와 풀리(7)는 와이어(8)를 중심으로 대향 배치된다. 그리고 록킹바(14)는 상기 한 쌍의 수용판(11a,11b)의 기단부가 한 지점으로 수렴하여 롤러(21)의 축과 수직하게 연장되어, 한 쌍의 수용판(11a,11b)과 록킹바(14)가 대략 Y자 형상을 이룬다. 한편, 관체(15)는 한 쌍의 수용판(11a,11b)을 수직하게 관통하며 내부에 회동축(15a)이 회동가능하게 끼워진다. 이에 따라, 회동축(15a)을 중심으로 롤러장착부(11)와 록킹바(14)가 대향 배치된다.
그리고 한편, 한 쌍의 편심세그먼트(12a,12b)는 각 수용판(11a,11b)의 기단부에서 관체(15)에서 편심되게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도 3a와 같이 각 수용판(11a,11b)의 기단부가 한 지점으로 수렴되는 일측과 달리 도 3b와 같이 타측은 직선형으로 연장되며 이 연장된 부분이 편심세그먼트(12a,12b)를 형성한다.
이때, 편심세그먼트(12a,12b)는 롤러장착부(11)와 록킹바(14) 사이 및 록킹바(14)쪽으로 편심 돌출되며, 수용판(11a,11b) 선단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편심세그먼트(12a,12b)간의 간격은 지주(1)의 걸림홈(3)의 좌우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편심세그먼트(12a,12b)가 걸림홈(3)에 삽입되지 않고 지주(1)의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편심세그먼트(12a,12b)의 돌출된 면 즉, 지주(1)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가압면에는 톱니(13)가 형성되어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록킹장치의 급강하차단부재(10)를 탄성가압하여 록킹바(14)가 지주(1)의 걸림홈(3)에 삽입되도록 해주는 것이 상기 탄성체(20)이다. 이와 같은 탄성체(20)는 롤러장착부(11)를 와이어(8)쪽으로 탄성가압하는 것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2와 같이 급강하차단부재(10)의 관체(15)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으로 일단은 지주(1)에 탄성압축되게 걸려지고 타단은 롤러장착부(11)에 걸려진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롤러장착부(11)를 지주(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주식 리프트용 안전 록킹장치의 작동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도 5에서와 같이 와이어(8)가 이완 또는 끊어질 때 탄성체(20)에 의해 롤러장착부(11)가 회동축(15a)을 중심으로 지주(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록킹바(14)가 지주(1)의 걸림홈(3) 상측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편심세그먼트(12a,12b)가 지주(1)의 일측면에 편심가압된다. 이에 따라, 탑재대(4)가 급강하되는 것이 차단된다. 다만, 탑재대(4)에 무게가 무거운 차량이 탑재되거나 또는 일측 지주(1)의 와이어(8)만 끊어진 경우 하중이 일측으로 집중됨에 따라 편심세그먼트(12a,12b)가 지주(1)의 일측면에서 천천히 슬립된다. 이에 따라, 탑재대(4)가 천천히 하강됨에 따라 도 6에서와 같이 걸림홈(3)에 삽입된 록킹바(14)가 걸림홈(3)의 하단벽(3a)에 걸려지게 되어 탑재대(4)가 정지된다. 따라서 편심에만 의존할 경우 하중의 집중으로 인해 발생되는 슬립문제가 해결되고, 록킹바(14)가 걸림홈(3) 하단벽(3a)에 걸려지는 것에만 의존할 경우 탑재대(4)가 급강하되는 중에 록킹바(14)가 걸림홈(3) 하단벽(3a)에 충돌되어 파손되는 문제가 해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2)

  1. 일측면에 복수개의 걸림홈(3)이 상하로 이격 형성된 4개의 지주(1): 상기 지주(1)들의 내측에 이격 설치되어 대상물이 올려지는 한 쌍의 탑재대(4); 상기 탑재대(4)를 서로 연결하며 양단부가 각각 상기 지주(1)의 일측면에 위치되는 한 쌍의 수평바(5); 상기 각 수평바(5)의 단부에 구비되며 그 내부에 풀리(7)가 수용된 브래킷(6); 및 상기 각 지주(1)의 상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브래킷(6)의 풀리(7)를 경유하여 타단부가 실린더에 연결된 와이어(8);를 포함하는 4주식 리프트에서,
    상기 브래킷(6)에 설치되되 지주(1)의 일측면과 풀리(7) 사이에 설치되어 와이어(8)의 이완 또는 끊어짐에 따른 탑재대(4)의 급강하를 방지하는 안전 록킹장치로서,
    선단에 상기 와이어(8)를 중심으로 풀리(7)와 대향배치도록 롤러(21)가 장착되고 기단이 회동축(15a)에 의해 브래킷(6)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롤러장착부(11)와, 상기 회동축(15a)을 중심으로 대향되게 일체로 연장되며 지주(1)의 걸림홈(3)에 삽입되도록 회동되는 록킹바(14)와, 상기 회동축(15a)에서 편심되도록 롤러장착부(11)의 기단에서 돌출되며 상기 록킹바(14)의 회동에 따라 지주(1)의 일측면에 편심가압되는 편심세그먼트(12a,12b)를 포함하는 급강하차단부재(10); 및
    상기 롤러(21)가 와이어(8)를 풀리(7)쪽으로 가압하도록 롤러장착부(11)를 탄성가압하는 탄성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8)가 이완되거나 끊어지면 상기 롤러장착부(11)가 탄성체(20)의 가압에 의해 회동축(15a)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록킹바(14)가 지주(1)의 걸림홈(3)에 삽입되기만 하고 걸림홈(3) 하단벽(3a)에 걸려지기 전에 편심세그먼트(12a,12b)가 지주(1)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걸림홈(3)에 삽입된 록킹바(14)의 하단이 걸림홈(3)의 하단벽(3a)에 급강하하여 충돌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주식 리프트용 안전 록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강하차단부재(10)의 롤러장착부(11)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수용판(11a,11b)으로 이루어지고, 이 한 쌍의 수용판(11a,11b)을 일체로 관통하며 내부에 상기 회동축(15a)이 삽입되는 관체(15)가 더 구비되며, 상기 편심세그먼트(12a,12b)는 상기 관체(15) 둘레부에서 편심되게 일체로 돌출되되 상기 각 수용판(11a,11b)의 기단부가 확장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주식 리프트용 안전 록킹장치.
KR1020150026685A 2015-02-25 2015-02-25 4주식 리프트용 안전 록킹장치 KR201601041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685A KR20160104178A (ko) 2015-02-25 2015-02-25 4주식 리프트용 안전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685A KR20160104178A (ko) 2015-02-25 2015-02-25 4주식 리프트용 안전 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178A true KR20160104178A (ko) 2016-09-05

Family

ID=56938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685A KR20160104178A (ko) 2015-02-25 2015-02-25 4주식 리프트용 안전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41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552A (ko) * 2019-07-12 2021-01-20 이진현 안전 기능이 향상된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KR102361590B1 (ko) * 2021-08-25 2022-02-14 대일리프트 주식회사 밸런스기능이 강화된 대형리프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136Y1 (ko) 1999-09-16 2000-04-15 정선래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136Y1 (ko) 1999-09-16 2000-04-15 정선래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552A (ko) * 2019-07-12 2021-01-20 이진현 안전 기능이 향상된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KR102361590B1 (ko) * 2021-08-25 2022-02-14 대일리프트 주식회사 밸런스기능이 강화된 대형리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6671B1 (ko) 보수용 승강체 부착 입출장치
KR20160104178A (ko) 4주식 리프트용 안전 록킹장치
KR200445916Y1 (ko) 압착사고 방지기가 설치된 고소작업대
JP4556136B2 (ja) 転落防止具及びその使用方法、並びに転落防止柵及びその使用方法
CN111075208A (zh) 一种用于房屋建筑施工的安全升降装置
CN109592608B (zh) 一种载货台
KR20200051195A (ko) 사다리용 안전벨트 버클
CN210029925U (zh) 一种升降防坠机构及堆垛机
JP2014159331A (ja) 吊持装置、及び吊持補助具
US182380A (en) Improvement in portable elevators
KR101593499B1 (ko) 안전멈춤장치를 구비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
KR200472214Y1 (ko) 고소작업대의 안전 난간
DE102012005079B4 (de) Vorrichtung zur Absturzsicherung, insbesondere von auf erhöhten Strukturen befindlichen Personen
CN106869478B (zh) 一种可调定位及防坠一体式装置
KR102340759B1 (ko) 작업용 리프트의 추락을 방지하는 제동장치
CN220747581U (zh) 一种施工安全防护装置
JPH0530879Y2 (ko)
CN215555702U (zh) 一种柱状物运输用支架
CN217518115U (zh) 一种防腐喷涂施工的提升吊篮
CN213623080U (zh) 一种服务区装修用物料提升装置
CN218816199U (zh) 一种堆垛机用防坠落爬梯
KR101150314B1 (ko) 타워크레인용 승강 도르래
KR101081119B1 (ko) 타워리프트 안전장치
CN206000148U (zh) 一种方便移动的门式脚手架
CN107298358B (zh) 防坠安全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