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971B1 -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 - Google Patents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971B1
KR102525971B1 KR1020210024795A KR20210024795A KR102525971B1 KR 102525971 B1 KR102525971 B1 KR 102525971B1 KR 1020210024795 A KR1020210024795 A KR 1020210024795A KR 20210024795 A KR20210024795 A KR 20210024795A KR 102525971 B1 KR102525971 B1 KR 102525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
reach
tilting
actuator
fork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1275A (ko
Inventor
강동연
이태희
Original Assignee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4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971B1/ko
Publication of KR20220121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 B66F9/082Masts; Guides; Chains inclin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 B66F9/10Masts; Guides; Chains mov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relative to tru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게차의 본체에 마련되는 레일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리치부재; 리치부재를 전후방으로 진퇴시키도록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는 리치 액츄에이터; 리치부재에 결합되고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마스트; 일단부가 마스트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지게차의 본체에 지지되어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는 틸팅 액츄에이터; 및 리치 액츄에이터와 틸팅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리치부재의 위치 및 마스트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MAST TILTING DEVICE OF REACH TYPE FORKLIFT TRUCK}
본 발명은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트를 틸팅시킴으로써 지게차의 전고를 낮출 수 있고 마스트의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는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화물을 적재하는 장치와 그 장치를 승강시키는 마스트로 구성된 작업기가 설치되는 트럭을 말하며, 이것은 여러 가지 형태의 자재를 옮기기 위해 지게차 본체와 작업장치로 구성된다.
지게차 본체는 카운터웨이트와 주요 이동장치의 역할을 하고, 작업장치는 화물을 적재하는 장치와 그 장치를 승강시키는 마스트로 나뉘어져 있으며, 마스트는 차체의 앞쪽에 수직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프레임구조로 되어 있고, 상술한 작업기는 두 개의 포크를 구비하며 상기 마스트를 따라 상하로 승강한다.
또한, 지게차는 적절한 하중 밸런스를 유지하는 방식에 따라 카운터 밸런스 형((Counter Balance Type)과 리치형(Reach Type)으로 분류된다.
상술한 카운터 밸런스형 지게차는 포크 및 마스트를 차체전방에 장착하고 차체후방에는 차체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카운터밸런스를 장착한 것으로 지게차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고, 전륜구동, 후륜조향방식이 일반적이다.
상술한 리치형 지게차는 차체전방으로 튀어 나온 아우트리거(outrigger)에 의해 차체의 안정을 유지하고, 그 아우트리거 안을 포크가 전후방으로 움직이면서 하역작업을 하도록 되고, 랙 창고의 하역작업에 주로 사용되며, 동력원은 축전지이며 후륜구동 및 후륜조향방식이 일반적이다.
한편, 높은 위치에 있는 화물의 하역 작업(고양고 리프팅 작업)을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마스트가 길게 연장 형성되어야 하고, 이러한 마스트를 고양고 마스트라고 한다.
그러나 고양고 마스트를 장착한 지게차는 마스트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공장이나 창고의 출입구 높이 제한으로 인해 실내외 이동에 대한 제약이 많다. 예컨대, 고양고 마스트를 장착한 지게차가 입구를 통과하지 못할 경우 마스트를 탈거하고 본체를 통과시킨 후 마스트를 재조립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마스트의 재조립 공정은 사람의 힘만으로는 불가능하고 고중량을 취급하는 크레인 설비가 필요하므로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고 오랜 조립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창고 내부로 진입한 고양고 지게차는 창고 외부로 쉽게 나갈 수 없으므로 공장이나 창고의 출입구 높이에 맞게 고양고 지게차를 선택해야 하며 선택의 폭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고양고 리프팅 시 마스트의 상단이 높아짐에 따라 흔들림이 발생하여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고, 한계 하역 하중이 낮아질 수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401816호(2014. 05. 23)
본 실시 예는 마스트를 탈거하지 않고 전고를 낮춤으로써 고객이 마스트 양고 선택 시 출입구 높이에 대한 제약사항이 줄어드는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마스트를 탈거하지 않고 전고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출입구 통과 시 마스트를 탈부착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본 실시 예는 고양고 리프팅 시 마스트의 흔들림을 보완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높은 높이에서 마스트 상부 감쇠시간을 줄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지게차의 본체에 마련되는 레일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리치부재; 상기 리치부재를 전후방으로 진퇴시키도록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는 리치 액츄에이터; 상기 리치부재에 결합되고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마스트; 일단부가 상기 마스트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게차의 본체에 지지되어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는 틸팅 액츄에이터; 및 상기 리치 액츄에이터와 상기 틸팅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리치부재의 위치 및 상기 마스트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리치부재는 상기 레일프레임과 나란하게 마련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고 단부에 상기 마스트와 힌지 결합되는 힌지고정부가 마련되는 수직프레임를 포함하는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리치부재는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마스트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결속부재를 더 포함하는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마스트 또는 상기 리치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마스트의 각도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마스트의 각도에 기반하여 상기 틸팅 액츄에이터를 신축 작동시켜 상기 마스트의 각도를 보정하는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가 상기 마스트의 틸팅방향 진동(Oscillation)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틸팅방향 진동에 역방향 움직임을 제공하도록 상기 틸팅 액츄에이터를 신축 작동시켜 능동 보상하는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틸팅 액츄에이터는 일단부가 상기 마스트의 중단부 또는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지게차의 본체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는 마스트를 탈거하지 않고 전고를 낮춤으로써 고객이 마스트 양고 선택 시 출입구 높이 및 장비 선택에 대한 제약사항이 줄어든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는 마스트를 탈거하지 않고 전고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출입구 통과 시 마스트를 탈부착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는 고양고 리프팅 시 마스트의 흔들림을 보완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높은 높이에서 마스트 상부 감쇠시간을 줄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의 리치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의 리치부재를 전진시키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4는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의 마스트를 틸팅시키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5는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의 하역 시 마스트의 위치를 보정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의 리치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의 리치부재를 전진시키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이고, 도 4는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의 마스트를 틸팅시키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이고, 도 5는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의 하역 시 마스트의 위치를 보정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100)는 지게차의 본체(10)에 마련되는 레일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리치부재(110)와, 리치부재(110)를 전후방으로 진퇴시키도록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는 리치 액츄에이터(120)와, 리치부재(110)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마스트(130)와, 일단부가 마스트(13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지게차의 본체(10)에 결합되어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는 틸팅 액츄에이터(140)와, 리치 액츄에이터(120)와 틸팅 액츄에이터(140)의 작동을 제어하여 마스트(130)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지게차의 본체(10)는 하단부에 전방으로 레일이 형성되는 레일프레임(11)이 마련된다.
레일프레임(11)은 본체(10)의 하단부에 마련되고 한 쌍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 때, 레일프레임(11)은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레일프레임(11)은 각각 리치부재(11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레일(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리치부재(110)는 레일프레임(11)을 따라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며, 마스트(130)를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리치부재(110)는 수평프레임(111)과 수직프레임(112)으로 형성되고, 수평프레임(111)과 수직프레임(112)은 'ㄱ'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수평프레임(111)과 수직프레임(112)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도 2 참조)
수평프레임(111)은 레일프레임(11)과 나란하게 마련되고 레일(미도시) 내에서 활주 가능한 복수 개의 휠(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수평프레임(111)은 일측에 리치 액츄에이터(120)가 결합되어 리치 액츄에이터(120)에 의해 전후방으로 진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수직프레임(112)은 수평프레임(111)과 수직하게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측에 마스트(13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수직프레임(112)은 상측 단부에 마스트(130)와 힌지 결합되는 힌지고정부(112a)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스트(130)는 틸팅 시 힌지고정부(112a)를 기준으로 본체(10) 측으로 회전하여 전고를 낮출 수 있게 마련된다.
리치부재(110)는 하단부에 마련되어 마스트(130)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결속부재(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속부재(113)는 수직프레임(112)과 마스트(130)의 하단부를 동시에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와 결합하여 마스트(130)의 하단부를 리치부재(110)에 고정시키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결속부재(113)는 지게차의 전고를 낮추는 틸팅 작업 시 분리 해제될 수 있고, 이로써 마스트(130)의 하단부가 리치부재(110)에서 분리되어 회전될 수 있다. 반면, 결속부재(113)는 평상시에는 리치부재(110)와 마스트(130)의 하단부를 결속시키도록 수직프레임(112)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리치 액츄에이터(120)는 리치부재(110)를 전후방으로 진퇴시키도록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며,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다.
리치 액츄에이터(120)는 일단부가 본체(10)의 하단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리치부재(110)의 수평프레임(111)에 결합되어 리치부재(110)를 전후방으로 진퇴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마스트(130)는 리치부재(110)와 나란하게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포크(20)가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포크(20)는 피이송물을 하역하기 위해 마스트(130)를 따라 승강하는 통상적인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마스트(130)는 하단부가 결속부재(113)에 의해 리치부재(110)에 결속 가능하게 마련되고, 중단부 또는 중하단부가 힌지 고정되어 힌지고정부(112a)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마스트(130)의 중단부 또는 중상단부가 틸팅 액츄에이터(140)와 결합되어 틸팅 액츄에이터(140)의 신축에 의해 기울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마스트(130)의 길이는 고양고 작업을 위해 본체(10)보다 높은 위치까지 더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마스트(130)는 포크(20)가 상하로 승강하기 위한 리프트 레일(131)을 구비할 수 있다.
틸팅 액츄에이터(140)는 일단부가 마스트(13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본체(10)에 지지되어 신축 가능하게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틸팅 액츄에이터(140)의 일단부에는 마스트(130)의 중단부 또는 상단부와 힌지 결합되는 제1 결합부(142)가 마련될 수 있고, 타단부에는 본체(10)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2 결합부(141)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틸팅 액츄에이터(140)는 수축함으로써 마스트(130)의 상단부를 본체(10) 측으로 기울임으로써 지게차의 전고를 낮출 수 있다. 또한, 틸팅 액츄에이터(140)는 수축함으로써 마스트(130)의 상단부의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고, 마스트(130)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틸팅 액츄에이터(140)는 예컨대 유압 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고,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어 마스트(130)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이와 동일하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센서부(160)는 마스트(130)에 마련되어 마스트(130)의 각도를 측정하여 해당 정보를 제어부(150)로 송출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센서부(160)는 고양고 리프트에 고중량 화물을 하역 시 마스트(130)의 상단부가 하중에 의해 흔들리거나 변형되고 마스트(130)의 각도가 변형되는 정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50)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센서부(160)는 마스트의 틸팅방향 진동(Oscillation)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60)는 마스트(130)의 중단부에 마련되는 앵글센서로 마련되어 마스트(130)의 각도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센서부(160)의 설치 위치나 센서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마스트(130)의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면 이와 동일하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어부(150)는 리치 액츄에이터(120)와 틸팅 액츄에이터(140)의 신장 및 수축 작동을 각각 제어함으로써 리치부재(110)의 위치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리치 액츄에이터(120)와 틸팅 액츄에이터(140)를 동시에 신장시킴으로써 리치부재(110)를 전진 시키고, 리치 액츄에이터(120)와 틸팅 액츄에이터(140)를 동시에 수축시킴으로써 리치부재(110)를 후퇴 시킬 수 있다.(도 3 참조)
또한, 제어부(150)는 리치 액츄에이터(120)와 틸팅 액츄에이터(140)의 신장 및 수축 작동을 각각 제어함으로써 마스트(130)의 각도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지게차의 전고를 낮추기 위해 마스트(130)의 틸팅모드 시 리치 액츄에이터(120)를 신장시켜 리치부재(110)를 전진시키되 틸팅 액츄에이터(140)를 수축시켜 마스트(130)를 경사지게 회전시킬 수 있다. 반면, 제어부(150)는 마스트(130)의 틸팅모드 해제 시 리치 액츄에이터(120)를 수축시켜 리치부재(110)를 후퇴시키고 틸팅 액츄에이터(140)를 신장시켜 마스트(130)를 원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도 4 참조)
또한, 제어부(150)는 센서부(160)에서 측정되는 마스트(130)의 각도에 기반하여 틸팅 액츄에이터(140)를 신축 작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양고 리프팅 시 고중량 화물의 하중에 의해 마스트(130)가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마스트(130)의 각도 변경을 감지하고 틸팅 액츄에이터(140)를 수축시킴으로써 마스트(130)가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보정할 수 있다.(도 5 참조)
제어부(150)는 센서부(160)가 마스트의 틸팅방향 진동(Oscillation)을 감지한 경우 틸팅방향 진동에 역방향 움직임을 제공하도록 틸팅 액츄에이터(140)를 신축 작동시켜 능동 보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의한 제어부(150)는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100)는 마스트(130)의 전고를 낮춤으로써 종래의 고양고 지게차가 출입하지 못했던 출입구를 통과할 수 있고, 마스트(130)를 탈부착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은 마스트(130)를 탈부착 하기 위한 별도의 장비(고중량 크레인)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므로, 출입구 높이와 장비 선택에 대한 제약사항이 줄어드는 장점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100)는 고양고 리프팅 시 마스트(130)의 흔들림을 보완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높은 높이에서 마스트 상부 감쇠시간을 줄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지게차 본체 11: 레일프레임
20: 포크 100: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
110: 리치부재 111: 수평프레임
112: 수직프레임 112: 힌지고정부
113: 결속부재 120: 리치 액츄에이터
130: 마스트 140: 틸팅 액츄에이터
150: 제어부 160:센서부

Claims (6)

  1. 지게차의 본체에 마련되는 레일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리치부재;
    상기 리치부재를 전후방으로 진퇴시키도록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는 리치 액츄에이터;
    상기 리치부재에 결합되고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마스트;
    일단부가 상기 마스트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게차의 본체에 지지되어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는 틸팅 액츄에이터; 및
    상기 리치 액츄에이터와 상기 틸팅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리치부재의 위치 및 상기 마스트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치부재는
    상기 레일프레임과 나란하게 마련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고 상단부에 상기 마스트와 힌지 결합되는 힌지고정부가 마련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마스트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결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마스트의 각도를 조절하는 틸팅 작업 시 분리 해제되고, 평상시에는 상기 리치부재와 마스트의 하단부를 결속시키도록 수직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마스트 또는 상기 리치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마스트의 각도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마스트의 각도에 기반하여 상기 틸팅 액츄에이터를 신축 작동시켜 상기 마스트의 각도를 보정하는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 상기 마스트의 틸팅방향 진동(Oscillation)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틸팅방향 진동에 역방향 움직임을 제공하도록 상기 틸팅 액츄에이터를 신축 작동시켜 능동 보상하는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액츄에이터는
    일단부가 상기 마스트의 중단부 또는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지게차의 본체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
KR1020210024795A 2021-02-24 2021-02-24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 KR102525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795A KR102525971B1 (ko) 2021-02-24 2021-02-24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795A KR102525971B1 (ko) 2021-02-24 2021-02-24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275A KR20220121275A (ko) 2022-09-01
KR102525971B1 true KR102525971B1 (ko) 2023-04-28

Family

ID=83281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795A KR102525971B1 (ko) 2021-02-24 2021-02-24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9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21487A1 (de) * 2003-05-13 2004-12-02 Still Wagner Gmbh & Co. Kg Schubmaststapler
JP2009263137A (ja) * 2008-04-24 2009-11-12 Linde Material Handling Gmbh 構内運搬車両における振動減衰のための方法
KR102182120B1 (ko) * 2020-01-15 2020-11-23 이시형 마스트 각도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지게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2311B2 (ja) * 1989-12-20 1998-04-22 三陽機器株式会社 フォークリフト着脱作業機
JP2866300B2 (ja) * 1994-03-07 1999-03-08 生物系特定産業技術研究推進機構 運搬作業車
KR101401816B1 (ko) 2007-11-29 2014-05-29 주식회사 두산 리치 타입 지게차의 마스트 흔들림 저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21487A1 (de) * 2003-05-13 2004-12-02 Still Wagner Gmbh & Co. Kg Schubmaststapler
JP2009263137A (ja) * 2008-04-24 2009-11-12 Linde Material Handling Gmbh 構内運搬車両における振動減衰のための方法
KR102182120B1 (ko) * 2020-01-15 2020-11-23 이시형 마스트 각도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지게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275A (ko)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4944A (en) Forklift variable reach mechanism
RU2547024C2 (ru) Рычажный механизм вилочного погрузчика
EP3313773B1 (en) An improved linkage system for a forklift truck
KR102252870B1 (ko) 밸런스 조절이 가능한 농업용 지게차
US9994435B2 (en) Forklift arrangement
CA2260353A1 (en) Lateral jib for vertical mast mobile elevating work platform
KR102525971B1 (ko) 리치형 지게차의 마스트 틸팅장치
KR102299046B1 (ko)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
US20060070816A1 (en) Lift truck with central mast
JP2003500317A (ja) リフトトラック
JP2013136451A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CN210635159U (zh) 利用货架支撑保持平衡的侧向装卸货装置
JP5105174B2 (ja) 物品搬送装置
JPH0524795A (ja) 昇降装置
KR102623226B1 (ko) 무게 중심 이동이 가능한 캐터필러형 접이식 지게차
JP7311236B2 (ja) フォークリフトおよび荷置方法
JP7456266B2 (ja) 自動倉庫
GB2500764A (en) A platform with a levelling function for loading and unloading vehicles
KR102468543B1 (ko) 중소형 화물 이동용 지게차
JP2003146595A (ja) 低揚高型ピックアップリフト
JP2862425B2 (ja) フォークリフトにおけるロードスタビライザの制御装置
JP5857478B2 (ja) 物品収納設備
JP4893966B2 (ja) 自動倉庫
KR20230007821A (ko) 상하차용 램프
JPH0930795A (ja) フォ−クリフトの荷重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