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509B1 - 단말기, 차량 및 단말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차량 및 단말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509B1
KR102441509B1 KR1020170172753A KR20170172753A KR102441509B1 KR 102441509 B1 KR102441509 B1 KR 102441509B1 KR 1020170172753 A KR1020170172753 A KR 1020170172753A KR 20170172753 A KR20170172753 A KR 20170172753A KR 102441509 B1 KR102441509 B1 KR 102441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
input
vehicle
interaction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1876A (ko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2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509B1/ko
Priority to US16/179,737 priority patent/US10618407B2/en
Publication of KR20190071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8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6Instrument input by gesture
    • B60K2360/1468Touch gesture
    • B60K2360/1472Multi-touch ges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Abstract

단말기, 차량 및 단말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운전 경로 화면을 확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차량의 주행 경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부에 마련되어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제 1탭을 감지한 후, 제 1탭이 유지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을 감지하면, 제 1탭과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의 입력 방향에 기초하여 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고, 인식된 탭-탭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확대하여 화면 확대 전에는 보이지 않던 차량의 주행 경로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기, 차량 및 단말기 제어방법{TERMINAL APPARATUS,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APPARATUS }
단말기, 차량 및 단말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운전 경로 화면을 확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도로나 선로를 주행하면서 사람이나 물건을 목적지까지 운반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차량은 주로 차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차륜을 이용하여 여러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으로는 삼륜 또는 사륜 자동차나, 모터사이클 등의 이륜 자동차나, 건설 기계, 자전거 및 선로 상에 배치된 레일 위에서 주행하는 열차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내비게이션 기능, 전화 기능, 오디오 기능, 라디오 기능, 방송 기능, 문자 메시지 서비스 기능, 인터넷 기능 등을 수행하고, 최근 차량은 보다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들을 포함하고 단말기는 이러한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도 함께 갖고 있다.
터치 인터랙션(touch interaction)은 모바일 기기 외 차량 내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 등과 같은 차량 단말기에도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 단말기의 하드웨어 성능이 향상되고, 차량 단말기가 이전 대비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하게 됨에 따라 그 기능들을 좀더 쉽고 직관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새로운 입력 방법이 요구된다.
또한, 터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의 내용 또는 크기를 조절하여, 운전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운전자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운전 경로 화면을 확대함으로써, 운전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차량의 주행 경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마련되어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 및 상기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제 1탭을 감지한 후, 상기 제 1탭이 유지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을 감지하면, 상기 제 1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의 입력 방향에 기초하여 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탭-탭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확대하여 상기 화면 확대 전에는 보이지 않던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상기 터치 지점을 좌표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좌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탭이 입력된 지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이 입력된 지점의 좌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탭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탭이 입력된 지점으로부터 제 1방향의 일 지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의 입력이 감지되면, 제 1탭-탭 인터랙션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탭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탭이 입력된 지점으로부터 제 2방향의 일 지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의 입력이 감지되면, 제 2탭-탭 인터랙션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탭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탭이 입력된 지점으로부터 제 3방향의 일 지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의 입력이 감지되면, 제 3탭-탭 인터랙션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탭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탭이 입력된 지점으로부터 제 4방향의 일 지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의 입력이 감지되면, 제 4탭-탭 인터랙션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상기 제 1방향으로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상기 제 2방향으로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상기 제 3방향으로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4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상기 제 4방향으로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차량의 주행 경로를 표시하고,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제 1탭을 감지하고, 상기 제 1탭이 유지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을 감지하고, 상기 제 1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의 입력 방향에 기초하여 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탭-탭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확대하여 상기 화면 확대 전에는 보이지 않던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는 것은, 상기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상기 터치 지점을 좌표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좌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탭의 입력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 1탭이 입력된 지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이 입력된 지점의 좌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는 것은, 상기 제 1탭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탭이 입력된 지점으로부터 제 1방향의 일 지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의 입력이 감지되면, 제 1탭-탭 인터랙션으로 인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는 것은, 상기 제 1탭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탭이 입력된 지점으로부터 제 2방향의 일 지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의 입력이 감지되면, 제 2탭-탭 인터랙션으로 인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는 것은, 상기 제 1탭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탭이 입력된 지점으로부터 제 3방향의 일 지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의 입력이 감지되면, 제 3탭-탭 인터랙션으로 인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는 것은, 상기 제 1탭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탭이 입력된 지점으로부터 제 4방향의 일 지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의 입력이 감지되면, 제 4탭-탭 인터랙션으로 인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확대하는 것은, 상기 제 1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상기 제 1방향으로 확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확대하는 것은, 상기 제 2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상기 제 2방향으로 확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확대하는 것은, 상기 제 3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상기 제 3방향으로 확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확대하는 것은, 상기 제 4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상기 제 4방향으로 확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차량의 주행 경로를 표시하는 단말기,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장치 및 상기 터치 입력장치에 입력되는 제 1탭을 감지한 후, 상기 제 1탭이 유지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을 감지하면, 상기 제 1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의 입력 방향에 기초하여 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탭-탭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확대하여 상기 화면 확대 전에는 보이지 않던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차량의 주행 경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마련되어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 및 상기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제 1탭을 감지한 후, 상기 제 1탭이 유지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을 감지하고, 상기 제 1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이 유지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탭을 감지하면, 상기 제 1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의 입력 방향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탭의 입력 방향에 기초하여 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탭-탭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확대하여 상기 화면 확대 전에는 보이지 않던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운전자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운전 경로 화면을 확대함으로써, 차량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화면 확대 전에는 확인할 수 없었던 주행 경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도1에 도시된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에 표시된 동작 정보를 표시한 것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랙션 및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확대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도1에 도시된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다.
차량(1)은 사람 또는 화물을 운송할 목적으로 차륜을 구동시켜 주행하는 기기로, 도로 위를 이동한다. 차량(1)은 내장과 외장을 갖는 차체(Body)와,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주행에 필요한 기계 장치가 설치되는 차대(Chassis)를 포함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외장(110)은 프론트 패널(111), 본네트(112), 루프 패널(113), 리어 패널(114), 트렁크(115), 전후좌우의 도어(116)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차체의 외장은 프론트 패널, 본네트, 루프 패널, 리어 패널, 트렁크, 전후좌우 도어(116), 전후좌우 도어(116)에 마련된 윈도우 글래스(117), 전후좌우 윈도우 글래스(117) 사이의 경계에 마련된 필러(118)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전후좌우의 도어에 설치된 윈도우 글래스는, 사이드 윈도우 글래스와, 필러와 필러 사이에 설치되되 개폐 불가능하게 설치된 쿼터 윈도우 글래스와, 후방 측에 설치된 리어 윈도우 글래스와, 전방 측에 설치된 프런트 윈도우 글래스를 더 포함한다.
차체의 외장은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19) 등을 더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내장(120)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121: 121a, 121b)와, 대시 보드(122)와, 대시 보드 상에 배치되고 타코미터, 속도계, 냉각수 온도계, 연료계, 방향전환 지시등, 상향등 표시등, 경고등, 안전벨트 경고등, 주행 거리계, 주행 기록계, 자동변속 선택레버 표시등, 도어 열림 경고등, 엔진 오일 경고등, 연료부족 경고등이 배치된 계기판(즉 클러스터, 123)과, 차량 방향을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124)과, 대시 보드(122)에서 시트(121)의 사이 영역까지 연장된 센터 페시아(125)를 포함한다.
시트(121)는 운전자가 앉는 운전석(121a), 동승자가 앉는 조수석(121b), 차량 내 후방에 위치하는 뒷좌석을 포함한다. 이러한 시트(121)에는 열을 공급하는 열선이 마련될 수 있다.
클러스터(123)는 디지털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방식의 클러스터는 차량 정보 및 주행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센터 페시아(125)는 대시 보드(122) 중에서 운전석(121a)과 조수석(121b) 사이에 위치하는 헤드 유닛(126)을 포함한다.
즉 헤드 유닛(126)은 오디오 기능, 라디오 기능, 공기 조화 기능 및 시트의 열선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디엠비 기능, 전화 기능을 수행하는 각종 부하와 연결되어 있고, 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각 기능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해당 부하로 동작 명령을 전송한다.
센터 페시아(125)에는 송풍구, 시거잭 등이 설치될 수 있고 멀티단자(127)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멀티단자(127)는 헤드 유닛(126)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USB 포트, AUX단자를 포함하고, SD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은 차량에서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28)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수행 중인 기능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8)는 헤드 유닛(126)에 마련될 수 있고, 각종 기능의 동작 온 오프 버튼, 각종 기능의 설정값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버튼을 포함한다.
입력부(128)는 센터페시아(125)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부(128)는 단말기(130)의 표시부에 표시된 커서의 이동 명령 및 선택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조그 다이얼(미도시) 또는 터치 패드로 마련될 수 있다.
표시부(129)는 LCD, OLED, PDP 등과 같은 평판 표시 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센터 페시아(125)에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결과를 출력하는 단말기(1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130)에 기초하여, 차량(1) 탑승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차량에 장착된 전기기기들(Audio/Vedio/Navigation/Telematics)을 통합한 AVNT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다.
단말기(130)는 입력부와 표시부를 포함하고, 내비게이션 기능, 디엠비 기능,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전화 기능, 라디오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선택되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고 수행 중인 기능의 동작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130)의 입력부는 단말기(130)의 표시부에 일체로 마련된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130)의 입력부는 단말기의 표시부에 버튼 형상으로 활성화되어 표시될 수 있고 이때 표시된 버튼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다.
단말기(130)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기(130)의 입력부와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는 대시 보드 상에 거치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단말기(130)는 차량과 통신하는 사용자용 단말기일 수 있다.
즉 사용자용 단말기는 태블릿 PC, 휴대폰, 스마트 폰, 노트북 또는 PDA 등일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에 표시된 동작 정보를 표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30)는 차량(1)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13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음악 재생 화면, 공조기 제어 화면, 시계 등이 표시될 수 있고, 차량(1)의 주행 경로를 표시하는 네비게이션 안내 화면(M)이 표시될 수도 있다(300).
도 3에 도시된 차량(1)의 주행 경로 화면의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한정된 영역 내에 주행 경로가 표시되므로, 차량(1)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목적지 까지의 주행 경로(M)를 모두 보여주지 못한다. 따라서, 차량(1) 운전자는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주행 경로(M)만 확인할 수 있으므로 현재 표시된 주행 경로(M) 이후에 차량(1)이 주행하게 될 경로에 대해서는 미리 확인하거나 경로를 파악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30)에 의하면, 사용자가 단말기(130)의 터치 패널을 터치함으로써 입력된 터치입력에 기초하여 차량(1)의 주행 경로 화면을 확대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원하는 경우 현재 주행 경로 이후의 주행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차량의 차대는 동력 발생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주행 장치, 조향 장치, 제동 장치, 현가 장치, 변속 장치, 연료 장치, 전후좌우 차륜 등을 더 포함한다.
차량(1)은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여러 가지 안전장치들을 더 포함한다. 차량의 안전 장치로는 차량 충돌 시 운전자 등 탑승자의 안전을 목적으로 하는 에어백 제어 장치와, 차량의 가속 또는 코너링 시 차량의 자세를 차량자세 안정 제어 장치(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등 여러 종류의 안전장치들이 있다.
이외에도 차량(1)은 후방 또는 측방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차량(1)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설치된 핸즈프리 장치, 오디오 장치 및 블루투스 장치, 후방 카메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하이패스 장치 등의 전자 장치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1)은 시동모터(미도시)에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시동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량(1)은 시동 버튼이 온 되면 시동모터(미도시)를 동작시키고 시동 모터의 동작을 통해 동력 발생장치인 엔진(미도시)을 구동시킨다.
차량(1)은 동력 발생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주행 장치, 조향 장치, 제동 장치, 현가 장치, 변속 장치, 연료 장치, 여러 가지 안전 장치 및 각종 센서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을 포함하고, 전자 제어 유닛의 명령에 기초하여 각종 장치를 동작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랙션 및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확대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30)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30)는 입력부(131), 제어부(133), 디스플레이부(135), 저장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1)는 전원 온오프 명령을 입력받고,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선택받으며, 원격 서비스 모드를 선택받을 수 있고, 원격 서비스 모드의 지연 명령을 선택받을 수도 있다. 입력부(131)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135)는 터치 패널(136)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입력은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숏탭(short tap), 더블 탭(double tap), 롱 탭(long tap), 핀치 인(pinch in), 핀치 아웃(pinch out) 및 탭-탭(tap-tap) 등으로 구분된다.
구분 동작(action)
숏탭(short tap) 터치패널 상의 일 지점에 일정 시간(예: 1초) 이내로 한 번 터치
더블 탭(double tap) 터치패널 상의 일 지점에 일정 시간 동안 연속 두 번 터치
롱 탭(long tap) 터치패널 상의 일 지점에 일정 시간 이상 터치 유지
핀치 인(pinch in) 터치패널 상의 일 지점에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내 다른 지점에 터치가 입력되어 두 터치 지점이 서로 멀어짐
핀치 아웃(pinch out) 터치패널 상의 일 지점에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내 다른 지점에 터치가 입력되어 두 터치 지점이 서로 가까워짐
탭-탭(tap-tap) 터치패널 상의 일 지점에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내 다른 지점에 터치가 입력됨
터치 패널(136)은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로, 터치 필름, 터치 시트 또는 터치 패드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136)은 디스플레이부(135)와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TS)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TS)은 출력 장치 및 입력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터치 패널(136)은 터치 패널(136) 상의 일 지점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터치 패널(136)은 터치 지점의 위치(좌표)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33)는 터치 패널(136)에 입력되는 터치 지점을 좌표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좌표 데이터에 기초하여 터치 패널(136)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33)는 터치 패널(136)을 통해 제 1탭(tap)(터치 입력)을 감지(305)한 후 제 2탭이 감지되면, 제 1탭 감지 후 미리 정해진 시간(예: 800ms) 이내에 제 2탭이 감지되었는지를 확인한다(310). 즉, 제어부(133)는 터치 패널(136)의 표면 상의 제 1지점에 제 1탭이 입력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 터치 패널(136)의 표면 상의 제 2지점에 제 2탭이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탭은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로 디스플레이부(135)의 화면 상의 일 지점을 터치한 상태를 말한다.
제어부(133)는 제 1탭 감지 후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제 2탭이 감지된 경우, 제 1탭이 유지된 상태에서 제 2탭이 감지되었는지를 확인한다(315). 다시 말해서, 제어부(133)는 제 1지점에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 1지점과 제 2지점에 새로운 터치가 발생한 것인지를 확인한다. 이때, 제어부(133)는 제 1지점과 제 2지점이 서로 다른 지점인지를 확인한다.
제어부(133)는 제 1탭이 유지된 상태에서 제 2탭이 감지된 경우, 제 1탭이 입력된 지점(제1탭 지점)과 제 2탭이 입력된 지점(제2탭 지점) 간의 거리 변화가 있는지를 확인한다(320). 제어부(133)는 거리 변화가 없으면, 제 1탭과 제 2탭의 입력 방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33)는 제 1탭이 입력된 지점으로부터 제 2탭이 입력되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325). 구체적으로, 제어부(133)는 제 1탭이 입력된 지점과 제 2탭이 입력된 지점의 좌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3)는 제 1탭이 입력된 지점(제 1지점)을 기준으로 제 2탭이 입력된 지점(제 2탭 지점)의 방향을 확인하여 방향성이 부가된 탭-탭 인터랙션을 식별할 수 있다(330).
탭-탭 인터랙션은 제 1탭과 제 2탭의 입력 방향에 따라 도 6, 도 8, 도 12,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제 1탭-탭 인터랙션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탭(T1)의 입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 1탭이 입력된 지점으로부터 우측(제 1방향)의 일 지점에 제 2탭(T2)을 입력하는 좌우 탭-탭(LR tap-tap)이다.
제 2탭-탭 인터랙션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탭(T1)의 입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 1탭(T1)이 입력된 지점으로부터 좌측(제 2방향)의 일 지점에 제 2탭(T2)을 입력하는 우좌 탭-탭(RL tap-tap)이다.
제3탭-탭 인터랙션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탭(T1)의 입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 1탭(T1)이 입력된 지점으로부터 하측(제 3방향)의 일 지점에 제 2탭(T2)을 입력하는 상하 탭-탭(UD tap-tap)이다.
제 4탭-탭 인터랙션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탭(T1)의 입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 1탭(T1)이 입력된 지점으로부터 상측(제 4방향)의 일 지점에 제 4탭을 입력하는 하상 탭-탭(DU tap-tap)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탭(T1)을 기준으로 제 2탭(T2)이 입력되는 방향에 근거하여 4개의 입력 방향으로 구분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5개 이상의 입력 방향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제어부(133)는 제 1탭 지점(T1)과 제 2탭(T2) 지점의 좌표 데이터를 이용한 연산 처리를 통해 입력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탭 지점의 좌표 데이터가 (x1, y1)이고, 제 2탭의 좌표 데이터가 (x2, y2)인 경우, 제어부(133)는 |x2-x1|>|y2-y1|이면 x2-x1>0인지를 확인한다. 제어부(133)는 x2-x1>0이면 좌우 탭-탭이고, x2-x1≤0이면 우좌 탭-탭으로 결정한다.
한편, 제어부(133)는 |x2-x1|≤|y2-y1|이면, y2-y1>0인지를 확인한다. 제어부(133)는 y2-y1>0이면, 상하 탭-탭, y2-y1≤0이면, 하상 탭-탭으로 결정한다.
제어부(133)는 제 1탭이 감지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제 2탭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 1탭이 일정 시간(예: 800ms) 이상 지속되었는지를 확인한다(340). 제어부(133)는 제 1탭이 일정 시간 시간 이상 지속되면 롱 탭에 대응하는(정의된) 기능을 수행한다(345). 제어부(133)는 제 1탭이 일정 시간 미만으로 지속되면 숏탭(short tap)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350).
제어부(133)는 제 1탭이 유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제 2탭이 감지된 경우, 더블 탭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355). 이때, 제 1탭이 입력된 지점과 제 2탭이 입력된 지점은 동일하거나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이다.
제어부(133)는 제 1탭 지점과 제 2탭 지점 간의 거리 변화가 있으면, 핀치 인 또는 핀치 아웃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한다(360). 제어부(133)는 제 1탭 지점과 제 2탭 지점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핀치 아웃으로 인식하고, 제 1탭 지점과 제 2탭 지점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핀치 인으로 인식한다.
도 6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제어부(133)는 인식한 탭-탭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35)에 표시되는 차량(1)의 주행 경로 화면을 미리 정해진 방향(제 2탭이 입력되는 방향)으로 확대할 수 있다(335).
제어부(13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5)에 표시되는 차량(1)의 주행 경로(M) 화면을 제 1방향으로 확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차량(1)의 주행 경로(M) 화면을 제 1방향으로 확대함으로써 도 3의 주행 경로(M) 화면에서는 보이지 않았던 주행 경로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운전자는 확대된 주행 경로(M) 화면에 기초하여 현재 차량(1)이 위치한 지점의 주행 경로 이후에 차량(1)이 주행하게 될 경로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3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5)에 표시되는 차량(1)의 주행 경로(M) 화면을 제 2방향으로 확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차량(1)의 주행 경로(M) 화면을 제 2방향으로 확대함으로써 도 3의 주행 경로(M) 화면에서는 보이지 않았던 주행 경로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운전자는 확대된 주행 경로(M) 화면에 기초하여 현재 차량(1)이 위치한 지점의 주행 경로 이후에 차량(1)이 주행하게 될 경로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1탭-탭 인터랙션에서 제 2탭 (T2)이 입력된 지점으로부터 우측(제 1방향)의 일 지점에 제 3탭(T3)이 추가로 더 입력될 수도 있다.
제어부(133)는 터치 패널(136)에 입력되는 제 1탭(T1)을 감지한 후, 제 1탭(T1)이 유지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탭(T2)을 감지하고, 제 1탭(T1)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탭(T2)이 유지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탭(T3)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33)는 제 3탭(T3)을 감지하면, 제 1탭(T1)과 적어도 하나의 제 2탭(T2)의 입력 방향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탭(T2)과 적어도 하나의 제 3탭(T3)의 입력 방향에 기초하여 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고, 인식된 탭-탭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35)에 표시되는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확대할 수 있다.
제어부(133)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탭(T2)이 유지된 상태에서 제 3탭(T3)을 인식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5)에 표시되는 차량(1)의 주행 경로(M) 화면을 제 1방향으로 확대할 수 있다.
즉, 도 6 및 도 7에서 전술한 제 1탭-탭 인터랙션에 대해 추가적으로 입력된 제 3탭(T3)에 기초하여 제어부(133)는 도 6에서 확대된 차량(1)의 주행 경로(M) 화면을 제 1방향으로 추가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
운전자는 추가적으로 확대된 주행 경로(M) 화면에 기초하여 현재 차량(1)이 위치한 지점의 주행 경로 이후에 차량(1)이 주행하게 될 경로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제 3탭(T3)이 제 2탭(T2)을 기준으로 제 1방향에 입력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도 6, 도 8, 도 12, 도 14에서 설명한 제 1탭-탭 인터랙션 내지 제 4탭-탭 인터랙션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5개 이상의 입력 방향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제어부(133)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5)에 표시되는 차량(1)의 주행 경로(M) 화면을 제 3방향으로 확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차량(1)의 주행 경로(M) 화면을 제 3방향으로 확대함으로써 도 3의 주행 경로(M) 화면에서는 보이지 않았던 주행 경로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운전자는 확대된 주행 경로(M) 화면에 기초하여 현재 차량(1)이 위치한 지점의 주행 경로 이후에 차량(1)이 주행하게 될 경로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33)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5)에 표시되는 차량(1)의 주행 경로(M) 화면을 제 4방향으로 확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차량(1)의 주행 경로(M) 화면을 제 4방향으로 확대함으로써 도 3의 주행 경로(M) 화면에서는 보이지 않았던 주행 경로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운전자는 확대된 주행 경로(M) 화면에 기초하여 현재 차량(1)이 위치한 지점의 주행 경로 이후에 차량(1)이 주행하게 될 경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어부(133)는 터치 패널(136)에 입력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지 않아도, 디스플레이부(135)에 표시되는 차량(1)의 주행 경로 화면을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확대할 수 있다.
즉, 차량(1) 주행 중에 제어부(133)는 주행 경로상의 각종 교통 정보 및 도로 정보(교통 사고, 교통 정체, 도로 공사, 주행 경로 상의 변수, 미리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등)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33)는 획득한 교통 정보 및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의 주행 경로 화면을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확대함으로써 획득한 교통 정보 및 도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고, 차량(1)의 주행 경로 화면을 확대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차량(1)의 주행 경로를 표시하는 단말기(130),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장치(231), 터치 입력장치(231)를 통해 입력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단말기(130)에 표시되는 주행 경로 화면을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확대하는 제어부(233), 차량(1)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37)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장치(231)는 대시보드(50) 상에 마련되거나, 중앙 조작계(CCP, Central Control Panel) 형태로 마련되어 운전자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입력장치(231)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안에서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장치(200)는 터치의 감지가 가능한 면상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원형 또는 타원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터치 입력장치(231)에 마련된 터치부(미도시)는 운전자가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의 포인터로 접촉하거나 근접하는 경우 신호가 생성되는 터치패드일 수 있다. 탑승자는 터치부에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여 원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터치패드는 그 명칭에 불구하고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터치필름 또는 터치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드는 스크린에 터치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인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한 상태에서 포인터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하고,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접촉하는 경우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한다. 이 때,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는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근접할 때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터치패드는 저항막 방식, 광학 방식, 정전용량 방식, 초음파 방식, 또는 압력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터치패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5에서는 사용자가 단말기(13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135)를 터치하여 터치 입력을 하면 제어부(133)는 디스플레이부(135)에 입력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35)에 표시되는 차량(1)의 주행 경로 화면을 확대하였다. 도 16에서는 사용자가 터치 입력장치(231)를 통해 터치 입력을 하면 제어부(233)는 터치 입력장치(231)에 입력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단말기(130)에 표시되는 차량(1)의 주행 경로 화면을 확대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3)는 터치 입력장치(231)에 입력되는 제 1탭을 감지한 후, 제 1탭이 유지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33)는 제 1탭과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의 입력 방향에 기초하여 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고, 인식된 탭-탭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단말기(130)에 표시되는 차량(1)의 주행 경로 화면을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확대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의 제어 블록도에 기초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도 3 내지 도 15에서 설명한 단말기(130) 및 그 제어방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 차량
130 : 단말기
133, 233 : 제어부
135 : 디스플레이부
136 : 터치 패널
137, 237 : 저장부
231 : 터치 입력장치

Claims (24)

  1. 차량의 주행 경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마련되어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 및
    상기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제 1탭을 감지한 후, 상기 제 1탭이 유지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을 감지하면, 상기 제 1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의 입력 방향에 기초하여 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탭-탭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축척을 유지한 채로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확대하여 상기 화면 확대 전에는 보이지 않던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터치 지점을 좌표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좌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는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탭이 입력된 지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이 입력된 지점의 좌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방향을 결정하는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탭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탭이 입력된 지점으로부터 제 1방향의 일 지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의 입력이 감지되면, 제 1탭-탭 인터랙션으로 인식하는 단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탭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탭이 입력된 지점으로부터 제 2방향의 일 지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의 입력이 감지되면, 제 2탭-탭 인터랙션으로 인식하는 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탭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탭이 입력된 지점으로부터 제 3방향의 일 지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의 입력이 감지되면, 제 3탭-탭 인터랙션으로 인식하는 단말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탭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탭이 입력된 지점으로부터 제 4방향의 일 지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의 입력이 감지되면, 제 4탭-탭 인터랙션으로 인식하는 단말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상기 제 1방향으로 확대하는 단말기.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상기 제 2방향으로 확대하는 단말기.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상기 제 3방향으로 확대하는 단말기.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4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상기 제 4방향으로 확대하는 단말기.
  12. 디스플레이부에 차량의 주행 경로를 표시하고;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제 1탭을 감지하고;
    상기 제 1탭이 유지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을 감지하고;
    상기 제 1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의 입력 방향에 기초하여 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탭-탭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축척을 유지한 채로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확대하여 상기 화면 확대 전에는 보이지 않던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를 표시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는 것은,
    상기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터치 지점을 좌표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좌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탭의 입력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 1탭이 입력된 지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이 입력된 지점의 좌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방향을 결정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는 것은,
    상기 제 1탭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탭이 입력된 지점으로부터 제 1방향의 일 지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의 입력이 감지되면, 제 1탭-탭 인터랙션으로 인식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는 것은,
    상기 제 1탭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탭이 입력된 지점으로부터 제 2방향의 일 지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의 입력이 감지되면, 제 2탭-탭 인터랙션으로 인식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는 것은,
    상기 제 1탭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탭이 입력된 지점으로부터 제 3방향의 일 지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의 입력이 감지되면, 제 3탭-탭 인터랙션으로 인식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는 것은,
    상기 제 1탭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탭이 입력된 지점으로부터 제 4방향의 일 지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의 입력이 감지되면, 제 4탭-탭 인터랙션으로 인식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확대하는 것은,
    상기 제 1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상기 제 1방향으로 확대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확대하는 것은,
    상기 제 2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상기 제 2방향으로 확대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확대하는 것은,
    상기 제 3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상기 제 3방향으로 확대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확대하는 것은,
    상기 제 4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상기 제 4방향으로 확대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23. 차량의 주행 경로를 표시하는 단말기;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장치; 및
    상기 터치 입력장치에 입력되는 제 1탭을 감지한 후, 상기 제 1탭이 유지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을 감지하면, 상기 제 1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의 입력 방향에 기초하여 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탭-탭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축척을 유지한 채로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확대하여 상기 화면 확대 전에는 보이지 않던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24. 차량의 주행 경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마련되어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 및
    상기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제 1탭을 감지한 후, 상기 제 1탭이 유지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을 감지하고, 상기 제 1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이 유지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탭을 감지하면, 상기 제 1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의 입력 방향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탭의 입력 방향에 기초하여 탭-탭 인터랙션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탭-탭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화면을 축척을 유지한 채로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확대하여 상기 화면 확대 전에는 보이지 않던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KR1020170172753A 2017-12-15 2017-12-15 단말기, 차량 및 단말기 제어방법 KR102441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753A KR102441509B1 (ko) 2017-12-15 2017-12-15 단말기, 차량 및 단말기 제어방법
US16/179,737 US10618407B2 (en) 2017-12-15 2018-11-02 Terminal apparatus,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terminal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753A KR102441509B1 (ko) 2017-12-15 2017-12-15 단말기, 차량 및 단말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876A KR20190071876A (ko) 2019-06-25
KR102441509B1 true KR102441509B1 (ko) 2022-09-07

Family

ID=66815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753A KR102441509B1 (ko) 2017-12-15 2017-12-15 단말기, 차량 및 단말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618407B2 (ko)
KR (1) KR1024415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95291B2 (ja) * 2018-01-30 2022-07-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9638A (ja) 2006-04-12 2007-10-25 Xanavi Informatics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337B1 (ko) * 2005-10-18 200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지도화면 터치영역 확대 표시 방법
KR101552718B1 (ko) * 2008-07-18 2015-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경로 안내 장치 및 이의 실행명령 입력방법
US20110224896A1 (en) * 2010-03-09 2011-09-1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uch based routing services
KR101651135B1 (ko) * 2010-07-12 2016-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139937B2 (en) * 2012-10-12 2018-11-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modal user expressions and user intensity as interactions with an application
KR102064965B1 (ko) * 2013-01-04 2020-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더블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그 단말기
BR112015030772B1 (pt) * 2013-06-12 2022-10-11 Honda Motor Co., Ltd. Terminal de informações e método para controlar aplicativos
US8938359B1 (en) * 2013-07-01 2015-01-20 The Boeing Company Handle bar route extension
US9358887B2 (en) * 2013-12-09 2016-06-07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User interface
KR20150111770A (ko) * 2014-03-26 2015-10-06 (주)피엑스디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32451A (ko) 2014-09-16 2016-03-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차량용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304305B1 (ko) * 2015-01-21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003938B2 (en) * 2015-08-14 2018-06-19 Apple Inc. Easy location sharing
KR102452771B1 (ko) * 2015-11-18 2022-10-1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희망 지점 설정 방법 및 이동체의 주행 경로 설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9638A (ja) 2006-04-12 2007-10-25 Xanavi Informatics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876A (ko) 2019-06-25
US20190184825A1 (en) 2019-06-20
US10618407B2 (en) 202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1590B2 (en) Gesture-based information and command entry for motor vehicle
CN105807904B (zh) 用于车辆的人机接口设备及其控制方法
KR101700714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649587B2 (en) Terminal, for gesture recognition and operation command determination,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75648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GB2423808A (en) Gesture controlled system for controlling vehicle accessories
US10983691B2 (en) Terminal, vehicle having th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KR20160036242A (ko) 제스처 인식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2007237919A (ja) 車両用入力操作装置
US10661791B2 (en)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08195142A (ja) 車載機器の操作支援装置、操作支援方法
KR102441509B1 (ko) 단말기, 차량 및 단말기 제어방법
JP2018501998A (ja) 自動車の機器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5132905A (ja) 電子システム、検出範囲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665552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372963B1 (ko) 자동차의 a 필러에 구비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10655A (ko) 주행모드 및 사용자 제어모션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동적 칵핏 제어 시스템
KR101556520B1 (ko) 단말기,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7484756B2 (ja) 表示システム
US11657741B2 (en) Vehicular display control device, vehicular display system, vehicle, display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US10452225B2 (en) Vehicular input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ular input device
US20220404923A1 (en) Transportation Apparatus and Device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of an Operating-Force-Sensitive Input Device of a Transportation Apparatus
CN206664440U (zh) 一种车载内后视镜
KR20230132925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200080354A (ko) 단말기,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