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647B1 -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647B1
KR101458647B1 KR1020080128617A KR20080128617A KR101458647B1 KR 101458647 B1 KR101458647 B1 KR 101458647B1 KR 1020080128617 A KR1020080128617 A KR 1020080128617A KR 20080128617 A KR20080128617 A KR 20080128617A KR 101458647 B1 KR101458647 B1 KR 101458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mast
tilting
doo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0028A (ko
Inventor
김문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1020080128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647B1/ko
Publication of KR20100070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2Trucks; Load vehicles
    • B60W2300/121Fork lift trucks, Cl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파손 방지장치는, 캐빈(1)을 틸팅시키는 캐빈 틸팅실린더(10)로 압유를 공급하거나 그로부터 리턴시키는 컨트롤밸브(11)와, 상기 캐빈(1)을 틸팅시키도록 상기 컨트롤밸브(11)를 통해 상기 캐빈 틸팅실린더(10)를 작동시키는 캐빈 틸팅스위치(12)를 포함하는 지게차에 있어서, 마스트의 경사를 감지하여, 상기 마스트가 캐빈(1)의 틸팅영역을 침입시 마스트 침입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스트 틸트감지수단(13); 상기 캐빈(1)의 도어(4)의 잠금해제를 감지하여, 상기 캐빈(1)의 도어(4)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시 도어 해제신호를 발생시키는 도어 오픈감지수단(14); 및 상기 컨트롤밸브(11), 상기 캐빈 틸팅스위치(12), 상기 마스트 틸트감지수단(13) 및 상기 도어 오픈감지수단(14)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마스트 틸트감지수단(13)과 상기 도어 오픈감지수단(14)으로부터 각각 마스트 침입신호와 도어 해제신호를 모두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캐빈 틸팅스위치(12)로부터 동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컨트롤밸브(11)를 통해 상기 캐빈 틸팅실린더(1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게차, 캐빈, 틸팅, 파손, 방지장치

Description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Anti-breakage device when cabin of forklift truck is tilted}
본 발명은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스트가 후경인 상태 또는 캐빈의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무의식적으로 또는 부주의하게 캐빈을 틸팅시켜 캐빈, 도어, 또는 마스트가 파손 또는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중량체의 하물을 들어올리거나 또는 내릴 수 있게 하는 산업용 차량의 일종으로서, 고중량의 하물을 근거리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해당 하물을 각종 운반차량에 적재 또는 그로부터 하차시키는 데 사용된다.
지게차는 크게 하부에 엔진, 그리고 상부에 캐빈을 포함하는 본체와, 이 본체의 전측에 설치되고 외부마스트와 내부마스트(또는 중간마스트)를 포함하는 마스트조립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마스트조립체는 포크를 갖는 캐리지를 구비하며, 중량물의 이동높이를 고려하여 2단, 3단 등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2단 마스트 지게차는 낮은 높이의 중량물을 이동시킬 때 사용되 고, 3단 마스트 지게차는 물류창고 등의 작업장에서와 같이 비교적 높은 높이로 중량물을 이동시킬 때 사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틸팅식 캐빈을 갖춘 지게차의 캐빈이 지게차의 일측으로 틸트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캐빈이 그 캐빈의 틸팅영역을 침입한 마스트에 부딪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빈(1)은 엔진 정비 등을 위해 일측면으로 틸팅시킬 수 있도록 지게차의 본체(2)의 상부 일측에 힌지(미도시)를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2)의 일측에는 상기 캐빈(1)을 지게차의 일측으로 틸팅시킬 수 있도록 캐빈 틸팅실린더(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캐빈 틸팅실린더는 컨트롤밸브(미도시)를 통해 상기 캐빈(1) 내의 인스트루먼트패널에 마련되어 있는 캐빈 틸팅스위치(미도시)에 의해 작동된다.
그에 따라, 엔진 정비 등이 요구되는 경우, 운전자 또는 작업자는 캐빈 틸팅스위치를 온시켜 캐빈 틸팅실린더를 통해 캐빈(1)을 지게차의 일측으로 틸팅시켜 해당 정비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무의식적으로 또는 부주의하게 마스트(3)(또는 마스트조립체)가 캐빈(1)의 틸팅영역을 침입한 후경상태에서 상기 캐빈(1)을 틸팅시킬 시, 캐빈의 전면부가 상기 마스트(3)의 침입부분에 부딪쳐 파손 또는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무의식적으로 또는 부주의하게 캐빈(1)의 도어(4)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캐빈(1)을 틸팅시킬 시, 도어(4) 가 자체하중에 의해 갑자기 개방되게 됨으로써 상기 도어(4)가 캐빈(1)에 부딪쳐 도어 또는 캐빈의 파손 또는 손상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마스트가 캐빈의 틸팅영역을 침입한 후경상태이면서 캐빈의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된 상태인 경우,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캐빈을 틸팅시키기 위해 캐빈 틸팅스위치를 온시키더라도 캐빈의 틸팅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캐빈을 틸팅시키는 캐빈 틸팅실린더로 압유를 공급하거나 그로부터 리턴시키는 컨트롤밸브와, 상기 캐빈을 틸팅시키도록 상기 컨트롤밸브를 통해 상기 캐빈 틸팅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캐빈 틸팅스위치를 포함하는 지게차에 있어서, 마스트(또는 마스트조립체)의 경사를 감지하여, 상기 마스트가 캐빈의 틸팅영역을 침입시 마스트 침입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스트 틸트감지수단; 상기 캐빈의 도어의 잠금해제를 감지하여, 상기 캐빈의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시 도어 해제신호를 발생시키는 도어 오픈감지수단; 및 상기 컨트롤밸브, 상기 캐빈 틸팅스위치, 상기 마스트 틸트감지수단 및 상기 도어 오픈감지수단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마스트 틸트감지수단과 상기 도어 오픈감지수단으로부터 각각 마스트 침입신호와 도어 해제신호를 모두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캐빈 틸 팅스위치로부터 동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컨트롤밸브를 통해 상기 캐빈 틸팅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캐빈 내의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설치되는 화면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스트 틸트감지수단과 상기 도어 오픈감지수단으로부터 각각 마스트 침입신호와 도어 해제신호를 모두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캐빈 틸팅스위치로부터 동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캐빈은 틸팅 가능한 상태임을 상기 화면표시부를 통해 알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스트 틸트감지수단은 마스트가 캐빈의 틸팅영역으로 침입시 스위치의 가동단자가 마스트 틸팅실린더 또는 상기 마스트 틸팅실린더와 연동하는 마스트의 일부분과 접촉될 수 있도록 스위치의 몸체부를 지게차의 본체의 고정부분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 오픈감지수단은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시 스위치의 가동단자가 도어의 일부분으로부터 접촉 해제될 수 있도록 스위치의 몸체부를 캐빈 바디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캐빈 틸팅시 파손장치를 제공하여, 마스트가 캐빈의 틸팅영역을 침 입한 후경상태이면서 캐빈의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된 상태인 경우,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무의식적으로 또는 부주의하게 캐빈 틸팅스위치를 온시키더라도 캐빈의 틸팅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여 캐빈, 도어, 또는 마스트가 파손 또는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의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블록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에 적용되는 마스트 틸팅실린더와 이 마스트 틸팅실린더의 후경여부를 감지하는 마스트 틸트감지수단의 배치구조를 보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에 적용되는 캐빈의 도어와 이 도어의 잠금상태의 해제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오픈감지수단의 배치구조를 보이는 개략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빈(미도시)을 틸팅시키는 캐빈 틸팅실린더(10)로 압유를 공급하거나 그로부터 리턴시키는 컨트롤밸브(11)와, 상기 캐빈을 틸팅시키도록 상기 컨트롤밸브(11)를 통해 상기 캐빈 틸팅실린더(10)를 작동시키는 캐빈 틸팅스위치(12)를 구비하며, 마스트 틸트감지수단(13), 도어 오픈감지수단(14) 및 제어부(15)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마스트 틸트감지수단(13)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 스트 틸팅실린더(5) 또는 상기 마스트 틸팅실린더와 연동하는 마스트(미도시)의 경사를 감지하여, 상기 마스트가 캐빈(1)의 틸팅영역을 침입시 마스트 침입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도어 오픈감지수단(14)은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빈(1)의 도어(4)의 잠금해제를 감지하여, 상기 캐빈(1)의 도어(4)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시 도어 해제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어부(15)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밸브(11), 상기 캐빈 틸팅스위치(12), 상기 마스트 틸트감지수단(13) 및 상기 도어 오픈감지수단(14)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마스트 틸트감지수단(13)과 상기 도어 오픈감지수단(14)으로부터 각각 마스트 침입신호와 도어 해제신호를 모두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캐빈 틸팅스위치(12)로부터 동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컨트롤밸브(11)를 통해 상기 캐빈 틸팅실린더(10)를 작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본구성에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더 한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방지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캐빈 내의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설치되는 화면표시부(1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마스트 틸트감지수단(13)과 상기 도어 오픈감지수단(14)으로부터 각각 마스트 침입신호와 도어 해제신호를 모두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캐빈 틸팅스위치(12)로부터 동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캐빈(미도시)은 틸팅 가능한 상태임을 상기 화면표시부(16)를 통해 알릴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마스트 틸트감지수단(13)과 상기 도어 오픈감지수단(14)은 각각 공지된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 등과 같은 스위치류, 또는 근접센서 등과 같은 센서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 근접센서 등은 온과 오프 중 어느 하나를 기설정 상태로 하여 다른 하나로 전환될 시 상기 제어부(15)로 해당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감지수단들이 마이크로 스위치(20)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마스트 틸트감지수단(13)에 있어서, 예컨대, 스위치의 몸체부(20a)는 마스트가 캐빈의 틸팅영역으로 침입시 상기 스위치의 가동단자(20b)가 마스트 틸팅실린더, 또는 상기 마스트 틸팅실린더와 연동하는 마스트의 일부분과 접촉될 수 있도록 지게차의 본체의 고정부분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도어 오픈감지수단(14)에 있어서, 예컨대, 스위치의 몸체부(20a)는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시 상기 스위치의 가동단자(20b)가 도어의 일부분으로부터 접촉해제될 수 있도록 캐빈 바디에 부착된다.
그와는 달리, 상기 감지수단들이 근접센서(미도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마스트 틸트감지수단(13)에 있어서, 예컨대, 근접센서는 마스트가 캐빈의 틸팅영역으로 침입시 상기 근접센서의 기설정 피감지부와 대응될 수 있도록 지게차의 본체의 고정부분에 부착되고 상기 피감지부는 마스트 틸팅실린더, 또는 상기 마스트 틸팅실린더와 연동하는 마스트의 일부분에 제공된다. 또한, 상기 도어 오픈감지수단(14)에 있어서, 예컨대, 근접센서는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시 상기 근접센서의 기설정 피감지부와의 대응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캐빈 바디에 부착되고 상기 피감지부는 도어의 대응부분에 부착된다. 상기 피감지부는 돌기부, 오목부 등의 형 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의 작동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스트 틸트감지수단(13)과 도어 오픈감지수단(14)으로부터 각각 마스트 침입신호와 도어 해제신호를 모두 수신한 상태에서 캐빈 틸팅스위치(12)로부터 동작신호가 수신될 경우, 제어부(15)는 캐빈 틸팅실린더(10)로 압유를 공급하는 컨트롤밸브(11)의 해당 스풀의 작동을 막아 상기 캐빈 틸팅실린더(10)에 의한 캐빈(1)의 틸팅을 차단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15)가 마스트 틸트감지수단(13)과 도어 오픈감지수단(14)으로부터 각각 마스트 침입신호와 도어 해제신호를 모두 수신하지 못한 상태에서 캐빈 틸팅스위치(12)로부터 동작신호가 수신될 경우에만, 상기 제어부(15)는 캐빈 틸팅실린더(10)로 압유를 공급하는 컨트롤밸브(11)의 해당 스풀을 작동시켜 상기 캐빈 틸팅실린더(10)에 의한 캐빈(1)의 틸팅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트 틸트감지수단(13)과 도어 오픈감지수단(14)으로부터 각각 마스트 침입신호와 도어 해제신호가 모두 수신되지 않으면 캐빈(미도시) 내의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설치된 화면표시부(16) 상에 현재 캐빈의 틸팅이 가능한 상태임을 알리게 된다. 그에 따라, 운전자 또는 작업자는 상기 화면표시부(16)를 통해 미리 캐빈의 틸팅 가능여부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 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틸팅식 캐빈을 갖춘 지게차의 캐빈이 지게차의 일측으로 틸트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캐빈이 그 캐빈의 틸팅영역을 침입한 마스트에 부딪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에 적용되는 마스트 틸팅실린더와 이 마스트 틸팅실린더의 후경여부를 감지하는 마스트 틸트감지수단의 배치구조를 보이는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에 적용되는 캐빈의 도어와 이 도어의 잠금상태의 해제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오픈감지수단의 배치구조를 보이는 개략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캐빈 3: 마스트
4: 도어 5: 마스트 틸팅실린더
10: 캐빈 틸팅실린더 11: 컨트롤밸브
12: 캐빈 틸팅스위치 13: 마스트 틸트감지수단
14: 도어 오픈감지수단 15: 제어부
16: 화면표시부

Claims (4)

  1. 삭제
  2. 캐빈(1)을 틸팅시키는 캐빈 틸팅실린더(10)로 압유를 공급하거나 그로부터 리턴시키는 컨트롤밸브(11)와, 상기 캐빈(1)을 틸팅시키도록 상기 컨트롤밸브(11)를 통해 상기 캐빈 틸팅실린더(10)를 작동시키는 캐빈 틸팅스위치(12)를 포함하는 지게차에 있어서,
    마스트의 경사를 감지하여, 상기 마스트가 캐빈(1)의 틸팅영역을 침입시 마스트 침입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스트 틸트감지수단(13);
    상기 캐빈(1)의 도어(4)의 잠금해제를 감지하여, 상기 캐빈(1)의 도어(4)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시 도어 해제신호를 발생시키는 도어 오픈감지수단(14);
    상기 컨트롤밸브(11), 상기 캐빈 틸팅스위치(12), 상기 마스트 틸트감지수단(13) 및 상기 도어 오픈감지수단(14)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마스트 틸트감지수단(13)과 상기 도어 오픈감지수단(14)으로부터 각각 마스트 침입신호와 도어 해제신호를 모두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캐빈 틸팅스위치(12)로부터 동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컨트롤밸브(11)를 통해 상기 캐빈 틸팅실린더(1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15); 및
    상기 제어부(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캐빈(1) 내의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설치되는 화면표시부(16);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마스트 틸트감지수단(13)과 상기 도어 오픈감지수단(14)으로부터 각각 마스트 침입신호와 도어 해제신호를 모두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캐빈 틸팅스위치(12)로부터 동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캐빈(1)은 틸팅 가능한 상태임을 상기 화면표시부(16)를 통해 알릴 수 있는 것인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
  3. 캐빈(1)을 틸팅시키는 캐빈 틸팅실린더(10)로 압유를 공급하거나 그로부터 리턴시키는 컨트롤밸브(11)와, 상기 캐빈(1)을 틸팅시키도록 상기 컨트롤밸브(11)를 통해 상기 캐빈 틸팅실린더(10)를 작동시키는 캐빈 틸팅스위치(12)를 포함하는 지게차에 있어서,
    마스트의 경사를 감지하여, 상기 마스트가 캐빈(1)의 틸팅영역을 침입시 마스트 침입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스트 틸트감지수단(13);
    상기 캐빈(1)의 도어(4)의 잠금해제를 감지하여, 상기 캐빈(1)의 도어(4)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시 도어 해제신호를 발생시키는 도어 오픈감지수단(14); 및
    상기 컨트롤밸브(11), 상기 캐빈 틸팅스위치(12), 상기 마스트 틸트감지수단(13) 및 상기 도어 오픈감지수단(14)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마스트 틸트감지수단(13)과 상기 도어 오픈감지수단(14)으로부터 각각 마스트 침입신호와 도어 해제신호를 모두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캐빈 틸팅스위치(12)로부터 동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컨트롤밸브(11)를 통해 상기 캐빈 틸팅실린더(1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15); 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트 틸트감지수단(13)은 마스트가 캐빈(1)의 틸팅영역으로 침입시 스위치의 가동단자(20b)가 마스트 틸팅실린더 또는 상기 마스트 틸팅실린더와 연동하는 마스트의 일부분과 접촉될 수 있도록 스위치의 몸체부(20a)를 지게차의 본체의 고정부분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
  4. 캐빈(1)을 틸팅시키는 캐빈 틸팅실린더(10)로 압유를 공급하거나 그로부터 리턴시키는 컨트롤밸브(11)와, 상기 캐빈(1)을 틸팅시키도록 상기 컨트롤밸브(11)를 통해 상기 캐빈 틸팅실린더(10)를 작동시키는 캐빈 틸팅스위치(12)를 포함하는 지게차에 있어서,
    마스트의 경사를 감지하여, 상기 마스트가 캐빈(1)의 틸팅영역을 침입시 마스트 침입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스트 틸트감지수단(13);
    상기 캐빈(1)의 도어(4)의 잠금해제를 감지하여, 상기 캐빈(1)의 도어(4)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시 도어 해제신호를 발생시키는 도어 오픈감지수단(14); 및
    상기 컨트롤밸브(11), 상기 캐빈 틸팅스위치(12), 상기 마스트 틸트감지수단(13) 및 상기 도어 오픈감지수단(14)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마스트 틸트감지수단(13)과 상기 도어 오픈감지수단(14)으로부터 각각 마스트 침입신호와 도어 해제신호를 모두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캐빈 틸팅스위치(12)로부터 동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컨트롤밸브(11)를 통해 상기 캐빈 틸팅실린더(1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15); 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오픈감지수단(14)은 도어(4)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시 스위치의 가동단자(20b)가 도어의 일부분으로부터 접촉 해제될 수 있도록 스위치의 몸체부(20a)를 캐빈 바디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
KR1020080128617A 2008-12-17 2008-12-17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 KR101458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617A KR101458647B1 (ko) 2008-12-17 2008-12-17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617A KR101458647B1 (ko) 2008-12-17 2008-12-17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028A KR20100070028A (ko) 2010-06-25
KR101458647B1 true KR101458647B1 (ko) 2014-11-05

Family

ID=42367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617A KR101458647B1 (ko) 2008-12-17 2008-12-17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6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523B1 (ko) * 2020-11-19 2022-06-29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마스트와 캐빈의 충돌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지게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4793A (ja) * 1992-10-30 1994-05-2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産業車両
KR0128512Y1 (ko) * 1994-02-28 1998-12-01 김무 지게차의 전복방지 안전장치
KR200156367Y1 (ko) 1997-05-30 1999-10-01 캐빈엠.리어든 지게차의 마스트 경사각 표시장치
KR20020051730A (ko) * 2000-12-23 2002-06-29 이계안 화물차의 캐빈 틸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4793A (ja) * 1992-10-30 1994-05-2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産業車両
KR0128512Y1 (ko) * 1994-02-28 1998-12-01 김무 지게차의 전복방지 안전장치
KR200156367Y1 (ko) 1997-05-30 1999-10-01 캐빈엠.리어든 지게차의 마스트 경사각 표시장치
KR20020051730A (ko) * 2000-12-23 2002-06-29 이계안 화물차의 캐빈 틸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028A (ko) 201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3909B2 (en) Control system of an operator cage with enhanced safety
US8813910B2 (en) Operator cage with enhanced operator safety
KR101458647B1 (ko)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
KR102026383B1 (ko) 자세제어 기능을 가지는 지게차
KR20150114842A (ko) 지게차의 포크 수평유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2574590B1 (en) Forklift truck with controlled mast tilt
KR20180114506A (ko) 지게차용 포크 유닛
KR101735107B1 (ko) 틸팅캐빈의 제어 시스템
KR0128512Y1 (ko) 지게차의 전복방지 안전장치
JP5435603B1 (ja) ピッキングリフトの転落防止装置、および該転落防止装置を備えたピッキングリフト
JP5337474B2 (ja) 車体支持装置の異常検出装置
KR101391471B1 (ko) 지게차의 마스트 경사각 감지장치
JP4794208B2 (ja) 荷役車輛
JP6979040B2 (ja) キャブ可動式作業機械
JPH08233640A (ja) 荷役車両の積載重量計測装置
KR100286950B1 (ko) 크레인 차량의 주행 경고 시스템
JPH04361999A (ja) フォークリフトにおけるサイドシフト装置
JPH0743215Y2 (ja) ホイールローダの過積載警報装置
KR101848809B1 (ko) 지게차용 포크 유닛
JP2023145887A (ja) フォークリフト
JP4232954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パレットロック装置
KR100528007B1 (ko) 윈도우 개방장치
JP2024070454A (ja) ピッキングリフト
JPH0454962Y2 (ko)
JP2003252598A (ja) フォークリ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