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7923A - 자동차의 a 필러에 구비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a 필러에 구비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7923A
KR20210097923A KR1020200011518A KR20200011518A KR20210097923A KR 20210097923 A KR20210097923 A KR 20210097923A KR 1020200011518 A KR1020200011518 A KR 1020200011518A KR 20200011518 A KR20200011518 A KR 20200011518A KR 20210097923 A KR20210097923 A KR 20210097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touch
vehicle
touch display
deg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2963B1 (ko
Inventor
이원섭
Original Assignee
이원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섭 filed Critical 이원섭
Priority to KR1020200011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963B1/ko
Publication of KR20210097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7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60K37/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K2370/143
    • B60K2370/1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2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의 A 필러의 내부 면에 구비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가 제어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A 필러에 구비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TOUCH DISPLAY APPARATUS PROVIDED IN A-PILLAR OF A CAR}
아래의 실시예들은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A 필러에 구비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기술이다.
자동차의 A 필러는 자동차의 전방 윈드 글라스와 지붕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필러로서, 자동차의 충돌 및 사고 시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구조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한편, 자동차의 전장 장치들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제어 입력 장치들은 전장 장치들의 종류에 따라 핸들, 자동차의 차문 또는 센터 페시아(Center fascia)에 분산 배치되어 있으며, 자동차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터 페시아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어 입력 장치들의 분산 배치는 운전 중인 사용자가 특정 전장 장치를 제어하고자 할 때 해당 전장 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어 입력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를 탐색하게 만드는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센터 페시아에 배치되는 것은 사용자가 운전 중 전방 주시에 소홀하도록 만드는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자동차에서 중요한 구조적 기능을 담당하는 A 필러에 전장 장치들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그에 따른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장치에 대한 기술이 제안될 필요가 있다.
일 실시예들은 전장 장치들의 제어를 위한 제어 입력 장치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일체화하기 위하여, 자동차에서 중요한 구조적 기능을 담당하는 A 필러에 전장 장치들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그에 따른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특히, 일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정보를 직관적으로 수용하도록, 전장 장치가 제어되는 정보를 전장 장치의 제어 정도 그대로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의 A 필러의 내부 면에 구비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가 제어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가 제어되는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의 제어 정도 그대로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의 제어 정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되는 정도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길이, 넓이, 시간, 강도 또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터치 영역 상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의 제어 정도는, 상기 자동차의 공조 장치의 제어 정도, 상기 자동차의 냉난방 장치의 제어 정도, 상기 자동차의 조명 장치의 제어 정도 또는 상기 자동차의 미디어 장치의 제어 정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 수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가 제어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가 제어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발광 소자들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가 제어되는 정보를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들을 통해 형상화 및 기호화하며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자동차의 차량 정보, 주행 정보, 운전자 상태 정보 및 환경 정보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자동차의 내부 조명 장치로 사용되도록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의 A 필러의 내부 면에 구비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가 제어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가 제어되는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의 제어 정도 그대로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의 제어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되는 정도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길이, 넓이, 시간, 강도 또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터치 영역 상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의 제어 정도는, 상기 자동차의 공조 장치의 제어 정도, 상기 자동차의 냉난방 장치의 제어 정도, 상기 자동차의 조명 장치의 제어 정도 또는 상기 자동차의 미디어 장치의 제어 정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들은 자동차에서 중요한 구조적 기능을 담당하는 A 필러에 전장 장치들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그에 따른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해 제안함으로써, 전장 장치들의 제어를 위한 제어 입력 장치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일체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제어 입력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일체화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전장 장치 별 제어 입력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를 탐색하는 수고를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들은 운전 중인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발생시키고 주시하기 용이한 A 필러에 구비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안함으로써, 전방 주시에 소홀해질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일 실시예들은 전장 장치가 제어되는 정보를 전장 장치의 제어 정도 그대로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해 제안함으로써, 사용자가 정보를 직관적으로 수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내지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5 내지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1은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자동차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되는 A 필러를 나타낸 자동차 내부 도면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11)는 자동차(100)의 A 필러(110)의 내부 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11)가 A 필러(110)의 내부 면 중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A 필러(110)의 내부 면 전체 영역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11)는 자동차(100)의 전방 윈드 글라스와 지붕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A 필러에 형성된 채, 자동차(100)의 전장 장치들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그에 따른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자동차(100)의 전장 장치 별 제어 입력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를 사용자가 탐색해야 하는 수고를 배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운전 중 전장 장치들을 제어하거나 관련 정보를 응시함에 따른 전방 주시에 소홀해질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의 도 3 내지 8을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며, 도 5 내지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11)는 자동차(100)의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수신부(310) 및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가 제어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11)에 포함되는 터치 수신부(310) 및 디스플레이부(320)는 독립적인 구성요소인 것으로 도시 및 설명되었으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입력(사용자의 터치 입력)과 출력(정보 표시)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11)에는 독립적인 구성요소 또는 통합된 구성요소로 구현되는 터치 수신부(310) 및 디스플레이부(320)가 포함되므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11)에는 터치 수신부(310) 및 디스플레이부(320)가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터치 수신부(310) 및 디스플레이부(320) 각각은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11)에 포함되는 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서의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프로세서의 기능적 표현으로서 터치 수신부(310)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수신부(310) 및 디스플레이부(320) 각각은 프로세서의 서로 다른 기능들의 표현일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기능들이 실행됨에 있어 요구되는 물리적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11)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미도시)과 네트워크로 통신하는 통신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11) 내부에 제어 모듈이 탑재될 수도 있다.
이 때, 통신부가 제어 모듈과 통신하는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S410)에서 터치 수신부(310)는 자동차(100)의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수신부(3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압식 또는 정전용량 방식을 통해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터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종래에 공지된 기술 그대로가 사용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 때, 터치 수신부(3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의 제어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되는 정도는 터치 수신부(310)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길이, 넓이, 시간, 강도 또는 터치 수신부(310)의 전체 터치 영역 상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것일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의 제어 정도는 자동차(100)의 공조 장치의 제어 정도(예컨대, 자동차(100)의 공조 장치의 개폐 정도), 자동차(100)의 냉난방 장치의 제어 정도(예컨대, 자동차(100)의 냉난방 장치의 온도), 자동차(100)의 조명 장치의 제어 정도(예컨대, 자동차(100)의 조명 장치의 밝기) 또는 자동차(100)의 미디어 장치의 제어 정도(예컨대, 자동차(100)의 미디어 장치의 음량, 앞뒤 컨텐츠 이동, 라디오 주파수 변경 등)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의 제어 정도의 예시는 설명된 것으로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자율주행 자동차가 포함하게 될 다양한 전장 장치들의 제어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11)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일정 길이(510)만큼 유지되었다면, 터치 수신부(310)는 터치 가능한 전체 영역(500) 대비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유지된 일정 길이(510)의 비율에 따라, 자동차(100)의 공조 장치인 창문의 개폐 정도(창문의 전체 높이 대비 창문을 열고자 하는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11)의 전체 터치 영역(500) 상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되는 위치가 일정 높이(510)라면, 터치 수신부(310)는 전체 터치 영역(500) 대비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된 위치의 높이(510)의 비율에 따라, 자동차(100)의 미디어 장치의 가장 높은 음량 대비 설정하고자 하는 음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S420)에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11)는 단계(S410)에서 수신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자동차(100)의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단계(S420)에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11)는, 단계(S410)에서 결정한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의 제어 정도를 제어 모듈로 전달함으로써, 제어 모듈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의 제어 정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된 바와 같이 터치 수신부(310)가 전체 터치 영역(500) 대비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된 위치의 높이(510)의 비율에 따라, 자동차(100)의 미디어 장치의 가장 높은 음량 대비 설정하고자 하는 음량을 결정한 경우, 미디어 장치의 가장 높은 음량 대비 설정하고자 하는 음량에 대한 정보가 단계(S420)에서 제어 모듈로 전달되게 되고, 제어 모듈은 전달된 정보(미디어 장치의 가장 높은 음량 대비 설정하고자 하는 음량에 대한 정보)에 따라 미디어 장치의 음량을 제어 및 조절할 수 있다.
그 후, 단계(S430)에서 디스플레이부(32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가 제어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가 제어되는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가 제어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일례로 자동차(100)의 공조 장치인 창문이 개방된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 자동차(100)의 냉난방 장치가 목적하는 희망 온도에 대한 정보, 자동차(100)의 조명 장치가 목적하는 희망 밝기에 대한 정보, 자동차(100)의 미디어 장치가 목적하는 희망 음량에 대한 정보 등을 의미한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가 제어되는 정보는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가 제어되거나 제어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단순한 알림 메시지일 수도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가 제어되는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의 제어 정도 그대로 시각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의 제어 정도는 전술된 바와 같이 자동차(100)의 공조 장치의 개폐 정도, 자동차(100)의 냉난방 장치의 온도, 자동차(100)의 조명 장치의 밝기 또는 자동차(100)의 미디어 장치의 음량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것으로, 단계(S410)에서 터치 수신부(310)에 의해 결정된 제어 정도 또는 단계(S420)에서 제어 모듈에 의해 이미 제어된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된 바와 같이 터치 수신부(310)가 전체 터치 영역(500) 대비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된 위치의 높이(510)의 비율에 따라, 자동차(100)의 자동차(100)의 공조 장치인 창문이 개방된 높이를 결정한 경우, 디스플레이부(320)는 창문의 전체 높이 대비 개방하고자 하는 높이(또는 제어 모듈에 의해 창문의 전체 높이 대비 개방된 창문의 높이)를 도 6과 같이 시각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되는 시각화된 정보는, 창문의 전체 높이가 디스플레이부(320)의 전체 영역의 높이로 표시되는 것(610)과 개방된 창문의 높이가 표시되는 것(6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전장 장치가 제어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부(320)에 의해 시각화되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정보를 직관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가 제어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형상화 및 기호화하며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부(320)는 도 7과 같이 복수의 발광 소자들(710)로 구성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가 제어되는 정보를 복수의 발광 소자들(710)을 통해 형상화 및 기호화하며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20)는 터치 수신부(310)에서 수신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가 제어되는 정보뿐만 아니라, 자동차(100)의 차량 정보, 주행 정보, 운전자 상태 정보 및 환경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자동차(100)의 차량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입력과 무관하게 자동으로 출력 가능한 차량 자체에 대한 정보(예컨대, 자동차(100)의 타이어 공기압에 대한 정보, 자동차(100)의 실내 온도에 대한 정보, 자동차(100)의 주유 알람 등)를 의미하며, 주행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입력과 무관하게 자동으로 출력 가능한 자동차(100)가 주행함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예컨대, 속도 정보, 단속구간 고속 주행에 대한 알람, 장시간 주행 시 운전자에게 휴식을 권유하는 알람, 차선 이탈 알람, 차선 변경에 따른 알람 등)를 의미하고, 운전자 상태 정보는 자동차(100)에 포함되는 각종 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운전자의 상태(예컨대, 운전자가 졸음 상태인지 등)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환경 정보는 자동차(100)의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예컨대, 자동차(100)에 인접한 다른 자동차의 위치에 대한 정보, 자동차(100)가 주행하는 차선에 대한 정보, 자동차(100)가 위치한 지역의 바람, 날씨, 미세먼지 등에 대한 정보 등)를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부(320)는 터치 수신부(310)로부터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를 선택하는 터치 입력을 전달 받고, 이에 응답하여 선택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320)는 도 7과 같이 자동차(100)의 실내 온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다른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320)는 도 8과 같이 다른 자동차가 사용자가 운전 중인 자동차(100)에 근접했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색상으로 표시되는 메시지)(810)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20)는 자동차(100)의 내부 조명 장치로 사용되도록 단순 발광할 수도 있으며, 자동차(100)에 운전자가 탑승하거나 시동을 켜면, 감성적인 이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자동차의 A 필러의 내부 면에 구비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가 제어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가 제어되는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의 제어 정도 그대로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의 제어 정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되는 정도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길이, 넓이, 시간, 강도 또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터치 영역 상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의 제어 정도는,
    상기 자동차의 공조 장치의 제어 정도, 상기 자동차의 냉난방 장치의 제어 정도, 상기 자동차의 조명 장치의 제어 정도 또는 상기 자동차의 미디어 장치의 제어 정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 수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가 제어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가 제어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발광 소자들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가 제어되는 정보를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들을 통해 형상화 및 기호화하며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자동차의 차량 정보, 주행 정보, 운전자 상태 정보 및 환경 정보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자동차의 내부 조명 장치로 사용되도록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11. 자동차의 A 필러의 내부 면에 구비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가 제어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가 제어되는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의 제어 정도 그대로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의 제어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되는 정도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길이, 넓이, 시간, 강도 또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터치 영역 상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12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장 장치의 제어 정도는,
    상기 자동차의 공조 장치의 제어 정도, 상기 자동차의 냉난방 장치의 제어 정도, 상기 자동차의 조명 장치의 제어 정도 또는 상기 자동차의 미디어 장치의 제어 정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00011518A 2020-01-31 2020-01-31 자동차의 a 필러에 구비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72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518A KR102372963B1 (ko) 2020-01-31 2020-01-31 자동차의 a 필러에 구비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518A KR102372963B1 (ko) 2020-01-31 2020-01-31 자동차의 a 필러에 구비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923A true KR20210097923A (ko) 2021-08-10
KR102372963B1 KR102372963B1 (ko) 2022-03-11

Family

ID=77316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518A KR102372963B1 (ko) 2020-01-31 2020-01-31 자동차의 a 필러에 구비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9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9423A (ko) 2022-08-03 2024-02-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필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1237A (ja) * 2004-06-29 2006-01-12 Denso Corp 車両用表示システム
KR20150059495A (ko) * 2013-11-22 2015-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핸들에 부착되는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101745189B1 (ko) * 2015-12-03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경고 알림 장치
KR101767507B1 (ko) * 2016-02-17 2017-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1237A (ja) * 2004-06-29 2006-01-12 Denso Corp 車両用表示システム
KR20150059495A (ko) * 2013-11-22 2015-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핸들에 부착되는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101745189B1 (ko) * 2015-12-03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경고 알림 장치
KR101767507B1 (ko) * 2016-02-17 2017-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963B1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05116B (zh) 车辆状态监测系统和车辆
JP5081962B2 (ja) 車両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用の適応型ソフトボタン
JP6555599B2 (ja) 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872451B2 (ja) 車両用入力装置
JP6255002B2 (ja) 車両用標識表示装置及び方法
CN107117114A (zh) 车内附加模块到驾驶员用户界面的集成
KR20170109275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1021103B2 (en) Method for enriching a field of view of a driver of a transportation vehicle with additional information, device for use in an observer transportation vehicle, device for use in an object, and transportation vehicle
JP2007106353A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及び車両用情報表示システム
US20160101725A1 (en) System for adjusting brightness of vehicle lighting, vehicle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321043B (zh) 适配车辆控制系统的操作的方法和在该方法中使用的设备
KR101813529B1 (ko) 차량,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및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US10983691B2 (en) Terminal, vehicle having th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CN108698515B (zh) 装置、交通工具和用于在操作接触敏感的显示装置时辅助用户的方法
KR20160031742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과 네비게이션
KR102372963B1 (ko) 자동차의 a 필러에 구비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21509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7831825B (zh) 用于安装到参与车辆上并在其间转移用户配置文件的柔性模块化屏幕装置
KR101614731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441509B1 (ko) 단말기, 차량 및 단말기 제어방법
US20200254879A1 (en) Display apparatus
EP3828017A1 (en) In-vehicle climate control device
KR20220010655A (ko) 주행모드 및 사용자 제어모션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동적 칵핏 제어 시스템
CN112000263B (zh) 车载人机交互装置
KR20160023268A (ko)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