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112B1 - 덤프트럭용 적재함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덤프트럭용 적재함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112B1
KR101205112B1 KR1020120080116A KR20120080116A KR101205112B1 KR 101205112 B1 KR101205112 B1 KR 101205112B1 KR 1020120080116 A KR1020120080116 A KR 1020120080116A KR 20120080116 A KR20120080116 A KR 20120080116A KR 101205112 B1 KR101205112 B1 KR 101205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p truck
control unit
rotation sensor
safety device
resistan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창호
박상훈
Original Assignee
박상훈
송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훈, 송창호 filed Critical 박상훈
Priority to KR1020120080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1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71General 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the loading platform, e.g. hydraulic systems
    • B60P1/4478Safety stops,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60K17/24Arrangements of mountings for shaf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덤프트럭용 적재함 안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덤프트럭 화물의 하화 완료 후 적재함 상승상태 운행을 강제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덤프트럭 화물의 하화 완료 후 적재함 상승상태로의 운행을 강제적으로 제어하는 덤프트럭용 적재함 안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하부차체 양측에 설치되어 적재함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적재함의 하부차체에 설치되며 지면을 향해 설치되어 덤프트럭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이동거리감지센서와, 상기 리미트스위치에 연결되어 적재함의 상승 또는 하강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아 그 신호에 따라 이동거리감지센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이동거리감지센서에 의한 제어부에 미리 입력된 제1설정위치에 다다르면 덤프트럭의 가속을 정지시키는 가속페달모듈과,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이동거리감지센서에 의한 제어부에 미리 입력된 제1설정위치 통과 후 제2설정위치에 다다르면 덤프트럭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사이드브레이크모듈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덤프트럭용 적재함 안전장치{Safety device of loading deck for dump truck}
본 발명은 덤프트럭용 적재함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전자가 덤프트럭의 적재함 상승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고 운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덤프트럭용 적재함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덤프트럭(100)은 상차지에서 적재함(110)에 화물을 적재하고, 하화지로 이동하여 적재함(110)에 적재된 화물을 하화하게 된다.
이때, 덤프트럭(100)의 운전자는 하화지에 도착하여 적재함(110)을 상승 상태로 만들고 하화를 시작하며, 덤프트럭(100)의 운전자는 적재함(110)에 적재된 화물의 하화상태를 확인하면서 화물을 완전히 하화하기 위해 적재함(110)이 상승된 상태로 수차례 전진과 정지 반복하여 하측부가 고정되지 않은 적재함(110)의 뒷문짝이 적재함(110)에 충돌하는 충격을 이용하여 적재함(110)에 남아 있는 잔여 화물을 하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덤프트럭(100)은 잔여 화물의 하화를 위해 적재함(110)이 상승된 상태로 전진 및 정지를 반복하게 된다.
상기의 작업을 수행한 후 적재함(110)의 화물이 완전히 하화되면 운전자는 덤프트럭(100)에서 하차하여 적재함(110)의 상태와 번호판, 안전대, 타이어 등을 점검하고 다시 승차하여 적재함(110)을 하강 상태로 만들고 덤프트럭(100)을 출발시키게 된다.
그러나, 덤프트럭(100)의 운전자는 잦은 하화작업과 반복적인 업무로 인하여 적재함(110)의 상승 상태를 하강 상태로 조작하는 것을 잊는 경우가 비일비재함은 물론 이로 인하여 교통사고를 야기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통상적인 덤프트럭(100) 운송작업중의 적재함(110)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 구조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덤프트럭(100) 적재함(110)의 하부차체(120) 일측 외면에 장착 구성되어 적재함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감지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리미트스위치(130)와, 리미트스위치(130)의 감지 신호를 전송받아 점등되는 경광등(140)과 경고음이 발생되는 부저(150)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부저(150)는 잦은 경고음으로 덤프트럭(100) 운전자의 반응이 둔감해져 운전자가 적재함(110)의 상승상태를 잊고 운행하여, 도 2에서와 같이 덤프트럭(100)의 적재함(110)이 장애물(160)과 충돌하는 등의 예상치 않던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리미트스위치(130)로부터 신호를 받아 점등되는 경광등(140)은 덤프트럭(100) 운전자가 야간 작업시에 눈부심으로 수건 등으로 덮어놓아 경광등(140) 기능의 상실 및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리미트스위치(130)는 덤프트럭(100) 적재함(110)의 하부차체(120) 외측부에 노출 설치되어 덤프트럭(100)이 작업장과 세륜장을 통행할 때 물과 먼지 등으로 오염되어 리미트스위치(130)의 고장이 잦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덤프트럭의 화물 하화 후 적재함의 상승상태 그대로 운행시에 제어부에서 덤프트럭의 가속페달모듈과 사이드브레이크모듈을 강제 제어하여 덤프트럭 적재함의 상승상태 그대로 운행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덤프트럭용 적재함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덤프트럭의 하부프레임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적재함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 상기 덤프트럭의 엔진 동력을 후륜구동부로 전달하는 프로펠러샤프트에 구비되는 저항부, 상기 저항부의 일측에 이격되어 하부프레임에 구비되며, 저항부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센서, 상기 리미트스위치에 연결되어 적재함의 상승 또는 하강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회전센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구비되며, 회전센서에서 검출된 저항부의 회전수에 따른 덤프트럭의 이동 거리에 따라 제어부에 미리 입력된 제1설정위치에 다다르면 덤프트럭의 가속을 정지시키는 가속페달모듈,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구비되며, 회전센서에 검출된 저항부의 회전수에 따른 덤프트럭의 이동 거리가 제어부에 미리 입력된 제1설정위치 이상으로 검출되어 제2설정위치에 다다르면 덤프트럭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사이드브레이크모듈로 이루어지는 덤프트럭용 적재함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덤프트럭용 적재함 안전장치는 덤프트럭 화물의 하화 후 적재함 상승상태 그대로의 운행을 제어부에서 가속페달모듈과 사이드브레이크모듈를 강제 제어하여 덤프트럭의 운행을 제어하고, 덤프트럭의 운전자에게 적재함 상승상태를 인지하게 함으로써, 운전자가 덤프트럭의 적재함 상승상태를 하강상태로 전환하여 운행할 수 있도록 하여 덤프트럭 운전자가 화물의 하화 후 적재함의 하강 상태로 안전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경광등과 부저가 부착된 덤프트럭의 측면도,
도 2는 종래 덤프트럭의 사고시 상태를 알 수 있는 측면도,
도 3은 덤프트럭의 일반적인 하화작업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덤프트럭용 적재함 안전장치가 장착된 덤프트럭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덤프트럭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리미트스위치의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센서 및 저항부가 프로펠러샤프트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센서 및 저항부가 프로펠러샤프트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덤프트럭용 적재함 안전장치는 덤프트럭(10)의 하부프레임(12) 설치되는 리미트스위치(30)와, 덤프트럭(10)의 프로펠러샤프트(52)에 구비되는 저항부(60)와, 저항부(60)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센서(70)와, 회전센서(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와, 제어부(40)에 연결 구비되어 덤프트럭(10)의 가속을 정지시키는 가속페달모듈(80)과, 제어부(40)에 연결 구비되어 덤프트럭(10)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사이드브레이크모듈(90)로 이루어진다.
상기 덤프트럭(10)의 하부프레임(12) 양측에는 각각 설치되어 적재함(20)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리미트스위치(30)는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적재함(20)의 바닥측 하부프레임(12)에 설치하여 적재함(20)이 하강되면서 적재함(20)의 바닥부가 회전레버(32)에 접촉되면 그 회전레버(32)가 후방 하부측으로 회전되면서 리미트스위치(30)에 적재함(20)의 상승 및 하강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된다.
상기 리미트스위치(30)는 덤프트럭(10) 하부프레임(12)의 내측부에 설치 구성하여 덤프트럭(10)이 작업장과 세륜장을 통행할 때 리미트스위치(30)에 물과 먼지 등의 유입이 적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미트스위치(30)를 덤프트럭(10)의 하부프레임(12) 내측부 일측에만 설치 구성하여도 무방하나 양측에 각각 설치 구성하여 파손이나 오작동에 대비하여 2중으로 설치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덤프트럭(10)의 엔진 동력을 후륜구동부(50)로 전달하는 프로펠러샤프트(52)에는 저항부(6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저항부(60)는 반원형태의 띠로 형성되어 프로펠러샤프트(52)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나 어떠한 형태로든 금속성의 재질로 프로펠러샤프트(52)의 일측에 구비되어도 무방한 것이다.
상기 저항부(60)의 일측에서 이격된 하부프레임(12)에는 저항부(60)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센서(7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전센서(70)는 물리적인 접촉 없이 전자계의 힘을 이용하여 물체의 존재여부, 통과, 연속흐름, 적체 등의 감지 및 위치 제어에 이용하는 센서로서 검출 원리에 따라 고주파 발진형, 정전 용량형, 자기형, 광전형, 초음파형 등으로 분류되며, 검출 물체가 가까워지면 전자 유도에 의해 검출 물체에 흐르는 유도 전류에 의해 검출 코일의 임피던스(Impedance)가 변화하는 것으로 회전수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회전센서(70)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저항부(60)의 회전에 따라 저항부가(60) 회전센서(70)에 근접할 시에 변화하는 회전센서(70)의 임피던스 값으로 저항부(60)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센서(70)는 적재함(20)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작동되고, 적재함(20)의 상승 시에는 전원이 온(on), 적재함(20)의 하강 시에는 전원이 오프(off) 되는 것이며, 도 8에와 같이 회전센서(70)는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침입을 방지하도록 저항부(60) 측으로 개방된 보호케이스(72) 내부에 설치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리미트스위치(30) 및 회전센서(70)에 연결되어 적재함(20)의 상승 또는 하강에 대한 신호를 리미트스위치(30)에서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회전센서(70)의 작동을 온(on) 또는 오프(off) 시키는 제어부(4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40)에 연결되어 회전센서(70)에서 검출된 저항부(60)의 회전수에 따른 덤프트럭(10)의 이동 거리에 따라 제어부(40)에 미리 입력된 제1설정위치에 다다르면 덤프트럭(10)의 가속을 정지시키는 가속페달모듈(80)이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40)에 연결되어 회전센서(70)에 검출된 저항부(60)의 회전수에 따른 덤프트럭(10)의 이동 거리가 제어부(40)에 미리 입력된 제1설정위치 이상으로 검출되어 제2설정위치에 다다르면 덤프트럭(10)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사이드브레이크모듈(9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사이드브레이크모듈(90)에는 일측에 덤프트럭(10)이 제2설정위치에 다다를 시에 제어부(4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공기를 유입 또는 차단하는 밸브(92)가 연결 구비되어 사이드브레이크모듈(90)을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조작할 시에도 작동을 하지 않고 제어부(40)의 신호에 따라 사이드브레이크모듈(90)이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제어부(40)로부터 전송받은 강제 제어 신호에 따라 강제 제어된 가속페달모듈(80)과 사이드브레이크모듈(90) 및 밸브(92)의 강제 제어 해제는 덤프트럭(10)의 적재함(20)이 하강 상태가 되면 리미트스위치(30)의 하강신호를 제어부(40)가 받게 되고, 리미트스위치(30)의 하강신호를 받은 제어부(40)는 강제 제어 해제 신호를 가속페달모듈(80)과 사이드브레이크모듈(90) 및 밸브(92)로 전송하여 가속페달모듈(80)과 사이드브레이크모듈(90) 및 밸브(92)의 강제제어를 해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의 제1설정위치 및 제2설정위치는 덤프트럭(10)의 작업장소 및 운반거리에 따라 달라지며, 그 일예로 덤프트럭(10)의 작업장소가 비교적 협소하거나 운반거리가 비교적 짧은 수백미터 내외일 경우에는 제1설정위치를 5~10m, 제2설정위치를 10~20m 정도로 설정하여 비교적 짧은 거리내에서 강제 제어되도록 하여 협소한 작업장소에서도 덤프트럭(10)의 적재함(20)이 완전히 하강된 상태로 덤프트럭(10)이 운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작업장소가 비교적 넓거나 운반거리가 비교적 긴 경우 및 화물을 하역하는 구간이 긴 경우에는 제1설정위치를 10~30m, 제2설정위치를 30~50m 정도로 설정하여 덤프트럭(10)의 적재함(20)에 적재된 화물을 넓은 공간에 하역할 수 있도록 그 거리 내에서 강제 제어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일예로 제시한 제1설정위치 및 제2설정위치는 상술된 바와 같이 덤프트럭의 작업장소 및 운반거리에 적절하게 임의 조절하여 사용하면 되므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 덤프트럭 12 : 하부프레임
20 : 적재함 30 : 리미트스위치
32 : 회전레버 40 : 제어부
50 : 후륜구동부 60 : 저항부
70 : 회전센서 72 : 보조케이스
80 : 가속페달모듈 90 : 사이드브레이크모듈
92 : 밸브

Claims (6)

  1. 덤프트럭(10)의 하부프레임(12)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적재함(20)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30);
    상기 덤프트럭(10)의 엔진 동력을 후륜구동부(50)로 전달하는 프로펠러샤프트(52)에 구비되는 저항부(60);
    상기 저항부(60)의 일측에 이격되어 하부프레임(12)에 구비되며, 저항부(60)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센서(70);
    상기 리미트스위치(30)에 연결되어 적재함(20)의 상승 또는 하강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회전센서(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
    상기 제어부(40)에 연결되어 구비되며, 회전센서(70)에서 검출된 저항부(60)의 회전수에 따른 덤프트럭(10)의 이동 거리에 따라 제어부(40)에 미리 입력된 제1설정위치에 다다르면 덤프트럭(10)의 가속을 정지시키는 가속페달모듈(80);
    상기 제어부(40)에 연결되어 구비되며, 회전센서(70)에 검출된 저항부(60)의 회전수에 따른 덤프트럭(10)의 이동 거리가 제어부(40)에 미리 입력된 제1설정위치 이상으로 검출되어 제2설정위치에 다다르면 덤프트럭(10)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사이드브레이크모듈(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용 적재함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스위치(30)는 적재함(20)의 하부프레임(12)에 설치되어 적재함(20)의 바닥부에 접촉되는 회전레버(32)에 의해 적재함(20)의 상승 및 하강 신호를 전달받아 제어부(40)로 그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용 적재함 안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60)는 반원형태의 띠로 형성되어 프로펠러샤프트(52)의 일측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용 적재함 안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센서(70)는 저항부(60) 측으로 개방된 보호케이스(72)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침입을 방지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용 적재함 안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제1설정위치가 5~10m이며, 제2설정위치는 10~20m로 입력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용 적재함 안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브레이크모듈(90)은 일측에 덤프트럭(10)이 제2설정위치에 다다를 시에 제어부(4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공기를 유입 또는 차단하는 밸브(92)가 연결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용 적재함 안전장치.
KR1020120080116A 2012-07-23 2012-07-23 덤프트럭용 적재함 안전장치 KR101205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116A KR101205112B1 (ko) 2012-07-23 2012-07-23 덤프트럭용 적재함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116A KR101205112B1 (ko) 2012-07-23 2012-07-23 덤프트럭용 적재함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5112B1 true KR101205112B1 (ko) 2012-11-26

Family

ID=47565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116A KR101205112B1 (ko) 2012-07-23 2012-07-23 덤프트럭용 적재함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1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28232A (zh) * 2016-02-29 2017-09-05 湖北三环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用于自卸车安全举升的控制系统
US10106175B1 (en) * 2018-03-28 2018-10-23 DiCAN, Inc. Alert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with extendable service component
KR20220008136A (ko) * 2020-07-13 2022-01-20 서강기업 주식회사 덤프트럭의 안전장치
KR20230127391A (ko) 2022-02-24 2023-09-01 양칠송 차량형 중장비용 안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7105A (ja) 1999-10-01 2001-04-10 Nishimura Jidosha Kk トラックの駆動制御装置
KR101125229B1 (ko) 2011-10-26 2012-03-21 영일기업 (주) 덤프트럭용 적재함 안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7105A (ja) 1999-10-01 2001-04-10 Nishimura Jidosha Kk トラックの駆動制御装置
KR101125229B1 (ko) 2011-10-26 2012-03-21 영일기업 (주) 덤프트럭용 적재함 안전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28232A (zh) * 2016-02-29 2017-09-05 湖北三环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用于自卸车安全举升的控制系统
US10106175B1 (en) * 2018-03-28 2018-10-23 DiCAN, Inc. Alert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with extendable service component
KR20220008136A (ko) * 2020-07-13 2022-01-20 서강기업 주식회사 덤프트럭의 안전장치
KR102377763B1 (ko) * 2020-07-13 2022-03-23 서강기업 주식회사 덤프트럭의 안전장치
KR20230127391A (ko) 2022-02-24 2023-09-01 양칠송 차량형 중장비용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112B1 (ko) 덤프트럭용 적재함 안전장치
US10106210B2 (en) Compact efficient system to quickly raise and slowly lower an air dam
JP5905867B2 (ja) コンテナ積み替えシステム
US5906648A (en) Collision avoidance system for vehicles having elevated apparatus
US7909561B2 (en) Tow truck with underlift control
RU2517141C2 (ru) Способ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я рабочей машины
JP6294335B2 (ja) 可変長緩衝器を有するエレベータ
EP2206664A1 (en) Method for docking of a vehicle, such as a truck, at a loading and unloading platform, and buffer
CN104015263A (zh) 带有安全装置的混凝土搅拌运输车
US10611309B1 (en) Tailgate interlocking occupant step
KR101125229B1 (ko) 덤프트럭용 적재함 안전시스템
AU2010201626A1 (en) Vehicle Control Safety System
US11225195B2 (en) Occupant step with kick sensor
JP5008432B2 (ja) フォークリフト車の安全装置
KR20160041135A (ko) 작업기계의 주행속도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행속도 제어방법
JP3942024B2 (ja) 荷役車両の安全装置
JP7304766B2 (ja) 作業車の安全装置
CN208856857U (zh) 防护结构及托盘车
JP5588846B2 (ja) ダンプ車のベッセル上昇走行防止装置
CN203819171U (zh) 电瓶叉车防撞安全系统装置
JP2003341998A (ja) フォークリフトの制御装置
JP3942023B2 (ja) 荷役車両の安全装置
CN203255945U (zh) 一种电动叉车货叉提升高度安全保护装置
CN203754312U (zh) 用于起重机械的防侧翻保护装置和起重运输车
US11780330B1 (en) Truck load alarm safety system with drive inter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