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3526A - 골프 클럽 헤드 및 골프 클럽 - Google Patents

골프 클럽 헤드 및 골프 클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3526A
KR20210153526A KR1020210063876A KR20210063876A KR20210153526A KR 20210153526 A KR20210153526 A KR 20210153526A KR 1020210063876 A KR1020210063876 A KR 1020210063876A KR 20210063876 A KR20210063876 A KR 20210063876A KR 20210153526 A KR20210153526 A KR 20210153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club
club head
head
moi
lat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4872B1 (ko
Inventor
리오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53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08Heads characterised by specific dimensions, e.g.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66Heads wood-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과제) 횡 관성 모멘트뿐만 아니라 종 관성 모멘트도 향상시키는 것.
(해결 수단) 골프 클럽 헤드는 우드형의 골프 클럽 헤드로서, 상기 골프 클럽 헤드를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기정의 라이각 및 로프트각의 자세로 설치했을 경우의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토우측의 정점과 백측의 정점을 연결한 직선과, 상기 크라운의 윤곽의 거리가 15㎜ 이하이며,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페이스·백 방향의 길이가 110㎜ 이상이다.

Description

골프 클럽 헤드 및 골프 클럽{GOLF CLUB HEAD AND GOLF CLUB}
본 발명은 우드형의 골프 클럽 헤드 및 상기 골프 클럽 헤드를 갖는 골프 클럽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오프 센터 히트 시에 있어서의 비거리의 감소를 막기 위해서 골프 클럽 헤드의 무게 중심 주위의 관성 모멘트를 향상시키는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좌우 방향의 관성 모멘트(횡 관성 모멘트)를 2000g·㎠ 이상으로 설정한 골프 클럽 헤드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평 09-253242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는 골프 클럽 헤드의 횡 관성 모멘트는 커지지만, 상하 방향의 관성 모멘트(종 관성 모멘트)에 대해서는 종래보다 작게 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점, 비거리 중 캐리는 일부의 볼 초속 영역에 있어서 종 관성 모멘트가 작은 쪽이 커지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종 관성 모멘트가 작으면, 오프 센터 히트 시에 있어서의 볼 초속이 감소하기 때문에 토탈 비거리의 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따라서, 대부분의 볼 초속 영역에서 종 관성 모멘트가 큰 쪽이 비거리에 있어서 유리하다.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횡 관성 모멘트뿐만 아니라 종 관성 모멘트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골프 클럽 헤드 및 상기 골프 클럽 헤드를 갖는 골프 클럽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형태에 의한 골프 클럽 헤드는 우드형의 골프 클럽 헤드로서, 상기 골프 클럽 헤드를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기정의 라이각 및 로프트각의 자세로 설치했을 경우의 평면으로 볼 때,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토우측의 정점과 백측의 정점을 연결한 직선과, 크라운의 윤곽의 거리가 15㎜ 이하이며,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페이스·백 방향의 길이가 110㎜ 이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종 관성 모멘트(헤드의 무게 중심을 지나는 토우·힐 방향 축 주위의 관성 모멘트)가 증가하지 않는 영역 또한 횡 관성 모멘트(헤드의 무게 중심을 지나는 연직 방향 축 주위의 관성 모멘트)가 증가하는 영역을 최대한 줄임으로써 횡 관성 모멘트뿐만 아니라 종 관성 모멘트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우측의 정점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토우측의 단부 중 가장 백측의 점이어도 좋고, 상기 백측의 정점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백측의 단부 중 가장 토우측의 점이어도 좋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무게 중심을 지나는 연직 방향 축 주위의 관성 모멘트는 5000g·㎠ 이상 6000g·㎠ 이하이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오프 센터 히트 시, 특히 토우 힐 방향으로 벗어났을 경우에 볼 초속의 감소분이 적고, 사이드 스핀이 감소하여 쳐냄 방향을 안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무게 중심을 지나는 토우·힐 방향 축 주위의 관성 모멘트는 4000g·㎠ 이상이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오프 센터 히트 시, 특히 상하 방향으로 벗어났을 경우에 볼 초속의 감소분이 적고, 사이드 스핀이 감소하여 쳐냄 방향을 안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토우·힐 방향의 길이가 110㎜ 이상이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한정된 헤드 중량으로 헤드 치수를 크게 함으로써 횡 관성 모멘트뿐만 아니라 종 관성 모멘트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상기 페이스와 상기 솔의 경계인 리딩 에지로부터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무게 중심까지의 상기 페이스·백 방향의 거리는 40㎜ 이상이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무게 중심 심도를 크게 함으로써 볼 초속의 감소량을 적게 하고, 비거리에의 기여도는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골프 클럽은 상기 중 어느 하나의 골프 클럽 헤드와, 상기 골프 클럽 헤드에 부착된 골프 클럽 샤프트를 갖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횡 관성 모멘트뿐만 아니라 종 관성 모멘트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효과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골프 클럽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골프 클럽의 골프 클럽 헤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형상을 종래예와 비교해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상기 골프 클럽의 비거리 성능 및 방향 안정성에 관한 효과를 종래예와 비교해서 나타낸 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골프 클럽 헤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골프 클럽 헤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골프 클럽 헤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의 비교예에 의한 골프 클럽 헤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의 골프 클럽 헤드가 취할 수 있는 형상의 범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우선,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골프 클럽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상기 골프 클럽의 골프 클럽 헤드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은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형상을 종래예와 비교해서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골프 클럽(100)은 헤드(1)와, 상기 헤드(1)에 일단이 부착되는 샤프트(2)와, 샤프트(2)의 타단에 부착되는 그립(3)을 갖는다.
샤프트(2)는 예를 들면, 소켓 등을 개재하여 헤드(1)에 부착되지만, 소켓 등을 개재하지 않고 직접 부착되어도 좋다.
헤드(1)는 페이스부(1a), 크라운부(1b) 및 솔부(1c)를 갖고, 그들에 의해 내부 공간이 형성된 중공 구조를 갖는 우드형(예를 들면, 드라이버)의 헤드이다. 헤드(1)는 예를 들면, 64 티탄 등의 금속에 의해 제조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헤드(1)는 횡 관성 모멘트(헤드의 무게 중심(G)을 지나는 연직 방향(도 2의 Y방향) 축 주위의 관성 모멘트, 이하 횡 MOI라고도 함)뿐만 아니라 종 관성 모멘트(헤드의 무게 중심을 지나는 토우·힐 방향(도 2의 X방향) 축 주위의 관성 모멘트, 이하 종 MOI라고도 함)도 향상시키기 위해서 종래의 헤드와 비교해서 크게 그 형상을 변경하여 평면으로 볼 때 삼각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한 헤드(1)의 형상을 종래예와의 비교에 있어서 설명한다. 도 3은 헤드(1)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으로 볼 때의 헤드 외형을 나타낸 것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형상은 일반적으로는 동 도면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라운이 둥그스름한 모양을 띠고 있다. 이러한 헤드라면,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횡 MOI를 크게 하기 쉽다는 특징이 있지만, 종 MOI는 크게 할 수 없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헤드와 본 실시형태에 의한 헤드(1)의 각 무게 중심(G)을 중심으로 해서 소정 반경마다 복수의 원을 그린다(내측으로부터 파선 원, 1점 쇄선 원, 2점 쇄선 원). 2점 쇄선 원은 종래의 헤드의 외형에 가까운 반경이다.
여기서, 무게 중심(G)으로부터 먼 위치에 중량이 있을수록 중량당 횡 MOI는 커진다. 즉, 파선 원보다 1점 쇄선 원의 부근, 1점 쇄선 원의 부근보다 2점 쇄선 원 부근에 중량을 배치하는 쪽이 횡 MOI가 커진다.
동 도면 (A)와 (B)의 2개의 헤드를 비교하면, 종래의 헤드의 쪽이 2점 쇄선보다 중심으로부터 멀리 있는 영역이 많아 횡 MOI를 크게 하기 쉬운 헤드라고 말할 수 있다. 횡 MOI는 골프 용구 규칙상 5900g·㎠ 이상으로 할 수는 없다. 종래의 헤드에서 2점 쇄선보다 멀리 중량을 배치해 가면, 횡 MOI가 규칙 상한의 5900g·㎠에 달한다.
그 때에, 종래의 헤드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여러 가지 균형으로부터 종 MOI는 4000~4300g·㎠ 정도가 된다. 그 때문에 더욱 종 MOI를 크게 하려고 하면, 종 MOI가 증가하지 않는 영역 또한 횡 MOI가 증가하는 영역을 줄일 필요가 있다.
종 MOI는 무게 중심(G)으로부터의 거리가 아니라 무게 중심(G)을 지나는 토우 힐 방향의 축(Lg)으로부터의 거리가 먼 개소에 중량을 배치할수록 크게 할 수 있다. 횡 MOI와 종 MOI의 양방에 대해서 생각해 보면, 무게 중심(G)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동 도면에 나타내는 이하의 A, B, C의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영역 A, B, C는 헤드 전체 길이를 대략 5분할(20%씩 분할)한 영역이다.
A: 영향 정도가 횡 MOI≒종 MOI로 되고, 거의 비슷하게 커져 가는 영역.
B: 영향 정도가 횡 MOI>종 MOI로 되기 쉬운 영역. 가능한 한 이 영역의 중량을 줄인 쪽이 종 MOI가 횡 MOI에 가까워져 간다.
C: 영향 정도가 횡 MOI>>종 MOI로 되고, 종 MOI를 크게 하고 싶으면 중량을 필요 최저한 이외 가하지 않는 쪽이 좋은 영역.
그렇게 하면, 종래의 헤드는 횡 MOI는 크게 하기 쉽지만, 종 MOI는 크게 하기 어려운 헤드라고 말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헤드(1)는 크라운·토우측의 윤곽이 영역 C까지 돌출되어 있다. 이것은 한정된 헤드 중량으로 가능한 한 헤드 치수를 크게 하기 위해서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1)의 페이스·백 방향(Z방향)의 길이(Lz)는 1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이다. 또한, 헤드(1)의 토우·힐 방향(X방향)의 길이(Lx)도 1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이다. 단, 골프 용구 규칙상은 127㎜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헤드(1)의 윤곽은 상기 크라운·토우측으로부터 백측을 향해 직선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즉, 헤드(1)는 상기 헤드(1)의 기정의 라이각 및 로프트각의 자세로 설치했을 경우의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토우측의 정점 P와 백측의 정점 Q를 연결한 직선 PQ로부터 크라운(1b)의 윤곽과의 거리가 15㎜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동 도면의 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점 P와 정점 Q 사이의 윤곽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거리는 실질적으로 0이다.
여기서, 상기 토우측의 정점이 한 점으로 정해지지 않은 경우(직선 형상의 경우나 복수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점은 토우측의 단부 중 가장 백측의 점이며, 상기 백측의 정점이 한 점으로 정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점은 백측의 단부 중 가장 토우측의 점이다.
이렇게 형성되는 것은 헤드(1)의 토우측으로부터 가능한 한 상기 영역 B, C의 중량을 줄이기 위해서이다. 종래의 헤드와 같이 둥그스름한 모양을 띠는 것보다 직선 형상 또는 직선에 가까운 형상으로 함으로써 영역 B, C로부터 가능한 한 중량을 줄일 수 있다. 단, 규칙상 헤드(1)의 표면을 오목 형상으로 형성할 수는 없기 때문에 규칙 내이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최적이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와 같이 영역 A 또한 2점 쇄선 원보다 먼 영역인 백측의 영역을 가능한 한 크게 함으로써 횡 MOI를 크게 하면서 종 MOI도 거의 마찬가지로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1)의 토우측뿐만 아니라 힐측의 윤곽도 직선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최대한 영역 B나 C의 영역을 줄일 수 있다. 단, 상기 힐측의 윤곽이 둥그스름한 모양을 띰으로써 헤드(1)를 둔 자세의 허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나, 애초 토우측과 다른 영역 B, C의 영역을 너무 줄이지 않는 것을 고려하면, 힐측의 윤곽을 직선 형상으로 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라 목적에 따라 적당히 변경해야 할 개소이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1)의 최전방부(페이스(1a)와 솔(1c)의 경계인 리딩 에지)로부터 헤드(1)의 무게 중심(G)까지의 페이스·백 방향(Z방향)의 거리(무게 중심 심도(GD))는 4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65㎜ 이하이다.
이것에 의해 무게 중심 심도를 크게 함으로써 볼 초속의 감소량을 적게 하고, 비거리에의 기여도는 크게 할 수 있다. 무게 중심 심도(GD)를 65㎜ 이상으로 하면, 페이스(1a)가 일정 중량 있는 관계상 헤드(1)의 중량이 지나치게 무거워져서 헤드 스피드가 느려져 버리기 때문에 무게 중심 심도(GD)가 지나치게 큰 것은 설계상 어려워 실용성이 결여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헤드(1)의 횡 MOI는 5000g·㎠ 이상 6000g·㎠ 이하, 바람직하게는 5500g·㎠ 이상 6000 g·㎠ 이하로 되고, 헤드(1)의 종 MOI는 4000g·㎠ 이상, 바람직하게는 5000g·㎠ 이상으로 된다.
도 4는 상기 헤드(1)를 갖는 골프 클럽(100)의 비거리 성능 및 방향 안정성에 관한 효과의 일례를 이론 계산식으로 계산하여 종래예와 비교해서 나타낸 표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헤드(1)는 횡 MOI가 5700g·㎠, 종 MOI가 4800g·㎠로 모두 종래의 헤드보다 대폭 향상되어 있다. 실제의 시타 테스트에서도 평균 비거리, 안정성에서 우위성이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횡 MOI도 종 MOI도 큼으로써 비거리 안정성, 평균 비거리 향상, 좌우 방향 안정성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횡 MOI가 크면, 토우·힐 방향에 있어서의 오프 센터 히트 시의 볼 초속의 감소분이 적어지고, 종 MOI가 크면, 상하 방향(크라운·솔 방향)에 있어서의 오프 센터 히트 시의 볼 초속의 감소분이 적어진다. 이것에 의해, 스핀량 및 쳐냄각 변화량이 감소하고, 볼이 안정하다. 이것은 횡 MOI와 종 MOI가 크면, 오프 센터 히트 시에 있어서의 헤드(1)의 회전 운동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직선 PQ로부터 크라운(1b)의 윤곽과의 거리가 15㎜ 이하가 되도록 설계하고, 횡 MOI에 종 MOI를 가깝게 해 가면, 횡 MOI/종 MOI≤ 1.25라는 조건이 달성된다.
일반적으로 헤드는 직선 PQ로부터 크라운의 윤곽과의 거리를 작게 하려고 하면, 페이스나 네크가 있는 관계상 기본적으로는 횡 MOI의 쪽이 커진다. 이것이 상기에서 기술한 여러 가지 균형으로부터 횡 MOI가 5900일 때에 통상의 설계라면, 종 MOI는 4000~4300 정도까지 밖에 안 되는 이유이다. 실제로 지금까지 개발된 모든 헤드에 있어서, 종 MOI가 4000를 초과하는 것은 거의 전무하다.
그러나, 실제의 횡 MOI와 종 MOI의 중요도에서 말하면, 횡 MOI:종 MOI=3:2~5:4 정도이며, 횡 MOI의 쪽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종 MOI도 어느 정도 중요하다. 예를 들면, 비거리 성능은 횡 MOI 6000g·㎠, 종 MOI 4000g·㎠의 경우보다 횡 MOI 5500g·㎠, 종 MOI 4700g·㎠의 경우의 쪽이 향상된다.
따라서, 종 MOI도 중요하며, 상기와 같은 구조로 해 가면, 횡 MOI/종 MOI≤1.25가 달성되어 비거리 성능이 우수한 헤드로 할 수 있다.
횡 MOI/종 MOI≤1.25의 비율을 달성할 때에 있어서는 비거리 성능과 외관 등의 여러가지 균형 등을 생각할 필요가 있지만, 그러한 균형을 무시하고 비거리 성능 특화함으로써 종 MOI에 있어서 5000g·㎠ 이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때문에 횡 MOI/종 MOI≤1.25를 달성하는 것은 비거리 성능상 유효하지만, 거기에서 어느 정도 종 MOI를 향상시킬지는 헤드(1)의 컨셉트 등에 따라 바꿔 가면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종 MOI가 증가하지 않는 영역 또한 횡 MOI가 증가하는 영역을 최대한 줄임으로써 횡 MOI뿐만 아니라 종 MOI도 향상시키고, 비거리 성능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 및 이후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 및 구성을 갖는 개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골프 클럽 헤드의 평면도이다.
상술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헤드(1)의 토우측의 정점 P와 백측의 정점 Q 사이의 헤드(1)의 윤곽은 직선 형상으로 되고, 상기 정점 P와 정점 Q를 연결한 직선 PQ로부터 크라운(1b)의 윤곽과의 거리는 거의 0으로 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우측의 정점 P와 백측의 정점 Q 사이의 헤드(1)의 윤곽은 약간 둥그스름한 모양을 띠고 있으며, 직선 PQ로부터 크라운(1b)의 윤곽과의 거리는 5㎜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종 MOI가 증가하지 않는 영역 또한 횡 MOI가 증가하는 영역을 최대한 줄임으로써 횡 MOI뿐만 아니라 종 MOI도 향상시키고, 비거리 성능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골프 클럽 헤드의 페이스 부분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우측의 정점 P와 백측의 정점 Q 사이의 헤드(1)의 윤곽은 제 2 실시형태보다 더욱 둥그스름한 모양을 띠고 있으며, 직선 PQ로부터 크라운(1b)의 윤곽과의 거리는 10㎜로 되어 있다. 이라고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종 MOI가 증가하지 않는 영역 또한 횡 MOI가 증가하는 영역을 최대한 줄임으로써 횡 MOI뿐만 아니라 종 MOI도 향상시키고, 비거리 성능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골프 클럽 헤드의 페이스 부분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우측의 정점 P와 백측의 정점 Q 사이의 헤드(1)의 윤곽은 제 3 실시형태보다 더욱 둥그스름한 모양을 띠고 있으며, 직선 PQ로부터 크라운(1b)의 윤곽과의 거리는 15㎜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종 MOI가 증가하지 않는 영역 또한 횡 MOI가 증가하는 영역을 최대한 줄임으로써 횡 MOI뿐만 아니라 종 MOI도 향상시키고, 비거리 성능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상기 제 1 내지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헤드(1)와의 비교예로서, 직선 PQ로부터 크라운(1b)의 윤곽과의 거리가 20㎜로 된 헤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헤드는 종래의 헤드와 거의 마찬가지의 형상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1)가 취할 수 있는 형상의 범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토우측의 정점 P와 백측의 정점 Q 사이의 헤드(1)의 윤곽은 정점 P 및 Q로부터의 각 윤곽 연장선과, 직선 PQ와, 그것을 외측으로 15㎜ 평행 이동시킨 직선으로 둘러싸여지는, 동 도면에 있어서의 사선 영역 내에 들어가면 좋은 것이 된다.
[변형예]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직선 PQ로부터 크라운(1b)의 윤곽과의 거리가 15㎜ 이하이고 또한 헤드의 페이스·백 방향의 길이가 110㎜ 이상이면 성립하고, 그 이외의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조건은 필수는 아니다.
본 발명의 헤드(1)의 형상은 상술의 각 실시형태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당히 변경이 가능하다.
상술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드라이버에 적용한 예가 나타내어졌지만, 페어페이우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가능하다.
1…헤드 1a…페이스부
1b…크라운부 1c…솔부
2…샤프트 3…그립
100…골프 클럽 G…무게 중심
GD…무게 중심 심도

Claims (9)

  1. 우드형의 골프 클럽 헤드로서,
    상기 골프 클럽 헤드를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기정의 라이각 및 로프트각의 자세로 설치했을 경우의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토우측의 정점과 백측의 정점을 연결한 직선과, 크라운의 윤곽의 거리가 15㎜ 이하이며,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페이스·백 방향의 길이가 110㎜ 이상인 골프 클럽 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무게 중심을 지나는 연직 방향 축 주위의 관성 모멘트가 5000g·㎠ 이상 6000g·㎠ 이하인 골프 클럽 헤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중심을 지나는 토우·힐 방향 축 주위의 관성 모멘트가 4000g·㎠ 이상인 골프 클럽 헤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토우·힐 방향의 길이가 110㎜ 이상인 골프 클럽 헤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페이스와 솔의 경계인 리딩 에지로부터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무게 중심까지의 상기 페이스·백 방향의 거리가 40㎜ 이상인 골프 클럽 헤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골프 클럽 헤드와,
    상기 골프 클럽 헤드에 부착되는 골프 클럽 샤프트를 구비하는 골프 클럽.
  7. 제 4 항에 있어서,
    페이스와 솔의 경계인 리딩 에지로부터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무게 중심까지의 상기 페이스·백 방향의 거리가 40㎜ 이상인 골프 클럽 헤드.
  8. 제 7 항에 기재된 골프 클럽 헤드와,
    상기 골프 클럽 헤드에 부착되는 골프 클럽 샤프트를 구비하는 골프 클럽.
  9. 제 5 항에 기재된 골프 클럽 헤드와,
    상기 골프 클럽 헤드에 부착되는 골프 클럽 샤프트를 구비하는 골프 클럽.
KR1020210063876A 2020-06-10 2021-05-18 골프 클럽 헤드 및 골프 클럽 KR102594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00824 2020-06-10
JP2020100824A JP2021194121A (ja) 2020-06-10 2020-06-10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ゴルフクラブ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526A true KR20210153526A (ko) 2021-12-17
KR102594872B1 KR102594872B1 (ko) 2023-10-27

Family

ID=78973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876A KR102594872B1 (ko) 2020-06-10 2021-05-18 골프 클럽 헤드 및 골프 클럽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1194121A (ko)
KR (1) KR102594872B1 (ko)
CN (1) CN113842617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3242A (ja) 1996-03-19 1997-09-30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467717B2 (ja) * 2006-10-25 2014-04-09 アクシュネット カンパニー 慣性モーメントが改良されたメタルウッドクラブ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4055A (en) * 1992-10-27 1994-10-11 Mackeil Robert F Golf club head with rearward center of gravity and diagonal orientation
US6796911B2 (en) * 2003-01-10 2004-09-28 Macgregor Golf Company High moment of inertia putter
US7674189B2 (en) * 2007-04-12 2010-03-09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
JP2009066293A (ja) * 2007-09-14 2009-04-02 Sri Sports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9268835A (ja) * 2008-05-09 2009-11-19 Yokohama Rubber Co Ltd:The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ゴルフクラブ
JP6074220B2 (ja) * 2012-10-17 2017-02-01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3242A (ja) 1996-03-19 1997-09-30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467717B2 (ja) * 2006-10-25 2014-04-09 アクシュネット カンパニー 慣性モーメントが改良されたメタルウッドクラ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842617A (zh) 2021-12-28
JP2021194121A (ja) 2021-12-27
CN113842617B (zh) 2023-01-13
KR102594872B1 (ko) 2023-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0408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5161692B2 (ja)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セット
JP5314319B2 (ja)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4500296B2 (ja)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8005994A (ja)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8161307A (ja)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20089737A (ja) 空力抵抗を低下させる移行領域を備えた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8259582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102400750B1 (ko) 중공 골프 클럽 헤드
JP2003024481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0105580B2 (en) Iron type golf club set
JP5359782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H1133145A (ja)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1054599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20210153526A (ko) 골프 클럽 헤드 및 골프 클럽
KR102263793B1 (ko)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 및 이것을 구비한 골프 클럽 세트
JP2021151391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ゴルフクラブ
US10155142B2 (en) Wood-type golf club head
JPH09154984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9956461B2 (en) Iron type golf club set
KR102521233B1 (ko) 골프 클럽 헤드 및 골프 클럽
JP2018008016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およびゴルフクラブ
JP2014168644A (ja) パター型の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5168998A (ja)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これを備えた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
JP2542523B2 (ja) ゴルフ用ウッドクラブ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