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512Y1 - 지게차의 전복방지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의 전복방지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512Y1
KR0128512Y1 KR2019940003742U KR19940003742U KR0128512Y1 KR 0128512 Y1 KR0128512 Y1 KR 0128512Y1 KR 2019940003742 U KR2019940003742 U KR 2019940003742U KR 19940003742 U KR19940003742 U KR 19940003742U KR 0128512 Y1 KR0128512 Y1 KR 01285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lift
fork
loading
safety device
til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37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5003U (ko
Inventor
안현수
Original Assignee
김무
주식회사클라크머터리얼핸들링아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 주식회사클라크머터리얼핸들링아시아 filed Critical 김무
Priority to KR20199400037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512Y1/ko
Publication of KR9500250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50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5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51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Position control; Position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 B66F9/082Masts; Guides; Chains inclin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게차의 전복방지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크에 물건을 적재하여 리프팅시킨 상태에서 틸팅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 적재되는 적재물의 무게, 틸팅되는 정도, 적재높이를 각각 감지하도록 지게차의 소정위치에 장착된 센서에 의해 운전부주의로 지게차의 리프팅 및 틸팅작업이 안전작업조건을 벗어나는 경우 장비에는 안전조치를 취하거나 경보음이 울리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작업상황을 인식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으로, 지게차의 포크에 물건을 적재하여 리프팅 또는 틸팅시킨 상태에서 물건의 적재 및 하역작업시 장비의 전복방지를 위한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게차의 마스트(1)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포크(2)의 리프팅되는 높이를 감지하는 위치센서(3)와, 틸팅실린더(4)일측에 형성되어 마스트(2)의 틸팅되는 경사량을 감지하는 각도센서(5)와, 포크(2)일측에 형성되어 적재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센서(6)와, 상기 각 센서(3)(5)(6)에서 감지하는 신호에 따라 지게차의 작업조건을 판단하여 장비에 안전조치를 취하게 하는 콘트롤부(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전복방지 안전장치인 것이다.

Description

지게차의 전복방지 안전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지게차의 안전장치게 설치됨을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안전장치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스트(mast) 2 : 포크(fork)
3 : 위치센서 4 : 틸팅실린더
5 : 각도센서 6 : 로드센서
7 : 콘트롤부 8 : 적재물
본 고안은 지게차의 전복방지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크에 물건을 적재하여 리프팅시킨 상태에서 틸팅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 적재되는 적재물의 무게, 틸팅되는 정도, 적재높이를 각각 감지하도록 지게차의 소정위치에 장착된 센서에 의해 운전부주의로 지게차의 리프팅 및 틸팅작업이 안전작업조건을 벗어나는 경우 장비에는 안전조치를 취하거나 경보음이 울리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작업상황을 인식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근거리에서 물건의 적재 및 하역작업을 하기 위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리프팅실린더에 의해 아웃터 마스트에 대해 리프팅되는 인너마스트에 물건을 적재하는 포크가 형성되고, 상기 마스트 틸팅 실린더에 의해 전방으로 5∼6°, 후방으로 10∼12° 범위내에서 틸팅되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지게차를 이용하여 포크에 물건을 적재한 상태에서 리프팅 또는 틸팅시켜 물건의 적재 및 하역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 운전부주의로 안전작업조건을 벗어나는 작업을 하게 될 때 장비의 무게중심은 차량의 앞부분으로 쏠리게 되므로 장비의 후미쪽으로 설치된 카운테웨이트가 들리거나 포크에 적재된 물건이 낙하되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되며, 앞바퀴를 중심으로 하여 지게차를 전복되려는 모멘트가 작용하며 상기 모멘트량은 포크에 적재되는 물건의 중량 또는 리프팅되는 높이가 높을수록 커지게 되므로 장비의 전복될 위험성은 증가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지게차의 포크에 물건을 적재하여 리프팅 또는 틸팅시켜 가면서 작업을 하게될 때 운전부주의로 안전작업조건을 벗어나는 경우, 장비에 장착된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장비에 안전조치가 가해지거나 경보음을 발생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장비의 작업상태를 파악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된 지게차의 전복방지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지게차의 포크에 물건을 적재하여 리프팅 또는 틸팅시킨 상태에서 물건의 적재 및 하역작업시 장비의 전복방지를 위한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게차의 마스트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포크의 리프팅되는 높이를 감지하는 위치센서와, 틸팅실린더 일측에 형성되어 마스트의 틸팅되는 경사량을 감지하는 각도센서와, 푸크 일측에 형성되어 적재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센서와, 상기 각 센서에서 감지하는 신호에 따라 지게차의 작업조건을 인지하여 장비의 안전조치를 취하게 되는 콘트롤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전복방지 안전장치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지게차의 전복방지 안전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지게차의 안전장치가 실시됨을 나타낸 요부 측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안전장치의 회로도로서, 지게차의 포크에 물건을 적재하여 리프팅 또는 틸팅시킨 상태에서 물건의 적재 및 하역작업시 장비의 전복방지를 위한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게차의 마스트(1)상단 일측에 포크(2)의 리프팅되는 높이를 감지하는 위치센서(3)를 형성하고, 틸팅실린더(4)일측에 마스트(1)의 틸팅되는 경사량을 감지하는 각도센서(5)를 형성하며, 상기 포크(2)일측에 적재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센서(6)를 형성하며, 상기 각 센서(3)(5)(6)에서 감지하는 신호에 따라 지게차의 작업조건을 인지하여 장비에 안전조치를 취하게 되는 콘트롤러(7)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지게차에 전복방지 안전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지게차의 포크(2)에 적재물(8)을 적재하여 리프팅 또는 틸팅시켜 가면서 물건의 적재 및 하역작업을 하는 경우, 상기 적재물(8)의 무게가 중량이거나 리프팅되는 포크(2)의 리프팅된 높이가 최대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장비의 무게중심이 앞바퀴쪽으로 쏠리게 되어 포크(2)에 적재되는 적재물(8)이 낙하되거나, 장비가 전복되는 안전사고 발생위험을 갖게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포크(2)높이를 감지하는 위치센서(3)와, 마스트(1)의 틸팅되는 경사량을 감지하는 각도센서(5)와, 적재물(8)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센서(6)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를 콘트롤부(7)에서 받아들어 장비의 작업조건을 판단하여 해제모드(mode)(안전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안전모두(장비에 안전조치를 취하는 경우), 인칭모드(슬로우 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며, 인칭 및 안전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센서(3)(5)(6)로부터 감지되는 신호에 의해, 장비의 안전도를 계산하여, 계산된 값을 V1이라하면 V1=f(3,5,6)으로 표기되며, 상기 계산된 값이 Vk(장비의 앞바퀴를 중심축으로 하여 전복되려고 발생되는 모멘트 X 안전율)값보다 작게되면, 안전모드를 선택하여 지게차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위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차단하거나 일정크기의 경고음을 올리게 하여 장비에 안전조치를 취하게 되며, 슬로우 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인칭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지게차의 전복방지 안전장치는 지게차의 포크에 물건을 적재하여 리프팅 또는 틸팅시킨 상태에서 물건의 적재 및 하역작업시 장비의 전복방지를 위한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게차의 마스트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포크의 리프팅되는 높이를 감지하는 위치센서와, 틸팅실린더 일측에 형성되는 마스트의 틸팅되는 경사량을 감지하는 각도센서와, 포크일측에 형성되는 적재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센서와, 상기 각 센서에서 감지하는 신호에 따라 지게차의 작업조건을 인지하여 장비의 안전조치를 취하게 되는 콘느롤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전복방지 안전장치인 것으로, 지게차의 포크에 적재물을 적재시켜 리프팅 또는 틸팅시켜 가면서 작업할 때 운전부주의로 안전작업상태를 벗어나는 경우에, 지게차에 장착되는 위치센서, 각도센서, 로드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장비의 작업조건을 판단하여 장비의 구동부위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차단하거나 일정크기의 경보음을 울리도록 하여 운전자가 작업상태를 인식하여 안전사고 발생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지게차의 포크에 물건을 적재하여 리프팅 또는 틸팅시킨 상태에서 물건의 적재 및 하역작업시 장비의 전복방지를 위한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게차의 마스트(1)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포크(2)의 리프팅되는 높이를 감지하는 위치센서(3)와, 틸팅실린더(4)일측에 형성되어 마스크(2)의 틸팅되는 경사량을 감지하는 각도센서(5)와, 포크(2)일측에 형성되어 적재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센서(6)와, 상기 각 센서(3)(5)(6)에서 감지하는 신호에 따라 지게차의 작업조건을 판단하여 장비에 안전조치를 취하게되는 콘트롤부(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전복방지 안전장치.
KR2019940003742U 1994-02-28 1994-02-28 지게차의 전복방지 안전장치 Expired - Lifetime KR01285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3742U KR0128512Y1 (ko) 1994-02-28 1994-02-28 지게차의 전복방지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3742U KR0128512Y1 (ko) 1994-02-28 1994-02-28 지게차의 전복방지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003U KR950025003U (ko) 1995-09-15
KR0128512Y1 true KR0128512Y1 (ko) 1998-12-01

Family

ID=19377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3742U Expired - Lifetime KR0128512Y1 (ko) 1994-02-28 1994-02-28 지게차의 전복방지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51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647B1 (ko) * 2008-12-17 2014-11-05 주식회사 두산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
KR20210157035A (ko) * 2020-06-19 2021-12-28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지게차의 제어 방법
KR20220129267A (ko) * 2021-03-16 2022-09-23 현대제뉴인 주식회사 지게차의 전도 안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55893B (zh) * 2021-12-13 2024-04-09 河南嘉晨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环境感知的工业车辆门架自动控制的系统及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647B1 (ko) * 2008-12-17 2014-11-05 주식회사 두산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
KR20210157035A (ko) * 2020-06-19 2021-12-28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지게차의 제어 방법
KR20220129267A (ko) * 2021-03-16 2022-09-23 현대제뉴인 주식회사 지게차의 전도 안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003U (ko) 199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6947B2 (en) Industrial truck having increased static or quasi-static tipping stability
US7165643B2 (en) Industrial truck having increased static/quasi-static and dynamic tipping stability
US20160214557A1 (en) Anti-rollover device for vehicles
KR20200013544A (ko) 지게차
GB2290149A (en) System for ensuring the stability and safe operation of lift trucks
KR0128512Y1 (ko) 지게차의 전복방지 안전장치
KR102026383B1 (ko) 자세제어 기능을 가지는 지게차
JP2010052877A (ja) 産業車両の転倒防止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産業車両
KR102100070B1 (ko) 노면 요철 감지장치가 구비된 지게차
JP4951311B2 (ja) 車載式クレーンの転倒防止装置
CN118062784A (zh) 一种叉车防倾翻保护装置及系统
JP2001226095A (ja) フォークリフトの制御装置
KR101489018B1 (ko) 지게차 후륜 들림 감지장치
JPH05124543A (ja) トラツク横転防止装置
JP3613555B2 (ja) 荷役車両
JPH05170399A (ja) 産業車両の転倒防止装置
KR102367107B1 (ko) 지게차의 제어 방법
GB2355244A (en) Fork-lift truck auto-balancing system
KR101458647B1 (ko)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
JP3589951B2 (ja) リーチ型フォークリフト
JP3258471B2 (ja) クレーンまたはタワークレーンの過負荷防止装置
JPH0743215Y2 (ja) ホイールローダの過積載警報装置
KR100286950B1 (ko) 크레인 차량의 주행 경고 시스템
JPH04361999A (ja) フォークリフトにおけるサイドシフト装置
JPH0672694A (ja) 作業機械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40228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6042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228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5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1998071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8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080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6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1

Year of fee payment: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