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1435A - 가스 검출 장치,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가스 검출 장치,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1435A
KR20210141435A KR1020210155451A KR20210155451A KR20210141435A KR 20210141435 A KR20210141435 A KR 20210141435A KR 1020210155451 A KR1020210155451 A KR 1020210155451A KR 20210155451 A KR20210155451 A KR 20210155451A KR 20210141435 A KR20210141435 A KR 20210141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food
gas
controll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2678B1 (ko
Inventor
윤부근
김상학
김현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41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80Apparatus for specific appl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24C15/105Constructive details concerning the regulation of the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35Aspects relating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58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humidity or vapor sen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 H05B6/687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for coo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lectric Oven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조리 장치는 조리실에 수용된 조리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조리실 내부의 가스를 검출하는 가스 센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가스 센서가 검출한 가스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상기 조리물에 대한 조리 진행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조리 진행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상기 조리 진행 상태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 검출 장치,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GAS DETECTING APPARATUS,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개시된 발명은 가스 검출 장치,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 센서를 포함한 가스 검출 장치,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조리 장치는 조리실에 수용된 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조리 장치는 가스를 연소시켜 조리물을 가열하여 가스 오븐,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전기 오븐, 조리물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전자 레인지, 가스를 연소시켜 조리물이 담기 용기를 가열하는 가스 레인지, 자기장을 발생시켜 조리물이 담기 용기를 가열하는 인덕션 레인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존 조리 장치는 조리물에 따라 사용자가 조리 방법, 조리 온도, 조리 시간을 설정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조리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검출하고, 검출된 가스를 기초로 조리물에 대한 최적으로 조리 모드, 조리 온도, 조리 시간을 판단하는 조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개시된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조리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검출하고, 검출된 가스에 따라 판단된 조리물의 조리 진행 상태를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조리 진행 상태를 표시하도록 이동 단말기, 영상 표시 장치, 냉장고 등의 전자 장치에 조리 진행 상태를 전송하는 조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개시된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조리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검출하고, 검출된 가스에 따라 판단된 조리물의 조리 진행 상태를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조리 진행 상태를 표시하도록 이동 단말기, 영상 표시 장치, 냉장고 등의 전자 장치에 조리 진행 상태를 전송하는 가스 검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 장치는 조리실에 수용된 조리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조리실 내부의 가스를 검출하는 가스 센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가스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가스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상기 조리물에 대한 조리 진행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조리 진행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상기 조리 진행 상태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가스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상기 조리물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조리 모드, 조리 시간 및 조리 온도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다음 식사 식품을 안내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다음 식사 식품을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추가 섭취 식품을 안내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추가 섭취 식품을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외부 식기 세척기가 세척 코스를 조절하도록 상기 판단된 조리물의 종류를 포함하는 조리물 정보를 상기 식기 세척기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가스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상기 조리물에 대한 조리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조리가 완료되면 상기 조리의 완료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상기 조리 완료 표시 요청을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가스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상기 조리물에 대한 조리 완료 시간을 판단하고, 상기 조리 완료 시간을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조리 완료 시간을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가스의 농도가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 공기조화기에 환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조리실에 수용된 조리물을 가열하고, 상기 조리실 내부의 가스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가스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상기 조리물에 대한 조리 진행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조리 진행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상기 조리 진행 상태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검출된 가스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상기 조리물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조리 모드, 조리 시간 및 조리 온도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판단된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다음 식사 식품을 안내하도록 상기 다음 식사 식품을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판단된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추가 섭취 식품을 안내하도록 상기 추가 섭취 식품을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판단된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외부 식기 세척기가 세척 코스를 조절하도록 상기 판단된 조리물의 종류를 포함하는 조리물 정보를 상기 식기 세척기에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조리 진행 상태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은 상기 검출된 가스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상기 조리물에 대한 조리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조리가 완료되면 상기 조리의 완료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상기 조리 완료 표시 요청을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조리 진행 상태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은 상기 검출된 가스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상기 조리물에 대한 조리 완료 시간을 판단하고, 상기 조리 완료 시간을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상기 조리 완료 시간을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검출된 가스의 농도가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 공기조화기에 환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스 검출 장치는 조리물로터 발생된 가스를 검출하는 가스 센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가스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가스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상기 조리물에 대한 조리 진행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조리 진행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상기 조리 진행 상태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가스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상기 조리물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조리 모드, 조리 시간 및 조리 온도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리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검출하고, 검출된 가스를 기초로 조리물에 대한 최적으로 조리 모드, 조리 온도, 조리 시간을 판단하는 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조리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검출하고, 검출된 가스에 따라 판단된 조리물의 조리 진행 상태를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조리 진행 상태를 표시하도록 이동 단말기, 영상 표시 장치, 냉장고 등의 전자 장치에 조리 진행 상태를 전송하는 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조리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검출하고, 검출된 가스에 따라 판단된 조리물의 조리 진행 상태를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조리 진행 상태를 표시하도록 이동 단말기, 영상 표시 장치, 냉장고 등의 전자 장치에 조리 진행 상태를 전송하는 가스 검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동작을 간략하게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에 포함된 가스 센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에 포함된 가스 센서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조리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 도 7 및 도 8은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입자의 종류 및 양을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조리 동작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0, 도 11, 및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조리 동작에 따라 조리 진행 정보를 수신한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조리 동작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조리 동작에 따라 조리 진행 정보를 수신한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조리 동작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6는 도 15에 도시된 조리 동작에 따라 조리 진행 정보를 수신한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는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조리 동작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8, 도 19 및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조리 동작에 따라 조리 진행 정보를 수신한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동작에 따라 조리실 오염도 정보를 수신한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동작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동작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25 및 도 2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연계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동작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동작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29은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스 검출 장치가 조리 용기에 부착된 것을 도시한다.
도 30는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스 검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은 접근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동작을 간략하게 도시한다.
조리 장치(100)는 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장치로써, 조리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는 가스를 연소시켜 조리물을 가열하여 가스 오븐,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전기 오븐, 조리물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전자 레인지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는 조리물이 마련된 조리실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며, 가열된 공기를 통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것을 통상 "베이크(bake)"라 한다. 또한, 조리 장치(100)는 조리물에 복사 열을 직접 조사할 수 있으며, 조리물에 복사 열을 조사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것을 통상 "그릴(grill)" 또는 "브로일(broil)"이라 한다. 또한, 조리 장치(100)는 조리물이 마련된 조리실에 마이크로파를 방사하거나, 조리물에 마련된 조리실에 가열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조리 장치(100)는 다양한 방식에 대응하는 복수의 조리 모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는 조리실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베이크 모드, 조리물에 직접 복사 열을 조사하는 브로일 모드, 조리실에 마이크로파를 공급하는 마이크로파 모드, 조리실에 가열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모드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조리 장치(100)가 항상 모든 조리 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는 베이크 모드와 브로일 모드만을 제공하거나, 마이크로프 모드와 스팀 모드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장치(100)는 이동 단말기(210), 영상 표시 장치(220), 냉장고(230), 음향 출력 장치(240), 공기조화기(250), 식기 세척기(260) 등 다양한 전자 장치(200: 210, 220, 230, 240, 250, 260)와 통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조리 장치(100)는 서버 장치(미도시)와 통신할 수 있다. 이때, 조리 장치(100)는 이동 단말기(210), 영상 표시 장치(220), 냉장고(230), 음향 출력 장치(240), 공기조화기(250), 식기 세척기(260) 등과 직접 통신하거나, 인터넷, 인트라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210), 영상 표시 장치(220), 냉장고(230), 음향 출력 장치(240), 공기조화기(250), 식기 세척기(260)와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리 장치(100)는 조리물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검출하고, 검출된 가스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통신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210), 영상 표시 장치(220), 냉장고(230), 음향 출력 장치(240), 공기조화기(250), 식기 세척기(26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는 조리물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검출하고, 검출된 가스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조리물이 조리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는 조리물이 조리된 정도를 나타내는 조리 진행 정보를 이동 단말기(210), 영상 표시 장치(220), 냉장고(230), 음향 출력 장치(240), 공기조화기(250), 식기 세척기(260) 등에 전송할 수 있다. 조리 진행 정보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210), 영상 표시 장치(220), 냉장고(230), 음향 출력 장치(240), 공기조화기(250), 식기 세척기(260)는 영상, 음향, 진동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조리 진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조리물이 조리된 정도를 나타내는 조리 진행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진행 정보는 조리 진행 정도에 따른 조리 완료 시간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거나, 조리 진행 정도에 따라 조리물이 너무 많이 조리되었는지(overcook) 또는 덜 조리되었는지(undercook)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는 검출된 가스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조리물을 판단하고, 조리물에 대한 최적의 조리 모드, 조리 시간, 조리 온도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는 판단된 조리 모드, 조리 시간, 조리 온도를 포함하는 조리 관련 정보를 통신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210), 영상 표시 장치(220), 냉장고(230), 음향 출력 장치(240), 공기조화기(250), 식기 세척기(260) 등에 전송할 수 있다. 조리 관련 정보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210), 영상 표시 장치(220), 냉장고(230), 음향 출력 장치(240), 공기조화기(250), 식기 세척기(260)는 영상, 음향, 진동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조리 모드, 조리 시간, 조리 온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조리 장치(100)가 통신을 통하여 조리 진행 정보를 이동 단말기(210), 영상 표시 장치(220), 냉장고(230), 음향 출력 장치(240), 공기조화기(250), 식기 세척기(260) 등에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210), 영상 표시 장치(220), 냉장고(230), 음향 출력 장치(240), 공기조화기(250), 식기 세척기(260) 등이 조리 진행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든 조리 장치(100)가 수행 중인 조리의 진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가 조리물에 대한 최적의 조리 모드, 조리 시간, 조리 온도 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손쉽게 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또한,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에 포함된 가스 센서의 일 예를 도시하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에 포함된 가스 센서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조리 장치(100)는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유저 인터페이스(120), 조리실 및 조리물의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130), 조리물을 가열하는 가열부(140), 각종 전자 장치(200)와 통신하는 통신부(150), 조리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유저 인터페이스(120)는 입력 버튼 유닛(121) 및 디스플레이(123)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버튼 유닛(121)은 사용자로부터 조리와 관련된 각종 설정값과 조리 장치(10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설정값과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조리 장치(10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복수의 조작 버튼 및 세탁 동작을 위한 설정을 입력받는 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 장치(100)는 조작 버튼을 통하여 조리 모드를 입력받고, 다이얼을 통하여 조리 시간, 조리 온도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작 버튼은 푸시 스위치, 멤브레인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3)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조리 장치(100)의 동작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동작 전에 조리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3)를 통하여 사용자가 세탁한 조리 모드,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 온도 및 조리 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조리 동작 중에 조리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3)를 통하여 현재 진행 중인 조리 모드, 조리 완료까지 예상되는 잔여 조리 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223)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220)는 입력 수단과 표시 수단이 일체화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설정값 또는 제어 명령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설정값 또는 제어 명령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터치하면, 터치 스크린 패널은 터치 패널을 통하여 사용자의 터치 좌표를 검출하고, 검출된 터치 좌표와 설정값 또는 제어 명령이 표시된 좌표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값 또는 제어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센서부(130)는 조리물을 수용하는 조리실(미도시) 내부의 가스를 검출하는 가스 센서(131), 조리실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133), 조리실 내부에 수용된 조리물의 중량을 검출하는 중량 센서(13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센서(131)는 조리물로부터 발생하여 조리실 내부를 유동하는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검출한다.
이러한, 가스 센서(131)는 가스 입자가 표면에 접촉할 때 발생하는 전기 전도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판단하는 반도체형 가스 센서, 압전효과(Piezoelectric Effect)를 이용하여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판단하는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Quartz Crystal Microbalance, QC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는 압전 소자의 공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가스의 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에 고정된 수용체에 특정한 가스 입자가 결합되면 질량이 증가하고, 질량의 증가에 따라 압전 소자의 공진 주파수가 감소한다.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는 수용체와 결합되는 물질에 따라 가스 입자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으며,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기초로 가스의 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는 진동하는 수정 진동자(Quatz)(131a), 수정 진동자(131a)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전극(131b), 수정 진동자(131a)의 타측에 마련된 제2 전극(131c)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실 내부를 유동하는 가스 입자 가운데 특정한 가스 입자가 제1 전극(131b) 상에 흡착되면, 흡착된 가스 입자의 양에 따라 수정 진동자(131a)의 공진 주파수가 감소한다.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는 제1 전극(131b)과 제2 전극(131c)을 통하여 수정 진동자(131a)의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는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기초로 특정한 가스의 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센서(131)는 서로 다른 가스 입자와 결합하는 수용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1, 131-2, 131-3, 13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스 센서(131)는 다양한 종류의 가스의 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예를 들어, 제1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1)는 황화수소와 결합하는 수용체를 포함하고, 제2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2)는 에틸렌과 결합하는 수용체를 포함하는 경우, 가스 센서(131)는 제1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1)를 이용하여 황화수소의 농도를 검출하고, 제2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2)를 이용하여 에틸렌의 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이처럼, 각각의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가 특정한 가스 입자와 결합하는 수용체를 포함함으로써, 가스 센서(131)는 가스에 포함된 복수의 가스 입자 각각에 대하여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스 센서(131)는 이산화탄소(CO2), 메탄 가스(Methane), 황화합물, 암모니아, 유기산 등의 농도를 개별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가스 센서(131)가 수증기(H2O)와 결합하는 수용체를 포함하는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를 포함하면, 가스 센서(131)는 습도를 검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가스 센서(131)는 조리실 내부의 가스가 유동하는 조리실 내부의 상측 또는 조리실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가스 센서(131)는 조리 장치(100)와 분리되어 마련되어 통신을 통하여 조리 장치(100)에 조리실 내부의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전송할 수 있다.
온도 센서(133)는 조리실 일측에 마련되어 조리실 내부의 온도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133)는 온도에 따라 전기적 저항값이 변화하는 써미스터(therm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중량 센서(135)는 조리실 하부에 마련되어 조리물의 무게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중량 센서(133)는 기계적인 변화에 따라 전기적 저항값이 변화하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140)는 가스를 연소시켜 조리실 내부를 가열하는 버너(141),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는 열선(143),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 팬(145), 조리실 내부에 마이크로파를 방사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147), 조리실 내부에 가열된 증기를 방출하는 스팀 발생기(149)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가열부(140)가 버너(141), 열선(143), 순환 팬(145), 마이크로파 발생기(147), 스팀 발생기(149)를 모두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조리 장치(100)의 종류에 따라 가열부(140)는 버너(141), 열선(143), 순환 팬(145), 마이크로파 발생기(147), 스팀 발생기(149)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가 가스 오븐인 경우 가열부(140)는 버너(141)를 포함할 수 있고, 조리 장치(100)가 전기 오븐인 경우 가열부(140)는 열선(143) 및 순환 팬(14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가 전자 레인지인 경우 가열부(140)는 마이크로파 발생기(147)를 포함할 수 있고, 조리 장치(100)가 스팀 오븐인 경우 가열부(140)는 스팀 발생기(14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열부(140)의 종류에 따라 조리 장치(100)는 다양한 조리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는 조리실의 상측에 마련된 버너(141) 또는 열선(143)을 이용하여 그릴 또는 브로일 모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조리실의 하측에 마련된 버너(141) 또는 열선(143)을 이용하여 베이크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는 열선(143)과 순환 팬(145)을 이용하여 컨벡션 모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스팀 발생기(149)를 이용하여 스팀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는 마이크로파 발생기(147)를 이용하여 마이크로파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다양한 통신 규약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모듈(151, 153, 15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에 접속하는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통신 모듈(151), 외부 장치와 일vs일 또는 일vs다로 통신하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153), 홈 네트워크 등에 널리 이용되는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15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통신부(150)가 와이파이 통신 모듈(151), 블루투스 통신 모듈(153) 및 지그비 통신 모듈(155)을 모두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통신부(150)는 필요에 따라 와이파이 통신 모듈(151), 블루투스 통신 모듈(153) 및 지그비 통신 모듈(155)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조리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13), 메모리(113)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111)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3)는 조리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통하여 입력된 설정값 및 제어 명령, 센서부(130)가 검출한 조리실 내부의 온도, 가스의 종류 및 농도, 프로세서(111)가 출력하는 제어 신호 등을 기억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13)는 가스 센서(131)가 검출한 가스 입자의 종류 및 농도를 기초로 조리물의 종류 및 조리물의 조리 진행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조리물 검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물 검출 데이터는 복수의 가스 입자와 그에 대응되는 조리물이 저장되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3)는 조리물의 종류에 따른 영양 성분(예를 들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 무기질 등) 및 영양 성분의 함유률을 포함하는 조리물 영양 성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13)에는 소고기와 소고기에 함유된 단백질, 아연, 인, 비타민B, 철분 등이 연관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3)는 조리물의 종류 및 중량에 따른 최적의 조리 모드, 조리 온도 및 조리 시간을 포함하는 조리물의 조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조리 데이터는 조리물의 종류에 따른 조리 모드 및 조리 온도, 조리물의 중량에 따른 조리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리물의 조리 데이터는 조리 장치(100)의 설계자가 사전에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다.
요약하면, 메모리(113)는 가스 센서(131)가 검출한 가스 입자의 종류 및 농도를 기초로 조리물의 종류 및 조리물의 조리 진행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조리물 검출 데이터, 조리물의 종류에 따른 영양 성분 및 영양 성분의 함유률을 포함하는 조리물 영양 성분 데이터, 조리물의 종류 및 중량에 따른 최적의 조리 모드, 조리 온도 및 조리 시간을 포함하는 조리물의 조리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3)는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랩(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미도시)와 플래시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의 보조 기억 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으며, 조리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조리 장치(100)의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저장된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로딩하여 일시적으로 기억하거나,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통하여 입력된 설정값 및 제어 명령, 센서부(130)가 검출한 조리실 내부의 온도, 가스의 종류 및 농도, 프로세서(111)가 출력하는 제어 신호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달리 조리 장치(100)의 전원이 차단되면 기억된 데이터를 손실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메모리(11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에 따라 설정값, 제어 명령, 조리실의 온도, 가스의 종류 및 농도 등을 처리하고, 가열부(14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 및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잇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1)는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값 및 제어 명령에 따라 조리 모드, 조리 온도, 조리 시간 등을 판단한다. 또한, 프로세서(111)는 온도 센서(133)가 검출한 조리실의 온도에 따라 가열부(140)를 가동하거나 가열부(140)의 가동을 중지하는 가열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1)는 가스 센서(131)가 검출한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기초로 조리물의 종류, 조리물에 포함된 영양소, 조리물의 열량, 조리물이 조리된 정도 등을 판단하고, 이동 단말기(210), 영상 표시 장치(220), 냉장고(230), 음향 출력 장치(240), 공기조화기(250), 식기 세척기(260) 등에 전송하기 위한 조리 진행 정보 및 조리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프로세서(111)와 메모리(113)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11)와 메모리(113)가 단일 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10)는 조리 장치(100)에 포함된 각종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할 조리 장치(100)의 동작은 제어부(110)의 제어 동작에 의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조리 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조리 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조리물을 조리실 내부에 투입하고,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통하여 조리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각각의 조리 모드에 따라 조리 시간, 조리 온도 등의 세부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통하여 조리 개시 명령을 입력하면 조리 장치(100)는 조리실 내부에 수용된 조리물을 가열한다.
또한, 사용자는 조리물을 조리실 내부에 투입하고, 바로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통하여 자동 조리 개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처럼, 자동 조리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조리 장치(100)는 조리물의 종류 및 중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조리물의 종류 및 중량에 따라 최적의 조리 모드, 조리 시간, 조리 온도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조리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하고, 도 6, 도 7 및 도 8은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가스의 종류 및 양을 도시한다.
도 5,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조리 장치(100)는 자동 조리를 수행할지 판단한다(101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자동 조리를 수행할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조리물을 조리실 내부에 투입하고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통하여 자동 조리 개시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10)는 자동 조리를 개시한다.
자동 조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되면(1010의 예), 조리 장치(100)는 조리물의 중량을 검출한다(102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중량 센서(135)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조리실에 수용된 조리물의 중량을 검출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조리실 내부의 가스를 검출한다(103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가스 센서(131)를 이용하여 조리실 내부의 가스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가스 센서(131)에 포함된 복수의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1, 131-2, 131-3, 131-4)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를 기초로 조리실 내부의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제1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1)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를 기초로 황화수소의 존부 및 농도를 판단할 수 있고, 제2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2)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를 기초로 에틸렌의 존부 및 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조리물의 종류를 판단한다(104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가스 센서(131)가 검출한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기초로 조리물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조리물이 육류, 어류, 채소류, 과일, 유가공식품, 발효식품 등인지 판단할 수 있다.
조리물은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 및 농도의 가스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김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0.1[ppm] (parts per million, 100만분율)의 아세트산, 대략 23[ppm]의 알데하이드, 대략 95[ppm]의 황화합물, 대략 180[ppm]의 알코올을 발생시킨다.
또한, 육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0.03[ppm]의 황화합물, 대략 0.03[ppm]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발생시킨다.
또한, 과일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6.1[ppm]의 에틸렌, 대략 43[ppm]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발생시킨다.
이처럼,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발생하는 가스의 종류 및 농도가 상이하므로, 제어부(110)는 발생된 가스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조리물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 센서(131)가 고농도의 황화수소를 검출하면 제어부(110)는 조리물을 김치로 판단할 수 있고, 가스 센서(131)가 저농도의 황화수소를 검출하면 제어부(110)는 조리물을 육류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가스 센서(131)가 에틸렌을 검출하면 제어부(110)는 조리물을 과일로 판단할 수 있다.
조리물에 따라 발생되는 가스의 종류 및 농도는 사전에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의 형태로 제어부(110)의 메모리(113)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메모리(113)의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조리물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조리 모드, 조리 온도 및 조리 시간을 선택한다(105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조리물의 종류 및 조리물의 중량에 따라 조리 모드, 조리 온도 및 조리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물이 육류이거나 어류이면 제어부(110)는 육류 또는 어류를 굽기(grill) 위한 그릴 모드를 선택하고, 조리물이 곡물이면 제어부(110)는 빵을 굽기(bake) 위한 베이크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조리물이 수분을 많이 포함한 경우 제어부(110)는 조리물을 데우기 위한 마이크로파 모드 또는 스팀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조리 온도를 선택하고, 조리물의 중량에 따라 최적의 조리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 사전에 메모리(113)에 저장된 조리물의 조리 데이터에 따라 조리 모드, 조리 온도 및 조리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조리 데이터는 조리 장치(100)의 설계자가 사전에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추후에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겉면이 바삭한(crispy) 조리물을 선호하는 경우, 조리 장치(100)는 그릴 모드 또는 베이크 모드의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지방의 섭취를 선호하지 않는 경우, 조리 장치(100)는 조리물의 지방 함유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조리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신선한 조리물을 선호하는 경우, 조리 장치(100)는 자동 조리의 조리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가열부(140)를 가동한다(106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선택된 조리 모드에 따라 가열부(140)를 가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릴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조리실의 상부에 마련된 버너(141) 또는 열선(143)을 가동하고, 베이크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조리실의 하부에 버너(141) 또는 열선(143)을 가동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파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마이크로파 발생기(147)를 가동하고, 스팀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스팀 발생기(149)를 가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 조리가 선택되면, 조리 장치(100)는 조리실 내부의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기초로 조리물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된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조리 모드, 조리 온도 및 조리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조리 동작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하고, 도 10, 도 11, 및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조리 동작에 따라 조리 진행 정보를 수신한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 도 10, 도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조리 장치(100)는 자동 조리를 수행할지 판단한다(111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자동 조리를 수행할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통하여 자동 조리 개시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10)는 자동 조리를 개시한다.
자동 조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되면(1110의 예), 조리 장치(100)는 가열부(140)를 가동한다(112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선택된 조리 모드에 따라 가열부(140)를 가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릴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조리실의 상부에 마련된 버너(141) 또는 열선(143)을 가동하고, 베이크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조리실의 하부에 버너(141) 또는 열선(143)을 가동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파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마이크로파 발생기(147)를 가동하고, 스팀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스팀 발생기(149)를 가동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조리실 내부의 가스를 검출한다(113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가스 센서(131)를 이용하여 조리실 내부의 가스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가스 센서(131)에 포함된 복수의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1, 131-2, 131-3, 131-4)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를 기초로 조리실 내부의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제1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1)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를 기초로 황화수소의 존부 및 농도를 판단할 수 있고, 제2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2)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를 기초로 에틸렌의 존부 및 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조리 동작의 진행 정도를 판단한다(114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가스 센서(131)가 검출한 가스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조리물에 대한 조리가 진행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특정 가스의 농도를 기초로 조리가 진행된 정도를 판단하거나, 제어부(110)는 특정 가스의 농도의 변화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농도 변화율에 따라 조리가 진행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릴 모드 또는 베이크 모드의 경우 조리가 진행될수록 수분의 농도가 낮아지므로, 제어부(110)는 조리실 내부의 수분의 농도를 기초로 조리가 진행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조리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115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앞서 판단한 조리가 진행된 정도에 따라 조리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특정 가스의 농도가 기준값보다 크거나, 특정 가스의 농도가 기준값보다 작으면 조리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릴 조리 모드 또는 베이크 조리 모드의 경우, 제어부(110)는 조리실 내부의 수분의 농도가 기준값보다 작으면 조리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조리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지 않으면(1150의 아니오), 조리 장치(1)는 가스 검출(1130), 조리의 진행 정도 판단(1140), 조리 완료 판단(1150)을 반복한다.
조리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1150의 예), 조리 장치(1)는 가열부(140)의 가동을 중지한다(1160).
또한, 조리 장치(1)는 사용자에게 조리 완료를 알린다(117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조리 완료를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조리 장치(100)에 포함된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조리 완료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통신부(150)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210), 영상 표시 장치(220), 냉장고(230), 음향 출력 장치(240), 공기조화기(250), 식기 세척기(260) 등에 조리 완료 표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0)가 이동 단말기(210)에 조리 완료 표시 요청을 전송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10)는 디스플레이(211)에 조리 완료를 나타내는 조리 완료 표시 영상(211a)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10)에 표시되는 조리 완료 표시 영상(211a)에 의하여 조리 장치(100)의 조리가 완료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가 영상 표시 장치(220)에 조리 완료 표시 요청을 전송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장치(220)는 디스플레이(221)의 일측에 조리 완료를 나타내는 조리 완료 표시 영상(221a)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상 표시 장치(220)에 표시되는 조리 완료 표시 영상(221a)에 의하여 조리 장치(100)의 조리가 완료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가 냉장고(230)에 조리 완료 표시 요청을 전송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230)는 디스플레이(231)의 일측에 조리 완료를 나타내는 조리 완료 표시 영상(231a)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냉장고(230)에 표시되는 조리 완료 표시 영상(231a)에 의하여 조리 장치(100)의 조리가 완료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10)가 음향 출력 장치(230)에 조리 완료 표시 요청을 전송하면, 음향 출력 장치(230)는 조리 완료를 나타내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 조리가 선택되면, 조리 장치(100)는 조리실 내부의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기초로 조리 진행 정도를 판단하고, 조리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다양한 전자 장치(210, 220, 230, 240)를 통하여 조리 완료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조리 동작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하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조리 동작에 따라 조리 진행 정보를 수신한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조리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조리 정보를 입력받는다(1210).
조리 장치(100)의 유저 인터페이스(120)는 사용자로부터 조리 모드, 조리 온도 및 조리 시간을 포함하는 조리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조리 정보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조리 장치(100)는 조리를 개시할지 판단한다(122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수동 조리를 개시할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통하여 조리 정보와 조리 개시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10)는 입력된 조리 정보에 따라 수동 조리를 개시한다.
조리를 개시하는 것으로 판단되면(1220의 예), 조리 장치(100)는 가열부(140)를 가동한다(123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조리 모드에 따라 가열부(140)를 가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릴 조리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조리실의 상부에 마련된 버너(141) 또는 열선(143)을 가동하고, 베이크 조리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조리실의 하부에 버너(141) 또는 열선(143)을 가동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파 가열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마이크로파 발생기(147)를 가동하고, 스팀 조리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스팀 발생기(149)를 가동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조리실 내부의 가스를 검출한다(124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가스 센서(131)를 이용하여 조리실 내부의 가스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가스 센서(131)에 포함된 복수의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1, 131-2, 131-3, 131-4)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를 기초로 조리실 내부의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제1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1)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를 기초로 황화수소의 존부 및 농도를 판단할 수 있고, 제2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2)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를 기초로 에틸렌의 존부 및 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조리 동작의 진행 정도를 판단한다(125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가스 센서(131)가 검출한 가스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조리물에 대한 조리가 진행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특정 가스의 농도를 기초로 조리가 진행된 정도를 판단하거나, 제어부(110)는 특정 가스의 농도의 변화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농도 변화율에 따라 조리가 진행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백질이 열에 의하여 분해되는 경우, 피리딘(Pyridine) 계열 물질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어부(110)는 피리딘 계열 물질의 농도를 검출하고, 피리딘 계열 물질의 농도 변화를 기초로 조리물의 조리 진행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110)는 아세토페놀(acetophenone), 벤질 알코올(benzyl alcohol),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의 농도 변화를 기초로 조리물의 조리 진행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조리 완료 시간을 예측한다(126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조리 진행 정도를 기초로 조리 완료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예측된 조리 완료 시간과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 시간 사이의 차이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조리 진행 정보를 제공한다(1270).
조리 진행 정보는 조리물이 조리된 정도를 나타내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진행 정보는 조리 진행 정도에 따른 조리 완료 시간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거나, 조리 진행 정도에 따라 조리물이 과하게 조리되었는지(overcook) 또는 덜 조리되었는지(undercook)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조리 진행 정도를 기초로 조리 시간을 예측하고, 예측된 조리 시간에 따라 사용자에게 조리물이 과하게 조리될지(overcook) 또는 덜 조리될지(undercook)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조리물이 과하게 조리될지(overcook) 또는 덜 조리될지(undercook)에 따라 사용자에게 조리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측된 조리 시간이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 시간보다 짧으면, 제어부(110)는 조리물이 과하게 조리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조리 시간을 단축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조리 장치(100)에 포함된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조리 시간을 단축할 것을 안내하거나, 이동 단말기(210), 영상 표시 장치(220), 냉장고(230), 음향 출력 장치(240), 공기조화기(250), 식기 세척기(260)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조리 시간을 단축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조리 시간을 단축시키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조리 온도를 낮추어 조리 완료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예측된 조리 시간이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 시간보다 길면, 제어부(110)는 조리물이 덜 조리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사용자에게 조리 시간을 연장하거나 추가적인 조리를 수행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조리 장치(100)에 포함된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조리 시간을 연장할 것을 안내하거나, 이동 단말기(210), 영상 표시 장치(220), 냉장고(230), 음향 출력 장치(240), 공기조화기(250), 식기 세척기(260)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조리 시간을 연장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조리 시간을 연장하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조리 온도를 높여 조리 완료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조리 진행 정도를 기초로 조리 시간을 예측하고, 예측된 조리 시간에 따라 사용자에게 조리 완료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조리 장치(100)에 포함된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조리 완료 예상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이동 단말기(210), 영상 표시 장치(220), 냉장고(230), 음향 출력 장치(240), 공기조화기(250), 식기 세척기(260) 등을 통하여 조리 완료 예상 시간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0)가 이동 단말기(210)에 예상 시간 표시 요청을 전송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10)는 디스플레이(211)에 조리 완료 예상 시간을 나타내는 예상 시간 표시 영상(211b)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10)에 표시되는 예상 시간 표시 영상(211b)에 의하여 조리 장치(100)의 조리가 완료될 시간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영상 표시 장치(220), 냉장고(230), 음향 출력 장치(240) 등에 예상 시간 표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사용자에게 잔여 조리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조리 장치(100)에 포함된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잔여 조리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잔여 조리 시간을 표시하도록 제어부(110)는 이동 단말기(210), 영상 표시 장치(220), 냉장고(230), 음향 출력 장치(240), 공기조화기(250), 식기 세척기(260) 등을 통하여 잔여 조리 시간을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 조리가 선택되면, 조리 장치(100)는 조리실 내부의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기초로 조리 진행 정도를 판단하고, 조리 진행 정도를 기초로 조리 완료 예상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는 다양한 전자 장치(210, 220, 230, 240)를 통하여 조리 완료 예상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조리 동작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하고, 도 16는 도 15에 도시된 조리 동작에 따라 조리 진행 정보를 수신한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조리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조리 정보를 입력받는다(1310).
조리 장치(100)의 유저 인터페이스(120)는 사용자로부터 조리 모드, 조리 온도 및 조리 시간을 포함하는 조리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조리 정보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조리 장치(100)는 조리를 수행할지 판단한다(132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수동 조리를 수행할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통하여 조리 정보와 조리 개시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10)는 입력된 조리 정보에 따라 수동 조리를 개시한다.
조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되면(1320의 예), 조리 장치(100)는 가열부(140)를 가동한다(133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조리 모드에 따라 가열부(140)를 가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릴 조리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조리실의 상부에 마련된 버너(141) 또는 열선(143)을 가동하고, 베이크 조리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조리실의 하부에 버너(141) 또는 열선(143)을 가동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파 가열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마이크로파 발생기(147)를 가동하고, 스팀 조리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스팀 발생기(149)를 가동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조리실 내부의 가스를 검출한다(134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가스 센서(131)를 이용하여 조리실 내부의 가스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가스 센서(131)에 포함된 복수의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1, 131-2, 131-3, 131-4)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를 기초로 조리실 내부의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제1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1)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를 기초로 황화수소의 존부 및 농도를 판단할 수 있고, 제2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2)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를 기초로 에틸렌의 존부 및 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조리 장치(100)는 조리물의 종류를 판단한다(135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가스 센서(131)가 검출한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기초로 조리물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조리물이 육류, 어류, 채소류, 과일, 유가공식품, 발효식품 등인지 판단할 수 있다.
조리물을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 및 농도의 가스를 발생시킨다.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발생하는 가스의 종류 및 농도가 상이하므로, 발생된 가스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조리물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조리물에 따라 발생되는 가스의 종류 및 농도는 사전에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의 형태로 제어부(110)의 메모리(113)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메모리(113)의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조리물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조리 모드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조리 모드 변경을 요청한다(1360).
조리 장치(100)는 판단된 조리물의 종류에 대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 모드가 적절한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육류 또는 어류에 대하여 베이크 조리 모드를 선택하였으면 제어부(110)는 육류 또는 어류에 대하여 베이크 조리 모드보다 그릴 조리 모드가 더욱 적절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조리 장치(100)는 조리물의 종류와 사용자가 입력한 건강 정보를 기초로 조리 모드가 적절한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체지방률이 높고 사용자가 육류 또는 어류에 대하여 베이크 조리 모드를 선택하였다면 제어부(110)는 육류 또는 어류의 기름을 제거하기 위한 스팀 조리 모드가 더욱 적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선택한 조리 모드가 적절하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사용자에게 조리 모드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조리 장치(100)에 포함된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조리 모드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통신부(150)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210), 영상 표시 장치(220), 냉장고(230), 음향 출력 장치(240), 공기조화기(250), 식기 세척기(260) 등에 조리 모드 변경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0)가 이동 단말기(210)에 조리 모드 변경 요청을 전송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10)는 디스플레이(211)에 조리 모드 변경 요청을 나타내는 모드 변경 요청 영상(211c)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10)에 표시된 모드 변경 요청 영상(211c)을 통하여 조리 모드 변경의 수락을 입력하거나 조리 모드 변경의 거절을 입력할 수 있다.
조리 모드 변경의 수락을 입력받은 이동 단말기(210)는 조리 장치(100)에 모드 변경 수락을 전송하고, 조리 모드 변경의 거절을 입력받은 이동 단말기(210)는 조리 장치(100)에 모드 변경 거절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가 영상 표시 장치(220), 냉장고(230), 음향 출력 장치(240) 등에 조리 모드 변경 요청을 전송할 수도 있다.
조리 장치(100)는 조리 모드를 변경할지 판단한다(137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이동 단말기(210) 등 전자 장치로부터 수시되는 메시지에 따라 조리 모드를 변경할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드 변경 수락이 수신되면 제어부(110)는 조리 모드를 변경하고, 모드 변경 거절이 수신되면 제어부(110)는 기존 조리 모드를 유지한다.
조리 모드를 변경하는 것으로 판단되면(1370의 예), 조리 장치(100)는 새로운 조리 모드로 조리물을 조리한다(138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조리물에 대한 최적의 조리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조리 모드에 따라 가열부(140)를 가동할 수 있다.
또한, 조리 모드를 변경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1370의 아니오), 조리 장치(100)는 기존의 조리 모드로 조리물을 조리한다(139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기존의 조리 모드에 따라 가열부(140)를 가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 조리가 선택되면, 조리 장치(100)는 조리실 내부의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기초로 조리물을 판단하고, 판단된 조리물에 따라 조리 모드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조리 동작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하고, 도 18, 도 19 및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조리 동작에 따라 조리 진행 정보를 수신한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7, 도 18,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조리 장치(100)는 조리를 수행할지 판단한다(141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조리를 수행할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통하여 조리 개시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10)는 조리를 개시한다.
조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되면(1410의 예), 조리 장치(100)는 가열부(140)를 가동한다(142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 모드 또는 조리물에 따라 선택된 조리 모드에 따라 가열부(140)를 가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릴 조리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조리실의 상부에 마련된 버너(141) 또는 열선(143)을 가동하고, 베이크 조리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조리실의 하부에 버너(141) 또는 열선(143)을 가동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파 가열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마이크로파 발생기(147)를 가동하고, 스팀 조리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스팀 발생기(149)를 가동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조리물의 중량을 검출한다(143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중량 센서(135)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조리실에 수용된 조리물의 중량을 검출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조리실 내부의 가스를 검출한다(144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가스 센서(131)를 이용하여 조리실 내부의 가스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가스 센서(131)에 포함된 복수의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1, 131-2, 131-3, 131-4)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를 기초로 조리실 내부의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제1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1)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를 기초로 황화수소의 존부 및 농도를 판단할 수 있고, 제2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2)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를 기초로 에틸렌의 존부 및 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조리물의 종류를 판단한다(145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가스 센서(131)가 검출한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기초로 조리물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조리물이 육류, 어류, 채소류, 과일, 유가공식품, 발효식품 등인지 판단할 수 있다.
조리물을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 및 농도의 가스를 발생시킨다.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발생하는 가스의 종류 및 농도가 상이하므로, 발생된 가스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조리물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조리물에 따라 발생되는 가스의 종류 및 농도는 사전에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의 형태로 제어부(110)의 메모리(113)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메모리(113)의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조리물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조리물의 열량을 판단한다(146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조리물의 종류와 중량을 기초로 조리물의 열량을 판단할 수 있다. 조리물의 열량은 설계자에 의하여 사전에 메모리(113)에 저장되거나, 제어부(110)가 통신부(140)를 통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조리물의 열량을 검색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다음 식사의 메뉴를 판단할 수 있다(147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일일 권장 열량과 조리물의 열량을 기초로 다음 식사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일 권장 열량과 조리물의 열량의 차이를 기초로 다음 식사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조리물의 종류를 기초로 조리물에 함유된 영양소를 판단하고, 조리물의 영양소를 기초로 다음 식사의 메뉴를 선택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조리물의 영양소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부족한 영양소를 판단하고, 부족한 영양소에 대응한 식사 메뉴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다음 식사의 메뉴를 알린다(148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다음 식사 메뉴를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조리 장치(100)에 포함된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다음 식사 메뉴를 알릴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통신부(150)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210), 영상 표시 장치(220), 냉장고(230), 음향 출력 장치(240), 공기조화기(250), 식기 세척기(260) 등에 다음 식사 메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0)가 이동 단말기(210)에 다음 식사 메뉴를 전송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10)는 디스플레이(211)에 식사 메뉴를 나타내는 식사 메뉴 표시 영상(211d)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10)에 표시되는 식사 메뉴 표시 영상(211d)를 통하여 다음 식사의 메뉴를 추천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냉장고(230)와 통신하여 냉장고(230)에 다음 식사 메뉴를 위한 조리물이 보관되었는지 판단하고, 조리물이 냉장고(230)에 보관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사용자에게 다음 식사 메뉴를 위한 조리물의 구입을 요청할 수 있다.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조리물의 구입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조리 장치(100)에 포함된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조리물의 구입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통신부(150)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210), 영상 표시 장치(220), 냉장고(230), 음향 출력 장치(240), 공기조화기(250), 식기 세척기(260) 등에 조리물 구입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0)가 이동 단말기(210)에 다음 식사 메뉴를 전송하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10)는 디스플레이(211)에 식사 메뉴를 나타내는 조리물 구입 요청 영상(211e)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10)에 표시되는 조리물 구입 요청 영상(211e)에 따라 조리물을 구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조리물 구입을 수락하면 이동 단말기(210)는 조리물을 구입을 위한 쇼핑몰 홈페이지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조리물의 열량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음식물 섭취를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조리 장치(100)에 포함된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음식물 섭취를 안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통신부(150)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210), 영상 표시 장치(220), 냉장고(230), 음향 출력 장치(240), 공기조화기(250), 식기 세척기(260) 등에 음식물 섭취 안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0)가 이동 단말기(210)에 다음 식사 메뉴를 전송하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10)는 디스플레이(211)에 음식물 섭취를 안내하는 음식물 섭취 안내 영상(211f)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10)에 표시된 음식물 섭취 안내 영상(211f)을 참조하여, 다음 식사의 메뉴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리 장치(100)는 조리실 내부의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기초로 조리물을 판단하고, 조리물을 기초로 사용자가 섭취하는 열량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는 다양한 전자 장치(210, 220, 230, 240)를 통하여 사용자가 섭취하는 열량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하고,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동작에 따라 조리실 오염도 정보를 수신한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조리 장치(100)는 조리물을 조리 중인지 판단한다(151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메모리(113)에 조리 여부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리물의 조리를 개시하면 메모리(113)에 조리 중임을 저장하고, 조리물의 조리가 완료되면 메모리(113)에 조리 중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0)는 메모리(113)를 참조하여 조리 진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가열부(140)로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기초로 조리물의 조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부(140)에 가동 신호가 출력되면 제어부(110)는 조리 중으로 판단하고, 가열부(140)에 가동 중지 신호가 출력되면 제어부(110)는 조리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조리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1510의 예), 조리 장치(100)는 조리실 내부의 가스를 검출한다(152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가스 센서(131)를 이용하여 조리실 내부의 가스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가스 센서(131)에 포함된 복수의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1, 131-2, 131-3, 131-4)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를 기초로 조리실 내부의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제1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1)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를 기초로 황화수소의 존부 및 농도를 판단할 수 있고, 제2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2)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를 기초로 에틸렌의 존부 및 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조리실 내부의 오염도를 판단한다(153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조리실 내부의 가스의 농도를 기초로 조리 내부의 오염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실 내부의 가스 농도가 기준값보다 크면 제어부(110)는 조리실 내부의 오염도가 큰 것으로 판단하고, 조리실 내부의 가스 농도가 기준값 미만이면 제어부(110)는 조리실 내부의 오염도가 작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조리실 내부의 오염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조리실의 세척을 요청한다(154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조리실 내부의 가스 농도가 기준값보다 크면 사용자에게 조리실의 세척을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조리실의 세척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조리 장치(100)에 포함된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조리실 세척을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통신부(150)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210), 영상 표시 장치(220), 냉장고(230), 음향 출력 장치(240), 공기조화기(250), 식기 세척기(260) 등에 조리실 세척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0)가 이동 단말기(210)에 조리 완료 표시 요청을 전송하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10)는 디스플레이(211)에 조리실의 세척 요청을 나타내는 조리실 세척 요청 영상(211g)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10)에 표시된 조리실 세척 요청 영상(211g)을 확인하고, 조리 장치(100)의 조리실을 세척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리 장치(100)는 조리실 내부의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기초로 조리실의 오염도를 판단하고, 조리실의 오염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조리실의 세척을 요청할 수 있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동작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하고,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동작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조리 장치(100)는 조리 장치(100)는 조리를 개시할지 판단한다(161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조리를 수행할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통하여 조리 개시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10)는 조리를 개시한다.
조리를 개시하는 것으로 판단되면(1610의 예), 조리 장치(100)는 가열부(140)를 가동한다(162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 모드 또는 조리물에 따라 선택된 조리 모드에 따라 가열부(140)를 가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릴 조리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조리실의 상부에 마련된 버너(141) 또는 열선(143)을 가동하고, 베이크 조리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조리실의 하부에 버너(141) 또는 열선(143)을 가동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파 가열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마이크로파 발생기(147)를 가동하고, 스팀 조리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스팀 발생기(149)를 가동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조리실 내부의 가스를 검출한다(163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가스 센서(131)를 이용하여 조리실 내부의 가스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가스 센서(131)에 포함된 복수의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1, 131-2, 131-3, 131-4)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를 기초로 조리실 내부의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제1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1)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를 기초로 황화수소의 존부 및 농도를 판단할 수 있고, 제2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2)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를 기초로 에틸렌의 존부 및 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조리실 내부의 가스 농도가 기준 농도보다 큰지 판단한다(164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조리실 내부의 가스 농도와 기준 농도를 비고, 조리실 내부의 가스 농도가 기준 농도보다 큰지 판단할 수 있다.
조리실 내부의 가스 농도가 기준 농도보다 크지 않으면(1640의 아니오), 조리 장치(100)는 조리실 내부의 가스 검출(1630) 및 가스 농도와 기준 농도의 비교(1640)를 반복한다.
조리실 내부의 가스 농도가 기준 농도보다 크면(1640의 예), 조리 장치(100)는 공기 조화기(250)에 환풍을 요청한다(165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50)를 통하여 공기 조화기(250)에 환풍을 요청할 수 있다.
조리 장치(100)로부터 환풍 요청을 수신한 공기 조화기(250)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풍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연계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조리 장치(100)는 조리 장치(100)는 조리를 수행할지 판단한다(171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조리를 수행할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통하여 조리 개시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10)는 조리를 개시할 수 있다.
조리를 개시하는 것으로 판단되면(1710의 예), 조리 장치(100)는 가열부(140)를 가동한다(172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 모드 또는 조리물에 따라 선택된 조리 모드에 따라 가열부(140)를 가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릴 조리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조리실의 상부에 마련된 버너(141) 또는 열선(143)을 가동하고, 베이크 조리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조리실의 하부에 버너(141) 또는 열선(143)을 가동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파 가열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마이크로파 발생기(147)를 가동하고, 스팀 조리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스팀 발생기(149)를 가동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조리실 내부의 가스를 검출한다(173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가스 센서(131)를 이용하여 조리실 내부의 가스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가스 센서(131)에 포함된 복수의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1, 131-2, 131-3, 131-4)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를 기초로 조리실 내부의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제1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1)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를 기초로 황화수소의 존부 및 농도를 판단할 수 있고, 제2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2)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를 기초로 에틸렌의 존부 및 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조리물의 종류를 판단한다(174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가스 센서(131)가 검출한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기초로 조리물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조리물이 육류, 어류, 채소류, 과일, 유가공식품, 발효식품 등인지 판단할 수 있다.
조리물을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 및 농도의 가스를 발생시킨다.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발생하는 가스의 종류 및 농도가 상이하므로, 발생된 가스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조리물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조리물에 따라 발생되는 가스의 종류 및 농도는 사전에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의 형태로 제어부(110)의 메모리(113)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메모리(113)의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조리물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조리물 정보를 식기 세척기(260)에 전송한다(175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통신부(150)를 통하여 식기 세척기(260)에 조리물의 종류 및 중량을 포함하는 조리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조리 장치(100)로부터 조리물 정보를 수신한 식기 세척기(260)는 조리물 정보에 따라 세척 코스, 수온, 세제량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조리물에 대한 조리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1760).
조리 장치(100)는 조리 수행 시간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 조리 시간에 도달하거나, 조리 수행 시간이 조리 장치(100)가 설정한 설정 조리 시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는 조리실 내부의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기초로 조리물에 대한 조리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조리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1760의 예), 조리 장치(100)는 가열부(140)의 가동을 중지한다(1770).
또한, 도 26을 참조하면 식기 세척기(260)는 조리 장치(100)로부터 조리물 정보를 수신하는지 판단한다(181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리 장치(100)는 가스 센서(131)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조리물의 종류를 판단하고, 조리물의 종류를 포함하는 조리물 정보를 식기 세척기(26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260)는 조리 장치(100)가 전송한 조리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조리물 정보를 수신하면(1810의 예), 식기 세척기(260)는 조리물 정보를 저장한다(1820).
식기 세척기(260)는 조리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조리물 정보 가운데 조리물의 종류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조리물의 정보를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260)는 조리물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조리물 정보가 수신되지 않거나(1810의 아니오) 조리물 정보를 저장한 후 식기 세척기(260)는 식기 세척을 수행할지 판단한다(1830).
식기 세척기(26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식기 세척을 수행할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세척 개시 명령을 입력하면, 식기 세척기(260)는 식기 세척을 개시할 수 있다.
식기 세척을 개시하는 것으로 판단되면(1830의 예), 식기 세척기(260)는 조리물 정보가 저장되었는지를 판단한다(1840).
식기 세척기(260)는 그 내부의 메모리(미도시)를 검색하여 조리물 정보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260)는 조리물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조리물 정보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었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조리물 정보가 저장되었으면(1840의 예), 식기 세척기(260)는 조리물 정보에 따라 세척 코스, 수온, 세제량 등을 선택한다(1850).
구체적으로, 식기 세척기(260)는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세척 코스, 수온, 세제량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물이 육류인 경우, 육류를 담은 식기에는 다량의 기름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기름을 제거하기 위하여 식기 세척기(260)는 기름 제거를 위한 세척 코스를 선택하고, 수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260)는 세제량을 증가시키고, 헹굼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리물이 채소류인 경우, 채소류를 담은 식기에는 많은 오염물이 부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식기 세척기(260)는 식기를 헹구는 정도의 세척 코스를 선택하고 수온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260)는 세제량을 감소시키고, 헹굼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후, 식기 세척기(260)는 선택된 세척 코스, 수온, 세제량에 따라 식기 세척을 수행한다(1860).
조리물 정보가 저장되지 않았으면(1840의 아니오), 식기 세척기(260)는 미리 정해진 세척 코스, 수온, 세제량 등을 선택한다(1870).
식기 세척기(260)는 평균적인 오염도로 오염된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코스, 수온, 세제량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식기 세척기(260)는 선택된 세척 코스, 수온, 세제량에 따라 식기 세척을 수행한다(186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리 장치(100)는 조리물의 조리 중에 조리물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된 조리물의 종류가 포함된 조리물 정보를 식기 세척기(260)에 전달할 수 있다. 조리 장치(100)로부터 조리물 정보를 수신한 식기 세척기(260)는 조리물 정보에 포함된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세척 코스, 수온 세제량 등을 조절하여, 식기 세척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동작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하고,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동작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조리 장치(100)는 조리 장치(100)는 조리를 수행할지 판단한다(191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조리를 수행할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통하여 조리 개시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10)는 조리를 개시할 수 있다.
조리를 개시하는 것으로 판단되면(1910의 예), 조리 장치(100)는 가열부(140)를 가동한다(192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 모드 또는 조리물에 따라 선택된 조리 모드에 따라 가열부(140)를 가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릴 조리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조리실의 상부에 마련된 버너(141) 또는 열선(143)을 가동하고, 베이크 조리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조리실의 하부에 버너(141) 또는 열선(143)을 가동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파 가열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마이크로파 발생기(147)를 가동하고, 스팀 조리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스팀 발생기(149)를 가동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조리실 내부의 가스를 검출한다(193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가스 센서(131)를 이용하여 조리실 내부의 가스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가스 센서(131)에 포함된 복수의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1, 131-2, 131-3, 131-4)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를 기초로 조리실 내부의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제1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1)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를 기초로 황화수소의 존부 및 농도를 판단할 수 있고, 제2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131-2)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를 기초로 에틸렌의 존부 및 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조리물의 종류를 판단한다(194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가스 센서(131)가 검출한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기초로 조리물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조리물이 육류, 어류, 채소류, 과일, 유가공식품, 발효식품 등인지 판단할 수 있다.
조리물을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 및 농도의 가스를 발생시킨다.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발생하는 가스의 종류 및 농도가 상이하므로, 발생된 가스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조리물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조리물에 따라 발생되는 가스의 종류 및 농도는 사전에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의 형태로 제어부(110)의 메모리(113)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메모리(113)의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조리물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는 판단된 조리물에 적합한 추가 식품 또는 음료를 추천한다(1950).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판단된 조리물에 적합한 추가 식품 또는 음료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물이 육류인 경우, 육류의 지방 분해를 돕는 채소류를 육류와 함께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육류에는 레드 와인이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조리물이 생선인 경우, 생선에는 화이트 와인이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리 장치(1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추가 식품 또는 음료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조리 장치(100)에 포함된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추가 식품 또는 음료를 알릴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통신부(150)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210), 영상 표시 장치(220), 냉장고(230), 음향 출력 장치(240), 공기조화기(250), 식기 세척기(260) 등에 추가 식품 또는 음료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0)가 냉장고(230)에 추가 식품 또는 음료를 전송하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230)는 디스플레이(231)에 추가 식품 또는 음료를 나타내는 추가 메뉴 표시 영상(231b)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230)는 추가 메뉴 표시 영상(231b)에 추가 식품 또는 음료가 저장된 저장실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리 장치(100)는 조리실 내부의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기초로 조리물을 판단하고, 조리물을 기초로 추가 식품 또는 음료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는 다양한 전자 장치(210, 220, 230, 240)를 통하여 추가 식품 또는 음료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가스 센서(131)를 이용한 조리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조리물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검출하는 가스 검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9은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스 검출 장치가 조리 용기에 부착된 것을 도시하고, 도 30는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스 검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가스 검출 장치(300)는 조리물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검출하고,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판단한다. 또한, 가스 검출 장치(300)는 조리물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기초로 조리물의 종류 및 조리물에 대한 조리 진행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가스 검출 장치(300)는 조리물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검출하기 위하여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물이 담긴 조리 용기(C)의 뚜껑(T)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 결과, 가스 검출 장치(300)는 조리물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가스 검출 장치(300)는 이동 단말기, 영상 표시 장치, 냉장고, 음향 출력 장치, 공기조화기 등 다양한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스 검출 장치(300)는 조리물에 대한 조리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조리 진행 정보를 이동 단말기, 영상 표시 장치, 냉장고, 음향 출력 장치, 공기조화기 등 다양한 전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조리 진행 정보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 영상 표시 장치, 냉장고, 음향 출력 장치, 공기조화기는 영상, 음향, 진동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조리 진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스 검출 장치(300)는 검출된 가스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조리물을 판단하고, 조리물에 대한 최적의 조리 모드, 조리 시간, 조리 온도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가스 검출 장치(300)는 판단된 조리 모드, 조리 시간, 조리 온도를 포함하는 조리 관련 정보를 통신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 영상 표시 장치, 냉장고, 음향 출력 장치, 공기조화기 등에 전송할 수 있다.
조리 관련 정보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 영상 표시 장치, 냉장고, 음향 출력 장치, 공기조화기는 영상, 음향, 진동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조리 모드, 조리 시간, 조리 온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가스 검출 장치(300)는 조리물의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320),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330), 가스 검출 장치(300)를 제어하는 제어부(310)를 포함한다.
*센서부(320)는 조리물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검출하는 가스 센서(321)를 포함한다.
가스 센서(321)는 조리물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검출한다.
이러한, 가스 센서(321)는 가스 입자가 표면에 접촉할 때 발생하는 전기 전도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판단하는 반도체형 가스 센서, 압전효과(Piezoelectric Effect)를 이용하여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판단하는 수정 진동자 마이크로밸런스(Quartz Crystal Microbalance, QC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30)는 다양한 통신 규약을 이용하여 외주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모듈(331, 333, 33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3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에 접속하는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통신 모듈(331), 외부 장치와 일vs일 또는 일vs다로 통신하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333), 홈 네트워크 등에 널리 이용되는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33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통신부(330)가 와이파이 통신 모듈(331), 블루투스 통신 모듈(333) 및 지그비 통신 모듈(335)을 모두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통신부(330)는 필요에 따라 와이파이 통신 모듈(331), 블루투스 통신 모듈(333) 및 지그비 통신 모듈(335)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가스 검출 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313), 메모리(313)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311)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13)는 가스 검출 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센서부(320)가 검출한 가스의 종류 및 농도, 프로세서(311)가 출력하는 제어 신호 등을 기억할 수 있다.
메모리(313)는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랩(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미도시)와 플래시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1)는 메모리(31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에 따라 가스의 종류 및 농도 등을 처리하고,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잇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1)는 가스 센서(321)가 검출한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기초로 조리물의 종류, 조리물에 포함된 영양소, 조리물의 열량, 조리물이 조리된 정도 등을 판단하고, 외부 전자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조리 진행 정보 및 조리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프로세서(311)와 메모리(313)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311)와 메모리(313)가 단일 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310)는 가스 검출 장치(300)에 포함된 각종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가스 검출 장치(300)의 동작은 제어부(310)의 제어 동작에 의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가스 검출 장치(300)는 앞서 설명한 조리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조리물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가스 검출 장치(300)는 가스의 종류 및 농도를 기초로 조리물의 종류, 조리물의 조리 진행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가스 검출 장치(300)는 조리물에 대한 조리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조리 진행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조리 진행 정보를 표시하도록 이동 단말기, 영상 표시 장치, 냉장고 등의 외부 전자 장치에 조리 진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스 검출 장치(300)는 조리 진행 정도에 따라 조리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하고, 조리가 완료되면 사용자에게 조리 완료를 표시하도록 외부 전자 장치에 조리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가스 검출 장치(300)는 조리 진행 정도에 따라 조리 완료 시간을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잔여 조리 시간을 표시하도록 외부 전자 장치에 잔여 조리 시간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가스 검출 장치(300)는 조리물로부터 발생된 가스의 농도에 따라 외부 공기 조화기에 환풍을 요청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개시된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 없이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을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개시된 발명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될 수 없다.
100: 조리 장치 110: 제어부
120: 유저 인터페이스 130: 센서부
131: 가스 센서 140: 가열부
150: 통신부

Claims (1)

  1. 조리실에 수용된 조리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조리실 내부의 가스를 검출하는 가스 센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가스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가스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상기 조리물에 대한 조리 진행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조리 진행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상기 조리 진행 상태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스 센서는, 상기 가스 센서의 부품의 공진 주파수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가스의 종류 및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조리 장치.
KR1020210155451A 2015-01-28 2021-11-12 가스 검출 장치,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826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894 2015-01-28
KR20150013894 2015-01-28
KR1020150028010A KR102327881B1 (ko) 2015-01-28 2015-02-27 가스 검출 장치,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010A Division KR102327881B1 (ko) 2015-01-28 2015-02-27 가스 검출 장치,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435A true KR20210141435A (ko) 2021-11-23
KR102482678B1 KR102482678B1 (ko) 2023-01-02

Family

ID=567113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010A KR102327881B1 (ko) 2015-01-28 2015-02-27 가스 검출 장치,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10155451A KR102482678B1 (ko) 2015-01-28 2021-11-12 가스 검출 장치,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010A KR102327881B1 (ko) 2015-01-28 2015-02-27 가스 검출 장치,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237805B1 (ko)
KR (2) KR102327881B1 (ko)
CN (1) CN10745493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52980B (zh) * 2017-11-02 2022-02-08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微波炉的安全防控方法及安全防控系统
CN108317678B (zh) * 2017-12-21 2020-08-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设备的开关控制方法及装置、系统
CN108309021B (zh) * 2018-01-20 2023-06-09 江苏大学 一种智能调控自动炒菜机及其智能控制方法
CN109892994A (zh) * 2019-03-12 2019-06-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烤箱的控制方法及装置、电烤箱
CN110543111A (zh) * 2019-06-25 2019-12-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烹饪器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及烹饪器
CN110915877B (zh) * 2019-12-27 2021-11-19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的控制方法、装置及烹饪器具
CN111025929B (zh) * 2019-12-27 2023-10-13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设备的清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059583A (zh) * 2019-12-30 2020-04-24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控制方法、微波烹饪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052466A (zh) * 2020-07-31 2022-02-18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控制方法、控制装置和存储介质
CN112617613B (zh) * 2020-11-12 2021-09-24 纯米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米饭烹饪效果检测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13008297A (zh) * 2021-02-02 2021-06-22 浙江旅游职业学院 热菜的检测系统
CN114568959A (zh) * 2022-03-02 2022-06-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烹饪器具的烹饪控制方法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1799A1 (en) * 2003-06-18 2005-03-24 Miele & Cie. Kg Method for controlling a cooking process in a cooking appliance and cooking appliance
KR20080037886A (ko) * 2006-10-27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열량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기 및 열량정보표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9529A (en) * 1963-05-10 1967-07-04 William C Lamar Combined oven and dishwasher
CA1192618A (en) * 1981-09-03 1985-08-27 Sharp Kabushiki Kaisha Microwave oven with automatic cooking performance having additional heating process
JPS62123226A (ja) * 1985-11-22 1987-06-04 Toshiba Corp 高周波加熱調理装置
JPH0697096B2 (ja) * 1986-03-20 1994-11-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加熱装置
DE69425168D1 (de) * 1993-03-11 2000-08-17 Toshiba Kawasaki Kk Mikrowellenofen und Verfahren zur Bestimmung des Lebenmittelproduktes
JPH08305448A (ja) * 1995-04-27 1996-11-22 Toshiba Corp 家電機器及び加熱調理器
ITVA20030046A1 (it) * 2003-12-04 2005-06-05 Whirlpool Co Forno domestico e procedimento di cottura che lo utilizza.
DE102008017597A1 (de) * 2008-04-07 2009-10-08 Premark Feg L.L.C., Wilmington Geschirrspülmaschine und Verfahren zum Reinigen von Spülgut
KR101563487B1 (ko) * 2009-05-11 2015-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EP2500725A1 (en) * 2011-03-17 2012-09-1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 method for controlling a cooking process of food stuff
SE1200431A1 (sv) * 2012-07-09 2012-10-22 Electrolux Ab Anordning för köket
CN103940956A (zh) * 2013-01-23 2014-07-23 海尔集团公司 气味检测方法、装置及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1799A1 (en) * 2003-06-18 2005-03-24 Miele & Cie. Kg Method for controlling a cooking process in a cooking appliance and cooking appliance
KR20080037886A (ko) * 2006-10-27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열량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기 및 열량정보표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7881B1 (ko) 2021-11-18
EP3237805B1 (en) 2020-09-09
CN107454939A (zh) 2017-12-08
KR20160092887A (ko) 2016-08-05
EP3237805A4 (en) 2017-11-22
EP3237805A1 (en) 2017-11-01
KR102482678B1 (ko) 202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2678B1 (ko) 가스 검출 장치,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009965B2 (en) Gas detection apparatus,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es
US20230038969A1 (en)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7205583B (zh) 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
KR20190000908U (ko) 주방 기구들의 유도성 가열 및 무선 급전을 갖는 요리 시스템
CN105358913B (zh) 加热烹调器
KR20190057020A (ko) 요리 시스템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KR20190057202A (ko) 무선 제어 요리 시스템
KR20190057201A (ko) 조리시스템용 보조버튼
CN109953653B (zh) 烹饪方法、烹饪器具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378676A (zh) 一种智能烹饪方法、烹饪装置、烹饪炊具及存储介质
CN109798546B (zh) 灶具的煲汤方法、装置、灶具及存储介质
US11064570B2 (en)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06489A (ko) 조리 기구, 조리용기 및 조리 방법
JP6385658B2 (ja) 電子レンジ及びプログラム
US20170055774A1 (en) Rf deep fat fryer
CN111449510A (zh) 烹饪器具的控制方法和烹饪器具
CN204373001U (zh) 微波炉
JP2013039328A (ja) 電気調理器、煮込み処理方法、および、しみ込み処理方法
JP2013106817A (ja) 炊飯器
CN109691903B (zh) 煎烤机加热的方法、加热装置、煎烤机及计算机存储介质
US20240102662A1 (en) Food preparation system
CN111857064A (zh) 烹饪设备的干预操作模式获取方法、装置、计算机设备
CN104595943A (zh) 微波炉及其控制方法
JP2012231915A (ja) 電気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