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359A -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359A
KR20220003359A KR1020200081065A KR20200081065A KR20220003359A KR 20220003359 A KR20220003359 A KR 20220003359A KR 1020200081065 A KR1020200081065 A KR 1020200081065A KR 20200081065 A KR20200081065 A KR 20200081065A KR 20220003359 A KR20220003359 A KR 20220003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wiring
insulating layer
interconnection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민
김준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1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3359A/ko
Priority to US17/209,871 priority patent/US11973025B2/en
Priority to CN202110587998.XA priority patent/CN113889481A/zh
Publication of KR20220003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3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10B43/35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with cell select transistors, e.g. NAN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4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01L27/1157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26Via connections in a multilevel interconnection structure
    • H01L27/11575
    • H01L27/1158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1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top-view layou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2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10B41/23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 H10B41/27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the channels comprising vertical portions, e.g. U-shaped chann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4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1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top-view layou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2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10B43/23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 H10B43/27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the channels comprising vertical portions, e.g. U-shaped chann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5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core and peripheral circuit reg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주변 회로 구조물; 및 상기 주변 회로 구조물의 상부에 위치하는 셀 어레이 구조물을 포함한다. 상기 주변 회로 구조물은, 기판 상에 위치한 하부 배선; 상기 하부 배선 상에 위치한 스톱핑 절연층; 상기 하부 배선 상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 배선과 콘택된 콘택 비아; 상기 스톱핑 절연층 상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 배선과 콘택되지 않는 플로팅 비아; 및 상기 콘택 비아 상에 위치하고, 상기 스톱핑 절연층 내에 위치한 비아홀을 통해 상기 콘택 비아와 콘택된 상부 배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Three 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부 배선층 사이의 콘택 신뢰성(contact reliability)이 향상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가 요구하는 우수한 성능 및 저렴한 가격을 충족시키기 위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집적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2차원 또는 평면적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경우, 단위 메모리 셀이 점유하는 면적을 줄이기가 어렵기 때문에 집적도를 향상시키기가 어렵다. 이에 따라, 3차원적으로 배열되는 메모리 셀들을 구비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하부 배선층 사이의 콘택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하부 배선층 사이의 신뢰성이 향상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주변 회로 구조물; 및 상기 주변 회로 구조물의 상부에 위치하는 셀 어레이 구조물을 포함한다. 상기 주변 회로 구조물은, 기판 상에 위치한 하부 배선; 상기 하부 배선 상에 위치한 스톱핑 절연층; 상기 하부 배선 상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 배선과 콘택된 콘택 비아; 상기 스톱핑 절연층 상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 배선과 콘택되지 않는 플로팅 비아; 및 상기 콘택 비아 상에 위치하고, 상기 스톱핑 절연층 내에 위치한 비아홀을 통해 상기 콘택 비아와 콘택된 상부 배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주변 회로 구조물; 및 상기 주변 회로 구조물의 상부에 위치하는 셀 어레이 구조물을 포함한다. 상기 주변 회로 구조물은, 기판 상에 위치한 제1 하부 배선;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1 하부 배선과 수평 방향으로 떨어지면서 인접하여 위치한 제2 하부 배선; 상기 제1 하부 배선 및 제2 하부 배선 상에 위치하고 제2 하부 배선을 노출하는 비아홀을 갖는 스톱핑 절연층; 상기 스톱핑 절연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하부 배선과 콘택되지 않는 제1 플로팅 비아; 상기 제2 하부 배선 상에 위치하고 상기 비아홀을 통해 상기 제2 하부 배선과 콘택된 콘택 비아; 및 상기 콘택 비아 상에 위치하고 상기 콘택 비아와 콘택된 상부 배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주변 회로 구조물; 및 상기 주변 회로 구조물의 상부에 위치하는 셀 어레이 구조물을 포함한다. 상기 주변 회로 구조물은, 기판 상에 위치한 제1 하부 배선, 상기 제1 하부 배선과 수평 방향으로 떨어지면서 인접하여 위치한 제2 하부 배선을 포함하는 제1 배선 레벨; 상기 제1 배선 레벨에서 상기 제1 하부 배선 및 제2 하부 배선간을 절연하는 제1 절연층; 상기 제1 하부 배선, 제2 하부 배선 및 제1 절연층 상에 위치하고, 제2 하부 배선을 노출하는 비아홀을 갖는 스톱핑 절연층; 상기 스톱핑 절연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하부 배선과 콘택되지 않는 제1 플로팅 비아; 상기 제2 하부 배선 상에 위치하고 상기 비아홀을 통해 상기 제2 하부 배선과 콘택된 콘택 비아; 상기 콘택 비아 및 제1 플로팅 비아를 절연하는 비아 절연층; 상기 콘택 비아 상에 위치하고 상기 콘택 비아와 콘택된 상부 배선을 포함하는 제2 배선 레벨; 및 상기 제2 배선 레벨에서 상기 상부 배선을 둘러싸는 제2 절연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콘택 비아의 일측에 플로팅 비아를 형성함으로써 상하부 배선층 사이의 콘택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선을 따라 취해진 영역을 나타낸 개념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EN"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5의 II-II'선을 따라 취해진 영역을 나타낸 개념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III-III'선을 따라 취해진 영역을 나타낸 개념적인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주변 회로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주변 회로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레이아웃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A-A에 따른 요부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주변 회로 구조물의 레이아웃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주변 회로 구조물의 레이아웃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주변 회로 구조물의 레이아웃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i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주변 회로 구조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들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저장된 데이터가 계속하여 유지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예로 낸드 플래시 메모리 소자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내용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 바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수직형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라고 칭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회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는 각각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 즉 낸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2차원 및 3차원 회로도일 수 있다.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는 N개의 셀 트랜지스터들(M0-Mn)이 직렬로 연결되어 셀 스트링(string, S)을 이루고 있다. 셀 트랜지스터들(M0-Mn)은 메모리 셀들일 수 있다. 단위 셀 스트링들(S)은 비트 라인(bit line, BL0-BLn)과 그라운드 선택 라인(ground selecting line, GSL)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는 셀 트랜지스터들(M0-Mn)이 직렬로 연결된 셀 스트링들(S)과, 셀 트랜지스터들(M0-Mn)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인 워드라인들(WL0 내지 WLn)과, 워드 라인들(WL0 내지 WLn)을 구동하는 로우 디코더(2)를 포함할 수 있다.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는 셀 스트링들(S)의 일측에 연결되고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ST1)이 연결된 스트링 선택 라인(SSL)과,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ST1)의 드레인과 연결된 비트 라인들(BL0-BLn)과, 셀 스트링들(S)의 타측에 연결되고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들(ST2)이 연결된 그라운드 선택라인(GSL)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는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들(ST2)의 소오스에 공통 소오스 라인(CSL)이 연결되어 있다.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는 셀 스트링들(S)과 상하에 연결된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T1) 및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ST2)를 포함하여 단위 스트링(US)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 및 2에서는 셀 스트링(S)에 하나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T1) 및 하나의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ST2)가 연결되어 단위 스트링(US)을 구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T1)가 두 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ST2)도 두 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하나의 셀 스트링(S) 내에는 2m개(m은 1이상의 자연수)의 셀 트랜지스터들(M0-Mn)이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셀 스트링(S)에 2개, 4개, 8개, 16개 정도의 셀 트랜지스터들(M0-Mn)이 직렬 연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편의상 셀 트랜지스터들(M0-Mn) 및 워드 라인들(WL0 내지 WLn)중 4개만 도시한다.
도 2에서, X 방향(제1 방향)은 워드 라인들(WL0 내지 WLn)이 연장되는 방향, 즉 워드 라인 방향일 수 있다. X 방향(제1 방향)과 수직한 Y 방향(제2 방향)은 비트 라인(BL0-BLn)이 연장되는 방향, 즉 비트 라인 방향일 수 있다. Z 방향(제3 방향)은 워드 라인들(WL0 내지 WLn) 및 비트 라인들(BL0-BLn)에 의해 이루어진 평면 상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X 방향 및 Y 방향은 각각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조적으로 기판(도 6, 8, 9의 50)이나 반도체층(도 6, 8, 9의 103)의 표면과 평행한 제1 및 제2 수평 방향일 수 있고, Z 방향은 기판(도 6, 8, 9의 50)이나 반도체층(도 6, 8, 9의 103)의 표면에 수직한 수직 방향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는 셀 어레이(cell array, 1) 및 주변 회로(peripheral circuit, 2, 3, 4)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회로(2, 3, 4)는 로우 디코더(row decoder, 2), 페이지 버퍼(page buffer, 3) 및 컬럼 디코더(column decoder, 4)를 포함할 수 있다.
셀 어레이(1)는 복수개의 메모리 셀들로 구성된 3차원 셀 어레이일 수 있다. 셀 어레이(1)는 앞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셀 트랜지스터들(M0-Mn)로 구성된 메모리 셀들, 및 셀 트랜지스터들(M0-Mn)로 구성된 메모리 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워드 라인들(WL0 내지 WLn) 및 비트 라인들(BL0-BLn)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셀 어레이(1)는 데이터 소거 단위인 복수개의 메모리 블록들(BLK0-BLKn)을 포함할 수 있다.
로우 디코더(2)는 셀 어레이(1)의 워드 라인들(도 1 및 도 2의 WL0 내지 WLn)을 선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로우 디코더(2)는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셀 어레이(1)의 메모리 블록들(BLK0-BLKn)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메모리 블록(BLK0-BLKn중 하나)의 워드 라인들(도 1 및 도 2의 WL0 내지 WLn)중 하나를 선택한다. 로우 디코더(2)는 제어 회로(미도시)의 제어에 응답해서 전압 발생 회로(미도시)로부터 발생된 워드 라인 전압을 선택된 워드 라인 및 비선택된 워드 라인들로 각각 제공할 수 있다.
페이지 버퍼(3)는 셀 트랜지스터들(도 1의 M0-Mn)로 구성된 메모리 셀들에 정보를 기입하거나, 셀 트랜지스터들(도 1의 M0-Mn)로 구성된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페이지 버퍼(3)는 동작 모드에 따라, 메모리 셀들에 저장될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를 감지할 수 있다. 페이지 버퍼(3)는 프로그램 동작 모드시 기입 드라이버(write driver) 회로로 동작하며, 읽기 동작 모드시 감지 증폭기(sense amplifier) 회로로서 동작할 수 있다.
칼럼 디코더(4)는 셀 어레이(1)의 비트 라인들(도 1 및 도 2의 BL0-BLn)과 연결될 수 있다. 칼럼 디코더(4)는 페이지 버퍼(3)와 외부 장치(예를 들면, 메모리 컨트롤러) 사이에 데이터 전송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는 주변 회로 구조물(PS) 및 셀 어레이 구조물(CS)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회로 구조물(PS) 상에 셀 어레이 구조물(CS)이 적층될 수 있다. 주변 회로 구조물(PS)와 셀 어레이 구조물(CS)은 평면적 관점에서 오버랩될 수 있다.
셀 어레이 구조물(CS)은 셀 어레이(도 3의 1)를 포함할 수 있다. 셀 어레이 구조물(CS)은 데이터 소거 단위인 복수개의 메모리 블록들(BLK0-BLKn, n은 양의 정수)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블록들(BLK0-BLKn) 각각은 3차원 구조(또는 수직 구조)를 갖는 셀 어레이(도 3의 1)를 포함할 수 있다.
셀 어레이(도 3의 1)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3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셀 트랜지스터들(도 1의 M0-Mn)로 구성된 메모리 셀들, 메모리 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워드 라인들(WL0-WLn) 및 비트 라인들(BL0-BL2)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회로 구조물(PS)은 셀 어레이(1)를 제어하는 주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회로 구조물(PS)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우 디코더(2), 페이지 버퍼(3), 및 칼럼 디코더(4)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메모리 블록들(BLK0-BLKn)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레이아웃도 및 그 구조를 설명한다. 이하 설명하는 레아아웃도가 본원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 또는 유사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I-I'선을 따라 취해진 영역을 나타낸 개념적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EN"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5의 II-II'선을 따라 취해진 영역을 나타낸 개념적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5의 III-III'선을 따라 취해진 영역을 나타낸 개념적인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는 기판(50) 상에 주변 회로 구조물(80)이 배치될 수 있다. 주변 회로 구조물(80)은 도 4의 주변 회로 구조물(PS)에 해당할 수 있다. 기판(50)은 실리콘 등과 같은 반도체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 반도체 기판일 수 있다. 기판(50)은 하부 기판이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50)은 단결정 실리콘 기판일 수 있다. 주변 회로 구조물(80)은 도 3에서 설명한 로우 디코더(2), 페이지 버퍼(3), 및 컬럼 디코더(4)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회로 구조물(80)은 주변 트랜지스터들(PTR), 콘택 비아(63), 플로팅 비아(65), 주변 배선 레벨(66), 및 하부 절연층(7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절연층(70)은 실리콘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도 8 및 도 9에서, 주변 회로 구조물(80)을 주변 배선 레벨(66) 상의 하부 절연층(7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주변 회로 구조물(80)을 주변 배선 레벨(66)의 상면까지로 정의할 수 도 있다.
주변 트랜지스터들(PTR)은 기판(50)에서 필드 영역들(55f)에 의해 한정될 수 있는 활성 영역들(55a)과, 활성 영역들(55a) 상에 형성되는 주변 게이트들(PG)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배선 레벨(66)은 하부 주변 배선(62), 스톱핑 절연층(61), 상부 주변 배선(64), 콘택 비아(63), 및 플로팅 비아(6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주변 배선(62)은 하부 배선이라 명명할 수 있다. 상부 주변 배선(64)은 상부 배선이라 명명할 수 있다.
콘택 비아(63)는 하부 주변 배선(62) 상의 상부 주변 배선(64)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비아일 수 있다. 상부 주변 배선(64), 하부 주변 배선(62) 및 콘택 비아(63)는 텅스텐 또는 구리 등과 같은 금속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플로팅 비아(65)는 콘택 비아(63)와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플로팅 비아(65)는 하부 주변 배선(62) 및 상부 주변 배선(64)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지 않는 비도전성 비아일 수 있다. 플로팅 비아(65)는 콘택 비아(63)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플로팅 비아(65)는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폴리실리콘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플로팅 비아(65)는 주변 콘택 비아 구조물(183a, 183b)과 하부 주변 배선(62) 사이의 쇼트(short)를 방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일 수 있다. 주변 회로 구조물(80)의 구조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는 후에 보다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주변 회로 구조물(80) 상에 반도체층(103)이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반도체층(103)은 실리콘층이나 폴리실리콘층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반도체층(103)은 상부 기판이라 칭할수 있다. 반도체층(103)은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중간 절연층들(104)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절연층들(104)은 반도체층(103)을 패터닝하여 개구부를 형성한 후, 개구부 내에 절연층을 매립하여 형성할 수 있다. 중간 절연층들(104)은 실리콘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층(103) 및 중간 절연층들(104) 상에 적층 구조물(173)이 배치될 수 있다. 적층 구조물(173)은 게이트 수평 패턴들(170L, 170M1, 170M2, 170U)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수평 패턴들(170L, 170M1, 170M2, 170U)은 제1 영역(A1) 내에서 수직 방향(Z)으로 서로 이격되면서 적층되고, 제1 영역(A1)으로부터 제2 영역(A2) 내로 제1 수평 방향(X)으로 연장되어 계단 모양으로 배열되는 패드 영역들(P)을 포함할 수 있다. 패드 영역들(P)은 도면에 도시된 형태의 계단 모양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수직 방향(Z)은 반도체층(103)의 상부면(103s)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고, 제1 수평 방향(X)은 반도체층(103)의 상부면(103s)과 평행 또는 수평한 방향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영역(A1)은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셀 어레이(1)가 위치하는 셀 어레이 영역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영역(A2)은 제1 영역(A1)의 어느 한 측 또는 양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영역(A2)은 제1 영역(A1)의 우측 및 좌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제2 영역(A2)은 게이트 수평 패턴들(170L, 170M1, 170M2, 170U)이 제1 영역(A1)으로부터 연장되어 패드 영역들(P)이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A2)은 셀 어레이 영역(즉, 제1 영역(A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장 영역(extended region)일 수 있다. 게이트 수평 패턴들(170L, 170M1, 170M2, 170U)이 형성되지 않는 반도체층(103) 상의 제3 영역(B)은 주변 영역으로 지칭할 수 있다.
게이트 수평 패턴들(170L, 170M1, 170M2, 170U)은 하부 게이트 수평 패턴(170L), 하부 게이트 수평 패턴(170L) 상의 상부 게이트 수평 패턴(170U), 하부 게이트 수평 패턴(170L)과 상부 게이트 수평 패턴(170U) 사이의 중간 게이트 수평 패턴들(170M1, 170M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편의상 중간 게이트 수평 패턴들(170M1, 170M2)을 각각 4개 적층하여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수십개 또는 수백개 적층될 있다.
게이트 수평 패턴들(170L, 170M1, 170M2, 170U)은 제1 영역(A1) 내에 배치되며 제1 영역(A1)으로부터 제2 영역(A2) 내로 연장될 수 있다. 패드 영역들(P)은 게이트 수평 패턴들(170L, 170M1, 170M2, 170U)중에서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 패턴들과 중첩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패드 영역들(P)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수평 방향(X)으로 보았을 때, 제1 영역(A1)으로부터 멀어지면서 복수개의 계단들이 차례로 배열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패드 영역들(P)은 도 9에서와 같이 제2 수평 방향(Y)으로 보았을 때, 어느 하나의 분리 구조물(184)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계단들이 배열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수평 방향(Y)은 반도체층(103)의 상부면(103s)과 평행 또는 수평하며 제1 수평 방향(X)과 수직할 수 있다. 패드 영역들(P)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되는 계단 모양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배열될 수 있다.
중간 게이트 수평 패턴들(170M1, 170M2)은 제1 중간 게이트 수평 패턴들(170M1) 및 제1 중간 게이트 수평 패턴들(170M1) 상의 제2 중간 게이트 수평 패턴들(170M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게이트 수평 패턴들(170M1, 170M2)의 중간 부분, 즉 제1 중간 게이트 수평 패턴들(170M1) 및 제2 중간 게이트 수평 패턴들(170M2)이 접하는 부분에서 제1 수평 방향(X)의 폭을 서로 다르게 구성하였으나, 동일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에서 상부 게이트 수평 패턴들(170U)는 제2 수평 방향(Y방향)으로 절연성 패턴(133)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절연성 패턴(133)은 실리콘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수평 패턴들(170L, 170M1, 170M2, 170U)은 게이트 전극들일 수 있다. 하부 게이트 수평 패턴(170L)은 도 2에서 설명한 접지 선택 라인(GSL)일 수 있다. 상부 게이트 수평 패턴(170U)은 도 2에서 설명한 스트링 선택 라인(SSL)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간 게이트 수평 패턴들(170M1, 170M2)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워드라인(WL)들일 수 있다.
적층 구조물(173)은 층간 절연층들(112)을 포함할 수 있다. 층간 절연층들(112)은 게이트 수평 패턴들(170L, 170M1, 170M2, 170U)과 교대로 반복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게이트 수평 패턴들(170L, 170M1, 170M2, 170U)의 하부에 층간 절연층들(112)이 배치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들(112)은 실리콘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A1),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B) 상에 제1 상부 절연층(120) 및 제2 상부 절연층(125, 125')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상부 절연층(120) 및 제2 상부 절연층(125, 125')은 실리콘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상부 절연층들(120, 125, 125')은 상부면이 동일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상부 절연층(120)은 제1 영역(A1)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상부 절연층(125, 125')은 제1 영역(A1) 이외의 영역, 즉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B)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A1) 내의 적층 구조물(173)은 제1 상부 절연층(120)에 의해 덮일 수 있고, 제2 영역(A2) 내의 적층 구조물(173)은 제2 상부 절연층(125', 125)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제3 영역(A3) 상에는 제2 상부 절연층(125)만이 덮여 있다.
제2 영역(A2) 내에서, 제2 상부 절연층(125') 및 몰드 구조물(112', 114')을 포함하는 제1 관통 영역(320)이 배치될 수 있다. 광의적으로 제1 관통 영역(320)은 중간 절연층(104)을 포함할 수 있다. 몰드 구조물(112', 114')은 층간 절연층(112') 및 몰드 절연층(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통 영역(320) 내의 제1 주변 콘택 비아 구조물(183a)은 제2 상부 절연층(125'), 몰드 구조물(112', 114') 및 중간 절연층(104)을 관통하며 수직 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관통 영역(320)은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통 영역(320) 내의 제2 상부 절연층(125')의 두께는 T1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상부 절연층들(120, 125. 125') 상에 복수의 캐핑 절연층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캐핑 절연층들은 차례로 적층되는 제1 캐핑 절연층(148, 148'), 제2 캐핑 절연층(185) 및 제3 캐핑 절연층(18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캐핑 절연층들(148, 148', 185, 187)의 각각은 산화물 계열의 절연성 물질,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광의적으로 제1 관통 영역(320)은 층간 절연층(112'), 몰드 절연층(114), 제2 상부 절연층(125') 및 제1 캐핑 절연층(14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A1) 내에서, 적층 구조물(173)을 관통하는 수직 채널 구조물들(146c)이 배치될 수 있다. 수직 채널 구조물들(146c)은 적층 구조물(173)을 관통하며 수직 방향(Z)으로 연장되어 제1 상부 절연층(120)을 관통할 수 있다. 상부 주변 배선(64)의 제1 주변 패드 부분(64a) 상에 제1 주변 콘택 비아 구조물(183a)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관통 영역(320) 내에 배치되는 제1 주변 콘택 비아 구조물(183a)은 상부 주변 배선(64)의 제1 주변 패드 부분(64a)과 접촉한다. 제1 관통 영역(320)은 음의 수직 방향(Z)으로 연장되어 하부 절연층(70), 중간 절연층(104), 몰드 구조물(112', 114'), 제2 상부 절연층(125') 및 제1 캐핑 절연층(148')을 차례로 관통할 수 있다.
제3 영역(B) 내에서 제2 관통 영역(32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관통 영역(322)은 제1 관통 영역(320)과 제1 수평 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될 있다. 제2 관통 영역(322) 내에 배치된 제2 주변 콘택 비아 구조물(183b)은 하부 절연층(70), 중간 절연층(104), 제2 상부 절연층(125), 및 제1 캐핑 절연층(148)을 차례로 관통하며 수직 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관통 영역(320) 내에 제2 주변 콘택 비아 구조물(183b)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주변 콘택 비아 구조물(183b)은 상부 주변 배선(64)의 제2 주변 패드 부분(64b)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주변 콘택 비아 구조물(183b)은 상부 주변 배선(64)의 제2 주변 패드 부분(64b)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주변 콘택 비아 구조물(183a) 및 제2 주변 콘택 비아 구조물(183b)은 서로 동일한 단면 구조 및 서로 동일한 평면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변 콘택 비아 구조물(183a) 및 제2 주변 콘택 비아 구조물(183b)의 각각은 관통 비아(through via, 180) 및 관통 비아(180)의 측면을 둘러싸는 콘택 스페이서(157)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 비아(180)는 도전성 기둥일 있다. 관통 비아(180)는 TiN 등과 같은 금속 질화물 및/또는 텅스텐 등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콘택 스페이서(157)는 실리콘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주변 콘택 비아 구조물(183a) 및 제2 주변 콘택 비아 구조물(183b)은 상부면이 동일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주변 콘택 비아 구조물(183a) 및 제2 주변 콘택 비아 구조물(183b)의 상면들은 반도체층(103)의 상부면(103s)으로부터의 높이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주변 콘택 비아 구조물(183a)은 제1 주변 콘택홀(150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주변 콘택홀(150a)은 제1 관통 영역(320)을 구성하는 제1 캐핑 절연층(148') 및 제2 상부 절연층(125')과, 중간 절연층(104) 및 하부 절연층(70)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2 주변 콘택 비아 구조물(183b)은 제2 주변 콘택홀(150b)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주변 콘택홀(150b)은 제2 관통 영역(322)을 구성하는 제1 캐핑 절연층(148) 및 제2 상부 절연층(125)과, 중간 절연층(104) 및 하부 절연층(70)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1 주변 콘택홀(150a) 및 제2 주변 콘택홀(150b)은 제조공정상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제1 주변 콘택홀(150a) 및 제2 주변 콘택홀(150b), 제1 주변 콘택 비아 구조물(183a) 및 제2 주변 콘택 비아 구조물(183b)과 관련한 내용은 후에 보다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제1 영역(A1) 내에서, 적층 구조물(173)을 관통하는 수직 채널 구조물들(146c)이 배치될 수 있다. 수직 채널 구조물(146c)은 하부 수직 영역(146L), 하부 수직 영역(146L) 상의 상부 수직 영역(146U), 및 상기 하부 수직 영역(146L)과 상기 상부 수직 영역(146U) 사이의 폭 변동 영역(146V)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하부 수직 영역(146L) 및 상부 수직 영역(146U)은 반도체층(103)의 상부면(103s)으로부터 수직 방향(Z)으로 멀어질수록 폭이 증가하는 경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수직 영역(146L)의 상부 영역은 상부 수직 영역(146U)의 하부 영역 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폭 변동 영역(146V)은 하부 수직 영역(146L)의 상부영역의 상대적으로 큰 폭에서 상기 상부 수직 영역(146U)의 하부 영역의 상대적으로 작은 폭으로 변화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수직 채널 구조물(146c)은 채널 반도체층(140) 및 채널 반도체층(140)과 적층 구조물(173) 사이에 배치되는 게이트 유전체 구조물(138)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유전체 구조물(138)은 터널 유전체층(138a), 정보 저장층(138b) 및 블로킹 유전체층(138c)을 포함할 수 있다. 터널 유전체층(138a)은 실리콘 산화물 및/또는 불순물 도핑된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로킹 유전체층(138c)은 실리콘 산화물 및/또는 고유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저장 층(138b)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물질,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 채널 구조물들(146c)은 적층 구조물(173)을 관통하며, 수직 방향(Z)으로 연장되어 제1 상부 절연층(120)을 관통할 수 있다. 반도체층(103) 상에 분리 구조물들(184)이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분리 구조물들(184)은 적층 구조물(173)을 관통할 수 있다.
분리 구조물들(184)은 제1 영역(A1) 내에서 적층 구조물(173)을 관통하며 수직 방향(Z)으로 연장되어 제1 상부 절연층(120) 및 제1 캐핑 절연층(148)을 관통할 수 있다. 분리 구조물들(184)은 제1 수평 방향(X)으로 연장되어 적층 구조물(173)을 제2 수평 방향(Y)으로 분리 또는 이격시킬 수 있다.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을 가로지르는 분리 구조물들(184) 사이에서, 적층 구조물(173)은 제2 영역(A2) 내의 제1 관통 영역(320)에 의해 완전히 절단되지 않고 제1 관통 영역(320) 주위의 연결 영역(173i)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A2) 내에서 패드 영역들을 갖는 게이트 수평 패턴들, 즉 제1 및 제2 중간 게이트 수평 패턴들(170M1, 170M2) 및 하부 게이트 수평 패턴(170L)은 패드 영역들(P)로부터 제1 관통 영역(320) 주위, 즉 연결 영역(173i)을 지나서 제1 영역(A1) 내로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분리 구조물들(184)의 각각은 분리 코어 패턴(181) 및 분리 코어 패턴(181)의 측면 상의 분리 스페이서(175)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 코어 패턴(181)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리 코어 패턴(181)은 공통 소스 라인일 수도 있다. 분리 스페이서(175)는 절연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 스페이서(175)는 실리콘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적층 구조물(173)은 게이트 수평 패턴들(170L, 170M1, 170M2, 170U)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덮으며, 일부 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는 유전체층(168)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층(168)은 알루미늄 산화물 등과 같은 고유전체(high-k dielectric)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 채널 구조물들(146c) 상의 비트 라인 콘택 플러그들(191), 게이트 수평 패턴들(170L, 170M1, 170M2, 170U)의 패드 영역들(P) 상의 게이트 콘택 플러그들(189), 제1 주변 콘택 비아 구조물(183a) 상의 제1 주변 콘택 플러그(192a) 및 제2 주변 콘택 비아 구조물(183b) 상의 제2 주변 콘택 플러그(192b)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캐핑 절연층(187) 상에 비트 라인들(193b), 스트링 선택 게이트 연결 배선(193s), 워드 라인 연결 배선들(193w), 접지 선택 게이트 연결 배선(193g), 제1 주변 연결 배선(194a), 및 제2 주변 연결 배선(194b)이 배치될 수 있다.
비트 라인들(193b)은 비트 라인 콘택 플러그들(191)을 통하여 수직 채널 구조물들(146c)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트링 선택 게이트 연결 배선(193s)은 상부 게이트 수평 패턴(170U)의 패드 영역(P) 상의 게이트 콘택 플러그(189)를 통하여 상부 게이트 수평 패턴(170U)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워드 라인 연결 배선들(193w)은 제1 및 제2 중간 게이트 수평 패턴들(170M1, 170M2) 상의 게이트 콘택 플러그들(189)을 통하여 제1 및 제2 중간 게이트 수평 패턴들(170M1, 170M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지 선택 게이트 연결 배선(193g)은 하부 게이트 수평 패턴(170L)의 패드 영역(P) 상의 게이트 콘택 플러그(189)를 통하여 하부 게이트 수평 패턴(170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게이트 수평 패턴(170U)에 연결되는 게이트 콘택 플러그(189)는 더미 게이트 콘택 플러그(189d)일 수 있다.
제1 주변 연결 배선(194a)은 스트링 선택 라인 연결 배선(193s) 및 워드라인 연결 배선들(193w)중 적어도 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주변 연결 배선(194b)은 접지 선택 라인 연결 배선(193g) 및 워드 라인 연결 배선들(193w)중 적어도 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워드 라인 연결 배선들(193w)은 제1 주변 연결 배선(194a) 및 제2 주변 연결 배선(194b)을 통하여 주변 회로 구조물(8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주변 회로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10 및 도 11은 도 8의 주변 회로 구조물(80)의 "EN2"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8의 주변 회로 구조물(80)의 A1 영역이나 B 영역의 "EN2"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서, 도 10 및 도 11은 앞서의 주변 회로 구조물(80)의 구조뿐만 아니라 범용적인 반도체 장치의 구조에도 이용될 수도 있다.
주변 구조 회로 구조물(도 8의 80)은 제1 배선 레벨(LM1), 비아 배선 레벨(LVIA) 및 제2 배선 레벨(LM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선 레벨(LM2) 상에는 셀 어레이 구조물 레벨(SL)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배선 레벨(LM1)은 기판(도 6, 도 8, 및 도 9의 50) 상에 위치한 제1 하부 배선(12a), 제1 하부 배선(12a)과 수평 방향, 예컨대 X 방향으로 떨어지면서 일측에 인접하여 위치한 제2 하부 배선(12b), 및 제1 절연층(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배선(12a), 제1 하부 배선(12a)과 수평 방향, 예컨대 X 방향으로 떨어지면서 일측에 인접하여 위치한 제2 하부 배선(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배선(12a)은 수평적으로 후술하는 콘택 비아(42)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하부 배선(12a) 및 제2 하부 배선(12b)은 도 6, 도 8, 도 9의 하부 주변 배선(62)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0)은 도 6, 도 8, 도 9의 하부 절연층(70)에 포함될 수 있다.
비아 배선 레벨(LVIA)은 스톱핑 절연층(14a), 플로팅 비아(26), 콘택 비아(42), 및 비아 절연층(16a)을 포함할 수 있다. 플로팅 비아(26)는 도 6, 도 8, 도 9의 플로팅 비아(65)에 해당할 수 있다. 콘택 비아(42)는 도 6, 도 8, 도 9의 콘택 비아(63)에 해당할 수 있다. 비아 절연층(16a)은 도 6, 도 8, 도 9의 하부 절연층(70)에 포함될 수 있다.
플로팅 비아(26)는 스톱핑 절연층(14a) 상에서 비아 절연층(16a) 내에 형성된 플로팅 비아홀(20) 내에 매립되어 있다. 플로팅 비아(26)는 스톱핑 절연층(14a) 상에 형성되어 제1 하부 배선(12a) 및 제2 하부 배선(12b)과 전기적으로 콘택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로팅 비아(26)는 비도전성 물질, 예컨대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는 폴리실리콘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로팅 비아(26)는 스톱핑 절연층(14a)의 두께(거리), 제1 하부 배선(12a) 및 제2 하부 배선(12b) 사이의 수평 방향의 이격 거리를 고려하여 도전성 물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콘택 비아(42)는 스톱핑 절연층(14a) 내에 형성된 제3 비아홀(41) 및 비아 절연층(16a) 내에 형성된 제1 비아홀(22)에 매립될 수 있다. 콘택 비아(42)는 스톱핑 절연층(14a)을 관통하는 제3 비아홀(41)을 통하여 제2 하부 배선(12b)과 콘택될 수 있다. 콘택 비아(42)는 플로팅 비아(26)와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배선 레벨(LM2)은 제2 절연층(36), 상부 배선(44), 및 제3 절연층(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배선(44)은 도 6, 도 8, 도 9의 상부 주변 배선(64)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절연층(36) 및 제3 절연층(45)은 도 6, 도 8, 도 9의 하부 절연층(70)에 포함될 수 있다.
상부 배선(44)은 콘택 비아(42) 상의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배선(44)은 제2 절연층(36) 내에 형성된 제2 비아홀(40) 내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배선(44)은 콘택 비아(42)와 한 몸체일 수 있다. 제2 절연층(36)은 상부 배선(44)을 둘러쌀 수 있다. 상부 배선(44) 상에는 제3 절연층(45)이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배선 레벨(LM2) 상에는 셀 어레이 구조물 레벨(SL)이 위치할 수 있다. 셀 어레이 구조물 레벨(SL)은 제4 절연층(46)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절연층(46)은 도 6, 도 8, 도 9의 중간 절연층(1040)이나 제2 상부 절연층(12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 어레이 구조물 레벨(SL)에서 제2 배선 레벨(LM2)과 연결되는 콘택홀(47)이 형성되어 있다. 즉, 셀 어레이 구조물 레벨(SL)에서 제2 배선 레벨(LM2)의 상부 배선(44)과 연결하기 위한 콘택홀(47)이 형성될 수 있다. 콘택홀(47)은 도 6, 도 8, 도 9의 주변 콘택홀(150a, 150b)에 해당할 수 있다.
콘택홀(47)은 상부 배선(44) 상에 정확하게 얼라인할 경우 제4 절연층(46) 및 제3 절연층(45)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콘택홀(47)은 사진공정의 오차 내지 한계로 인해 제4 절연층(46), 제3 절연층(45) 및 제2 절연층(36)을 관통하여 형성한다. 콘택홀(47)을 형성할 때, 플로팅 비아(26)는 콘택홀(47)이 제2 절연층(16a), 스톱핑 절연층(14a)를 관통하여 제1 하부 배선(12a)이나 제2 하부 배선(12b)을 노출시키지 않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셀 어레이 구조물 레벨(SL)에서 제2 배선 레벨(LM2)와 연결되는 콘택홀(47)은 종횡비가 매우 크다. 이에 따라, 플로팅 비아(26)가 없을 경우 콘택홀(47)이 제2 절연층(16a), 스톱핑 절연층(14a)을 관통하여 제1 하부 배선(12a)이나 제2 하부 배선(12b)을 노출시킬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본 발명은 플로팅 비아(26)를 구비함으로써 셀 어레이 구조물 레벨(SL)에서 제2 배선 레벨(LM2)과 연결되는 콘택홀(47)이 제1 하부 배선(12a)이나 제2 하부 배선(12b)을 노출시킬 가능성을 낮추게 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택홀(47)에 콘택 비아 구조물(48)을 형성한다. 콘택 비아 구조물(48)은 셀 어레이 구조물 레벨(SL)에서 제2 배선 레벨(LM2)의 상부 배선(44)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콘택 비아 구조물(48)은 상부 배선(44) 및 플로팅 비아(26)와 모두 콘택될 수 있다. 콘택 비아 구조물(48)은 도 6, 도 8, 도 9의 주변 콘택 비아 구조물(183a, 183b)에 해당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상부 주변 배선(64) 상에 정확하게 얼라인된 주변 콘택 비아 구조물(183a, 183b)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상부 배선(44) 상에 콘택 비아 구조물(48)이 정확하게 얼라인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주변 회로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레이아웃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A-A에 따른 요부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도 6, 도 8 및 도 9의 주변 회로 구조물(80)의 레이아웃도(LAO1)일 수 있다. 도 13은 도 12의 A-A에 따른 요부 단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의 일부 단면도일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서, 도 10 및 도 11과 동일한 내용은 간단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 회로 구조물(도 6, 도 8, 도 9의 80)은 제1 하부 배선(12a) 및 제1 하부 배선(12a)과 수평 방향, 예컨대 X 방향으로 떨어지면서 인접하여 위치한 제2 하부 배선(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배선(12a) 및 제2 하부 배선(12b)은 일 방향, 예컨대 Y 방향으로 연장된 라인 형태로 배치된 라인형 배선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하부 배선(12a) 및 제2 하부 배선(12b)은 도 6, 도 8, 도 9의 하부 주변 배선(62)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하부 배선(12a) 상에는 플로팅 비아(26)가 위치할 수 있다. 플로팅 비아(26)는 제1 하부 배선(12a)과 콘택되지 않는다. 플로팅 비아(26)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6, 도 8, 도 9의 플로팅 비아(65)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하부 배선(12b) 상에는 콘택 비아(42) 및 상부 배선(44)이 위치할 수 있다. 상부 배선(44)은 콘택 비아(42)를 통하여 제2 하부 배선(12b)과 콘택될 수 있다. 콘택 비아(4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6, 도 8, 도 9의 콘택 비아(63)에 해당할 수 있다. 상부 배선(44)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6, 도 8, 도 9의 상부 주변 배선 (64)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 회로 구조물(도 6, 도 8, 도 9의 80)은 도 10 및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배선 레벨(LM1), 비아 배선 레벨(LVIA) 및 제2 배선 레벨(LM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편의상 상부 배선(44) 및 제2 절연층(36)을 포함하는 제2 배선 레벨(LM2)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의 주변 회로 구조물(도 6, 도 8, 도 9의 80)의 제조 방법은 후에 보다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주변 회로 구조물의 레이아웃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4에서, 도 12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레이아웃도(LAO2)는 도 12의 레이아웃도(LAO1)와 비교할 때 제2 하부 배선(12b)의 일측에 제3 하부 배선(12a-1) 및 제2 플로팅 비아(26-1)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할 수 있다.
도 14의 레이아웃도(LAO2)에서, 제2 하부 배선(12b)의 양측에 제1 하부 배선(12a) 및 제3 하부 배선(12a-1)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하부 배선(12a) 및 제3 하부 배선(12a-1) 상에는 각각 제1 플로팅 비아(26) 및 제2 플로팅 비아(26-1)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플로팅 비아(26)는 콘택 비아(42)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2 플로팅 비아(26-1)는 콘택 비아(42)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플로팅 비아(26) 및 제2 플로팅 비아(26-1)는 콘택 비아(42)의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플로팅 비아(26) 및 제2 플로팅 비아(26-1)는 각각 제1 하부 배선(12a) 및 제3 하부 배선(12a-1)과 수직 방향, 즉 Z 방향으로 콘택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앞서 도 10 및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배선(44) 상에 형성되는 콘택 비아 구조물(도 10 및 도 11의 48)이 제1 플로팅 비아(26) 및 제2 플로팅 비아(26-1)로 인해 제2 하부 배선(12b)과 콘택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주변 회로 구조물의 레이아웃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5에서, 도 12 및 도 14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레이아웃도(LAO3)는 도 14의 레이아웃도(LAO1)와 비교할 때 콘택 비아(42)를 둘러싸게 위치하는 제3 플로팅 비아(26-2)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할 수 있다.
레이아웃도(LAO3)에서, 제3 플로팅 비아(26-2)는 제1 하부 배선(12a), 제2 하부 배선(12b), 및 제3 하부 배선(12a-1) 상에서 콘택 비아(42)를 둘러싸게 위치할 수 있다. 제3 플로팅 비아(26-2)는 제1 플로팅 비아(도 14의 26)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플로팅 비아(26-2)는 제1 하부 배선(12a) 및 제3 하부 배선(12a-1)과 수직 방향, 즉 Z 방향으로 콘택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앞서 도 10 및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배선(44) 상에 형성되는 콘택 비아 구조물(도 10 및 도 11의 48)이 제3 플로팅 비아(26-2)로 인해 제2 하부 배선(12b)과 콘택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주변 회로 구조물의 레이아웃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6에서, 도 12 및 도 15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레이아웃도(LAO4)는 도 15의 레이아웃도(LAO3)와 비교할 때 하부 배선(12-1)이 아일랜드형 배선을 포함하고, 아울러서 아일랜드형 배선을 둘러싸는 제4 플로팅 비아(2604)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할 수 있다.
레이아웃도(LAO4)에서, 하부 배선(12-1)이 아일랜드 형태로 된 아일랜드형배선이고, 제4 플로팅 비아(26-3)는 아일랜드 형태의 하부 배선(12-1) 상에서 콘택 비아(42)를 둘러싸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앞서 도 10 및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배선(44) 상에 형성되는 콘택 비아 구조물(도 10 및 도 11의 48)이 제3 플로팅 비아(26-2)로 인해 제2 하부 배선(12b)과 콘택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i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주변 회로 구조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17a 내지 도 17i는 앞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도 5 내지 도 9의 100)의 주변 회로 구조물(8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들이다. 아울러서, 도 17a 내지 도 17i는 도 5 내지 도 9의 100의 주변 회로 구조물(80)의 제조 방법뿐만 아니라 범용적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도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7a를 참조하면, 기판(미도시, 도 6, 도 8, 도 9의 50)) 상에 제1 하부 배선(12a), 제2 하부 배선(12b) 및 제1 절연층(10)을 형성한다. 제1 하부 배선(12a) 및 제2 하부 배선(12b)은 수평 방향, 예컨대 X 방향으로 떨어져 위치한다. 제1 하부 배선(12a) 및 제2 하부 배선(12b)은 텅스텐 또는 구리 등과 같은 금속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0)은 제1 하부 배선(12a) 및 제2 하부 배선(12b) 사이를 절연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0)은 실리콘 산화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부 배선(12a), 제2 하부 배선(12b) 및 제1 절연층(10)은 앞서 도 10 및 도 11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배선 레벨(LM1)에 해당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하부 배선(12a) 및 제2 하부 배선(12b)은 도 6, 도 8, 도 9의 하부 주변 배선(62)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0)은 도 6, 도 8, 도 9의 하부 절연층(70)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하부 배선(12a), 제2 하부 배선(12b) 및 제1 절연층(10) 상에 제1 스톱핑 절연 물질층(14)을 형성한다. 제1 스톱핑 절연 물질층(14)은 제1 절연층(10)과 식각 선택비가 있는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스톱핑 절연 물질층(14)은 실리콘 질화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스톱핑 절연 물질층(14)은 식각 저지층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스톱핑 절연 물질층(14)은 제1 식각 저지 물질층이라 명명할 수 있다.
제1 스톱핑 절연 물질층(14) 상에 비아 절연 물질층(16)을 형성한다. 비아 절연 물질층(16)은 실리콘 산화물로 형성할 수 있다. 비아 절연 물질층(16)은 도 6, 도 8, 도 9의 하부 절연층(70)에 포함될 수 있다. 계속하여, 비아 절연 물질층(16) 상에 제1 마스크 패턴(18)을 형성한다. 제1 마스크 패턴(18)은 사진식각공정을 이용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7b를 참조하면, 제1 마스크 패턴(18)을 식각 마스크로 비아 절연 물질층(16)을 선택적으로 식각한다. 이에 따라, 플로팅 비아홀(20) 및 제1 비아홀(22)을 갖는 비아 절연층(16a)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 비아 절연층(16a) 내에 플로팅 비아홀(20) 및 제1 비아홀(22)이 형성될 수 있다.
플로팅 비아홀(20)은 제1 하부 배선(12a) 상부의 제1 스톱핑 절연 물질층(14)의 상면을 노출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비아홀(20)은 제2 하부 배선(12b) 상부의 제1 스톱핑 절연 물질층(14)의 상면을 노출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7c를 참조하면, 도 17b에 도시한 제1 마스크 패턴(18)을 제거한다. 이어서, 도 1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아 절연층(16a)이 형성된 결과물 전면에 플로팅 비아홀(20) 및 제1 비아홀(22)을 채우도록 비도전성 물질층(24)을 형성한다. 비전도성 물질층(24)은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는 폴리실리콘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1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아 절연층(16a)의 상면을 식각 저지점으로 하여 비전도성 물질층(24)을 식각하여 플로팅 비아홀(20) 내에 채워진 플로팅 비아(26) 및 제1 비아홀(22) 내에 채워진 비전도성 비아(28)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비전도성 물질층(24)을 평탄화시켜 플로팅 비아(26) 및 비전도성 비아(28)를 형성한다. 플로팅 비아(26)는 도 6, 도 8, 도 9의 플로팅 비아(65)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7e를 참조하면, 비아 절연층(16a), 플로팅 비아(26) 및 비전도성 비아(28) 상에 제2 절연 물질층(30)을 형성한다. 제2 절연 물질층(30)은 실리콘 산화물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절연 물질층(30)은 도 6, 도 8, 도 9의 하부 절연층(70)에 포함될 수 있다. 제2 절연 물질층(30) 상에 제2 스톱핑 절연 물질층(32)를 형성한다.
제2 스톱핑 절연 물질층(32)은 제2 절연 물질층(30)과 식각 선택비가 있는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스톱핑 절연 물질층(32)은 실리콘 질화물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스톱핑 절연 물질층(32)은 식각 저지층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스톱핑 절연 물질층(32)은 제2 식각 저지 물질층이라 명명할 수 있다.
계속하여, 제2 스톱핑 절연 물질층(32) 상에 제2 마스크 패턴(34)을 형성한다. 제2 마스크 패턴(34)은 사진식각공정을 이용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7f 및 도 17g를 참조하면, 도 17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마스크 패턴(34)을 식각 마스크로 제2 스톱핑 절연 물질층(도 17e의 32) 및 제2 절연 물질층(도 17e의 30)을 선택적으로 식각한다. 이에 따라, 제2 비아홀(40)을 갖는 제2 절연층(36) 및 제2 스톱핑 절연층(38)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 제2 절연층(36) 및 제2 스톱핑 절연층(38) 내에 제2 비아홀(40)이 형성된다.
제2 비아홀(40)은 비전도성 비아(28)의 상면을 노출한다. 제2 비아홀(40)의 형성시에 비전도성 비아(28)의 상면이 리세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전도성 비아(28)의 상면이 플로팅 비아(26)의 상면보다 평면 레벨이 낮을 수 있다.
도 17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비아홀(22) 내에 채워진 비전도성 비아(28)를 제거한다. 제2 하부 배선(12b)의 상부의 제1 스톱핑 절연 물질층(14) 상의 제1 비아홀(22)과 제2 비아홀(40)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비아홀(22) 내의 제1 스톱핑 절연 물질층(14)의 상면이 노출될 수 있다.
도 17h 및 도 17i를 참조하면, 도 17g의 제2 마스크 패턴(34)을 제거한다. 이어서, 도 17h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스톱핑 절연층(38)을 제거함과 아울러 제2 하부 배선(12b) 상의 제1 스톱핑 절연 물질층(14)을 선택적으로 식각한다.
이에 따라, 제3 비아홀(41)을 갖는 제1 스톱핑 절연층(14a)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1 스톱핑 절연층(14a) 내에 제2 하부 배선(12b)을 노출하는 제3 비아홀(41)이 형성된다. 제1 스톱핑 절연층(14a)은 도 6, 도 8, 도 9의 스톱핑 절연층(61)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7i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하부 배선(12b) 상의 제3 비아홀(41) 및 제1 비아홀(22) 내에 콘택 비아(42)를 형성한다. 콘택 비아(42) 상의 제2 비아홀(40) 내에 상부 배선(44)을 형성한다. 콘택 비아(42) 및 상부 배선(44)은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콘택 비아(42) 및 상부 배선(44)은 제3 비아홀(41), 제1 비아홀(22) 및 제2 비아홀(40) 내에 도전 물질층을 형성한 후 평탄화하여 형성할 수 있다.
콘택 비아(42)는 도 6, 도 8, 도 9의 콘택 비아(63)에 해당할 수 있다. 상부 배선(44)은 도 6, 도 8, 도 9의 상부 주변 배선(64)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스톱핑 절연층(14a), 플로팅 비아(26), 콘택 비아(42) 및 비아 절연층(16a)은 앞서 도 10 및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아 배선 레벨(LVIA)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절연층(36) 및 상부 배선(44)은 앞서 도 10 및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배선 레벨(LM2)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카드(5000)는 제어기(5100)와 메모리(5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5100)와 메모리(5200)는 전기적인 신호를 교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5100)에서 명령을 내리면, 메모리(5200)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5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드(5000)는 다양한 종류의 카드, 예를 들어 메모리 스틱 카드(memory stick card), 스마트 미디어 카드(smart media card; SM), 씨큐어 디지털 카드(secure digital; SD), 미니 씨큐어 디지털 카드(mini secure digital card; mini SD), 또는 멀티 미디어 카드(multi media card; MMC)와 같은 메모리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6000)은 제어기(6100), 입/출력 장치(6200), 메모리(6300) 및 인터페이스(6400)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6000)은 모바일 시스템 또는 정보를 전송하거나 전송받는 시스템일 수 있다. 모바일 시스템은 PDA, 휴대용 컴퓨터(portable computer), 웹 타블렛(web tablet), 무선 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digital music player) 또는 메모리 카드(memory card)일 수 있다.
제어기(610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시스템(6000)을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어기(610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콘트롤러(microcontroll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일 수 있다. 입/출력 장치(6200)는 시스템(6000)의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6000)은 입/출력 장치(6200)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입/출력 장치(6200)는, 예를 들어 키패드(keypad), 키보드(keyboard) 또는 표시장치(display)일 수 있다.
메모리(6300)는 제어기(6100)의 동작을 위한 코드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및/또는 제어기(610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63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6400)는 상기 시스템(6000)과 외부의 다른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통로일 수 있다. 제어기(6100), 입/출력 장치(6200), 메모리(6300) 및 인터페이스(6400)는 버스(650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시스템(6000)은 모바일 폰(mobile phone),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navigation),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고상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또는 가전 제품(household appliances)에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80: 주변 회로 구조물, 100: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메모리 블록들: BLK0-BLKn, MCR: 셀 어레이 영역, LM1: 제1 배선 레벨, LVIA: 비아 배선 레벨, LM2: 제2 배선 레벨, 12a, 12b: 하부 배선, 14a: 스톱핑 절연층, 26: 플로팅 비아, 42: 콘택 비아, 44: 상부 배선, 48: 콘택 비아 구조물

Claims (10)

  1. 주변 회로 구조물; 및
    상기 주변 회로 구조물의 상부에 위치하는 셀 어레이 구조물을 포함하되,
    상기 주변 회로 구조물은,
    기판 상에 위치한 하부 배선;
    상기 하부 배선 상에 위치한 스톱핑 절연층;
    상기 하부 배선 상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 배선과 콘택된 콘택 비아;
    상기 스톱핑 절연층 상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 배선과 콘택되지 않는 플로팅 비아; 및
    상기 콘택 비아 상에 위치하고, 상기 스톱핑 절연층 내에 위치한 비아홀을 통해 상기 콘택 비아와 콘택된 상부 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비아는 상기 콘택 비아와 다른 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플로팅 비아는 상기 콘택 비아의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비아는 상기 콘택 비아를 둘러싸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비아 및 상기 상부 배선 상에 위치하여 상기 플로팅 비아 및 상기 상부 배선과 모두 콘택되는 콘택 비아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배선은 상기 기판 상에 라인 형태로 배치된 라인형 배선 또는 아일랜드 형태로 배치된 아일랜드형 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주변 회로 구조물; 및
    상기 주변 회로 구조물의 상부에 위치하는 셀 어레이 구조물을 포함하되,
    상기 주변 회로 구조물은,
    기판 상에 위치한 제1 하부 배선;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1 하부 배선과 수평 방향으로 떨어지면서 인접하여 위치한 제2 하부 배선;
    상기 제1 하부 배선 및 제2 하부 배선 상에 위치하고 제2 하부 배선을 노출하는 비아홀을 갖는 스톱핑 절연층;
    상기 스톱핑 절연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하부 배선과 콘택되지 않는 제1 플로팅 비아;
    상기 제2 하부 배선 상에 위치하고 상기 비아홀을 통해 상기 제2 하부 배선과 콘택된 콘택 비아; 및
    상기 콘택 비아 상에 위치하고 상기 콘택 비아와 콘택된 상부 배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서 수평적으로 상기 콘택 비아 및 상기 제2 하부 배선의 타측에 제3 하부 배선이 더 위치하고,
    상기 제3 하부 배선 상에는 상기 제3 하부 배선과 콘택되지 않는 제2 플로팅 비아가 더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서 수평적으로 상기 콘택 비아 및 상기 제2 하부 배선의 타측에 제3 하부 배선이 더 위치하고,
    상기 콘택 비아를 둘러싸면서 상기 제1 플로팅 비아와 연결되고 상기 제2 하부 배선 및 제3 하부 배선과 콘택되지 않는 제3 플로팅 비아가 더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9. 주변 회로 구조물; 및
    상기 주변 회로 구조물의 상부에 위치하는 셀 어레이 구조물을 포함하되,
    상기 주변 회로 구조물은,
    기판 상에 위치한 제1 하부 배선, 상기 제1 하부 배선과 수평 방향으로 떨어지면서 인접하여 위치한 제2 하부 배선을 포함하는 제1 배선 레벨;
    상기 제1 배선 레벨에서 상기 제1 하부 배선 및 제2 하부 배선간을 절연하는 제1 절연층;
    상기 제1 하부 배선, 제2 하부 배선 및 제1 절연층 상에 위치하고, 제2 하부 배선을 노출하는 비아홀을 갖는 스톱핑 절연층;
    상기 스톱핑 절연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하부 배선과 콘택되지 않는 제1 플로팅 비아;
    상기 제2 하부 배선 상에 위치하고 상기 비아홀을 통해 상기 제2 하부 배선과 콘택된 콘택 비아;
    상기 콘택 비아 및 제1 플로팅 비아를 절연하는 비아 절연층;
    상기 콘택 비아 상에 위치하고 상기 콘택 비아와 콘택된 상부 배선을 포함하는 제2 배선 레벨; 및
    상기 제2 배선 레벨에서 상기 상부 배선을 둘러싸는 제2 절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로팅 비아는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는 폴리실리콘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콘택 비아는 도전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0200081065A 2020-07-01 2020-07-01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220003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065A KR20220003359A (ko) 2020-07-01 2020-07-01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17/209,871 US11973025B2 (en) 2020-07-01 2021-03-23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CN202110587998.XA CN113889481A (zh) 2020-07-01 2021-05-27 三维半导体存储器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065A KR20220003359A (ko) 2020-07-01 2020-07-01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359A true KR20220003359A (ko) 2022-01-10

Family

ID=79010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065A KR20220003359A (ko) 2020-07-01 2020-07-01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73025B2 (ko)
KR (1) KR20220003359A (ko)
CN (1) CN113889481A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4226A (ja) 2003-08-12 2005-03-10 Renesas Technology Corp 配線構造
US7547584B2 (en) 2005-05-27 2009-06-16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of reducing charging damage to integrated circuits during semiconductor manufacturing
KR102128469B1 (ko) 2013-11-08 2020-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KR102307060B1 (ko) * 2014-12-03 2021-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KR102310511B1 (ko) 2014-12-19 2021-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KR20160124294A (ko) 2015-04-16 2016-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주변 영역 상에 적층된 셀 영역을 갖는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69334B1 (ko) 2017-11-08 2022-11-23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CN108831886A (zh) * 2018-09-21 2018-11-16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三维存储器
US11037952B2 (en) * 2018-09-28 2021-06-1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Peripheral circuitry under array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73025B2 (en) 2024-04-30
CN113889481A (zh) 2022-01-04
US20220005759A1 (en)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5678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방법
US10229929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including protrusion pads
KR101543331B1 (ko) 메탈 소스 라인을 갖는 수직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US9305830B2 (en) Methods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s
US20220173032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8426272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s including shared bit lin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285788B1 (ko)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20190091672A (ko) 3차원 구조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90034864A (ko) 반도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90128779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86746A (ko) 메모리 장치
KR20150087991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94985A (ko) 3차원 반도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00088829A (ko) 3차원 반도체 소자
KR20200007212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방법
KR20110104317A (ko) 수직 채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KR102648581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CN111564449B (zh) 存储器元件及其制作方法
US20220130851A1 (en) Vertical memory device
KR20150017600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20210156055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00039704A (ko) 공통 비트 라인을 가지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KR20210039183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4203809A (zh) 存储装置以及该存储装置的制造方法
KR101642929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