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770A -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770A
KR20150111770A KR1020140035546A KR20140035546A KR20150111770A KR 20150111770 A KR20150111770 A KR 20150111770A KR 1020140035546 A KR1020140035546 A KR 1020140035546A KR 20140035546 A KR20140035546 A KR 20140035546A KR 20150111770 A KR20150111770 A KR 20150111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 information
screen
layer
informa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택
Original Assignee
(주)피엑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엑스디 filed Critical (주)피엑스디
Priority to KR1020140035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1770A/ko
Publication of KR20150111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5Virtual magnifying lens, i.e. window or frame movable on top of displayed information to enlarge it for better reading or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스크린 외부의 객체를 감지하여 일련의 위치정보 및 생성하는 객체 감지 모듈; 및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정보의 단위 시간 당 변화율이 소정의 변화율 이상이면 최종 위치정보를 갱신하는 위치정보 결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스크린의 표면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의 좌표 및 상기 객체와 상기 스크린과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PPARATUS FOR GENERATIONG POSITIONAL INFORMATION OF OBJECT, APPRATUS FOR DISPLAYING INTERACTIVE MUTI LAYERS AND OPERATING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입력 의도를 추정하여 객체의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을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교하게 객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 이에 따라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키오스크는 공공장소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방식의 정보전달 시스템으로서, 정보통신에서는 정보서비스와 업무의 무인자동화를 위하여 대중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장소에 설치한 무인 단말기를 의미한다. 멀티미디어스테이션(multimedia station) 또는 셀프서비스스테이션(self service station)이라고 지칭되기도 한다. 공공시설, 대형서점, 백화점, 전시장 또는 공항이나 철도역 같은 곳에 설치하여 각종 행정절차나 상품정보, 시설물의 이용 방법, 인근지역 관광정보 등을 제공한다. 대부분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손을 화면에 갖다 대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채택하여 단계적으로 쉽게 검색할 수 있다. 이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는 장점 외에도, 정보 제공자 쪽에서 보면 직접 안내하는 사람을 두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인력절감 효과가 크다.
도 1은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키오스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는 터치 스크린 상에 구현되며, 지도 정보 이미지(110)가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고 있다. 표시되는 지도 정보 이미지(110)의 배율(즉, 지도의 축적)을 변경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우측 상단에 위치한 배율 정보 부분(120)을 터치하여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축소 또는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크린 상의 터치에 의한 스크롤(또는 패닝)을 통해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게 직관적이지 못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에 도달하는 경로를 복잡하게 하였다. 예를 들어,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는 특정 지역을 찾거나 출발지, 도착지 등을 지정하기 위해 작은 축적의 지도 정보에서 원하는 지역을 스크린 중앙에 위치시킨 후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확대한 영역이 스크린을 벗어나면 다시 스크롤하여 원하는 지역이 스크린 내에 위치하도록 하는 등의 작업을 반복해야 했다. 또한, 스크린의 크기가 클수록 스크롤을 위한 이동거리가 커지며, 이는 사용자의 조작을 더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다수의 사용자에게 편의 및 만족감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입력 의도를 추정하여 객체의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을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교하게 객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 이에 따라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스크린 외부의 상기 객체를 감지하여, 상기 객체의 일련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스크린의 표면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의 좌표 및 상기 객체와 상기 스크린과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최종 위치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정보의 단위 시간 당 변화율이 소정의 변화율 이상이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제 1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레이어를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 외부의 객체를 감지하여, 상기 객체의 일련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스크린의 표면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의 좌표 및 상기 객체와 상기 스크린과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상기 일련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최종 위치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최종 위치정보 내의 상기 객체와 상기 스크린과의 거리에 의해 결정되는 배율에 따라 상기 제 1 이미지 정보를 확대 또는 축소한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2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최종 위치정보 내의 상기 객체의 좌표를 중심으로 소정의 영역을 갖는 제 2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레이어가 상기 제 1 레이어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 레이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정보의 단위 시간 당 변화율이 소정의 변화율 이상이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장치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스크린 외부의 객체를 감지하여 일련의 위치정보 및 생성하는 객체 감지 모듈; 및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정보의 단위 시간 당 변화율이 소정의 변화율 이상이면 최종 위치정보를 갱신하는 위치정보 결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스크린의 표면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의 좌표 및 상기 객체와 상기 스크린과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장치는, 제 1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레이어를 생성하는 이미지 제어 모듈; 상기 제 1 레이어를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스크린 외부의 객체를 감지하고 상기 객체의 일련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객체 감지 모듈; 및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정보의 단위 시간 당 변화율이 소정의 변화율 이상이면 최종 위치정보를 갱신하는 위치정보 결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스크린의 표면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의 좌표 및 상기 객체와 상기 스크린과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제어 모듈은 상기 최종 위치정보 내의 상기 객체와 상기 스크린과의 거리에 의해 결정되는 배율에 따라 상기 제 1 이미지 정보를 확대 또는 축소한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2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최종 위치정보 내의 상기 객체의 좌표를 중심으로 소정의 영역을 갖는 제 2 레이어를 생성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 2 레이어가 상기 제 1 레이어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 레이어를 상기 스크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객체를 감지하여, 객체의 최종 위치정보를 갱신할 때, 사용자의 입력 의도를 추정하여 객체의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을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교하고 정확한 사용자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이 누적되어, 객체의 실제 위치와 최종 위치정보 간의 소정의 값 이상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최종 위치정보를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교하고 정확한 사용자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크린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객체 및/또는 객체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 생성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레이어를 스크린 상에 표시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에 의한 이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객체의 움직임을 인식하며,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레이어의 중심 좌표 및/또는 레이어에 포함되는 이미지를 변경함으로써, 직관적이고 간편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키오스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가 개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이미지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객체 감지를 이용하는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이미지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first)", "제 2(second)" 등과 같은 지정을 사용하는 하나의 엘리먼트에 대한 임의의 참조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엘리먼트들의 수량 또는 순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오히려, 이러한 지정들은 둘 이상의 엘리먼트들 또는 하나의 엘리먼트의 인스턴스들을 구별하는 편리한 방법으로서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 1 및 제 2 엘리먼트들 에 대한 참조는 오직 두 개의 엘리먼트들이 거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또는 제 1 엘리먼트가 일정한 방식으로 제 2 엘리먼트에 선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가 개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200)는 객체 감지 모듈(210) 및 위치정보 결정 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객체 감지 모듈(210)은 스크린 전방의 객체를 감지하고, 스크린에 대한 객체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는 손가락과 같은 신체의 일부 또는 기타 펜과 같은 포인팅 장치일 수 있다. 객체 감지 모듈(210)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으며,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객체를 감지하여 일련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객체의 위치정보는 스크린의 표면에 대응하는 객체의 좌표 및 객체와 스크린과의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감지 모듈(210)은, 예를 들어, 동작인식센서, 시선인식센서, 위치인식센서 및 음성인식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인식센서(미도시)는, 인식범위 내의 인체로 적외선을 송출한 후 인체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인체의 중요 관절 부위를 복수 개의 점(예: 20개)으로 표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체의 움직임, 속도 및 위치 등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인식센서는, 깊이 센서(Depth sensor)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동작인식센서와 감지된 인체 사이의 거리를 인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동작인식센서는, 인식범위 내에 여러 사람이 위치하는 경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사람을 인식하는 등의 방법으로 한 명의 사람을 분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작인식센서는 모션 캡쳐(Motion Capture) 및 음성 인식이 가능한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사의 "키넥트"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동작인식센서는 대략적으로 40cm ~ 4m의 거리에 있는 사람을 감지할 수 있는 인식범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동작인식센서에서 생성되는 동작 인식 신호는 동작인식센서에서 감지된 인체의 움직임 및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로서, 예를 들면, 감지된 인체의 중요 관절 부위를 표현한 복수 개의 점들의 위치정보 및 깊이(Depth)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선인식센서(미도시)는, 사람의 동공을 세밀하게 추적하여 사용자의 시선이 어느 방향을 향하는지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로서, 고객을 감지하여 고객의 시선에 관한 정보(고객이 바라보는 방향, 고객의 시선이 유지되는 시간 등)를 포함하는 시선 인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위치인식센서(미도시)는, 사용자가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 전방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로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적외선 위치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위치인식센서는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의 사용자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관한 정보(고객이 서있는 위치, 고객이 현재 위치에 서있는 시간 등)를 포함하는 위치 인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음성인식센서(미도시)는,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 전방의 사용자가 말하는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로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음성인식센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음성인식센서는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 전방의 사용자가 말하는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 인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객체 감지 모듈(210)이 동작인식센서, 시선인식센서, 위치인식센서 및 음성인식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객체 감지 모듈(210)은 이외에도 다양한 인식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고, 동작인식센서, 시선인식센서, 위치인식센서 및 음성인식센서 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위치정보 결정 모듈(220)은, 객체 감지 모듈(210)에 의해 생성된 일련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최종 위치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최종 위치정보는 객체의 움직임으로부터 사용자의 입력 의도를 추정하여,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을 보정한 객체의 최종 위치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객체의 수직이동 중에 의도하지 않은 객체의 수평이동이 수반되면, 이러한 객체의 수평이동이 없는 것으로 보정하고, 반대로, 객체의 수평이동 중에 의도하지 않은 객체의 수직이동이 수반되면, 이러한 객체의 수직이동이 없는 것으로 보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위치정보 결정 모듈(220)은 객체 감지 모듈(210)에 의해 생성된 일련의 위치정보 중 시기적으로 가장 늦은 위치정보로 최종 위치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객체의 움직임으로 인한 위치정보의 변경을 지속적으로 반영하기 위함이다. 다만 위치정보 결정 모듈(220)에 의한 이러한 최종 위치정보의 갱신은 객체 감지 모듈(210)에 의해 생성된 일련의 위치정보 간의 변화율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위치정보 결정 모듈(220)은 위치정보 간의 변화율이 소정의 변화율 이상이면 최종 위치정보를 갱신하고, 위치정보 간의 변화율이 소정의 변화율 미만이면, 최종 위치정보를 갱신하지 않을 수 있다. 단위 시간 당 변화율이 소정의 값 미만이 되는 미세한 객체의 움직임을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으로 추정하고 이를 최종 위치정보에 반영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을 보정하기 위함이다.
또한, 위치정보 결정 모듈(220)은 일련의 위치정보 및 최종 위치정보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최종 위치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련의 위치정보와 최종 위치정보 간의 차이가 소정의 값 이상이면, 상기 위치정보를 최종 위치정보로 대체함으로써, 최종 위치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이는, 소정의 변화율 미만의 미세한 객체의 움직임을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으로 추정하여 최종 위치정보에 반영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이 누적되는 경우, 객체의 실제 위치와 최종 위치정보 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보정하기 위함이다.
실시예에 따라, 위치정보 결정 모듈(220)에 의한 이와 같은 최종 위치정보의 생성 및 보정은 상기 객체의 좌표 및 상기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각각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S310 단계에서, 객체 감지 모듈(210)은 스크린 외부의 객체를 감지하여, 객체의 일련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정보는 스크린의 표면에 대응하는 객체의 좌표 및 객체와 스크린과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320 단계에서, 위치정보 결정 모듈(220)은 객체 감지 모듈(210)에 의해 생성된 일련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최종 위치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S320 단계는 일련의 위치정보 중 생성 시기가 가장 늦은 정보로 최종 위치정보를 갱신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S320 단계는 일련의 위치정보 간의 단위 시간 당 변화율이 소정의 변화율 이상이어야 수행될 수 있다. 단위 시간 당 변화율이 소정의 값 이하가 되는 미세한 객체의 움직임의 경우,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음 움직임으로 추정하여 최종 위치정보에 반영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을 보정하기 위함이다.
S330 단계에서, 위치정보 결정 모듈(220)은 일련의 위치정보와 최종 위치정보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최종 위치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330 단계는 일련의 위치정보 중 하나(예를 들어, 생성 시기가 가장 늦은 위치정보)와 최종 위치정보 간의 차이가 소정의 값 이상이면, 상기 위치정보를 최종 위치정보로 대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소정의 변화율 미만의 미세한 객체의 움직임을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으로 추정하여 최종 위치정보에 반영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이 누적되는 경우, 객체의 실제 위치와 최종 위치정보 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보정하기 위함이다.
실시예에 따라, S320 단계 및 S330 단계는 스크린의 표면에 대응하는 객체의 좌표 및 객체와 스크린과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각각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를 도시한다.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400)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200)를 이용하여 객체의 감지를 통한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객체 감지 모듈(210) 및 위치정보 결정 모듈(220)을 포함하는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200), 디스플레이 모듈(410) 및 이미지 제어 모듈(420)을 포함할 수 있다. 객체 감지 모듈(210) 및 위치정보 결정 모듈(220)에 관한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도 2 및 도 3의 설명을 참조한다. 하기에는 상기 두 실시예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기술한다.
디스플레이 모듈(410)은 이미지 제어 모듈(420)로부터 제공되는 이미지 정보를 스크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410)은 계층(즉, 레이어)별로 이미지 정보를 스크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410)은 이미지 제어 모듈(420)로부터 각각이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레이어 및 제 1 레이어보다 상위 계층인 제 2 레이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410)은 제 1 레이어 상에 제 2 레이어를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 상에서 제 2 레이어가 차지하는 크기(또는 영역) 또는 제 2 레이어의 배경색(예를 들어, 투명)에 따라 제 2 레이어만이 표시되거나 제 2 레이어 및 제 1 레이어의 일부가 표시될 수 있다.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이미지 정보는 예를 들어, 지도 정보, 교통 정보 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410)은 LCD, LED 등의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미지 제어 모듈(420)은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레이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모듈(41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레이어는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제어 모듈(420)은 제 1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레이어를 생성한 후, 디스플레이 모듈(410)에 전송하여, 제 1 이미지 정보가 스크린 상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제 1 이미지 정보는 예를 들어, 지도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제어 모듈(420)은 제 2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레이어를 생성한 후, 디스플레이 모듈(410)로 전송하여, 제 2 이미지 정보가 스크린 상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레이어는 제 1 레이어와 동일하거나 작은 소정의 영역을 갖고 객체의 좌표를 제 2 레이어의 중심으로 할 수 있으며, 제 2 이미지 정보는 객체와 스크린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되는 배율에 따라 제 1 이미지 정보를 확대 또는 축소한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이미지 정보는 제 1 이미지 정보를 확대 또는 축소한 이미지 정보 중 제 2 레이어의 중심 및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이미지 정보일 수 있다. 제 2 이미지 정보는 예를 들어, 교통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통 정보는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400)의 위치와 관련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교통 정보는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400)로부터 상기 제 2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지도 정보 내의 임의의 지점으로 이동하는 대중 교통의 노선 및 정류장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제어 모듈(420)은 다수의 객체에 대응하는 다수의 레이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레이어는 같은 계층으로 이루어지거나 상이한 계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레이어의 생성에서 이용되는 객체의 위치정보는 위치정보 결정 모듈(220)에 의해 제공되는 위치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즉, 위치정보 결정 모듈(220)이 객체 감지 모듈(210)에 의해 생성된 위치정보로부터 최종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모듈(410)에 출력하면, 디스플레이 모듈(410)은 수신한 위치정보에 포함된 스크린의 표면에 대응하는 객체의 좌표 및 객체와 스크린과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 2 레이어를 생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제어 모듈(420)은 위치정보 내의 객체와 스크린과의 거리에 의해 결정되는 배율에 따라 제 1 이미지 정보를 확대 또는 축소한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2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며, 위치정보 내의 객체의 좌표를 중심으로 소정의 영역을 갖는 제 2 레이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제어 모듈(420)은 객체와 스크린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제 2 레이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객체가 스크린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객체의 존재 또는 움직임을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에 대한 입력으로 하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방법(500)의 S530 및 S540 단계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300)의 S310 및 S320 단계와 마찬가지로 설명된다.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S510 단계에서, 이미지 제어 모듈(420)은 제 1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레이어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이미지 정보는 예를 들어, 지도 정보일 수 있다.
S5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모듈(410)은 제 1 레이어를 스크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S550 단계에서, 이미지 제어 모듈(420)은 이미지 제어 모듈(420)은 제 2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레이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레이어는 객체의 좌표를 중심으로 소정의 영역을 가질 수 있으며, 제 2 이미지 정보는 제 2 이미지 정보는 객체와 스크린과의 거리에 의해 결정되는 배율에 따라 제 1 이미지 정보를 확대 또는 축소한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이미지 정보는 제 1 이미지 정보를 확대 또는 축소한 이미지 정보 중 제 2 레이어의 중심 및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이미지 정보일 수 있다. 제 2 레이어의 생성 시 이용되는 객체의 좌표 및 객체와 스크린 사이의 거리는 S540 단계에서 갱신되는 최종 위치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제 2 이미지 정보는 예를 들어, 교통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교통 정보는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400)의 위치와 관련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정보는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400)로부터 제 2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지도 정보 내의 임의의 지점으로 이동하는 대중 교통의 노선 및 정류장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S550 단계는 객체와 스크린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이는 객체가 스크린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객체의 존재 또는 움직임을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에 대한 입력으로 하기 때문이다.
S56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모듈(410)은 제 2 레이어를 표시할 수 있다. 제 2 레이어는 제 1 레이어보다 상위 계층에 해당하므로, 제 2 레이어는 제 1 레이어 상에 위치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500)은 위치정보 결정 모듈(220)이 위치정보와 최종 위치정보 간의 차이가 소정의 값 이상이면, 상기 위치정보를 최종 위치정보로 대체함으로써 최종 위치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S330 단계와 마찬가지로 설명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400)는 스크린 전방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객체(610)를 감지할 수 있다.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400)에 의해 감지되는 객체(610)는 손 전체 또는 손가락 끝일 수 있다.
계속해서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400)는 감지된 객체(610)의 위치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400)는 객체(610)와 가장 가까운 스크린 상의 지점(620)을 중심으로 객체(610)의 위치정보, 즉, 객체의 좌표(530, 540) 및 객체와 스크린과의 거리(650)를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된 객체의 좌표(630, 640) 및 객체와 스크린과의 거리(650)에 기초하여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400)는 제 2 레이어를 생성하고 스크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이미지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 1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레이어(710)가 스크린 상에 표시된다. 또한, 제 2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레이어(720)가 스크린 상에 표시된다. 제 2 레이어(720)는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400)가 감지한 객체의 위치정보(즉, 객체의 좌표 및 객체와 스크린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으로서, 객체의 좌표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영역을 가지며, 제 1 레이어(710)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이미지 정보는 제 1 이미지 정보를 확대한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제 1 이미지 정보를 확대하는 배율은 객체와 스크린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된 것이며, 제 2 이미지 정보는 제 1 이미지 정보를 확대 또는 축소한 이미지 정보 중 제 2 레이어의 중심 및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이미지 정보이다.
도 7b는 도 7a의 예시에서 객체의 수직이동을 반영한 것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400)는 객체의 수직이동을 감지하여, 객체의 위치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400)는 객체와 스크린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고, 이에 기초하여 신규 제 2 레이어(730)를 생성 및 표시한다. 신규 제 2 레이어(730)에 포함된 신규 제 2 이미지 정보는 객체와 스크린 사이의 변경된 거리에 의해 결정되는 배율에 따라 제 1 이미지 정보를 확대한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신규 제 2 이미지 정보의 영역은 신규 제 2 레이어(730)의 영역에 대응한다. 신규 제 2 이미지 정보는 제 1 이미지 정보를 확대 또는 축소한 이미지 정보 중 신규 제 2 레이어의 중심 및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이미지 정보이다.
도 7c는 도 7a의 예시에서 객체의 수평이동을 반영한 것이다. 도 7c를 참조하면,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400)는 객체의 수직이동을 감지하여, 객체의 좌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400)는 객체의 좌표를 변경하고, 이에 기초하여 신규 제 2 레이어(740)를 생성 및 표시한다. 신규 제 2 레이어(740)는 변경된 객체의 좌표를 중심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이미지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다.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400)는 복수의 객체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객체에 대해 각각 제 2 레이어를 생성 및 표시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레이어(810)가 스크린 상에 표시된다. 또한, 두 개의 객체에 각각 대응하는 제 2 레이어(820) 및 제 2 레이어(830)가 스크린 상에 표시된다. 제 2 레이어(820, 830)의 위치 및 제 2 레이어(820, 830)에 포함된 제 2 이미지 정보는 각 객체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독립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400)에서 감지되는 객체의 개수에 따라 제 2 레이어가 갖는 영역의 크기가 상이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객체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제 2 레이어의 크기는 작아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microcode),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하나의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반송하거나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 210 객체 감지 모듈
220 위치정보 결정 모듈 400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
410 디스플레이 모듈 420 이미지 제어 모듈

Claims (15)

  1.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스크린 외부의 상기 객체를 감지하여, 상기 객체의 일련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스크린의 표면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의 좌표 및 상기 객체와 상기 스크린과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최종 위치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정보의 단위 시간 당 변화율이 소정의 변화율 이상이면 수행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최종 위치정보 간의 차이가 소정의 값 이상이면,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최종 위치정보로 대체함으로써 상기 최종 위치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의 좌표 및 상기 객체와 상기 스크린과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각각 수행되는, 방법.
  4.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 1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레이어를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 외부의 객체를 감지하여, 상기 객체의 일련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스크린의 표면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의 좌표 및 상기 객체와 상기 스크린과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상기 일련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최종 위치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최종 위치정보 내의 상기 객체와 상기 스크린과의 거리에 의해 결정되는 배율에 따라 상기 제 1 이미지 정보를 확대 또는 축소한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2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최종 위치정보 내의 상기 객체의 좌표를 중심으로 소정의 영역을 갖는 제 2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레이어가 상기 제 1 레이어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 레이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정보의 단위 시간 당 변화율이 소정의 변화율 이상이면 수행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미지 정보는 상기 제 1 이미지 정보를 확대 또는 축소한 이미지 정보 중 상기 제 2 레이어의 상기 중심 및 상기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이미지 정보인,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최종 위치정보 간의 차이가 소정의 값 이상이면,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최종 위치정보로 대체함으로써 상기 최종 위치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의 좌표 및 상기 객체와 상기 스크린과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각각 수행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9.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로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스크린 외부의 객체를 감지하여 일련의 위치정보 및 생성하는 객체 감지 모듈; 및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정보의 단위 시간 당 변화율이 소정의 변화율 이상이면 최종 위치정보를 갱신하는 위치정보 결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스크린의 표면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의 좌표 및 상기 객체와 상기 스크린과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결정 모듈은,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최종 위치정보 간의 차이가 소정의 값 이상이면,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최종 위치정보로 대체함으로써 상기 최종 위치정보를 보정하는,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결정 모듈에 의한 상기 최종 위치정보의 갱신 및 상기 최종 위치정보의 보정은 상기 객체의 좌표 및 상기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각각 수행되는,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
  12.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로서,
    제 1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레이어를 생성하는 이미지 제어 모듈;
    상기 제 1 레이어를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스크린 외부의 객체를 감지하고 상기 객체의 일련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객체 감지 모듈; 및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정보의 단위 시간 당 변화율이 소정의 변화율 이상이면 최종 위치정보를 갱신하는 위치정보 결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스크린의 표면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의 좌표 및 상기 객체와 상기 스크린과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제어 모듈은 상기 최종 위치정보 내의 상기 객체와 상기 스크린과의 거리에 의해 결정되는 배율에 따라 상기 제 1 이미지 정보를 확대 또는 축소한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2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최종 위치정보 내의 상기 객체의 좌표를 중심으로 소정의 영역을 갖는 제 2 레이어를 생성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 2 레이어가 상기 제 1 레이어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 레이어를 상기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미지 정보는 상기 제 1 이미지 정보를 확대 또는 축소한 이미지 정보 중 상기 제 2 레이어의 상기 중심 및 상기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이미지 정보인,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결정 모듈은,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최종 위치정보 간의 차이가 소정의 값 이상이면,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최종 위치정보로 대체함으로써 상기 최종 위치정보를 보정하는,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결정 모듈에 의한 상기 최종 위치정보의 갱신 및 상기 최종 위치정보의 보정은 상기 객체의 좌표 및 상기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각각 수행되는,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
KR1020140035546A 2014-03-26 2014-03-26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117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546A KR20150111770A (ko) 2014-03-26 2014-03-26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546A KR20150111770A (ko) 2014-03-26 2014-03-26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770A true KR20150111770A (ko) 2015-10-06

Family

ID=54345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546A KR20150111770A (ko) 2014-03-26 2014-03-26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17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876A (ko) * 2017-12-15 2019-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단말기, 차량 및 단말기 제어방법
CN111638486A (zh) * 2019-03-01 2020-09-0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定位方法、系统和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876A (ko) * 2017-12-15 2019-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단말기, 차량 및 단말기 제어방법
CN111638486A (zh) * 2019-03-01 2020-09-0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定位方法、系统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80512A1 (en) Method for Representing Points of Interest in a View of a Real Environment on a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Therefor
US10677596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0466794B2 (en) Gesture recognition areas and sub-areas for interaction with real and virtual objects within augmented reality
US973373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a scene using deterministic movement of an electronic device
TWI410906B (zh) 使用擴增實境導航路徑之方法及使用該方法之行動終端機
US20110221776A1 (en) Display input device and navigation device
US1054562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o coordinate with a plurality of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JP5675470B2 (ja) 画像生成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US20170140457A1 (en) Display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100982768B1 (ko) 단말기의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영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5452811A (zh) 用于显示地图的用户终端设备及其方法
KR20150026375A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890216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CN111309183B (zh) 触控显示系统及其控制方法
AU2014358019A1 (en) Method of displaying pointing information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US10984242B1 (en) Virtual proximity compass for navigating artificial reality environments
KR20150085610A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3309443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以及程序
JP2010101949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CN106250079B (zh) 图像显示方法及装置
US9878246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KR20150111770A (ko)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747871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program, device shake compensation method, and condition detection method
KR101522340B1 (ko) 객체 감지를 이용하는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방법 및 그 기록매체
JP7210884B2 (ja) 情報処理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