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0500A -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 - Google Patents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0500A
KR20210150500A KR1020217036354A KR20217036354A KR20210150500A KR 20210150500 A KR20210150500 A KR 20210150500A KR 1020217036354 A KR1020217036354 A KR 1020217036354A KR 20217036354 A KR20217036354 A KR 20217036354A KR 20210150500 A KR20210150500 A KR 20210150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water
group
mass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6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야 곤도
야스에 간자키
손 탄 판
준 미야노
사유리 기쿠나가
세이지 호리
Original Assignee
다우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우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50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50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G77/46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08L83/0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10Block- or graft-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L83/12Block- or graft-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50℃에서 액상인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 (B) 유제를 화장료의 전체 질량에 대해 3~80 질량%, (C) 물, 및 (D) 염기성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A) 50℃에서 액상인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 이외의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화장료의 전체 질량에 대해 10 질량% 이하인,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클렌징 화장료는 메이크업 오염에 빠르게 융합되어 메이크업 제거 효과가 높고, 안정성도 우수하다.

Description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
본 발명은 연속 수상(水相) 및 불연속 유상(油相)으로 이루어진 수중 유형의 클렌징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피부 위의 화장이나 오염을 지우는 클렌징 화장료는 이른바 계면활성제형과 용제형으로 크게 나뉜다. 계면활성제형은 계면활성제의 세정 작용에 의해 화장이나 오염을 제거하는 타입이다. 이 타입은 클렌징 화장료를 손에 묻히고 물을 가하여 거품을 내서 피부에 도포하여 화장이나 오염을 씻어 내는 것으로, 유막감이 남지 않아, 화장후 피부가 산뜻하다. 용제형은 용제의 용해 작용에 의해 화장이나 오염을 제거하는 타입이다. 이 타입은 클렌징 화장료를 손에 묻혀 그대로 피부에 도포하여 화장이나 오염을 클렌징료에 용해·분산시키고, 그 후 이를 닦아내거나 수세하여 씻어 없애는 것이다(모리, 츠루미 「화장품의 유용성」 66-81페이지, 야쿠지닛포샤(Yakuji Nippo, Limited), 2001년). 최근 메이크업 화장료나 자외선 차단 화장료에 있어서 내수성의 향상이 현저하며, 이러한 견고한 메이크업 오염을 충분히 제거하는데는 용제형의 클렌징료가 적합하기 때문에, 이 타입의 클렌징 화장료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용제형의 클렌징 화장료로서는, 유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오일 클렌징 화장료가 범용되고 있다. 그러나, 오일 클렌징 화장료는 사용 중 및 사용 후의 끈적임 등이 있어, 사용감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유제와 함께 물을 포함하는 수중 유형의 클렌징 화장료도 제공되고 있다.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는 문질러 바를 때의 수분 증산에 의해 O/W형으로부터 W/O형으로 상 전환함으로써 유성의 메이크업 오염에 융합되어 오염을 제거하는 것인데, 상 전환까지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메이크업 오염과의 융합이 늦고, 또한 상 전환을 일으키기 쉽게 하기 위해 유분을 고배합한 경우에는 안정성 및 사용감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는 오일 클렌징 화장료에 비해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제거 효과가 낮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185144호에는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을 사용한 세정료가 나타나 있으나,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는 것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다량으로 배합하여, 유제를 거의 포함하지 않는 거품 타입의 계면활성제형 세정료이며, 메이크업 제거를 주목적으로 하는 용제형 클렌징 화장료와는 상이하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185144호
본 발명은 메이크업 오염에 빠르게 융합되어 메이크업 제거 효과가 높고, 안정성도 우수한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성분:
(A) 50℃에서 액상인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
(B) 유제를 화장료의 전체 질량에 대해 3~80 질량%,
(C) 물, 및
(D) 염기성 화합물
을 포함하며, 상기 (A) 50℃에서 액상인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 이외의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화장료의 전체 질량에 대해 10 질량% 이하인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은 하기 구조식 (1):
[화 1]
Figure pct00001
(식 중,
Rc는 일반식: -R1-(OR2)p-(O)w-R3-COOH(R1은 탄소수 2~22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2~4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3은 결합손(-) 또는 탄소수 1~22의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는 0~200의 수를 나타내고, w는 0 또는 1의 수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를 나타내고,
R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탄소수 1~22의 알킬 혹은 알콕시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는 Rc 또는 R이며,
a, b는 각각 0 또는 양의 수이고, a+b는 0~30의 범위의 수이고, b가 0일 때, R'의 적어도 하나는 Rc이다.)로 표시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은 실온(25℃)에서 액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은 하기 구조식 (2):
[화 2]
Figure pct00002
(식 중,
Rc는 일반식: -R1-(OR2)p-(O)w-R3-COOH(R1은 탄소수 2~22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2~4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3은 결합손(-) 또는 탄소수 1~22의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는 0~200의 수를 나타내고, w는 0 또는 1의 수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를 나타내고,
R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탄소수 1~22의 알킬 혹은 알콕시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는 Rc 또는 R이며,
a, b는 각각 양의 수이고, a+b는 2~20의 범위의 수이고, a/b는 0.3~3.0의 범위이다.)로 표시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는 상기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을 0.1~15 질량%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질량%」는 「중량%」와 동의이며, 그의 기준은 특기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의 전체 질량(전체 중량)이다.
상기 (B) 유제는 탄화수소유, 실리콘유 및 지방산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는 상기 (C) 물을 25~90 질량%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의 pH는 6.0~9.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는 (E) HLB가 4~14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E) HLB가 4~14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릴 및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가 (E) HLB가 4~14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경우, 그의 배합량은 0.1~8 질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는 (F) 불용성 입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가 (F) 불용성 입자를 더 포함하는 경우, 그의 배합량은 10 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는 메이크업 오염에 빠르게 융합되어, 메이크업 제거 효과가 높고 안정성도 우수하다. 아울러, 여기서 「안정」이란, 경시적으로 상분리를 발생시키지 않고 균일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는 물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산뜻한 사용감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는 유제를 포함하는데도 불구하고 끈적임이 적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 결과, 50℃에서 액상인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을 수중 유형의 조성물 중에 배합함으로써, 메이크업의 제거 용도에 적합한 동시에 안정적인 클렌징 화장료를 제공 가능하다는 것을 밝혀내고본 발명을 완성했다.
본 발명의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는 비사용 시, 즉 피부와의 비접촉 시에는 수중 유형의 형태이지만, 피부와 접촉하면 즉시 유중 수형으로 상 전환되어 유중 수형이 된다. 이로써, 메이크업과의 융합이 빨라 메이크업을 양호하게 제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는 유상의 양이 비교적 적은 경우에도, 피부에 도포하면 즉시 상 전환이 발생하기 때문에, 메이크업과 빠르게 융합되어 메이크업을 양호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는 메이크업 제거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는 메이크업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피부의 세정에 사용되는 피부 세정료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
본 발명의 화장료는 적어도 1종의 (A) 50℃에서 액상인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을 포함한다. 상기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을 포함함으로써, 수중 유형의 안정된 유화 상태를 유지하면서, 피부에 도포했을 때에는 빠르게 유중 수형으로 상 전환되어, 우수한 메이크업 제거 효과를 발휘한다. 아울러, 상기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은 50℃ 및 1기압하에서 액상이면 무방하며, 예를 들어 실온(25℃)에서 고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 포함되는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은 50℃에서 액상인 한, 적어도 1개의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가 측쇄 또는 말단에 도입된 오가노실록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는 오가노실록산의 측쇄에 도입된다.
따라서,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으로서는, 실리콘 주쇄에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가 그래프트된 것, 실리콘 주쇄의 편말단에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가 부가된 것, 실리콘 주쇄의 양말단에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가 부가된 것, 실리콘 주쇄의 양말단에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가 부가되고, 또한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가 그래프트된 것, 실리콘 주쇄에 실리콘쇄(실알킬렌 결합에 의해 결합된 실록산 마크로모노머를 포함한다)와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가 그래프트된 것, 실리콘 주쇄 또는 말단에 카보실록산 덴드리머 구조를 갖는 실록산 변성기와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를 갖는 것, 임의로 또한, 탄소 원자수 6 이상의 장쇄의 알킬기를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가장 적합하게는, 실리콘 주쇄에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가 그래프트된 것을 들 수 있다. 아울러,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이 장쇄 알킬기를 가짐으로써, 탄화수소유 등의 유기계 유제와의 배합 안정성이 개선되는 경우가 있다.
카복실기와 규소 원자의 사이에는 연결기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당해 연결기로서는, 헤테로 원자를 가질 수도 있는 알킬렌기, 폴리옥시알킬렌기 등의 2가 이상의 유기기를 들 수 있으나,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n가의 연결기(n은 3 이상의 수)에 의해, (n-1)개의 카복실기가 규소 원자에 결합된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연결기를 통해 카복실기를 실리콘의 주쇄 또는 측쇄에 갖는 실리콘이 본 발명의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에 포함된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제(평)11-504665호에 기재된 하기 규소 결합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
[화 3]
Figure pct00003
(식 중, R은 C1-C12 알킬렌기, C1-C12 알킬렌옥시기, 산소 원자, 황 원자, -NH-, -NR'-(R'는 C1-C6 알킬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2가기를 나타낸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114849호에 기재된 이하의 어느 하나의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
[화 4]
Figure pct00004
(식 중, R1~R24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탄소수 2~22의 직쇄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또는 아릴렌기를 나타내고, X는 -O- 또는 NH-를 나타내고, M은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제2005-524747호에 기재된 이하의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
[화 5]
Figure pct00005
(식 중, B는 2~3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며, 임의로 1~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1개 이상의 알킬기에 의해 치환된 알킬렌 잔기를 나타내고,
R'는 수소 원자, 또는 1~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E는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1~5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3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며,
임의로 1~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1개 이상의 알킬기에 의해 치환된 알킬렌 잔기이며; M은 수소 원자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263643호에 기재된 이하의 평균 조성식으로 표시되는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
[화 6]
Figure pct00006
[식 중, R1은 탄소 원자수 1~30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1~30의 플루오로알킬기, 탄소 원자수 6~30의 아릴기 및 탄소 원자수 6~30의 아르알킬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이고,
R2는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기이며, c가 0인 경우에는 R2는 당해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적어도 하나의 말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화 7]
Figure pct00007
(식 중, R4는 탄소 원자수 2~20의, 산소 원자를 갖는 혹은 갖지 않는 2가의 탄화수소기이고, R5는 수소 원자이고,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6의 알킬기이고, R7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6의 알킬기이다)
R3은 하기 식 (3)으로 표시되는 기이고,
[화 8]
Figure pct00008
(식 중, R2는 상기한 바와 같으며,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1~30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1~30의 플루오로알킬기, 탄소 원자수 6~30의 아릴기 및 탄소 원자수 6~30의 아르알킬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이고, Q는 CdH2d(단, d는 1~5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2~4의 정수) 또는 산소 원자이고, k는 0~500, 바람직하게는 1~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60의 정수이고, h는 0~3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0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으로서, 특히 적합하게는 실리콘 주쇄의 측쇄 또는 말단의 적어도 1개의 규소 원자가 일반식: -R1-(OR2)p-(O)w-R3-COOH(식 중, R1은 탄소수 2~22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2~4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3은 결합손(-) 또는 탄소수 1~22의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는 0~200의 수를 나타내고, w는 0 또는 1의 수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에 결합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를 나타내는 일반식에서, R1은 탄소수 2~22의 직쇄 또는 분지쇄,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2,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0의 직쇄의 알킬렌기이며,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트리메틸렌, 부틸렌, 펜타메틸렌, 헥사메틸렌, 헵타메틸렌, 옥타메틸렌, 노나메틸렌, 데카메틸렌, 운데카메틸렌, 도데카메틸렌, 트리데카메틸렌, 테트라데카메틸렌, 펜타데카메틸렌, 헥사데카메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R2의 탄소수 2~4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기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트리메틸렌, 부틸렌기를 들 수 있으며, 특히 에틸렌기가 바람직하다.
R3의 탄소수 1~22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기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렌, 에틸렌, 에틸 에틸렌, 프로필렌, 트리메틸렌, 테트라메틸렌, 펜타메틸렌, 헥사메틸렌, 헵타메틸렌, 옥타메틸렌, 노나메틸렌, 데카메틸렌, 운데카메틸렌, 도데카메틸렌, 트리데카메틸렌, 테트라데카메틸렌, 펜타데카메틸렌, 헥사데카메틸렌 등의 기를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탄소수 1~12, 특히 R1과 R3의 탄소수의 합이 2~22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는 0~200의 수를 나타내지만, 0~20의 수가 바람직하고, 특히 0~10의 수가 바람직하다. 또한, w는 0 또는 1의 수를 나타내지만, 바람직하게는 0이다. 아울러, p, w가 모두 0일 때, 당해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는 구조식 -(CnH2n)-COOH로 표시되고, 1개의 카복실기가 탄소수 3~44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기를 통해 규소 원자에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식 중, n은 3~44의 수이고, 3~20의 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16의 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으로서, 예를 들어 하기 구조식 (1):
[화 9]
Figure pct00009
(식 중, Rc는 상기 일반식: -R1-(OR2)p-(O)w-R3-COOH로 표시되는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를 나타내고, R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탄소수 1~22의 알킬 혹은 알콕시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는 Rc 또는 R이며, a, b는 각각 0 이상의 범위의 수이고, a+b는 0~1000의 범위의 수이다. 단, b=0일 때, R'의 적어도 하나는 Rc이다.)로 표시되는 오가노폴리실록산을 들 수 있다. 특히,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8-109263호에 개시된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 국제 공개 제2009/22621호 등에 개시된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의 일부(실록산 덴드론(siloxane dendron) 구조를 갖는 것 이외)는 상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동시에, 본 발명에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에 포함된다.
구조식 (1)로 표시되는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이며 보다 적합한 것으로서는, a+b가 0~500의 범위의 수이고, 특히 b>0이며, 실리콘 주쇄에 상기 일반식: -R1-(OR2)p-(O)w-R3-COOH로 표시되는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가 그래프트한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 또는 b=0이며, 실리콘 주쇄의 양말단의 R'가 일반식: -R1-(OR2)p-(O)w-R3-COOH로 표시되는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인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적합한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은 측쇄 부분에 다수의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를 갖는 것이며, b>a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적합하게는 b>0 및 a=0이다. b>a란, 측쇄 부분의 반수보다 많은 실록산 단위가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를 갖는 것이며, a+b가 1~500의 범위의 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0일 때, b>0이면, 측쇄 부분의 실록산 단위는 모두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를 갖는 것이며, b가 1~200의 범위의 수 또는 1~50의 범위의 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구조식 (1)에서, R은 메틸기, 알콕시기 또는 페닐기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탄화수소유 등의 유기계 유제와의 배합 안정성의 관점에서, 일부에 탄소 원자수 6~22의 장쇄 알킬기를 갖는 것일 수도 있다.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에 의한 변성률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a+b가 0~500의 범위의 수이면, 실리콘 주쇄의 양말단에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가 결합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분자 중에 평균적으로 2~100의 상기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와 같은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은 공지의 방법, 예를 들어 Si-H기를 갖는 디메틸폴리실록산과 불포화 카복실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백금 촉매하에서 부가 반응하고, 다시 비누화에 의해 카복실산으로 하는 방법; Si-H기를 갖는 디메틸폴리실록산과 불포화 카복실산 실릴 에스테르 또는 알릴옥시 카복실산 실릴 에스테르를 백금 촉매하에서 부가 반응하고, 반응 후 가수분해로 목적물을 얻는 방법; 및 비스(하이드록시 카보닐 에틸)테트라메틸디실록산과 환상 실록산 및 산성 촉매를 사용하여 평형화 반응하여 양말단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을 얻는 방법(실리콘 핸드북, 이토 쿠니오(ITO Kunio) 편집, 닛칸코교신분샤(THE NIKKAN KOGYO SHIMBUN, LTD.), 166~167페이지)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구조식 (1)로 표시되는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으로서,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의 시판품을 그대로 또는 용매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BY16-880, BY16-750, FZ-3516, ES-5800 Formulation Aid(다우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Dow Toray Co., Ltd.) 제품), TSF 4770, TSF4771(가부시키가이샤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테리얼즈(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제품), X-22-162A, X-22-162C, X-22-3701E, X-22-3710(신에츠카가쿠코교 가부시키가이샤(Shin-Etsu Chemical Co., Ltd.)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은 실온(25℃)에서 액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은 실온(25℃) 및 1기압하에서 액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은 하기 구조식 (2):
[화 10]
Figure pct00010
(식 중,
Rc는 일반식: -R1-(OR2)p-(O)w-R3-COOH(R1은 탄소수 2~22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2~4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3은 결합손(-) 또는 탄소수 1~22의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는 0~200의 수를 나타내고, w는 0 또는 1의 수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를 나타내고,
R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탄소수 1~22의 알킬 혹은 알콕시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는 Rc 또는 R이며,
a, b는 각각 양의 수이며, a≥2가 바람직하고, 또한 b≥2가 바람직하고,
a+b는 2~20의 범위의 수이며, 2~15가 바람직하고, 2~10이 보다 바람직하고,
a/b는 0.3~3.0의 범위이며. 0.3~2.5가 바람직하고, 0.3~2.0이 보다 바람직하고, 0.5~2.0이 더욱더 바람직하다.)로 표시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식 (2) 중의 상기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를 나타내는 일반식에서, R1은 탄소수 2~22의 직쇄 또는 분지쇄,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2,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0의 직쇄의 알킬렌기이며,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트리메틸렌, 부틸렌, 펜타메틸렌, 헥사메틸렌, 헵타메틸렌, 옥타메틸렌, 노나메틸렌, 데카메틸렌, 운데카메틸렌, 도데카메틸렌, 트리데카메틸렌, 테트라데카메틸렌, 펜타데카메틸렌, 헥사데카메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R2의 탄소수 2~4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기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트리메틸렌, 부틸렌기를 들 수 있으며, 특히 에틸렌기가 바람직하다.
R3의 탄소수 1~22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기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렌, 에틸렌, 에틸 에틸렌, 프로필렌, 트리메틸렌, 테트라메틸렌, 펜타메틸렌, 헥사메틸렌, 헵타메틸렌, 옥타메틸렌, 노나메틸렌, 데카메틸렌, 운데카메틸렌, 도데카메틸렌, 트리데카메틸렌, 테트라데카메틸렌, 펜타데카메틸렌, 헥사데카메틸렌 등의 기를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탄소수 1~12, 특히 R1과 R3의 탄소수의 합이 2~22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는 0~200의 수를 나타내지만, 0~20의 수가 바람직하고, 특히 0~10의 수가 바람직하다. 또한, w는 0 또는 1의 수를 나타내지만, 바람직하게는 0이다. 아울러, p, w가 모두 0일 때, 당해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는 구조식 -(CnH2n)-COOH로 표시되며, 1개의 카복실기가 탄소수 3~44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기를 통해 규소 원자에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식 중, n은 3~44의 수이고, 3~20의 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16의 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식 (2)로 표시되는 상기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은 적어도 1개의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가 측쇄 또는 말단에 도입된 오가노실록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는 오가노실록산의 측쇄에 도입된다.
따라서, 구조식 (2)로 표시되는 상기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으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 주쇄에 측쇄로서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가 그래프트된 것, 실리콘 주쇄의 편말단에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가 부가된 것, 실리콘 주쇄의 양말단에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가 부가된 것, 실리콘 주쇄의 양말단에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가 부가되고, 또한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가 측쇄로서 그래프트된 것, 임의로 또한, 탄소 원자수 6 이상의 장쇄의 알킬기를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가장 적합하게는, 실리콘 주쇄에 측쇄로서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가 그래프트된 것을 들 수 있다. 아울러,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이 장쇄 알킬기를 가짐으로써, 탄화수소유 등의 유기계 유제와의 배합 안정성이 개선되는 경우가 있다.
구조식 (2)로 표시되는 상기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으로서는, R'가 R이며, 또한 실리콘 측쇄에 상기 일반식: -R1-(OR2)p-(O)w-R3-COOH로 표시되는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가 그래프트된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이 바람직하고; R'가 R이며, 또한 실리콘 측쇄에 복수의 상기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R'가 R이며, 실리콘 측쇄에 복수의 상기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를 가지며, 또한 a/b=1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구조식 (2)에서, R은 메틸기, 알콕시기 또는 페닐기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탄화수소유 등의 유기계 유제와의 배합 안정성의 관점에서, 일부에 탄소 원자수 6~22의 장쇄 알킬기를 갖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와 같은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은 공지의 방법, 예를 들어 Si-H기를 갖는 디메틸폴리실록산과 불포화 카복실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백금 촉매하에서 부가 반응하고, 다시 비누화에 의해 카복실산으로 하는 방법; Si-H기를 갖는 디메틸폴리실록산과 불포화 카복실산 실릴 에스테르 또는 알릴옥시 카복실산 실릴 에스테르를 백금 촉매하에서 부가 반응하고, 반응 후 가수분해로 목적물을 얻는 방법; 및 비스(하이드록시 카보닐 에틸)테트라메틸디실록산과 환상 실록산 및 산성 촉매를 사용하여 평형화 반응하여 양말단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을 얻는 방법(실리콘 핸드북, 이토 쿠니오 편집, 닛칸코교신분샤, 166~167페이지)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본 발명에서의 적합한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으로서 상품명 ES-5800 Formulation Aid(다우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등으로서 출시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상기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을 화장료의 전체 질량에 대해 0.1~15 질량%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10 질량%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5 질량%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상기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의 함유량이 과도하게 적은 경우에는, 유화물의 안정성 및 메이크업의 제거 용이성의 성능이 저하되고, 과도하게 많은 경우에는, 피부에 적용해도 유중 수형으로의 상 전환이 일어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메이크업 오염과의 융합 용이성이 저하된다.
[유제]
본 발명의 화장료는 적어도 1종의 (B) 유제를 포함한다. 유제는 본 발명의 화장료 중에서 유상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B) 유제를 포함함으로써, 메이크업에 대한 양호한 제거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유제」는 화장료의 성분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제는 통상은 실온에서 액체이지만, 왁스와 같은 고형일 수도 있으며, 후술하는 고점도 및 점조(粘稠)한 검(gum)상 혹은 페이스트상일 수도 있다.
(B) 유제는 실리콘유, 불소계유, 비극성 유기 화합물 및 저극성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5~100℃에서 액상인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B) 유제가 탄화수소유, 실리콘유 및 지방산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유는 소수성이며, 그 분자 구조는 환상, 직쇄상, 분지상 중 어느 하나이어도 무방하다. 실리콘유의 25℃에서의 점도는 통상 0.65~100,000 ㎟/s의 범위이며, 0.65~10,000 ㎟/s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실리콘유로서는, 예를 들어 직쇄상 오가노폴리실록산, 환상 오가노폴리실록산 및 분지상 오가노폴리실록산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휘발성의 직쇄상 오가노폴리실록산, 환상 오가노폴리실록산 및 분지상 오가노폴리실록산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직쇄상 오가노폴리실록산으로서는, 분자쇄 양말단 트리메틸실록시기 봉쇄 디메틸폴리실록산(2 mPa·s나 6 mPa·s 등의 저점도~100만 mPa·s등 고점도의 디메틸 실리콘), 오가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분자쇄 양말단 트리메틸실록시기 봉쇄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분자쇄 양말단 트리메틸실록시기 봉쇄 디메틸실록산·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분자쇄 양말단 트리메틸실록시기 봉쇄 디페닐폴리실록산, 분자쇄 양말단 트리메틸실록시기 봉쇄 디메틸실록산·디페닐실록산 공중합체,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 페닐(트리메틸실록시)실록산, 분자쇄 양말단 트리메틸실록시기 봉쇄 메틸알킬폴리실록산, 분자쇄 양말단 트리메틸실록시기 봉쇄 디메틸폴리실록산·메틸알킬실록산 공중합체, 분자쇄 양말단 트리메틸실록시기 봉쇄 디메틸실록산·메틸(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 α, ω-디하이드록시 폴리디메틸실록산, α,ω-디에톡시 폴리디메틸실록산, 1,1,1,3,5,5,5-헵타메틸-3-옥틸트리실록산, 1,1,1,3,5,5,5-헵타메틸-3-도데실트리실록산, 1,1,1,3,5,5,5-헵타메틸-3-헥사데실트리실록산,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메틸실란,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알킬실란, 테트라키스트리메틸실록시실란, 테트라메틸-1,3-디하이드록시디실록산, 옥타메틸-1,7-디하이드록시테트라실록산, 헥사메틸-1,5-디에톡시트리실록산, 헥사메틸디실록산, 옥타메틸트리실록산, 고급 알콕시 변성 실리콘, 고급 지방산 변성 실리콘, 디메티콘올 등이 예시된다.
환상 오가노폴리실록산으로서는, 헥사메틸사이클로트리실록산(D3),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D4),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D5), 도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D6), 1,1-디에틸헥사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페닐헵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1,1-디페닐헥사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1,3,5,7-테트라비닐테트라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1,3, 5,7-테트라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1,3,5,7-테트라사이클로헥실테트라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트리스(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메틸사이클로트리실록산, 1,3,5,7-테트라(3-메타크릴옥시프로필)테트라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1,3,5,7-테트라(3-아크릴옥시프로필)테트라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1,3,5,7-테트라(3-카복시프로필)테트라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1,3,5,7-테트라(3-비닐옥시프로필)테트라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1,3,5,7-테트라(p-비닐페닐)테트라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1,3,5,7-테트라[3-(p-비닐페닐)프로필]테트라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1,3,5,7-테트라(N-아크릴로일-N-메틸-3-아미노프로필)테트라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1,3,5,7-테트라(N,N-비스(라우로일)-3-아미노프로필)테트라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등이 예시된다.
분지상 오가노폴리실록산으로서는, 메틸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란, 에틸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란, 프로필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란, 테트라키스트리메틸실록시실란, 페닐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유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데칸, 퍼플루오로옥탄 등이 예시된다.
비극성 유기 화합물 및 저극성 유기 화합물로서는, 탄화수소유 및 지방산 에스테르유가 바람직하다. 특히 탄화수소유가 바람직하다.
탄화수소유로서는, 예를 들어 유동 파라핀,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중질 유동 이소파라핀, 바셀린, n-파라핀, 이소파라핀,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폴리이소부틸렌, 수소화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텐, 오조케라이트, 세레신,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왁스, 스쿠알란, 스쿠알렌, 프리스탄, 폴리이소프렌 등이 예시된다.
지방산 에스테르유로서는, 예를 들어 옥탄산 헥실데실, 옥탄산 세틸,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 부틸, 라우르산 헥실, 미리스트산 미리스틸, 올레산 올레일, 올레산 데실, 미리스트산 옥틸도데실, 디메틸옥탄산 헥실데실, 락트산 세틸, 락트산 미리스틸, 프탈산 디에틸, 프탈산 디부틸, 아세트산 라놀린, 디올레산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 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트리 2-에틸헥산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에틸헥산산 디트리메틸올프로판, (이소스테아르산/세바스산)디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옥탄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올프로판, 아디프산 디이소프로필, 아디프산 디이소부틸, 아디프산 2-헥실데실, 아디프산 디-2-헵틸운데실,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모노이소스테아르산 수첨 피마자유, 이소스테아르산 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르산 이소세틸, 디-2-에틸헥산산 에틸렌 글리콜, 2-에틸헥산산 세틸, 테트라-2-에틸헥산산 펜타에리트리톨, 옥틸도데실 검 에스테르, 올레산 에틸, 올레산 옥틸도데실, 디카프르산 네오펜틸 글리콜, 구연산 트리에틸, 숙신산 2-에틸헥실, 숙신산 디옥틸, 스테아르산 이소세틸, 세바스산 디이소프로필, 세바스산 디-2-에틸헥실, 세바스산 디에틸, 세바스산 디옥틸, 세바스산 디부틸옥틸, 팔미트산 세틸, 팔미트산 옥틸도데실, 팔미트산 옥틸, 팔미트산 2-에틸헥실, 팔미트산 2-헥실데실, 팔미트산 2-헵틸운데실, 12-하이드록시스테아릴산 콜레스테릴,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 미리스트산 2-헥실데실, 라우르산 에틸, N-라우로일-L-글루탐산-2-옥틸도데실 에스테르, N-라우로일-L-글루탐산 디(콜레스테릴/베헤닐/옥틸도데실), N-라우로일-L-글루탐산 디(콜레스테릴/옥틸도데실), N-라우로일-L-글루탐산 디(피토스테릴/베헤닐/옥틸도데실), N-라우로일-L-글루탐산 디(피토스테릴/옥틸도데실), N-라우로일사르코신 이소프로필,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디옥탄산 네오펜틸 글리콜, 네오펜탄산 이소데실, 네오펜탄산 이소트리데실, 네오펜탄산 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 이소노닐, 이소노난산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난산 옥틸, 이소노난산 이소트리데실, 디네오펜탄산 디에틸펜탄디올, 디네오펜탄산 메틸펜탄디올, 네오데칸산 옥틸도데실, 디옥탄산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테트라옥탄산 펜타에리트리틸, 수소 첨가 로진 펜타에리트리틸, 트리에틸헥산산 펜타에리트리틸, (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르산/로진산) 디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 노나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 데카(에루크산/이소스테아르산/리시놀레산)폴리글리세릴-8, (헥실데칸산/세바스산)디글리세릴 올리고에스테르, 디스테아르산 글리콜(디스테아르산 에틸렌 글리콜), 다이머 디리놀레산 디이소프로필, 다이머 디리놀레산 디이소스테아릴, 다이머 디리놀레산 디(이소스테아릴/피토스테릴), 다이머 디리놀레산(피토스테릴/베헤닐), 다이머 디리놀레산(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 다이머 디리놀레산 다이머 디리놀레일, 디이소스테아르산 다이머 디리놀레일, 다이머 디리놀레일 수첨 로진 축합물, 다이머 디리놀레산 경화 피마자유, 하이드록시알킬 다이머 디리놀레일 에테르, 트리이소옥탄산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 글리세릴, 트리미리스트산 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트산 글리세릴, 트리옥탄산 글리세릴, 트리올레산 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 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미리스트산/스테아르산)글리세릴, 수첨 로진 트리글리세리드(수소 첨가 에스테르 검), 로진 트리글리세리드(에스테르 검), 베헨산 에이코산 이산 글리세릴, 디-2-헵틸운데칸산 글리세릴, 미리스트산 이소스테아르산 디글리세릴, 아세트산 콜레스테릴, 노난산 콜레스테릴, 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올레산 콜레스테릴,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마카다미아 너트유 지방산 콜레스테릴, 마카다미아 너트유 지방산 피토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 피토스테릴, 연질 라놀린 지방산 콜레스테릴, 경질 라놀린 지방산 콜레스테릴, 장쇄 분지 지방산 콜레스테릴, 장쇄 α-하이드록시 지방산 콜레스테릴, 리시놀레산 옥틸도데실, 라놀린 지방산 옥틸도데실, 에루크산 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 경화 피마자유, 아보카도유 지방산 에틸,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옥수수유, 홍화유, 해바라기유, 아보카도유, 쌀배아유, 소맥배아유, 아몬드유, 대두유, 유채씨유, 참기름, 동백유, 애기동백유, 행인유(persic oil), 올리브유, 차씨유, 들깨씨유, 밍크유, 피마자유, 아마인유, 달맞이꽃유, 보리지 오일 등이 예시된다.
저극성 유기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탄소 원자수 10~30의 고급 알코올을 사용할 수도 있다. 탄소 원자수 10~30의 고급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어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팔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헥사데실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헥실 도데칸올, 옥틸 도데칸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2-데실 테트라데시놀, 콜레스테롤, 시토스테롤, 피토스테롤, 라노스테롤, 라놀린 알코올, 수소 첨가 라놀린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중의 (B) 유제의 배합량은 화장료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3~80 질량%이며, 3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5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상이 더욱더 바람직하고, 15 질량% 이상이 더욱더 바람직하며, 또한 8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6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0 질량% 이하가 더욱더 바람직하고, 40 질량% 이하가 더욱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중의 (B) 유제의 배합량은 화장료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5~60 질량%가 바람직하고, 10~50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15~40 질량%가 더욱더 바람직하다. (B) 유제의 배합량이 과도하게 적은 경우에는, 메이크업 오염과의 융합이 늦어져, 메이크업 제거 성능도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며, 과도하게 많은 경우에는, 사용 후에 끈적임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
[물]
본 발명의 화장료는 (C) 물을 포함한다. 물은 본 발명의 화장료 중에서 수상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중의 (C) 물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화장료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2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30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5 질량% 이상이 더욱더 바람직하며, 또한 9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8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70 질량% 이하가 더욱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중의 (C) 물의 배합량은 화장료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25~90 질량%가 바람직하고, 30~80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35~70 질량%가 더욱더 바람직하다.
[염기성 화합물]
본 발명의 화장료는 적어도 1종의 (D) 염기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D) 염기성 화합물은 물 중에 용해했을 때 염기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종 무기 화합물 및 유기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1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의 (D) 염기성 화합물을 배합할 수도 있다.
유기 화합물로서는 모노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아미노메틸 프로판올, 아르기닌, 구아니딘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칼륨, 수산화칼슘, 탄산칼슘, 암모니아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수산화칼륨을 특히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중의 (D) 염기성 화합물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배합되는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에 포함되는 카복실산기 1몰에 대해 1가의 염기의 경우는 카복실산기/1가의 염기(몰비)가 1/0.5~1/1.5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화장료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0.01~2.5 질량%가 바람직하고, 0.05~2.0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1~1.5 질량%가 더욱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pH는 산성일 수도 알칼리성일 수도 있으나, 약산성~약알칼리성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6.0~9.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6.5~9.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7.0~8.5의 범위가 더욱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pH가 약알칼리성인 경우에는,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의 카복실산 변성 부위가 음이온화함으로써,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이 계면활성제로서의 기능을 양호하게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중의 (D) 염기성 화합물은 미리 본 발명의 화장료 중의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과 중화 반응시켜,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염으로서 화장료에 배합할 수도 있다.
[이온성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화장료는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화장료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10 질량%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이다.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10 질량%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했을 때 수중 유형으로부터 유중 수형으로의 상 반전이 일어나기 어려워져, 메이크업 오염과의 융합이 늦어진다. 여기서의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상기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과는 상이하다.
상기 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탄소수 10~20의 알킬기를 갖는 카복실산염, 황산염, 설폰산염 또는 인산염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兩性)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상기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과 마찬가지로 피부에 도포했을 때 피부의 중화능에 의해 중화되어 친수성을 잃는 카복실산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복실산염 이외의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란, 본 발명의 화장료의 전체 질량의 1 질량% 미만까지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단, 그 함유량은 적은 것이 유리하며, 0.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화장료는 적어도 1종의 (E) HLB가 4~14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E)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HLB는 5~13이 바람직하고, 6~12가 보다 바람직하다.
(E) HLB가 4~14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보조 유화제로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가 (E)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화장료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가 (E) HLB가 4~14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화장료를 사용 후에 물 또는 미온수로 씻어 없애는 것이 용이해져, 사용성이 더욱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가 (E) HLB가 4~14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아도, 본 발명의 화장료는 사용 후에 닦아냄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E) 성분으로서 사용 가능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4, 디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 올레산 폴리글리세릴-2 등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PEG-10 수첨 피마자유, PEG-20 수첨 피마자유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스테아르산 PEG-5, 이소스테아르산 PEG-6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세테스-2, 올레스-2, 스테아레스-15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스테아르산 스테아레스-12, 이소스테아르산 라우레스-10 등의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이소스테아르산 PEG-6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 PEG-20 글리세릴, 트리스테아르산 PEG-20 글리세릴, 야자유 지방산 PEG-7 글리세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 PEG-20 경화 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르산 PEG-20 경화 피마자유 등의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코폴리머,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코폴리머와 장쇄 알코올의 에테르, 폴리부틸렌 글리콜 폴리글리세린 코폴리머와 장쇄 알코올의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릴 및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E) HLB가 4~14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분자 중에 지방산 잔기를 갖는 경우, 그 지방산 잔기로서는,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산 등과 같은 탄소수 10~22의 고급 지방산의 잔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세티올(Cetiol) HE-JP」(야자유 지방산 PEG-7 글리세릴; BASF사 제품; HLB12), 「유니옥스(uniox) GT-20IS」(트리스테아르산 PEG-20 글리세릴;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NOF CORPORATION) 제품; HLB10.4), 「에말렉스(Emalex) PEIS-6EX」(이소스테아르산 PEG-6; 니혼에멀젼 가부시키가이샤(Nihon Emulsion Co., Ltd.) 제품; HLB9), 「에말렉스 SWS-12」(스테아르산 스테아레스-12; 니혼에멀젼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HLB8)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중의 (E) HLB가 4~14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화장료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0.1~8 질량%가 바람직하고, 0.5~7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1~6 질량%가 더욱더 바람직하다.
[불용성 입자]
본 발명의 화장료는 적어도 1종의 (F) 불용성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F) 불용성 입자는 기름 및/또는 물에 불용성이며, 또한 기름 또는 물에 대해 비팽윤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F) 불용성 입자를 함유함으로써, 예를 들어 스크럽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F) 불용성 입자를 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화장료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F) 불용성 입자의 입자 지름은 1 μm~200 μm가 바람직하다.
(F) 불용성 입자로서는, 본 발명의 화장료 중에 안정적으로 존재시킬 수 있는 것이면, 구상, 판상, 방추상(紡錘狀), 침상, 부정형 등의 입자의 형상이나, 다공질, 무공질 등의 입자의 구조, 무기물, 유기물, 천연물, 합성물 등의 입자의 재질·기원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입자로서는, 예를 들어 무기 안료, 유기 안료, 광휘성 안료, 체질 분체, 색소 분체, 복합 분체, 종자 핵립(核粒)·각립(殼粒) 등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산화티탄, 산화아연, 감청, 군청, 무수 규산,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크롬, 카본 블랙,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 마그네슘, 운모, 스멕타이트, 벤토나이트, 카올린, 합성 운모, 합성 세리사이트, 세리사이트, 탈크, 알루미나, 탄화규소, 황산바륨, 질화붕소, 옥시염화비스무트, 운모 티탄, 산화철 피복 운모, 산화철 피복 운모 티탄, 유기 안료 피복 운모 티탄, 알루미늄 파우더, N-아실리신, 폴리스티렌 분말, 나일론 분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분말,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분말, 오가노폴리실록산 엘라스토머 분말, 살구 핵립, 복숭아 핵립, 호두 각립 등이 예시된다. 특히, 스크럽제로서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살구 핵립, 복숭아 핵립, 호두 각립 등의 종자 핵립·각립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스크럽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F) 불용성 입자는 카제인 등의 단백질 분말, 소맥 분말, 키틴, 키토산 등의 다당류 분말 등,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스티렌 분말, 나일론 분말, 결정 셀룰로오스, 유기 변성 점토 광물, 가교형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전분 아크릴산 나트륨 그래프트 공중합체, 경석, 규산알루미늄 마그네슘, 무수 규산, 라포나이트 콜로이달 알루미나, 점토 광물, 식염, 함수 규산마그네슘, 함수 규산알루미늄 칼륨, 함수 규산알루미늄 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중의 (F) 불용성 입자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화장료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0.1~5 질량%가 바람직하고, 0.3~3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5~1 질량%가 더욱더 바람직하다.
[다가 알코올]
본 발명의 화장료는 적어도 1종의 (G) 다가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G) 다가 알코올을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화장료의 사용감을 조정할 수 있다.
(G) 다가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어 소르비톨, 자일리톨,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다가 알코올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또는 이들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중의 (G) 다가 알코올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적합하게는, 화장료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0.3~30 질량%가 바람직하고, 0.5~25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1~20 질량%가 더욱더 바람직하다.
[수용성 증점제]
본 발명의 화장료는 적어도 1종의 (H) 수용성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다.
(H) 수용성 증점제로서는, 화장료에 범용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H) 수용성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어 친수성의 유기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H) 수용성 증점제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화장료의 점도, 사용감을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존 안정성이 더욱 향상된다.
(H) 수용성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어 카복시비닐 폴리머,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에틸렌 글리콜,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메틸 에테르,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알긴산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 구아검, 로커스트빈검, 카라기난, 잔탄검, 덱스트린, 벤토나이트, 변성 감자 전분이나 하이드록시프로필 전분 인산 등의 전분 변성물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카복시비닐 폴리머,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이다. 이들 수용성 증점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중의 (H) 수용성 증점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화장료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0.01~5 질량%가 바람직하고, 0.05~2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1~2 질량%가 더욱더 바람직하다.
[임의 성분]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그 외 성분: 예를 들어, (F) 성분 이외의 입자, (G) 성분 이외의 보습제, (H) 성분 이외의 증점제, 방부제, 항균제, 향료, 염류, 산화방지제, (D) 성분 이외의 pH 조정제, 킬레이트제, 청량제, 항염증제, 생리 활성 성분(미백제, 세포 부활제, 피부 거침 개선제, 혈행 촉진제, 피부 수렴제, 항지루(抗脂漏)제 등),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핵산, 호르몬, 포접 화합물 등을 첨가할 수 있다. 그 외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화장료는 (A) 50℃에서 액상인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 소정량의 (B) 유제, (C) 물 및 (D) 염기성 화합물을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제조 공정은 임의이며, 상기 각 성분을 혼합하여 (A)~(D) 성분을 포함하는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를 조제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상기 (E)~(H) 성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더 혼합할 수도 있다.
[사용 방법]
본 발명의 화장료는 크림상, 겔상, 액상의 어느 형태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메이크업의 클렌징 또는 제거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 의한 제거 대상으로서의 메이크업으로서는, 예를 들어 파운데이션, 마스카라, 루즈, 아이섀도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에 의한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물이나 따뜻한 물만 또는 세안 비누나 세안 폼 등의 계면활성제형 세정료만으로는 지우기 어려운 메이크업의 클렌징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적합하게는,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피부 위의 메이크업의 제거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는 바람직하게는 수중 유형 피부 클렌징 화장료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예를 들어 피부 위의 소정 부위에 도포 후, 피지 오염이나 메이크업 오염에 융합시킨 후, 코튼이나 부직포 등으로 닦아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를 피부 위의 소정 부위에 도포 후, 피지 오염이나 메이크업 오염에 융합시킨 후, 물 또는 미온수에 의해 씻어 없앨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피지 오염이나 메이크업 오염에 융합시킨 후에 물 또는 미온수에 의해 씻어 없앨 수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중 유형 조성물의 형태이며, 연속상을 구성하는 물이 피부에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유제를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끈적임이 적고, 또한 윤기있고 산뜻한 사용감을 특히 사용 당초에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는 사용 중에 유상과 수상이 전환하여, 피부 위에서 오일이 녹아 나오는 듯한 기분 좋은 사용감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통상 유리제, 플라스틱제 등의 적절한 용기에 넣어 보존되지만, 필요에 따라, 미리 담체에 함침시켜 닦아내기용 시트의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담체는 화장료를 충분히 함침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면 특별한 한정은 없으며, 예를 들어 종이, 부직포, 거즈, 탈지면, 우레탄 시트, 스펀지 박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그 자체에 유성 성분 흡착 작용을 갖는 부직포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화장료의 함침 비율은 액체가 적하하지 않는 범위의 최대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양은 재질에 의존하므로, 예비 실험에 의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를 함침시킨 시트는 통상 다소의 여분의 화장료와 함께, 밀폐성이 높은 동시에 경량인 포장 형태로 포장된다. 이러한 포장 형태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는 알루미늄층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층 등의 수지 필름을 갖는 라미네이트 필름 등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안정적이며, 장기에 걸쳐 보존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기초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아무런 한정되지 않는다.
(합성예 1)
교반기, 환류 냉각기, 적하 깔때기 및 온도계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운데실렌산 트리메틸실릴 230.67 g, 백금-1,3-디비닐-1,1,3,3-테트라메틸디실록산 착체 0.042 g을 가하고, 70-80℃의 범위를 유지하도록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Si-H 실록산 129.33 g을 적하했다.
[화 11]
Figure pct00011
적하 종료 후, 2시간, 110℃에서 숙성한 후, 수소 발생법에 의해 Si-H 결합의 소실을 확인했다. 저비점분을 감압하, 증류 제거했다. 그 후, 탈이온수 90 g을 가하고, 환류하 4시간 숙성하고, 탈보호를 수행했다. 그 후 다시 저비점분을 감압하 제거하여 화합물 1을 얻었다. 분석 결과, 화합물 1의 화학 구조는 하기 화학식으로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화 12]
Figure pct00012
(합성예 2)
교반기, 환류 냉각기, 적하 깔때기 및 온도계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1, 1,1,3,5,5,5-헵타메틸트리실록산 100 g, 백금-1,3-디비닐-1,1,3,3-테트라메틸디실록산 착체의 톨루엔 용액 0.02 g을 가하고, 70-100℃의 범위를 유지하도록 운데실렌산 트리메틸실릴 105 g을 적하했다. 적하 종료 후, 2시간, 110℃에서 숙성한 후, 수소 발생법에 의해 Si-H 결합의 소실을 확인했다. 저비점분을 감압하, 증류 제거했다. 그 후, 물을 가하고, 환류하 4시간 숙성하고, 탈보호를 수행했다. 그 후 다시 저비점분을 감압하 제거하여 화합물 2를 얻었다. 분석 결과, 화합물 2의 화학 구조는 하기 화학식으로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화 13]
Figure pct00013
(합성예 3)
교반기, 환류 냉각기, 적하 깔때기 및 온도계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운데실렌산 트리메틸실릴 51.44 g, 백금-1,3-디비닐-1,1,3,3-테트라메틸디실록산 착체 0.035 g을 가하고, 70-80℃의 범위를 유지하도록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Si-H 실록산 128.56 g을 적하했다.
[화 14]
Figure pct00014
적하 종료 후, 2시간, 110℃에서 숙성한 후, 수소 발생법에 의해 Si-H 결합의 소실을 확인했다. 저비점분을 감압하, 증류 제거했다. 그 후, 탈이온수 90 g을 가하고, 환류하 4시간 숙성하고, 탈보호를 수행했다. 그 후 다시 저비점분을 감압하 제거하여 화합물 3을 얻었다. 분석 결과, 화합물 3의 화학 구조는 하기 화학식으로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화 15]
Figure pct00015
[실시예 1~5 및 비교예 1~4]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사용하여 하기 제조 방법에 의해 실시예 1~5 및 비교예 1~4의 조성물을 제조했다. 표 1 및 표 2 중의 각 성분의 배합량은 특기하지 않는 한 「 질량%」(「중량%」)를 나타낸다.
(제조 방법)
(1) A상의 성분을 혼합한다.
(2) B상의 성분을 혼합한다.
(3) 상온에서 A상의 성분의 혼합물에 B상의 성분의 혼합물을 소량씩 첨가하여 겔상 에멀젼을 조제한다.
(4) 상기 겔상 에멀젼에 C상의 성분을 혼합하여 화장료를 조제한다.
[표 1]
Figure pct00016
[표 2]
Figure pct00017
클렌징 화장료의 평가
[평가용 액상 루즈]
클렌징 화장료의 메이크업 제거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하기 성분명이 표시되어 있는 시판의 액상 루즈(상품명 HUDABEAUTY사 제품 LIQUID MATTE(색번호 WILD CHILD))를 사용했다. 이 제품은 휘발성 유제(이소도데칸, 사이클로펜타실록산)와 피막 형성 수지(트리메틸실록시규산,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를 포함하는, 지속성이 지극히 높은 타입의 액상 루즈이다.
(시판 액상 루즈 LIQUID MATTE의 표시 성분)
「이소도데칸,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밀랍, 트리메틸실록시규산,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 옥틸도데칸올, 디스테아르디모늄 헥토라이트, 마이카, 알코올, 에틸 바닐린, 페녹시 에탄올, 향료, 탄산프로필렌, 물, 인 지질, 커피 종자 추출물, 올리브유, 팔미트산 아스코르빌, 리놀레산, 팔미트산 레티놀, 아세트산 토코페롤, 리코핀, +/- 산화티탄, 산화철, RED6, RED27, YELLOW5, RED40, BLUE1」
평가용 액상 루즈를 5명의 관능 평가 전문 패널의 팔뚝 안쪽에 부속의 어플리케이터로 직경 2 cm의 원형으로 도포하고, 30분간 건조시킨 후, 실시예 1~5 및 비교예 1~4의 각 클렌징 화장료의 평가를 수행했다.
(1) 융합의 빠르기
실시예 1~5 및 비교예 1~4의 각 클렌징 화장료를 팥 크기의 크기로 루즈 도포 부분에 올리고, 집게 손가락으로 회전시키면서 도포 루즈에 융합시킬 때, 도포 루즈 전체가 떠올라 클렌징 화장료에 융합되었을 때의 손가락을 회전시킨 횟수의 5명의 평균으로부터, 하기에 의해 판정했다.
◎: 10회 미만
○: 10회 이상, 15회 미만
△: 15회 이상, 20회 미만
×: 20회 이상
(2) 메이크업 제거
실시예 1~5 및 비교예 1~4의 각 클렌징 화장료를 팥 크기의 크기로 루즈 도포 부분에 올리고, 집게 손가락으로 10회 회전시켜 도포 루즈에 융합시킨 후, 미온수로 씻어 없애 루즈의 남은 상태로부터 하기에 의해 판정했다.
◎: 전혀 남지 않음
○: 거의 남지 않았지만, 흔적 정도의 루즈의 색이 확인됨
△: 흐려져 있지만 루즈의 색이 남아 있음
×: 명확히 루즈의 색이 확인됨
(3) 끈적임의 없음
상기 메이크업 제거 평가 후, 피부의 끈적임에 대해 평가 전문 패널에 하기 3단계 평가를 받아, 5명의 평점의 합계로부터 하기 판정 기준에 의해 판정했다.
(3단계 평가)
끈적이지 않음 평점 2
다소 끈적임 평점 1
끈적임 평점 0
(판정 기준)
◎: 평점의 합계 9~10
○: 평점의 합계 6~8
△: 평점의 합계 3~5
×: 평점의 합계 2 이하
(4) 안정성
실시예 1~5 및 비교예 1~4의 각 클렌징 화장료를 30 mL 유리병에 넣고, 50℃의 항온조 중에서 7일간 보관하고, 유화 상태를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에 따라 보존 안정성을 평가했다.
◎: 변화 없음
○: 흼, 광택이 약간 저하
△: 겉보기에는 균일하지만 점도 저하가 있음
×: 크리밍 또는 유상과 수상의 분리가 보임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을 배합한 실시예 1~5의 클렌징 화장료는 빠르게 메이크업 오염에 융합되어, 씻어 없앤 후의 메이크업 제거도 양호했으며, 끈적임이 억제되어 안정적이었다. 한편, 실시예 1~5에서 사용한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으로 바꾸어 통상의 수중 유형 유화에 사용되는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라우르산 폴리글리세릴-10)를 사용한 비교예 1 및 2의 클렌징 화장료는 메이크업 오염과 융합되는데 시간이 걸렸으며, 씻어 없앤 후의 메이크업 제거도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또한, 실시예 1~5에서 사용한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으로 바꾸어(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알킬(C10-30)) 크로스 폴리머를 사용하여 유화를 수행한 비교예 3은 메이크업 제거 및 안정성의 점에서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또한, 실시예 1~5에서 사용한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으로 바꾸어 이소스테아르산으로 유화를 수행한 비교예 4는 메이크업 오염과의 융합은 빨랐지만, 메이크업 제거의 점에서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Claims (13)

  1. (A) 50℃에서 액상인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
    (B) 유제를 화장료의 전체 질량에 대해 3~80 질량%,
    (C) 물, 및
    (D) 염기성 화합물
    을 포함하며, 상기 (A) 50℃에서 액상인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 이외의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화장료의 전체 질량에 대해 10 질량% 이하인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이 하기 구조식 (1):
    [화 1]
    Figure pct00018

    (식 중,
    Rc는 일반식: -R1-(OR2)p-(O)w-R3-COOH(R1은 탄소수 2~22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2~4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3은 결합손(-) 또는 탄소수 1~22의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는 0~200의 수를 나타내고, w는 0 또는 1의 수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를 나타내고,
    R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탄소수 1~22의 알킬 혹은 알콕시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는 Rc 또는 R이며,
    a, b는 각각 0 또는 양의 수이고, a+b는 0~30의 범위의 수이고, b가 0일 때, R'의 적어도 하나는 Rc이다.)로 표시되는,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이 실온(25℃)에서 액상인,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이 하기 구조식 (2):
    [화 2]
    Figure pct00019

    (식 중,
    Rc는 일반식: -R1-(OR2)p-(O)w-R3-COOH(R1은 탄소수 2~22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2~4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3은 결합손(-) 또는 탄소수 1~22의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는 0~200의 수를 나타내고, w는 0 또는 1의 수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카복실기 함유 유기기를 나타내고,
    R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탄소수 1~22의 알킬 혹은 알콕시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는 Rc 또는 R이며,
    a, b는 각각 양의 수이고, a+b는 2~20의 범위의 수이고, a/b는 0.3~3.0의 범위이다.)로 표시되는,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카복실산 변성 실리콘을 화장료의 전체 질량에 대해 0.1~15 질량%의 범위로 포함하는,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유제가 탄화수소유, 실리콘유 및 지방산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인,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 물을 화장료의 전체 질량에 대해 25~90 질량%의 범위로 포함하는,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H가 6.0~9.5인,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E) HLB가 4~14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
  10. 제9항에 있어서, (E) HLB가 4~14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릴 및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E) HLB가 4~14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화장료의 전체 질량에 대해 0.1~8 질량%의 범위로 포함하는,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F) 불용성 입자를 더 포함하는,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F) 불용성 입자를 화장료의 전체 질량에 대해 10 질량% 이하의 범위로 포함하는,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
KR1020217036354A 2019-04-10 2019-07-31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 KR202101505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74793 2019-04-10
JPJP-P-2019-074793 2019-04-10
PCT/JP2019/029927 WO2020208838A1 (ja) 2019-04-10 2019-07-31 水中油型クレンジング化粧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500A true KR20210150500A (ko) 2021-12-10

Family

ID=72751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6354A KR20210150500A (ko) 2019-04-10 2019-07-31 수중 유형 클렌징 화장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83956A1 (ko)
EP (1) EP3954357A4 (ko)
JP (1) JP7371853B2 (ko)
KR (1) KR20210150500A (ko)
CN (1) CN114040746B (ko)
WO (1) WO20202088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18588A1 (en) * 2021-01-08 2022-07-14 L'oréal Method and system for removing makeup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5144A (ja) 2008-02-05 2009-08-20 Shiseido Co Ltd 洗浄料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9263A (ja) 1994-10-12 1996-04-30 Kao Corp カルボン酸多価金属塩変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その製造法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ゲル化剤及び化粧料
JP2002114849A (ja) 2000-10-05 2002-04-16 Kao Corp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
US7163674B2 (en) * 2002-05-09 2007-01-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a dicarboxy functionalized polyorganosiloxane
JPWO2009025146A1 (ja) * 2007-07-26 2010-11-18 株式会社資生堂 ゲル組成物及び化粧料
US20110182846A1 (en) 2007-08-10 2011-07-28 Shiseido Company Ltd. Surface Treating Agent, Surface-Treated Powder, And Cosmetic
JP5353357B2 (ja) 2008-04-03 2013-11-2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カルボキシル基を有する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
CN102665668B (zh) * 2009-12-24 2014-10-22 道康宁东丽株式会社 具有碳硅氧烷树枝状大分子结构的共聚物及包含该共聚物的组合物和化妆品
WO2011078408A1 (en) 2009-12-24 2011-06-30 Dow Corning Toray Co., Ltd. Surface-treatment agent for powder for use in cosmetic and cosmetic containing powder treated with the same
JP5797618B2 (ja) * 2012-08-22 2015-10-21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カルボシロキサンデンドリマー構造を有する共重合体、並びに、それを含む組成物及び化粧料
JP6092545B2 (ja) * 2012-08-22 2017-03-08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カルボシロキサンデンドリマー構造および親水性基を有する共重合体およびその用途
WO2015125332A1 (ja) 2014-02-20 2015-08-27 株式会社マンダム クレンジングシート及び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JP6586554B2 (ja) * 2014-04-15 2019-10-09 ジェイオーコスメティックス株式会社 化粧料
JP6560519B2 (ja) 2015-03-27 2019-08-14 株式会社コーセー 液状油性クレンジング料
JP6110450B1 (ja) * 2015-09-29 2017-04-05 株式会社 資生堂 微細エマルション型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6833572B2 (ja) 2016-03-29 2021-02-24 株式会社コーセー 洗浄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5144A (ja) 2008-02-05 2009-08-20 Shiseido Co Ltd 洗浄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83956A1 (en) 2022-06-16
EP3954357A1 (en) 2022-02-16
JP2020172481A (ja) 2020-10-22
CN114040746A (zh) 2022-02-11
EP3954357A4 (en) 2023-05-03
JP7371853B2 (ja) 2023-10-31
CN114040746B (zh) 2024-02-27
WO2020208838A1 (ja)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0478B1 (ko) 신규한 실리콘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JP5101994B2 (ja) 油性睫用化粧料
CN112789027B (zh) 水包油型乳化化妆料
JP6134998B1 (ja) 目元用化粧料組成物
CN103209679A (zh) 包含高级醇改性的硅酮的化妆品和局部用皮肤制剂
JP5989646B2 (ja) サッカリドシロキサンコポリマー並びにその調製及び使用方法
KR20130108150A (ko) 신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이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제조 방법
JP3727901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2003063919A (ja) 固形状油中水系化粧料
JP2006036769A (ja) 化粧用油中水型固形エマルション
JP5318430B2 (ja) 化粧品油剤用ゲル化剤及びこれを配合する化粧料
EP1112733B1 (en) Lipstick composition containing hydrophilic crosslinked silicone
JP5784932B2 (ja) 油性固形化粧料
JP2000119134A (ja) 油性固型化粧料
CN112789022B (zh) 水包油型乳化化妆料
JP7371853B2 (ja) 水中油型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2003026529A (ja) 油性化粧料
JP2005314258A (ja) 固形状油中水型化粧料
CN112804988B (zh) 化妆料
CN116322606A (zh) 油包水型乳化组合物
JP6858509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4647084B2 (ja) 油性化粧料
JP7154007B2 (ja) 乳化化粧料
JP4965145B2 (ja) 水中油型睫用化粧料
WO2022255176A1 (ja) 化粧料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