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136Y1 -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77136Y1 KR200177136Y1 KR2019990019958U KR19990019958U KR200177136Y1 KR 200177136 Y1 KR200177136 Y1 KR 200177136Y1 KR 2019990019958 U KR2019990019958 U KR 2019990019958U KR 19990019958 U KR19990019958 U KR 19990019958U KR 200177136 Y1 KR200177136 Y1 KR 20017713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er
- cable
- support plate
- lift
- cylind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66F7/04—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4주식 리프트의 받침판부에서 케이블의 점유 공간을 최소화하여 받침판부 중앙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에 관한 것인바, 그 구성은 4주식 리프트에 있어서, 실린더는 제 1 받침판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 선단측에는 각각 다수개의 수평롤러가 동축으로 체결된 롤러군이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 하단측 제 1 받침판부 모서리에는 각각 다수개의 수평롤러가 동축으로 체결된 롤러군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케이블은 각각 해당 수직롤러를 통해 받침판부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롤러군중 적어도 하나의 수평롤러를 통해 피스톤 로드 선단의 연결구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4주식 리프트의 받침판부에 내장된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와 포스트의 상부에 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유압 실린더의 작동력에 의해 받침판부의 승강운동을 유발하는 케이블이 받침판부에서 점유하게 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받침판부 중앙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하부 정비를 위하여 사용되는 종래의 4주식 리프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포스트(1a,1b,1c,1d), 받침판부(2a,2b), 동조축(3a,3b), 실린더(4), 케이블(5a,5b,5c,5d), 수직롤러(6a,6b,6c,6d), 수평롤러(7a,7b) 및 제어수단(8)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포스트(1a,1b,1c,1d)는 하부가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된 수직부재로서 상부에는 케이블(5a,5b,5c,5d)의 일단부가 고정되며,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걸림홈(9)이 형성된다.
상기 포스트(1a,1b,1c,1d)의 내측에는 리프트 대상물이 올려지는 복수의 받침판부(2a,2b)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받침판부(2a,2b)는 포스트(1a,1b,1c,1d)를 따라 수직으로 승강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받침판부(2a,2b)의 각 단부에는 받침판부를 서로 연결하는 동조축(3a,3b)이 설치되며, 동조축은 받침판부(2a,2b)의 승강운동시 양받침판부의 높이가 상호 동조되도록 함과 아울러, 그 내부는 상기 케이블과 전선 등이 통과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동조축(3a,3b)의 각 단부에는 수직롤러(6a,6b,6c,6d)와 안전장치(10)가 수용된 브라켓트(11a,11b,11c,11d)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트(11a,11b,11c,11d)에 수용된 수직롤러(6a,6b,6c,6d)를 통해 포스트의 상부로부터 연장된 케이블(5a,5b,5c,5d)이 받침판부(2a,2b)로 유입되어 실린더(4)의 피스톤 로드(4a)에 연결되고, 상기 안전장치(10)(도 4 및 도 5 참조)는 스프링(10a), 피스톤(10b) 등을 채용하여 받침판부 상승 및 하강시 포스트의 일측면 형성된 걸림홈(9)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한 것으로, 케이블 파손 등 작업자가 예상치 못한 사고 발생시 받침판부의 급격한 추락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안전장치(10)는 받침판부의 승강운동에 연동하여 피스톤(10b)이 왕복운동하게 되며, 상기 피스톤(10b)에 연결된 작동체(10c)가 브라켓트(11a)에 고정된 힌지축(10d)를 중심으로 회전한 다음 스프링(10a)에 의해 복원되어 걸림홈(9)에 체결된다.
상기 실린더(4)는 실린더와 연결된 제어수단(8)에 의해 유압 또는 공압으로작동하고 통상 일측 받침판부(2a)에 내장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4a)의 단부에는 포스트의 상부로부터 연장된 케이블(5a,5b,5c,5d)의 단부가 연결되어 피스톤 로드의 수축 또는 신장에 따라 받침판부(2a,2b)의 상승 또는 하강운동을 유발하게 된다.
상기 케이블(5a,5b,5c,5d)은 높은 인장강도를 가진 강선으로서, 각각의 포스트(1a,1b,1c,1d) 상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포스트를 따라 수직하방으로 연장되어 동조축(3a,3b)의 브라켓트(11a,11b,11c,11d) 내부에 설치된 수직롤러(6a,6b,6c,6d)를 통해 받침판부(2a,2b)로 유입되고, 일측 받침판부(2a)의 내부 소정위치에 설치된 복층 수평롤러(7a,7b)를 통해 실린더(4)의 피스톤 로드(4a)에 각 단부가 연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일측 받침판부(2a)에 설치되는 수평롤러(7a,7b)는 실린더(4) 하단 측에 2개, 피스톤 로드(4a) 선단측에 4개가 동축으로 설치되며, 각각의 포스트로부터 연장된 케이블(5a,5b,5c,5d)의 경로를 변환시킴과 아울러 원활한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 종래의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는, 제 1 포스트(1a)로부터 연장된 제 1 케이블(5a)은 제 1 수직롤러(6a)를 통해 제 1 수평롤러(17a)를 지나 피스톤 로드(4a)에 연결되고, 제 2 포스트(1b)로부터 연장된 제 2 케이블(5b)은 제 2 수직롤러(6b)를 통해 제 2 수평롤러(27a)를 지나 피스톤 로드(4a)에 연결되며, 제 3 포스트(1c)로부터 연장된 제 3 케이블(5c)은 제 3 수직롤러(6c)를 통해 제 3′수평롤러(37b) 및 제 3 수평롤러(37a)를 지나 피스톤 로드(4a)에 연결되고, 제 4 포스트(1d)로부터 연장된 제 4 케이블(5d)은 제 4 수직롤러(6d)를 통해 제 4′수평롤러(47b) 및 제 4 수평롤러(47a)를 지나 피스톤 로드(4a)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실린더(4)의 피스톤 로드(4a)가 수축될 경우, 각 케이블(5a,5b,5c,5d)은 제 1 내지 제 4 수평롤러(17a,27a,37a,47a)로부터 피스톤 로드(4a)쪽으로 당겨짐에 따라 받침판부(2a,2b)는 포스트(1a,1b,1c,1d)를 따라 수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실린더(4)의 피스톤 로드(4a)가 신장될 경우, 각 케이블(5a,5b,5c,5d)은 피스톤 로드(4a)로부터 제 1 내지 제 4 수평롤러(17a,27a,37a,47a)쪽으로 느슨해짐에 따라 받침판부(2a,2b)는 포스트(1a,1b,1c,1d)를 따라 수직으로 하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는 케이블의 경로전환을 위해 설치되는 4개의 수평롤러와 2개의 수평롤러가 피스톤 로드 선단측과 실린더 하단측에 각각 동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원활한 작동과 구조 안정성을 고려하여 실린더를 받침판부의 내부 중앙에 설치할 수 밖에 없으며, 수평롤러 지름에 해당하는 면적이 케이블에 의해 점유되어 받침판부의 중앙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받침판부로부터 차체를 일시적으로 리프팅시킬 필요가 있는 휠의 교체작업 등을 고려하여 소형 시저스 리프트와 같은 보조 리프트를 받침판부에 내장시키려 할 경우, 전술한 케이블의 넓은 점유면적에 의해 설치공간이 제한되기 때문에, 보조 리프트의 작동/설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받침판부의 측면까지 절곡하게 되어 받침판부의 구조 강도가 저하되고, 중앙에 위치된 실린더 및 케이블과의 간섭발생으로 보조 리프트가 원활하게작동되지 않으며 정비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안전장치가 케이블과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장치의 작동이 케이블의 파손과 동시에 즉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받침판부의 급격한 추락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받침판부에서 케이블의 점유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롤러가 배치된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과 연결된 실린더를 받침판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내장하여 설치할 수 있는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보조 리프트 설치/작동시 케이블 및 피스톤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블의 파손과 동시에 즉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설치된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각각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걸림홈이 형성된 제 1 내지 제 4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리프트 대상물이 올려지는 제 1 및 제 2 받침판부와; 상기 받침판부를 서로 연결하는 동조축과; 상기 동조축의 각 단부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 안전장치와 수직롤러가 각각 수용된 브라켓트와; 상기 받침판부에 내장되어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어 실린더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각각의 포스트의 상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된 제 1 내지 제 4 케이블과; 상기 받침판부에 내장되어 케이블의 경로를 변환시키는 다수개의 수평롤러로 구성된 4주식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제 1 받침판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 선단측에는 각각 다수개의 수평롤러가 동축으로 체결된 롤러군이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 하단측 제 1 받침판부 모서리에는 각각 다수개의 수평롤러가 동축으로 체결된 롤러군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케이블은 각각 해당 수직롤러를 통해 받침판부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롤러군중 적어도 하나의 수평롤러를 통해 피스톤 로드 선단의 연결구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4주식 리프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4주식 리프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4주식 리프트의 안전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에서 케이블과 피스톤 로드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측부단면도이며,
도 6c는 도 6a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는 개략적으로, 제 1 내지 제 4 포스트(1a,1b,1c,1d), 제 1 및 제 2 받침판부(2a,2b), 동조축(3a,3b), 실린더(4), 케이블(5a,5b,5c,5d), 내부에 제 1 내지 제 4 수직롤러(6a,6b,6c,6d)와 안전장치(10,12)가 수용된 브라켓트(11a,11b,11c,11d), 제어수단(8), 다수개의 수평롤러로 이루어진 롤러군(13) 및 연결구(14)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포스트(1a,1b,1c,1d)는 하부가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된수직부재로서 상부에는 해당 케이블(5a,5b,5c,5d)의 일단부가 고정되며,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걸림홈(9)이 형성된다.
상기 각 포스트(1a,1b,1c,1d)의 내측에는 리프트 대상물이 올려지는 받침판부(2a,2b)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받침판부(2a,2b)는 포스트를 따라 수직으로 승강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받침판부(2a,2b)의 각 단부에는 받침판부를 서로 연결하는 동조축(3a,3b)이 설치되며, 동조축(3a,3b)은 받침판부의 승강운동시 양받침판부의 높이가 상호 동조되도록 함과 아울러, 그 내부는 케이블과 전선 등이 통과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동조축(3a,3b)의 각 단부에는 수직롤러(6a,6b,6c,6d)와 안전장치(10,12)가 수용된 브라켓트(11a,11b,11c,11d)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트(11a,11b,11c,11d)에 수용된 수직롤러(6a,6b,6c,6d)를 통해 포스트(1a,1b,1c,1d)의 상부로부터 연장된 케이블(5a,5b,5c,5d)이 받침판부(2a,2b)로 유입되어 실린더(4)의 피스톤 로드(4a)에 연결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는 전술한 종래의 안전장치(10)에 부가하여, 케이블(5a)과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롤러부(12a)와 상기 걸림홈(9)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걸림부(12b)가 각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트(11a)에 힌지결합된 작동구(12c)와, 상기 작동구(12c)와 브라켓트(11a)에 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상기 작동구(12c)의 롤러부(12a)를 케이블(5a)측으로 바이어스시키는 인장 스프링(12d)으로 구성된다.
리프트의 정상작동시 상기 작동구(12c)는 스프링(12d)의 장력으로 인해 롤러부(12a)가 케이블(5a) 측으로 바이어스되어 수직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롤러부(12a)는 받침판부의 승하강과 관계없이 항상 케이블(5a)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파손으로 케이블(5a)의 장력이 떨어질 경우, 상기 작동구(12c)는 힌지축(12e)을 중심으로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걸림부(12b)가 포스트(1a)의 걸림홈(9)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의 추락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실린더(4)는 제 1 받침판부(2a)의 일측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실린더(4)와 연결된 제어수단(8)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유압으로 작동된다.
상기 실린더(4)의 피스톤 로드(4a) 선단측에는 각각 다수개의 수평롤러(13)가 동축으로 체결된 롤러군이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4) 하단측에는 1개의 수평롤러(13)가 설치된다. 또한, 제 2 받침판부(2b)의 양 가장자리 모서리에 각각 1개의 수평롤러(13)가 설치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케이블(5a,5b,5c,5d)은 높은 인장강도를 가진 강선으로서, 각각 해당 수직롤러(6a,6b,6c,6d)를 통해 받침판부(2a,2b)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롤러군중 적어도 하나의 수평롤러(13)를 통해 경로변환을 거쳐 피스톤 로드(4a) 선단의 연결구(14)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구(14)는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4a)과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삽입되는 고정구(14b)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4a)은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서, 일측면 중앙에는 피스톤 로드(4a)의 선단이 삽입되는 관통구(14c)가 형성되고 타측면은 개방된다. 상기 고정구(14b)는 하우징(14a)의 개방면을 밀폐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진 테이퍼부(14d)가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4a)의 선단이 삽입되어 노출되는 관통공(14e)이 중앙에 형성되고, 케이블 지름에 해당하는 폭을 가진 4개의 케이블 삽입홈(14f)이 등각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14)에 체결되는 케이블(5a,5b,5c,5d)은 그 단부의 직경이 상기 케이블 삽입홈(14f)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하우징(14a)의 관통구(14c)에 피스톤 로드(4a)가 삽입되며, 고정구(14b)의 해당 케이블 삽입홈(14f)에는 케이블(5a,5b,5c,5d)이 각각 걸리게 된다. 상기 케이블이 걸린 상태로 상기 고정구(14b)가 하우징(14a)에 삽입되어지되, 고정구(14b)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4e)을 통해 피스톤 로드(4a) 단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노출된 피스톤 로드(14b) 단부에 너트 또는 공지의 고정수단으로 조여줌으로서 상기 고정구(14b)는 하우징(14a)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케이블(5a,5b,5c,5d) 단부의 직경은 상기 케이블 삽입홈(14f)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리프트 작동으로 인해 케이블에 장력이 가해져도 케이블 삽입홈(14f)으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고 견고한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받침판부(2a)의 일측 가장자리에 실린더(4)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실린더(4)의 피스톤 로드(4a) 선단측에 1개 또는 2개의 수평롤러가 동축으로 체결된 제 1, 제 2 및 제 3 롤러군(13a,13b,13c)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즉, 제 1 롤러군(13a)은 1개, 제 2 롤러군(중간 롤러군)(13b) 및 제 3 롤러군(외측 롤러군)(13c)은 2개의 수평롤러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4) 하단측 제 1 받침판부(2a) 모서리에는 1개의 수평롤러(13d)가 배치되며, 제 2 받침판부(2b)의 일측 가장자리 양 모서리에 각각 1개의 수평롤러(13e,13f)가 배치된다.
제 1 포스트로부터 연장된 제 1 케이블(5a)은 제 1 수직롤러(6a)를 통해 중간 롤러군(13b)의 제 1 수평롤러(113b)를 지나 상기 연결구(14)를 통해 피스톤 로드(4a)에 연결되고, 제 2 포스트로부터 연장된 제 2 케이블(5b)은 제 2 수직롤러(6b)를 통해 외측 롤러군(13c)의 제 1 수평롤러(113c)를 지나 상기 연결구(14)를 통해 피스톤 로드(4a)에 연결된다.
제 3 포스트로부터 연장된 제 3 케이블(5c)은 제 3 수직롤러(6c)를 통해 제 1 받침판부(2a)의 실린더 하단측의 수평롤러(13d), 내측 롤러(13a) 및 중간 롤러군(13b)의 제 2 수평롤러(213b)를 지나 상기 연결구(14)를 통해 피스톤 로드(4a)에 연결되고, 제 4 포스트로부터 연장된 제 4 케이블(5d)은 제 4 수직롤러(6d)를 통해 제 2 받침판부(2b)의 하단측 수평롤러(13f), 상단측 수평롤러(13e) 및 외측 롤러군(13c)의 제 2 수평롤러(213c)를 지나 상기 연결구(14)를 통해 피스톤 로드(14)에 연결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받침판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실린더(4)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실린더(4)의 피스톤 로드(4a) 선단측에 각각 1개 내지 3개의 수평롤러가 동축으로 체결된 제 1, 제 2 및 제 3 롤러군(13a,13b,13c)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즉, 제 1 롤러군(13a)은 2개, 제 2 롤러군(중간 롤러군)(13b)은 3개 그리고 제 3 롤러군(외측 롤러군)(13c)은 1개의 수평롤러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4) 하단측 제 1 받침판부(2a) 모서리에는 2개의 수평롤러가 동축으로 체결된 제 4 롤러군(13d)이 배치되며, 상기 제 4 롤러군에 인접되게 1개의 유동 수평롤러(13e)가 배치된다.
제 1 포스트로부터 연장된 제 1 케이블(5a)은 제 1 수직롤러(6a)를 통해 중간 롤러군(13b)의 제 2 수평롤러(213b)를 지나 상기 연결구(14)를 통해 피스톤 로드(4a)에 연결되고, 제 2 포스트로부터 연장된 제 2 케이블(5b)은 제 2 수직롤러(6b)를 통해 제 3 롤러군(외측 롤러군)(13c)의 수평롤러를 지나 상기 연결구(14)를 통해 피스톤 로드(4a)에 연결된다.
제 3 포스트로부터 연장된 제 3 케이블(5c)은 제 3 수직롤러(6c)를 통해 제 1 받침판부(2a)의 제 4 롤러군(13d)의 제 2 수평롤러(213d), 제 1 롤러군(13a)의 제 2 수평롤러(213a) 및 중간 롤러군(13b)의 제 3 수평롤러(313b)를 지나 상기 연결구(14)를 통해 피스톤 로드(4a)에 연결되고, 제 4 포스트로부터 연장된 제 4 케이블(5d)은 제 4 수직롤러(6d)를 통해 제 4 롤러군(13d)의 제 1 수평롤러(113d),유동 수평롤러(13e), 제 1 롤러군(13a)의 제 1 수평롤러(113a) 및 중간 롤러군(13b)의 제 1 수평롤러(113b)를 지나 상기 연결구(14)를 통해 피스톤 로드(4a)에 연결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받침판부(2a)의 일측 가장자리에 실린더(4)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실린더(4)의 피스톤 로드(4a) 선단측에 각각 3개 또는 4개의 수평롤러가 동축으로 체결된 제 1 및 제 2 롤러군(13a,13b)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즉, 제 1 롤러군(13a)은 3개, 제 2 롤러군(외측 롤러군)(13b)은 4개의 수평롤러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4) 하단측 제 1 받침판부(2a) 모서리에는 2개의 수평롤러가 동축으로 체결된 제 3 롤러군(13d)이 배치되며, 상기 제 3 롤러군(13d)에 인접되게 1개의 유동 수평롤러(13e)가 배치된다.
제 1 포스트로부터 연장된 제 1 케이블(5a)은 제 1 수직롤러(6a)를 통해 제 2 롤러군(13b)의 제 3 수평롤러(313b)를 지나 상기 연결구(14)를 통해 피스톤 로드(4a)에 연결되고, 제 2 포스트로부터 연장된 제 2 케이블(5b)은 제 2 수직롤러(6b)를 통해 제 1 롤러군(13a)의 제 1 수평롤러(113a) 및 제 2 롤러군(13b)의 제 1 수평롤러(113b)를 지나 상기 연결구(14)를 통해 피스톤 로드(4a)에 연결된다.
제 3 포스트로부터 연장된 제 3 케이블(5c)은 제 3 수직롤러(6c)를 통해 제 1 받침판부(2a)의 제 3 롤러군(13d)의 제 2 수평롤러(213d), 제 1 롤러군(13a)의제 3 수평롤러(313a) 및 제 2 롤러군(13b)의 제 4 수평롤러(413b)를 지나 상기 연결구(14)를 통해 피스톤 로드(4a)에 연결되고, 제 4 포스트로부터 연장된 제 4 케이블(5d)은 제 4 수직롤러(6d)를 통해 제 3 롤러군(13d)의 제 1 수평롤러(113d), 유동 수평롤러(13e), 제 1 롤러군(13a)의 제 2 수평롤러(213a) 및 제 2 롤러군(13b)의 제 2 수평롤러(213b)를 지나 상기 연결구(14)를 통해 피스톤 로드(4a)에 연결된다.
전술한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서, 각각의 수평롤러는 케이블간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실린더(4)의 피스톤 로드(4a)가 수축될 경우, 각 케이블(5a,5b,5c,5d)은 중간 롤러군(13b)과 외측 롤러군(13c)중 하나의 수평롤러로부터 피스톤 로드(4a)쪽으로 당겨짐에 따라 받침판부(2a,2b)는 포스트를 따라 수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실린더(4)의 피스톤 로드(4a)가 신장될 경우, 각 케이블(5a,5b,5c,5d)은 피스톤 로드(4a)로부터 상기 롤러군(13b,13c)쪽으로 느슨해짐에 따라 받침판부(2a,2b)는 포스트를 따라 수직으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는 모든 수평롤러가 제 1 받침판부에 집중되어 설치된 것인 바, 수평롤러 및 받침판부의 제작 또는 정비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받침판부에서 실린더 및 케이블의 점유공간은 받침판부 일측 가장자리로 집중되며, 특히, 케이블이 중간 롤러군과 외측 롤러군 사이의 좁은 공간으로부터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로 연장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케이블이 점유하게 되는 공간이 적어서 받침판부 내부 중앙에 보조 리프트(도 3 참조)(20)를 여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4)는 제 1 포스트(미도시) 내부에 내장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4)의 피스톤 로드(4a) 선단에는 3개의 지지롤러(15)가 설치된다. 상기 제 1 포스트의 수직롤러(6a)는 3개가 병렬로 체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각각 상기 지지롤러(15)에 대응한다.
제 1 받침판부(2a)의 일측 양모서리에는 각각 제 1 수평롤러(16a) 및 제 4 수평롤러(16d)가 배치되며, 제 2 받침판부(2b)의 일측 양모서리에는 각각 제 2 수평롤러(16b) 및 제 3 수평롤러(16c)가 배치된다.
제 2 포스트로부터 연장된 제 2 케이블(5b)은 제 2 수직롤러(6b)를 통해 해당 제 1 수직롤러(216a) 및 지지롤러(215)를 지나 제 1 포스트에 연결되며, 제 3 포스트로부터 연장된 제 3 케이블(5c)은 제 3 수직롤러(6c)를 통해 제 2 받침판부(2b)의 제 3 수평롤러(16c) 및 제 2 수평롤러(16b)를 거쳐 해당 제 1 수직롤러(316a) 및 지지롤러(315)를 지나 제 1 포스트에 연결되고, 제 4 포스트로부터 연장된 제 4 케이블(5d)은 제 4 수직롤러(6d)를 통해 제 1 받침판부(2a)의 제 4 수평롤러(16d) 및 제 1 수평롤러(16a)를 거쳐 해당 제 1 수직롤러(116a) 및지지롤러(115)를 지나 제 1 포스트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포스트에서 각 케이블의 단부는 피스톤 로드(4a)가 수축했을 때 지지롤러가 놓여지는 위치보다 낮으면 족하나, 실린더(4) 상단부와 근접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실린더(4)의 피스톤 로드(4a)가 신장될 경우, 각 케이블(5b,5c,5d)은 제 1 수직롤러(6a) 쪽으로 일제히 당겨짐에 따라 받침판부(2a,2b)는 포스트를 따라 수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실린더(4)의 피스톤 로드(4a)가 수축될 경우, 각 케이블은 제 1 수직롤러(6a)로부터 느슨해짐에 따라 받침판부(2a,2b)는 포스트를 따라 수직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의 제 5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4)는 제 1 포스트(미도시) 내부에 내장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4)의 피스톤 로드(4a) 선단에는 톱니바퀴로 이루어진 지지롤러(15)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포스트의 수직롤러(6a)는 3개가 병렬로 체결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지지롤러(15)의 톱니에는 제 1 포스트의 소정 위치, 바람직하게는 실린더(4) 상단부에 인접된 위치에 일단이 고정된 체인(17)이 접촉하게 된다.
제 1 받침판부(2a)의 일측 양모서리에는 각각 제 1 수평롤러(16a) 및 제 4 수평롤러(16d)가 배치되며, 제 2 받침판부(2b)의 일측 양모서리에는 각각 제 2 수평롤러(16b) 및 제 3 수평롤러(16c)가 배치된다.
제 2 포스트로부터 연장된 제 2 케이블(5b)은 제 2 수직롤러(6b)를 통해 해당 제 1 수직롤러(216a)를 지나고, 제 3 포스트로부터 연장된 제 3 케이블(5c)은 제 3 수직롤러(6c)를 통해 제 2 받침판부(26b)의 제 3 수평롤러(16c) 및 제 2 수평롤러(16b)를 거쳐 해당 제 1 수직롤러(316a)를 지나며, 제 4 포스트로부터 연장된 제 4 케이블(5d)은 제 4 수직롤러(6d)를 통해 제 1 받침판부(2a)의 제 4 수평롤러(16d) 및 제 1 수평롤러(16a)를 거쳐 해당 제 1 수직롤러(116a)를 지나게 된다. 상기 제 1 수직롤러(6a)를 각각 통과한 제 2 내지 제 4 케이블(5b,5c,5d)은 상기 연결구(14)를 통해 일체화되어 상기 체인(17)의 타단과 연결된다.
상기 제 5 실시예는 제 4 실시예와 유사하게 작동하나, 톱니바퀴로 이루어진 지지롤러와 이에 결합된 체인이 피스톤 로드의 신장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리프트의 승강운동으로 전달하게 된다.
제 4 및 제 5 실시예는 실린더가 받침판부에 설치되지 않고 포스트에 설치되기 때문에 롤러 및 케이블의 설치구조가 단순하며, 받침판부의 중앙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보조 리프트(도 3 참조)(20)를 설치할 수 있다.
전술한 보조 리프트(20)는 소형의 X자형 리프트로서, 상부에 받침대(20a)가 고정된 2쌍의 레그(20b)가 받침판부(2a,2b)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미도시)을 따라 피스톤(20c)의 작동력에 의해 레그 하부 간격이 좁혀짐으로써 상기 받침대(20a)가 상승하게 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 리프트(20)는 받침판부(2a,2b)의 상면에 형성된개구부(20d)를 통해 승강운동하게 되고, 보조 리프트(20)에 인접되어 바람직하게는 받침판부(2a,2b) 측면에 설치된 제어수단(20e)의해 승강운동이 제어된다.
본 고안에 따른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사상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과 실시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는 실린더가 받침판부 일측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케이블의 진행경로가 받침판부의 외곽 가장자리로 진행되도록 다수개의 수평롤러로 이루어진 롤러군을 배치함으로써, 받침판부 내부 공간에 소형 시저스 리프트와 같은 보조 리프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받침판부를 측부까지 절개하지 않고 상부만 절개하기 때문에 받침판부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외관미가 우수하며, 보조 리프트 설치/작동시 케이블 및 피스톤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정비가 용이하고, 케이블의 파손과 동시에 안전장치가 즉각적으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받침판부의 추락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단순한 구조의 연결구를 통하여 케이블을 집중시켜 일체로 피스톤 로드 선단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Claims (8)
- 각각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걸림홈이 형성된 제 1 내지 제 4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리프트 대상물이 올려지는 제 1 및 제 2 받침판부와; 상기 받침판부를 서로 연결하는 동조축과; 상기 동조축의 각 단부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 안전장치와 수직롤러가 각각 수용된 브라켓트와; 상기 받침판부에 내장되어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어 실린더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각각의 포스트의 상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된 제 1 내지 제 4 케이블과; 상기 받침판부에 내장되어 케이블의 경로를 변환시키는 다수개의 수평롤러로 구성된 4주식 리프트에 있어서,상기 실린더는 제 1 받침판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 선단측에는 각각 다수개의 수평롤러가 동축으로 체결된 롤러군이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 하단측 제 1 받침판부 모서리에는 각각 다수개의 수평롤러가 동축으로 체결된 롤러군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케이블은 각각 해당 수직롤러를 통해 받침판부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롤러군중 적어도 하나의 수평롤러를 통해 피스톤 로드 선단의 연결구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케이블은 각각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 선단측에 설치된 롤러군중 가장 외측에 설치된 외측 롤러군 및/또는 중간 롤러군중 하나의 수평롤러를 통해 피스톤 로드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받침판부의 일측 가장자리 양 모서리에 상기 케이블중 하나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는 케이블과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롤러부와 상기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걸림부가 각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트에 힌지결합된 작동구와; 상기 작동구와 브라켓트에 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상기 작동구의 롤러부를 케이블측으로 바이어스시키는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피스톤 로드의 선단이 삽입되는 관통구가 일측면 중앙에 형성되고 타측면은 개방된 원통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면을 밀폐할 수 있는 테이퍼부가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의 선단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이 끼워지는 4개의 케이블 삽입홈이 등각 방사상으로 형성된 고정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부의 내부 중앙에는, 상부에 받침대가 고정된 2쌍의 X자형 레그가 받침판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을 따라 피스톤의 작동력에 의해 상기 레그 하부 간격이 좁혀짐으로써 상기 받침대가 상승하게 되는 보조 리프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
- 각각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걸림홈이 형성된 제 1 내지 제 4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리프트 대상물이 올려지는 제 1 및 제 2 받침판부와; 상기 받침판부를 서로 연결하는 동조축과; 상기 동조축의 각 단부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 안전장치와 수직롤러가 각각 수용된 브라켓트와; 상기 제 1 포스트에 내장되어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어 실린더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 2 내지 제 3 포스트의 상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각각 제 1 포스트에 연결된 제 2 내지 제 4 케이블과; 상기 받침판부에 내장되어 케이블의 경로를 변환시키는 다수개의 수평롤러로 구성된 4주식 리프트에 있어서,상기 제 1 포스트의 해당 브라켓트 내부에는 병렬로 배치된 다수개의 수직롤러가 수용되고,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 선단에는 다수개의 지지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받침판부의 양 선단측에 상기 케이블중 하나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내지 제 4 케이블은 각각 해당 포스트의 수직롤러를 통해 받침판부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수평롤러중 적어도 하나를 거쳐 상기 제 1포스트의 수직롤러 및 지지롤러에 의해 제 1 포스트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는 톱니바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롤러에 접촉하는 케이블의 일부가 체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주식 케이블의 연결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19958U KR200177136Y1 (ko) | 1999-09-16 | 1999-09-16 |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19958U KR200177136Y1 (ko) | 1999-09-16 | 1999-09-16 |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77136Y1 true KR200177136Y1 (ko) | 2000-04-15 |
Family
ID=19589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19958U KR200177136Y1 (ko) | 1999-09-16 | 1999-09-16 |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77136Y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04178A (ko) | 2015-02-25 | 2016-09-05 | 주식회사 파워렉스코리아 | 4주식 리프트용 안전 록킹장치 |
CN108383038A (zh) * | 2018-01-30 | 2018-08-10 | 安徽传质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可节约占地空间的汽车维修用升降装置 |
CN109160461A (zh) * | 2018-10-30 | 2019-01-08 |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 一种电力抢修塔导线提升装置 |
CN109909947A (zh) * | 2019-03-19 | 2019-06-21 | 张家口宣钢机电工程有限公司 | 一种四立柱油压机辅助装置 |
KR20200076142A (ko) * | 2018-12-19 | 2020-06-29 | 주식회사 수산씨에스엠 | 고소 작업대 승강장치 |
KR20210007552A (ko) * | 2019-07-12 | 2021-01-20 | 이진현 | 안전 기능이 향상된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
KR20240000030U (ko) | 2022-06-29 | 2024-01-05 | 주식회사 파워렉스코리아 | 차량 정비용 리프트에 적용되는 수동 락킹 장치 |
-
1999
- 1999-09-16 KR KR2019990019958U patent/KR20017713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04178A (ko) | 2015-02-25 | 2016-09-05 | 주식회사 파워렉스코리아 | 4주식 리프트용 안전 록킹장치 |
CN108383038A (zh) * | 2018-01-30 | 2018-08-10 | 安徽传质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可节约占地空间的汽车维修用升降装置 |
CN109160461A (zh) * | 2018-10-30 | 2019-01-08 |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 一种电力抢修塔导线提升装置 |
CN109160461B (zh) * | 2018-10-30 | 2023-08-29 |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 一种电力抢修塔导线提升装置 |
KR20200076142A (ko) * | 2018-12-19 | 2020-06-29 | 주식회사 수산씨에스엠 | 고소 작업대 승강장치 |
KR102204933B1 (ko) * | 2018-12-19 | 2021-01-19 | 주식회사 수산씨에스엠 | 고소 작업대 승강장치 |
CN109909947A (zh) * | 2019-03-19 | 2019-06-21 | 张家口宣钢机电工程有限公司 | 一种四立柱油压机辅助装置 |
CN109909947B (zh) * | 2019-03-19 | 2024-03-22 | 张家口宣钢机电工程有限公司 | 一种四立柱油压机辅助装置 |
KR20210007552A (ko) * | 2019-07-12 | 2021-01-20 | 이진현 | 안전 기능이 향상된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
KR102206873B1 (ko) | 2019-07-12 | 2021-01-25 | 이진현 | 안전 기능이 향상된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
KR20240000030U (ko) | 2022-06-29 | 2024-01-05 | 주식회사 파워렉스코리아 | 차량 정비용 리프트에 적용되는 수동 락킹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700811B1 (de) | Aufzuganlage | |
KR200177136Y1 (ko) |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 | |
EP1224142B1 (de) | Seilaufzug | |
EP0846645A1 (de) | Modular aufgebauter Aufzug | |
CN105905843A (zh) | 升降运送车的升降装置及升降运送车 | |
AT501098A1 (de) | Lasthebevorrichtung | |
US5431247A (en) | Lifting apparatus | |
WO1997040289A1 (de) | Kanal für energieführungsketten | |
DE20102052U1 (de) | Einschienen-Teleskopträger | |
AT9838U1 (de) | Liftsystem und aufzug ohne maschinenraum | |
EP0023405B1 (en) | Load-lifting structure and hidden lifting chain assembly for lift truck mast | |
US6199707B1 (en) | Telescopic boom | |
JPH04226298A (ja) | 車両のための昇降台 | |
JP2006206242A (ja) | 作業車の伸縮ブーム | |
JP4041618B2 (ja) | テレスコープ式アクチュエータ | |
DE19756725A1 (de) | Längenverstellbare Säulenanordnung mit einer Einrichtung zur Bewegungssynchronisation | |
EP1543744B1 (de) | Hubvorrichtung für Betten | |
KR20040095111A (ko) | 고소작업차의 신축식 다단붐의 붐 연동구조 | |
JPH06278968A (ja) | 昇降機の移動ケーブル安定装置 | |
KR102708077B1 (ko) | 와이어의 장력 유지가 용이한 크레인 붐의 인입 와이어 고정장치 | |
EP1512662B1 (de) | Dämpfungsanordnung für das Hubgerüst eines Flurförderzeugs | |
JP3833675B2 (ja) | 荷受台昇降装置における荷受台の最上昇位置決め装置 | |
KR101470354B1 (ko) |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 | |
WO1993023642A1 (de) | Kettengeführtes parksystem | |
JPH08127494A (ja) | 同時伸縮ブームのワイヤ伸縮機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72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