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1996A - 식기 세척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1996A
KR20210141996A KR1020217032933A KR20217032933A KR20210141996A KR 20210141996 A KR20210141996 A KR 20210141996A KR 1020217032933 A KR1020217032933 A KR 1020217032933A KR 20217032933 A KR20217032933 A KR 20217032933A KR 20210141996 A KR20210141996 A KR 20210141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
shuttles
housing
zone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2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릴로 마이클 디
Original Assignee
릴로 마이클 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릴로 마이클 디 filed Critical 릴로 마이클 디
Publication of KR20210141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1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 A47L15/24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in a closed lo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7Details specific to conveyor-type machines, e.g.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1Baskets, e.g. for conveyor-type, in-sink type or hood-type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vertical plane, e.g. in a closed loop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식기 세척 장치가, 일련의 구역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각각의 구역은 식기 세척 사이클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구동 수단이, 오염된 물품이 적재된 셔틀을 루프로 하우징 상단의 적재/하역 지역으로부터, 하우징 내로, 각각의 상기 세척-단계 구역을 통해서, 그리고 다시 적재/하역 지역으로 운반한다. 상이한 셔틀 유형이 제공되고, 각각의 유형은: 접시류의 개별적인 물품, 컵류의 개별적인 물품, 또는 날붙이의 개별적인 개인별 식기 세트 중 하나를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장치를 이용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장치는 부엌 싱크에 인접한 주방 조리대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도록 소형이다. 장치 및 방법은, 하나의 개인별 식기 세트와 같은 적은 수의 물품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세척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자동화된 부엌용품의 세정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식기/식기류를 세척하기 위한 식기 세척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 즉 식기 및 기타를 세척하기 위한 기계가 1950년대부터 이용 가능하였으나, 이러한 디바이스는 대부분 동일한 유형 및 구성을 가지며, 즉 오염된 물품이 물 및 세제로 타격되는 챔버를 갖는다.
현재 이용 가능한 가정용 식기 세척기는, 상당한 수의 물품을 나타낼 수 있는, 만충 적재물(full load)을 세척하기 위해서 이용될 때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다. 이러한 기계는, 한 명 또는 두 명의 적은 양의 식사 또는 스낵으로부터 만들어진 물품과 같은, 적은 수의 물품을 세정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대부분의 사용자는 기계가 채워지기를 기다리고, 만충되었을 때 하루에 1번 또는 몇 일에 1번 기계를 작동시킨다. 식기 세척기가 채워지는 동안, 오염된 물품이 건조되고, 그에 따라 오염 물질이 물품 상에서 건조되어 추후에 세척하기 더 어렵게 만들거나, 곰팡이가 발생되며, 그에 따라 보기 흉하고 비위생적인 엉망인 상태를 초래한다. 이러한 단점을 완화하기 위해서, 적재에 앞서서 오염된 물품을 미리-헹굴 수 있으나, 이러한 부가적인 수작업 단계는 불편하고 식기 세척기를 가지는 장점을 애초에 사라지게 하는 경향이 있다.
가정용 식기 세척 기계는 일반적으로, 하단부에서 경첩 연결된(hinged) 전방-대면 도어를 갖는 부엌 조리대 아래에 설치된다. 결과적으로, 기계에 적재하는 것 및 하역하는 것은 개방 도어를 무릎 높이 아래에서 제공하고 사용자가 굽힐 것을 요구하고, 불편하고 잠재적으로 위험한 프로세스를 요구한다.
식당 및 카페테리아와 같은 상업적인 적용예를 위한 식기 세척 기계는, 세척하고자 하는 물건을 여러 세척 단계를 통해서 운반하기 위해서 연속 컨베이어를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GB 1023772 A(Thring)는, 세척하고자 하는 물건이, 하향 세척 작동 및 상향 건조 작동을 통해서 이송되는 느슨한 바구니 내로 적재되는 식기 세척 기계를 설명한다. 각각의 바구니는, 다양한 식기, 도구 및 날붙이의 장입물(charge)을 수용하기 위해서 메시 측면 및 트레이 하단부를 갖는다. DE 476329 C1(Gustav)은, 매달린 그릇 바구니가 사전-세척 용기 및 분무 챔버를 통해서 이송되는 식기 세척 기계를 설명한다. 물 분무 제트가 그릇 바구니 내에 배치된 식기의 모든 부분에 충돌할 수 있도록, 피벗 이동이 그릇 바구니에 전달된다. GB 190921745 A(Jones)은, 접시(plate)를 물의 탱크를 통해서 그리고 회전 브러시를 지나게 이송하는 컨베이어에 부착된 홀더 내에 접시들이 고정되는, 접시를 세척하기 위한 기계를 설명한다. 이러한 기계는 가정에서 이용하기에는 너무 크고, 복잡하고, 고가이다.
작고, 경제적이고, 사용이 용이하며, 접시, 컵 및 날붙이와 같은 적은 수의 물품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완전 자동화된 식기 세척 기계가 여전히 필요하다.
용어 설명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된 특정 용어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컵류(cupware)"는 컵, 유리잔, 및 기타를 의미한다. 그러한 용어는 임의의 특정 스타일 또는 카테고리의 음료 용기로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컵에 대한 언급은 유리잔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날붙이"는 나이프, 포크 및 수저와 같은 날붙이의 물품 뿐만 아니라, 껍질 까기 도구, 으깨기 도구, 거품 도구(whisk) 등과 같은 핸드 헬드 부엌 도구를 포함한다. 문맥상 배제되지 않는 한, 날붙이에 대한 언급은 도구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유리잔류"는 컵류와 동의어이다.
"개인별 식기 세트(Place-setting)". 날붙이의 개인별 식기 세트는 식사 중에 한 명이 이용하는 날붙이의 하나 이상의 물품을 지칭하고, 1명의 식사를 위해서 테이블에 일반적으로 놓이거나 셋팅되는 날붙이의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개인별 식기 세트의 추가적인 구성은 서비스되는/먹는 식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나이프, 포크 및 수저를 포함한다. 정찬을 위해서 보충적인 물품이 놓일 수 있다. 스낵은 더 적은 수의 날붙이 물품의 이용을 수반할 수 있다.
"접시류"는 접시, 주발(bowl), 및 기타를 의미한다. 문맥상 배제되지 않는 한, 접시에 대한 언급은 임의의 접시류의 물품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식기류"는 접시류, 컵류, 및 날붙이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양태에서, 본 발명은 식기 세척 장치를 제공하고, 그러한 식기 세척 장치는:
일련의 구역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서, 각각의 구역은 식기 세척 사이클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하우징 상단의 적재/하역 지역;
오염된 물품을 수용하고 이송하기 위한 복수의 셔틀로서:
개별적인 접시류의 물품을 수용하고 이송하도록 각각 구성되는, 접시류 셔틀들의 세트,
날붙이 및/또는 도구의 개별적인 개인별 식기 세트를 수용하고 이송하도록 각각 구성되는, 날붙이 셔틀들의 세트,
개별적인 컵류의 물품을 수용하고 이송하도록 각각 구성되는, 컵류 셔틀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세트들로 배치되는, 복수의 셔틀; 및
오염된 물품이 적재된 셔틀을 루프로(in loop) 적재/하역 지역으로부터 하우징 내로, 각각의 세척-단계 구역을 통해서, 그리고 하우징의 외부로 다시 적재/하역 지역으로 운반하기 위한 구동 수단으로서, 각각의 다른 셔틀 세트로부터의 셔틀과 독립적으로 하나의 셔틀 세트로부터의 셔틀을 운반하도록 동작될 수 있는,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한 장치는 완전 자동화된, 일체형의 식기 세척 장치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하우징은 세척 구역, 헹굼 구역, 및 건조 구역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위생처리(sanitation) 구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 및 헹굼 액체 그리고 건조 공기를 각각의 세척-단계 구역에 전달하는 것이 각각의 구역 내에서 충분히 국소화(localised)되도록, 그에 따라 구역들 사이에서 세척 및 헹굼 액체, 또는 건조 공기가 원치 않게 전달되는 것이, 식기 세척 사이클의 수행을 방해하지 않는 수준으로 방지 또는 제한되도록, 장치가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세척 및 헹굼 액체 그리고 건조 공기를 분무 노즐로 전달하는 것에 의해서 달성되고, 각각의 구역 내의 분무 노즐의 각도 및 압력은 세척-단계 구역들 사이의 교차 오염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하우징 내의 각각의 세척-단계 구역이 물리적 구획부에 의해서 인접 구역들로부터 분할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적재된 셔틀이 하나의 구역으로부터 다음 구역으로 통과될 수 있게 하면서, 구역들 사이에서 세척 및 헹굼 액체, 또는 건조 공기가 전달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적합한 구획부의 예는 플라스틱 스트립 커튼이다. 세척-단계 구역이 구획부들에 의해서 분할되는 경우에, 이들은 세척-단계 챔버들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셔틀 또는 캐리어가 세트 또는 그룹으로 배치 또는 배열되고, 각각의 세트는, 하나의 카테고리의 오염 식기류의 개별적인 물품을 수용 및 이송하도록 각각 구성되는 복수의 유사한 셔틀을 포함한다. 따라서, 식기 세척 장치는, 접시류(예를 들어, 접시, 주발 및 기타)의 개별적인 물품을 수용하도록 각각 구성되는 셔틀의 세트, 날붙이 및/또는 도구(예를 들어, 포크/수저/나이프 및 다른 부엌 도구와 같은 날붙이의 물품)의 개별적인 개인별 식기 세트를 수용하도록 각각 구성되는 셔틀의 세트, 그리고 유리잔류 및/또는 컵류를 수용하도록 각각 구성되는 셔틀의 세트를 포함한다.
장치는 행(row)으로 배열된 유사한 유형의 셔틀로 구성되고, 즉 각각의 셔틀의 세트가 하나의 행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장치는 3개의 셔틀의 행인, 접시류 셔틀의 행, 날붙이 셔틀의 행, 및 유리잔류/컵류 셔틀의 행을 포함하고, 각각의 행은 상이한 카테고리의 오염된 식기류의 개별적인 물품: 예를 들어 하나의 접시, 하나의 날붙이의 개인별 식기 세트(즉, 날붙이의 하나 또는 몇 개의 물품), 또는 하나의 유리잔을 수용하도록 적절히 설계된 셔틀을 포함한다.
장치는, 에너지 및 세제를 낭비하고 느린(slow) 것으로서, a) 수십 개 이상의 개인별 식기 세트를 위한 용량을 가질 수 있는, 통상적인 조리대 아래의 부엌 식기 세척기의 세척 챔버가 채워질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없이 또는 b) 내부에 몇 개의 물품만을 가지고 통상적인 식기 세척 기계를 작동시키는 것이 없이, 1번에 1명이 만들어 낸 적은 오염 식기류를 즉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세척하도록 구성된다. 단일 물품을 수용하고 이송하도록 구성되고 구체적으로 접시류, 컵류 및 날붙이/도구를 위해서 구성된 셔틀은, 장치가 단지 몇 개의 물품을 신속 세척 사이클로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게 한다. 접시류 및 컵류 셔틀은 하나의 개별적인 물품, 예를 들어 접시 및 컵을 각각 수용하고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날붙이/도구 셔틀은, 1번의 식사 또는 스낵에서 1번에 한 사람에 의해서 사용될(즉, 더럽혀 질) 수 있는, 날붙이의 하나의 또는 몇 개의 물품, 예를 들어 나이프, 포크 및 수저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품을 이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하우징은 셔틀의 진입을 위한 진입 플랩 및 셔틀의 진출을 위한 진출 플랩을 포함한다.
각각의 셔틀의 세트로부터의 셔틀은 각각의 세트로부터의 셔틀들과 독립적으로 장치를 통해서 운반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셔틀의 세트에 독립적인 구동 수단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구동 수단은 트랙 조립체의 쌍을 포함하고, 각각의 조립체는 랙 및 피니언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피니언은 루프 형태의 이동 가능 랙과 완전한 루프가 아닌 고정된 랙 사이에 개재된다.
개시된 장치는, 통상적인 식기 세척 기계에서 세척 사이클을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자원(에너지, 물, 세제, 시간)의 적정화를 위해서 큰 세척 챔버를 채우기 위한 충분한 물품을 누적할 필요가 없이, 필요에 따라 하나의 또는 몇 개의 오염된 물품을 신속하게 세정하도록 구성된다.
접시/식기, 날붙이, 및 컵/유리잔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특정적으로 구성된 셔틀은 한 번에 하나 또는 몇 개의 테이블 개인별 식기 세트를 적재하고 세척하는데 있어서 편리하다.
각각의 셔틀의 세트가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기 때문에, 장치는 상이한 식기 세척 필요성들 또는 경우들에 맞춰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이 그의 식사에서 한 주발의 스프를 먹었고 음료를 마시지 않은 경우에, 주발 및 수저가 접시류 셔틀 및 날붙이 셔틀 내에 각각 적재될 수 있고, 세척 사이클을 위해서 하우징을 통해서 구동될 수 있는 한편, 컵류 셔틀은 사이클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사람이 그의 스프와 함께 샌드위치를 먹은 경우에, 샌드위치 접시가 제2 접시류 셔틀 상에서 세척으로 통해서 전달될 수 있다. 유사하게, 2명의 사람이 식사를 함께 한 경우에, 제2 개인별 식기 세트가 세척될 수 있고, 이어서 추가적인 분류의 셔틀이 세척 사이클을 통해서 전달될 수 있고, 기타 등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장치는 부엌 싱크 옆의 조리대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장치는, 하우징 상단의 적재/하역 지역이 주방 조리대(countertop)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통상적인 싱크/배수부 배열체의 배수부와 유사한 위치에서, 주방 조리대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장치는, 빠른 시간 내에, 오염된 물품/물품들을 수용하고, 이들을 하우징 내로 낙하시키고, 세척하고, 헹굼하고, 위생처리하고, 건조하며, 적층된 물품을 다시 재사용 준비 상태로 복귀시킨다.
단순한 구동 메커니즘이 셔틀을, 장치 하우징의 상단부 상의 적재/하역 지역에서 시작되고 종료되는 연속적인 회로 내에서 운반하고, 다수의 물품이 짧은 간격으로 프로세스될 수 있게 한다. 사전-헹굼, 굽힘, 만충 적재물을 위한 대기, 물품을 재사용할 수 있기 위한 사이클 완료까지의 대기와 관련된 종래 기술의 단점이 방지된다. 부엌 싱크 또는 조리대 등의 더러운 물품이 유사하게 방지되어, 청정하고 정돈된 부엌을 초래한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식기류를 세척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그러한 방법은:
오염된 식기류의 물품을 식기 세척 장치의 하우징 상단의 적재/하역 지역 내에 위치된 셔틀 내로 적재하는 단계로서, 셔틀은 이용 가능한 셔틀 유형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그러한 그룹은: 개별적인 접시류의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접시류 셔틀, 개별적인 날붙이의 개인별 식기 세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날붙이 셔틀, 및 개별적인 컵류의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컵류 셔틀로 구성되는, 단계;
적재된 셔틀을 하우징 내에 포함된 일련의 구역을 통해서 운반하는 단계로서, 각각의 구역이 식기 세척 사이클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오염된 물품이 완전 세척 사이클을 거치는, 단계;
적재된 셔틀을 하우징의 외부로 운반하고 이를 적재/하역 지역으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유형의 셔틀은 각각의 셔틀 유형과 독립적으로 하우징을 통해서 운반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식기류"는, 테이블 개인별 식기 세트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물품, 즉 접시, 주발, 날붙이 그리고 컵 및 유리잔과 같은, 식사 중에 사용되는(그리고 그에 따라 더럽혀지는) 임의의 물품을 포함한다. 식사의 준비 및 서빙에서 사용된 물품이 또한 그에 포함된다. 그에 따라, 그러한 용어는 "접시 세척"이라는 문구에서 그리고 "식기 세척기"라는 용어 자체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접시"라는 일반적인 용어와 동의어이다.
예를 들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이제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척 장치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내부 구성요소를 보여주기 위해서 전방 패널을 제거한, 도 1의 식기 세척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상부 배수 배열체를 노출시키기 위해서 랙 셔틀을 제거한, 도 1의 식기 세척 장치의 상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장치를 통해서 셔틀을 운반하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 및 구성요소를 측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장치의 내부 배수 팬 및 부가적인 구성요소를 상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제, 예로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장치(100)는, 주방 조리대(11)와 같은 높이의, 적재/하역 지역을 포함하는, 하우징의 상단부를 갖춘 부엌 싱크(10) 옆에 설치된다. 장치(100)는 3개의 분리된 셔틀의 행: 전형적인 접시류를 수용 및 유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각각 제조된 접시류 셔틀(1)의 행; 하나의 또는 몇 개의 전형적인 날붙이 물품을 수용하도록 각각 구성된 날붙이 셔틀(2)의 행; 및 전형적인 유리잔/컵을 수용하도록 각각 구성된 컵류 셔틀(3)의 행을 포함한다. 각각의 셔틀은 자체의 각각의 트랙 내에 놓이는 각각의 단부에서 스프로켓 유형의 기어를 가지는 횡방향 굴대에 의해서 지지되고, 그에 따라 셔틀(1, 2, 3)은 장치를 통해서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셔틀(1, 2, 3)의 각각은, 오염된 물품이 적재될 때, 각각의 진입 플랩(4, 5, 6)을 통해서 하우징 내로 하향 이동하고, 연속적인 세척-단계 구역들을 통해서 이동하며, 진출 플랩(7, 8, 9)을 통해서 하우징을 빠져 나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개별적인 셔틀(1, 2, 3)이 진입 플랩(4, 5, 6)을 통해서 하우징에 진입함에 따라, 이들은 4개의 구분된 구역을 통해서 이동하고, 프로세스한다.
제1 구역은, 셔틀이 구역을 통해서 이동할 때, 세척 사이클을 적용하는 세척 구역(17)이다. 상이한 지점들에 위치되고 오염된 물품/물품들을 겨냥하는 몇 개의 이동 가능한 또는 정지적인 제트 분무 노즐(13)로부터, 식기 비누 탱크(39) 내의 보드에 저장된, 식기 비누가 물품에 분무된다.
제2 구역은, 상이한 지점들에 위치되고 오염된 물품/물품들을 겨냥하는 몇 개의 이동 가능한 또는 정지적인 제트 분무 노즐(14)로부터 헹굼 물을 물품 위로 분무하는, 헹굼 구역(18)이다.
제3 구역은, 상이한 지점들에 위치되고 위생처리되는 물품/물품들을 겨냥하는 몇 개의 이동 가능한 또는 정지적인 제트 분무 노즐(15)로부터 가열된 물 또는 증기를 분무하여 물품을 위생처리하는 위생처리 구역(19)이다.
마지막 구역은, 상이한 지점들에 위치되고 건조하고자 하는 물품/물품들을 겨냥하는 몇 개의 이동 가능한 또는 정지적인 공기 노즐(16)로부터 가열된 또는 저온의 공기를 물품 상으로 지향시키는 건조 구역(20)이다.
장치의 하단부에 위치된 배수 터브(21)는 물 및 파편을 위한 수용부로서의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모터, 식기 비누 탱크, 물 가열기, 증기발생기, 및 밸브, 전원, 제어기 등을 수용하고, 파편 수집을 위한 배수 트랩(22)을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틀 아래에 위치된 장치의 상부 바닥(23)은 배수부로서의 부가적인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는, 그러한 상부 바닥이, 폐기물 및 액체가 이러한 지역을 통해서 그리고 하우징 내로 그리고 아래의 배수 터브(21) 내로 하향 배수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열은, 부엌 수도꼭지를 이용하여 전체 셔틀 랙 지역을 헹굼할 수 있는 용이한 세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표면을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몇 개의 분무 노즐(24)이 이러한 지역의 전체를 통해서 위치된다.
구동 메커니즘 및 구성요소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단순한 구동 메커니즘이 트랙 조립체의 쌍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트랙 조립체는 랙 및 피니언 유형의 구동 메커니즘으로 구성되며, 그에 의해서 피니언(26)은, 정지적이거나 고정된 하나의 랙(30) 및 이동 가능한 구동 랙 또는 체인(25)의, 2개의 랙들 사이에 개재된다. 화살표(41)에 의해서 표시된 이동 가능 또는 구동 체인(25)의 이동 방향은, 화살표(42)에 의해서 표시된 셔틀(1, 2, 3)의 이동 방향을 결정한다.
구동 체인은 다시, 제동 목적을 위해서, 웜 기어(28)를 구비하는 가역적인 AC 또는 DC 전기 모터(29)에 의해서 구동된다. 스프로켓 또는 인장 디바이스(27)를 이용하여 구동 체인을 파지하고 이를 지정 트랙(25)을 따라 이동시킨다.
정지적인 트랙(30)은 완전한 루프를 생성하지 않고, 셔틀 이동 부분(31)을 위해서 종료된다. 이는, 셔틀이 장치의 상단에서 함께 랙킹(rack)(32)될 수 있게 하고, 구동 체인이 이동하는 경우에도 제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이는,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각각의 셔틀을 초래한다.
도 5는 부가적인 내부 구성요소와 함께 배수 팬을 도시한다. 배수 팬(21)은, 장치를 통해서 그리고 도시의 하수 시스템 내로 폐기하기 위해서, 모든 액체 및 폐기물을 수용한다. 고체를 위한 트랩(33)이 제공되고, 그에 따라 액체가 배수부(34) 내로 진행된다.
다른 구성요소는 구동 모터(35, 36, 37), 물 가열기/증기발생기(38), 식기 비누 탱크(39), 전원(41), 및 제어기(40)를 포함한다.
개시된 장치의 동작을 이제 설명할 것이다.
셔틀(1, 2, 3)의 각각이 트랙의 쌍을 구비하고, 그러한 트랙의 쌍은 셔틀(1, 2, 3)이 임의의 조합으로 4개의 프로세스 사이클, 즉 세척, 헹굼, 위생처리 및 건조의 각각을 통해서 이송될 수 있게 한다. 이 모두에는 사용자가 개입하지 않는다.
셔틀(1, 2, 3)의 각각의 행은 다른 행 및 셔틀과 독립적으로 동작하고, 그에 따라 각각의 작업 물품이 다른 물품과 독립적으로 장치를 통해서 진행될 수 있게 하여, "필요에 따른"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모든 셔틀(1, 2, 3) 아래의 상부 바닥(23) 내의 그릴은 파편이 장치를 통해서 그리고 장치 내측의 하부 배수 팬(21) 내로 유동할 수 있게 한다.
오염된 물품이 그 특정 셔틀 수용부(1, 2, 또는 3) 내에 배치될 때, 셔틀이 하우징 내로 하강하고 세척-단계 구역을 통해서 진행하기 시작한다.
각각의 행을 위한 진입 플랩(4, 5, 6)은 셔틀(1, 2, 3)이 장치 내로 진입할 수 있게 한다.
세척 단계 1: 셔틀(1, 2, 3)이 세척 구역(17)을 통해서 이동할 때, 구역의 바닥뿐만 아니라, 그릴 아래에 위치된 분무 노즐(13)로부터 식기 세척 비누가 셔틀(1, 2, 3) 내의 작업물(오염된 물품)에 분무된다.
세척 단계 2: 셔틀(1, 2, 3)이 장치를 통해서 계속 이동함에 따라, 셔틀은 헹굼 구역(18)에 진입하고 제2 사이클이 시작되고, 여기에서 신선한 청정수가 구역의 바닥뿐만 아니라 그릴 아래에 위치된 다른 분무 노즐(14)로부터 셔틀 내의 작업물 상으로 분무된다.
세척 단계 3: 셔틀(1, 2, 3)이 장치를 통해서 계속 이동함에 따라, 셔틀은 위생처리 구역(19)에 진입하고 제3 스테이지 사이클이 시작되고, 여기에서 가열된 물 또는 증기가 위생처리 스테이지로서 셔틀 내의 작업물의 표면 상으로 분무된다.
세척 단계 4: 셔틀(1, 2, 3)이 장치를 통해서 계속 이동함에 따라, 셔틀은 건조 구역(20)에 진입하고 제4의 그리고 마지막 스테이지인 건조 사이클이 시작되고, 여기에서 고온 공기 또는 주변 공기가, 건조 및 냉각 프로세스로서, 셔틀 내의 공작물의 표면 위로 송풍된다.
이러한 지점에서, 셔틀(1, 2, 3)은 진출 플랩(7, 8, 9)을 통해서 장치의 상단 표면으로 다시 계속 이동하고, 여기에서 셔틀(1, 2, 3)은 자유롭게 롤링되고 하우징의 노출된 상단부(적재/하역 지역) 상에서 다른 각각의 셔틀 뒤쪽에 적층되어, 하역 및 재사용을 위해서 준비된다.

Claims (7)

  1. 식기 세척 장치이며:
    일련의 구역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서, 각각의 구역은 식기 세척 사이클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하우징 상단의 적재/하역 지역;
    오염된 물품을 수용하고 이송하기 위한 복수의 셔틀로서, 상기 셔틀은 행으로 배열되고, 각각의 행은 다른 행과 상이한 유형의 셔틀을 포함하고, 행은:
    개별적인 접시류의 물품을 수용하고 이송하도록 각각 구성되는, 접시류 셔틀의 행,
    날붙이 및/또는 도구의 개별적인 개인별 식기 세트를 수용하고 이송하도록 각각 구성되는, 날붙이 셔틀의 행,
    개별적인 컵류의 물품을 수용하고 이송하도록 각각 구성되는, 컵류 셔틀의 행을 포함하는, 복수의 셔틀; 및
    오염된 물품이 적재된 셔틀을 루프로 상기 적재/하역 지역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로, 각각의 세척-단계 구역을 통해서,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다시 상기 적재/하역 지역으로 운반하기 위한 구동 수단으로서, 각각의 다른 셔틀 세트로부터의 셔틀과 독립적으로 하나의 셔틀 행으로부터의 셔틀을 운반하도록 동작될 수 있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세척 구역, 헹굼 구역, 및 건조 구역을 포함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위생처리 구역을 더 포함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구역이 물리적 장벽에 의해서 인접 구역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장벽은 셔틀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셔틀의 진입을 위한 진입 플랩 및 셔틀의 진출을 위한 진출 플랩을 포함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트랙 조립체의 쌍을 포함하고, 각각의 조립체는 랙 및 피니언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피니언은 루프 형태의 이동 가능 랙과 완전한 루프가 아닌 고정된 랙 사이에 개재되는, 장치.
  7. 식기류 세척 방법이며:
    오염된 식기류의 물품을 식기 세척 장치의 하우징 상단의 적재/하역 지역 내에 위치된 셔틀 내로 적재하는 단계로서, 상기 셔틀은 이용 가능한 셔틀 유형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그룹은: 개별적인 접시류의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접시류 셔틀, 개별적인 날붙이의 개인별 식기 세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날붙이 셔틀, 및 개별적인 컵류의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컵류 셔틀로 구성되는, 단계;
    상기 적재된 셔틀을 상기 하우징 내에 포함된 일련의 구역을 통해서 운반하는 단계로서, 각각의 구역이 식기 세척 사이클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오염된 물품이 완전 세척 사이클을 거치는, 단계;
    상기 적재된 셔틀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운반하고 이를 상기 적재/하역 지역으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유형의 셔틀이 각각의 셔틀 유형과 독립적으로 하우징을 통해서 운반되는, 방법.
KR1020217032933A 2019-03-18 2020-03-12 식기 세척 장치 및 방법 KR202101419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19836P 2019-03-18 2019-03-18
US62/819,836 2019-03-18
PCT/CA2020/050331 WO2020186344A1 (en) 2019-03-18 2020-03-12 Dishwashing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996A true KR20210141996A (ko) 2021-11-23

Family

ID=72519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933A KR20210141996A (ko) 2019-03-18 2020-03-12 식기 세척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20151455A1 (ko)
EP (1) EP3941326A4 (ko)
JP (1) JP2022526042A (ko)
KR (1) KR20210141996A (ko)
CN (1) CN113710141A (ko)
AU (1) AU2020242086A1 (ko)
BR (1) BR112021018444A2 (ko)
CA (1) CA3131553A1 (ko)
EA (1) EA202192496A1 (ko)
MX (1) MX2021011271A (ko)
WO (1) WO20201863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06839A1 (de) 2020-03-12 2021-09-16 Illinois Tool Works Inc. Spülmaschine zum reinigen von spülgutteilen in gestalt von trinkgefässen
DE102020108881A1 (de) 2020-03-31 2021-09-30 Illinois Tool Works Inc. Thekensystem zur übergabe von insbesondere zumindest teilweise unverpackten lebensmitteln sowie verfahren zum aufnehmen von kundenspezifischen und insbesondere kundenindividualisierten bestellungen bei einem thekensystem
US11786100B2 (en) 2021-04-23 2023-10-17 Illinois Tool Works Inc. Dishwasher, in particular in the form of a counter module for a counter system
WO2023034041A1 (en) * 2021-09-01 2023-03-09 Illinois Tool Works Inc. Dishwasher for a coffee shop and/or a fast-food restaurant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0921745A (en) 1909-09-23 1910-09-22 Charles John Jones Improvements in Means for Washing Plates and the like.
DE476329C (de) * 1926-11-11 1929-05-22 Gustav Beutler Geschirrwaschmaschine mit zwischen Tragketten pendelnd aufgehaengten Geschirrkoerben
GB1023772A (en) * 1964-02-18 1966-03-23 Thring S Advanced Development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ish-washing machines
US3384097A (en) * 1966-04-08 1968-05-21 Hobart Mfg Co Dishwashing apparatus
US3942545A (en) 1973-07-09 1976-03-09 Flynn Edward W Glass washer and conditioner
JPS6167661U (ko) * 1984-10-05 1986-05-09
JPH09510121A (ja) * 1994-03-04 1997-10-14 デイーエイ・テクノロジーズ・リミテツド 食器洗浄機
JPH08256965A (ja) * 1995-03-27 1996-10-08 Nikko Chiyouriki Kk 全自動食器洗浄システム及び装置
CA2233404C (en) * 1998-03-26 2005-11-15 Cara Operation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wares for food and filling wares with food, and a basket for holding the wares
US6530996B2 (en) * 2000-07-13 2003-03-11 Fuuga-Controls Oy Method for washing items
FI112166B (fi) * 2002-11-20 2003-11-14 Robotiikka Oy Tarjottimien pesukone
DE102004061181A1 (de) * 2004-12-16 2006-06-22 Premark Feg L.L.C., Wilmington Geschirrträger für Spülmaschinen
DE102008005876B3 (de) * 2008-01-24 2009-04-30 Meiko Maschinenbau Gmbh & Co.Kg Verfahren zur Selbstreinigung einer Durchlaufspülmaschine
DE102008037344B4 (de) * 2008-08-11 2019-01-31 Premark Feg L.L.C. Transportspülmasch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Transportspülmaschine
DE102008037683B4 (de) * 2008-08-14 2019-05-02 Premark Feg L.L.C. Transportspülmaschine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Transportspülmaschine
IT1399407B1 (it) * 2009-09-07 2013-04-16 Lombardo Lavatazzine/lavabicchieri automatica a ciclo continuo
DE102010062471A1 (de) * 2010-12-06 2012-06-06 Premark Feg L.L.C. Transportspülmaschine
DE102011004853B4 (de) * 2011-02-28 2014-11-27 Premark Feg L.L.C. (N.D.Ges.D. Staates Delaware) Förder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Spülgut an eine Transportspülmaschine
SG10201500136TA (en) * 2015-01-08 2016-08-30 K One Ind Pte Ltd Compact Dishwasher
CN105167727A (zh) * 2015-08-14 2015-12-23 浙江法斯特电梯有限公司 一种自动循环洗碗机
CN205094355U (zh) * 2015-08-18 2016-03-23 顾峰 多传送带式商用洗碗机
CN107638152A (zh) * 2017-08-28 2018-01-30 冯浩 一种通道式洗碗机
CN108403054A (zh) 2018-02-08 2018-08-17 上超电器科技(上海)有限公司 全自动吊篮吊轨立体循环洗碗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2192496A1 (ru) 2021-11-26
BR112021018444A2 (pt) 2021-11-30
AU2020242086A1 (en) 2021-10-14
WO2020186344A1 (en) 2020-09-24
EP3941326A4 (en) 2022-12-14
CN113710141A (zh) 2021-11-26
JP2022526042A (ja) 2022-05-20
MX2021011271A (es) 2021-10-01
EP3941326A1 (en) 2022-01-26
US20220151455A1 (en) 2022-05-19
CA3131553A1 (en) 202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41996A (ko) 식기 세척 장치 및 방법
US9949610B2 (en) Dishwasher and method
EP3308688B1 (en) Dishwasher in the form of a commercial utensil washer or dishwasher which is designed as a batch dishwasher
EP2648595B1 (en) Conveyor dishwasher
CN107580468B (zh) 罩式批量洗碗机
AU2018336871B2 (en) Dishwasher
CN107635450B (zh) 商用器具洗涤机形式的洗碗机或设计为批量洗碗机的洗碗机
US6092541A (en) Compact kitchenware washing station
US20220104681A1 (en) Dishwasher for cleaning items in the shape of drinking vessels and counter module with such a dishwasher
EP2806780B1 (en) Ergonomic professional dishwasher
EA040785B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мытья посуды
KR102341944B1 (ko) 식기 세척 시스템
EP3773119B1 (en) Warewash machine with submersible cutlery basket
CN117222351A (zh) 用于柜台系统的呈柜台模块的形式的餐具清洗机
CA223340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wares for food and filling wares with food, and a basket for holding the wares
GB2582314A (en) Dishwashing apparatus and method
JPH08256965A (ja) 全自動食器洗浄システム及び装置
KR101191393B1 (ko) 업소용 식기세척기의 랙
JPH0997293A (ja) 給食システム
WO2002089652A1 (en) Apparatus for cleaning tableware
JPH11299720A (ja) 食器洗浄機
EP3528685A2 (en) An appliance for washing articles, in particular, dishes
JPH11244216A (ja) 食器洗浄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