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750B1 - 중공 골프 클럽 헤드 - Google Patents

중공 골프 클럽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0750B1
KR102400750B1 KR1020170047205A KR20170047205A KR102400750B1 KR 102400750 B1 KR102400750 B1 KR 102400750B1 KR 1020170047205 A KR1020170047205 A KR 1020170047205A KR 20170047205 A KR20170047205 A KR 20170047205A KR 102400750 B1 KR102400750 B1 KR 102400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heel
toe
boundary line
groo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415A (ko
Inventor
나루히로 미즈타니
다이스케 고노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3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33Heads with special sole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45Details of grooves or the like on the impact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66Heads wood-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52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with sli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08Heads characterised by specific dimensions, e.g.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37Heads with special crown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8Golf club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obtaining a variable impa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울 홈에 기인하는 반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골프 클럽 헤드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헤드(2)의 소울(6)은, 토우측으로부터 힐측으로 연장되는 홈(20)을 갖고 있다. 홈(20)은, 센터 홈부(20c)와, 토우 홈부(20t)와, 힐 홈부(20h)를 갖고 있다. 홈깊이(D)의 변화에 기인하여, 센터 홈부(20c)와 토우 홈부(20t)의 경계에 토우 경계선(kt)이 형성되어 있다. 홈깊이(D)의 변화에 기인하여, 센터 홈부(20c)와 힐 홈부(20h)의 경계에 힐 경계선(kh)이 형성되어 있다. 토우 홈부(20t) 및 힐 홈부(20h)는, 페이스-백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헤드(2)는, 중공 골프 클럽 헤드이다.

Description

중공 골프 클럽 헤드{HOLLOW GOLF CLUB HEAD}
본 발명은 중공 골프 클럽 헤드에 관한 것이다.
중공 골프 클럽 헤드에 있어서, 소울에 홈을 갖는 헤드가 알려져 있다. 이 홈의 단면형상은, 헤드의 내측을 향해 볼록해지도록 구부러져 있다. 소울에 형성된 홈은 반발 성능의 향상에 기여한다. 미국 특허 공개 공보 US2015/0367205는, 소울에 채널이 마련된 헤드를 개시한다. 이 채널의 깊이는 변화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미국 특허 공개 공보 US2015/0367205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서, 소울에 형성된 홈의 깊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 깊이의 변화에 기인하여, 새로운 문제가 생기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울 홈에 기인하는 반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골프 클럽 헤드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골프 클럽은, 페이스 및 소울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소울이, 토우측으로부터 힐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홈깊이가 변화하고 있는 홈을 갖고 있다. 상기 홈이, 센터 홈부와, 상기 센터 홈부보다 토우측에 위치하는 토우 홈부와, 상기 센터 홈부보다 힐측에 위치하는 힐 홈부를 갖고 있다. 홈깊이의 상기 변화에 기인하여, 상기 센터 홈부와 상기 토우 홈부의 경계에 토우 경계선이 형성되어 있다. 홈깊이의 상기 변화에 기인하여, 상기 센터 홈부와 상기 힐 홈부의 경계에 힐 경계선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우 경계선 및 상기 힐 경계선이, 페이스-백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이 헤드는 중공형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드는 다음 (a), (b) 또는 (c)를 만족시킨다.
(a) 상기 센터 홈부의 홈깊이가 상기 토우 홈부의 홈깊이보다 작다.
(b) 상기 센터 홈부의 홈깊이가 상기 힐 홈부의 홈깊이보다 작다.
(c) 상기 센터 홈부의 홈깊이가 상기 토우 홈부의 홈깊이보다 작고, 또한 상기 센터 홈부의 홈깊이가 상기 힐 홈부의 홈깊이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이, 페이스측의 내벽면과 백측의 내벽면을 갖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우 경계선 및 상기 힐 경계선이, 상기 백측의 내벽면에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이, 페이스측의 내벽면과 백측의 내벽면을 갖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우 경계선 및 상기 힐 경계선이, 상기 페이스측의 내벽면에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한 다른 헤드는, 페이스 및 소울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소울이, 센터 홈 부재부와, 상기 센터 홈 부재부의 토우측에 인접하고 또한 토우측으로부터 힐측으로 연장되는 토우 홈과, 상기 센터 홈 부재부의 힐측에 인접하고 또한 토우측으로부터 힐측으로 연장되는 힐 홈을 갖고 있다. 상기 센터 홈 부재부와 상기 토우 홈의 경계에 토우 경계선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센터 홈 부재부와 상기 힐 홈의 경계에 힐 경계선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우 경계선 및 상기 힐 경계선이, 페이스-백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이 헤드는 중공형이다.
바람직한 또 다른 헤드는, 페이스 및 소울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소울이, 토우측으로부터 힐측으로 연장되는 센터 홈과, 상기 센터 홈의 토우측에 인접하는 토우 홈 부재부와, 상기 센터 홈의 힐측에 인접하는 힐 홈 부재부를 갖고 있다. 상기 센터 홈과 상기 토우 홈 부재부의 경계에 토우 경계선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센터 홈과 상기 힐 홈 부재부의 경계에 힐 경계선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우 경계선 및 상기 힐 경계선이, 페이스-백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이 헤드는 중공형이다.
상기 토우 경계선 및 상기 힐 경계선이, 백측으로 갈수록 외측이 되도록 경사져 있어도 좋다. 상기 토우 경계선 및 상기 힐 경계선이, 백측으로 갈수록 내측이 되도록 경사져 있어도 좋다. 상기 토우 경계선 및 상기 힐 경계선이, 저면시에 있어서 만곡되어 있어도 좋다.
소울 홈에 기인하는 반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헤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헤드를 힐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헤드를 토우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4는 도 1의 헤드의 배면도.
도 5는 도 1의 헤드의 저면도.
도 6은 토우 홈부의 존재 영역에서의 헤드의 단면도.
도 7은 센터 홈부의 존재 영역에서의 헤드의 단면도.
도 8은 힐 홈부의 존재 영역에서의 헤드의 단면도.
도 9는 도 5와 동일한 저면도.
도 10은 홈깊이의 분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헤드의 저면도.
도 12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헤드의 저면도.
도 13은 기준 상태에 관한 수평면(HP) 및 기준 수직면(VP)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적절하게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용어의 정의〕
본원에서의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기준 상태]
기준 상태란, 소정의 라이각 및 리얼 로프트각으로 헤드가 수평면(HP) 상에 배치된 상태이다. 이 기준 상태에서는, 헤드의 샤프트 구멍의 중심축선(Z)(샤프트축선(Z))이 기준 수직면(VP) 내에 배치되어 있다(도 13 참조). 기준 수직면(VP)은 수평면(HP)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이다. 이 기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선(Z)은 상기 수평면(HP)에 대하여 상기 라이각으로 기울어져 있고, 헤드의 페이스면은 상기 기준 수직면(VP)에 대하여 상기 리얼 로프트각으로 기울어져 있다.
[토우-힐 방향]
상기 기준 상태의 헤드에 있어서, 상기 기준 수직면(VP)과 상기 수평면(HP)의 교선의 방향이 토우-힐 방향이다.
[페이스-백 방향]
상기 토우-힐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고 또한 상기 수평면(HP)에 평행한 방향이 페이스-백 방향이다. 페이스-백 방향은 전후 방향이기도 한다. 페이스측은 전방측이라고도 칭해진다.
[상하 방향]
상기 토우-힐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고 또한 상기 페이스-백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이 상하 방향이다.
[페이스 센터(Fc)]
우선, 상하 방향 및 토우-힐 방향에 있어서, 페이스면의 대략 중앙 부근의 임의의 점(Pr)이 선택된다. 다음으로, 이 점(Pr)을 통과하고, 그 점(Pr)에서의 페이스면의 법선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또한 토우-힐 방향에 평행한 평면이 결정된다. 이 평면과 페이스면의 교선을 그어, 그 중점(Px)이 결정된다. 다음으로, 이 중점(Px)을 통과하고, 그 점(Px)에서의 페이스면의 법선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또한 상하 방향에 평행한 평면이 결정된다. 이 평면과 페이스면의 교선을 그어, 그 중점(Py)이 결정된다. 다음으로, 이 중점(Py)을 통과하고, 그 점(Py)에서의 페이스면의 법선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또한 토우-힐 방향에 평행한 평면이 결정된다. 이 평면과 페이스면의 교선을 그어, 그 중점(Px)이 새롭게 결정된다. 다음으로, 이 새로운 중점(Px)을 통과하고, 그 점(Px)에서의 페이스면의 법선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또한 상하 방향에 평행한 평면이 결정된다. 이 평면과 페이스면의 교선을 그어, 그 중점(Py)이 새롭게 결정된다. 이 공정을 반복하여 Px 및 Py가 순차적으로 결정된다. 이 공정을 반복하는 가운데, 새로운 중점(Py)과 그 직전의 중점(Py) 사이의 거리가 최초로 1 mm 이하가 되었을 때의 그 새로운 위치(Py)(최후의 위치(Py))가 페이스 센터(Fc)이다.
[리딩 엣지]
페이스-백 방향을 따르는 헤드의 단면에 있어서 가장 전방(페이스측)에 위치하는 점이 리딩 엣지이다.
[저면시]
헤드를 하측(소울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평면도가 저면시로 칭해진다. 이 저면시는, 소울면을 평면에 투영한 투영도이다. 이 투영의 방향은 상하 방향이다. 본원에서의 헤드의 저면도가 이 저면시에 해당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골프 클럽 헤드(2)의 정면도이다. 도 2는, 헤드(2)를 힐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3은, 헤드(2)를 토우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4는, 헤드(2)의 배면도이다. 도 5는, 헤드(2)의 저면도이다.
헤드(2)는 우드형 헤드이다. 헤드(2)는 소위 드라이버 헤드이다. 예컨대, 헤드(2)는 하이브리드형(유틸리티형)이어도 좋다. 헤드(2)는 아이언형이어도 좋다. 헤드(2)는 퍼터형이어도 좋다.
헤드(2)는, 크라운(4), 소울(6), 호젤(8) 및 페이스(10)를 갖는다. 크라운(4)은, 페이스(10)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백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소울(6)은, 페이스(10)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백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페이스(10)의 외면은 타격면이다. 이 타격면은 페이스면(f1)이라고도 칭해진다. 도 2가 나타낸 바와 같이, 호젤(8)은 호젤 구멍(12)을 갖는다.
또한, 헤드(2)는 사이드부(14)를 갖는다. 사이드부(14)는, 크라운(4)과 소울(6)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사이드부(14)는 스커트라고도 칭해진다. 사이드부(14)는 없어도 좋다. 또한, 헤드(2)는 리딩 엣지(Le)를 갖는다(도 5 참조).
도 5가 나타낸 바와 같이, 소울(6)은 웨이트 포트(16)를 갖고 있다. 이 웨이트 포트(16)는 소울(6)의 외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웨이트 포트(16)에는 웨이트(도시되지 않음)가 부착된다.
소울(6)은 홈(20)을 갖고 있다. 도 5가 나타낸 바와 같이, 홈(20)은 토우측으로부터 힐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홈(20)과 리딩 엣지(Le)의 사이는 매끄러운 곡면이다. 홈(20)과 리딩 엣지(Le)의 사이에 다른 홈은 존재하지 않는다.
홈(20)은, 소울(6)의 토우측의 엣지로부터 소울(6)의 힐측의 엣지까지 연장되어 있다. 홈(20)은 소울(6)을 횡단하고 있다. 소울(6)을 횡단하는 홈(20)은, 소울(6)을 변형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홈(20)은 반발 계수의 향상에 기여한다. 홈(20)은 사이드부(14)까지 도달해 있어도 좋다.
홈(20)은, 센터 홈부(20c)와, 이 센터 홈부(20c)보다 토우측에 위치하는 토우 홈부(20t)와, 센터 홈부(20c)보다 힐측에 위치하는 힐 홈부(20h)를 갖는다. 센터 홈부(20c)는, 페이스 센터(Fc)보다 토우측의 위치로부터, 페이스 센터(Fc)보다 힐측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토우 홈부(20t)의 전체가 페이스 센터(Fc)보다 토우측에 위치한다. 힐 홈부(20h)의 전체가 페이스 센터(Fc)보다 힐측에 위치한다.
홈(20)의 깊이는 일정하지 않다. 즉, 홈(20)의 깊이는 변화하고 있다. 적어도 토우 경계선(kt) 및 힐 경계선(kh)의 근방에 있어서, 홈(20)의 깊이는 변화하고 있다. 홈(20)의 깊이는, 토우 경계선(kt) 및 힐 경계선(kh)의 근방에서만 변화하고 있어도 좋다. 또, 본원에 있어서, 홈(20)의 깊이는 홈깊이라고도 칭해진다.
도 5가 나타낸 바와 같이, 센터 홈부(20c)와 토우 홈부(20t)의 경계에 토우 경계선(kt)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센터 홈부(20c)와 힐 홈부(20h)의 경계에 힐 경계선(kh)이 형성되어 있다.
토우 경계선(kt)은, 홈깊이의 변화에 기인하여 형성되어 있다. 적어도 토우 경계선(kt)의 근방에 있어서, 홈깊이가 변화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우 경계선(kt)의 근방에 있어서, 토우 경계선(kt)의 토우측의 홈깊이가 토우 경계선(kt)의 힐측의 홈깊이보다 크다. 반대로, 토우 경계선(kt)의 토우측의 홈깊이가 토우 경계선(kt)의 힐측의 홈깊이보다 작아도 좋다.
토우 경계선(kt)은 시인될 수 있는 선이다. 토우 경계선(kt)은 능선이다. 페이스-백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토우 경계선(kt)은 정점이다. 이 정점이 라운딩을 갖고 있어도 좋지만, 그 라운딩의 곡률 반경은 7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힐 경계선(kh)은, 홈깊이의 변화에 기인하여 형성되어 있다. 적어도 힐 경계선(kh)의 근방에 있어서, 홈깊이가 변화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힐 경계선(kh)의 근방에 있어서, 힐 경계선(kh)의 힐측의 홈깊이가 힐 경계선(kh)의 토우측의 홈깊이보다 크다. 반대로, 힐 경계선(kh)의 힐측의 홈깊이가 힐 경계선(kh)의 토우측의 홈깊이보다 작아도 좋다.
힐 경계선(kh)은 시인될 수 있는 선이다. 힐 경계선(kh)은 능선이다. 페이스-백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힐 경계선(kh)은 정점이다. 이 정점이 라운딩을 갖고 있어도 좋지만, 그 라운딩의 곡률 반경은 7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가 나타낸 바와 같이, 토우 경계선(kt)은, 페이스-백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토우 경계선(kt)은, 백측으로 갈수록 외측이 되도록 경사져 있다. 이 「외측」이란, 헤드(2)의 외측이라는 의미이다. 토우 경계선(kt)은, 백측으로 갈수록 토우측이 되도록 경사져 있다. 이 토우 경계선(kt)의 경사는 저면시에 있어서 판단된다.
도 5가 나타낸 바와 같이, 힐 경계선(kh)은, 페이스-백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힐 경계선(kh)은, 백측으로 갈수록 외측이 되도록 경사져 있다. 힐 경계선(kh)은, 백측으로 갈수록 힐측이 되도록 경사져 있다. 이 힐 경계선(kh)의 경사는 저면시에 있어서 판단된다.
본 발명에 관한 헤드는, 다음 (a)~(h)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켜도 좋다.
(a) 센터 홈부(20c)의 홈깊이(Dc)가 토우 홈부(20t)의 홈깊이(Dt)보다 작다.
(b) 센터 홈부(20c)의 홈깊이(Dc)가 힐 홈부(20h)의 홈깊이(Dh)보다 작다.
(c) 센터 홈부(20c)의 홈깊이(Dc)가 토우 홈부(20t)의 홈깊이(Dt)보다 작고, 또한 센터 홈부(20c)의 홈깊이(Dc)가 힐 홈부(20h)의 홈깊이(Dh)보다 작다.
(d) 센터 홈부(20c)의 홈깊이(Dc)가 토우 홈부(20t)의 홈깊이(Dt)보다 크다.
(e) 센터 홈부(20c)의 홈깊이(Dc)가 힐 홈부(20h)의 홈깊이(Dh)보다 크다.
(f) 센터 홈부(20c)의 홈깊이(Dc)가 토우 홈부(20t)의 홈깊이(Dt)보다 크고, 또한 센터 홈부(20c)의 홈깊이(Dc)가 힐 홈부(20h)의 홈깊이(Dh)보다 크다.
(g) 센터 홈부(20c)의 홈깊이(Dc)가 토우 홈부(20t)의 홈깊이(Dt)보다 크고, 또한 센터 홈부(20c)의 홈깊이(Dc)가 힐 홈부(20h)의 홈깊이(Dh)보다 작다.
(h) 센터 홈부(20c)의 홈깊이(Dc)가 토우 홈부(20t)의 홈깊이(Dt)보다 작고, 또한 센터 홈부(20c)의 홈깊이(Dc)가 힐 홈부(20h)의 홈깊이(Dh)보다 크다.
본 실시형태의 헤드(2)는 상기 (a)를 만족시킨다. 즉, 헤드(2)에서는, 센터 홈부(20c)의 홈깊이(Dc)가 토우 홈부(20t)의 홈깊이(Dt)보다 작다.
본 실시형태의 헤드(2)는 상기 (b)를 만족시킨다. 즉, 헤드(2)에서는, 센터 홈부(20c)의 홈깊이(Dc)가 힐 홈부(20h)의 홈깊이(Dh)보다 작다.
본 실시형태의 헤드(2)는 상기 (c)를 만족시킨다. 즉, 헤드(2)에서는, 센터 홈부(20c)의 홈깊이(Dc)가 토우 홈부(20t)의 홈깊이(Dt)보다 작고, 또한 센터 홈부(20c)의 홈깊이(Dc)가 힐 홈부(20h)의 홈깊이(Dh)보다 작다.
도 6은, 토우 홈부(20t)의 존재 영역에서의 헤드(2)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센터 홈부(20c)의 존재 영역에서의 헤드(2)의 단면도이다. 도 8은, 힐 홈부(20h)의 존재 영역에서의 헤드(2)의 단면도이다. 도 6, 도 7 및 도 8은, 페이스-백 방향을 따르고 있고 또한 가상 덮개면(CL2)의 법선 방향(후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헤드(2)의 내부는 공간이다. 헤드(2)는 중공 헤드이다.
도 6이 나타낸 바와 같이, 토우 홈부(20t)는 홈깊이(Dt)와 홈폭(Wt)을 갖는다. 토우 홈부(20t)는, 소울(6)의 외면에 있어서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동시에, 토우 홈부(20t)는, 소울(6)의 내면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 대응한 위치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있다. 도 6이 나타낸 바와 같이, 토우 홈부(20t)(홈(20))의 단면은, 헤드(2)의 내측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구부러져 있다. 이 구부러진 부분은, 페이스-백 방향의 힘에 의해 변형되기 쉽다. 이 만곡 부분은, 임팩트에 있어서 변형되기 쉽다.
도 7이 나타낸 바와 같이, 센터 홈부(20c)는 홈깊이(Dc)와 홈폭(Wc)을 갖는다. 센터 홈부(20c)는, 소울(6)의 외면에 있어서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동시에, 센터 홈부(20c)는, 소울(6)의 내면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 대응한 위치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있다. 도 7이 나타낸 바와 같이, 센터 홈부(20c)의 단면은, 헤드(2)의 내측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구부러져 있다.
도 8이 나타낸 바와 같이, 힐 홈부(20h)는 홈깊이(Dh)와 홈폭(Wh)을 갖는다. 힐 홈부(20h)는, 소울(6)의 외면에 있어서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동시에, 힐 홈부(20h)는, 소울(6)의 내면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 대응한 위치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있다. 도 8이 나타낸 바와 같이, 힐 홈부(20h)의 단면은, 헤드(2)의 내측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구부러져 있다.
도 6 내지 8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홈(20)은 홈깊이(D)와 홈폭(W)을 갖는다. 홈(20)은, 소울(6)의 외면에 있어서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동시에, 홈(20)은, 소울(6)의 내면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 대응한 위치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있다. 도 6 내지 8이 나타낸 바와 같이, 홈(20)의 단면은, 헤드(2)의 내측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구부러져 있다.
또, 홈깊이(D)(Dt, Dc, Dh)는, 페이스-백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측정된다. 이 단면은, 토우-힐 방향의 각 위치에 있어서 설정된다. 그 단면에서의 홈깊이의 최대치가, 그 토우-힐 방향 위치에서의 홈깊이이다. 홈깊이(D)(Dt, Dc, Dh)는, 가상 덮개면(CL2)(후술)의 법선 방향을 따라서 측정된다. 가상 덮개면(CL)은 곡면이며(도 10 참조), 그 법선 방향은 토우-힐 방향 위치에 의해 변화한다.
도 6 내지 8의 확대부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은, 가상 덮개 라인(LH)이다. 이 가상 덮개 라인(LH)은, 페이스측의 홈엣지(Ef)와 백측의 홈엣지(Eb)를 통과하는 직선이다. 홈깊이(D)(Dt, Dc, Dh)는, 이 가상 덮개 라인(LH)으로부터 홈의 최심점까지의 거리이다.
홈폭(W)(Wt, Wc, Wh)은, 페이스-백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측정된다. 홈폭(W)(Wt, Wc, Wh)은, 페이스측의 홈엣지(Ef)와 백측의 홈엣지(Eb) 사이의 거리이다. 홈폭(W)(Wt, Wc, Wh)은 페이스-백 방향을 따라서 측정된다.
도 5 내지 8이 나타낸 바와 같이, 홈(20)은 페이스측의 내벽면(KF)을 갖는다. 도 6이 나타낸 바와 같이, 토우 홈부(20t)는 페이스측의 내벽면(KFt)을 갖는다. 내벽면(KFt)은 내벽면(KF)의 일부이다. 도 7이 나타낸 바와 같이, 센터 홈부(20c)는 페이스측의 내벽면(KFc)을 갖는다. 내벽면(KFc)은 내벽면(KF)의 일부이다. 도 8이 나타낸 바와 같이, 힐 홈부(20h)는 페이스측의 내벽면(KFh)을 갖는다. 내벽면(KFh)은 내벽면(KF)의 일부이다. 내벽면(KFt)과 내벽면(KFc)은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내벽면(KFc)과 내벽면(KFh)은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도 5 내지 8이 나타낸 바와 같이, 홈(20)은 백측의 내벽면(KB)을 갖는다. 도 6이 나타낸 바와 같이, 토우 홈부(20t)는 백측의 내벽면(KBt)을 갖는다. 내벽면(KBt)은 내벽면(KB)의 일부이다. 도 7이 나타낸 바와 같이, 센터 홈부(20c)는 백측의 내벽면(KBc)을 갖는다. 내벽면(KBc)은 내벽면(KB)의 일부이다. 도 8이 나타낸 바와 같이, 힐 홈부(20h)는 백측의 내벽면(KBh)을 갖는다. 내벽면(KBh)은 내벽면(KB)의 일부이다. 내벽면(KBt)과 내벽면(KBc)은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내벽면(KBc)과 내벽면(KBh)은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도 5가 나타낸 바와 같이, 토우 경계선(kt)은 백측의 내벽면(KB)에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우 경계선(kt)은 페이스측의 내벽면(KF)에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지 않다. 토우 경계선(kt)은 페이스측의 내벽면(KF)에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도 5가 나타낸 바와 같이, 힐 경계선(kh)은 백측의 내벽면(KB)에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힐 경계선(kh)은 페이스측의 내벽면(KF)에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지 않다. 힐 경계선(kh)은 페이스측의 내벽면(KF)에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도 9는, 도 5와 동일한 저면도이다. 도 5에서 부호가 서로 섞여 있기 때문에, 보기 쉽게 하기 위해 도 9가 추가적으로 이용된다.
홈(20)은 토우 단부(Et)와 힐 단부(Eh)를 갖는다. 토우 단부(Et)에 있어서 홈깊이(D)는 제로이다. 힐 단부(Eh)에 있어서 홈깊이(D)는 제로이다.
도 9가 나타낸 바와 같이, 토우 단부(Et)에는 능선이 형성되어 있다. 이 능선은, 홈(20)의 표면(측면 및 저면)과 그 토우측에 인접하는 헤드 외면(홈이 없는 부분)의 경계선이다. 이 능선이 없어도 좋다. 즉, 토우 단부(Et)의 토우측에 인접하는 헤드 외면과 홈(20)의 표면이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우 단부(Et)의 토우측에 인접하는 헤드 외면은 사이드부(14)의 외면이다.
도 9가 나타낸 바와 같이, 힐 단부(Eh)에는 능선이 형성되어 있다. 이 능선은, 홈(20)의 표면(측면 및 저면)과 그 힐측에 인접하는 헤드 외면(홈이 없는 부분)의 경계선이다. 이 능선이 없어도 좋다. 즉, 힐 단부(Eh)의 힐측에 인접하는 헤드 외면과 홈(20)의 표면이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힐 단부(Eh)의 힐측에 인접하는 헤드 외면은 사이드부(14)의 외면이다.
도 9에 있어서 양 화살표 S1로 나타내고 있는 것은, 리딩 엣지(Le)와 페이스측의 홈엣지(Ef) 사이의 거리이다. 거리(S1)는 페이스-백 방향을 따라서 측정된다. 거리(S1)는 저면시에 있어서 측정된다.
도 9에 있어서 양 화살표 S2로 나타내고 있는 것은, 리딩 엣지(Le)와 백측의 홈엣지(Eb) 사이의 거리이다. 거리(S2)는 페이스-백 방향을 따라서 측정된다. 거리(S2)는 저면시에 있어서 측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홈(20)은, 페이스측의 홈엣지(Ef) 및 백측의 홈엣지(Eb)를 갖는다. 저면시에 있어서, 페이스측의 홈엣지(Ef)는 페이스측을 향해 볼록한 곡선이다.
페이스측의 홈엣지(Ef)는 홈엣지(Eft)를 갖는다. 토우 홈부(20t)에서의 페이스측의 홈엣지(Ef)가 홈엣지(Eft)이다. 홈엣지(Eft)는 페이스측을 향해 볼록한 곡선이다.
페이스측의 홈엣지(Ef)는 홈엣지(Efc)를 갖는다. 센터 홈부(20c)에서의 페이스측의 홈엣지(Ef)가 홈엣지(Efc)이다. 홈엣지(Efc)는 페이스측을 향해 볼록한 곡선이다.
페이스측의 홈엣지(Ef)는 홈엣지(Efh)를 갖는다. 힐 홈부(20h)에서의 페이스측의 홈엣지(Ef)가 홈엣지(Efh)이다. 홈엣지(Efh)는 페이스측을 향해 볼록한 곡선이다.
홈엣지(Eft)와 홈엣지(Efc)는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홈엣지(Efc)와 홈엣지(Efh)는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센터 홈부(20c)의 홈엣지(Efc)는, 토우 홈부(20t)의 홈엣지(Eft)보다 전방(페이스측)에 위치한다. 센터 홈부(20c)의 홈엣지(Efc)는, 힐 홈부(20h)의 홈엣지(Efh)보다 전방(페이스측)에 위치한다.
백측의 홈엣지(Eb)는 홈엣지(Ebt)를 갖는다. 토우 홈부(20t)에서의 백측의 홈엣지(Eb)가 홈엣지(Ebt)이다. 홈엣지(Ebt)는 백측을 향해 볼록한 곡선이다.
백측의 홈엣지(Eb)는 홈엣지(Ebc)를 갖는다. 센터 홈부(20c)에서의 백측의 홈엣지(Eb)가 홈엣지(Ebc)이다. 홈엣지(Ebc)는 페이스측을 향해 볼록한 곡선이다.
백측의 홈엣지(Eb)는 홈엣지(Ebh)를 갖는다. 힐 홈부(20h)에서의 백측의 홈엣지(Eb)가 홈엣지(Ebh)이다. 홈엣지(Ebh)는 백측을 향해 볼록한 곡선이다.
홈엣지(Ebt)와 홈엣지(Ebc)는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홈엣지(Ebc)와 홈엣지(Ebh)는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센터 홈부(20c)의 홈엣지(Ebc)는, 토우 홈부(20t)의 홈엣지(Ebt)보다 전방(페이스측)에 위치한다. 센터 홈부(20c)의 홈엣지(Ebc)는, 힐 홈부(20h)의 홈엣지(Ebh)보다 전방(페이스측)에 위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우 홈부(20t)는 홈폭(Wt)을 갖는다. 센터 홈부(20c)는 홈폭(Wc)을 갖는다. 힐 홈부(20h)는 홈폭(Wh)을 갖는다.
도 9가 나타낸 바와 같이, 홈폭(Wt)은 홈폭(Wc)보다 크다. 즉, 토우 경계선(kt)의 존재 영역을 제외하고, 홈폭(Wt)의 최소치는 홈폭(Wc)의 최대치보다 크다.
도 9가 나타낸 바와 같이, 홈폭(Wh)은 홈폭(Wc)보다 크다. 즉, 힐 경계선(kh)의 존재 영역을 제외하고, 홈폭(Wh)의 최소치는 홈폭(Wc)의 최대치보다 크다.
도 10은, 홈깊이(D)의 분포를 페이스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곡선(CL1)(상측의 선)은 홈(20)의 저면(최심점)을 나타낸다. 곡선(CL2)(하측의 선)은 가상 덮개면을 나타낸다. 이 가상 덮개면(CL2)이란, 전술한 가상 덮개 라인(LH)의 집합에 의해 형성되는 면이다. 즉, 이 도 10은, 홈(20)의 최심점을 따르는 단면을 페이스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홈(20)의 저면(CL1) 및 상기 가상 덮개면(CL2)을 나타낸다.
도 10이 나타낸 바와 같이, 토우 홈부(20t)의 홈깊이(Dt)의 평균치는 센터 홈부(20c)의 홈깊이(Dc)의 평균치보다 크다. 홈깊이(Dt)의 최대치는 홈깊이(Dc)의 최대치보다 크다.
도 10이 나타낸 바와 같이, 힐 홈부(20h)의 홈깊이(Dh)의 평균치는 센터 홈부(20c)의 홈깊이(Dc)의 평균치보다 크다. 홈깊이(Dh)의 최대치는 홈깊이(Dc)의 최대치보다 크다.
홈(20)(토우 홈부(20t))은 토우 이행부(rt)를 갖는다. 토우 경계선(kt)의 토우측에 인접하여 토우 이행부(rt)가 설치되어 있다. 토우 이행부(rt)에서는, 홈깊이(D)가 토우측으로 갈수록(서서히) 증가하고 있다. 토우 이행부(rt)는, 센터 홈부(20c)의 저면과 토우 홈부(20t)의 저면을 매끄럽게 연결하고 있다. 토우 이행부(rt)는, 토우-힐 방향에 있어서, 토우 경계선(kt)의 근방에서의 소울(6)의 강성의 급격한 변화를 억제한다. 그 결과, 토우-힐 방향에 있어서, 토우 경계선(kt)의 근방에서의 헤드(2)의 반발 성능의 급격한 변화를 억제한다.
홈(20)(힐 홈부(20h))은 힐 이행부(rh)를 갖는다. 힐 경계선(kh)의 힐에 인접하여 힐 이행부(rh)가 설치되어 있다. 힐 이행부(rh)에서는, 홈깊이(D)가 힐측으로 갈수록(서서히) 증가하고 있다. 힐 이행부(rh)는, 센터 홈부(20c)의 저면과 힐 홈부(20h)의 저면을 매끄럽게 연결하고 있다. 힐 이행부(rh)는, 토우-힐 방향에 있어서, 힐 경계선(kh)의 근방에서의 소울(6)의 강성의 급격한 변화를 억제한다. 그 결과, 토우-힐 방향에 있어서, 힐 경계선(kh)의 근방에서의 헤드(2)의 반발 성능의 급격한 변화를 억제한다.
토우 홈부(20t)는, 홈깊이(D)가 토우측으로 갈수록 서서히 작아지는 깊이 감소부(z1)를 갖는다. 이 깊이 증가부(z1)는, 토우 홈부(20t)의 토우측의 단부를 차지하고 있다. 힐 홈부(20h)는, 홈깊이(D)가 힐측으로 갈수록 서서히 작아지는 깊이 감소부(z2)를 갖는다. 이 깊이 감소부(z2)는, 힐 홈부(20h)의 힐측의 단부를 차지하고 있다.
홈(20)은 임팩트시에 변형된다. 홈(20)은, 임팩트에서의 소울(6)의 변형을 용이하게 한다. 홈(20)은, 임팩트에 의해 페이스-백 방향에 있어서 줄어들도록 변형된다. 이 변형은 탄성 변형이다. 이 변형은 복원된다. 이 복원은, 반발 성능의 향상에 기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홈(20)의 홈깊이(D)는 일정하지 않다. 홈깊이(D)가 깊을수록 반발 성능에 대한 기여가 증대되기 쉽다. 홈깊이(D)를 변화시킴으로써, 토우-힐 방향의 영역마다 홈(20)의 변형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홈깊이(D)를 변화시킴으로써, 반발 분포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계선(kt, kh)이, 페이스-백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가령 경계선(kt, kh)이 페이스-백 방향을 따르고 있는 경우, 이 경계선(kt, kh)에 있어서 홈저면이 굴곡된 상태가 된다. 이 굴곡 부분은, 페이스-백 방향의 힘에 대한 강성이 높다. 이 때문에, 경계선(kt, kh)의 위치에서의 소울(6)의 변형이 저해되고, 이들의 위치에서의 반발 성능이 크게 저하된다. 페이스-백 방향에 대하여 경사시킴으로써 이 반발 성능의 저하가 억제된다. 따라서, 토우-힐 방향에서의 반발 계수의 변화를 완만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고반발 영역을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타점에 기인하는 반발 계수의 변동이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우 경계선(kt)은 백측으로 갈수록 외측이 되도록 경사져 있다. 바꾸어 말하면, 토우 경계선(kt)은 백측으로 갈수록 토우측이 되도록 경사져 있다. 경사 방향이 반대이더라도 전술한 효과는 발휘된다. 따라서, 토우 경계선(kt)은 백측으로 갈수록 내측이 되도록 경사져 있어도 좋다. 바꾸어 말하면, 토우 경계선(kt)은 백측으로 갈수록 힐측이 되도록 경사져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힐 경계선(kh)은 백측으로 갈수록 외측이 되도록 경사져 있다. 바꾸어 말하면, 힐 경계선(kh)은 백측으로 갈수록 힐측이 되도록 경사져 있다. 경사 방향이 반대이더라도 전술한 효과는 발휘된다. 따라서, 힐 경계선(kh)은 백측으로 갈수록 내측이 되도록 경사져 있어도 좋다. 바꾸어 말하면, 힐 경계선(kh)은 백측으로 갈수록 토우측이 되도록 경사져 있어도 좋다.
토우 경계선(kt)의 페이스-백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 θ1은 한정되지 않는다. 토우 경계선(kt)의 근방에서의 소울 변형성의 관점에서, 경사 각도 θ1(도 9 참조)은, 10° 이상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홈깊이(D)의 변화의 설계 자유도의 관점에서, 경사 각도 θ1은, 80° 이하가 바람직하고, 7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6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경사 각도 θ1은 저면시에 있어서 측정된다.
또, 토우 경계선(kt)이 구부러져 있는 경우, 경사 각도 θ1은, 토우 경계선(kt)에 접하는 접선의 각도이다. 바람직하게는, 토우 경계선(kt)에서의 모든 점에 있어서, 경사 각도 θ1이 상기 바람직한 범위인 것이 좋다.
힐 경계선(kh)의 페이스-백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 θ2는 한정되지 않는다. 힐 경계선(kh)의 근방에서의 소울 변형성의 관점에서, 경사 각도 θ2(도 9 참조)는, 10° 이상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홈깊이(D)의 변화의 설계 자유도의 관점에서, 경사 각도 θ2는, 80° 이하가 바람직하고, 7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6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경사 각도 θ2는 저면시에 있어서 측정된다.
또, 힐 경계선(kh)이 구부러져 있는 경우, 경사 각도 θ2는, 힐 경계선(kh)에 접하는 접선의 각도이다. 바람직하게는, 힐 경계선(kh)에서의 모든 점에 있어서, 경사 각도 θ2가 상기 바람직한 범위인 것이 좋다.
저면시에 있어서, 경계선(kt, kh)은 곧게 뻗어 있어도 좋다. 저면시에 있어서, 경계선(kt, kh)은 만곡되어 있어도 좋다. 이 만곡(굴곡)은, 경계선(kt, kh)에서의 소울 변형성의 급격한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반발 계수의 변화가 한층 더 완만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우 경계선(kt)은 백측의 내벽면(KB)에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도 5 참조). 또한, 힐 경계선(kh)은 백측의 내벽면(KB)에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반발 계수의 변화를 한층 더 완만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와는 상이하지만, 토우 경계선(kt)은, 페이스측의 내벽면(KF)에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힐 경계선(kh)은, 페이스측의 내벽면(KF)에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도, 반발 계수의 변화가 한층 더 완만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헤드는, 다음 (a)~(c)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켜도 좋다.
(a) 센터 홈부(20c)의 홈깊이(Dc)가 토우 홈부(20t)의 홈깊이(Dt)보다 작다.
(b) 센터 홈부(20c)의 홈깊이(Dc)가 힐 홈부(20h)의 홈깊이(Dh)보다 작다.
(c) 센터 홈부(20c)의 홈깊이(Dc)가 토우 홈부(20t)의 홈깊이(Dt)보다 작고, 또한 센터 홈부(20c)의 홈깊이(Dc)가 힐 홈부(20h)의 홈깊이(Dh)보다 작다.
페이스의 중앙부는, 페이스의 주변부에 비해 변형되기 쉽다. 따라서, 페이스의 중앙부는, 페이스의 주변부에 비해 반발 계수가 높은 경향이 있다. 상기 (a)~(c)와 같이, 홈깊이(Dc)를 비교적 작게 함으로써, 반발 계수가 높은 경향이 있는 중앙부에 있어서 반발 계수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반발 계수가 낮은 경향이 있는 주변부에 있어서 반발 계수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토우 경계선(kt) 및 힐 경계선(kh)에서의 반발 계수의 변화가 완만해진 것과 맞물려, 토우-힐 방향의 각 위치에서의 반발 계수를 전체적으로 높일 수 있다. 결과로서, 고반발 영역을 넓게 할 수 있다.
고반발 영역을 넓히는 관점에서, 홈깊이(Dh)는, 0.5 mm 이상이 바람직하고, 0.7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m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헤드 무게 중심을 낮게 유지하는 관점에서, 홈깊이(Dh)는, 10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7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 m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고반발 영역을 넓히는 관점에서, 홈깊이(Dt)는, 0.5 mm 이상이 바람직하고, 0.7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m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헤드 무게 중심을 낮게 유지하는 관점에서, 홈깊이(Dt)는, 10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7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 m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고반발 영역을 넓히는 관점에서, 페이스의 중앙부에서의 반발 계수의 상승폭은, 페이스의 주변부의 반발 계수의 상승폭에 비해 억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 홈깊이(Dc)는, 5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4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 m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과잉이 되지 않는 범위에서, 페이스 중앙부의 반발 계수도 높인 쪽이 좋다. 이 관점에서, 홈깊이(Dc)는, 0.5 mm 이상이 바람직하고, 0.7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m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홈깊이(Dh)의 최대치가 홈깊이(Dh1)가 되고, 홈깊이(Dc)의 최대치가 Dc1이 되고, 홈깊이(Dt)의 최대치가 Dt1이 된다.
반발 계수의 변화를 완만하게 하는 관점에서, Dh1/Dc1은 지나치게 커도, 지나치게 작아도 바람직하지 않다. Dh1/Dc1은, 1.5 이상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5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Dh1/Dc1은, 6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반발 계수의 변화를 완만하게 하는 관점에서, Dt1/Dc1은 지나치게 커도, 지나치게 작아도 바람직하지 않다. Dt1/Dc1은, 1.5 이상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5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Dt1/Dc1은, 6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a)~(c)와 같이, 홈깊이(Dh 및/또는 Dt)를 비교적 크게 함으로써, 헤드(2)의 관성 모멘트를 크게 할 수 있다. 평탄한 소울(6)에 비해, 홈(20)의 중량은 크다. 홈(20)이 깊을수록, 홈(20)의 중량은 증가한다. 즉, 홈(20)에 기인하는 부가 중량은, 홈깊이(D)가 클수록 증가한다. 따라서, 홈깊이(Dh 및/또는 Dt)를 크게 함으로써, 보다 많은 중량이 헤드(2)의 토우측 및/또는 힐측에 배분된다. 이 때문에, 헤드(2)의 관성 모멘트(좌우 관성 모멘트)가 커진다. 결과로서, 고반발 영역이 더욱 넓어질 수 있다.
또, 헤드 무게 중심을 통과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이 상하 기준축으로 정의될 때, 좌우 관성 모멘트란 이 상하 기준축 둘레의 관성 모멘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헤드는, 전술한 (d)~(h)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켜도 좋다. 예컨대, 페이스의 중앙부의 반발 계수를 특별히 높이고자 하는 경우, 전술한 (d)~(f) 중 적어도 하나가 채용될 수 있다. 예컨대, 홈깊이(D)가 큰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각 골퍼의 타점에 맞춰 고반발 영역이 설정되어도 좋다.
페이스의 중앙부는, 페이스의 주변부에 비해 변형되기 쉽다. 따라서, 페이스의 중앙부는, 페이스의 주변부에 비해 반발 계수가 높은 경향이 있다. 홈폭(Wt, Wh)에 비해 홈폭(Wc)을 비교적 작게 함으로써, 반발 계수가 높은 경향이 있는 중앙부에 있어서 반발 계수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반발 계수가 낮은 경향이 있는 주변부에 있어서 반발 계수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토우 경계선(kt) 및 힐 경계선(kh)에서의 반발 계수의 변화가 완만해진 것과 맞물려, 토우-힐 방향의 각 위치에서의 반발 계수를 전체적으로 높일 수 있다. 결과로서, 고반발 영역을 넓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홈폭(Wt)의 최대치 Wt1과 홈폭(Wc)의 최대치 Wc1의 비가 고려되어도 좋다. 고반발 영역을 넓히는 관점에서, Wt1/Wc1은, 1.2 이상이 바람직하고, 1.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반발 계수의 밸런스를 고려하면, 과대한 Wt1/Wc1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Wt1/Wc1은, 5 이하가 바람직하고, 4.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홈폭(Wh)의 최대치 Wh1과 홈폭(Wc)의 최대치 Wc1의 비가 고려되어도 좋다. 고반발 영역을 넓히는 관점에서, Wh1/Wc1은, 1.2 이상이 바람직하고, 1.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반발 계수의 밸런스를 고려하면, 과대한 Wh1/Wc1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Wh1/Wc1은, 5 이하가 바람직하고, 4.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도 10에 있어서 양 화살표 Lm로 나타내는 것은, 홈(20)의 토우-힐 방향 길이이다. 도 4에 있어서 양 화살표 Lh로 나타내는 것은, 헤드(2)의 토우-힐 방향 폭이다. 폭(Lh)은 점(Pt)과 점(Ph) 사이의 거리이다. 점(Pt)은, 헤드(2)에 있어서 가장 토우측에 위치하는 점이다. 점(Ph)은, 헤드(2)에 있어서 상기 수평면(HP)으로부터의 높이가 0.875 인치(22.23 mm)인 점 중에서 가장 힐측에 위치하는 점이다. 전술한 기준 상태에 있어서, 이들 점(Pt) 및 점(Ph)이 결정된다. Lm/Lh가 커짐으로써, 반발 성능이 높아진다. 이 관점에서, Lm/Lh는, 0.7 이상이 바람직하고, 0.72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74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Lm/Lh가 지나치게 크면, 홈(20)의 토우 단부(Et) 및 힐 단부(Eh)가 크라운(4)에 근접하여, 헤드 무게 중심의 위치가 높아지기 쉽다. 헤드 무게 중심의 위치가 낮아짐으로써, 저백스핀과 큰 타출각이 실현된다. 이 관점에서, Lm/Lh는, 0.92 이하가 바람직하고, 0.9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88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헤드(2A)의 저면도이다. 센터 홈부(20c)가 없는 것 외에는, 이 헤드(2A)는 헤드(2)와 동일하다.
소울(6)은, 토우 홈(20At)과 힐 홈(20Ah)을 갖는다. 토우 홈(20At)과 힐 홈(20Ah) 사이에 센터 홈 부재부(20Ac)가 설치되어 있다. 센터 홈 부재부(20Ac)는 홈이 없는 부분이다. 센터 홈 부재부(20Ac)는 매끄러운 소울면을 형성하고 있다.
토우 홈(20At)은, 센터 홈 부재부(20Ac)의 토우측에 인접해 있다. 힐 홈(20Ah)은, 센터 홈 부재부(20Ac)의 힐측에 인접해 있다.
센터 홈 부재부(20Ac)와 토우 홈(20At)의 경계에 토우 경계선(kt)이 형성되어 있다. 센터 홈 부재부(20Ac)와 힐 홈(20Ah)의 경계에 힐 경계선(kh)이 형성되어 있다. 토우 경계선(kt) 및 힐 경계선(kh)이 페이스-백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토우 경계선(kt) 및 힐 경계선(kh)의 작용 효과는, 헤드(2)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 헤드(2A)는, 전술한 구성 (a)~(c)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센터 부분에 있어서 홈을 없앰으로써, 반발 계수가 높은 경향이 있는 페이스 중앙부에 있어서 반발 계수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반발 계수가 낮은 경향이 있는 페이스 주변부에 있어서 반발 계수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토우 경계선(kt) 및 힐 경계선(kh)에서의 반발 계수의 변화가 완만해진 것과 맞물려, 토우-힐 방향의 각 위치에서의 반발 계수를 전체적으로 높일 수 있다. 결과로서, 고반발 영역을 넓게 할 수 있다.
도 12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헤드(2B)의 저면도이다. 토우 홈부(20t) 및 힐 홈부(20h)가 없는 것 외에는, 이 헤드(2A)는 헤드(2)와 동일하다.
소울(6)은 센터 홈(20Bc)을 갖는다. 센터 홈(20Bc)의 토우측에 토우 홈 부재부(20Bt)가 설치되어 있다. 토우 홈 부재부(20Bt)는 홈이 없는 부분이다. 토우 홈 부재부(20Bt)는 매끄러운 소울면을 형성하고 있다. 센터 홈(20Bc)의 힐측에 힐 홈 부재부(20Bh)가 설치되어 있다. 힐 홈 부재부(20Bh)는 홈이 없는 부분이다. 힐 홈 부재부(20Bh)는 매끄러운 소울면을 형성하고 있다.
토우 홈 부재부(20Bt)는 센터 홈(20Bc)의 토우측에 인접해 있다. 힐 홈 부재부(20Bh)는 센터 홈(20Bc)의 힐측에 인접해 있다.
센터 홈(20Bc)과 토우 홈 부재부(20Bt)의 경계에 토우 경계선(kt)이 형성되어 있다. 센터 홈(20Bc)과 힐 홈 부재부(20Bh)의 경계에 힐 경계선(kh)이 형성되어 있다. 토우 경계선(kt) 및 힐 경계선(kh)이, 페이스-백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토우 경계선(kt) 및 힐 경계선(kh)의 작용 효과는, 헤드(2)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 헤드(2B)는, 전술한 구성 (d)~(f)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 헤드(2B)는, 예컨대 페이스의 중앙부의 반발 계수를 특히 높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헤드(2A) 및 헤드(2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홈깊이(D)의 변화 대신에, 홈의 유무에 의해 소울(6)의 변형 영역이 조정되어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9에는, 리딩 엣지(Le)와 홈엣지(Ef) 사이의 거리(S1)가 나타나 있다. 임팩트시에 있어서 소울(6)에 작용하는 힘을 해석하면, 소울(6)에 작용하는 응력이 높은 영역은, 반드시 페이스(10)의 근처는 아니다. 이 응력이 높은 위치에 홈(20)을 배치함으로써, 홈(20)의 변형을 크게 할 수 있다.
홈(20)의 변형에 기인하는 반발 성능을 얻는 관점에서, S1이 지나치게 작아도, 지나치게 커도 바람직하지 않다. 반발 성능의 관점에서, 거리(S1)는, 15 mm 이상이 바람직하고, 18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1 m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반발 성능의 관점에서, 거리(S1)는, 35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32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0 m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9에는, 리딩 엣지(Le)와 홈엣지(Eb) 사이의 거리(S2)가 나타나 있다. 홈(20)의 변형에 기인하는 반발 성능을 얻는 관점에서, S2가 지나치게 작아도 지나치게 커도 바람직하지 않다. 반발 성능의 관점에서, 거리(S2)는, 16 mm 이상이 바람직하고, 20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2 m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반발 성능의 관점에서, 거리(S2)는, 45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42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0 m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홈(20)의 변형성의 관점에서, 홈(20)에서의 소울 두께는, 1.4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1.3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2 m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강도의 관점에서, 홈(20)에서의 소울 두께는, 0.5 mm 이상이 바람직하고, 0.7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m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소울(6)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소울(6)의 재질로서, 금속, CFRP(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이 예시된다. 이 금속으로서, 연철, 순티타늄, 티탄 합금, 스테인리스강, 마레이징강,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및 텅스텐-니켈 합금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예시된다. 스테인리스강으로서 SUS630 및 SUS304가 예시된다. 티탄 합금으로서, 6-4 티탄(Ti-6Al-4V), Ti-15V-3Cr-3Sn-3Al, Ti-6-22-22S 등이 예시된다. 또, 연철이란, 탄소 함유율이 0.3 wt% 미만인 저탄소강을 의미한다. 홈깊이(D)의 변형에 기인하는 반발 성능의 관점에서는, 박육화가 가능한 티탄 합금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헤드의 일례는 드라이버 헤드이다. 드라이버란, 1번 우드(W#1)를 의미한다. 드라이버는 특히 넓은 소울(6)을 갖기 때문에,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통상, 드라이버용 헤드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1a) 곡면의 페이스면(페이스 벌지 및 페이스 롤을 갖는 페이스면)
(1b) 중공부
(1c) 300 cc 이상 460 cc 이하의 체적
(1d) 7도 이상 14도 이하의 리얼 로프트
바람직한 헤드의 다른 예는 페어웨이 우드이다. 페어웨이 우드로서, 3번 우드(W#3), 4번 우드(W#4), 5번 우드(W#5), 7번 우드(W#7), 9번 우드(W#9), 11번 우드(W#11) 및 13번 우드(W#13)가 예시된다. 통상, 페어웨이 우드용 헤드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2a) 곡면의 페이스면(페이스 벌지 및 페이스 롤을 갖는 페이스면)
(2b) 중공부
(2c) 100 cc 이상 300 cc 미만의 체적
(2d) 14도보다 크고 33도 이하의 리얼 로프트
보다 바람직하게는, 페어웨이 우드의 헤드 체적은, 100 cc 이상 200 cc 이하이다.
바람직한 헤드의 또 다른 예는, 유틸리티형 헤드(하이브리드형 헤드)이다. 통상, 유틸리티형 헤드(하이브리드형 헤드)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3a) 곡면의 페이스면(페이스 벌지 및 페이스 롤을 갖는 페이스면)
(3b) 중공부
(3c) 100 cc 이상 200 cc 이하의 체적
(3d) 15도 이상 33도 이하의 리얼 로프트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틸리티형 헤드(하이브리드형 헤드)의 체적은 100 cc 이상 150 cc 이하이다.
본 발명은, 중공 구조를 갖는 아이언 헤드에도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중공 구조를 갖는 퍼터 헤드에도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우드형, 유틸리티형, 하이브리드형, 아이언형, 퍼터형 등 모든 중공 골프 클럽 헤드에 적용될 수 있다.
2, 2A, 2B : 골프 클럽 헤드
4 : 크라운
6 : 소울
8 : 호젤
10 : 페이스
12 : 호젤 구멍
14 : 사이드부
20 : 홈
20t : 토우 홈부
20c : 센터 홈부
20h : 힐 홈부
f1 : 페이스면
kt : 토우 경계선
kh : 힐 경계선
KB : 백측의 내벽면
KF : 페이스측의 내벽면

Claims (9)

  1. 페이스 및 소울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소울이, 토우측으로부터 힐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홈깊이가 변화하고 있는 홈을 갖고 있고,
    상기 홈이, 센터 홈부와, 상기 센터 홈부보다 토우측에 위치하는 토우 홈부와, 상기 센터 홈부보다 힐측에 위치하는 힐 홈부를 갖고 있고,
    홈깊이의 상기 변화에 기인하여, 상기 센터 홈부와 상기 토우 홈부의 경계에 토우 경계선이 형성되어 있고,
    홈깊이의 상기 변화에 기인하여, 상기 센터 홈부와 상기 힐 홈부의 경계에 힐 경계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우 경계선 및 상기 힐 경계선이, 페이스-백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연장되어 있고,
    다음 (a), (b) 또는 (c) 를 만족시키는 중공 골프 클럽 헤드.
    (a) 상기 센터 홈부의 홈깊이가 상기 토우 홈부의 홈깊이보다 작다.
    (b) 상기 센터 홈부의 홈깊이가 상기 힐 홈부의 홈깊이보다 작다.
    (c) 상기 센터 홈부의 홈깊이가 상기 토우 홈부의 홈깊이보다 작고, 또한 상기 센터 홈부의 홈깊이가 상기 힐 홈부의 홈깊이보다 작다.
  2. 페이스 및 소울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소울이, 토우측으로부터 힐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홈깊이가 변화하고 있는 홈을 갖고 있고,
    상기 홈이, 센터 홈부와, 상기 센터 홈부보다 토우측에 위치하는 토우 홈부와, 상기 센터 홈부보다 힐측에 위치하는 힐 홈부를 갖고 있고,
    홈깊이의 상기 변화에 기인하여, 상기 센터 홈부와 상기 토우 홈부의 경계에 토우 경계선이 형성되어 있고,
    홈깊이의 상기 변화에 기인하여, 상기 센터 홈부와 상기 힐 홈부의 경계에 힐 경계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우 경계선 및 상기 힐 경계선이, 페이스-백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연장되어 있고,
    상기 홈이 페이스측의 내벽면과 백측의 내벽면을 갖고 있고,
    상기 토우 경계선 및 상기 힐 경계선이 상기 백측의 내벽면에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는 중공 골프 클럽 헤드.
  3. 페이스 및 소울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소울이, 토우측으로부터 힐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홈깊이가 변화하고 있는 홈을 갖고 있고,
    상기 홈이, 센터 홈부와, 상기 센터 홈부보다 토우측에 위치하는 토우 홈부와, 상기 센터 홈부보다 힐측에 위치하는 힐 홈부를 갖고 있고,
    홈깊이의 상기 변화에 기인하여, 상기 센터 홈부와 상기 토우 홈부의 경계에 토우 경계선이 형성되어 있고,
    홈깊이의 상기 변화에 기인하여, 상기 센터 홈부와 상기 힐 홈부의 경계에 힐 경계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우 경계선 및 상기 힐 경계선이, 페이스-백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연장되어 있고,
    상기 홈이 페이스측의 내벽면과 백측의 내벽면을 갖고 있고,
    상기 토우 경계선 및 상기 힐 경계선이 상기 페이스측의 내벽면에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는 중공 골프 클럽 헤드.
  4. 페이스 및 소울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소울이, 토우측으로부터 힐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홈깊이가 변화하고 있는 홈을 갖고 있고,
    상기 홈이, 센터 홈부와, 상기 센터 홈부보다 토우측에 위치하는 토우 홈부와, 상기 센터 홈부보다 힐측에 위치하는 힐 홈부를 갖고 있고,
    홈깊이의 상기 변화에 기인하여, 상기 센터 홈부와 상기 토우 홈부의 경계에 토우 경계선이 형성되어 있고,
    홈깊이의 상기 변화에 기인하여, 상기 센터 홈부와 상기 힐 홈부의 경계에 힐 경계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우 경계선 및 상기 힐 경계선이, 페이스-백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연장되어 있고,
    상기 토우 경계선의 전체 및 상기 힐 경계선의 전체가, 백측으로 갈수록 외측이 되도록 경사져 있는 중공 골프 클럽 헤드.
  5. 페이스 및 소울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소울이, 토우측으로부터 힐측으로 연장되는 센터 홈과, 상기 센터 홈의 토우측에 인접하는 토우 홈 부재부와, 상기 센터 홈의 힐측에 인접하는 힐 홈 부재부를 갖고 있고,
    상기 센터 홈과 상기 토우 홈 부재부의 경계에 토우 경계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센터 홈과 상기 힐 홈 부재부의 경계에 힐 경계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우 경계선 및 상기 힐 경계선이, 페이스-백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연장되어 있고,
    상기 토우 홈 부재부 및 상기 힐 홈 부재부는, 매끄러운 소울면을 형성하고 있는 중공 골프 클럽 헤드.
  6. 페이스, 리딩 엣지 및 소울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소울이, 토우측으로부터 힐측으로 연장되는 센터 홈과, 상기 센터 홈의 토우측에 인접하는 토우 홈 부재부와, 상기 센터 홈의 힐측에 인접하는 힐 홈 부재부를 갖고 있고,
    상기 센터 홈과 상기 토우 홈 부재부의 경계에 토우 경계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센터 홈과 상기 힐 홈 부재부의 경계에 힐 경계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우 경계선 및 상기 힐 경계선이, 페이스-백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연장되어 있고,
    상기 센터 홈이, 페이스측의 홈 엣지와 백측의 홈 엣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페이스측의 홈 엣지와 상기 리딩 엣지 사이의 거리(S1)가 15 mm 이상 35 mm 이하인 중공 골프 클럽 헤드.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우 경계선 및 상기 힐 경계선이, 백측으로 갈수록 외측이 되도록 경사져 있는 중공 골프 클럽 헤드.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우 경계선 및 상기 힐 경계선이, 백측으로 갈수록 내측이 되도록 경사져 있는 중공 골프 클럽 헤드.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우 경계선 및 상기 힐 경계선이, 저면시에 있어서 만곡되어 있는 중공 골프 클럽 헤드.
KR1020170047205A 2016-06-30 2017-04-12 중공 골프 클럽 헤드 KR1024007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30561 2016-06-30
JP2016130561A JP6711174B2 (ja) 2016-06-30 2016-06-30 中空ゴルフクラブヘ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415A KR20180003415A (ko) 2018-01-09
KR102400750B1 true KR102400750B1 (ko) 2022-05-20

Family

ID=60806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205A KR102400750B1 (ko) 2016-06-30 2017-04-12 중공 골프 클럽 헤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80942B2 (ko)
JP (1) JP6711174B2 (ko)
KR (1) KR102400750B1 (ko)
CN (1) CN1075515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9772B2 (en) * 2014-06-20 2020-10-13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 or other ball striking device having impact-influencing body features
JP7034671B2 (ja) * 2017-11-07 2022-03-14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974141B2 (ja) * 2017-11-30 2021-12-01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1504586B2 (en) * 2020-12-16 2022-11-22 Topgolf Callaway Brands Corp. Golf club head with reinforced channe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0419A (ja) 2010-12-20 2012-07-12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50367193A1 (en) 2014-06-20 2015-12-24 Nike, Inc. Golf club with removable weigh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4890A (en) * 1995-03-28 1996-06-11 Kim; Jae S. Golf club
US8235844B2 (en) * 2010-06-01 2012-08-07 Adams Golf Ip, Lp Hollow golf club head
US8900069B2 (en) * 2010-12-28 2014-12-02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Fairway wood center of gravity projection
US7294064B2 (en) * 2003-03-31 2007-11-13 K.K Endo Seisakusho Golf club
US8834289B2 (en) * 2012-09-14 2014-09-16 Acushnet Company Golf club head with flexure
US8235841B2 (en) * 2009-07-24 2012-08-07 Nike, Inc. Golf club head or other ball striking device having impact-influencing body features
US10071290B2 (en) * 2010-11-30 2018-09-11 Nike, Inc. Golf club heads or other ball striking devices having distributed impact response
US9403069B2 (en) * 2012-05-31 2016-08-02 Nike, Inc. Golf club head or other ball striking device having impact-influencing body features
US9700765B2 (en) * 2012-09-14 2017-07-11 Acushnet Company Golf club head with flexure
JP6144482B2 (ja) * 2012-12-03 2017-06-07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9162118B2 (en) * 2013-05-16 2015-10-20 Cobra Golf Incorporated Golf club head with channel and stabilizing structure
JP6046570B2 (ja) * 2013-08-09 2016-12-1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9839817B1 (en) * 2014-04-23 2017-12-12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US9744412B2 (en) 2014-06-20 2017-08-29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 or other ball striking device having impact-influencing body featur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0419A (ja) 2010-12-20 2012-07-12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50367193A1 (en) 2014-06-20 2015-12-24 Nike, Inc. Golf club with removable we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11174B2 (ja) 2020-06-17
JP2018000465A (ja) 2018-01-11
CN107551502A (zh) 2018-01-09
US10080942B2 (en) 2018-09-25
US20180001170A1 (en) 2018-01-04
KR20180003415A (ko) 2018-01-09
CN107551502B (zh) 2020-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22104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9821203B2 (en) Golf club head
US9839819B2 (en) Golf club head crown with recess part and step surface
KR102400750B1 (ko) 중공 골프 클럽 헤드
KR102413736B1 (ko) 중공 골프 클럽 헤드
JP2004305335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8099903A (ja)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884113B2 (ja)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662758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359782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075047B2 (ja)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525570B2 (ja)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447914B2 (ja)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および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
CN114425146A (zh) 铁杆型高尔夫球杆头
JP2022108598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10057595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162039B2 (ja)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1666808B2 (en) Golf club head
US20230201679A1 (en) Golf club head and set of golf clubs
JP5810617B2 (ja) アイアンヘッド
JP2008035984A (ja)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これを備えたアイアンゴルフクラブ
JP6782105B2 (ja) ゴルフクラブ
JP2023085974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273670B2 (ja)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22081198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