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354A - 단말기,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0354A
KR20200080354A KR1020180161567A KR20180161567A KR20200080354A KR 20200080354 A KR20200080354 A KR 20200080354A KR 1020180161567 A KR1020180161567 A KR 1020180161567A KR 20180161567 A KR20180161567 A KR 20180161567A KR 20200080354 A KR20200080354 A KR 20200080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text
distance value
butt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1672B1 (ko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1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672B1/ko
Publication of KR20200080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phys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문자 버튼을 확인하고, 확인된 문자 버튼이 가지는 문자와, 문자가 입력 전에 입력된 문자를 가지는 단어를 검색하고, 단어가 검색되지 않으면 확인된 문자 버튼이 가지는 문자를 오타로 판단하고, 확인된 문자 버튼의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문자 버튼을 확인하고,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 버튼의 센터 위치 정보와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획득하고, 후보군에 기초하여 오타를 수정하고, 오타가 수정된 단어를 표시한다.

Description

단말기,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Terminal device,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터치된 문자를 인식하는 단말기, 차량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차륜을 구동시켜 도로를 주행하는 기계로, 차량에는 탑승자 보호, 운행 보조 및 승차감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탑재되어 있다.
차량은 기본적인 주행 기능 외에도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공조 제어, 시트 제어, 조명 제어 등의 사용자 편의를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더 수행한다.
이러한 차량에는 내비게이션 기능, 오디오 기능 및 비디오 기능을 통합하여 수행하는 AVN 장치(즉, 차량용 단말기)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AVN 장치는 각종 기능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각종 기능의 동작 상태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포함한다.
AVN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PUI: Physical User Interface)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있다.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PUI)는 키패드, 리모컨, 조그 다이얼, 터치패드등과 같이 물리적인 방법으로 사용자명령을 입력 받는 장치이고,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는 화면상에 표시되는 아이콘, 문자, 아이템을 터치하거나, 커서 이동을 통해 선택하여 사용자명령을 입력 받는 장치이다.
이때 사용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 아이템, 아이콘 등의 위치를 인식하고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화면의 커서를 이동시켜 화면에 표시된 문자, 아이템,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또한 사용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상에 배치된 문자나, 아이콘, 아이템 등을 터치하여 선택한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지점을 터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기능이 수행되거나,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문자 입력으로 인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가 검색되지 않거나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정보가 검색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 측면은 오 터치된 터치 점과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과의 거리 값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의도하는 단어를 획득하여 표시하는 단말기,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오 터치된 터치 점의 위치,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과의 거리 값, 오 터치 전 입력된 단어 또는 글자, 터치 압력, 미리 저장된 오타 글자에 대응하는 정타 단어 및 오 터치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오타 글자를 딥러닝하여 정확도가 높고 최소의 후보군이 검색되는 일정 범위,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의 개수,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과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 및 최소 거리값을 기준으로 하는 거리 비율을 획득하는 단말기,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은 입력된 단어와 매칭되는 단어가 검색되지 않으면 마지막에 입력된 문자를 오 터치된 문자로 인식하고, 오 터치로 인식된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 입력된 글자와 오 터치된 문자의 주변의 문자를 결합하여 단어의 후보군을 검색하는 단말기,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단말기는 복수 개의 문자 버튼에 대응하는 문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사용자에 의해 터치 시에 터치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패널; 복수 개의 문자 버튼의 영역의 위치 정보 및 복수 개의 문자 버튼의 센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터치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문자 버튼을 확인하고 확인된 문자 버튼이 가지는 문자가 오타라고 판단되면 확인된 문자 버튼의 주변의 문자 버튼들의 센터 위치 정보와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타를 수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단말기의 제어부는 확인된 문자 버튼이 가지는 문자와, 문자가 입력 전에 입력된 글자를 가지는 단어를 검색하고 단어가 검색되지 않으면 확인된 문자를 오타로 인식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말기의 제어부는 주변의 문자 버튼들의 센터 위치 정보와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점에서 주변의 문자 버튼의 센터까지의 거리 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거리값에 기초하여 단어의 후보군을 획득하고 획득된 단어의 후보군에 기초하여 오타를 수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말기의 제어부는, 주변의 문자 버튼의 센터까지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최소 거리값이 작은 순서대로 미리 설정된 개수의 최소 거리 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최소 거리값을 가지는 문자 버튼을 획득하고 획득된 문자 버튼이 가지는 문자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획득한다.
단말기의 제어부는 주변의 문자 버튼의 센터까지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최소 거리 값과 나머지 거리값 사이의 비율을 각각 획득하고, 획득된 비율이 일정 비율 이상인 거리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거리값을 가지는 문자 버튼을 획득하고 획득된 문자 버튼이 가지는 문자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말기의 제어부는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문자 버튼의 센터 위치 정보와 일정 범위에 기초하여 주변의 문자 버튼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말기의 저장부는 트레이닝 세트 정보와 결과 값 리스트를 저장하고, 제어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트레이닝 세트 정보와 오타에 대응하는 오타 정보와, 수정된 정타 정보를 학습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결과 값 리스트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말기의 결과 값 리스트는, 주변 버튼들을 선택하기 위한 일정 범위, 주변의 문자 버튼들의 개수, 주변의 문자 버튼들과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 및 최소 거리값을 기준으로 하는 비율을 포함한다.
단말기의 제어부는 결과 값 리스트에 기초하여 주변 문자 버튼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복수 개의 문자 버튼에 대응하는 문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사용자에 의해 터치 시에 터치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패널; 지도 정보 및 주소 정보를 저장하고, 복수 개의 문자 버튼의 영역의 위치 정보 및 복수 개의 문자 버튼의 센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내비게이션 모드 수행 중 목적지 정보의 입력 명령이 수신되면 자판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터치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문자 버튼을 확인하고 확인된 문자 버튼이 가지는 문자와 이전에 입력된 문자를 가지는 주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주소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확인된 문자 버튼이 문자가 오타라고 판단하고 확인된 문자 버튼의 주변의 문자 버튼들의 센터 위치 정보와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타를 수정하고 오타가 수정된 주소를 목적지 정보로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차량의 제어부는 주변의 문자 버튼들의 센터 위치 정보와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점에서 주변의 문자 버튼의 센터까지의 거리 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거리값에 기초하여 주소의 후보군을 획득하고 획득된 주소의 후보군에 기초하여 오타를 수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차량의 제어부는 주변의 문자 버튼의 센터까지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최소 거리값이 작은 순서대로 미리 설정된 개수의 최소 거리 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최소 거리값을 가지는 문자 버튼을 획득하고 획득된 문자 버튼이 가지는 문자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획득한다.
차량의 제어부는 주변의 문자 버튼의 센터까지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최소 거리 값과 나머지 거리값 사이의 비율을 각각 획득하고, 획득된 비율이 일정 비율 이상인 거리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거리값을 가지는 문자 버튼을 획득하고 획득된 문자 버튼이 가지는 문자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차량의 제어부는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문자 버튼의 센터 위치 정보와 일정 범위에 기초하여 주변의 문자 버튼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차량의 저장부는 트레이닝 세트 정보와 결과 값 리스트를 저장하고, 제어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트레이닝 세트 정보, 오타에 대응하는 오타 정보 및 수정된 정타 정보를 학습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결과 값 리스트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포함한다.
차량의 제어부는 결과 값 리스트에 기초하여 주변 문자 버튼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터치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문자 버튼을 확인하고, 확인된 문자 버튼이 가지는 문자와, 문자가 입력 전에 입력된 문자를 가지는 단어를 검색하고, 단어가 검색되지 않으면 확인된 문자 버튼이 가지는 문자를 오타로 판단하고, 확인된 문자 버튼의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문자 버튼을 확인하고,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 버튼의 센터 위치 정보와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획득하고, 후보군에 기초하여 오타를 수정하고, 오타가 수정된 단어를 표시한다.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문자 버튼을 확인하는 것은, 저장부에 저장된 주변 버튼들을 선택하기 위한 일정 범위, 주변의 문자 버튼들의 개수, 주변의 문자 버튼들과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 및 최소 거리값을 기준으로 하는 비율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문자 버튼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은, 주변의 문자 버튼이 복수 개이면, 복수 개의 문자 버튼의 센터 위치 정보와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점에서 주변의 문자 버튼의 센터까지의 거리 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거리값에 기초하여 단어의 후보군을 획득하고, 획득된 단어의 후보군에 기초하여 오타를 수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은, 주변의 문자 버튼이 복수 개이면, 복수 개의 문자 버튼의 센터 위치 정보와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점에서 주변의 문자 버튼의 센터까지의 거리 값을 획득하고, 복수 개의 문자 버튼의 센터까지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최소 거리값을 가지는 문자 버튼을 획득하고, 획득된 문자 버튼이 가지는 문자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은, 주변의 문자 버튼이 복수 개이면, 복수 개의 문자 버튼의 센터 위치 정보와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점에서 주변의 문자 버튼의 센터까지의 거리 값을 획득하고, 복수 개의 문자 버튼의 센터까지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최소 거리값을 가지는 문자 버튼을 획득하고, 획득된 최소 거리 값과 나머지 거리값 사이의 비율을 각각 획득하고, 획득된 비율이 일정 비율 이상인 거리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거리값을 가지는 문자 버튼을 획득하고 획득된 문자 버튼이 가지는 문자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오타가 인식된 후 터치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를 확인하고, 후보군 중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문자 버튼이 가지는 문자의 다음에 확인된 문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획득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문자 입력 시, 오타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이를 수정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는 단어에 대한 검색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주소 입력 시, 문자 조합에 기반하여 오타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이를 수정해줌으로써 내비게이션 모드 수행 시에 목적지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받을 수 있고 이로 인해 경로 탐색 속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모드 수행 시에 데이터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자의 터치 패턴에 따른 딥러닝 기반으로 효율적으로 오타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된 문자와 그 문자를 가지는 단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의도하는 단어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정확하게 입력받을 수 있다.
이로 인해단말기 및 차량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어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편리성 및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가 마련된 차량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가 마련된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4a 및 도 4b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자판 영상의 표시 예시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오타 수정의 예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장치'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장치'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장치'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가 마련된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다.
우선 차량의 외관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100)은 외장과 내장을 갖는 차체(Body)와,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주행에 필요한 기계 장치가 설치되는 차대(Chassis)를 포함한다.
차체의 외장은 프론트 패널, 본네트, 루프 패널, 리어 패널, 전후좌우의 도어, 전후좌우의 도어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고, 차량의 정면과 후면에 고정 설치된 창문을 포함한다.
차체의 외장은 전방시야를 주시하면서 주변의 정보를 쉽게 볼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차량과 보행자에 대한 신호,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을 수행하는 램프와, 전후좌우 도어의 윈도우 글래스 사이의 경계에 마련된 필러와, 운전자에게 차랑(10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내장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101, 102)와, 대시 보드(102)와, 대시 보드(102) 상에 배치되고 타코미터, 속도계, 냉각수 온도계, 연료계, 방향전환 지시등, 상향등 표시등, 경고등, 안전벨트 경고등, 주행 거리계, 주행 기록계, 변속 레버 표시등, 도어 열림 경고등, 엔진 오일 경고등, 연료부족 경고등이 배치된 계기판(즉 클러스터)과, 공기조화기의 송풍구와 조절판이 배치된 센터 페시아(104)와, 센터 페시아(104)에 마련되고 오디오 기기와 공기 조화기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헤드유닛을 포함한다.
차량의 차대는 차체를 지지하는 틀로, 전후좌우에 각 배치된 차륜과, 전후좌우의 차륜에 구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동력 장치, 조향 장치, 전후좌우의 차륜에 제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제동 장치 및 차량의 서스펜션을 조절하기 위한 현가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100)은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장치의 스티어링 휠과, 사용자의 제동 의지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브레이크 페달과, 사용자의 가속 의지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엑셀러레이터 페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설치된 핸즈프리 장치, 오디오 기기 및 블루투스 장치, 후방 카메라, 하이패스 장치 및 단말기(110)등의 전자 장치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10)는 대시보드(103)에 마련되되 운전석(101)과 조수석(102) 사이의 대시보드에 마련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결과를 출력한다.
단말기(110)는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AVN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단말기(110)는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12)를 포함한다.
단말기(110)는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단말기(110)는 표시부(112)와 분리 설치된 입력부(111)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입력부(111)는 헤드 유닛 및 센터페시아에 마련될 수 있고 스티어링 휠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스티어링 휠 주변의 조작 레버(미도시)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입력부(111)는 복수 개의 버튼, 키,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표시부(112)에 표시된 커서의 이동 명령 및 선택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조그 다이얼(미도시) 또는 터치 패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의 단말기(110)는 사용자가 영상을 보면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부와 입력부가 일체로 마련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110)의 입력부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즉 표시부(112)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입력부(111)는 터치 패널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표시부(112)인 표시 패널의 앞면에는 입력부(111)인 터치 패널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터치 패널은 투명한 터치 패널로, 후방에 배치된 표시부(112)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투과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조작체의 터치 시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터치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상판 또는 하판에 금속 전극을 형성하여 직류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터치된 위치를 저항에 따른 전압 구배로 판단하는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과, 도전막에 등전위를 형성하고 터치에 따른 상하판의 전압 변화가 일어난 위치를 감지하여 터치된 위치를 감지하는 정전용량방식(Capacitive type)과, 조작체(즉 전자펜)이 도전막을 터치함에 따라 유도되는 LC값을 읽어들여 터치된 위치를 감지하는 전자 유도 방식(Electro Magnetic type)과, 초음파 방식(SAW Type, Surface Acoustic Wave Type) 및 적외선 방식(InfraredType)등으로 구별될 수 있다.
입력부(111)는 내비게이션 모드의 온 명령 및 오프 명령을 입력받고, 목적지의 정보를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부(111)는 디엠비 모드 시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를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고, 오디오 모드 시 재생할 오디오 정보를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부(111)는 검색 모드 시 검색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표시부(112)는 내비게이션 모드 시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고, 오디오 모드 시 오디오 정보를 표시하며, 디엠비 모드 시 방송 정보를 표시하고, 검색 모드 시 검색 창과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가 마련된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차량(100)은 단말기(110), 위치 수신부(120), 제어부(130) 및 저장부(140)를 포함한다.
단말기(110)는 입력부인 터치 패널과 표시부인 표시 패널을 포함하며 입력부에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한다.
단말기(110)는 입력부인 터치 패널에 입력된 터치 신호를 제어부(130)에 전송하고 제어부(13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표시부(112)를 통해 정보를 표시한다.
단말기(110)는 입력부(111)를 통해 내비게이션 모드의 온오프 명령을 입력받고, 내비게이션 모드 수행 중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한다.
단말기(110)는 입력부(111)를 통해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고 목적지 정보 입력 시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목적지의 정보를 표시한다. 즉 단말기(110)는 표시부(112)인 표시 패널을 통해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자판 영상을 표시하고 입력부(111)인 터치 패널에 터치된 사용자의 터치 신호로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단말기(110)는 오디오 정보, 디엠비 정보, 멀티미디어 정보, 검색 정보 등을 입력받을 때에도, 표시부(112)인 표시 패널을 통해 자판 영상을 표시하고 입력부(111)인 터치 패널에 터치된 사용자의 터치 신호로 각종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10)는 두 가지 자판 타입의 자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는 제1자판 타입의 자판 영상을 표시하다가 사용자로부터 자판 변경 명령이 수신되면 제2자판 타입의 자판 영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고, 제2자판 타입의 자판 영상을 표시하다가 사용자로부터 자판 변경 명령이 수신되면 제1자판 타입의 자판 영상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1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 표시 창(A1)과, 문자 선택 창(A2), 현재 표시된 문자 종류와 다른 문자 종류로 변경하기 위한 문자 종류 변경 버튼(A3), 문자 종류를 기호로 변경하는 기호 변경 버튼(A4), 자판 변경 버튼(A5)을 표시할 수 있다.
위치 수신부(120)는 복수의 위성에서 제공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위치 수신부(1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는 복수의 GPS 위성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복수의 GPS위성의 위치 신호에 대응하는 거리 및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획득하는 소프트웨어와, 획득된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제어부(130)는 터치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가지는 표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부(112)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표시 정보는 표시부(112)에 표시되는 아이템, 아이콘, 파일 및 문자에 대응하는 정보일 수 있다.
아이콘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과, 기능 내에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은, 내비게이션 아이콘, 인터넷 검색 아이콘, 음악 재생 아이콘, 디엠비 아이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기능 내에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내비게이션 아이콘은, 목적지 입력을 위한 목적지 입력 아이콘, 정보 검색 아이콘, 옵션 설정 아이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표시부(112)의 동작 제어 시, 기능 실행에 대한 실행 영상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내비게이션 모드가 선택되면 현재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지도 정보를 획득하고 현재의 위치 정보와 획득된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를 지도에 맵매칭(Map Matching)시키며 맵 매칭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입력부(111)를 통해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현재의 위치 정보와 목적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경로탐색 알고리즘에 따라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를 지도에 매칭시켜 표시하도록 표시부(112)를 제어하고, 경로의 정보에 기초하여 따라 목적지까지 길을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표시부(112) 및 사운드 출력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하고 서버로부터 경로 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서버는 차량용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차량용 단말기(110)에서 전송된 경로 탐색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차량의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를 차량용 단말기에 전송한다.
이러한 서버의 경로 탐색 방법은, 차량의 위치에서 목적지 사이의 복수 도로들을 조합하여 복수 경로를 탐색하고 경로를 이루는 각 도로 환경들에 기초하여 복수 경로의 코스트를 산출하고 산출된 코스트 중 가장 낮은 코스트를 가진 경로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130)는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가진 표시 정보가 내비게이션 아이콘이라고 판단되면 내비게이션 모드의 실행을 제어하고,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가진 표시 정보가 목적지 입력 아이콘이라고 판단되면 자판 영상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12)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를 확인하고 확인된 문자를 조합하여 사용자가 의도하는 단어를 인식하며 인식된 단어에 대응하는 주소를 확인하고 확인된 주소를 목적지 정보로 획득한다.
아울러 제어부(130)는 인터넷 검색 및 기능 내의 정보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자판 영상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12)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0)의 단어 인식에 대응하는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울러 한글의 단어 인식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어부(130)는 표시부(112)에 자판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 신호가 1차로 수신되면 수신된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가지는 첫 번째 문자를 확인하고, 확인된 첫 번째 문자를 표시부(112)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표시부(112)에 자판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 신호가 2차로 수신되면 수신된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가지는 두 번째 문자를 확인하고, 확인된 두 번째 문자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12)를 제어하되 첫 번째 문자와 두 번째 문자가 조합된 글자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12)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첫 번째 문자와 두 번째 문자의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첫 번째 문자와 두 번째 문자를 분리시켜 표시하도록 하고, 오타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30)는 표시부(112)에 자판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 신호가 3차로 수신되면 수신된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가지는 세 번째 문자를 확인하고, 확인된 세 번째 문자를 표시부(112)를 통해 표시하되, 첫 번째 문자와 두 번째 문자가 조합된 글자와 함께 세 번째 문자가 표시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세 번째 문자가 표시된 글자와 결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첫 번째 문자, 두 번째 문자와 세 번째 문자가 조합된 하나의 글자를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고, 세 번째 문자가 표시된 글자와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첫 번째 문자와 두 번째 문자가 결합된 글자와 세 번째 문자를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표시부(112)에 자판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 신호가 4차로 수신되면 수신된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가지는 네 번째 문자를 확인하고, 확인된 네 번째 문자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12)를 제어하되 첫 번째 문자, 두 번째 문자, 세 번째 문자와 함께 표시하도록 표시부(112)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네 번째 문자가 세 번째 문자와 결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첫 번째 문자와 두 번째 문자가 결합된 첫 번째 글자와, 세 번째 문자와 네 번째 문자가 결합된 두 번째 글자를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고, 네 번째 문자가 세 번째 문자와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첫 번째 문자, 두 번째 문자 및 세 번째 문자가 결합된 글자와 네 번 째 문자를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한다.
여기서 글자와 글자를 표시하는 것은, 문자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개개의 문자는 음소에 해당하고, 글자는 음소와 음소의 결합에 해당하고, 단어는 글자와 글자의 결합에 해당하며,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제어부(130)는 표시부(112)에 자판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 신호가 5차로 수신되면 수신된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가지는 다섯 번째 문자를 확인하고, 확인된 다섯 번째 문자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12)를 제어하되 첫 번째 문자, 두 번째 문자, 세 번째 문자 및 네 번째 문자와 함께 표시하도록 표시부(112)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다섯 번째 문자가 네 번째 문자와 결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첫 번째 문자, 두 번째 문자 세 번째 문자가 결합된 글자와, 네 번째 문자와 다섯 번째 문자가 결합된 글자를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며, 네 번째 문자가 다섯 번째 문자와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첫 번째 문자, 두 번째 문자 및 세 번째 문자가 결합된 글자, 네 번째 문자 및 다섯 번째 문자를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세 번째 문자와 네 번째 문자가 결합된 글자와 다섯 번째 문자의 결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첫 번째 문자와 두 번째 문자가 결합된 첫 번째 글자와, 세 번째 문자, 네 번째 문자 및 다섯 번째 문자가 결합된 두 번째 글자를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고, 세 번째 문자와 네 번째 문자가 결합된 글자와 다섯 번째 문자의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첫 번째 문자와 두 번째 문자가 결합된 첫 번째 글자와, 세 번째 문자와 네 번째 문자가 결합된 두 번째 글자와, 다섯 번째 문자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적어도 두 개의 문자가 획득되면 적어도 두 개의 문자의 결합을 통해 하나의 글자를 획득하고, 획득된 글자를 가지는 단어를 검색하여 후보군을 획득하고, 획득된 후보군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12)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적어도 두 개의 문자가 획득되면 적어도 두 개의 문자의 결합을 통해 하나의 글자를 획득하고, 획득된 글자를 가지는 단어를 후보군으로 획득하고, 획득된 후보군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12)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어부(130)는 획득된 글자를 가지는 단어가 획득되지 않으면 마지막에 입력된 문자를 오타로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후보군이 획득된 상태에서 문자가 입력되면 획득된 후보군 중 입력된 문자를 가지는 새로운 후보군을 획득하고 새로운 후보군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12)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에도 제어부(130)는 후보군 중 입력된 문자를 가지는 새로운 후보군이 획득되지 않으면 마지막에 입력된 문자를 오타로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내비게이션 모드 수행 중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을 때, 오타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오타 입력 전에 입력된 문자를 확인하고, 확인된 문자 정보와 마지막에 수신된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터치 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주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주소를 후보군으로 획득하고 획득된 주소의 후보군과 오타 입력 후에 입력된 문자들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의도하는 주소를 획득하고 획득된 주소의 단어들로 최종적으로 입력된 단어를 수정하고 수정된 단어의 표시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수정된 단어를 가지는 주소의 표시를 제어한다.
첫 문자가 오타일 경우, 제어부(130)는 최종적으로 입력된 단어를 가지는 주소가 획득되지 않으면 저장부에 저장된 주소 정보 중 최종적으로 입력된 단어와 유사도가 가장 높은 주소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첫 문자가 오타일 경우, 제어부(130)는 최종적으로 입력된 단어를 가지는 주소가 획득되지 않으면 저장부에 저장된 주소 정보 중 최종적으로 입력된 단어와 기준 유사도 이상의 유사도를 가지는 주소를 후보군으로 획득하고 획득된 후보군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후보군 획득 시, 마지막에 수신된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점의 주변의 문자들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문자들의 센터 위치 정보와 터치 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점으로부터 각 문자들의 센터까지의 거리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거리값들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30)는 후보군 획득 시, 확인된 문자들의 센터 위치 정보와 터치 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점으로부터 각 문자들의 센터까지의 거리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각 문자들과의 거리값 중 거리값이 작은 순서대로 미리 설정된 개수의 문자들을 획득하고 획득된 문자들과 이전 입력된 문자들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 제어부(130)는 후보군 획득 시, 확인된 문자들의 센터 위치 정보와 터치 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점으로부터 각 문자들의 센터까지의 거리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각 문자들과의 거리값 중 가장 작은 거리값을 획득하고, 가장 작은 거리값을 기준으로 가장 작은 거리값과 나머지 거리값들과의 비율을 획득하며, 획득된 비율이 기준 비율 이상인 거리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거리값을 가지는 문자들과 이전 입력된 문자들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30)는 후보군 획득 시, 확인된 문자들의 센터 위치 정보와 터치 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점으로부터 각 문자들의 센터까지의 거리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각 문자들과의 거리값 중 가장 작은 거리값(즉 최소 거리값)을 가지는 문자를 획득하고 획득된 문자와 이전 입력된 문자들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목적지 정보, 즉 주소 입력 시, 오타가 입력되면 오타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트레이닝 세트 리스트의 정보와 현재 입력된 오타 정보에 기초하여 오타 수정을 학습하고 학습된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한다.
트레이닝 세트 리스트의 정보는, 오 터치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과의 거리 정보, 터치 압력 정보, 오 터치 전 입력된 단어 또는 글자 정보, 오 터치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오타 글자 정보 및 오타 단어 정보를 포함하고, 오타 글자 또는 오타 단어에 대응하는 정타 단어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트레이닝 세트 리스트의 정보는 오타 정보를 포함한다.
즉 제어부(130)는 오 터치된 터치 점의 위치,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과의 거리 값, 오 터치 전 입력된 단어 또는 글자, 터치 압력, 저장부에 저장된 오타 글자에 대응하는 정타 단어 및 저장부에 저장된 오 터치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오타 글자를 딥러닝하여 열과 행을 선택하기 위한 일정 범위,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의 개수,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과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 및 최소 거리값을 기준으로 하는 비율을 획득하고, 열과 행을 선택하기 위한 일정 범위,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의 개수,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과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 및 최소 거리값을 기준으로 하는 비율을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딥러닝에 의해 획득된 일정 범위,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의 개수,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과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 및 최소 거리값을 기준으로 하는 비율에 기초하여 오타 수정의 신뢰도를 획득하고 획득된 신뢰도를 함께 저장하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신뢰도들 중 신뢰도가 높은 순으로 일정 개수의 신뢰도를 획득하고 획득된 신뢰도와 연관된 일정 범위,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의 개수,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과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 및 최소 거리값을 기준으로 하는 비율을 결과 값 리스트로 저장하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내비게이션 모드 수행 중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을 때, 오타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오타 입력 전에 입력된 문자를 확인하고, 확인된 문자 정보와 마지막에 수신된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며, 저장부에 저장된 일정 범위,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의 개수,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과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 및 최소 거리값을 기준으로 하는 비율에 기초하여 신뢰도가 가장 높은 문자를 획득하고, 획득된 문자와 오타 입력 전에 입력된 문자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운드 출력부(미도시)는 경로 안내 시 경로 및 주행 정보를 사운드로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악, 영상의 사운드 등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예는 차량에 배치된 단말기를 설명하고 있지만, 문자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나 태블릿 등에서도 구현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단말기(110) 내부에 마련되어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일 수도 있고, 차량에 마련되되 단말기의 외부에 마련되어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일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단말기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지도 정보를 저장하고, 지도 정보에 대응하는 주소 정보를 더 저장한다. 저장부(140)에 저장된 지도 정보와 주소 정보는 업데이트 가능하다.
저장부(140)는 최근 목적지의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목적지의 정보 등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140)는 문자 입력을 위한 문자 버튼들의 배열 정보 및 각 문자 버튼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각 문자 버튼의 위치 정보는 각 문자 버튼이 이루는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와, 각 문자 버튼의 영역의 센터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아울러, 문자 버튼들의 배열은 자판 타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140)는 자판 타입별 문자 버튼들의 배열 정보와 각 문자 버튼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문자의 종류별로 버튼들의 배열 정보 및 각 버튼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문자의 종류는, 한글, 영어, 아라비아 숫자 및 한문을 포함하고, 느낌표, 물음표, 마침표와 같은 특수 문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기준 비율 및 기준 유사도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오타 정보를 저장하고 딥러닝을 위한 트레이닝 세트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트레이닝 세트는, 오 터치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과의 거리 정보, 터치 압력 정보, 오 터치 전 입력된 단어 또는 글자 정보, 오 터치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오타 글자 정보 및 오타 단어 정보를 포함하고, 오타 글자 또는 오타 단어에 대응하는 정타 단어 정보를 포함한다.
저장부(140)는 문자 버튼의 영역 중 정확도가 높고 최소의 후보군이 검색되는 일정 범위,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의 개수,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과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 및 최소 거리값을 기준으로 하는 거리 비율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140)는 정확도가 높고 최소의 후보군이 검색되는 학습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결과 값을 리스트로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장부(140)는 신뢰도가 높은 일정 개수 이상의 결과 값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결과 값은 열과 행을 선택하기 위한 일정 범위,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의 개수,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과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 및 최소 거리값을 기준으로 하는 거리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된 일정 범위,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의 개수,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과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 및 최소 거리값을 기준으로 하는 거리 비율은, 딥 러닝 결과에 기초하여 업데이트 가능하다.
저장부(140)는 복수의 기능과, 각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30)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 제어 순서도로,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의 단말기는 차량에 마련된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차량에 마련된 단말기는, 차량의 시동이 온되고 차량으로부터 구동 전원이 인가되면 입력부 및 표시부를 활성화시킨다.
단말기는 입력부를 통해 내비게이션 모드가 온되면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현재 위치 정보와 저장부에 저장된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를 지도에 맵매칭(Map Matching)시키며 맵 매칭된 영상을 표시부를 통해 표시한다.
단말기는 목적지 입력 명령이 수신되면 자판 영상을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입력부(111)를 통해 터치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의도된 문자를 획득한다.
단말기는 순차적으로 입력된 문자들을 결합 및 조합하여 단어를 획득하고 획득된 단어를 가지는 주소를 획득하며 획득된 주소를 목적지 정보로 획득한다.
단말기는 입력부에 입력된 문자들을 결합 및 조합하여 단어를 획득할 때, 오타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고 오타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오타로 인식된 문자의 주변 문자들과, 오타 이전에 입력된 문자와, 오타 이후에 입력된 문자들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의도하는 단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울러 도 4a의 자판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말기는 목적지 입력을 위한 자판 영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자판 영상을 표시하는 것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 표시 창(A1)과,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복수 개의 문자 버튼을 표시하는 문자 선택 창(A2), 문자 선택 창에 표시된 문자 종류를 다른 문자 종류로 변경하기 위한 문자 종류 변경 버튼(A3), 문자 종류를 기호로 변경하는 기호 변경 버튼(A4), 다른 자판 타입의 자판 영상으로 자판 변경 버튼(A5)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아울러,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복수 개의 문자 버튼, 문자 종류 변경 버튼(A3), 기호 변경 버튼(A4) 및 자판 변경 버튼(A5)은, 일정 크기의 영역을 포함하며, 일정 크기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가지며, 버튼 영역의 센터 위치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목적지 정보로, 남양 연구소를 입력하고자 할 때,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를 인식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말기는 표시부(112)에 자판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 신호가 1차로 수신되면 수신된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가지는 첫 번째 문자를 확인(151)하고, 확인된 첫 번째 문자를 문자 표시 창(A1)에 표시한다.
다음 단말기는 터치 신호가 2차로 수신(152)되면 수신된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가지는 두 번째 문자를 확인(153)한다.
단말기는 첫 번째 문자와 두 번째 문자의 결합이 가능한지 판단하고 첫 번째 문자와 두 번째 문자의 결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첫 번째 문자와 두 번째 문자가 결합된 글자를 문자 표시 창(A1)에 표시(157)하고, 또한 첫 번째 문자와 두 번째 문자가 결합된 글자를 가지는 주소를 검색하고 검색된 주소를 후보군으로 획득하며 획득된 후보군을 후보창(A6)에 표시한다. 아울러, 단말기는 획득된 후보군을 후보창(A6)에 표시하지 않고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첫 번째 문자와 두 번째 문자의 결합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것은, 단말기는 첫 번째 문자와 두 번째 문자가 결합되어 하나의 글자를 이룰 수 있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말기는 첫 번째 문자와 두 번째 문자의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첫 번째 문자와 두 번째 문자를 분리시켜 표시하도록 하고, 두 번째 문자를 오타로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말기는 목적지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판단(158)하고 목적지 입력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터치 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여기서 목적지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터치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고, 수신된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가 검색 버튼의 위치 정보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는 일정 시간 내에 터치 신호가 3차로 수신(152)되면 수신된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가지는 세 번째 문자를 확인(153)하고, 확인된 세 번째 문자를 표시부(112)를 통해 표시(157)한다.
이때 단말기는 세 번째 문자가 표시된 글자와 결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첫 번째 문자, 두 번째 문자와 세 번째 문자가 조합된 하나의 글자를 표시한다. 즉, 단말기는 문자 표시창(A1)에 '남'을 표시할 수 있다.
첫 번째 문자, 두 번째 문자와 세 번째 문자가 조합된 하나의 글자를 표시할 때, 하나의 글자를 가지는 주소를 검색하고 검색된 주소를 후보군으로 획득하며 획득된 후보군을 후보창(A6)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단말기는 획득된 후보군을 후보창(A6)에 표시하지 않고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는 터치 신호가 4차로 수신되면 수신된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가지는 네 번째 문자를 확인하고, 확인된 네 번째 문자를 표시부(112)를 통해 표시하되, 첫 번째 문자, 두 번째 문자, 세 번째 문자와 함께 표시한다.
이때 단말기는 네 번째 문자가 세 번째 문자와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첫 번째 문자, 두 번째 문자 및 세 번째 문자가 결합된 첫 번째 글자('남')와 네 번째 문자('ㅇ')를 표시한다.
단말기는 터치 신호가 5차로 수신되면 수신된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가지는 다섯 번째 문자를 확인하고, 확인된 다섯 번째 문자를 표시하되 첫 번째 문자, 두 번째 문자, 세 번째 문자가 결합된 첫 번째 글자와, 네 번째 문자와 함께 표시한다.
이때 단말기는 다섯 번째 문자가 네 번째 문자와 결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첫 번째 문자, 두 번째 문자 세 번째 문자가 결합된 첫 번째 글자('남')와, 네 번째 문자와 다섯 번째 문자가 결합된 두 번째 글자('야')를 문자 표시 창(A1)에 표시한다.
도 6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남양 ㅇ'까지 입력받는다.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ㅇ' 문자가 입력되고 일정 시간 내에 터치 신호가 수신(152)되면 수신된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가지는 문자('ㅛ')를 확인(153)하고, 확인된 문자를 문자 표시 창(A1)에 표시(157)한다.
단말기는 'ㅇ' 문자와 'ㅛ' 문자가 결합 가능한지 판단하고, 'ㅇ' 문자와 'ㅛ' 문자의 결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ㅇ' 문자와 'ㅛ' 문자가 결합된 글자를 가지는 주소를 검색한다. 이때 단말기는 '남양 요'의 글자를 가지는 주소가 검색되지 않으면 마지막에 입력된 단어('ㅛ')를 오타로 인식(154)하고, 마지막에 수신된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마지막에 터치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오 터치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로 확인한다.
단말기는 오 터치된 터치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 터치된 단어를 확인하고 확인된 단어 주변의 단어들의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주변의 단어들의 센터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오 터치된 터치점의 위치 정보와 획득된 주변의 단어들의 센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 터치된 터치점의 위치에서 주변의 단어들의 센터 위치까지의 거리 정보를 획득(155)하고, 획득된 주변의 단어들과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획득(156)한다.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저장부에 저장된 문자 버튼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 터치된 터치점(p1)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문자를 확인한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오 터치된 터치점(p1)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문자를 기준으로 오 터치된 터치 점(p1)과 가까운 열(row)과 행(column)을 확인하고 확인된 열(row)과 행(column)에 배치된 문자(ㅕ, ㅗ, ㅓ)를 획득하며, 획득된 문자들의 센서 위치 정보(B1, B2, B3)를 각각 확인하고, 오 터치된 터치점(p1)의 위치 정보와 획득된 주변의 단어들의 센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 터치된 터치점의 위치에서 주변의 단어들의 센터 위치까지의 거리 값(d1, d2, d3)을 획득한다.
도 7의 (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오 터치된 터치점(p1)과 가까운 열(row)의 문자를 획득하되, 오 터치된 터치점(p1)을 기준으로 오 터치된 터치점(p1)과 가까운 행과 반대되는 행에 배치된 문자(ㅗ, ㅅ, ㅎ)를 획득하고 획득된 문자들의 센서 위치 정보(B4, B5, B6)를 각각 확인하고, 오 터치된 터치점(p1)의 위치 정보와 획득된 주변의 단어들의 센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 터치된 터치점의 위치에서 주변의 단어들의 센터 위치까지의 거리 값(d4, d5, d6)을 획득한다.
아울러 단말기는 오 터치된 터치점(p1)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문자를 기준으로 열과 행을 포함한 일정 범위 내의 존재하는 문자들을 획득하고 획득된 문자들의 센터 위치까지의 거리값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단말기는 획득된 주변의 단어들과의 거리 값(d1, d2, d3, d4, d5, d6)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획득한다.
여기서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은, 각 문자들과의 거리값 중 거리값이 작은 순서대로 미리 설정된 개수의 문자들을 획득하고 획득된 문자들과 이전 입력된 문자들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개수가 4개이면 거리 값(d1, d2, d3, d4, d5, d6) 중 거리값이 작은 순으로 4개를 선택하고 선택된 4개의 거리값(d1, d2, d3, d4)을 가지는 단어들(ㅕ, ㅗ, ㅓ, ㅗ)을 획득하고 획득된 단어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획득한다.
여기서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은, 획득된 각 문자들과의 거리값 중 가장 작은 거리값, 즉 최소 거리값을 획득하고, 최소 거리값을 기준으로 가장 작은 거리값과 나머지 거리값들과의 비율을 획득하며, 획득된 비율이 기준 비율 이상인 거리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거리값을 가지는 문자들과 이전 입력된 문자들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최소 거리값이 d1이면 최소 거리값이 d1을 기준으로 거리값 d1과 나머지 거리값 d2, d3, d4, d5, d6과의 비율을 각각 획득하고 획득된 각 비율 중 기준 비율 이상의 비율을 갖는 거리 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거리값을 가지는 단어들을 획득하고 획득된 단어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획득한다.
단말기는 획득된 비율에 기초하여 주변의 단어들을 제1비율(a%) 이내, 제2비율(b%) 이내 또는 제3비율(c%) 이내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은, 획득된 각 문자들과의 거리값 중 가장 작은 거리값(즉 최소 거리값)을 가지는 문자를 획득하고 획득된 문자와 이전 입력된 문자들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최소 거리값이 d1이면 주변의 단어들과의 거리 값(d1, d2, d3, d4, d5, d6) 중 거리값 d1을 가지는 단어('ㅕ')를 획득하고 획득된 단어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획득한다.
즉 단말기는 '남양 요'의 글자를 가지는 주소가 검색되지 않으면 'ㅛ' 문자의 주변의 문자들 각각과 오타 전에 입력된 '남양 ㅇ'이 결합에 글자를 가지는 주소를 검색하여 후보군을 획득(156)하고 획득된 후보군을 후보창(A6)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ㅛ' 문자의 주변의 문자들은, 오 터치된 터치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문자들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ㅛ' 문자의 주변의 문자들 중 'ㅛ' 문자와 거리가 가까운 4개의 문자들을 획득하였을 때, 'ㅛ' 문자와 거리가 가까운 4개의 문자들(ㅕ, ㅗ, ㅓ, ㅗ)과 '남양 ㅇ'이 결합에 글자를 가지는 주소를 검색하고 검색된 주소를 후보군으로 후보창에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단말기는 획득된 후보군을 후보창(A6)에 표시하지 않고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는 순차적으로 입력된 글자들을 문자 표시 창(A1)에 표시(157)한다.
단말기는 목적지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판단(158)하고 목적지 입력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터치 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단말기는 오타로 인식된 문자가 입력된 후 터치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가지는 문자('ㄴ')를 확인하고, 확인된 문자를 문자 표시창(A1)에 표시한다.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후보군 중 오타로 인식된 문자('ㅛ') 이후에 확인된 문자('ㄴ')를 가지는 주소를 검색하고 검색된 주소를 새로운 후보군으로 획득하고, 획득된 후보군을 후보창에 표시한다.
다음 단말기는 문자('ㄴ')가 입력된 후 터치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가지는 문자('ㄱ')를 확인하고, 확인된 문자를 문자 표시창(A1)에 표시하며 새로운 후보군 중 문자('ㄴ') 이후에 확인된 문자('ㄱ')를 가지는 주소를 검색하고 검색된 주소를 새로운 후보군으로 획득하고, 획득된 후보군을 후보창에 표시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는다.
도 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목적지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판단(158)하고 목적지 입력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문자 표시 창(A1)에 표시된 '남양 욘구소'를 '남양 연구소'로 수정하여 변경한다.
단말기는 오타 정보인 '남양 욘구소'와, 오타 정보에 대응하는 정타 정보인'남양 연구소'를 저장한다.
또한 단말기는 오 터치된 터치 점(p1)의 위치 정보, 오 터치된 터치 점을 가지는 문자, 오 터치된 문자의 주변의 문자, 오 터치점부터 주변 문자들의 센터 위치까지의 거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욘'을 '연'으로 인식하기 위한 거리 값에 기초한 문자들의 개수를 저장할 수 있고 오 터치점에 가해진 터치 압력을 더 저장할 수 있으며, 오 터치 전에 입력된 문자 정보들을 더 저장할 수 있다.
터치 점과 근접한 열과 행을 선택하기 위한 일정 범위(즉 일정 거리값)을 저장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오타가 두 개일 때, 단어 수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남양 요'의 글자를 가지는 주소가 검색되지 않으면 'ㅛ' 문자의 주변의 문자들 각각과 오타 전에 입력된 '남양 ㅇ'이 결합에 글자를 가지는 주소를 검색하여 후보군을 획득하고 획득된 후보군을 후보창(A6)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ㅛ' 문자의 주변의 문자들은, 오 터치된 터치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문자들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ㅛ' 문자의 주변의 문자들 중 'ㅛ' 문자와 거리가 가까운 4개의 문자들을 획득하였을 때, 'ㅛ' 문자와 거리가 가까운 4개의 문자들(ㅕ, ㅗ, ㅓ, ㅗ)과 '남양 ㅇ'이 결합된 글자를 가지는 주소를 검색하고 검색된 주소를 후보군으로 후보창에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단말기는 획득된 후보군을 후보창(A6)에 표시하지 않고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는 'ㅇ' 문자가 입력된 후 'ㅛ' 문자가 입력되고 일정 시간 내에 터치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가지는 문자('ㅇ')를 확인하고, 확인된 문자('남양 용')를 문자 표시 창(A1)에 표시한다.
단말기는 '남양 용'의 글자를 가지는 주소를 검색한다. 이때 단말기는 4개의 문자들(ㅕ, ㅗ, ㅓ, ㅗ)과 '남양 ㅇ'이 결합된 글자를 가지는 주소의 후보군 중 'ㅇ'이 결합된 글자를 가지는 주소가 검색되지 않으면 마지막에 입력된 단어('o')를 오타로 인식하고, 마지막에 수신된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마지막에 터치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오 터치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로 확인한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오 터치된 터치점(p2)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 터치된 단어를 확인하고 확인된 단어 주변의 단어들의 정보(ㄴ, ㅋ, ㅌ, ㄹ, ㅊ)를 획득하며 획득된 주변의 단어들의 센터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오 터치된 터치점의 위치 정보와 획득된 주변의 단어들의 센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 터치된 터치점의 위치에서 주변의 단어들의 센터 위치까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주변의 단어들과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획득한다.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저장부에 저장된 문자 버튼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 터치된 터치점(p2)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문자를 확인한다.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오 터치된 터치점(p1)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문자를 기준으로 오 터치된 터치 점(p1)과 가까운 열(row)과 행(column)을 확인하고 확인된 열(row)과 행(column)에 배치된 문자(ㄴ, ㅋ, ㅌ)를 획득하며, 획득된 문자들의 센서 위치 정보(E1, E2, E3)를 각각 확인하고, 오 터치된 터치점(p2)의 위치 정보와 획득된 주변의 단어들의 센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 터치된 터치점의 위치에서 주변의 단어들의 센터 위치까지의 거리 값(s1, s2, s3)을 획득한다.
도 9의 (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오 터치된 터치점(p2)과 가까운 열(row)의 문자를 획득하되, 오 터치된 터치점(p2)을 기준으로 오 터치된 터치점(p2)과 가까운 행과 반대되는 행에 배치된 문자(ㅌ, ㄹ, ㅊ)를 획득하고 획득된 문자들의 센서 위치 정보(E4, E5, E6)를 각각 확인하고, 오 터치된 터치점(p2)의 위치 정보와 획득된 주변의 단어들의 센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 터치된 터치점의 위치에서 주변의 단어들의 센터 위치까지의 거리 값(s4, s5, s6)을 획득한다.
아울러 단말기는 오 터치된 터치점(p2)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문자를 기준으로 열과 행을 포함한 일정 범위 내의 존재하는 문자들을 획득하고 획득된 문자들의 센터 위치까지의 거리값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단말기는 획득된 주변의 단어들과의 거리 값(s1, s2, s3, s4, s5, s6)에 기초하여 새로운 후보군을 획득한다.
여기서 새로운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은, 각 문자들과의 거리값 중 거리값이 작은 순서대로 미리 설정된 개수의 문자들을 획득하고 획득된 문자들과 이전 입력된 문자들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개수가 4개이면 거리 값(s1, s2, s3, s4, s5, s6) 중 거리값이 작은 순으로 4개를 선택하고 선택된 3개의 거리값(s1, s2, s3)을 가지는 단어들(ㄴ, ㅋ, ㅌ)을 획득하고 획득된 단어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획득한다.
여기서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은, 획득된 각 문자들과의 거리값 중 가장 작은 거리값, 즉 최소 거리값을 획득하고, 최소 거리값을 기준으로 가장 작은 거리값과 나머지 거리값들과의 비율을 획득하며, 획득된 비율이 기준 비율 이상인 거리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거리값을 가지는 문자들과 이전 입력된 문자들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말기는 획득된 비율에 기초하여 주변의 단어들을 제1비율(a%) 이내, 제2비율(b%) 이내 또는 제3비율(c%) 이내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은, 최소의 거리값을 가지는 문자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말기는 순차적으로 입력된 글자들을 문자 표시 창(A1)에 표시한다.
단말기는 목적지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고 목적지 입력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문자 표시 창(A1)에 표시된 '남양 용구소'를 '남양 연구소'로 수정하여 변경한다.
단말기는 오타 정보인 '남양 용구소'와, 오타 정보에 대응하는 정타 정보인'남양 연구소'를 저장한다.
다음 단말기는 변경된 주소를 목적지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단말기는 목적지 정보가 획득되면 현재의 위치 정보와 목적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경로탐색 알고리즘에 따라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를 지도에 매칭시켜 표시하도록 표시부(112)를 제어하고, 경로의 정보에 기초하여 따라 목적지까지 길을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표시부(112) 및 사운드 출력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단말기는 목적지 정보, 즉 주소 입력 시, 오타가 입력되면 오타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트레이닝 세트 리스트의 정보와 현재 입력된 오타 정보에 기초하여 오타 수정을 학습하고 학습된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한다.
여기서 트레이닝 세트 리스트의 정보는, 오 터치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과의 거리 정보, 터치 압력 정보, 오 터치 전 입력된 단어 또는 글자 정보, 오 터치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오타 글자 정보 및 오타 단어 정보를 포함하고, 오타 글자 또는 오타 단어에 대응하는 정타 단어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트레이닝 세트 리스트의 정보는 오타 정보를 포함한다.
즉 단말기는 오 터치된 터치 점의 위치,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과의 거리 값, 오 터치 전 입력된 단어 또는 글자, 터치 압력, 저장부에 저장된 오타 글자에 대응하는 정타 단어 및 저장부에 저장된 오 터치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오타 글자를 딥러닝하여 열과 행을 선택하기 위한 일정 범위,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의 개수,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과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 및 최소 거리값을 기준으로 하는 비율을 획득하고, 주변 문자 버튼을 선택하기 위한, 즉 열과 행을 선택하기 위한 일정 범위,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의 개수,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과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 및 최소 거리값을 기준으로 하는 비율을 저장부에 저장한다.
단말기는 딥러닝에 의해 획득된 일정 범위,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의 개수,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과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 및 최소 거리값을 기준으로 하는 비율에 기초하여 오타 수정의 신뢰도를 획득하고 획득된 신뢰도를 함께 저장한다.
단말기는 신뢰도들 중 신뢰도가 높은 순으로 일정 개수의 신뢰도를 획득하고 획득된 신뢰도와 연관된 일정 범위,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의 개수,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과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 및 최소 거리값을 기준으로 하는 비율을 결과 값 리스트로 저장한다.
이러한 단말기는 내비게이션 모드 수행 중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을 때, 오타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오타 입력 전에 입력된 문자를 확인하고, 확인된 문자 정보와 마지막에 수신된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며, 저장부에 저장된 일정 범위,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의 개수, 터치 점 주변의 문자들과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 및 최소 거리값을 기준으로 하는 비율에 기초하여 신뢰도가 가장 높은 문자를 획득하고, 획득된 문자와 오타 입력 전에 입력된 문자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예는 터치 패널과 표시 패널이 일체화된 구조에서 터치 패널의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문자를 선택받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터치 패널과 표시 패널이 분리된 구조에서 터치 패널의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에 표시된 문자를 선택받는 예도 구현 가능하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차량 110: 단말기
111: 입력부112: 표시부
120: 위치 수신부 130: 제어부
140: 저장부

Claims (22)

  1. 복수 개의 문자 버튼에 대응하는 문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사용자에 의해 터치 시에 터치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패널;
    상기 복수 개의 문자 버튼의 영역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 개의 문자 버튼의 센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터치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문자 버튼을 확인하고 확인된 문자 버튼이 가지는 문자가 오타라고 판단되면 확인된 문자 버튼의 주변의 문자 버튼들의 센터 위치 정보와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타를 수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문자 버튼이 가지는 문자와, 상기 문자가 입력 전에 입력된 글자를 가지는 단어를 검색하고 상기 단어가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확인된 문자를 오타로 인식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의 문자 버튼들의 센터 위치 정보와 상기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점에서 상기 주변의 문자 버튼의 센터까지의 거리 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거리값에 기초하여 단어의 후보군을 획득하고 획득된 단어의 후보군에 기초하여 상기 오타를 수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의 문자 버튼의 센터까지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최소 거리값이 작은 순서대로 미리 설정된 개수의 최소 거리 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최소 거리값을 가지는 문자 버튼을 획득하고 획득된 문자 버튼이 가지는 문자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의 문자 버튼의 센터까지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최소 거리 값과 나머지 거리값 사이의 비율을 각각 획득하고, 획득된 비율이 일정 비율 이상인 거리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거리값을 가지는 문자 버튼을 획득하고 획득된 문자 버튼이 가지는 문자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문자 버튼의 센터 위치 정보와 일정 범위에 기초하여 주변의 문자 버튼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트레이닝 세트 정보와 결과 값 리스트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트레이닝 세트 정보와 상기 오타에 대응하는 오타 정보와, 수정된 정타 정보를 학습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결과 값 리스트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값 리스트는,
    주변 버튼들을 선택하기 위한 일정 범위, 주변의 문자 버튼들의 개수, 주변의 문자 버튼들과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 및 최소 거리값을 기준으로 하는 비율을 포함하는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과 값 리스트에 기초하여 주변 문자 버튼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말기.
  10. 복수 개의 문자 버튼에 대응하는 문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사용자에 의해 터치 시에 터치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패널;
    지도 정보 및 주소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복수 개의 문자 버튼의 영역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 개의 문자 버튼의 센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내비게이션 모드 수행 중 목적지 정보의 입력 명령이 수신되면 자판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터치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문자 버튼을 확인하고 확인된 문자 버튼이 가지는 문자와 이전에 입력된 문자를 가지는 주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주소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확인된 문자 버튼이 문자가 오타라고 판단하고 확인된 문자 버튼의 주변의 문자 버튼들의 센터 위치 정보와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타를 수정하고 오타가 수정된 주소를 목적지 정보로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의 문자 버튼들의 센터 위치 정보와 상기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점에서 상기 주변의 문자 버튼의 센터까지의 거리 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거리값에 기초하여 주소의 후보군을 획득하고 획득된 주소의 후보군에 기초하여 상기 오타를 수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의 문자 버튼의 센터까지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최소 거리값이 작은 순서대로 미리 설정된 개수의 최소 거리 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최소 거리값을 가지는 문자 버튼을 획득하고 획득된 문자 버튼이 가지는 문자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의 문자 버튼의 센터까지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최소 거리 값과 나머지 거리값 사이의 비율을 각각 획득하고, 획득된 비율이 일정 비율 이상인 거리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거리값을 가지는 문자 버튼을 획득하고 획득된 문자 버튼이 가지는 문자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문자 버튼의 센터 위치 정보와 일정 범위에 기초하여 주변의 문자 버튼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트레이닝 세트 정보와 결과 값 리스트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트레이닝 세트 정보, 상기 오타에 대응하는 오타 정보 및 수정된 정타 정보를 학습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결과 값 리스트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과 값 리스트에 기초하여 주변 문자 버튼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7. 터치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문자 버튼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문자 버튼이 가지는 문자와, 상기 문자가 입력 전에 입력된 문자를 가지는 단어를 검색하고,
    상기 단어가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확인된 문자 버튼이 가지는 문자를 오타로 판단하고,
    상기 확인된 문자 버튼의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문자 버튼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 버튼의 센터 위치 정보와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획득하고,
    상기 후보군에 기초하여 상기 오타를 수정하고,
    상기 오타가 수정된 단어를 표시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문자 버튼을 확인하는 것은,
    저장부에 저장된 주변 버튼들을 선택하기 위한 일정 범위, 주변의 문자 버튼들의 개수, 주변의 문자 버튼들과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 및 최소 거리값을 기준으로 하는 비율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문자 버튼을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은,
    상기 주변의 문자 버튼이 복수 개이면, 상기 복수 개의 문자 버튼의 센터 위치 정보와 상기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점에서 상기 주변의 문자 버튼의 센터까지의 거리 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거리값에 기초하여 단어의 후보군을 획득하고, 획득된 단어의 후보군에 기초하여 상기 오타를 수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은,
    상기 주변의 문자 버튼이 복수 개이면, 상기 복수 개의 문자 버튼의 센터 위치 정보와 상기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점에서 상기 주변의 문자 버튼의 센터까지의 거리 값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 개의 문자 버튼의 센터까지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최소 거리값을 가지는 문자 버튼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자 버튼이 가지는 문자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은,
    상기 주변의 문자 버튼이 복수 개이면, 상기 복수 개의 문자 버튼의 센터 위치 정보와 상기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점에서 상기 주변의 문자 버튼의 센터까지의 거리 값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 개의 문자 버튼의 센터까지의 거리 값 중 최소 거리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최소 거리값을 가지는 문자 버튼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최소 거리 값과 나머지 거리값 사이의 비율을 각각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비율이 일정 비율 이상인 거리값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거리값을 가지는 문자 버튼을 획득하고 획득된 문자 버튼이 가지는 문자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군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오타가 인식된 후 터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를 확인하고,
    상기 후보군 중 상기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문자 버튼이 가지는 문자의 다음에 상기 확인된 문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획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80161567A 2018-12-14 2018-12-14 단말기,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641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567A KR102641672B1 (ko) 2018-12-14 2018-12-14 단말기,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567A KR102641672B1 (ko) 2018-12-14 2018-12-14 단말기,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354A true KR20200080354A (ko) 2020-07-07
KR102641672B1 KR102641672B1 (ko) 2024-02-29

Family

ID=71602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567A KR102641672B1 (ko) 2018-12-14 2018-12-14 단말기,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6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5046A (ja) * 1997-03-31 1998-10-13 Toshiba Corp 単語入力装置及び方法
KR20090049903A (ko) * 2007-11-14 2009-05-19 권성혁 가상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퍼지 터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시스템 및 방법
JP2009265013A (ja) * 2008-04-28 2009-11-12 Aisin Aw Co Ltd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5046A (ja) * 1997-03-31 1998-10-13 Toshiba Corp 単語入力装置及び方法
KR20090049903A (ko) * 2007-11-14 2009-05-19 권성혁 가상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퍼지 터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시스템 및 방법
JP2009265013A (ja) * 2008-04-28 2009-11-12 Aisin Aw Co Ltd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1672B1 (ko)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1590B2 (en) Gesture-based information and command entry for motor vehicle
US20090150785A1 (en) Input device for inputting voice information including voice recognizer
KR101700714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JP6851482B2 (ja) 操作支援装置および操作支援方法
CN104071096B (zh) 输入装置、输入方法及输入程序
JP2008039731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その画面表示方法
US10983691B2 (en) Terminal, vehicle having th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CN103890760A (zh) 用于操作电子装置或者应用程序的方法和相应的装置
US20200050348A1 (en) Touch-type input device and operation detection method
JP4302568B2 (ja) 情報検索装置
KR102641672B1 (ko) 단말기,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15132905A (ja) 電子システム、検出範囲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10732824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618407B2 (en) Terminal apparatus,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terminal apparatus
JP4171815B2 (ja) 音声認識装置
KR101875626B1 (ko) 차량 제어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2459532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671661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5028045B2 (ja) 車載表示装置
KR20160098140A (ko) 내비게이션 단말,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764610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2023045586A (ja) 周囲監視装置、周囲監視方法、および周囲監視プログラム
KR20160051938A (ko) 내비게이션 단말,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JP2014191818A (ja) 操作支援システム、操作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7172459A (ja) 手書き文字認識装置および手書き文字認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